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88A -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88A
KR20190074788A KR1020170176398A KR20170176398A KR20190074788A KR 20190074788 A KR20190074788 A KR 20190074788A KR 1020170176398 A KR1020170176398 A KR 1020170176398A KR 20170176398 A KR20170176398 A KR 20170176398A KR 20190074788 A KR20190074788 A KR 2019007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eed
seru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535B1 (ko
Inventor
신용욱
김광연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5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skin-improving or anti-allergic activity containing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seed}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의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꾸지뽕이 속하여 있는 뽕나무과(Molaceae)는 세계적으로 73속 1,00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5속 10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 중 꾸지뽕나무는 인도, 중국, 호주에 각각 3종과 일본에 2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의 남부지역 일대의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Bureau)는 뽕나무과 (Mor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자웅이주이며 줄기에는 1.0~3.5㎝의 가시가 있고 근피는 황색을 띠면서 천근성이며 10월경 붉은 열매가 맺히는 특징이 있다. 식용(잎, 열매), 약용(줄기), 토목공사재, 누에의 사료(잎)등에 이용된다. 또한 꾸지뽕나무 잎을 누에에 먹이면 실을 뽑아 거문고나 가야금 등의 줄을 만드는데 보통의 실을 쓰는 것보다 훨씬 좋고 소리가 맑고 청아하여 멀리 까지 퍼져 나간다고 한다. 이외에도 조경용, 섬유용(잎), 상황버섯 종균 접목 등의 용도로 활용 되어진다.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 강하여 농림업 분야에서 좋은 소득작목이다. 현재 꾸지뽕나무의 줄기와 뿌리는 민간에서 암 치료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줄기와 뿌리는 식품원료로써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서 열매와 잎만이 식용으로 사용가능하여 꾸지뽕잎을 열수 추출하거나 건조 후 분말로 만들어 제빵의 부원료 등으로 열매는 식용으로 잼을 만들거나 술을 담그는데 이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꾸지뽕 잎은 녹차잎과 뽕잎에 비하여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B1, 비타민 B2, 칼슘, 칼륨, GABA(γ-amino byturic acid), 루틴 등의 함량이 높다. 따라서 녹차대용으로서의 엽차, 추출물 로 다수 개발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가시가 많아 농가에서 잎, 열매를 채취하기에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가시가 없는 개량종 보급이 진행중에 있으나 개량종과 재래종간의 약효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보급에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꾸지뽕나무의 항암 활성 물질의 탐색 연구로 간암 세포인 HepG3에 세포독성을 보이는 물질 연구 및 꾸지뽕 근피로부터 소화기계 암세포주에 저해활성을 보이는 이소프레닐레이트 잔톤(isoprenylated xanthone) 또는 이소프레닐레이트 프라바논(isoprenylated flavanones)계에 속하는 물질 분리 해내는 연구를 통해 함암 효능에 대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혈압강하작용, 항우울 작용, 파킨슨병 예방,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억제, 진통완화, 당뇨 예방, 생리통, 냉증완화 소염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꾸지뽕나무의 생리활성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53177호 '건강기능성 식품'은 꾸지뽕 나무의 잎, 느릅나무, 와송 등을 이용한 혈당강하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꾸지뽕 나무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 활성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근 나고야의정서의 발효 등의 국제추세에 따라 자국의 유전자원의 발굴, 보존 등이 강화됨에 따라 중국과 차별화 된 토종 꾸지뽕에 대한 효능을 도출하여 가공제품 수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177호 (2011.07.26)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씨앗 추출물은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급 알코올은 8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항균 효과는 스타필로코쿠스 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 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거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 활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 양태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또는 피부노화 개선 효능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항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학조성물은 혈청에 포함된 IgE 농도, 혈청에 포함된 오브알부민(Ovalbumin)특이 IgE 농도 및 혈청에 포함된 IL-4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항알레르기는 만성천식질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따르면, 미생물 균주 생장을 억제하여 항균력을 갖고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티로시나아제 저해 또는 엘라스타아제 저해 효능을 통해 피부 개선에 도움이 되며, 혈청에 포함된 IgE 농도, 혈청에 포함된 오브알부민 특이 IgE 농도 또는 혈청에 포함된 IL-4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저감 함으로써 항균, 피부개선 및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전자공여(DPPH)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 IgE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의 오브알부민 특이 IgE의 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 내 IL-4사이토카인 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꾸지뽕 잎, 열매, 및 씨앗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미생물 균주 저해활성 측정, 전자공여(DPPH)활성 측정, 페놀 함량 측정,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 천식 유발 마우스 혈청의 IgE농도, 천식 유발 마우스 혈청의 오브알부민 특이 IgE농도, 혈청에 포함된 IL-4사이토카인 농도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씨앗 추출물은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한 것인,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씨앗 추출물은 8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효과 활성으로서 미생물의 생장 억제, 바람직하게는 스타필로코쿠스 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 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거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 활성에 의해 달성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백 또는 피부노화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목적, 예를들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잼,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알레르기의 원인 중 하나로 규명된 혈청 내 IgE농도, 혈청 내 오브알부민 특이 IgE농도 또는 혈청에 포함된 IL-4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알레르기는 만성천식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 그 자체만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 예를들면, 분말, 정제, 과립, 캅셀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꾸지뽕 씨앗 추출물의 제조
경상남도 산청에서 재배된 산음동의목꾸지뽕을 채취, 건조 후 세절하여 80%에탄올을 가하여 끓는점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뒤, 와트만 거름종이(Whatman (No.1) filter paper)로 감암여과하고, 이를 회전증발기로 감압 농축하여 얻은 점조상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에서 건조(PVTFA10AT, ILSIN, Suwon, Korea)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력 실험
하기 표 1에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한 균주를 기재하였고, 각 균주는 한국 유전자은행(KCTC), ATCC에서 각각 분양 받아 휴면 상태로 있는 균을 각각의 균 생육 조건에 따라 배양하는 것을 3회 반복하여 활성화시켰다. 배지는 디프코(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꾸지뽕 열매 및 씨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은 디스크 확산법(paper disc diffusion)으로 검증하였다. 각 세균은 2~3개의 집락 (104-5CFU/mL)을 얻어 접종하였다. 추출물은 DW로 100ug/ul로 용해시켜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직경 8 mm)에 50ul씩 점적하였다. 페이퍼 디스크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 평판 배지에 치상하여 35℃로 유지하여 20-24시간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생육저지대인 투명대(clear zone)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균주명

그람음성 세균, Gram(-)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Escherichia coli KCTC 1039

그람양성 세균, Gram(+)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taphylococcus epidermis KCTC 1917
Streptococcus mutans KCTC 5316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항균 활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CTFW 꾸지뽕 열매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고, CTFE는 꾸지뽕 열매를 80%의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 CTSW는 꾸지뽕 씨앗을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고, CTSE는 꾸지뽕 씨앗을 80%의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나타낸다.
항균활성
CTFW CTFE CTSW CTSE
Salmonella typhimurium 0 0 0 0
Escherichia coli 0 0 0 0
Staphylococcus aureus 0 0 0 13.7
Staphylococcus epidermis 0 0 0 10.7
Streptococcus mutans 0 0 0 13.0
꾸지뽕 씨앗 80% 에탄올 추출물(CTSE)에서 스타필로코쿠스 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 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거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전자공여( DPPH ) 활성 측정
전자공여능은 Blois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즉, 꾸지뽕 열매 및 씨앗을 용매별로 추출한 시료용액에 0.2 mL에 0.2 mM의 희석한 DPPH 용액 0.8 mL을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 로 나타낸다. 도 1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전자공여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 라디칼(DPPH radical) 소거작용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페놀 함량 측정
꾸지뽕 열매 및 씨앗을 용매별로 추출한 시료 1 mL와 10% Na2CO3 1 mL를 혼합하고 2 N 폴린데니스(Folin-denis) 시약을 1 mL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카페인산(caffeic acid)을 이용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페놀 화합물 함량을 환산하였다. 도 2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6.25mg/ml의 추출물 농도에서 꾸지뽕 열매 물추출(CTFW) 2.35ug/ml, 꾸지뽕 열매 80%에탄올 추출(CTFE) 2.22ug/ml, 꾸지뽕 씨앗 물추출(CTSW) 2.44ug/ml, 꾸지뽕 씨앗 80%에탄올 추출(CTSE) 3.53ug/ml으로, 꾸지뽕 씨앗 80%에탄올 추출에서 높은 페놀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페놀 분석과 동일한 시료 200 μL에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500 μL를 넣고 1 N NaOH 50 μL를 혼합하여 볼텍싱(vortexing) 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하고 엘라이자 리더((ELISA reader)로 4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때 표준물질로 나린진(naringin)을 사용하며 3번 반복하여 분석한다. 도 3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6.25mg/ml의 추출물 농도에서 꾸지뽕열매 물추출(CTFW) 1.96ug/ml, 꾸지뽕열매 80%에탄올추출(CTFE) 1.99ug/ml, 꾸지뽕씨 물추출(CTSW) 2.06ug/ml,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CTSE) 2.74ug/ml으로, 총플라보노이드 양도 총페놀 함량 측정결과 동일하게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반응구는 0.1 M Tris-HCI buffer (pH 7.5)에 4 mM 염화칼슘(CaCl2 )을 첨가하여, 4-페닐라조벤질옥시카보닐-Pre-Leu-Gly-Pro-Arg(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 및 시료용액 0.1 ml 의 혼합액에 콜라게나아제 (0.2 mg/ml) 0.15 ml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1.5 ml을 첨가하여 상등액을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도 4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에서 콜라게나아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2.5mg/ml의 추출물 농도에서, 꾸지뽕열매 물추출(CTFW), 꾸지뽕 열매 80%에탄올 추출(CTFE), 꾸지뽕 씨앗 물추출(CTSW)에서는 저해활성이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꾸지뽕 씨앗 80%에탄올 추출(CTSE)에서는 79%로 높은 콜라게나아제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기질로서 N-숙시닐-(L-Ala)3-p-나이트로이닐라이드(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p-나이트로아닐라이드(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서 폴씬 판크리아스 엘라스타아제(porcine pancreas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한다.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1 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트리스-염화수소 버퍼(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엘라스타아제, 판크리아틱 솔루션(pancreatic solution (Type I: From Porcine Pancreas 유래, 0.1 units/ml))용액 0.05 ml를 가한 후 기질로 50mM 트리스-염화수소 버퍼(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숙시닐-(L-Ala)3-p-나이트로이닐라이드(N-succinyl-(L-Ala)3-p-nitroanilide, 0.1mg/ml)을 0.1 ml를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도 5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에서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6.25mg/ml의 농도에서 꾸지뽕 열매 물추출(CTFW) 49.3%, 꾸지뽕 열매 80%에탄올 추출(CTFE) 58.7%, 꾸지뽕 씨앗 물추출(CTSW) 64.9%, 꾸지뽕 씨앗 80%에탄올 추출(CTSE) 78.0%로,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에서 높은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시험관에 pH 6.8의 1/15M 인산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0.5 ml에 10 mM L-DOPA을 녹인 기질액 0.2 ml및 시료용액 0.1 ml를 넣은 혼합액에 110 Unit/ml 버섯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0.2 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키고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 크롬(DOPA chrome)을 마이크로플레이트 ㄹ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6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에서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2.5mg/ml의 농도에서 꾸지뽕열매 물추출(CTFW) 2.4%, 꾸지뽕열매 80%에탄올추출(CTFE) 13.1%, 꾸지뽕씨 물추출(CTSW) 28.3%,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CTSE) 60.7%로,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에서 높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꾸지뽕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능 확인을 위한 동물 모델 제작
오브알부민(chicken egg albumin, grade V) 0.2 % 함유 용액에 수산화알루미늄겔[Al(OH)3 gel을 1:1로 혼합한 액을 0.2 mL 복강투여로 최초 감작시킨다. 복강투여 후 14일에 최초감작과 같은 방법으로 재 감작시킨다. 최초 복강투여 21일부터 30일까지 10일간 매일 네뷸라이저를 이용하여 0.2%의 OVA를 1시간 흡입시킨 뒤, 시험물질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경구투여 한다. 마지막 OVA 흡입 시행한 12시간 후에 에테르를 이용하여 마취한다. 개복하여 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다. 채취한 혈액은 4℃에서 2~4시간 보관 후 원심분리(1,200 g, 15분)를 시행하여 혈청을 분리한다. 혈액을 채취하고 난 후 기관절개를 가하고 기관절개창을 통해 cut-down tube를 삽입하여 기관지 폐포세정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을 채취한다.
시험군 표기 시험군 시험물질 투여용량 투여방법
NOR 정상대조군(NOR) 1xPBS PO
CTR 음성대조군(CTR) 1xPBS PO
Dexa3 양성대조군 Dexamethasone 3mg/kg PO
CTSW200 투여군1 꾸지뽕 씨앗 물 추출 200mg/kg PO
CTSW500 투여군2 꾸지뽕 씨앗 물 추출 500mg/kg PO
CTSE200 투여군3 꾸지뽕 씨앗 80%에탄올 추출 200mg/kg PO
CTSE500 투여군4 꾸지뽕 씨앗 80% 에탄올 추출 500mg/kg PO
CTLW:CTFW=4:1(200) 투여군5 꾸지뽕잎 물추출 + 꾸지뽕열매 물추출=4:1 200mg/kg PO
CTLW:CTFW=4:1(500) 투여군6 꾸지뽕잎 물추출 + 꾸지뽕열매 물추출=4:1 500mg/kg PO
실험예 8.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의 IgE 농도 억제 효과
실시예 2를 통해 분리한 혈청에서 총 IgE양을 엘라이자 키트(Mouse IgE ELISA Set Cat. No. 555248, BD)로 정량한다. 항체를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96-well에 코팅한 후 4℃에서 20시간 방치한다. 각 well을 3회 세척하고 혈청(2배희석)을 100 μL씩 분주한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5회 세척한 다음 항체 Avidin-HRP conjugated 100μL를 처리하고, 1시간실온에서방치한후다시세척하고, 여기에 TMB 기질을 100 μL씩 분주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0 μL의 용액을 처리한 후 ELISA reader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도 7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 IgE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천식모델동물에 시험약물 중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 200(CTSW200)투여한 경우 혈중 IgE 농도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실험예 9.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의 오브알부민 특이 IgE농도 억제 효과
실시예 2를 통해 분리한 혈청에서 오브알부민 특이 IgE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엘라이자(ELISA) 를 실시하였다. 항원으로 OVA 20ug/mL 의 농도로 코팅완충용액에 희석하여 96-well에 코팅한 후 4℃에서 20시간 방치한다. 각 well을 3회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혈청(2배희석)을 100 μL씩 분주한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5회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항체 Avidin-HRP conjugated 100μL를 처리하고,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다시 세척한다. 여기에 TMB 기질을 100 μL씩 분주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0 μL의 용액을 처리한 후 엘라이자(ELISA reader)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도 8은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의 오브알부민 특이 IgE의 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천식모델동물에 시험약물 중 꾸지뽕씨 80%에탄올추출 200(CTSW200)투여한 경우 혈중 오브알부민 특이 IgE 농도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실험예 10.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의 IL- 4사이토카인 (IL-4 cytokine ) 농도 억제 효과
실시예 2를 통해 분리한 혈청의 IL-4사이토카인(IL-4 cyotkine) 농도의 양은 엘라이자(ELISA kit(BD))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도 9는 용매별로 추출한 꾸지뽕 열매 및 씨앗 추출물의 천식유발 마우스 혈청 내 IL-4사이토카인(IL-4 cyotkine) 농도 억제 효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동물의 시험약물 중 꾸지뽕 씨앗 80% 에탄올 추출 200(CTSE200) 및 500(CTSE500) 모두 유의적으로 혈중 IL-4cytokine의 농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씨앗 추출물은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8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효과는 스타필로코쿠스 오우러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 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타필로코거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 활성에 의해 달성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5.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또는 피부노화 개선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꾸지뽕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약학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청에 포함된 IgE, 혈청에 포함된 오브알부민(Ova-albumin)특이 IgE 및 혈청에 포함된 IL-4사이토카인(IL-4cytok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알레르기는 만성천식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70176398A 2017-12-20 2017-12-20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KR10254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98A KR102545535B1 (ko) 2017-12-20 2017-12-20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98A KR102545535B1 (ko) 2017-12-20 2017-12-20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88A true KR20190074788A (ko) 2019-06-28
KR102545535B1 KR102545535B1 (ko) 2023-06-20

Family

ID=6706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98A KR102545535B1 (ko) 2017-12-20 2017-12-20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632A (ko) * 2021-12-15 2023-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팡이 독소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77B1 (ko) 2010-12-31 2011-08-01 박문수 건강기능성 식품
KR20120031800A (ko) * 2010-09-27 2012-04-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상로 뽕나무 열매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당뇨 및 항노화 활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800A (ko) * 2010-09-27 2012-04-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상로 뽕나무 열매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당뇨 및 항노화 활성 조성물
KR101053177B1 (ko) 2010-12-31 2011-08-01 박문수 건강기능성 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산업심포지움 발표집 p.361 (2009.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632A (ko) * 2021-12-15 2023-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곰팡이 독소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53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89B1 (ko) 천연 생약재를 포함하는 송아지의 설사병 예방활성을 가지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A303677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non-pathogenic bacteria and methods for protecting plant and animal hosts from fungal, bacterial and viral diseases
Jimoh et al. Polyphenolic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eaves extracts of Argemone subfusiformis (Papaveraceae) and Urtica urens (Urticaceae)
Ozusaglam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omordica charantia from Turkey
Lohidas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rica papaya L.
Al-Obaidi Studies on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y of Nerium oleander extracts
KR101521125B1 (ko) 복합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성 위염을 포함한 위장관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Isitu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on enteric human pathogens
KR20190074788A (ko) 꾸지뽕 씨앗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피부개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Radwan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 Conte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of Ficus carica L. in Palestine
Kabrah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nion on MSSA and MRSA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Vatľà et al.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Antwi-Boasiako et al. Anti-Microbi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Crude Extracts of Garcinia kola Heckel Stems Used for Oral Health
AU201937555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lphated galactose, and implementations thereof
Falana Estimation of phytochemical compounds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Garcinia kola against some pathogens
Al-Ghamdi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tem extract of Coleus forskohlii L. collected from Al-Baha Area, Saudi Arabia
Woo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complex fermented extracts on LPS-stimulated RAW264. 7 macrophage
KR20200084258A (ko) 황금, 감초, 대추 및 황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Adaramola et al. Assessment of Phytochemical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queous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Azadirachta indica Stem Bark
Youkparigha et al. Phytochemical and Anti-nutritional potentials of leaves and stem-bark of Cathormion altissimum (Hook. f.) Hutch. & Dandy
Kaur et al. Species of the Berberis genus found in the Western Himalayas
KR20190034801A (ko) 연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Shehu et al. Ethnomedicinal potential of Khaya senegalensis (Desr) A. Juss (Mahogany) on pathogenic fungi of vegetables in Sokoto metropolis
Eddine et al. Scavenging Effect, Anti-Inflammatory and Diabetes Related Enzyme Inhibition Properties of Leaves Extract from Selected Varieties of Phoenix dactylifera L
Ochanga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s used as herbal tea in Tanz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