KR100447685B1 - 혈청또는혈장분리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청또는혈장분리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685B1
KR100447685B1 KR1019970702791A KR19970702791A KR100447685B1 KR 100447685 B1 KR100447685 B1 KR 100447685B1 KR 1019970702791 A KR1019970702791 A KR 1019970702791A KR 19970702791 A KR19970702791 A KR 19970702791A KR 100447685 B1 KR100447685 B1 KR 100447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organic gelling
gelling ag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441A (ko
Inventor
류스케 오카모토
히데오 안라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7Breaking emulsions with separat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0Separation devices for use in medical, pharmaceutical or laboratory applications, e.g. separating amalgam from dental treatment residues

Abstract

본 발명은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다.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멸균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지 않고, 용혈 등에 기인한 혈청 또는 혈장의 생화학 검사치에 대해 영향이 없으며, 성분의 상 분리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양호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성, 보존 안정성 등을 갖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 덧붙여, 옆으로 뉘어 보존시에 흐름이 적고, 또한 경시적인 반전성의 악화가 생기기 어려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종래, 요변성을 갖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예컨대 실리콘과 실리카로 구성된 혼합물을 채혈관내 저부에 미리 수용한 혈액 검사용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1-83654호). 이 채혈관내에 혈액을 채취하고, 적당 시간 정치후 원심 분리를 행하면, 그 원심력에 의해서 겔형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유동성을 갖게 된다. 또한, 겔형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혈청 또는 혈장 성분의 비중과 혈병 또는 혈구 성분의 그것과의 중간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채취한 혈액을 관저부로부터 점차로 상승시켜 혈청 또는 혈장층과 혈병 또는 혈구층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혈청 또는 혈장 성분과 혈병 또는 혈구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병 또는 혈구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혈청 또는 혈장 성분은 채혈관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되어 각종 검사에 첨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용기로에 옮기지 않고 보존할 수 있다.
이러한 요변성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는 상기 실리콘외에 α-올레핀-말레산디에스테르 공중합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6-166956호,특허 공개 공보 제2-168159호),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1-233368호), 아크릴계 중합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3-42283호), 염소화 폴리부텐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57-9718호),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295163호), 시클로펜타디엔 수지에 수산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에폭시기 등을 도입한 시클로펜타디엔 수지의 변성물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95257호) 등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주성분에, 실리카와 같이 비중 조정제로서 작용하면서 동시에 요변성을 부여하는 겔화제로서도 작용하는 무기 충전제나, 프로필렌글리콜이나 에틸렌디아민과 같은 분자의 양 말단에 극성기를 갖는 물질 (이상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295163호),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와의 축합물 (특허 공개 공보 제2-168159호)과 같은 유기 겔화제가 필요에 따라 배합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은 무기 충전제와의 상용성에 부족하고, 또한 방사선 (
Figure pct00001
선, 전자선 등) 멸균에 의해 경화 반응이 생기기 때문에 현재에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으며, 또한 α-올레핀-말레산 디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시클로펜타디엔 수지의 변성물 등과 같이 극성기를 갖는 것은 혈액중의 임상 검사 대상 항목의 측정에는 비교적 영향이 적지만, 혈중 약물 농도 (예컨대 항간질약인 페노바르비탈,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등의 측정에는 영향을 미치게 할때가 많다.
한편, 염소화 폴리부텐을 사용한 것으로서는, 사용후 소각 폐기할 때, 염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소각 화로를 손상시키거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가지지 않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4-203965호에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유기 겔화제로서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와의 축합물로 구성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만,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디메틸설포옥시드 (이하, DMSO라고 약기함)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이하, DMA라고 약기함)가 사용되고 있고, DMSO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는, 방사선 (
Figure pct00002
선, 전자선 등) 멸균을 행하면, DMSO의 분해에 의해, 황화디메틸이 생성되고, 악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DMA를 함유하는 것에 있어서는 DMA가 혈액과의 접촉에 의해 용혈을 일으킬 때가 있고, 혈액중의 특정한 생화학 검사 항목의 측정에 있어서 올바른 측정값을 부여하지 않지 않을 때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보존중에 해당 조성물로부터 유상성분이 분리될(이하, 이 현상을 상 분리라 함) 때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유상성분은 해당 조성물중의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포함되는 저 분자량 성분이고, 이 성분과 유기 겔화제 및/또는 비중 조정제로서 첨가되는 실리카와의 상용성이 낮은 것이 상 분리의 원인이다. 이러한 상 분리가 일어나면, 해당 조성물을 수용한 채혈관을 옆으로 눕히거나 전도시키거나 했을 때, 유상 성분이 관벽이나 마개체에 부착되고, 이 채혈관을 사용하여 채혈해서 혈청 또는 혈장을 혈병 또는 혈구로부터 원심 분리 등에 의해 분리했을 때에, 유상 성분이 혈청 또는 혈장층에 부유하며, 그 결과, 혈청 또는 혈장에 포함되는 성분의 검사시에, 해당 성분이 검사기기의 혈청 또는 혈장의 채취 바늘에 가득차거나, 검사값에 영향을 부여하거나 한다. 또한, 상분리가 일어나면, 해당 조성물의 균질성을 손상시키고, 격벽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초래하였다.
또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채혈관의 저부에 수용하고, 해당 채혈관을 옆으로 눕혀서 보존 (이하 옆으로 쓰러짐 보존이라 함)해 두면 해당 조성물이 흐름을 발생시키는 (이하 이것을 「흐름」이라 함) 경우가 있었다. 이 흐름이 발생하면, 해당 조성물이 채혈관의 측벽에 연전된다. 이 채혈관에 채혈후, 원심 분리를 하면 해당 조성물이 관저부로부터 부상하여 혈청층 또는 혈장층과 혈병층 또는 혈구층과의 중간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격벽이 충분한 두께를 가지지 않게 되고, 혈병의 팽창등에 의해 해당 칸막이 벽의 파괴가 발생한다. 흐름 발생의 원인은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의 부족에 있으며, 이것은 해당 유기 겔화제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해소한다. 그러나, 유기 겔화제의 양을 증가시키면, 경시적으로 요변성의 증대가 일어나고, 원심 분리시의 반전성이 나빠지면, 최악의 경우에는 반전하지 않게 될 때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중 하나는 방사선 멸균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지 않고, 용혈 등에 기인하는 혈청 또는 혈장의 생화학 검사값로의 영향이 없고, 성분의 상 분리를 일으키지 않으며, 또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양호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성, 보존 안정성 등을 갖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이외에, 옆으로 눕혀서 보존중의 흐름이 적고, 또한 경시적인 반전성의 악화가 생기기 어려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혈액 성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실시할 때 사용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하기의 몇개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이하, 제1 조성물이라 함).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2개의 메틸기와 C10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제3급 아민 화합물를 포함하며, 제3급 아민 화합물의 양이 시클로펜타디엔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0.5 중량부의 범위내이며,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이하, 제2 조성물이라 함).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며,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가 프탈산 에스테르이고,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이하, 제3 조성물이라 함).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및 비중 조정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가 프탈산 에스테르이고,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비중 조정제가 염화파라핀이고, 시클로펜타디엔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도 저하제의 비율이 30∼130 중량부, 비중 조정제의 비율이 1∼100 중량부의 범위내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이하, 제4 조성물이라 함).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상용화제,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가 연화점 70℃∼140℃, 및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상용화제가 저분자량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이고, 점도 저하제가 프탈산 에스테르이며,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고,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용화제의 양이 시클로펜타디엔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 중량부의 범위내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하, 제5 조성물이라 함).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가 프탈산 에스테르이고,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가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의 양이 시클로펜타디엔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4 중량부의 범위내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하, 제6 조성물이라 함).
베이스 수지 및 유기 겔화제를 포함하며, 베이스 수지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이며, 유기 겔화제가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인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이하, 제7 조성물이라 함).
해당 제1 조성물 내지 제7 조성물을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조성물
우선,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제1 조성물에 사용되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는, 시클로펜타디엔이다량체화된 올리고머, 및 시클로펜타디엔이 이량화된 디시클로펜타디엔이 다량체화된 올리고머가 함유된다. 해당 올리고머는 시클로펜타디엔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을 예컨대, 딜스ㆍ알더 반응 등을 사용하여 다량체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DCPD 수지)라고 불릴 때도 있다. 또한, 해당 올리고머를 제1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해당 올리고머를 수소 첨가하여 잔존하는 이중 결합을 포화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올리고머는 중합개시제 유래의 극성 잔기를 미량 함유하는 경우가 있지만, 분자중에 거의 극성기를 가지지 않으므로, 혈액중의 생체 성분이나 약품의 흡착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해당 올리고머는 통상의 올레핀 또는 α-올레핀계 중합체와 다르며, 비중 1.0 이상인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중합체 분자가 밀접하게 패킹하고 있기 때문이며, 100℃에 있어서의 증발 감량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를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사용하면, 휘발성분에 의한 혈액 응고의 지연이나, 혈병의 채혈관벽 부착 등의 문제가 없으며, 또한 악취도 발생하지 않는다.
해당 올리고머의 25℃에 있어서의 비중은 1.00∼1.10이 바람직하고, 혈청 또는 혈장과 혈병 또는 혈구와의 중간 값인 1.02∼1.08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중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조성물의 비중을 적합한 범위로 조정하기 어렵게 된다. 해당 범위의 비중을 갖는 올리고머는 중합 조건 등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ㆍ유기 겔화제
제1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이다. 유기 겔화제의 예로서는, 디벤질리덴솔비톨, 트리벤질리덴솔비톨, 메틸 치환 디벤질리덴솔비톨 등이 있다. 이들중에서도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배합되었을 때, 해당 조성물로의 요변성의 부여의 면에서 디벤질리덴솔비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해당 겔화제는 흡수성이나 수용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혈액 검체와 접촉하여도 해당 조성물이 흡수 백탁(白濁)되지 않고, 또한, 혈액 검체가 해당 겔화제에 의해 흡수되어 농축되는 일도 없다. 덧붙여서, 해당 겔화제는 소수기 (벤질기)와 친수기 (수산기)의 양방을 가지므로, 소수성 화합물에 대해서도 친수성의 화합물에 대해서도 상용성이 있으며, 이들의 것과 배합되어도 상 분리를 일으키기 어렵다.
배합물에 양호한 요변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극성기를 갖지 않거나 또는 극성기 함유량이 적은 소수성의 매체에 유기 겔화제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점에서 소수성의 매체로서 해당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유기 겔화제의 양은 지나치게 적으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부족하여 보존중에 해당 조성물이 흐르기 쉬워져서, 해당 조성물의 사용시에 격벽이 파괴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과대해져서, 원심 분리하여도 격벽이 형성되기 어려워지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3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2∼1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제1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소정의 HLB값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해당 블록 공중합체의 HLB값은 지나치게 작으면 유기 겔화제가 해당 블록 공중합체중에 충분히 분산할 수 없게 되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부족하고, 격벽 안정성이 저하되며, 지나치게 크면 소수성이 부족하여, 해당 조성물의 사용시에 혈액에 녹아 혈액을 용혈시키고 적혈구중의 성분이 혈청 또는 혈장에 혼입하기 때문에 정확한 생화학 검체 결과를 부여하지 않게 되므로, 1.0∼9.0,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에 있다.
또한, HLB값은 친수성부-소수성부의 구조를 취하는 일반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친수성과 소수성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리핀의 방정식에 의해 정의되어 있지만, 해당 조성물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와 같이, 친수성부-소수성부-친수성부의 구조를 취하는 것에 있어서는, 이 식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HLB값은 하기의 수학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HLB값=0.098×(하기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담점)+4.02
해당 담점의 측정 방법은 해당 블록 공중합체 0.5 g을 98% 에틸알콜 수용액 5 ㎖에 용해하고, 25℃로 유지하면서 2% 페놀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의 혼탁을 가지고 종점으로 한다. 그리고, 적정에 필요한 2% 페놀 수용액의 ㎖ 수를 담점으로 한다.
해당 블록 공중합체는 다수의 제조자로부터 여러가지 등급으로 시판되고 있지만, 해당의 HLB값이 1.0∼9.0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모두 사용 가능하다.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의 양은 지나치게 적으면 유기 겔화제의 분산성이 저하하여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저하되므로,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고, 또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저하되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5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ㆍ비중 조정제
제1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비중 조정제를 첨가하여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을 원하는 비중으로 조정하여도 된다. 이러한 비중 조정제로는 실리카, 벤토나이트, 산화티타늄과 같은 무기질 분말, 또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 미분말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비중 조정제의 평균 입경은 해당 조성물중에의 혼합, 분산의 용이성의 면에서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비중 조정제의 양은 지나치게 많으면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비중 조정제와의 비중차가 크기 때문에, 양쪽의 분리가 일어나기 쉬워지므로, 해당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범위이다.
ㆍ점도 저하제
제1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부가로 점도 저하제를첨가하여도 된다. 점도 저하제로서는 혈액 성분 또는 혈액 응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프탈산 에스테르 또는 벤조산 에스테르 등이 적합하다.
점도 저하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올리고머와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의 비중차가 크기 때문에, 양쪽의 분리가 일어나기 쉬워지므로, 해당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범위이다.
ㆍ조성물의 적합한 비중
제1 조성물의 비중은 혈청 또는 혈장 및 혈병 또는 혈구의 중간의 비중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5℃에서 1.03∼1.08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1.06의 범위이다.
ㆍ조성물의 적합한 점도
제1 조성물의 점도는 통상의 원심 분리 조작에 의해, 해당 조성물을 혈청층 또는 혈장층과, 혈병층 또는 혈구층의 중간부에 위치시키는 점 또는 채혈관 등의 혈액 검사 용기로의 수용 작업의 용이점에서 25℃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0 센티포이즈,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500,000 센티포이즈이다.
ㆍ사용 방법
제1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진공 타입 또는 비진공 타입의 채혈관으로 사용되는 저부 실린더 용기에, 미리 해당 조성물을 수용해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그리고, 해당 조성물이 수납된 저부 관형 용기에 소정의 방법에 의해 채취한 혈액을 주입, 원심 분리 조작을 실시하면, 비중의 차이에 따라 혈액 성분이 혈청 또는 혈장과 혈병 또는 혈중 고형분 (혈구 등)으로 분리되며, 상부에 위치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부분과, 하부에 위치하는 혈병 부분 또는 혈중 고형분과의 사이에 해당 조성물이 모두를 사이를 두는 격벽으로 개재하여, 분리제로서의 역할을 다한다.
제2 조성물
이어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2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제2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2개의 메틸기와 C10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제3급 아민을 포함한다.
해당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양은 제1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해당 제3급 아민은 2개의 메틸기와 C10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제3급 아민이다. 메틸기가 1개이면, 얻은 조성물에 흐름이 생기므로, 그 첨가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상기 알킬기가 C9이하이면, 제3급 아민과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므로 이의 첨가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이와같은 제3급 아민의 예로는 도데실디메틸아민, 테트라데실디메틸아민, 헥사데실디메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3급 아민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해당 조성물의 흐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지나치게 증대되어 반전성이 나빠지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3 중량부이다.
ㆍ제2 조성물의 기타 필수 성분인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및 유기 겔화제, 제2 조성물의 임의 부가 성분인 비중 조정제 및 점도 저하제 및 이들의 양, 부가로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1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제3 조성물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를 포함하는 제3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제1 조성물의 올리고머로서, 또한,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가 30∼500 센티포이즈인 것이다.
상기 올리고머의 연화점은 지나치게 낮으면 해당 조성물의 상 분리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용융되기가 어려워지며, 해당 조성물의 제조가 어려워지므로 70℃∼140℃, 바람직하게는 80℃∼110℃이다. 또한, 상기 연화점이란 JIS K 6863-1994 「핫-멜트 접착제의 연화점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연화점을 말한다.
상기 올리고머의 180℃에서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해당 조성물의 점도가 부족하고, 지나치게 높으면 해당 조성물이 저온에서의 점도가 높아지고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기 어려워지므로 30∼500 센티포이즈, 바람직하게는 100∼500 센티포이즈이다. 또한, 상기 용융 점도란 JIS K 6862-1984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점도 시험 방법」중의 A법을 사용하여 브룩필드에서 제조한 B형 점도계에 의해 A-1형 로터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용융 점도를 말한다.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로서는, 하기와 같은 물성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중
25℃에서의 비중(황산구리 용액을 사용한 부침법 시험에 의함)이 1.02∼1.10, 바람직하게는 1.03∼1.09인 것 비중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조성물의 비중을 적합하게 조정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분자량
GPC법에 의한 분자량 분포가 수평균 분자량이 200∼500, 바람직하게는 300∼450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900, 바람직하게는 700∼850인 것. 분자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이면 저분자량 분획이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상 분리가 발생하기 쉬어지며,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여 점도 저하제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때가 있다.
유리 전이점
DSC법에 의한 유리 전이점이 50℃∼90℃, 바람직하게는 60℃∼80℃인 것, 유리 전이점이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이면 저분자량 분획이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상 분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며,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여 점도 저하제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때가 있다.
감량 개시 온도
TG법에 의한 감량 개시 온도가 100℃∼400℃, 바람직하게는 120℃∼350℃인 것. 이 감량 개시 온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이면 저분자량 분획이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상 분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며,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여 점도 저하제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때가 있다.
ㆍ점도 저하제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점도 저하제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프탈산 에스테르이다. 상기 프탈산 에스테르로는 프탈산의 디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디에스테르로는 2개의 에스테르 기를 형성하는 알콜 잔기중 적어도 한쪽이 C6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기 모두가 C5이하인 디에스테르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2개의 에스테르기를 형성하는 알콜 잔기 각각의 탄소수가 지나치게 크면 해당 조성물의 비중을 적합한 범위로 조정하기 어려워지므로 C11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점도 저하제로서는 프탈산 부틸펜틸, 프탈산 디펜틸, 프탈산 부틸헥실, 프탈산 부틸헵틸, 프탈산 디헥실, 프탈산 펜틸헵틸, 프탈산 부틸노닐, 프탈산 펜틸옥틸, 프탈산 헥실헵틸, 프탈산 디헵틸, 프탈산 헵틸옥틸, 프탈산 디옥틸, 프탈산 디(2-에틸헥실), 프탈산 옥틸노닐, 프탈산 디이소노닐, 프탈산 옥틸데실, 프탈산 디이소데실, 프탈산 데실운데실, 프탈산 디운데실, 프탈산 부틸벤질이 예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점도 저하제는 2개의 에스테르기를 형성하는 알콜 잔기의 C9-C11프탈산 디에스테르이다. 해당 조성물의 비중 조정의 관점에서는 프탈산 디(2-에틸헥실) 및 프탈산 디옥틸이 가장 적합하다.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점도 저하제의 양은 지나치게 적으면 해당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하여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기 어려워지거나, 해당 조성물의 비중 조정이 어려워지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13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부이다.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제3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양은 제1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1-메틸-2-피롤리돈은 유기 겔화제를 양호하게 용해하는 점, 혈액과 반응하여용혈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점 및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등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1-메틸-2-피롤리돈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유기 겔화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용혈 반응을 야기하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5∼3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ㆍ제3 조성물의 기타 필수 성분인 유기 겔화제 및 제3 조성물의 임의 부가성분인 비중 조정제 및 점도 저하제 및 이들의 양, 부가로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1 조성물의 항에서 설명한 것과 같아도 된다.
제4 조성물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및 비중 조정제를 포함하는 제4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비중 조정제
제4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중 조정제는 염화파라핀이다. 이것은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물에 녹지 않으며, 무취, 무해하므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적합하다.
염화파라핀에는 염소화도 40%, 45%, 50%, 65% 및 70%인 것이 있고, 모두 사용가능하다. 염화파라핀의 25℃에서의 비중은 1.15∼1.70이며, 비중 조정제로서 적합하다.
비중 조정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비중 조정제와의 비중차가 크기 때문에, 모두의 분리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또한 지나치게 적으면 비중 조정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므로, 상기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60 중량부이다.
ㆍ제4 조성물의 기타 필수 성분인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및 이들의 양, 부가로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3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제5 조성물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상용화제,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5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상용화제
제5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저분자량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저분자량 폴리스티렌이다. JIS K 6863-1994에 의한 연화점이 130℃∼180℃이고, 부침법에 의한 25℃에서의 비중이 1.03∼1.07이며, GCP법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이 34,000∼46,000이고, GCP법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69,000∼91,000인 저분자량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용화제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상용화 효과가 부족하여 상 분리가 발생하고, 지나치게 많으면 조성물의 점도가 커져 반전되지 않게 되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부의 범위에 있다.
ㆍ제5 조성물의 기타 필수 성분인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및 제5 조성물의 임의 부가 성분인 비중 조정제 및 이들의 양, 부가로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4 조성물의 설명의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제6 조성물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6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제6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이하, DMA라고 약기함),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제6 조성물의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유기 겔화제의 분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유기 겔화제의 요변성이 발휘되지 않고 격벽이 안정성이 결여되며, 지나치게 많으면 채혈시에 해당 조성물과 접촉한 혈액이 용혈되어 검사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4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5∼0.4 중량부이다.
ㆍ제6 조성물의 기타 필수 성분인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제6 조성물의 임의 부가 성분인 비중 조정제 및 이들의 양, 부가로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4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제7 조성물
마지막으로 베이스 수지 및 유기 겔화제를 포함하는 제7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 조성물에 있어서, 베이스 수지로서 사용되는 소정의 HLB값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제1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것과 같아도 된다.
또한, 유기 겔화제도 제1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상기 유기 겔화제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부족하여 보존중에 해당 조성물이 흐르기 쉬워지고, 해당 조성물의 사용시에 격벽이 파괴되기 쉬워지며, 지나치게 많으면 해당 조성물의 요변성이 과대해져서 원심 분리하여도 격벽이 형성되기 어려워지므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20∼7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7 조성물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비중 조정제 및/또는 점도 저하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비중 조정제 및 점도 저하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상기 분산제와 비중 조정제와의 비중차가 크기 때문에, 모두의 분리가 일어나기 쉬워지므로 상기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이다.
ㆍ제7 조성물의 적합한 비중, 적합한 점도 및 사용 방법은 제1 조성물의 설명 항에서 기술한 것과 같아도 된다.
본 발명 조성물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일으킨다.
ㆍ제1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의 작용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및, 유기 겔화제로서 솔비톨 및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를 포함하는 종래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은 유기 겔화제를 DMSO 또는 DMA와 같은 유기 용매에 일단 용해시킨 후,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무기질 미분말 (기상법에 의한 미분말 실리카 등)이 균질한 혼합물로 배합됨으로써 조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유기 용매는 해당 조성물중에 잔류하고, 방사선을 조사시키면 분해되어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또는 혈액에 작용하여 용혈을 야기하여 생화학 검사치에 이상을 가져올 때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에서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특정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DMSO 또는 DMA와 같은 유기 용매는 필요없고, 따라서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악취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분산제 자체는 상기 유기 용매와 다르며, 유기 겔화제나 미분말 실리카와 함께, 수소 결합에 관여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더욱 양호한 요변성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상기 분산제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기 때문에, 혈액, 혈청 및 혈장에 일부가 용해되어 용혈 등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ㆍ제2 조성물의 작용
본 발명 조성물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그래도 장기간 보존하면 유기겔화제의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내로 분산이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요변성의 경시 항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제2 조성물에서는 분산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제3급 아민이 공동으로 작용함으로써 유기 겔화제를 단시간으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요변성의 경시 항진에 의한 반전성 불량 발생이 방지되는 동시에, 흐름도 방지된다.
ㆍ제3 조성물∼제6 조성물의 작용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유기 겔화제 등을 함유하는 종래의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 분리된 유상 성분은 주로 해당 조성물중의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포함되는 저 분자량 성분이며, 이에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등이 일부 혼입되어 있다.
제3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에 있어서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로서 저분자량 성분의 함량이 매우 적은 것을 사용하므로 성분의 상 분리가 일어나기 어렵다.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이것에 점도 저하제가 첨가됨으로써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게 된다. 이 점도 저하제를 함유하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상기 특정 유기 겔화제, 상기 특정 분산제 및 필요에 따라 비중 조정제가 첨가됨으로써 얻은 제3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은 요변성 및 비중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로새 적합한 범위에 있으며, 또한 실질적으로 상 분리를 일으키지 않는다.
ㆍ제5 조성물의 작용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로서 특정 연화점 및 특정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실질상의 상 분리는 일어나지 않지만, 극히 미량으로는 점도 저하제가 분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채혈관보다도 긴 유효 기간을 보증하는 경우에는 상 분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제5 조성물에서는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올리고머와 점도 저하제의 상용성을 높이고, 상 분리를 거의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ㆍ제6 조성물의 작용
종래의 조성물에서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유효한 양의 DMA 및 또는 DMF를 첨가하면 용혈이 발생되었다.
제6 조성물에서는 특정 연화점 및 특정 용융 점도를 갖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점도 저하제를 사용하고, 또한 유기 겔화제와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DMA 및/또는 DMF를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조성물보다도 소량의 DMA 및/또는 DMF로 동등한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분산제 농도의 저하에 따라 용혈을 야기하는 일이 없다.
ㆍ제7 조성물의 작용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요변성의 발현이 유기 겔화제와 실리카의 수소결합에 따른 망상 구조로 형성되며, 베이스 수지인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이에 관여하지 않는다.
한편, 제7 조성물에서는 요변성 발현이 유기 겔화제 단일의 수소 결합에 따른 망상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종래의 조성물과 같이 망상 구조가 경시적으로 변화되지 않고, 상 분리가 더욱 일어나기 어렵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조성물에 첨가된 실리카가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중에 일단 분산된 후, 재응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실리카와 유기 겔화제의 망상 구조로부터 저분자량 성분이 압출되어 상 분리가 조장되는 경향이 있다.
제7 조성물에서 요변성의 부여는 주로 유기 겔화제가 관여하고 있으므로 비중 조정제로서 약간의 실리카를 사용한 경우, 실리카의 재응집이 일어나도 상 분리가 조장되는 일이 없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유기 겔화제를 균질하게 분산하여, 양호한 요변성을 발현시킨다. 덧붙여서, 이의 HLB값은 1.0∼9.0으로서 일반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비하여 소수성이 극히 높기 때문에, 이것은 혈액과 거의 상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혈액의 생화학 검사치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종래 기술의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비하여, 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낮다. 따라서 제7 조성물의 온도 의존성도 종래 기술에 비하여 충분히 작으며, 종래 문제였던 저온 원심 분리시의 혈청 또는 혈장의 분리 불량도 일어나기 어렵다.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 및 이것과의 비교를 나타내기 위한 비교예를 몇 개 들어 얻은 조성물의 성능을 부가로 평가하였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①은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②는 점도 저하제, ③은 유기 겔화제, ④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제7 조성물에 대응하는 실시예 19 및 비교예 19∼20에서는 베이스 수지), ⑤는 비중 조정제 및 ⑥은 상용화제를 의미한다.
또한, 비중의 측정은 약 25℃의 항온실에서 황산구리 비중액을 사용한 부침법으로 실시하며, 점도의 측정은 브룩필드 E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회전수 1.0 rpm으로 측정 온도 25℃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5는 제1 조성물에 대응하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6∼8은 제2 조성물에 대응하며, 실시예 4∼8 및 비교예 9는 제3 조성물에 대응하고, 실시예 9∼13 및 비교예 10∼14는 제4 조성물에 대응하며, 실시예 14와 15 및 비교예 15와 16은 제5 조성물에 대응하고, 실시예 16∼18 및 비교예 17과 18은 제6 조성물에 대응하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9와 20은 제7 조성물에 대응한다.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서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①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ㆍ디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A: 시클로펜타디엔 수지의 수소 첨가물, 엑손 가가쿠사 제품, ECR-327S, 비중 1.04
ㆍ디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B: 니혼제온사 제품, LL101, 비중 1.04
ㆍ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C: 토넥스사 제품, KR242, 연화점 106℃, 180℃에서의 용융 점도 320 센티포이즈, 비중 1.07, 수평균 분자량 약 400, 중량 평균 분자량 약 800, 유리 전이점 약 75℃, 감량 개시 온도 약 200℃
ㆍ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D: 토넥스사 제품, KR240, 연화점 85℃, 180℃의 용융 점도 72 센티포이즈, 비중 1.073, 수평균 분자량 약 350, 중량 평균 분자량 약 750, 유리 전이점 약 65℃, 감량 개시 온도 약 130℃.
②점도 저하제
ㆍ점도 저하제 A: 알콜 잔기가 C9-C11알킬기인 프탈산 디에스테르, 미쓰비시 가스 가가쿠사 제품, PL-200
ㆍ프탈산 디(2-에틸헥실):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DOP.
③유기 겔화제
ㆍ디벤질리덴솔비톨: 신니뽄 리카사제, 겔을 D.
④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A: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아사히덴카고교사 제품, 아데카플로닉 L-121, HLB값 5.1)
ㆍ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B: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아사히덴카사 제품, 아데카플로닉 L-44, HLB값 9.5)
ㆍ1-메틸-2-피롤리돈: 와코쥰야쿠사 제품
ㆍDMSO: 와코쥰야쿠사 제품
ㆍDMA: 와코쥰야쿠사 제품
ㆍDMF: 와코쥰야쿠사 제품
ㆍ헥사데실디메틸아민: 니혼유시사 제품, 닛산 3급 아민 PB.
⑤비중 조정제
ㆍ미분말 실리카 A: 기상법에 의한 미분말 실리카, 토쿠야마사 제품, DM-30S
ㆍ미분말 실리카 B: 기상법에 의한 미분말 실리카, 니뽄 아엘로실사 제품, 아엘로실 R-812
ㆍ산화티타늄: 야스하라산교사 제품, 타이페크 A-100
ㆍ염화파라핀 A: 와코쥰야쿠사 제품, 염소화도 40%
ㆍ염화파라핀 B: 와코쥰야쿠사 제품, 염소화도 70%
⑥상용화제
ㆍ저분자량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다이니폰잉크가가쿠사 제품, DIC 엘라스티렌 #200.
또한, 각 성능 시험에서 n은 반복 회수를 의미한다.
실시예 1
Figure pct00003
이들을 감압하에 1시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14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조성물을 후술하는 시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성분 ④로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A 대신에 DMSO를 0.52 중량부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조성물을 후술하는 시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성분 ④로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A 대신에 DMA를 0.52 중량부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조성물을 후술하는 시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성분 ④로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A 대신에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B 0.52 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3 및 5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 항목에 대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우선, 시판하는 10㎖용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채혈관 저부에 조성물을 약 1.2g 수용하고, 채혈관 내부를 700 mmHg의 진공도로 유지하면서 입구부를 부틸 고무로 형성된 기둥체로 마개를 꽉 막았다. 이렇게 하여 제작한 혈액 검사 용기를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 방사선 조사 시험 (n=50)
선량이 25±7k 그레이 코발트-60에서 유래한
Figure pct00004
선을 조사하였다. 조사후, 마개를 열어 냄새를 맡아 악취의 유무를 관능 평가하였다.
2) 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10)
혈액 검사 용기에 토끼 신선혈 4 ㎖를 분주하고, 혈액의 응고 완료를 확인한후, 15℃에서 1300G, 10 분간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를 실시하고, 혈청 분리용 조성물이 시험관 저부로부터 부상하여 혈청과 혈병의 중간에 격벽을 형성했는지의 여부 (반전성 시험)를 관찰하여 격벽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원심 분리후의 혈액 검사 용기를 수평으로 2주간 정치하고, 상기 격벽의 흐름 (변형) 유무를 관찰 (격벽 안정성 시험)하였다.
3) 생화학 검사치의 측정 (n=3)
혈액 검사 용기에 토끼 신선혈 4 ㎖를 분주하고, 혈액의 응고 완료를 확인한 후, 15℃에서 1300G, 10 분간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를 행하여, 분리된 혈청층을 분취하였다. 얻은 혈청중에 유상 성분은 인지되지 않았다. 이 혈청을 사용하여, 하기 3 항목에 대해서 생화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 시험으로서는, 상기 분리용 조성물을 수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혈액 검사 용기를사용하여 분취한 혈청을 시험하였다 (분석 의뢰처: 후쿠야마 임상 검사 센터).
항목 a : 젖산 탈수소 효소
항목 b :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
항목 c : 히드록시부티르산 탈수소 효소
실시예 2 및 비교예 2와 4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1) 방사선 조사 시험에서 선량이 20±10k 그레이의 가속 전자선을 조사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1에서, 악취는 황화 디메틸의 악취가 인지되었을 경우에 「있음」으로 하고, 악취가 인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없음」으로 하였다. 격벽 두께는 통상 5 mm 이상이면 양호하다. 격벽 흐름에 대해서는, 이 흐름이 있으면 격벽 안정성이 부족하고, 원심 분리후의 혈액 검사 용기를 그대로 보존하면, 이미 분리한 혈청층에 혈병층이 다시 침입해 온다. 흐름 「없음」이란 격벽이 안정되어 있으며, 흐름이 일어날 우려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생화학 검사에서는 대조치에 대한 측정값의 비율(측정값/대조값)은 일반적으로 0.90∼1.10의 범위라면, 임상 검사상에는 지장이 없다.
실시예 1과 2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혈청중의 성분의 측정값은 어느 항목에서도 대조 시험의 측정값과 동등하며, 해당 조성물이 생화학 검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비교예 1∼5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혈청중 성분의 측정값은 어느 항목에서도, 대조 시험의 측정값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올바른 측정값을 부여하지 않았다.
실시예 3
Figure pct00006
이들을 감압하에 1시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비중은 1.05이며, 25℃에서의 점도는 약 25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6
성분 ④헥사데실디메틸아민의 양을 0.02 중량부로 변경시키고, 또한, 성분②점도 저하제 A의 양을 6.18 중량부로 변경시킨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20만 센티포이즈이었다.
비교예 7
성분 ④헥사데실디메틸아민의 양을 0.66 중량부로 변경시키고, 또한, 성분 ②점도 저하제 A의 양을 5.55 중량부로 변경시킨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비중은 1.05이며, 25℃에서의 점도는 약 40만 센티포이즈이었다.
비교예 8
Figure pct00007
이들을 감압하에 1시간 혼련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20만 센티포이즈이었다.
성능 평가
실시예 3 및 비교예 6∼8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 흐름 시험 (n=5)
혈액 검사 용기를 60℃에서 수평으로 유지하고, 7일간 정치시킨 후, 시험전의 조성물과 관내면의 접점에서 시험후의 조성물의 흐름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2) 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n=5)
실시예 1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의 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표 2에서, 격벽 두께는 통상 5mm 이상이면 양호하다. 흐름은 10mm 이하이면 양호하다. 격벽 안정성은 정치 2주간후에도 격벽이 변형되지 않은 경우 「양호」로 하고, 정치 2주간후, 격벽이 파괴되거나 또는 격벽이 형성되지 않고, 혈청과 혈병의 분리가 불가능한 경우 「불량」으로 하였다.
실시예 4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성분 ①을 130℃에서 가열 용융시키고, 이 용융물에 성분 ②∼④를 첨가하여 30분간 혼련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여기에 성분 ⑤를 첨가하여 진공하에서 30분간 혼련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서의 점도는 약 16만 센티포이즈이었다.
실시예 5
성분 ④의 사용량을 0.4 중량부로 변경시키고, 1-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배합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서의 점도는 약 16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6
성분 ④를 사용하지 않고, 1-메틸-2-피롤리돈의 사용량을 0.4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배합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16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7
Figure pct00011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16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8
Figure pct00012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16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9
Figure pct00013
성분 ①∼⑤를 상온에서 진공하에 60분간 혼련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약 20만 센티포이즈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4∼8 및 비교예 9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 상 분리 시험 (n=5)
혈액 검사 용기의 입부를 하향으로 하여 경사 각도 45도의 경사면에 혈액 검사 용기를 유지하고, 60℃에서 24 시간 정치한 후, 조성물로부터 유상 성분이 분리(상 분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2)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5)
실시예 1의 조성물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원심 분리후의 혈청상에서 해당 조성물의 상 분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기름 방울의 존재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표 3에서, 상 분리는 조성물로부터 유상 성분이 분리하지 않았을 경우에 「없음」으로 하고, 분리되었을 경우에 「있음」으로 하였다. 반전성은 조성물이 혈청층과 혈병층의 중간에 위치하여 격벽을 형성하고, 격벽이 두께 약 7 mm로 양호한 분리상을 부여했을 경우에 「양호」로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불량」으로 하였다. 기름 방울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기름 방울 「없음」으로 하고, 기름 방울이 발생하여 용혈성 시험이 불가능했을 경우, 기름 방울 「있음」으로 하였다. 또한, 격벽 안정성의 평가 기준은 표 2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다.
상기 반전성 시험으로 형성된 격벽의 두께는 어느 것이나 약 7 mm이었다. 반전성 시험으로 실시예 4∼8의 조성물은 양호한 분리상을 부여하였지만, 비교예의 조성물은 기름 방울을 생기게 하였다.
실시예 9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성분 ①을 130℃로 가열 용융하고, 이 용융물에 나머지 모든 성분을 첨가한 후, 전체를 30분간 혼련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4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0
Figure pct00017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3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1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6이며, 점도는 약 14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2
Figure pct00020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3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4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0
Figure pct00023
상기 성분 ①∼⑤를 상온의 진공하에서 1시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20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1
Figure pct00024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7이며, 점도는 약 40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2
Figure pct00025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2이며, 점도는 약 5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3
Figure pct00026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2이며, 점도는 약 11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4
Figure pct00027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11이며, 점도는 약 19만 센티포이즈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9∼13 및 비교예 10∼14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상 분리 시험(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3)방사선 조사 시험 (n=50)
실시예 2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4)용혈성 시험 (n=3)
상기 2)의 시험에 사용한 후의 혈액 검사 용기로부터 혈청층을 분취하고, 이 혈청중의 헤모글로빈 (Hb)을 측정하였다. (분석 의뢰처: 후쿠야마 임상 검사 센터).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표 4 에서, 용혈성 시험으로 혈청중 Hb 농도가 5mg/dℓ이상이면 용혈로 간주하였다. 상 분리, 반전성, 기름 방울 및 격벽 안정성의 기준은 표 3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고, 악취의 기준은 표 1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다.
실시예 14
Figure pct00029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25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5
Figure pct00030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5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5
Figure pct00031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6
Figure pct00032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50만 센티포이즈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14와 15 및 비교예 15와 16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 항목에 대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 상 분리 시험 (n=10)
실시예 4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10)
실시예 4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3)방사선 조사 시험 (n=50)
실시예 2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4)용혈성 시험 (n=3)
상기 2)의 시험에 사용한 후의 혈액 검사 용기로부터 혈청층을 분취하고, 이 혈청중의 헤모글로빈 (Hb)을 측정하였다 (분석 의뢰처: 후쿠야마 임상 검사 센터).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33
표 5에서, 평가 기준은 표 4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다.
실시예 16
Figure pct00034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7
Figure pct00035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8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7
Figure pct00038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1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8
Figure pct00039
상기 성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12만 센티포이즈였다.
실시예 16∼18 및 비교예 17과 18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상 분리 시험 (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하였다.
3)방사선 조사 시험 (n=50)
실시예 2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하였다.
4)용혈성 시험 (n=3)
상기 2)의 시험에 제공한 후의 혈액 검사 용기로부터 혈청층을 나누어 취하고, 이 혈청중의 헤모글로민 (Hb)을 측정하였다. (분석 의뢰처: 후쿠야마 임상 검사 센터).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표 6에서, 평가 기준은 표 4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다.
실시예 19
성분 ④에 성분 ③ 및 ⑤를 첨가하여 감압하에서 1 시간 혼련하여 균질하게 분산시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5이며, 점도는 약 25만 센티포이즈였다.
비교예 19
Figure pct00041
성분 ④으로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A 대신에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B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20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상기 성분을 감압하에서 1 시간 혼련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19 및 비교예 19와 20에서 얻은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로부터 혈액 검사 용기를 제작하여, 이하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1)상 분리 시험 (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반전성 시험 및 격벽 안정성 시험 (n=10)
실시예 4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3)생화학 검사치의 측정 (n=2)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00044
표 7에서, 상 분리, 반전성, 기름 방울 및 격벽 안정성의 기준은 표 3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고, 생화학 검사치의 기준은 표 1에 대한 기준과 동일하다.
실시예 19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혈청중의 성분의 생화학 측정값은 어느 항목에서도 대조 시험의 측정값과 동등하고, 해당 조성물이 생화학 검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비교예 19와 20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혈청중의 성분의 측정값은 어느 항목에서도 대조 시험의 측정값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올바른 측정값을 부여하지 않았다.
본 발명 조성물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ㆍ제1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에서는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특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제를 사용하므로, DMSO 또는DMA와 같은 유기 용매는 필요없고, 따라서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악취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덧붙여서, 상기 분산제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기 때문에, 혈액, 혈청 및 혈장에 일부가 용해되어 용혈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는 이점도 있다.
ㆍ제2 조성물의 효과
제2 조성물에서는 분산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제3급 아민이 공동으로 작용함으로써, 유기 겔화제를 단시간에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요변성의 경시 항진에 의한 반전성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는 동시에, 흐름도 방지된다.
ㆍ제3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의 효과
제3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에 있어서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로서 특정 연화점 및 특정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이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이것에 점도 저하제가 첨가됨으로써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게 된다. 이 점도 저하제를 함유하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상기 특정 유기 겔화제, 상기 특정 분산제 및 필요에 따라서 비중 조정제가 첨가됨으로써 얻은 제3 조성물 내지 제6 조성물은 요변성 및 비중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로서 적합한 범위내이며, 또한 실질적으로 상 분리를 일으키지 않는다.
ㆍ제5 조성물의 효과
제5 조성물에서는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올리고머와 점도 저하제의 상용성을 높이고, 상 분리를 거의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ㆍ제6 조성물의 효과
제6 조성물에서는 특정 연화점 및 특정 용융 점도를 갖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와 점도 저하제를 사용하며, 또한 유기 겔화제와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로서 DMA 및/또는 DMF를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조성물보다도 소량의 DMA 및/또는 DMF로 동등한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분산제 농도의 저하에 따라 용혈을 야기하는 일이 없다.
ㆍ제7 조성물의 효과
제7 조성물에서는 요변성의 발현은 유기 겔화제 단일의 수소 결합에 따른 망상 구조에 의해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의 조성물과 같이 망상 구조가 경시적으로 변화되지 않고, 상 분리가 더욱 일어나기 어렵다.
제7 조성물에서는 요변성의 부여에 주로 유기 겔화제가 관여하고 있으므로, 비중 조정제로서 약간의 실리카를 사용했을 경우, 실리카의 재응집이 일어나도, 상 분리가 조장되는 일이 없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이고, 유기 겔화제를 균질하게 분산하며, 양호한 요변성을 발현시킨다. 덧붙여서, 이의 HLB값은 1.0∼9.0으로서 일반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비하여 소수성이 극히 높으므로, 이것은 혈액과 거의 상용하지 않고, 따라서 혈액의 생화학 검사치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종래 기술의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에 비하여, 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낮다. 따라서 제7 조성물의 온도 의존성도 종래 기술에 비하여 충분히 작고, 종래 문제이었던 저온 원심 분리시의 혈청 또는 혈장의 분리 불량도 일어나기 어렵다.
본 발명은 혈액 성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는데 사용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방사선 멸균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지 않고, 용혈 등에 기인하는 혈청 또는 혈장의 생화학 검사값에 대한 영향이 없으며, 성분의 상 분리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양호한 혈청 또는 혈장 분리성, 보존 안정성 등을 갖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 덧붙여, 옆으로 눕힌 보존중 흐름이 적고, 또한 경시적인 반전성의 악화가 생기기 어려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14)

  1.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겔화제 0.02∼3중량부 및, 유기 겔화용, 분산제 0.1∼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HLB값은 HLB값=0.098×(블륵 공중합체의 담점)+4.02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2.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2 개의 메틸기와 C10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제3급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3급 아민 화합물 0.03∼0.5 중량부, 유기 겔화제 0.02∼3 중량부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0.1∼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HLB값은 HLB값=0.098×(블록 공중합체의 담점)+4.02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3.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는 프탈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겔화제 0.02∼3 중량부,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0.1∼15 중량부 및 점도 저하제 30∼1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HLB값은 HLB값=0.098×(블록 공중합체의 담점)+4.02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4.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및 비중 조정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는 프탈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비중 조정제는 염화파라핀을 포함하고,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도 저하제 30∼130 중량부, 유기 겔화제 0.02∼3 중량부,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0.1∼15 중량부 및 비중 조정제 1∼1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HLB값은 HLB값=0.098×(블륵 공중합체의 담점)+4.02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5.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상용화제,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상용화제는 저분자량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점도 저하제는 프탈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메틸-2-피롤리돈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시클로펜타디엔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1∼15 중량부, 유기 겔화제 0.02∼3 중량부,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0.1∼15 중량부 및 점도 저하제 30∼1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HLB값은 HLB값=0.098×(블록 공중합체의 담점)+4.02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6.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산제는,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1-메틸-2-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점도 저하제, 유기 겔화제 및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를 포함하며,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는 연화점이 70℃∼140℃이고,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30∼500 센티포이즈이며, 점도 저하제는 프탈산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시클로펜타디엔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겔화제용 분산제 0.01∼0.4 중량부, 유기 겔화제 0.02∼3 중량부 및 점도 저하제 30∼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중 조정제 50 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시클로펜타디엔의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도 저하제 50 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베이스 수지 및 유기 겔화제를 포함하며, 베이스 수지는 HLB값이 1.0∼9.0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유기 겔화제는 솔비톨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을 포함하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당 유기 겔화제 5∼100 중량부이며, 상기 HLB값은HLB값=0.098×(블록 공중합체의 담점)+4.02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중 조정제 40 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도 저하제 40 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4항, 제5항, 제7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비중은 25℃에서 1.03∼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3항, 제4항, 제5항, 제7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도가 25℃에서 50,000∼1,000,000 센티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70702791A 1995-08-28 1996-08-26 혈청또는혈장분리용조성물 KR100447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8661 1995-08-28
JP21866195 1995-08-28
JP32434295 1995-12-13
JP95-324342 1995-12-13
JP96-108083 1996-04-26
JP10808396 1996-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441A KR970707441A (ko) 1997-12-01
KR100447685B1 true KR100447685B1 (ko) 2004-12-03

Family

ID=2731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91A KR100447685B1 (ko) 1995-08-28 1996-08-26 혈청또는혈장분리용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76357A (ko)
EP (1) EP0789241B1 (ko)
KR (1) KR100447685B1 (ko)
CN (1) CN1102241C (ko)
AT (1) ATE238548T1 (ko)
AU (1) AU707697B2 (ko)
CA (1) CA2203759A1 (ko)
DE (1) DE69627627T2 (ko)
WO (1) WO1997008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022A (ko) * 2017-02-28 2018-09-06 (주)소야그린텍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6036C (zh) * 2001-12-04 2009-01-2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分离血清或血浆的组合物和含有该组合物的血液检测容器
US7674388B2 (en) * 2005-08-10 2010-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hotopolymer serum separator
US7971730B2 (en) * 2005-08-10 2011-07-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llection tubes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9248447B2 (en) * 2005-08-10 2016-02-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lymers for use in centrifugal separation of liquids
US7673758B2 (en) 2005-08-10 2010-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llection tubes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JP5297191B2 (ja) * 2006-05-25 2013-09-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CN102770762B (zh) * 2010-02-26 2015-02-18 积水医疗株式会社 血液分离剂及血液采集容器
CN102690387B (zh) * 2012-05-29 2014-07-30 南雄阳普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血清分离胶的树脂、血清分离胶及它们的制备方法
US9669405B2 (en) 2012-10-22 2017-06-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erilizable photopolymer serum separator
JP6317267B2 (ja) 2015-01-30 2018-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遠心分離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79654B1 (en) 2015-03-31 2020-12-23 Sekisui Medical Co., Ltd. Composition for serum or plasma separation, and container for blood collection
JP6161184B2 (ja) 2015-06-10 2017-07-12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血液検査用容器、並びに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の安定化方法
CN105223366B (zh) * 2015-09-18 2017-01-18 深圳市达科为生物工程有限公司 用于血型检测的微管、一体式ABO/RhD血型定型检测卡及制备
CN105420088B (zh) * 2015-11-11 2017-12-29 深圳市达科为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细胞分离管
CN105586251B (zh) * 2016-03-18 2018-02-27 深圳市达科为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淋巴细胞分离管及其制备方法、淋巴细胞分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964A (en) * 1971-12-13 1975-09-02 U S Medical Research And Dev I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hemically separating plasma or serum from formed elements of blood
US4049692A (en) * 1974-12-16 1977-09-20 Corning Glass Works Stabilized blood separating composition
JPS587187B2 (ja) * 1976-09-29 1983-02-08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
US4101422A (en) * 1977-05-11 1978-07-18 Emery Industries, Inc. Copolyesters useful in blood separation assemblies
US4081432A (en) * 1977-07-25 1978-03-28 Monsanto Company Method of separating a Factor IX preparation from plasma using ethylene-maleic anhydride polymers
JPS56166956A (en) * 1980-05-26 1981-12-22 Terumo Corp Liquid separating agent
JPS579718A (en) * 1980-06-19 1982-01-19 Sekisui Chem Co Ltd Separating agent for blood serum or plasma
DE3029579C2 (de) * 1980-08-05 1985-12-12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Verfahren und Mittel zur Abtrennung von Plasma oder Serum aus Vollblut
JPS5817366A (ja) * 1981-07-22 1983-02-01 Toyobo Co Ltd 血液試料分離剤
JPH0743369B2 (ja) * 1987-12-28 1995-05-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
JPH0726953B2 (ja) * 1988-09-30 1995-03-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血液成分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JPH02168159A (ja) * 1988-12-22 1990-06-28 Mitsubishi Kasei Corp 血液分離剤
US5266219A (en) * 1989-12-28 1993-11-30 Pal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JPH04203965A (ja) * 1990-11-29 1992-07-24 Sekisui Chem Co Ltd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
CA2074671A1 (en) * 1991-11-04 1993-05-05 Thomas Borman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a biological fluid
JPH05188053A (ja) * 1992-01-10 1993-07-27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血液から血清又は血漿成分を分離する器具
US5298016A (en) * 1992-03-02 1994-03-29 Advanced Haemotechnologies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ma and other wastes from blood
JP3090778B2 (ja) * 1992-04-20 2000-09-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AU649828B2 (en) * 1992-04-20 1994-06-02 Sekisui Chemical Co., Ltd. Serum and plasma separating compositions and blood testing contain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022A (ko) * 2017-02-28 2018-09-06 (주)소야그린텍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WO2018160004A1 (ko) * 2017-02-28 2018-09-07 (주)소야그린텍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KR101980555B1 (ko) 2017-02-28 2019-05-22 (주)소야그린텍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6357A (en) 1998-07-07
ATE238548T1 (de) 2003-05-15
DE69627627D1 (de) 2003-05-28
CA2203759A1 (en) 1997-03-06
EP0789241B1 (en) 2003-04-23
CN1102241C (zh) 2003-02-26
KR970707441A (ko) 1997-12-01
EP0789241A4 (en) 1999-08-04
AU6755596A (en) 1997-03-19
CN1165558A (zh) 1997-11-19
EP0789241A1 (en) 1997-08-13
WO1997008548A1 (fr) 1997-03-06
DE69627627T2 (de) 2004-02-05
AU707697B2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685B1 (ko) 혈청또는혈장분리용조성물
JP5297191B2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KR100736318B1 (ko)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수용한 혈액검사용 용기
US4021340A (en) Blood separating composition
JP5373075B2 (ja) 血液分離剤及び血液採取容器
JP3063799B2 (ja) 血液分離剤
US5304605A (en) Blood separation composition
EP0566794B1 (en) Serum and plasma separating compositions and blood testing containers
JP3593215B2 (ja)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
CA1169744A (en) Compositions able to separate the erythrocytes from the serum or plasma in blood analysis samples and the method which uses them
US5354838A (en) Blood separation composition
JPWO2007029525A1 (ja) 血液分離剤用重合体及び血液分離剤組成物
JP3090778B2 (ja)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JP4504594B2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
JP4504593B2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
JP2003294731A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これを収容した血液検査用容器
JP2002156374A (ja)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
JPH04203965A (ja) 血清又は血漿分離用組成物
KR101980555B1 (ko)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JPS61154541A (ja) 真空採血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