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773A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773A
KR20080030773A KR1020060097065A KR20060097065A KR20080030773A KR 20080030773 A KR20080030773 A KR 20080030773A KR 1020060097065 A KR1020060097065 A KR 1020060097065A KR 20060097065 A KR20060097065 A KR 20060097065A KR 20080030773 A KR20080030773 A KR 2008003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herbal
herbal medicine
wrinkle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274B1 (ko
Inventor
송영숙
김형만
최재환
박선규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09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7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모 또는 유산균에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고, 항산화능,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고 매우 안전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피부주름 개선, 한약재 발효 추출물

Description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고, 항산화능,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고 매우 안전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아름다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마음, 즉 아름다움을 가꾸고 젊음을 유지하려는 욕망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능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피부미용이라는 용어가 탄생하였고 그 역사 또한 오래 되었으며, 피부미용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본능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려는 피부보호라는 두 가지 개념이 중시되어 왔다.
피부미용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조선 시대의 피부미용은 단군신화에 나와 있듯이 쑥과 마늘을 이용하여 흰 피부에 대한 갈망을 해결하였고, 한반도 동북방 추운 지역에서 거주했던 읍루 사람들은 돼지기름을 이용하여 추위를 피해 피부를 보호하고 동상을 예방하였다고 하며, 말갈 사람들은 피부를 희게 가꾸기 위해 오줌으 로 세수를 하였다고 전해지며, 삼국시대에는 물감을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연분이 발달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에서는 백분으로 얼굴을 치장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오이꼭지, 꿀 등을 이용하여 미안수를 만들었고, 특히 "규합총서"에서 여러 가지 두발의 형태, 눈썹을 그리는 열 가지 방법, 갖가지 입술연지를 찍는 법 등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미모에 대한 가치기준을 영육일치사상에 두어 외면미와 더불어 내면미의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다. 특히 피부는 기혈과 경락을 통하여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장육부의 각 기혈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는 몸과 마음의 상태를 그대로 살필 수 있는 거울이며, 건강은 고운 피부, 윤택한 피부와 직결한다고 보았다.
최근 화장품 분야에도 한약재의 사용이 두드러져 보습력과 노화방지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후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한약재 추출물들을 사용한 한약재 조성물들은 원하는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등의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이러한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성이 높지 않았다.
한편, 발효액 추출물은 다른 어떠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한약재 속에 있는 당성분이 알콜로 변화하여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쳐 한약재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훨씬 뛰어난 주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통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정하고, 주름개선 효과가 극대화된 새로운 피부 노화 방지제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고, 항산화능,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고 매우 안전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모 또는 유산균에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한약재를 발효시켜 수득한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한 결과, 한약재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주름 방지 효과가 탁월해지며, 사람의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효모 또는 유산균에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 Torulopsis sp., Rhodotorula sp., 또는 Candid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Leuconostoc sp., 또는 Bifidobacteri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모 또는 유산균에 첨가되는 상기 한약재는 녹용, 당귀, 사향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한약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 당귀, 사향초, 및 산수유를 0.5 내지 3.0 : 0.2 내지 6.0 : 0.05 내지 0.5 : 0.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녹용(Cervi Pantotrichum Cornu)은 사슴과에 속한 동물인 매화록(Cervus Nippon) 또는 마록(C. elaphus L.) 및 동속 근연동물의 미골화된 어린 뿔을 잘라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양기를 북돋우며 기혈을 보하고 골수를 증가시키며 근골을 강하게 한다고 하며,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조혈촉진, 면역증강, 항노화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보혈, 활혈조경, 윤장통변 등의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며,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조혈촉진, 면역증가, 진통, 소염, 항균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산수유(Corm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 열매의 육질을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간과 신장을 보하며 수렵고삽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며,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면역기능조절, 혈당강하, 소염, 항균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사향초(Thymus vulgaris)는 꿀풀과에 속하는 상록소관목인 백리향 및 동소식물의 전초를 건조한 것으로 본초강목에서는 소화기를 따뜻하게 해주고 통증을 멎게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며,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진해, 거담, 구충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한약재들은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한 가루 상태나 물, 알코올, 에틸에테르 등의 용매에서 5∼4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 분리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들을 효모 또는 유산균에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약재들은 기본 배지에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배양한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배양시간은 30 내지 12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배양한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배양시간은 24 내지 96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증식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증대 효과, 주름개선 효과, 및 피부 자극성이 우수하고, 비자극성이면서 활성도가 뛰어난 주름개선 효과 지속성에 기이하여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한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
건조된 녹용, 당귀, 사향초, 및 산수유를 3.0: 3.0: 0.2: 3.0의 중량비로 세절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분쇄, 교반하여 미세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분말화된 생약을 다시 오토마이저(Atomizer, USA)로 분쇄하여 스크린(파이 0.8 ㎜, ROUND HALL)에 통과시켰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직경 0.3 ㎜의 스크린(ROUND HALL)에 통과시키고, 체(타일로 표준체, 200 메쉬)로 걸러 초미립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생약 분말을 1.5 L의 정제수에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무기염류, 미량영양성분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적절한 pH(5.0∼7.5)로 맞추었다.
상기 배양 배지에 Sacchromyces cerevisiae를 106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접종하고,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10,000 × 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한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한약재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비율의 녹용, 당구, 사향초, 및 산수유를 건조하여 세절한 후, 추출 용매로 증류수를 넣어 한약재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추출하였다. 이를 3 일간 냉침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 필터로 여과하고, 살 균효과를 위해 3 일간 UV 자외선을 쪼여 최종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능)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에 대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Blois, M.S. Nature 181, 1190(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 mM의 농도로 메틸 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1∼100 ㎍/mL의 농도별로 제조하여 96 웰 플렛(well plate)의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기에 DPPH 용액을 100 ㎕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Micro plate reader(BioTek EL-340)를 이용하여 517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 대신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을 넣은 것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비교예 1의 한약재 추출물과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라겐 합성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 측정은 PO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의 최종농도가 각각 10 중량%, 5 중량%, 1 중량%, 0.5 중량%, 0.01 중량%, 0.005 중량%가 되도록 하여 각각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E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타민 C를 첨가한 배양액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실험값은 6 회 반복하여 실시한 평균값이다.
구분 콜라겐 합성 증가율 (%)
대조군 (무혈청 배지) 100
비타민 C (최종농도 52.8 ㎍/mL) 130.4
실시예 1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 % 155
5 % 147
1 % 139
0.5 % 117
0.01 % 109
0.005 % 102
비교예 1의 한약재 추출물 10 % 128
5 % 124
1 % 119
0.5 % 107
0.01 % 101
0.005 % 1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세포증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섬유아 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10 중량%, 5 중량%, 0.5 중량%, 0.01 중량%, 및 0.005 중량%의 농도로 2 일간 적용하고, MTT 시험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증식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혈청(serum) 1 %를 부가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2 일후 세포증식율 (%)
대조군 (무혈청 배지) 100
serum 1 % 176
실시예 1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 % 156
5 % 145
1 % 122
0.5 % 110
0.01 % 105
0.005 % 101
비교예 1의 한약재 추출물 10 % 127
5 % 119
1 % 110
0.5 % 101
0.01 % 100
0.005 % 1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비교예 1의 한약재 추출물보다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2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및 3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배합하였다. 한편, 비교예 2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시료이고, 비교예 3은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시료로,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 rpm 조건하에서 10 분간 유화시킨 후 30 ℃까지 냉각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15
진한 글리세린 6 6 6 6
프로필렌글리콜 4 4 4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 5.0 - -
한약재 추출물 - - - 5.0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2 1 1 1 1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5 5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3 5 5 5 5
스쿠알란 5 5 5 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주]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카보폴 941(Carbopol 941) 1 중량% 수용액 2.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 영국 아이시아이(ICI)사이 아라셀 60(Arlacel 60) 3.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 일본 니혼 고쿄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아이시이에이치(ICEH)
(주름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2 내지 3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물을 건강한 35∼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5∼50 세까지의 여성 30 명을 15 명씩 2 개의 군으로 나누어 그룹 1은 오른쪽 눈가에는 비교예 2를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2를, 그룹 2는 오른쪽 눈가에는 비교예 3을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3을 안면부에 1 일 2 회씩 3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개월 후 주름의 개선정도를 피시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시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2 9 1 0
실시예 3 1 7 2
비교예 2 4 6 0
비교예 3 1 5 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독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시험법(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SLS(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안정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료 IC50 (%, w/v)
SLS 0.005
스쿠알란 0.05
한약재 발효 추출물 10.00
한약재 추출물 1.00
[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 50 %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IC50 값은 10.00 %로 SLS에 비하여 2,000 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났고, 안전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에 비해서도 200 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1의 한약재 추출물에 비해서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러지 테스트(LLNA))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반매개물로 아세톤:올리브오일(4:1)을 사용하는 실험법(Kimber I(1990): Identification of contact allergens using the murine local lymph node assay, J. Appl. Toxicol. 10(3) ; 173-180)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 40 중량%, 60 중량% 용액으로 제조하여, 생쥐(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준 후, 쥐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든 후,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β-신틸레이션 계수기(Beckman LS 6000 TA, USA)를 이용하여 평균(cmp) 및 세포의 증폭도(dpm, disintegrations per minute)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임파절세포 수 (107 세포/mL) cmp (평균) 증폭도
아세톤:올리브오일(4:1) 1.70 2870 운반매개물
한약재 발효 추출물 20 % 1.71 2296 0.8
한약재 발효 추출물 40 % 2.04 3157 1.1
한약재 발효 추출물 60 % 3.23 4592 1.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은 증폭도가 2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의 피부자극성 시험을 위하여, 기니아 피그(Guinea Pig)를 이용한 첩포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 [참고 문헌: ① Draize, J.H.(1959) : Dermal toxicity.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pp46-59, Texas State Dept of Health, Austin, Texas. ② Federal Register(1973) :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 pp1500-1541) 시료는 여러 농도로 증류수로 희석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시료 도포 부위(등)의 털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헤 24 시간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그 다음, 시료 도포 부위를 설정(1.5 ㎝ × 1.5 ㎝)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약재 추출물 각각 0.1 중량%, 5.0 중량%, 50.0 중량%와 가아제를 적용한 후, 시료의 증발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재질의 박지로 밀봉하고, 탄력 붕대로 48 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48 시간 동안 고정한 후, 폐쇄첩포를 제거하고, 2 시간, 24 시간(첩포 후 48 시간, 72 시간)째 자극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구분 자극지수 (PII*) 자극도
대조군 0.47 미세자극
한약재 발효 추출물 0.1 % 0.45 미세자극
5.0 % 0.50 미세자극
50.0% 0.50 미세자극
한약재 추출물 0.1 % 0.51 미세자극
5.0 % 0.68 미세자극
50.0 % 0.86 미세자극
[주] * PII -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Index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약재 발표 추출물은 매우 안전하며, 한약재 추출물보다도 더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고, 항산화능,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단시간 내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고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7)

  1. 효모 또는 유산균에 한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가 녹용, 당귀, 사향초, 및 산수유를 0.5 내지 3.0 : 0.2 내지 6 : 0.05 내지 0.5 : 0.5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가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 Torulopsis sp., Rhodotorula sp., 및 Candid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Leuconostoc sp., 및 Bifidobacteri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발효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97065A 2006-10-02 2006-10-02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065A KR101292274B1 (ko) 2006-10-02 2006-10-02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065A KR101292274B1 (ko) 2006-10-02 2006-10-02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773A true KR20080030773A (ko) 2008-04-07
KR101292274B1 KR101292274B1 (ko) 2013-08-01

Family

ID=3953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065A KR101292274B1 (ko) 2006-10-02 2006-10-02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2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15B1 (ko) * 2007-11-16 2009-02-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20150047070A (ko) * 2013-10-22 2015-05-04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식품 유래 화장품용 균주
KR20190101916A (ko) * 2019-03-11 2019-09-02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086781A (ko) * 2019-01-09 2020-07-20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CN113329732A (zh) * 2020-01-23 2021-08-31 株式会社Sd生命工学 乳酸菌发酵麝香草提取物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特应性皮炎及皮肤皱纹的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515A (ko) 2022-04-18 2023-10-25 박노면 천연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1593A1 (en) 2001-03-02 2004-05-27 Nobutaka Suzuki Preventives or remedies for tumor of human papillomaviral disease
KR100954985B1 (ko) * 2003-01-21 2010-04-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15B1 (ko) * 2007-11-16 2009-02-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20150047070A (ko) * 2013-10-22 2015-05-04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식품 유래 화장품용 균주
KR20200086781A (ko) * 2019-01-09 2020-07-20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190101916A (ko) * 2019-03-11 2019-09-02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및 항염증용 조성물
CN113329732A (zh) * 2020-01-23 2021-08-31 株式会社Sd生命工学 乳酸菌发酵麝香草提取物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特应性皮炎及皮肤皱纹的组合物
CN113329732B (zh) * 2020-01-23 2023-02-10 株式会社Sd生命工学 乳酸菌发酵麝香草提取物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特应性皮炎及皮肤皱纹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274B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4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694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14594B1 (ko)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432175B2 (ja) 細胞増殖促進化粧料
JPH1029924A (ja) 抗老化剤
CN115414308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08942A (ko)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7446A (ko)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733243B1 (ko) 한약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한약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68397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10840799A (zh) 一种美白保湿抑菌防蚊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1008954B1 (ko)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
KR100983076B1 (ko)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95932B1 (ko)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