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738B1 -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 Google Patents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738B1
KR102181738B1 KR1020200013878A KR20200013878A KR102181738B1 KR 102181738 B1 KR102181738 B1 KR 102181738B1 KR 1020200013878 A KR1020200013878 A KR 1020200013878A KR 20200013878 A KR20200013878 A KR 20200013878A KR 102181738 B1 KR102181738 B1 KR 10218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treatment agent
weight
floor treatm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주
Original Assignee
한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주 filed Critical 한석주
Priority to KR102020001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은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양물 1~15 중량%, 부형제 75~95 중량% 및 약초추출물 1~1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 옥수수분말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및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METHOD FOR MANUFACTURING BEDDING TREATMENT MATERIAL FOR LIVESTOCK AND BEDDING TREATMENT MATERIAL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축사는 가축 관리의 능률화와 추위/더위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한다. 축사는 통풍, 채광 및 보온 등이 양호해야 하며, 사료 급여 주기와 청소 및 위생 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요구된다.
종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바닥은 흙이나 시멘트 상태로 가축을 사육하였으나, 축사 바닥에서 올라오는 냉기 또는 온기가 가축들에게 그대로 노출될 뿐 아니라 병균 또는 해충 등이 서식하기에 좋아 가축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종래의 축사 바닥은 가축의 배설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여, 축사와 인근 지역까지 악취로 인한 피해를 주며, 이러한 가축 배설물은 각종 환경문제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축사 내 가축의 분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주변 인가에서 민원을 제기하기도 하며, 가축 성장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며, 가축 질병 유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축사 바닥의 가축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정부에서 악취방지법을 제정하여 악취 저감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가축분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축사 내 악취 저감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055호(2019.03.08. 공개, 발명의 명칭: 친환경 가축 축사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축사 악취 및 유해가스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충 기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사 내 분뇨 성분의 분해를 촉진하여 퇴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축사 청소 및 퇴비처리 주기 증가를 통한 노동력 절감 효과가 우수한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처리제의 혼합성과 바닥처리제 균주의 생존력과 보존성이 우수한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축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 향상, 가축 성장률 개선 및 육질 등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이용한 축사 바닥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은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양물 1~15 중량%, 부형제 75~95 중량% 및 약초추출물 1~1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 옥수수분말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및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부형제는 소맥피 및 단백피를 1:0.5~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상기 혼합물을 50~65℃에서 3~15 시간 발효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된 혼합물을 40~50℃에서 24~72 시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발효물 60~80 중량%, 옥수수분말 15~35 중량% 및 제올라이트 1~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닥처리제는 평균 크기가 0.01~30mm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올라이트 및 옥수수분말을 1:3~1:8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이용한 축사 바닥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축사 바닥처리 방법은 축사 바닥에 바닥재를 까는 단계; 및 상기 바닥재에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는 축사 악취 및 유해가스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해충 기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축사 내 분뇨 성분의 분해를 촉진하여 퇴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축사 청소 및 퇴비처리 주기가 증가하여 이를 통한 노동력 절감 효과가 우수하고, 바닥처리제의 혼합성과 바닥처리제 균주의 생존력과 보존성이 우수하며, 가축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 향상, 가축 성장률 개선 및 육질 등급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특히 우사 등의 축사에 바닥처리제를 적용시 세균성 소발굽병 및 유방염 등의 질병 예방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은 (S10) 배양물 제조단계; (S20) 발효물 제조단계; 및 (S30) 제1 조성물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은 (S10)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배양물 1~15 중량%, 부형제 75~95 중량% 및 약초추출물 1~1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0) 상기 발효물, 옥수수분말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및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배양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지는 액체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지는 소이펩톤 또는 동물성 단백질 0.1~3 중량%, 효모 추출물 0.1~3 중량%, 포도당0.1~3 중량%, 미네랄 0.001~0.1 중량% 및 잔량의 증류수를 포함하는 액체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배양은 온도 25~35℃에서 24~72 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종균의 배양 효율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종균을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축사 악취 및 유해가스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가축의 면역력 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균을 배양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고체 배양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체 배양된 종균을 열풍 건조를 통해 수분 함량을 조절하여 고체화한 후, 분쇄하여 배양물을 제조할 수 있다.
(S20) 발효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배양물 1~10 중량%, 부형제 75~95 중량% 및 약초추출물 1~1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상기 발효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된다. 상기 배양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악취 저감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바닥처리제의 혼합성과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소맥피 및 단백피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백피(Corn gluten feed)는 옥수수를 도정하여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맥피(Wheat gluten)는 밀을 빻아 체로 분리 후, 남은 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부형제는 소맥피 및 단백피를 1:0.5~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조건으로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혼합성과 제형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맥피 및 단백피를 1:1~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부형제는 상기 발효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75~9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부형제를 7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9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바닥처리제의 축사 악취 제거 또는 가축의 병충해 예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5~9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및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궁은 뿌리, 꽃, 잎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쇠비름은 뿌리, 꽃, 잎, 종자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초추출물로 상기 천궁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을 포함시, 가축 분뇨의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친환경 축산이 가능하고 가축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가축 성장률 개선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 및 쇠비름을 분쇄하여 각각 분쇄물 형태로 제조한 다음, 상기 분쇄물을 각각 열수 및 유기용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시 유용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시 상기 천궁 및 쇠비름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손상 없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수 및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 이후, 교반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환류 냉각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천궁 및 쇠비름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혼합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천궁 및 쇠비름을 혼합한 상태에서 추출물을 수득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을 1:1~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천궁과 쇠비름 추출물 사이에 예측할 수 없는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가축 분뇨의 악취 제거 효과 및 해충 기피 효과가 우수하며, 바닥처리제의 혼합성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궁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을 1:1~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초추출물은 상기 발효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된다. 상기 약초추출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악취 저감효과 및 해충 기피효과가 저하되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혼합성과 제형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상기 혼합물을 50~65℃에서 3~15 시간 발효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된 혼합물을 40~50℃에서 24~72 시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발효물의 제조시, 바닥처리제의 악취 제거효과 및 가축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의 분해 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S30) 제1 조성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발효물, 옥수수분말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발효물 60~80 중량%, 옥수수분말 15~35 중량% 및 제올라이트 1~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60~8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바닥처리제의 악취 제거 효과와, 가축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의 분해 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5~7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옥수수분말은 제1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부형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옥수수 분말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5~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제1 조성물 혼합시 혼합성, 성형성과 상기 바닥처리제의 제형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다공질 구조가 형성되어, 악취 성분의 흡착 및 제거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제1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제1 조성물 제조시의 혼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상기 바닥처리제의 제형안정성과 악취 제거 효율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올라이트 및 옥수수분말을 1:3~1:8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로 포함시 제1 조성물의 혼합성과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3~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조된 제1 조성물을 건조하여 바닥처리제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닥처리제는 상기 제1 조성물을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닥처리제는 평균 크기가 0.01~30mm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축사 바닥처리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처리제는 꿩, 칠면조, 메추라기, 소, 젖소, 말, 당나귀, 돼지, 양, 염소, 개 및 토끼 등의 가축을 양식하는 축사에 사용될 수 있다.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이용한 축사 바닥처리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이용한 축사 바닥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축사 바닥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이용한 축사 바닥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축사 바닥처리 방법은 축사 바닥에 바닥재를 까는 단계; 및 상기 바닥재에 상기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재는 톱밥 또는, 톱밥 및 왕겨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톱밥은 축사 바닥에 10cm 이상 두께로 깔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약초추출물(1): 천궁(Cnidium officinale)과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을 준비하여, 평균크기 0.1~5mm의 분쇄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천궁과 쇠비름 분쇄물을 각각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고,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여과 및 건조하여 천궁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천궁 추출물 및 쇠비름 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약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약초추출물(2): 천궁 추출물을 적용하였다. 약초추출물(3): 쇠비름 추출물을 적용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
(1) 배양물 제조: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을 포함하는 종균을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였다.
(2) 발효물 제조: 상기 배양물, 부형제(소맥피 및 단백피=1:1.25 중량비 포함) 및 상기 약초추출물(1~3)을 하기 표 1의 함량조건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혼합물을 55~60℃에서 8 시간 발효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된 혼합물을 40~50℃에서 48 시간 숙성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3) 제1 조성물 제조: 상기 발효물 70 중량%, 옥수수분말 25 중량% 및 제올라이트 5 중량%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을 분말화하여, 평균입경 0.01~10mm인 구형의 바닥처리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12254044-pat00001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 의해 제조된 바닥처리제의 효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1) 바닥처리제의 혼합성 및 성형성: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의 바닥처리제 제조시, 구성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을 하기 4 가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매우 양호, ○: 양호, △: 불량, X: 매우 불량).
Figure 112020012254044-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는, 비교예 1~6 보다 바닥처리제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였으며,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시 사료 기호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축사 악취제거효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 대하여, 악취제거효과를 평가하였다. 축사(우사)에서 채취된 가스 200ml 및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바닥제거제 5g을 혼합하여 용기에 각각 넣고 3일 동안 보관 후, 가스 감지관(GASTEC Detector tube)을 사용하여 암모니아(NH3), 메틸머캅탄 및 황화수소(H2S)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우사에서 채취된 가스만 용기에 넣고 3일 보관 후 측정한 것이다.
Figure 112020012254044-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2는 비교예 1~6 및 대조군보다 축사의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및 황화수소 등의 악취 유발가스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축사 환경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바닥처리제 저장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 바닥처리제를 일광, 45℃, 40℃ 및 25℃ 조건에서 1주 동안 보관 후 바닥처리제의 뭉침, 분리, 악취발생 및 변색 등의 여부를 비교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4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뭉침 또는 분리가 일부 발생함, 2: 조성물의 뭉침, 분리 또는 변색이 조금 심하게 발생, 3: 조성물의 심한 분리 또는 변색 발생, 심한 악취 발생).
Figure 112020012254044-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경우, 비교예 1~6 보다 바닥처리제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균주 생존율: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의 바닥처리제를 저온(4℃), 상온(23℃) 및 고온(30℃)에서 4주 동안 보관 후 바닥처리제의 균주 생존율을 CFU 계수 방법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2254044-pat00005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2는 비교예 1~6 보다 바닥처리제의 균주의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생존율이 우수하여, 보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5) 가축분뇨 처리 효율성 평가: 경상북도 영천시 소재의 한우 농가의 축사 바닥의 분뇨를 제거한 다음, 바닥재(톱밥)를 20cm 두께로 깔고, 바닥재에 실시예 1의 바닥처리제를 도포하고, 3~5개월령 송아지를 1년 동안 사육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바닥처리제를 도포한 축사는, 바닥처리제를 도포하지 않은 축사에서 송아지를 사육한 대조군에 비해 분변처리 주기가 약 30% 늘어나 노동력 절감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송아지의 일 증체량이 증가하였고, 지육량 증가로 인하여 농가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양물 4~6 중량%, 부형제 85~90 중량% 및 약초추출물 6~9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 60~80 중량%, 옥수수분말 15~35 중량% 및 제올라이트 1~1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이며,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약초추출물은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및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을 1:1~1:2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물은, 상기 혼합물을 55~65℃에서 3~15 시간 발효하고; 그리고 상기 발효된 혼합물을 40~50℃에서 24~72 시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소맥피 및 단백피를 1:0.5~1:3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처리제는 평균 크기가 0.01~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올라이트 및 옥수수분말을 1: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8.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중 어느 한 항의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9. 축사 바닥에 바닥재를 까는 단계; 및
    상기 바닥재에 제8항의 축사용 바닥처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바닥처리방법.

KR1020200013878A 2020-02-05 2020-02-05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KR10218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8A KR102181738B1 (ko) 2020-02-05 2020-02-05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78A KR102181738B1 (ko) 2020-02-05 2020-02-05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738B1 true KR102181738B1 (ko) 2020-11-24

Family

ID=7367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878A KR102181738B1 (ko) 2020-02-05 2020-02-05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52B1 (ko) * 2021-11-10 2022-09-23 주식회사 에이지엣랩스 환경친화적인 방목형 달팽이 사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498A (ko) * 2010-05-31 2011-12-07 김선일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260872B1 (ko) * 2012-11-13 2013-05-06 참신약품 주식회사 미생물 생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축산악취 제거제
KR101854277B1 (ko) *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4830B1 (ko) * 2018-05-11 2019-11-15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498A (ko) * 2010-05-31 2011-12-07 김선일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260872B1 (ko) * 2012-11-13 2013-05-06 참신약품 주식회사 미생물 생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축산악취 제거제
KR101854277B1 (ko) *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4830B1 (ko) * 2018-05-11 2019-11-15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52B1 (ko) * 2021-11-10 2022-09-23 주식회사 에이지엣랩스 환경친화적인 방목형 달팽이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1180C (en) Bacillus strains useful for animal odor control
KR20180027455A (ko)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947600A (zh) 有机肥料的制备方法和有机肥料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Mandavgane et al. Valorization of cow urine and dung: a model biorefinery
JP2014039526A (ja) 養豚敷床システム
CN109042357A (zh) 一种用于奶牛牛床的发酵垫料
CN103583226A (zh) 一种茶薪菇优质高产栽培方法
KR102181738B1 (ko) 축사용 바닥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축사용 바닥처리제
CN104054968B (zh) 一种除臭猪饲料
Thomsen et al. The breeding media of some common flies
JP3040234B2 (ja) 新規バチルス属微生物およびその用途
JP6249536B2 (ja) 天然アミノ酸肥料の製造方法
JP6889804B2 (ja) 敷料、堆肥及び堆肥の製造方法
JP2608524B2 (ja) 消臭剤
CN104026024A (zh) 猪圈用发酵床垫料组合物
Bignal et al. Defining European low-intensity farming systems: the nature of farming
KR101410313B1 (ko) 미생물을 함유한 축사 바닥 구조
CN113632763A (zh) 一种鸡饲料及生态养鸡的方法
CN111955356A (zh) 一种含甘蔗叶肉牛发酵床垫料及其制作方法
KR102113959B1 (ko) 생균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CN106146203A (zh) 一种有机肥
KR102324295B1 (ko) 친환경적인 축사용 바닥처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16570B (zh) 一种养殖黑水虻的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JP2001258480A (ja) 動物糞尿臭消臭用飼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