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989B1 -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989B1
KR101130989B1 KR1020090116128A KR20090116128A KR101130989B1 KR 101130989 B1 KR101130989 B1 KR 101130989B1 KR 1020090116128 A KR1020090116128 A KR 1020090116128A KR 20090116128 A KR20090116128 A KR 20090116128A KR 101130989 B1 KR101130989 B1 KR 10113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feed
test
diarrhe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408A (ko
Inventor
김병기
최창본
이상욱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09011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9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은화, 포공영, 현지초, 곽향 및 감초의 5종류의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열수추출액을 10배 희석하고, 여기에 또 다른 생약재로서 미세분말화된 백출, 진피, 차전자, 저령, 백복령, 육계, 자소엽, 백지, 대복피, 반하, 길경 및 택사의 혼합물과 중탄산나트륨(중조, NaHCO3)을 잘 혼합한 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아스퍼길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ivisiae)를 포함하는 생균제를 첨가하여서 제조되는 송아지 설사 예방을 위한 사료첨가제와 그의 제조방법,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송아지용 사료, 및 이를 송아지에게 첨가급여하여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송아지에게 첨가급여하여 송아지의 설사예방 및 각종 질병에 대한 항병력(면역력)을 증가시켜 송아지가 건강하게 육성 ? 발육되어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송아지설사, 천연 생약재, 송아지면역글로부린, 송아지 육성율, 사료첨가제

Description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ODUCING FEEDSTUFF ADDITIVES COMPRISING NATURAL HERBS AND HAVING A PREVENTING ACTIVITY OF CALF'S DIARRHEA}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은화(金銀花), 포공영(蒲公英), 현지초(玄之草, 玄草), 곽향(藿香) 및 감초(甘草)의 5종류의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열수추출액을 10배 희석하고, 여기에 또 다른 생약재로서 미세분말화된 백출(白朮), 진피(陳皮), 차전자(車前子), 저령, 백복령, 육계(肉桂), 자소엽(紫蘇葉), 백지(白芷), 대복피(大腹皮), 반하(半夏), 길경(桔梗) 및 택사(澤瀉)의 혼합물과 중탄산나트륨(중조, NaHCO3)을 잘 혼합한 후,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아스퍼길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ivisiae)를 포함하는 생균제를 첨가하여서 제조되는 송아지 설사병 예방을 위한 사료첨가제와 그의 제조방법,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송아지용 사료, 및 이를 송아지에게 급여하여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아지 폐사의 중요 원인으로 손꼽히는 송아지 설사증, 특히 신생 송아지의 설사증은 축산농가에 가장 큰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가축 질병중 하나로서, 미국에서 송아지 설사증에 의한 피해액은 연간 12 내지 24조원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다(Bendali 등, 1999).
신생 송아지 설사의 원인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전염성, 영양적, 면역학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김 등, 1990). 송아지 설사증은 병원성 미생물, 사육환경 및 소 자체 등 세 요소의 상호연계성 및 다양한 원인이 관여하여 나타나는 임상 증후군이다(Acres 등, 1977; 김 등, 1990). 무엇보다 어린 송아지는 각종 병원체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Webster 등,1985; 이 등, 1999). 생후 6개월 이내 송아지는 다양한 환경 및 모축에서 나오는 병원체들에 감염됨으로써 이들 병원체들이 일으키는 다양한 질병이 발생되고 있다(Martin과 Meek, 1986; 강 등, 1998).
국내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송아지의 소화기질병 유발 병원체들은, 바이러스성으로는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 bovine rotavirus (BRV), bovine coronavirus (BCV) 등이 있으며, 세균성으로는 E. coli., Salmonella spp., Clostridium spp., Campylobacter 등이 있다. 또한, 기생충으로는 Eimeria spp., Isospora spp., Cryptosporidium spp. 등이 알려져 있다(Britney 등, 1984; Humura 등, 1985; Holland, 1990; Barker 등,1993).
신생 송아지의 설사 원인체로 로타바이러스(rotavirus)의 검출률은 69.2%로 장독혈성 E. coli의 14.7% 보다 현저히 높은 검출률을 나타내고 있다(김 등,1990). 설사 발생 일령에서 바이러스성인 로타바이러스는 7일령 이전에 41.7%, 8 내지 14일령에 48.1%가 검출되어 약 90%가 생후 2주일 이내에 검출되었다고 하였다.
다음은 세균성으로 장독혈성 E. coli는 7일령 이전에 34.8%, 8 내지 14일령에 26.1% 검출되었고, 22일령 이상에서도 34.8%가 검출된 Acres 등(1977)의 보고에서는 E. coli와 로타바이러스의 검출률은 5일 이내에 설사한 송아지에서 각각 62%, 10%로 나타나고 있다(김 등, 1990; Acres 등, 1985). 송아지 설사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시중에서 판매.유통되고 있는 약물들은 일시적인 효과를 나타낼 뿐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병원균이 잠복하였다가 재발하거나 만성화 될 우려가 있으며, 장기간 반복치료 시 내성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
생약성분의 한약재는 농가의 오랜 축산경험에 의해 가축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왔는데, 한약재를 이용할 경우 가축의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학적인 부분에서 특히 강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한방에서 사용되는 천연 생약재는 독성이 적거나 무독하며, 가축의 체내에 잔류하지 않으며, 약물의 내약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한우 및 젖소사육의 대형화로 살모넬라 등 병원균에 의한 송아지 설사병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약물 사용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적 약물의 사용은 감염증에 일시적인 효과는 있으나, 투약을 중지하면 재감염의 문제가 있으며, 장기사용에 따른 내성균의 출현증가뿐만 아니라 약물의 잔류로 안전한 축 산물 생산에 걸림돌이 된다.
최근 소비자들은 인체에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요구하기 때문에 축산업자들은 지금까지 사용해온 항생제(약물)사용을 줄여야 하고 머지않아 약물 사용을 금지해야 할 때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를 이용하여 송아지 설사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까지 겸비한 사료첨가제를 개발하여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송아지에게 급여함으로써 송아지 설사병으로 인한 농가의 어려움과 송아지 폐사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축산물 생산으로 축산물의 소비를 증가시킴으로써 농가의 소득증대 및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방하여 설사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각종 질병에 대한 항병력을 향상시켜 축산농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예방 효능을 가진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방하는 효능뿐만 아니라 위장 보강과 소화제로서의 효능을 가지는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사료를 송아지에게 급여하여 질병의 감염없이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증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아지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1) 금은화, 포공영, 현지초, 곽향 및 감초를 각각 세절하고 1 : 10의 중량비로 물을 첨가하여 끓인 후 물을 증발시켜서 각각의 열수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열수추출액 각각을 10배의 물로 희석한 후에 동일 부피비 로 혼합하는 단계;
3) 백출, 진피, 차전자, 저령, 백복령, 육계, 자소엽, 백지, 대복피, 반하, 길경, 및 택사를 0.3 mm 이하의 미세분말로 분쇄하고 각각의 미세분말을 동일 중량비로 취하여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
4) 상기 단계 2)의 열수추출액 혼합액 : 상기 단계 3)의 혼합분말 : 중탄산나트륨을 1 : 2 : 0.2의 중량비로 준비하여 먼저 상기 열수추출액 혼합액과 단계 3)의 혼합분말을 자동혼합기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기에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진 생균제를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금은화(金銀花), 포공영(蒲公英), 현지초(玄之草), 곽향(藿香) 및 감초(甘草)의 열수추출 혼합물을 제 1 생약성분으로 한다.
상기한 제 1 생약성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5종류의 생약재를 적당한 크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cm의 크기로 세절한다. 세절된 생약재들은 각각의 약 재와 물을 첨가하여 가열하면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세절된 생약재에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고온으로 가열하고 남은 물의 양이 약 20% 정도가 되었을 때 가열을 중단하고 3겹의 거즈로 걸러내서 최종 열수추출액을 얻는다. 이때 금은화는 Lonicerin, 포공영은 taraxasterol, 현지초는 ellagitannin, 곽향은 methylchvicol(esdragol) 그리고 감초는 glycyrrhizin이 주성분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열수추출액은 10배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한 후에 동일 부피비, 즉 1 : 1 : 1 : 1 : 1의 부피비로 잘 혼합하여 본 발명의 제1 생약성분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백출(白朮), 진피(陳皮), 차전자(車前子), 저령, 백복령, 육계(肉桂), 자소엽(紫蘇葉), 백지(白芷), 대복피(大腹皮), 반하(半夏), 길경(桔梗) 및 택사(澤瀉)의 혼합물을 제2 생약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2 생약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한 12종류의 생약재는 임의로 각 성분의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각 성분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1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생약성분은 상기한 12종류의 생약재 각각을 0.3 mm 이하(1φ 이하)의 분쇄기 채를 통과하는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한 미세분말로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된 제 2 생약성분 미세분말에 상기한 제1 생약성분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자동혼합기에서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한 제1 생약성분과 제2 생약성분의 혼합물에 중탄산나트륨(NaHCO3, 순도 99% 정도)을 혼합한다. 이때, 각 성분의 혼합비는 제1 생약성분 : 제2 생약성분 : 중탄산나트륨을 1 : 2 : 0.2의 중량비로 하여 첨가한다. 중탄산나트륨이 첨가된 전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형광램프가 달린 크린벤치 소독조에 넣어 24시간 멸균처리하여 습기를 피하여 냉동보관하여야 한다. 중탄산나트륨은 혼합시 0.2 이상의 중량비로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의 습기를 흡수하여 전체 혼합물의 적정한 점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다음 단계로, 상기한 바와 같이 멸균처리된 중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제 1 생약성분과 제 2 생약성분의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와 아스퍼길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진 생균제를 10 : 1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상기한 생균제는, 바람직하기로는 미생물 균주가 5 × 105 CFU/kg당 이상 포함된 미생물 혼합제제이다. 이때 생균제의 첨가량이 상기한 중량비 이하로 첨가되면 미생물에 의한 효과가 미약하며, 그 이상으로 첨가되면 미생물 개체수가 초과되어 사료에 첨가될 경우 사육 가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생후 7일령부터 생후 7개월령까지 송아지의 성장단계에 따라 1일 사료급여량에 대하여 0.1 내지 0.3중량%씩 첨가하여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요 생약재의 특성과 효능은 다음과 같다.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Caprifoliaceae)의 인동(Lonicera japonica Thumb) 의 줄기 또는 잎이 부착한 줄기를 건조한 것을 말하며, 산지는 한국과 중국이다. 주요성분으로는 Tannin, Saponin, Lonicerin, Luteolin, Lnostiol이며, 약리효과로는 추출액은 소화성 궤양에 대해서 예방효과와 특히 적리균, 티프스균, 파라티프스균 등의 그람양성(+)균, 포도상구균, 폐염쌍구균에 대해서 강한 항균작용을 갖고 있다.
포공영(蒲公英)은 국화과(Compositae)로서 Taraxacum속 식물이다. 이른 봄에 싹이 나고 잎은 세극이이며 중심에 하나의 줄기 끝에 꽃이 핀다. 꽃은 황색이며,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오는데 대개 4~5월 경에 수확한다. 한국, 중국 및 일본에 서식하며, 주요성분은 Taraxasterol, Choline, Inulin, Pectin 등이며, 약리효과로는 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구균, 폐렴상구균, 외막염균, 디프테리아균, 녹농균, 변형간균, 티프스균에서 살균 및 항균효과가 있다. 또한 이뇨작용, 이담작용, 만성담낭경련 및 결석증, 소화불량, 습관성변비, 소염, 건위 등에도 효과가 있다.
현지초(玄之草 또는 玄草)는 노학초라고도 불리우며, 뒤손이풀과(Geraniaceae)의 이질풀(Geranium Thunbergii Sieb)의 전초를 건조한 것이다. 잎은 긴 엽병이 있으며, 대생하고, 회녹색~녹색으로 옆편은 장타원형~이란형이며, 녹에 둔거치가 있으며, 연모가 있다. 주요성분은 탄닌을 함유하고, 주요성분은 ellagitannin의 하나인 geranin이다. 그 외에 gallic acod, ducci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론 적리균, 장티프스, 대장균, 프레스로우담낭균, 겔트넬 담낭균에 대하여 살균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건위, 정장약으로 애용된다.
곽향(藿香)은 꿀풀과(Labiatae)의 파초리(Pogostenon cablin Benth)의 전초 또는 엽을 건조한 것으로, 일명 배초향, 광(주)곽향 또는 우리나라에서는 방아잎(연명초)이라고 부른다. 산지로는 중국의 광동성, 필리핀, 한국 등이며, 줄기는 회녹색 방주형으로 회백색의 털이 있으며, 잎은 엽병이 있고 대생하며 길이 2.5 내지 10 cm, 너비 2.5 내지 7 cm의 난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파쇄되기 쉽다.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암갈색, 뒷면은 회갈색이고, 세모가 있다. 특이한 향기가 있으며, 맛은 약간 쓰다. 신선한 잎이 많으며, 향기가 강한 것이 좋다. 주요성분은 Pachoulic alcohol, Methylchvicol(esdragol), Cycoseychellene, Pogostol 등이다. 약리작용으론 메틸알콜 추출액은 피부선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작용을 한다.
감초(甘草)는 콩과(Leguminosae)로서 주로 중국 및 러시아, 스페인,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에 산재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다. 횡절면은 황갈색의 코르크층이 존재하며, 그 안쪽에 1 내지 3 세포층의 코르크 피층이 존재한다. 피층 및 목부의 유세포 중에는 단정 및 전분립이 존재한다. 질은 단단하고, 분성, 피절면은 황백색이 상품이다. 감초에 함유된 Glycyrrhiza속의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의 분해산물인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은 생체의 간장에서 유해물질과 결합하여 글루쿠로니드로서 해독작용을 하며, 또한 항알러지작용이 있어서 피부과 영역에 응용되기도 하고, 또다른 분해산물로 glycyrrhetinic acid에는 항염증작용, 부신피질호르몬 작용이 있다고 한다.
중탄산나트륨(NaHCO3)은 일명 "중조","산성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중 탄산소다"라고도 한다. 무색의 결정성(結晶性) 분말로, 비중 2.20이다. 제산제(制酸劑),알칼리제, 술파제 복용시의 부작용 억제제 등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나트륨염의 제조원료, 베이킹파우더, 가루비누의 배합제, 양털 등의 세척제, 거품소화제(消火劑), 청량음료의 탄산가스 발생제 등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는 농가에서 활용할 경우에 1일 배합(농후)사료 급여량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3중량부를 첨가하여 급여하거나, 또는 배합사료공장에서 주문형 송아지사료의 총 배합비에 성장단계에 따라 사료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3중량부를 첨가하여서 사료를 제조하고 이를 송아지들에게 급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급여하여 생육된 송아지는 체중에 있어서 일반 송아지용 사료를 급여한 송아지에 비하여 5.5 내지 12.0%가 더 높은 증체량을 나타내어 축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축의 면역글로블린이 증가되며, 송아지 설사발생률을 15 내지 43%까지 크게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급여한 송아지는 면역력이 증가되어 설사가 발병한 송아지 개체의 경우에도 치료기간이 50 내지 60% 정도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치료비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료의 독성 및 안정성 시험을 위해서 측정되는 간 조직의 손상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가 혈액으로 유출되는 것을 측정하거나 pericentral necrosis를 관찰 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간으로부터 혈액에 방출된 효소의 활성도 측정은 간 손상 연구에 있어서 가장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GOT는 글루탐산의 아미노기를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이시켜주는 효소로 아미노기가 전이되면 글루탐산은 α-케토글루타르산이 되고 옥살로아세트산은 아스파르트산이 된다. GPT는 글루탐산의 아미노산기를 알라닌으로 전이시켜주는 효소로 아미노기가 전이되면 글루탐산은 α-케토글루타르산이 되고 알라닌은 피루브산이 된다. 따라서 세포가 파괴되면 혈중으로 유리되어 높게 나타게 된다. 혈청 중 GOT와 GPT의 상승은 간 손상으로 인한 가세포의 괴사와 간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아미노기전이효소(transaminase)가 혈중으로 유리되어 높게 나타나는 것이므로 간세포의 변성 및 괴사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실시한 쥐의 독성 시험에서 최고 용량에서도 쥐의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면역글로불린의 함량이 높아지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가 송아지의 면역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를 주원료로 한 사료첨가제를 개발함으로써 이 사료를 먹고 자란 송아지가 설사 없이 건강하게 육성되고, 사료섭취량을 증진시켜 치료비를 절감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약재의 이용성을 높이는 방법과 상기방법에 의해 생산된 송아지 설사 예방을 위한 사료첨가제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산된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용 사료첨가제는 시판 항생제 잔류물이 축적되지 않은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육류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할뿐 만 아니라 육성발육도 향상시켜 농가소득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험예 1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임상효능 시험
실시예 1-1 시험동물 및 축사준비
시험 공시축은 70일령 정도의 한우송아지 24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개시하였다. 축사형태는 1칸 당 4 × 6 m 크기의 개방형 축사에서 시험예 1은 한우송아지 8두씩을 투입하여 3처리(총 8두 × 3처리=24두)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양면에는 윈치커텐을 설치하여 겨울철에는 바람을 막아주었고 여름철에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였으며, 천장에는 대형선풍기를 설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사료로써, 대조구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성분을 포함하는 시판중인 한우 송아지사료를 이용하였고, 시험용 사료는 G축협에 의뢰하여 주문생산 된 천연 생약재가 포함된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송아지 전용사료를 구입하여 급여하되, 성장단계별로 사료급여량을 제한 조절해주었고, 음수는 지하 250m 암반 관정으로부터 생산한 신선한 물을 자유 음수시켰다.
실시예 1-2 천연 생약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
금은화, 포공영, 현지초, 곽향 및 감초를 분쇄없이 약 3 내지 5 cm 정도 세절하고 각 생약재 1 kg씩을 큰 솥에 각각 넣고 물 10L를 첨가하여 4시간 이상 끊여 증발시킨 후, 남은 물의 양이 약 1.8L 정도되었을 때 중단하고 3겹의 거즈로 걸러내서 최종 열수추출액을 얻었다.
백출, 진피, 차전자, 저령, 백복령, 육계, 자소엽, 백지, 대복피, 반하, 길경 및 택사 등의 12가지 생약재를 전기분쇄기로 먼저 분쇄하여 분쇄기채 사이즈가 30목(3.5Φ = 3mm)이 되게 1차 분쇄 한 후, 다시 10목(1.0Φ = 0.3 mm 이하) 분쇄기채를 통과시켜 미세분말로 분쇄한 후, 자외선 형광램프가 달린 크린벤치 소독조에 넣어 24시간 멸균처리하였다.
상기한 열수추출액을 물 10배로 희석한 후에 1 : 1 : 1 : 1 : 1의 부피비로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추출물 3L와 상기한 12가지의 생약재 미세분말 각각을 0.5 kg씩 취하여 자동혼합기에서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1시간 이상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생약재 혼합물에 중탄산나트륨(NaHCO3, 산전순약공업(주)) 0.6 kg을 첨가하여 다시 자동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와 아스퍼길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의 균주가 5 × 105 CFU/kg당 이상 포함된 생균제를 10 : 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시험사료의 배합 및 송아지 사육방법
공시축에게 사료 급여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후 70일령부터 생후 220일령까지 육성하였으며, 급여한 대조용 사료와 시험사료의 배합비와 일반성분은 다음 표 2와 3에 기재하였다.
대조구의 사료는 G축협에서 생산하는 어린 송아지용 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군 사료는 G축협에서 생산하는 어린 송아지 사료에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전체 사료 100 kg에 대하여 0.1 kg과 0.3 kg을 첨가하여 제조한 주문사료를 급여하였다. 이때의 사료조성은 표 2와 같고, 사료성분 분석은 AOAC(1998)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사양관리는 대조구는 농가관행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조사료는 수입건초인 티머시(시험개시부터 3개월령까지)와 볏짚(시험4개월령부터)을 급여하였으며, 물은 자유 음수토록 하였고, 무기물 섭취를 위하여 별도로 린칼블럭을 매달아 자유섭취토록 하였다.
[표 1]
구분 70 - 160 일 161 - 220 일 비 고
대조구 일반 사료 일반 사료 8두 배치
T1
(시험1구)
주문시험사료
(사료첨가제 0.1 중량부)
주문시험사료
(사료첨가제 1 중량부 첨가)
8두 배치
T1
(시험1구)
주문시험사료
(사료첨가제 0.1 중량부)
주문시험사료
(사료첨가제 2 중량부 첨가)
8두 배치
조사료
자유채식 자유채식
티머시 건초 볏 짚
※ 각 처리구별로 공히 암(50%), 수(50%) 비율로 배치
[표 2]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1
[표 3]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2
실시예 1-4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측정
1.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체중측정은 매월 측정하였으며, 사료는 매일 오전 8:00와 오후 17:00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잔량은 익일 오전 사료급여 전에 잔량을 칭량하여 1일 총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1일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 총 증체량을 사료섭취량으로나누어 환산하였다.
2. 혈액채취 및 성분분석
시험개시시와 육성기, 비육기때, 시험개시 후 3개월령에 헤파린 미처리된 vacumtainer(Becton Dicknson, Franklin Lakes, NJ, USA)를 이용하여 송아지 경정 맥을 통하여 혈액 20 ml를 채취한 후 헤파린 처리된 것과 미처리된 진공관에 각 10ml씩 나누어 넣었다. 상온에서 약 2시간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후에 4℃,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순수혈청만을 분리해서 분석시까지 -70℃의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하였다가 자동혈액분석기(Hema Vet 9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분시료 채취 및 체온측정
공시축은 매월시험일에 개체를 보정한 후 항문에 손을 넣어 분을 빼내는 직장채취법으로 채취한 후, 사전에 무균처리된 면봉에 묻혀 진공튜브에 넣어 즉시 분석실에 옮겨 세균 등을 분리, 동정하였다. 동시에 체온계를 항문에 밀어넣고 체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5 분변의 성분분석
1. 세균(대장균) 분리 및 분석
송아지 분변 5 내지 10 g을 분변채취용기(Greiner, Germany)에 채취하고, MEC broth(Merck, Germany) 45 ㎖에 37℃에서 18 내지 24시간 증균배양한 다음, 분리배양은 혈액배지(아산제약) 및 MacConkey agar(Merck, Germany)에 직접 도말하여 37℃에서 18 내지 24시간 선택배양한 후 β-용혈을 일으키는 균과 의심되는 적색 집락(lactose 분해 집락)을 3 내지 5개 취하여 EMB (Merck, Germany)에 재도말하여 37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금속성 광택 집락을 선택하여 그람 염색, 생화학적 성상시험[4-methylumbellifervl-β-d-glucuronide (MUG)시험, 인돌 시험, methyl red (MR)시험, Voges-Proskaur (VP)시험, citrate시험, 유당으로부터 가스생성시험], API 20E 키트(BioMerieux, France) 또는 미생물 분리동정기(Vitek system, BioMerieux, France) 시험 등을 실시하여 최종 동정 후 대장균을 분리하였다.
2. 기생충(콕시듐) 검사법(포화식염수 부유법)
포화 식염액 약 20ml를 작은 비이커에 취하여 가검재료 2g을 가하고 잘 교반한 후, 작은 깔대기에 금속제 여과망이나 한 겹의 거즈를 깔고 분변액을 시험관에 여과한 다음 시험관대에 꽂아 놓고 주둥이에 표면장력에 의한 팽윤면이 생길 때까지 포화 식염액을 천천히 가하였다. 그 이후 30 내지 40분간 방치한 다음에 커버글라스를 수평으로 들고 조심스럽게 팽윤면에 접촉시켜 부유물을 부착시킨다. 그리고 이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광학현미경(100배)으로 콕시듐 원충을 검경하였다
3. 바이러스성(BVDV PCR검사)법(RNA 추출 및 RT-PCR법)
RNeasy mini kit(Qiagen, 독일)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분변에서 RNA를 추출하였다. PCR은 VeTekTM BVDV Detection Kit(iNtRON, D60060)을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추출한 RNA 2ul와 키트 내에 DNase/RNase가 없는 물 18ul를 첨가하여 총량이 20ul가 되게 하였다. 45 ℃에서 30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한 후 94 ℃에서 5분동안 반응시키고, 94 ℃에서 30초, 58 ℃에서 30초, 72 ℃에서 40초 씩 40회 반복 반응시킨 다음 최종 72 ℃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PCR 반응이 완료된 후 각 반응액 10 ul를 취하여 ethidium bromide가 함유된 1.5%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다음 자외선 하에서 297bp 밴드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6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2002)의 GLM(General Linear Model) 분석방법에 따라 T-test 검정을 하였고, 처리구간의 평균간 비교는 던칸(Duncan(1955))의 다중 검정방법으로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시험예 1의 결과
1. 시험송아지의 체중변화,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변화
상기 실시예로부터 측정한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 전기간(150일) 동안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다음 표 4에는 시험 전기간의 체중, 증체량, 일당증체량의 변화를 기재하였고, 표 5에는 시험 전기간의 사료섭취량의 변화를 기재하였다.
[표 4]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3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3)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4) Pr >│t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T-test 검정
시험 전기간(150일간) 동안 한우송아지에게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개시체중은 대조구, 시험1구, 시험2구는 각각 46.10kg, 43.70kg, 44.60kg으로 그 중에 동일 월령과 체중량은 시험구가 대조구 보다 2 내지 3 kg 다소 적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체중으로 배치하여 시험에 착수하였다. 시험 5월령의 대조구, 시험1구, 시험2구는 각각 183.9 kg, 186.5 kg, 176.8 kg으로 시험1구가 가장 성장률이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고(P<0.0465), 그 다음으로 대조구, 시험2구 순으로 나타났고, 이런 결과는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동일 일령에서 대조구나 시험2구에 비하여 시험1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던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로 설사예방 치료효과 뿐만 아니라 면역력 및 소화증진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4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3중량부 첨가; 3)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T-test 검정
시험 전기간(150일간) 동안 한우송아지에게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급여한 사료섭취량 변화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개시때의 두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시험1구, 시험2구는 각각 32.7kg, 39.8kg, 32.0kg이었고, 이때의 1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각각 1.09kg, 1.33kg, 1.07kg으로 시험1구가 대조구와 시험2구 보다 다소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시험 5개월령 때의 두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시험1구, 시험2구는 각각 176.3kg, 164.6kg, 162.6kg으로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고(P<0.0436), 이때의 1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각각 5.88kg, 5.49kg, 5.42kg으로 시험1구가 대조구와 시험2구 보다 다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시험 송아지의 혈액성상 및 특성
혈액 중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함량은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러나 전반적으로 시험3개월령이 시험1개월령 보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았던 것은 포유 흡유량이 적은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시험1구의 경우는 다른 처리구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인 것은 타 처리구보다 사료섭취량 증가와 증체량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는 처리구간(4.29~20.14 mg/dl)의 범위에 있었고, 간 기능의 기준을 나타내는 GOT는 69.14 내지 85.86 mg/dl의 범위에 있었고, 전반적으로 시험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PT의 경우는 17.71 내지 22.71 mg/dl의 범위로서, GOT에서와 마찬가지로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시험구의 GOT와 GPT가 대조구에 비하여 거의 차이가 없이 안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개발 시제품의 첨가와 급여량도 적당하여 간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글루코스(Glucose)와 혈중의 요소태질소(BUN)는 전반적으로 처리구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우송아지의 경정맥으로부터 채취한 혈액내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결과이다: 백혈구(Leukocytes)인 WBC의 경우는 7.08 내지 12.62 k/ul범위에 있었고, 적혈구(Erythrocytes)인 RBC의 경우는 8.86 내지 19.45 M/ul의 범위에 있었다. 헤모글로빈(Hb) 수치는 9.76 내지 12.07 g/dl의 범위로서 처리구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특히, 면역글로불린인 IgG의 경우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적으로 대조구가 574.38 mg/dL 이었으나, 시험1구는 605.19 mg/dL이었고, 시험2구는 601.81 mg/dL로 나타났다. 시험개시시는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673 내지 688 mg/dL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시험3개월령에는 대조구가 559 mg/dL 였으나, 시험1구는 598 mg/dL이었고, 시험2구는 602 mg/dL으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약 6 내지 7%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험5개월령에는 대조구가 476 mg/dL였으나, 시험1구는 544 mg/dL이었고, 시험2구는 525 mg/dL으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약 8 내지 14%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한 시험구의 면역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결과로 송아지 설사예방 및 치료기 간 단축에 상당히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 표 6에는 혈청 내의 이화학적 성상 측정 결과를 기재하였고, 표 7에는 혈액 내 이화학적 성상 측정 결과를 기재하였다.
[표 6]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5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3중량부 첨가; 3)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표 7]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6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3중량부 첨가; 3)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3. 시험 송아지 분변의 성상 및 송아지설사 특성
시험 1개월령부터 시험5개월령(150일)까지 시험송아지의 분변을 채취하여 원인균을 분리한 결과로서 크게 기생충(콕시듐), 세균(용혈성대장균) 및 바이러스(BVD)로 나누었고, 실제로 설사병을 일으킨 개체두수와 이로부터 치료일수를 조사한 결과이다. 전반적으로 시험1개월령에 발병 원인균이 높았고,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발병 원인균들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분변으로부터 분리동정한 결과로서 용혈성대장균은 대조구(평균1.8)가 시험구(평균0.8~1.0)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바이러스(BVD)도 대조구(평균3.2)가 시험구(평균0.8~1.2)보다 더 많았으며, 기생충(콕시듐)도 대조구(평균0.6)가 시험구(평균0.2~0.4)보다 더 많았다.
또한 발병된 개체의 치료기간은 시험구(0.8~0.9일)가 대조구(1.5일)보다 더 짧아서 치료비 절감 및 생산비의 절감이 가능하다. 설사발병 송아지의 직장체온은 평균 38.10 내지 38.40 ℃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시험1구가 타 처리구에 비하여 설사발병율이나 치료기간이 가장 짧았다.
따라서 상기한 시험하고 시험 송아지 분변의 성상과 송아지 설사 발생 및 치료 현황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생약제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는 송아지의 설사예방과 면역력증강을 위한 사료첨가제로서 더욱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8]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7
※ 치료기간 산정은 오전(0.5일), 오후(0.5일) 치료를 합하여 1.0일로 환산함.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3중량부 첨가; 3)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설사병변 및 호흡기질병 등의 처리구간의 발병두수를 보면 대조구는 7두, 시험1구가 3두, 시험2구는 6두가 발병하여 전체적으로 대조구의 발병율이 시험구보다 더 높았다. 이에 따라 치료비가 대조구 43,940원인데 비하여 시험1구는 27,780원, 시험2구는 30,280원으로 대조구가 시험구 보다 월등히 많은 치료비가 소요되었다. 또한 치료기간에서도 시험구가 대조구 보다 약 40 내지 50 % 정도의 치료기간을 단축하여 빠른 회복세를 나타내었다. 시험 전기간(150일) 동안의 송아지 질병치료내역을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즉 면역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9]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8
※ 발병두수 : 동일개체가 10일간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발병하여도 1두로 계산함
※ 치료약품비
① 에페드린 : 50㏄-1,000원. 바이트릴 50㏄-20,000원. 아나파주 100㏄-25,000원.
코파마이신 50㏄-4,000원. 제스롱 10㏄-3,000원. 복합부스코판 100㏄-22,000원.
코미틸 50㏄-2,000원. 항히스타민 100㏄-1,500원. 비타민제 50㏄-6,000원.
킹벨린 50㏄-1,200원. 아프라마이신 50㏄-10,000원. 제스롱 20㏄-2,000원 등.
② 총 치료비산출에서 인건비는 포함하지 않음.
1)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1중량부 첨가; 2)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0.3중량부 첨가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이상의 시험 1을 종합해 보면, 분만송아지를 대상으로 생후 2개월령부터 생후 7개월령까지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를 첨가급여 시험한 결과,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를 0.1중량부 첨가급여한 시험1구가 142.8kg가 증체된 반면, 일반 대조구는 137.8kg가 증체되어 3.6%의 증체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설사발병에 대한 면역글로블린(IgG)은 0.1중량부를 첨가급여한 시험1구가 605.19 mg/dL였으나 일반 대조구는 574.38mg/dL로 나타나 약 5%의 면역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시험전기간 동안의 설사발병두수 및 치료일수는 시험1구는 3두발병에 6일 치료하였으나, 대조구는 7두발병에 12일간 치료하였고, 시험2구는 6두발병에 7일간 치료하였다.
그 결과 치료비는 대조구(43,940원)가 많았고, 시험1구는 27,780원, 시험2구는 30.280원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농가의 생산비 절감액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6,160원에서 13,500원 정도가 절감되었다.
시험예 2 천연 생약재 포함 사료첨가제 함유 사료와 시판 사료간의 효과 비교
실시예 2-1 시험동물 및 축사준비
공시축은 생시(1일)부터 3개월(100일령) 까지 한우송아지 28두를 공시하여 시험을 개시하였다. 축사형태는 1칸 당 4 × 6 m 크기의 개방형 축사에서 시험예 1은 한우송아지 7두씩을 투입하여 4처리(총 7두 × 4처리 = 28두)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양면에는 윈치커텐을 설치하여 겨울철에는 바람을 막아주었고 여름철에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였으며, 천장에는 대형선풍기를 설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사료는 대조구는 시판중인 한우 송아지사료(농협사료)를 이용하였고, 시험용 사료는 G축협에서 주문생산된 하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송아지 전용사료(표 2)를 구입하여 급여하되, 성장단계별로 사료급여량을 제한 조절해주었고, 물은 자유 음수시켰다.
실시예 2-2 시험 사료의 제조
금은화, 포공영, 현지초, 곽향 및 감초를 분쇄없이 약 3 내지 5 cm 정도 세절하고 각 생약재 1 kg씩을 큰 솥에 각각 넣고 물 10L를 첨가하여 4시간 이상 끊여 증발시킨 후, 남은 물의 양이 약 1.8L 정도되었을 때 중단하고 3겹의 거즈로 걸러내서 최종 열수추출액을 얻었다.
백출, 진피, 차전자, 저령, 백복령, 육계, 자소엽, 백지, 대복피, 반하, 길경 및 택사 등의 12가지 생약재를 전기분쇄기로 먼저 분쇄하여 분쇄기채 사이즈가 30목(3.5Φ = 3mm)이 되게 1차 분쇄 한 후, 다시 10목(1.0Φ = 0.3 mm 이하) 분쇄 기채를 통과시켜 미세분말로 분쇄한 후, 자외선 형광램프가 달린 크린벤치 소독조에 넣어 24시간 멸균처리하였다.
상기한 열수추출액을 물 10배로 희석한 후에 1 : 1 : 1 : 1 : 1의 부피비로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추출물 3L와 상기한 12가지의 생약재 미세분말 각각을 0.5 kg씩 취하여 자동혼합기에서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1시간 이상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생약재 혼합물에 중탄산나트륨(NaHCO3, 산전순약공업(주)) 0.6 kg을 첨가하여 다시 자동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와 아스퍼길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의 균주가 5 × 105 CFU/kg당 이상 포함된 생균제를 10 : 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공장에서 주문형 송아지사료의 총 100 kg에 대하여 각각 0.1 kg과 0.3 kg을 첨가하여 사료를 제조하고 이를 송아지들에게 급여하였다.
실시예 2-3 사육방법
대조구의 농후사료는 G축협에서 생산하는 어린송아지용 사료를 급여하였고, C-1구는 시판생균제(제품명 - 이스피, (주) 씨티씨바이오) + 시판 IgY(제품명 - 아지드링크, (주) 에드바이오텍) 첨가, C-2구는 시판 IgY(제품명 - 아지드링크, (주) 에드바이오텍) 첨가, C-3구는 천연한방 생약제재 0.1% + 시판 IgY(제품명 - 아지드링크, (주) 에드바이오텍) 첨가, 시험구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0.1중량부를 첨가한 주문시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이때의 사료조성은 상기 표 2와 같고, 사료성분 분석은 AOAC(1998)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사양관리는 대조구는 농가관행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조사료는 수입건초인 클라인(시험개시부터 5월령까지)을 급여하였으며, 물은 자유 음수토록 하였고, 무기물 섭취를 위하여 별도로 린칼블럭을 매달아 자유섭취토록 하였다.
Figure 112009073347232-pat00009
※ 각 처리구별로 공히 암(50%), 수(50%) 비율로 배치함
※ 상기 표에서 실시예 2-2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실시예 2-4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측정
체중측정은 매월 측정하였으며, 사료는 매일 오전 8:00와 오후 17:00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잔량은 익일 오전 사료급여 전에 잔량을 칭량하여 1일 총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1일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고,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 총 증체량을 사료섭취량으로나누어 환산하였다.
실시예 2-5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2002)의 GLM(General Linear Model) 분석방법에 따라 T-test 검정을 하였고, 처리구간의 평균간 비교는 던컨(Duncan, 1955)의 다중 검정방법으로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시험예 2의 결과
다음 표 10은 시험송아지의 체중 변화, 일당 증체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10]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0
1)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2) 상기 표에서 '실시예 2-2'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한우 송아지를 대상으로 분만직후 생시부터 이유시기인 100일(약 3개월간)까지 비육성하였다. 개시체중은 C-1구 28.57㎏, C-2구 30.3㎏, C-3구 28.3㎏ 및 시험구 30.4㎏으로 가장 높았으나, 이유시기인 생후 100일령의 체중은 시험구가 118.6㎏으로 가장 육성률이 좋았고, 그 다음으로 C-3구, C-2구, C-1구의 순으로 낮았다.
따라서 시험 100일 동안의 총 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C-1구 73.57㎏과 0.74㎏, C-2구 76.75㎏과 0.77㎏, C-3구 82.58㎏과 0.83kg, 시험구 88.20kg와 0.88㎏으로 농가관행구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첨가 시험구가 월등히 높은 비육성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가 한우송아지의 면역 및 반추위 안정화에 많은 영향을 준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11에는 시험 전기간(100일) 동안 실시예 2-2의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송아지의 설사 발병현황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1
1) 평균치에 대한 표준오차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2) 상기 표에서 '실시예 2-2'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시험 전기간 동안의 한우송아지 설사발생 현황과 원인균을 분석한 결과이다. 농가관행구에서 생균제와 IgY를 급여하여, 송아지설사 발생두수에서 C-1구는 4두, C-2구는 2두, C-3구는 1두가 발생하였으나,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0.1 kg 첨가한 시험구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한 결과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송아지 설사예방 효과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독성 및 안정성 시험
실시예 3-1 실험동물 및 시험준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아급성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 80 내지 90 g인 SD계 흰쥐를 70마리 구입하여 7일간 적응시킨 후 육안적으로 일반증상을 관찰하여 건강한 쥐 암?수 모두 64마리(♀ 32, ♂ 32)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2 ± 2℃, 상대습도 55 ± 5%, 명암시간 12시간(light/dark cycle)으로 하고, 사료는 실험동물용 쥐 전용 고형사료를 분말화하여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사료 100 g에 대하여 1g, 3g, 및 5g 혼합첨가 급여하였고, 물은 자유음수 시켰다.
실시예 3-2 증상관찰 및 체중, 사료섭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투여에 따른 일반증상 관찰은 실험동물에 대하여 자유급여하게 하고, 일정시간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하여 매일 주의하여 일반증상의 변화, 중독증상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체중변화 측정방법은 급여전과 급여후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최종 체중에서 실험 개시 전의 체중을 감하여 실험기간 중의 체중 증가량으로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 측정은 매일 일정한 시각에 측정한 후 급여량에서 잔량을 감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3-3 GOT와 GPT 및 면역물질(IgG) 조사
상기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투여에 따른 일반증상 관찰은 실험동물에 대하여 자유급여하게 하고, 일정시간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하여 매일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혈액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의 활성도 측정은 Reitman-Frankel법(1)에 의한 assay kit(아산제약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활성도 단위는 IU/L serum로 표시하였다.
한편, 면역글로불린 측정은 (주)네오딘에 의뢰하여 IgG, IgA, IgE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4 통계학적 분석
모든 실험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던컨의 다중검정으로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시험예 3의 결과
표 9는 실험기간 동안 쥐의 1일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을 나타낸 것이다.
증체량 변화에서 암,수컷 모두 대조군(3.23g)이 다른 처리군보다 가장 적었고,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를 1 내지 5 중량부 첨가한 실험군(4.06~4.59g)은 비슷한 체중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섭취량에서도 암,수컷 모두 대조군(12.34g)이 가장 적었고,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를 1 내지 5중량부 첨가한 실험군(13.5~14.59g)은 비슷한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표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실험군에서 증체량이 더 높고 사료 섭취량 또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2]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2
1)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2) 상기 표에서 '실시예 1-2'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표 13]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3
※ 상기 표에서 '실시예 1-2'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상기 표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흰쥐에게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분말 사료에 전체 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 첨가혼합 한 후, 28일간의 일반 임상 증상을 관찰한 결과, 암?수컷 모두 운동 상태 및 외관변화 등 천연 생약재 사료첨가제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특별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4
※ 사망수/ 총 실험동물수
※ 상기 표에서 '실시예 1-2'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표 14는 시험 쥐의 사망률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흰쥐에게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분말 사료에 전체 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 첨가혼합 한 후 급여하여 SD계 흰쥐에게 28일간 독성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암 ? 수컷 모두 실험기간을 통하여 사망하지 않았다. 최고 투여 용량인 5% 농도에서도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아 LD50 값의 산정은 불가능하였으며, LD50 값은 암?수 모두 5%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표 15]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5
※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 상기 표에서 '실시예 1-2'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표 15에는 면역글로불린 측정결과를 기재하였다. 암컷의 경우, IgG가 대조군이 12.67,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13.67, 17.00, 30.33mg/dL이었다. 사료첨가제를 1중량부 첨가한 군에서는 뚜렷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고 5중량부를 첨가한 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가 있었다. IgA에서는 대조군이 2.00mg/dL 이었고, 실험군인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에서는 각각 0.67, 0.33, 0mg/dL으로 뚜렷한 증강이 나타나지 않았다. IgE에서는 대조군이 0.23mg/dL이었고, 실험군인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에서는 0.6, 0.33, 0.57mg/dL이었다. 수컷의 경우 IgG가 대조군이 7.33 mg/dL, 실험군인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에서는 7.67, 13.67, 9.00mg/dL이었다. 실시예 1-2에 따른 사료첨가제 1중량부 첨가군에서는 뚜렷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고 3중량부에서 가장 높은 증가가 있었다. IgA에서는 대조군이 0.33mg/dL , 실험군인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에서는 각각 0.33, 1.00, 2.00mg/dL으로 사료첨가제의 농도와 비례하여 IgA의 양이 증가하였다. IgE에서는 대조군이 0.23mg/dL, 실험군인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에서는 0.33, 0.47, 0.24mg/dL 으로 나타났다.
상기 시험에서는 일반정상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실시예 1-2의 사료첨가제를 각각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 사료에 첨가혼합하여 쥐에게 급여한 후, 실험군의 간 손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혈액 중의 GOT, GPT의 효소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기재하였다.
[표 16]
Figure 112009073347232-pat00016
※ a-b : 처리구별에 따른 평균치의 통계적인 유의차(p<0.05).
※ 상기 표에서 '실시예 1-2'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의미함.
이상의 시험예 3에서 쥐에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 중에 1중량부 내지 5중량부까지 첨가급여하여 독성실험한 결과, 최고 투여 용량인 5중량부에서도 독성으로 사망하는 일은 없었고, 일반증상에서도 별 다른 행동의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또한 면역글로불린에서는 실시예 1-2에 따른 사료첨가제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IgG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면역성의 향상을 추정할 수 있고, GOT와 GPT에서 간 손상의 증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시험예, 도면 또는 표에 기재된 내용에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한우 송아지와 대조군의 증체량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한우 송아지와 대조군의 설사발병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한우 송아지와 대조군의 설사병 치료일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송아지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를 제품화한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3)

1) 금은화, 포공영, 현지초, 곽향 및 감초를 각각 세절하고 1 : 10의 중량비로 물을 첨가하여 끓인 후 물을 증발시켜서 각각의 열수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열수추출액 각각을 10배의 물로 희석한 후에 동일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3) 백출, 진피, 차전자, 저령, 백복령, 육계, 자소엽, 백지, 대복피, 반하, 길경, 및 택사를 0.3 mm 이하의 미세분말로 분쇄하고 각각의 미세분말을 동일 중량비로 취하여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
4) 상기 단계 2)의 열수추출액 혼합액 : 상기 단계 3)의 혼합분말 : 중탄산나트륨을 1 : 2 : 0.2의 중량비로 준비하여 먼저 상기 열수추출액 혼합액과 단계 3)의 혼합분말을 자동혼합기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기에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진 생균제를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KR1020090116128A 2009-11-27 2009-11-27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13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28A KR101130989B1 (ko) 2009-11-27 2009-11-27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28A KR101130989B1 (ko) 2009-11-27 2009-11-27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08A KR20110059408A (ko) 2011-06-02
KR101130989B1 true KR101130989B1 (ko) 2012-04-23

Family

ID=4439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28A KR101130989B1 (ko) 2009-11-27 2009-11-27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9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884A (ko) 2016-04-01 2016-04-18 (주)비타바이오 차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3563A (ko) 2016-09-20 2016-09-30 (주)비타바이오 차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2830A (ko) * 2019-11-22 2021-06-01 이재훈 진피 및 바실러스 서틸리스 fb001 균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반추동물의 설사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03692A (ko) 2021-06-29 2023-01-06 류인석 송아지 성장 발육 향상을 위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30120943A (ko) 2022-02-10 2023-08-17 류형준 송아지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751B (zh) * 2011-12-21 2013-10-09 朱雅丹 一种治疗小儿腹泻的中药制剂
CN102697931A (zh) * 2012-06-18 2012-10-03 河南惠通天下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抗仔猪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的制备方法
CN102697934A (zh) * 2012-06-25 2012-10-03 陈慧婷 治疗腹泻的黄柏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4543363B (zh) * 2014-12-26 2017-09-15 北京爱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抗菌促生长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101864761B1 (ko) * 2016-01-27 2018-06-05 이문연 반추동물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56791B1 (ko) * 2016-05-19 2016-09-12 이우철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113959B1 (ko) * 2019-12-30 2020-05-21 한석주 생균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KR102181246B1 (ko) * 2020-03-24 2020-11-20 대명에이지 영농조합법인 한우용 사료 조성물
CN112674207A (zh) * 2020-12-30 2021-04-20 衡水市利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止泻木的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87A (ko) * 2000-02-03 2001-08-20 임유광 가축용 육질개선 보조사료
KR20080112557A (ko) * 2007-06-21 2008-12-26 고연호 설사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0915B1 (ko) 2007-11-16 2009-02-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20090070631A (ko) * 2007-12-27 2009-07-01 윤순복 한약재를 주원료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487A (ko) * 2000-02-03 2001-08-20 임유광 가축용 육질개선 보조사료
KR20080112557A (ko) * 2007-06-21 2008-12-26 고연호 설사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0915B1 (ko) 2007-11-16 2009-02-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20090070631A (ko) * 2007-12-27 2009-07-01 윤순복 한약재를 주원료로 하는 발효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884A (ko) 2016-04-01 2016-04-18 (주)비타바이오 차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3563A (ko) 2016-09-20 2016-09-30 (주)비타바이오 차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2830A (ko) * 2019-11-22 2021-06-01 이재훈 진피 및 바실러스 서틸리스 fb001 균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반추동물의 설사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75270B1 (ko) * 2019-11-22 2021-07-08 이재훈 진피 및 바실러스 서틸리스 fb001 균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반추동물의 설사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03692A (ko) 2021-06-29 2023-01-06 류인석 송아지 성장 발육 향상을 위한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30120943A (ko) 2022-02-10 2023-08-17 류형준 송아지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08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89B1 (ko)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TW202008995A (zh) 副乾酪乳酸桿菌gks6之活性物質、含其之組合物及其促進長壽之用途
KR101309583B1 (ko) 닭 전염성질병 예방용 사료첨가조성물
CN102805267B (zh) 用于喂食肉鸡的饲料
KR20120138079A (ko) 닭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l-Sherbini et al. In vitro effect of pomegranate peel extract on Trichomonas tenax
CN105287790B (zh) 一种鸡矢藤提取物及其应用
TW202008998A (zh) 胚芽乳酸桿菌gkm3之活性物質、含其之組合物及其促進長壽之用途
KR100872134B1 (ko) 살균 및 항균 효능이 증진된 가축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Oyedemi et al.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used in the management of oral and skin infections in Ebem-Ohafia District, Abia State, Nigeria
CN114568602A (zh) 一种提高肉鸡生长性能和机体免疫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18073A (ko) 항생제 대체용 가축사료첨가제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058326A (ko) 캐롭 열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TW202008996A (zh) 乳雙歧桿菌gkk2之活性物質、含其之組合物及其促進長壽之用途
CN114177232A (zh) 一种茶叶多酚提取物的提取方法、提取的茶叶多酚提取物及其应用
WO2006115202A1 (ja) ニコチンの毒性軽減組成物
CN106822645A (zh) 一种增强仔猪抗热应激的中药复方制剂及应用
CN109156610A (zh) 一种防治克氏原螯虾烂壳病用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1118067A1 (ja) ネギ属由来の成分を含む免疫賦活剤、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食品組成物、及び免疫賦活方法
KR20190074788A (ko)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KR101479619B1 (ko) 프로폴리스 부산물의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CN115845004B (zh) 一种用于治疗猪腹泻的中药微囊及其制备方法
CN107647122A (zh) 一种用于育肥肉牛的中草药复合饲料添加剂
KR20110080184A (ko)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