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114A -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114A
KR20010103114A KR1020010062303A KR20010062303A KR20010103114A KR 20010103114 A KR20010103114 A KR 20010103114A KR 1020010062303 A KR1020010062303 A KR 1020010062303A KR 20010062303 A KR20010062303 A KR 20010062303A KR 20010103114 A KR20010103114 A KR 20010103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subtilis
feed
bacillus
culture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환
이영하
박도수
김형석
김창익
Original Assignee
안경환
(주) 동화미생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환, (주) 동화미생물연구소 filed Critical 안경환
Priority to KR102001006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114A/ko
Publication of KR2001010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085Bacillus cere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의 배양액 동일중량으로 혼합된 사료첨가제 40ℓ와, 미강 500kg, 5% 당밀액 200ℓ를 배합기에서 균질하게 섞으면서 배합시킨 후, 항온실(30℃)에서 2일간 숙성시킨 다음, 다시 교반기에 넣고 통기시킨 뒤 요소(urea), 인산소다(NaH2PO4), 황산마그네슘(MgSO4)의 미네랄 공급 후 40%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재차 교반기에 넣고 2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고 12시간 건조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of microorganism annex contain feed}
본 발명은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축의 폐사율 감소, 사료 효율의 증가로 인한 사료 이용율의 감소 및 악취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 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료용 미생물 첨가제용 균주로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선정되었다.
최근 유기 농법에 의한 고부가가치의 농산물 생산에 관심이 모아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바이러스성 질병에 의한 가축의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다양한 미생물 제제의 수요 및 공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미생물 제제의 사용은 축산농가의 소득증대, 환경개선 및 유기농법에 의한 고품질의 무공해 축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생물 제제의 제조 및 유통에 대해 아무런 법적, 제도적 규제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전문 지식이 부족한 소규모 업체가 무분별하게 제조한 미생물 제제의 유통으로 축산 농가로부터 미생물 제제의 효능에 관하여 확신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용도에 맞지 아니한 수입 미생물 제제의 남용으로 농가의 피해와 함께 불신감이 늘어나고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88-2453호에는 톱밥, 쌀겨, 밀기울 등을 배합하고 질석, 물, 당류, 인산암모늄, 제1인산칼슘, 복합아미노산 발효효소제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과 규산염광물질을 이용한 사료첨가제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제10-1999-46017호에는 황토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성분 및 생 촉매제인 카탈리스트등과 효모와 유산균이 주된 미생물인 납두균을 이용하여 소화흡수력을 향상시켜 냄새를 없애고, 배설물의 유해균을 제거해 주며, 물에 잘 용해됨과 아울러 질소나 인등의 수질 오염 물질을 정화시켜 주도록 한 양어용 사료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제10-1995-10769호에는 7,8-디하이드로폴산, 류코브린, 간제제분말, 미생물의 파열세포 또는 세포추출물 등의 형태인 환원된 형태의 폴산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암퇘지 사료용 첨가제가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무분별한 미생물제제와 항생제의 남용으로 또다른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하였으며, 유기 농법에 의한 고품질의 축산물을 생산에 따른 농가의 소득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없으며, 가축의 폐사율을 낮추고 사료 효율을 증가시켜 사료비의 절감으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용 미생물 제제의 개발은 수입대체에 따른 외화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의 남용을 줄일 수 있어 유기 농법에 의한 고품질의 축산물을 생산에 따른 농가의 소득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며, 특히 가축의 폐사율을 낮추고 사료 효율을 증가시켜 사료비의 절감으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종 (이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Ⅲ),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엔테로코커스 훼시엄(Enterococus faecium)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로 이루어진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의 배양액 동일중량으로 혼합된 사료첨가제 40ℓ와, 미강 500kg, 5% 당밀액 200ℓ를 배합기에서 균질하게 섞으면서 배합시킨 후, 항온실(30℃)에서 2일간 숙성시킨다음, 다시 교반기에 넣고 통기시킨 뒤 요소(urea), 인산소다(NaH2PO4), 황산마그네슘(MgSO4)의 미네랄 공급 후 40%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재차 교반기에 넣고 2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고 12시간 건조하여 제조하는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미생물 제제)에 이용될 미생물들을 고농도로 배양할 수 있도록 배양 공정을 설립하였고,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최소한의 설비와 생산비로 배양할 수 있도록 배양 공정을 간편화하여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109cfu/ml 이상 수준의 생균수를 얻을 수 있는 간이 발효 시설을 고안하였다.
또한 액체 배지에서 얻어진 균체수의 증강을 위하여 미강과 당밀을 이용한 최적의 제제화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제제화 공정을 통하여 원균 배양액보다 균체수가 102이상 증강되는 효과를 얻었다.
사료 첨가용 미생물 제제를 육계용 사료톤당 0.2%를 섞어 공급한 경우 타사의 제품을 사용한 양계보다 출하율이 5.9% 증가되는(98.2%, 92.3%) 효과를 보였으며 배설물의 냄새 제거 효과과 나타났다. 또한 사료 이용율이 증가하여 사료절감 효과도 나타났다.
Ⅰ. 미생물 제제용 우수 균주의 선별
미생물의 선별은 사료의 소화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미생물 제제의 제조시 발생되는 열에 안정할 것으로 사료되는 몇 가지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으며 우선적으로 선별된 여러 미생물 중 특정 효소 활성을 관찰할 수 있는 탐색용 평판배지에 배양하여 그 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택하였다. 우수 균주의 탐색을 위하여 조사된 효소는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전분 분해 효소(amylase), 셀룰로스 분해 효소(cellulase)이다. 또한 포뮬레이션하여 2차 배양하는 단계에서 50℃ 이상의 열이 발생하므로 미생물 제제를 생산하기 위한 미생물은 고온에서 성장 및 효소 활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30℃에서 60℃까지 온도별로 성장 및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선별하였다.
Ⅱ. 미생물 제제용 우수 균주의 선정
사료 첨가제는 독성이나 병원성이 없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우선적이다. 앞서 분리된 미생물중 닭이나 소의 위속에서와 같은 혐기적 조건에서 생리 활성을 보일 수 있는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선정하였으다. 또한 효모는 일반적으로 소화 촉진 효소제로 주로 사용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선정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 전분 분해 효소 및 셀룰로스 분해 효소 능력이 모두 우수하며 55℃ 이상의 열에서도 성장 및 효소 활성이 좋은 바실러스 계통의 균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선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소에 기탁(기탁번호 KCTC 10074BP)하였다
Ⅲ. 미생물 제제의 생산체제 구축
미생물 제제용으로 선정된 각 균주의 배양 조건, 생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미생물을 대량 배양하기 위한 배양 공정 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효조를 이용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의 고농도 대량 배양을 하는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은 최소한의 설비와 생산비로 간이 발효조를 이용 혐기적 배양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생물 seed 배양 --→ 대량 배양 --→ 혼합 --→ 2차배양 (4일) --→
건조(12시간) --→ 포장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실시예1
제1공정 (엔테로코커스 훼시엄 배양)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엔테로코커스 , 펩톤 10g, 효모 추출물 5g, 비프 추출물 10g, 트윈 80 1ml, K2HPO42g,트리암모니움 시트레이트 2g, MgSO4·7H2O 0.2g, MnSO4·7H2O 0.2g로 조성된 배양용 배지에서 30℃, pH 6.6의 조건에서 종균을 항온실(30℃)에서 20L 간이 용기를 사용 고온습윤멸균 후 뚜껑을 막아 혐기적 정체 배양한 후,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상기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생산하였다.
제2공정(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배양)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KH2PO41g, MgSO4·7H2O 0.2g, 효모 추출물 10g로 조성된 곰팡이 배양용 배지에서 30℃, pH 7.0 의 조건으로 진탕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한 후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생산하였다
제3공정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배양)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각각 동일 중량으로 하여 포도당 20g, 효모 추출물 4g, (NH4)2SO42g, Na2HPO41.7g, KH2PO41g, MgSO4·7H2O 0.1g, FeSO4·7H2O 0.01g
CaCl2·7H2O 0.02g 로 조성된 세균 배양용 배지에서 30~40℃, pH 7.0의 조건에서 유기식, 진탕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생산하였다.
제4공정 (혼합공정)
상기 생산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각각 동일중량으로 혼합하여 사료 첨가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미생물 사료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배양된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의 배양액 동일중량으로 혼합된 사료첨가제 40ℓ와, 미강 500kg, 5% 당밀액 200ℓ를 배합기에서 균질하게 섞으면서 배합시킨 후, 항온실(30℃)에서 2일간 숙성시킨다음, 다시 교반기에 넣고 통기시킨 뒤 요소(urea), 인산소다(NaH2PO4), 황산마그네슘(MgSO4)의 미네랄 공급 후 40%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재차 교반기에 넣고 2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고 12시간 건조하여 사료를 제조하였다.
한편 미생물 제제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제제의 보관 온도를 조사하였는데 저온(4℃)과 상온(30℃)에서의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상온 보관의 경우 단기간일 경우에는 균체수의 효율이 더 좋으나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는 저온의 건조한 경우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선별된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한 배지의 조성과 배양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미생물 대량 배양을 위해 사용된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
균주 배지 조성 (DW 1L당) 배양 조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Ⅱ, Ⅲ)바실러스 세레우스 포도당 20g효모 추출물 4g(NH4)2SO42gNa2HPO41.7gKH2PO41gMgSO4·7H2O 0.1gFeSO4·7H2O 0.01gCaCl2·7H2O 0.02g 진탕배양30℃ ∼ 45℃pH 7.0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KH2PO41gMgSO4·7H2O 0.2g효모 추출물 10g 진탕배양30℃pH 7.0
엔테로코커스 훼시엄 펩톤 10g효모 추출물 5g비프 추출물 10g트윈 80 1mlK2HPO42g트리암모니움 시트레이트 2gMgSO4·7H2O 0.2gMnSO4·7H2O 0.2g 혐기적 배양정체 배양30℃pH 6.6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육계에 직접 투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육계의 출하율, 증체율 및 사료 요구율 등을 조사하였다. 사육 실험은 충북 진천군 이월면에 위치한 사육장에서 실시하였다. 육계의 사료는 자유 급식되었으며, 미생물제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사료와 사료톤당 각각 0.1, 0.2, 0.3% 양의 사료첨가제(미생물제제)를 사료에 섞어 공급하였다.
비교예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미생물 제제 첨가제를 각각 0.1 , 0.2, 0.3% 첨가한 제품과 미생물제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사료를 이용하여 육계를 출하한 후 그 결과를 비교실험하였다.
[표 2]
미생물제제 첨가량의 비교
종래의 사료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0.1% 첨가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0.2%첨가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0.3%첨가
입추수수 10,000 10,000 10,000 10,000
출하수수 9,232 9,479 9,824 9,813
출 하 율(%) 92.3 94.8 98.2 98.1
총 중 량(kg) 14,306 14,883 15,712 15,598
평균체중(kg) 1.55 1.57 1.60 1.59
출하일령 35일 34일 34일 34일
사료섭취량(kg) 27,481 26,834 27,485 27,312
사료요구율 1.92 1.80 1.75 1.75
가스발생비 +++++ +++ + +
상기와 같이 육계를 사육한 결과 미생물제제 첨가제를 사용한 사료와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사료와는 월등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첨가제를 0. 2%첨가한 사료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비교예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시일 경과에 따른 육계의 출하율, 증체율 및 사료 요구율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 3]
사료첨가제를 투여한 육계의 출하율, 증체율 및 사료 요구율
비교예(무투여구) 실시예 (첨가제 0.2%투여구)
출하율 9,232/10,000 (92.3%) 9,824/10,000 (98.2%)
평균 출하무게 1.55 kg 1.60 kg
사료요구율 1.92 1.75
축사내 냄새 - 암모니아 냄새가 줄어듬
상기 표에서와 같이 출하 당시 육계의 출하가 현저하게 늘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평균 출하무게도 대조구보다 사료첨가제를 0.2%첨가한 계군의 평균체중이 50g 정도 늘어나고 사료 요구율도 약 0.9% 개선되었다. 또한 계분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의 냄새도 감소되었다.
이는 투여한 미생물들의 작용으로 면역력이 증가되고 소화기 계통의 질병에 의한 폐사의 감소로 생각되어지고 계분으로부터 발생되는 암모니아가스의 감소로 호흡기 질환 질병에 의한 폐사가 감소하였을 것이라 사료된다.
비교예 3
또한 투여한 사료첨가제는 강장 작용을 하는 균이므로 장의 기능을 강화시켜 사료의 이용율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분을 채취하여 장내의 사료첨가제 투여 후 군집 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시료 15일과 30일째 계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표 4]
계분의 총 미생물 수 분석
대장균이 차지하는 비율(%) 유산균이 차지하는 비율(%)
15일 30일 15일 30일
실시예 1(0.2%투여구) 7.7 5.2 71.3 75.6
비교예(무투여구) 10.2 11.3 41.8 58.8
상기 표4에서 보면 비교예에 비해 대장균의 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이 장내에서 우점종으로 자리하여 다른 유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거나 대사 산물에 의해 장내의 pH를 감소시켜 다른 세균들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투여한 미생물(사료첨가제)이 장내에 우점종으로 자리하여 닭의 소화를 촉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유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작용으로 장 기능의 강화로 우수한 사료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료첨가제(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육계를 대상으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육계 사육시 소모된 사료량
사료 소모량 (g/1마리)
실시예1(첨가제0.2%투여구) 2797.7
비교예(무투여구) 2976.7
상기 표 5에서 보면 비교예에 비해 사료 소모량이 약 6.4% 정도 감소하였음을 알수 있다. 이는 장내에 미생물들이 존재하여 장의 정장작용에 의해 장에서 소화흡수가 잘 되어 사료의 소모량이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사료 절감 효과 및 사육일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닭에 직접 투여한 사료첨가제에 의해 폐사율이 감소하였으며, 사료의 요구율 또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투여한 사료첨가제에 함유된 미생물에 의해 면역력이 증가하고 이에 소화기와 호흡기 계통의 질병에 의한 폐사가 줄어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사료의 효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투여한 사료첨가제에 함유된 미생물이 정장 작용을 하여 닭의 소화율을 증가시키고 장내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사료 효율의 증가는 사료의 이용량을 감소시켜 사육 농가에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육계의 사육일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가축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감소 폐사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투여한 미생물들은 일정 기간 후 효과적으로 소화기관내 정상 균총으로 정착하여 비육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사료 이용율을 극대화하여 사료 소비를 줄이고 사육 일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축사내의 악취 발생 및 보건 위생상의 문제점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자체 생산이 용이하며 경제성이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의 배양액 동일중량으로 혼합된 사료첨가제 40ℓ와, 미강 500kg, 5% 당밀액 200ℓ를 배합기에서 균질하게 섞으면서 배합시킨 후, 항온실(30℃)에서 2일간 숙성시킨다음, 다시 교반기에 넣고 통기시킨 뒤 요소(urea), 인산소다(NaH2PO4), 황산마그네슘(MgSO4)의 미네랄 공급 후 40%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재차 교반기에 넣고 2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건조기에 넣고 12시간 건조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2. 사료용 미생물제제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Ⅲ,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이 각각 동일중량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미생물제제 첨가제 조성물.
  3. 사료용 미생물제제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엔테로코커스 배양용 배지에서 종균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발효조에 접종하여 본배양함으로써 상기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생산하는 단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곰팡이 배양용 배지에서 종균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발효조에 접종하여 본배양함으로써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생산하는 단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세균 배양용 배지에서 종균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발효조에 접종하여 본배양함으로써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테로코커스 훼시엄과 상기 생산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상기 생산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미생물제제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훼시엄 배양단계는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엔테로코커스 , 펩톤 10g, 효모 추출물 5g, 비프 추출물 10g, 트윈 80 1ml,K2HPO42g,트리암모니움 시트레이트 2g, MgSO4·7H2O 0.2g, MnSO4·7H2O 0.2g로 조성된 배양용 배지에서 30℃, pH 6.6의 조건에서 종균을 항온실(30℃)에서 20L 간이 용기를 사용 고온습윤멸균 후 뚜껑을 막아 혐기적 정체 배양한 후,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제조하며,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배양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KH2PO41g, MgSO4·7H2O 0.2g, 효모 추출물 10g으로 조성된 곰팡이 배양용 배지에서 30℃, pH 7.0 의 조건으로 진탕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한 후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를 생산하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배양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각각 동일 중량으로 하여 포도당 20g, 효모 추출물 4g, (NH4)2SO42g, Na2HPO41.7g, KH2PO41g, MgSO4·7H2O 0.1g, FeSO4·7H2O 0.01g, CaCl2·7H2O 0.02g 로 조성된 세균 배양용 배지에서 30~40℃, pH 7.0의 조건에서 유기식, 진탕배양하고, 상기 종균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발효조에서 접종(접종량은 약 5∼10% 수준)하여 본 배양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및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생산한 다음, 상기 혼합공정은, 상기 생산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Ⅲ), 바실러스 세레우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및 엔테로코커스 훼시엄을 각각 동일중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미생물제제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62303A 2001-10-10 2001-10-10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KR20010103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303A KR20010103114A (ko) 2001-10-10 2001-10-10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303A KR20010103114A (ko) 2001-10-10 2001-10-10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14A true KR20010103114A (ko) 2001-11-23

Family

ID=4578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303A KR20010103114A (ko) 2001-10-10 2001-10-10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11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51B1 (ko) * 2002-01-15 2004-11-09 이헌구 폐사탕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 비료의 제조방법
KR100840145B1 (ko) * 2006-12-22 2008-06-23 이득식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552B1 (ko) * 2008-03-13 2010-01-19 소백산쑥돈영농조합법인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49670B1 (ko) * 2009-06-15 2010-03-29 허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WO2010147345A2 (ko) * 2009-06-15 2010-12-23 Heo Kwa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그 이용
KR101465233B1 (ko) * 2014-05-27 2014-11-25 (주)창조바이오텍 감태와 바실러스 속 is-2 균주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 첨가제
KR101890877B1 (ko) * 2017-04-28 2018-08-23 (주)현농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와 비타민b2를 함유한 양어용 보조사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14403295A (zh) * 2021-11-15 2022-04-29 源耀生物科技(盐城)股份有限公司 一种高抑菌性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CN115530295A (zh) * 2022-09-01 2022-12-30 海南上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对虾种苗蚤状期开口料
CN117223815A (zh) * 2023-09-26 2023-12-15 宁夏百利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酶菌协同降低棉粕自由酚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63A (ja) * 1992-07-24 1994-02-22 Shimadzu Corp 魚介類用の餌料
JPH08298982A (ja) * 1995-05-02 1996-11-19 Aasu Giken:Kk 複合微生物製剤
JPH09163938A (ja) * 1995-12-15 1997-06-24 Saihatsu Ko Blcs養鶏淨菌法
JPH11113502A (ja) * 1997-10-09 1999-04-27 Itochu Shiryo Kk 鳥類用飲水添加用飼料およびその給与方法
KR100287825B1 (ko) * 1999-05-15 2001-04-16 이태일 가축용 복합 미생물 제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63A (ja) * 1992-07-24 1994-02-22 Shimadzu Corp 魚介類用の餌料
JPH08298982A (ja) * 1995-05-02 1996-11-19 Aasu Giken:Kk 複合微生物製剤
JPH09163938A (ja) * 1995-12-15 1997-06-24 Saihatsu Ko Blcs養鶏淨菌法
JPH11113502A (ja) * 1997-10-09 1999-04-27 Itochu Shiryo Kk 鳥類用飲水添加用飼料およびその給与方法
KR100287825B1 (ko) * 1999-05-15 2001-04-16 이태일 가축용 복합 미생물 제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451B1 (ko) * 2002-01-15 2004-11-09 이헌구 폐사탕을 이용한 토양 미생물 비료의 제조방법
KR100840145B1 (ko) * 2006-12-22 2008-06-23 이득식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552B1 (ko) * 2008-03-13 2010-01-19 소백산쑥돈영농조합법인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49670B1 (ko) * 2009-06-15 2010-03-29 허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WO2010147345A2 (ko) * 2009-06-15 2010-12-23 Heo Kwa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그 이용
WO2010147345A3 (ko) * 2009-06-15 2011-04-14 Heo Kwa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1와 그 이용
KR101465233B1 (ko) * 2014-05-27 2014-11-25 (주)창조바이오텍 감태와 바실러스 속 is-2 균주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 첨가제
KR101890877B1 (ko) * 2017-04-28 2018-08-23 (주)현농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와 비타민b2를 함유한 양어용 보조사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14403295A (zh) * 2021-11-15 2022-04-29 源耀生物科技(盐城)股份有限公司 一种高抑菌性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
CN115530295A (zh) * 2022-09-01 2022-12-30 海南上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对虾种苗蚤状期开口料
CN115530295B (zh) * 2022-09-01 2024-04-05 海南上泰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对虾种苗蚤状期开口料
CN117223815A (zh) * 2023-09-26 2023-12-15 宁夏百利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酶菌协同降低棉粕自由酚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3363B (zh) 以食用菌菌糠为原料分级发酵生产牛羊全价饲料的方法
US5667779A (en) Fungal inhibiting composition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FERM BP-3418
CN101558821B (zh) 一种动物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390566B (zh) 多种微生物混合发酵剂及用其生产高能蛋白生物饲料的方法
KR100749227B1 (ko) 버섯배지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 미생물 사료
KR100439635B1 (ko) 가축의 생산성 향상 및 축산 분뇨의 악취 발생 감소에효과적인 신규 미생물, 이를 포함하는 복합 미생물제 및이의 제조방법
CN101209088A (zh) 一种促进仔猪生长和发育的微生物多酶添加剂
CN105475623A (zh) 一种生态真菌复合饲料的生产方法及饲喂方法
CN113974013A (zh) 一种应用于蛋鸡养殖的菌糠发酵饲料
CN1934989A (zh)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
KR20010103114A (ko)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KR20180051023A (ko) 축산 사료 첨가용 생균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균제
CN112335783B (zh) 一种甜高粱与柠檬叶混合青贮饲料及其制备方法
KR20000052237A (ko) 황토와 키토산을 함유하는 가축 및 양식어류용 사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849618A (zh) 一种饲用复合酶的生产方法
KR100306386B1 (ko) 사료첨가제용미생물제제및그제조방법
CN110477190A (zh) 一种秸秆厌氧发酵饲料及制备工艺和配方饲料
KR102289532B1 (ko) 기능성 가축보조사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42091B (zh) 利用花生壳粉固态发酵制备饲用β-葡聚糖酶的方法
CN112544782A (zh) 一种复合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93470A (zh) 制仿生秸秆饲料的曲种及其制备方法
KR100261747B1 (ko) 미생물배양물이포함된사료첨가제및그제조방법
CN113100330B (zh) 一种利用禽畜屠宰下脚料制备饲料和肥料的方法
KR0170043B1 (ko) 음식물 찌꺼기 또는 농축산 폐기물 등의 폐자원을 활용한 균체발효사료 및 균체퇴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