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002A -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 Google Patents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002A
KR20090078002A KR1020080003741A KR20080003741A KR20090078002A KR 20090078002 A KR20090078002 A KR 20090078002A KR 1020080003741 A KR1020080003741 A KR 1020080003741A KR 20080003741 A KR20080003741 A KR 20080003741A KR 20090078002 A KR20090078002 A KR 2009007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soybean fermented
fermented
feed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468B1 (ko
Inventor
정우석
김성기
손종연
최병열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4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9Aspergillus oryz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가압 증자한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에 옥수수, 석회석,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저렴한 비용과 높은 효율로 산란율을 높이고, 유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항균, 면역, 또는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는 기능성 계란 또는 기능성 육류로서 약효물질을 일상생활에서 식품으로 섭취하는 장점이 있다.
대두발효, 콜레스테롤 저하, 산란율 증가, 리놀레산, α-리놀렌산, 아이소플라본,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 var. natto, 계란, 육류

Description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Fermented soybean complex feed and egg and meat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가압 증자한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을 포함함에 의해 산란율 증가와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우수한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에 관한 것이다.
달걀은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거의 함유하여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배제해야 하는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함량이 적은 계란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닭의 생리적 한계로 인해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계란의 생산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란계 에 특수한 성분을 급여하여 만든 영양강화란(특수란)이 국내외에, 특히 일본에 상당히 많은 제품이 나와 있다. 국내에서도, 1990년대부터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특정 영양성분을 강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영양란, 강화란, 자연란 등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런 영양 강화란(특수란)은 농장에서 특수영양소를 첨가한 사료를 배합하여 생산되어 현재 유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난황지질의 구성지방산, 지용성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은 사료에서 계란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요오드,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리놀레산, 알파-리놀렌산, EPA, DHA 및 철분 등을 강화한 기능성 계란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을 강화한 영양 강화란의 개발은 일본 등의 국외에서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카테킨을 강화한 계란은 체내에서 지방축적이나 산화를 방지하고 콜레스테롤의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비타민 E 강화 계란은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기미나 주름, 간장병이나 동맥경화 방지에 효과가 있고, α-리놀렌산을 강화한 계란은 혈중콜레스테롤 억제, 암예방이나 알레르기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콩에는 단백질(약 40%)과 지질(약 25%)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지질의 지방산조성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작용을 갖고 있는 리놀레산(C18:2)을 50% 정도, α-리놀렌산(C18:3)을 7 ~ 10% 정도 함유하고 있다. 산란계의 경우, 계란의 난황과 체조직의 지방산 함량은 사료내의 지방산 조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특히 사료 내 급여지방에서 유래되는 리놀레산의 함량이 높을수록 난황의 조직의 리놀레산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콩에는 여러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콩의 생리활성은 식이섬유, 올리고당, 파이트산, 콩 단백질과 그 펩타이드, 식물성 스테롤, 특히 아이소플라본과 같은 페놀 화합물들에 의해 기인된다. 콩의 주요 아이소플라본인 다이진(daidzin), 제니스틴(genistin)과 이들의 아글리콘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동맥경화,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유방암, 전립선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의 이러한 생리활성은 배당체형태보다는 아글리콘 형태인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등이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콩 중의 아이소플라본은 대부분 포도당 잔기가 β-1,4결합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된장, 청국장, 춘장, 템페와 같은 대두 발효식품에서는 당이 분해된 아글리콘(aglycone)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또한, 근래,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축산물에 잔류물질과 약제내성균의 출현들이 문제시되고 있다. 된장 발효의 주역인 Aspergillus속 곰팡이나 청국장발효의 주역인 Bacillus균은 장내 부패균의 활동을 약화시키고, 병원균의 번식억제효과 등이 있어 항생물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항생제나 농약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콩의 생리활성을 이용하기 위해, 대두를 발효시켜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혼합 사용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작용을 갖는 리놀레산이나 리놀렌산과 같은 필수 지방산이나 아이소플라본과 같은 특정성분의 계란내로 이행되어 영양학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영양 강화란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식용 콩은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사료로서 이용하 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미당류, 대두류 등을 함유한 액체배지에 고초균 또는 납두균을 배양하여 제조한 발효액에 수목함유성분액을 포함한 발효건강사료(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5-0011735호)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발효건겅사료는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없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납두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배양하여 얻어진 발효추출물에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한 SOD(활성산소억제제)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87,546호)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혈압억제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 사료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두를 바실러스속 씨케이 11-4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대두발효 추출물에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등을 넣어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한 억제작용을 갖는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56,241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비용이 많이 들어 사료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효대두를 첨가한 발효복합사료를 닭, 오리, 메추리, 돼지, 또는 소에게 급여하여,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 함량이 높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기능성 계란 또는 식육을 생산할 수 있고, 식용 또는 비식용대두의 이용성 및 부가적 가치를 높인 대두발효복합사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가압 증자한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에 옥수수, 석회석,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한 대두발효복합사료를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압, 동맥경화,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유방암, 전립선암,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약효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과 소, 돼지, 또는 가금류의 육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육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두발효복합사료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가압 증자한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에 옥수수, 석회석,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식용 대두 또는 상기 식용 대두의 정선과정 중에 나오는 비식용 대두를 가압 증자한 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증자대두에 배지에서 배양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접종 배양한 상기 대두발효물에 상기 옥수수, 상기 석회석, 또는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대두발효물에 의한 리놀레산, α-리놀렌산, 또는 아이소플라본을 함유함에 의해 산란율이 높아지고,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우수하고, 면역성, 항균성, 또는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상기 옥수수, 상기 석회석, 또는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에 의해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대두발효물은 식용, 또는 비식용 대두를 가압멸균기를 사용하 여 가압 증자한 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증자대두에 육즙(nutrient broth)에서 배양한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고, 상기 균주가 접종되어 배양된 증자대두를 열풍, 건조하여 형성된다.
상기 대두는 상기 식용 대두, 비상품화되어 비료로 사용되는 비상품성콩인 상기 비식용 대두, 또는 상기 식용 대두와 상기 비식용 대두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일예로, 상기 대두발효물은 식용, 또는 비식용 대두를 상온의 물에 5 ~ 12시간 침지한 후 물을 제거하고, 가압멸균기를 사용하여 80 ~ 150℃에서 10분 ~ 2시간 동안 가압 증자한 후, 30 ~ 80℃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증자대두에 potato dextrose broth(PDB) 또는 nutrient broth에서 20 ~ 60℃, 12 ~ 96시간 배양한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접종한 후, 혼합하여 통기가 잘되도록 하여 20 ~ 60℃에서 12 ~ 96시간 배양하고, 상기 균주가 접종되어 배양된 증자대두를 30 ~ 70℃에서 열풍, 건조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를 첨가하여 제조한 상기 대두발효물의 생균수는 1.0 X 108 cfu/g ~ 5.0 X 108 cfu/g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여 제조한 상기 대두발효물의 생균수는 6.5 X 106 cfu/g ~ 9.5 X 106 cfu/g 이다.
상기 배양된 대두발효물 중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natto)균들은 장내 부패균의 활동 억제 및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 균들이 사멸되지 않는 낮은 온도(30 ~ 70℃)에서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8 ~ 20% 이하가 되도록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건조 대두발효물은 소, 뙈지 또는 닭, 오리, 또는 메추리를 포함한 가금류가 먹기 쉽도록 미세하게 분쇄한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물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법(미국공인분석화학회 분석방법,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에 의하여 행하고, 지방산분석도 AOAC법에 의해 행하고, 아이소플라본 함량 측정은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HPLC(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생리활성 측정에서 아질산염 소거능, 총페놀 함량, SOD유사활성은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측정하고, 항균효과 측정은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물을 포함한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소맥피, 대두박, 콘글루텐밀, 인산수소칼슘(DCP, Dicalcium phosphate), 식염, 우지, 라이신 78, 메치오닌 99, 또는 콜린 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소맥피와 콘글루텐밀은 탄수화물을 더욱 공급하기 위해 포함하고, 상기 대두막은 단백질의 추가 공급을 위해 포함하고, 상기 우지는 지방의 추가 공급을 위해 포함한다. 상기 인산수소칼슘(DCP, Dicalcium phosphate)은 칼슘의 공급을 위해 포함하고, 상기 식염은 생리활성을 위해 포함하고, 상기 라이신 78과 메치오닌 은 필수 아미노산 공급을 위해 포함하고, 상기 콜린 50은 항지방간을 위해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대두발효물 30 ~ 100 중량부, 옥수수 50 ~ 65 중량부, 소맥피 2 ~ 15 중량부, 대두박 2 ~ 15 중량부, 콘글루텐밀 0.1 ~ 10 중량부, 석회석 3 ~ 20 중량부, 인산수소칼슘(DCP, Dicalcium phosphate) 0.1 ~ 10 중량부, 식염 0.01 ~ 5 중량부, 우지 0.01 ~ 3 중량부, 라이신 78 0.01 ~ 5 중량부, 메치오닌 99 0.01 ~ 5 중량부, 콜린 50 0.01 ~ 5 중량부,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함량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은 비타민 A 5,000,000 ~ 20,000,000 I.U, 비타민 D3 1,000,000 ~ 5,000,000 I.U, 비타민 E 5,000 ~ 25,000 I.U, 비타민 K3 500 ~ 4,000mg, 비타민 B1 500 ~ 3,000mg, 비타민 B2 2,000 ~ 8,000mg, 비타민 B6 1,500 ~ 5,000mg, 비타민 B12 8,000 ~ 40,000mcg, 옥시제로(Oxyzero) 3,000 ~ 10,000mg, Ca-판토테닉산 5,000 ~ 15,000mg, 니아신 10,000 ~ 40,000mg, 엽산 300 ~ 1,000mg, 바이오틴 30 ~ 300mg, 망간 40,000 ~ 90,000mg, 아연 40,000 ~ 90,000mg, 철 30,000 ~ 70,000mg, 구리 4,000 ~ 15,000mg, 코발트 30 ~ 300mg, 요오드 500 ~ 3,000mg, 셀륨 30 ~ 400mg, 또는 부형제 30 ~ 30,000mg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는 생리활성을 위한 비타민, 또는 무기질의 복합체이고 부형제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리놀레산, 또는 α-리놀렌산 함량이 높다. 따라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 받은 소, 돼지 또는 닭, 오리, 또는 메추리를 포함한 가금류의 계란 또는 육류에서 상기 리놀레산 또는 상기 α-리놀렌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상기 리놀레산 또는 상기 α-리놀렌산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다.
그리고,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조지방 또는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다.
여기서, 상기 조지방은 에테르를 사용하여 식품에서 지질을 용출시킨 다음 에테르만을 증발시킨 잔유물을 말하며, 예테르로 용출되는 것은 순수한 지방뿐만 아니라 클로로필(chlorophyll), 카로테노이드(carotenoid)와 같은 지용성 색소류나 왁스(wax), 스테로이드(steroid), 또는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단백질은 전 질소를 정량하고 여기에 질소계수를 곱한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다른 식품성분과 비교하면 구성성분으로서 질소를 평균 16% 정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식품 중의 단백질량을 구할 때는 질소량을 측정한 다음 그 질소량에 100/16=6.25를 계수로서 곱하여 산출한다. 이 계수를 질소계수라고 한다. 그 이유는 단백질에는 모두 질소가 포함되어 있으나 질소를 포함하고 있다하여 반드시 단백질이라고 할 수는 없고, 아마이드 화합물, 암모니아 화합물, 퓨린 염기, 또는 크레아틴(creatine) 등의 질소 등은 질소화합물이나 단백질은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 받은 소, 돼지 또는 닭, 오리, 또는 메추리를 포함한 가금류의 계란 또는 육류에서 상기 아이소플라본, 상기 조지방 또는 상기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다.
여기서, 상기 아이소플라본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동맥경화,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유방암, 또는 전랍선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상기 조지방 또는 상기 조단백질은 비발효비발효콩 중에 복합지질이나 복합단백질로 존재하는 성분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natto)균 중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들의 작용에 의해 변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산란율이 높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높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항균성이 높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면역성이 높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총페놀함량,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또는 수소공여능이 높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리놀레산, 상기 α-리놀렌산, 상기 아이소플라본, 상기 조지방 또는 상기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아 산란율을 높인다.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에서 상기 리놀레산, 상기 α-리놀렌산, 상기 아이소플라본, 상기 조지방 또는 상기 조단백질은 난황에 전이되고, 생리활성을 유도하므로 상기 가금류의 산란율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은 영양란 또는 강화란의 기능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소 또는 돼지의 발육과 생산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소, 돼지, 닭, 오리, 또는 메추리를 포함하는 가금류의 육류에서도 육류의 색이 선명해지며 발색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맛이 좋아진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리놀레산, 상기 α-리놀렌산, 또는 상기 아이소플라본을 함유하므로, 콜레스테롤의 저하 작용이 우수하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유해 콜레스테롤이라고 알려진 저밀도콜레스테롤이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대두발효물에 포함된 체내 흡수성이 좋고, 생리활성이 강한 아글리콘을 포함한 상기 아이소플라빈을 함유하므로 항균성과 면역성이 높게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아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총페놀 함량이 증가되므로, 스트레스 해소, 피로 회복, 동맥경화 예방, 폐경기 증후군 예방, 골다공증 예방, 유방암 예방, 전립선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아질산염 소거능, 상기 SOD 유사활성, 또는 상기 수소공여능이 높아 생리활성을 높게 유도한다.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닭, 오리, 메추리, 돼지, 또는 소용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최종 생산품의 품질과 가격에 따라 식용 대두 또는 비식용 대두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성분들의 함량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 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육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 받은 닭, 오리, 메추리, 소, 또는 돼지는 고혈압, 동맥경화,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유방암, 전립선암,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리놀레산, α-리놀렌산, 또는 아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약효물질을 함유한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과 소, 돼지, 또는 가금류의 육류를 생산하고, 상기 알과 육류를 섭취함에 의해 상기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식용 대두 또는 비식용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에 옥수수, 석회석,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하여 형성하므로, 저렴한 비용과 높은 효율로 산란율을 높이고, 유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항균, 면역, 또는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 및 육류는 기능성 계란 또는 기능성 육류로서 약효물질을 일상생활에서 식품으로 섭취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비식용 대두는 농촌진흥청에서 받아 사용하였으며, 품종은 대원콩(2006년 경기도 수확)이었다. 비식용 대두발효 제조에 이용한 균주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황국, 수원발효식품연구소 분주)이었다.
비식용대두를 상온의 물에 8시간 침지한 후 물을 뺀 다음, 가압멸균기를 사용하여 121℃에서 1시간 동안 가압 증자한 후 50℃로 냉각하였다. 균주는 별도로 potato dextrose broth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26℃에서 48시간 배양하고, nutrient broth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를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냉각시킨 증자대두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를 단독 또는 혼합 접종한 후, 잘 혼합하여 통기가 잘 되도록 하여 4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를 첨가하여 제조한 대두발효물의 생균수는 1.8 X 108 cfu/g 이었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여 제조한 대두발효물의 생균수는 7.5 X 106 이었다. 배양된 대두발효물 중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균주들은 장내 부패균의 활동 억제 및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 균주들이 사멸되지 않는 낮은 온도(60℃ 이하)에서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된 건조 대두 발효물은 닭이 먹기 쉽도록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측정방법
(1) 일반성분 분석 : AOAC법에 의하여 행하였다.
(2) 지방산분석 : AOAC법에 의해 행하였다.
(3) 아이소플라본 함량 측정 :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HPL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아질산염 소거능, 총페놀 함량, SOD유사활성 :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측정하였다.
(5) 항균효과 측정 :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산란계 사료 조제 및 실험방법
3-1 실험 산란계의 사육
약 20주령의 Hi-Line 종 산란계 150수를 종계장으로부터 구입한 후 한경대학교 실험농장에서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산란율이 일정할 때까지 사육하여 산란율이 꾸준한 40수를 선정한 다음 5개 군으로 나누어 각 구당 8마리의 반복이 되도록 각 산란케이지 당 1수씩 도 1과 같이 임의 배치하였다.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사료는 도 2와 같이 매일 16:00시에 1일 120g 씩 급여하고 다음날 잔량을 측정하여 일당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산란계는 아침 6시에서 밤 10시 소등되도록 하였다.
3-2 실험사료 조제
비식용 대두발효물 15%를 NRC 사양표준에 준하여 산란계의 영양소요구량이 만족되도록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각각 첨가하여 실험사료를 조제하였다. 이때 각 실험사료는 옥수수 또는 대두박을 대치하여 사료 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에너지 함량이 동일하도록 제조하였다. 비타민-무기질 혼합물(Premix-B, 홍성사료)은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첨가하였다.
산란계용 사료에 대한 비식용 대두 발효콩의 배합비(%)
원료명 비발효대두물 발효대두물 1 발효대두물 2 발효대두물 3
옥수수 60.2 58.2 57.2 61.2
대두발효물 0 15 15 15
소맥피 7 7 7 7
대두박 17 7 8 4
콘글루텐밀 2 2 2 2
석회석 8.52 8.52 8.52 8.52
DCP 1 1 1 1
식염 0.3 0.3 0.3 0.3
우지 3.5 0.5 0.5 0.5
라이신 78 0.15 0.15 0.15 0.15
메치오닌 99 0.13 0.13 0.13 0.13
콜린 50 0.05 0.05 0.05 0.05
비타민-무기질 혼합물 0.15 0.15 0.15 0.15
100 100 100 100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의 성분 조성
성분명 함량(Kg당) 성분명 함량(Kg당)
Vitamin A 12,000,000 I.U Niacin 20,000mg
Vitamin D3 3,000,000 I.U Folic acid 500mg
Vitamin E 15,000 I.U Biotin 100mg
Vitamin K3 2,000mg Mn 65,000mg
Vitamin B1 1,500mg Zn 65,000mg
Vitamin B2 4,000mg Fe 50,000mg
Vitamin B6 3,000mg Cu 9,000mg
Vitamin B12 15,000mcg Co 100mg
Oxyzero 6,000mg I 1,000mg
Ca-Pantothenic acid 8,000mg Se 150mg
부형제 30~30,000mg
3-3 계란의 품질 특성 측정
(1) 산란율 : 실험 개시 후, 매일 산란수를 측정하여 평균 산란율을 조사하였다.
(2) 생산량(난중) : 각각의 계란의 무게를 측량한 후 합계를 구하였다.
(3) 난질 검사 : 매주 목요일과 금요일에 생산된 계란을 무작위로 처리구당 각각 10개씩 수집하여 난질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난각 색 : 난각색 측정기(QCR, shell colour reflectometer, England)를 이용하여 계란의 중앙부에서 측정하였다. white plate를 0%, black plate를 8 0%를 기준으로 하여 %로 측정하였다.
(5) 난각 강도 : 난각 강도계(FHK CO., Japan)를 이용하여 계란의 둔단부를 위로하여 수직으로 고정하고 압력을 가하여 파각되는 순간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6) 난각 두께 : 난각두께는 측정기(QCT, shell thickness micrometers 사용, England)를 사용하여 계란의 중앙부에서 난각 파편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7) 난백높이 : 난백높이를 측정기(QCH, albumen height gauge, England)를 이용하여 외부와 난황까지의 넓은 난백부분의 도 3의 화살표로 표시된 중간지점에서 측정하였다.
(8) Haugh unit : 계란의 신선도의 측정기준인 Haugh unit는 난백높이와 난중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H.U = 100*LOG(난백높이-(32.20.5*(30*난중0 .37-100))/100+1.9)
(9) 난황색 : QCC yolk colorimeter(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실험결과
4-1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성분 분석 결과
하기 표 3에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일반성분 분석결과를 나타내었고, 하기 표 4에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아이소플라본 함량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식용 대두 발효물의 일반성분(%)
구분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 조섬유
비발효대두물 10.6 16.2 27.2 5.9 8.2
발효대두물 1 8.6 20.2 31.7 5.3 5.7
발효대두물 2 7.5 20.3 29.4 5.1 6.3
발효대두물 3 8.1 20.3 30.6 5.2 6.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식용대두를 발효시킨 발효대두물 1, 발효대두물 2, 발효대두물 3의 경우, 비발효대두물에 비해 조지방과 단백백질의 함량이 높아지며, 조회분과 조섬유의 함량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방과 조단백질의 증가는 비발효콩 중에 복합지질이나 복합단백질로 존재하는 성분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natto)균 중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들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식용 대두 발효물중의 아이소플라본 함량(mg/100g)
구분 배당체(glycoside) Daidzin Genistin 아글리콘(aglycone) Daidzein Genistein 총 함량
비발효대두물 45.63±0.58 26.75±1.20 0.57±0.40 8.85±0.33 81.80±1.77
발효대두물 1 43.08±0.33 46.89±0.35 11.85±0.97 28.87±1.26 130.70±2.00
발효대두물 2 43.63±1.12 45.33±0.31 15.69±1.24 34.87±0.59 139.52±2.18
발효대두물 3 42.48±1.01 47.22±0.68 14.46±0.29 35.53±1.78 139.69±1.76
발효대두물 1 : Aspergillus oryzae 발효, 발효대두물 2 : Bacillus subtilis var. natto 발효, 발효대두물 3 : Aspergillus oryzaeBacillus natto 발효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발효대두물의 아이소프라본 총 함량은 81.22mg/100g이었으나, 발효대두물 1, 발효대두물 2, 발효대두물 3의 경우는 127~148mg/100g으로 1.6~1.8배 정도의 증가를 보였으며, 발효대두물 2와 발효대두물 3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체내 흡수성이 좋고, 생리활성이 강한 아글리콘이 크게 증가되어 산란계의 면역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식용대두를 발효시킨 결과, 아이소플라본, 특히, 체내 흡수성이 좋고, 생리활성이 강한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닌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란계의 면역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생리활성 분석 결과
하기 표 5에 비식용대두발효물의 생리활성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식용 대두발효물 중의 총페놀함량, 아질산염소거능 및 SOD유사활성
구 분 총페놀함량 (%) 아질산염소거능(%) SOD유사활성(%) 수소공여능
비발효대두물 2.1 34.2 25.4 22.9
발효대두물 1 4.3 55.2 81.6 28.5
발효대두물 2 7.6 92.5 64.1 54.2
발효대두물 3 6.0 70.4 80.9 41.7
발효대두물 1 : Aspergillus oryzae 발효, 발효대두물 2 : Bacillus subtilis var. natto 발효, 발효대두물 3 : Aspergillus oryzaeBacillus natto 발효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페놀 함량, 아질산염 소거능, 수소공여능의 생리활성은 발효대두물이 비발효대두물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발효대두물 중에서는 발효대두물 2이 가장 높았으며, SOD유사활성은 발효대두물 1 및 발효대두물 3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비식용대두발효물의 향균효과 분석 결과
하기 표 6에 비식용대두발효물의 향균효과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식용 대두발효물의 항균효과 비교
Microorganisms tested 농도 (μg /disc) 비발효 대두물 발효대두물 1 발효대두물 2 발효대두물 3
Bacillus cereus KCCM 40935 4000 - - ++ ++
2000 - - ++ -
1000 - - + -
500 - - - -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4000 ++ ++ ++ ++
2000 + ++ ++ ++
1000 - ++ ++ +
500 - - +
Escherichia coli KCCM 11234 4000 - - ++ ++
2000 - - ++ ++
1000 - - + -
500 - - - -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4000 - + - -
2000 - - - -
1000 - - - -
500 - - - -
- No inhibition (8mm), ± Very slight inhibition (8~9mm), + Slight inhibition (9~10mm), ++ Moderate inhibition (10~14mm)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대두물 1, 발효대두물 2, 발효대두물 3의 발효대두물은 비발효대두물에 비해 항균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발효대두물 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Salmollea enteritidis에 대한 항균성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5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에 의한 계란의 품질향상
5-1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한 닭의 산란율 , 계란의 무게, 난각두께
하기 표 7에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한 닭의 산란율, 계란의 무게, 난각두께를 나타내었다.
실험은 2007년 7월 1일 ~ 2007년 8월 31일 수행하였다.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한 닭의 산란율, 계란의 무게, 난각두께
구분 계란무게 (g) 산란율 (%) 산란율증가율1 (%)(비발효탈지대두사료 대비) 난각 강도 (Mpa) 난황색2 난백높이 (mm)
비발효탈지 대두사료 (n=1000) 61.0 ± 0.23 87.3 ± 0.15 0 0.35 ± 0.02 6.8 ± 0.2 6.91 ± 0.30
대두발효물1 복합사료 (n=1000) 60.1 ± 1.06 89.3 ± 0.13 2.3 0.33 ± 0.01 7.0 ± 0.1 6.50 ± 0.28
대두발효물2 복합사료 (n=1000) 60.8 ± 0.34 91.9 ± 0.12 5.3 0.36 ± 0.01 7.0 ± 0.1 7.05 ± 0.39
1 : 산란율증가율 = ((대두발효물복합사료-비발효탈지대두사료) / 비발효탈지대두사료) × 100
2 : white plate : 0%, black plate : 80%를 기준으로 하여 %로 측정
n=계란의 갯수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두발효물 첨가에 의한 난각의 강도, 계란의 무게, 난황의 색, 난백의 높이에 대한 효과는 없었으나, 대두발효물 2 복합사료에서는 산란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대두발효물 2 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은 일반사료인 비발효탈지대두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해, 5.3% 정도의 산란율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5-2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한 계란의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하기 표 8에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한 계란의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은 2007년 7월 1일 ~ 2007년 8월 31일 수행하였다.
비식용대두발효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한 계란의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구 분 지방함량 (%) 계란의 지방산 조성(%)
팔미트산 (C16:0) 스테아린산 (C18:0) 리놀레산 (C18:2) 리놀레산1 증가율(%) (C18:2) α-리놀렌산 (C18:3) α-리놀렌산2증가율(%) (C18:3)
비발효탈지 대두사료(n=120) 31.2±0.1 25.6±0.3 9.3±0.1 12.0±0.3 0.0±0.0 0.0±0.0 0±0.0
대두발효물 1 복합사료(n=120) 31.2±0.2 25.5±0.2 10.1±0.2 16.5±0.1 37.5±0.1 0.8±0.2 80±0.2
대두발효물 2 복합사료(n=120) 30.1±0.3 25.2±0.1 9.7±0.3 16.0±0.2 33.3±0.2 0.9±0.2 90±0.2
대두발효물 3 복합사료(n=120) 31.1±0.2 25.6±0.2 9.3±0.2 18.0±0.2 50.0±0.2 0.9±0.1 90±0.1
시판계란(n=8) 30.8±0.3 26.4±0.1 8.4±0.1 13.6±0.1 13.3±0.1 0.0±0.0 0.0±0.0
대두발효물 1 복합사료: Aspergillus oryzae 발효, 대두발효물 2 복합사료: Bacillus subtilis var. natto 발효, 대두발효물 3 복합사료: Aspergillus oryzaeBacillus natto 발효
1 : 리놀레산증가율 = ((대두발효물복합사료-비발효탈지대두사료) / 비발효탈지대두사료) × 100
2 : α-리놀렌산증가율 = (대두발효물복합사료-비발효탈지대두사료) × 100
n=계란의 갯수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은 일반사료인 비발효탈지대두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에 비해, 리놀레산(C18:2)증가율이 33 ~ 50%이고, α-리놀렌산(C18:3)증가율이 80 ~ 90%이다. 대두 중에 함유되어 있던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이 계란내로 이행된 결과로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비식용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한 계란 중의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의 함량(사육기간 8주)을 나타내었고, 도 5와 같이, 비식용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사육기간 8주)을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두발효물복합사료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 함량이 16.9 ~ 18.9%이고, 일반사료인 비발효탈지대두사료는 12.0%로 대두발효물복합사료는 비발효탈지대두사료에 비해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 함량이 40.8 ~ 57.5%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대두발효물 3 복합사료의 경우, 그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먹일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있는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이 높은 영양학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비식용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은 일반사료인 비발효탈지대두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에 비해, 난황 중의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중의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1376 ~ 1408mg%로, 비발효탈지대두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중의 콜레스테롤의 함량 1600mg%에 비해 12.0 ~ 14%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대두발효물 3 복합사료의 경우, 가장 감소폭(14.0%)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두발효물 2 복합사료(13.6%)와 큰 차이는 없었다. 난황의 콜레스테롤이 어느 정도 떨어지면 산란율 등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두발효물을 난황 콜레스테롤 저하목적으로 산란계 사료에 첨가할 경우, 사료 100%에 대해 40%보다 낮게 첨가하고,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의 계란내로의 이행과 콜레스테롤 저하의 병행효과를 목적으로 할 때는 15% 정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식용대두를 발효하여 산란계 사료에 첨가할 경우, 산란계의 면역성 증진효과는 물론, 기존의 계란보다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의 함량이 높고, 난황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영양학적, 생리적으로 우수한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러한 효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 사육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산란계에 급여하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백높이 측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한 계란 중의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두발효물복합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가압 증자한 대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킨 대두발효물에 옥수수, 석회석,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을 포함한 대두발효복합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물은 식용, 또는 비식용 대두를 가압멸균기를 사용하여 가압 증자한 후,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증자대두에 배지에서 배양한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 나토(Bacillus subtilis var . natt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고, 상기 균주가 접종되어 배양된 증자대두를 열풍,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물을 포함한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소맥피, 대두박, 콘글루텐밀, 인산수소칼슘(DCP, Dicalcium phosphate), 식염, 우지, 라이신 78, 메치오닌 99, 또는 콜린 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상기 대두발효물 30 ~ 100 중량부, 옥수수 50 ~ 65 중량부, 소맥피 2 ~ 15 중량부, 대두박 2 ~ 15 중량부, 콘글루텐밀 0.1 ~ 10 중량부, 석회석 3 ~ 20 중량부, 인산수소칼슘(DCP, Dicalcium phosphate) 0.1 ~ 10 중량부, 식염 0.01 ~ 5 중량부, 우지 0.01 ~ 3 중량부, 라이신 78 0.01 ~ 5 중량부, 메치오닌 99 0.01 ~ 5 중량부, 콜린 50 0.01 ~ 5 중량부, 또는 비타민-무기질 혼합물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무기질 혼합물은 비타민 A 5,000,000 ~ 20,000,000 I.U, 비타민 D3 1,000,000 ~ 5,000,000 I.U, 비타민 E 5,000 ~ 25,000 I.U, 비타민 K3 500 ~ 4,000mg, 비타민 B1 500 ~ 3,000mg, 비타민 B2 2,000 ~ 8,000mg, 비타민 B6 1,500 ~ 5,000mg, 비타민 B12 8,000 ~ 40,000mcg, 옥시제로(Oxyzero) 3,000 ~ 10,000mg, Ca-판토테닉산 5,000 ~ 15,000mg, 니아신 10,000 ~ 40,000mg, 엽산 300 ~ 1,000mg, 바이오틴 30 ~ 300mg, 망간 40,000 ~ 90,000mg, 아연 40,000 ~ 90,000mg, 철 30,000 ~ 70,000mg, 구리 4,000 ~ 15,000mg, 코발트 30 ~ 300mg, 요오드 500 ~ 3,000mg, 셀륨 30 ~ 400mg, 또는 부형제 30 ~ 30,000m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리놀레산, 또는 α-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조지방 또는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산란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항균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면역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총페놀함량,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또는 수소공여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발효복합사료는 닭, 오리, 메추리, 돼지, 또는 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발효복합사료.
  15. 제1항에 기재된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계란, 오리알, 또는 메추리알.
  16. 제1항에 기재된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균 작용, 면역 작용, 또는 생리활성작용이 있는 육류.
KR1020080003741A 2008-01-14 2008-01-14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KR10091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41A KR100912468B1 (ko) 2008-01-14 2008-01-14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41A KR100912468B1 (ko) 2008-01-14 2008-01-14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02A true KR20090078002A (ko) 2009-07-17
KR100912468B1 KR100912468B1 (ko) 2009-08-14

Family

ID=4133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741A KR100912468B1 (ko) 2008-01-14 2008-01-14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4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8096A (zh) * 2009-09-09 2011-04-20 Cj第一制糖株式会社 使用杆菌菌株制备发酵大豆粉的方法
KR101274018B1 (ko) * 2011-05-12 2013-06-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발아 및 발효콩을 이용한 기능성 양돈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549200A (zh) * 2013-11-06 2014-02-05 安徽农业大学 促进肉犊牛生长和提高饲料转化率的添加剂预混合饲料
CN104304705A (zh) * 2014-09-15 2015-01-28 凤台县靳氏禽业有限公司 一种含玉米根营养肉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746429A (zh) * 2016-02-26 2016-07-13 汉世伟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改善生猪肉质的生猪养殖方法
CN107801856A (zh) * 2017-09-22 2018-03-16 无为县国宏生态园有限公司 一种成熟期果子狸的营养饲料添加剂
KR101971984B1 (ko) * 2018-10-05 2019-04-24 한석주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20200063793A (ko) * 2018-11-28 2020-06-05 피준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96B1 (ko) * 1991-02-13 1994-08-18 주식회사 퓨리나코리아 오메가란 및 오메가 가금육, 이의 생산방법 및 이의 생산용 배합사료
KR20040051096A (ko) 2002-12-11 2004-06-18 수원지구축산업협동조합 동충하초 포함 돼지사료용 조성물
KR200372159Y1 (ko) * 2004-10-20 2005-01-14 주식회사 디엠디 1군 2왕용 급수기
KR100752958B1 (ko) * 2007-04-06 2007-08-30 이현석 닭사료 첨가용 청국장 분말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분말이포함된 닭사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8096A (zh) * 2009-09-09 2011-04-20 Cj第一制糖株式会社 使用杆菌菌株制备发酵大豆粉的方法
KR101274018B1 (ko) * 2011-05-12 2013-06-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발아 및 발효콩을 이용한 기능성 양돈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549200A (zh) * 2013-11-06 2014-02-05 安徽农业大学 促进肉犊牛生长和提高饲料转化率的添加剂预混合饲料
CN104304705A (zh) * 2014-09-15 2015-01-28 凤台县靳氏禽业有限公司 一种含玉米根营养肉鸭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746429A (zh) * 2016-02-26 2016-07-13 汉世伟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改善生猪肉质的生猪养殖方法
CN107801856A (zh) * 2017-09-22 2018-03-16 无为县国宏生态园有限公司 一种成熟期果子狸的营养饲料添加剂
KR101971984B1 (ko) * 2018-10-05 2019-04-24 한석주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KR20200063793A (ko) * 2018-11-28 2020-06-05 피준수 밀웜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468B1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Effects of dietary natural and fermented herb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er-finisher pigs
KR101729913B1 (ko)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Cao et al. Effect of feeding fermented Ginkgo biloba leave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lipid metabolism in broilers
KR100912468B1 (ko)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Pirgozliev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endogenous losses of broilers fed wheat-based diets with and without essential oils and xylanase supplementation
KR101816828B1 (ko) 가축의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idura et al. Effect of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in diets on laying hens performance, β-carotene, cholesterol, and minerals contents in egg yolk
KR20180024830A (ko)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KR20090005729A (ko) 식물성 천연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Sugiharto et al. Effect of a Fermented Mixture of Papaya Leaf and Seed Meal on Production Traits and Intestinal Ecology of the Indonesian Indigenous Crossbred Chickens.
Ahmad et al. Effects of replacing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with botanical extracts and oils in feed of laying hen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some microbial counts in feces.
KR20170086196A (ko) 미강 조성물 및 발효 미강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1147923A1 (en) Fermented product comprising phytochemicals
Partovi et al. Breast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ts oxidative status during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and growth capabilities of Japanese quail fed by Echinacea purpurea extract.
KR100485057B1 (ko) 감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161025B1 (ko) 꾸지뽕나무잎과 줄기를 이용한 발효추출물과 분말을 포함하는 새우 사료용 조성물
KR102182984B1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974006A (zh) 一种提高猪生长性能和改善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20100037312A (ko)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00037309A (ko)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Hassan Effect of some nutritional treatments of olive cake meal on ducks performance under South Sinai conditions
KR102237526B1 (ko) 오르니틴 생성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ikim47를 이용한 마늘 발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