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375B1 -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375B1
KR100569375B1 KR1020040004355A KR20040004355A KR100569375B1 KR 100569375 B1 KR100569375 B1 KR 100569375B1 KR 1020040004355 A KR1020040004355 A KR 1020040004355A KR 20040004355 A KR20040004355 A KR 20040004355A KR 100569375 B1 KR100569375 B1 KR 10056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yoke
rotation
yoke plat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392A (ko
Inventor
한정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3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특히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 후 액츄에이터의 틀어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는, 대물렌즈를 취부하고 픽업 베이스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요크 플레이트와; 상기 픽업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 플레이트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는 요크 고정편을 갖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요크 고정편 및 요크 플레이트에 서로 대응하는 홈 및 돌기가 각각 형성된 회전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V자형 압입홈과, 요크 고정편에 상기 V자형 압입홈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픽업 어셈블리, 액츄에이터, 스큐 조정

Description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Rotaion-preventing structure of optical pickup actuator}
도 1은 종래 광 픽업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종래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액츄에이터 홀더 및 요크의 대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픽업 어셈블리 201...베이스
210...액츄에이터 211...대물렌즈
212...요크 플레이트 212a...압입홈
221...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
222...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 230...탄성 스프링
232...요크 고정편 232a...압입돌기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특히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 후 액츄에이터의 틀어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데이터(data)의 디지털(digital)화, 대용량화 등에 의하여 저장 매체가 테이프(tape)에서 디스크(disc)로 바뀌고 있고, 또한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밀도를 높임으로써 디스크의 저장 용량을 크게하고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780nm의 파장을 갖는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c)에서, 최근에는 대용량화의 차원에서 650nm, 400nm의 파장에 적합한 디스크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픽업 장치는 하위 호환성의 차원에서 저장 밀도가 다른 디스크들에 동시 적용될 수 있도록, 파장이 다른 복수 광원에 대한 복수의 광학계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광픽업 장치를 이용해서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픽업 장치에 대하여 조정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광픽업 장치의 조정이란 광학계의 정렬 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발광부와 수광부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서로 맞추어야 한다. 상기 수광부 조정 후 포커스 서보를 온하고 광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보면서 센서렌즈와 액츄에이터의 디스크 반지름 방향의 경사도(Radial-skew; 이하, 레디얼 스큐라 한다)와 디스크 정보트랙 접선 방향의 경사도(Tangential-skew; 이하, 탄젠셜 스큐라 한다)를 동시에 조정한다. 이어서, 광 픽업의 트래킹 서보를 온하고 다시 한번 센서 렌즈와 액츄에이터의 R-skew, T-skew를 미세 조정한다. 그리고, 미세 조정이 끝나면 트래킹 서보를 오프(Off), 포커싱 서보 오프, 레이져 오프, 스핀들 모터를 정지함으로써, 광픽업 장치의 DVD용 광픽업 조정이 끝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어셈블리(100) 내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픽업 액츄에이터(110)의 중심부에 취부된 대물렌즈(111)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광로 변경수단이 존재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10)는 중심부에 대물렌즈(111)을 취부하고 외측으로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마그네트, 코일, 요크로 이루어진 자기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요크는 요크 플레이트(112)로부터 절곡된 구조이며 그 내면에 마그 네트가 부착된다. 상기의 요크 플레이트(112)는 액츄에이터(110)의 전체를 지지해 준다.
상기 액츄에이터(11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15)는 소정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픽업 어셈블리(100)의 베이스(101)에 돌출된 구형 돌기(102)의 내측으로 가이드된다. 즉, 네 개의 구형 돌기(102)의 내측으로 가이드 돌기(115)가 안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10)는 우측(X축)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미도시)에는 픽업 어셈블리(100)로부터 체결되는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121)가 체결되며, 하측(Y축)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미도시)에는 픽업어셈블리(100)로부터 체결되는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122)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10)의 요크 플레이트(112)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101) 상에 나사(131) 체결되는 탄성 스프링(130)의 요크 고정편(132)이 걸쳐지는데, 상기 요크 고정편(132)에는 압입돌기(132a)가 형성되어, 도 5와 같이 요크 플레이트(112)의 일측 상면에 점 접촉되면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121) 및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122)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10)의 스큐를 조정할 경우,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121)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터(110)가 X축 회전 모드로 회동하게 되고,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122)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 전하면 액츄에이터(110)가 Y축 회전 모드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액츄에이터(110)의 스큐 조정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디얼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110)가 한쪽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110)는 픽업 베이스(101)의 구형 돌기(102)에 가이드 돌기(115)가 걸쳐지고, 액츄에이터(110)의 요크 플레이트(112) 상에 탄성 스프링(130)의 요크 고정편(132) 만이 압입된 상태이므로,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의 중심이 이동되어 비틀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와 같이 요크 고정편(132)에 형성된 압입 돌기(132a)가 요크 플레이트(112)의 상면과 점 접촉되는 구조에서는, 레디얼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110)가 레디얼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으로 비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110)의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가 비틀어질 경우, 처음부터 스큐 조정을 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거나, 설계적인 면에서 불량 발생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픽업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요크 플레이트와 요크 고정편이 결합되는 상면에 Y축 방향으로 삼각형 형상의 홈을 가공하고, 상기 요크 고정편의 돌기가 Y축 방향으로만 가이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탄성편의 요크 고정편의 돌기와 요크의 "V"자형이 면접촉하여, 요크 고정편의 돌기가 고정홈을 일직선 방향으로 요크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액츄에이터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는,
대물렌즈를 취부하고 픽업 베이스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요크 플레이트와,
픽업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 플레이트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는 요크 고정편을 갖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요크 고정편 및 요크 플레이트에 서로 대응하는 홈 및 돌기가 각각 형성된 회전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V자형 압입홈과, 요크 고정편에 상기 V자형 압입홈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방지 부재의 V자형 압입홈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압입돌기와, 상기 요크 고정편에 상기 압입돌기가 삽입되는 V자형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방지 부재의 V자형 압입홈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V자형 압입홈과, 상기 V자형 압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압입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요크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픽업 어셈블리(200)의 베이스(201) 상에 안착되고 중심부에 대물렌즈(211)를 취부한 액츄에이터(210)와, 상기 액츄에이터(210)를 지지하기 위한 요크 플레이트(212)와, 상기 픽업 베이스(201)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요크 플레이트(21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30)과, 상기 요크 플레이트(212)의 일측 상면에 형성된 "V"자형 압입홈(212a) 및 상기 탄성 스프링(230)의 요크 고정편(232)에 형성된 압입돌기(232a)를 결합하여, 액츄에이터(210)의 스큐 조정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픽업 어셈블리(200) 내부 및 베이스(201)에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픽업 액츄에이터(210)의 중심부에 취부된 대물렌즈(211)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광로 변경수단이 존재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210)는 중심부에 대물렌즈(211)을 취부하고 외측으로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마그네트, 코일, 요크로 이루어진 자기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요크는 요크 플레이트(212)로부터 절곡된 구조이며, 요크 플레이트(212)는 액츄에이터(210)의 전체를 지지해 준다.
상기 액츄에이터(2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도 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소정 내경으로 구성되어, 픽업 어셈블리(200)의 베이스(201)에 돌출된 구형 돌기의 내측으로 걸쳐진다. 즉, 구형 돌기의 내측으로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210)는 도 6과 같이 우측(X축)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미도시)에는 베이스로부터 체결되는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221)가 체결되며, 하측(Y축)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미도시)에는 베이스로부터 체결되는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222)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10)의 요크 플레이트(212)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201)에 나사(231) 체결되는 탄성 스프링(230)의 요크 고정편(232)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요크 플레이트(212)와 요크 고정편(232)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액츄에이터(2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부재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방지 부재는 바람직하게, 홈 및 돌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지부재는 상기 요크 고정편(232)의 하 방향으로 돌출된 압입돌기(232a)와, 요크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상기 압입돌기(232a)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압입홈(212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입돌기(232a) 및 압입홈(212a)은 V자 또는 U자 형상이며, 상기 압입돌기(232a)는 상기 압입홈(212a)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자유도를 갖는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압입홈(212a)은 Y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압입돌기(232a)와 결합되어 상기의 액츄에이터(210)가 직교 방향(X축)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면서 Y축 방향으로만 가이드해 준다.
도 8과 같이 상기의 압입돌기(232a)는 압입홈(212a)으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액츄에이터(210)의 요크 플레이트(212)를 하 방향으로 눌러주면서, 압입홈(21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액츄에이터(210)의 요크 플레이트(212)에 압입돌기를 형성하고, 탄성 스프링(230)의 요크 고정편(232)에 홈을 형성하는 구조로 회전 방지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액츄에이터(210)의 요크 플레이트(212) 상에 X축 방향으로 압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요크 고정편(232)의 압입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회전 방지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221) 및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222)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210)의 스큐를 조정할 경우, 레디얼 스큐 조정용 나사(221)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터(210)가 X축 회전 모드로 회동하게 되고, 탄젠셜 스큐 조정용 나사(222)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터(210)가 Y축 회전 모드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액츄에이터(210)의 스큐 조정시, 기존에는 레디얼 스큐 조정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한 쪽으로 비틀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압입돌기(232a) 및 압입홈(212a)의 결합을 통해 액츄에이터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210)는 픽업 베이스(201)의 구형 돌기에 가이드 돌기가 걸쳐진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스큐를 조정하더라도, 요크 플레이트(212)의 압입홈(212a) 및 탄성 스프링(230)의 압입돌기(232a)로 인해 액츄에이터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해 준다.
따라서, 기존과 같은 액츄에이터의 요크 플레이트와 점 접촉이 아닌, 후크 구조 또는 홈 가이드 구조로 하여, 액츄에이터의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는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입홈 및 압입 돌기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스큐 조정시 액츄에이터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틀어짐에 의한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대물렌즈를 취부하고 픽업 베이스에 안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한 요크 플레이트와,
    픽업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 플레이트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는 요크 고정편을 갖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요크 고정편 및 요크 플레이트에 서로 대응하는 홈 및 돌기가 각각 형성된 회전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V자형 압입홈과, 요크 고정편에 형성되며 상기 V자형 압입홈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의 V자형 압입홈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의 V자형 압입홈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압입돌기와, 상기 요크 고정편에 형성되며 상기 압입돌기가 삽입되는 V자형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요크 플레이트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V자형 압입홈과, 상기 V자형 압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압입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요크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KR1020040004355A 2004-01-20 2004-01-20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KR10056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55A KR100569375B1 (ko) 2004-01-20 2004-01-20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55A KR100569375B1 (ko) 2004-01-20 2004-01-20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392A KR20050076392A (ko) 2005-07-26
KR100569375B1 true KR100569375B1 (ko) 2006-04-07

Family

ID=3726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355A KR100569375B1 (ko) 2004-01-20 2004-01-20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629B2 (en) 2017-02-27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emission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629B2 (en) 2017-02-27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emission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392A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022C (zh) 光学头、用于装配透镜的设备和方法
US6970411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and/or from optical information record disk
US6501710B2 (en) Actuator for optical pickup
JP3948028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US7830759B2 (en) Objective lens drive,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20060077809A1 (en) Optical pickup and disc drive apparatus
KR100522594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장치
KR200146342Y1 (ko) 디브이디용 슬라이딩 액츄에이터
US20070171777A1 (e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the same
JP2001067700A (ja) 光学ヘッド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852737B2 (en) Optical pickup
KR100569375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US5724324A (en) Optical pickup actuator with an objective lens fixing part suspended by an elastic members
KR100194348B1 (ko) 코일식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KR20060071254A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회전 방지 구조
US20100067352A1 (e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an optical pickup
JP2001176100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ヘッド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19972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4355710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KR100211818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JP200125673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304759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40070890A (ko) 광 픽업 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틸트장치
JPH10124880A (ja) 光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