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339B1 -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339B1
KR100400339B1 KR10-2000-0052639A KR20000052639A KR100400339B1 KR 100400339 B1 KR100400339 B1 KR 100400339B1 KR 20000052639 A KR20000052639 A KR 20000052639A KR 100400339 B1 KR100400339 B1 KR 10040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haft
chassis
optical disk
coil spr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277A (ko
Inventor
가가야히로유끼
아사노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 샤프트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한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광디스크(D)가 놓여지는 턴 테이블(2)과, 광픽업(56)과, 광픽업(56)을 광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54, 55)와, 가이드 샤프트(54, 55)를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 및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가 섀시(51)상에 배치되고, 제 2 및 제 4 지지부재(58 및 61)에는 가이드 샤프트(54, 55)의 단부와 소정 틈을 통해 배치한 돌기편(58i, 61i)이 형성되고, 제 2 및 제 4 지지부재(58 및 61) 근방에는 가이드 샤프트(54, 55) 단부의 높이 조정용 조정나사(70, 72)와, 각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탄성지지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3)이 설치됨과 동시에, 가이드 샤프트(54, 55)의 상기 단부가 조정나사(70, 72)의 상단면(70a, 72a)에서 멀어지도록 변위하였을 때에는 돌기편(58i, 61i)에 의해 그 변위가 규제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광디스크장치 {OPTICAL DISK DEVICE}
본 발명은 광디스크를 장전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실시하는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를 장전하고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입사시켜 이 정보기록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다.
도 6 은 종래의 광디스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광디스크장치(100)는 주로 판금으로 형성되며 외측 가장자리에 일부 절결부를 갖는 대략 장방형상의 섀시(101)와, 섀시(101)상에 배치되는 턴 테이블(102)이 동축상으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103)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가이드 샤프트(104, 105)와, 가이드 샤프트(104, 105) 사이에 배치된 대물렌즈(106a)를 가지며 대략 장방형상의 외형인 광픽업(106)과, 광픽업(106)을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이송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광디스크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섀시(101)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구멍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부(101a)에 있어서 섀시(101)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일측 가장자리부측에 스핀들 모터(103)가 섀시(101)면상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101a)의 섀시(101)의 짧은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같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가이드 샤프트(104, 105)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샤프트(104)의 턴 테이블(102)측 일단부(이하, 간단히 가이드 샤프트(104)의 일단부라 함)는 섀시(101)의 일부를 돌출 및 구부려서 형성된 위치결정편(101b 및 101c)에 의해 길이방향과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섀시(101)에 나사(107)를 사용하여 부착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104)의 타단부(이하, 마찬가지로 가이드 샤프트(104)의 타단부라 함)도 마찬가지로 위치결정편(101d)에 의해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섀시(101)에 나사(111)로 고정된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08)에 의해 섀시(101)로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가이드 샤프트(105)의 양단부도 마찬가지로 각각 위치결정편(101e, 101f 및 101g, 101h)에 의해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각각 섀시(101)에 나사(112, 113)로 고정된 탄성부재인 판스프링(109, 110)에 의해 섀시(101)로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광픽업(106)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설치한 절곡편(106c, 106d)에 각각 형성된 환공(106e, 106f)에 가이드 샤프트(104)가 끼워 통해지고, 환공(106e, 106f)과는 반대측인 타측 단부에 설치한 절곡편(106g)에 형성된 절결홈(106h)이 가이드 샤프트(10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광픽업(106)은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길이방향(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광픽업(106)의 대물렌즈(106a)의 광축을 광디스크(도시생략)의 정보기록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가이드 샤프트(104)의 타단부를 섀시(101)면과 거의 직교하는 H1 방향으로, 또한 가이드 샤프트(105)의 양단부를 각각 H2, H3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가이드 샤프트(104, 105)를 섀시(101)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조정함으로써, 광픽업(106)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조정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광픽업(106)의 절곡편(106c, 106d)측의 일측 단부에는 너트부재(114)가 광픽업(106)과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너트부(114a)는 가이드 샤프트(104)와 거의 평행하며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리드 스크류(115)의 나사의 골에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여 걸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리드 스크류(115)의 턴 테이블(102)과 반대측 단부에는 평기어(11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평기어(116)와 맞물리는 평기어(117)가 이송모터(118)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송모터(118)를 회전구동함으로써, 평기어(116)와 평기어(117)에 의해 결정되는 기어비로 리드 스크류(115)가 회전하여 너트부재(114)를 고정한 광픽업(106)이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광디스크는 턴 테이블(102)에 놓여지고, 스핀들 모터(103)에 의해 회전되어 광픽업(106)의 대물렌즈(106a)에서 출사하는 레이저광이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집광되며, 이 정보기록면에서 정보에 대응하여 반사한 리턴광을 다시 대물렌즈(106a)를 통해 광픽업(106) 내에서 수광함으로써,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의 정보를 판독하거나 정보기록면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추종하여, 광픽업(106)은 이송모터(118)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어된 동작을 한다.
이어서, 도 7 을 사용하여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기울기 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도 6 에 있어서의 7-7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판스프링(110)에 의해 탄성지지된 가이드 샤프트(105)의 타단부 위치에 있어서, 섀시(101)에는 하측으로 돌출한 오목부(101i)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110)의 가이드 샤프트(105)로의 맞닿음면의 하측이며 오목부(101i)의 중앙부에는 섀시(10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조정나사(119)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리 소정 높이로 배치된 조정나사(119)의 나사선단면(119a)에 가이드 샤프트(105)의 타단부가 놓여지고, 또한 가이드 샤프트(105)의 도면중 우측이 위치결정편(101h)(도 6 참조)의 맞닿음면(101h')에 맞닿는 상태에서, 판스프링(110)의 누름면(110a)이 가이드 샤프트(105)면을 비스듬하게 누름으로써, 상기 가이드 샤프트(105)의 타단부는 탄성적으로 나사선단면(119a)과 맞닿음면(101h')에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조정나사(119)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105)의 타단부는 도면중 H3 방향으로 이동하며,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105)의 타단부는 상측(H3')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하측(H3")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 의 구성은, 다른 판스프링(108, 109)을 배치한 위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판스프링(108, 109) 위치에 조정나사(120, 121)가 각각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샤프트(104, 105)의 기울기를 조정나사(119, 120, 121)를 회전구동시켜 변화시킴으로써 광픽업(106)의 자세가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도 6 을 참조하여 조정나사(119 및 121)(각각 판스프링(110, 109)의 위치)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105)의 양단부는 각각 H3', H2' 방향(상향)으로 혹은 H3", H2" 방향(하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105)에 걸어맞춰진 광픽업(106)의 절결홈(106h)도 같은 거리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광픽업(106)의 대물렌즈(106a)의 광축은 광디스크의 반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탄젠셜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정나사(119 및 120)(각각 판스프링(110, 108)의 위치)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104 및 105)의 턴 테이블(102)측과는 반대측인 각각의 타단부는 H3' 및 H1' 방향(상향)으로 혹은 H3" 및 H1" 방향(하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104, 105)에 걸어맞춰진 광픽업(106) 전체가 경사지며, 그럼으로써 대물렌즈(106a)의 광축은 광픽업의 반경방향(래디얼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디스크장치(100)에서는, 수송시 등에 있어서 광디스크장치(100)에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 가이드 샤프트(104, 105)가 판스프링(108, 109, 110)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해서 변위하여 섀시(101)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디스크장치(100)의 통상 사용(광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시 등)에서 가이드 샤프트(104, 105)가 문제없이 지지되는데 필요한 탄성 지지력보다 훨씬 큰 탄성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판스프링(108 ∼ 110)을 사용해야만 했었다. 따라서, 판스프링(108 내지 110)을 나사(111 내지 113)를 사용하여 섀시(101)에 부착고정할 때에, 큰 탄성 지지력으로 인해 섀시가 변형되지 않도록, 섀시로서 사용하는 판금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서 비용이 높아졌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104, 105)로의 탄성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판스프링 자체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가이드 샤프트(104, 105)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취하기 위하여 면적을 크게 하는 등의 필요가 있어서 비용이 높아졌다.
그리고, 큰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판스프링(108 내지 110)의 부착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판스프링(108 내지 110)의 섀시(101)면 부착위치로의 지지에 큰 힘이 필요하며 또한 판스프링(111 내지 113)의 체결토크도 증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섀시(101)를 판금으로 구성하였으나, 수지제 섀시 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과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 샤프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한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이의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a 는 도 1a 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 부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 는 도 2a 에 있어서의 2BC-2BC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3a 는 도 1a 에 있어서의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 부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에 있어서의 3B-3B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 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4b 는 이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섀시에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6 에 있어서의 7-7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광디스크장치 51 : 섀시
51c, 51d, 51e : 개구부 51c', 51d', 51e' : 돌출편
52 : 턴 테이블 53 : 스핀들 모터
54, 55 : 가이드 샤프트 56 : 광픽업
56a : 대물렌즈 57 : 제 1 지지부재
58 : 제 2 지지부재 58i, 61i : 돌기편
58g, 61g : 규제면 59, 62, 63 : 비틀림 코일스프링 (탄성부재)
60 : 제 3 지지부재 60e : 규제편
61 : 제 4 지지부재 69 : 이송모터
70, 71, 72 : 조정나사(조정수단)
80 :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광디스크가 놓여지는 턴 테이블과, 상기 광디스크로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시하는 광픽업과, 이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그리고 이 가이드 샤프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섀시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올려놓는 탑재면과, 이 탑재면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틈을 갖도록 배치되는 규제부와, 그리고 상기 틈 내에서 상기 탑재면을 이동시키는 조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섀시에 아웃서트성형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지지하는 수지제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이 지지부재에 상기 규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규제부의 스냅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틈을 형성하는 규제면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가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편과, 그리고 이 돌기편을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섀시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섀시에는 상기 지지수단의 근방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개구부의 개구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끼워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광디스크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 의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광디스크장치(50)의 평면도 및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광디스크장치(50)는 주로 판금으로 형성된 장방형상의 섀시(51)와, 섀시(51)상에 배치된 턴 테이블(52)과 동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53)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가이드 샤프트(54, 55)와, 가이드 샤프트(54, 55) 사이에 배치되고 대물렌즈(56a)를 가지며 일부원호상 오목부를 갖는 대략 장방형상의 외형인 광픽업(56)과, 그리고 광픽업(56)을 가이드 샤프트(54, 5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이송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광디스크장치(5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섀시(51)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구멍부(51a)가 형성되며, 또한 섀시(51)의 길이방향이며 구멍부(51a)의 대향 가장자리부중 일측 가장자리부측에는 스핀들 모터(53)가 섀시(51)면상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부(51a)의 스핀들 모터(53)와는 반대측 타측 가장자리부의 중앙부에는 절결형성된 사각형상의 구멍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51a)의 섀시(51)의 짧은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가이드 샤프트(54, 55)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샤프트(54)의 턴 테이블(52)측 일단부(이하, 간단히 가이드 샤프트(54)의 일단부라 함)는 섀시(51)면에 아웃서트성형으로 형성된 수지제 제 1 지지부재(57)에 의하여 길이방향과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져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54)의 턴 테이블(52)측과는 반대측 타단부(이하, 간단히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라 함)는 마찬가지로 형성된 수지제 제 2 지지부재(58)에 의해 섀시(51)면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높이방향이라 함)으로만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부재 즉 비틀림 코일스프링(59)에 의해 섀시(51)면측으로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도 마찬가지로 각각 수지제 제 3 지지부재(60) 및 제 4 지지부재(61)에 의해 높이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성부재 즉 비틀림 코일스프링(62, 63)에 의해 섀시(51)면측으로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광픽업(56)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설치한 지지편(56c, 56d) 내에 각각 형성된 환공(56e, 56f)에 가이드 샤프트(54)가 끼워 통해지고, 환공(56e, 56d)과는 반대측인 타측 단부에 설치한 지지편(56g)에 형성된 절결홈(56h)이 가이드 샤프트(5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광픽업(56)은 가이드 샤프트(54, 55)의 길이방향(광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광픽업(56)의 대물렌즈(56a)의 광축(P)이 광디스크(D)의 정보기록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를 섀시(51)면과 직교하는 H4 방향으로 또한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를 각각 H5 및 H6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가이드 샤프트(54, 55)를 섀시(51)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조정함으로써, 광픽업(56)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54, 55)의 조정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광픽업(56)의 지지편(56c, 56d)측의 일측 단부에는 너트부재(64)가 광픽업(56)과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너트부(64a)는 가이드 샤프트(54)와 거의 평행하며 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리드 스크류(65)의 나사의 골에 압축코일스프링(66)에 의한 탄성을 가지며 맞닿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리드 스크류(65)의 턴 테이블(52)과 반대측 단부에는 평기어(67)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평기어(67)와 맞물리는 평기어(68)가 이송모터(69)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송모터(69)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평기어(67)와 평기어(68)에 의해 결정되는 최적의 기어비로 리드 스크류(65)가 회전하여 너트부재(64)를 고정한 광픽업(56)이 광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광디스크(D)가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 테이블(52)에 놓여지고, 스핀들 모터(53)에 의해 회전되어 광픽업(56)의 대물렌즈(56a)에서 사출되는 레이저광이 광디스크(D)의 정보기록면에 집광되며, 다시 이 정보기록면에서 정보에 대응하여 반사한 리턴광을 다시 대물렌즈(56a)를 통해 광픽업(56) 내에서 수광함으로써, 광디스크(D)의 정보기록면의 정보를 판독하거나 정보기록면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D)의 정보기록면에 추종하여, 광픽업(56)은 이송모터(69)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54, 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어된 동작을 한다.
이어서, 도 2 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 부분 및 가이드 샤프트(54)의 조립상태·조정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는 도 1 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 부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 는 도 2a 에 있어서의 2BC-2BC 단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지지수단, 즉 제 1 지지부재(57)는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면상에 높이방향이며 상측(턴 테이블(52)측, 도 1 참조)에 직립설치된 W1 및 W1' 를 2 변으로 하는 각구멍 단면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의 몸통부(57a)와, 상판(57b)과, 몸통부(57a)를 고정하기 위하여 섀시(51)에 끼워넣도록 몸통부(57a)에 연결되어 섀시(51) 하면에 아웃서트성형으로 형성된 협착부(57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W1 은 섀시(51)와 평행하며 가이드 샤프트(54)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갖고 있다. 또한, 상판(57b)의 제 2 지지부재(58)측의 측부에는 폭(W1)을 갖는 오목형상의 절결홈(5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57a)의 제 2 지지부재(58)측 측벽부의 상면으로부터는 상판(57b)에 형성된 절결홈(57d)과 연결하도록 W1 의 폭으로 오목형상의 결절홈이 높이방향으로 상면에서 하측으로 W2 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57b)의 내벽면(57g)과 W2 길이의 절결홈의 하면부(57f) 사이에 개구부(W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홈(57d)의 폭(W1) 방향의 양측벽으로부터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57e, 57e)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부(57e, 57e)의 선단간의 거리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b 에 나타내는 개구부(W2')의 거리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지지부재(58)는 도 2a 및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면상에 직립설치된 각구멍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의 몸통부(58a)와, 몸통부(58a)를 고정하기 위하여 섀시(51)에 끼워넣도록 섀시(51) 하면에 몸통부(58a)와 연결형성된 협착부(58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58a)의 제 1 지지부재(57)측의 측벽부에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W3)(도 2a 참조)을 갖는 절결홈(58c)이 높이방향이며 몸통부(58a)의 상면에서 하측에 걸쳐 길이(W4)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홈(58c)의 폭(W3)방향의 양측벽으로부터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58d, 58d)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부(58d, 58d)의 선단간의 거리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c 에 나타내는 몸통부(58a)에 형성된 절결홈(58c)의 높이방향의 길이(W4)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착부(58b)에서 상측으로 몸통부(58a)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몸통부(58a)의 상면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된 지지편(58f)과, 그리고 지지편(58f)의 선단부에 규제면(58g) 및 경사면(58h)을 갖는 돌기편(58i)에 의해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돌기편(58i)은 지지편(58f)에 의해 탄성적으로 도 2b 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돌기편(58i)의 규제면(58g)과 절결홈(58c)의 하면부(58e)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재(58)의 제 1 지지부재(57)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섀시(51)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회전구동가능하게 끼워 통과시킨 조정수단, 즉 조정나사(7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탑재면, 즉 조정나사(70)의 선단면(70a)은 제 2 지지부재(58)에 형성된 절결홈(58c)의 하면부(58e)의 섀시(51)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소정 거리만큼 높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나사(70)의 하단면에는 육각구멍(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육각렌치등의 공구에 의해 조정나사(70)를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에 형성된 구멍부(51b)의 턴 테이블(52)과는 반대측 가장자리부로서 가이드 샤프트(54)측으로 치우쳐서 오목상으로 절결하여 개구부(51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51c)의 절결바닥의 중앙부에서 가이드 샤프트(54)와 거의 평행하게 돌출시킨 걸어맞춤부, 즉 돌출편(51c')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돌출편(51c')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9)이 끼워맞춰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 와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59)의 일단부(59a)는 개구부(51c)에 절결형성된 걸림부(51c")에 걸리고, 타단부(59b)는 섀시(51)면측에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지지부재(58)와, 조정나사(70)와, 비틀림 코일스프링(59)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의 지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에 가이드 샤프트(54)를 설치할 때에는, 우선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재(57)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54)의 일단부를 개구부(W2')에 비스듬하게 상측에서 화살표 E 방향으로 끼워넣어 몸통부(57a)의 내벽면(57h)에 부딪히게 한다. 이어서,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를 제 2 지지부재(58)의 상측에서 돌기편(58i)에 형성된 경사면(58h)에 맞닿게 하여 돌기편(58i)을 도면중 활살표 G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시키도록 밀어 몸통부(57a)에 형성된 절결홈(58c) 내로 삽입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4)의 일단부는 제 1 지지부재(57)에 의해 그 직경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타단부는 제 2 지지부재(58)에 있어서 섀시(51)면과 평행한 직경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조정나사(70)의 상단면(70a)에 놓여지며, 그리고 하면부(58e) 및 규제면(58g)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54)는 그 양단부가 제 1 지지부재(57)의 몸통부(57a)의 내벽면(57h)과 제 2 지지부재(58)에 형성된 지지편(58f) 사이에서 각각 동작이 규제되어 그 길이방향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는 그 상부가 비틀림 코일스프링(59)의 타단부(59b)에 의해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가이드 샤프트(54)의 기울기 조정방법에 대하여 도 2c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지지부재(57 및 58) 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제 2 지지부재(58)측에서 조정나사(70)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는 돌기편(58i)에 형성된 규제면(58g)과 몸통부(58a)의 절결홈(58c)의 하면부(58e) 사이에서 도면중 H4 방향으로 이동하며,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타단부는 상측(H4')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하측(H4")으로 이동하여 제 1 지지부재(57)의 개구부(W2') 위치를 대략 지점으로 하여 회전구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샤프트(54)의 섀시(51)면에 대한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a 및 도 3b 를 사용하여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 부분 및 가이드 샤프트(55)의 조립상태·조정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는 도 1a 에 있어서의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 부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3b 는 도 3a 에 있어서의 3B-3B 단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제 3 지지부재(60)는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면과 직교하는 방향(높이방향)이며 상측(턴 테이블(52)측, 도 1 참조)에 직립설치된 W5 및 W5' 를 2 변으로 하는 각구멍 단면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의 몸통부(60a)와, 몸통부(60a)를 고정하기 위하여 섀시(51)에 끼워넣도록 몸통부(60a)에 연결되어 섀시(51)하면에 형성된 협착부(60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W5 는 섀시(51)면과 평행하며 가이드 샤프트(5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가이드 샤프트(5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제 3 지지부재(60)의 제 4 지지부재(61)측의 측벽부에는 폭(W5)보다 약간 넓은 폭(W6)을 갖는 절결홈(60d)이 상면에서 하측으로 길이(W7)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W7)는 가이드 샤프트(54)의 직경보다 큰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폭(W5)방향의 양측벽의 상면으로부터는 각각 내측의 중공부로 돌출시킨 규제부, 즉 규제편(60e, 60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규제편(60e, 60e)의 선단간 거리는 가이드 샤프트(5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편(60e, 60e)과 절결홈(60d)의 높이방향의 하면부(60f) 사이에 틈, 즉 개구부(W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지지부재(60)의 제 4 지지부재(61)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섀시(51)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회전구동가능하게 끼워 통과시킨 조정수단, 즉 조정나사(71)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탑재면, 즉 조정나사(70)의 선단면(70a)은 제 3 지지부재(60)의 절결홈(60d)의 하면부(60f)의 섀시(51)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소정 거리만큼 높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나사(71)의 하단면에는 육각구멍(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육각렌치 등의 공구에 의해 조정나사(71)를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에 형성된 구멍부(51a)의 턴 테이블(52)측의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 샤프트(55)측에 인접시켜 오목형상으로 절결한 개구부(51d)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51d)의 가이드 샤프트(55)와 직교하는 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샤프트(55)와 거의 평행하게 돌출시킨 걸어맞춤부, 즉 돌출편(51d')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돌출편(51d')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62)이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스프링(62)의 일단부(62a)는 개구부(51d)에 절결형성된 걸림부(51d")에 걸리고, 타단부(62b)는 섀시(51)면측에 탄성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3 지지부재(60)와, 조정나사(71)와, 비틀림 코일스프링(6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샤프트(55)의 일단부의 지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4 지지부재(61)는 상술한 제 2 지지부재(58)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수단과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면상에 직립설치된 각구멍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기둥형상의 몸통부(61a)와, 몸통부(61a)와 연결하여 형성된 협착부(61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61a)에는 가이드 샤프트(55)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W8)(도 3a 참조)을 갖는 절결홈(61c)이 몸통부(61a)의 상면에서 하측에 걸쳐 길이(W9)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홈(61c)의 폭(W7) 방향의 양측벽으로부터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돌기부(61d, 61d)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부(61d, 61d)의 선단간 거리는 가이드 샤프트(5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 에 나타내는 몸통부(61a)에 형성된 절결홈(61c)의 길이(W9)는 가이드 샤프트(5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착부(61)에서 직립설치된 지지편(61f)과, 지지편(61f)의 선단부에 형성된 규제면(61g)과 경사면(61h)을 갖는 돌기편(61i)으로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돌기편(61i)의 규제면(61g)과 절결홈(61c)의 하면부(61e)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지지부재(61)의 제 3 지지부재(60)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조정수단, 즉 조정나사(7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탑재면, 즉 조정나사(72)의 선단면(72a)은 제 4 지지부재(61)에 형성된 절결홈(61c)의 하면부(61e)의 섀시(51)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소정 거리만큼 높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나사(72)의 하단면에는 육각구멍(7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51)의 제 4 지지부재(61)와 가이드 샤프트(54)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사각형상의 개구부(51e)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51e)의 가이드 샤프트(5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부의 중앙부로부터는 가이드 샤프트(55)와 거의 평행하게 돌출시킨 걸어맞춤부인 돌출편(51e')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돌출편(51e')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63)이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스프링(63)의 일단부(63a)는 개구부(51e)에 절결형성된 걸림부(51e")에 걸리고, 타단부(63b)는 섀시(51)면측에 탄성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4 지지부재(61)와, 조정나사(72)와, 비틀림 코일스프링(63)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샤프트(55)의 타단부의 지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에 가이드 샤프트(55)를 설치할 때에는, 우선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지지부재(60)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55)의 일단부를 개구부(W7')에 끼워넣어 몸통부(60a)의 내벽면(60g)에 부딪히게 한다. 이어서, 가이드 샤프트(55)의 타단부를 제 4 지지부재(61)의 상측에서 돌기편(61i)에 형성된 경사면(61h)에 맞닿도록 밀어 몸통부(61a)에 형성된 절결홈(61c) 내로 삽입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5)의 일단부는 제 3 지지부재(60)에 의해 섀시(51)면과 평행한 직경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조정나사(71)의 상단면(71a)에 놓여지며, 하면부(60f)와 돌출부(60e)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55)의 타단부는 제 4 지지부재(61)에 의해 섀시(51)면과 평행한 직경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조정나사(72)의 상단면(72a)에 놓여지며, 하면부(61e)와 규제면(61g)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55)의 길이방향은 그 양단부가 제 3 지지부재(60)의 몸통부(60a)의 내벽면(60g)과 제 4 지지부재(61)에 형성된 지지편(61f) 사이에서 각각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빠짐이 방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는 각각 상부가 비틀림 코일스프링(71, 72)의 타단부(71b, 72b)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조정나사(71, 72)의 선단면(71a,72a)에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가이드 샤프트(55)의 기울기 등의 조정방법에 대하여 도 3b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 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제 3 및 제 4 지지부재(60 및 61)측에 있어서 조정나사(71, 72)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는 도면중 H5 및 H6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등거리만큼 이동하며,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는 상측(H5' 및 H6')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하측(H5" 및 H6")으로 등거리만큼 이동하여 가이드 샤프트(55)는 섀시(51)면에 대한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컨대 제 4 지지부재(61)측에서만 조정나사(72)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55)의 타단부는 도면중 H6 방향으로 이동하며,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55)의 타단부는 상측(H6')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면 하측(H6")으로 이동하여 제 3 지지부재(60)의 개구부(W7') 위치를 대략 지점으로 하여 회전구동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샤프트(55)의 섀시(51)면에 대한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광픽업(56)의 자세가 가이드 샤프트(54, 55)의 기울기를 조정나사(70, 71, 72)를 회전구동시켜 변화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 를 참조하여, 예컨대 조정나사(71 및 72)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부는 각각H5' 및 H6' 방향(상측방향)으로 혹은 H5" 및 H6" 방향(하측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55)는 섀시(51)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 가이드 샤프트(55)에 걸어맞춰진 광픽업(56)의 절결홈(56h)도 같은 거리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며, 따라서 광픽업(56)의 대물렌즈(56a)의 광축(P)은 광디스크(D)의 반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탄젠셜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조정나사(70 및 72)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54 및 55) 각각의 타단부는 H4' 및 H6' 방향(상향)으로 혹은 H4" 및 H6" 방향(하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가이드 샤프트(54, 55)에 걸어맞춰진 광픽업(56) 전체가 경사지며, 그럼으로써 대물렌즈(56a)의 광축(P)은 광디스크(D)의 반경방향(래디얼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 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을 섀시(51)에 설치할 때에는, 장착용 지그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도 4a 및 도 4b 는 각각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의 평면도 및 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장착용 지그, 즉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는, 직방체형상의 파지부(80a)와, 파지부(80a)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시킨 원호상의 선단부를 가지며 파지부(80a)보다 두께가 얇은 탑재판(80b)과, 동일한 일측 타단에서 탑재판(80b)과 틈을 형성하며 평행하게 돌출되는 탑재판(80b)보다 짧은 판재로 선단부에 원호상의 오목부(80c')를 형성한 지지판(80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의 코일부(59c (62c, 63c))가, 도면과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의 길이방향에서 오목부(80c')에 대하여 도면중 화살표 K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때,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의 코일부(59c (62c, 63c))의 하면은 도 4b 와 같이 탑재판(80b)에 놓임과 동시에, 코일부(59c (62c, 63c))외주의 일부가 오목부(80c)에 끼워맞춰져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오목부(80c')의 개구부의 폭(W1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의 코일부(59c (62c, 63c))가 약간 압입하듯이 끼워지도록 코일부(59c (62c, 63c))의 외형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을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에 장전한 후에는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를 사용하여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섀시(51)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 5 에 의해 설명한다.
도 5 는 비틀림 코일스프링(63)을 섀시(51)에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섀시(51) 부분은 도 1a 에 있어서의 5-5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에 장전한 비틀림 코일스프링(63)의 코일부(63c)의 탑재판(80b)과는 반대측을, 섀시(51)에 형성된 개구부(51e)(도 3a 참조)에 형성된 돌출편(51e')을 향해 도면중 화살표 T 방향에 가깝게 한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스프링(63)의 일단부(63a)를 개구부(51e)에 형성된 걸림부(51e'')에 걸고, 또한 타단부(63b)가 가이드 샤프트(55)의 상부에 밀리도록 하면서 코일부(63c)를 돌출편(51e')에 끼워맞춘다. 그 후,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를 개구부(51e)에서 분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 개구부(51c, 51d)에 있어서 섀시(51)로의 설치가 실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4)의 타단부는 제 2 지지부재(58)에 형성된 규제면(58g)에 의해 광디스크장치(50)에 수송시 등에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라도 섀시(51)에서 벗겨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또한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5)의 양단면은 마찬가지로 제 2 및 제 3 지지부재(60, 61)에 설치한 각각 규제편(60e, 60e) 및 규제면(61g)에 의해 섀시(51)에서 벗겨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도 2c 및 도 3b 에 나타내는 가이드 샤프트(54, 55)의 각 단부를 조정나사(70, 71, 72)의 상단면(70a, 71a, 72a)에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인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은 광디스크장치(50)에 있어서의 광디스크(D)의 기록·재생시 등의 통상 사용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54)가 안정되게 지지되는 탄성 지지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만으로 가이드 샤프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탄성 지지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그럼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섀시(51)의 두께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의 탄성 지지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섀시(51)로의 설치작업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힘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조정나사(70, 71, 72)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토크도 낮출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지지부재(57, 58, 60, 61)는 섀시(51)에 아웃서트성형으로 수지성형하고, 제 2 및 제 4 지지부재(58 및 61)에는 각각 규제부를 구성하는 지지편(58f, 61f)과 돌기편(58i, 61i)을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지지수단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제 1 내지 제 4 지지부재(57, 58, 60, 61)를 섀시(51)에 부착고정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부품은 필요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c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4, 55)의 타측 단부를 각각 제 1 및 제 3 지지부재(58 및 61)에 장착할 때에는 제 1 및 제 3 지지부재(58 및 61)에 형성된 돌기편(58i, 61i)의 경사면(58h, 61h)에 상기 각 타측 단부를 누름으로써, 돌기편(58i, 61i)을 외측으로(도 2b 의 G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조정나사(70, 72)의 상단면(70a, 72a)상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소위 스냅 인으로 가이드 샤프트(54, 55)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섀시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를 사용하고, 섀시(51)에 형성된 비틀림 코일스프링 부착용 지그(80)를 배치할 수 있는 개구부(51c, 51d, 51e)를 통해 각각 비틀림 코일스프링(59, 62, 63)을 설치할 수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재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압축 또는 인장으로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금제 섀시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지제 섀시 등을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가 놓여지는 턴 테이블과, 상기 광디스크로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시하는 광픽업과, 이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그리고 이 가이드 샤프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섀시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올려놓는 탑재면과, 이 탑재면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틈을 통해 배치한 규제부와, 그리고 상기 틈 내에서 상기 탑재면을 이동시키는 조정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샤프트 단부는 지지수단에 설치한 규제부에 의해 광디스크장치에 수송시 등에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라도 섀시에서 벗겨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고, 탄성부재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시 등의 통상 사용에 있어서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가 안정되게 지지되는 탄성 지지력을 가지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탄성부재만으로 가이드 샤프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탄성 지지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그럼으로써 탄성부재의 소형화가가능하며, 섀시의 두께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섀시로의 설치작업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조정수단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의 탑재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부하도 낮출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에는 섀시에 아웃서트성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를 지지하는 수지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이 지지부재에 규제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지지수단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재를 섀시에 부착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등의 별도의 부품은 필요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부는 지지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규제부의 스냅동작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를 틈에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샤프트를 지지부재에 장착할 때에는 소위 스냅 인 동작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규제부는 틈을 형성하는 규제면과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가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편과, 그리고 이 돌기편을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를 지지수단에 장착할 때에는, 규제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상기 단부를 누름으로써, 규제부를 변형시키면서 틈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섀시에 걸리고, 타단부는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섀시에 나사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섀시에는 지지수단의 근방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끼워맞추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착용 지그를 사용하여 섀시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광디스크가 놓여지는 턴 테이블과, 상기 광디스크로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시하는 광픽업과, 이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그리고 이 가이드 샤프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섀시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올려놓는 탑재면과, 이 탑재면에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틈을 갖도록 배치되는 규제부와, 그리고 상기 틈 내에서 상기 탑재면을 이동시키는 조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지지하는 수지제 지지부재가 포함되며, 이 지지부재에 상기 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규제부의 스냅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상기 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아웃서트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틈을 형성하는 규제면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단부가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편과, 그리고 이 돌기편을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섀시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는 상기 지지수단의 근방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끼워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KR10-2000-0052639A 1999-09-07 2000-09-06 광디스크장치 KR100400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53579 1999-09-07
JP25357999A JP3514673B2 (ja) 1999-09-07 1999-09-07 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277A KR20010030277A (ko) 2001-04-16
KR100400339B1 true KR100400339B1 (ko) 2003-10-01

Family

ID=1725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639A KR100400339B1 (ko) 1999-09-07 2000-09-06 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6473B1 (ko)
EP (1) EP1083552A3 (ko)
JP (1) JP3514673B2 (ko)
KR (1) KR100400339B1 (ko)
CN (1) CN1135536C (ko)
TW (1) TW480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071B2 (en) * 2001-03-23 2004-10-05 Mitsumi Electric Co., Ltd. Optical pickup supporting device having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and capable of accurately supporting an optical pickup
US7152234B2 (en) * 2002-03-29 2006-12-19 Teac Corporation Disk device
US6795971B2 (en) * 2002-04-10 2004-09-21 Epo Science & Technology, Inc. Adjustable position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of an optical disc apparatus
JP2005050398A (ja) * 2003-07-30 2005-02-24 Sanyo Electric Co Ltd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4223980B2 (ja) * 2004-03-16 2009-02-1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光ピックアップの摺動駆動機構
JP2005267775A (ja) * 2004-03-19 2005-09-29 Orion Denki Kk 光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の衝撃吸収構造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2005276331A (ja) * 2004-03-25 2005-10-06 Orion Denki Kk ガイドシャフトの保持機構及びそのガイドシャフトの保持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KR20050108266A (ko) * 2004-05-12 2005-11-16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JP4124161B2 (ja) * 2004-05-21 2008-07-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N2750416Y (zh) * 2004-11-18 2006-01-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读取头传动机构
TWI257093B (en) * 2005-02-22 2006-06-21 Lite On It Corp Optical pickup module
JP2007066430A (ja) * 2005-08-31 2007-03-15 Orion Denki Kk ガイドシャフト保持機構及びガイドシャフト保持機構を備えた光ディスクドライブ
TW200713220A (en) * 2005-09-14 2007-04-01 Benq Corp Clamping strcuting and carring mechanism and optical disc drive using the same
TWI393127B (zh) * 2007-11-23 2013-04-1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碟機
JP5573148B2 (ja) * 2009-12-22 2014-08-20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DE102012204267A1 (de) * 2012-03-19 2013-09-19 Robert Bosch Gmbh Sensorhalterung für einen Sensor zur Objektdetek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9415U (ko) * 1985-05-20 1986-11-26
JPS63193257U (ko) * 1987-05-27 1988-12-13
JPH01133356A (ja) * 1987-11-18 1989-05-25 Fuji Electric Co Ltd BiMOS半導体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611166U (ja) * 1992-07-01 1994-02-1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38063U (ja) * 1992-10-20 1994-05-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イドシャフト固定装置
JPH08339641A (ja) * 1995-06-14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駆動装置
JPH10105982A (ja) * 1996-09-26 1998-04-24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90002305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중앙처리장치(cpu)의 멀티포트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638B2 (ja) * 1986-03-07 1994-12-0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アウトサ−ト成形法
US4873598A (en) * 1987-02-05 1989-10-10 Fuji Photo Film Co., Ltd. Mechanism for supporting and guiding a head carriage
JP2724335B2 (ja) * 1988-10-28 1998-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JP3045591B2 (ja) * 1992-02-03 2000-05-29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量水器筐
JP3158890B2 (ja) * 1994-09-30 2001-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3339975B2 (ja) * 1994-11-02 2002-10-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
US5540503A (en) * 1995-05-19 1996-07-30 Olympus Optical Co., Ltd. Linear guide apparatus
KR100189912B1 (ko) 1996-05-17 1999-06-01 윤종용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위상 및 기울기 조정장치
KR100200591B1 (ko) 1996-06-19 1999-06-15 윤종용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조정 장치
KR0183890B1 (ko) * 1996-06-25 1999-04-15 김광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지지장치
KR0183893B1 (ko) * 1996-06-27 1999-04-15 김광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위상 조정장치
KR100224829B1 (ko) * 1996-07-10 1999-10-15 윤종용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243191B1 (ko) * 1996-07-25 2000-02-01 윤종용 광 기록 재생 장치
KR980011109A (ko) * 1996-07-30 1998-04-30 김광호 광 기록 재생 장치
JPH10116479A (ja) * 1996-10-11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ヘッド調整装置
US5982735A (en) * 1997-12-29 1999-11-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ilt angle adjustable mechanism for compact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2000057715A (ja) * 1998-08-05 2000-02-25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3684304B2 (ja) * 1998-09-02 2005-08-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係止用フック
JP3364922B2 (ja) * 1999-02-22 2003-01-08 船井電機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9415U (ko) * 1985-05-20 1986-11-26
JPS63193257U (ko) * 1987-05-27 1988-12-13
JPH01133356A (ja) * 1987-11-18 1989-05-25 Fuji Electric Co Ltd BiMOS半導体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611166U (ja) * 1992-07-01 1994-02-1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38063U (ja) * 1992-10-20 1994-05-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イドシャフト固定装置
JPH08339641A (ja) * 1995-06-14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駆動装置
JPH10105982A (ja) * 1996-09-26 1998-04-24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90002305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중앙처리장치(cpu)의 멀티포트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3552A3 (en) 2004-05-19
JP3514673B2 (ja) 2004-03-31
TW480478B (en) 2002-03-21
CN1135536C (zh) 2004-01-21
KR20010030277A (ko) 2001-04-16
US6636473B1 (en) 2003-10-21
JP2001076352A (ja) 2001-03-23
CN1287350A (zh) 2001-03-14
EP1083552A2 (en)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339B1 (ko) 광디스크장치
EP0814477B1 (en) Disc drive
EP1089265A2 (en) Optical disc device having guide shaft for guiding optical pickup
US7055161B2 (en) Optical pickup unit fee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drive using the same
US6385160B1 (en) Pickup adjusting apparatus of a disk player
US6373812B2 (en) Disk player capable of adjusting tilt of optical pickup
US6922841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driving optical pick-up
US6901599B2 (en) Optical-pickup feeding device, and optical-disk apparatus mounting the device
US20010022771A1 (en) Pickup feed mechanism
US6971115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US6807672B2 (en) Optical disk drive having a skew adjustment function
EP1189214A2 (en) Mechanism for adjusting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position of a guiding shaft for guiding an optical pickup
JP2501848Y2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JPH11306700A (ja) ヘッド送り装置
KR100432498B1 (ko) 모터용 스프링 및 이를 적용한 광 디스크 드라이버
EP1039465A2 (en) Pickup guide mechanism
JP5408955B2 (ja) ヘッド装置
US20070192777A1 (en) Optical disk apparatus
KR200323242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가이드 샤프트
KR100455889B1 (ko) 광 기록재생장치
JP3421866B2 (ja) 軸の支持機構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7272288A (ja)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JP200625268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とガイド軸の高さ調整機構の組立方法
JP20062526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3173636A (ja) ヘッド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