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30B1 -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30B1
KR102044830B1 KR1020180054240A KR20180054240A KR102044830B1 KR 102044830 B1 KR102044830 B1 KR 102044830B1 KR 1020180054240 A KR1020180054240 A KR 1020180054240A KR 20180054240 A KR20180054240 A KR 20180054240A KR 102044830 B1 KR102044830 B1 KR 10204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ek
feed
probiotics
cas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한석주
정대진
이준구
하재정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포항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포항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8005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점토광물질과 부추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의 사육에 사용함으로써 면역력(IgY) 향상의 혈액성상, 도체등급, 관능검사 및 불포화지방산의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Method for preparing leek probio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 quality Korean native steers meat by fed of the leek probiotics}
본 발명은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를 이용하여 거세한우의 비육단계(비육시기)별로 상이한 사양관리를 통해 고품질의 거세한우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TA 출범 등으로 축산물의 무한 경쟁시대에 돌입하여 축산물 수입물결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 축산업의 당면과제는 축산물의 생산비 절감과 품질고급화 또는 기능성 축산물의 생산으로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수입에 대응하는 차별화된 축산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농가들은 차별화된 축산물을 생산하여 고품질 한우육 생산 및 육질개선과 성장률 촉진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우 비육우의 경우, 육량과 육질은 기본적으로 유전에 의한 영향을 받지만, 사양방법과 환경에 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특히 고급육 사양에서는 비육우의 품종, 사료의 종류, 그리고 도축기간에 의해서 최종 육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북미 비육우의 육질은 비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육질등급이 개선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비육기간의 증가는 등지방 두께와 같은 불가식 지방도 동시에 증가되므로 개체별 최적의 도체율을 얻을 수 있는 출하시기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비육기간 조정과 배합사료의 조건을 개선하는 방법도 시행하고 있다.
대부분 농가는 단기적으로 육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사료첨가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시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점토광물(clay mineral)을 첨가해주는 방법이다. 즉 점토광물질은 가축의 발육촉진, 소화율과 사료효율개선, 축분의 수분 조절과 악취 제거와 육질향상에 활용할 수 있다. 가축에게 점토광물질을 첨가 급여할 경우, 장내 과잉수분을 흡수하여 연변을 방지하고, 사료의 장내통과시간을 지연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킨다. Nishimura (J. Clay Sci. 13: 23-25, 1973)는 가축사료에 제오라이트를 첨가하면 가축분의 탈취, 수분조절 및 질소 배출의 감소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증체 및 면역력 향상 등의 특이 성분이 포함된 생균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생균제는 가축의 성장과 사료효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후, 가축의 질병예방이나 치료 또는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또한, 가축의 발육촉진, 소화불량, 설사치료 등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생균제는 장내 기관에 따라 산소농도, pH 등의 환경이 다르므로 단일 균주로 만들어진 것보다 몇 가지 균주를 혼합해서 만든 복합생균제가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우 육성비육우의 경우는 일당 증체량의 증가와 경제성이 향상되며, 송아지의 경우에는 질병예방 및 일당 증체량, 사료효율 등이 개선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Crouse, J. D. et al. 1989. J. Anim. Sci. 67: 2661-2668 Chung, K. Y. et al. 2006. Meat Science 73:432-441 Kim, B. K. et al. 2005.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 156-161 Dolezal, H.G. et al. 1982. J. Food Sci. 47, 368-370 Zinn, D.W. et al. 1970. Journal of Animal Science. 31: 307-318 Kim, B K. et al. 2011.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2) : 257-265 Choi, C.W. et al. 2009. Journal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In Korean] 51: 231-240 Harms, R. H. and Damron, B. L. 1973. Poultry Sci. 52: 2034-2037 Nishimura T 1973 J. Clay Sci. 13: 23-25 Torturer. 1973. Poultry Sci 52: 197-203 백인기. 1989. 한국영양사료학회지. 13: 175-183 강수원 등. 1993. 한국영영사료학회지. 17: 93-101 Hatch, R. C. et al. 1973. J. Dairy. Sci. 56(Suppl. 1): 682(Abstr.) Theodorou, M. K. et al. 1990. Anim. Prod. 50:577(Abstr.) 최재국 등. 1991. 한국축산학회지. 33: 144-152
본 발명의 목적은 거세한우의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부추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추생균제 등을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에 급여함으로써 품질을 개선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생균 배양물 및 부형제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의 수분함량을 10 내지 15%로 건조시켜 부추생균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추생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거세한우의 육성기(7 내지 12 개월령)에 TMF(Total Mixed Fermentation) 사료 1톤 당 0.5 내지 2.5%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7 내지 12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TMF 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13 내지 15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제7항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상기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토광물질과 부추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거세한우의 사육에 사용함으로써 거세한우육의 도체등급, 관능검사 및 불포화지방산의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추생균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생균 배양물 및 부형제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의 수분함량을 10 내지 15%로 건조시켜 부추생균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추생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추생균제는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생균 배양물 및 부형제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제조한 것으로, 소의 사료에 사료첨가제로 사용한 경우 도체등급, 관능검사, 불포화지방산의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재 발효액 및 부추 발효액을 미생물의 발효를 촉진하기 위한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발효액은 동량의 당귀, 인삼, 감초, 생강 및 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내지 25 ℃에서 40 내지 60 개월 동안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량의 당귀, 인삼, 감초, 생강 및 계피에 대해 열수추출을 수행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과 당을 혼합하여 20 내지 25 ℃에서 40 내지 60 개월 동안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추 발효액은 생부추와 생균 배양물을 혼합하고, 당을 첨가하여 20 내지 25 ℃에서 30 내지 35 일 동안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부추 1kg 당 0.5 내지 1L의 생균 배양물을 혼합하고, 당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생균 배양물은 후술하는 생균의 액체배양액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액체배양액일 수 있다.
상기 생균 배양물은 생균의 액체배양액으로, 생균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효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맥피 34 내지 36 중량%, 단백피 34 내지 36 중량%, 옥수수 분말 6 내지 8 중량%, 전지대두 9 내지 11 중량%, 당밀 2 내지 4 중량%, 점토광물질 1 내지 2 중량% 및 비타민-미량광물질 8 내지 9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추생균제는 발효기에 부형제를 투여하고 멸균 처리 후 냉각하고, 약 40 내지 60℃로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및 생균 배양물을 발효기에 넣고 45 내지 50 ℃, 수분 50 내지 70% 정도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고, 다시 50 ℃ 이하에서 40 내지 50시간 정도 건조 및 숙성시켜 수분함량이 10 내지 15%가 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및 생균 배양물은 부형제 1000 kg을 기준으로 12 내지 15: 5 내지 10: 0.5 내지 2L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형제 1000 kg을 기준으로 11:3:1L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추생균제에 함유된 미생물은 1×106 내지 1×08 cfu/g 정도이며,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유효기간은 약 6개월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추생균제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사료 1톤당 0.1 내지 2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거세한우의 거세한우의 육성기(7 내지 12 개월령)에 TMF(Total Mixed Fermentation) 사료 1톤 당 0.5 내지 2.5%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7 내지 12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TMF 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13 내지 15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제7항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상기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은 소의 사육기간을 육성기(7 내지 12 개월령),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 및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사료첨가제를 달리 사용하여 거세한우에 급여함으로써 일당 증체량을 증가시키고, 지육량과 도체등급을 향상시키며, 사료비용을 높이지 않아 농가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육성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0.5 내지 2.5%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전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중기 및 비육후기에는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하는 농후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육성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1 내지 2%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전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0.5 내지 1%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중기 및 비육후기에는 농후사료 1톤 당 0.5 내지 1%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하는 농후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육성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2%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전기에는 TMF 사료 1톤 당 1%의 점토광물질이 함유된 TMF 사료를, 비육중기 및 비육후기에는 농후사료 1톤 당 1%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하는 농후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육성기 TMF 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농후사료 33 내지 34 중량%, 콘후레이크 6 내지 7 중량%, 단백피 7 내지 8 중량%, 비트펄프 5 내지 7 중량%, 옥수수주정박 6 내지 8 중량%, 전분박 4 내지 6 중량%, 전지대두 2 내지 4 중량%, 라이그라스 3 내지 5 중량%, 알팔파베일 5 내지 6 중량%, 클라인 4 내지 6 중량%, 톨페스큐 6 내지 8 중량%, 맥주박 9 내지 10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5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육전기 TMF 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농후사료 34 내지 36 중량%, 콘후레이크 10 내지 12 중량%, 단백피 6 내지 8 중량%, 비트펄프 3 내지 5 중량%, 옥수수주정박 4 내지 6 중량%, 면 실 2 내지 4 중량%, 보리펠렛 1 내지 3 중량%, 전분박 4 내지 6 중량%, 전지대두 2 내지 4 중량%, 알팔파베일 4 내지 5 중량%, 클라인 5 내지 6 중량%, 톨페스큐 7 내지 9 중량%, 맥주박 5 내지 7 중량%, 비타민-미네랄 0.5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육중기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32 내지 34 중량%, 소맥 8 내지 10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2 내지 4 중량%, 소맥피 5 내지 6 중량%, 단백피 16 내지 18 중량%, 대두박 1 내지 2 중량%, 채종박 4 내지 6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8 내지 10 중량%, 포도박 2 내지 4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중량%, 석회석 2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육후기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40 내지 43 중량%, 소맥 7 내지 9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1 내지 3 중량%, 소맥분 0.5 내지 2 중량%, 소맥피 3 내지 5 중량%, 단백피 14 내지 16 중량%, 채종박 3 내지 5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7 내지 9 중량%, 포도박 2 내지 3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주량%, 석회석 1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토광물질은 SiO2(60% 이상), Al2O3(11% 이상), 및 미량의 Fe, Ca, Mg, Na 등이 함유된 제오라이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추생균제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부추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생균제 제조를 위한 기초적 미생물 배양 단계로서 종균배양 → 액체배양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KCTC 2213, 1.0×1010 cfu/g)는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을 받아 멸균된 NB(Nutrient Broth)배지 100 mL에 종균 각 1 loop을 접종하여 shaking incubator 내에서 35℃, 120 rpm, 24시간 동안 액체 배양으로 반복·배양하여 다음에 사용될 종균 양이 1 L가 생산될 수 있도록 배양하였다.
② 당귀, 인삼, 감초, 생강, 계피 각 1 kg와 물 250 L를 넣고 큰 가마솥에서 1시간 30분∼2시간 동안 푹 삶아 추출물을 얻었다. 250 L의 옹기(단지)에 추출물 200 L와 흑설탕 30 kg와 혼합 후 상온(20℃∼25℃)에서 6개월간 발효시켰다.
③ 30 L의 옹기(단지)에 생부추 10 kg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흑설탕 10 kg, 상기 ①의 종균 5L를 넣고 상온(20∼25℃)에서 30일간 발효시켰다.
④ ②번의 6개월 후에 개봉하여 걸러서 나온 순수 액기스 발효액 11 L와 ③번에서 나온 액기스 발효액 3 L를 혼합하고 ①의 액체배양에서 만든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종균 1 L와 다시 잘 혼합하여 총 15 L를 준비하였다.
⑤ 2,000 L 발효기(Fermentor)를 이용하여 부형제(100%: 1,000 kg 기준시): 소맥피(35%: 350 kg), 단백피(35%: 350 kg), 옥수수 분말(7%: 70 kg), 전지대두(10%: 100 kg), 당밀(3%: 30 kg), 점토광물질(1.5%: 15 kg), 기타 비타민 및 미량광물질(8.5%, 85 kg)를 먼저 투입하여 150℃, 2시간 멸균 처리한 후 냉각하여 온도가 50℃ 정도로 떨어지면 상기의 ②∼④번까지를 합한 총 15 L의 종균 배양액과 혼합, 접종하여 발효기(Fermentor)에 넣고 내부온도 45∼50℃, 수분 60% 정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발효배양을 시켰다. 그 후 자동온도 제어장치가 있는 건조 숙성실에서 다시 50℃ 이하에서 48시간 건조, 숙성시킨 후 생균제의 수분함량이 12% 정도일 때 전부 꺼내어 규격에 맞게 제품을 포장하였다.
⑥ 제품 포장 및 유통에서 포장된 생균제내 보증된 유효 미생물 수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1×107 cfu/g 정도이며, 유효기간은 6개월이며, 사료 톤당 0.2∼1.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부추생균제를 이용한 소의 사육 실험
사육 실험을 위해, 포항축산업협동조합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생후 8.12∼9.4개월령에 거세한 후 예비시험 등 여러 가지 준비과정을 거쳐 개시체중 259∼277 kg(생후 9.12∼10.4개월령)정도로 연령과 체중이 비슷한 한우 거세우 40두를 아래와 같이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표 1).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한우 시험계획 및 한우사료급여 프로그램에 따라 1일 2회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물과 미네랄 블럭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시험재료로 첨가 급여한 부추생균제의 성분은 표 2와 같고, 급여사료의 배합비와 이때 성분분석은 AOAC 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한편 체중측정은 3개월에 1회씩 실시하였으며, 사료섭취량 측정은 매일 09:00와 17:00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잔량은 익일 오전 사료급여 전에 잔량을 칭량하여 1일 총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고 1일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 총 증체량을 나누어 환산하였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1
(혈액 및 혈청화학검사)
혈액채취는 비육단계별 사료교체 후 2개월령에 공시축의 경정맥에서 개체별 8 mL를 채혈하여 먼저 EDTA가 들어있는 Vaccum tube에 3 mL를 담고, 그 후 혈액응고제가 들어있지 않는 Vaccum tube에 5 mL를 담았다. 혈청 화학검사(Serum chemistry)를 위하여 4℃에서 8시간 방치한 후 혈청분리를 위하여 2,5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분석시까지 초저온 냉동고(-70℃)에 보관하였다가 자동혈액분석기(Fujifilm DRI- Chem. 3500S Japan)를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Kit No 1450, Fujifilm), Triglyceride(Kit No 1650, Fujifilm), GOT(Kit No 3150, Fujifilm), GPT(Kit No 3250, Fujifilm), 글루코오스(Kit No 1050, Fujifilm)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트리글리세라이드(Kit No 336, Sigma), 총 콜레스테롤(Kit No 401, sigma), HDL(Kit No, 352, Sigma)은 효소적 비색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중의 IgG와 IgM의 분석은 Bovine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와 Bovin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를 이용하여 ELISA 면역항체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도체성적)
사양시험 종료 후 근거리에 있는 고령 농협공판장으로 운반하여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도축하여 24시간 냉각 후에 축산물등급판정기준에 따라 육량형질(냉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과 육질형질(근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를 측정하였고, 한국 축산물 등급판정사가 육량 및 육질등급 판정을 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도축된 도체로부터 12번째 늑골과 13번째 늑골 사이의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고기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시료 5 g을 사용하여 105∼110 ℃의 건조법으로, 조단백질은 시료 1 g을 켈달법으로, 조지방은 시료 10 g을 쇽시렛 추출법으로, 조회분은 시료 7 g을 칭량하여 550 ℃의 전기로에서 2시간 동안 회화시켰다.
(1) 가열감량 및 전단력
가열감량은 시료를 스테이크 모양으로 약 25 g 내외로 절단하여 70℃ 워터 배스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30시간 방냉하여 가열 전후의 중량차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2
전단력은 Wheeler 등의 방법(J. Anim . Sci. 78: 958-965, 2000)으로 시료를 3 cm의 두께의 스테이크 모양으로 근섬유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육을 절단하여 육 내부온도를 70 ℃까지 가열한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방냉하였다. 방냉한 시료에서 직경 0.5 inch 코아(core)를 근섬유 방향에 따라 원통형으로 뚫어 시료를 채취한 후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5, UK)을 이용하여 근섬유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단력을 측정하였고, 8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2) 보수력
잘 마쇄한 세절육 10 g을 원심분리관의 세공이 있는 철판 위에 채운 뒤 고무마개를 한 다음 70 ℃의 워터 배스에서 30분간 가열하고, 방냉하여 1,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분리된 육즙량을 측정하고, 그 다음 총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다음 공식에 대입하여 보수력(%)을 구하였다(Hong et al., Food Sci . Biotechnol . 14: 676-680, 2005).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3
※ 0.951=70℃에서 분리된 육즙 중의 순수한 수분함량
(3) pH 및 육색
pH는 시료 10 g에 증류수 90 mL를 가하고, homogenizer(NS-50, Japan)로 10,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pH meter(520A, Orion Research Inc. USA)로 측정하였다. 육색은 시료를 절단하여 공기 중에 약 30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camera Co., Japan)를 이용하여 CIE 값(L*=명도, a*=적색도, b*=황색도)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표준색판은 L*=96.18, a*=0.10, b*=1.90인 백색의 calibration plate를 이용하였고,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4)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채취한 한우육의 등심부위를 5 mm 정도의 두께로 세절하여 구이용 불판을 이용하여 70∼80 ℃ 온도에서 로스구이하여 훈련된 검사요원 10명을 무작위로 차출한 후 다즙성, 연도, 향미와 관련지어 기호도를 6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6=아주좋다, 5=다소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싫다, 1=아주 싫다).
(지방산 분석)
지질의 지방추출은 Folch 등의 방법(J. Biol . Chem. 226: 497-504, 1957)에 따라 실시하였고, 지방산은 시료 0.5 g을 Park & Goins의 방법(Food. Sci . 72(Suppl. 2), 5(Abstr), 1994)에 의해서 메틸화하였다. 시료에 methanol:benzene(4:1, v/v) 2 mL와 acethyl chloride 200 ㎕를 가한 후 100℃의 히팅 블럭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에 충분히 방치한 다음 hexane 1 mL와 6% potassium carbonte 5 mL를 가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 rpm 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5 ㎕를 취하여 Gas Chromatography (GA-17A, Shimdzu, Japen)에 주입하였다. 이때의 분석조건은 칼럼의 초기온도는 180 ℃에서 시작하여 1.5 ℃/min의 속도로 230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2분간 유지하였다. 이때 injector, detector(FID)의 온도는 각각 240 ℃, 260 ℃로 하였고, 지방산은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비교하였으며, 함량은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콜레스테롤 분석)
육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Nam 등의 방법(Meat Sci . 58: 431-435. 2001)에 준하여 콜레스테롤을 추출하기 위하여 고기시료 2 g을 50 mL 튜브에 넣고 saponification 시약 10 mL와 internal standard(5-cholestane)를 0.5 mL씩 넣어준 후 약 14초간 9,500×g에서 균질화시켰다. 뚜껑을 완전 밀봉 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완전히 식힌 다음 층이 분리되면 상층 1 mL를 회수하여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에 pyridine 200 ㎕와 sylon BFT(Bistrifluoro-actamide + Trimrthyl-chloro silane, 99: 1, Supleco) 100 ㎕을 넣고 지방을 완전히 녹인 다음 Gas chromatography(HP-6890,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롤 분석에 사용된 GC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Oven temperature 180℃, Injection temperature: 280℃, split ratio: 19.1: 1, column: capillary column, 30 m×0.32 mm I. D., 0.25 um film thickness (HP-5 MS, J&W Scientific, USA), maximum oven temperature: 325℃, flame ionization detector temperature: 350℃, H2 flow: 33.0 mL/min.
(통계분석)
본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들의 통계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release ver. 9.1, 2003)의 ANOVA(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및 T-tes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1955)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4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5
<실험예 1>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표 4는 육성기(생후7∼12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개시월령은 Con구(9.9개월령)가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처리구는(9.0∼9.5개월령)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시험개시 체중은 259.13∼277.00 kg 정도로 비슷하게 시작하였으나 종료시 체중에서 Con구는 398.75 kg이였으나, T1∼T4구는 366.00∼388.13 kg으로 Con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육성기때 총 증체량에서도 Con구가 123.87 kg 였으나 다른 처리구는 93.92∼116.75 kg으로 Con구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1일 두당 증체량을 보면 Con구(0.95 kg)가 T1∼T4구(0.72∼0.90 kg)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그 중에서 T4가 0.72 kg으로 가장 낮았지만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육성기 전기간 동안의 두당 총사료 섭취량은 1,188∼1,190 kg으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1일 두당 섭취량도 9.14∼9.15 kg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에서는 Con구가 9.62로 크게 낮아 사료효율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체로 육성기 시험성적의 경우 개시체중은 비슷하게 배치하였으나 시험 개시일령이 Con구가 T1∼T4구보다 25일정도 연령이 더 많아 성숙도가 더해진 결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 Con구를 제외하고는 T2구에서 총 증체량, 1일 두당 증체량이 우수하였다.
표 5는 비육전기(생후 13∼18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개시월령은 육성기와 마찬가지로 Con구(14.2개월령)가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T1∼T4구는 (13.2∼13.8개월령)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개시체중은 육성기 종료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366.00∼398.75 kg 정도로 T1구를 제외하고는 다른 처리구들은 거의 비슷하게 시작하였으나 비육전기의 종료시 체중의 경우, Con구는 546.44 kg이였으나, T1∼T4구는 504.00∼543.13 kg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비육전기때 총 증체량에서는 Con구가 147.69 kg 였으나 다른 T1∼T4구는 137.12∼155.00 kg을 나타내었고, 전체적으로 T4구가 137.12 kg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1일 두당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0.98 kg이였으나 T2구와 T3구는 1.03 k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 T4가 0.91 kg으로 낮았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한편, 비육전기 동안의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Con구가 1,926 kg이였으나 T1∼T4구는 1,835∼1,858 kg으로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1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12.23∼12.84 kg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사료요구율에서는 12.01∼13.62의 범위에 있었고, 그 중에서 T4구가 13.62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와 T3구가 12.01∼12.03으로 다소 낮아 사료효율적인 측면에서 더 좋은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비육전기에서는 T2구에서 총 증체량, 1일 두당 증체량이 우수하였다.
표 6은 비육중기(생후19∼22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개시 체중은 504.00∼546.44 kg 정도였으나 종료시 체중에서 Con구는 664.31 kg이였으나, T2구와 T3구는 681.63∼670.69 kg으로 Con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총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117.87 kg 이었으나 T1∼T4구는 120.19∼138.50 kg 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간의 큰 편차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른 결과로 1일 두당 증체량을 보면 Con구가 0.79 kg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며, 반면 T2구는 0.92 k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이 시기는 급여사료가 TMF사료에서 농후사료 급여로 변경되는 시기로서 TMF사료 급여때 보다 증체량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9.68 ∼10.68으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이에 따라 두당 총섭취량은 Con구는 1,602 kg이었으나, T1∼T4구는 1,452.0∼1,596.0 kg으로 그 중에서도 Con구와 T3구가 높았던 반면에 T4구가 1,452 kg으로 낮았다. 한편, 사료요구율에서는 Con구가 13.51로서 높아 사료효율적인 측면에서 나쁘게 나타났던 반면에 T2구(11.12)와 T4구(11.64)는 좋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육중기에서는 T2구에서 총 증체량, 1일 두당 증체량이 우수하였다.
표 7은 비육후기(생후 23∼30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개시체중은 비육중기의 전반기때 종료체중으로 시작하였으나 후반기 종료시 Con구는 759.63 kg이었으나, T1∼T4구는 737.25∼802.31 kg 정도로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였고(P<0.05), 이 기간의 총 증체량을 보면 T3구가 131.62 k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T4구가 119.23 kg, T2구가 113.60kg, T1구가 110.00 kg으로 나타났으나 Con구의 경우는 95.32 kg으로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이에 따라 1일당 두당 증체량은 T3구가 0.77 kg으로 높았으나 반면에 Con구는 0.56 kg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비육전기 때까지 TMF 급여에 따른 낮은 증체율을 보였으나 비육중기 이후에 에너지가 높은 농후사료의 급여에 따라 섭취량 증가와 함께 증체량도 크게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두당 총섭취량은 Con구가 1,560.6 kg이었으나, T1∼T4구는 1,460.3∼1,616.7 kg였으며, 그 중에서도 처리3구가 크게 높았고, 1일 두당섭취량은 T3구에서 9.51 kg으로 가장 높았고(P<0.05), 사료요구율은 Con구가 16.41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비육후기에서는 T3구에서 총 증체량, 1일 두당 증체량이 우수하였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6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7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8
Figure 112018046442193-pat00009
<실험예 2> 혈액 성상
표 8은 육성기 혈청내의 성분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것이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시험개시 시(88.92 mg/dL)때 보다 크게 높아진 전체 평균치가 105.63 mg/dL 이였고, 대체로 85.00∼122.63 mg/dL 범위로 나타났고,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고, Con구가 122.63 mg/d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동물이 섭취하는 총 지방의 95% 이상이 중성 지방이며, 중성 지방은 아실 글리세롤이라 불리는 글리세롤에 1, 2, 3 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테르와 결합한 것으로 모노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있다. 이중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유리지방산은 대부분 세포로 들어가 이용되는데 일부는 지방조직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재합성되면서 저장된다. 육성기의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전체 평균치가 시험개시 시(3.47 mg/dL) 보다 더 높았고, 대체로 4.57∼6.63 mg/dL 범위였고,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GOT와 GPT에서는 전체 평균이 63.05 U/L와 23.87 U/L로 시험개시 시 보다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일 뿐 거의 차이가 없었고 처리구간에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혈중 글루코오스는 반추동물의 지방 생합성에 중용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글루코오스를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치가 시험개시 시(66.55 mg/dL)보다 오히려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고, 처리구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T2구∼T4구가 Con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혈중 알부민은 조직의 단백질 합성량이 증가하면서 전구물질인 알부민이 혈중으로 유입되는데, 전체 평균이 3.46 g/dL이었고, 3.11∼3.71 g/dL 범위였고, 처리구간에도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내의 면역반응은 조직, 세포분자들이 감염원에 대하여 기관을 보호하는 것으로, 세균에 감염되면 혈액내의 IgM이 가장 먼저 증가하는 것이 1차 응답(Primary response)이라고 하고, 이에 대해서 IgG는 재차 또는 연속되는 항원자극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며, 이 반응은 2차 응답(Secondary response)이라고 불린다. IgG는 보통 혈액내에서 가장 많은 면역글로불린으로 세균의 독소를 중화하거나 항원과 쉽게 결합한다고 보고하였는바, 면역성을 나타내는 IgG를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이 59.57 mg/mL이었고, 대체로 56.17∼62.62 mg/mL 범위였으나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Con구가 56.17로 크게 낮았지만 처리구는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표 9는 비육전기 혈청내의 성분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것이다. 총 콜레스테롤은 전체 평균치가 176.08 mg/dL 이었고, 대체로 168.38∼180.75 mg/dL 범위로 육성기때 보다 더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구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전체 평균이 11.05 mg/dL이었고, 대체로 7.86∼16.75 mg/dL 범위였으며, 그 중에서도 Con구가 16.75 mg/dL로 높은 경향이었다. GOT와 GPT는 전체 평균이 67.37 U/L와 24.82 U/L로 육성기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글루코오스는 전체 평균이 73.39 mg/dL이었고, 대체로 70.13∼77.57 mg/dL 범위를 나타내었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알부민의 전체 평균이 3.94 g/dL이었고, 3.80∼4.04 g/dL 범위였고, 처리구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면역성을 나타내는 IgG의 전체 평균이 51.55 mg/mL이었고, 대체로 43.15∼56.07 mg/mL 범위였으나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Con구가 43.15로 크게 낮았지만 처리구는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상기 결과로부터 바실러스(Bacillus) 속의 유산균이 함유된 부추생균제의 첨가급여로 인해 혈중의 IgG 함량 증가는 면역력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알부민은 비육이 진행됨에 따라서 거의 차이가 없이 3.47∼3.79 mg/dL의 범위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표 10은 비육중기 혈청내의 성분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것이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전체 평균치가 207.26 mg/dL 이였고, 대체로 178.25∼254.75 mg/dL 범위였으며(p<0.05),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1구(254.75 mg/dL)가 타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던 반면에 Con구(178.25 mg/dL)가 가장 낮았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경우 전체 평균치가 14.03 mg/dL이었고, 대체로 11.63∼18.25 mg/dL 범위였으나 처리구간 비교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GOT와 GPT는 전체 평균이 60.39 U/L와 18.87 U/L로 비육전기 때보다는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글루코오스는 전체 평균이 58.76 mg/dL 이었고, 대체로 54.75∼62.00 mg/dL 범위였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알부민의 경우 전체 평균이 3.63 g/dL이었고, 처리구간에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IgG는 전체 평균이 31.19 mg/mL이었고, 전체적으로 24.43∼34.31 mg/mL 범위로서 비육전기때보다 크게 낮아졌으며, 그 중에서도 T3구가 34.31 mg/mL로 높았던 반면 Con구가 24.43 mg/mL으로 크게 낮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표 11은 비육후기 혈청내의 성분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것이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전체 평균치가 171.08 mg/dL 이었고, 대체로 153.75∼200.50 mg/dL 범위로서(p<0.05), 비육중기 때보다는 낮았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1구(200.50 mg/dL)가 타 처리구보다 높았던 반면에 Con구(153.75 mg/dL)가 낮은 경향이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경우 전체 평균치가 13.71 mg/dL이었고, 대체로 12.25∼16.71 mg/dL 범위였으나 처리구간 비교에서도 통계적인 유의차 차이가 나타났다. GOT와 GPT는 전체 평균이 54.24 U/L와 17.92 U/L로 비육중기 때보다는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며,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글루코오스의 경우에 전체 평균이 76.21 mg/dL이었고, 대체로 72.13∼84.88 mg/dL 범위로서 비육중기보다는 크게 높아졌으나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알부민의 경우 전체 평균이 3.60 g/dL이었고, 처리구간에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IgG는 전체 평균이 17.49 mg/mL이었고, 전체적으로 10.97∼23.25 mg/mL 범위로서 비육중기때 보다 크게 낮아졌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고, 그 중에서도 T1구가 23.25 m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상기 결과로부터 비육후기의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처리구가 Con구보다 다소 더 높게 유지되는 경향으로 보아 포도당이 육질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0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1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2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3
<실험예 3> 도체등급 및 육의 이화학적 특성
표 12는 시험종료 후에 도축된 도체등급 판정결과이다. 출하체중은 대체로 753.71∼811.43kg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체중이 772.74kg이었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3구(811.43 kg) > T2구(794.13 kg) > Con구(763.38 kg) > T4구(753.71 kg) > T1구(743.50 kg)의 순으로 낮았으며, 처리구 중에서는 T3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도체중의 경우는 대체로 434.38∼488.43 kg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체중이 454.39 kg이었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3구(488.43 kg) > T2구(465.00 kg) > Con구(450.25 kg) > T4구(435.86 kg) > T1구(434.38 kg)의 순으로 낮았으며, 처리구 중에서는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도체율에서는 T3구(60.17%)가 높았던 반면 T4(57.89%)는 낮았으며, 나머지 처리구들은 중간수준(58.46∼58.96%)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등지방 두께는 평균 13.88∼16.86 mm 정도로서 평균 15.21 mm 였으며, 전체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T3구가 16.86 mm로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두꺼워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여기서 T3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더 두꺼워진 것은 비육중기때 낮은 증체율을 보였다가 부추생균제 첨가급여에 따른 소화율 증진효과 및 보상성장의 영향이라고 명확히 말할 수 없지만 지속적인 사료섭취량의 향상에 따른 결과로 추측된다. 또한, 배최장근 단면적의 경우는 평균 91.25∼103.00 ㎠ 범위로서 평균 96.84 ㎠였으며,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T3구(103.00 ㎠)가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등급에서 육량등급의 경우, A등급 : 3점, B등급 : 2점, C등급 : 1점으로 환산하여 처리구간을 비교해보았을 때, T1구 2.00점> T4구 1.71점 > Con구 1.50점 > T3구 1.43점> T2구 1.38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치는 1.61 점으로서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근내지방도의 경우는 T3구가 6.57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유의하게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한편, 도체등급 중의 육질등급을 1++등급 : 5점, 1+등급 : 4점, 1등급 : 3점, 2등급 : 2점, 3등급 : 1점으로 환산하여 처리구간의 비교해 볼 때, T3구 3.86점 > T4구 3.71점> T1, T2구 각각 3.63점 > Con구 3.50점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치는 3.66점으로서 처리구 중에서도 T3구가 3.86점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52.94∼63.65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전체평균은 58.13 mg/100g이었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Con구가 63.65 mg/100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T1구가 52.94 mg/100g로서 크게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근내지방 함량은 고기의 관능특성, 특히 연도, 다즙성, 향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고기의 가열은 가열방법, 성분조성 및 익힘정도에 따라 그 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며 가열방법에 관계없이 고기가 가열될 때 근섬유의 수축과 근절의 단축은 보수력의 감소와 가열감량을 나타내게 된다. 연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기기를 이용하거나 훈련된 관능평가요원을 이용하는 객관적인 방법과 소비자 관능평가를 이용하는 주관적인 방법이 있다.
관능평가에서 다즙성은 4.90∼5.63점의 범위였고, 전체 평균치는 5.25점이였으며,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3구(5.63점)가 높게 나타났다.
연도는 전체 평균치는 4.85점으로 3.90∼5.50점의 범위였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3구(5.50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향미는 전체 평균치는 4.57점으로 4.05∼5.07점 범위였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T3구(5.07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대체로 고기평가에서 전단력은 높을수록 질기며, 보수성은 높을 수록 부드러우며, 가열감량은 낮을수록 육질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 시험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Con구의 전단력이 다른 처리구보다 더 높았다는 것은 고기가 더 질 길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기의 다즙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보수력의 경우는 56.73∼60.16%로서 T2구가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표 14는 등심부위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로서 oleic acid은 전체 조성분에서 47.07∼50.99% 범위였고, 전체 평균치는 48.77%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 는 27.91∼29.92%, stearic acid 11.38∼12.90%, palmitoleic acid 3.83∼4.24%, myristic acid 2.69∼3.26%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성분별의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특히 oleic acid는 T3구가 가장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전체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은 42.04∼46.01% 범위였고, 전체 평균치는 44.29%였으며, Con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지만 유의차는 없었고(P>0.05),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53.99∼57.96% 범위였고, 전체 평균치는 55.56%였으며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PUFA/SFA 비율은 0.041∼0.054이며, MUFA/SFA비율은 1.125∼1.268로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MUFA(Monosaturated Fatty Acid)는 51.77∼55.86% 범위였고, 전체 평균치는 53.41%였으며 그 중 T3구가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하지만 PUFA(Polysaturated Fatty Acid)는 1.87∼2.33% 정도였고, 전체 평균치는 2.15%였으며,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사양조건이 쇠고기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 목초사양은 n-3 PUFA 증가 및 MUFA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농후사료 위주사양은 n-6 PUFA 함량이 증가하며, 곡류위주의 사양으로서 C16:0 또는 C18:0 보다 C18:1n9 수준이 증가된다는 기존의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4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5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6
<실험예 4> 경제성 분석
부추생균제 첨가 사양시험에 따른 비육우 두당 경제성 분석결과는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조수입은 지육가격과 도축부산물을 합산하였고, 경영비는 송아지구입비, 농후사료비, 조사료(비육중기때는 톨페스규(6):볏짚(4) 비율로 혼합급여, 비육후기때는 연맥(5):페레니알라이그라스(5) 비율로 혼합급여 함), TMF사료 및 부추생균제, 기타비용, 가족노동력을 적용한 후 통계청(2017)의 농축산 생산비조사 자료에 의거 제반비용을 산출한 후 합산한 금액으로 산출하여 비교해 보았다.
다시 말해서 1두당 경제성 분석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체로 지육가격을 비롯하여 부산물의 가격을 포함한 총 조수입의 경우는 T3구가 9,054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처리구는 8,011∼8,290천원으로 거의 비슷하여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한편, 두당 경영비를 살펴보면, 송아지 가격은 309만원 정도로 거의 비슷하였지만 육성기와 비육전기까지 급여한 TMF사료가격은 Con구가 1,407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처리구는 대체로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경향으로, 처리구간은 1,354∼1,361천원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비육중기부터 출하시까지 급여한 농후사료비는 T3구가 916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T4구는 815천원으로 다소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부추생균제 첨가비용은 Con구(0원), T1구(86,804원), T2구(0원), T3구(38,273원), T4구(63,027원)으로 나타났고, 산출이 어려운 수도광열비등 제비용과 가족노동 비용은 2017년(통계청)에서 발표한 2016년 기준 농축산생산비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는데, 수도광열비 등 기타 제비용(276,904원)과 가족노동비(729,013원)는 거의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따라서, 1두당 경영비의 총 합계는 Con구는 6,604천원, T1구는 6,587천원, T2구가 6,512천원, T3는 6,619천원, T4구는 6,543천원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최종적으로 두당 순 소득을 계산해보면, 비육개시부터 도축까지 총 조수입에서 경영비를 공제한 잔액으로 두당 순 수익은 Con구는 1,407천원, T1구는 1,702천원, T2구가 1,641천원, T3는 2,434천원, T4구는 1,522천원으로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고(P<0.05), 그 중에서도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의 경제성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육성기 및 비육전기까지는 지역생산의 점토광물질과 부추생균제가 첨가된 TMF 사료를 급여하고, 비육중기 이후에는 부추생균제를 첨가한 농후사료를 급여하는 것은 면역성증가, 증체량 및 육질등급 향상뿐만 아니라 농가소득 증대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18046442193-pat00017

Claims (13)

  1. 동량의 당귀, 인삼, 감초, 생강 및 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20 내지 25 ℃에서 40 내지 60 개월 동안 발효시켜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부추 및 생균 배양물을 혼합하여 20 내지 25 ℃에서 30 내지 35 일 동안 발효시켜 부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한약재 발효액, 상기 부추 발효액 및 생균 배양물을 혼합한 종균 배양액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물의 수분함량을 10 내지 15 중량%로 건조시켜 부추생균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형제는 부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맥피 34 내지 36 중량%, 단백피 34 내지 36 중량%, 옥수수 분말 6 내지 8 중량%, 전지대두 9 내지 11 중량%, 당밀 2 내지 4 중량%, 점토광물질 1 내지 2 중량% 및 비타민-미량광물질 8 내지 9중량%로 구성된 것인,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생균 배양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아밀롤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및 효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액체 배양액인,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한약재 발효액, 부추 발효액 및 생균 배양물은 부형제 1000 kg을 기준으로 12 내지 15: 5 내지 10: 0.5 내지 2L의 비율로 혼합하는,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추생균제.
  8. 거세한우의 육성기(7 내지 12 개월령)에 TMF(Total Mixed Fermentation) 사료 1톤 당 0.5 내지 2.5%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7 내지 12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전기(13 내지 18 개월령)에 TMF 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점토광물질을 포함한 TMF 사료를 13 내지 15 kg/일 급여하는 단계;
    거세한우의 비육중기(19 내지 22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제7항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8 내지 10 kg/일 급여하는 단계; 및
    거세한우의 비육후기(23 내지 30 개월령)에 농후사료 1톤 당 0.2 내지 1.2%의 상기의 부추생균제를 포함한 농후사료를 7 내지 9.5 kg/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점토광물질은 제오라이트를 포함하는,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육성기 TMF 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농후사료 33 내지 34 중량%, 콘후레이크 6 내지 7 중량%, 단백피 7 내지 8 중량%, 비트펄프 5 내지 7 중량%, 옥수수주정박 6 내지 8 중량%, 전분박 4 내지 6 중량%, 전지대두 2 내지 4 중량%, 라이그라스 3 내지 5 중량%, 알팔파베일 5 내지 6 중량%, 클라인 4 내지 6 중량%, 톨페스큐 6 내지 8 중량%, 맥주박 9 내지 10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5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비육전기 TMF 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농후사료 34 내지 36 중량%, 콘후레이크 10 내지 12 중량%, 단백피 6 내지 8 중량%, 비트펄프 3 내지 5 중량%, 옥수수주정박 4 내지 6 중량%, 면 실 2 내지 4 중량%, 보리펠렛 1 내지 3 중량%, 전분박 4 내지 6 중량%, 전지대두 2 내지 4 중량%, 알팔파베일 4 내지 5 중량%, 클라인 5 내지 6 중량%, 톨페스큐 7 내지 9 중량%, 맥주박 5 내지 7 중량%, 비타민-미네랄 0.5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비육중기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32 내지 34 중량%, 소맥 8 내지 10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2 내지 4 중량%, 소맥피 5 내지 6 중량%, 단백피 16 내지 18 중량%, 대두박 1 내지 2 중량%, 채종박 4 내지 6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8 내지 10 중량%, 포도박 2 내지 4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중량%, 석회석 2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비육후기 농후사료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40 내지 43 중량%, 소맥 7 내지 9 중량%, 당밀 4 내지 5 중량%, 타피오카 1 내지 3 중량%, 소맥분 0.5 내지 2 중량%, 소맥피 3 내지 5 중량%, 단백피 14 내지 16 중량%, 채종박 3 내지 5 중량%, 야자박 5 내지 7 중량%, 팜박 7 내지 9 중량%, 포도박 2 내지 3 중량%, 정제염 0.1 내지 1 주량%, 석회석 1 내지 3 중량%, 중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미네랄 0.1 내지 1 중량%로 구성된 것인,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1020180054240A 2018-05-11 2018-05-11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10204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40A KR102044830B1 (ko) 2018-05-11 2018-05-11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40A KR102044830B1 (ko) 2018-05-11 2018-05-11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830B1 true KR102044830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40A KR102044830B1 (ko) 2018-05-11 2018-05-11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8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59B1 (ko) * 2019-12-30 2020-05-21 한석주 생균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KR102181738B1 (ko) * 2020-02-05 2020-11-24 한석주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CN114196524A (zh) * 2021-11-09 2022-03-18 新疆冠农果茸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发酵饲料生产系统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441A (ja) * 1997-07-29 1999-02-16 Ichimaru Pharcos Co Ltd 魚介類の疾病予防治療剤
KR20070083293A (ko) * 2006-02-10 2007-08-24 임효상 김치미생물(유산균,효모)의 pH2.7~3.4 배양액 생산방법 및사료첨가물
KR20120107557A (ko) * 2011-03-22 2012-10-04 이강옥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441A (ja) * 1997-07-29 1999-02-16 Ichimaru Pharcos Co Ltd 魚介類の疾病予防治療剤
KR20070083293A (ko) * 2006-02-10 2007-08-24 임효상 김치미생물(유산균,효모)의 pH2.7~3.4 배양액 생산방법 및사료첨가물
KR20120107557A (ko) * 2011-03-22 2012-10-04 이강옥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C.W. et al. 2009. Journal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In Korean] 51: 231-240
Chung, K. Y. et al. 2006. Meat Science 73:432-441
Crouse, J. D. et al. 1989. J. Anim. Sci. 67: 2661-2668
Dolezal, H.G. et al. 1982. J. Food Sci. 47, 368-370
Harms, R. H. and Damron, B. L. 1973. Poultry Sci. 52: 2034-2037
Hatch, R. C. et al. 1973. J. Dairy. Sci. 56(Suppl. 1): 682(Abstr.)
Kim, B K. et al. 2011.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2) : 257-265
Kim, B. K. et al. 2005.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 156-161
Nishimura T 1973 J. Clay Sci. 13: 23-25
Theodorou, M. K. et al. 1990. Anim. Prod. 50:577(Abstr.)
Torturer. 1973. Poultry Sci 52: 197-203
Zinn, D.W. et al. 1970. Journal of Animal Science. 31: 307-318
강수원 등. 1993. 한국영영사료학회지. 17: 93-101
백인기. 1989. 한국영양사료학회지. 13: 175-183
최재국 등. 1991. 한국축산학회지. 33: 144-15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59B1 (ko) * 2019-12-30 2020-05-21 한석주 생균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KR102181738B1 (ko) * 2020-02-05 2020-11-24 한석주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14196524A (zh) * 2021-11-09 2022-03-18 新疆冠农果茸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发酵饲料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830B1 (ko)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Moallem et al. The effects of live yeast supplementation to dairy cows during the hot season on production, feed efficiency, and digestibility
Liu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supplemented with Bacillus licheniformis in drinking water
CN105475624B (zh) 微生物发酵饲料及其生产方法与应用
KR101971984B1 (ko)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N106562038B (zh) 一种改善猪肉品质的功能性饲料
CN101700097B (zh) 一种茶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819481A (zh) 一种用于仔猪教槽的全价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996823A (zh) 复合益生菌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357338B1 (ko) 육질개선용 사슴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사슴으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사슴육과 녹용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CN106306454A (zh) 一种母仔猪发酵饲料、制备方法及其配合饲料
CN110338292A (zh) 一种混合型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07079880A (zh) 一种提高母猪受胎率、产仔率的方法
Liu et al. Effects of yeast culture supplementation and the ratio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 to fa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the fatty acid profile of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in lambs
Kim et al. Effect of yeast culture, fungal fermentation extract and non-ionic surfactant on performance of Holstein cows during transition period
Lin et al.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icrobial and nonstarch polysaccharide enzyme synergistic fermented maize cob feed and its feeding efficiency in finishing pigs
KR102492755B1 (ko) 증기 처리 및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1989130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높은 우육
Kumar et al. Effect of live Saccharomyces cerevisiae feeding on serum biochemistry in early weaned cross bred piglets.
Adebiyi et al. Effects of extruded rice bran based diet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ota and morphology of weaned pigs
CN112890035A (zh) 改善仔猪生产潜力的母猪复合添加剂及其制备和饲养方法
CN105104730A (zh) 一种玉米糟ddgs饲料
Saka et 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blood profile of West African dwarf goats fed diet containing graded level of malted sorghum sprout mixed with pineapple waste based diet
KR102432652B1 (ko)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