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84B1 -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84B1
KR102611484B1 KR1020200142570A KR20200142570A KR102611484B1 KR 102611484 B1 KR102611484 B1 KR 102611484B1 KR 1020200142570 A KR1020200142570 A KR 1020200142570A KR 20200142570 A KR20200142570 A KR 20200142570A KR 102611484 B1 KR102611484 B1 KR 10261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train
probiotics
weigh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342A (ko
Inventor
김선기
강대경
Original Assignee
선 바이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바이오 (주) filed Critical 선 바이오 (주)
Publication of KR2021005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2Crustaceans, e.g. crabs, lobsters, shrimps, krill or crayfish; Barn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박, 크릴밀(krill meal) 및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열성 젖산 생성균과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의 복합 균주를 이용하여 고상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Multi-functional probiotics for marine fish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염성을 가지는 내열성 젖산 생성균과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의 복합균주를 이용하여 한약재와 크릴 새우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어류 질병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는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에 관한 것이다.
수산양식산업이 증가하고, 수중 생태계 및 기후 변화 등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예상하지 못했던 어류질병이 발생함은 물론, 기존의 어류질병의 발생 및 확산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및 대한수산질병관리사회에서 2012년 우리나라 대표적인 해산, 담수산 양식어종을 대상으로 양식장 피해발생 현황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넙치 27.9%, 조피볼락 13.6%, 무지개송어 17.1%, 흰다리새우 71.2% 및 전복 10.7% 등 대부분의 양식어종별에서 10% 이상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제주 양식넙치의 경우 폐사로 인한 피해액이 2007년 320억원에서 2008년 294억원, 2009년 376억원, 2010년 513억원으로 생산량 대비 피해량 및 피해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효과적인 어류질병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식어류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항생제 투여 등의 화학적인 방법과 백신요법이 있다. 그러나, 항생제 요법은 오남용에 따른 내성균의 출현 및 체내 잔류 문제로 인한 사회적, 생태적인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추세이며, 백신요법의 경우 양식어류는 군집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백신투여가 매우 번거롭고 많은 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세균성 질병의 복합적 감염에 따른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이 어려워 어류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대책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의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 천연 자원인 미생물 자원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생균제)를 양어사료에 첨가한 친환경적인 요법에 관심과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정부가 신규 항생물질의 허가를 규제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양식어류에 대해 항생물질 남용 억제 및 대체할 수 있는 생균제 개발로 어류의 장내 유익세균총 형성, 성장촉진 및 질병예방, 수질오염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어류용 생균제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숙주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살아있는 미생물로서 다양한 종류의 정상 장내 세균총에서 병원성균에 대해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력이 있으며, 정상 장내 세균총의 균형을 유지하고 병원성 세균증식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유용한 효과는 주로 사람과 가축에 대한 실험보고 내용이 대부분이나, 어류와 다른 수생생물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선천적 면역반응 향상과 병원성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일부 보고되었다. 수산양식에서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바실러스 종(Bacillus sp.),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사카로마이세스 종(Saccharomyces sp.) 및 엔테로코커스 종(Enterococcus sp.) 등이 있다. 어류양식에 사용되는 유산균 생균제는 일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또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균주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어류 장내 병원균 증식억제, 면역력 증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어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바실러스 균주를 급여하였을 때 성장과 사료효율 증가가 보고되었으며, 특히 바실러스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및 리파제(lipase) 등과 같은 효소 분비능에 초점을 맞추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사람 및 가축에 사용되는 생균제는 최적발육온도가 37℃로서, 15-25℃에서 생육하는 양식어류에는 부적절하며, 해수 양식어의 경우 높은 염(salt) 농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특성의 생균제가 필수적이다.
남극 크릴(krill)은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로 새우와 비슷하게 생긴 동물플랑크톤으로, 새우와는 관련이 없다. 최대 5cm까지 자라며 이들은 고래, 펭귄, 일부 상어, 물범, 심지어 인간에게 중요한 식량원으로, 흰수염고래는 하루에 약 400만 마리나 되는 크릴을 먹으며, 거대한 떼를 지어 나타나기도 해 가끔 바다를 온통 붉게 물들인다. 크릴은 세계 곳곳에 존재하지만, 특히 남극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래 식량자원으로서 유럽과 일본에서 고급요리에 사용되는 자연 청정식품이고, 크릴밀(krill meal)의 사료적 가치로서 기호성이 좋으며, 미네랄, 인지질, 불포화 지방산, 키틴,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5758호에는 '장내효소활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PL-11 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4115호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생산성 증대 및 어류질병에 대한 면역성 증진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양어용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50℃에서도 생장 가능한 내열성 젖산 생성 바실러스와 저온(10℃)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를 이용하여 대두박, 크릴밀(krill meal) 및 복합 한약재(어성초, 지황, 당귀, 약콩 및 감초)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최적 발효 조건을 확립하였고, 확립된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생균제를 이용하여 넙치에 사료 첨가제로 급이시킨 결과, 무처리구 대비 상기 생균제를 급이한 실험군에서 스트레스 저감 및 면역 증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두박, 크릴밀(krill meal) 및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열성 젖산 생성균과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의 복합 균주를 이용하여 고상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를 첨가한 사료를 양식 어류에 급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생산성 및 면역력 증대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어류용 생균제의 셀룰라제는 넙치 양어사육 수온인 21~24℃에서 효소활성 여부가 불분명한데 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DK42 균주의 셀룰라제는 20℃에서도 활성이 유지되어 양어사육 수온에서 조섬유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액상 어류용 생균제 발효조건의 확립을 통해 농도 1.0x108 cfu/㎖ 이상의 생균수 확보로 산업적 효율성을 확립하였으며, 안정성에서 중요한 포자형성율이 거의 100%에 가까워 1년 이상 장기보관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는 양식 어류의 생산성 증대뿐만 아니라 개체의 면역력 또한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무항생제, 유기농, 친환경 브랜드의 양어 어류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DNS 환원당 정량법을 통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DK42 균주가 분비하는 셀룰라제에 대한 온도별 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1 %(w/v) Skim milk 평판배지를 이용한 프로테아제 활성 측정 결과로, (a)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DK42 균주, (b)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 coagulans) TM3 균주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류용 생균제 제조 순서를 보여준다.
도 4는 생균제 함량에 따른 넙치의 온도자극 후 코르티졸 농도 분석 결과(a)와 생균제 첨가 함량별 각 실험군의 혈 중 리소자임 활성 분석 결과(b)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두박, 크릴밀(krill meal) 및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열성 젖산 생성균과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의 복합 균주를 이용하여 고상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젖산 생성균은 젖산을 생성하며 45~55℃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균주이고,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은 10~20℃의 저온에서 활성을 갖는 셀룰라제를 분비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균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 및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DK42 균주(기탁번호: KACC 91410P)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TM3 균주는 단국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학부 강대경 교수로부터 제공받은 것으로, 유산균으로 분류되었을 정도로 다량의 젖산을 생산하면서도 고온(50℃)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포자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항생제 대체제로 효과적인 소재로 알려진 유산균은 내열성이 약하기 때문에, 유통 중 생존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생균제는 내열성의 젖산 생성균인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DK42 균주(기탁번호: KACC 91410P)는 10℃의 저온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최대 활성의 50%의 활성을 나타내는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62309호에 특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어류용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는 셀룰라제(cellu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또는 아밀라제(amylase)와 같은 소화효소 능력이 우수한 균주가 사용되고 있으나, 어류 체온에서의 효소 활성 여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생균제는 10℃의 저온에서도 활성을 가지는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DK42 균주를 포함하고 있어, 어류용 사료 성분에서 조섬유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릴밀(krill mill)은 식품 크릴새우를 가공하고 남은 부산물 즉, 크릴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한약재는 어성초, 지황, 당귀, 약콩 및 감초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어성초 분말, 지황 분말, 당귀 분말, 약콩 분말 및 감초 분말이 동량으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a) 효모 추출물, 포도당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액상 배지에서 젖산을 생성하는 내열성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균주와 저온활성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균주의 복합 균주를 30~35℃에서 45~5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b) 대두박, 크릴밀(krill meal) 및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살균한 후 상기 (a) 단계의 복합 균주 배양액을 3~7 %(w/v) 접종하여 30~35℃에서 20~28시간 동안 고상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고상발효물을 30~35℃에서 70~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고상발효물의 숙성물을 48~52℃에서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a) 효모 추출물 2.4 g/L , 포도당 0.4 g/L, 황산마그네슘 0.096 g/L, 염화칼륨 0.5 g/L, Ca(NO3)2 0.032 g/L, MnCl2 0.002 g/L 및 FeSO4·7H2O 0.055 g/L로 이루어진 액상 배지에서 젖산을 생성하는 내열성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 coagulans) TM3 균주와 저온활성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DK42 균주의 복합 균주를 3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b) 혼합물 총 중량 기준, 94~96 중량%의 대두박, 1~5 중량%의 크릴밀 및 1~5 중량%의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살균한 후 상기 (a) 단계의 복합 균주 배양액을 4~12 %(w/v) 접종하여 32℃에서 24시간 동안 고상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고상발효물을 32℃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고상발효물의 숙성물을 50℃에서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는 내열성 젖산 생성균인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TM3 균주와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DK4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유통 중 생존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보완되었으며, 사료 성분에서 조섬유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생균제" 즉.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 있는 균 즉,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했을 때 위장관에 머물러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특정 병리 상태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세균 총의 이상 발효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반 증상을 치료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람 및 동물에 투여되면 장내의 소화관 벽에 밀집, 정착하여 유해 미생물이 정착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유산을 생성하여 장내 pH를 낮추어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균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과 방법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두박, 크릴밀 및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 coagulans) TM3 균주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DK42 균주의 복합 균주를 이용하여 고상발효시킨 발효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산제(powder),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정제(tablet), 캡슐(capsule), 현탁제(suspension) 또는 과립제(granule)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예를 들어,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투여 용량은 투여 대상의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배설속도,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축종, 상태 및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어류 사양실험(대상: 넙치)을 통한 장내균총 분석 결과, 생균제를 급여하지 않고 일반 사료만 급여한 대조구에 비해 사료와 생균제를 함께 급여한 처리구에서 해양생물에서 가장 대표적인 병원균인 비브리오 속이 속하는 비브리오과(Vibrionaceae)가 7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유산균에 속하는 락토바실러스 속이 2배 가량 높게 나타나, 장내 병원성 세균의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를 첨가한 사료를 양식 어류에 급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생산성 및 면역력 증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식 어류의 생산성 및 면역력 증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는 바람직하게는 사료 중량 대비 0.3~0.7 중량%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료 중량 대비 0.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의 사료 내 첨가 함량이 높아지면 오히려 성장율과 사료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열성 젖산 생성균 및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의 복합 균주의 특성
본 발명에서 사용된 내열성 젖산 생성균인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TM3 균주는 곡물, 식품, 분뇨 등의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균주를 스크리닝하여 내열성 젖산 생성균을 예비선발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균주가 Bacillus coagulans로 동정되었다.
Nutrient Broth를 이용하여 32℃ 또는 50℃ 조건에서 상기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의 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양 48시간 후 32℃ 조건에서는 6.0x107 cfu/㎖의 균수를 보였으며, 50℃ 조건에서는 1.8x107 cfu/㎖의 균수를 보여, 온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가 내열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는 어류용 생균제로 이용될 것이므로, 바닷물 농도에서의 적응력을 알아보기 위해,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DK42 균주의 내염성을 조사하였다. Nutrient broth에 각 0, 2, 3, 4 또는 5%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다음 32℃에서 24시간 배양한 결과, 접종 직후에 두 균주 각각 7.6x105 cfu/㎖, 3.0x106 cfu/㎖에서 시작하여 24시간 후까지 0% 내지 5% 염화나트륨 농도 모두에서 108 cfu/㎖ 수준을 유지하여 염 농도에 따른 처리구간 차이는 볼 수 없었으며, 내열성 젖산 생성균인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가 저온활성 셀룰라제 분비균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DK42 균주보다 약간 높은 생장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발균주의 내염성
Nacl 농도 접종 직후 0% 2% 3% 4% 5%
B. coagulans TM3
(cfu/㎖)
7.6x105 3.6x108 2.3x108 3.1x108 6.0x108 5.6x108
B. licheniformis DK42(cfu/㎖) 3.0x106 3.3x108 0.5x108 1.5x108 1.4x108 2.6x108
일반적으로 어류용 사료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동물성/식물성 단백질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물성 사료인 대두박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양어사료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어류용 사료 내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에 함유된 조섬유의 분해는 양식 어류의 소화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균주에 대하여 셀룰라제(cellulase), 프로테아제(protease)의 분비 유무를 기질(Carboxymethyl cellulose, Skim milk)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셀룰라제 활성은 조효소액을 만들어 DNS 환원당 정량법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DK42 균주가 셀룰라제를 분비하며, 20℃의 저온에서도 활성을 띄는 저온활성 셀룰라제를 분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 프로테아제 활성은 1 %(w/v) Skim milk 배지에 균주의 배양상등액을 이용한 agar well diffusion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DK42 균주와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TM3 균주 모두 투명환을 형성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이 확인되었다(도 2).
실시예 2.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 coagulans ) TM3과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B. licheniformis ) DK42의 복합 균주 최적 발효 조건
2-1. 액상 배지별 복합균주의 생육 특성 분석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 coagulans) TM3 균주(이하, TM3)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DK42 균주(이하, DK42)의 복합 균주를 DK 또는 DK2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키며 생장 특성을 확인하였다.
DK 및 DK2 배지 조성
배지 명 조성성분
DK Yeast extract 2.4g, Glucose 0.4g, MgSO4 0.096g, KCl 0.2g, Ca(No3)2 0.032g, MnCl2 0.002g, FeSO4.7H2O 0.055g
DK2 Yeast extract 1.34g, glucose 0.82g, (NH4)2SO4 1.34g, K2HPO4 0.2g, KH2PO4 0.1g, MSG 0.2g
Nutrient broth Pancreatic Digest of Gelatin 1g, Yeast Extract 0.4g, Sodium Chloride 1g.
그 결과, 세포의 생장은 각각 1.8x109 2.1x109 cfu/㎖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포자형성의 경우 각각 1.3x108 2.1x109 cfu/㎖로 DK 배지가 포자생성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표 3).
배지별 복합 균주의 세포 및 포자수 분석
구 분 0hr 24hrs 48hrs 120hrs 168hrs 288hrs 336hrs 480hrs 720hrs
DK2
배지
TM3+DK42
cell
9.5x105 9.3x107 1.8x108 8.3x107 4.4x108 1.9x108 3.2x108 2.9x108 8.5x108
TM3+DK42
spore
- - 8.0x105 8.8x106 5.3x108 1.1x108 1.2x108 1.3x107 1.3x108
DK
배지
TM3+DK42
cell
4.5x105 1.4x108 2.0x108 6.9x108 2.9x108 8.1x108 1.0x109 1.4x109 2.1x109
TM3+DK42
spore
- - 1.0x105 9.0x106 3.7x108 1.5x109 1.7x109 1.9x109 2.1x109
2-2. 고상배지에 염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배양 분석
TM3과 DK42 혼합균주로 고상배양 시 포자형성에 도움을 주는 염 첨가에 따른 배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상배양시 TM3과 DK42 혼합균주 배양액을 스타터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TM3과 DK42 혼합균주 배양액은 DK 배지를 이용하여 32℃에서 2일간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상배양은 대부분 1일 배양 후 109 cfu/g 이상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5일 건조 후 대부분 108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소맥피 단독처리구와 소맥피+대두박+염 처리구에서만 109 cfu/g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유산을 생성하는 Bacillus coagulans의 선택배지로서 BCP(Bromo Cresol Puple) Agar를 사용하여 TM3를 검출한 결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DK42 균주와 어울려 잘 배양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자수의 경우 배양이 끝나는 시점에서 계수를 실시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건조 과정 중 포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조온도가 50℃ 이하에서 이루어진 관계로 해당 온도에서 잘 자랄수 있는 TM3 균주의 포자가 형성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염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세포 및 포자수 분석
구 분 배양시작 배양1일 배양2일 건조 3일
1. 소맥피 100% cell 6.6x105 1.1x109 1.1x109 7.3x108
spore - - 1.6x108 6.2x108
BCP 2.3x106 2.2x109 1.7x109 7.7x108
2. 대두박 100% cell 9.1x106 2.0x109 2.3x109 1.5x108
spore - - 1.0x106 1.1x108
BCP 1.0x107 1.7x109 1.1x109 2.5x108
3. 소맥피 100%+염 cell 2.6x105 1.3x109 1.5x109 6.0x107
spore - - 8.6x106 6.1x108
BCP 9.9x105 1.7x109 1.3x109 1.0x108
4. 대두박50%+
소맥피50%
cell 6.0x105 8.8x108 1.7x109 1.6x108
spore - - 5.0x107 1.5x108
BCP 2.1x106 1.0x109 2.9x109 2.2x108
5. 대두박 100%+염 cell 6.3x106 2.2x109 1.6x109 2.4x108
spore - - 3.9x106 5.0x108
BCP 1.1x107 4.8x109 2.3x109 2.8x108
6. 대두박50%+
소맥피50%+염
cell 3.0x106 9.9x108 2.8x109 6.8x108
spore - - 1.8x107 6.9x108
BCP 6.7x106 9.7x108 3.3x109 5.8x108
2-3. 고상배지에 크릴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배양 분석
DK42 및 TM3 혼합균주로 고상배양 시 소맥피 또는 대두박에 크릴밀을 10%, 30%, 50% 첨가하고, 이에 따른 배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상배양 1일 배양 후 DK42 및 TM3 혼합균주의 세포수는 대부분 109 cfu/g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크릴 함량이 높아질수록, 건조시간이 경과할수록 DK42 및 TM3 혼합균주의 세포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높은 함량의 크릴이 균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크릴 50% 첨가의 경우 108 cfu/g 수준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현장의 대량배양에 참고하기로 하였다.
또한, 포자수는 크릴 함량이 높아질수록, 건조시간이 경과할수록 107 cfu/g 수준까지 매우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릴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세포 및 포자수 분석
구 분 배양시작 배양1일 배양2일 건조 3일
1.소맥피+크릴10% cell 5.4x106 5.2x108 8.0x108 1.8x109
2.대두박+크릴10% cell 8.8x106 6.7x108 9.1x108 8.0x108
3.소맥피+대두박+크릴10% cell 8.5x106 7.9x108 9.0x108 9.5x108
4.소맥피+크릴30% cell 3.1x106 7.6x108 8.9x108 1.8x109
5.대두박+크릴30% cell 6.9x106 1.6x109 9.2x108 7.0x108
6.소맥피+대두박+크릴30% cell 3.5x106 2.1x109 6.6x108 3.1x108
7.소맥피+크릴50% cell 6.4x106 2.5x108 5.9x108 9.5x108
8.대두박+크릴50% cell 3.8x106 5.0x108 1.1x109 6.7x108
9.소맥피+대두박+크릴50% cell 4.6x106 5.0x108 1.2x109 1.2x109
1.소맥피+크릴10% spore - 1.2x108 5.2x108 1.0x109
2.대두박+크릴10% spore - 1.0x108 1.0x108 1.0x109
3.소맥피+대두박+크릴10% spore - 7.0x107 2.3x108 8.0x108
4.소맥피+크릴30% spore - 2.3x107 5.5x108 7.0x108
5.대두박+크릴30% spore - 4.2x107 1.4x108 5.6x108
6.소맥피+대두박+크릴30% spore - 1.0x107 4.9x108 6.0x108
7.소맥피+크릴50% spore - 6.2x106 1.0x107 1.7x107
8.대두박+크릴50% spore - 2.5x106 1.7x107 6.0x107
9.소맥피+대두박+크릴50% spore - 1.5x106 2.0x108 3.1x108
2-4. 고상배지에 한약재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배양 분석
TM3 및 DK42 혼합균주로 한약재(어성초, 지황, 당귀, 약콩 및 감초를 동량으로 혼합한 혼합물)가 5% 첨가된 고상배지의 발효패턴을 조사한 결과, 초기 고상배양은 DK42 균주가 이끌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살아있는 세포는 많이 사멸하였으나 포자수는 107 cfu/g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였다. 배지 곡물은 소맥피보다 대두박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약재 첨가에 따른 복합균주의 세포 및 포자수 분석
구 분 배양시작 배양1일 건조3일 건조 4일
1.소맥피 95%+한약재 5% cell 7.1x105 1.1x108 9.1x108 1.0x107
2.대두박 95%+한약재 5% cell 7.3x106 3.7x109 3.3x108 4.0x107
3.소맥피 47.5%+대두박 47.5%+한약재 5% cell 8.9x105 6.1x108 2.2x108 1.0x107
1.소맥피 95%+한약재 5% BCP 1.0x106 4.5x106 1.0x108 7.0x107
2.대두박 95%+한약재 5% BCP 1.4x106 6.0x106 2.9x108 5.2x107
3.소맥피 47.5%+대두박 47.5%+한약재 5% BCP 2.0x106 3.8x106 3.7x107 3.0x107
1.소맥피 95%+한약재 5% spore 3.0x104 5.0x105 3.0x106 5.0x106
2.대두박 95%+한약재 5% spore 2.0x104 1.0x105 1.3x107 9.0x106
3.소맥피 47.5%+대두박 47.5%+한약재 5% spore 1.0x104 6.0x105 1.1x106 7.0x105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는 크릴(2.5%), 복합 한약재(2.5%) 및 대두박(95%)을 주성분으로 한 고상배지 조성물에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TM3 균주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 licheniformis) DK42 균주의 복합균주를 접종하여 어류용 생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를 이용한 사양 실험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최적화시킨 발효조건으로 제조한 어류용 생균제(도 3)를 이용하여 넙치 사양 실험을 진행하였다.
넙치는 평균 전장 22±1.0cm, 중량 105±1.1g을 대상으로 8주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사료는 동물성 단백질 함량이 73% 이상인 조단백 54% 및 조지방 6% 이상의 상품용 넙치사료(표 7)를 생균제 첨가실험에 사용하였다. 어류용 생균제는 0.5%, 1.0% 또는 2.0%의 비율로 사료에 첨가하여 넙치에 공급하였다. 대조군은 생균제를 첨가하지 않고 사료만 제공하였다.
사양 실험에 사용된 사료 조성표
성분명 함 량
수분 12.0% 이하
조단백 54.0% 이상
조지방 6.0%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15.0% 이하
칼슘 1.0% 이상
2.7% 이하
사료는 매일 2회 반복 공급하였고 잔여 사료는 건져내 계수한 후 무게를 환산하여 사료공급량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어류용 생균제 농도에 따른 실험구간 별로 전장 및 체중을 측정한 후, 사료공급량과 성장을 통해 성장률과 사료효율 관련 지표수치 도출하였다. 5일 간격으로 수질측정 위해 수온, pH, 용존산소, 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SPSS 20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test를 수행하여 분산 가정이 되는 실험구는 Duncan's test, 등 분산 가정이 안되는 실험구는 Games-Howell로 평균 간의 유의성을 9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실험종료 후 모든 실험구간에서 폐사는 확인되지 않아 전 구간 생존율은 100%로 나타났다. 최종 중량은 생균제를 0.5% 첨가한 실험군이 평균 7137.7g, 생균제를 1.0% 첨가한 실험군이 7099.3g 순으로 높았으며, 생균제 2.0% 첨가와 무첨가 대조군은 각각 6936.8, 6984.5g로 2% 첨가 실험군에서 오히려 다소 낮은 최종중량이 확인되었다. 성장률(WG)과 일간성장율(SGR) 또한, 생균제 0.5% 첨가 실험군이 126.8%와 1.46%로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생균제 1.0% 실험군이 126.4%와 1.44%로 0.5% 첨가 실험군 다음으로 높았으나 다른 실험구간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8).
다기능 생균제(probiotics)를 이용한 넙치 사육실험 성장 및 생존율
Experimental
group
Initial weight (g) Final weight (g) WG1 (%) SGR2 (%) SR3 (%)
Control 3,166.7±40.4a 6,984.5±41.0a 120.6±1.6a 1.41±0.01a 100
0.5% 3,163.3±37.9a 7,137.7±44.0c 126.8±2.9 b 1.46±0.02 b 100
1.0% 3,163.3±37.9a 7,099.3±64.9b 124.4±1.2ab 1.44±0.01ab 100
2.0% 3,153.3±35.1a 6,936.8±83.8a 120.0±0.4a 1.41±0.00a 100
1 Weight gain = (final body weight - initial body weight) / initial body weight × 100.
2 Specific growth rate = [ln(final body weight) - ln(initial body weight)] × 100 / days reared.
3 Survival rate = (the number of initial fish - the number of dead fish) / the number of initial fish × 100.
사료계수(FCR)는 생균제 2.0% 첨가 실험군에서 1.55로 가장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일일사료급이량(DFI) 또한 생균제 2.0% 첨가 실험군에서 2.07%로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사료효율(FE)은 생균제 2% 첨가 실험군에서 64.7%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군, 생균제 0.5% 첨가군, 생균제 1% 첨가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효율비(PER)는 사료효율과 동일한 경향으로 확인되었고, 실험결과 생균제 0.5% 첨가 실험군에서 성장률 126.8%로 유의수준 95%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대조군 대비 약 5.2%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의 첨가가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함량이 높아지면 오히려 성장률과 사료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적절한 농도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표 9).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를 이용한 넙치 사육실험 구간 별 사료계수, 일간섭이량, 사료효율, 단백질효율비
Experimental
group
FCR1 DFI2 (%) FE3 (%) PER4
Control 1.49±0.01a 2.00±0.03a 67.0±0.4a 1.24±0.01a
0.5% 1.49±0.01a 2.06±0.01b 67.3±0.5a 1.25±0.01a
1.0% 1.49±0.01a 2.04±0.02ab 67.0±0.7a 1.24±0.01a
2.0% 1.55±0.02b 2.07±0.02b 64.7±0.7b 1.20±0.01b
1 Feed conversion ratio = feed intake / (final body weight - initial body weight).
2 Daily feed intake = feed intake × 100 / [(initial body weight + final body weight + dead fish weight) × days reared /2)].
3 Feed efficiency = (wet weight gain / feed intake) × 100.
4 Protein efficiency ratio = (final body weight - initial body weight) / (protein contents percentages (54%) × feed intake / 100).
또한, 사육 실험이 종료된 실험어는 혈액을 채취해 리소자임(lysozyme) 활성 분석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생균제 첨가에 따른 스트레스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스트레스의 척도인 코르티졸(cortisol)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종료 3일 후 각 실험군 별로 10 마리를 무작위 선별하여 자극온도 25, 28, 31℃의 2 ton 수조로 옮기고 24 및 48시간 동안 노출시킨 뒤 실험군 당 3 마리씩, 한 마리당 2 ㎖씩 채혈하였다. 혈액은 4℃에서 30분 보관 후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으며, 혈장 코르티졸 농도는 Fish ELISA Cortisol kit (Cusabio Biotech, Chin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모든 실험은 3반복 수행하였다.
혈액 내 코르티졸 농도 분석 결과, 24시간 노출되었을 때 25℃, 28℃, 31℃ 모두 생균제 첨가 농도별 실험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0.5% 첨가 실험군에서 다른 농도보다 코르티졸 농도의 완만한 상승 경향이 나타났으며, 48시간 이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균제 0.5% 첨가 실험군은 31℃ 48시간에서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코르티졸 농도를 보여 스트레스 저감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10 및 도 4a). 특히, 수온 28℃에서는 스트레스가 적어 실험군간 혈중 코르티졸 농도의 유의차가 없으나, 수온 31℃에서는 실험군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생균제 함량에 따른 넙치의 온도자극 후 24, 48시간 후 코르티졸 농도분석(ng/㎖)
Groups After 24 hours After 48 hours
25℃ 28℃ 31℃ 25℃ 28℃ 31℃
Control 4.70±2.2a 8.10±3.7a 6.79±4.1a 13.05±7.8a 6.59±2.8a 6.81±1.2a 10.87±3.7a
0.5% 4.89±2.3a 6.27±4.8a 6.35±2.8a 9.10±5.8 a 5.61±3.3a 6.78±2.7a 6.70±2.1 b
1% 4.82±3.1a 6.70±3.8a 6.93±3.8a 11.28±6.2a 6.63±3.2a 6.96±3.4a 8.96±3.2ab
2% 4.57±1.8a 5.17±4.1a 6.92±1.5a 12.54±6.7a 5.86±2.7a 8.39±1.3a 10.51±4.4a
또한, 리소자임 활성 분석결과 대조군이 6.8±2.8로 가장 낮았으며, 생균제 1% 또는 2% 첨가 실험군은 각각 8.9±2.5, 11.1±3.7로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생균제 0.5% 첨가 실험군에서 19.7±4.7로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생균제를 0.5% 첨가한 사료급이 실험군의 면역력 증대효과가 확인되었다(표 11 및 도 4b).
생균제 함량에 따른 넙치의 리소자임 활성 분석
실험군 대조군 0.5% 1.0% 2.0%
효소 활성 6.83±0.01 19.7±0.47 8.9±0.12 11.12±0.01

Claims (8)

  1. (a) 효모 추출물, 포도당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액상 배지에서, 내염성을 가지며 젖산을 생성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갖는 내열성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균주와 내염성을 가지며 저온활성 셀룰라제를 분비하며 프로테아제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균주의 복합 균주를 30~35℃에서 45~5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b) 혼합물 총 중량 기준, 94~96 중량%의 대두박, 1~5 중량%의 크릴밀 및 1~5 중량%의 복합 한약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살균한 후 상기 (a) 단계의 복합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30~35℃에서 20~28시간 동안 고상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고상발효물을 30~35℃에서 70~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고상발효물의 숙성물을 48~52℃에서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생균제(probiotics)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b) 단계의 복합 한약재는 어성초 분말, 지황 분말, 당귀 분말, 약콩 분말 및 감초 분말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용 생균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어류용 생균제를 사료 중량 대비 0.3~0.7 중량%로 첨가한 사료를 양식 어류에 급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 어류의 생산성 및 면역력 증대 방법.
  8. 삭제
KR1020200142570A 2019-10-29 2020-10-29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KR102611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079 2019-10-29
KR20190135079 201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42A KR20210052342A (ko) 2021-05-10
KR102611484B1 true KR102611484B1 (ko) 2023-12-07

Family

ID=7591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570A KR102611484B1 (ko) 2019-10-29 2020-10-29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7257B (zh) * 2021-03-18 2023-04-07 昆明理工大学 一株地衣芽孢杆菌及其应用
KR102383044B1 (ko) * 2021-08-30 2022-04-0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신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984B1 (ko) * 2018-10-05 2019-04-24 한석주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993A (ko) * 2002-03-29 2003-01-15 김용문 천연식물을 재료로 한 복합발효건강식품 제조방법
KR20170027650A (ko) * 2016-03-02 2017-03-1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984B1 (ko) * 2018-10-05 2019-04-24 한석주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42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1458A1 (en) Microbial strains and their use in animals
JP5872104B2 (ja)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CN102517227B (zh) 粪肠球菌及其应用与其饲料添加剂和发酵剂
KR102611484B1 (ko)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CN115094012B (zh) 凝结芽孢杆菌bc-hyc株菌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663570B1 (ko)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JP2010161944A (ja) 新型カゼイ菌の亜種(sg96)及びこれを含有する菌抑制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1618220B1 (ko) 신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CN114410515A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复合菌制剂及其应用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RU2721127C1 (ru)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композиция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животных,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ую бактерию или ее мертвые клетки,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казанных мертвых клеток
KR100857771B1 (ko)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에를 포함하는 어류사료첨가용조성물
KR20120088436A (ko) 사프로레그니아 속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용 프로바이오틱스
KR20160143499A (ko)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226389A (zh) 一种三黄肉雏鸡肠道益生菌群的定植培养方法及其应用
KR101186150B1 (ko) 신규 바실러스속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KR20160143498A (ko)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KR100398478B1 (ko) 기능성 매실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0036958B (zh) 一种调节克氏原螯虾肠道菌群生态系统的养殖方法
CN105838640A (zh) 刺参饲用复合益生菌剂及其制备方法
Sahandi et al. Possible effects of probiotic strains on suppression of Vibrio and enhancement of growth i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umathi et al. Analysis of enzyme activities of the gut bacterial communities in Labeo rohita fed differentially treated animal fleshing diets
KR20200015173A (ko) 뱀장어 사료내 항생제 대체를 위한 신바이오틱스 개발
Chandra et al.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fish feed to assist in aquaculture nutri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