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984B1 -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984B1
KR101971984B1 KR1020180119008A KR20180119008A KR101971984B1 KR 101971984 B1 KR101971984 B1 KR 101971984B1 KR 1020180119008 A KR1020180119008 A KR 1020180119008A KR 20180119008 A KR20180119008 A KR 20180119008A KR 101971984 B1 KR101971984 B1 KR 10197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probiotics
heat
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주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한석주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주, 김병기 filed Critical 한석주
Priority to KR102018011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합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의 사육에 사용함으로써 반추위내 산중독 방지와 비육후기 때의 사료섭취 중단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체중량(증체량) 출하체중 증가 및 도체등급 향상으로 맛있는 한우 고품질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Mixed probiotics using heat-treated whole fat soybea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 quality Korean native steers meat by using the mixed probiotics}
본 발명은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FTA 출범 등으로 축산물의 무한 경쟁시대에 돌입하여 축산물 수입 물결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 축산업의 당면과제는 축산물의 생산비 절감과 품질고급화 또는 기능성 축산물의 생산으로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수입에 대응하는 차별화된 축산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농가들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부존자원을 이용하여 타지역과 차별화된 축산물을 생산하여 고품질 한우육 생산 및 육질개선과 성장률 촉진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우고급육 생산을 위한 농가들의 노력에는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적으로 한우개량으로서, 이는 농장 자체에서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 다음으론 많이 사용하는 방법의 하나가 첨가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농가마다 사료급여 프로그램에 준하여 사육관리를 하고 있지만, 농장마다 특성과 농장주의 노하우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근래 들어 고능력우 젖소에서는 유단백질과 유생산량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에너지와 보호아미노산의 첨가급여하는 방법을 널리 이용해왔고(Thomas et al., 1984), 이러한 방법을 한우 비육우에게도 적용시험한 결과, 보호지방 및 보호라이신과 보호메티오닌을 1일 100g씩 첨가급여하면 도체중과 육량, 육질등급이 다소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손호진, 2017). 비육우에게 보호지방산의 첨가 급여는 반추위내 메탄 발생량을 줄여 지질의 정미 에너지 이용성을 개선함은 물론 체내 지방 합성관련 대사경로에서 아세테이트 혹은 글루코오스 대신 장쇄 지방산(long-chain fatty acids)의 직접적인 사용(Machmuller et al., 2000) 및 소장으로 유입되는 지방산 함량(Fearon et al., 1994)을 증가시켜 비육우의 근내지방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보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의 경우 혈액에서 지질의 수송 및 지질의 생합성 과정에서 메틸기전이(transmethylation) 반응을 위한 메틸 공여체의 역할을 일정 부분 담당하기 때문에 근내지방도 침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비육우의 일당증체량과 에너지 이용성은 소장으로 공급되는 아미노산의 양과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다양한 반추위 미분해 단백질 사료들이 비육우의 아미노산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곡류사료는 한가지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이 결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육 한우의 사양조건에서 라이신과 메티오닌은 제한 아미노산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한 아미노산은 반추위내 분해를 줄이고 소장내에서의 소화 이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추위 보호형태(캡슐)의 공급이 필요하며, 이러한 보호라이신과 메티오닌의 첨가급여는 비육우의 증체 혹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Wright & Loerch, 1988).
한편, 생균제의 경우는 장내 기관에 따라 산소농도, pH 등의 환경이 다르므로 단일 균주로 만들어진 것보다 몇 가지 균주를 혼합해서 만든 복합생균제가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백인기, 1989). 한우 비육우의 생균제 첨가는 일당 증체량의 증가와 육질이 개선되며(강수원 등., 1993, Kim et al., 2016), 송아지의 경우에는 질병예방 및 일당증체량, 사료효율 등이 개선된다고 하였다(최재국 등., 1991).
1. Thomas, P. C. et al. Recent Advances in Animal Nutrition, pp.219-243 (1984) 2. 손호진. 비육후기때의 지방 및 단백질 첨가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93-99(2017) 3. Machmuller, A. et al. Anim. Feed Sci. Technol. Vol.85, pp.41-60(2000) 4. Fearon, A. M. et al. J. Sci. Food Agric. Vol.66, pp.247-256(1994) 5. Wright, M. D. and Loerch, S. C. J. Anim. Sci. vol.66, pp.2014-2027(1988) 6. 백인기. 한국영양사료학회지, vol.13, pp.175-183(1989) 7. 강수원 등, 한국영영사료학회지. Vol.17, pp.93-101(1993) 8. 최재국 등, 한국축산학회지. Vol.33, pp.144-152(1991)
본 발명의 목적은 거세한우의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생균제 등을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에 급여함으로써 품질을 개선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물이 12 내지 15%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 과정을 거친 발효물과 보호아미노산 및 지방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생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농후사료를 13 내지 15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0%의 상기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8 내지 1.2%의 상기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의 사육에 사용함으로써 반추위내 산중독 방지와 비육후기 때의 사료섭취 중단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체중량(증체량) 출하체중 증가 및 도체등급 향상으로 맛있는 한우 고품질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물이 12 내지 15%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 과정을 거친 발효물과 보호아미노산 및 지방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생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는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여기에 보호아미노산과 지방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거세한우의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의 반추위내 산중독 방지와 비육후기 때의 사료섭취 중단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체중량(증체량) 출하체중 증가 및 도체등급 향상으로 맛있는 한우 고품질육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보조제는 미생물(생균 배양물)의 발효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동량의 감초, 포공영, 산사자, 진피, 곽향, 당귀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내지 25 ℃에서 2 내지 6 개월 동안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생균 배양물은 생균의 액체배양액으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us oryzae),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효모 등을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밀기울 30 내지 40 중량부, 쌀겨 5 내지 15 중량부, 단백피 1 내지 5 중량부, 옥수수 분말 3 내지 10 중량부, 당밀 1 내지 5 중량부, 점토광물질 0.5 내지 1.5 중량부, 엿기름 분말 0.2 내지 1.5 중량부 및 비타민-미량광물질 0.2 내지 1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질은 SiO2(60% 이상), Al2O3(11% 이상), 및 미량의 Fe, Ca, Mg, Na 등이 함유된 제오라이트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전지대두는 통상 식용콩으로 수입된 제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분류되는 찌끄래기콩을 파쇄하여 열처리(악스트루딩)한 것으로 일컫는 것으로, 기름을 짜지 않은 그대로의 열처리콩이다. 상기 열처리 전지대두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는 구체적으로 발효기에 열처리 전지대두와 부형제를 투여하고 멸균 처리 후 냉각하고, 45 내지 60℃로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및 생균 배양물을 발효기에 넣고 45 내지 50 ℃, 수분 50 내지 70% 정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고, 다시 50 ℃ 이하에서 40 내지 50시간 정도 건조 및 숙성시켜 수분함량이 12 내지 15%가 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발효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1000 kg에 대하여 10 내지 20 L의 한방보조제 및 생균 배양물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한방보조제 및 생균 배양물의 혼합물은 생균 배양물 및 한방보조제를 1: 6 내지 8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는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발효 후 건조한 다음 보호아미노산과 지방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보호아미노산으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을 사용한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아미노산은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방은 보호불포화지방산일 수 있으며,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는 추가로 비타민 C, 셀레늄, 효모균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에 함유된 미생물은 1×106 내지 1×08 cfu/g 정도이며,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유효기간은 약 6개월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사료 1톤당 0.1 내지 1.5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농후사료를 13 내지 15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0%의 상기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8 내지 1.2%의 상기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은 소의 사육기간을 육성기(7 내지 12 개월령),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 및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로 나누고 비육전기, 중기 및 후기의 각 단계별로 사료첨가제를 달리 사용하여 거세한우에 급여함으로써 반추위내 산중독 방지와 비육후기 때의 사료섭취 중단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체중량(증체량) 출하체중 증가 및 도체등급 향상으로 맛있는 한우 고품질육을 생산할 수 있고, 사료비용을 높이지 않아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육전기에는 복합생균제의 처리 없이 농후사료를 급여하고, 비육중기에는 0.2 내지 1.0%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하는 농후사료를, 비육후기에는 0.8 내지 1.2%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하는 농후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육전기 및 비육중기의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32 내지 34 중량%, 소맥 8 내지 10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2 내지 4 중량%, 소맥피 5 내지 6 중량%, 단백피 16 내지 18 중량%, 대두박 1 내지 2 중량%, 채종박 4 내지 6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8 내지 10 중량%, 포도박 2 내지 4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중량%, 석회석 2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육후기의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40 내지 43 중량%, 소맥 7 내지 9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1 내지 3 중량%, 소맥분 0.5 내지 2 중량%, 소맥피 3 내지 5 중량%, 단백피 13 내지 16 중량%, 채종박 3 내지 5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7 내지 9 중량%, 포도박 2 내지 3 중량%, 정제염 0.5 내지 1 중량%, 석회석 1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육성기의 사료는 복합생균제 없이 일반적인 TMF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생균제의 제조
시험재료는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 원료로 하는 복합생균제의 제조과정과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종균의 액체배양 과정
복합생균제 제조를 위한 기초적인 종균 미생물의 배양단계로서 혼합배양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도 1).
① 황국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us oryzae; KCTC 46446, 1.0×1010 cfu/g)과 고초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2213, 1.0×1010 cfu/g)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전북분원)으로부터 분양을 받아 균주를 배양하는 과정이다. 즉, 멸균된 NB(Nutrient Broth) 배지 2개의 100 mL와 종균 각각 1 loop을 접종하여 shaking incubator내에서 35℃, 120 rpm, 24시간 동안 혼합(액체, 고체)배양으로 반복·배양하고,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총 2 L의 종균배양액을 생산하여 준비해 놓았다.
제2단계 : 미생물 발효 촉진을 위한 한방보조제 제조과정
② 감초, 포공영, 산사자, 진피, 곽향, 당귀, 인삼 각 1 kg와 물 250 L를 넣고 큰 가마솥에서 1시간 30분∼2시간 동안 푹 삶아 추출물을 얻고, 250 L의 옹기(단지)에 추출물 200 L와 흑설탕 30 kg와 혼합 후 상온 20℃∼25℃에서 3개월간 발효시켰다.
③ 상기 ②의 발효 후 3개월째에 개봉하여 걸러서 나온 순수 액기스 발효액 13 L와 ①의 종균배양액 2 L를 잘 혼합한 후 총 15 L의 희석배양액을 사전 준비해 놓았다.
제3단계 : 복합생균제 제조과정
④ 2,000 L 발효기(Fermentor)를 이용하여 재료혼합물(100%: 1,000 kg 기준시): 열처리 전지대두(60%: 600 kg)와 발효촉진 부형제{밀기울(20%: 200 kg), 쌀겨(8%: 80 kg) 단백피(3%: 30 kg), 옥수수 분말(5%: 50 kg), 당밀(2%: 20 kg), 점토광물질(1.0%: 10 kg), 엿기름 분말(0.5%: 5 kg), 비타민 및 미량광물질(=시판중인 뉴트리빗골드 0.5%: 5 kg)} 먼저 투입하여 150 ℃, 2시간 멸균처리한 후 냉각하여 온도가 50 ℃ 정도로 떨어지면 상기 총 15 L의 희석배양액과 물 30 L를 혼합, 접종한 후 발효기(Fermentor)에 넣고 내부온도 45∼50 ℃, 최대 수분 60% 이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발효배양을 시켰다. 그 후 자동온도 제어장치가 있는 건조 숙성실에서 다시 50 ℃ 이하에서 48시간 건조, 숙성시킨 후 생균제의 수분함량이 15∼12% 정도되었을 때, 추가로 메티오닌, 라이신, 코팅비타민 C(=시판중인 메트 C)를 각각 10 kg씩, 그리고, 셀레늄 5 kg(=시판중인 소마미트), 효모균제 5 kg (=시판중인 다이야몬드-XP, USA) 5 kg, 보호불포화지방산 5 kg(=시판중인 바이패스메이트, Japan)을 투입하여 30분간 다시 완전 혼합(Mixed)한 후 전부 꺼내어 규격에 맞게 제품을 포장하였다.
제4단계 : 제품의 포장판매
⑤ 제품 포장 및 유통에서 포장된 생균제내 보증된 유효 미생물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us oryzae)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각각 1×107 cfu/g 이상이며, 유효기간은 6개월이며, 사료 톤당 0.2∼1.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복합생균제를 이용한 소의 사육 실험
사육 실험을 위해, 포항시 소재 한우 비육농장에서 생후 13개월령 내외의 평균체중 347.13∼354.13 kg의 거세한우로 연령과 체중이 비슷한 한우 거세우 32두(4두씩×2반복×4처리)를 표 1과 같이 배치하여 생후 30개월까지 비육단계별에 따른 적정 첨가량과 첨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공시축의 사료급여는 1일 2회로 나누어 오전 09:00과 오후 17:00에 사료를 급여하였고, 잔량은 익일 오전 사료급여 전에 잔량을 칭량하여 1일 총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고 1일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 총 증체량을 나누어 환산하였다. 그리고 물과 린칼블럭은 자유채식하였다. 조사료는 톨페스큐 건초를 자유채식시켰다. 첨가제는 본 실험을 위하여 자체 생산된 복합생균제를 처리구에 따라 두당 1일 급여량의 0.5∼1.0%까지 탑드레싱 방식으로 첨가하여 섭취토록 하였고, 체중측정은 3개월에 한번 측정하여 비육단계별로 평균치로 산출하였다. 이때 사료성분과 첨가제의 일반성분분석(AOAC. 2004)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험구 배치도
구 분 처리구
(두수)
비육단계별
비육전기
(생후13-18개월)
비육중기
(생후19개월-22개월)
비육후기
(생후23개월-30개월)
대조구 4두×2반복 농후사료급여
무첨가
농후사료 급여
무첨가
농후사료 급여
무첨가
T-1 4두×2반복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1.0%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1.0%첨가
T-2 4두×2반복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무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1.0%첨가
T-3 4두×2반복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무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무첨가
농후사료급여
복합생균제 1.0%첨가
복합생균제의 일반성분
항 목 수 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ADF NDF 미생물
비육
첨가용
10.50
±0.47
24.43
±0.84
11.21
±0.07
4.96
±0.61
8.17
±0.09
9.79
±1.34
18.16
±2.34
1×107
cfu
사료배합비 및 일반성분 조성
구 분 농후사료, (%)
비육전,중기 비육후기
사료원료명
수입옥수수 32.50 42.80
수입소맥 9.60 8.20
당밀 4.50 4.10
수입타피오카 3.20 2.00
소맥분 - 1.10
소맥피 5.40 4.00
수입단백피 9.30 8.20
국산단백피 7.20 5.20
수입대두박 1.50 -
수입채종박 5.00 4.30
야자박 6.20 6.00
팜박 9.00 8.20
포도박 3.20 2.50
정제염 0.40 0.60
석회석 2.30 2.00
중조 0.20 0.30
비타민, 미네랄 0.50 0.50
Total 100 100
성분명
수분 13.24 10.70
조단백질 12.82 10.68
조지방 4.53 3.13
조섬유 7.93 5.43
조회분 6.57 6.03
NFE 50.30 64.27
NDF 20.17 19.82
ADF 15.20 11.26
TDN1) 71.34 73.13
* TDN1): 계산치
성분명 조사료
수분 11.52±0.52
조단백질 5.33±0.15
조지방 1.33±0.00
조섬유 29.28±0.68
조회분 4.95±0.80
ADF 32.19±1.72
NDF 57.28±2.04
(혈액 및 혈청화학검사)
혈액채취는 비육단계별 사료교체 후 2개월령에 공시축의 경정맥에서 개체별 8 mL를 채혈하여 먼저 EDTA가 들어있는 Vaccum tube에 3 mL를 담고, 그 후 혈액응고제가 들어있지 않는 Vaccum tube에 5 mL를 담았다. 혈청 화학검사(Serum chemistry)를 위하여 4℃에서 8시간 방치한 후 혈청분리를 위하여 2,5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분석시까지 초저온 냉동고(-70℃)에 보관하였다가 자동혈액분석기(Fujifilm DRI- Chem. 3500S Japan)를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Kit No 1450, Fujifilm), Triglyceride(Kit No 1650, Fujifilm), GOT(Kit No 3150, Fujifilm), GPT(Kit No 3250, Fujifilm), 글루코오스(Kit No 1050, Fujifilm)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트리글리세라이드(Kit No 336, Sigma), 총 콜레스테롤(Kit No 401, sigma), HDL(Kit No, 352, Sigma)은 효소적 비색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중의 IgG와 IgM의 분석은 Bovine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와 Bovin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를 이용하여 ELISA 면역항체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도체성적)
사양시험 종료 후 근거리에 있는 고령 농협공판장으로 운반하여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도축하여 24시간 냉각 후에 축산물등급판정기준에 따라 육량형질(냉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과 육질형질(근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를 측정하였고, 한국 축산물 등급판정사가 육량 및 육질등급 판정을 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도축된 도체로부터 12번째 늑골과 13번째 늑골 사이의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고기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시료 5 g을 사용하여 105∼110 ℃의 건조법으로, 조단백질은 시료 1 g을 켈달법으로, 조지방은 시료 10 g을 쇽시렛 추출법으로, 조회분은 시료 7 g을 칭량하여 550 ℃의 전기로에서 2시간 동안 회화시켰다.
(1) 가열감량 및 전단력
가열감량은 시료를 스테이크 모양으로 약 25 g 내외로 절단하여 70℃ 워터 배스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30시간 방냉하여 가열 전후의 중량차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98450391-pat00001
전단력은 Wheeler 등의 방법(J. Anim . Sci. 78: 958-965, 2000)으로 시료를 3 cm의 두께의 스테이크 모양으로 근섬유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육을 절단하여 육 내부온도를 70 ℃까지 가열한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방냉하였다. 방냉한 시료에서 직경 0.5 inch 코아(core)를 근섬유 방향에 따라 원통형으로 뚫어 시료를 채취한 후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5, UK)을 이용하여 근섬유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단력을 측정하였고, 8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2) 보수력
잘 마쇄한 세절육 10 g을 원심분리관의 세공이 있는 철판 위에 채운 뒤 고무마개를 한 다음 70 ℃의 워터 배스에서 30분간 가열하고, 방냉하여 1,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분리된 육즙량을 측정하고, 그 다음 총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다음 공식에 대입하여 보수력(%)을 구하였다(Hong et al., Food Sci . Biotechnol . 14: 676-680, 2005).
Figure 112018098450391-pat00002
※ 0.951=70 ℃에서 분리된 육즙 중의 순수한 수분함량
(3) pH 및 육색
pH는 시료 10 g에 증류수 90 mL를 가하고, homogenizer(NS-50, Japan)로 10,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pH meter(520A, Orion Research Inc. USA)로 측정하였다. 육색은 시료를 절단하여 공기 중에 약 30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camera Co., Japan)를 이용하여 CIE 값(L*=명도, a*=적색도, b*=황색도)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표준색판은 L*=96.18, a*=0.10, b*=1.90인 백색의 calibration plate를 이용하였고,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4)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채취한 한우육의 등심부위를 5 mm 정도의 두께로 세절하여 구이용 불판을 이용하여 70∼80 ℃ 온도에서 로스구이하여 훈련된 검사요원 10명을 무작위로 차출한 후 다즙성, 연도, 향미와 관련지어 기호도를 6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6=아주좋다, 5=다소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싫다, 1=아주 싫다).
(지방산 분석)
지질의 지방추출은 Folch 등의 방법(J. Biol . Chem. 226: 497-504, 1957)에 따라 실시하였고, 지방산은 시료 0.5 g을 Park & Goins의 방법(Food. Sci . 72(Suppl.2),5(Abstr), 1994)에 의해서 메틸화하였다. 시료에 methanol:benzene(4:1, v/v) 2 mL와 acethyl chloride 200 ㎕를 가한 후 100℃의 히팅 블럭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에 충분히 방치한 다음 hexane 1 mL와 6% potassium carbonte 5 mL를 가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 rpm 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5 ㎕를 취하여 Gas Chromatography (GA-17A, Shimdzu, Japen)에 주입하였다. 이때의 분석조건은 칼럼의 초기온도는 180 ℃에서 시작하여 1.5 ℃/min의 속도로 230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2분간 유지하였다. 이때 injector, detector(FID)의 온도는 각각 240 ℃, 260 ℃로 하였고, 지방산은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비교하였으며, 함량은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아미노산 분석을 위하여 고기시료 5 g과 6 N HCl 40 mL를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한 다음 110 ℃에서 24시간 동안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가수분해하였다. 염산을 50 ℃에서 증발 농축시킨 다음 농축시료는 0.2 N Sodium citrate buffer(pH 2.2) 50 mL를 넣어 희석시키고 여과지(0.45 ㎛)로 여과하였다. 여과한 시료(30 ㎕)는 아미노산 분석기(Model 835,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롤 분석)
육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Nam 등의 방법(Meat Sci . 58: 431-435. 2001)에 준하여 콜레스테롤을 추출하기 위하여 고기시료 2 g을 50 mL 튜브에 넣고 saponification 시약 10 mL와 internal standard(5-cholestane)를 0.5 mL씩 넣어준 후 약 14초간 9,500×g에서 균질화시켰다. 뚜껑을 완전 밀봉 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완전히 식힌 다음 층이 분리되면 상층 1 mL를 회수하여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에 pyridine 200 ㎕와 sylon BFT(Bistrifluoro-acetamide + Trimethyl-chloro silane, 99: 1, Supleco) 100 ㎕을 넣고 지방을 완전히 녹인 다음 Gas chromatography(HP-6890,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롤 분석에 사용된 GC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Oven temperature 180℃, Injection temperature: 280℃, split ratio: 19.1: 1, column: capillary column, 30 m×0.32 mm I. D., 0.25 um film thickness (HP-5 MS, J&W Scientific, USA), maximum oven temperature: 325℃, flame ionization detector temperature: 350℃, H2 flow: 33.0 mL/min.
(통계분석)
본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들의 통계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release ver. 9.1, 2003)의 ANOVA(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및 T-tes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1955)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실험예 1>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표 4는 비육전기(생후13∼18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으로, 시험개시 체중은 347.13∼354.13 kg 정도였으나 종료시 체중에서 Con구는 511.56 kg이였으나, T1∼T3구는 513.59∼521.60 kg이었고, 처리구중에서는 T2구가 521.60 kg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총 증체량은 대체로 처리구(163.87∼171.50 kg)가 Con구(159.5 kg)보다 더 높은 경향이었고, 일당증체량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처리구(1.09∼1.14 kg)가 Con구(1.06 kg)보다 더 높았다.
한편,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Con구(9.63 kg)였으나, 처리구(9.78∼9.91 kg)으로 나타났고,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Con구는 1,454.1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476.5∼1,496.4 kg으로 더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사료요구율에서는 T3구가 9.03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사료효율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낮은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으론 거의 차이가 없었다.
표 5는 육중기(생후19∼22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비육중기때의 시험개시 체중은 비육전기의 종료체중으로써 511.56∼521.60 kg 정도였으나 비육중기의 종료체중의 경우, Con구는 698.00 kg이였으나, 처리구는 699.00∼719.00 kg이었고, 그 중에서도 T2구가 719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총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186.44 kg 이었으나 처리구는 181.00∼198.00 kg의 범위였고, 그 중에서도 T2구가 198.00 kg으로 높은 경향이었지만 개체별 차이로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이에 따라 1일 두당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0.89 kg이었으며, 처리구는 0.86∼0.94 kg으로 처리구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T2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Con구는 10.43 kg이였고, 처리구들은 농후사료와 조사료 섭취량이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되어 10.71∼10.83 kg범위로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두당 총섭취량은 Con구는 1,534.5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534.5∼1,602.0 k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에서는 T2구가 11.52로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표 6은 비육후기(생후 23개월령∼출하까지)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비육후기때의 개시체중은 비육중기때의 종료체중으로써 698.00∼719.00 kg 정도였으나 비육후기 종료체중의 경우, Con구는 782.07 kg이였으나, 처리구는 810.00∼835.07 kg이었고(p<0.05), 그 중에서도 T2구가 835.07 kg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총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84.10 kg 이었으나 처리구는 111.00∼116.00 kg의 범위였고, 그 중에서도 T2구가 116.00 kg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1일 두당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0.49 kg이었으며, 처리구는 0.64∼0.67 kg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있었다(p<0.05).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시험구의 경우 복합생균제를 첨가급여함으로서 반추위내의 산중독을 막아 반추 미생물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사료섭취량의 감소 없이 섭취량을 유지해준 결과, 비육후기 체중량 및 출하체중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Con구는 8.61 kg이였고, 처리구들은 농후사료와 조사료 섭취량이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되어 8.72∼8.81 kg 범위로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두당 총섭취량은 Con구는 1,489.53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508.56∼1,524.13 k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에서는 T2구가 13.03로서 가장 낮게 나타나 사료효율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비육전기의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항 목 Con구1) T1구2) T2구3) T3구4) Pr >|F|
개시일령(월령) 398.2(13.1)
±10.4
389.1
(12.8)
±12.1
388.2
(13.1)
±10.4
390.1
(12.8)
±12.1
종료일령(월령) 549.0(18.1)
±10.4
543.0
(17.9)
±12.1
539.0
(17.7)
±10.4
541.1
(17.8)
±12.1
시험기간(일) 151 151 151 151
두당 체중
,kg
개시체중 352.06±33.97 347.13±14.92 350.06±30.90 354.13±26.89 0.127
종료체중 511.56±39.71 513.59±29.80 521.60±35.00 518.00±39.10 0.135
총 증체량 159.50±16.42 166.46±11.96 171.50±16.10 163.87±11.28 0.587
1일 두당
증체량
1.06±0.15 1.10±0.11 1.14±0.12 1.09±0.16 0.122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1,454.1±33.11 1,476.8±32.65 1,496.4±30.00 1,487.4±34.00
농후사료 1,224.6±22.51 1,232.2±23.09 1,247.2±13.14 1,238.2±23.11
조사료 229.5±11.21 244.6±9.00 249.2±13.21 249.2±14.00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9.63±0.53 9.78±0.25 9.91±0.14 9.85±0.55 0.138
농후사료 8.11±0.77 8.16±0.29 8.26±0.77 8.20±0.29 0.122
조사료 1.52±0.18 1.62±0.21 1.65±0.28 1.65±0.33 0.114
사 료
요구율
평균치 8.91±1.92 8.88±1.90 8.69±1.44 9.03±1.22 0.144
농후사료 7.65±1.54 7.41±1.65 7.25±1.50 7.52±1.46
조사료 1.26±0.18 1.47±0.15 1.45±0.13 1.51±0.11
비육중기의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항 목 Con구1) T1구2) T2구3) T3구4) Pr >|F|
개시일령(월령) 549.0
(18.1)
±10.4
543.0
(17.9)
±12.1
539.0
(17.7)
±10.4
541.0
(17.8)
±12.1
종료일령(월령) 759.0(24.9)
±10.4
753.0
(24.7)
±12.1
749.0
(24.6)
±10.4
751.0
(24.7)
±12.1
시험기간(일) 210 210 210 210
두당 체중
,kg
개시체중 511.56±39.71 513.59
±29.80
521.60
±35.00
518.00
±39.10
0.135
종료체중 698.00
±40.69
705.00
±32.80
719.00
±39.68
699.00
±36.48
0.114
총 증체량 186.44±16.42 192.00±13.96 198.00±17.00 181.00±16.14 0.125
1일 두당증체량 0.89±0.15 0.91±0.11 0.94±0.12 0.86±0.16 0.129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1,534.5
±33.11
1,542.0
±32.65
1,534.5
±33.88
1,602.0
±29.88
농후사료 1,291.5
±22.51
1,314.0
±23.09
1,291.5
±22.88
1,314.0
±21.58
조사료 243.0±11.21 288.0±10.00 243.0±12.02 288.0±10.10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10.43±2.53 10.76±1.25 10.83±2.44 10.71±2.35 0.129
농후사료 9.21±1.77 9.36±1.29 9.51±1.65 9.46±1.39 0.111
조사료 1.22±0.18 1.40±0.21 1.32±0.22 1.25±0.28 0.135
사 료
요구율
평균치 11.71±1.92 11.82±1.90 11.52±1.92 12.45±1.90 0.109
농후사료 10.34±0.54 10.29±0.65 10.12±0.66 11.00±0.69
조사료 1.37±0.18 1.53±0.15 1.40±0.21 1.45±0.22
비육후기의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항 목 Con구1) T1구2) T2구3) T3구4) Pr >|F|
개시일령
(월령)
759.0(24.9)±10.4 753.0(24.7)±12.1 749.0(24.6)±10.4 751.0(24.7)±12.1
종료일령(월령) 932.0(30.6)
±10.4
926.0(30.5)
±12.1
922.0(30.3)
±10.4
924.0(30.4)
±12.1
시험기간(일) 173 173 173 173
두당 체중
,kg
개시체중 698.00±40.69 705.00
±32.80
719.00
±39.68
699.00
±36.48
0.114
종료체중 782.07
±30.69c
816.10
±26.48ab
835.07
±31.88a
810.00
±29.47ab
0.039*
총 증체량 84.10
±16.42b
111.00
±16.96a
116.00
±12.4a
111.00
±13.44a
0.049*
1일 두당
증체량
0.49±0.15b 0.64±0.11a 0.67±0.15a 0.64±0.11a 0.017*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1,489.53
±33.11
1,508.56
±32.65
1,524.13
±34.11
1,512.02
±30.77
농후사료 1,316.53
±2.51
1,332.10
±3.09
1,351.13
±3.25
1,337.29
±3.20
조사료 173.00±1.21 176.46
±1.23
173.00
±1.28
174.73
±1.18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ADM)
총 섭취량 8.61±1.53 8.72±1.25 8.81±1.53 8.74±1.25 0.138
농후사료 7.61±1.71 7.70±1.33 7.81±1.55 7.73±1.63 0.102
조사료 1.00±0.18 1.02±0.21 1.00±0.20 1.01±0.26 0.113
사 료
요구율
평균치 17.57±1.92 13.49±1.90 13.03±1.19 13.52±1.89 0.168
농후사료 15.53±0.54 12.03±0.65 11.66±0.69 12.08±0.55
조사료 2.00±0.18 1.46±0.15 1.37±0.21 1.44±0.19
상기 표 4 내지 6에서 각 값은 Means±S.D.로 나타내었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를 나타낸다. 표 6에서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실험예 2> 혈액의 이화학적 성상
표 7은 비육전기 때 혈청내의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174.75∼180.88 mg/dL 범위로 나타났으며,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대체로 7.99∼14.35 mg/dL 범위였고, 대체로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GOT는 62.50∼67.63 U/L, GTP는 24.04∼25.29 U/L 범위였고, 글루코스의 경우, 72.33∼76.57 mg/dL 범위로서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밀라아제는 386.86∼420.50 U/L 범위를 나타내었고,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 BUN은 16.03∼17.36 mg/dL 범위였고, 알부민은 3.98∼4.30 g/dL 범위였다. 그러나 면역성을 나타내는 IgG는 48.15∼54.94 mg/mL 범위로서 처리구가 Con구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표 8은 비육중기 때 혈청내의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188.14∼254.75 mg/dL 범위로 나타났으며, 처리구중에서 T1구가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트리글리세라이드는 11.63∼13.86 mg/dL 범위였고,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GOT는 56.43∼63.09 U/L, GTP는 18.00∼19.29 U/L 범위였고, 글루코스의 경우, 55.86∼62.00 mg/dL 범위로서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아밀라아제는 311.43∼358.75 U/L 범위를 나타내었고,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고(p<0.05), BUN은 16.71∼18.19 mg/dL으로 Con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더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알부민은 3.60∼3.81 g/dL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면역성을 나타내는 IgG는 31.14∼33.95 mg/mL 범위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표 9는 비육후기 때 혈청내의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168.69∼200.35 mg/dL 범위로 나타났으며,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고(p<0.05), 처리구중에서는 T1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5). 트리글리세라이드는 11.26∼15.71 mg/dL 범위였고, 처리구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GOT는 53.38∼59.04 U/L, GTP는 18.13∼19.60 U/L 범위였고, 글루코스의 경우, 67.69∼77.77 mg/dL 범위로서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그러나 아밀라아제는 326.79∼350.75 U/L 범위를 나타내었고,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 BUN은 12.74∼14.85 mg/dL으로 대조구가 타 처리구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일 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알부민은 3.26∼3.66 g/dL 범위에 있었다. 그러나 면역성을 나타내는 IgG는 23.25∼26.97 mg/mL 범위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p>0.05).
비육전기의 혈청 성분
항 목 비육전기, (mg/dL)
TCHO
(mg/dL)
TG
(mg/dL)
GOT
(U/L)
GPT
(U/L)
GLU
(mg/dL)
AMYL
(U/L)
BUN
(mg/dL)
ALB
(g/dL)
IgG
(mg/mL)
Con1) 178.35
±26.90
14.35
±10.49
62.50
±10.09
24.13
±5.11
72.33
±6.27
398.50
±27.97ab
17.36
±1.03
4.00
±0.30
48.15b
±3.40
T12) 174.75±23.72 10.00
±8.42
67.63
±9.33
24.25
±4.37
76.05
±16.11
420.50
±41.37a
16.11
±2.58
3.98
±0.51
54.94a
±3.86
T23) 176.14±8.57 8.91
±4.27
64.11
±8.48
24.04
±4.65
73.71
±7.25
413.71
±32.77ab
16.86
±1.22
4.06
±0.10
53.36a
±3.81
T34) 180.88±15.01 7.99
±6.72
65.29
±9.30
25.29
±5.12
76.57
±4.58
386.86
±23.67b
16.03
±1.64
4.30
±0.15
54.22a
±4.46
Pr>F 0.634 0.143 0.892 0.872 0.325 0.014* 0.941 0.539 0.046*
비육중기의 혈청 성분
항목 비육중기, (mg/dL)
TCHO
(mg/dL)
TG
(mg/dL)
GOT
(U/L)
GPT
(U/L)
GLU
(mg/dL)
AMYL
(U/L)
BUN
(mg/dL)
ALB
(g/dL)
IgG
(mg/mL)
Con1) 199.88
±9.73b
11.66
±2.33
63.09
±10.92
18.00
±3.85
59.99
±14.22
320.88b
±32.88
18.19a
±0.73
3.81
±0.44
31.14b
±2.11
T12) 254.75±65.48a 11.63
±4.26
63.00
±8.50
19.00
±3.30
61.25
±10.95
358.75a
±35.45
17.11
±0.76b
3.64
±0.37
33.95ab
±4.44
T23) 208.29±22.57b 12.43
±2.76
58.29
±6.42
19.29
±1.70
62.00
±5.66
311.43b
±30.12
17.73
±1.07b
3.67
±0.17
34.31a
±2.63
T34) 188.14±23.10b 13.86
±3.63
56.43
±7.28
18.43
±4.12
55.86
±5.78
316.29b
±32.59
16.71
±1.11bc
3.60
±0.22
33.80ab
±3.64
Pr>F 0.012* 0.306 0.264 0.459 0.820 0.045* 0.029* 0.045* 0.034*
비육후기의 혈청 성분
항목 비육후기, (mg/dL)
TCHO
(mg/dL)
TG
(mg/dL)
GOT
(U/L)
GPT
(U/L)
GLU
(mg/dL)
AMYL
(U/L)
BUN
(mg/dL)
ALB
(g/dL)
IgG
(mg/mL)
Con1) 200.35
±9.73a
11.26
±2.33
59.04
±20.92
19.00
±3.85
67.69
±14.20
343.88
±12.55
14.85
±3.73
3.26
±1.47
24.46
±3.88
T12) 180.56b
±10.75
13.13
±5.77
53.38
±4.37
18.13
±3.48
74.89
±27.21
350.75
±25.78
12.74
±2.44
3.58
±0.24
23.25
±3.36
T23) 172.54b±17.91 15.71
±6.60
54.00
±6.48
19.60
±1.53
77.77
±7.02
330.66
±32.13
14.68
±0.80
3.66
±0.18
25.62
±3.24
T34) 168.69b±13.33 14.57
±7.96
53.43
±4.58
18.86
±2.34
73.06
±8.52
326.79
±21.42
13.44
±1.77
3.59
±0.22
26.97
±1.73
Pr>F 0.012* 0.306 0.264 0.459 0.820 0.504 0.079 0.551 0.349
상기 표 7 내지 9에서 각 값은 Means±S.D.로 나타내었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를 나타낸다. 또한, 같은 열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평균값의 성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실험예 3> 도체등급 및 육의 이화학적 특성
표 10은 시험종료 후에 도축된 도체등급 판정결과로, 출하체중은 대체로 782.07∼835.07 kg의 범위에 있었으며, Con구가 782.07 kg인데 비하여 T2구는 835.07 kg으로 더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또한, 도체중의 경우는 431.83∼495.07 kg의 범위에 있었으며, Con구가 431.83 kg인데 비하여 T2구는 495.07 kg으로 처리구가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도체율은 55.22∼59.93% 범위에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T2구가 59.93%로 높은 경향이었다(p>0.05).
등지방 두께는 평균 13.50∼14.88 mm 정도로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그 중에서도 T2구가 14.88 mm 다소 높았던 것은 복합생균제 첨가급여에 따른 지속적인 섭취량 유지 및 증가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배최장근 단면적의 경우는 평균 94.67∼103.98 ㎠ 범위로서, 대체로 처리구가 더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T2구(103.98 ㎠)로 크게 높았다(p<0.05).
도체등급에서 육량등급의 경우, A등급 : 3점, B등급 : 2점, C등급 : 1점으로 환산하여 처리구간을 비교해보았을 때, Con구는 1.50점, T1구가 1.76점, T2구가 1.83점, T3구가 1.80점으로 대체로 처리구가 더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T2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마블링스코어의 경우는 Con구는 5.17, T1구가 5.98, T2구가 6.35, T3구가 5.75로서 T2구가 가장 높아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한편, 도체등급 중의 육질등급을 1++등급 : 5점, 1+등급 : 4점, 1등급 : 3점, 2등급 : 2점, 3등급 : 1점으로 환산하여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Con구는 3.41점, T1구가 3.67점, T2구가 3.87점, T3구가 3.72점으로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도체등급 및 도체특성
항 목 Con1) T1구2) T2구3) T3구4) Pr >|F|
출하체중(kg) 782.07
±30.69c
816.10
±26.48ab
835.07
±31.88a
810.00
±29.47ab
0.039*
도체중(kg) 431.83±18.08c 480.25±16.80ab 495.07±20.69a 478.10±16.48ab 0.013*
도체율 55.22±1.49 58.85±1.97 59.93±1.25 59.02±1.30 0.133
등지방두께 (㎜) 13.50±3.32 13.60±4.56 14.88±2.56 14.20±2.56 0.538
배최장근단면적(㎠) 94.67±2.94b 98.67±3.97a 103.98±3.22a 101.16±3.27a 0.049*
육량지수 61.38±4.36 63.47±3.10 63.87±3.39 63.36±3.00 0.316
육량등급5) 1.50±0.27b 1.76±0.22a 1.83±0.20a 1.80±0.24a 0.028*
근내지방도6) 5.17±0.33c 5.98±0.26b 6.35±0.30a 5.75±0.25b 0.045*
육색7) 5.00±0.00 5.00±0.00 5.00±0.00 5.00±0.00 0.795
지방색8) 3.37±0.54 3.50±0.46 3.25±0.46 3.55±0.46 0.620
조직감9) 1.25±0.35 1.30±0.35 1.38±0.35 1.40±0.35 0.783
성숙도10) 2.10±0.00 2.10±0.46 2.23±0.46 2.41±0.46 0.445
육질등급11) 3.41±0.25b 3.67±0.21ab 3.87±0.23a 3.72±0.22ab 0.041*
표 10에서, 각 값은 Means±S.D.이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5) Connverted to a numberic grade : A=3, B=2, C=1point, 6) Marbling score : 9 = the most abundant, 1 = devoid, 7) Meat color : 7 = dark red, 1 = bright, 8) Fat color : 7 = yellowish, 1 = white, 9) Texture : 3 = coarse, 1 = fine, 10) Maturity : 9= mature, 1 = youthful, 11) Converted to a numberic grade : 1++= 5 , 1+= 4, 1= 3 , 2 = 2, 3 = 1 point를 나타낸다. 또한,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표 11은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로, 수분은 54.79∼56.88% 정도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16.81∼17.73%, 조지방의 경우는 21.39∼22.99 범위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5). 그리고 조회분의 경우도 0.72∼0.76% 범위에 있었다. 또한, 육색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42.30∼43.88 범위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25.61∼26.21 범위였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12.28∼12.88 범위로서 처리구간의 색도의 차이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pH는 5.66∼5.68 범위였고,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22.93% 였으나 처리구는 21.17∼21.83%로서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전단력의 경우는 대조구가 2.90 kg/㎠으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구는 2.31∼2.54로서 낮았다(p<0.05). 한편, 보수력은 전단력과 달리 대조구가 58.37%였으나 처리구는 59.00∼60.02% 범위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56.15∼59.15 mg/100g 범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처리구가 56.15∼58.00 mg/100g 였으나 Con구는 59.15 mg/100g로 더 낮게 나타나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또한, 관능평가에서 다즙성은 5.46∼5.79점의 범위였고, 연도는 5.34∼5.58점의 범위였으며, 향미는 5.18점∼5.29점 범위로서 대체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체로 복합생균제를 첨가급여한 처리구가 보수력과 관능평가(다즙성, 연도, 향미)에서는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나, 총콜레스테롤은 오히려 다소 낮게 나타났고, 처리구 중에서는 T2구가 가장 뚜렷하게 육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복합생균제를 급여하면 체중증가(증체량)와 함께 도체등급 및 육질개선의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등심육의 이화학적 특성
항 목 Con1) T1구2) T2구3) T3구4) Pr > |F|
수 분 % 54.79±3.86 56.49±4.53 56.29±2.86 56.88±4.01 0.169
조지방 % 21.39±2.20 21.87±2.26 22.99±2.20 22.66±2.26 0.059
조단백질,% 17.73±1.40 16.81±1.67 17.73±1.40 17.21±1.67 0.214
조회분,% 0.72±0.06 0.74±0.09 0.76±0.06 0.75±0.09 0.100
육색5) L 42.30±1.70 43.83±3.90 43.88±1.20 43.15±3.20 0.102
a 25.78±0.73 25.61±0.44 26.18±0.73 26.21±0.44 0.104
b 12.28±0.47 12.42±0.51 12.88±0.47 12.62±0.51 0.151
pH 5.66±0.04 5.68±0.04 5.66±0.04 5.68±0.04 0.128
가열감량,% 22.93±1.35a 21.17±1.23a 21.83±1.35ab 21.22±1.11b 0.037*
전단력, kg/cm2 2.90±0.33a 2.54±0.29b 2.31±0.33b 2.44±0.18b 0.022*
보수력, % 58.37±1.05b 60.02±1.03a 59.37±1.13ab 59.00±1.11ab 0.041*
총 콜레스테롤, mg/100g 59.15±1.53a 58.00±1.18ab 56.15±1.00bc 57.00±1.18b 0.038*
관능
평가
다즙성 5.46±0.10b 5.66±0.10ab 5.79±0.14a 5.69±0.11ab 0.012*
연도 5.34±0.02b 5.48±0.02a 5.56±0.20a 5.58±0.06a 0.033*
향미 5.18±0.03b 5.29±0.14a 5.28±0.20a 5.24±0.12a 0.017*
상기 표 11에서, 각 값은 Means±S.D.이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5)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를 나타낸다. 또한,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표 12는 등심부위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로서 올레산은 전체 조성분에서 48.98∼49.95% 범위였으며, 그 다음으로 팔미트산은 28.00∼28.27%, 스테아르산 11.09∼12.53%, 팔미톨레산 4.50∼5.03%, 미리스트산 3.04∼3.37%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올레산은 대조구가 48.57%였으나 처리구는 49.02∼50.44%로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전체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은 41.72∼44.11% 범위였으며,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55.89∼57.58% 범위로서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PUFA/SFA 비율은 0.051∼0.069이며, MUFA/SFA 비율은 1.215∼1.328로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또한, MUFA(Monosaturated Fatty Acid)는 53.60∼55.40% 범위였고, PUFA(Polysaturated Fatty Acid)는 2.18∼2.96% 정도로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등심육의 지방산 조성(unit: %)
항 목 Con1) T1구2) T2구3) T3구4) Pr > |t|
C 14:0
(Myristic acid)
3.31±0.33 3.37±0.42 3.04±0.42 3.22±0.42 0.104
C 16:0
(Palmitic acid)
28.27±1.37 28.10±1.30 28.00±1.08 27.41±1.10 0.309
C 16:1 n-7 (Palmitoleic acid) 4.50±0.89 4.98±0.23 4.62±0.23 5.03±0.23 0.619
C 18:0 (Stearic acid) 12.53±2.39 11.43±1.25 11.44±1.25 11.09±1.25 0.638
C 18:1 n-9
(Oleic acid)
48.57±1.01bc 49.02±0.90b 50.05±1.00a 50.44±1.10a 0.030*
C 18:2 n-6
(Linoleic acid)
1.89±0.22 2.11±0.36 1.86±0.30 1.76±0.36 0.412
C 18:3 n-6
(Υ-Linolenic acid)
0.16±0.01 0.16±0.01 0.16±0.01 0.17±0.01 0.277
C 18:3 n-3
(Linolenic acid)
0.12±0.02 0.18±0.02 0.09±0.02 0.09±0.02 0.278
C 20:1 n-9 (Eicosenoic acid) 0.53±0.10 0.51±0.09 0.59±0.09 0.63±0.09 0.232
C 20: 2n-6 (Eicosadienoic acid) 0.12±0.02 0.14±0.07 0.15±0.06 0.16±0.05 0.288
Total 100 100 100 100
SFA5) 44.11±2.00 42.90±2.11 42.48±1.26 41.72±1.78 0.064
UFA6) 55.89±1.00b 57.10±1.11a 57.52±1.06a 57.58±1.18a 0.045*
PUFA/SFA 0.051 0.069 0.053 0.052
MUFA/SFA 1.215 1.262 1.301 1.328
MUFA7) 53.60±2.01 54.14±1.05 55.26±1.68 55.40±1.74 0.433
PUFA8) 2.29±0.06 2.96±0.09 2.26±0.09 2.18±0.09 0.390
상기 표 12에서, 각 값은 Means±S.D.이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5) Saturated fatty acids(C14:0+C16:0+C18:0), 6) Unsaturated fatty acids(C16:1+C18:1+C18:2+C18:3+C20:1+C20:2), 7) Mono-Unsaturated fatty acids(C16:1+C18:1+C20:1), 8) Poly-Unsaturated fatty acids(C18:2+C18:3+C20:2)를 나타낸다. 또한,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표 13은 등심육의 아미노산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고기의 감칠맛과 기호성 증진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글루탐산은 2.65∼2.69%의 범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아스파르트산은 1.51∼1.58%의 범위에 있었고, 라이신은 1.06∼1.23%이었고, 루신은 1.30∼1.42%의 정도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외 성분은 1% 이하로서 미량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보호지방과 아미노산 및 전지대두가 함유된 본 발명의 복합생균제의 급여로 최종산물인 도체중량 증가 및 고기내 라이신 함량의 증가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등심육의 아미노산 조성(unit: %)
항목 Con1) T1구2) T2구3) T3구4) Pr>|F|
ASP 1.51±0.15 1.58±0.15 1.52±0.15 1.52±0.15 0.133
THR 0.76±0.07 0.78±0.08 0.86±0.07 0.88±0.08 0.123
SER 0.65±0.06 0.65±0.06 0.62±0.06 0.65±0.06 0.111
GLU 2.69±0.23 2.68±0.24 2.65±0.23 2.68±0.24 0.154
GLY 0.65±0.08 0.67±0.04 0.66±0.08 0.67±0.04 0.057
ALA 1.09±0.10 1.08±0.10 1.03±0.10 1.08±0.10 0.203
VAL 0.55±0.05 0.57±0.07 0.58±0.05 0.57±0.07 0.103
I-LE 0.57±0.05 0.55±0.02 0.59±0.05 0.54±0.02 0.059
LEU 1.30±0.12 1.35±0.28 1.42±0.12 1.33±0.28 0.139
TYR 0.35±0.06 0.38±0.06 0.36±0.06 0.38±0.06 0.128
PHE 0.77±0.06 0.60±0.28 0.65±0.06 0.70±0.28 0.175
LYS 1.06±0.14 1.23±0.45 1.18±0.14 1.23±0.45 0.128
HIS 0.59±0.06 0.49±0.06 0.51±0.06 0.59±0.06 0.223
ARG 0.85±0.09 0.86±0.22 0.85±0.09 0.81±0.22 0.153
PRO 0.61±0.06 0.59±0.07 0.62±0.06 0.60±0.07 0.052
Total 14.00±0.03 14.06±0.05 14.10±0.05 14.23±0.04 -
상기 표 13에서, 각 값은 Means±S.D.이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를 나타내고,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실험예 4> 경제성 분석
복합생균제 첨가 사양시험에 따른 비육우 두당 경제성 분석결과는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조수입은 실거래가인 지육가격과 도축부산물을 합산하였고, 경영비에서는 송아지구입비, 농후사료비, 조사료로는 톨페스큐 구입비, 복합생균제 구입비는 실거래가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항목으로서 기타비용, 가족노동력은 통계청(2017)의 농축산 생산비조사 자료에 의거 제반비용을 산출한 후 합산한 금액으로 산출하여 비교해 보았다.
다시 말해서 1두당 경제성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체로 지육가격을 비롯하여 부산물의 가격을 포함한 총 조수입의 경우는 대체로 처리구(8,530천원∼9,154천원)가 도체중 및 도체성적이 더 향상되어 대조구(8,065천원)보다 더 높았고, 그 중에서도 T2구가 9,154천원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두당 경영비를 살펴보면, 송아지 가격은 320만원 정도로 거의 비슷하였지만 육성기까지 급여한 TMF사료를 급여한 이후, 본 시험이 본격 진행되는 비육전기부터 후기까지는 급여한 배합사료와 항균제 및 기타비용을 포함한 경영의 비용을 계산한 것이다. 즉 복합생균제 첨가제비용을 살펴보면 Con구 0원), T1구(102,276원), T2구(62,994원), T3구(21,373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접산출이 어려운 수도광열비등 제비용과 가족노동 비용은 2017(통계청)에서 발표한 2016년 기준의 농축산생산비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는데, 수도광열비등 기타 제비용(276,904원)과 가족노동비(729,013원)는 거의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1두당 경영비의 총 합계는 Con구는 6,604천원였으나 처리구인 T1구는 6,802천원, T2구는 6,778천원, T3구는 6,721천원으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한편, 최종적으로 1두당 순소득을 계산해보면, 비육개시부터 도축까지 총 조수입에서 경영비를 공제한 잔액으로 두당 순 수익은 Con구는 1,461천원, T1구는 1,728천원, T2구가 2,375천원, T3는 1,833천원으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크게 높았고(p<0.05), 특히 그 중에서도 T2구가 두당 2,375천원으로 가장 높은 순소득을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거세비육 한우에게 본격적으로 비육이 개시되는 비육전기부터 출하 때까지 복합생균제를 비육단계별로 1일 급여량의 0.5∼1.0%까지 첨가해주면 질병에 대한 면역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료섭취량과 출하체중이 증가되고, 나아가서는 도체등급(육량, 육질)이 다소 높아져 농가소득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히 T2구와 같이 비육중기(생후 22개월령)에는 1일급여량의 0.5%씩 첨가급여하고, 비육후기부터 출하 때까지는 1.0%씩 첨가급여해주면 반추위내 산중독 방지와 사료섭취 중단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체중량(증체량) 출하체중 증가 및 도체등급 향상으로 맛있는 한우고품질육을 생산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농가소득도 크게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제성 분석 비교(unit: won/두당)
항 목 Con1) T12) T23) T34) Pr >|F
총수입 *부산물가격 340,000 340,000 340,000 340,000 0.564
지육가격5) 7,725,831
±456,700
8,190,420
±556,810
8,814,267
±576,434
8,214,148
±533,351
0.389
합 계 8,065,831
±426,814c
8,530,420
±412,322b
9,154,267
±424,190a
8,554,148
±487,416b
0.041*
경영비 송아지
구입비6)
3,200,000 3,200,000 3,200,000 3,200,000 0.517
농후사료비7) 1,427,070 1,444,496 1,465,404 1,454,034 0.589
조사료비8) 224,280 302,038 296,789 292,304 0.458
육성기(TMF)
사료비9)
747,450 747,450 747,450 747,450 0.341
복합생균제 등
기타첨가제10)
- 102,276 62,994 21,373 0.288
기타제비용11) 276,904 276,904 276,904 276,904 0.384
가족노동비12) 729,013 729,013 729,013 729,013 0.370
합 계 6,604,717
±214,689
6,802,177
±198,480
6,778,554
±203,456
6,721,078
±148,795
0.331
수 익 순수익 1,461,114
±234.471c
1,728,243
±289,471b
2,375,713
±301,114a
1,833,070
±257,331b
0.044*
상기 표 14에서, 각 값은 Means±S.D.이고, 1) Con : 무첨가 급여구, 2) T1구 : 복합생균제 비육전기 0.5%, 비육중·후기 1.0% 첨가 급여, 3) T2구 : 복합생균제 비육중기 0.5%,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4) T3구 : 복합생균제 비육후기 1.0% 첨가 급여, 5) 지육가격 : Carcass price by grade (won/kg) : 도축당일 등급별 경매단가, - A1++:21,850, B1++:20,909, C1++:18,029; A1+:18,699, B1+:18,113, C1+:17,286 ; - A1:17,752, B1:17,424, C1:15,767 ; A2:16,455, B2:15,520 , C2:13,977, 6) 송아지구입 : 16년기준 통계청 농축산생산비조사 한우비육우 적용, 7~9) 농후사료비 : 배합사료, 조사료 및 TMF : 실지 급여한 가격 적용, - kg당 단가 : 배합사료 308원(비육중기), 435원(비육후기), 톨페스큐=420원, - TMF사료 육성기 = 1,650kg(180일간/1일당9.1kg기준) × 453원/kg당 = 747,450원, - 배합사료 비육전기 = 308원, 배합사료 비육후기=345원, * 조사료급여: 전 비육기간 동안 톨페스규로 급여, 10) 복합생균제 : 복합생균제등 = kg당 2,000원, 기타첨가제 : 점토광물질 + 비타민 등 : 공히 8,000원 산정, 11) 기타제비용 : 수도광열비, 감가상각비, 수리유지비, 분뇨처리비, 방역치료비 포함, ‘17년기준 통계청 발행, 농축산비 생산비 조사 한우비육우 적용, 12) 가족노동인건비 : ‘17년기준 통계청 발행, 농축산생산비조사 한우비육우 적용을 나타낸다. 또한, 같은 행에 위 첨자로 표시된 a, b, c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p<0.05).

Claims (11)

  1.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물이 12 내지 15%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 과정을 거친 발효물과 보호아미노산 및 지방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한방보조제는 동량의 감초, 포공영, 산사자, 진피, 곽향, 당귀 및 인삼의 혼합 추출물을 20 내지 25 ℃에서 2 내지 6 개월 동안 발효시켜 얻은 것인,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생균 배양물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us oryzae),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및 효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액체 배양액인,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생균 배양물 및 한방보조제는 1: 6 내지 8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밀기울 30 내지 40 중량%, 쌀겨 5 내지 15 중량%, 단백피 1 내지 5 중량%, 옥수수 분말 3 내지 10 중량%, 당밀 1 내지 5 중량%, 점토광물질 0.5 내지 1.5 중량%, 엿기름 분말 0.2 내지 1.5 중량% 및 비타민-미량광물질 0.2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열처리 전지대두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한방보조제, 생균 배양물,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발효는 열처리 전지대두 및 부형제의 혼합물 1000 kg에 대하여 10 내지 20 L의 한방보조제 및 생균 배양물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45 내지 50 ℃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인,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
  8. 제1항의 복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생균제.
  9.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농후사료를 13 내지 15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0%의 제8항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8 내지 1.2%의 상기의 복합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비육전기 및 비육중기의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32 내지 34 중량%, 소맥 8 내지 10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2 내지 4 중량%, 소맥피 5 내지 6 중량%, 단백피 16 내지 18 중량%, 대두박 1 내지 2 중량%, 채종박 4 내지 6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8 내지 10 중량%, 포도박 2 내지 4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중량%, 석회석 2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비육후기의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40 내지 43 중량%, 소맥 7 내지 9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1 내지 3 중량%, 소맥분 0.5 내지 2 중량%, 소맥피 3 내지 5 중량%, 단백피 13 내지 16 중량%, 채종박 3 내지 5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7 내지 9 중량%, 포도박 2 내지 3 중량%, 정제염 0.5 내지 1 중량%, 석회석 1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1020180119008A 2018-10-05 2018-10-05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10197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08A KR101971984B1 (ko) 2018-10-05 2018-10-05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08A KR101971984B1 (ko) 2018-10-05 2018-10-05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984B1 true KR101971984B1 (ko) 2019-04-24

Family

ID=6628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08A KR101971984B1 (ko) 2018-10-05 2018-10-05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7B1 (ko) * 2019-07-24 2020-11-02 (주)비타바이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20210052342A (ko) * 2019-10-29 2021-05-10 선 바이오 (주)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742A (ko) 2020-09-18 2022-03-25 오헌식 한우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사육방법
KR20220085966A (ko) * 2020-12-16 2022-06-2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량 및 풍미 강화용 한우 비육 말기 사료 조성물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694998B1 (ko) * 2023-11-20 2024-08-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한푸드 가축의 육질 내 지방 함량이 적고, 불포화 지방산 조성물 중 필수 지방산 및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육류를 생산하기 위한 친환경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036A (ko) * 2000-05-19 2000-09-05 윤병대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KR20090078002A (ko) * 2008-01-14 2009-07-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KR20110040277A (ko) * 2009-10-14 2011-04-20 순창군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산야초 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512124A (ja) * 2008-01-22 2011-04-21 ハムレット プロテイ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タンパク質および分散脂肪を含む組成物
KR20160137718A (ko) * 2015-05-20 2016-12-01 안동봉화축산업협동조합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036A (ko) * 2000-05-19 2000-09-05 윤병대 미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사료첨가제
KR20090078002A (ko) * 2008-01-14 2009-07-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JP2011512124A (ja) * 2008-01-22 2011-04-21 ハムレット プロテイ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タンパク質および分散脂肪を含む組成物
KR20110040277A (ko) * 2009-10-14 2011-04-20 순창군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산야초 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37718A (ko) * 2015-05-20 2016-12-01 안동봉화축산업협동조합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Thomas, P. C. et al. Recent Advances in Animal Nutrition, pp.219-243 (1984)
2. 손호진. 비육후기때의 지방 및 단백질 첨가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93-99(2017)
3. Machmuller, A. et al. Anim. Feed Sci. Technol. Vol.85, pp.41-60(2000)
4. Fearon, A. M. et al. J. Sci. Food Agric. Vol.66, pp.247-256(1994)
5. Wright, M. D. and Loerch, S. C. J. Anim. Sci. vol.66, pp.2014-2027(1988)
6. 백인기. 한국영양사료학회지, vol.13, pp.175-183(1989)
7. 강수원 등, 한국영영사료학회지. Vol.17, pp.93-101(1993)
8. 최재국 등, 한국축산학회지. Vol.33, pp.144-152(1991)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7B1 (ko) * 2019-07-24 2020-11-02 (주)비타바이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20210052342A (ko) * 2019-10-29 2021-05-10 선 바이오 (주)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KR102611484B1 (ko) * 2019-10-29 2023-12-07 선 바이오 (주)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207B1 (ko) * 2020-07-23 2022-10-26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742A (ko) 2020-09-18 2022-03-25 오헌식 한우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사육방법
KR102486859B1 (ko) * 2020-09-18 2023-01-09 오헌식 한우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한우의 사육방법
KR20220085966A (ko) * 2020-12-16 2022-06-23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량 및 풍미 강화용 한우 비육 말기 사료 조성물
KR102519825B1 (ko) 2020-12-16 2023-04-10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육량 및 풍미 강화용 한우 비육 말기 사료 조성물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694998B1 (ko) * 2023-11-20 2024-08-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한푸드 가축의 육질 내 지방 함량이 적고, 불포화 지방산 조성물 중 필수 지방산 및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육류를 생산하기 위한 친환경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984B1 (ko)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Moallem et al. The effects of live yeast supplementation to dairy cows during the hot season on production, feed efficiency, and digestibility
Hossain et al. Growth performance, meat yield, oxidative st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from broiler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a medicinal plant and probiotics
CN106819481B (zh) 一种用于仔猪教槽的全价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878021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적용한 가축 전용 사료
Lin et al. Chinese herb feed additives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parameters of pigs
WO2017219498A1 (zh) 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KR101320048B1 (ko) 육질 개선용 소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과 그 사료를 급여한 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
KR101853721B1 (ko) 갈색거저리를 함유하는 육계용 발효미생물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육계의 사료효율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CN108653518A (zh) 一种益生菌发酵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044830B1 (ko)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N107319211A (zh) 一种吸血水蛭幼体全价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000047B (zh) 一种提高螃蟹产蟹膏量的饲料
CN107279543A (zh) 一种改善猪肉风味的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183372B (zh) 一种用于肉用犊牛断奶的代乳料
CN103039759A (zh) 加有松针粉、黄粉虫添加剂的鸭饲料
CN109007295A (zh) 一种辣木饲料添加剂、制备方法和用途
CN100559961C (zh) 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u et al. Dietary replacement of soybean meal by fermented feedstuffs for aged laying hens: effec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health, follicle development, and biological parameters in a long-term feeding period
Shuvo et al. Cholesterol reduction and feed efficiency enhancement in broiler through the inclusion of nutritionally improved fermented rice bran
Li et al. Benefits of tributyrin on growth performance, gastrointestinal tract development, ruminal bacteria and volatile fatty acid formation of weaned Small-Tailed Han lambs
Xing et al.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scallop visceral protein powder used as a replacement of fish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s, intestinal microbiota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s
CN107223792A (zh) 肉鸡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Yang et al. Effect of fermented corn by-produ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biochemistry, and egg quality indices of laying h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