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34A -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34A
KR20220030634A KR1020200112227A KR20200112227A KR20220030634A KR 20220030634 A KR20220030634 A KR 20220030634A KR 1020200112227 A KR1020200112227 A KR 1020200112227A KR 20200112227 A KR20200112227 A KR 20200112227A KR 20220030634 A KR20220030634 A KR 2022003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ture
terminal
key code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634A/ko
Publication of KR2022003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고정구(50)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설치홀(18)이 있는 커넥터하우징(10)과, 터미널고정구(50)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고정구(50)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로 돌출되어 키코드부(55)가 된다.

Description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having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고정구가 조립되는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전기제어나 전원분배를 위해서 다양한 커넥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암/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에는 키코드(KEY CODE)가 적용되기도 하는데, 키코드(KEY CODE)는 같은 종류의 커넥터 중에서 상대커넥터(예를 들어 암커넥터)에 맞는 커넥터(수커넥터)를 구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즉, 키코드(KEY CODE)는 일종의 식별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대커넥터의 형상이 해당 커넥터의 키코드(KEY CODE)의 형상 및 위치와 일치해야만 해당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4778는 키코드가 적용된 커넥터를 공개하고 있다.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커넥터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키코드(KEY CODE)를 가지는 커넥터들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키코드(KEY CODE)에 맞는 커넥터들을 개별적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커넥터들마다 별도의 생산수단(금형 등)을 마련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커넥터들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수가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9902에는 키코드를 커넥터에 조립할 수 있는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는 작업자가 키코드를 일일이 커넥터에 조립해야 하고, 특히 커넥터의 정확한 위치에 키코드를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커넥터에는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터미널고정구가 조립되기도 한다. 이러한 터미널고정구가 커넥터에 조립되면 터미널의 한쪽을 지지해서 터미널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터미널고정구를 커넥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를 사용해야 하고, 지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터미널고정구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477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99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조립시에 커넥터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키코드부가 터미널고정구에 구비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미널고정구를 커넥터에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설치홀이 있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로 돌출되어 키코드부가 된다.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개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 중 어느 하나의 개방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있는 고정구몸체, 상기 고정구몸체에서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를 차폐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키코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고정구몸체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대커넥터와의 조립방향을 따라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조립공간에서 돌출되며,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키코드부의 주변을 메울 수 있다.
상기 조립공간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립공간은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표면에는 가이드펜스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키코드부 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키코드부 보다 더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고정구설치홀은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설치홀에는 터미널고정구가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조립되고, 상기 제1터미널에 접촉하는 제2터미널이 내부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로 돌출되어 키코드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키코드부를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조립될 때 상기 키코드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키코드부가 커넥터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물로 구성되지 않고,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되는 터미널고정구에 마련된다. 키코드부가 터미널고정구에 구비되므로 커넥터하우징 자체는 공용화할 수 있다. 따라서, 키코드부의 형태마다 커넥터하우징을 다르게 만들 필요가 없고, 커넥터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터미널고정구에 구비된 키코드부는 커넥터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일종의 버튼역할을 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돌출된 키코드부를 눌러서 터미널고정구를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가조립상태로 돌릴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터미널고정구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구에 의한 터미널고정구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키코드부는 터미널고정구의 양쪽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누를 수 있는 부분도 양쪽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키코드부를 누를 때 들어가는 힘이 줄어들어 키코드부를 분리하기 쉬어지고, 터미널고정구가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분해되는 과정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고정구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일실시례를 위쪽 및 아래쪽에서 각각 보인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정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고정구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넥터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키코드부(55)를 구비한다. 커넥터와 맞는 상대커넥터(미도시)가 조립되면 키코드부(55)가 상대커넥터와 간섭되지 않지만, 맞지 않는 상대커넥터가 조립되면 키코드부(55)가 상대커넥터와 간섭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키코드부(55)를 중심으로 커넥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로 칭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0)이 만드는데,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몸체(11)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상대커넥터의 하우징(미도시)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수납홀(12)이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홀(12)은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전후 방향은 상기 커넥터에 상대커넥터가 조립되는 방향과 같다. 상기 터미널수납홀(12)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수납홀(12)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다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면(11)에는 체결부(13)가 있다. 상기 체결부(1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상대커넥터의 하우징이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부(13)는 체결턱이다. 상기 체결부(13)에는 상대커넥터의 체결후크가 탄성변형을 통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3)를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양쪽에는 가이드펜스(15)가 돌출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가이드펜스(15)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펜스(15)의 안쪽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상의 조립공간(16)이 마련되는데, 상기 조립공간(16)은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메울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5)는 외력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서 돌출된 키코드부(55)에 미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가이드펜스(15)가 상부로 돌출되므로, 외력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부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가이드펜스(15)에 간섭되어 키코드부(55)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펜스(15)는 상기 키코드부(55)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펜스(15)는 상기 키코드부(55) 보다 더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다.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키코드부(55)의 상면 보다 상기 가이드펜스(15)의 상면(15a)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도면부호 t는 상기 키코드부(55)의 상면과 상기 가이드펜스(15)의 상면(15a)의 높이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이드펜스(15)의 안쪽에는 조립공간(16)이 있다.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으로, 여기에는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조립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조립공간(16)에 삽입될 때, 키코드부(55)가 간섭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와 맞는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상대커넥터에 있는 회피부(미도시)가 상기 키코드부(55)와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회피부는 상기 키코드부(55)의 형상에 맞도록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형성된 체결부(13)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13)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두 조립공간(16)들에서 각각 돌출되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고정구설치홀(18)이 있다.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50)가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전후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고정구(50)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구설치홀(18)도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저면에 입구(18a)가 있고,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면에 출구(18b)가 있다. 여기서 상기 입구(18a)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삽입되는 입구(18a)를 의미하고, 출구(18b)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를 구성하는 상기 키코드부(55)의 일부가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출구(18b)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면 중에서 상기 조립공간(16)에 위치한다.
도 3을 보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가 상기 터미널고정구(50)에 의해 막혀 있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를 막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저면(56)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저면(56)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를 완전히 막을 수 있다.
도 4(a)를 보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길이방향, 즉 상기 터미널수납홀(12)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가장자리 쪽에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키코드부(55)가 통과하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반대쪽인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는 도 4(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를 보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와 달리, 상기 체결부(13)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된다. 양쪽의 두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는 서로 떨어져 있고,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두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를 통해서 각각 상기 키코드부(5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개방부(도면부호 미부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부들은 2개로 구성되는데,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2개의 개방부들은 상대적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바깥쪽, 즉 상기 가이드펜스(15)에 가까운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 보다 상기 체결부(13)에 가까운 개방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b)를 보면, 상기 가이드펜스(15)에 가까운 개방부가 상기 체결부(13)에 가까운 개방부 보다 상대적으로 좌측(상대커넥터로부터 먼 위치)에 치우쳐져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물론, 2개의 개방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출구(18b)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처럼 단차를 두고 구분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개방부들이 이렇게 단차를 두고 형성되면, 작업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는 키코드부(55)의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미널고정구(50)를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고정구(50)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입구(18a)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걸어 주는 것이다. 도 2를 보면,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고정구몸체(51)는 대략 얇은 입체형상이고, 여기에는 다수개의 통과홀(52)이 있다. 상기 통과홀(52)을 통해 상기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는데, 통과한 터미널의 한쪽이 상기 통과홀(5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고정구(50)에는 조립돌기(53)가 있다. 상기 조립돌기(53)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표면에서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돌기(53)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있다. 상기 조립돌기(53)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내부에 있는 조립홈(미도시)에 걸려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해준다.
이때,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안쪽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터미널고정구(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1차조립(가조립) 및 2차조립(완전조립)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1차조립되면 상기 통과홀(52)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터미널수납홀(12)과 연결되어서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홀(12) 및 상기 통과홀(52)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더욱 깊게 삽입되면 2차조립되는데,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2차조립되면 상기 통과홀(52)이 터미널수납홀(12)과 어긋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통과홀(52)의 주변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걸어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다수개의 조립홈들이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조립돌기(53)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면 1차조립되거나 2차조립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몸체(51)에는 결합몸체(54)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몸체(54)는 상기 고정구몸체(51)에서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 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결합몸체(54)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를 차폐해줄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결합몸체(54)의 상면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를 가로막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몸체(54)는 상기 고정구몸체(51)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몸체(54)에는 키코드부(55)가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조립공간(16)에 돌출되어, 상기 조립공간(16)을 가로막는 형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넥터와 맞는 상대커넥터(미도시)가 조립되면 키코드부(55)가 상대커넥터와 간섭되지 않지만, 맞지 않는 상대커넥터가 조립되면 키코드부(55)가 상대커넥터와 간섭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한다.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에 있는 다수개의 개방부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돌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설치홀(18)의 출구(18b)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개방부들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바깥쪽, 즉 상기 가이드펜스(15)에 가까운 개방부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두 개의 결합몸체(54)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양쪽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기 키코드부(55)는 맞지 않는 상대커넥터가 삽입되지 못하도록 간섭하는 역할도 하지만, 이처럼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이를 누를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작업자가 P방향으로 키코드부(55)를 눌러서 상기 터미널고정구(50) 전체가 아래쪽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미널고정구(50)는 2차조립상태에서 1차조립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키코드부(55)가 일종의 버튼이 되어,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상기 터미널고정구(50)를 1차조립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양쪽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누를 수 있는 부분도 양쪽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키코드부(55)를 누를 때 들어가는 힘이 줄어들어 키코드부(55)를 분리하기 쉬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54)와 상기 키코드부(55)는 상기 터미널고정구(50)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분해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는 100번대의 도면부호가 부여되었고,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커넥터하우징(110)은 앞선 실시례의 커넥터하우징(10)과 동일한 구조이고, 터미널고정구(150)의 형태만 다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키코드부(155)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이 아니라 상기 터미널고정구(150)에 구비되므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의 형태는 커넥터의 종류마다 다르게 만들어질 필요가 없고, 공용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서로 다른 키코드부(155) 형태를 상기 터미널고정구(150)에 만들면 상기 커넥터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기 키코드부(155)가 상기 터미널고정구(150)의 결합몸체(154)의 상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안쪽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키코드부(155)는 상기 고정구설치홀(118)의 출구(118b)에 있는 다수개의 개방부들 중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의 안쪽, 즉 상기 체결부(113)에 가까운 개방부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키코드부(155)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의 가이드펜스(115)와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코드부(155)의 위치에 맞는 회피부를 갖는 상대커넥터만이 상기 커넥터에 조립될 수 있고, 맞지 않는 상대커넥터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커넉터하우징 12: 터미널수납홀
13: 체결부 15: 가이드펜스
16: 조립공간 18: 고정구설치홀
18a: 입구 18b: 출구
50: 터미널고정구 52: 통과홀
54: 결합몸체 55: 키코드부

Claims (11)

  1.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설치홀이 있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로 돌출되어 키코드부가 되는 터미널고정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개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 중 어느 하나의 개방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개방부들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있는 고정구몸체;
    상기 고정구몸체에서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를 차폐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키코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고정구몸체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대커넥터와의 조립방향을 따라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키코드부는 상기 조립공간에서 돌출되며, 상기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키코드부의 주변을 메우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간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조립공간은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표면에는 가이드펜스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키코드부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펜스는 상기 키코드부 보다 더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설치홀은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11.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구설치홀에는 터미널고정구가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조립되고, 상기 제1터미널에 접촉하는 제2터미널이 내부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구설치홀의 출구로 돌출되어 키코드부가 되며,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키코드부를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조립될 때 상기 키코드부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200112227A 2020-09-03 2020-09-03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20030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7A KR20220030634A (ko) 2020-09-03 2020-09-03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27A KR20220030634A (ko) 2020-09-03 2020-09-03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34A true KR20220030634A (ko) 2022-03-11

Family

ID=8081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27A KR20220030634A (ko) 2020-09-03 2020-09-03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6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902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 장치
KR101344778B1 (ko) 2007-07-30 2013-12-26 타이코에이엠피(유) 패널 고정식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78B1 (ko) 2007-07-30 2013-12-26 타이코에이엠피(유) 패널 고정식 커넥터
KR20110009902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810B2 (en) Connector
EP261097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4991B2 (en) Waterproof connector sealing member and waterproof connector
US6582256B2 (en) Connector
CN108736198B (zh) 连接器
EP2495821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9379473B2 (en) Connector
JP5808504B2 (ja) 電気的なカップリングエレメント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EP2381539B1 (en) Electrical connector
EP205771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thereof
US6068522A (en) Block connector
CN110945722B (zh) 连接器
US7479047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KR20220030634A (ko)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20190081427A1 (en) Connector
JP4987624B2 (ja) 分割式コネクタ
US20200006885A1 (en) Stacked connector and wire harness
WO2021131664A1 (ja) コネクタ
JP2000315546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10461456B2 (en) Connector
JP2002184511A (ja) コネクタ
JP2012014862A (ja) コネクタ
US11205869B2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58674B1 (ko) 커넥터조립체용 오조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