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192B1 - 탈수겸용세탁기 - Google Patents

탈수겸용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192B1
KR100434192B1 KR10-1998-0063925A KR19980063925A KR100434192B1 KR 100434192 B1 KR100434192 B1 KR 100434192B1 KR 19980063925 A KR19980063925 A KR 19980063925A KR 100434192 B1 KR100434192 B1 KR 10043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shing
dewatering
dehydrating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570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1999007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8/00Textiles: fluid treating apparatus
    • Y10S68/902Devices for storage and reuse of soap s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조(4)는 조축(17)을 통하여 탈수모터(25)에 직결되고, 교반체(5)는 교반축(20)을 통하여 세탁모터(24)에 직결되어 있으며, 이들 모터(24, 25)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이루어져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가변속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세탁모터(24)는 아우터 로터형으로서 탈수 모터(25)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고, 탈수모터(25)는 이너로터형으로 구성되어 세탁모터(24)는 외측, 탈수모터(25)는 내측의 관계로 되어 있어 클러치 기구나 감속 기구를 없애면서 회전조 및 교반체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수 겸용 세탁기{A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본 발명은 회전조 및 교반체에 대한 구동 기구를 개량한 탈수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탈수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외부조내에 세탁조 겸 탈수조로서의 회전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 이 회전조내 바닥부에 교반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체 및 회전조는 한 개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동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세탁 운전을 실행할 때는 회전조를 제동 정지시킨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을 교반체에 전달하여 이것을 비교적 저속으로 정역회전 구동한다. 또한, 탈수 운전을 실행할 때는 회전조의 제동을 해제하여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지 않고 회전조 및 교반체에 전달하여 양자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회전 전달 경로의 전환을 위해 모터에서 회전조 및 교반체까지의 회전력 전달 경로중에 클러치구조나 감속기구가 필요하였다. 이때문에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져 제조성 및 조립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러치 기구의 제작 정밀도나 경시적 열화에 의해 제어회로 전달 경로 전환 동작이 잘 진행되지 않아 전환 신뢰성이 불안정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세탁운전에서 탈수운전으로의 이행시에 클러치 기구의 전환 동작음이 발생하거나 감속기구에서 동작음이 발생하는 잡음의 문제도 있고, 또 클러치기구의 전환 동작에 시간이 걸려 세탁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클러치기구나 감속기구를 없애면서 회전조 및 교반체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속도도 제어할 수 있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러치 전환 불량 동작이라는 문제점도 완전히 없애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잡음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또 세탁시간의 단축도 도모할 수 있는 탈수 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부분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탈수 겸용 세탁기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모터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스테이터코아 및 로터코아의 재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전기적 구성의 블록도,
도 6은 홀IC 출력의 상태 및 스위칭소자의 온 오프 타이밍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표준 코스의 공정 타임차트,
도 8은 제 1 급수공정의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세탁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 1 배수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탈수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속도 제어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브레이크 제어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 2 급수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토크·회전속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며, 세탁공정의 제어내용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며, 헹굼 공정전의 브레이크 제어의 플로우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며, 탈수 공정의 제어내용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며, 브레이크 제어의 플로우차트,
도 20은 회전속도와 통전 위상 및 데이터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며, 브레이크 제어의 플로우차트,
도 22는 회전속도 저하 정도와 통전 위상 및 모터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며, 브레이크 제어의 플로우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적 구성의 블록도,
도 25는 급수 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세탁 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7은 배수 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탈수 공정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탈수공정의 제어내용의 플로우차트,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탈수공정의 제어내용의 플로우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내는 탈수공정의 제어내용의 플로우차트,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부분의 종단 측면도,
도 33은 모터 부분의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부분의 종단 측면도,
도 35는 모터 부분의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부분의 종단 측면도,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회전조 5 : 교반체
8 : 배수밸브 11 : 급수밸브
17 : 조축 20 : 교반축
24, 131, 141, 162: 세탁 모터 25, 121, 142, 161 : 탈수모터
26, 27, 122, 132 : 스테이터 28 : 스테이터 유닛
29 : 스테이터 코아 34 : 공극부(空隙部)
34a : 원호형상 공극부 34b : 원형상 공극부
36, 40, 123, 143 : 로터 43, 175 : 센서 케이스
44u, 44v, 44w, 45u, 45v, 45w : 홀IC(위치 검출 수단)
49 : 직류 전원 회로(직류 전원 형성수단)
52 : 전원 전압 검출 회로(전원 전압 검출수단)
53 : 방전회로(방전수단) 54 :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 회로
55 :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 회로 63 : 제어회로
101 : 인버터 주 회로
105∼107 : 릴레이스위치(전환수단)
108, 109 : 릴레이 스위치(권선 단락 수단)
125 : 돌극(突極)
134 : 로터 코아
147 : 스테이터 기판
청구항 1의 발명은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내에 설치된 교반체와,
상기 교반체를 직접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가변속 제어되는 세탁모터, 및
상기 회전조를 직접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가변속 제어되는 탈수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수 겸용 세탁기에서 세탁 운전(세제 세탁 운전이나 헹굼 세탁 운전을 포함함)은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조내의 세탁물이나 물을 유동시키는 것을 실시한다. 탈수 운전에서는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에 함유된 물을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방출한다. 즉, 탈수 겸용 세탁기에서 회전 구동 대책으로서 주요한 것은 교반체와 회전조가 있고, 교반체에는 세탁에 적정한 회전 속도와 회전조에는 탈수에 적정한 회전속도가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교반체는 세탁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하고, 회전조는 탈수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하기 때문에 각각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 대상까지가 독립적인 회전 전달 경로가 되고, 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가변속 제어되기 때문에 각각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종래의 클러치 기구 및 감속 기구(변속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고, 회전조 및 교반체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속도도 제어할 수 있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러치 전환 불량 동작이라는 문제점도 완전히 없애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소음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또 세탁시간의 단축도 도모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세탁모터는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으로 하고, 탈수모터는 이 세탁 모터 보다는 고속·저토크 특성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세탁 공정시에는 교반체에 의해 의류 등의 세탁물을 다량의 물과 함께 교반시키기 때문에 세탁모터에는 대부하가 걸린다. 또한, 탈수 공정시에는 회전조를 고속 회전시키지만 세탁 공정시와 같은 대량의 물은 미리 배수되어 있기 때문에 탈수 모터에 걸리는 부하는 세탁 모터에 비교하면 소부하라고 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면 상기 구성과 같이 세탁모터는 저속·고토크 모터특성으로 하고, 탈수 모터는 이 세탁모터 보다는 고속·저토크 특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적정한 세정작용이 얻어짐과 동시에 적정한 탈수 작용이 얻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세탁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switched reluctance) 모터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각 모터에 대해서 회전 속도 제어나 토크 조정 제어를 실시하기 쉬워 필요한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이나 고속·저토크 특성이 얻어지게 되고, 또 전기 브레이크의 제어도 실시하기 쉽다. 이 전기 브레이크 제어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 브레이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의 간단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세탁모터를 유도모터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브러쉬리스 모터나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는 회전 속도 제어나 토크 조정 제어를 실시하는데 가장 적합하고, 전기 브레이크의 제어도 실시하기 쉬운 것이다. 여기서, 탈수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필요성의 하나를 예를 들면 세탁 공정시에 있어서, 회전조의 공회전(세탁물 및 물의 유동에 영향받아 회전조가 회전하는 것, 이것에 의해 세정 효과가 저감함)을 방지하는데 있다. 즉, 회전조의 공회전 방지의 관점에서 보면 회전조, 나아가서는 탈수 모터를 브레이크할 필요가 있지만 탈수 공정시에는 교반체는 회전조와 공회전해도 지장이 없고 세탁 모터는 브레이크를 걸지않아도 좋다. 이 점을 고려하면 세탁모터는 유도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지장이 없다.
상기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모두 래디얼(radial)형 모터로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5의 발명). 이와같이 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로서 고토크의 모터가 얻어지게 되고, 대용량에서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모두 액셜(axial)형 모터로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6의 발명). 이 경우, 상하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또 경량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큰 세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교적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나 소프트한 세정력을 얻는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어느 한쪽을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다른쪽을 액셜형 모터로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7의 발명). 이 경우 필요한 세정력을 얻으면서 전체의 크기를 약간 작게 하는 등의 배려가 가능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세탁모터가 탈수모터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탁모터가 외측, 탈수모터가 내측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세탁모터를 아우터 로터형(outer rotor)으로 구성하고,탈수모터를 이너 로터(inner rotor)형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세탁모터는 아우터 로터형으로서 탈수 모터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고, 탈수모터는 이너 로터형으로 구성되어 세탁모터가 외측, 탈수모터가 내측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들 청구항 8 내지 10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가 대직경이기 때문에 세탁 운전에 필요한 고토크 특성이 얻어지고, 탈수모터가 이것보다 소직경이기 때문에 탈수 운전에 필요한 고속 회전 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한 개의 스테이터 코아(stator core)가 구비되고, 이 스테이터 코아에 세탁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및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2개의 모터를 구비하면서도 스테이터 코아는 하나로 완료되기 때문에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테이터 코아에는 세탁모터용 스테이터권선 부분과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부분 사이에 자기(磁氣)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극부를 형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스테이터 코아가 1개이면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각 로터 사이에 각각 독립적인 자기 회로가 구성되게 되어 모터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극부가 복수의 원호 형상 공극부와 원형상 공극부를 고리형상으로 존재시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상 공극부는 스테이터 코아를 정지(靜止)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이용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스테이터 코아는 정지 부위에 고정되는 것이지만 독립적인 자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공극부의 일부인 원형상 공극부를 이 스테이터 코아의 고정에 이용하기 때문에 양호한 자기 회로 형성에 기여하면서 스테이터 코아의 부착 고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상 공극부는 스테이터 코아에 있어서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청구항 14의 발명), 이와같이 하면 스테이터 코아 고정부에서의 자기회로로의 영향(자기 누설 등)이 적어진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각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각 위치 검출 수단은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 유지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하고, 이것을 회전제어하는 경우에는 각 모터의 로터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각 위치 검출 수단을 별개의 센서 케이스에 유지시키면 조립성이 나빠짐과 동시에 부품 관리도 번잡해져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모터용 및 탈수모터용 위치 검출 수단을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 유지하여 유닛화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부품 관리도 간단해진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 기판을 구비하고, 이 스테이터 기판의 한 측면에 세탁모터의 스테이터 권선과 탈수모터의 스테이터 권선을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액셜형 모터로 구성한 경우, 스테이터로서 스테이터 기판에 스테이터 권선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안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 기판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 그 스테이터 기판의 한 측면에 세탁모터의 스테이터 권선과 탈수모터의 스테이터 권선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양 면에 별도로 스테이터 권선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세탁모터가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되고, 탈수모터가 액셜형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모터에는 큰 부하가 걸리고, 탈수모터에는 세탁모터에 비교하면 소부하이지만 고속회전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가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되고, 탈수모터가 액셜형 모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운전시에 큰 부하에 대응할 수 있고, 탈수운전시에는 고속 회전 제어에 가장 적합하게 된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액셜 타입의 모터의 로터가 래디얼타입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액셜타입의 모터 및 래디얼 타입의 모터에 각각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부착 높이가 다르면 부착이 번잡하고,또 양 위치 검출 수단을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서 유지하는 경우에도 센서 케이스의 형상이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액셜 타입의 모터의 로터가 래디얼 타입의 모터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양 위치 검출수단을 상부에서 대략 동일 높이 부분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부착이 간단하며, 또 양 위치검출수단을 한 개의 센서케이스에서 유지하는 경우라도 센서 케이스의 형상이 간단해진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스테이터 코아와 로터 코아(rotor core)는 한쪽이 다른쪽 보다 큰 관계에 있고, 작은 쪽이 큰 쪽의 내측이 되도록 동일한 코아재를 재료로 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모두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한 경우 스테이터 코아와 로터 코아의 직경 크기가 대소관계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스테이터 코아와 로터 코아는 한쪽이 다른쪽 보다 큰 관계에 있고, 작은 쪽이 큰 쪽의 내측이 되도록 동일한 코아재를 재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큰 쪽의 코아를 형성한 경우에 폐재(廢材)가 되는 내측의 코아재가 작은 쪽의 코아로서 이용되게 되어 재료 비용의 저렴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직류 전원 형성수단과,
세탁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 및
탈수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직류 전원 형성수단이 양 인버터 주회로의 공통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경우, 직류 전원 형성수단과 이 직류 전원 성형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전원이 전해져 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인버터 주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고안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와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각각 동시에 또는 다른 시기에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류 전원 형성수단이 양 인버터 주회로의 공통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직류 전원 회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며,
직류 전원 형성수단과,
상기 직류 전원회로 형성수단으로부터 전원이 부여되어 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인버터 주회로와,
상기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전하는 전환수단, 및
탈수모터의 권선을 단락하는 권선 단락수단을 구비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전환수단에 의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부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주회로를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기적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여기서, 탈수 겸용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 공정시에 있어서 회전조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모터에 전기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고안되지만, 이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와 탈수모터가 택일적으로 인버터 주회로와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세탁모터가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회전제어되어 있으면 탈수모터에는 예를 들면 직류 여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나 회생 브레이크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탈수모터의 권선을 단락하는 권선 단락 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모터를 회전제어하면서 탈수모터에 전기 브레이크의 한 종류인 단락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세탁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에 전기 브레이크를 거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 공정시에는 세탁모터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조의 공회전이 염려되지만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 공정시에 탈수모터에 대해서 전기 브레이크를 거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탈수모터를 권선 단락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해도 좋다(청구항 23의 발명).
또는 탈수모터와 세탁모터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 가능한 경우(청구항 1 내지 20)에는 탈수모터를 직류 여자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해도 좋다(청구항 24의 발명).
또한, 탈수모터와 세탁모터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가능한 경우(청구항 1 내지 20)에는 세탁 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를 세탁모터와 반대 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해도 좋다(청구항 25의 발명).
이 방식은 다음에 있다. 회전조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탈수모터에 대해 브레이크 제어를 하지 않아도 회전조가 교반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했을 때 탈수모터를 반대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하면 회전조에 역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탈수모터로서는 저토크·고속 특성을 나타내는 것 및 회전조내에 세탁물량 및 수량 등의 부하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회전조가 그 부하에 저항하여 반대 회전하는 일이 거의 없이, 즉 거의 정지상태가 되어 공회전 방지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회전조가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세정효과의 저하 방지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는 없고 오히려 세정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배수밸브 및 급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밸브를 폐쇄상태로 하여 급수밸브에 의해 회전조내로의 급수를 실시하면서 탈수모터를 저속 회전시키고, 그 후에도 급수를 실시하면서 세탁모터를 정반전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급수시에 회전조내의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고, 또 세제를 물에 충분히 녹일 수 있게 된다. 즉, 탈수모터를 저속회전시키면 이에 따라서 회전조내의 세탁물이 그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것으로 급수되는 물이 세탁물에 빠짐없이 채워지고, 또 세탁모터를 정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물 및 세탁물이 정역방향으로도 유동하여 물에 세제가 잘 녹게 된다. 그리고, 급수된 물은 그대로 조내에 저장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세탁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클러치기구의 회전조로의 회전 전달 전환과 배수밸브의 개방이 한 개의 구동원으로유동하여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회전조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배수밸브가 반드시 개방되어 조내에 저장할 수 없었다. 즉, 회전조내에 물을 저장하면서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지만 본 구성에서는 클러치 기구 전환이 없고, 배수밸브의 폐쇄동작과 회전조로의 회전 전달 경로 전환(회전조 구동)을 무관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7의 발명은 배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시에 세탁모터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이 배수밸브에 의한 배수를 실시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배수를 실시하면서 세탁모터가 정역회전을 실시하기 때문에 세탁물이 조내에서 기울지 않게 배수가 실시되어 이후에 실시되는 탈수공정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8의 발명은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만을 구동하고, 세탁모터는 회전 프리상태로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제어로 탈수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탈수에는 회전조의 회전이 필요하고, 이 회전조만을 탈수모터로 구동하게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제어로 탈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수 공정 개시전에 회전조내의 세탁물은 회전조 및 교반체 양쪽에 걸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세탁모터는 회전 프리상태이기 때문에 세탁모터도 따라서 회전하여 탈수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소부하에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29의 발명은 탈수공정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구동하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물량이 많은 경우(대부하인 경우)나 탈수 회전속도를 빨리 올리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30의 발명은 탈수공정시, 세탁모터와 탈수모터는 회전이 어긋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서는 회전조와 교반체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되어 이것으로 세탁물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어 언밸런스 발생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또 세탁물에 대한 짜는 작용도 기대할 수 있어 탈수 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1의 발명은 탈수공정에 있어서, 최초 탈수 모터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를 구동하고, 그 후 탈수모터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탈수 공정 개시전에 회전조내의 세탁물은 회전조 및 교반체의 양쪽에 걸려 있는 경우가 많다. 최초 탈수모터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교반체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에 뒤를 따라 회전조도 회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세탁모터는 일반적으로 저속 고토크 특성이기 때문에 회전조를 큰 기동 토크로 기동할 수 있게 되고, 탈수 회전속도가 세탁기의 공진점을 빨리 통과하게 되어 언밸런스 발생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탈수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회전조를 고속 회전시킬 수 있어 미리 예측되는 탈수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청구항 20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한 개의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부여하는 구성(청구항 21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32의 발명은 청구항 29의 발명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통전 위상을 이제까지 보다 속행하도록(앞서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 양쪽을 구동하여 탈수운전을 실시하는 경우, 회전조 및 교반체의 회전이 서서히 상승해가지만, 세탁모터는 모터 출력을 올려도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탈수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통전 위상을 이제까지 보다 속행하는 것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도 목표 회전속도로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3의 발명은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의 구동 후, 탈수 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 프리로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탈수 공정의 초기에는 탈수 모터 및 세탁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호하게 탈수 기동할 수 있고, 그 후에는 탈수모터만의 구동에 의해 소전력화를 도모하면서 고속 탈수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34의 발명은 청구항 31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로의 구동 전환은 세탁모터의 회전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실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것에 의하면 최초로 세탁모터를 구동하고, 계속해서 탈수모터를 구동하는 경우에 그 전환을 세탁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가 된 것을 조건을 실시하면서 탈수 기동후에 양호하게 고속 회전으로 이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탈수모터로의 구동 전환은 세탁모터의 회전속도의 상승률이 소정 상승률이 되었을 때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청구항 35의 발명).
청구항 36의 발명은 탈수 공정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가속도를 모터 출력의 증감에 따라 실시하고, 가감속 요구에 대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을 세탁모터와 탈수모터가 다르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는 출력 토크·회전속도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거의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상황에 있어서, 가감속 요구가 발생한 경우, 동일 모터 출력으로 증감 또는 감소시키면 실제 회전속도의 증감 정도가 다르고,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다르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가감속 요구에 대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을 세탁모터와 탈수모터에서 다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모터를 거의 동일하게 가감속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은 탈수모터쪽이 세탁모터 보다도 작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7의 발명).
청구항 38의 발명은 청구항 29의 발명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에 세탁모터의 회전 속도를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와 소정 속도이상 다를 때, 회전속도가 작은 쪽의 모터를 다른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탈수 공정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구동하는 경우, 그것들에 속도차가 있으면 속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속도차가 클 때는 세탁물에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의 회전속도와 탈수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 속도이상 다를 때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가까워지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속도가 작은 쪽의 모터를 다른 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깝게 하기 때문에 탈수 효과를 저감시키는 경우가 없다.
이 경우,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모터의 출력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청구항 39의 발명). 이와같이 하면 양 모터를 거의 동일한 회전 속도로 지속할 수 있다.
청구항 40의 발명에서는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탈수공정에 있어서는 회전조가 고속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세탁물은 이 회전조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많다(교반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적다). 이 경우, 브레이크를 걸 필요가 있는 것은 회전조이기 때문에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경우에 비해 브레이크 제어가 간단하게 완료됨과 동시에 전력 소비량도 적어진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청구항 20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한 개의 인버터 주회로의 출려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전하는 구성(청구항 21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모터가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브레이크 제어 모드가 지연 위상 통전 모드, 역회전 통전 모드 또는 권선 단락 브레이크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것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1의 발명).
청구항 42의 발명은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양 모터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기 때문에 확실하고 또 신속하게 회전조 및 교반체에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 긴급시의 브레이크로서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43의 발명은 탈수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최초에 세탁모터를 브레이크 제어모드로 하고, 그 후 탈수 모터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개시 초기에 큰 브레이크 힘을 기대할 수 있게 되어 브레이크를 빨리 걸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청구항 20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한 개의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부여하는 구성(청구항 21의 발명의 구성)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역회전 통전 모드로 해도 좋다(청구항 44의 발명).
또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했을 때는 이 브러쉬리스 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지연 위상 통전 모드 또는 권선 단락 모드 또는 그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5의 발명).
청구항 46의 발명은 청구항 40 또는 42 발명에 있어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이 브러쉬리스 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지연 위상 통전 모드가 되고,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청구항 40)에 있어서도, 또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청구항 42)에 있어서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서 지연 위상 통전 모드가 채용 가능하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하고 브레이크 제어 모드를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 하여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힘의 컨트롤 제어를 실시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47의 발명은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이 브러쉬리스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지연 위상 통전모드가 되며,
상기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 직류 전원 형성수단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전원 전압 검출 결과가 소정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방전 저항에 전력을 소비시키는 방전수단을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는 세탁모터 또는 탈수모터로부터 회생전력이 직류 전원 형성수단에 부여되는 것에 의해, 이른바 회생 브레이크가 발생한다. 이 경우, 회생전력이 과도하게 크면 직류 전원 형성수단측 전기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직류 전원 형성수단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을 설치하여 회생전력이 과도하게 큰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전원 전압 검출 결과가 소정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방전 저항에 전력을 소비시키는 방전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직류 전원 형성수단에 가하는 회생전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직류 전원 형성수단측의 전기부품이 파손될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되며, 전기부품으로서 내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48의 발명은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 회전조의 회전속도의 저하 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모터 출력 또는 통전 위상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조의 회전 상황에 따라서 브레이크 힘을 조정할 수 있어 브레이크 소요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9의 발명은 브레이크 제어시에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와 세탁모터 회전속도의 차가 소정값 보다 클 때, 회전속도가 높은 쪽의 모터를 회전속도가 작은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브레이크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브레이크 제어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 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이것들에 속도차가 있으면 속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속도차가 클 때는 세탁물이 천의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세탁모터의 회전속도와 탈수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 속도이상 다를 때, 양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까워지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속도가 큰 쪽의 모터를 다른 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깝게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없다.
이 경우,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브레이크 힘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청구항 50의 발명). 이와같이 하면 양 모터를 대략 동일 회전속도 감소상태로 지속할 수 있다.
청구항 51의 발명은 권선 단락 수단이 세탁기 전원이 오프일 때 권선 단락 동작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탈수공정에 있어서 회전조가 고속 회전할 때, 세탁기의 전원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빠진 경우나 정전 발생에 의해 세탁기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회전조가 타성으로 언제까지나 회전하면 사용자가 덮개를 열었을 때 지장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기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단락 권선 수단이 권선 단락 동작을 실시하기 때문에 회전조의 회전을 즉시 멈출 수 있어 회전조가 타성으로 언제까지나 회전하는 일이 없다.
청구항 52의 발명은 세탁 제어 모드로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헹굼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 제어 모드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 브레이크 제어시에 급수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헹굼 공정에 있어서는 회전조내에 물을 급수하여 저장하여 교반체를 구동하는 것을 실시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이 헹굼 공정 직전의 탈수공정에서의 탈수 브레이크 제어시에 급수를 개시하여 이 브레이크 제어와 급수를 병행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 및 급수동작을 시간적으로 직렬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헹굼 공정으로 실시하는 급수의 시간을 짧게 또는 0으로 할 수 있어 헹굼 공정의 소요시간, 나아가서는 세탁시간의 단축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세탁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클러치 기구의 회전조로의 회전 전달 전환과 배수밸브의 개방이 하나의 구동원으로서 연동하여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회전조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배수밸브가 반드시 개방되어 있어 물을 조내에 급수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클치 기구 전환이 없고, 배수밸브와 회전조를 무관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한 작용 효과가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는 탈수 겸용 세탁기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며, 외부상자(1)내에 외부조(2)를 복수셋트(1셋트만 도시)의 탄성 매달림 지지기구(3)를 통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 외부조(2)의 내부에는 세탁조 및 탈수조를 겸한 회전조(4)를 설치하고, 또 이 회전조(4)의 내부에는 교반체(5)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회전조(4)는 윗쪽으로 점차 확장되어 개방된 테이퍼 원통형상을 이루는 교반체(4a)와 이 교반체(4a)의 내측에 양수(揚水)용 빈 틈을 형성하도록 설치한 내부통(4b) 및 조 본체(4a) 상단부에 부착한 밸린스링(4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조(4)가 회전되면 내부의 물을 회전 원심력에 의해 올려 조 본체(4a) 상부의 도시하지 않은 탈수 구멍부에서 외부조(2)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외부조(2)의 바닥부에는 조축 관통구멍부(6)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수구(7)를 형성하고 있으며, 배수구(7)에는 배수밸브(8)를 구비한 배수로(9)를 접속하고 있다. 상기 배수밸브(8)는 전자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통전되면 개방되고 단전되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조(2)의 바닥부에는 보조 배수구(7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보조 배수구(7a)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호스를 통해 상기 배수밸브(8)를 경유하여 상기 배수로(9)에 접속되고, 상기 회전조(4)의 회전에 의해 그 상부에서 외부조(2)내로 방출된 물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상자(1)의 상부에는 상부 카바(1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부카바(1a)에는 덮개(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카바(1a)의 상부 내부에는 전자유닛(10)이 설치되고, 후부 내부에는 회전조(4)내로 급수하기 위한 전자밸브로 이루어진 급수밸브(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조(2)의 외부 바닥부에는 부착 프레임(12)을 부착하고 있다. 이 부착 프레임(12)은 상부 프레임부(12a)와 하부프레임부(12b)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부 프레임부(12a)의 중앙부에는 상부 방향의 통부(13)를 형성하고 있고, 또 하부 프레임부(12b)의 중앙부에는 하부 방향의 통부(1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양 통부(13, 14)에는 각각 예를 들면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베어링(15, 16)을 설치하고 있고, 이들 베어링(15, 16)에 속이 빈 조축(17)을 삽입 통과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통부(13)에는 베어링(15)의 윗쪽 부분에 시일(18)을 끼워 부착하고 있다.
상기 조축(17)의 상부에는 플랜지부(19a)를 가진 지지통(19)을 조축(17)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또한, 조축(17)의 내부에는 교반축(20)을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베어링(21)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삽입 통과 지지되어 있고, 그 상단부를 지지통(19)에서 돌출시키고, 하단부를 조축(17)의 하단부에서 돌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지지총(19)의 플랜지부(19a)에는 상기 회전조(4)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있고, 또 교반축(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교반체(5)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외부조(2)의 내부 바닥부에는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카바(22)를 장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회전조(4)의 바닥부에서 상기 배수구(7) 부분의 배수밸브(8)까지 통하는 배수 통로(2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밸브(8)를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조(4)내로 급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수 통로(23)내에서 회전조(4)내에 물이 저장되고, 배수밸브(8)를 개방하면 회전조(4)내의 물을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통로(23)를 통하여 배수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조(2)의 외부 바닥부의 부착 프레임(12) 부분에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각 스테이터(26, 27)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유닛(28)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양 모터(24, 25)는 모두 래디얼형 모터이고, 또 브러쉬리스 모터(브러쉬리스 DC 모터)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 양 모터(24, 2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스테이터 유닛(28)은 다수의 철심판(Ka)을 적층한 스테이터 코아(29)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테이터 코아(29)의 외부둘레측에는 다수의 티스(30)가 형성되고, 또 내부둘레측에는 복수의 티스(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둘레측 티스(30)에는 세탁모터(24)용 스테이터 권선(32)이 감겨 장착되고, 내부둘레측 티스(31)에는 탈수모터(25)용 스테이터 권선(33)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아(29)에 있어서, 세탁모터(24)용 스테이터 권선(32) 부분과 탈수 모터(25)용 스테이터 권선(33) 부분 사이에는 공극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극부(34)는 복수열, 예를 들면 각각 4개의 원호형상 공극부(34a)와 원형상 공극부(34b)를 고리형상으로 존재시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원형상 공극부(34b)는 스테이터 코아(29)에 있어서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인 상기 티스(31) 기단 부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다(자속의 흐름의 한 예를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냄).
또한, 상기 원형상 공극부(34b)는 한개의 스테이터 코아(29)를 정지부위에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상 공극부(34b)에는 비도전재인 스텐레스로 이루어진 나사(35)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이 나사(35)를 상기 하부 프레임(12b)에 나사로 조이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 코아(29)를 이 하부 프레임(12b)에 부착하고 있다. 도한, 이 스테이터 코아(29)의 외부면(상기 원형상 공극부(34b) 내면도 포함함)에는 절연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테이터코아(29)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34) 보다 외부둘레측 부분에 의해 세탁모터(24)의 스테이터(26)가 구성되고, 또 상기 공극부(34) 보다 내부둘레측 부분에 의해 탈수모터(25)의 스테이터(27)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세탁모터(24)의 로터(36)는 아우터로터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교반축(20)의 하단부에 이것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로터(36)는 로터 하우징(37)과 로터 요크(38) 및 로터 마그네트(3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터하우징(37)은 로터 프레임(37a)과 보스축(37b)을 수지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 로터요크(38) 및 로터 마그네트(39)도 로터 프레임(37a)의 외부둘레부에 수지의 인서트성형에 의해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수모터(25)의 로터(40)는 이너 로터형을 이루고 있고, 다수의 철심판(Kb)을 적층한 로터코아(41)의 외부둘레부에 로터 마그네트(42)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축(17)의 외부둘레에 이것과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모터(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우터 로터형으로서 탈수모터(25)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고, 탈수모터(25)는 이너 로터형으로 구성되어 세탁 모터(24)가 외측, 탈수모터(25)가 내측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모터(24)는 탈수모터(25)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을 나타내고, 역으로 말하자면 탈수모터(25)는 이 세탁모터(24) 보다 고속·저토크 특성을 나타낸다(도 15 참조).
또한, 스테이터 코아(29)의 철심판(Ka)과 이것보다 작은 로터코아(41)의 철심판(Ka)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코아재(규소 강판)(K)로 로터 코아(41)의 철심판(Kb)이 스테이터 코아(29)의 철심판(Ka)의 내측이 되도록 재료로 한 것이다.
즉, 스테이터코아(29)와 로터코아(41)는 한쪽이 다른쪽 보다 큰 관계에 있고, 작은 쪽이 큰 쪽의 내측이 되도록 동일한 코아재를 재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큰 쪽의 코아를 형성한 경우에 폐재가 되는 내측의 코아재가 작은 쪽의 코아로서 이용되게 되어 제조비용의 저렴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터 코아가 로터 코아 보다 큰 경우를 나타냈지만 비용면에서도 상기한 재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코아(29)에는 플라스틱제의 하나의 센서케이스(43)가 부착되어 있고, 이 센서케이스(43)에는 세탁모터(24)의 로터(36)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인 홀IC(44u, 44v, 44w)(도 1에서는 44u만을 나타내고, 도 5에서는 44um 44v, 44w를 나타내고 있음)와 탈수모터(25)의 로터(4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인 홀IC(45u, 45v, 45w)(도 1에서는 45u만을 나타내고, 도 5에서는 45u, 45v, 45w를 나타내고 있음)가 유지되어 있어 각 홀IC(44u∼44w, 45u∼45w)는 한 개의 센서케이스(43)에 유지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상기 홀IC(44u∼44w)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모터(24)의 각 상의 유기전압에 대해 소정의 전기각이 어긋나는 관계의 위치 검출 신호(Hua, Hva, Hwa)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홀IC(45u∼45w)도 마찬가지로 탈수모터(25)의 각 상의 유기전압에 대해 소정의 전기각이 어긋나는 관계의 위치 검출 신호(Hub, Hvb, Hwb)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수 겸용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5에 있어서, 100V의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플러그(46)의 양 단자는 다이오드 브리지로 이루어진 전파정류회로(47)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전파정류 회로(47)의 출력단자 사이에는 평활 컨덴서(48)가 접속되어 있다. 이 평활 컨덴서(48)와 전파정류회로(47)로 직류 전원 형성수단인 직류 전원 회로(49)가 구성되어 있고, 이 직류 전원회로(49)로부터 140V의 직류 전원 전압이 출력된다.
이 직류 전원회로(49)의 출력단자로부터 직류 모선(49a, 49b)이 도출되어 있고, 이들 직류 모선(49a, 49b)사이에는 직류 15V의 구동 전압을 형성하는 정전압회로(50)가 접속되고, 또 이 정전압 회로(50)에는 직류 5V의 전자회로용 전원 전압을 형성하는 전자회로용 전원회로(5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모선(49a, 49b)은 전원전압 검출수단에 해당하는 분압 회로로 이루어진 전원 전압 검출회로(52)가 접속되고, 또 방전수단으로서 방전 저항(53a) 및 스위칭소자(53b)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진 방전회로(53)가 접속되거나, 또는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4)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5)가 접속되어 있다.
세탁 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4)는 3상 브리지 접속된, 예를 들면 IGBT로 이루어진 스위칭소자(56a∼56f)와 이들 스위칭소자(56a∼56f)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프리휠(free wheel) 다이오드(57a∼57f)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5)의 출력단자(58u, 58v, 58w)는 세탁모터(24)의 3상의 권선(32u, 32v, 32w)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4)의 각 스위칭소자(56a∼56f)의 제어 단자(게이트)는, 예를 들면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 구동회로(5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5)도 상기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즉 스위칭소자(60a∼60f)와 프리휠 다이오드(61a∼61f)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5)의 출력단자(61u, 61v, 61w)는 탈수모터(25)의 3상의 권선(33u, 33v, 33w)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스위칭소자(60a∼60f)의 제어단자(게이트)는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 구동회로(6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63)는 PWM회로나 세탁운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보유한 마이크로컴퓨터나 트라이액(TRIAC:Triode AC)스위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것은 세탁모터(24)에 대해서는 인버터 주회로(54)와 구동회로(59)로 가변속 제어를 포함한 세탁모터 구동제어수단을 구성하고, 탈수모터(25)에 대해서는 인버터 주회로(55)와 구동회로(62)로 가변속 제어를 포함한 탈수모터 구동 제어 수단을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어회로(63)는 홀IC(44u, 44v, 44w, 45u, 45v, 45w)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세탁모터(24)용 구동회로(59)는 제어회로(63)에 포함되는 세탁모터(24)용 PWM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각 스위칭소자(56a∼56f)를 온 오프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탈수모터(25)용 구동회로(62)는 제어회로(63)에 포함되는 탈수모터(25)용 PWM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헤 제어되어 각 스위칭소자(60a∼60f)를 온오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세탁모터(24)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회로(63)는 세탁모터(24)의 각 상의 유기전압에 대해 소정의 전기각이 어긋난 관계의 위치 검출 신호(Hua, Hva, Hwa)가 입력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유기전압의 발생 타이밍을 검출하고, 이 유기전압과 각 상권선 전류와의 위상이 있는 관계가 되는 타이밍으로 각 스위칭소자(56a∼56f)로 온 오프(전류;轉流)하고, 또 소요되는 모터 출력을 얻도록 PWM의 듀티비를 조정(모터로의 인가전압의 실효값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도 6에서는 각 스위칭소자(56a∼56f)중 적어도 상단의 스위칭소자의 온기간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한 듀티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각 스위칭소자(56a∼56f)의 온 오프 상황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에 있어서, 실선은 상기 위상이 합치하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보통 통전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점선은 유기전압에 대해 권선 전류가 30도 속행하도록(앞서도록)하기 위한 타이밍(30도 속행 통전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유기전압에 대해 권선 전류가 30도 지연되도록(뒤지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30도 지연 통전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48)의 양 단자에는 트라이액스위치(64)와 배수밸브(8)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또 트라이액 스위치(65)와 급수밸브(11)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트라이액 스위치(64, 65)는 상기 제어회로(63)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63)에는 일시 정지 겸용 스타트 스위치나 코스 선택 스위치 등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66)가 접속되어 있고, 또 코스 표시나 각종 제어 내용의 표시를 실시하는 표시장치(67)가 접속되어 있다. 또는 도 2에 나타낸 덮개(1b)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스위치(68)나 회전조(4)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69)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63)는 각종 세탁코스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표준 코스의 타임차트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이 표준 코스에서는 제 1 급수공정, 세탁공정, 제 1 배수 공정, 제 1 탈수공정, 제 2 급수 공정, 제 1 헹굼 공정, 제 2 배수 공정, 제 2 탈수공정, 제 3 급수공정, 제 2 헹굼공정, 제 3 배수공정, 최종 탈수공정을 차례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탁운전이 개시되기 전에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세탁물과 세제가 회전조(4)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급수공정(최초 급수공정)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제어가 실행된다. 단계(A10)에서는 배수밸브(8)를 단전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급수밸브(11)를 통전하여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조(4)내로 급수된다. 단계(A20)에서는 탈수모터(25)를 비교적 저속으로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단계(A30)에서는 수위센서(69)로부터 부여된 검출 수위(급수중의 수위)가 이 표준 코스로 미리 설정된 수위와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이 설정 수위의 절반정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절반이 된 곳에서 단계(A40)로 이행한다.
이 단계(A40)에서는 탈수모터(25)를 직류 여자한다. 즉, 탈수모터(25)용 인버터 주회로(55)의 스위칭소자(60a∼60f)의 온 오프상태를 어떤 패턴으로 유지(전류하지 않음)하여 각 권선(33u, 33v, 33w)에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것에 의해 탈수모터(25)는 브레이크 제동 모드가 되어 회전조(4)가 고정된다.
계속해서, 단계(A5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가 되도록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단계(A60)로 이행하여 상기 검출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이 판단되면 단계(A70)로 이행하여 급수(11)를 단전하여 폐쇄시켜 급수를 종료한다.
이 제 1 급수공정에 있어서는 최초로 탈수모터(25)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회전조(4)가 내부의 세탁물을 수반하여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급수밸브(11)를 통하여 회전조(4)내로 공급되는 물은 대략 한군데에서 조내로 흘러내려가지만 이 물은 저속으로 변위하는 상기 세탁물에 빠짐없이 스며들게 된다.
그 후, 세탁모터(24)가 간헐적으로 정역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조(4)내의 물 및 세탁물이 정역방향으로도 유동하여 물에 세제가 잘 녹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4)로의 회전 전달 경로 전환(회전조(4) 구동)과 배수밸브(8)및 급수밸브(11)의 제어를 무관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어회로(63)는 상기한 급수공정후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탁공정을 제어한다. 우선, 단계(B10)에서는 탈수모터(25)를 직류 여자하여 고정상태로 하고, 단계(B20)∼단계(B9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를 미리 정해진 회전속도가 되도록 정역회전시킨다. 즉, 세탁모터(24)를 설정된 모터 온시간, 정방향으로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고(단계(B20), 단계(B30)), 계속해서 세탁모터(24)를 설정된 모터 오프시간 정지하고(단계(B40), 단계(B50)), 이번에는 역회전방향으로 동일한 제어(단계(B60)∼단계(B90)를 한다. 이 후, 단계(B100)로 이행하여 설정된 세탁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B20)로 복귀하고, 종료되면 이 세탁공정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단계(B40), 단계(B80)의 세탁모터(24) 정지 제어는 통전 위상의 조정에 의한 정지 제어라도 좋고 단전이라도 좋다.
이 세탁공정에 있어서, 세탁모터(24)의 정역 간헐 운전에 의해 회전조(4)내의 물 및 세탁물이 정역방향으로 유동하여 세정작용이 얻어진다. 이 경우 회전조(4)가 공회전하는 것이 염려되지만 탈수모터(25)를 직류 여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조(4)가 공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 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수공정을 제어한다. 즉, 단계(C10)에서는 배수밸브(8)를 통전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조(4)내의 물이 배출되어 간다. 단계(C20)에서는 탈수모터(25)를 직류 여자한다. 그리고,단계(C30)에서는 탈수모터(2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소정 회전 속도가 되도록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단계(C40)로 이행하여 검출 수위가 설정 수위의 반으로 감소된 것이 판단되면 세탁모터(24)를 단전 정지함과(단계(C50)) 동시에 탈수모터(25)를 단전 정지한다(단계(C60)).
이 배수공정에서는 배수가 실시되면서 세탁모터(24)가 정역회전되게 되고, 이것으로 세탁물이 회전조(4)내에서 적절하게 움직이면서 수위가 감소하여 세탁물이 회전조(4)내에서 기울지 않고 배수가 실시되어 이후에 실시되는 탈수운전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배수공정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탈수 공정을 제어한다. 즉, 단계(D10)에서는 배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수위센서(69)에 기초한 검출 수위가 검출 가능한 최저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배수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후 20초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리고(단계(D20)), 단계(D3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동일 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속도 제어(기동)한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시간 주기로 목표 회전 속도가 점점 높아지도록 지령된다(단계(S10)). 다음 단계(S20)에서는 목표 회전속도에 대한 실회전 속도(현시점에서의 회전속도)의 차(X)를 산출하고 그 차가 0을 상회하면(단계(S30))에서 판단), 즉 실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속도를 하회하면 단계(S4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모터 출력(상기한 바와 같이 PWM의 듀티비이고, 권선 전압의 실효값, 나아가서는 권선 전류임)을 「1.5ㅧK」올린다. 이 「1.5」는 탈수모터(25) 고유의 상수이다. 다음으로, 단계(S50)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의 모터 출력을 「0.4ㅧK」올린다. 이 「0.4」는 탈수모터(25) 고유의 상수이다.
이것으로,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대략 같은 정도로 증속된다. 즉, 세탁모터(24)와 탈수모터(25)에서는 토크·회전속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증속시키는데 대해서 동일 정도의 모터 출력 증가로는 탈수모터(25)쪽이 회전속도가 높아져 버린다. 이때의 목표 회전속도를 180r.p.m으로 하고 현재 회전속도가 140r.p.m.으로 했을 때 탈수모터(25)는 출력을 「60%」에서 「70%」로 증가할 필요가 있는데 대해, 세탁모터(24)에서는 출력을 「50%」에서 「80%」로 증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계(S30)에서 실회전속도가 목표 회전속도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단계(S6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모터 출력을 「1.5ㅧK」내리고, 단계(S70)으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의 모터 출력을 「0.4ㅧK」내린다. 상기 단계(S50) 또는 단계(S70) 이후에 도 11의 단계(D50)로 되돌린다.
그리고, 이 단계(D50)에서는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가 소정 회전속도, 예를 들면 300r.p.m까지 상승했다고 판단되면 단계(D6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통전위상을 지금까지보다 앞서게 위상통전한다. 즉, 세탁모터(24)의 토크·회전속도 특성은 고토크·저속 특성으로 되어 있지만 세탁모터(24)에 대한 통전위상을 앞서게 하면(예를 들면 30도 속행 통전으로 함) 도 15의 특성선(Q)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토크·고속 특성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D65)로 이행하여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단계(D30)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속도 제어한다(단, 속도차(X)에 대한 세탁모터(24)의 출력 증감 비율은 다름).
이 후, 세탁모터(24) 또는 탈수모터(25)가 설정된 회전속도에 도달하면(단계(D70)에서 판단), 단계(D8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를 단전하여 회전 프리로 하고, 단계(D90)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만을 목표 회전 속도로 속도 제어하고, 단계(D95)로 이행하여 탈수 종료 조건을 만족했는지 여부(예를 들면 설정된 탈수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탈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단계(D100)에 나타낸 브레이크 제어로 이행한다.
이 단계(D100)의 브레이크 제어의 내용은 도 13에 나타내고 있다. 우선, 단계(E20)에 있어서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지연 위상 통전(예를 들면 30도 지연 위상 통전)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한다. 이것으로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로부터 직류 전원회로(49)로 전력이 회생되어 컨덴서(48)가 충전되어 브레이크 작용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모터(24, 25) 나아가서는 교반체(5) 및 회전조(4)가 제동되어 간다. 동시에 상기 회생 전력에 의해 직류 전원 회로(49)의 전원 전압이 상승한다.
다음 단계(E30)에서는 전원 전압 검출 회로(52)에 의해 전원 전압을 검출하여 이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 예를 들면 300V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300V 이상이 되었을 때는 단계(E40)로 이행하여 방전회로(53)의 스위칭소자(53b)를 온하고, 회생전력을 방전저항(53a)에 의해 소비시킨다. 또한, 300V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는 단계(E50)로 이행하여 스위칭소자(53b)를 오프하여 방전저항(53a)으로 전력소비를 정지한다.
이 후, 단계(E60)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또는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가 거의 0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거의 0이 되었다면 단계(E7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단전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 1 탈수공정이 실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탈수공정에 있어서, 탈수 초기에는 탈수모터(25) 및 세탁모터(24) 양쪽을 구동하여 탈수 운전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세탁물량이 많은 경우(대부하인 경우)나 탈수 회전속도를 빨리 올리고 싶을 때 유효하다. 그리고,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조(4) 및 교반체(5)의 가감속을 모터 출력의 증감에 의해 실시하고, 가감속 요구(단계(S30)의 X가 0을 상회할 때는 가속 요구라고 간주함)에 대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을 세탁모터(24)와 탈수모터(25)가 다르도록(증감 비율은 탈수모터(25)쪽이 세탁모터(24) 보다도 작음) 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 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각각 출력 토크·속도 특성이 다르면서 양 모터(24, 25)를 대략 같도록 가감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가감속 제어에 의해 회전조(4) 및 교반체(5)의 회전이 서서히 상승해가지만 세탁모터(24)는 모터 출력을 올려도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지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탁모터(24)가 소정의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에는(이것은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라도 좋음), 세탁모터(24)의 통전 위상을 이제까지 보다 속행하는 것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탈수모터(25) 및 세탁모터(24) 모두 목표 회전속도로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탈수모터(25) 또는 세탁모터(24)가 소정의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24)의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 프리로 하였기 때문에, 즉 탈수운전의 초기에는 탈수 모터(25) 및 세탁모터(24)의 구동에 의해 양호하게 탈수 기동한 후는 탈수 모터(25)만의 구동으로 하기 때문에 소전력화를 도모하면서 고속탈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회전조(4)의 탈수 회전에 대해 제동을 걸었을 때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기 때문에 확실하고 신속하게 회전조(4) 및 교반체(5)에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긴급시의 브레이크로서 가장 적합하다.
이 경우,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 브레이크를 걸지만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회생전력이 발생하여 이른바 회생브레이크가 발생한다. 이 경우, 회생전력이 과도하게 크면 직류 전원회로(49)측의 전기부품(컨덴서(48)나 정전압회로(50)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직류 전원회로(49)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회로(52)를 설치하여 회생전력이 과도하게 커졌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검출한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방전 저항(53a)에 전력을 소비시키는 방전회로(5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직류 전원회로(49)측에 가하는 회생전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상기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부품으로서 내전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가 도모된다.
상기한 제 1 탈수 공정이 종료되면 도 14에 나타내는 제 2 급수공정을 제어한다. 이 제 2 급수공정에서는 세제의 용해를 촉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단계(A20)∼단계(A50)의 제어는 생략하고 있다. 즉, 도 8에 있어서 단계(A10)에서는 배수밸브(8)를 단전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급수밸브(11)를 통전하여 개방하고, 단계(A60)로 이행하여 상기 검출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이 판단되면 단계(A70)로 이행하여 급수밸브(11)를 단전하여 폐쇄시켜 급수를 종료한다.
이 후, 제 1 헹굼 공정을 제어하지만 이 제어는 기본적인 도 9의 세탁공정과 동일한 제어(제어시간은 다름)이다. 또한, 제 2 헹굼 공정이라도 동일하다. 또한, 제 2 배수공정, 제 3 배수공정은 제 1 배수공정과 동일하며, 제 2 탈수공정, 최종 탈수공정은 제 1 탈수공정과 동일하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체(5)는 세탁모터(24)에 의해 직접 구동하고, 회전조(4)는 탈수모터(25)에 의해 직접 구동하기 때문에 각각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 대상까지가 독립된 회전 전달 기구가 되고, 또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는 가변속 제어되기 때문에 각각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종전의 클러치기구 및 감속기구(변속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고 회전조(4) 및 교반체(5)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고, 또 회전조(4) 및 교반체(5)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속도도 제어할 수 있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클러치 전환 불량 동작이라는 문제점도 완전히 없애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음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또 세탁시간의 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모터(24)는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으로 하고, 탈수모터(25)는이 세탁모터(24) 보다 고속·저토크 특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적정한 세정작용이 얻어짐과 동시에 적정한 탈수작용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는 모두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로서 고 토크의 모터가 얻어지게 되어 대용량으로부터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세탁모터(24)는 아우터 로터형으로서 탈수모터(25)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고, 탈수모터(25)는 이너로터형으로 구성되어 세탁모터(24)가 외측, 탈수모터(25)가 내측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세탁 운전에 필요한 고토크 특성이 얻어지고 탈수운전에 필요한 고속 회전 특성이 양호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스테이터 코아(29)가 구비되고, 이 스테이터 코아(29)에 세탁 모터(24)용 스테이터 권선(32) 및 탈수모터(25)용 권선(33)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모터(24, 25)를 구비하면서도 스테이터 코아(29)는 한 개로 완료되어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스테이터코아(29)에는 세탁모터(24)용 스테이터 권선(32) 부분과 탈수모터(25)용 스테이터 권선(33) 부분 사이에 자기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극부(34)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아(29)가 한 개이면서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각 로터(36, 40) 사이에 각각 독립적인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모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극부(34)를 복수의 원호형상 공극부(34a)와 원형상 공극부(34b)를 고리형상으로 존재시킨 형태로 형성하고, 원형상 공극부(34b)를 스테이터코아(29)를 정지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자기 회로 형성에 기여하면서 스테이터 코아(29)의 부착 고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원형상 공극부(34b)는 스테이터 코아(29)에 있어서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아(29)를 고정하는 부분에서의 자기회로로의 영향(자기누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각 로터(36, 4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IC(44u, 44v, 44w, 45u, 45v, 45w)를 한 개의 센서 케이스(43)에 유지하여 유닛화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부품 관리도 간단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4)와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55)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각각 동시에 또는 다른 시기에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고, 또 직류 전원 회로(49)가 양 인버터 주회로(54, 55)의 전원으로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직류 전원 회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탁공정에서의 모터 제어가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수모터(25)에 직류 여자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회전조(4)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였지만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탈수모터(25)를 세탁모터(24)와 반대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공회전 방지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계(G10)에서는 세탁모터(24)를 정회전시킴과 동시에 탈수모터(25)와 반대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반전 통전 모드)로 한다. 또한, 단계(G50)에서는 세탁모터(24)를 이제까지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세탁 모터 반회전)시킴과 동시에 탈수모터(25)를 이것과는 반대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정회전 통전 모드)로 한다.
이와같은 제 2 실시예에서는 탈수모터(25)와 세탁모터(24)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세탁모터(2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였을 때, 탈수 모터(25)를 세탁 모터(24)와 반대 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하기 때문에 회전조(4)의 공회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제어의 취지는 다음과 같다. 회전조(4)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탈수모터(25)를 브레이크 제어(직류여자)하지 않아도 회전조(4)가 교반체(5)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했을 때 탈수모터(25)를 반대방향 회전의 통전모드로 하면 회전조(4)에 역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탈수모터(25)로서는 저토크·고속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회전조(4)내에 세탁물량 및 수량 등의 부하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회전조(4)가 그 부하에 저항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은 거의 없이, 즉 거의 정지 상태가 되어 공회전 방지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회전조(4)가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일도 있지만 세정효과의 저하 방지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는 없고 오히려 세정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7은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탈수 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제어(도 13참조)는 제 1 회째의 탈수 공정, 제 2 회째의 탈수공정 및 최종 탈수의 탈수 공정 모두 동일한 브레이크 제어로 하였지만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헹굼 공정전의 탈수공정(제 1 회째의 탈수공정, 제 2 회재의 탈수공정)에서의 브레이크 제어를 도 17과 같이 실행한다.
즉, 단계(F10)에서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의 통전을 실행한 후는 단계(F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밸브(8)를 단전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급수밸브(11)를 통전하여 개방한다. 요컨대, 브레이크 제어와 병행하여 회전조(4)내로의 급수를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 및 급수 동작을 시간적으로 직렬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헹굼 공정으로 실시하는 급수의 시간을 짧게 또는 0으로 할 수 있고, 헹굼 공정의 소요 시간 나아가서는 세탁시간의 단축이 도모된다.
또한, 이와같은 작용 효과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 전환이 없고 배수밸브(8)를 회전조(4) 구동과 무관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얻어지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탈수 공정에서의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속도 제어 형태가 다르다. 즉, 단계(H10)에서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를 통전하여 기동하고, 단계(H20)에서는 현시점에서의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이것은 홀IC(45u, 4v, 45w)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함)에서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이것은 홀IC(44u, 44v, 44w)로부터의 신호로 검출함)를 빼서 이 차(X)를 산출한다. 이 차(X)가 소정 속도 예를 들면 20r.p.m 이상이면(단계(H30)에서 판단), 즉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 보다 20r.p.m. 이상 빨라지면 단계(H4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회전 속도를 현시점에서 10% 증가시키도록 모터 출력 또는 통전 위상을 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H50)로 이행하여 다시한번 상기한 회전속도의 차(X)를 산출하여 단계(H60)에서 이 차(X)가 소정 속도, 예를 들면 5r.p.m.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에 대해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 보다 5r.p.m. 이상 빨라지면 단계(H7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통전 모드를 유지하고, 5r.p.m. 이상 빨라지지 않으면 단계(H10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의 통전 모드(모터 출력 또는 통전위상)를 회전 속도가 현시점에서 10% 증가시키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단계(H80)에서는 탈수 종료 조건을 만족했는지 여부(예를 들면 설정된 탈수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탈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단계(H90)의 브레이크 제어(이것은 제 1 실시예의 도 13과 동일함)로 이행한다.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 양쪽을 구동하는 경우, 그것들에 속도차가 있으면 속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속도차가 클 때는 세탁물이 천의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와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소정 속도(20r.p.m.) 이상 다를 때, 양 모터(24, 25)의 회전속도를 가까이 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짜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속도가 작은 쪽의 모터(이 경우 세탁모터(24))를 다른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깝게 하기 때문에 탈수 효과를 저감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양 모터(24, 25)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모터(24)의 출력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모터(24, 25)를 대략 동일 회전속도로 지속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를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 하고, 이 위상은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결정 또는 변경되고, 이 경우 모터 출력도 적절하게 결정 또는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단계(I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개시 시점의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회전조(4)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통전 위상과 출력을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정 또는 변경한다. 예를 들면 회전속도가 600r.p.m일 때는 통전 위상을 30도 지연으로 하고, 출력(모터 출력)을 PWM의 듀티비로 50%로 한다. 이 경우 브레이크 힘은 「대」, 「중」, 「소」의 3단계중 「대」가 된다.
그리고,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300r.p.m초-600r.p.m 미만이 되면 출력을 30%로 저하하고, 300r.p.m 이하가 되면 통전 위상을 15도 지연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탈수모터(25)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조(4)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브레이크 힘의 컨트롤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이와같은 동작은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를 지연 위상 통전 모드로 하고, 이 위상은 탈수 모터의 회전속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서 결정 또는 변경되고, 이 경우 출력도 적절하게 결정 또는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단계(J30)에 있어서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회전조(4)의 회전속도)의 저하 정도를 검출한다. 이 저하 정도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5r.p.m/초 이하」, 「75∼124r.p.m/초」,「125r.p.m/초 이상」의 3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최초 단계에서는 회전 속도 저하 정도는 「75r.p.m/초 이하」로 결정되기 때문에 단계(J40)에 있어서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통전 위상은 30도 지연으로 결정됨과 동시에 모터 출력은 50%로 결정되는 것이다(이 경우, 브레이크 힘은 「대」이다). 이것으로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의 회전 속도는 저하하고, 그 저하 정도에 따라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이 변경되어 간다. 즉 저하 정도가 클수록 브레이크힘이 작아지도록 변경된다.
이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조(4)의 회전 상황시에 저하 정도에 따라서 브레이크힘을 조정할 수 있고, 브레이크 소요 시간을 조정(예를 들면 일정화)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제어시에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 보다 소정값 보다 클 때 탈수 모터(25)의 회전속도를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단계(K10)에서는 탈수모터(25) 및 세탁모터(24)를 예를 들면 통전 위상이 15도 지연으로 임의의 모터 출력으로 브레이크를 건다. 그리고, 단계(K20)에서는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에서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를 빼고, 그 차(X)를 산출한다. 이 차(X)가 소정 속도, 예를 들면 -20r.p.m 이하이면(단계(K30)에서 판단), 즉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세탁모터(24)의 회전 속도 보다 20r.p.m 이상 빨라지면 단계(K40)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의 통전 위상을 30도 지연으로 하고, 모터 출력을 10% 증가시키도록 조정한다. 이것으로 탈수모터(25)의 브레이크 힘이 강해진다.
다음으로, 단계(K50)로 이행하여 다시한번 상기한 회전 소도의 차(X)를 산출하고, 단계(K60)에서 이 차(X)가 소정 속도, 예를 들면 -5r.p.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에 대해서 5r.p.m 이하의 범위에서 빠르면 단계(K70)으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의 통전 모드를 유지하고, 5r.p.m 이상 빠르면 단계(K100)로 이행하여 탈수모터(25)의 통전 모드(모터 출력)를 회전속도가 현시점 보다 10% 증가시켜 브레이크 힘을 올리도록 조정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시에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그것들에 속도차가 있으면 속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속도차가 클 때는 세탁물이 천의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와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 다를 때, 양 모터(24, 25)의 회전속도를 가깝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속도가 큰 쪽의 모터를 다른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깝게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없다.
이 경우, 단계(K70)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모터(24, 25)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브레이크 힘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양 모터(24, 25)를 거의 동일한 회전속도 감소 상태로 지속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모두 브러쉬리스 모터)에 대해 한 개의 인버터 주회로(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버터 주회로(10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2a∼102f"는 스위칭소자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03a∼103f"는 프리호일 다이오드를 나타내고 "104u, 104v, 104w"는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이 출력단자(104u, 104v, 104w)는 전환 수단인 릴레이 스위치(105, 106, 107)의 각 코몬단자(T)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릴레이 스위치(105, 106, 107)의 각 노멀 클로즈 단자(C)는 세탁모터(24)의 각 권선(32u, 32v, 32w)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릴레이 스위치(105, 106, 107)의 각 노멀 오픈단자(O)는 세탁모터(25)의 각 권선(33u, 33v, 33w)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노멀 오픈 단자(O)와 세탁모터(25)의 각 권선(33u, 33v, 33w)사이에는 이것들의 권선(33u, 33v, 33w)을 단락하는 경우와 단락하지 않는 경우를 전환하는 권선 단락 수단인 릴레이 스위치(108, 109)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이 릴레이스위치(108, 109)는 항상 닫는 형이고, 플러그(46)가 상용 전원으로부터 빠졌을 때나 정전시, 즉 세탁기 전원 오프시에는 권선 단락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각 릴레이 스위치(105∼109)SSM 릴레이 구동회로(110)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이 릴레이 구동회로(110)는 제어 회로(63)에 의해 제어되도록 도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111"은 인버터 주회로(101)의 각 스위칭소자(102a∼102f)를 온 오프하는 구동회로이다.
그리고, 제어회로(63)는 급수 공정, 세탁공정, 배수공정 및 탈수공정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우선 도 25에 있어서, 급수공정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L1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탈수측(단자T-O간 폐쇄)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단계(L20)에서는 배수밸브(8)를 단전하여 폐쇄함과 동시에 급수밸브(11)를 통전하여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조(4)내로 급수된다. 단계(L30)에서는 탈수모터(25)를 비교적 저속으로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단계(L40)에서는 수위센서(69)로부터 부여되는 검출 수위(급수중의 수위)와 미리 설정된 수위를 비교하여 검출 수위가 이 설정 수위의 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반이 된 곳에서 단계(L50)로 이행한다.
이 단계(L5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세탁측(단자T-C간 폐쇄)으로 전환하여 인버터 주회로(101)의 출력을 세탁모터(24)에 부여하도록 한다. 그리고,단계(L6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8, 109)를 닫아 탈수모터(25)를 권선 단락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단계(L7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소정 회전속도가 되도록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단계(L80)로 이행하여 상기 검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것이 판단되면 단계(L90)로 이행하여 급수밸브(11)를 단전하여 닫아 급수를 종료한다.
이 급수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의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초로 탈수 모터(25)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급수된 물이 세탁물에 구석구석 채워지게 된다. 그 후, 세탁모터(24)가 간헐적으로 정역회전시키기 때문에 물에 세제가 잘 용해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조(4)가 세탁물 및 물과 공회전하는 것이 염려되지만 탈수모터(25)를 권선 단락에 의해 브레이킹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같은 경우는 없다.
세탁공정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된다. 이 경우, 단계(M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레이스위치(105∼107)를 세탁측(단자T-C간 폐쇄)으로 전환하여 인버터 주회로(101)의 출력을 세탁모터(24)에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M2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8, 109)를 닫아 탈수모터(25)를 권선 단락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탈수모터(25)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한다. 그리고, 단계(M30)∼단계(M100)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탁시간이 종료하기까지 세탁모터(24)를 정역회전시킨다.
이 세탁공정에 있어서는 세탁모터(24)만을 인버터 주회로(101)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하고, 탈수모터(25)는 인버터 주회로(101)에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권선단락 브레이크에 의해 회전조(4)를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공회전이 방지되어 있음).
배수 공정은 도 27과 같이 제어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배수제어(도 10 참조)와 다른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단계(N2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세탁측(단자 T-C간 폐쇄)으로 전환하여 인버터 주회로(101)의 출력을 세탁 모터(24)에 부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N3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8, 109)를 닫아 탈수모터(25)를 권선 단락 상태로 한다.
탈수공정은 도 28과 같이 제어된다. 즉, 단계(P10)에 있어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탈수측(단자 T-O간 폐쇄)으로 전환한다. 이것으로 세탁모터(24)는 인버터 주회로(101)로부터 전기적으로 떨어져 회전 프리 상태가 된다. 단계(P20)에 있어서는 탈수 모터(25)에 적절한 통전 패턴으로 통전하여 기동한다. 이것에 회전조(4)가 차례로 고속 회전하여 탈수가 실시된다. 그리고, 단계(P30)에서는 탈수 종료 조건(예를 들면 탈수 시간이 만료했는지)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탈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단계(P40)∼단계(P60)의 브레이크 제어로 이행한다.
이 단계(P4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8, 109)를 닫아 탈수 모터(25)를 권선 단락 상태로 한다. 그리고, 탈수모터(25)의 회전 속도, 즉 회전조(4)의 회전속도가 대략 0이 되면(단계(P50)에서 판단) 탈수모터(25)를 단전하여 탈수공정을 종료한다.
이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인버터 주회로(101)의 출력을 전환 수단인 릴레이 스위치(105∼107)에 의해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에 택일적으로 부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주회로(101)를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적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운전시에 있어서 회전조(4)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모터(25)에 전기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와같이 세탁모터(24)와 탈수모터(25)가 인버터 주회로(101)에 의해 회전 제어되어 있으면 탈수 모터(25)에는 예를 들면 직류 여자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나 회생 브레이크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 8 실시예에서는 탈수모터(25)를 권선 단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세탁모터(24)를 회전 제어하면서 탈수모터(25)에 전기 브레이크의 한종류인 권선 단락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또한, 세탁 공정시에 세탁모터(24)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25)에 전기 브레이크를 거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회전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25)만을 구동하고, 세탁모터(24)는 회전 프리상태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제어로 탈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수 공정 개시전에 있어서 회전조(4)내의 세탁물은 회전조(4) 및 교반체(5)의 양쪽에 걸려 있는 것이 많지만 세탁모터(24)는 회전 프리상태이기 때문에 세탁 모터(24)도 뒤따라서 회전하여 탈수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와같은 제어는 소부하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탈수 공정시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걸 때에는 탈수모터(25)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가 간단하게 완료됨과 동시에 전력 소비량도 적어진다. 즉, 회전조(4)가 고속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세탁물은 이 회전조(4)의 내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교반체(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적다). 이 경우, 브레이크를 걸 필요가 있는 것은 회전조(4)이기 때문에 탈수모터(25)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브레이크를 걸 수 있고, 탈수모터(25) 및 세탁모터(24)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경우에 비해 브레이크 제어가 간단하게 완료됨과 동시에 전력 소비량도 적어진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선 단락 수단인 릴레이 스위치(108, 109)를 항상 닫는 형 릴레이스위치로 구성하고, 세탁기 전원이 오프시에 권선 단락 동작을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회전조(4)의 회전을 즉시 멈출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회전조(4)가 고속 회전하고 있을 때 세탁기의 전원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빠진 경우나 정전발생에 의해서 세탁기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회전조가 타성으로 언제까지나 회전되면 사용자가 덮개를 열었을 때 지장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점은 없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서는 권선 단락 모드가 아니라도 지연 위상 통전 모드, 역회전 통전 모드(이것은 3개의 권선에 대한 통전을 u상, v상, w상의 순이아니라 역의 순서로 실시하는 것임)라도 좋고 그것들의 조합이라도 좋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 그 기동시에는 최초 탈수 모터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 모터를 구동하고, 그 후 탈수모터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 제 8 실시예와 다르다. 즉, 단계(Q1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세탁측(단자T-C간 폐쇄)으로 전환하여 인버터 주회로(101)의 출력을 세탁모터(24)에 부여하도록 하고, 탈수모터(25)는 회전 프리 상태로 해둔다. 계속해서 단계(Q20)에서는 세탁모터(24)에 적절한 통전 패턴으로 통전하여 기동한다.
이 경우, 탈수 운전 개시전에 있어서 회전조(4)내의 세탁물은 통상 회전조(4) 및 교반체(5) 양쪽에 걸리고 있으며, 탈수 모터(25)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24)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교반체(5)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것에 따라 회전조(4)도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세탁모터(24)는 일반적으로 저속 고 토크특성이기 때문에 회전조(4)를 큰 기동 토크로 기동할 수 있게 되고, 탈수 회전속도(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세탁기의 공진점을 빨리 통과하게 되어 언밸런스 발생도 적다.
이와같이 하여 회전조(4)가 차례로 고속 회전하여 탈수가 실시된다. 그리고, 단계(Q30)에서는 세탁모터(24)의 회전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 예를 들면 300r.p.m까지 저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저하하면 단계(Q40)로 이행하여 세탁모터(24)를 단전하고(회전프리로 하고), 단계(Q50)로 이행하여 릴레이스위치(105∼107)를 탈수측(단자 T-O간 폐쇄)으로 전환하여 인버터주회로(101)의 출력을 탈수 모터(25)에 부여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단계(Q60)에서는 탈수모터(25)를 적절한 통전 패턴으로 통전하여 회전 구동(이 때는 이미 회전 상태에 있고, 그 회전 속도에 따른 통전 패턴이 설정되어 통전됨)한다. 이 후, 단계(Q70)로 이행하여 탈수 종료 조건(예를 들면 탈수 시간이 만료했는지)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탈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단계(Q180)의 탈수 모터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한다. 이 단계(Q80)의 브레이크 제어는 도 28에 나타낸 단계(P40)∼단계(P60)의 브레이크 제어와 같은 것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제 9 실시예에서는 탈수 운전 개시전에 있어서 회전조(4)내의 세탁물은 회전조(4) 및 교반체(5)의 양쪽에 걸려 있는 형태에 있는 것에 착안하여 최초 탈수 모터(25)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25)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세탁 모터(24)만을 구동하는 제어이면서 회전조(4)를 큰 기동 토크로 기동할 수 있고, 언밸런스 발생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 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에를 들면 제 1 실시예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9 실시예에 의하면 탈수모터(25)로의 구동 전환은 세탁모터(24)의 회전 속도가 소정 회전 속도가 되었을 때 실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 기동시에 양호하게 고속 회전으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탈수모터(25)로의 구동 전환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도 30과 같이 세탁모터(24)의 회전 속도의 상승률이 소정 상승률이 되었을 때(단계(R30)에서 판단)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세탁모터(24)의 회전속도 상승률이 「1r.p.m/초」이하일 때 구동 전환을 실시하기 때문에, 즉 세탁모터(24)가 거의 회전 속도하지 않는 곳까지 구동하고, 그 사이에 충분한 구동 토크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탈수 공정의 브레이크시에는 최초에 세탁모터(24)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고, 그 후 탈수모터(25)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한 것이 제 8 실시예(특히 도 28)와 다르다.
즉, 단계(Pa40)∼단계(Pa110))는 브레이크 제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선 단계(Pa40)에서는 릴레이스위치(105∼107)를 세탁측(단자T-C간 폐쇄)으로 전환(탈수모터(25)는 회전프리가 됨), 단계(Pa50)에서 세탁모터(24)를 예를 들면 지연 위상 통전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회전조(4)의 회전속도)가 설정 회전속도까지 저하하면(단계(Pa(60)에서 판단) 단계(Pa70)에서 세탁모터(24)를 단전하고, 단계(Pa80)에서 릴레이스위치(105∼107)를 탈수측(단자T-O간 폐쇄)으로 전환하고(세탁 모터(24)는 회전프리), 단계(Pa90)에서 탈수 모터(25)를 예를 들면 권선 단락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25)의 회전속도가 거의 0까지 저하하면(단계(Pa100)에서 판단), 단계(Pa110)에서 탈수 모터(25)를 단전한다.
이 제 11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개시 초기에 큰 브레이크힘을 기대할 수 있게 되고, 브레이크를 빨리 걸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이와같은 제어는세탁모터(24) 및 탈수모터(25)가 각각 전용 인버터 주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역회전 통전 모드로 해도 좋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탈수모터(121)를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탈수모터(121)의 스테이터(122)는 제 1 실시예의 탈수모터(25)의 스테이터(2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123)는 다수의 철심판을 적층한 로터 코아(124)의 외부둘레부에 소요 수의 돌극(125)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122)의 스테이터 권선(33)에 대한 통전 타이밍을 비연속으로 전환하여 여자 위치를 전환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같이 탈수모터(121)를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고속 운전에 보다 적합하게 되고, 또 제조비용도 싸게 된다.
도 34 및 3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는 세탁모터(131)를 유도 모터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세탁모터(131)에 스테이터(132)는 제 1 실시예의 세탁모터(24)의 스테이터(26)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133)는 로터 마그네트(39)를 대신해서 다수의 철심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로터 코아(134)를 설치한 점이 세탁 모터(24)의 로터(36)와 다르다.
탈수 공정시에 있어서 교반체(5)는 회전조(4)와 공회전해도 지장이 없고, 세탁모터(131)는 브레이크를 걸지 않아도 좋다. 이 점을 고려하면 세탁모터(131)는브러쉬리스 모터나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라도 좋지만 이 실시예와 같이 유도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지장이 없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탁모터(141) 및 탈수모터(142) 모두 액셜형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세탁모터(141)의 로터(143)는 교반축(20)의 하단부에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된 비교적 대직경의 로터 기판(144)과 이것의 외부둘레측 윗면에 부착한 로터 마그네트(14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탁모터(141)의 스테이터(146)는 부착 프레임(12)에 부착한 스테이터 기판(147)과 이것의 외부둘레측의 한측면인 하부면에 부착한 스테이터 권선(1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 기판(147)에는 스테이터 권선(148)의 내측이 되는 부분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테이터 요크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탈수모터(142)의 로터(150)는 조축(17)의 하단부에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된 비교적 소직경의 로터 기판(151)과 이것의 윗면에 부착한 로터 마그네트(15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수모터(142)의 스테이터(153)는 상기한 스테이터 기판(147)과 이것의 내부둘레측의 한측면인 하부면에 부착한 스테이터 권선(1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 기판(147)에는 스테이터 권선(154)의 내측이 되는 부분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테이터 요크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모터(141) 및 탈수모터(142)를 모두 액셜형 모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또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 경우, 큰 세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교적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나 소프트한세정력을 얻는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탁모터(141) 및 탈수모터(142)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기판(147)을 구비하고, 이 스테이터 기판(147)이 한측면에 세탁모터(141)의 스테이터 권선(148)과 탈수 모터(142)의 스테이터 권선(154)을 설치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스테이터 기판(147)의 양 면에 별도로 스테이터 권선(148, 154)을 설치한 경우에 비해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탈수 모터(161)를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세탁모터(162)를 액셜형 모터로 구성하고 있다. 우선, 탈수모터(161)의 스테이터(163)는 부착 프레임(12)에 고정한 다수의 철심판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아(164)와 이것의 티스에 감아 장착한 권선(1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 코아(164)의 상부의 복수판의 철심판(164a)은 다른 것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탈수 모터(161)의 로터(166)는 조축(17) 하단부에 부착한 다수의 철심판으로 이루어진 로터 코아(167)와 이것의 외부둘레부에 부착한 로터 마그네트(168)로 구성되어 있다.
세탁모터(162)의 스테이터(169)는 상기 복수개의 철심판(164a)의 외부둘레측 부분(170)과 이 부분(170)의 하부면에 부착한 스테이터 권선(17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탁 모터(162)의 로터(172)는 교반축(20)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철심판(164a) 보다 직경이 큰 로터 기판(173)과 이것의 외부둘레측의 윗면에 부착한 로터 마그네트(17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 프레임(12)에는 센서 케이스(175)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는 탈수 모터(161)용 홀IC(176)와 세탁모터(162)용 홀IC(177)가 유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이 되는 탈수모터(161)를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외부측이 되는 세탁모터(162)를 액셜형 모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중심 부분에 무거운 것이 집중하는 구성이 되어 중량 밸런스가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액셜 타입의 모터(세탁모터(162))의 로터(172)가 래디얼 타입의 모터(탈수모터(161))의 상부측에 설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액셜 타입의 세탁모터(162) 및 래디얼타입의 탈수모터(161)에 각각 홀IC(177, 176)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부착 높이가 다르면 부착이 번잡해지고, 또 본 실시예와 같이 양 홀IC(177, 176)를 한 개의 센서 케이스(175)로 유지하는 경우에도 센서 케이스(175)의 형상이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셜 타입의 세탁모터(162)의 로터(172)가 래디얼 타입의 탈수모터(161)의 상부측에 설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양 홀IC(177, 176)를 상부에서 거의 동일 높이 부분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부착이 간단하고, 또 양 홀IC(177, 176)를 한 개의 센서 케이스(175)로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 케이스(175)의 형상이 간단해진다.
또한, 이와같이 액셜 타입의 세탁모터(162)의 로터(172)가 래디얼타입의 탈수모터(161)의 상부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세탁모터(161)의 스테이터(164)의 상부와 세탁모터(162)의 스테이터(169)를 거의 동일 높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으로 래디얼형 탈수모터(161)의 스테이터 코아(164)의 상부의 철심판(164a)을 직경이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액셜형 세탁모터(162)의 스테이터 코아로서 이용할 수 있고, 모터의 구성이 한쪽이 래디얼형으로 다른쪽이 액셜형이면서 스테이터 코아를 공용화할 수 있다.
또한, 세탁모터를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액셜형 모터로 구성하여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세탁 운전시에 큰 부하에 대응할 수 있고, 또 탈수 운전시에는 고속 회전 제어에 가장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교반체는 세탁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하고, 회전조는 탈수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하기 때문에 교반체와 회전조를 각각 독립된 회전 전달 경로에서 구동할 수 있고, 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가변속 제어되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종전의 클러치 기구 및 감속 기구도 필요하지 않고 회전조 및 교반체를 필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정지를 제어할 수 있고, 또 회전속도 제어할 수 있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러치 전환 불량 동작이라는 문제점도 완전히 없앨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소음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세탁시간의 단축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는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으로 하고, 탈수모터는 이 세탁모터 보다는 고속·저토크 특성으로 한 것에 의해 적정한 세정작용이 얻어짐과 동시에 적정한 탈수작용이 얻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각 모터에 대해서 회전속도 제어나 토크 조정 제어를 실시하기 쉽고, 필요한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이나 고속·저 토크 특성이 얻어지고, 또 전기 브레이크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기계적 브레이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의 간단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하면 세탁모터를 유도 모터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탈수 공정의 종료시에 세탁 모터에 브레이크를 걸고 싶은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모두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로서 고토크의 모터가 얻어지게 되고 대용량에서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모두 액셜형 모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또 경량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큰 세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교적 소용량의 탈수 겸용 세탁기나 소프트한 세정력을 얻는 탈수 겸용 세탁기에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중 어느 한쪽을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다른쪽을 액셜형 모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세정력을 얻으면서 전체의 크기를 약간 작게 하는 등의 배려가 가능하고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의 발명은 세탁운전에 필요한 고토크 특성이 얻어지고, 탈수 운전에 필요한 고속 회전 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1 개의 스테이터 코아에 세탁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및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모터를 구비하면서도 스테이터 코아는 하나로 완료되기 때문에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 코아에 세탁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부분과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부분 사이에 자기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극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아가 1개이면서 모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원호 형상 공극부와 원형상 공극부를 고리형상으로 존재시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상 공극부를 스테이터 코아를 정지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이용했기 때문에 양호한 자기 회로 형성에 기여하면서 스테이터 코아의 부착 고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원형상 공극부를 스테이터 코아에 있어서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에 설치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아 고정부에서의 자기 누설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용 위치 검출 수단을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 유지하여 유닛화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부품 관리도 간단해진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 기판을 구비하고, 이 스테이터 기판의 한 측면에 세탁모터의 스테이터 권선과탈수모터의 스테이터 권선을 설치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를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액셜형 모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세탁운전시에 큰 부하에 대응할 수 있고, 또 탈수운전시에는 고속 회전 제어에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의하면 액셜 타입의 모터의 로터가 래디얼타입의 상부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액셜타입의 모터 및 래디얼 타입의 모터에 각각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그 부착이 간단해지고, 또 양 위치 검출 수단을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서 유지하는 경우에도 센서 케이스의 형상이 간단해진다.
청구항 19의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 코아와 로터 코아는 한쪽이 다른쪽 보다 큰 관계에 있고, 작은 쪽이 큰 쪽의 내측이 되도록 동일한 코아재를 재료로 했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저렴화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와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를 각각 동시에 또는 다른 시기에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고, 또, 직류 전원 형성수단이 양 인버터주회로의 공통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직류 전원 회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전환수단에 의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부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주회로를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기적 구성의 간단화가 도모할 수 있고, 또 탈수모터의 권선을 단락하는 권선 단락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모터만에 인버터 출력을 전하여 회전제어하는 경우에도 탈수모터에 전기브레이크의 한 종류인 단락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4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운전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에 전기 브레이크를 거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운전시에 회전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모터와 세탁모터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제어가능한 경우 세탁 운전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를 세탁모터와 반대 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세탁운전시에 회전조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세정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26의 발명에 의하면 배수밸브 및 급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밸브를 폐쇄상태로 하여 급수밸브에 의해 회전조내로의 급수를 실시하면서 탈수모터를 저속 회전시키고, 그 후에도 급수를 실시하면서 세탁모터를 정회전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에 했기 때문에 급수시에 회전조내의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고, 또 세제를 물에 충분히 녹일 수 있다.
청구항 27의 발명에 의하면 배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시에 세탁모터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이 배수밸브에 의한 배수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이 조내에서 기울지 않게 배수가 실시되고, 이후에 실시되는 탈수운전에서의 언밸런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8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 운전시에 탈수모터만을 구동하고, 세탁모터는 회전 프리 상태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제어로 탈수를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9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공정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구동하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물량이 많은 경우(대부하인 경우)나 탈수 회전속도를 빨리 올리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30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운전시, 세탁모터와 탈수모터는 회전이 어긋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언밸런스 발생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또 세탁물에 대한 짜는 작용도 기대할 수 있어 탈수 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31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공정에 있어서, 그 기동시에는 최초 탈수 모터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를 구동하고, 그 후 탈수모터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조를 큰 기동 토크로 기동할 수 있고, 언밸런스 발생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탈수 효과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9의 발명에 있어서, 탈수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통전 위상을 이전까지 보다 앞서도록 했기 때문에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 모두 목표 회전속도에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3 내지 청구항 35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의 구동 후, 탈수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로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 프리로 한 것에 했기 때문에 양호하게 탈수 기동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소전력화를 도모하면서 고속 탈수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36 및 청구항 37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가속도를 모터 출력의 증감에 의해 실시하고, 가감속 요구에 대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을 세탁모터와 탈수모터가 다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출력 토크·회전속도 특성이 다르지만 양 모터가 거의 동일하도록 가감속할 수 있다.
청구항 38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 공정시에 세탁모터의 회전 속도를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와 소정 속도이상 다를 때, 회전속도가 작은 쪽의 모터를 다른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또 탈수 효과를 저감시키는 경우가 없다.
청구항 39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 공정시에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 모터의 출력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모터를 대략 동일 회전 속도로 지속할 수 있다.
청구항 40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 운전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탈수 모터 및 세탁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경우에 비해 브레이크 제어가 간단하게 완료됨과 동시에 전력 소비량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2 발명에 의하면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고 또 신속하게 회전조 및 교반체에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긴급시의 브레이크로서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43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운전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최초에 세탁모터를 브레이크 제어모드로 하고, 그 후 탈수 모터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브레이크 개시 초기에 큰 브레이크 힘을 기대할 수 있고, 브레이크를 빨리 걸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46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이 브러쉬리스 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지연 위상 통전 모드가 되고, 이 지연 위상 모드는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힘의 컨트롤 제어를 실시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47의 발명에 의하면 직류 전원 형성수단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을 설치하여 회생전력이 과도하게 큰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전원 전압 검출 결과가 소정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방전 저항에 전력을 소비시키는 방전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직류 전원 형성수단에 가하는 회생전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직류 전원 형성수단측의 전기부품이 파손될 우려를 없앨 수 있고, 전기부품으로서 내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가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8의 발명에 의하면 탈수 운전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 회전조의 회전속도의 저하 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모터 출력 또는 통전 위상을 조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회전조의 회전 상황에 따라서 브레이크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브레이크 소요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49의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시에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와 세탁모터 회전속도의 차가 소정값 보다 클 때, 회전속도가 높은 힘의 모터를 회전속도가 작은 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브레이크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시에 천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시간이 길어지는 일이 없다.
청구항 50의 발명에 의하면,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브레이크 힘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모터를 대략 동일 회전속도 감소상태로 지속할 수 있다.
청구항 51의 발명에 의하면 권선 단락 수단이 세탁기 전원이 오프일 때 권선 단락 동작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조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세탁기의 전원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빠진 경우나 정전 발생에 의해 세탁기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회전조의 회전을 즉시 멈출 수 있고 회전조가 타성으로 몇시간이나 회전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청구항 52의 발명에 의하면 세탁 제어 모드로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헹굼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 제어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탈수 브레이크 제어시에 급수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 및 급수동작을 시간적으로 직렬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헹굼 공정으로 실시하는 급수의 시간을 짧게 또는 0으로 할 수 있어 헹굼 공정의 소요시간 나아가서는 세탁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2)

  1.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내에 복수의 탄성 매달림 기구를 통해 탄성 지지지된 외부조;
    상기 외부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조 및 탈수조를 겸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내에 설치된 교반체;
    상기 교반체를 직접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가변속 제어되는 세탁모터; 및
    상기 회전조를 직접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가변속 제어되는 탈수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세탁모터의 로터가 상기 교반체의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교반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탈수모터의 로터가 상기 회전조의 회전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회전조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는 저속·고토크 모터 특성이고, 탈수모터는 이 세탁 모터 보다는 고속·저토크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모터(switched reluctance motor)로 구성되고, 탈수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는 유도모터로 구성되고, 탈수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 또는 스위치드리럭턴스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래디얼(radial)형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액셜(axial)형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한쪽을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하고, 다른쪽을 액셜형 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가 탈수모터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탁모터가 외측, 탈수모터가 내측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를 아우터로터(outer rotor)형으로 구성하고, 탈수모터를 이너로터(inner rotor)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는 아우터 로터형으로서 탈수 모터 보다 대직경으로 구성되고, 탈수모터는 이너로터형으로 구성되어 세탁모터가 외측, 탈수모터가 내측 관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1.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의 스테이터 코아(stator core)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아에 세탁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및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아에는 세탁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부분과 탈수모터용 스테이터 권선 부분 사이에 자기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는 복수의 원호 형상 공극부와 원형상 공극부를 고리형상으로 존재시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상 공극부는 스테이터 코아를 정지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상 공극부는 스테이터 코아에 있어서 자속 밀도가 낮은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각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각 위치 검출 수단은 한 개의 센서 케이스에 유지되어 유닛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테이터 기판을 구비하고, 이 스테이터 기판의 한 측면에 세탁모터의 스테이터 권선과 탈수모터의 스테이터권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는 래디얼형 모터로 구성되고, 탈수모터는 액셜형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셜 타입의 모터의 로터가 래디얼타입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아와 로터 코아는 한쪽이 다른쪽 보다 큰 관계에 있고, 작은 쪽이 큰 쪽의 내측이 되도록 동일한 코아재를 재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 형성수단;
    세탁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세탁모터용 인버터 주회로; 및
    탈수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탈수모터용 인버터 주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직류 전원 형성수단은 양 인버터 주회로의 공통 전원으로서 사용되는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며,
    직류 전원 형성수단;
    상기 직류 전원회로 형성수단으로부터 전원이 부여되어 모터를 가변속 제어하는 인버터 주회로;
    상기 인버터 주회로의 출력을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에 택일적으로 전하는 전환수단, 및
    탈수모터의 권선을 단락하는 권선 단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2. 제 1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세탁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에 전기 브레이크를 거는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세탁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를 권선 단락 브레이크 제어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를 직류 여자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공정시에 세탁모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 모드로 하고, 탈수모터를 세탁모터와 반대 방향 회전의 통전 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밸브 및 급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밸브를 폐쇄상태로 하여 급수밸브에 의해 회전조내로의 급수를 실시하면서 탈수모터를 저속 회전시키고, 그 후에도 급수를 실시하면서 세탁모터를 정반회전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밸브를 구비하고, 배수시에 세탁모터를 정역회전시키면서 이 배수밸브에 의한 배수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8.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만을 구동하고, 세탁모터는 회전 프리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29.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공정시에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공정시, 세탁모터와 탈수모터의 회전이 어긋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1.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공정에 있어서, 최초 탈수 모터를 회전 프리로 하여 세탁모터를 구동하고, 그 후 탈수모터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통전 위상을 이제까지 보다 앞서게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3. 제 29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탈수모터 및 세탁모터의 구동 후, 탈수 모터 또는 세탁모터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세탁모터의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 프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4. 제 31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탈수모터로의 구동 전환은 세탁모터의 회전 속도가 소정 회전속도가 되었을 때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5. 제 31 항에 있어서,
    탈수공정시, 탈수모터로의 구동 전환은 세탁모터의 회전속도의 상승률이 소정 상승률이 되었을 때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6. 제 31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의 가속도를 모터 출력의 증감에 의해 실시하고, 가감속 요구에 대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을 세탁모터와 탈수모터가 다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모터 출력의 증감 비율은 탈수모터쪽이 세탁모터 보다도 작게 제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8. 제 29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세탁모터의 회전 속도와 탈수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 속도이상 다를 때, 회전속도가 작은 쪽의 모터를 다른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 세탁모터의 회전속도가 탈수 모터의 회전속도에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모터의 출력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0.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탈수모터만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탈수모터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위상 지연통전 모드, 역회전 통전 모드 또는 권선 단락 브레이크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2.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양쪽을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3. 제 1 항에 있어서,
    탈수공정시의 브레이크 필요시에는 최초에 세탁모터를 브레이크 제어모드로 하고, 그 후 탈수 모터를 브레이크 제어 모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4. 제 40 항, 제 42 항 또는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역회전 통전 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5. 제 42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는 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하고, 이 브러쉬리스 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위상 지연 통전 모드 또는 권선 단락 모드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6. 제 40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이 브러쉬리스 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위상 지연 통전 모드가 되어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위상 또는 모터 출력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7. 제 40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세탁모터 및 탈수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브러쉬리스 모터로 구성되고, 이 브러쉬리스모터의 브레이크 제어 모드는 위상지연 통전모드로 되며, 상기 위상지연 통전모드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 직류 전원 형성수단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전원 전압 검출 결과가 소정 전압 이상이 되었을 때 방전저항에서 전력을 소비시키는 방전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8. 제 40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탈수 공정시의 브레이크 제어시에 회전조의 회전속도의 저하 정도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모터 출력 또는 통전 위상을 결정 또는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49. 제 42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시에 탈수모터의 회전속도와 세탁모터 회전속도의 차가 소정값 보다 클 때, 회전속도가 높은 쪽의 모터를 회전속도가 낮은 쪽 모터의 회전속도에 가까워지도록 브레이크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50. 제 49 항에 있어서,
    양 모터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가까워졌을 때는 브레이크 힘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51. 제 21 항에 있어서,
    권선 단락 수단은 세탁기 전원이 오프일 때 권선 단락 동작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52.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제어 모드로서 탈수 공정시에 탈수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헹굼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 제어 모드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 브레이크 제어시에 급수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겸용 세탁기.
KR10-1998-0063925A 1998-03-31 1998-12-29 탈수겸용세탁기 KR100434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87349 1998-03-31
JP08734998A JP3524376B2 (ja) 1998-03-31 1998-03-31 脱水兼用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70A KR19990076570A (ko) 1999-10-15
KR100434192B1 true KR100434192B1 (ko) 2004-07-16

Family

ID=1391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925A KR100434192B1 (ko) 1998-03-31 1998-12-29 탈수겸용세탁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57027B1 (ko)
EP (1) EP0947622B1 (ko)
JP (1) JP3524376B2 (ko)
KR (1) KR100434192B1 (ko)
CN (1) CN1093196C (ko)
AT (1) ATE245220T1 (ko)
DE (1) DE69909543T2 (ko)
NZ (1) NZ334867A (ko)
TW (1) TW42168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555B1 (ko) 2004-06-30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03086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US10214846B2 (en) 2013-07-12 2019-02-26 Amotech Co., Ltd. Washing machine driving device, washing machin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2611A1 (de) * 1999-05-17 2000-11-2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US6396190B1 (en) * 1999-06-07 2002-05-28 Lg Electronics Inc. Brushless dc motor in washing machine
AU782017B2 (en) 1999-10-18 2005-06-30 Lg Electronics Inc. A driving unit for a drum type washing machine
DE19963703A1 (de) 1999-12-29 2001-07-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DE10031037A1 (de) * 2000-06-14 2001-12-20 Pharmagg Systemtechnik Gmbh Verfahren zur Naßbehandlung von Wäsche
JP3641575B2 (ja) * 2000-06-30 2005-04-20 株式会社東芝 モータ駆動装置
DE10062364A1 (de) 2000-12-14 2002-06-2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lektromotors
US7082792B2 (en) * 2001-02-19 2006-08-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02066726A1 (en) * 2001-02-19 2002-08-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JP3879415B2 (ja) * 2001-02-28 2007-0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4507442B2 (ja) * 2001-04-19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のモータ駆動装置
US7089769B2 (en) * 2001-05-08 2006-08-15 Lg Electronics Inc. Direct drive washing machine
WO2002101137A1 (en) * 2001-06-12 2002-12-19 Lg Electronics Inc. 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135883A (ja) * 2001-10-31 2003-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モータ駆動装置
KR100438616B1 (ko) * 2002-01-1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결식 세탁기
DE60336516D1 (de) * 2002-05-15 2011-05-05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und Kontrollsystem zur Steuerung einer motorgetriebenen Waschmaschine
JP2005525889A (ja) * 2002-05-16 2005-09-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濯機のクラッチ誤動作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CN100336965C (zh) * 2002-06-11 2007-09-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驱动装置
NZ537718A (en) * 2002-06-20 2008-10-31 Toshiba Kk Rotor for permanent magnet motor of outer rotor type
KR100669043B1 (ko) * 2002-09-03 200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접 구동형 세탁기의 모터 제어 장치
KR100896312B1 (ko) * 2002-10-23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KR100487346B1 (ko) * 2002-11-2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 및 배수 제어 방법
US7997103B2 (en) * 2002-12-10 2011-08-16 Lg Electronics Inc. Tub having structurally strengthened rear wall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therein
PT1428924E (pt) * 2002-12-10 2008-03-31 Lg Electronics Inc Máquina de lavar do tipo de tambor
KR100493305B1 (ko) * 2002-12-1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모터 드럼세탁기
JP4162565B2 (ja) * 2003-09-30 2008-10-08 株式会社東芝 電動機のロータ
AU2004237798B2 (en) * 2003-12-10 2010-06-24 Lg Electronics Inc. Outer type mot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5261135A (ja) * 2004-03-12 2005-09-22 Seiko Epson Corp モータ及びその駆動制御システム
US20060000029A1 (en) * 2004-05-27 2006-01-05 Park Seok K Wash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US7481080B2 (en) * 2004-07-01 2009-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bra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60042022A1 (en) * 2004-08-31 2006-03-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60027678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06080686A1 (en) * 2004-10-08 2006-08-03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Outer rotor type mo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KR100611454B1 (ko) * 2004-10-08 2006-08-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로터
US20070138902A1 (en) * 2004-11-19 2007-06-21 Lg Electronic Inc. Motor in which an electric leakage to a shaft is prevented
JP4496064B2 (ja) * 2004-11-25 2010-07-07 株式会社東芝 永久磁石形モータ及び洗濯機
JP4677806B2 (ja) * 2005-03-25 2011-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機及び発電システム
KR100690701B1 (ko) * 2006-03-17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8336341B2 (en) * 2006-05-12 2012-12-25 Lg Electronics Inc. Tub for a washing machine with a bearing housing
JP4805061B2 (ja) * 2006-08-21 2011-11-02 三星電子株式会社 回転体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洗濯機
US20080295543A1 (en) * 2007-06-01 2008-12-04 Justin Brubaker Washing machine apparatus and method
US8046855B2 (en) * 2007-08-07 2011-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ndancy in monitoring the lid switch and basket of a washing machine
JP4783771B2 (ja) * 2007-10-19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101431829B1 (ko) * 2007-10-30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및 그 모터를 이용하는 세탁기
JP4966164B2 (ja) 2007-11-05 2012-07-0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226276B2 (ja) * 2007-11-07 2013-07-0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インバータ装置
JP5178400B2 (ja) * 2008-08-28 2013-04-10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5097072B2 (ja) * 2008-09-29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DE102009001195A1 (de) * 2009-02-26 2010-09-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Abbremsen einer Wäschetrommel und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KR101599854B1 (ko) * 2009-05-12 2016-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22570B1 (ko) * 2009-07-31 2014-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102009046084A1 (de) * 2009-10-28 2011-05-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JP2011101725A (ja) * 2009-11-11 2011-05-26 Panasonic Corp 洗濯機
DE102010030163A1 (de) * 2010-06-16 2011-1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Waschmaschine mit einem unbeweglichen Laugenbehälter
KR101228043B1 (ko) * 2011-06-08 2013-01-30 주식회사 아모텍 직결식 세탁기의 구동장치
JP2013070555A (ja) * 2011-09-26 2013-04-18 Panasonic Corp モータ駆動装置
KR101951423B1 (ko) 2012-10-09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드럼 세탁기의 서브드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서브드럼 결합방법
US9080279B2 (en) * 2011-10-24 2015-07-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US9512551B2 (en) 2011-10-24 2016-12-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EP2586898B1 (en) * 2011-10-25 2014-06-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Inrush current control system
KR101368243B1 (ko) * 2011-11-10 2014-02-27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용 모터, 세탁기 모터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45326B1 (ko) * 2011-12-26 2013-12-30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용 모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8823298B2 (en) * 2012-03-14 2014-09-02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raking applied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9000644B2 (en) * 2012-06-05 2015-04-07 Remy Technologies, L.L.C. Concentric motor power generation and drive system
US10333376B2 (en) * 2012-10-24 2019-06-25 Mcmaster University Double-rot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
CN104838054B (zh) * 2012-12-18 2017-06-13 阿莫泰克有限公司 洗衣机的驱动装置及具有该驱动装置的洗衣机
CN104884699B (zh) 2012-12-18 2017-02-15 阿莫泰克有限公司 洗衣机的驱动装置及具有该驱动装置的洗衣机
WO2014112839A1 (ko) * 2013-01-21 2014-07-24 주식회사 아모텍 다중 모터 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세탁기용 모터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1491050B1 (ko) * 2013-01-28 2015-02-23 주식회사 아모텍 드럼 세탁기용 구동 모터,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그 구동방법
KR101439378B1 (ko) * 2013-05-24 2014-09-15 주식회사 아모텍 이중 모터용 모터 구동장치
US10323350B2 (en) * 2013-07-19 2019-06-18 Amotech Co., Ltd. Washing machine motor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same
CN105358756B (zh) * 2013-07-19 2017-12-05 阿莫泰克有限公司 洗衣机驱动装置及具有其的洗衣机
CN105579636B (zh) * 2013-10-02 2018-11-27 阿莫泰克有限公司 洗衣机马达及具有其的洗衣机
KR101601167B1 (ko) 2013-10-10 2016-03-10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구동장치, 이를 이용한 세탁기 및 구동방법
JP6263072B2 (ja) * 2014-04-16 2018-01-17 株式会社東京洗染機械製作所 業務用洗濯脱水機
KR101583655B1 (ko) * 2014-04-30 2016-01-11 주식회사 아모텍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619228B1 (ko) * 2014-06-30 2016-05-11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US9621014B2 (en) * 2014-07-31 2017-04-11 Mcmaster University Torque ripple and radial force reduction in double-rot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KR102252508B1 (ko) 2015-01-0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331602B1 (ko) * 2015-04-06 202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820090B2 (ja) 2015-07-21 2021-01-2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および、そのモータ
WO2017014588A1 (ko) * 2015-07-22 2017-01-26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US10312780B2 (en) * 2015-10-21 2019-06-04 Mcmaster University Double-rot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 with segmented rotors
FR3043280B1 (fr) * 2015-10-29 2019-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Moteur electrique a commutation electronique et dispositif de pulsion d'air correspondant
US10326323B2 (en) 2015-12-11 2019-06-18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onent rotor for an electric motor of an appliance
JP2017158844A (ja) * 2016-03-10 2017-09-1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
KR101939204B1 (ko) * 2016-05-20 2019-01-16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JP6681542B2 (ja) * 2016-05-27 2020-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US10704180B2 (en) 2016-09-22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Reinforcing cap for a tub rear wall of an appliance
US10693336B2 (en) 2017-06-02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Winding configuration electric motor
KR102412036B1 (ko) * 2017-07-14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934655B2 (en) 2017-08-2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3502B1 (ko) * 2018-03-02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583503B1 (ko) * 2018-03-02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08760517B (zh) * 2018-05-22 2024-05-07 西南交通大学 填砂路基的地基系数k30校正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KR102522303B1 (ko) * 2018-07-06 2023-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9546827B (zh) 2018-12-24 2020-10-27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对转电机及破壁机
US11773525B2 (en) 2019-05-02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Double-rotor washing type drum washing machine
JP7251511B2 (ja) * 2020-04-06 202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ターダ付回転電機
CN114575117B (zh) * 2020-12-01 2023-10-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传动机构和衣物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0857A (en) * 1978-05-16 1979-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CH664654A5 (fr) * 1981-12-18 1988-03-15 Cerac Inst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n moteur a courant alternatif sans balai.
JPS59200695A (ja) * 1983-04-27 1984-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S605197A (ja) * 1983-06-21 1985-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S6034495A (ja) * 1983-08-05 1985-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S6092798A (ja) * 1983-10-27 1985-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S6092796A (ja) * 1983-10-27 1985-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S6218196A (ja) * 1985-07-17 1987-01-27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化ダイヤルパルス送出回路
JPH0280088A (ja) * 1988-09-19 1990-03-20 Sanyo Electric Co Ltd 脱水洗濯機
CA2008705C (en) * 1989-04-17 1994-07-26 Craig J. Nordby Drive system for household appliances
US4998052A (en) * 1989-07-28 1991-03-05 General Electric Company Gearless direct drive switched reluctance motor for laundry application
NZ230489A (en) * 1989-08-30 1996-10-28 Fisher & Paykel Washing machine water level set by sensed loading
JP2880777B2 (ja) * 1990-08-28 1999-04-1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US5301523A (en) * 1992-08-27 1994-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washer control including automatic balance, spin and brake operations
JP2905119B2 (ja) * 1995-06-30 1999-06-1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0182718B1 (ko) * 1996-06-12 1999-05-15 김광호 세탁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555B1 (ko) 2004-06-30 2011-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14846B2 (en) 2013-07-12 2019-02-26 Amotech Co., Ltd. Washing machine driving device, washing machin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003086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US10385498B2 (en) 2014-06-30 2019-08-20 Amotech Co., Ltd.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45220T1 (de) 2003-08-15
KR19990076570A (ko) 1999-10-15
TW421684B (en) 2001-02-11
EP0947622B1 (en) 2003-07-16
NZ334867A (en) 2000-01-28
EP0947622A2 (en) 1999-10-06
DE69909543D1 (de) 2003-08-21
CN1232897A (zh) 1999-10-27
EP0947622A3 (en) 2000-08-02
JP3524376B2 (ja) 2004-05-10
JPH11276777A (ja) 1999-10-12
CN1093196C (zh) 2002-10-23
DE69909543T2 (de) 2004-05-13
US6257027B1 (en) 2001-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192B1 (ko) 탈수겸용세탁기
JP3290354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駆動方法
TWI452821B (zh) 洗衣機之變頻裝置
KR100315555B1 (ko) 세탁기
JP3483740B2 (ja) 洗濯機
KR101332868B1 (ko) 세탁기
JPH09239185A (ja) 洗濯機のモータ制御方法
JP3171568B2 (ja) 洗濯機
JP3394687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洗濯機
JPH07112094A (ja) 洗濯機
JPH10295983A (ja) 洗濯機の制動方法及びその装置
JP3290433B2 (ja) 洗濯機のモータ駆動制御回路及び洗濯機
JP2000014961A (ja) 洗濯機
JP2944784B2 (ja) 洗濯機
JPH1147490A (ja) 洗濯機
JP3177140B2 (ja) 洗濯機
JP2004008547A (ja) 洗濯機
JP2000024366A (ja) 洗濯機
JPH04322696A (ja) 洗濯機
JP2003230786A (ja) 洗濯機
JP3950690B2 (ja) 洗濯機
JP2003190689A (ja) 洗濯機
JP2001120880A (ja) 洗濯機
JP3091512B2 (ja) 洗濯機
JPH11169584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624

Effective date: 200403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