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718A -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 Google Patents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7718A KR20160137718A KR1020150070346A KR20150070346A KR20160137718A KR 20160137718 A KR20160137718 A KR 20160137718A KR 1020150070346 A KR1020150070346 A KR 1020150070346A KR 20150070346 A KR20150070346 A KR 20150070346A KR 20160137718 A KR20160137718 A KR 201601377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tmf
- herbicide
- oriental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멸균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온도 30~40℃, 교반속도 80~200rpm으로 20~28시간 동안 액체배양하는 단계; 2) 액체 배지에 상기 액체배양한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기에서 30~40℃, 교반속도 50~150rpm, 산소이용 통기량 0.5~1.5vvm으로 10~2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3) 밀기울 60~85중량%, 포도당 1~10중량%, 수크로오스 1~10중량중량%, 펩톤 1~10중량%, 인산수소칼륨 0.01~5중량%, 탄산칼슘 0.01~5중량%, 효모 추출물 1~10중량%, 미네랄 1~5중량% 및 성장인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고체배지에 상기 2) 단계에서 배양된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30~40℃, 습도 90% 이상으로 20~28시간 동안 고체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로 생성된 고체배양체를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 0.01~5중량%을 1차 한방제조물 30~60중량% 및 효모배양체 35~65중량%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한방생균제를 가축 사료에 첨가급여하는 경우, 가축의 육질개선 및 비육능력 향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FTA 출범 등으로 축산물의 무한 경쟁시대에 돌입하여 축산물 수입물결은 더욱 높아지고 세계는 단일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 축산업의 당면과제는 축산물의 생산비 절감과 품질고급화 또는 기능성 축산물의 생산으로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수입에 대응하는 차별화된 축산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농가들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부존자원을 이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축산물을 생산하여 고품질 한우육 생산 및 육질개선과 성장률 촉진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가축에게 첨가제를 첨가해주는 방법이 통상적이다. 한약재에 대한 연구에서 비특허문헌 1은 주로 식물성 한약재로부터 액을 추출한 후 남은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하여 조제한 한약재박 펠렛(Pellet of oriental herbal medicine residues, POMR)의 조단백질 함량이 11.4%, NDF 함량이 50.0% 및 TDN 함량이 61.7%라고 보고한바 있다. 또한 한약재박 펠렛(PORM)을 육성한우에게 사료의 일부로 대체 급여하여도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에 차이가 없으며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사료의 부분적인 대체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2는 한약재를 한우에게 급여하여 12%의 증체율 향상이 있었다고 하였으며, 비특허문헌 3은 한약재 부산물을 사슴에게 급여하였는데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NH3-N과 pH는 점차 유의성 있게 낮아졌으며, 유산균의 첨가는 사일리지의 NH3-N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나 pH감소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방제재 부산물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기호성이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비특허문헌 4는 한약재박 펠렛을 비육후기의 한우 숫소에게 일부 대체 급여하였을 때 증체량, 사료섭취량이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고 하였으며, 도체중은 한약재 부산물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등지방두께는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고,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량지수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근내지방도 등급은 한약재 부산물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성적을 보였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지역에서 생산되는 한방제재 6종(당귀, 백출, 진피, 도라지, 작약, 황기)를 이용해 한방생균제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한방생균제를 사료에 첨가해 거세한우에게 급여한 결과, 비육능력이 향상되고, 육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성경일. 1997. 반추가축에 있어서 한약재박펠렛과 비지사일지지의 사료가치. 한국영양사료 학회지. 21(6) : 511-518.
2. 김종희1995. 한약우 사용기술과 상품화 전략. 경북대학교 농업과학대학원 최고농업경영자과정논문
3. 전병태, 김경훈, 문상호, 김창원. 1999. 사슴용 사료를 위한 한방제재 부산물의 사일리지 발효특성 연구. 한국영양사료학회지. 23(2) : 235-241.
4. 성경일, 정종원, 김상록. 2001. 비육후기 한우수소에 있어서 한약제박 펠렛사료의 대체급여효과.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6):873-880.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가축에 급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멸균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온도 30~40℃, 교반속도 80~200rpm으로 20~28시간 동안 액체배양하는 단계; 2) 액체 배지에 상기 액체배양한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기에서 30~40℃, 교반속도 50~150rpm, 산소이용 통기량 0.5~1.5vvm으로 10~2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3) 밀기울 60~85중량%, 포도당 1~10중량%, 수크로오스 1~10중량중량%, 펩톤 1~10중량%, 인산수소칼륨 0.01~5중량%, 탄산칼슘 0.01~5중량%, 효모 추출물 1~10중량%, 미네랄 1~5중량% 및 성장인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고체배지에 상기 2) 단계에서 배양된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30~40℃, 습도 90% 이상으로 20~28시간 동안 고체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로 생성된 고체배양체를 건조하는 단계; 및 5) 당귀, 백출, 진피, 길경, 작약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한방제재를 분쇄하여 분말화된 한방제재 58~80중량%에 효모배양체 19~41중량% 및 탄닌 0.1~2중량%를 첨가하여 한방제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 0.01~5중량%을 상기 5) 단계의 한방제조물 30~60중량% 및 효모배양체 35~65중량%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은 먼저 제1단계로서 생균제 제조를 위한 기초적 미생물 배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내지 4) 단계의 종균배양 → 액체배양 → 고체배양의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는 다양한 한방제재로 제조한 한방제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5) 단계의 한방제조물은 당귀, 백출, 진피, 길경, 작약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한방제재를 분쇄하여 분말화된 한방제재 58~80중량%에 효모배양체 19~41중량% 및 탄닌 0.1~2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방제재의 첨가 비율은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제조물은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과 혼합하여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 0.01~5중량%과 1차 한방제조물 30~60중량% 및 효모배양체 35~65중량%을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효모배양체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사료첨가제용 효모배양체라면 어느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모배양체는 바람직하게 사료첨가제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균은 바람직하게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illus)균, 아스페르길루스 니가(Aspergillus niger)균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300(KCTC 18263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 단계의 고체배지는 수분함량이 바람직하게 30~50%로 조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4) 단계의 건조는 온도 38~4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36시간 열풍건조를 실시하여 수분이 4% 이하가 될 때 건조를 종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4) 단계 이후 건조된 고체배양체는 분쇄하여 4 ℃이하에서 보관하면서 한방생균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 한방생균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사료 톤당 0.1~1.0중량%로 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사료 톤당 0.2~0.5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급여 시, 1일 1~3회 급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 소, 말, 염소, 양 등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 소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한우일 수 있으며, 특히 거세한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사료 톤당 0.1~1.0중량%로 배합하여 가축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급여는 1일 1~3회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일 2회로 급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축의 영양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 소, 말, 염소, 양 등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 소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한우일 수 있으며, 특히 거세한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거세한우에게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한방생균제를 첨가급여한 결과 도체등급, 관능검사 및 불포화지방산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방제재의 첨가비율을 육성기 약 0.5%첨가 → 비육전기 약 0.5%첨가 → 비육중기 약 0.5% 첨가 → 비육후기 약 0.2% 첨가하였을 때 육질개선 및 비육능력이 향상되고 농가의 경제적 소득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한방생균제를 가축 사료에 첨가급여하는 경우, 가축의 육질개선 및 비육능력 향상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농가 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한방생균제 제조과정 중 제1단계의 미생물 배양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한방생균제 제조과정 중 제2단계 및 제3단계의 생균제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한방생균제 제조과정 중 제2단계 및 제3단계의 생균제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공시축
및 사양관리
본 시험을 봉화군 소재(박정용氏)한우농가에서 생후 8개월령에 거세한 후 예비시험등의 준비과정을 거쳐 개시체중 361~390 kg(생후 12.7~13.6개월령)정도로 연령과 체중이 비슷한 한우 거세우 50두를 아래와 같이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표 1).
이때 한우 사양관리 농가의 관행법 위주로 프로그램에 본 연구소의 고급육 프로그램을 추가한 사육방법으로 사양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AOAC(2004)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물과 미네랄 블럭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구 분 | 처리구 배치 | 공시 두수 (두) |
사육단계별 | ||
비육전기 (13-19개월) |
비육중기 (20-23개월) |
비육후기 (24-30개월) |
|||
대조구 (2개구) |
C1 (한방생균제 무첨가1) |
10 | 일반시판 농후사료 |
일반시판 농후사료 |
일반시판 농후사료 |
C2 (한방생균제 무첨가2) |
10 | 일반시판 TMF 사료 |
일반시판 TMF 사료 |
일반시판 TMF 사료 |
|
처리구 (3개구) |
T1 (한방생균제 첨가1) |
10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농후사료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농후사료 | 한방생균제 0.2% 첨가된 주문 농후사료 |
T2 (한방생균제 첨가2) |
10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TMF 사료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TMF사료 | 한방생균제 0.2% 첨가된 주문 농후사료 |
|
T3 (한방생균제 첨가3) |
10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TMF 사료 | 한방생균제 0.5% 첨가된 주문TMF 사료 | 한방생균제 0.2% 첨가된 주문 TMF 사료 |
<
실시예
2> 한방생균제 제조
본 시험에 사용하는 미생물배양, 한방생균제 시험사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생균제 제조를 위한 기초적 미생물 배양 단계로서 종균배양 → 액체배양 → 고체배양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첫째, Bacillus Subtilis BS300(FOR YOU TECH., KCTC 18263P)을 이용한 종균 배양으로서, 멸균된 NB(Nutrient Broth)배지 100 ml에 종균 1 loop을 접종하여 shaking incubator 내에서 35℃, 120 rpm, 24시간 동안 액체배양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종균(1st seed) 1.8 리터를 배양하였다.
② 둘째, 고체배양에 사용할 종균을 대량 배양하는 공정으로서, 500L 발효기(Fermentor)를 이용하여 운전량(Working Vil.) 300 L, 배지는 NB(Nutrient Broth)를 이용하여 121, 15분간 멸균 처리 후 냉각하고 ①에서 제조된 종균 1.8 리터를 접종한 후 35℃, 90 rpm, 1.0 vvm(산소이용 통기량 : air volume/working volume /min)으로 16시간 동안 배양하여 고체배양용 종균(2nd seed)으로 사용하였다.
③ 셋째, 실질적 한방생균제 제조에 사용할 분말화된 고초균 고체배양체를 만드는 과정으로서, 고체배지의 구성물은 밀기울 73%, 포도당 5%, sucrose 5%, Peptone 5%, K2HPO4 1%, CaCO3 1%, Yeast Extract 5%, Mineral 3%, Growth factor 2%로 총 합이 100% 비율로 총 60 kg을 제조하고, 수분함량 40% 정도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에 이미 준비된 여러 개의 멸균 트레이(채반)에 고체배양 배지를 약 4~5 kg 씩 나누어 담은 후에 약 30분간 스팀으로 멸균을 실시하고, 다시 자연 냉각시켰다.
그 다음 상기의 ② 에서 배양된 종균 80 L를 고체배지 접종기를 이용하여 멸균된 고체배양기 트레이에 약 2 kg 씩 분주하여 고체배양기를 이용하여 본격적으로 고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때의 고체배양 조건은 온도 35℃, 습도 90% 이상으로 자동 제어하면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④ 넷째, 고체배양이 완료된 다음 건조 단계로서, 온도 38~40℃에서 약 36시간에 걸쳐 열풍건조를 실시하여 수분 4%이하일 때 종료하였다. 그 다음 건조된 고체배양체는 일반분쇄기(100 mesh 정도)를 분쇄하여 4℃ 이하 저장고에 보관하였다가 한방생균제 제조시에 고초균 배양체 원료물로 사용하였다. 이 배양체 원료물의 고초균 농도는 약 5X109 cfu/g 정도이다.
-제2단계 : 1차 한방제조물의 제조단계로서, 봉화지역에서 생산되는 6종의 한방제재(당귀, 백출, 진피, 길경, 작약, 황기)를 각각 동일한 비율로 일반분쇄기(100 mesh 정도)로 분쇄 분말화된 한방제재 70%와 시판 효모배양체 29.5%와 감으로 부터 추출한 시판 탄닌 0.5%를 첨가하여 총합이 100% 비율로 한방생균제의 1차 한방제조물을 제조하였다.
-제3단계 : 본격적인 한방생균제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2단계에서 생산된 1차 제조물 50%와 시판 효모배양체 분말 49.5% 및 제1단계에서 생산된 고초균 배양체 원료물 0.5%로 총합이 100% 비율로 일반혼합기(Ribbon Mixer)를 이용하여 30분∼1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혼합이 완료되면 내부 비닐이 코팅된 종이지대에 20 kg씩 포장하여 한약우 전용 생균제 원료로 사용하였다(유효기간 1년).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한방생균제는 봉화한약우 전용첨가제로서, 봉화한약우 전용사료를 생산하는 각 회사(OEM회사)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생균제 내 보증된 유효 미생물수는 1X107 cfu/g 정도이며, 이에 따라 완제품 생균제의 전체 구성비율을 보면 순수 한방제재 35%, 효모배양체와 부형재가 64.5%, 고초균이 0.5%이다.
※ 한약재 함유율 : 2단계 1차 산물 70% X 3단계 50% = 35% 정도
-제4단계 : 이상의 여러 단계를 거쳐 생산된 한방생균제를 비육단계별 주문형 시험사료 제조생산시에 사료 톤당 0.2∼0.5%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NH사료(안동소재)에서 주문형 시험사료로 생산한 후 공시축에게 급여하였다. 비육단계별로 표 3과 같이 배합율표에 의하여 상기의 한방 생균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주문사료를 생산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이때 전체 생균제 제조과정의 모식도는 (도 1, 2)와 같고, 한약원료의 성분(표 2) 및 사료배합비와 성분(표 3)은 아래와 같다.
구 분 | 당귀 | 백출 | 진피 | 도라지 | 작약 | 황기 | 한방 생균제 |
수 분 | 6.37 | 9.33 | 9.00 | 9.00 | 10.67 | 9.33 | 8.67 |
조단백질 | 10.26 | 5.31 | 4.55 | 6.99 | 5.45 | 14.55 | 8.27 |
조지방 | 7.07 | 3.07 | 1.70 | 1.43 | 0.63 | 0.83 | 3.03 |
조섬유 | 6.23 | 18.33 | 8.73 | 8.60 | 4.53 | 17.10 | 2.67 |
조회분 | 22.90 | 7.20 | 2.17 | 4.03 | 3.20 | 3.50 | 1.60 |
NDF | 31.83 | 35.50 | 17.13 | 15.30 | 31.63 | 48.73 | 35.40 |
ADF | 30.33 | 32.77 | 14.63 | 13.40 | 8.60 | 27.63 | 5.17 |
*NDF: 중성세제불용성 섬유소(neutral detergent fiber)
ADF: 산성세제불용성 섬유소(acid detergent fiber)
구 분 | 농후사료 | 구 분 | TMF사료 | 조사료 | ||||||||
육성기 | 비육 전기 |
비육 후기 |
육성기 | 비육 전기 |
비육 후기 |
구 분 | 페닐리얼라이그라스 | 볏짚 | ||||
원료명 | 원료명 | |||||||||||
수입옥수수 | 30.80 | 32.40 | 41.60 | 농후사료 | 32.50 | 34.00 | 30.00 | |||||
수입소맥 | 9.00 | 9.00 | 8.00 | |||||||||
당밀 | 4.00 | 4.50 | 4.50 | 콘후레이크 | 5.50 | 10.00 | 17.00 | |||||
수입타피오카 | - | 3.00 | 2.00 | 단백피 | 6.80 | 6.00 | 5.50 | |||||
소맥분 | - | - | 1.00 | 비트펄프 | 5.00 | 3.00 | 1.00 | |||||
소맥피 | 5.30 | 5.50 | 4.00 | 옥수수주정박 | 7.00 | 5.00 | 3.00 | |||||
수입단백피 | 10.00 | 10.00 | 9.00 | 소맥피 | - | - | 5.60 | |||||
국산단백피 | 7.00 | 7.00 | 6.00 | 면 실 | - | 3.00 | 1.50 | |||||
수입대두박 | 4.00 | 1.50 | - | 보리펠렛 | - | 2.00 | 10.00 | |||||
수입채종박 | 5.00 | 5.00 | 4.00 | 전분박 | 4.00 | 4.00 | - | |||||
국산주정박 | 2.00 | - | - | 전지대두 | 2.00 | 2.00 | - | |||||
야자박 | 5.50 | 6.00 | 6.00 | 라이그라스 | 3.50 | - | 8.00 | |||||
팜박 | 10.00 | 9.00 | 8.00 | 알팔파베일 | 3.30 | 3.30 | - | |||||
포도박 | 3.00 | 3.00 | 2.50 | 클라인 | 4.00 | 4.50 | - | |||||
정제염 | 0.50 | 0.50 | 0.60 | 톨페스큐 | 6.00 | 7.00 | - | |||||
석회석 | 2.70 | 2.20 | 1.70 | 맥주박 | 9.20 | 6.00 | 13.50 | |||||
중조 | - | 0.20 | 0.30 | 발효액상사료 | 10.00 | 9.00 | 4.00 | |||||
비타민, 미네랄 | 0.20 | 0.20 | 0.20 | 비타민,미네랄 | 0.20 | 0.20 | 0.20 | |||||
기타 | 0.50 | 0.50 | 0.40 | 기타 | 0.50 | 0.50 | 0.50 | |||||
한방생균제 | 0.50 | 0.50 | 0.20 | 한방생균제 | 0.50 | 0.50 | 0.20 | |||||
Total | 100 | 100 | 100 | Total | 100 | 100 | 100 | |||||
성분명 | 성분명 | 성분명 | ||||||||||
수분 | 10.10 | 13.64 | 9.78 | 수분 | 40.00 | 40.01 | 33.29 | 수분 | 8.33 | 8.33 | ||
조단백질 | 15.00 | 12.89 | 11.48 | 조단백질 | 15.50 | 13.68 | 7.45 | 조단백질 | 3.95 | 3.61 | ||
조지방 | 3.86 | 4.57 | 3.03 | 조지방 | 4.24 | 4.53 | 2.78 | 조지방 | 1.20 | 0.80 | ||
조섬유 | 8.37 | 7.93 | 5.41 | 조섬유 | 14.00 | 15.84 | 9.89 | 조섬유 | 32.30 | 23.00 | ||
조회분 | 6.43 | 6.57 | 6.03 | 조회분 | 6.87 | 7.52 | 4.97 | 조회분 | 4.80 | 11.77 | ||
NFE | 56.24 | 50.40 | 64.27 | NFE | 19.39 | 18.42 | 41.62 | NFE | 49.42 | 52.49 | ||
NDF | 23.38 | 20.10 | 19.69 | NDF | 20.00 | 25.73 | 26.19 | NDF | 70.37 | 57.80 | ||
ADF | 12.50 | 15.10 | 11.06 | ADF | 15.00 | 17.00 | 17.95 | ADF | 42.50 | 39.20 | ||
TDN1 ) | 70.69 | 71.94 | 73.06 | TDN1 ) | 70.50 | 72.00 | 73.00 | TDN1 ) | 13.14 | 38.29 |
1)
TDN
: Calculated
*NFE: 가용무질소물
TDN: 가소화영양소총량(Total digestible nutrients)
<
실험예
1> 사양관리·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한우시험계획에 따라 사료 종류별 및 한우사양 급여프로그램에 사료를 1일 2회 급여하였으며, 물과 미네랄 블럭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급여사료의 배합비와 성분 분석은 AOAC(2004)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편 체중측정은 3개월에 1회씩 실시하였으며, 사료섭취량 측정은 매일 08:00와 17:00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잔량은 익일 오전 사료급여전에 잔량을 칭량하여 1일 총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고 1일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 총 증체량을 나누어 환산하였다. 한방생균제의 첨가 유무 및 농도에 따라 하기와 같이 대조군 및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완전혼합발효사료(TMF; fermented TMR(Total Mixed Ration))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
실험예
2> 혈액 및 혈청화학검사
혈액채취는 비육단계별 사료교체 후 2개월령에 공시축의 경정맥에서 개체별 8 mL를 채혈하여 먼저 EDTA가 들어있는 Vaccum tube에 3 mL를 담고, 그 후 혈액응고제가 들어있지 않는 Vaccum tube에 5 mL를 담았다. 전자는 일반 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CBC)분석을 위하여 혈액을 분석실로 즉시 옮겨 자동혈액 분석기(Hema Vet 950, Hema Vet. Co. ; USA)로 백혈구(WBC, White Blood Cell), 적혈구(RBC, Red Blood Cell) 및 혈소판(Platelets), 헤모글로빈(Hb, Hemoglobin)을 측정하였다. 후자는 혈청 화학검사(Serum chemistry)를 위하여 4℃에서 8시간 방치한 후 혈청분리를 위하여 2,5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분석시까지 초저온 냉동고(-70℃)에 보관하였다가 자동혈액분석기(Fujifilm DRI-Chem. 3500S Japan)를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Kit No 1450, Fujifilm), 트리글리세라이드(Kit No 1650, Fujifilm), GOT(Glutamlc oxaloacetic transaminase, Kit No 3150, Fujifilm), GPT(Glutamlc pyruvic transamlnase, Kit No 3250, Fujifilm), 글루코오스(Kit No 1050, Fujifilm), 혈액 요소질소 BUN(Kit No 1150, Fujifilm)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트리글리세라이드(Kit No 336, Sigma), 총 콜레스테롤(Kit No 401, sigma), HDL(Kit No, 352, Sigma)은 효소적 비색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중의 IgG와 IgM의 분석은 Bovine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와 Bovin IgG ElISA Quantitation Set. Bethyl. USA)를 이용하여 ELISA 면역항체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
실험예
3>
도체성적
사양시험 종료 후 지역인근 안동소재 S 축산(주)으로 운반하여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도축하여 24시간 냉각 후에 축산물등급판정기준에 따라 육량형질(냉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과 육질형질(근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를 측정하였고, 한국 축산물 등급판정사가 육량 및 육질등급 판정을 하였다.
<
실험예
4> 육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도축된 도체로 부터 12번 늑골과 13번째 늑골사이의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고기의 일반성분은 AOAC방법(2004)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시료 5 g을 사용하여 105~110 ℃의 건조법으로, 조단백질은 시료 1 g을 켈달법으로, 조지방은 시료 10 g을 쇽시렛 추출법으로, 조회분은 시료 7 g을 칭량하여 550 ℃의 전기로에서 2시간 동안 회화시켰다.
실험예
4-1. 가열감량 및
전단력
가열감량은 시료를 스테이크 모양으로 약 25 g 내외로 절단하여 70℃ water bath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30시간 방냉하여 가열 전후의 중량차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전단력은 Wheeler 등(2000)의 방법으로 시료를 3 cm의 두께의 스테이크 모양으로 근섬유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육을 절단하여 육 내부온도를 70 ℃까지 가열한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방냉하였다. 방냉한 시료에서 직경 0.5 inch 코아(core)를 근섬유 방향에 따라 원통형으로 뚫어 시료를 채취한 후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5, UK)을 이용하여 근섬유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단력을 측정하였고, 8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4-2. 보수력
잘 마쇄한 세절육 10 g을 원심분리관의 세공이 있는 철판 위에 채운 뒤 고무마개를 한 다음 70 ℃의 워터 배스에서 30분간 가열하고, 방냉하여 1,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관의 하부에 분리된 육즙량을 측정하고, 그 다음 총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다음 공식에 대입하여 보수력(%)을 구하였다(Hong et al., 2005)
※ 0.951=70℃에서 분리된 육즙중의 순수한 수분함량
실험예
4-3. pH 및
육색
pH는 시료 10 g에 증류수 90 mL를 가하고, homogenizer(NS-50, Japan)로 10,000 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pH meter(520A, Orion Research Inc. USA)로 측정하였다. 육색은 시료를 절단하여 공기 중에 약 30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camera Co., Japan)를 이용하여 CIE 값(L*=명도, a*=적색도, b*=황색도)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표준색판은 L*=96.18, a*=0.10, b*=1.90인 백색의 calibration plate를 이용하였고,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4.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채취한 한우육의 등심부위를 5 mm 정도의 두께로 세절하여 구이용 불판을 이용하여 70~80 ℃ 온도에서 로스구이하여 훈련된 검사요원 10명을 무작위로 차출한 후 다즙성, 연도, 향미와 관련지어 기호도를 6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6=아주좋다, 5=다소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싫다, 1=아주 싫다).
<
실험예
5> 지방산 분석
지질의 지방추출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고, 지방산은 시료 0.5 g을 Park & Goins(1994)의 방법에 의해서 메틸레이션하였다. 시료에 메탄올 : 벤젠 (4:1, v/v) 2 mL와 아세틸 클로라이드 200 μL를 가한 후 100℃의 heating block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에 충분히 방치한 다음 헥산 1 mL와 6% 포타슘 카보네이트 5 mL를 가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 rpm 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5 μL를 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A-17A, Shimdzu, Japen)에 주입하였다. 이때의 분석조건은 column의 초기온도는 180 ℃에서 시작하여 1.5 ℃/min의 속도로 230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2분간 유지하였다. 이때 인젝터, 디텍터(FID)의 온도는 각각 240 ℃, 260 ℃로 하였고, 지방산은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였으며, 함량은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
실험예
6> 아미노산
아미노산 분석을 위하여 고기시료 5 g와 6 N HCl 40 mL를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한 다음 110 ℃에서 24시간 동안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가수분해하였다. 염산을 50 ℃에서 증발 농축시킨 다음 농축시료는 0.2 N Sodium citrate buffer(pH 2.2) 50 mL를 넣어 희석시키고 여과지(0.45 μm)로 여과하였다. 여과한 시료(30 μL)는 아미노산 분석기(Model 835,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험예
7> 콜레스테롤 분석
육의 콜레스테롤 분석은 콜레스테롤을 추출하기 위하여 고기시료 2 g을 50 mL 튜브에 넣고 saponification 시약 10 mL와 internal standard (5-cholestane)를 0.5 mL씩 넣어준 후 약 14초간 9,500xg에서 균질화시켰다. 뚜껑을 완전 밀봉 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완전히 식힌 다음 층이 분리되면 상층 1 mL를 회수하여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에 pyridine 200 uL와 sylon BFT(비스트리프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 트리메틸-클로로 실란, 99: 1, Supleco) 100 uL을 넣고 지방을 완전히 녹인 다음 Gas chromatography(HP-6890,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롤 분석에 사용된 GC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오븐 온도 180℃, 주입 온도: 280℃, 분할 비율 : 19.1 : 1, 컬럼 : 모세관 컬럼, 30 m X 0.32 mm I. D., 0.25 um 필름 두께 (HP-5 MS, J&W Scientific, USA), 최고 오븐 온도: 325℃, 불꽃이온화검출기 온도: 350℃, H2 흐름 : 33.0 mL/min.
<실험결과>
1.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하기 표 4는 비육전기(생후 13∼19개월령) 전기간 동안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비육전기의 개체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보면 개시월령과 개시체중은 거의 비슷하게 개시하였으나 종료체중은 대조구가 541.6∼545.0 kg이었고, 처리구는 537.5∼548.9 kg으로 총 증체량을 보면 C1구가 183.8 kg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1일 두당 증체량은 C1구가 1.02 kg으로 가장 높았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이 시기의 두당 총섭취량을 보면 대조구가 1,558.6∼1,958.4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504.0∼2,016.0 kg으로 그 중에서도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는 T3구가 오히려 가장 높게 나타나 실질적으로 사료효율 측면에서 가장 나빴으나 C1구와 T1구는 오히려 사료효율이 더 좋게 나타났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개시일령(월령) | 402.8(13.4) ±13.4 |
389.3(12.9) ±11.40 |
396.4(13.2) ±17.4 |
381.0(12.7) ±13.00 |
406.9(13.6) ±15.8 |
||
종료일령(월령) | 602.8(20.1) ±13.4 |
569.3(19.0) ±11.40 |
576.4(19.2) ±17.4 |
571.0(19.0) ±13.00 |
586.9(19.6) ±15.8 |
||
시험기간(일) | 180 | 180 | 180 | 180 | 180 | ||
두당 체중, kg | 개시체중 | 361.23±14.39 | 379.02±19.22 | 379.22±11.39 | 380.54±27.23 | 379.41±27.80 | 0.210 |
종료체중 | 545.00±21.21 | 541.56±19.30 | 541.00±21.32 | 537.5±28.16 | 548.89±38.22 | 0.915 | |
총 증체량 | 183.77±28.94 | 162.54±30.60 | 161.78±16.73 | 156.96±42.36 | 169.33±50.20 | 0.587 | |
1일 두당 증체량 |
1.02 | 0.90 | 0.90 | 0.87 | 0.84 | 0.587 | |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ADM) |
총 섭취량 | 1,558.6±65.59a | 1,958.4±66.29b | 1,504.0±62.81a | 1,971.0±46.6c | 2,016±44.74b | 0.010* |
농후사료 | 1,052.8±45.51 | - | 1,016.2±42.26 | - | - | 0.079 | |
조사료 | 505.8±23.28 | - | 487.8±34.58 | - | - | 0.189 | |
TMF | - | 1,958.4±66.29a | - | 1,971.0±46.6b | 2,016±44.74c | 0.040* | |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ADM) |
총 섭취량 | 8.65±1.25 | 10.88±0.98 | 8.30±1.13 | 10.96±1.10 | 11.20±1.60 | |
농후사료 | 5.85±0.87 | - | 5.59±0.77 | - | - | ||
조사료 (페닐리얼라이그라스) |
2.80±0.79 | - | 2.71±0.51 | - | - | ||
TMF | - | 10.88±0.98 | - | 10.96±1.10 | 11.20±1.60 | ||
사료 요구율 |
평균치 | 8.48 | 12.09 | 8.92 | 11.45 | 13.33 | |
농후사료 | 5.74 | - | 6.01 | - | - | ||
조사료 | 2.74 | - | 2.91 | - | - | ||
TMF | - | 12.09 | - | 11.45 | 13.33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하기 표 5는 비육중기(생후 20∼23개월령)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개시월령과 개시체중(541.0∼548.9 kg)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비육중기의 종료체중은 대조구가 650.0∼651.0 kg이었고, 처리구는 639.0∼664.0 kg 정도로 이 기간 동안의 총 증체량을 보면 T3구가 115.1 k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에 따라 1일 두당 증체량은 0.84∼0.96 kg으로 처리구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이 기간의 두당 총 사료섭취량을 보면 대조구가 1,246.9∼1,622.0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285.2∼1,659.6 kg으로 그중에서도 C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사료요구율은 C1구는 11.81로서 가장 낮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더 높은 증체량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개시일령(월령) | 602.8(20.1) ±13.4 |
569.3(19.0) ±11.40 |
576.4(19.2) ±17.4 |
571.0(19.0) ±13.00 |
586.9(19.6) ±15.8 |
||
종료일령(월령) | 722.8(24.1) ±13.4 |
689.3(23.0) ±11.40 |
696.4(23.2) ±17.4 |
691.0(23.0) ±13.00 |
706.9(23.6) ±15.8 |
||
시험기간(일) | 120 | 120 | 120 | 120 | 120 | ||
두당 체중, kg | 개시체중 | 545.00±21.21 | 541.56±19.3 | 541.00±21.32 | 537.50±28.16 | 548.89±38.22 | 0.915 |
종료체중 | 651.00±29.89 | 650.00±25.39 | 641.64±31.57 | 639.00±38.22 | 664.00±46.07 | 0.585 | |
총 증체량 | 106.00±13.7 | 108.44±31.72 | 100.64±18.2 | 101.50±28.73 | 115.11±43.43 | 0.975 | |
1일 두당 증체량 |
0.88 | 0.90 | 0.84 | 0.85 | 0.96 | 0.975 | |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 총 섭취량 | 1,246.9±50.21a | 1,662.0±58.28b | 1,285.2±40.82a | 1,615.2±48.95b | 1,659.6±47.24b | 0.007* |
농후사료 | 1,012.8±31.26 | - | 1,050.0±41.63 | - | - | 0.036 | |
조사료 | 234.1±31.42 | - | 235.2±16.98 | - | - | 0.036 | |
TMF | - | 1,662±48.28ab | - | 1,615.2±40.15a | 1,659.6±47.24ab | 0.044* | |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
총 섭취량 | 10.39±1.25 | 13.85±1.98 | 10.71±1.13 | 13.46±1.10 | 13.83±1.30 | |
농후사료 | 8.44±0.87 | - | 8.75±0.77 | - | - | ||
조사료 (페닐리얼라이그라스) |
1.95±0.79 | - | 1.96±0.51 | - | - | ||
TMF | - | 13.85±0.98 | - | 13.46±1.10 | 13.83±1.30 | ||
사료 요구율 |
평균치 | 11.81 | 15.39 | 12.75 | 15.84 | 14.41 | |
농후사료 | 9.59 | - | 10.42 | - | - | ||
조사료 | 2.22 | - | 2.33 | - | - | ||
TMF | - | 15.39 | - | 15.84 | 14.41 |
a, b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하기 표 6은 비육후기(24∼31개월령) 전기간 동안의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나타낸 것으로 비육후기 개시체중은 비육중기의 종료체중은 639.0∼664.0 kg으로 시작하여 비육후기의 종료체중에서는 751.0∼802.3 kg으로 나타났으며, 총 증체량은 T2구가 163.3 k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C1구는 100.0 kg 으로 가장 낮은 증체량을 보였다. 이에 따라 1일 두당 증체량은 T2구가 0.74 kg으로 가장 높았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이 시기의 두당 총섭취량을 보면 대조구가 2,117.2∼2,882.0 kg이었으나, 처리구는 1,998.3∼2,895.2 kg으로 그 중에서도 C2구와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T2구가 가장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는 C2구가 26.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실질적으로 사료효율면에서는 가장 나빴으나 T2구와 T1구는 12.27과 14.24로 가장 낮게 나타나 사료효율 측면에서 좋아 결과적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더 높은 증체량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 같은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시험에서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는 거세비육 한우의 증체량 증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개시일령(월령) | 722.8(24.1) ±13.40 |
689.3(23.0) ±11.40 |
696.4(23.2) ±17.40 |
691.0(23.0) ±13.00 |
706.9(23.6) ±15.80 |
||
종료일령(월령) | 932.8(31.1) ±13.40 |
899.3(30.0) ±11.40 |
906.4(30.2) ±17.40 |
901.0(30.0) ±13.00 |
916.9(30.5) ±15.80 |
||
시험기간(일) | 220 | 220 | 220 | 220 | 220 | ||
두당 체중, kg | 개시체중 | 651.00±29.89 | 650.00±25.39 | 641.64±31.57 | 639.00±38.22 | 664.00±46.07 | 0.585 |
종료체중 | 751.00±55.47 | 760.02±40.77 | 796.33±46.41 | 802.33±56.38 | 782.22±46.04 | 0.131 | |
총 증체량 | 100.00±49.94 | 110.00±39.67 | 152.64±39.80 | 163.33±62.64 | 118.22±51.58 | 0.100 | |
1일 두당 증체량 |
0.45 | 0.50 | 0.70 | 0.74 | 0.53 | 0.100 | |
두당 총 사료섭취량, kg |
총 섭취량 | 2,117.2±42.8b | 2,882.0±88.51d | 2,193.3±37.33bc | 1,998.33±81.12a | 2,895.2±63.38c | 0.020* |
농후사료 | 1,879±43.73b | - | 1,932±39.45b | 1,770±75.99a | - | 0.030* | |
조사료 | 238.2±11.94a | - | 261.3±16.77b | 228.33±10.9a | - | 0.017* | |
TMF | - | 2,882.0±88.51 | - | - | 2,895.2±63.38 | 0.001 | |
1일 두당 사료섭취량, kg |
총 섭취량 | 9.62±1.25 | 13.10±0.98 | 9.97±1.13 | 9.08±1.10 | 13.16±1.30 | |
농후사료 | 8.54±0.87 | - | 8.78±0.77 | 8.05±0.77 | - | ||
조사료 (볏짚) |
1.08±0.79 | - | 0.96±0.51 | 1.03±0.51 | - | ||
TMF | - | 13.10±0.98 | - | 13.16±1.30 | |||
사료 요구율 |
평균치 | 21.38 | 26.20 | 14.24 | 12.27 | 24.83 | |
농후사료 | 18.98 | - | 12.54 | 10.88 | - | ||
조사료 | 2.40 | - | 1.37 | 1.39 | - | ||
TMF | - | 26.20 | - | - | 24.83 |
a, b, c, d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2. 영양소 사료섭취량
(1) 건물섭취량(DM)
표 7은 비육전기, 중기 및 후기때 1일 두당 섭취한 건물(DM), 조단백질(CP), 에너지(TDN)의 섭취량과 섭취율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표 7은 1일 두당 섭취한 총 건물(DM)섭취량과 섭취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육전기때 평균 건물섭취량은 5.98∼7.83 kg으로서 전체 처리구 중에서는 C1구가 7.83 k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T2구는 5.98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는 평균 8.08∼9.66 kg 범위로서 C2구, T2구 및 T3구가 8.31, 8.08, 8.30 kg으로 크게 낮아 실질적으로 수분함량이 높은 TMF사료를 섭취한 구가 C1구와 T1구의 9.38 kg과 9.66 kg 보다 크게 저하되어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리고 마지막 비육후기의 경우는 평균 7.86∼8.77 kg으로서 전체 처리구 중에서 C2구와 T3구가 각각 7.86 kg와 7.90 kg으로 다소 낮았으나 C1구, T1구 및 T2구가 각각 8.67 kg, 8.77 kg, 8.18 kg으로 시험개시부터 종료시까지 지속적으로 TMF 사료를 섭취하는 처리구는 크게 낮았으나 비육단계별로 다르지만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처리구는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한편 비육단계별에 따른 건물(DM)섭취율은 보면 섭취량에 영향을 받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시말해서 비육전기때는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C1구와 T1구의 경우에 90.4%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C2구, T2구 및 T3구는 60.00∼61.76%로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도 전기때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육후기에는 다시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T2구를 비롯하여 계속적으로 농후사료를 섭취해온 C1구와 T1구의 경우에 90.1%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C2구, T3구는 60.00% 로서 매우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한우사양표준(2007)의 거세우 육성, 비육에 필요한 영양소 요구량표에서 사육단계별 건물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육성기(체중 250∼350kg, 일당증체량 0.8kg) 및 비육전기(체중 400∼550kg, 일당증체량 0.8kg)의 건물섭취량은 각각 5.6∼7.7kg, 8.1~8.9kg으로 본 시험의 결과(각각 평균6.49∼7.25kg, 8.95∼9.28kg)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비육후기와 말기(체중 600∼750kg, 일당증체량 0.6kg)의 건물섭취량은 8.5∼8.9kg으로 본 시험의 관행구(8.82∼8.95kg)와 혼합구(8.72∼10.13kg)와는 비슷한 수준이였으나, TMR구(7.30∼7.58kg) 보다는 건물섭취량이 1.2∼1.32kg 더 높았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비육 전기 |
농후사료,kg | 5.26±0.41 | - | 5.03±0.45 | - | - | 0.070 |
조사료,kg | 2.57±0.60 | - | 2.48±.64 | - | - | 0.069 | |
TMF,kg | - | 6.53±0.53 | - | 5.98±0.40 | 6.72±0.57 | 0.108 | |
총섭취량,kg | 7.83±0.72c | 6.53±0.53b | 7.51±0.50c | 5.98±0.40a | 6.72±0.57a | 0.039* | |
총섭취율,% | 90.47±6.45b | 60.00±5.45a | 90.48±5.45b | 60.00±6.45a | 61.76±6.45ab | 0.046* | |
비육 중기 |
농후사료,kg | 7.59±0.216 | - | 7.87±0.88 | - | - | 0.105 |
조사료,kg | 1.79±0.11 | - | 1.80±0.56 | - | - | 0.097 | |
TMF,kg | - | 8.31±0.54 | - | 8.08±0.91 | 8.30±0.34 | 0.178 | |
총섭취량,kg | 9.38±0.26c | 8.31±0.54ab | 9.66±0.87c | 8.08±0.91a | 8.30±0.34ab | 0.017* | |
총섭취율,% | 90.23±4.45b | 60.00±5.45a | 90.22±3.45b | 60.00±4.45a | 60.00±4.45a | 0.030* | |
비육 후기 |
농후사료,kg | 7.68±0.13 | - | 7.89±0.10 | 7.24±0.28 | - | 0.108 |
조사료,kg | 0.99±0.27 | - | 0.88±0.06 | 0.95±0.17 | - | 0.101 | |
TMF,kg | - | 7.86±0.45 | - | - | 7.90±0.22 | 0.078 | |
총섭취량,kg | 8.67±0.25bc | 7.86±0.45a | 8.77±0.17c | 8.18±0.45ab | 7.90±0.22a | 0.043* | |
총섭취율,% | 90.10±3.45b | 60.00±6.45a | 88.00±3.45b | 90.11±4.45b | 60.00±5.45a | 0.010* |
a, b, c, d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때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비육전기)→TMF(비육중기)→TMF(비육후기)때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2) 조단백질(CP)
표 8은 1일 두당 섭취한 총 조단백질(CP)섭취량과 섭취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육전기때 평균 CP섭취량은 0.95∼1.74 kg으로서 전체 처리구에 중에서는 T3구가 1.74 k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T1구는 0.95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는 평균 1.16∼1.89 kg 범위로서 C2구와 T3구가 1.89 kg과 1.89 kg으로 크게 높았다(P<0.05). 그리고 마지막 비육후기의 경우는 평균 0.96∼1.04 kg으로서 전체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5).
한편 비육단계별에 따른 조단백질(CP)섭취율은 보면 섭취량에 영향을 받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시말해서 비육전기때는 TMF사료를 섭취하는 C2구, T2, 3구의 경우에 15.50%, 15.50% 및 15.96%로 높게 나타났으나 C1구, T1구는 11.42∼11.39%로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도 전기때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비육후기에는 다시 농후사료를 섭취하는 T2구를 비롯하여 계속적으로 농후사료를 섭취해온 C1구와 T1구가 각각 10.60%, 10.46% 및 10.59%로 다른 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비육 전기 |
농후사료,kg | 0.88±0.09 | - | 0.84±0.21 | - | - | 0.208 |
조사료,kg | 0.11±0.01 | - | 0.11±0.21 | - | - | 0.151 | |
TMF,kg | - | 1.69±0.21 | - | 1.54±0.21 | 1.74±0.23 | 0.178 | |
총섭취량,kg | 0.99±0.04ab | 1.69±0.21c | 0.95±0.21a | 1.54±0.21b | 1.74±0.23c | 0.004* | |
총섭취율,% | 11.42±1.28a | 15.50±2.24b | 11.39±1.55a | 15.50±2.41b | 15.96±2.68b | 0.008* | |
비육 중기 |
농후사료,kg | 1.09±0.03 | - | 1.13±0.07 | - | - | 0.238 |
조사료,kg | 0.08±0.01 | - | 0.08±0.01 | - | - | 0.201 | |
TMF,kg | - | 1.89±0.06 | - | 1.84±0.09 | 1.89±0.22 | 0.108 | |
총섭취량,kg | 1.16±0.03a | 1.89±0.06c | 1.21±0.09ab | 1.84±0.09c | 1.89±0.22c | 0.001* | |
총섭취율,% | 11.21±1.28a | 13.68±1.34b | 11.25±1.50a | 13.68±1.60b | 13.68±1.47b | 0.010* | |
비육 후기 |
농후사료,kg | 0.98±0.20 | - | 1.01±0.05 | 0.92±0.03 | - | 0.230 |
조사료,kg | 0.04±0.16 | - | 0.03±0.01 | 0.04±0.05 | - | 0.181 | |
TMF,kg | - | 0.98±0.20 | - | - | 0.98±0.01 | 0.410 | |
총섭취량,kg | 1.02±0.18 | 0.98±0.20 | 1.04±0.09 | 0.96±0.06 | 0.98±0.01 | 0.066 | |
총섭취율,% | 10.60±1.56b | 7.45±1.24a | 10.46±2.74b | 10.59±1.64b | 7.45±1.20a | 0.004* |
a, b, c, d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3) 가소화영양소총량(TDN)
표 9는 1일 두당 섭취한 총 가소화영양소총량(TDN)섭취량과 섭취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육전기때 평균 TDN섭취량은 4.31~7.90 kg으로서 전체 처리구에 중에서는 T3구가 7.90 k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T1구는 4.31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는 평균 6.22~9.76 kg 범위로서 C2구와 T3구가 9.79 kg와 9.75 kg으로 크게 높았다(P<0.05). 그리고 마지막 비육후기의 경우는 평균 6.28~9.28 kg으로서 전체 처리구간에서는 C2구와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한편 비육단계별에 따른 가소화영양소총량(TDN)섭취율은 보면 섭취량에 영향을 받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시말해서 비육전기때는 TMF사료를 섭취하는 C2구, T2,3구의 경우에 70.50%, 70.50% 및 72.57%로 높게 나타났으나 C1구, T1구는 52.06~51.90%로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비육중기에도 전기때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비육후기에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P>0.05).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비육 전기 |
농후사료,kg | 4.14±0.21 | - | 3.95±0.21 | - | - | 0.220 |
조사료,kg | 0.37±0.21 | - | 0.36±0.21 | - | - | 0.1410 | |
TMF,kg | - | 7.67±0.40 | - | 7.02±0.51 | 7.90±0.81 | 0.201 | |
총섭취량,kg | 4.50±0.21a | 7.67±0.40b | 4.31±0.21a | 7.02±0.51b | 7.90±0.81b | 0.017* | |
총섭취율,% | 52.06±5.45a | 70.50±2.45b | 51.90±3.45b | 70.50±4.45b | 72.57±3.45b | 0.010* | |
비육 중기 |
농후사료,kg | 5.97±0.40 | - | 6.19±0.50 | - | - | 0.358 |
조사료,kg | 0.26±0.39 | - | 0.26±0.40 | - | - | 0.250 | |
TMF,kg | - | 9.76±0.81 | - | 9.49±0.60 | 9.75±0.58 | 0.211 | |
총섭취량,kg | 6.22±0.34a | 9.76±0.81b | 6.44±0.45a | 9.49±0.60b | 9.75±0.58b | 0.014* | |
총섭취율,% | 59.89±1.45a | 70.50±2.45b | 60.16±3.45a | 70.50±2.45b | 70.50±4.45b | 0.010* | |
비육 후기 |
농후사료,kg | 6.24±0.88 | - | 6.41±0.55 | 5.88±0.65 | - | 0.331 |
조사료,kg | 0.41±0.06 | - | 0.37±0.49 | 0.39±0.49 | - | 0.258 | |
TMF,kg | - | 9.24±0.30 | - | - | 9.28±0.69 | 0.321 | |
총섭취량,kg | 6.65±0.90a | 9.24±0.30b | 6.78±0.58a | 6.28±0.70a | 9.28±0.69b | 0.024* | |
총섭취율,% | 69.16±2.77 | 70.50±2.73 | 68.03±2.80 | 69.12±2.69 | 70.50±2.88 | 0.068 |
a, b, c, d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3. 혈액의 성상 변화
표 10에서 볼 수 있듯이, 비육전기 전기간 동안의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은 평균 178.68 mg/dL이었고, 전체 처리구중에서는 C1구가 204.80 mg/dL로 가장 높았다(P<0.05). 또한 총 글리세라이드는 평균 14.05 mg/dL이었고, 전체 처리구중에서는 T3구가 19.50 mg/dL로 가장 높았다(P<0.05). 그러나 GOT는 평균 64.54 mg/dL으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GPT는 평균 25.33 mg/dL였고, 글루코오스는 평균 69.88 mg/dL으로 대체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그러나 알부민은 3.63 mg/dL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거세한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UN은 개시기에 평균 12.69 mg/dL 로서 비육개시 이후에 점치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끝으로 혈청내의 면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gM는 평균 3.68 ng/ml으로 전체 처리구 중에서는 처리구(3.82~3.85 ng/ml)가 대조구(3.39~3.48 ng/ml)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또한 IgG의 경우는 평균 211.44 ng/ml으로 전체 처리구 중에서는 처리구(242.50~263.90 ng/ml)가 대조구(147.50~151.90 ng/ml)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내어(P<0.05) 한방생균제의 첨가로 면역성이 크게 높아졌다.
구분/월령 | 혈청내의 이화학적 성상 | |||||||||
T-Cho (mg/dl) |
TG (mg/dl) |
GOT (mg/dl) |
GPT (mg/dl) |
GLU (mg/dl) |
BUN (mg/dl) |
ALB (mg/dl) |
IgM (ng/㎖) |
IgG (ng/㎖) |
||
비육전기 | C1구1 ) | 204.80 ±19.35b |
10.90a ±3.28 |
60.85 ±5.61 |
24.45 ±4.91abc |
68.05 ±6.66ab |
12.37 ±2.25ab |
3.72 ±0.26 |
3.39 ±0.07a |
151.90 ±6.82a |
C2구2 ) | 177.10 ±27.11ab |
11.20a ±3.63 |
70.85 ±9.26 |
28.95 ±2.57bc |
66.80 ±3.47a |
11.12 ±0.98a |
3.54 ±0.15 |
3.48 ±0.42ab |
147.50 ±6.38a |
|
T1구3 ) | 163.45 ±38.30a |
12.25a ±3.05 |
62.65 ±8.25 |
21.85 ±2.25ab |
69.65 ±4.29ab |
13.39 ±0.85b |
3.72 ±0.32 |
3.84 ±0.34b |
263.90 ±7.17c |
|
T2구4 ) | 164.95 ±29.81ab |
16.40b ±4.47 |
62.15 ±8.77 |
21.70 ±5.05a |
71.30 ±5.56ab |
13.52 ±1.24b |
3.61 ±0.21 |
3.82 ±0.32b |
251.40 ±11.14bc |
|
T3구5 ) | 183.10 ±23.91ab |
19.50b ±4.15 |
66.20 ±9.90 |
29.70 ±8.00c |
73.60 ±4.01b |
13.06 ±1.90ab |
3.56 ±0.19 |
3.85 ±0.16b |
242.50 ±13.79b |
|
평균치 | 178.68 ±27.70 |
14.05ab ±5.12 |
64.54 ±8.36 |
25.33 ±4.56 |
69.88 ±4.80 |
12.69 ±1.44 |
3.63 ±0.23 |
3.68 ±0.26 |
211.44 ±9.06 |
|
Pr > |t| | 0.015* | 0.043** | 0.076 | 0.011* | 0.030** | 0.017* | 0.272 | 0.001* | 0.002*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IgM : 이뮤노글로불린 M
IgG : 이뮤노글로불린 G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표 11은 비육 중기(20~23개월령)의 혈청중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것이다.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은 평균 192.26 mg/dL이였으며, 전처리구 중에서 T3구가 214.50 mg/dL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T1구는 166.70 mg/dL 크게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또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평균 12.96 mg/dL으로서 각 처리구에는 T2구가 16.90 mg/dL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C2구는 8.90 mg/dL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리고 GOT는 평균 69.82 mg/dL로서 그 중에서 C2구가 81.60 mg/dL으로 크게 높았다(P<0.05). 그리고 GPT의 경우는 평균 23.86 mg/dL였으며 T3구가 29.50 mg/dL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이외에도 BUN은 평균 11.20 mg/dL, albumin은 평균 3.79 mg/dL으로 나타났으며, C2구가 67.80 mg/dL으로 가장 낮아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글루코오스는 평균 73.40 mg/dL 이었다.
한편 혈청내의 면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gM와 IgG을 분석한 결과, 종료시에 각각 평균 2.95 ng/mL과 171.96 ng/mL으로 대체로 처리구(3.05~3.12 ng/mL, 200.30~208.70 ng/mL)가 대조구(2.59~2.89 ng/mL, 120.50~204.30 ng/m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상기의 비육전기때 보다는 다소 낮아진 경향을 보였다.
구분/월령 | 혈청내의 이화학적 성상 | |||||||||
T-Cho (mg/dl) |
TG (mg/dl) |
GOT (mg/dl) |
GPT (mg/dl) |
GLU (mg/dl) |
BUN (mg/dl) |
ALB (mg/dl) |
IgM (ng/㎖) |
IgG (ng/㎖) |
||
비육중기 | C1구1 ) | 200.40 ±25.13ab |
9.70 ±4.77a |
72.50 ±10.89ab |
19.10 ±2.33a |
73.10 ±8.01abc |
11.25 ±2.05ab |
3.80 ±0.20 |
2.59 ±0.43 |
120.50 ±13.01a |
C2구2 ) | 179.90 ±23.06a |
8.90 ±3.72a |
81.60 ±13.48b |
28.20 ±3.58b |
67.80 ±3.05a |
8.92 ±1.36a |
3.71±0.15 | 2.89 ±0.51 |
124.30 ±7.41a |
|
T1구3 ) | 166.70 ±21.90a |
12.50 ±3.48ab |
65.30 ±8.81ab |
20.50 ±2.46a |
70.50 ±4.86ab |
11.56 ±1.04b |
3.88 ±0.43 |
3.05 ±0.61 |
206.00±8.43b | |
T2구4 ) | 199.80 ±30.42ab |
16.90 ±4.09b |
60.90 ±8.66a |
22.00 ±3.23a |
77.40 ±3.31bc |
11.93 ±1.82b |
3.81 ±0.17 |
3.12 ±0.44 |
208.70 ±9.62b |
|
T3구5 ) | 214.50 ±29.97b |
16.80 ±3.35b |
68.80 ±16.18ab |
29.50 ±7.18b |
78.20 ±4.39c |
12.33 ±2.22b |
3.73 ±0.18 |
3.08 ±0.70 |
200.30 ±12.28b |
|
평균치 | 192.26 ±29.30 |
12.96 ±3.08 |
69.82 ±11.60 |
23.86 ±3.76 |
73.40 ±4.72 |
11.20 ±1.70 |
3.79 ±0.23 |
2.95 ±0.54 |
171.96 ±10.08 |
|
Pr > |t| | 0.047* | 0.024** | 0.005* | 0.020* | 0.012* | 0.001* | 0.559 | 0.192 | 0.020*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구분/월령 | 혈청내의 이화학적 성상 | |||||||||
T-Cho (mg/dl) |
TG (mg/dl) |
GOT (mg/dl) |
GPT (mg/dl) |
GLU (mg/dl) |
BUN (mg/dl) |
ALB (mg/dl) |
IgM (ng/㎖) |
IgG (ng/㎖) |
||
비육후기 | C1구1 ) | 182.20 ±16.63ab |
10.20 ±7.72ab |
55.10 ±4.69 |
18.05 ±2.35ab |
71.45 ±5.01ab |
12.88 ±1.73 |
3.64 ±0.12 |
2.30 ±0.31 |
108.00 ±6.75a |
C2구2 ) | 199.35 ±24.11b |
3.90 ±3.63a |
59.45 ±6.18 |
25.15 ±2.80c |
63.50 ±3.60ab |
14.45 ±0.97 |
3.65 ±0.16 |
2.40 ±0.18 |
108.00 ±10.33a |
|
T1구3 ) | 150.35 ±53.69a |
7.55 ±4.61ab |
51.15 ±11.87 |
15.95 ±3.59a |
58.80 ±13.68a |
11.70 ±3.19 |
3.40 ±0.88 |
2.61 ±0.18 |
139.00 ±14.10b |
|
T2구4 ) | 162.80 ±26.33ab |
9.05 ±4.73ab |
57.55 ±6.08 |
19.80 ±2.96abc |
72.20 ±5.01b |
12.65 ±1.31 |
3.79 ±0.12 |
2.60 ±0.28 |
138.70 ±12.79b |
|
T3구5 ) | 195.55 ±44.18ab |
13.35 ±4.81b |
57.90 ±15.25 |
24.10 ±9.17bc |
64.45 ±15.05ab |
13.68 ±3.74 |
3.35 ±0.74 |
2.55 ±0.40 |
139.00 ±10.75b |
|
평균치 | 178.05 ±32.99 |
8.81 ±5.10 |
56.23 ±8.81 |
20.61 ±4.17 |
66.08 ±8.47 |
13.08 ±2.19 |
3.56 ±0.40 | 2.49 ±0.27 |
126.54 ±10.94 |
|
Pr > |t| | 0.015** | 0.005* | 0.361 | 0.012* | 0.017** | 0.156 | 0.303 | 0.067 | 0.021*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표 12는 비육후기 전기간(24~30개월령) 동안의 혈청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총 콜레스테롤은 비육후기 동안에는 평균 178.05 mg/dL이였고, 그 중에서 T3구가 195.55 mg/dL로 가장 높았으나 T1구는 150.35 mg/d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riglyceride는 평균 8.81 mg/dL로서 T3구가 가장 높았다(P<0.05). 간 기능을 나타내는 GOT는 평균 56.23 mg/dL이었고, GPT의 경우는 평균 20.61 mg/dL으로 T3구와 C2구 각각 24.10 mg/dL과 25.15 mg/dL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글루코오스의 경우는 평균 66.08 mg/dL으로 C1구와 T2구가 더 높았고(P<0.05), BUN은 평균 13.08 mg/dL으로 비육후기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후반기에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알부민은 3.56 mg/dL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혈청내의 면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gM는 평균 2.49 ng/ml이었고, IgG는 126.54 ng/mL으로 비육전기, 비육중기를 거쳐 비육후기로 진행되면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지만 IgG의 경우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구분/월령 | 백혈구 WBC(K/uL) | 적혈구 RBC(M/uL) | 헤모글로빈 Hb(g/dL) | 혈소판 PLT(K/uL) | |
비 육 전 기 |
C1구1 ) | 8.23±0.97 | 8.18±0.69 | 8.20±0.86ab | 301.45±47.00 |
C2구2 ) | 8.69±1.93 | 7.73±1.01 | 6.49±2.39a | 263.75±55.77 | |
T1구3 ) | 8.41±1.42 | 7.99±0.85 | 8.42±0.84b | 271.30±64.62 | |
T2구4 ) | 7.84±1.44 | 8.15±0.81 | 8.46±0.99b | 331.38±102.18 | |
T3구5 ) | 6.95±1.88 | 7.53±2.00 | 8.08±1.30ab | 253.35±57.35 | |
평균치 | 8.02±1.53 | 7.92±1.07 | 7.93±1.27 | 284.25±65.38 | |
Pr > |t| | 0.136 | 0.679 | 0.016** | 0.086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표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전혈에서 비육전기 전기간 동안에 백혈구는 평균 8.02 k/㎕ 였으며 전체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RBC는 평균 7.92 M/㎕ 였으며 전체 처리구간의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헤모글로빈은 평균 7.93 g/dL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 그리고 혈소판은 평균 284.25 k/㎕였고, 전체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이는 많은 사료섭취량의 증가로 체중증가와 함께 본격적으로 근육세포가 증가하는 시기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혈액 분석치는 가축질병의 진단, 치료 및 생리적 변화를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혈액 분석치는 같은 품종이라도 연령, 지역차이, 사양관리, 환경변화 및 생리적 변동뿐 만 아니라 영양 상태에 따라 변화가 발생한다. 즉 정상 혈액성상의 범위는 류코사이트 중 주요성분인 백혈구는 4.0∼12.0 k/㎕, 적혈구는 5.0∼10.0 M/㎕ 정도이다.
표 14는 전혈에서 비육중기 전기간 동안의 전혈 중에서 백혈구는 9.92 k/㎕ 정도로서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지만(P>0.05), 적혈구, 헤모글로빈 및 PLT의 경우는 각각 평균 8.10 M/㎕, 12.17 g/dL 및 261.22 k/㎕으로 처리구간에 뚜렷하게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대체로 비육전기 보다 다소 낮아진 경향을 보였을 뿐 별 차이가 없었고 전체처리구간의 비교에서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구분/월령 | 백혈구 WBC(K/uL) | 적혈구 RBC(M/uL) | 헤모글로빈 Hb(g/dL) | 혈소판 PLT(K/uL) | |
비 육 중 기 |
C1구1 ) | 9.37±2.92 | 7.44±0.78a | 11.78±0.97ab | 291.90±122.53ab |
C2구2 ) | 9.63±1.39 | 7.52±0.97a | 11.47±1.19a | 234.50±50.80ab | |
T1구3 ) | 9.47±2.77 | 8.25±0.79ab | 12.40±0.98ab | 275.00±102.74ab | |
T2구4 ) | 12.92±6.28 | 9.28±2.15b | 13.16±1.40b | 321.00±101.27b | |
T3구5 ) | 8.21±2.34 | 8.01±0.83ab | 12.05±0.98ab | 183.70±45.13a | |
평균치 | 9.92±3.14 | 8.10±1.10 | 12.17±1.11 | 261.22±84.49 | |
Pr > |t| | 0.057 | 0.011* | 0.017* | 0.014*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표 15는 전혈에서 비육후기 전기간 동안에 전혈 중에서 백혈구는 평균 7.32 k/㎕ 정도로서 처리구간에서는 C2구가 가장 높았던 반면에 T3구가 가장 낮았다. 적혈구는 평균 6.79 M/㎕의 범위였고, 헤모글로빈은 평균 10.45 g/dL 범위였고, 혈소판는 평균 293.35 k/㎕ 범위였고 그 중에서도 T2구가 더 높은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구분/월령 | WBC(K/uL) | RBC(M/uL) | Hb(g/dL) | PLT(K/uL) | |
비 육 후 기 |
C1구1 ) | 7.79±1.10 | 6.65±0.62 | 10.33±0.97 | 343.30±71.89 |
C2구2 ) | 8.03±1.74 | 6.80±0.77 | 10.55±1.05 | 299.60±66.92 | |
T1구3 ) | 6.75±2.14 | 6.92±1.79 | 10.51±2.65 | 262.85±91.96 | |
T2구4 ) | 7.76±1.04 | 6.93±0.47 | 10.86±0.74 | 296.30±79.74 | |
T3구5 ) | 6.29±1.85 | 6.63±1.42 | 9.99±2.25 | 264.70±78.74 | |
평균치 | 7.32±1.57 | 6.79±1.01 | 10.45±1.53 | 293.35±77.85 | |
Pr > |t| | 0.087 | 0.956 | 0.843 | 0.156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4. 도체등급 및 육의 이화학적 특성
1) 도체등급
표 16은 시험종료 후에 도축된 도체등급 판정결과이다. 도체중은 431.00∼464.00 kg 범위로서 평균 447.30 kg으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P>0.05), 등지방 두께는 평균 10.78∼14.11 mm 정도로서 그 중 T1구가 14.11 mm로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두꺼웠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여기서 T1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더 두꺼워진 것은 비육전기때 낮은 증체에 따라 비육후기때 크게 성장한 보상성장의 결과로 추측된다. 그러나 배최장근 단면적의 경우는 평균 84.10∼85.89 ㎠ 로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도체등급에서 육량등급의 경우, A등급 : 3점, B등급 : 2점, C등급 : 1점으로 환산하여 처리구간을 비교해보았을 때 T1구는 1.89점, T2구가 2.00점, T3구 1.89점 C1구 2.00점 및 C2구 1.70점으로서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러나 마블링스코어의 경우는 C2구와 T3구가 6.05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한편 도체등급 중의 육질등급을 1++등급 : 4점, 1+등급 : 3점, 1등급 : 3점, 2등급 : 1점으로 환산한 후 처리구간별 비교시에 T3구가 3.76점으로 크게 높았던 반면, 대조구는 3.20∼3.22점으로 크게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본 시험 결과, 본 발명의 한방생균제가 일부 첨가된 처리 2, 3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육량과 육질등급이 개선되었으므로, 비육한우에게 본 발명의 한방생균제를 혼합급여하면 도체등급에 더 유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도체중(kg) | 431.50±40.56 | 438.00±22.43 | 464.00±33.83 | 464.00±34.72 | 439.00±45.58 | 0.143 |
등지방두께 (㎜) | 11.20±5.71 | 12.20±4.52 | 14.11± 7.75 | 11.40±5.97 | 10.78±2.54 | 0.726 |
배최장근단면적(㎠) | 84.10±10.99 | 84.10±10.60 | 85.67± 11.19 | 85.00±10.53 | 85.89±4.11 | 0.991 |
육량지수 | 64.99 ± 4.24 | 64.21±3.41 | 62.59±5.40 | 64.18±4.32 | 65.01±2.11 | 0.706 |
육량등급6 ) | 2.00 ± 0.82 | 1.70± 0.67 | 1.89± 0.60 | 2.00± 0.94 | 1.89± 0.60 | 0.895 |
근내지방도7 ) | 4.70± 1.83 | 6.00±3.08 | 5.90±1.37 | 6.00±1.70 | 6.05±1.27 | 0.517 |
육색r8 ) | 4.90± 0.32 | 4.78±0.44 | 4.50±0.53 | 4.70±0.48 | 4.67±0.50 | 0.407 |
지방색9 ) | 2.90± 0.32 | 3.00± 0.00 | 3.00±0.00 | 2.90±0.32 | 3.00±0.00 | 0.598 |
조직감10 ) | 1.20± 0.42 | 1.20± 0.44 | 1.00±0.50 | 1.10±0.32 | 1.00±0.00 | 0.358 |
성숙도11 ) | 2.00± 0.00 | 2.11± 0.33 | 2.00±0.00 | 2.00±0.00 | 2.00±0.00 | 0.373 |
육질등급12 ) | 3.20± 0.92 | 3.22± 1.39 | 3.70± 0.82 | 3.70± 0.95 | 3.76± 0.50 | 0.581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 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6) Connverted to a numberic grade : A=3, B=2, C=1point
7) Marbling score : 9 = the most abundant, 1 = devoid
8) Meat color : 7 = dark red, 1 = bright.
9) Fat color : 7 = yellowish, 1 = white
10) Texture : 3 = coarse, 1 = fine
11) Maturity : 9= mature, 1 = youthful
12) Converted to a numberic grade : 1++= 5 , 1+=4,1 = 3 , 2 = 2, 3 = 1 point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수준 % | 63.70±3.16 | 62.28±4.92 | 62.39±2.66 | 61.0±3.91 | 60.40±3.38 | 0.761 | |
조지방 % | 14.08± 4.36 | 16.30± 6.8 | 16.45± 3.55 | 17.89± 5.28 | 17.22± 4.3 | 0.851 | |
조단백질,% | 20.51±1.28 | 19.94±1.74 | 19.45±1.00 | 19.03±1.46 | 19.90±1.79 | 0.694 | |
조회분 ,% | 0.84±0.05 | 0.85±0.12 | 0.79±0.06 | 0.83±0.08 | 0.82±0.07 | 0.865 | |
육색 6) |
L | 37.99±3.26 | 40.50±2.67 | 40.77±1.68 | 41.55±1.88 | 40.30±3.01 | 0.403 |
a | 22.56±1.51 | 23.43±1.45 | 23.29±1.92 | 22.12±0.97 | 22.50±2.05 | 0.753 | |
b | 10.30±1.16 | 10.93±1.20 | 11.09±1.19 | 10.31±0.86 | 9.93±1.40 | 0.615 | |
pH | 5.50±0.05 | 5.50±0.05 | 5.52±0.02 | 5.53±0.01 | 5.49±0.05 | 0.484 | |
가열감량 ,% | 24.90±1.69ab | 25.22±1.63b | 23.55±2.37ab | 20.84±1.76a | 22.42±1.18ab | 0.018* | |
전단력, kg/cm2 | 3.61±0.59 | 3.76±0.81 | 3.84±0.34 | 3.57±1.03 | 3.63±1.04 | 0.987 | |
보수력, % | 57.73±0.38 | 60.16±0.96 | 56.73±1.71 | 58.15±2.02 | 59.18±2.04 | 0.060 | |
총 콜레스테롤, mg/100g | 47.33±1.67b | 41.64±3.24a | 41.64±2.26a | 47.10±2.87b | 45.69±2.14b | 0.028* | |
관능 평가 |
다즙성 | 5.05±0.33 | 4.93±0.22 | 5.32±0.30 | 5.28±0.68 | 5.70±0.35 | 0.201 |
연도 | 4.83±0.34 | 4.73±0.05 | 5.13±0.67 | 4.73±0.90 | 5.50±0.36 | 0.255 | |
향미 | 4.88±0.35 | 4.75±0.21 | 4.80±0.14 | 5.05±0.52 | 5.10±0.27 | 0.297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6)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
표 17은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수분은 60.40~63.70% 정도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19.03∼20.51%, 조지방의 경우는 14.08~17.89% 범위로서 T2구가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또한 육색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37.99∼41.55 범위로서 그 중 T2구가 밝게 나타났고(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22.12∼23.43 범위,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9.93∼11.09 범위로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pH는 5.49∼5.53 범위였고, 가열감량은 20.84∼25.22%로서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고(P<0.05), 전단력은 3.57∼3.84 kg/㎠ 범위로서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P>0.05). 그리고 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41.64∼47.33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전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C1구와 T2구가 47.10∼47.33 mg/100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C2구와 T1구가 41.64 mg/100g로서 크게 낮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또한 관능평가에서 다즙성은 4.93∼5.70점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연도는 4.73∼5.50점으로 그 중에서도 T3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또한 향미는 4.75∼5.10점 범위로서 T3구가 5.10점으로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고기의 다즙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보수력의 경우는 56.73∼60.16%로서 C2구가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표 18은 등심부위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로서 올레익 에시드는 전체 조성분에서 48.42∼52.95%로서 T3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P>0.05), 그 다음으로 팔미트산 26.41∼28.86%, 스테아릭 애시드10.12∼14.10%, 팔미토레익 애시드 2.96∼4.82%, 미리스틱 애시드 2.57∼4.06%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체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은 39.92∼43.81% 범위로서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P>0.05),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56.20∼60.08% 범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PUFA/SFA 비율은 0.049~0.064%이며, MUFA/SFA비율은 1.035∼1.424%로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MUFA (Monosaturated Fatty Acid)는 53.62~58.04% 범위로서 그 중 T3구가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5). 하지만 PUFA (Polysaturated Fatty Acid)는 2.09∼2.67% 정도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C 14:0 (Myristic acid) | 4.06±0.73b | 3.91±0.70b | 2.57±0.44a | 3.46±0.34ab | 2.94±0.31ab | 0.005* |
C 16:0 (Palmitic acid) | 28.81±2.17 | 28.86±1.35 | 26.41±0.80 | 26.70±1.76 | 26.86±1.30 | 0.117 |
C 16:1 n-7 (Palmitoleic acid) | 4.82± 1.13 | 4.32± 1.3 | 2.96±0.94 | 4.53±0.79 | 4.59±0.74 | 0.108 |
C 18:0 (Stearic acid) | 10.93±0.74a | 10.12±0.12a | 14.10±0.32b | 10.14±1.00a | 10.12±1.86ab | 0.001* |
C 18:1 n-9 (Oleic acid) | 48.42±2.67 | 49.55±2.30 | 51.29±1.16 | 52.32±2.58 | 52.95±1.27 | 0.108 |
C 18:1 n-7 (Vaccenic acid)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 |
C 18:2 n-6 (Linoleic acid) | 2.26±0.35 | 2.30±0.46 | 1.81±0.21 | 2.07±0.12 | 1.75±0.53 | 0.134 |
C 18:3 n-6 (Υ-Linolenic acid) | 0.05±0.02 | 0.05±0.01 | 0.04±0.01 | 0.04±0.01 | 0.04±0.01 | 0.773 |
C 18:3 n-3 (Linolenic acid) | 0.09±0.01 | 0.08±0.01 | 0.06±0.01 | 0.08±0.02 | 0.06±0.01 | 0.075 |
C 20:1 n-9 (Eicosenoic acid) | 0.38±0.06a | 0.42±0.07ab | 0.58±0.06b | 0.53±0.09ab | 0.50±0.01ab | 0.013* |
C 20: 2n-6 (Eicosadienoic acid) | 0.18±0.08 | 0.19±0.03 | 0.18±0.03 | 0.14±0.05 | 0.19±0.10 | 0.918 |
Total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
SFA6 ) | 43.81±2.20 | 43.05±1.86 | 43.08±1.39 | 40.29±2.63 | 39.92±0.62 | 0.133 |
UFA7 ) | 56.20±2.20 | 56.95±1.86 | 56.92±1.39 | 59.71±2.63 | 60.08±0.62 | 0.133 |
PUFA/SFA 비율 | 0.059 | 0.062 | 0.049 | 0.058 | 0.064 | 0.239 |
MUFA/SFA 비율 | 1.224 | 1.261 | 1.273 | 1.424 | 1.035 | 0.099 |
MUFA8 ) | 53.62±2.60 | 54.29±1.79 | 54.84±1.21 | 57.38±2.65 | 58.04±0.85 | 0.129 |
PUFA9 ) | 2.58±0.41 | 2.67±0.55 | 2.09±0.31 | 2.33±0.18 | 2.54±0.61 | 0.221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6) Saturated fatty acids(C14:0+C16:0+C18:0)
7) Unsaturated fatty acids(C14:1+C15:1+C16:1+C17:1+C18:1+C20:1)
8) Mono-Unsaturated fatty acids(C16:1+C18:1+C20:1)
9) Poly-Unsaturated fatty acids(C18:2+C18:3+C20:2+C20:3+C20:4+C20:5+C22:6)
표 19는 등심육의 아미노산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glutamatic acid는 2.17∼2.50 %의 범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asparitic acid는 1.35∼1.57 %의 범위에 있었고, lysine은 1.06∼1.21%이였고, Leucine은 1.10∼1.30 %의 정도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외 성분은 1%이하로서 미량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ASP | 1.57±0.41 | 1.35±0.38 | 1.52±0.25 | 1.42±0.35 | 1.43±0.31 | 0.905 |
THR | 0.77±0.23 | 0.65±0.22 | 0.72±0.16 | 0.68±0.21 | 0.68±0.20 | 0.918 |
SER | 0.79±0.11 | 0.69±0.07 | 0.75±0.06 | 0.70±0.08 | 0.71±0.05 | 0.419 |
GLU | 2.50±0.76 | 2.17±0.70 | 2.35±0.55 | 2.19±0.65 | 2.22±0.64 | 0.947 |
GLY | 0.78±0.12 | 0.69±0.10 | 0.82±0.07 | 0.73±0.08 | 0.73±0.05 | 0.311 |
ALA | 0.92±0.33 | 0.78±0.33 | 0.90±0.23 | 0.82±0.30 | 0.82±0.28 | 0.954 |
VAL | 0.76±0.17 | 0.64±0.14 | 0.73±0.08 | 0.68±0.13 | 0.67±0.12 | 0.684 |
I-LE | 0.65±0.18 | 0.56±0.18 | 0.64±0.11 | 0.60±0.16 | 0.59±0.18 | 0.915 |
LEU | 1.23±0.40 | 1.10±0.45 | 1.30±0.30 | 1.24±0.34 | 1.23±0.32 | 0.955 |
TYR | 0.54±0.18 | 0.49±0.16 | 0.57±0.09 | 0.53±0.12 | 0.52±0.13 | 0.952 |
PHE | 0.73±0.17 | 0.62±0.16 | 0.70±0.10 | 0.65±0.14 | 0.63±0.13 | 0.811 |
LYS | 1.21±0.57 | 1.06±0.50 | 1.15±0.43 | 1.10±0.50 | 1.12±0.50 | 0.995 |
HIS | 0.53±0.19 | 0.47±0.18 | 0.48±0.19 | 0.46±0.20 | 0.47±0.22 | 0.988 |
ARG | 0.92±0.28 | 0.82±0.23 | 0.89±0.21 | 0.83±0.25 | 0.84±0.26 | 0.976 |
PRO | 0.72±0.13 | 0.60±0.10 | 0.68±0.08 | 0.63±0.09 | 0.63±0.08 | 0.481 |
합계 | 14.62 | 12.69 | 14.20 | 13.26 | 13.29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표 20은 한우 도축시에 부분육으로 생산된 고기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축 후 머리, 다리, 내장을 제외하고 남은 뼈를 포함한 지육량은 C1구, C2구, T1구, T2구, T3구가 각각 343.47 kg, 332.41 kg, 348.65 kg, 369.98 kg, 그리고 349.60 kg으로 나타나 전체 처리구중에서 T2구가 369.98 kg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C2구가 332.41 kg으로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또한 총 도체의 부위별 구성비율에서 갈비부위가 57.84∼64.37 kg(총 지육대비 17.40%)으로 전체 지육량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채끝은 51.36∼57.17kg(15.45%) 이었으며, 양지는 43.51∼48.43 kg(13.09%), 등심은 42.26∼47.04 kg(12.71%), 설도는 40.09∼44.62 kg(12.06%), 앞다리는 29.33∼32.54 kg(8.80%), 우둔부위는 25.26∼28.12kg(7.60%), 사태는 18.54∼20.64 kg(5.58%), 목심은 16.66∼18.55 kg(5.01%), 안심은 7.64∼8.51 kg(2.30%)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전체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체로 T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외에 부산물은 사골은 24.22∼26.96 kg(7.29%), 꼬리 17.54∼19.52 kg(5.28%), 잡뼈(20.88∼23.24 kg)(6.28%)를 정도를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도체율을 살펴보면 C1구, C2구, T1구, T2구, T3구의 kg당 지육단가는 14,592∼15,364원으로 대조구는 14,592∼14,674원이었으나, 처리구는 15,058∼15,364원으로 한방생균제를 첨가급여한 구가 평균 466∼690원이 더 비싸서 처리구가 약 두당 162,471∼255,300원 까지 더 높은 소득을 얻었다. 그리고 전체 처리구 중에서는 T3구가 15,364원으로 가장 높은 경매가격을 보였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부 위 별 생 산 량 'kg |
안심 | 7.90±0.74 | 7.64±2.75 | 8.02±0.41 | 8.51±0.64 | 8.04±0.83 | 0.547 | |
목심 | 17.22±1.62 | 16.66±5.99 | 17.48±0.89 | 18.55±1.39 | 17.52±1.82 | 0.389 | ||
등심 | 43.67±4.10 | 42.26±15.20 | 44.33±2.27 | 47.04±3.51 | 44.45±4.61 | 0.547 | ||
채끝 | 53.07±4.99 | 51.36±18.47 | 53.87±2.76 | 57.17±4.27 | 54.02±5.61 | 0.717 | ||
앞다리 | 30.21±2.84 | 29.23±10.51 | 30.66±1.57 | 32.54±2.43 | 30.74±3.19 | 0.589 | ||
우둔 | 26.11±2.45 | 25.26±9.08 | 26.50±1.36 | 28.12±2.10 | 26.57±2.76 | 0.458 | ||
설도 | 41.42±3.89 | 40.09±14.42 | 42.05±2.15 | 44.62±3.33 | 42.16±4.38 | 0.278 | ||
양지 | 44.96±4.23 | 43.51±15.65 | 45.64±2.34 | 48.43±3.62 | 45.76±4.75 | 0.781 | ||
사태 | 19.16±1.80 | 18.54±6.67 | 19.45±1.00 | 20.64±1.54 | 19.50±2.02 | 0.370 | ||
갈비 | 59.76±5.62 | 57.84±20.80 | 60.66±3.11 | 64.37±4.81 | 60.83±6.31 | 0.321 | ||
총 량,kg | 343.47±32.29 | 332.41±19.53 | 348.65±17.85 | 369.98±27.63 | 349.60±36.29 | 0.841 | ||
지육단가, kg당/원 |
14,592 ±1,627 |
14,674 ±2,035 |
15,176 ±1,598 |
15,058 ±1,833 |
15,364 ±919 |
0.809 | ||
부산물 생산량,kg |
사골 | 25.03±2.35 | 24.22±8.71 | 25.40±1.30 | 26.96±2.01 | 25.47±2.64 | 0.547 | |
꼬리 | 18.12±1.70 | 17.54±6.31 | 18.40±0.94 | 19.52±1.46 | 18.45±1.91 | 0.641 | ||
잡뼈 | 21.58±2.03 | 20.88±7.51 | 21.90±1.12 | 23.24±1.74 | 21.96±2.28 | 0.598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5. 경제성 분석
봉화한약우 사양시험 후 경제성 분석결과는 표 21과 같다. 조수입은 지육가격과 도체부산물을 합산하였고, 경영비는 송아지구입비, 농후사료비, 조사료(페닐리얼라이그라스), TMF사료 및 한방첨가제, 기타비용, 가족노동력을 적용한 후 통계청(2014)의 농축산 생산비조사 자료에 의거 제반비용을 산출한 후 합산한 금액이었다. 소득은 비육개시시 부터 출하도축까지 조수입에서 경영비 지출을 공제한 잔액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에 대한 경제성 분석에서 순수익은 C1구는 1,024천원, C2구는 975천원, T1구가 1,679천원, T2는 1,726천원, T3구는 1,189천원으로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경제성 분석결과로 볼 때, 대체로 한방생균제를 첨가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처리구 중에서는 T1구와 T2가 167만∼173만원으로 거의 비슷하게 높게 나타난 것을 감안하면 육성기 및 비육전기까지는 한방제재가 첨가된 TMF사료를 급여하고 그 이후 비육후기때는 농후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양방법은 비육시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도체등급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다음으론 지금까지 해온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분리급여 방식도 비육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가지는 최근 TMR이나 TMF 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본 연구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비육 초기부터 TMF로만 급여하는 농가들은 가격은 싸면서 비육단계별 영양수준이 잘 맞춰져 있고 기호성이 있는 사료, 즉 여러 사람들이 사용한 결과 검증된 TMF사료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고 성분 및 급여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사료일 경우에는 오히려 증체는 않되고 비싼 사료만 주는 초래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비육농가들은 우량 밑소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 사양프로그램에 준하여 사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양프로그램은 0.5%∼0.2% 한방생균제의 첨가된 사료하되 육성기와 비육전기까지는 TMF(또는 TMR)를 급여하고 그 이후 비육중기 또는 비육후기부터는 농후사료를 급여하면 방식을 권장하고자 한다. 이럴 경우에 한우비육우에게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는 면역성증가, 증체량 및 육질등급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 목 | C11 ) | C22 ) | T13 ) | T24 ) | T35 ) | Pr > |t| | |
총수입 | *부산물가격 | 25,500 | 25,500 | 25,500 | 25,500 | 25,500 | 0.547 |
지육가격6 ) | 6,296,448 ±209,478 |
6,427,212 ±301,741 |
7,041,664 ±302,48 |
6,986,912 ±287,351 |
6,744,796 ±214,114 |
0.389 | |
합 계 | 6,321,948 ±287,489a |
6,452,712 ±312,412a |
7,067,164 ±324,100bc |
7,012,412 ±288,416bc |
6,770,296 ±227,894b |
0.047* | |
경영비 | 송아지구입비7 ) | 2,200,000 | 2,200,000 | 2,200,000 | 2,200,000 | 2,200,000 | 0.717 |
농후사료비8 ) | 1,741,168 | - | 1,763,285 | 709,240 | - | 0.589 | |
조사료비8 ) | 373,897 | - | 361,071 | 83,842 | - | 0.458 | |
TMF사료8 ) | - | 2,295,020 | - | 1,229,550 | 2,316,860 | ||
첨가제비9 ) | - | - | 81,582 | 81,582 | 81,582 | 0.278 | |
기 타10 ) | 253,054 | 253,054 | 253,054 | 253,054 | 253,054 | 0.781 | |
가족노동비11 ) | 729,013 | 729,013 | 729,013 | 729,013 | 729,013 | 0.370 | |
합 계 | 5,297,132 ±168,470 |
5,477,087 ±198,480 |
5,388,005 ±203,456 |
5,286,281 ±148,795 |
5,580,509 ±214,689 |
0.321 | |
수 익 | 순수익 | 1,024,816 ±315,100a |
975,625 ±289,471a |
1,679,159 ±301,114c |
1,726,131 ±257,331c |
1,189,787 ±234.471b |
0.048* |
a, b, c 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Scheffe, ** Bonferroni
Means±S.D.
1) Control 1 : 농후사료(비육전기)→농후사료(비육중기)→농후사료(비육후기)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2) Control 2 : TMF사료(비육전기)→TMF사료(비육중기)→TMF(비육후기)사료에 한방생균제 무첨가구
3) Treat 1 : 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농후사료(비육중기)→ 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4) Treat 2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농후사료(비육후기)
5) Treat 3 : 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전기)→한방생균제 0.5%첨가 TMF사료(비육중기)→한방생균제 0.2%첨가 TMF사료(비육후기)
6) kg당 지육단가 : 처리구별 평균단가적용 C1구 14,592원, C2구 14,674원, T1구 15,176원,
T2구 15,058원, T3구 15,364원
1.- Carcass price by grade (won/kg) : 대구경북지역 도축등급별 경매단가
2.A1++:18,580, A1+:16,455, A1:14,782, A2: 13,521,
3.B1++:16,658, B1+:16,127, B1 : 14,537: B2:13,336
4.C1++:15,568, C1+:14,073원, C1:13,525, C2:12,319
7) 송아지구입 : '14.12월 현재 시세적용(국립축산과학원)
8) 배합사료, 조사료 및 TMF : 15년도 현재시세 적용
- kg당 단가 : 배합사료 440원, 페일리얼그라스 370원, TMF 350원
9) 첨가제비용 : 한방첨가제
10) 기타비용 : 수도광열비, 감가상각비, 수리유지비, 분뇨처리비, 방역치료비 포함
-> '13년기준 통계청 농축산비 생산비조사 한우비육우 적용
11) 가족노동인건비 : ->'13년기준 통계청 농축산생산비조사 한우비육우 적용
5.※ Selling price of carcass by grade, by-product and manure (*: '00.12 ; ** '99.12)
6.※ Feed intake x unit price(won/kg)
7.-Concentrate(231won/kg), Roughage(185won/kg), Pegmatite powder(4,000won/kg)
8.Charcoal powder(800won/kg), Vitmin A(1,000won/kg)
Claims (9)
1) 멸균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진탕배양기에서 온도 30~40℃, 교반속도 80~200rpm으로 20~28시간 동안 액체배양하는 단계;
2) 액체 배지에 상기 액체배양한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기에서 30~40℃, 교반속도 50~150rpm, 산소이용 통기량 0.5~1.5vvm으로 10~2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3) 밀기울 60~85중량%, 포도당 1~10중량%, 수크로오스 1~10중량중량%, 펩톤 1~10중량%, 인산수소칼륨 0.01~5중량%, 탄산칼슘 0.01~5중량%, 효모 추출물 1~10중량%, 미네랄 1~5중량% 및 성장인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고체배지에 상기 2) 단계에서 배양된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30~40℃, 습도 90% 이상으로 20~28시간 동안 고체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로 생성된 고체배양체를 건조하는 단계;
5) 당귀, 백출, 진피, 길경, 작약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한방제재를 분쇄하여 분말화된 한방제재 58~80중량%에 효모배양체 19~41중량% 및 탄닌 0.1~2중량%를 첨가하여 한방제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 0.01~5중량%을 상기 5) 단계의 한방제조물 30~60중량% 및 효모배양체 35~65중량%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2) 액체 배지에 상기 액체배양한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기에서 30~40℃, 교반속도 50~150rpm, 산소이용 통기량 0.5~1.5vvm으로 10~2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3) 밀기울 60~85중량%, 포도당 1~10중량%, 수크로오스 1~10중량중량%, 펩톤 1~10중량%, 인산수소칼륨 0.01~5중량%, 탄산칼슘 0.01~5중량%, 효모 추출물 1~10중량%, 미네랄 1~5중량% 및 성장인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고체배지에 상기 2) 단계에서 배양된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30~40℃, 습도 90% 이상으로 20~28시간 동안 고체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로 생성된 고체배양체를 건조하는 단계;
5) 당귀, 백출, 진피, 길경, 작약 및 황기를 포함하는 한방제재를 분쇄하여 분말화된 한방제재 58~80중량%에 효모배양체 19~41중량% 및 탄닌 0.1~2중량%를 첨가하여 한방제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4) 단계의 건조된 고체배양체 0.01~5중량%을 상기 5) 단계의 한방제조물 30~60중량% 및 효모배양체 35~65중량%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illus)균, 아스페르길루스 니가(Aspergillus niger)균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상기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illus)균, 아스페르길루스 니가(Aspergillus niger)균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고체배지는 수분함량이 30~50%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상기 3) 단계의 고체배지는 수분함량이 30~50%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건조는 온도 38~4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상기 4) 단계의 건조는 온도 38~4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한방생균제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생균제는 사료 톤당 0.1∼1.0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방생균제를 사료 톤당 0.1∼1.0중량%로 배합하여 가축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는 1일 1~3회로 수행하는 것인 급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346A KR101735759B1 (ko) | 2015-05-20 | 2015-05-20 |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346A KR101735759B1 (ko) | 2015-05-20 | 2015-05-20 |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7718A true KR20160137718A (ko) | 2016-12-01 |
KR101735759B1 KR101735759B1 (ko) | 2017-05-16 |
Family
ID=5757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346A KR101735759B1 (ko) | 2015-05-20 | 2015-05-20 |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75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01004A (zh) * | 2017-03-16 | 2017-06-30 | 苏州凯茂饲料添加剂有限公司 | 一种高营养牛饲料 |
CN109287874A (zh) * | 2018-11-29 | 2019-02-01 | 佛山市南海东方澳龙制药有限公司 | 用于促进反刍动物幼畜生长发育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9549963A (zh) * | 2019-01-15 | 2019-04-02 | 长沙秋点兵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中药饮片的制作方法 |
KR101971984B1 (ko) * | 2018-10-05 | 2019-04-24 | 한석주 |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CN110407335A (zh) * | 2019-08-05 | 2019-11-05 | 朱波 | 一种用于多方面改良养殖水体的生物环保型产品及其制备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3037B1 (ko) | 2019-07-24 | 2020-11-02 | (주)비타바이오 |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093B1 (en) * | 2002-03-29 | 2002-08-24 | Jewoo Corp | Feed additive for increas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red fish and promotion of the growth thereof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medicin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0880915B1 (ko) * | 2007-11-16 | 2009-02-04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
-
2015
- 2015-05-20 KR KR1020150070346A patent/KR101735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1. 성경일. 1997. 반추가축에 있어서 한약재박펠렛과 비지사일지지의 사료가치. 한국영양사료 학회지. 21(6) : 511-518. |
2. 김종희1995. 한약우 사용기술과 상품화 전략. 경북대학교 농업과학대학원 최고농업경영자과정논문 |
3. 전병태, 김경훈, 문상호, 김창원. 1999. 사슴용 사료를 위한 한방제재 부산물의 사일리지 발효특성 연구. 한국영양사료학회지. 23(2) : 235-241. |
4. 성경일, 정종원, 김상록. 2001. 비육후기 한우수소에 있어서 한약제박 펠렛사료의 대체급여효과.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6):873-880.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01004A (zh) * | 2017-03-16 | 2017-06-30 | 苏州凯茂饲料添加剂有限公司 | 一种高营养牛饲料 |
KR101971984B1 (ko) * | 2018-10-05 | 2019-04-24 | 한석주 |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CN109287874A (zh) * | 2018-11-29 | 2019-02-01 | 佛山市南海东方澳龙制药有限公司 | 用于促进反刍动物幼畜生长发育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9549963A (zh) * | 2019-01-15 | 2019-04-02 | 长沙秋点兵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中药饮片的制作方法 |
CN110407335A (zh) * | 2019-08-05 | 2019-11-05 | 朱波 | 一种用于多方面改良养殖水体的生物环保型产品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5759B1 (ko) | 2017-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5759B1 (ko) |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 |
KR101971984B1 (ko) |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
CN102232468B (zh) | 畜禽肉品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 | |
CN105265811B (zh) | 一种增加猪肉瘦肉率及风味的添加剂 | |
CN102599365B (zh) | 一种降低高档牛肉生产成本的方法 | |
CN101664104B (zh) | 利用花椒籽制备动物饲料的方法及应用 | |
CN104522391A (zh) | 一种生产雪花牛肉的肉牛饲用日粮及精料补充料配方 | |
CN105994950A (zh) | 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 |
CN103564176A (zh) | 一种猪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07712348A (zh) | 一种改善猪肉风味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2044830B1 (ko) | 부추생균제의 제조방법 및 부추생균제 급여에 의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 |
CN103039759A (zh) | 加有松针粉、黄粉虫添加剂的鸭饲料 | |
CN100559961C (zh) | 微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4172205A (zh) | 一种富硒猪肉及其富硒猪的喂养方法 | |
CN105029046B (zh) | 一种湖羊育肥饲料 | |
CN103461265B (zh) | 一种用于生产富含功能性脂肪酸羊肉的放牧饲养方法 | |
CN105614069A (zh) | 一种木薯渣生物多肽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 |
KR102432652B1 (ko) |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CN103652324A (zh) | 一种猪饲料曲种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03039760A (zh) | 加有松针粉、黄粉虫添加剂的鸡饲料 | |
CN105724820A (zh) | 一种小球藻肉鸡饲料及其饲养方法 | |
CN104957409B (zh) | 一种风味猪饲料配方 | |
CN107821327A (zh) | 一种猪肉干原料猪的养殖方法 | |
CN103039763A (zh) | 加有松针粉、黄粉虫添加剂的鹅饲料 | |
CN107212188A (zh) | 一种黄花鱼成鱼饲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