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781A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781A
KR20200086781A KR1020190002770A KR20190002770A KR20200086781A KR 20200086781 A KR20200086781 A KR 20200086781A KR 1020190002770 A KR1020190002770 A KR 1020190002770A KR 20190002770 A KR20190002770 A KR 20190002770A KR 20200086781 A KR20200086781 A KR 2020008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angelica extract
fermented angelica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607B1 (ko
Inventor
옥민
안희영
김범구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민 filed Critical 옥민
Priority to KR102019000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효 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에 안전하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지식과 인식 수준의 상승으로 새로운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뷰티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방 및 발효 화장품은 이미 세계적인 트렌드가 된 웰빙, 자연주의를 지향하며 자연 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동양적 정서가 함께 적용하면서 화장품 기업들 대부분이 유통별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을 만큼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화장품 제조 원료는 합성 화합물이 주를 이루었으나, 천연,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확대로 고부가가치 원료 사용이 증가하면서 국내 화장품 원료 시장 또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화장품 산업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진출, 기능성 화장품 및 천연 식물성 화장품의 개발 등에 힘입어 무역흑자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 중 78% 정도가 수입원료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능성이 강화된 제품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를 포함한 각 연구기관 및 기업에서는 천연 생리활성 효능를 가진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든 생물체들은 생체 내 생화학 반응 및 환경적 인자에 의해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며,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증가된 상태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켜 세포내 단백질 및 지질성분 등이 기능적으로 손상될 수 있고 노화, 심장병, 당뇨병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구성 성분의 산화적 손상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는 천연 항산화 물질 및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 따라 재배하여 생약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당귀는 중국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 일본당귀(Angelica sinensis Diels)와 구분되고 있다. 당귀는 예로부터 약성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무독하여 부작용이 없는 생약재로서 질병치료와 건강증진 목적으로 사용해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약재이다. 국내에 재배되고 있는 당귀의 약효성분으로는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안젤레이트(angelate), 노다케네틴(nodakenetin), 노다케닌 (nodakenin), 움펠리페론(umbelliferone),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α-피넨(α-pinene), 리모넨(limon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당귀의 주요 성분인 쿠마린(Coumarine) 유도체 중에서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는 가장 풍부한 구성요소로, 항균, 혈관형성 억제, 항암 등의 약리적인 효과가 알려져 있다.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사용되고 있는 당귀, 뽕잎과 같은 식물 추출물은 우수한 생리활성 효능이 있지만, 그 자체가 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최근에 미생물 또는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킴으로서 추출물이 가진 독성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발효에 의해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거나 기존의 생리활성 물질이 다른 물질로 전환되어 처음과는 다른 효능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성 향상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404168호에는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70143호에는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당귀(Angelica gigas) 분말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열수 추출하여 발효 당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제조된 발효 당귀 추출물이 발효되지 않은 당귀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및 염증 유발인자인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당귀 추출물은 천연 유래의 물질로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 또는 치료제, 염증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발효 당귀 추출물(NF), 0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0),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3) 내의 단당류 및 다당류 함량을 분석한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layer chromatography, TLC) 결과이다. STD(standard); 말토올리고당(standard malto-oligosaccharide, G1-G7), G1; 글루코오스(glucose), G2; 말토오스(maltose), G3;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G4; 말토테트라오스(maltotetraose), G5; 말토펜타오스(maltopentaose), G6; 말토헥사오스(maltohexaose) 및 G7;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 NF;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하지 않은 당귀 분말의 추출물, F/0; 비발효 당귀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를 혼합한 후 바로 추출한 추출물.
도 2는 비발효 당귀 추출물(NF), 0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0), 1~5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1, F/2, F/3, F/4, F/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한 결과이다. BHT(butylated hydroxytoluene 0.05%); 양성대조군.
도 3은 비발효 당귀 추출물(NF), 0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0),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3)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을 측정한 결과이다. Arbutin(0.05%); 양성대조군.
도 4는 비발효 당귀 추출물(NF), 0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0),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F/3)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lipoxygenase inhibition activity)을 측정한 결과이다. indomethacin(0.05%); 양성대조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 당귀는 당귀 분말에 효모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당귀(Angelica gigas) 분말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고 2~4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발효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당귀 추출물은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생성이 감소되어, 항산화 및 미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 활성이 증가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hyperpigmentation)'은 피부 또는 손·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검게 또는 어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효 당귀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발효 당귀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를 들어, 사과, 배,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저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 활성이 증가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염증유발 인자인 리폭시게나아제(lipoxugenase)의 저해 활성이 증가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항염증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효 당귀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유발 인자인 리폭시게나아제(lipoxugenase)의 저해 활성이 증가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발효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당귀(Angelica gigas)는 제천황기연합 영농조합법인(충청북도 제천시)에서 구입한 후 당귀 뿌리를 건조시켜 시료로 사용하였다. 발효 균주는 효모의 일종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M1(KCTC 10121BP)를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 Yeast Malt broth(Difco) 배지에서 전배양 시킨 균주를 당귀 분말에 1:1 중량 비율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발효시키고 60℃에서 8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2. 발효 당귀의 추출 조건 및 수율
수용성 추출물은 발효 처리되지 않은 당귀 및 발효된 당귀의 건조 분말 500g에 각각 2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을 모아 Whatman No.1 여과지 (Toyo 2A; Toyo Roshi, 일본)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Buchi Rotavapor R-215, Flawil, 스위스)로 40℃에서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동결건조기(Eyela FUD-2100, Tokyo Rikakikai Co., 일본)로 동결건조시켜 추출 수율(%)을 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발효 처리되지 않은 당귀(NF)의 추출물, 발효 0일차(F/0) 당귀의 추출물 및 발효 3일차(F/3) 당귀의 추출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발효 0일차 당귀의 추출물은 비발효 당귀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한 후 바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3. 가용성 고형물(° Brix )과 pH
가용성 고형물은 각 추출물 시료를 1.5㎖ 취하고 2,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당도계(ATAGO, PR-10,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H는 pH meter(Satrious, PB-101, 독일)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4.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 내의 다당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플레이트(25 DC-Alufolien Kieselgel 60, Merck Co., Ltd.) 상에 상기 추출물들을 점적하고 전개용매인 1-부탄올/에탄올/물(5:5:3)로 전개시킨 후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완전히 건조시키고 메탄올에 3% 황산을 첨가하여 만든 발색용액을 살포한 다음 100℃ 이상의 뜨거운 플레이트 위에 놓고 10분간 가열하였다. 이때 사용한 표준물질은 표준 말토올리고당(standard malto-oligosaccharide; G1-G7)으로, G1, G2, G3, G4, G5, G6 및 G7은 각각 글루코오스(glucose), 말토오스(maltose),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말토테트라오스(maltotetraose), 말토펜타오스(maltopentaose), 말토헥사오스(maltohexaose) 및 말토헵타오스(maltoheptaose)이다.
5. 페놀성 화합물 함량 측정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인몰리브덴산(phosphomolybdic acid)과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원리를 이용한 폴린-데니스(Folin-Denis)법으로 측정하였다. 0.1%(w/v) 시료 용액 0.5㎖에 Folin-ciocalteu의 페놀 용액 2.5㎖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5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정확히 5분간 반응시킨 후 7.5% 탄산나트륨(Na2CO3) 2㎖을 가하여 혼합하고 50℃에서 5분간 발색시킨 다음 분광광도계(Hitachi U-2900, Hitachi High-Technologies Co., 일본)를 이용하여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탄닌산(tannic acid)을 0~500 ㎍/㎖ 농도로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6.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0.1%(w/v) 시료 용액 0.25 ㎖에 정제수 1.25㎖과 5% 아질산나트륨(NaNO2) 용액 5㎖을 가하고, 5분 후 10% 염화알루미늄·6수화물(AlCl3·6H2O) 0.15㎖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 물질로서 (+)-카테킨 하이드레이트(catechin hydrate)을 20~200㎍/㎖ 농도로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7. 미네랄 함량 측정
당귀의 잎 및 줄기 혼합물과 뿌리 건조 분말의 미네랄 함량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분석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건조 분말 1g을 정확히 취해 각각 550℃ 회화로에서 3시간 동안 회화시킨 후 6N 염산(HCl)에 용해시켜 완전히 산분해시키고 수욕상에서 산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상기 건고물에 3N 염산를 가하여 여과하고 원소 종류에 따라 각각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원자흡광 분광광도계(Analyst 300, Perkin Elmer, Norwalk CT,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데커신 ( decursin )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 decursinol angelate ) 함량 측정
발효 처리되지 않은 당귀 또는 발효 당귀의 건조 분말의 중량 대비 20배에 해당하는 95% 에탄올로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한 후 Sartorius Minisart 0.45 μm 필터(Sartorius Stedim, 독일)로 여과하고 진공농축기(Buchi Rotavapor R-215, Flawil, 스위스)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시료를 메탄올로 녹이고 Sartorius Minisart 0.2μm 필터로 여과시켜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메탄올에 녹인 시료는 HPLC(Agilent 1200, Agilent Technologies, 미국)를 이용하여, 칼럼은 Waters symmetry C18 컬럼(4.5×250mm, 5μm), 온도 25℃, 이동상 속도는 1㎖/분, UV 파장은 340nm, 분석 용매는 용매 A(정제수) 및 용매 B(아세토나이트릴, acetonitrile), 분석조건은 0~20분까지 용매 B 0~100%로 구배(gradient) 분석하였다(표 1).
HPLC 분석 조건
시간(분) 유속(㎖/분) 용매 A(%) 용매 B(%)
0 1.0 50 50
10 1.0 50 50
11 1.0 70 30
31 1.0 70 30
32 1.0 100 0
42 1.0 100 0
43 1.0 0 100
53 1.0 0 100
54 1.0 50 50
70 1.0 50 50
9. DPPH 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에탄올 100㎖에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16㎎을 녹이고 증류수 100㎖을 혼합한 후 Whatman 필터지 NO. 2에 여과시켜 DPPH 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발효 당귀 추출물 또는 발효 당귀 추출물을 1%의 농도로 만들어 1㎖를 취한 후 DPPH 반응 용액 5㎖을 넣어 혼합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기존에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BHT를 0.05% 농도로 첨가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 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1-(시료 흡광도528 nm)/대조구 흡광도528 nm]×100.
10.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활성 측정
in vitro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1.5㎖ 플라스틱 큐벳(plastic cuvette)에 2.5mM L-DOPA(3,4-dihydroxyphenylalanine) 0.3㎖, 1% 농도의 비발효 당귀 추출물 또는 발효 당귀 추출물 0.05㎖ 및 0.1M 인산완충용액(pH 6.8)을 혼합하여 25℃에서 반응시킨 후 1,380 units/㎖ 머쉬룸 티로시나아제(2,500 unit, Sigma Chemical Co., St. 미국) 0.05㎖을 넣고 25℃에서 2분간 반응시키면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구는 시료가 들어있지 않는 시료 용해 용액을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구는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0.6mM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Tyrosinase 활성 저해율(%)=100-[(A-B)/A] X 100(A;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의 0.5~1분 사이의 흡광도 차이, B; 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의 0.5~1분 사이의 흡광도 차이).
11. 리폭시게나아제 ( lipoxygenase ) 억제 활성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측정은 96-웰 코닝 플레이트(corning plate)에 1% 농도의 비발효 당귀 추출물 또는 발효 당귀 추출물 10㎕을 첨가하고 보레이트 완충액(borate buffer) 20㎕를 넣은 후 기질인 리놀렌산(linoleic acid)을 70㎕ 첨가하고 리폭시게나아제를 넣기 전 흡광도 값을 측정한 다음 리폭시게나아제 10㎕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2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 Sigma)을 0.05%(w/v)로 에탄올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12. 통계처리
상기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one-way ANOVA 검정에 의한 평균치와 표준편차(mean± SE)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발효 당귀 추출물의 수율, 가용성 고형분 및 pH
비발효 당귀의 추출물(이하, NF), 비발효 당귀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혼합한 후 바로 추출한 추출물(이하, F/0),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이하, F/3)의 수율, 가용성 고형분(soluble solids) 및 pH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율은 NF군이 87.62%, F/0군이 53%, F/3군이 54%로 나타났다. NF군이 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수율이 높았으나,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표 1), 이는 발효 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가 당귀의 영양소를 기반으로 증식하여 나타나는 환경적인 변화의 한 부분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가용성 고형분은 NF군이 1°Brix, F/0군에서 1.5°Brix로 발효 처리로 인해 당도가 다소 증가함을 보였으나, F/3군에서 0.9°Brix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는 발효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표 2).
수율, 가용성 고형분 및 pH
수율(%) 가용성 고형분(°Brix) pH
NF 87.62±0.12a 1.00±0.00a 5.18±0.00a
F/0 54.00±0.40b 1.50±0.02b 4.90±0.02b
F/3 66.67±0.37c 0.90±0.01a 6.22±0.01c
실시예 2. 발효 당귀 추출물의 단당류 및 다당류 함량 분석
말토올리고당(malto-oligosaccharides) 표준 물질 G1-G7(G1; 글루코오스, G2; 말토오스, G3; 말토트리오스, G4; 말토테트라오스, G5; 말토펜타오스, G6; 말토헥사오스, G7; 말토헵타오스)을 기준으로 비발효 당귀 분말 및 발효 당귀 분말의 10% 수용액을 TLC 플레이트에 전개시켜,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 내의 단당류 및 다당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NF군에서 진한 spot을 보인 G2가 F/0군에서 G1의 저분자 당 형태로 대부분 분해되었으나 F/3군에서 G3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이를 통해 당귀를 발효시킴에 따라 올리고당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발효 당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폴리페놀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카테킨(catechin), 탄닌(tannin)으로 크게 구분된다. 특히, 페놀성 화합물들은 전자공여능이 있어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NF군에서 67.66mg/100g, F/0군에서 60.71mg/100g, F/3군에서 93.61mg/100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F군에서 8.43mg/100g, F/0군에서 6.53mg/100g, F/3군에서 9.46mg/100g임을 확인하였다(표 3). 즉,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발효 당귀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mg/100g) 플라보노이드 함량(mg/100g)
NF 67.66±3.61a 8.43±0.13a
F/0 60.71±1.64b 6.53±0.88b
F/3 93.61±4.86c 9.46±0.35c
실시예 4. 발효 당귀 추출물의 미네랄 함량 분석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 내의 미네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NF, F/0 및 F/3군에서 칼륨(K)이 각각 2.67ppm, 2.61ppm 및 3.51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칼슘(Ca)은 각각 0.77ppm, 0.76ppm 및 0.89ppm으로, 철분(Fe)은 각각 0.43ppm, 0.59ppm 및 0.56ppm으로, 아연(Zn)은 각각 0.40ppm, 0.32ppm 및 0.35ppm으로, 망간(Mn)은 각각 0.39ppm, 0.38ppm 및 0.49 ppm으로, 마그네슘(Mg)은 각각 0.29ppm, 0.29ppm 및 0.37 ppm으로, 나트륨(Na)은 각각 0.16ppm, 0.22ppm 및 0.29ppm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즉,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발효 당귀 추출물에서 다양한 미네랄들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당귀 추출물에 함유된 K, Ca, Fe, Zn 등은 인체에 중요한 필수 미네랄 성분으로,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피부의 밸런스 유지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미네랄 함량
NF(ppm) F/0(ppm) F/3(ppm)
K 2.67±0.08a 2.61±0.09b 3.51±0.09c
Ca 0.77±0.05a 0.76±0.02a 0.89±0.07b
Fe 0.43±0.01a 0.59±0.01b 0.56±0.04c
Zn 0.40±0.02a 0.32±0.04b 0.35±0.04c
Mn 0.39±0.01a 0.38±0.03a 0.49±0.03b
Mg 0.29±0.03a 0.29±0.03a 0.37±0.04b
Na 0.16±0.04a 0.22±0.03b 0.27±0.05c
실시예 5. 발효 당귀 추출물의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 분석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 내에 당귀의 주요한 효능 물질인 데커신(decurcine)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에 해당하는 피크가 각각 보유시간 17.18분 및 17.51분대에 나타났으며, 이들의 함량은 NF군에서 각각 270.8ppm 및 276.1ppm, F/0군에서 각각 288.3ppm 및 302ppm, F/3군에서 각각 369.5ppm 및 398.0ppm이었고 특히, F/3군에서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5).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
보유시간(RT) 면적값(Area) 높이(height) 함량(ppm)
NF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7.180
17.513
8386522
8720421
649528
515035
270.856
276.117
F/0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7.169
17.500
9108256
9552622
712636
563264
288.306
302.624
F/3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7.185
17.517
11593135
12459208
899058
709015
369.531
398.032
실시예 6. 발효 당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구에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0.05%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NF군에서 41.89%, F/0군에서 39.51%로 서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3군에서 60.26%로 증가하였다. 4~5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에서도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되었지만,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에 비해서는 다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90.26%로 나타났다(도 2).
실시예 7. 발효 당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분석
멜라닌(melanin)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으로 인체에서는 표피층의 멜라닌세포(melanocyte) 내의 멜라노솜(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을 시발물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에 의해 DOPA(3,4-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 퀴논(quinone)으로 산화된 후 비효소적 반응과 자동 산화 과정을 거쳐 단백질 또는 그 구성 아미노산과 중합 반응을 통해 멜라닌이 합성된다. 이때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의 색을 검게하므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실험이 미백효과를 확인하는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양성대조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알부틴(Arbutin) 500μM를 처리하였다.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NF군에서 9.13%, F/0군에서 13.46%, F/3군에서 25.48%로 나타났다(도 3).
비발효 당귀 추출물에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비교적 적은 수치로 보였으나, 3일 발효된 당귀의 추출물에서 약 2.5배 증가하였고, 이는 당귀와 발효에 사용된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시너지 상승효과로, 미백 활성의 유효성분이 유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시예 8. 발효 당귀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분석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는 정상적인 세포에서는 발현이 미비하지만, 염증이 유발되면 류코트리엔(leukotrienes) 물질의 증가로 인해 활성을 나타낸다. 양성대조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0.05%를 처리하였다.
비발효 당귀 추출물 및 발효 당귀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NF군에서 17.62%, F/0군에서 18.83%으로 다소 미비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F/3군에서 37.35%로 약 2배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양성 대조군에서는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89.58%로 나타났다(도 4).
이를 통해, 한방 생약재 유래의 항염증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해서는 단순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미생물 또는 균사체로 발효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세포 독성 경감,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멜라닌 생합성 억제 작용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laims (8)

  1.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당귀는 당귀(Angelica gigas) 분말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002770A 2019-01-09 2019-01-09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5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70A KR102159607B1 (ko) 2019-01-09 2019-01-09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70A KR102159607B1 (ko) 2019-01-09 2019-01-09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781A true KR20200086781A (ko) 2020-07-20
KR102159607B1 KR102159607B1 (ko) 2020-09-25

Family

ID=7183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770A KR102159607B1 (ko) 2019-01-09 2019-01-09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987A (zh) * 2021-09-17 2022-01-04 无锡弘焕微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能的组方食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73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917B1 (ko) * 2008-04-30 2008-09-17 대선주조 주식회사 한방 생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6115A (ko) * 2007-08-10 2009-02-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4466A (ko) * 2008-01-02 2009-07-07 (주)세스바이오 피부 미백능이 있는 한방 재료의 세포독성을 저감시키는방법
KR20180123831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더코스메디움 허브 추출물과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73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6115A (ko) * 2007-08-10 2009-02-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4466A (ko) * 2008-01-02 2009-07-07 (주)세스바이오 피부 미백능이 있는 한방 재료의 세포독성을 저감시키는방법
KR100858917B1 (ko) * 2008-04-30 2008-09-17 대선주조 주식회사 한방 생약재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3831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더코스메디움 허브 추출물과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fe Science vol.20 no.6 p.940-947 *
Journal of Life Science vol.20 no.9. p.1385-1393 *
Journal of Life Science vol.27 no.8 p.919-9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987A (zh) * 2021-09-17 2022-01-04 无锡弘焕微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能的组方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607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1284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14654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49215B1 (ko) 승마, 황련, 황백 및 후박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Chen et al. Submerged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aurantium flower extract
KR102159607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717020B1 (ko) 녹차씨로부터 유래된 사포닌류를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암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2017226612A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KR102053994B1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3895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초석잠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384B1 (ko) 명월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117168A (ko)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1639B1 (ko) 해방풍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16994B1 (ko) 피부 미백효과가 증진된 고춧잎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80144B1 (ko) 분홍느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096969A (ko)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