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415B1 -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415B1
KR100387415B1 KR10-2000-0010456A KR20000010456A KR100387415B1 KR 100387415 B1 KR100387415 B1 KR 100387415B1 KR 20000010456 A KR20000010456 A KR 20000010456A KR 100387415 B1 KR100387415 B1 KR 10038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housing
housings
stacking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762A (ko
Inventor
사카모토마사미
마츠오카유타카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 하우징(20)이 다수의 서브하우징(20A),(20B),...을 상호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서브하우징(20A),(20B),..., 각각의 적층순서위치를 나타내는 순서식별부(40)는 상호 외관이 다르고 또한 충접되지 않으면서 동일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올바른 순서로 서브하우징(20A),(20B),...에 함께 적층될 때 이들 서브하우징(20A),(20B),...의 순서식별부(40)는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SPLICE ABSORBING CONNECTOR}
본 발명은 서브 하니스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 간에 스플라이스를 제거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서브하우징이 함께 적층되어 커넥터하우징을 형성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종래 조인트 흡수 커넥터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며, 그 자세한 것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에서 참조부호 100은 조인트 흡수 커넥터로서 여기서는 수지로 제조된 커넥터 하우징(110)으로 버스 바(120)가 삽입된다. 다수의 커넥터 삽입부(111)가 커넥터 하우징(110)에 일체로 몰드되고, 터브(tub)단자(121)가 커넥터 삽입부의 내측에서 버스 바(120)로부터 직립한다.
전선은 2가닥 이상의 서브하니스로부터 지선으로 나오며, 메이팅 커넥터(메일 커넥터)가 각 전선에 부착된다. 각 메이팅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각 커넥터 삽입부(111)에 끼워져 서브하니스로부터 상호 지선으로나온 전선을 접속하여 전선하니스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종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종래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로서 도 15a는 그 횡단면도이고, 도 15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통해 서브하니스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200)의 커넥터 하우징(210)은 다수의 유지홈(212)으로 분할된 단자수용챔버(211)를 갖는다.
한편, 전선(31a)(32a)이 최소한 2개 이상의 서브하니스(도 16에 도시함)로부터 분할된다. 단자(220)는 각 전선(31a)(32a)에 가압으로 끼워지는 한편 탄성접촉부(221)를 갖는다.
도 16 및 도 15a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니스(31)(32)를 조립한 후, 각 전선(31a)(32a)의 각 단자(220)는 커넥터 하우징(210)의 유지홈(212)에 끼워지고 상호 인근하는 단자(220)를 단자수용챔버(21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선(31a)(32a)을 상호 접속함으로써 전선하니스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조인트 흡수 커넥터(100)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10) 및 버스바(120)의 구조가 서브하니스(110) 또는 버스바(120)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서브하니스가 변화할 때 커넥터 하우징(110) 또는 버스바(120)는 서브하니스 상태에 따라 새롭게 설계된다. 즉, 종래의 조인트흡수 커넥터(100)는 서브하니스 조건의 변화에 유연성있게 따라갈 수 없다.
또, 이러한 구조는 조인트 흡수 커넥터(100) 및 이것에 끼워지는 짝으로서 메이팅 커넥터를 요하게 된다. 그 결과, 자동차에 위치하는 회로가 증대하고 조인트 흡수 커넥터(100)가 복잡하게되어 치수가 증대한다.
또,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200)에 있어서, 서브하니스(31)(32)를 조립한 후 서브하니스(31 또는 32)에서 지선으로 나온 전선(31a 또는 32a)에 끼워지는 각 단자(220)가 커넥터 하우징(210)의 각 유지홈(212)에 가압으로 끼워진다. 이 작업은 전선하니스의 작업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 각 단자(220)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자동차에 위치하는 회로가 증대하고 조인트 흡수 커넥터(100)가 복잡해지면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개수의 변화에 대해 커넥터 구성을 유연성 있게 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전체 치수가 콤팩트하며, 전선하니스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브하우징의 적층 순서를 외관으로부터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서브하우징의 적층 순서의 오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적층순서의 오류위치 및 오류형태를 즉시 판정할 수 있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형성하는 정면 입면도.
도 3은 서브 하우징의 적층 순서가 올바르게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기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3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4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5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6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7실시예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안한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조립된 상태에서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스플라이스 흡수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의 사시도.
도 13은 서브하니스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 조인트 흡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종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5a는 횡단면도이고, 도 15b는 종단면도.
도 16은 스플라이스 흡수커넥터를 통해 서브하니스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는 함께 적층된 다수의 서브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순서식별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순서식별부들은 상호 그 외관이 다르며, 상호 중첩되지 않는 상기 서브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공통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조립할 때 서브하우징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순서식별부(번호 또는 순서)에 따라 서브하우징이 함께 적층되며, 그 결과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함께 적층될 때, 상기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서브하우징의 각각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동일한 간격의 병렬형태로 상기 일측면 상에 형성된 3차원 또는 평면 마크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상기 일측면 상에 표시된 번호마크를 가지며, 각 서브하우징에서의 상기 번호마크의 번호는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가 상기 일측면에 각각 나타낸 여러 가지 색상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조립할 때 서브하우징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순서식별부(번호 또는 순서)에 따라 서브하우징이 함께 적층되며, 그 결과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함께 적층되면 이들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가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패턴을 보면서 작업자는 즉시 적층순서가 바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적층오류의 위치 및 형태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판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서브하우징의 각 순서식별부는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3차원 또는 평면마크를 포함하며, 올바른 순서로 서브하우징이 함께 적층될 때 순서식별부의 3차원마크 또는 평면마크가 함께 소정의 규칙을 갖는 3차원 또는 평면 구성패턴을 형성하며, 마크의 번호는 제1단 서브하우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최종단 서브하우징으로 가면서 증대한다.
예를들어 서브하우징 일측면 각각에 형성된 여러가지 색상에 의해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적층되면 이들 서브하우징의 색상이 소정의 순서(예를들어 적색 →초록→푸른색,...)로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함께 소정 규칙의 색상패턴을 형성한다.
작업자가 이와같은 3차원 또는 평면 패턴, 또는 색상패턴을 보고 이 패턴의 규칙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적층순서의 오류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오류부위 및 그 오류형태도 즉각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서브하우징의 일측면 전체가 구조적으로 또는 가상적으로 적층된 서브하우징의 개수와 동일한 구역으로 분할되며, 이들 구역이 순서식별부를 형성하게 된다. 적층위치에 대응하여 각 구역은 다른 구역과 상호 다른 외관을 갖게된다.
각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의 구역에는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여 번호마크가 표시되며, 각 서브하우징의 번호마크의 번호는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브하우징에 각각 표시된 번호마크에 따라서 서브하우징이 함께 적층되며, 이것에 의해 적층순서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이 올바르게 적층될 경우, 순서식별부에 각각 형성된 번호마크는 적층된 서브하우징의 대각선 상에 직선으로 배치되므로 이것에 의해 함께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 패턴이 형성된다.
예를들어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에는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제외하고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위치는 순서식별부에서 3차원 또는 평면마크의 위치에 따라 또는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없는 위치에 따라 식별이 가능하므로 적층순서의 오류 방지가 가능하다.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적층될 때 3차원 또는 평면 마크(순서식별부에 각각 형성된 것) 또는 순서식별부에 형성된 3차원 또는 평면 마크가 없는 서브하우징의 여러 구역들이 적층된 서브하우징의 대각선 상에 직선으로 배치되어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들어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서브하우징 각각의 순서식별부의 구역에는 특정 색상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서브하우징 각각의 순서식별부의 구역에만 색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색상을 갖는 순서식별부 구역 또는 색상이 없는 순서식별부 구역에 의해 각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적층될 때 색상을 갖는 순서식별부 또는 색상이 없는 순서식별부가 적층된 서브하우징의 대각선 상에 직선으로 배치되어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수용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그 조립된 상태에서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의해 서브하니스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3에 있어서,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100)는 최소한 2개의 서브하니스(31)(32)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1a)(32a)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단자(10) 및 이 단자(10)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단자(10)는 전선(31a)(32a)에 가압접속하기 위한 가압접속부(11), 판형 접촉부(12), 및 판형 접촉부(12) 위에서 뻗는 탄성 접촉부(13)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넥터 하우징(20)은 함께 적층된 2개의 서브하우징(20A)(20B), 상부 서브하우징(20A)의 상측에 부착된 상부덮개(24) 및 하부 서브하우징(20B)에 부착된 하부덮개(25)를 포함한다.
서브하우징(20A)(20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단자(10)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수용챔버(21)를 가진다.
단자수용챔버(21) 각각은 단자(10)의 판형접촉부(12)에 대응하는 하부개구(21a)와 단자(10)의 탄성접촉부(13)에 대응하는 상부개구(21b)를 포함한다.
서브하우징(20A)에서 단자수용챔버(21)에는 서브하니스(31)(도 13에 나타냄)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1a)의 단자(10)가 수용되고, 서브하우징(20B)에서 단자수용챔버(21)에는 서브하니스(32)(도 13에 나타냄)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2a)의 단자(10)가 수용된다.
단자수용챔버(21)에 단자(10)가 수용될 때 하부개구(21a)를 통해 판형접촉부(12)가 노출되는 한편 상부개구(21b)를 통해 탄성접촉부(13)가 노출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우징(20A)(20B)의 대향면 각각의 상하부에는 리테이닝 클로우(22) 및 리테이닝 루프부(23)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서브하우징(20A)(20B)이 함께 적층될 때 상부 서브하우징(20A)의 리테이닝 루프부(23)가 하부 서브하우징(20B)의 리테이닝 클로우(22)에 각각 끼워져 2개의 서브하우징(20A)(20B)을 함께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브하우징(20A)의 하부개구(21a)가 각각 서브하우징(20B)에서의 상부개구(21b)와 연통하고, 서브하우징(20B)의 단자수용챔버(21)에 수용된 각 단자(10)의 탄성접촉부(13)가 서브하우징(20A)의 단자수용챔버(21)에 수용된 대응단자(10)의 판형접촉부(12)와 접촉한다.
그 결과, 서브하니스(31)(도 13)의 전선(31a)이 서브하니스(32)의 전선(32a)에 각각 접속된다(수직방향에서의 스플라이스가 흡수된다).
동일한 서브하우징(20A)(20B)에서 인근 단자수용챔버(21)에 각각 수용되는 단자(10)가 함께 접속될 때(즉, 수평방향에서의 스플라이를 흡수하는 경우), 가압으로 단자(10)의 제조 중에 형성되는 캐리어(상호접속 밴드)(14)의 관련부분이 남아서 적합하게 구부려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자(10)가 함께 접속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덮개(24)는 서브하우징(20A)의 리테이닝 클로우(22)에 각각 끼워지는 리테이닝 루프부(23)를 갖는다. 상부덮개(24)는 서브하우징(20A)의 상부측에 부착되어 단자수용챔버(21)에 각각 형성된 상부개구(21b)를 폐쇄한다.
따라서, 각 단자(10)의 탄성접촉부(13)가 서브하우징(20A)의 대응 상부개구(21b)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부덮개(25)가 가지고 있는 리테이닝 클로우(22)는 서브하우징(20B)의 리테이닝 루프부(23)에 각각 결합한다. 하부덮개(25)는 서브하우징(20B)의 하측에 부착되어 단자수용챔버(21)에서 각각 형성된 하부개구(21a)를 폐쇄한다.
따라서, 각 단자(10)의 판형접촉부(12)가 서브하우징(20B)의 대응 하부개구(21b)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서브하우징(20A),(20B),...,의 개구를 증감시켜 커넥터 하우징(20)을 형성함으로써 서브하니스(31)(32)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1a)(32a)의 개수 변화, 접속패턴의 변화에 대해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100)가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스플라이스 흡수커넥터(100)는 2개 이상의 서브하우징(20A)(20B)을 포함하므로 이들 서브하우징에 의해 함께 결합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2 방향 즉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의 회로가 증대하여 복잡화되어도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전체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서브하니스(31)용 단자(10)는 서브하우징(20A)에서만 끼울 필요가 있고, 서브하니스(32)용 단자도 역시 서브하우징(20B)에서만 끼울 필요가 있으며, 2개의 서브하니스(31)(32)가 완료된 이후 서브하우징(20A)(20B)을 함께 적층하는 것만으로 서브하니스(31)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1a)을 서브하니스(32)로부터 지선으로 나온 전선(32a)에 각각 접속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선하니스의 제조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또, 동일 서브하우징(20A 또는 20B)에서 인근 단자수용챔버(21)에 각각 수용되는 단자(10)가 함께 접속될 수 있으며, 이때 프레싱가공으로 단자(10)를 제조하는 중에 형성된 캐리어를 이용하게 된다.
그 밖에도 인근단자(10)가 용이하게 함께 접속될 수 있으며, 캐리어(14)를 남겨 절단함으로써 상호 접속 및 절연이 용이하다.
제1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이며, 도 3은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에 대해 오류유무를 판정하는 검사기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는 도 10의 커넥터를 개량한 것으로서, 이 것과 같은 부품은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a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1)는 6개의 서브하우징(20A)(20B)(20C)(20D)(20E)(20F)을 포함하며, 이들 서브하우징(20A-20F)의 일측면(본 실시예의 경우는 앞면)(20a)에는 각각 순서식별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서브하우징은 상호 중첩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평편 상에 배치된다.
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40)는 상호 외관이 다르고 서브하우징(20A-20F)의 일반적 소정의 적층순서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일측면(20a)은 가상적으로 6개의 구역(40a)(40b)(40c)(40d)(40e)(40f)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구역의 개수는 함께 적층되는 서브하우징(20A-20F)의 개수와 동일하다. 또, 순서식별부(40)를 형성하는 볼록한 3차원(입방) 마크(41)(41)(41)(41)(41)가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각 서브하우징(20A-20F)의 구역(40a-40f)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적층위치순서에 대응하는 각 서브하우징(20A-20F)의 구역(40a-40f)에만 3차원 마크(41)가 형성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위치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제1단 서브하우징(20A)의 순서식별부(40)의 제1구역(40a)에는 3차원마크(41)가 형성되지 않고, 제2단 서브하우징(20B)의 순서식별부(40)의 제2구역(40a)에도 3차원마크(41)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1)에 있어서는, 3차원마크(41)가 없는 순서식별부(40)의 구역(40a-40f) 위치에 따라 각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같이 교정순서로 서브하우징(20A-20F)을 함께 적층할 때 순서식별부(40)에 3차원마크(41)가 없는 각 구역(40a-40f)이 적층 서브하우징(20A-20F)의 대각선 상에 직선형으로 배치되므로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도 2B에 나타낸 바와같이 오류가 발생할 경우는 순서식별부(40)에 3차원마크(41)가 없는 각 구역(40a-40f)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지 않으므로 일상적인 아닌 인상을 주는 불규칙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와같은 3차원 구성 패턴을 보고 이것이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가를 판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간단하고도 즉각적으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에 대한 오류 여부 및 그 오류위치 및 형태 까지도 판정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오류인가의 여부는 도 3에 나타낸 검사기구를 사용하여서도 또한 판정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검사기구(90)에는 적층된 서브하우징(20A-20F)으로 분리 진퇴가능하게 배치된 검사기구본체(91)가 있다.
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40)의 구역(40a-40f)(6 ×6 = 36 구역 ; 도 2a 참조)에 각각 대응하는 가동검출핀(92)이 검사기구본체(91)에 수용된다.
검출핀(92)의 후방에는 이 검출핀(92)의 후퇴를 각각 검출하는 스위치(93)가 배치된다.
검사기구(90)에 있어서, 레버(94)가 작동하여 검사기구본체(91)를 서브하우징(20A-20F)으로 향하게 이동시킬 때 순서식별부(40)의 관련 3차원마크(41)에 각각 접하는 검출핀(92) 만이 후퇴하여 관련 스위치(93)를 각각 동작시킨다.
이러한 스위치(93)의 동작에 따라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올바른 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올바른지의 여부는 통상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기(도시안됨)를 사용하여서도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형성하는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순서식별부(40)의 구역(40a-40f)에만 3차원마크(41)가 형성되며,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위치가 표시된다. 즉, 순서식별부(40)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기에 설명한 것과는 반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적층순서위치는 순서식별위치(40)에 형성된 3차원마크(41)의 위치에 따라 식별될 수 있으므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이 올바르게 되어 있을 때 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40)에 각각 형성된 3차원마크(41)가 서브하우징(20A-20F)의 대각선 상에서 직선으로 배치되므로 함께 소정의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올바르지 못하면 순서식별부(40)에 각각 형성된 3차원마크(41)가 규칙적인 방법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일정하지 못한 인상을 주는 불규칙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3차원 구성패턴을 시각적으로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판정함으로써 패턴이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오류의 발생부분과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우징(20A-20B) 각각의 일면(20a)에 형성된 순서식별부(40)는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한 개수의 3차원마크(41)를 가지며, 이 마크는 평행하게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적층순서위치는 순서식별부(40) 상의 3차원마크(41)의 번호에 따라 식별되며, 그에따라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a에서와 같이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이 바른 순서로 되어 있으면 순서식별부(40)의 3차원마크(41)가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 3차원 구성패턴을 형성하여 3차원마크(41)의 번호가 제1단 서브하우징(20A)에서 최종단 서브하우징(20F)으로 진행하면서 순차 하나씩 증대한다.
한편, 도 5b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에 오류가 있으면 3차원마크(41)는 소정의 규칙성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비일상적인 인상을 주는 불규칙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3차원 구성패턴을 시각적으로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판정함으로써 패턴이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함으로써즉각적으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오류의 발생부분과 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도 6b 및 도 6c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순서식별부(40)에 형성된 3차원마크(41) 대신에 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50)의 소정의 구역(50a)(50b)(50c)(50d)(50e)에 평면마크(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역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상기 제1, 제2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외관으로 명확히 식별이 가능하므로 그 적층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오류의 발생부분과 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도 7b 및 도 7c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순서식별부(40)에 형성된 3차원마크(41) 대신에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60)의 소정의 구역(60a)(60b)(60c)(60d)(60e)에 색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역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상기 제1, 제2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외관으로 명확히 식별이 가능하므로 그 적층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오류의 발생부분과 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서브하우징의 정면입면도이다.
도 8a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서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일측면(20a)은 가상으로 6개의 구역(70a)(70b)(70c)(70d)(70e)(70f)로 분할되며, 그 개수는 함께 적층된 서브하우징(20A-20F)의 개수(6개)와 같다. 순서식별부(70)를 형성하는 번호마크(71)("1" - "6")는 적층순서위치와 대응하는 각 서브하우징(20A-20F)의 구역(70a-70f)에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서브하우징(20A-20F)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번호마크 "1" - "6"에 따라서 서브하우징(20A-20F)이 함께 적층되므로 적층순서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올바른 순서로 서브하우징(20A-20F)이 함께 적층되어 있으면 서브하우징(20A-20F)의 순서식별부(7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번호마크(71)가 적층된 서브하우징(20A-20F)의 대각선 상에 직선으로 배치되어 소정의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한다.
도 8b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 순서식별부(70)를 형성하는 번호마크(71)("1 - "6")는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일측면(20a)에 표시되고, 서브하우징(20A-20F)의 각 번호마크(71)의 번호("1" - "6)가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서브하우징(20A-20F)에 각각 표시된 번호마크 "1" - "6"에 따라 서브하우징(20A-20F)이 함께 적층되므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제7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제7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의 정면입면도이다.
도 9a 도시된 본 실시예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순서식별부(80)를 형성하는 여러가지 색상(81)이 서브하우징(20A-20F)의 일측면(20a)에 가해진다.
예를들면, 제1단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80) 색상(81)은 빨강이고, 제2단 서브하우징의 색상(81)은 초록이며, 제3단 서브하우징의 색상(81)은 푸른색 등이다. 따라서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에 따라서 적절한 색상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색상(81)은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으로 순서식별부(80)의 색상(81)에 따라서 각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 순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같이 올바른 순서로 서브하우징(20A-20F)이 함께 적층될 때, 이들 서브하우징의 색상(81)이 소정의 순서로 배치된다(예를들어 빨강 →초록→푸른색,...,) 그 결과 소정의 규칙성을 갖는 색상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서브하우징(20A-20F)의 적층순서가 도 9b에 나타낸 바와같이 오류가 있을 때 이들 서브하우징의 색상(81)이 함께 소정의 색상패턴과는 다른 색상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색상패턴을 시각적 또는 다른 수단으로 판정하여 그 적층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즉각적으로 적층순서의 오류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오류의 발생부분과 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를 외관으로 명확히 식별할 수 있으므로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즉각적으로 오류발생부분과 그 발생형태에 대해서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1)

  1. 커넥터 하우징 전체가 다수의 서브하우징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에 있어서,
    함께 적층된 다수의 서브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서브하우징의 적층순서위치를 각각 표시하는 순서식별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순서식별부들은 상호 그 외관이 다르며, 상호 중첩되지 않는 상기 서브하우징의 일측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공통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순서로 함께 적층될 때, 상기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함께 소정 규칙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상기 일측면 상에 표시된 번호마크를 가지며, 각 서브하우징에서의 상기 번호마크의 번호는 적층순서위치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의 각각의 상기 순서식별부는 동일한 간격의 병렬형태로 상기 일측면 상에 형성된 3차원 또는 평면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의 순서식별부는 상기 일측면에 각각 나타낸 여러가지 색상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 각각의 상기 일측면 중 일부 또는 전체가 함께 적층된 서브하우징의 개수와 같은 수만큼의 구역으로 구조적으로 또는 가상적으로 분할되며, 이 분할된 구역은 상기 순서식별부를 형성하고,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대응하는 적층순서위치에 따라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번호마크가 표시되고,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번호마크의 번호는 적층순서번호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에는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제외하고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에 색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11. 제6항에 있어서,
    각 서브하우징의 상기 순서식별부의 상기 구역들 각각에는 적층순서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제외하고 3차원 또는 평면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KR10-2000-0010456A 1999-03-03 2000-03-02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KR100387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505599A JP3701495B2 (ja) 1999-03-03 1999-03-03 スプライス吸収コネクタ
JP1999-55055 1999-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762A KR20000076762A (ko) 2000-12-26
KR100387415B1 true KR100387415B1 (ko) 2003-06-18

Family

ID=1298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456A KR100387415B1 (ko) 1999-03-03 2000-03-02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61355B1 (ko)
EP (1) EP1033786B1 (ko)
JP (1) JP3701495B2 (ko)
KR (1) KR100387415B1 (ko)
AT (1) ATE267473T1 (ko)
CA (1) CA2300000C (ko)
DE (1) DE60010778T2 (ko)
ES (1) ES222034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41B1 (ko) * 2007-02-16 2008-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적층식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식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7924U (en) * 2002-01-11 2003-10-11 Hon Hai Prec Ind Co Ltd Packing box for electrical connector
US6902441B2 (en) * 2003-09-12 2005-06-07 Alcoa Fujikura Limited Modular layered stackable connector system
US9153960B2 (en) 2004-01-15 2015-10-0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utilizing interchangeable tips to provide power and a data signal to electronic devices
US6976885B2 (en) * 2004-03-02 2005-12-20 Mobility Electronics, Inc. Keyed universal power tip and power source connectors
US7056149B1 (en) * 2004-11-12 2006-06-0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Key coded power adapter connectors
US7642671B2 (en) * 2006-04-28 2010-01-05 Acco Brands Usa Llc Power supply system providing two output voltages
JP4705618B2 (ja) * 2007-09-14 2011-06-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積層コネクタ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US8221157B2 (en) * 2009-09-21 2012-07-17 Ideal Industries, Inc. Connector assemblies with integrated wiring diagra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354760B2 (en) * 2009-10-28 2013-01-15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to simultaneously power multiple electronic device
DE102010019020A1 (de) 2010-05-03 2011-1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pelbare Klemmträgerelemente für Flachbaugruppen
JP5735231B2 (ja) * 2010-07-30 2015-06-1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端子台
JP5637015B2 (ja) * 2011-03-04 2014-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8839B2 (ja) * 2011-05-12 2014-05-14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202600189U (zh) * 2012-05-31 2012-12-1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适配器组件和连接器组件
JP6236645B2 (ja) * 2013-08-21 2017-11-29 日東工業株式会社 アダプタ保持部材
JP6268602B2 (ja) * 2014-09-05 2018-01-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1091275B2 (en) 2015-10-22 2021-08-17 Droneovation, Inc. Aerial drone operations support base
US10381770B1 (en) * 2018-02-27 2019-08-13 Ohio Associated Enterprises, Llc Protective grid for linear electrical contact array
JP7132273B2 (ja) * 2020-04-24 2022-09-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22104569U1 (de) * 2022-08-11 2023-11-16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Klemme mit verrastend geschlossenem Isolierstoffgehä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C (de) * 1877-07-26 W. HlERONIMUS, Buchdruckereibesitzer, in Köln Selbstthätiger Bogenableger für Druckerpressen und ähnliche Appar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7583A (en) * 1955-01-07 1958-10-21 Western Union Telegraph Co Molded modular terminal block
US3457640A (en) * 1964-12-17 1969-07-29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fabricating an electrical coupler
DE2142048A1 (de) 1971-08-21 1973-03-01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olefinpolymerisaten
JPS504697B2 (ko) 1971-08-24 1975-02-22
JPS5216432B2 (ko) 1972-09-20 1977-05-09
JPH04115785A (ja) 1990-09-06 1992-04-16 Sony Corp 輝点検出装置
JPH0561984A (ja) 1991-09-03 1993-03-12 Nikon Corp 有向グラフ表示装置
JP3319624B2 (ja) * 1993-02-24 2002-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機器用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JP3275278B2 (ja) 1994-05-30 2002-04-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
JP2938780B2 (ja) 1995-02-20 1999-08-25 サンクス株式会社 並列多芯ケーブル相互接続用コネクタ
JPH09237668A (ja) 1996-02-29 1997-09-09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19709694C2 (de) * 1997-03-10 1999-01-28 Herbert Amrhein Markierungsmittel zur Kennzeichnung der Anschlüss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Buchsenleisten, sowie von Bauteilen der physikalischen Techni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C (de) * 1877-07-26 W. HlERONIMUS, Buchdruckereibesitzer, in Köln Selbstthätiger Bogenableger für Druckerpressen und ähnliche Appar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41B1 (ko) * 2007-02-16 2008-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적층식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식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1495B2 (ja) 2005-09-28
EP1033786B1 (en) 2004-05-19
EP1033786A3 (en) 2001-06-27
CA2300000A1 (en) 2000-09-03
CA2300000C (en) 2002-12-24
ATE267473T1 (de) 2004-06-15
KR20000076762A (ko) 2000-12-26
JP2000252003A (ja) 2000-09-14
DE60010778D1 (de) 2004-06-24
US6361355B1 (en) 2002-03-26
ES2220342T3 (es) 2004-12-16
EP1033786A2 (en) 2000-09-06
DE60010778T2 (de)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415B1 (ko) 스플라이스 흡수 커넥터
EP078222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US5745622A (en) Hybrid plug-type connector with modular electrical and light waveguide connections
KR102638730B1 (ko) 커넥터
CN104115334B (zh) 包覆电线的端子连接结构、线束以及包覆电线的端子连接方法
US7153150B2 (en) Waterproof interconnect structure for engaging electrical wire
US5114363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nd colored strip
CN101401263B (zh) 电线连接结构
JP201352441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におけるバスバーパターン識別方法
US7479047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JP2011204463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EP1324433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5259722A (ja) スプライス吸収コネクタ並びにサブハウジングの積層順序の正誤判定方法及びその装置
EP1577982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continuity inspection jig assembly fitted on the electrical junction box
JP6490460B2 (ja) ワイヤハーネス、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JP6630051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分岐構造
US20040174238A1 (en) A plugboard for housing sockets and micro-relays
JP200307012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該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形成方法
JP3295806B2 (ja) レセプタクル側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KR20210033200A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1745A (ja) 電気接続箱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電気接続箱を接続した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3943480B2 (ja) コネクタ
JP3990097B2 (ja) 電気接続箱
KR200248243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KR20090115562A (ko) 차량용 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