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43Y1 -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43Y1
KR200248243Y1 KR2020010018100U KR20010018100U KR200248243Y1 KR 200248243 Y1 KR200248243 Y1 KR 200248243Y1 KR 2020010018100 U KR2020010018100 U KR 2020010018100U KR 20010018100 U KR20010018100 U KR 20010018100U KR 200248243 Y1 KR200248243 Y1 KR 200248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fixing member
guide rail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찬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8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43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전후면 양측의 종방향에 다수열로 배열된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며, 단자 삽입구 각 열의 일측면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된 커넥터; 커넥터의 안내레일에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레일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다수 형성된 단자 고정부재; 단자 고정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넥터의 단자 삽입구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를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편; 및 단자 고정부재가 커넥터의 안내레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Terminal fix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생활에서 자동차가 없는 생활은 상상도 못할 정도로 자동차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자동차는 편리한 생활의 도구이지만 그 만큼 사고의 위험성도 크다.
20세기 기계문명의 정수인 자동차산업은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이래 두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을 통해 비약적인 기술의 발전을 이룩하여 이제는 완숙의 경지에 이르렀다. 자동차는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 인간의 삶의 질을 높히는데 만을 기여를 하였으나, 소음, 배기 등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한편, 국내 자동차 산업은 최근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이미 자동차 생산대수에 있어 세계 5위에 진입하였다. 선진 외국의 기술모방과 도입으로 급속하게 발전한 단계를 지나 독자적 기술개발의 단계에 들어섰으나, 아직도 세계 최고가 되기에는 많은 도전이 남아 있다. 이러한 자동차 산업은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자동차 기술의 향상에는 수송기계 기술분야 뿐만 아니라 공학의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필요한 산업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 산업은 생산액, 고용, 수출 등 국민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그 나라의 경제발전이나 경기순환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한 나라의 산업에 기간역할을 한다. 따라서, 국가는 공업발전과 경제성장 및 고용확대를 위하여 자동차 산업을 국가적 전략산업, 기간산업, 선도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이 발전하면 초기에는 수입대체효과를 가지며, 국산화와 경제규모를 확보하여 국제경쟁력을 갖게되면 수출산업으로 전략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은 관련산업의 생산성과 기술수준을 높혀 주며, 자동차 수출국으로의 진입은 그 나라 공산품의 품질수준을 인정하는 척도로 평가받게 된다.
특히, 자동차 수요는 국민총생산, 1인당 소득, 자동차 가격, 도로, 교통 등 하부 산업구조의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보유대수와 보급율은 그 나라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등 국민경제의 수준을 가름하는 척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여기서의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는 자동차에서 전원 단자와 시그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는 자동차의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되어 각 종 퓨즈, 릴레이 및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은 전원 단자측과 시그널 단자측이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커넥터 기술에 있어 종래에는 커넥터의 단자 삽입구에 체결되는 단자가 단자 삽입구에 체결된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단자 삽입구에 체결된 단자는 가벼운 힘에 의해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단자는 그 위치가 조금이나마 변하게 되어 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이종 단자와의 결합시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커넥터 설치 및 조립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이종 단자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 단자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커넥터에 단자 고정부재의 결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를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에 의한 단자의 걸림 유지 전 상태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에 의한 단자의 걸림 유지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커넥터 110. 단자 삽입구
120. 안내레일 122. 걸림턱
200. 단자 고정부재 202. 삽입편
210. 걸림편 212. 경사면
220. 걸림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는 전후면 양측의 종방향에 다수열로 배열된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며, 단자 삽입구 각 열의 일측면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된 커넥터; 커넥터의 안내레일에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레일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다수 형성된 단자 고정부재; 단자 고정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넥터의 단자 삽입구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를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편; 및 단자 고정부재가 커넥터의 안내레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은 커넥터의 안내레일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레일에 체결되는 단자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과 걸림 유지되어 단자 고정부재가 커넥터의 안내레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커넥터에 단자 고정부재의 결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를 보인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에 의한 단자의 걸림 유지 전 상태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 는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부재에 의한 단자의 걸림 유지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는 단자 삽입구(110) 각 열의 일측면으로 안내레일(120)이 형성된 커넥터(100), 각 안내레일(120)에 체결되는 삽입편(202)이 형성된 단자 고정부재(200), 삽입편(20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자(112)를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편(210) 및 단자 고정부재(200)를 안내레일(120) 상에 고정시키는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는 커넥터(100)의 안내레일(120)에 단자 고정부재(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단자 삽입구(110)에 단자(112)를 삽입하게 되면 단자(112)가 단자 고정부재(200)의 걸림편(210)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212)을 따라 걸림편(210) 상단의 단턱(214)에 걸림 유지됨으로써 단자(112)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커넥터 단자 고정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커넥터(100)의 구조를 보면, 커넥터(100)의 양측에는 종방향으로 3개 열의 단자 삽입구(110)가 배열되고, 각각의 열 일측면으로는 안내레일(120)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레일(120)은 단자 삽입구(110)와 내통되어 있는 상태이고, 단자 삽입구(110)의 열이 3개 열이기 때문에 안내레일(120) 또한 3개가 형성된다.
단자 고정부재(200)는 안내레일(120)에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안내레일(120)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 단자 고정부재(200)는 안내레일(120)이 3개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 역시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3개가 형성된다. 이때, 3개의 삽입편(202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걸림편(210)은 커넥터(100)의 단자 삽입구(110)에 삽입된 단자(112)를 걸림 유지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 걸림편(210) 각각은 단자 고정부재(200) 삽입편(202)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걸림편(210)의 구조는 단자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되는 단자(112)가 걸림편(210)의 의해 저지되지 않도록 걸림편(210)의 하부는 경사면(212)이 형성되고, 걸림편(210)의 상단은 단자(112)의 일측이 걸림 유지될 수 있도록 단턱(214)이 형성된다. 즉, 단자 고정부재(200)가 안내레일(120)에 먼저 체결된 상태에서 단자(112)가 삽입되기 때문에 걸림편(210)에 의해 삽입되는 단자(112)가 저지되어서는 아니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따라서, 걸림편(210)의 하부는 삽입되는 단자(112)가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면(212)으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은 단자 고정부재(200)가 안내레일(1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은 커넥터(100)의 안내레일(120)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2) 및 걸림턱(122)이 형성된 안내레일(120)에 체결되는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 일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턱(122)과 걸림 유지되어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이 커넥터(100)의 안내레일(1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220)로이루어진다.
전술한 걸림턱(122)은 안내레일(120)의 일측면 즉, 안내레일(120)이 형성된는 일측 벽면 상에 형성된다.
한편, 걸림돌기(220)는 걸림턱(122)이 형성된 안내레일(120) 부분에 체결되는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 일측면 즉, 걸림편(210)이 형성된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는 먼저,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을 안내레일(120) 상에 체결하여 안내레일(1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22)과 단자 고정부재(200)의 삽입편(202)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20)를 통해 단자 고정부재(200)를 커넥터(100) 내측에 고정시킨다.
단자 고정부재(200)를 안내레일(120)에 체결 고정시킨 후 커넥터(100)의 단자 삽입구(110)에 단자를 삽입하게 되면, 단자(112)는 걸림편(210)의 경사면(212)을 따라 이동되어 상단의 단턱(214)에 의해 걸림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종 커넥터의 단자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이종 단자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에 체결되는 단자를 고정시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 단자간의 결합 작업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2)

  1. 전후면 양측의 종방향에 다수열로 배열된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 삽입구 각 열의 일측면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안내레일에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다수 형성된 단자 고정부재;
    상기 단자 고정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단자 삽입구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를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편; 및
    상기 단자 고정부재가 상기 커넥터의 안내레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고정부재 고정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안내레일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레일에 체결되는 단자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걸림 유지되어 상기 단자 고정부재가 상기 커넥터의 안내레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KR2020010018100U 2001-06-18 2001-06-18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KR200248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00U KR200248243Y1 (ko) 2001-06-18 2001-06-18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00U KR200248243Y1 (ko) 2001-06-18 2001-06-18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43Y1 true KR200248243Y1 (ko) 2001-10-31

Family

ID=7310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00U KR200248243Y1 (ko) 2001-06-18 2001-06-18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765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2004000226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information technology
JP2008124055A (ja) ヒューズ収容部付きプリント基板および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19990023687A (ko) 인쇄 회로 기판 소켓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056136B2 (en) Floatin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for
US7425156B2 (en) Connector structure
US5921810A (en) Short-circuit terminal assembly
US8867220B2 (en) Packaging board with visual recognition windows
KR200248243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KR100376728B1 (ko) 자동차용 커넥터
KR200248242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고정구조
EP1087468A1 (en) Connector terminals for junction connector used in wire harnesses
KR100440816B1 (ko) 자동차의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KR200252570Y1 (ko) 커넥터의 고정구조
JPH11285132A (ja) 電気接続箱
KR200252571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단자 위치 보호구조
JPH1116635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のコネクタ嵌合部のロック構造
US5511991A (en) Connector having a symmetrical retainer for allowing insertion in an inverted orientation
EP0891124A2 (en) Three-dimensio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JP4250025B2 (ja) 電気接続箱の補強構造
JP4055383B2 (ja) 電気接続箱
KR200248241Y1 (ko) 자동차용 커넥터
JPH0911561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252569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결합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