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830A -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830A
KR20180024830A KR1020160111741A KR20160111741A KR20180024830A KR 20180024830 A KR20180024830 A KR 20180024830A KR 1020160111741 A KR1020160111741 A KR 1020160111741A KR 20160111741 A KR20160111741 A KR 20160111741A KR 20180024830 A KR20180024830 A KR 2018002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megranate
fermented
probiotics
feed
ginkgo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주
고석영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830A/ko
Publication of KR2018002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 발효물를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첨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사료효율(gain/feed, G/F)을 개선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육계 또는 자돈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성돈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사료 조성물에 배합하여 육계 또는 자돈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 또는 자돈의 육성기에 급여하여 돼지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사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A feed additive comprising the fermented natural materials and a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석류와 은행잎 또는 유자박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계 또는 자돈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국민 식생활이 서구화 경향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축산물 섭취의 증가로 인해 우리 축산업은 가축의 질병예방과 치료 및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항생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축산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관심증대로 가축사료에 항생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정당성이 광범위하게 도전받고 있으며, 배합사료 제조 시 혼합 가능한 동물용의약품이 농림수산식품부 고시(2004)에 의거 53종에서 25종으로 축소된 바 있으며, 2007년 12월부터는 18종으로 축소되었다. 동물 자체 내성 및 인체 사용 항생제와 교차내성에 따라 지속적인 감축이 요구되고 있어 2012년부터는 항콕시듐제를 제외한 성장촉진용 항생제(GPA)의 사용이 전면 금지되었다.
최근 천연항균물질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제 연구가 다양화되고 있으나 그 성과가 미미하며, 가축의 체내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에 대한 탐색과 생체면역을 종합적으로 증강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침입하는 질병 원인체에 대한 면역증강을 유도하는 제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Synbiotics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단순한 형식의 생균제 제조를 변경하여 배양액을 건조하여 재사용하는 방식 또는 부형제를 배양물로 사용하는 방식과 더 나아가 기능성 물질, prebiotics를 추가하는 등의 생산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어 Synbiotics의 생균제는 단순한 생균제보다 효과가 우수하고 어린가축에서 성축까지 적용할 수 있다. Synbiotics 개념의 생균제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추가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으로 생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활성이 있는 천연물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천연물 항균제 분야에서도 부작용과 내성이 적은 식물 추출물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풍부한 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Prebiotics는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들의 성장과 활력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숙주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는 비소화성 식품 성분들을 총칭하는 물질이다. 특히, 생균제와 특정 기질을 함께 사용하여 유발되는 시너지효과에 의해 생균제의 활력이 증가되며, 이에 의한 자돈의 건강증진 효과가 상승된다는 결과 (Paker, 1974)가 발표된 이후, 생균제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중 하나인 prebiotics는 사료 첨가제로서의 이용이 고려되어 왔다. Prebiotics는 특정균주의 선택적인 성장을 촉진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을 변화시키며, 대표적으로 fructooligosaccharides (FOS)와 inulin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가축사료에 투입되고 있는 항생제는 장기간의 휴약기간이 지나야 완전히 분해 배출되는데, 이러한 기간 전에 가축이 출하 및 식용될 경우에는 가축 내 잔여 항생제로 인하여 그 육제품을 섭취한 인체에서는 위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세균에서 내성을 함유한 유전물질인 플라스미드의 접합이라는 전달에 의해 다른 세균으로 전이될 경우, 살모넬라균과 식중독균 등의 발생을 유발하는 등 보건 위생에 매우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종래 항생물질이 첨가된 사료첨가제는 동물이나 사람에게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축의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졌으며, 더욱이 그러한 사료첨가제가 안전성 측면에서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생제를 대신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대체물질이 첨가된 새로운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료첨가제로는 생균제(Probiotics), 산제(Acidifiers), 효소제(Enzymes), 광물질 첨가제(Mineral supplements) 그리고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동물(Zasloff, 1987; Skerlavaj등, 1999; Henzler 등, 2003;)과 식물(Taniguchi와 Kubo, 1993; Broekaert 등, 1995;)에서 추출된 천연 항균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s, AMPs)가 발견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식품 중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아스코브산 및 토코페롤, 페놀성 화합물, 플라본 유도체, 아미노산 등이 알려져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항산화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생제 대체물질로서 대체효과가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여 사료첨가제로서 실용화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석류 및 은행잎의 혼합 추출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혼합 추출물을 발효시킨 추출 발효물이 사료효율(gain/feed, G/F)을 개선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육계 또는 자돈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가축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가축에게 급여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석류 및 은행잎의 혼합 추출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혼합 추출물을 발효시킨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가축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축은 육계 또는 자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석류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는 아프가니스탄과 서북부에 자생하던 식물로써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 종교의식과 예술, 신화에 사용되었다. Pomegranate라는 이름도 프랑스어인 promergates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씨가 있다는 "granatus"와 사과를 의미하는 "pomun"의 두 단어가 결합된 것이 석류의 어원이라고 한다 (Jurenka, 2008).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광양에서 과수원 형태로 재배되고 있다. 국내 재배 품종은 그 맛에 따라 신석류 (신맛이 강한 산과), 단석류 (단맛이 강한 감과)로만 구분되며, 기후 차이로 과일의 크기가 중동산에 비해 작은 편이다 (김학규 등, 1994). 전라남도 고흥에서 2002년부터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산량이 많지 않고 당도가 낮아 주로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Shim, 2001).
석류의 효능에는 외피는 약리 작용으로는 위속에서 이상 발효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장을 튼튼하게 하고 휘발성 alkaloid 성분은 회충, 촌충 등의 기생충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특히 껍질에는 점액과 가수분해 되어 엘라긴산을 생성하는 탄닌질 (Sin, 2005)이 함유되어 있어 수렴제나 설사, 이질 대하증 (서자명, 1998), 항산화 (Jin, 2007)의 효능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석류 알맹이는 목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것을 멎게 하며 (Wynder, 1997), 열매는 사과산 (mali acid), 구연산(citric acid)등의 유기산이 들어있고, 엘라긴산 (ellagic acid)을 생성하는 타닌질이 함유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선호, 2005). 또한 석류 추출액 중에는 anthocyanin과 phenol성 화합물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항미생물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Kim, 2005)되고 있다.
최근에는 석류를 쥬스 (Juice), 과피 (peel), 그리고 종자유 (seed oil)로 분리, 추출하여 다양한 활성들에 관해 연구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석류 쥬스에 포함된 polyphenolic 항산화성분을 고콜레스테롤혈증 실험쥐에게 투여한 결과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EC)에서 유의성있게 동맥경화중의 진행을 감소시켰다 (Nigris 등, 2005). 석류 쥬스에서 추출한 flavonoids가 arterial macrophage에서 동맥경화증 발생에 유의성있는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서 (Aviram 등, 2004), 고혈압 환자들에게 석류 쥬스 음이용이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되고 있다 (Aviram 등, 2001). 또한 석류 추출물이 estrogen효과가 있다고 밝혀지면서 난소적출된 쥐에게서 감소된 골 밀도가 정상으로 회복되고 골 부피 증가와 섬유질 분포가 증가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또 석류추출물이 여성들의 폐경기 증후군의 우울상태와 골 손실에 임상적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Mori-Okamoto 등, 2004). 석류 과피 추출물은 catalase, peroxidase 및 superoxide dismutase (SOD)와 같은 산화효소를 억제하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CCI4로 유발된 간독성 실험쥐 모델에서 간보호 작용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보고되었다 (Chidambara Murthy 등, 2002).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은행나무 (Ginkgo biloba L.)는 약 1억 5천만 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하여 살아 있는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약 5천만 년 전부터 천식이나 기관지염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Kleijnen, 1992). 낙엽교목으로 잎은 짧은 가지 끝에 한 군데에서 3∼5개씩 뭉쳐나는데 부채모양에 가운데가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고 평행맥이 있다. 꽃은 자웅에서 4∼5월에 피며 보통 9월 상순에 정자를 내고 수정을 하는데 과실은 핵과로서 구형이다. 10월에 성숙하고 외종피는 다육으로 식용, 약용, 관상용, 공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은행나무에서 주로 그 이용부위는 종자, 줄기잎, 종피, 수피이며 용도는 진해, 강장, 종기 폐결핵, 방충약, 수렴약, 고혈압, 당뇨병 등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박 등, 2002; 송 등, 1989). Figure 1은 은행잎에 함유된 성분에 대한 설명이다. Flavonoid, Diterpene, Sesquiterpene polyphenol, Polysaccharide, Catechin, Tannin 및 유기산 등이 보고되었다 (Huh, 1990; 김 등, 1995). 특히, Flavonoid계 화합물은 은행잎의 엑기스에 대략 50%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Agnoli, 1984).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는 라틴어로 노란색을 의미하는 플라부스 (Flavus)에서 유래된 말로서 플라본 (Flavone)을 기본 구조로 갖는 노란색 계통의 식물색소를 일컫는다.
자연계에 5,000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가 발견되어 있는데 이들은 화학구조에 따라 대개 5그룹으로 구분된다. 즉 플라본류 (Flavones), 아이소플라본류 (Isoflavones), 플라반의 유도체 (Derivatives of flavan), 안토시아니딘류 (Anthocyanidins), 네오플라보노이드류 (Neoflavonoids)로 구분된다.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안토잔틴 (Anthoxanthin)은 꽃잎이 노란색을 띠게 하고, 가을에 잎이 자색이나 적자색을 띠게 하는 주원인이 된다.
플라보노이드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산성에서 색이 더욱 선명해지지만, 강한 알칼리에서는 그 구조가 변하여 짙은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또한 구리, 철 등의 금속과 결합하여 흑갈색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예로부터 민간 한방처방에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체조직의 산소 소비를 촉진하는 혈관 확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점차 은행잎에서 약리 작용을 하는 수많은 화합물들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Key, 1976).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 은행잎 추출물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므로, EGb 761의 주요 성분으로는 약 24%의 flavonoid glycosides (kaempferol, quercetin, luteolin 등), 6% terpene trilactones (diterpenoid인 ginkgolide와 sesquiterpene인 bilobalide) 5ppm 미만의 ginkgolic acid 등의 연구보고가 있다 (Jacobs 등, 2000). 뇌 및 말초혈관 혈류량 저하, 감각신경 질환, 기억력 및 인지능 저하 등의 질환에서 치료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DeFeudis, 1991), 최근 연구에서는 대장암이나 유방암 세포에 대해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utoh 등, 2000; Raso 등, 2001). 최근 연구에 의하면 EGb 761 250 μg/ml을 구강암종 세포주에 투여 시 세포증식 억제를 보이며 이러한 세포증식 억제는 세포고사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으며, 위 실험에서 사용한 용량은 백서를 이용한 안정성 실험 결과에 비하여 비교적 안전한 용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등, 2005).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유자 (Citrus junos Sieb)는 분류학상으로 감귤속 (Citrus), 후생감귤아속 (Metacitrus)에 속하는 상록 교목성 과수로써 주원산지는 중국의 양자강 상류의 사천성, 운남성으로 (Oh 등, 1991)국내에서는 내한성이 강하고 온난한 지역인 남해안의 고흥, 완도, 거제 일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조건은 연평균 기온이 14∼15℃이며, 일조는 연간 2,400시간 이상 및 연평균 강수량은 1,500 mm 으로 타 과수에 비해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다 (Kim 등, 2000; 신 등, 2010; Byun 등, 1990).유자 (Citron junos)과실의 화학적 성분을 연구한 논문으로 주요내용으로는 유자 과실로부터 9가지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Figure 3은 그 구조는 물리-화학적 증거에 의해 9-hydroxy-4-methoxypsoralen, Auraptene, Limonin, Deacetylnomilin, Cirsimaritin,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및 Neohesperidin로 밝혀졌다 (Cho, 2000).
유자는 다른 감귤류와 달리 과육뿐 아니라 과피까지 이용하는 과실로 신맛과 향이 강하다. 뿐만 아니라 유자에는 레몬 보다 3배나 많은 비타민 C가 들어 있어 감기와 피부미용에 좋으며 유기산 또한 풍부하여 노화와 피로방지에도 효과적이고 그 외에 비타민 B 및 무기질의 함량도 높다 (Kim 등, 2006; Jeon 등, 2011). 또한 유자를 비롯한 감귤류의 과피에 세가지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류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다. 즉, 정유성분인 리모넨 (Limonene)은 항균작용을 갖고 있고 (Lee 등, 2008, Kim 등, 2009), 나린진 (Naringin)은 항균, 항산화, 항염증, 항고혈압 및 혈중지질 저하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Chae 등, 2008). 또 다른 성분인 헤스페리딘 (Hesperidine)은 혈압강화, 항알러지, 혈중 LDL 콜레스테롤 감소, 발암 억제 작용 등의 생리 기능성을 가진다 (Woo 등, 2000).
유자는 생산량의 70% 이상이 유자차나 유자청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는데, 현재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생리활성효과의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다 (정요한 등, 2010). (유경미 등, 2004)은 성숙한 유자의 과피와 과육에서 추출된 물질이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사멸효과를 갖는다고 하였으며, (송만강 등, 2004)은 유자의 과즙에서 나타나는 항산화 효과가 Vitamin C에 의한 항산화 효과보다 높으므로 천연 항산화 물질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한국산 유자 향기의 74.4%를 차지하는 Limonene이 면역기능 조절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항생물질의 대체물질로서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편 유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은 생물체 내에서 돌연변이성, 발암성 및 기형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Nitrosamine의 생성억제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Shin 등, 2004). 유자는 신맛과 향기가 강하여 당절임한 유자청 등의 음료로 많이 이용되어 왔고 주로 과육만 이용하는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과육과 과피를 모두 이용하는 과일이므로 과피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귤이나 오렌지 같은 과일보다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Yoo 등, 2005; Park 등, 2006). 그래서 유자는 과육보다 과피를 이용하여 유자차를 만들거나 유자청, 유자즙, 유자 향을 제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유자는 향기로운 과실로서 예로서부터 감기예방을 위한 전통차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 유자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평가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플라보노이드류의 심혈관계 질환 발생율 감소 (Calabro 등, 2004; Cha and Cho, 2001)와 항산화능과 항암효과 (Yoo and Hwang, 2004; Yoo 등, 2005) 등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유자는 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종자는 비교적 적게 들어 있으며 백색다배체로 강한 신맛으로 인해 생식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차 등의 음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고미건위체, 진해거담체, 감기약, 두통약 등으로 사용되어 그 약리효능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Kang 등, 2006).
또한 유자는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유자의 껍질에 다량 존재하는 정류 성분인 리모넨은 항균작용도 갖고 있고, 향기도 있어 그 이용 범위가 넓다고 알려져 있다 (Kang 등, 2006). 유자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전립선 암세포의 세포사멸효과에 관한 연구 및 항산화능과 발암성 nitrosamine의 전구물질로 알려진 아질산염의 소거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Shin 등, 2005; Yu and Hwang, 2004).
본 발명에서는 석류와 함께 은행잎 또는 유자박의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며, 이러한 석류, 은행잎 또는 유자박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석류, 은행잎 또는 유자박 추출물은 각각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한 다음 혼합하거나 석류와 은행잎 또는 석류와 유자박을 미리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석류와 은행잎 또는 석류와 유자박은 5:1 내지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석류, 은행잎 또는 유자박 추출물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 발효물"은 상기 석류 및 은행잎 추출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물을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oulard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바람직하게는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Bacillus subtilis (포자균)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 발효물은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Bacillus subtilis (포자균)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사의 균주를 상기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접종하여 10 내지 60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최적 균주조합은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Bacillus subtilis (포자균)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로 병원성 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효과와 이들 균의 성장저해 활성을 가지며, 젖산과 박테리오신의 분비를 통해 생산되는 장내 병원성 균에 대한 길항작용 효과가 우수한 3종의 균주를 선정하여 배양능력을 평가한 결과 108~109 cfu/㎖ 수준으로 활력도가 높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물 발효생균제 시제품은 석류박 30%, 은행잎분말 5%(녹차분말 5%, 유자박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포도당 1% 배합비와 석류박 29%, 은행잎분말 10%(유자박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포도당 1% 배합비로 구성된 배합비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생산성 사양시험에서 전시험기간 (5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2,021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특히,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체조성 평가에서 가슴살의 조단백질 함량은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25.14%로 가장 높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 가슴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92.47 mg/100g로 가장 낮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49.98 mg/100g로 가장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00.98 mg/100g로 가장 낮았고 대조구에서 182.73 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지방산 함량분석 결과, 가슴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 (C14:0)는 대조구에서 0.80%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54%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γ-Linoleic acid (C18:3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0.46%로 가장 높았고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0.1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다리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Oleic acid (C18:1n9)는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41.52%로 가장 높았고 (P<0.05)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38.2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γ-Linoleic acid (C18:3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0.43%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0.3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 혈중 면역글로빈 IgA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5.49 mg/ml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0.91 mg/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혈액내 IgM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17 mg/ml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 0.11 mg/ml로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관한 결과, 전시험기간 (5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58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1,830 g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1.48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특히,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현저히 개선되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체조성 분석결과, 도체의 가슴살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24.95%로 가장 높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22.22%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조지방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4%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가 0.95%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도체의 다리살의 조단백질 함량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20.70%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에서 19.03%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조지방 함량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3.53%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에서 2.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156.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120.99 mg/100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지방산 함량분석 결과, 가슴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 (C14:0)는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2.0%로 가장 높았고 (P<0.05), 대조구에서 0.93%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Oleic acid (C18:1 n9)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36.16%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32.95%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다리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C18:2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모두 18.22%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에서 16.7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 혈중 면역글로빈 IgG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1.84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에서 1.20 mg/ml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의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IgG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폐사수 및 폐사율 조사 결과, 폐사수는 대조구에서 15수로 가장 많이 폐사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3수로 가장 적게 폐사되었다. 각 처리구별 폐사율은 대조구 83.33%,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 72.22%,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 50%,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 22.22% 및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 16.67%로 조사되어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자돈에 있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분석 결과, 전시험기간 (3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40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 18.83 kg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 1.9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자돈에 있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 혈중 면역글로빈 IgG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1.84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에서 1.76 mg/ml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혈중 면역글로빈 IgM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1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자돈에 있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혈중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81.46 p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에서 59.56 pg/ml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혈중 사이토카인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물은 사료 첨가제에 10 내지 100%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바람직하기로 육계 또는 자돈의 육성기에 급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육계 또는 자돈의 육성기에 급여함으로써 육계 또는 자돈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육계 또는 자돈의 성장을 더욱 효율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은 상기 사료첨가제 이외에, 육계 또는 자돈 유지와 성장을 위해 반드시 사료로부터 공급되어야 할 필수 영양소로서 에너지, 아미노산, 광물질, 비타민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에서 많은 요구량으로 인해 가장 비싼 영양소이며, 탄수화물과 지방 그리고 단백질(아미노산)의 3가지 공급원이 주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동물에게 일반적으로 에너지 공급원의 관점으로 보면, 탄수화물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고, 다음으로 지방이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수화물 공급원으로는 옥수수, 밀, 귀리, 보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옥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증자한 것이나 증자하지 않은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파쇄하여 사료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가축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옥수수는 본 발명의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옥수수는 적정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백질 공급원은 에너지와 아미노산의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대두박, 채종박, 소맥피, 면실박, 참깻묵, 맥주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대두박은 대두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난 부산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44~50% 정도로 높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이 균형되어 부족된 단백질과 아미노산 결합을 보충해 준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종박(rapeseed meal)은 채종의 종실에서 껍질과 기름을 제거한 부산물로서 비교적 기호성이 낮으며, 영양적 특성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35~40% 정도이며, 에너지와 Lysine 함량이 대두박보다 낮고, Ca(0.6%)과 P(1.0%)의 함량이 높다. 본 발명에서, 채종박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 공급원으로는 우지, 옥수수 주정박, 초이스 화이트 그리스(choice white gre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지는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의 지방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우지는 소, 양, 및 말 등의 허리와 신장 주변에 있는 굳은 지방을 의미하며, 이와 비슷한 특성이 있는 식물성 기름도 우지라고 일컫는다. 주요성분은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글리세릴 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우지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광물질은 자돈의 체내에서 골격을 형성하고 또 대사과정 중에서 중요한 영양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광물질은 가축의 체내에 분포되어있는 정도에 따라 그 요구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Ca, P, Na, Cl, K, Mg의 요구량은 많으며, Fe, Zn, I, Se, Mn, Cu 등의 요구량은 미량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돈사료에 있어서 K, Mg, Mn, S 등은 사료속에 충분히 함유되어 부족 되지 않으나 그 외의 광물질은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광물질 공급원으로는 탈불인광석, 탄산칼슘, 미네랄 프리믹스, 및 석회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육계 또는 자돈에게 필요한 미네랄을 사료의 배합 시 원료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미리 제조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미네랄들의 적정 혼합 비율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전체 사료 1kg 당 Cu, 220 mg; Fe, 175 mg; Zn, 191 mg; Mn, 89 mg; I, 0.3 mg; Co, 0.5 mg; 및 Se, 0.4 mg을 제공하는 양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미강, 당밀, 소금, 아미노산, 염화콜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 또는 자돈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계 또는 자돈에게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특히 육계 또는 자돈에게의 육성기에 급여되어 자돈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석류 및 은행잎 추출 발효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추출 발효물를 육계 또는 자돈 사육용 사료첨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사료효율(gain/feed, G/F)을 개선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육계 또는 자돈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성돈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첨가제를 사료 조성물에 배합하여 육계 또는 자돈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조성물을 육계 또는 자돈의 육성기에 급여하여 돼지의 면역력 및 성장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사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균주의 선택을 위한 실험결과이다.
도 2는 천연물질의 발효 전후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가. 천연물질 탐색 및 조사
천연물질 탐색 및 조사는 국내외 관련문헌 등을 통하여 비교조사 하였으며, 영양소 함량분석은 건조시킨 시료를 분쇄기 (한일전기, HMF-3150S)에 넣어 1분간 분쇄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함량분석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을 AOAC (2000)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나. 유용균주 검색 및 선발
천연물질 발효 최적균주 검색을 위하여 공시균주는 동물의 장에서 분리된 것으로 성장하는 동안 항생물질이나 미생물의 생육 저지물질을 내는 것 및 강력한 소화물질을 내는 것 등의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용균주의 배양조건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의 유산균 배양배지는 MRS배지 (Difco, Detroit, USA), 포자균은 NB배지 (Nutrient Broth, Difco), 효모균은 YM broth배지 (Difco)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배양조건은 유산균은 37℃에서 48시간 정치배양 하였으며, 포자균은 37℃에서 48시간동안 15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고, 효모균은 30℃에서 24시간 정치배양 하였다.
Items Microbial strains Medium Culture
method
Culture
time (hr)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MRS Anaerobes culture 48
Bacillus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NB Aerobic culture 48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oulardii
YM Anaerobes culture 24
다. 시제품 제조를 위한 발효부형제 선발 및 천연물발효 시제품 제조시험
시제품 제조를 위한 발효부형제는 동물사료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탈지강과 옥수수주정박을 발효재료로 활용하였으며, 발효능력 평가를 위해 선정된 6개 균주를 2개 조합으로 구성하여 표 2와 같이 실시하였다. 또한 천연물질 발효생균제의 시제품 제조를 위해 은행잎은 인근지역의 은행나무에서 바로 채취하여 음지에서 건조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석류박과 기타 천연물질은 음료 및 엑기스를 제조하고 남은 부산물을 이용하였다. Figure 1은 천연물질 발효생균제의 공정이다.
Treatment Proportion Inoculated microbial (X107 cfu/㎖)
T 1-1 DRB1) 30% + DDGS2) 7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T 1-2 DRB 30% + DDGS 7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T 2-1 DRB 50% + DDGS 5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T 2-2 DRB 50% + DDGS 5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T 3-1 DRB 70% + DDGS 3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T 3-2 DRB 70% + DDGS 3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T 4-1 DRB 10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T 4-2 DRB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T 5-1 DDGS 10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T 5-2 DDGS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1) DRB (Defatted Rice Bran) : 탈지미강, 2 ) DDGS : 옥수수주정박
라.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사료첨가 급여에 의한 육계의 생산성 효과 규명 1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녹차 복합생균제 0.2 및 0.4% 첨가) 와 천연물 (은행잎 0.2 및 0.4% 첨가)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연구의 공시동물은 Ross Broiler 초생추 중에서 체중이 균일한 것으로 210수를 선택하여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와 석류-은행잎 발효생균제 0.2%, 0.4% 첨가 처리구 와 석류-녹차 발효생균제 0.2%, 0.4% 첨가 처리구 및 은행잎 분말 0.2%, 0.4% 첨가 처리구로 한 총 7처리구, 5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적으로 배치하여 5주간 실시하였다.
2)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시험사료는 NRC (1994)사양표준에 준하여 사료를 배합하여 기초사료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 배합비율은 표 3과 같다. 전기 기초사료는 조단백질 22%, 조지방 4% 및 대사에너지 3,100 kcal/kg이었으며, 후기 기초사료는 조단백질 19%, 조지방 4.5% 및 대사에너지 3,150 kcal/kg이었다. 각 시험 처리구별 시험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 사료, 기초사료에 석류-은행잎 발효생균제 0.2% 첨가사료, 0.4% 첨가사료와 기초사료에 석류-녹차 발효생균제 0.2% 첨가사료, 0.4% 첨가사료 및 기초사료에 은행잎 분말 0.2% 첨가사료, 0.4% 첨가사료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사양관리는 사양시험개시 시 초생추의 생육온도 34∼35℃, 습도 40∼60% 유지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1∼2℃ 온도를 낮추어 주었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시험기간은 2014년 11월 10일부터 2014년 12월 14일까지 5주간 수행하였고 시험장소는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부설사육장의 3단 철제 Cage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과 관련된 분석은 동물영양사료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Ingredient Starter Finisher
Corn grain 57.58 60.64
Soybean meal 26.80 24.90
Corn gluten 5.00 3.50
Soybean oil 2.20 2.20
Animal fats 4.50 5.00
Salt 0.25 0.25
Dicalcium Phosphate 2.14 2.00
Limestone 0.92 0.88
Vit-Min. premix1) 0.30 0.30
Choline 0.08 0.07
L-lysine 0.24 0.16
Methionine 0.20 0.10
Total 100.00 100.00
Chemical composition
ME (kcal/kg) 3,100 3,150
Moisture (%) 12.07 13.08
Crude protein (%) 22.00 19.00
Crude fat (%) 4.00 4.50
Crude ash (%) 8.00 8.00
Crude fiber (%) 6.00 6.00
Methionine (%) 0.79 0.70
Ca (%) 0.80 0.75
P (%) 0.54 0.52
1)Vit-min. mix. provided following nutrients per kg of diet : Vitamin A, 9,000,000 IU; Vitamin D3, 2,100,000 IU; Vitamin E, 15,000 IU; Vitamin K, 2,000 mg; Vitamin B1, 1,500 mg ;Vitamin B2, 4,000 mg; Vitamin B6, 3,000 mg; Vitamin B12, 15 mg,; Pan-Acid-Ca, 8500 mg; Niacin, 20,000 mg; Biotin, 110 mg; Folic-Acid, 600 mg; Co, 300 mg; Cu, 3,500 mg; Mn, 55,000 mg; Zn, 40,000 mg; I, 600 mg; Se, 130 mg
3) 주요 조사 항목
(1)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체중 측정은 시험 개시시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매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일정시간에 반복별로 측정하였으며, 증체량은 종료시 체중에서 개시시 체중을 감하여 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매주 체중 측정 직전에 반복별로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고 사료급여량에서 잔량을 공제하여 섭취량을 구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2) 도체 일반성분 함량
도체의 일반성분은 사양시험 종료 직후 각 처리구에서 평균체중에 가까운 육계를 임의로 선발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선발된 육계는 가슴살과 다릿살로 나누어 만육기로 분쇄하였으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을 AOAC (2000)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3) 도체 콜레스테롤 함량
도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King 등(1998)의 방법에 따라 시료 1 g에 표준물질 (5α-cholestane)을 첨가한 후 50% KOH (aq) 5 mL와 22 mL의 ethanol을 넣고 23℃에서 6시간 동안 검화시켜 반복 추출하고 이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DS 6200, Donam Co., Korea)에 의하여 표 4와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Classification Condition
Column HP-5 (J&W, 30 m X 0.32 mm , 0.25um film thickness)
Detector FID
Carrier gas Nitrogen (1.0 ml/min)
Make up gas H2 (30 /min)
Temp. program 250℃(2 min) - 15/min -> 290℃ - 10/min -> 310℃
Detector temp. 280℃
Injector temp. 280℃
Split ratio 1:50
Injection volume 1
(4) 도체의 지방산 함량
도체의 지방산 함량 분석을 위해 Fatty acid methyl esters 분리를 위해 시료 1 g에 0.7 ml of 10N KOH in water와 6.3 ml의 methanol을 섞어서 물의 온도가 55℃인 항온수조에 넣은 후 가열시켰다.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면서 30분에 한 번씩 강하게 흔들어 섞어준 다음, 미리 준비된 찬물에 1~2분간 냉각 후 0.58 ml of 24N H2SO4 in water을 넣은 후 다시 55℃의 항온수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면서 또다시 30분마다 한 번씩 강하게 흔들어 주었다. 가열이 끝나면 준비된 찬물에 냉각 후 hexane을 3 mL을 첨가하여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HANIL, Combi-514R, KOR) 하였다. Pasteur pipette을 이용하여 vial에 담은 후,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Agilent, 7890 series, USA)를 사용하여 지방산분석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Injector는 split ratio를 25:1로 한 split mode로서 온도를 250℃로 하였고, detector는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로서 온도는 250℃로 하였다. Carrier gas로는 고순도 Air, 고순도 H2, 고순도 He을 사용하였으며, flow rate는 H2는 40 mL/min, air는 400 mL/min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한 column은 DB-WAX (30 mX0.25 um X0.25 mm)을 사용하였다.
(5) 혈중 면역항체 (IgG, IgM 및 IgA) 분석
혈액분석을 위한 혈액의 채취는 실험종료후 처리구별 1마리씩 경정맥에서 5 mL을 채취한 후 SGS tube에 넣고 상온에 2시간 동안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시키고 응고된 혈액은 4℃,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즉, 일차항체 (capture Ab)를 PBS에 희석하여 plate에 100 ㎕씩 넣고 4℃에서 하룻밤 둔 다음 washing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한 다음, block so1ution (1% BSA, 5% sucrose, 0.05% NaN3)으로 2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리고 배양 상층액을 넣은 다음, 3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차 항체 (detection Ab)를 첨가하였다. 다시 2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Streptavidin-HRP를 첨가하였다. 한 시간 후에 다시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기질 (2, 2'-azino-bis, 0.1M citric acid, H2O2)를 넣어 발색시켜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6) 육계의 복강내 지방 및 장기무게 측정
Deaton (1974)의 방법에 의하여 각 처리구별 7수씩 개체별로 생체중을 먼저 측정하였으며, 각 장기의 무게와 복부지방의 무게는 공시축의 경정맥을 절단하여 방혈을 하였다. 탈모 처리한 후 내장을 제거하는 동시에 가슴살과 늑골내의 근위, 장, 총 배설설강 및 복부근육 주의에 쌓여있는 지방을 적출하여 복강지방 (abdominal fat pad)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소낭, 심장, 간, 근위, 전위, 췌장, 맹장, 신장, 소장, 대장, 쓸게, 복부지방 및 지라를 각각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7) 맹장내 미생물검사
각 처리구별로 맹장에 있는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수를 검사하였다. 각 처리구별 시료 10 g씩 채취하여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1011까지 단계적으로 희석한 후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35℃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colony 수를 조사하였다. Figure 3은 사양시험의 사용된 육계의 맹장내 미생물을 분석하는 과정이며, 5종류 (대장균, 살모넬라,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의 선택배지 및 배양 조건은 표 5와 같다.
Item Microbial Incubate time (hr) Incubate temperature(℃)
MCS agar E. coli 28 37℃
SS ager Salmonella 28 37℃
MRS ager Lactobacillus spp. 48 37℃
PP ager Yeast 48 37℃
MYP ager Bacillus 48 37℃
마.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사료첨가 급여에 의한 육계의 생산성 효과 규명 2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유자 복합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연구의 공시동물은 Ross Broiler 초생추 중에서 체중이 균일한 것으로 120수를 선택하여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 석류-은행잎 (석류 30%와 은행잎분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와 석류-은행잎 (석류 29%와 은행잎분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 및 석류-유자 (석류 30%함유와 유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와 석류-유자 (석류 29%함유와 유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로 한 총 5처리구, 4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적으로 배치하여 5주간 실시하였다.
2) 시험사료 및 시험장소
시험사료는 NRC (1994)사양표준에 준하여 사료를 배합하여 기초사료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 배합비율은 앞서 언급한 육계의 생산성 시험 1과 동일하다. 각 시험 처리구별 시험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 사료, 기초사료에 석류-은행잎 (석류 30%와 은행잎분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와 기초사료에 석류-은행잎 (석류 29%와 은행잎분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 및 기초사료에 석류-유자 (석류 30%함유와 유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와 기초사료에 석류-유자 (석류 29%함유와 유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기간은 2015년 3월 25일부터 2015년 4월 29일까지 5주간 수행하였고 시험장소는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부설사육장의 3단 철제 Cage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과 관련된 분석은 동물영양사료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3) 주요 조사 항목
증체량, 사료섭취량과 도체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함량, 지방산 함량 및 혈중 면역항체 분석과 맹장내 미생물검사 등은 앞서 언급한 육계의 생산성 시험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바. 천연물 발효생균제 급여에 의한 육계의 항병력 평가 (Challenge Test)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유자 복합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병원성균에 대한 육계의 항병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시험의 공시동물은 Ross Broiler 초생추 중에서 체중이 균일한 것으로 120수를 선택하여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 석류-은행잎 (석류 30%와 은행잎분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와 석류-은행잎 (석류 29%와 은행잎분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 및 석류-유자 (석류 30%와 유자 5%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와 석류-유자 (석류 29%와 유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로 한 총 5처리구, 4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적으로 배치하여 1주간 실시하였다.
2) Challenge Test 방법 및 시험장소
본 연구의 항병성을 평가를 위해 병원성균인 Salmonella enteritidisE. coli를 각각 배양한 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은 Salmonella enteritidis 2.3X107 cfu/ml와 E. coli를 3.7X107를 함유한 배양액을 각각 1 ml씩 Micropipet tip을 사용해 경구 접종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 섭취토록 하였으며, 시험장소는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부속 사육장에서 3단 철제 Cage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3) 주요 조사 항목
(1) 폐사율 조사
시험기간동안의 각 처리구 및 반복별로 폐사된 개체수를 파악하여 처리구별 전체 수에서 처리구별 폐사된 수를 나누어 100을 곱하여 폐사율을 조사하였다.
(2) 맹장 내 미생물 분석
각 처리구별로 맹장에 있는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수를 검사하였다. 각 처리구별 시료 10 g씩 채취하여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1011까지 단계적으로 희석한 후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35℃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colony 수를 조사하였다.
(3) 혈중 면역항체 (IgM) 분석
혈액분석을 위한 혈액의 채취는 실험종료후 처리구별 1마리씩 경정맥에서 5 mL을 채취한 후 SGS tube에 넣고 상온에 2시간 동안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시키고 응고된 혈액은 4℃,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즉, 일차항체 (capture Ab)를 PBS에 희석하여 plate에 100 ㎕씩 넣고 4℃에서 하룻밤 둔 다음 washing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한 다음, block so1ution (1% BSA, 5% sucrose, 0.05% NaN3)으로 2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리고 배양 상층액을 넣은 다음, 3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차 항체 (detection Ab)를 첨가하였다. 다시 2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Streptavidin-HRP를 첨가하였다. 한 시간 후에 다시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기질 (2, 2'-azino-bis, 0.1M citric acid, H2O2)를 넣어 발색시켜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4) 육계의 장기무게 측정
Deaton (1974)의 방법에 의하여 각 처리구별 7수씩 개체별로 생체중을 먼저 측정하였으며, 각 장기의 무게와 복부지방의 무게는 공시축의 경정맥을 절단하여 방혈을 하였다. 탈모 처리한 후 내장을 제거하는 동시에 가슴살과 늑골내의 근위, 장, 총 배설설강 및 복부근육 주의에 쌓여있는 지방을 적출하여 복강지방 (abdominal fat pad)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소낭, 심장, 간, 근위, 전위, 췌장, 맹장, 신장, 소장, 대장, 쓸게, 복부지방 및 지라를 각각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4) 통계처리
본 시험의 생산성 및 항병력 평가에서 얻어진 자료는 SAS Statical Package Program (SAS, Institute, 2003)에 의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간 평균값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검정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
가. 시제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및 영양소 함량변화 분석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장기 보관에 의한 미생물과 영양소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초기 제조된 시제품을 각각 100 g씩 12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6개월 (24주)간 상온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미생물 분석은 1개월에 2회, 2주간격으로 분석하였으며, 영양소의 분석은 1개월 1회, 4주 간격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생물 분석에 사양된 배지는 MRS 고체배지 (Difco, Detroit, USA)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조건은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colony 수를 조사하였다. 영양소 함량분석은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를 AOAC (2000)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나. 천연물 발효생균제 급여에 의한 양돈 (자돈)의 항병력 평가 (Challenge Test)
본 연구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유자 복합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병원성균에 대한 자돈의 항병성을 평가하기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공시동물은 평균체중 21.91 kg정도로 균일한 3원 교잡종 [(Landrace X yorkshire) X Duroc] 인 거세 자돈 36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 석류-은행잎 (석류 29%와 은행잎분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 및 석류-유자 (석류 29%함유와 유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처리구로 한 총 3처리구, 3반복, 반복당 4두씩 임의적으로 배치하여 3주간 실시하였다.
2) 시험사료
시험사료는 NRC (1994)사양표준에 준하여 사료를 배합하여 기초사료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 배합비율은 표 6과 같다. 기초사료는 조단백질 18%, 대사에너지 3,265 kcal/kg이었다. 각 시험 처리구별 시험사료는 기초사료를 대조구 사료, 기초사료에 석류-은행잎 (석류 29%와 은행잎분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 0.4% 첨가사료 및 기초사료에 석류-유자 (석류 29%와 유자 10%함유)발효생균제 0.4% 첨가사료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3) Challenge Test 방법 및 시험장소
본 연구의 항병성을 평가를 위해 병원성균인 Salmonella enteritidisE. coli를 각각 배양한 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Salmonella enteritidis의 1.4X108 cfu/ml와 E. coli를 5.2X107를 함유한 배양액을 각각 1 ml씩 Micropipet tip을 사용해 경구 접종하였으며, 2차 시험에서는 Salmonella enteritidis의 5.0X105 cfu/ml와 E.coli를 7.0X106를 함유한 배양액을 각각 1 ml씩 Micropipet tip을 사용해 경구 접종하였다. 본 시험 장소는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부속동물사육장의 자돈 인큐베이터 돈사에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4) 주요 조사 항목
(1)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체중 측정은 시험 개시시부터 시험 종료시까지 매주 일정시간에 반복별로 측정하였으며, 증체량은 종료시 체중에서 개시시 체중을 감하여 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매주 체중측정 직전에 반복별로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섭취량을 구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Ingredients Starter
Yellow Corn 45.15
Wheat 23.00
Wheat bran 4.00
Soybean meal 18.00
Limestone 0.98
Calcium phosphate 1.10
Salt 0.25
Vit-min. premix1) 0.55
Animal fat 2.50
Molasses 4.30
L-Lysine 0.17
Chemical composition2)
ME (kcal/kg) 3,265.00
Crude Protein (%) 18.00
Ca (%) 0.70
Available. P (%) 0.55
Lysine (%) 0.95
Methionine (%) 0.30
1) Vit-min.mix provided following nutrients per kg of premix: vitmin A, 6,000IU; vitmin D3, 800IU; vitmin E, 20IU; vitmin K3, 2mg; thiamin, 2mg; riboflavin, 4mg; vitmin B6, 2mg; vitmin B12, 1mg; pantothenicacid, 11mg; niacin, 10mg; biotin, 0.02mg; Cu (copper sulfate), 21mg; Fe (ferrous sulfate), 100mg; Zn (zinc sulfate), 60mg; Mn (mznganese sulfate), 90mg; I (calcium iodate), 1.0mg; Co (cobalt nitrate), 0.3mg; Se (sodium selenite), 0.3mg.
2) Calculated value.
(2) 혈중 면역항체 분석
혈액분석을 위한 혈액의 채취는 실험종료후 처리구별 1두씩 경정맥에서 5 mL을 채취한 후 SGS tube에 넣고 상온에 2시간 동안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시키고 응고된 혈액은 4℃,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즉, 일차항체 (capture Ab)를 PBS에 희석하여 plate에 100 ㎕씩 넣고 4℃에서 하룻밤 둔 다음 washing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한 다음, block so1ution (1% BSA, 5% sucrose, 0.05% NaN3)으로 2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리고 배양 상층액을 넣은 다음, 3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차 항체 (detection Ab)를 첨가하였다. 다시 2시간 후에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Streptavidin-HRP를 첨가하였다. 한 시간 후에 다시 washing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기질 (2, 2'-azino-bis, 0.1M citric acid, H2O2)를 넣어 발색시켜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3) 혈중 사이토카인 (TNF-α) 분석
혈액 내 사이토카인 분석은 ELISA 검사법을 활용하였으며, Quantikine Porcine TNF-a/TNFSF2 Immunoassay (R&D,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석기는 VERSA Max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4) 분변 내 미생물 분석
각 처리구별로 동일한 시간동안 배설된 분을 채취하여 미생물수를 검사하였다. 각 처리구별 시료 10 g을 생리식염수 10 ml에 넣어 수분 동안 혼합한 후 1 ml을 취하여 1010까지 단계적으로 희석한 후 1 ml씩 취하여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30℃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colony 수를 조사하였다.
5) 통계처리
본 시험의 생산성 및 항병력 평가에서 얻어진 자료는 SAS Statical Package Program (SAS, Institute, 2003)에 의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간 평균값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검정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나. 유용균주 검색
천연물 발효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엔바이오텍에서 한국미생물자원센터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부터 분양받아 보유한 45종의 균주 중 유산균 2종, 바실러스균 2종, 효모균 2종으로 총 6종의 균주를 공시균주로 선정하였다. 선택한 유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이며, 이 균들은 전분, 단백질 분해 소화효소와 항생물질 (Bacteriocin)생산과 발효대사물질로서 젖산, 초산, 과산화수소, 에탄올, 유기산 등을 생산하며 곡물, 과일, 사일리지 발효시 초기, 후기발효 및 숙성에 관여하는 특성을 지닌다. 선정된 포자균인 Bacillus licheniformisBacillus subtilis은 병원성 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효과와 이들 균의 성장저해 활성을 가지며,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은 고열에서 안정적인 것이 특징이며, 유해균을 파괴하고 영양원 등 항산화물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유익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선정된 효모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Saccharomyces boulardii 는 전분, 단백질, 섬유소 분해소화효소 분비로 셀룰로오스, 글루칸, 펙틴 등의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며, 발효시 알콜, 글루타민산 등의 천연 향미물질 생산하고 효모단백질 생산과 비타민 B군의 생산 및 미지성장인자(UGF) 공급하는 유익한 균주이다. 또한 선정된 균주는 젖산과 박테리오신의 분비를 통해 생산되는 장내 병원성 균에 대한 길항작용과 소장에서 대장균, 살모넬라 등의 병원체로부터 정착을 막아 면역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다. 이들 균주는 단일배지 조성에서 배양하였을 시 45종의 균주 중 109 cfu/ml 이상으로 균수 증식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발효생균제 제조에 활용 균주로 위의 6종의 유익균주를 공시 균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다. 시제품 제조를 위한 균주조합 및 발효부형제 배합비율 평가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개발을 위해 발효부형제는 동물사료용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탈지미강 (DRB: Defatted Rice Bran)과 옥수수주정박 (DDGS : Distiller's Dried Grains Solubles)을 발효부형제로 활용하였다. 각 처리구별로 정해진 배합비로 혼합한 다음 선정된 6종 균주를 2개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균주 각각 106 cfu/㎖ 수준으로 균체 및 배양액을 천연물과 부형제의 혼합된 표면에 골고루 분사 접종하고 25∼30℃ 조건에서 혐기, 호기 조건으로 5일간 발효과정을 진행시켰다. 발효부형제의 최적배합비율 및 적정 발효균주 선별실험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Treatment Microbial Concentrations
T 1-1 DRB1 ) 30%
+
DDGS2 ) 70%
Lactobacillus plantarum 5.6 × 108 cfu/g
Bacillus subtilis 2.0 × 108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6.4 × 107 cfu/g
T 1-2 DRB 30%
+
DDGS 70%
Pediococcus acidilactici 3.0 × 108 cfu/g
Bacillus licheniformis 1.4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2.8 × 108 cfu/g
T 2-1 DRB 50%
+
DDGS 50%
Lactobacillus plantarum 2.4 × 109 cfu/g
Bacillus subtilis 1.8 × 108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4.0 × 108 cfu/g
T 2-2 DRB 50%
+
DDGS 50%
Pediococcus acidilactici 2.2 × 108 cfu/g
Bacillus licheniformis 2.0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4.8 × 108 cfu/g
T 3-1 DRB 70%
+
DDGS 30%
Lactobacillus plantarum 2.0 × 108 cfu/g
Bacillus subtilis 2.3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3.6 × 107 cfu/g
T 3-2 DRB 70%
+
DDGS 30%
Pediococcus acidilactici 4.4 × 107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2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4.1 × 107 cfu/g
T 4-1 DRB 100% Lactobacillus plantarum 2.4 × 106 cfu/g
Bacillus subtilis 3.2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8 × 106 cfu/g
T 4-2 DRB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2.2 × 106 cfu/g
Bacillus licheniformis 2.7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2.0 × 107 cfu/g
T 5-1 DDGS 100% Lactobacillus plantarum 3.5 × 107 cfu/g
Bacillus subtilis 3.2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2.6 × 107 cfu/g
T 5-2 DDGS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1.2 × 107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0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2.8 × 107 cfu/g
1) DRB (Defatted Rice Bran) : 탈지미강, 2 ) DDGS : 옥수수주정박
발효부형제의 최적배합비율 및 적정 발효균주 조합 선별실험 결과, T 2-1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접종균주의 밀도가 108~109 cfu/㎖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 2-1은 탈지미강 50%, 옥수수주정박 50%의 배합비율과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균주조합이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시제품 제조를 위한 적정 배합비로 평가하였으며, 활용할 균주의 조합은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Bacillus subtilis (포자균)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조합으로 평가하였다.
라. 천연물질 발효생균제의 시제품 제조
1) 1차 시제품(2종) 제조
천연물질 발효생균제의 시제품 제조는 선행시험결과를 토대로 활용균주 조합과 발효원료의 최적 배합조건을 고려하여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앞서 발효원료의 배합조건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평가하였던 탈지미강 50%, 옥수수주정박 50%의 배합비율과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균주조합의 조건에서 천연물인 석류박 30%, 은행잎분말 5%, 녹차분말 5%가 함유하도록 배합비를 조정하여 두 종류의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시제품 1의 배합비율과 균주조합은 석류박 30%, 은행잎분말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를 추가하여 배합비를 구성하였으며, 유용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의 균주조합을 발효 접종균주로 하였다. 시제품 2의 배합비율과 균주조합은 석류박 30%, 녹차분말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를 추가하여 배합비를 구성하였으며, 유용균주는 시제품 1과 동일하게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의 균주를 발효 접종균주로 하였다. 시제품의 제조는 고체발효기를 활용하여 천연물과 부형제를 정해진 배합비율로 혼합한 후, 1차로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106 cfu/㎖ 수준정도로 균주와 배양물을 함께 접종하여 전체 혼합물의 수분이 40%정도 유지되도록 하여 35℃에서 2일간 혐기적으로 여 발효시킨 다음 2차로 바실러스균 (Bacillus subtilis)과 효모균 (Saccharomyces cerevisiae)을 각각 106 cfu/㎖ 수준정도로 균주를 접종하여 35℃에서 2일간 발효기의 교반 (3시간)과 무교반 (5시간)의 운전조건에서 호기적, 혐기적 발효를 진행시켰다. 그 후 1일동안 20℃ 열풍건조 과정을 거쳐 석류-은행잎 발효생균제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석류-녹차 발효생균제 제조는 석류-은행잎 발효생균제 제조과정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진행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제품의 성분분석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가 23.42%, 석류-녹차발효생균제 17.67%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녹차발효생균제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0.98%, 11.86%로 분석되었다. 조지방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가 2.41%, 석류-녹차발효생균제 2.15%로 분석되었고 조섬유에서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녹차발효생균제가 각각 9.83%, 11.66%로 분석되었다. 각 시제품의 미생물 함량 분석은 석류-녹차발효생균제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수가 2.8X107 cfu/g으로 약간 낮은 수준이었으나 바실러스와 효모는 시제품 g당 108 cfu 수준으로 모두 분석되었다.
Treatment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11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22
Chemical composition (%)
Moisture 23.42 17.67
Crude protein 10.98 11.86
Crude fat 2.41 2.15
Crude fiber 9.83 11.66
Crude Ash 6.66 7.03
NFE 53.30 50.36
Kinds of microbe of Probiotics
Lactobacillus plantarum 1.5X108 cfu/g 2.8X107 cfu/g
Bacillus subtilis 3.2X108 cfu/g 2.0X108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7X108 cfu/g 1.7X108 cfu/g
1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1 :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Ⅰ(석류 30%, 은행잎 5%)
2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2 : 석류-녹차발효생균제 (석류 30%, 녹차 5%)
2) 2차 시제품(3종) 제조
2차 시제품 제조는 앞서 발효원료의 배합조건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평가하였던 탈지미강 50%, 옥수수주정박 50%의 배합비율과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균주조합의 조건에서 천연물인 석류박 20~30%, 은행잎분말 10%, 유자박 5~10%가 함유하도록 배합비를 조정하여 세 종류의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시제품 3의 배합비율은 석류박 29%, 은행잎분말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를 추가하여 배합비를 구성하였고 시제품 4는 석류박 30%, 유자박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를 추가하여 배합비를 구성하였으며, 시제품 5는 석류박 29%, 유자박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를 추가하여 배합비를 구성하였다. 접종 균주조합은 1차 시제품 제조에 사용된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subtil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3종의 조합을 동일하게 접종균주로 하였다. 시제품 제조과정은 1차 시제품 제조와 동일한 과정을 진행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제품의 성분분석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Treatment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31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42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53
Chemical composition (%)
Moisture 26.12 30.62 29.80
Crude protein 15.13 14.84 15.72
Crude fat 2.07 1.72 1.51
Crude fiber 9.33 8.14 7.38
Crude Ash 6.49 5.60 5.52
NFE 40.86 39.08 40.07
Kinds of microbe of Probiotics
Lactobacillus plantarum 2.0X108 cfu/g 1.4X109 cfu/g 2.2X108 cfu/g
Bacillus subtilis 1.0X108 cfu/g 1.2X108 cfu/g 1.5X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2X107 cfu/g 1.5X108 cfu/g 4.2X107 cfu/g
1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3 :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Ⅱ (석류 29%, 은행잎 10%)
2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4 :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Ⅰ(석류 30%, 유자박 5%)
3 Natural materials Probiotics 5 :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Ⅱ(석류 29%, 유자박 10%)
마.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사료첨가 급여에 의한 육계의 생산성 효과 규명 1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발효생균제 및 석류와 녹차 발효생균제 0.2 및 0.4% 첨가) 와 천연물 (은행잎 0.2 및 0.4% 첨가)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로스 브로일러 (Ross Broiler)에 있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관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시험개시 (0주)부터 3주까지의 사양시험 결과, 각 처리구별 증체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891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1.48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3주부터 5주까지의 사양시험 결과, 증체량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1,129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전시험기간 (5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2,021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특히,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현저히 개선되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m 등 (1988)은 육계사료 내 유산균 (Lactobacillus sporegenes)의 첨가로 증체량이 향상되었다고 하였으며, Yeo와 Kim (1997)은 육계에게 유산균 (Lactobacillus casei)의 급여가 사양시험 전기 3주 동안의 일당증체량을 개선시켰다고 하였다. Chiang과 Hsieh (1995)는 육계사료내 유산간균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유산구균 (Streptococcus faecium) 등을 포함하는 복합생균제의 첨가로 육계의 성장을 증가시켰다는 연구보고와 본 시험의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와 0.4% 처리구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와 0.4%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은 결과를 보여 증체량 등과 같은 생산성 향상 효과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육계사료 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와 0.4% 첨가급여는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로써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Item Contr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0-3 weeks
Intial weight(g) 47 47 47 47 47 47. 47 0.23
Final weight(g) 868b 897ab 939a 859b 861b 889b 861b 13.18
Weight gain(g) 821b 850ab 891a 812b 814b 842b 814b 13.35
Feed intake(g) 1,298 1,327 1,317 1,270 1,290 1,305 1,297 15.52
FCR(Feed/Gain) 1.58a 1.56ab 1.48b 1.56ab 1.58a 1.55ab 1.59a 0.03
3-5 weeks
Intial weight(g) 868b 897ab 939a 859b 861b 889b 861b 13.18
Final weight(g) 1,879b 1,951ab 2,068a 1,909b 1,922b 1,889b 1,858b 41.14
Weight gain(g) 1,012 1,054 1,129 1,050 1,062 1,029 1,012 44.92
Feed intake(g) 2,031a 1,785b 2,006a 1,876ab 1,907ab 1,794b 1,827b 46.03
FCR(Feed/Gain) 2.01a 1.70b 1.78b 1.79b 1.79b 1.74b 1.81b 0.05
0-5 weeks
Intial weight(g) 47 47 47 47 47 47 47 0.23
Final weight(g) 1,879b 1,951ab 2,068a 1,909b 1,922b 1,889b 1,858b 41.14
Weight gain(g) 1,832b 1,904ab 2,021a 1,863b 1,875b 1,842b 1,811b 41.08
Feed intake(g) 3,329a 3,112b 3,323a 3,146b 3,197ab 3,099b 3,124b 50.27
FCR(Feed/Gain) 1.82a 1.64b 1.65b 1.69b 1.70b 1.68b 1.73ab 0.03
a,b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3 Ginkgo lef powder
4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2) 도체의 일반성분 (체조성)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육계의 체조성 분석결과는 표 11과 같다. 도체의 가슴살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25.14%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1.12%로 높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P>0.05). 조회분 함량에서는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1.52%로 가장 높았고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1.26%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도체의 다리살의 조단백질 함량은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23.05%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21.34%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조회분 함량은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1.18%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1.04%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tem Contr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Breast meat
Crude protein 24.73 23.72 23.42 24.24 25.14 24.84 24.95 0.46
Ether extract 0.96 0.99 1.12 1.06 0.72 1.03 0.94 0.18
Moisture 75.09 75.39 75.08 75.05 74.64 74.90 74.69 0.26
Crude ash 1.34b 1.30b 1.31b 1.32b 1.52a 1.26b 1.27b 0.03
Thigh meat
Crude protein 22.29ab 22.18ab 22.04ab 21.98ab 21.34b 23.05a 22.67a 0.27
Ether extract 4.00 3.34 3.59 4.02 4.12 2.71 3.53 0.33
Moisture 75.17abc 75.59ab 74.61abc 75.20abc 73.91c 75.79a 74.17bc 0.41
Crude ash 1.04b 1.11ab 1.13a 1.15a 1.14a 1.18a 1.11ab 0.02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3 Ginkgo lef powder
4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3) 도체의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는 표 12과 같다. 가슴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92.47 mg/100g로 가장 낮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49.98 mg/100g로 가장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00.98 mg/100g로 가장 낮았고 대조구에서 182.73 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산란계에 있어서 유산균 함유 생균제는 난중 및 산란량을 증가시키고 (Nahashon 등, 1993) 난황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Haddadin 등, 1996), 사료내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첨가하였을 때 산란율 증가, 사료효율과 난황내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다는 (Abdulrahim 등, 1996) 연구결과가 있다.
Item Cont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Breast 115.25d 92.47e 149.98a 132.62c 143.29ab 130.31c 137.38bc 2.66
Thigh 182.73a 165.19b 100.98c 168.62ab 154.56b 182.62a 158.77b 4.48
a,b,c,d,e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3 Ginkgo lef powder
4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4) 도체의 지방산 함량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는 표 13와 표 14과 같다. 가슴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 (C14:0)는 대조구에서 0.80%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54%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Pentadecanoic acid (C15:0)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3.47%로 가장 높았고 (P<0.05)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2.17%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γ-Linoleic acid (C18:3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0.46%로 가장 높았고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0.1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SFA는 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36.06%로 가장 높아 유의적 차가 있었으며 (P<0.05), ∑MUFA는 대조구에서 64.27%로 가장 높아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tem Control PGLP2 PGTP3 GLP4 SEM5
0.2% 0.4% 0.2% 0.4% 0.2% 0.4%
Myristic acid (C14:0) 0.80a 0.75ab 0.73ab 0.66b 0.54b 0.78ab 0.67b 0.04
Pentadecanoic acid (C15:0) 2.23b 2.42b 2.41b 2.88ab 3.47a 2.17b 2.75ab 0.28
Palmitic acid (C16:0) 20.58 19.89 21.08 20.09 20.80 20.61 19.78 0.54
Palmitoleic acid (C16:1n7) 4.02 3.58 4.33 3.60 3.33 4.07 3.48 0.42
Margaric acid (C17:0) 0.72 0.77 0.76 0.85 0.91 0.72 0.87 0.08
Heptadecenoic acid (C17:1) 0.54 0.58 0.58 0.70 0.59 0.60 0.77 0.09
Stearic acid (C18:0) 8.23 8.91 8.58 9.13 9.84 8.69 9.36 0.50
Oleic acid (C18:1n9) 36.06 35.14 36.00 34.84 31.11 34.92 33.93 1.23
Linoleic acid (C18:2n6) 16.94 17.20 15.99 16.62 17.05 17.04 16.88 0.38
Arachidic acid (C20:0) 0.65a 0.60ab 0.60ab 0.37b 0.37b 0.64a 0.56ab 0.06
γ-Linoleic acid (C18:3n6) 0.41a 0.44a 0.46a 0.24b 0.10b 0.43a 0.42a 0.04
Eicosenoic acid (C20:1n9) 0.43 0.51 0.49 0.51 0.59 0.54 0.62 0.06
Arachidonic acid (C20:4n6) 4.80 5.04 4.40 5.53 6.53 4.94 5.64 0.69
Tetracosaenoic acid (C24:1n9) 1.06 1.10 0.94 1.23 1.40 1.01 1.24 0.14
Total 97.47 96.92 97.35 97.27 96.91 97.13 96.99 0.24
∑SFA1 33.20b 33.34b 34.15b 34.00b 36.06a 33.59b 33.99b 0.59
∑MUFA1 64.27a 63.58a 63.20a 63.27a 60.85b 63.54a 62.99a 0.65
(MUFA+PUFA)/SFA 1.94a 1.91a 1.85ab 1.86ab 1.69b 1.89a 1.86ab 0.05
mono 42.11 40.91 42.34 40.88 37.18 41.13 40.06 1.32
poly 22.15a 22.68a 20.85a 22.39a 23.68 22.41 22.94 0.91
∑PUFA1 1.27 1.23 1.24 1.20 1.04 1.22 1.18 0.05
PUFA/SFA 0.04 0.04 0.04 0.04 0.03 0.04 0.03 0.00
a,b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SFA = saturated fatty acid; ∑MUFA = mono-unsaturated fatty acid;∑PUFA = poly-unsaturated fatty acid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4 Ginkgo lef powder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다리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Pentadecanoic acid (15:0)는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1.07%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0.58%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Oleic acid (C18:1n9)는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41.52%로 가장 높았고 (P<0.05)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38.2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γ-Linoleic acid (C18:3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0.43%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0.3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Arachidonic acid (C20:4n6)는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3.14%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68%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Tetracosaenoic acid (C24:1n9)는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0.55%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34%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tem Control PGLP2 PGTP3 GLP4 SEM5
0.2% 0.4% 0.2% 0.4% 0.2% 0.4%
Myristic acid (C14:0) 0.99 0.97 0.95 0.94 0.99 0.92 0.95 0.02
Pentadecanoic acid (15:0) 0.74b 0.79ab 0.71b 0.68b 0.58b 1.07a 0.87ab 0.09
Palmitic acid (C16:0) 20.83 20.15 21.50 20.93 21.68 20.27 20.32 0.46
Palmitoleic acid (C16:1n7) 5.31 4.98 4.65 5.38 6.00 5.28 5.26 0.48
Margaric acid (C17:0) 0.27 0.30 0.26 0.25 0.21 0.37 0.33 0.03
Heptadecenoic acid (C17:1) 0.16 0.21 0.15 0.19 0.18 0.18 0.19 0.02
Stearic acid (C18:0) 6.70 6.98 6.45 6.69 6.45 7.26 6.73 0.22
Oleic acid (C18:1n9) 40.19a 40.52a 41.17a 41.52a 40.90a 38.20b 40.45a 0.57
Linoleic acid (C18:2n6 ) 17.71 13.49 12.19 16.71 16.77 18.35 17.71 1.52
Arachidic acid (C20:0) 0.82 0.80 0.78 0.77 0.80 0.79 0.80 0.03
γ-Linoleic acid (C18:3n6) 0.40ab 0.43a 0.30b 0.30b 0.40ab 0.37ab 0.40ab 0.03
Eicosenoic acid (C20:1n9) 0.20ab 0.21a 0.18b 0.18b 0.18b 0.22b 0.20ab 0.01
Arachidonic acid (C20:4n6) 2.18b 2.31ab 1.79b 1.99b 1.68b 3.14a 2.44ab 0.27
Tetracosaenoic acid (C24:1n9) 0.44b 0.43ab 0.36bc 0.39bc 0.34c 0.55a 0.51ab 0.04
Total 96.94 92.58 91.44 96.93 97.15 96.97 97.15 3.79
∑SFA1 30.34 29.99 30.66 30.26 30.70 30.68 30.00 0.45
∑MUFA1 66.60 62.59 60.78 66.67 66.45 66.30 67.11 1.67
(MUFA+PUFA)/SFA 2.20 2.09 1.98 2.20 2.17 2.16 2.24 0.08
mono 46.31ab 46.36ab 46.51ab 47.66a 47.61a 44.44b 46.56ab 0.69
poly 20.29 16.23 14.27 19.00 18.85 21.86 20.55 1.74
∑PUFA1 1.53 1.55 1.52 1.58 1.55 1.45 1.55 0.03
PUFA/SF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0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SFA = saturated fatty acid; ∑MUFA = mono-unsaturated fatty acid;∑PUFA = poly-unsaturated fatty acid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4 Ginkgo lef powder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5) 혈중 면역항체(IgG, IgM 및 IgA)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육계의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는 표 15와 같다. 시험 처리구별 혈중 면역글로빈 IgA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5.49 mg/ml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0.91 mg/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gG 함량의 경우,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0.49 mg/ml로 가장 높았고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43 mg/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혈액내 IgM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17 mg/ml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 은행잎분말 0.2, 0.4% 처리구에서 모두 0.11 mg/ml로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허브성분을 가축에 급여시 면역에 관련된 혈액 성상 수치가 증가되는 것은 허브성분이 면역세포 활성화와 항균작용에 의한 영향이라고 보고하였다 (Shon 등, 2004; Lee and Ha, 1994; Oh 등, 1998). Chen 등(2003)의 보고에 의하면 Chinese herb를 육계에 급여하면 serum albumin 등이 증가하여 면역력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고 Wang 등(1998)은 eugenol이 체내 IgG 합성과 타액의 IgA 합성을 증가시켜 면역력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Item Contr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Immunoglobulins (mg/ml)
IgA 1.54ab 1.44b 1.65a 1.36b 1.15c 0.91d 1.36b 0.05
IgG 0.47abc 0.48ab 0.46c 0.46bc 0.43d 0.49a 0.46c 0.01
IgM 0.11cd 0.13bc 0.17a 0.14b 0.12cd 0.11d 0.11d 0.01
a,b,c,d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3 Ginkgo lef powder
4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6) 복강내 지방 및 장기무게 측정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육계의 장기무게 분석결과는 표 16과 같다.
심장 (Heart)의 무게는 대조구에서 0.83%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55%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간 (Liver)의 무게는 대조구에서 2.47%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와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각각 2.11%, 2.02%로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맹장 (Cecum)의 무게는 대조구에서 0.58%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0.40%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복강내 지방 (Abdominal fat)의 무게는 대조구에서 1.31%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와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각각 0.97%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다리살의 무게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13.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은행잎분말 0.4% 처리구에서 11.94%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가슴살의 경우 석류-녹차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2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18.79%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7) 맹장내 미생물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녹차발효생균제 및 은행잎분말 급여에 따른 육계의 맹장내 미생물 환경분석 결과는 표 16과 같다.
맹장내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밀도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가 9.09 cfu/ml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 8.54 cfu/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효모균 (Yeast)의 밀도는 은행잎분말 0.2% 처리구가 8.39 cfu/ml으로 가장 높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4% 처리구에서 8.15 cfu/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살모넬라균 (Salmonella)의 밀도는 은행잎분말 0.2% 처리구에서 7.21 cfu/ml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대장균 (E. coil)의 밀도는 은행잎분말 0.4% 처리구가 8.65 cfu/ml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0.2% 처리구에서 7.09 cfu/ml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Guo 등(2004)은 허브추출물 (harb polysaccharide extract)은 맹장에서 유익균인 bifidobacterialactbacilli의 수를 증가시키고 유해균인 Bacteroides spp.E. Coil의 수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Wenk (2003)은 harbs 및 essential oil 이 단위동물에서 항균작용, 항콕시듐 작용, 구충작용을 보고하였다. 홍 등 (2001)은 육계의 소장내 미생물 균총의 개선 및 혈청 IgG 수준이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
Item Contr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Crop wt./Live wt. 0.39ab 0.26cd 0.25cd 0.29bcd 0.35abc 0.46a 0.21d 0.03
Heart wt./Live wt. 0.83a 0.63bc 0.62bc 0.62bc 0.55c 0.69b 0.62bc 0.03
Liver wt./Live wt. 2.47a 2.28ab 2.11c 2.31ab 2.02c 2.12c 1.94c 0.07
Gizzard wt./Live wt. 1.75a 1.43c 1.50bc 1.72a 1.61abc 1.65ab 1.51bc 0.06
Pancreas wt./Live wt. 0.23abc 0.22bcd 0.21cd 0.19d 0.25ab 0.26a 0.26a 0.01
Cecum wt./Live wt. 0.58a 0.55a 0.40b 0.46ab 0.48ab 0.54a 0.47ab 0.04
Kidney wt./Live wt. 0.77a 0.64c 0.66bc 0.62c 0.70b 0.66bc 0.71b 0.02
S. intestine wt./Live wt. 3.33a 2.88bc 2.71c 3.14ab 2.95bc 2.79c 2.67c 0.10
L. intestine wt./Live wt. 0.16 0.18 0.16 0.18 0.18 0.16 0.19 0.01
Abdominalfat wt./Live wt. 1.31a 0.97b 1.21ab 1.25ab 1.10ab 0.97b 1.15ab 0.09
Proventriculus wt./Live wt. 0.54 0.54 0.45 0.45 0.48 0.57 0.44 0.05
Spleen wt./Live wt. 0.08 0.07 0.07 0.09 0.08 0.07 0.08 0.01
Bursa wt./Live wt. 0.19 0.19 0.20 0.18 0.21 0.19 0.20 0.02
Gallbladder wt./Live wt. 0.11 0.12 0.11 0.09 0.10 0.10 0.11 0.01
Thigh wt./Live wt. 12.78bc 12.93ab 13.71a 12.97ab 12.88ab 12.41bc 11.94c 0.24
Breast wt./Live wt. 19.51bc 19.90bc 20.53ab 20.83a 18.88c 18.79c 20.10ab 0.32
a,b,c,d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tem Control PGLP1 PGTP2 GLP3 SEM4
0.2% 0.4% 0.2% 0.4% 0.2% 0.4%
Cecum microbiota (log10 (cfu/g))
Lactic acid bacteria 8.54c 8.57c 8.59c 8.80b 9.09a 8.85b 8.61c 0.03
Yeast 8.36bc 8.30bc 8.15c 8.53bc 8.97bc 8.39a 8.24bc 0.07
Salmonella 8.22a 8.35a 8.31a 8.67a 8.63a 7.21b 8.44a 0.15
E. coil 7.84b 7.09c 7.29c 7.51bc 7.55bc 7.55bc 8.65a 0.12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reen tea probiotics
3 Ginkgo lef powder, 4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바. 천연물 발효생균제의 사료첨가 급여에 의한 육계의 생산성 효과 규명 2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및 석류-유자발효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사양시험에 사용한 시험용 발효생균제 시제품은 석류박 29%, 은행잎분말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박 30%, 유자박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Ⅰ및 석류박 29%, 유자박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Ⅱ를 이용하였다.
1)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로스 브로일러 (Ross Broiler)에 있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관한 결과는 표 18과 같다. 시험개시 (0주)부터 3주까지의 사양시험 결과, 각 처리구별 증체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855 g로 가장 높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759 g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가 1.35로 가장 낮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는 없었다. 3주부터 5주까지의 사양시험 결과, 증체량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1,242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가 1,097 g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전시험기간 (5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58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1,830 g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1.48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특히,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현저히 개선되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금사료 내 식물추출물 급여시 식욕 증진에 의한 사료섭취량 증가, 내인성 소화효소 분비의 개선 및 항균, 항산화 작용에 의하여 생선성이 개선된다는 결과와 carvacrol, cinnamaldehyde 그리고 capsicin 등이 함유된 식물추출물을 육계에 급여시 사료요구율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Jamroz 등, 2005). Cross 등 (2007)은 marjoram, oregano, rosemary, yallow 및 thyme 등 다양한 종류의 허브 추출물을 육계 사료내 첨가 급여시 생산성에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보고도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의 두 연구보고와 유사한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육계사료 내 석류박 29%, 은행잎 성분 10%와 석류박 29%, 유자성분 10%가 혼합되어 제조된 발효생균제 0.4% 급여수준은 육계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0-3 weeks
Intial weight(g) 39 39 39 39 39 0.02
Final weight(g) 764c 759c 855a 798b 763c 7.41
Weight gain(g) 724c 720c 816a 759b 724c 7.41
Feed intake(g) 1,013b 1,027b 1,167a 1,025b 998b 19.18
FCR (Feed/Gain) 1.40 1.43 1.43 1.35 1.38
3-5 weeks
Intial weight(g) 764c 759c 855a 798b 763c 7.41
Final weight(g) 1,870c 1,890c 2,097a 1,895c 1,964b 15.40
Weight gain(g) 1,106bc 1,130bc 1,242a 1,097c 1,201ab 20.07
Feed intake(g) 1,786c 1,896ab 1,977a 1,818bc 1,860bc 26.75
FCR (Feed/Gain) 1.61ab 1.68a 1.60ab 1.66a 1.55b 0.03
0-5 weeks
Intial weight(g) 39 39 39 39 39 0.01
Final weight(g) 1,870c 1,890c 2,097a 1,895c 1,964b 10.89
Weight gain(g) 1,830c 1,850c 2,058a 1,855c 1,925b 10.88
Feed intake(g) 2,800d 2,924b 3,144a 2,844cd 2,858c 12.15
FCR(Feed/Gain) 1.53b 1.58a 1.53b 1.53b 1.48c 0.01
a,b,c,d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2) 도체의 일반성분 (체조성)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체조성 분석결과는 표 19과 같다.
도체의 가슴살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24.95%로 가장 높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22.22%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조지방 함량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4%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가 0.95%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도체의 다리살의 조단백질 함량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20.70%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에서 19.03%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조지방 함량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3.53%로 가장 높았으며 (P<0.05), 대조구에서 2.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Davis (1975)에 의하면 돈육에서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상호 반비례하므로 지방함량이 높으면, 단백질 함량이 낮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ark과 Yoo (2000) 및 Kim (2007)에 의하면 육계에 생균제 첨가는 계육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인 경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 Kim 등 (2002)은 한약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하면 조지방 함량의 감소를 보고하였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Breast meat
Crude protein (%) 24.95a 23.52ab 22.80b 23.71ab 22.22b 0.46
Crude fat (%) 0.95d 1.05cd 2.04a 1.22bc 1.43b 0.08
Moisture (%) 74.35ab 74.62a 74.17ab 73.85b 74.60a 0.21
Crude ash (%) 1.36a 1.29ab 1.21b 1.40a 1.29ab 0.03
Thigh meat
Crude protein (%) 19.03c 19.34bc 19.70abc 20.70a 20.45ab 0.39
Crude fat (%) 2.00b 2.90a 3.37a 3.53a 3.01a 0.28
Moisture (%) 75.35 74.34 74.51 74.43 75.12 0.37
Crude ash (%) 1.08 1.18 1.09 1.21 1.12 0.03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3) 도체의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는 표 20와 같다.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의 급여에 따른 가슴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156.9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120.99 mg/100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183.27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P<0.05),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133.41 mg/100 g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내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첨가하였을 때 산란율 증가, 사료효율과 난황내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다는 (Abdulrahim 등, 1996) 연구보고가 있다.
Items Cont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Breast 140.89ab 156.99a 147.66ab 120.99b 122.16b 5.53
Thigh 165.39ab 183.27a 146.14ab 162.30ab 133.41b 8.85
a,b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4) 도체의 지방산 함량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계육의 지방산 함량분석 결과는 표 21과 표 22과 같다.
가슴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 (C14:0)는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2.0%로 가장 높았고 (P<0.05), 대조구에서 0.93%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가 있었다 (P<0.05).
Oleic acid (C18:1 n9)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36.16%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32.95%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SFA는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35.35%로 가장 높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는 없었다. ∑MUFA는 대조구에서 41.35%로 가장 낮아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다리살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 (C14:0)는 대조구에서 1.10%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1.02%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가 있었다 (P<0.05). Oleic acid (C18:1 n9)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40.35%로 가장 높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는 없었다. Linoleic acid (C18:2n6)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모두 18.22%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에서 16.70%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SFA는 대조구에서 31.46%로 가장 높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30.25%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n-6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18.76%로 가장 높았고 (P<0.05),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처리구에서 17.25%로 가장 낮아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단위동물의 근육 내 지방산 조성은 급여사료를 통해서 변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Pascual 등 2007). Oleic acid는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 다량섭취시 혈중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가져옴으로 동맥경화증과 같은 성인병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Grundy, 1986).
Items Control PGLP-12 PGLP-23 PCP-14 PCP-25 SEM6
0.4% 0.4% 0.4% 0.4%
Myristic acid(C14:0) 0.93b 1.65ab 1.60ab 2.00a 2.14a 0.17
Pentadecanoic acid(C15:0) 2.24a 2.28a 1.09b 0.96b 0.97b 0.13
Palmitic acid(C16:0) 21.11 20.45 19.92 20.23 19.96 0.34
Palmitoleic acid(C16:1n7) 4.38 4.15 4.39 4.03 3.76 0.23
Stearic acid(C18:0) 0.21b 5.50a 9.71a 7.36a 7.01a 1.35
Oleic acid(C18:1 n9) 35.08a 32.95b 36.16a 34.73a 34.73a 0.38
Linoleic acid(C18:2n6) 17.85a 15.25c 17.37a 16.08b 17.33a 0.26
α-linolenic acid(C18:3n3) 0.43a 0.34b 0.45a 0.47a 0.44a 0.02
Arachidic acid(C20:0) 0.74a 0.48b 0.77a 0.64a 0.71a 0.04
Eicosaenoic acid(C20:1n9) 0.50 0.45 0.45 0.55 0.59 0.05
Eicosapentanoic acid(C20:5n3) 4.19b 5.70a 3.23b 4.28b 4.27b 0.34
DGLA(C20:3n6) 1.99 1.72 1.75 2.11 2.01 0.14
Docosahexaenoic acid(C22:6n3) 1.12b 2.78a 1.31b 1.94ab 1.61b 0.25
Tetracosaenoic acid(C24:1n9) 1.40ab 1.54ab 1.10b 1.66ab 1.91a 0.16
∑SFA1 34.01 35.35 33.56 34.52 34.11 0.68
∑MUFA1 41.35a 44.08b 42.09b 40.96b 40.99b 0.53
∑PUFA1 25.57 25.78 24.10 24.88 25.65 0.51
∑n-31 5.74bc 8.81a 4.98c 6.69bc 6.31b 0.37
∑n-61 19.84ab 16.96c 19.11a 18.20b 19.34ab 0.40
USFA/SFA 1.22 1.12 1.25 1.19 1.21 0.03
PUFA/SFA 0.75 0.74 0.72 0.72 0.75 0.02
n-6/n-3 3.53ab 1.97d 3.87a 2.77c 3.12bc 0.18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SFA = saturated fatty acid; ∑MUFA = mono-unsaturated fatty acid; ∑PUFA = poly-unsaturated fatty acid, ∑n-3 = total omega 3 fatty acid;∑n-6 = total omega 6 fatty acid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5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6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Items Control PGLP-12 PGLP-23 PCP-14 PCP-25 SEM6
0.4% 0.4% 0.4% 0.4%
Myristic acid(C14:0) 1.10a 1.03ab 1.07ab 1.02b 1.07ab 0.02
Myristoleic acid(C14:1 n5) 0.38a 0.37ab 0.34b 0.35b 0.34b 0.01
Pentadecanoic(C15:0) 0.79 0.83 0.71 0.81 0.85 0.07
Palmitic acid(C16:0) 21.54a 20.804b 20.06c 21.18ab 20.86b 0.17
Palmitoleic acid(C16:1n7) 6.14ab 6.75a 5.52b 5.84b 5.57b 0.23
Stearic acid(C18:0) 7.00ab 6.66b 7.42a 7.12ab 7.31a 0.21
Oleic acid(C18:1 n9) 39.72 40.35 39.94 40.18 40.06 0.45
Linoleic acid(C18:2n6) 17.85ab 16.70c 18.22a 17.21bc 18.22a 0.26
α-linolenic acid(C18:3n3) 0.57 0.58 0.61 0.61 0.58 0.02
Arachidic acid(C20:0) 1.03ab 0.94c 0.99bc 0.99bc 1.06a 0.02
Eicosaenoic acid(C20:1n9) 0.21b 0.21b 0.25a 0.23ab 0.24b 0.01
Eicosadienoic acid(C20:2 n6) 0.14 0.15 0.15 0.16 0.14 0.01
DGLA(C20:3n6) 0.37 0.40 0.37 0.46 0.41 0.04
Eicosapentanoic acid(C20:5n3) 2.15 3.07 2.19 2.70 2.23 0.36
Docosahexaenoic acid(C22:6n3) 0.88 0.52 0.36 0.99 0.83 0.19
∑SFA1 31.46a 30.30b 30.25b 31.10a 31.15a 0.24
∑MUFA1 46.44 47.68 46.05 46.60 46.21 0.61
∑PUFA1 21.95 21.43 21.89 22.11 22.41 0.60
∑n-31 3.61 4.17 3.16 4.28 3.64 0.48
∑n-61 18.35ab 17.25c 18.73a 17.83bc 18.76a 0.25
USFA/SFA 1.48 1.57 1.52 1.50 1.49 0.03
PUFA/SFA 0.70 0.71 0.73 0.71 0.72 0.02
n-6/n-3 5.44b 4.50b 12.77a 4.44b 5.18b 1.46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SFA = saturated fatty acid; ∑MUFA = mono-unsaturated fatty acid; ∑PUFA = poly-unsaturated fatty acid, ∑n-3 = total omega 3 fatty acid;∑n-6 = total omega 6 fatty acid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5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6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5) 혈중 면역항체 (IgG)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는 표 23과 같다. 시험 처리구별 혈중 면역글로빈 IgG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1.84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에서 1.20 mg/ml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의 모든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IgG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경천 등 (2007)은 육계에 herbs 와 plant extracts를 첨가 급여시 IgG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홍성진 등 (2001)은 육계에 생약제 급여시 혈청내 IgG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IgG (mg/ml) 1.20c 1.84a 1.51ab 1.32b 1.34b 0.22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6) 맹장 내 미생물 환경 분석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육계의 맹장내 미생물 환경분석 결과는 표 24과 같다. 맹장내 유산균 밀도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6.79 log10 cfu/g으로 가장 낮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8.01 log10 cfu/g으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효모균 (Yeast)의 밀도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에서 6.90 log10 cfu/g으로 가장 낮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7.62 log10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대장균 (E. coil)의 밀도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4.73 log10 cfu/g으로 가장 낮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8.55 log10 cfu/g으로 가장 높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Cecum microbiota (log10 cfu/g)
Lactic acid bacteria 7.33 6.79 7.60 7.39 8.01 0.35
Yeast 7.36 6.90 7.41 7.22 7.62 0.29
E. coli 6.49 4.73 7.64 6.59 8.55 0.53
pH 5.85 6.12 6.20 5.72 5.59 0.30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사. 천연물 발효생균제 급여에 의한 육계의 항병력 평가 (Challenge Test)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유자 복합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병원성균에 대한 육계의 항병성을 평가하기 위해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는 각각 SS broth배지와 MCS broth에서 2일간(37℃) 배양시켜 사용하였다. 배양액 내 병원균의 밀도는 Salmonella enteritidis는 2.35X107 cfu/ml이었으며, E. coli는 3.70X107 cfu/ml으로 나타났으며, 두 배양액을 각각 1:1씩 혼합하여 1 ml씩 Micropipet tip을 사용해 각 처리구별 공시동물의 구강으로 강제 접종하여 인공감염 시킨 후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양시험에 사용한 시험용 발효생균제 시제품은 석류박 29%, 은행잎분말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박 30%, 유자박 5%, 옥수수주정박 32%, 탈지미강 32%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Ⅰ및 석류박 29%, 유자박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유자발효생균제Ⅱ를 이용하였다.
1) 처리구별 폐사수 및 폐사율 조사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각 처리구별 폐사수 및 폐사율 조사 결과는 표 25와 같다. 전시험기간 처리구별 폐사수는 대조구에서 15수로 가장 많이 폐사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가 3수로 가장 적게 폐사되었다. 각 처리구별 폐사율은 대조구 83.33%,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 72.22%,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 50%,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 22.22% 및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 16.67%로 조사되어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Total
0.4% 0.4% 0.4% 0.4%
Total birds 18 18 18 18 18 90
Dead birds 15 13 9 4 3 44
Live birds 3 5 9 14 15 46
Mortality (%) 83.33 72.22 50 22.22 16.67 48.89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2) 맹장 내 미생물 환경 분석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각 처리구별 공시동물의 맹장 내 미생물 환경 분석 결과는 표 26와 같다. 각 처리구별 맹장 내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밀도는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9.21 log10 cfu/g으로 가장 높았으며 (P<0.05), 효모균 (Yeast)의 밀도는 대조구에서 8.59 log10 cfu/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6.34 log10 cfu/g으로 가장 낮았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대장균 (E. coil)의 밀도는 대조구와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각각 8.05, 8.38 log10 cfu/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5.57 log10 cfu/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살모넬라균 (Salmonella)의 경우, 대조구에서 8.15 log10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6.0 log10 cfu/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Cecal microbiota (log10 cfu/g)
Lactic acid bacteria 8.59b 8.57b 8.46b 8.32b 9.21a 0.14
Yeast 8.59 6.34 7.25 8.21 8.35 0.69
Escherichia coli 8.05a 8.38a 5.57c 6.13bc 6.81b 0.79
Salmonella enteritidis 8.15 6.16 6.05 6.00 6.77 0.82
pH 6.37 6.05 6.90 6.13 6.21 0.01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3) 혈중 면역항체 (IgG, IgM 및 IgA) 분석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의 급여에 따른 육계의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는 표 27과 같다.
IgM 함량의 경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과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각각 0.12, 0.11 mg/ml로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2 (PGLP-1, 2) 0.4% 처리구에서 0.07 mg/ml로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gA 함량의 경우에는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0.61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가 0.49 mg/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gG 함량의 경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1.07 mg/ml로 가장 높았고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0.92 mg/ml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0.4% 0.4% 0.4% 0.4%
Immunoglobulins
IgM (mg/ml) 0.08b 0.07b 0.07b 0.12a 0.11a 0.01
IgA (mg/ml) 0.60ab 0.49c 0.60ab 0.61a 0.53bc 0.02
IgG (mg/ml) 0.96b 0.94b 0.92b 0.96b 1.07a 0.02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4) 장기무게 측정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의한 육계의 복강내 지방 및 장기무게 분석 결과는 표 28과 같다.
Items Control PGLP-11 PGLP-22 PCP-13 PCP-24 SEM5
T1 T2 T3 T4
Liver 4.42 4.39 5.19 3.76 5.40 0.46
Heart 0.99ab 0.91ab 1.15ab 0.72b 0.96ab 0.07
Gizzard 6.95ab 5.83b 8.67b 4.99b 6.46ab 0.64
Ceca 0.80 0.77 0.83 0.98 1.00 0.15
S. intestine 9.54 7.77 9.19 9.35 8.10 0.59
L. intestine 0.46C 0.43C 0.79a 0.43C 0.50b 0.05
Proventriculus 1.35 1.58 1.77 1.21 1.24 0.16
Spleen 0.13 0.09 0.12 0.11 0.13 0.03
Kidney 1.16 1.01 1.09 1.01 1.29 0.12
Bursa 0.19 0.16 0.16 0.19 0.23 0.02
Pancreas 0.61 0.67 0.54 0.61 0.55 0.06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30%, ginkgo leaf 5%)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3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30%, citron 5%)
4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5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각 처리구별 심장 무게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1.15%로 가장 높았고 석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0.72%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모이주머니의 경우 대조구에서 6.95%로 가장 높았고 서류-유자발효생균제 1 (PCP-1) 0.4% 처리구에서 4.99%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대장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0.79%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1 (PGLP-1) 0.4% 처리구에서 0.43%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실시예 3
가. 천연물 발효생균제 급여에 의한 자돈의 항병력 평가 (Challenge Test)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발효생균제 (석류와 은행잎 복합생균제 및 석류와 유자복합생균제 0.4% 첨가)의 급여가 병원성균에 대한 자돈의 항병성을 평가하기 위해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는 각각 SS broth배지와 MCS broth에서 2일간(37℃) 배양시켜 사용하였다. 배양액 내 병원균의 밀도는 Salmonella enteritidis는 1.4X108 cfu/ml이었으며, E. coli는 5.2X107 cfu/ml으로 분석되었으며, 두 배양액을 각각 1:1씩 혼합하여 1 ml씩 Micropipet tip을 사용해 각 처리구별 공시동물의 구강으로 강제 접종하여 인공감염 시킨 후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사양시험에 사용한 시험용 발효생균제 시제품은 석류박 29%, 은행잎분말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박 29%, 유자박 10%, 옥수수주정박 30%, 탈지미강 30% 및 발효조정제로서 포도당 1%로 배합된 석류-유자발효생균제를 이용하였다.
1)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자돈에 있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 관한 결과는 표 29과 같다. 전시험기간 (3주) 동안의 각 처리구간의 증체량을 비교해보면,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40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 18.83 kg으로 가장 낮아 처리구간의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의 경우,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 1.9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tems Control PGLP-21 PCP-22 SEM3
0.4% 0.4%
0∼3 Weeks
Initial weight (kg) 21.70 21.77 22.29 0.26
Final weight (kg) 40.98 42.17 41.12 0.53
Weight gain (kg) 19.28b 20.40a 18.83c 0.66
Feed intake (kg) 38.95 38.71 38.67 0.12
FCR (feed/gain) 2.02 1.90 2.05 0.06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3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2) 혈중 면역항체 분석
자돈에 있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혈중 면역성분 분석 결과는 표 30와 같다.
시험 처리구별 혈중 면역글로빈 IgA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1.16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0.98 mg/ml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는 없었다. 혈중 면역글로빈 IgG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1.84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에서 1.76 mg/ml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혈중 면역글로빈 IgM 함량 분석 결과,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가 2.01 m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Item Control PGLP-21 PCP-22 SEM3
0.4% 0.4%
Immunoglobulins
IgA (mg/ml) 1.00 1.16 0.98 0.08
IgG (mg/ml) 1.81b 1.84a 1.76c 0.03
IgM (mg/ml) 1.76b 2.01a 1.75b 0.12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3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3) 혈중 사이토카인 (TNF-α) 분석
자돈에 있어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급여에 따른 혈중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는 표 31과 같다.
시험 처리구별 혈중 사이토카인 TNF-α 함량 분석 결과,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81.46 pg/ml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에서 59.56 pg/ml로 가장 낮게 분석되어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와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혈중 사이토카인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Item Control PGLP-21 PCP-22 SEM3
0.4% 0.4%
TNF-α (pg/ml) 59.56c 80.77b 81.46a 10.17
a,b,c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3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4) 분변 내 미생물 환경 분석
병원성 균에 대한 인공감염 후, 각 처리구별 공시동물의 분변 내 미생물 환경 분석 결과는 표 32과 같다. 각 처리구별 분변 내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밀도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8.48 log10 cfu/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효모균 (Yeast)의 밀도는 석류-은행잎발효생균제 2 (PGLP-2) 0.4% 처리구에서 6.93 log10 cfu/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에서 6.55 log10 cfu/g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대장균 (E. coil)의 밀도는 대조구에서 4.97 log10 cfu/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석류-유자발효생균제 2 (PCP-2) 0.4% 처리구에서 4.42 log10 cfu/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Items Control PGLP-21 PCP-22 SEM3
0.4% 0.4%
Fecal microbiota (log10 cfu/g)
Lactic acid bacteria 8.37 8.48 8.29 0.08
Yeast 6.55 6.93 6.86 0.16
E. coli 4.97 4.71 4.42 0.22
1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ginkgo leaf probiotics(pomegranate 29%, ginkgo leaf 10%)
2 Fermentation pomegranate and citron probiotics(pomegranate 29%, citron 10%)
3 SEM = Standard error of the means

Claims (1)

  1. 석류 및 은행잎의 혼합 추출물 또는 석류 및 유자박 혼합 추출물을 발효시킨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항생제 대체제용 사료 첨가제.
KR1020160111741A 2016-08-31 2016-08-31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KR20180024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41A KR20180024830A (ko) 2016-08-31 2016-08-31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41A KR20180024830A (ko) 2016-08-31 2016-08-31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30A true KR20180024830A (ko) 2018-03-08

Family

ID=6172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41A KR20180024830A (ko) 2016-08-31 2016-08-31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8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143A (zh) * 2019-06-20 2019-09-06 淮阴工学院 仔猪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135740A (ko) * 2018-05-29 2019-1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귀뚜라미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55830A (zh) * 2020-12-22 2021-04-16 博益德(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长育肥猪全发酵浓缩饲料、其制备方法及应用
KR20210074480A (ko) * 2019-12-12 2021-06-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을 이용한 패각 발효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03121A (zh) * 2022-05-27 2022-08-16 广州朴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猪肉品质的功能性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40A (ko) * 2018-05-29 2019-1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귀뚜라미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00143A (zh) * 2019-06-20 2019-09-06 淮阴工学院 仔猪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74480A (ko) * 2019-12-12 2021-06-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을 이용한 패각 발효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55830A (zh) * 2020-12-22 2021-04-16 博益德(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长育肥猪全发酵浓缩饲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14903121A (zh) * 2022-05-27 2022-08-16 广州朴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猪肉品质的功能性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afor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benefits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as an ideal complementary and/or alternative livestock feed supplement
Ramírez-Rodríguez et al. Ethnobotanical, nutritional and medicinal properties of Mexican drylands Cactaceae Fruits: Recent findings and research opportunities
Berry et al. The Middle Eastern and biblical origins of the Mediterranean diet
Çabuk et al. Effect of a dietary essential oil mixture on performance of laying hens in the summer season
Achilonu et al. Biochemical proximates of pumpkin (Cucurbitaeae spp.) and their beneficial effects on the general well‐being of poultry species
KR20180024830A (ko) 천연물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KR20110131718A (ko)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gubosi et al. Influence of dietary inclusion of Sunflower (Helianthus annus) oil on growth performance and oxidative status of broiler chicks
Kim et al. Effects of fermented barley or wheat as feed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gut health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KR100912468B1 (ko) 대두발효복합사료 및 그 대두발효복합사료로 생산된 계란및 육류
Alagbe Daniellia oliveri leaf extract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feed additives in broiler chicken diet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Lagos et al. Recent patents on the appl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food: a short review
Kiczorowska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and morphology of broilers
Aydın et al.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essential oil isolated from orange peel (Citrus sinensis L.) to broiler diets on the performance
Santoso et al. The effect of Sauropus androgynus leaf extract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ggs.
Hassan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ponin-rich guar meal extract
Kanwal et al. Growth performance of poultry in relation to Moringa oliefera and Azadirachta indica leaves powder
Alagbe Clerodendron splendens leaf extract supplementation in weaner rabbits: impact on growth performance, haematology and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Afia A Review of Pentaclethra macrophylla (African oil bean) seed
Khan et al. Role of botanical leaves powder in blood hematology of living organisms
Nathaniel Efficacy of Moringa oleifera and Moringa stenopetala leaves on growth performance, haemato-biochemical profiles and gut microbiota in Broiler chicken
CN113974006A (zh) 一种提高猪生长性能和改善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Tope et al. Phytochemical constituents,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analysis of aqueous and ethanolic stem bark, seed extracts and plant parts of Moringa oleifera
Lim et al. Chenopodium quinoa
Al-Musodi Effect of Dietary Pomegranate Pomace Powder and/or Saccharomyces Cerevisiae in Some Productive and Physiological Traits in Local Male La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