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915B1 -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915B1
KR100880915B1 KR1020070117413A KR20070117413A KR100880915B1 KR 100880915 B1 KR100880915 B1 KR 100880915B1 KR 1020070117413 A KR1020070117413 A KR 1020070117413A KR 20070117413 A KR20070117413 A KR 20070117413A KR 100880915 B1 KR100880915 B1 KR 10088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additive
functional composition
powd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영
강석진
서국현
김현섭
백광수
정하연
송시헌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7011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산약, 감초, 숙지황, 향부자, 천궁, 목단피, 포공영, 노근, 백작약, 울금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배지에 효모를 접종하여 혐기적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에 의하면 식욕촉진, 우유량 증가 및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당귀, 산약, 감초, 숙지황, 향부자, 천궁, 목단피, 포공영, 노근, 백작약, 울금, 황백, 혐기발효, 유산균 발효

Description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A method of producing a functional composition and a feed additive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젖소 사육농가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유방염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원인에 관계없이 감염률은 40%, 분방 감염률은 25%로 낙농산업에서 가장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질병이다. 유방염은 여러 가지 염증성 인자가 원인이 되어 유방조직의 손상이나 비유 기능의 장애를 일으키며 증상에 따라 크게 임상형과 준임상형 유방염으로 분류한다. 또한 유방염은 농장의 사정에 따라 발생형태도 다양하여 대규모 사육과 착유시설, 환경 및 관리자 등의 요인에 의해 우유 내의 체세포수 증가, 조기 도태, 우유 폐기 처분, 우유 생산량 감소 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온다.
이러한 체세포수 증가 및 유방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성과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백신개발,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및 농산물안전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접목을 통한 사육환경 개선,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등으로 유방염 치료와 예방에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아연, 비타민, 셀레늄과 같은 미량성분을 첨가하여 유방염발생과 체세포증가를 예방하고자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젖소의 우유 내의 체세포증가 및 유방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일반농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1-2가지 성분의 첨가제나 일부 한약재 또는 생약성분을 포함한 첨가제로는 젖소의 우유 내의 체세포증가 및 유방염 예방에 한계가 있다. 특히 체세포증가와 관련된 생리적인 반응과 면역 및 생체대사조절을 통한 새로운 예방적인 차원의 접근이 되어야 젖소 생산성 감소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종래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산약(山藥; Discoreae Rhizoma, Discorea batatas DECNE.), 감초(甘草; Glycyrrhiza glabra L. Glycyrrhiza uralensis Fisch.), 숙지황(熟地黃; Steamed Rehmannia Radix,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 향부자(香附子; Cyperus rotundus LINNE), 천궁(川芎; Lingustieum chuangxiong HORT, Cnidium officinale MAKINO), 목단피(牧丹皮; Moutan Cortex Radicis, Paeonia suffruticosa ANDR), 포공영(蒲公英; Taraxacum mongolicum H.MAZZ.), 노근(盧根; Phragmites communis Trin), 백작약(白芍藥; Paeonia lactiflora PALL. var. hortensis MAKINO), 울금(蔚金; Curcuma longa L.) 또는 황백(黃柏;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을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약재와 혼합하여 사람과 가축 질병을 치료하는 처방약 또는 첨가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12가지 약재는 독특한 냄새와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또는 분말화하여 젖소에게 급여하는 경우, 젖소가 섭취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젖소가 급여하는데 있어서 거부감을 없애면서도 상기한 약재들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첨가제가 요구되고 있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이들 12가지의 약재의 혼합물로부터 열수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첨가제나 또는 열수 추출물을 혐기발효 및 유산균 발효시켜 얻어지는 조성물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12가지 약재의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고 이 열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혐기 발효 및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여 대사시켜 얻어지는 조성물이 식욕촉진, 우유량 증가 및 유방염 예방과 같은 다양한 효과 또는 증진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당귀, 산약, 감초, 숙지황, 향부자, 천궁, 목단피, 포공영, 노근, 백작약, 울금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배지에 효모를 접종하여 혐기적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12종류의 천연재료 혼합물을 효모 혐기 발효와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여 천연재료의 생리학적 효과가 증진된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 , 상기 혼합물은 당귀 22중량%, 산약 15중량%, 감초 12중량%, 숙지황 12중량%, 향부자 6.6중량%, 천궁 6중량%, 목단피 6중량%, 포공영 5중량%, 노근 4중량%, 백작약 4중량%, 울금 2.4중량% 및 황백 5중량%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에 사용된 약재는 젖소의 생리기능 향상과 면역력 증대를 위하여 12가지 다른 약재를 배합하여 그 각각의 효과를 상승시키고자 하였다. 즉 젖소의 대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혈액생성과 빈혈 예방에 효과적인 당귀와 17종 이상의 아미노산과 미량원소로 인하여 혈당강화, 면역증강, 항산화 및 상처치유촉진 효과가 있는 산약을 사용한다. 또한 간의 해독, 지방간 예방 및 혈류량 증대를 위해 당귀, 감초, 천궁, 포공영 및 울금을 사용한다. 항균효과를 위하여 당귀, 향부자 및 목단피를 사용하며 그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황백을 추가한다. 항염증 효과를 위하여 당귀, 부신피질양 효과를 내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주성분인 감초 및 향부자, 염증세포의 유주를 억제하고 염증성 조직의 아드레날린 합성을 억제작용이 있는 목단피 및 노근, 커큐민(curcumin)이 주성분으로 소염작용이 있는 울금, 급성염증 억제작용이 있는 황백을 사용한다. 비특이적 면역 증강을 위하여 당귀, 산약 및 울금을 사용하며 세포성 면역증대를 위해 대식세포 식작용 활성효과 있는 숙지황, 항체의존성 대식세포의 사이토톡신(cytotoxin) 분비작용을 증가시키는 포공영, 대식세포 탐식능력향상과 IL-2 생산능력 회복작용이 있는 백작약을 사용한다. 상기 증진되는 생리학적 효과에는 식욕촉진, 소화기능 촉진 및 장내 유해세균의 증식 억제 활성 등이 포함되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동물 특히, 소에 있어서 유방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증진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진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의 이러한 생리학적 활성은 천연재료의 혐기적 발효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다양한 대사 산물의 생성, 예를 들면, 1차 대사산물, 2차 대사산물 및 기타 생리활성 물질의 생성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수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혼합물의 2~8배의 물에 첨가하고 80~120℃에서 24~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열수 추출 단계에 있어서, "열수 추출"이란 높은 온도의 물 중에서 천연 재료 혼합물을 반응시켜 물 중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열수 추출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당업자가 온도, 압력 및 시간 등의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일 수 있으나,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압력은 0.2 내지 0.5기압일 수 있고, 상기 반응 시간은 반응온도 및 압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지에 상기 열수 추출액 대비 포도당 1~3중량% 및 탈지분 유 0.5~1.5중량%를 더 첨가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지는 열수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당업계에서 효모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최소 배지 및/또는 영양 배지가 더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혐기적 배양 단계는 산소 농도 0~0.5ppm인 조건에서 25~29℃에서 배양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혐기적 배양 단계는 미호기성에서 출발하여 완전혐기성 상태로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산소 농도는 초기 미호기적 단계, 즉 용존산소가 약 0.2-0.5ppm에서 효모 균주(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약 1.0-2.5x107CFU/ml 수준으로 접종한다. 효모 균주 접종 후 2~3 시간 후면 완전혐기성 상태(용존산소 0ppm)로 진행되며 그 이후 72시간 이상 동안 1차 알코올발효를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pH는 약 4.5~5.0까지 떨어진다. 이때 발효온도는 25~29℃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루스(L.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터리(L. reuteri), 및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다.
Figure 112007082485176-pat00001
Figure 112007082485176-pat00002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 실러스 에시도필루스(L.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터리(L. reuteri), 및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혐기적 배양물에 유당을 상기 혐기적 배양물에 대하여 1~5중량%로 첨가하고, 유산균을 접종하고 24~48 시간 동안 젖산발효를 수행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 배양 단계는 유산균 배양물의 pH가 3.2~3.5가 될 때까지 진행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1차 알코올 발효를 거친 발효산물의 pH를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여 6.0으로 맞추고 유당을 약 3%를 첨가하고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을 균체 농도를 약 2.5~5.0x107CFU/ml 수준으로 접종하여 유산발효를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pH가 3.2~3.5 사이가 되었을 때까지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발효온도는 23-25℃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부형제에 대하여 20~40중량%인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형제는 단백피, 대두분 및 옥태말분을 1:1:1의 비율로 혼합한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단백피는 옥수수의 내, 외피를 주성분으로 옥수수 침지수(CSL: corn steep liquor)를 첨가한 것으로, 단백질이 18% 이상 함유된 농후한 특유의 향을 가진 제품으로써 젖소용 사료 또는 단미 사료를 말하며, 옥태말분은 옥수수를 파쇄한 것으로 거친 가루 형태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 첨가제는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의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 30중량%의 미역귀 분말, 10중량%의 녹차가루 및 10중량%의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사료 첨가제에 천연색소인 아스타산틴(Astaxanthin)이 생성된다. 아스타산틴(Astaxanthin)은 토코페롤(비타민 E)보다 550배에서 최대 1000배의 항산화효과를 지닌 천연 카로티노이드로서, 각종 질병의 근원이 되는 체내의 유해 산소를 제거해주는 항산화 물질로서, 항산화 효과에 의한 노화 방지, 면역력의 증진, 자외선에 의한 눈, 피부 및 중추신경계 손상 억제, 헬리코박터의 감염 치료, 심혈관 질환 이나 당뇨병의 예방, 치매나 암 예방, 시력의 향상, 항염증작용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부형제에 대하여 5~10중량%로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의 기능성 조성물 및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 미역귀 분말, 녹차가루 및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의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 30중량%의 미역귀 분말, 10중량%의 녹차가루 및 10중량%의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로 이루어지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5~10중량%로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 첨가제는 0.005~0.05중량%의 천연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감미제는 스테비오사이드인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의 기능성 조성물을 부형제에 분사하여 흡착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액상의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적당한 양, 예를 들면, 부형제에 대하여 30중량%를 첨가하고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수분이 10-12%가 될 때까지 자연건조를 시키거나,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 건조는 예를 들면, 약 45~50℃에서 12~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단백피(옥수수의 내, 외피를 주성분으로 옥수수 침지수(CSL: corn steep liquor)를 첨가한 것으로, 단백질이 18% 이상 함유된 농후한 특유의 향을 가진 제품으로써 젖소용 사료 또는 단미 사료); 대두분 및 옥태말분(옥수수를 파쇄한 것으로 거친 가루 형태)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부형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중량부가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료첨가제 제조 방법은 상기 건조된 사료 첨가제를 20~7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 사료 첨가제에 있어서, 0.005 내지 0.05중량부의 천연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상 감미제는 스테비오사이드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식욕촉진, 우유량 증가 및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생리적 활성을 갖는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에 의하면, 동물에 급여하는 경우, 식욕촉진, 우유량 증가 및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유방염 예방 활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가지 천연재료 혼합물 유래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백작약(4중량%), 산약(15중량%), 포공영(5중량%), 노근(4중량%), 당귀(22중량%), 감초(12중량%), 향부자(6.6중량%), 천궁(6중량%), 숙지황(12중량%), 목단피(6중량%), 황백(5중량%) 및 울금(2.4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비하여 5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고온 고압 추출기에서 80℃~90℃에서 48시간 열수 감압 추출하였다. 이때 상기 12개 천연재료 혼합물의 총 중량은 100kg이며 물을 500리터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결과 열수 추출액 약 350 L가 얻어졌다.
다음으로, 상기 열수 추출액을 멸균처리된 500리터 미생물 발효탱크로 이송하고 포도당 7kg 및 탈지분유 3.5kg를 첨가하고, 발효 온도를 약 28℃가 될 때까지 냉각시켰다. 냉각된 열수 추출액에, 혐기적 조건(DO 0.2-0.5 ppm)하에서 효모 균주 (Saccharomyces cerevisiae)를 2.5x107CFU/ml 수준으로 접종하여 72시간 동안 1차 교반을 하지 않으면서 배양하여,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1차 발효가 끝난 후에 유당을 상기 열수 추출액 총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첨가하고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2.5x107CFU/ml 수준으로 접종하여 72시간 동안 교반하지 않으면서 배양하여, 2차 젖산 발효과정을 진행하고 pH가 3.5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완전 숙성 발효과정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분말 사료 첨가제의 제조
다음으로, 사료원료로 사용되는 단백피, 대두분 및 옥태말분을 동일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부형제로 하고, 여기에 부형제 중량대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산균 발효액 30 중량%를 분무 분사하여 흡착시킨 후 자연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사료 첨가제에 추가적으로,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50중량%), 미역귀 분말(30중량%), 녹차가루(10중량%) 및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 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10중량%)로 구성되는 제2 천연재료 혼합물을 부형제 중량의 10중량%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 파쇄기에 넣고 약 50 메쉬 정도로 파쇄한 후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액상 사료 첨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천연재료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액에 상기 제2 천연재료 혼합물을 상기 유산균 발효액 총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및 천연 감미제의 스테비오사이드 0.01 중량% 혼합한 후 포장하였다.
<실시예 4> 분말 및 액상 사료 첨가제의 효과의 확인
상기 실시에 2에서 제조된 사료 첨가제를 준임상형 이환우 각각 5두의 젖소에 3주 동안 배합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액상 첨가제를 임상형 유방염 이환우 각각 3두의 젖소에 5일 동안 먹이고 3주 동안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첨가제를 배합사료에 혼합 급여하였다.
상기 사료 첨가제의 급여에 따른 유량 및 우유 중의 체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표 1] 유방염 이환우에 사료 첨가제 급여에 따른 유량 변화
구분 유량(㎏) 증감(%) 비고
급여 전 급여 후
임상형 유방염(3두) 60.3 64.2 6.5 액상병행
준임상형 유방염(5두) 140.3 153.1 9.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량은 급여 전에 비해 각 6.5% 및 9.1% 증가하였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하는 동안 우유 중의 체세포 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체세포 수 측정은 우유 시료를 채취하고, 체세포 검사기(Foss 300, Denmar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은 임상형 유방염 이환우에 액상과 분말 첨가제를 같이 투여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세포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급여 4주 후에는 모두 50만 이하로 떨어졌다. 도 2는 준임상형 유방염 이환에 분말 첨가제를 3주간 급여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1두만 제외하고 4두 모두 10만~30만 이내로 체세포 수가 감소하였다.
도 1과 2에서, SCC는 우유 내 체세포를 나타내고, 숫자는 사용된 젖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액상 첨가제 700ml을 유방염 이환우에 매일 5일간 경구급여 시 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표 2. 유방염이환우에 대한 액상첨가제 급여시 감염분방 우유 CMT 변화
개체 명호 CMT
0일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A 2 2 2 2 1 1 0 0 0 0
B 2 1 1 1 T 0 0 0 0 0
C 2 1 T 1 1 T 0 0 0 0
D T 0 0 0 0 0 0 0 0 0
E 1 T 0 0 0 0 0 0 0 0
*CMT(California mastitis test): 감염분방 우유의 응집형태나 색깔을 검사표와 대조해서 0(-), T(±), 1(+), 2(++), 3(+++)으로 판정한다.
표 3. 유방염이환우에 대한 액상첨가제 급여시 혼합유 체세포 변화
개체 명호 체세포수(*103 cell/㎖)
0일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9일
A 1614 1781 2193 1369 1556 1208 1687 571
B 1739 1202 1011 653 559 412 474 860
C 623 593 254 233 386 409 207 336
D 1120 1210 854 629 447 412 342 142
상기 표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상첨가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임상형과 준임상형 유방염에 대해서도 염증완화 및 체세포감소 효과가 있는 것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혼합 급여하고 체세포 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젖소농가 첨가제 급여효과
목장명 급여량(g) 두수(두) 체세포수 변화(만/㎖) 급여기간(주) 비고
급여 전 급여 후
B 50 35 20~40 15 6 2→1등급
S 30 40 30 10 8 2→1등급
Sa 50 37 35 8 10 2→1등급
D 60 58 100 18 12 4→1등급
K 60 28 20~30 10~15 8 2→1등급
J 50 19 30 10 16 2→1등급
Do 40 29 30 15 8 2→1등급
246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혼합 급여한 결과 체세포가 향상되었다. 실제 농가 대상으로 급여한 시험 결과 전국적으로 총 7개 농장(공시두수 총 46두)의 벌크 유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급여 전 4등급 목장이 1등급 목장으로(1/7), 2등급 목장에서 1등급 목장(6/7)으로 유질이 개선되어 본 첨가제를 급여한 목장은 획기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농장별로 산유량 증가(0.5~1.0kg)와 유방염 발생감소 및 치료효과 개선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임상형 유방염 이환우에 급여하는 동안 우유의 체세포 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준임상형 유방염 이환우에 급여하는 동안 우유 중의 체세포 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1)

  1. 당귀, 산약, 감초, 숙지황, 향부자, 천궁, 목단피, 포공영, 노근, 백작약, 울금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배지에 효모를 접종하여 혐기적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당귀 22중량%, 산약 15중량%, 감초 12중량%, 숙지황 12중량%, 향부자 6.6중량%, 천궁 6중량%, 목단피 6중량%, 포공영 5중량%, 노근 4중량%, 백작약 4중량%, 울금 2.4중량% 및 황백 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혼합물의 2~8배의 물에 첨가하고 80~120℃에서 24~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에 상기 열수 추출액 대비 포도당 1~3중량% 및 탈지분유 0.5~1.5중량%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적 배양 단계는 산소 농도 0~0.5ppm, 온도 25~29℃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루스(L.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사케(L. sake), 락토바실러스 류터리(L. reuteri), 및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 lac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양 단계는 상기 혐기적 배양물에 유당을 상기 혐기적 배양물 에 대하여 1~5중량%로 첨가하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24~48시간 동안 젖산 발효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양 단계는 유산균 배양물의 pH가 3.2~3.5가 될 때까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1항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부형제에 대하여 20~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단백피, 대두분 및 옥태말분을 1:1:1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의 알로에 베라 건조 분 말, 30중량%의 미역귀 분말, 10중량%의 녹차가루 및 10중량%의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부형제에 대하여 5~1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5.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액상의 기능성 조성물; 및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 미역귀 분말, 녹차가루 및 헤마토코커스 프루바이알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의 알로에 베라 건조 분말, 30중량%의 미역귀 분말, 10중량%의 녹차가루 및 10중량%의 미세조류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5~1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0.005~0.05중량%의 천연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제는 스테비오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20.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액상의 기능성 조성물을 부형제에 분사하여 흡착시킨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 제조 방법은 상기 건조된 사료 첨가제를 20~7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KR1020070117413A 2007-11-16 2007-11-16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10088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13A KR100880915B1 (ko) 2007-11-16 2007-11-16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13A KR100880915B1 (ko) 2007-11-16 2007-11-16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915B1 true KR100880915B1 (ko) 2009-02-04

Family

ID=4068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13A KR100880915B1 (ko) 2007-11-16 2007-11-16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9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19B1 (ko) 2009-01-29 2011-04-08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반추위 증강 항균발효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130989B1 (ko) 2009-11-27 2012-04-23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168225B1 (ko)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197682B1 (ko) 2009-06-24 2012-11-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WO2012165843A3 (ko) * 2011-05-30 2013-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918449A (zh) * 2014-04-22 2014-07-16 威信县恒发森林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黄柏重楼套种的立体栽培方法
KR101479105B1 (ko) 2012-07-27 2015-01-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동시 중온 추출 및 발효 공정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735759B1 (ko) * 2015-05-20 2017-05-16 안동봉화축산업협동조합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KR101776277B1 (ko) 2016-06-22 2017-09-11 주식회사 케이바이오스 동물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동물사료용 조성물
KR20180019279A (ko) * 2016-08-16 2018-02-26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발효미역귀 조성물을 이용한 유산균발효미역귀 즉석국수
KR101949481B1 (ko) 2018-05-04 2019-05-02 (주)케이앤씨바이오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429B1 (ko) * 2020-07-21 2021-04-16 전성원 인삼 및 두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036A (ja) 1983-03-29 1984-10-1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緑色植物を原料とする蛋白飼料製造方法
KR100350093B1 (en) 2002-03-29 2002-08-24 Jewoo Corp Feed additive for increas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red fish and promotion of the growth thereof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medicin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87732B1 (ko) 2003-02-13 2005-05-06 황성규 사료첨가제가 함유된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30773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036A (ja) 1983-03-29 1984-10-1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緑色植物を原料とする蛋白飼料製造方法
KR100350093B1 (en) 2002-03-29 2002-08-24 Jewoo Corp Feed additive for increas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red fish and promotion of the growth thereof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medicin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87732B1 (ko) 2003-02-13 2005-05-06 황성규 사료첨가제가 함유된 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30773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19B1 (ko) 2009-01-29 2011-04-08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반추위 증강 항균발효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197682B1 (ko) 2009-06-24 2012-11-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사료첨가제 및 녹차발효생균제의 제조방법
KR101130989B1 (ko) 2009-11-27 2012-04-23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WO2012165843A3 (ko) * 2011-05-30 2013-03-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125932B2 (en) 2011-05-30 2015-09-0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extracts or fermented products thereof having lactic acid bacteria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KR101168225B1 (ko)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479105B1 (ko) 2012-07-27 2015-01-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동시 중온 추출 및 발효 공정을 이용한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CN103918449A (zh) * 2014-04-22 2014-07-16 威信县恒发森林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黄柏重楼套种的立体栽培方法
CN103918449B (zh) * 2014-04-22 2016-07-06 威信县恒发森林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黄柏重楼套种的立体栽培方法
KR101735759B1 (ko) * 2015-05-20 2017-05-16 안동봉화축산업협동조합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KR101776277B1 (ko) 2016-06-22 2017-09-11 주식회사 케이바이오스 동물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동물사료용 조성물
KR20180019279A (ko) * 2016-08-16 2018-02-26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발효미역귀 조성물을 이용한 유산균발효미역귀 즉석국수
KR101949481B1 (ko) 2018-05-04 2019-05-02 (주)케이앤씨바이오 사료섭취 증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429B1 (ko) * 2020-07-21 2021-04-16 전성원 인삼 및 두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915B1 (ko)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CN105053637A (zh) 一种含有猪肠粘膜蛋白的仔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704623B (zh) 一种玛卡发酵营养食品
CN111820407A (zh) 一种抗幽门螺旋杆菌组合物及其应用
CN111655048B (zh) 抹竹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30042322A (ko)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사포닌을 함유한 계란의 생산방법
KR101776277B1 (ko) 동물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동물사료용 조성물
CN110279033A (zh) 一种啤酒花提取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141702A (zh) 一种可有效防治猪流行性腹泻的中草药提取物饲料添加剂
CN110637942A (zh) 一种富含氨基酸鸡蛋的蛋鸡预混料及生产方法和应用
CN104397465B (zh) 具有促进母猪泌乳作用的中药散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426501B (zh) 用于犊牛促生长及预防腹泻的中药微生态制剂及制备方法
CN104782941A (zh) 一种奶牛饲料的制备方法
KR100872134B1 (ko) 살균 및 항균 효능이 증진된 가축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744410A (zh) 一种保肝护肠的金鲳鱼育肥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283959A (zh) 一种中草药超微粉饲料添加剂及其在养殖中的应用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2970976A (zh) 改善肠道健康的鳗鲡用促生长饲料添加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391466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3424A (ko)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943679A (zh) 一种家禽用中药益生菌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918658A (zh) 一种治疗腹泻的羊饲料
WO2008124994A1 (fr) Additif alimentaire de protection de l&#39;environnement pour volailles et animaux domestiques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CN109699819A (zh) 一种天然无化学添加的肉牛饲料添加剂
KR20030068748A (ko) 노화 지연 및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성 천연산물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