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266A -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 Google Patents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266A
KR20050108266A KR1020040033561A KR20040033561A KR20050108266A KR 20050108266 A KR20050108266 A KR 20050108266A KR 1020040033561 A KR1020040033561 A KR 1020040033561A KR 20040033561 A KR20040033561 A KR 20040033561A KR 20050108266 A KR20050108266 A KR 2005010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ing groove
guide shaft
optical pickup
shaf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희
덴다스 프레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266A/ko
Publication of KR2005010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장치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섀프트를 섀프트 홀더에 고정시킬 때 섀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크 샤시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광픽업 장치가 결합되는 가이드 섀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섀프트 홀더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일측에는 가이드 섀프트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은 일측단이 개방된 원통이 수평으로 놓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개방된 일측단의 양측벽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결합홈의 양측벽의 대칭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으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은 가이드 섀프트의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Structure of shaft holder for guiding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픽업 장치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섀프트를 섀프트 홀더에 고정시킬 때 섀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RW(CD-Rewritable :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정보를 판독 또는 기록하는 광픽업 장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으로부터 정보가 집약된 소정의 광 기록매체, 즉 광 디스크 등에 광을 투사하여 그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옵티컬 리시버를 광 검출소자(PDIC)로 사용하고 있다.
CD-RW 등의 기록이 가능한 CD에 있어 쓰기 동작은 강한 전력을 갖는 레이저 광원으로 CD의 표면을 조사함으로써 CD 표면에 피트(pit)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리고, 최근에 DVD 기록계 시장이 발전해 감에 따라 DVD-RW용으로 사용되는 광픽업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일반적인 8분할 옵티컬 리시버를 구비한 광픽업 장치의 구성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는, 65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광을 발생하기 위한 고출력 제 1 레이저 다이오드(110)와, 78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광을 발생하기 위한 고출력 제 1 레이저 다이오드(120)와, 제 1 레이저 다이오드(11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1 렌즈(130)와, 제 2 레이저 다이오드(12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2 렌즈(140)와, 제 1 및 제 2 렌즈(130, 140)에 의해 집속되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8분할 옵티컬 리시버(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8분할 옵티컬 리시버(150)는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되되, 4개의 포커싱용 포토 다이오드(F1 내지 F4)들이 중앙 부분에 대칭되게 배열되고, 2개의 트랙킹용 포토 다이오드(T1, T2)들이 포커싱용 포토 다이오드(F1 내지 F4)들의 좌측에 일렬로 배치되며, 다른 2개의 트랙킹용 포토 다이오드(T3, T4)들이 포커싱용 포토 다이오드(F1 내지 F4)들의 우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출력 제 1 및 제 2 레이저 다이오드(110, 120)가 각각 단파장의 레이저 광을 제 1 및 제 2 렌즈(130, 140)로 조사하면, 제 1 및 제 2 렌즈(130, 140)는 레이저 광을 집속시켜 8분할 옵티컬 리시버(150)로 조사시킨다.
이때, 레이저 광이 4개의 포커싱용 포토 다이오드(F1 내지 F4)들로 집속되면, 포커싱용 포토 다이오드(F1 내지 F4)들은 레이저 광을 검출하여 전류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검출된 전류신호는 액츄에이터의 포커싱 구동에 이용된다.
만일, 레이저 광이 4개의 트랙킹용 포토 다이오드(T1 내지 T4)들로 집속되면, 트랙킹용 포토 다이오드(T1 내지 T4)들은 레이저 광을 검출하여 전류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검출된 전류신호는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구동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의 입체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광 픽업장치에서 액츄에이터와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 픽업장치(200)는 광 드라이버의 데크패널에 마련된 주축과 부축에 조립되어 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각종 광 디스크에 수록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주축과 부축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따라 왕복운동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상면에 설치되고 베이스(210)와 함께 이동하면서 입사되는 광 빔을 수렴하여 광 디스크의 한점으로 집속시키는 엑츄에이터(220)로 구성된다.
엑츄에이터(220)가 설치되는 베이스(12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저면에는 광 빔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과 조사되는 광 빔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프리즘(211)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210)의 양측에는 지지나사(212)가 저면에서 상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210)의 일측에는 레이저 광을 발생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을 부착하기 위한 홀(hole)(213)이 형성되며, 이 홀(213)을 관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가 체결된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의 일부분이 베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고 다른 부분은 베이스(210)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광픽업 장치는 양측에 위치한 가이드 섀프트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이렇게, 광픽업 장치가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섀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섀프트 홀더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광픽업 장치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종래의 섀프트 홀더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섀프트 홀더에 의해 섀프트가 데크 샤시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구조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섀프트 홀더(310)는 데크 샤시(320)의 일정한 위치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섀프트 홀더(310)의 일측면에는 섀프트(330)가 삽입될 수 있는 홀(hole)(311)이 형성되되, 이 홀(31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깊이를 갖는다. 이는 섀프트(330)가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섀프트(330)가 홀(311)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홀(311)이 일정 깊이를 갖는데, 이는 섀프트(330)의 일측이 홀(311)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홀(311)이 형성된 상측에는 틈(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섀프트 홀더(310)의 틈(312)은 섀프트(330)를 홀(311)에 삽입하거나 홀더(310)에 의해 고정된 섀프트(330)를 회전시킬 때 신축성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섀프트 홀더에 섀프트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나사 등을 이용해 섀프트 홀더(310)를 데크 샤시(320)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킨 후, 섀프트(330)의 일측을 섀프트 홀더(310) 상의 홀(311)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여기서, 섀프트 홀더(310)를 데크 샤시(320) 상에 고정시키면, 홀(311)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섀프트(33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홀(311)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섀프트(330)가 섀프트 홀더(310)에 고정되면, 도 4에서와 같이 데크 샤시(320) 상에 섀프트(330)가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섀프트 홀더에 가이드 섀프트를 고정시킬 경우, 데크 샤시 상에 섀프트 홀더가 고정된 후 가이드 섀프트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시켜 홀 내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섀프트가 데크 샤시와 밀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 상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픽업 장치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섀프트를 섀프트 홀더에 고정시킬 때 섀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킬 수 있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를 섀프트 홀더에 고정시킬 때 섀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킴으로써, 섀프트 홀더가 데크 샤시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섀프트를 손쉽게 섀프트 홀더 내에 결합시킬 수 있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 샤시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광픽업 장치가 결합되는 가이드 섀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섀프트 홀더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섀프트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일측단이 개방된 원통이 수평으로 놓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개방된 일측단의 양측벽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의 대칭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은 상기 가이드 섀프트의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딩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딩 장치(500)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데크 샤시(510)와, 데크 샤시(510)의 중앙 부분의 일측에 부착되는 스핀들 모터(520)와, 스핀들 모터(520)의 상부에 부착되는 턴테이블(530)과, 스핀들 모터(52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섀프트(550)와, 가이드 섀프트(550)를 데크 샤시에 고정시키는 섀프트 홀더(540) 및 스프링(590)과, 양측이 각각 2개의 가이드 섀프트(550)에 결합되어 턴테이블(530)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광픽업 장치(560)와, 광픽업 장치(56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섀프트(55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데크 샤시(510) 상에 부착되는 스텝핑 모터(570)와, 광픽업 장치(56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측단이 스텝핑 모터(57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섀프트 홀더(540)의 외측에 고정되는 리드 스크류(580)로 구성된다.
스핀들 모터(520)는 데크 샤시(510)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되, 정중앙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일측에 치우쳐 부착된다. 이러한 스핀들 모터(5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외부 기기에 연결되며, 이 외부 기기로부터 FPCB를 통해 입력되는 광 기록 및/또는 재생에 관한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턴테이블(530)은 스핀들 모터(520)의 상단 중앙에 부착되며, 이 턴테이블(530)에는 광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디스크가 안착된다.
광디스크가 턴테이블(53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스핀들 모터(520)가 회전하면 턴테이블(530)과 이에 안착된 광디스크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섀프트 홀더(540)는 가이드 섀프트(5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데크 샤시(510)의 일측에 부착된다. 이에 대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개의 가이드 섀프트(550)는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구현되며, 일측단이 섀프트 홀더(54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단이 스프링(590)에 의해 눌려서 고정된다. 여기서, 스프링(590)은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데크 샤시(510) 상에 고정된 가이드 섀프트(550)를 따라 광픽업 장치(560)가 이송된다.
또한, 스프링으로 고정되는 가이드 섀프트(550) 면에서는 섀프트 스크류(미도시) 등으로 가이드 섀프트(550)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어 디스크에 대한 광픽업 장치의 수평도를 맞출 수 있다.
광픽업 장치(560)는 턴테이블(530) 상에 안착된 광디스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광픽업 장치(560)는 양측이 가이드 섀프트(550) 상에 결합된 상태로 턴테이블(530)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560)의 구성을 보면, 주축과 부축에 결합되어 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베이스와 함께 이동하면서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수렴하여 광디스크의 한점으로 집속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를 통과한 레이저빔을 정확하게 광디스크의 표면 및 트랙 상에 위치하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광디스크의 저장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증가하게 되고, 개구수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광디스크의 틸트에 의한 수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포커싱, 트래킹 구동과 함께 광디스크의 틸트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틸트 구동을 한다.
즉, 광 기록재생장치는 광디스크가 턴테이블(530)에 안착되어 스핀들 모터(52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광픽업 장치(560)가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광디스크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스텝핑 모터(570)는 광픽업 장치(560)를 턴테이블(530)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데크 샤시(510)의 일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스텝핑 모터(570)는 자신이 회전하여 리드 스크류(580)를 회전시키고, 이 리드 스크류(580)의 회전에 의해 광픽업 장치(560)가 왕복운동을 한다. 따라서, 광픽업 장치(560)가 가이드 섀프트(550)를 따라 일정 거리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텝핑 모터(570)는 1개의 가이드 섀프트(550)의 외측에 부착되되,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단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580)는 가이드 섀프트(550)와 수평을 이루도록 데크 샤시(51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단이 스텝핑 모터(570)에 연결된다. 그리고, 리드 스크류(580)는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사선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광픽업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텝핑 모터(570)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580)는 그 회전 속도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어 광픽업 장치(560)를 왕복운동시킨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피딩 장치의 데크 샤시 상에 결합되는 가이드 섀프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섀프트 홀더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상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섀프트 홀더(540)는,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몸체를 갖으며, 이 몸체의 하단부에 2개의 끼움부(541, 542)가 돌출되어 있다.
즉, 2개의 끼움부(541, 542)가 데크 샤시(510)의 끼움홈(미도시)에 꽂힘으로서, 섀프트 홀더(540)는 데크 샤시(510)에 결합된다. 이렇게, 끼움부(541, 542)에 의해 섀프트 홀더(540)와 데크 샤시(510)가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상태의 섀프트 홀더(540)의 무게 중심이 그 하단부에 위치한 데크 샤시(510) 방향으로 쏠리도록 하기 위하여, 끼움부(541, 542)는 섀프트 홀더(540)의 하단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섀프트 홀더(540)의 몸체의 일측에는 가이드 섀프트(55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543)이 형성된다.
결합홈(543)은 일측단이 개방된 원통이 수평으로 놓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이 결합되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결합홈(543)의 일측단과 상단부가 개방되어 구현되는데, 이는 결합홈(543)에 가이드 섀프트(550)를 비교적 손쉽고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원통형의 결합홈(543) 중에 개방된 일측단의 양측벽으로부터 돌출부(544, 545)가 형성되는데, 돌출부(544, 545)는 결합홈(543)의 양측벽의 대칭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544, 545)들은 결합홈(543)의 내측 방향으로 모따기가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돌출부(544, 545)들이 결합홈(543)의 내측 방향으로 모따기 할 경우, 돌출부(544, 545)들에 의해 양측이 맞물려 고정되는 가이드 섀프트(550)의 섀프트 홀더(54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져,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이 섀프트 홀더(540)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2개의 돌출부(544, 545)들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섀프트(550)의 직경과 같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통형의 결합홈(543)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은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넓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섀프트(550)를 결합홈(543)에 삽입할 경우, 우선적으로 가이드 섀프트(550)의 일측단을 결합홈(543)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으로 삽입한 후 이 상태에서 가이드 섀프트(550)를 도 9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이드 섀프트(550)가 도 10에서와 같이 섀프트 홀더(5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섀프트(550)는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병진 운동을 통해 가이드 섀프트(550)가 결합홈(543)의 내측에 밀착된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 섀프트(550)의 회전 및 병진 운동을 통해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가이드 섀프트(550)를 섀프트 홀더(54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섀프트 홀더(540)의 결합홈(543)의 반대측에는 나사홈(546)이 형성되며, 이 나사홈(546)을 통해 나사(547)가 삽입된다. 즉, 2개의 끼움부(541, 542)가 데크 샤시(510)의 끼움홈(미도시)에 꽂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홈(546)에 나사(547)를 삽입함으로써, 섀프트 홀더(540)를 데크 샤시(5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섀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켜 섀프트를 섀프트 홀더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8분할 옵티컬 리시버를 구비한 광픽업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픽업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광픽업 장치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종래의 섀프트 홀더의 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섀프트 홀더에 의해 섀프트가 데크 샤시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피딩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섀프트 홀더에 가이드 섀프트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섀프트 홀더에 가이드 섀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 피딩 장치 510: 데크 샤시
520: 스핀들 모터 530: 턴테이블
540: 섀프트 홀더 550: 가이드 섀프트
560: 광픽업 장치 570: 스텝핑 모터
580: 리드 스크류 590: 스프링
541, 542: 끼움부 543: 결합홈
544, 545: 돌출부 546: 나사홈
547: 나사

Claims (4)

  1. 데크 샤시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광픽업 장치가 결합되는 가이드 섀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섀프트 홀더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섀프트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일측단이 개방된 원통이 수평으로 놓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개방된 일측단의 양측벽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의 대칭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으며,
    상기 원통형의 결합홈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은 상기 가이드 섀프트의 일측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 방향으로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 섀프트의 직경과 같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프트 홀더의 몸체가 상기 데크 샤시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섀프트의 일측단을 상기 결합홈 중에 상측단의 개방 부분으로 삽입한 후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섀프트를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섀프트를 수평 방향으로 병진 운동시켜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프트 홀더의 구조.
KR1020040033561A 2004-05-12 2004-05-12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KR20050108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561A KR20050108266A (ko) 2004-05-12 2004-05-12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561A KR20050108266A (ko) 2004-05-12 2004-05-12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266A true KR20050108266A (ko) 2005-11-16

Family

ID=3728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561A KR20050108266A (ko) 2004-05-12 2004-05-12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26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725A (ja) * 1995-02-07 1996-08-20 Alpine Electron Inc 光ヘッド用ガイドの支持装置
JP2001076352A (ja) * 1999-09-07 2001-03-23 Alps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725A (ja) * 1995-02-07 1996-08-20 Alpine Electron Inc 光ヘッド用ガイドの支持装置
JP2001076352A (ja) * 1999-09-07 2001-03-23 Alps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022C (zh) 光学头、用于装配透镜的设备和方法
US6404723B1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KR101050832B1 (ko) 디스크 구동 장치, 디스크 구동 유니트, 광학 픽업장치
KR20060051246A (ko) 광픽업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2008059659A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30029935A (ko) 광픽업장치 및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6993825B2 (en) Tilt adjusting method for guide shafts in a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KR20050108266A (ko) 광픽업 장치의 가이드 섀프트의 홀더 구조
US20050289581A1 (en) Height-variable type turntable assembly and optical disk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29996B1 (ko) 이종의 광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46576A (ko) 어댑터 부재,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및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JPH08203129A (ja) 光学式情報記録ディスクおよび光学式情報記録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569375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JP2000020982A (ja) 2レンズ光ヘッド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JP4100397B2 (ja) カートリッジ
WO2000022616A1 (fr)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KR100557587B1 (ko) 기록 엘디의 광분포 조정장치, 조정방법 및 이를 포함한기록계 광픽업장치
JPH1026958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358097B1 (ko) 광픽업장치
KR100480639B1 (ko) 광 픽업장치
JP2004170480A (ja) 光学部品及びこの光学部品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この光ピックアップ装置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5573088B2 (ja) ドライブ装置
JPH0538412Y2 (ko)
KR20070091990A (ko) 포토 다이오드의 틀어짐 보상방법
JP2006079781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