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159B1 -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159B1
KR100372159B1 KR10-2000-0026868A KR20000026868A KR100372159B1 KR 100372159 B1 KR100372159 B1 KR 100372159B1 KR 20000026868 A KR20000026868 A KR 20000026868A KR 100372159 B1 KR100372159 B1 KR 10037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dditive
weight
soybean meal
bacillus
bacillus subti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036A (ko
Inventor
윤병대
이석준
박찬선
김희식
서동진
박용일
문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Priority to KR10-2000-002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1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hydrolysates of wood or stra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대두박을 고초균 및 균류로 가수분해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대두박의 소화흡수율이 개선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 관한것으로, 대두박 및 물을 가온살균기에 넣고 살균하고, 미리 배양된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1~20중량%로 접종한 다음 적절한 교반 및 지속적인 제균에어의 공급하에서 20~40℃에서 0.5~5일동안 배양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발효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는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체내에 일정기간동안 소화기관내에 정상 균총으로 정착할 수 있는 생균제로 작용하여 소화효율이 증대되고 질소배출량이 감소된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A METHOD FOR PREPARING FEED ADDITIVE AND FEED ADDITIVE THERE FROM}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대두박의 소화흡수율이 개선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초균 및 균류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미리 가수분해된 대두박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따라 제조된 대두박 사료첨가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가축에 이용하는 방법은 동물체내에서 효소생산과 정장을 목적으로 하며, 사용되는 미생물 종류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용되며 신균주의 경우 많은 현장실험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액체발효에 의한 생균제는 고체성 배합사료와 혼합이 어려우며 대량생산, 보관 및 안정성 문제를 수반하여, 실제로는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원료 및 첨가제로의 이용이 낮고, 사용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거의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축사료에 이용되는 영양원중에서 대두박은 영양이 풍부하여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대두박을 자연 그대로 배합사료로 이용하는 경우 가축들 특히, 돼지와 닭과 같은 소화시간이 짧은 가축의 장내에서는효율적으로 분해되지 못한다. 따라서, 대두박을 가축에게 사료로 공급할때 가축이 충분히 소화할 수 있도록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리 분해하여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섭취시 소화가 용이하고 질소배출량이 적은 대두박 사료첨가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대두박을 미리 가수분해하는 대두박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섭취시 소화가 용이하고 질소배출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정상 균총으로 정착할 수 있는 생균제로 이용가능한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i)대두박 30~70중량%와 물 30~70중량%를 가온 살균기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
ii)교반 후, 121℃이상에서 30분이상 가열한다음 10~50℃로 냉각하는 단계;
iii)냉각후, 미리 배양된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1~20중량%로 접종하는 단계; 및
iV)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접종된 대두박을 교반 및 지속적인 제균에어 공급하 20~40℃로 0.5~5일동안 배양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로 발효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대두박은 가축에게 단백질원을 제공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는 사료첨가제이다. 그러나 돼지 및 닭과 같이 소화시간이 짧은 가축의 장내에서는 효율적으로 분해되지 못해 체내 이용율이 40~50%로 현저히 낮은 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료에 첨가되는 대두박을 고초균 및 균류와 같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소화흡수율이 개선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고초균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같은 균류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프로테아제)와 섬유소 가수분해효소(셀룰라아제)를 고농도로 분비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초균 및 균류를 이용하여 대두박을 가수분해하여 발효시키면 소화에 용이한 형태로 분해되어 소화율이 개선된 사료첨가제가 제조되는것이다.
대두박 30~70중량%와 물 30~70중량%를 가온살균기에 넣고 교반한다. 일반적으로 발효시 필요로하는 물의 양은 30~70중량%이며, 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그 다음, 대두박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그리고 다른균의 오염 방지를 위해 고온 수증기를 이용하여 121℃이상에서 30분이상 가열하여 살균한 다음 발효조건에 적당한 온도인 10~50℃로 냉각한다. 10℃이하 및 50℃이상의 온도에서는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발효되지 않음으로 10~50℃로 냉각한다. 25~40℃로 냉각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후, 진탕플라스크내의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에서 약 24~48시간동안 미리 배양된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1~20중량%로 물과 혼합, 가열, 냉각된 대두박에 접종한 다음, 교반 및 지속적인 제균에어의 공급하에 20~40℃로 0.5~5일동안 배양 가수분해하여 발효시킨다.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1중량%미만으로 접종하면, 접종량이 너무 적어 발효되지 않을 수 있으며, 20중량%이상으로 접종하더라도 더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으로 비경제적이다. 1~10중량%의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접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양온도를 20℃미만 또는 40℃이상으로하는 경우, 균이 자라지 못해 발효가 이루어지지않는다. 바람직한 배양온도는 25~40℃이며, 보다 바람직한 배양온도는 35~39℃이다.
발효기간을 0.5~5일동안으로 한정한 이유는 5일이상 발효할 경우 균이 영양소로 이용되어 고갈될 수 있으며 0.5일이하로 발효할 경우 가수분해가 충분히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접종된 상기 혼합물을 배양시 대두박이 고르게 발효,가수분해되도록 하기 위해 교반하고 다른 균으로 오염되는 방지하기 위해 제균에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나아가, 상기 대두박 30~70중량%와 물 30~70중량%의 혼합물에 대두박 30~50중량%, 당밀 2~5중량%, 인산칼슘 0.2~0.7중량% 및 황산마그네슘 0.02~0.5중량%를 첨가 혼합할 수 있다. 이는 대두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효하기위한 것이며, 일반적인 액체발효조건과 대두박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최적의 조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대두박 40중량%, 당밀 3.0중량%, 인산칼슘 0.5중량% 및 황산마그네슘 0.1중량%이 첨가 혼합된다.
나아가 대두박의 발효가 완료된 후, 발효산물에 사료첨가제내의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열에 안정하고 내산성을 갖도록 다당류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 때, 다당류는 0.5~5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돈을 이용한 시험결과 다당류를 0.5~5중량%로 첨가한 경우 증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중량%이상으로 첨가한 경우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어 그 이상의 양은 불필요하다.
특히 미생물 유래 다당류는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다당류로서 자체적으로 열안정성 및 내산성을 갖음으로 발효산물에 첨가됨으로써 고초균 및 균류를 코팅하게되고 상기 균류가 가축의 장내에서 일정기간 생존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두박 사료첨가제는 쉽게 소화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소화기관내에 일정기간동안 정상 균총으로 정착할 수 있는 생균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다당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베타-글루칸(β-glucan), 레반(levan), 잔탄검(Xanthan gum) 및 풀루란(pullullan), 폴리사카라이드-7(Polysaccharide-7), 셀룰로오즈, 주글란(zooglan), 젤란(gellan) 및 커드란 (curdlan)이 사용된다.
나아가 발효가 완료후, 필요한 영양원을 보충하기위해 상기 발효산물에 곡류, 강류 및 박류와 같은 영양분이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은 사료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양으로, 예를들면 곡류 20~70중량%, 강류 10~50중량% 및 박류 2~30중량%로 첨가된다.
또한, 대두박의 발효완료된 후, 상기 발효산물을 수분함량이 7~10%가 되도록 50~60℃에서 12~24시간동안 열풍 건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료첨가제를 동물에게 투여할때 고체사료를 공급하기때문에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시 수분 함량을 7~10%로 하는 이유는수분함량이 10%이상이면 다른 균의 오염 가능성이 있으며 7%미만이면 사료첨가제내에 존재하는 고초균 및/또는 균류의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되기 때문이다. 건조온도를 50~60℃로 하는 이유는 60℃이상의 온도에서는 사료첨가제내에 존재하는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사멸되며 50℃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면 건조시간이 너무 길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바실러스 폴리미샤(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티커스(Bacillus amylolyticu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균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세이토이(Aspergillus saitoi) 및 아스퍼질러스 포에니시스 (Aspergillus phoenicis)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고초균을 이용한 대두박의 발효
대두박 50중량%와 물 50중량%을 가온 살균기에 넣어 교반한 후 고온 수증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30분 가열한다음 30℃로 냉각하였다. 37℃의 진탕플라스크내의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에서 약 30시간동안 미리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배양액을 상기 혼합물에 10중량%로 접종하였다. 적절한 교반을 유지하고 제균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24시간동안 37℃에서 배양 가수분해하여 발효시켰다.
총질소 대비 가수분해된 대두박의 단백질 농도를 로리-포린(Lowry-Folin)발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가수분해도는 약 33%이었다.
실시예 2: 고초균을 이용한 대두박 혼합물의 발효
발효조에 대두박 2.0중량%, 당밀 3.0중량%, 인산칼슘 0.5중량%, 황산마그네슘 0.1중량% 및 잔부의 물로 구성된 배지를 첨가한 후 121℃에서 30분동안 살균한후 30℃로 냉각시켰다. 37℃의 진탕플라스크내의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에서 약 30시간동안 미리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을 상기 혼합물에 10중량%로 접종하였다. 적절한 교반을 유지하고 제균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24시간동안 37℃에서 배양 가수분해하여 발효시켰다.
총질소 대비 가수분해된 대두박의 단백질 농도를 로리-포린(Lowry-Folin)발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가수분해도는 약 43%이었다.
실시예 3: 균류(fungus)를 이용한 대두박의 발효
대두박 40중량% 및 물 60중량%를 가온살균기에 넣어 교반한 후 고온 수증기를 이용하여 121℃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30℃로 냉각한 다음 28℃의 진탕플라스크의 PDB배지에서 미리 배양된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배양액을 10중량%로 접종하였다. 적절한 교반을 유지하고 제균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24시간동안 28℃에서 배양 가수분해하여 발효시켰다. 발효후, 상기 발효산물에 다당류 2.0중량%로 혼합한 후 60℃에서 12시간동안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이내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총질소 대비 가수분해된 대두박의 단백질 농도를 로리-포린(Lowry-Folin)발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가수분해도는 약 23%이었다.
실시예 4: 사료첨가제의 제조
혼합기에 실시예 2에서 얻은 발효산물에 옥수수 30중량%, 미강 15중량%, 밀기울 5중량%를 첨가, 혼합하고 60℃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이내가 되도록 건조하여 사료첨가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돼지에 급여하는 사료효과 시험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가 나타내는 향상된 소화흡수율을 알아보기 위해 21일령 이유자돈에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급여하여 증체량을 조사하였다.
총 50두의 21일령 이유자돈을 사용하여 25두(암컷 13두, 수컷 12두)에는 실시예 4에의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나머지 25두(암컷 13두, 수컷 12두)에는 옥수수 30중량%, 미강 15중량%, 밀기울 5중량% 및 발효, 가수분해되지않은 대두박 50중량%로 조성된 사료첨가제를 42일동안 급여하였다.
급여하기전, 후의 체중을 측정하여 평균 증체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균 개시체중(kg) 평균 종료체중(kg) 1일 1두당 증체량(g)
대조군 4.82 17.40 414.0
실시예 4.84 18.61 443.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경우에 있어서, 대조군에비해 평균 약 1.2kg이상 체중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된 대두박 사료첨가제가 대두박을 그대로 가축에게 급여하는 경우보다 향상된 소화흡수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는 대두박을 가축에게 공급하는데 있어서, 대두박을 고초균 및/또는 균류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가축의 소화를 촉진시키고, 따라서 질소배출량을 간접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체내에 일정기간동안 소화기관내에 정상 균총으로 정착할 수 있는 생균제로써 배합사료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ⅰ) 대두박 30~70 중량%와 물 30~70 중량%를 가온 살균기에 넣고 교반하는 단계;
    ⅱ) 교반 후, 121 ℃이상에서 30분 이상 가열한 다음 10~50 ℃로 냉각하는 단계;
    ⅲ) 냉각 후, 미리 배양된 고초균 및/또는 균류 배양액을 1~20 중량%로 접종하는 단계;
    ⅳ) 고초균 및/또는 균류가 접종된 대두박을 교반 및 지속적인 제균에어 공급하에 20~40 ℃로 0.5~5일 동안 배양,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ⅴ) 다당류를 0.5~5 중량% 첨가,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다당류는 베타-글루칸(β-glucan), 레반(levan), 잔탄검(Xanthan gum) 및 풀루란(pullullan), 폴리사카라이드-7(Polysaccharide-7), 셀룰로오즈, 주글란(zooglan), 젤란(gellan) 및 커드란(curdlan)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바실러스 폴리미샤(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아밀로리티커스(Bacillus amylolyticus)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균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세이토이(Aspergillus saitoi), 아스퍼질러스 포에니시스 (Aspergillus phoenicis)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9. 제3항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000-0026868A 2000-05-19 2000-05-19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037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868A KR100372159B1 (ko) 2000-05-19 2000-05-19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868A KR100372159B1 (ko) 2000-05-19 2000-05-19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36A KR20000054036A (ko) 2000-09-05
KR100372159B1 true KR100372159B1 (ko) 2003-02-14

Family

ID=1966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868A KR100372159B1 (ko) 2000-05-19 2000-05-19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8B1 (ko) * 2000-07-26 2002-10-18 문병헌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및 아연 아세테이트가 함유된가축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59239B1 (ko) * 2002-03-20 2004-12-03 (주)진바이오텍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변이균주 gb-106 및 이를 이용한 대두 효소식품 생산 방법
KR100459240B1 (ko) * 2002-06-10 2004-12-03 (주)진바이오텍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gb-107을 이용한 사료용 발효대두 펩티드의 생물학적 가공 방법
KR100857771B1 (ko) * 2006-10-26 2008-09-09 주식회사 바이넥스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를 포함하는 어류사료첨가용조성물
KR100889397B1 (ko) * 2007-03-28 2009-03-19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친환경 가축 사료 조성물
KR100877396B1 (ko) * 2007-08-29 2009-01-07 안영배 마늘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증강제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면역증강제
KR101139027B1 (ko) * 2009-09-09 2012-04-27 씨제이제일제당 (주)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101157618B1 (ko) * 2009-09-30 2012-06-19 이소영 대두단백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대두단백질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20120006606A (ko) * 2010-07-13 2012-01-19 이대용 바실러스속 고온성 균주 Bacillus pumilus OYR 0108(SARC_BSS) 및 이를 이용한 대두박이 함유된 어분의 제조방법
KR20120006601A (ko) * 2010-07-13 2012-01-19 옥임호 바실러스속 고온성 균주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LSK 0604(SARC_BSL) 및 이를 이용한 대두박이 함유된 어분의 제조방법
KR101493954B1 (ko) * 2013-05-23 2015-02-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발효 콩 가공부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833093B1 (ko) * 2014-05-09 2018-04-16 씨제이제일제당 (주) 개량된 발효 대두박의 제조방법
KR101709248B1 (ko) * 2014-12-18 2017-03-08 한국화학연구원 팜 과육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용 생균제, 이의 제조 및 이용 방법
KR102092851B1 (ko) * 2017-08-31 2020-03-24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두 발효물의 제조 방법
CN107549450A (zh) * 2017-10-22 2018-01-09 长沙秋点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饲料及其生产工艺
KR101971984B1 (ko) * 2018-10-05 2019-04-24 한석주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57A (ja) * 1981-07-04 1983-01-20 Kikuo Kosugi 豆腐粕と醤油粕を利用して醤油粕を脱臭すると同時に飼料乃至納豆菌製剤を製造する方法
JPS59128334A (ja) * 1983-01-13 1984-07-24 Sanwa Kagaku Kenkyusho:Kk 家畜・家禽飼料用添加剤
JPS63301757A (ja) * 1987-05-30 1988-12-08 Meika Boeki Kk 醗酵大豆粕を主原料とする養殖魚類用餌料
JPS6486842A (en) * 1987-09-30 1989-03-31 Calpis Food Ind Co Ltd Feed additive
KR950006250A (ko) * 1993-08-06 1995-03-20 이헌조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강판형 소음기구조
KR980001275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뒷문 애시트레이구조
JPH11289994A (ja) * 1998-04-09 1999-10-26 Hideaki Tanaka 栄養バランスのとれた添加剤を入れた配合飼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57A (ja) * 1981-07-04 1983-01-20 Kikuo Kosugi 豆腐粕と醤油粕を利用して醤油粕を脱臭すると同時に飼料乃至納豆菌製剤を製造する方法
JPS59128334A (ja) * 1983-01-13 1984-07-24 Sanwa Kagaku Kenkyusho:Kk 家畜・家禽飼料用添加剤
JPS63301757A (ja) * 1987-05-30 1988-12-08 Meika Boeki Kk 醗酵大豆粕を主原料とする養殖魚類用餌料
JPS6486842A (en) * 1987-09-30 1989-03-31 Calpis Food Ind Co Ltd Feed additive
KR950006250A (ko) * 1993-08-06 1995-03-20 이헌조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강판형 소음기구조
KR980001275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뒷문 애시트레이구조
JPH11289994A (ja) * 1998-04-09 1999-10-26 Hideaki Tanaka 栄養バランスのとれた添加剤を入れた配合飼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36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159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CN101449744B (zh) 多功能生物活性水产饲料添加剂
CN102599351B (zh) 一种含有生物酶和微生物的复合饲料添加剂及其制备工艺
CN101182564B (zh) 一种促水产动物生长和提高抗病力的功能水产肽及其制备方法
CN105661011A (zh) 一种功能性生物蛋白饲料发酵剂及发酵蛋白饲料
CN104054902A (zh) 一种混合菌种固态发酵生产发酵豆粕的工艺
CN104920806A (zh) 一种混菌多步发酵制备麸皮蛋白饲料的方法
CN103609862A (zh) 一种联合酶解法和发酵法提高芝麻粕饲用营养价值的方法
CN101209088A (zh) 一种促进仔猪生长和发育的微生物多酶添加剂
CN104054903A (zh) 一种发酵棉粕的生产工艺
CN114601041A (zh) 一种改善牦牛肉质的青稞酒糟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773996A (zh) 一种饲用枯草芽孢杆菌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875935B (zh) 一种含有益生菌的乳仔猪专用复合酶及其制备方法
CN101849618A (zh) 一种饲用复合酶的生产方法
CN104232547A (zh) 一种用于羊饲料的微生物菌群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2375701A (zh) 改善牛羊等反刍动物肠道环境的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10103114A (ko)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CN102823733A (zh) 一种基于纳豆芽孢杆菌的生物饲料添加剂的生产方法
CN111011629A (zh) 一种无抗生素仔猪饲料的制备方法
CN109123726A (zh) 一种饲料用发酵鱼粉的制备方法
CN105994940B (zh) 一种生物活性蛋白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190790B1 (ko) 신규 바실러스 속 cjb-01 균주 및 사료 첨가제
CN112369528A (zh) 改善禽类肠道环境的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890011A (zh) 一种饲用小肽粉的生产制备方法
CN112825980A (zh) 基于微生物发酵生产畜牧水产用含葡萄糖氧化酶功能型活性肽粉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