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810B1 -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810B1
KR100370810B1 KR10-2000-0033550A KR20000033550A KR100370810B1 KR 100370810 B1 KR100370810 B1 KR 100370810B1 KR 20000033550 A KR20000033550 A KR 20000033550A KR 100370810 B1 KR100370810 B1 KR 10037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forming
image exposure
airflow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005A (ko
Inventor
나까야마유따까
이찌가와요시히꼬
니시다마사요시
이시가와도모노리
히사노도루
에구사나오유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방에 위치하는 피노광 부재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화상 노광을 행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A DUSTPROOF DEVICE OF AN IMAGE EXPOSURE UNIT AND AN IMAGE FORMING UNIT USING THI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LOS(Laser Output Scanner)나 LED 어레이 등의 화상 노광 장치에 토너나 먼지 등의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방에 위치하는 피노광 부재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화상 노광을 행하는 화상 노광 장치에 적합한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LOS나 LED 어레이 등의 화상 노광 장치에 의해 화상 노광을 실시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을 현상해 전사 용지 상에 전사 정착함으로써, 흑백 또는 풀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풀 컬러의 화상을 고속으로 형성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 상에 소정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로 형성된 색이 다른 화상을 전사재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전사 용지 상에 직접 다중으로 전사하거나,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일단 다중으로 전사한 후,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전사 용지 상에 일괄하여 2차 전사하도록 구성한 소위 탠덤(tandem)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고,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품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위 탠덤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등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상기 감광체 드럼의 상방에 배치된 LOS나 LED 어레이 등의 화상 노광 장치에 의해 화상 노광을 실시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을 현상해 전사 용지 상에 전사 정착함으로써, 풀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탠덤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등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또한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재 반송 벨트나 중간 전사 벨트를 하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또한 그 하방에 전사재 반송 벨트로부터 박리된 전사 용지나,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화상이 전사된 전사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상기 탠덤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5-61307호 공보, 일본 특개평7-140747호 공보, 일본 특개평8-95333호 공보, 일본 특개평10-30743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 5-61307호 공보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장설(張設)된 벨트 형상의 상(像) 형성체와 그 하방에 복수의 현상기를 병렬해 배치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와 인접해 클리닝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상 형성체와 복수의 상기 현상기가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일본 특개평 7-140747호 공보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감광체와 대전기와 현상기를 갖는 4색의 다른 색의 상을 형성하는 4개의 프로세스 수단과, 2개의 광빔 발생 수단과, 적어도 1조의 편향 미러 및 1조의 렌즈를 갖는 편향 수단과, 상기 2개의 광빔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2개의 광빔을 분할하고, 또한 분할된 4개의 광빔을 상기 4개의 감광체의 각각에 유도하는 분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수단의 상 형성을 한색씩 순차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 8-95333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투광성 지지체 상에 투광성 도전층과 광도전체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체 드럼의 내주측에, 어레이상 발광 소자열을 축방향을 따라 배열함과 동시에, 그 외주 측에 현상 수단과 전사 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유니트를 1 단위로 하여, 상기 화상 형성 유니트를 3개 이상 배열하고, 한쪽 끝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대해서는 그 현상 수단에 블랙 토너를 이용해 흑백용 화상 형성 기구로 하고, 기타의 다른 화상 형성 유니트에 대해서는 그 현상 수단을 감광체 드럼의 하방에 또한 전사 수단을 감광체 드럼의 상방에 설치함과 동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니트를 전사 벨트를 통해서 연접(連接)하고, 또한 상기 흑백용 화상 형성 기구에 인접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현상 수단에 블랙 토너를 이용하여, 그 외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현상 수단으로 컬러 토너를 이용해 흑백용 또는 컬러용 화상 형성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용지가 수납된 카세트에 의해 그 용지가 1장씩 차례로 공급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카세트로부터 차례로 공급되는 용지를 검지 수단의 검지 신호에 의해 흑백용 화상 형성 기구 혹은 흑백/컬러용 화상 형성 기구로 서로 반송하는 전환 수단과, 흑백용 화상 형성 기구 혹은 흑백/컬러용 화상 형성 기구에 의해 교대로 전사된 각 용지를 차례로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 10-307439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각 구성색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변조된 조사광을 각 색에 대응해 설치된 복수의 감광체에 각각 조사함으로써, 상기 화상 정보의 각 색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하는 기입 유니트와, 상기 화상 정보의 화상 형성이 행하여지는 전사지를 반송하는 반송 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유니트에 근접 대향해 배치되고, 상기 감광체에 상기 화상 정보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와, 상기 감광체에 화상 형성된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전사지에 전사하는 전사 유니트와, 상기 반송 유니트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정보가 전사된 상기 전사지를 정착 처리하는 정착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고, 상기 기입 유니트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 유니트, 상기 전사 유니트 및 상기 정착 유니트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니트 간에 충분한 조작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니트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동(回動) 자재로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개평 5-61307호 공보, 일본 특개평7-140747호 공보, 일본 특개평8-95333호 공보, 일본 특개평10-307439호 공보 등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탠덤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일본 특개평7-140747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10-30743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입 유니트 등의 화상 노광 장치를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현상 수단 등으로부터 토너가 낙하하고, 하방에 위치하는 기입 유니트 등의 화상 노광 장치에 부착하고, 노광 화상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화질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탠덤형의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기입 유니트 등의 화상 노광 장치를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경우에 발생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입 유니트 등의 화상 노광 장치를 감광체 드럼의 하방에 배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으로서는, 제1로 일본 특개평3-221473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9-8034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제2로 일본 실개평2-121748호 공보, 일본 실개평3-92651호 공보, 일본 특개평9-26551호 공보, 일본 특개평5-177864호 공보, 일본 특개소62-175783호 공보 및 일본 실개평2-11244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제3으로 일본 실개평2-112441호 공보, 일본 실개소61-179567호 공보, 일본 특개평11-14925호 공보, 일본 특개평10-230640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 2-11587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 등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제1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3-221473호 공보에 따른 LED 프린터는 LED 헤드를 냉각하는 냉각풍의 일부를 LED 헤드의 광출사부에 보내어, LED 헤드의 광출사부에 토너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LED 헤드의 주위를 덕트 구조로 하고, 이 덕트의 개구부를 비인자시에 닫는 셔터를 설치하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1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9-80343호 공보에 따른 화상 주사 장치의 먼지 부착 방지 장치는 주사광을 투과하는 커버 유리를 구비한 케이싱 내에 편향기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리 앞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커버 유리 앞의 공간에 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공간의 개구에,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지 않을 때 상기 셔터를 닫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실개평2-121748호 공보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광학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광출사부를 거쳐 화상 정보를 담지(擔持)하는 레이저광을 출사해 감광체에 광 기입을 행하는 레이저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에 이물의 침입 또는 부착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광출사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송풍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담당
마찬가지로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3-92651호 공보에 따른 전자 사진 프린터는 광빔이 통과하는 창에 방진 유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유니트를 상담지체(傷擔持體)에 대향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사진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창에 상기 광빔을 차단하지 않도록 후드를 설치하고, 상기 후드에 연통하는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 내에 송풍하는 송풍기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출된 공기가 상기 덕트를 통해서 상기 후드 내로 유입하고, 상기 후드의 개구에서 송풍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마찬가지로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9-26551호 공보에 따른 화상 주사 장치의 먼지 침입 방지 장치는 케이싱 내에 편향기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주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로 주사광의 출사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5-177864호 공보에 따른 광프린터 헤드는 노광 광원으로서의 복수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어레이와, 그 발광 소자 어레이로부터의 방사광을 감광체 상에 결상시키는 자기 집속성 렌즈와,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접촉하는 방열핀과,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상기 자기 집속성 렌즈와 상기 방열핀을 수납하고, 급기공과, 상기 자기 집속성 렌즈의 렌즈 표면 근방에 형성된 배기공을 갖고, 내측에 환기 경로를 갖는 헤드 케이스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소62-175783호 공보에 따른 광주사형 전자 사진 기록 장치는 결상 광학계와 감광체 사이 부분에, 결상 광학계를 현상제 등의 분진의 부착으로부터 보호하는 분진 제거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 제거 수단이 결상 광학계와 감광체 사이 부분에 형성된 에어 커텐으로 되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실개평2-112441호 공보에 따른 광프린터 헤드는 인쇄 중에 자기 집속성 렌즈 어레이의 표면의 양측에 토너 부착 방지용의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서, 자기 집속성 렌즈 어레이의 사이드 커버에, 그 사이드 커버의 하부의 급기구로부터 상면으로 통하는 통기공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제3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실개소61-179567호 공보에 따른 레이저빔 노광 장치는 레이저빔이 감광체를 향해 출사하는 노광 장치 하우징의 슬릿상 개구부의 외측에 상기 개구부의 슬릿폭보다도 선단의 개구폭이 좁은 편평상의 출사부 후드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11-14925호 공보에 따른 레이저 기입 장치는 슬릿상 개구부의 외측에, 다층 구조의 방진 도광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마찬가지로 제3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10-230640호 공보에 따른 광기입 유니트는 광기입 유니트의 레이저광 출사부의 직상부에 차양 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3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2-115870호 공보에 따른 광기입 장치의 방진 장치는 감광체의 하방에 설치되고, 하우징에 수용된 기입 광학계에서 하우징의 출사 개구부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된 투광성의 방진 쉴드판을 연직면에 대해 경사 상방으로 출사하는 광선에 의해 감광체에 그 축방향으로 주사를 하여 광기입을 행하는 정전 기록 장치의 광기입 장치의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진 쉴드판의 광주사 방향의 양측의 상기 방진 쉴드판 지지부보다 기입 광선 출사 개구부를 감광체 바로 근처에 형성하는 상하 1쌍의 방진 커버를 기입 광로를 사이에 두어 설치함과 동시에, 하측 방진 커버의 내측에 전장에 걸쳐서 기입 광로를 차단하지 않는 범위에 리브를 돌출 설치하고, 또한 상기 방진 쉴드판을 바꾸어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리브의 상측을 향해서 열린 흡인구를 갖고, 광주사 방향의 일단에 배기구를 갖는 흡인 덕트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제1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특개평 3-221473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9-8034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공기의 유로 내에 셔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셔터를 닫으면, 공기의 흐름도 차단되고, 기입 종료후 즉시 셔터를 닫으면, 부유하는 토너에 의해 셔터가 더러워지고, 나아가서는 LED 헤드가 오손될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셔터를 닫아도 공기의 도입측으로부터 먼지가 침입하는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화상 노광 장치의 커버 유리 앞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커버 유리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하고, 겨울철 등에 커버 유리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제2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실개평2-121748호 공보, 일본 실개평3-92651호 공보, 일본 특개평9-26551호 공보, 일본 특개평5-177864호 공보, 일본 특개소62-175783호 공보, 일본 실개평2-112441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광출사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송풍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또한 광출사부의 윈도우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함으로써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화상 노광 장치의 광출사부의 공기를 환기하는 송풍 수단에 의해서, 주위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광출사부의 윈도우 등을 오손할 우려를 갖고 있다.
또한 제3 해결 수단으로 분류되는 일본 실개평2-112441호 공보, 일본 실개소61-179567호 공보, 일본 특개평11-14925호 공보, 일본 특개평10-230640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광로가 수직 및 경사시에, 출사부 후드나 다층 구조의 방진 도광 수단, 혹은 차양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분진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출사부 후드 등의 상부는 상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이 침입할 우려를 갖고 있다. 또 일본 특개평2-115870호 공보에 따른 광기입 장치의 방진 장치의 경우에는 방진 쉴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방진 쉴드판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함으로써 결로가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감광체의 회전에 동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감광체의 바로 근처에 형성되는 방진 커버의 선단 위치에 의해 흐트러지고, 이 방진 커버의 선단 위치에 의해 흐트러진 공기의 흐름이 방진 커버의 내부에 침입하고, 이 공기의 흐름과 함께 분진이 방진 커버의 내부로 침입해 방진 쉴드판 등에 부착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의 근방에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셔터 부재가 더러워질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함으로써, 윈도우 등의 주위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윈도우 등을 오손할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또한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의 상부에 방진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서도, 상기 방진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분진이 침입하고, 윈도우 등의 부재가 오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의 기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셔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셔터 부재의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a 및 도 16b는 흡기 수단 및 배기 수단을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실험 조건을 각각 나타내는 도표 및 개략 구성도.
도 18은 정류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는 동일한 정류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배플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은 정류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정류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3a 및 도 23b는 실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도표 및 그래프.
도 24a 및 도 24b는 실험 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도표 및 그래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은 덕트의 위치에서의 압력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부호 설명)
14 LOS(화상 노광 장치)
15 감광체 드럼(피노광 부재)
50 제1 배플(방진 부재)
51 광로
52 제2 배플(방진 부재)
58 개구부
A 기류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방에 위치하는 피노광 부재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화상 노광을 행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이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는,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 등의 피노광 부재를 복수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 등의 피노광 부재를 1개만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이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 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 또는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 수단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으로부터 흡·배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복수 설치하고, 상기 각 정류판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 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가 투명한 쉴드 부재이고, 상기 쉴드 부재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의 표면에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방진 부재와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 표면 간에 미소한 갭을 형성하고, 상기 미소 갭을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가 피노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흡기 수단 측과 배기 수단 측의 덕트를 연통시키고, 또한 피노광 부재의 근방은 복수의 부재로 덕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담지체의 하방에 화상 노광 수단을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과,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시 동안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과, 상기 흡기 수단으로부터 흡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길다란(長尺)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으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흡기 수단 측을 크게, 또한 흡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배기 수단 측을 크게, 또한 배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배면측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흡기구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전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대각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 간에는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흡기용 통로와,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되는 기류를 배기하는 배기용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기 수단이 상기 흡기 수단의 흡기 측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류 형성 수단을 필수의 구성 요건으로 하고 있지만, 간이한 방진 장치에서는 방진 부재와 셔터 부재만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작용)
본 발명에서는 상방에 위치하는 피노광 부재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화상 노광을 행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방진 부재에 의해서,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서,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이 기류에 의해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 기류는화상 노광 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바깥 공기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기류는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 노광 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흡기 수단에 의한 흡기만으로도, 화상 노광 장치의 주위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화상 노광 장치를 오손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이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 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설치했으므로, 기류를 정지한 상태로도, 셔터 부재를 닫는 것에 의해서, 방진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침입하는 분진이,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 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기류 형성 수단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 경우에서도,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가, 예를 들면 부압 제로가 되어 주위로부터 분진을 빨아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 또는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 수단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으로부터 흡·배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을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 또는 배기하도록 구성한 경우에서도, 정류판에 의해서,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일부라도 약한 기류 등이 발생되어 방진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류에 의한 방진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복수 설치하고, 상기 각 정류판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 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통상은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 측의 흡기 또는 배기가 약하게 되기 십상이지만, 각 정류판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 측에도 충분한 흡기 또는 배기를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가 투명한 쉴드 부재이고, 상기 쉴드 부재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설치했으므로, 가령 투명한 쉴드 부재가 분진에 의해 오손된 경우에서도, 청소 부재에 의해 쉴드 부재의 표면을 청소함으로써, 화상 노광 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의 표면에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방진 부재와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 표면 간에 미소한 갭을 형성하고, 상기 미소 갭을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했으므로, 기류가 미소 갭을 통과할 때에 유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유속이 빠른 기류에 의해서 방진 부재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가 피노광 부재이도록 구성했지만, LED 어레이 등의 경우에는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가 현상기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흡기 수단 측과 배기 수단 측의 덕트를 연통시키고, 또한 피노광 부재의 근방은 복수의 부재로 덕트를 구성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의 기류를 통과시키는 덕트의 전체를 덕트만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고, 피노광 부재의 근방에 있는 대전 부재나 현상기 등의 복수의 부재로 덕트를 구성함으로써, 기류 형성 수단의 덕트의 구성이 복잡해지거나,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셔터 부재로 화상 노광 수단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 노광 수단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시 동안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셔터 부재로 화상 노광 수단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셔터 부재를 이동시킨 뒤에도 잠시 동안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셔터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과, 상기 흡기 수단으로부터 흡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길다란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으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흡기 수단 측을 크게, 또한 흡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했으므로, 통상은 흡기 수단 측의 흡기가 약해지기 십상이지만, 흡기 수단 측의 덕트의 개구 면적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흡기 수단 측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도 충분한 흡기를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걸쳐 거의 균일한 기류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발명과 마찬가지로, 통상은 배기 수단 측으로부터의 배기가 약해지기 십상이지만, 배기 수단 측의 덕트의 개구 면적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배기 수단 측의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도 충분한 배기를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걸쳐 거의 균일한 기류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각각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배면측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흡기구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전면에 배치했으므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배면측 중앙부에 배치된 공통의 배기 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밸런스 좋게 배기할 수 있고,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걸쳐, 거의 균일한 기류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대각선 상에 배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경우에서도,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대각선 상에 배치함으로써,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밸런스 좋게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각각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 간에는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흡기용 통로와,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되는 기류를 배기하는 배기용 통로를 설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 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복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은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의 본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디지탈 컬러 복사기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원고(2)를 한 장씩 분리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반송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ADF3)와,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3)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2)의 화상을 판독하는 원고 판독 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원고 판독 장치(4)는 판상 유리(5) 상에 재치(載置)된 원고(2)를 광원(6)에 의해 조명하고, 원고(2)로부터의 반사광상을 풀레이트 미러(7) 및 하프레이트 미러(8, 9 ) 및 결상 렌즈(10)로 되는 축소 광학계를 통해서 CCD 등으로 되는 화상 판독 소자(11) 상에 주사 노광하여, 이 화상 판독 소자(11)에 의해 원고(2)의 색재 반사광상을 소정의 도트 밀도(예를 들면, 16도트/mm)로 판독하게 되어 있다.
상기 원고 판독 장치(4)에 의해 판독된 원고(2)의 색재(色材) 반사광상은 예를 들면, 적(R), 녹(G), 청(B)(각 8bit)의 3색의 원고 반사율 데이터로서 IPS(Image Processing System)(12)에 보내지고, 이 IPS(12)에서는 원고(2)의 반사율 데이터에 대해서, 섀이딩(shading) 보정, 위치 엇갈림 보정, 명도/색공간 변환, 감마 보정, 틀 없애기, 색/이동 편집 등의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또 IPS(12)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보내온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 같이 IPS(12)에서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동일한 IPS(12)에 의해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각 8비트)의 4색의 원고 재현 색재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LOS(Laser Output Scanner)(14)에 보내지고, 이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OS(14)에서는 소정 색의 원고 재현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레이저광(LB)에 의한 화상 노광이 행하여진다.
그래서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는 모두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대별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5)과, 이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을 일정하게 대전(帶電)하는 1차 대전용의 대전롤(16)과, 상기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소정 색에 대응한 화상을 노광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OS(14)와,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소정 색의 토너에서 현상하는 현상기(17)와,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OS(1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에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4개의 반도체 레이저를 각색의 원고 재현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하여, 이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을 계조 데이터에 따라서 출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LOS(14)는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마다 개별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도시하지 않는 f-θ렌즈를 통해서 회전 다면 거울(19)에 조사되고, 이 회전 다면 거울(19)에 의해 편향 주사된다. 상기 회전 다면 거울(19)에 의해 편향 주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도시하지 않는 복수개의 반사 미러를 통해서 감광체 드럼(15) 상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주사 노광된다.
상기 LOS(1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5) 상에 화상을 주사 노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LOS(14)에는 상방에 위치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현상기(17) 등으로부터 토너 등이 낙하하여, 오손될 우려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LOS(14)는 그 주위가 직방체상의 프레임(20)에 의해 밀폐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는 4개의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을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 상에 노광하기 때문에, 쉴드 부재로서의 투명한 유리제의 윈도우(21Y, 21M, 21C, 21K)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리제의 윈도우(21Y, 21M, 21C, 21K)는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OS(14)의 레이저광(LB)을 따른 광로 상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가 되어 있다.
상기 IPS(12)로부터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에 공통되게 설치된 LOS(14)에, 각색의 화상 데이터가 차례로 출력되고, 이 LOS(14)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출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주사 노광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17Y, 17M, 17C, 17K)에 의해서,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감광체 드럼(15) 상에, 차례로 형성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토너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상방에 걸쳐 배치된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1차 전사롤(26)에 의해 다중으로 전사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25)는 드라이브롤(27)과, 백업롤(28) 간에 일정한 텐션으로 권취되고 있고, 도시하지 않는 정속성이 뛰어난 전용의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롤(27)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순환 구동되고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25)로서는 예를 들면, 가소성을 갖는 PET 등의 합성 수지 필름을 띄 상으로 형성하고, 이 띄 상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의 양단을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무단 벨트 상으로 형성한 것이 이용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토너상은 백업롤(28)에 압접하는 2차 전사롤(29)에 의해서, 압접력 및 정전 기력으로 전사 용지(30) 상에 2차 전사되고, 이들 각 색의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 용지(30)는 상방에 위치하는 정착기(31)로 반송된다. 상기 2차 전사롤(29)은 백업롤(28)의 측방으로 압접하고 있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반송되는 전사 용지(30) 상에 각색의 토너상을 2차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색의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 용지(30)는 정착기(31)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를 받은 후, 배출롤(32)에 의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33) 상에 배출된다.
상기 전사 용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34)로부터 소정의 사이즈의 것이 급지롤러(35) 및 용지 분리 반송용의 롤러쌍(36)에 의해 용지 반송로(37)를 통해서, 레지스트롤(38)까지 일단 반송되고, 정지된다. 상기 급지 카세트(34)로부터 공급된 전사 용지(30)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하는 레지스트롤(38)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5)의 2차 전사 위치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 있어서, 풀 컬러 등의 양면 카피를 취하는 경우에는 한 면에 화상이 정착된 전사 용지(30)를 배출롤(32)에 의해 배출 트레이(33) 상에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는 전환 게이트에 의해 반송 방향을 바꾸고, 용지 반송용의 롤러쌍(39)를 통해서 양면용 반송 유니트(40)로 반송한다. 그리고 이 양면용 반송 유니트(40)에서는 반송 경로(41)를 따라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반송용의 롤러쌍에 의해서, 전사 용지(30)의 표리가 반전된 상태로, 재차 레지스트롤(38)로 반송되고, 이번은 상기 전사 용지(30)의 이면에 화상이 전사·정착된 후, 배출 트레이(33) 상에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중, 44Y, 44M, 44C, 44K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색의 현상기(17)에, 소정 색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기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상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차례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색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1차 대전용의 대전롤(16)에 의해 일정하게 대전된다. 그 후, 상기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LOS(14)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출사되는 화상 형성용의 레이저광(LB)이 주사 노광되어, 각색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주사 노광되는 레이저광(LB)은 상기 감광체 드럼(15)의 직하보다 약간 우측 근처의 경사 하방으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 α로 노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 드럼(15)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현상기(17)의 현상롤(17a)에 의해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색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 토너상이 되고, 이들 가시 토너상은 1차 전사롤(26)의 대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차례로 다중으로 전사된다.
또한 토너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의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18)에 의해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 등이 제거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비한다. 상기 클리닝 장치(18)는 클리닝 블레이드(42)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리닝 블레이드(42)에 의해서 감광체 드럼(15)상의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 등을 제거하게 되어 있다. 또 토너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의 중간 전사 벨트(25)의 표면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43)에 의해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 등이 제거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비한다. 상기 클리닝 장치(43)는 클리닝 브러시(43a) 및 클리닝 블레이드(43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클리닝 브러시(43a) 및 블레이드(42)에 의해서, 중간 전사 벨트(25) 상의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 등을 제거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1실시예에 따른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프레임(20)의 상면이고, 각 감광체 드럼(15)의 대략 직하에 대응한 위치에, 방진 부재로서의 제1 배플(50)이 수직으로 입설(立設)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플(50)은 그 상측 부분의 약2/3정도를 레이저광(LB)의 광로(51) 측에 약간 경사하여 설치해도 좋다. 이 제1 배플(50)의 상단은 감광체 드럼(15)의 표면 간에 큰 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LOS(14)의 프레임(20)의 상면에는 제1 배플(50)과 LOS(14)의 레이저광(LB)의 광로(51)를 통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방진 부재로서의 제2 배플(52)이 경사한 상태로 입설되어 있고, LOS(14)의 윈도우(21)는 제1 및 제2 배플(50, 52)에 의해 덮여져 있다. 상기 제2 배플(52)은 레이저광(LB)의 광로(51)와 평행으로 배치된 상단부(52a)와, 이 상단부(52a)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현상기(17)의 외벽을 따라 만곡한 중간부(52b)와, 이 중간부(52b)로부터 곡절되고, 수직으로 입설된 하단부(52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플(50) 및 제2 배플(52)은 LOS(14)의 광로(51)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인 윈도우(21)를 덮음으로써, 상기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배플(50) 및 제2 배플(52)의 상단부에는 광로(51)를 차단하지 않도록 개구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배플(52)의 상단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의 표면 간에, 미소한 갭(예를 들면 2mm정도)(G)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미소한 갭(G)을 통과하는 기류(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A)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류 형성 수단이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으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흡기 수단 측을 크게, 또한 흡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및 복사기 본체(1)의 앞측의 일단부(도시한 예에서는 블랙의 화상 형성 유니트(13K) 측의 단부)에, 흡기 수단으로서의 흡기 팬(54)을 구비하고 있고, 이 흡기 팬(54)의 입구측에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필터(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 팬(54)에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전면측에, 블랙의 화상 형성 유니트(13K) 측으로부터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주위로 배치된 흡기용의 덕트(56)가 접속되어 있다. 이 흡기용의 덕트(56)는 그 평면 형상이 홀쭉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기용 덕트(56)의 개구 면적은 흡기 팬(54) 측이 크게, 또한 흡기 팬(54)과 반대측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흡기용의 덕트(56)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로 흡기하기 위한 정면이 직사각형인 편평한 덕트(57Y, 57M, 57C, 57K)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설(連設)되고 있다. 상기 덕트(57Y, 57M, 57C, 57K)의 상단부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길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흡기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 사이 및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K)의 좌측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A)를 형성하기 때문에, 흡기용의 통로(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용의 통로(5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프레임(20)과, 그 상부에 장착된 통로 형성 부재(60)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형성 부재(60)의 감광체 드럼(15) 측(도 4중, 우측)의 단부(60a)는 대전롤(16)의 주위를 둘러싸는 지지 부재(16a)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통로 형성 부재(60)의 단부(60a)와, 대전롤(16)의 지지 부재(16a) 간은 실링 부재(61)에 의해 실링되고 있다. 또 상기 통로 형성 부재(60)의 단부(60a)에는 실링 부재(61)의 내측에 개구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롤(16)의 지지 부재(16a)와, 통로 형성 부재(60)의 단부(60a)와, 제1 배플(50)은 감광체 드럼(15)의 노광 위치의 상류측을 향해 기류(A)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용의 덕트(63)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흡기용의 통로(59) 및 기류 형성용의 덕트(63)의 내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A)를 형성하기 위한 정류판(6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정류판(64)은 제1 배플(50)의 흡기 측에 가까운 개구폭(w)이 넓고, 흡기측으로부터 차례로 멀어짐에 따라서 개구폭(w)이 좁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기류(A)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류판(64)의 출구측의 개구폭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류 형성 수단이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배기 수단 측을 넓게, 또한 배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및 복사기 본체(1)의 내측의 일단부(도 8중, 좌측의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측의 단부)에 배기 수단으로서의 배기 팬(65)을 구비하고 있고, 이 배기 팬(65)의 출구측에는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 팬(65)에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내측에, 옐로우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측으로부터 블랙의 화상 형성 유니트(13K)를 향해 배치된 배기용의 덕트(67)가 접속되어 있다. 이 배기용의 덕트(67)는 그 평면형상이 홀쭉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용의 덕트(67)의 개구 면적은 배기 팬(65) 측이 크게, 또한 배기 팬(65)과 반대측이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배기용의 덕트(67)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로부터 배기하기 위한 정면 직사각형의 편평한 덕트(68Y, 68M, 68C, 68K)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설되고 있다. 상기 덕트(68Y, 68M, 68C, 68K)의 상단부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앞측을 향해 배기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 옐로우(Y)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의 일단부(도 8중 좌측의 단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A)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용의 통로(6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 간에는 상기 인접하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 간의 공간을 흡기용의 통로(59)와 2분하도록, 배기용의 통로(6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용의 통로(6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용의 통로(59)와 마찬가지로 LOS(14)의 프레임(20)과, 그 상부에 장착된 통로 형성 부재(60)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LOS(14)의 프레임(20)과 통로 형성 부재(60)로 둘러싸인 공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판(70)에 의해서, 흡기용의 통로(59)와 배기용의 통로(69)로 구획되고 있다. 상기 통로 형성 부재(60)의 현상기(17) 측의 단부(60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현상기(17)의 하방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현상기(17)의 하우징(17b) 사이는 실링 부재(71)에 의해 실링되고 있다. 또 상기 통로 형성 부재(60)의 단부(60b)의 수직 부분에는 실링 부재(71)의 내측에 개구부(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17)의 하우징(17b)과, 통로 형성 부재(60)의 단부(60b)와, 제2 배플(52)은 감광체 드럼(15)의 노광 위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배기용의 기류(A)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용의 덕트(73)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배기용의 통로(69) 및 기류 형성용의 덕트(73)의 내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A)를 형성하기 위한 3장의 정류판(7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정류판(74)은 제2 배플(52)의 배기 측에 가까운 개구폭(w')이 넓고, 흡기측으로부터 차례로 멀어짐에 따라서 개구폭(w')이 좁게 되도록 (w1'>w2'>w3'>w4') 설정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기류(A)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류판(74)의 입구측의 개구폭은 모두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류 형성 수단(53)이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58)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의 흡기 팬(54) 및 배기 팬(60)은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58)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그 풍량이 설정되어 있다. 그 때, 상기 제2 배플(52)의 상단에 위치하는 미소한 갭(예를 들면, 2mm정도)(G)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풍속 0. 42m/s의 기류(A)가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류 형성 수단은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시 동안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배플(50)과 제2 배플(52)로 둘러싸인 영역(B)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75)가 개폐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75)는 윈도우(21)의 좌측에 수직을 향해 입설된 짧은 지지 부재(76)의 상단부에, 중심축(77)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셔터(75)는 건축(77)의 단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개폐하도록 회전 구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셔터(75)는 프린터 및 복사기의 비동작시에는 도 4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프린터 및 복사기의 동작시에는 도 4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에 의해 기류(A)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 기류 형성 수단(53)은 셔터(75)가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된 후, 잠시 동안 기류(A)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제1실시예에 따른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하거나, 윈도우 등의 근방에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셔터 부재가 더러워질 우려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함으로써, 윈도우 등의 주위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윈도우 등을 오손할 우려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의 상부에, 방진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서도, 상기 방진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분진이 침입하고, 윈도우 등의 부재가 오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제1실시예에 따른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는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로 형성된 소정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후, 상기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다중으로 전사된 4색의 토너상은 2차 전사구롤(29)에 의해서, 전사 용지(30) 상에 일괄하여 전사된 후, 정착기(31)에 의해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되고, 배출 트레이(33) 상에 배출되거나, 양면 반송용 유니트(40)를 통해서 전사 용지(30)의 양면에 토너상이 전사 정착된 후, 배출 트레이(33) 상에 배출되어, 풀 컬러의 화상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서는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로 차례로 소정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들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일회 다중으로 전사한 후, 전사 용지(30) 상에 일괄적으로 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속의 풀 컬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4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5) 상에 일회 다중으로 전사한 후, 전사 용지(30) 상에 일괄적으로 전사하기 때문에 전사 용지(30) 등의 전사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고화질의 컬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특장을 갖고 있다.
또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상방에, 중간 전사 벨트(25)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하방에,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OS(14)를 배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LOS(14)를 공통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 자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중간 전사 벨트(25)의 이동 경로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전사 용지(30)의 반송 경로(37)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고,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를 대폭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의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의 하방에,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OS(1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대로는 상방에 위치하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LOS(14)에 토너 등이 낙하하여, LOS(14)에 토너 등의 분진이 부착하고, 화질이 열화할 우려를 갖고 있다.
그래서 이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를 적용한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 및 복사기가 정지하고 있을 때, LOS(14)의 윈도우(21)의 상방이 제1 및 제2 배플(50, 51)에 의해 덮여져 있고, LOS(14)의 윈도우(21)에 토너 등의 분진이 직접 낙하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제1 및 제2 배플(50, 51)로 둘러싸인 영역(B)의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윈도우(21)의 상방을 덮는 셔터 부재(7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LOS(14)의 윈도우(21)에 토너 등의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탠덤형의 디지탈 컬러 프린터 및 복사기에 있어서, 화상의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4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OS(14)의 윈도우(21)의 상방을 덮는 셔터 부재(75)를 연다. 또한 이 셔터 부재(75)를 열기 이전에,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류 형성 수단(53)에 의해서, 제1 및 제2 배플(50, 51)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A)를 형성하고, 이 기류(A)를 형성한 후에, 셔터 부재(75)를 열도록 해도 좋다.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은 도 5~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을 시동하고, 흡기 팬(54)으로부터 흡기용의 덕트(56) 및 덕트(57Y, 57M, 57C, 57K), 또는 흡기용의 통로(59) 및 기류 형성용의 덕트(63)를 통해서, 제1 및 제2 배플(50, 51)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흡기 팬(54)의 입구측에는 필터(5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필터(55)에 의해 토너 등의 분진이 제거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배플(50, 51)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된 기류(A)는 배기 팬(65)에 의해 배기된다. 이 배기 팬(65)으로부터는 배기용의 덕트(67) 및 덕트(68Y, 68M, 68C, 68K), 또는 배기용의 통로(69) 및 기류 형성용의 덕트(73)를 통해서, 제1 및 제2 배플(50, 51)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된 기류(A)가 배기된다. 또한 상기 배기 팬(65)의 출구측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6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필터(66)에 의해 토너 등의 분진이 제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LOS(14)의 광로(51)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LOS(14)의 윈도우(21)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LOS(14)의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배플(50, 52)과, 상기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A)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53)을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제1 및 제2 배플(50, 52)에 의해서 LOS(14)의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류 형성 수단(53)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A)를 형성함으로써, 이 기류(A)에 의해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 기류(A)는 LOS(14)의 윈도우(21)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바깥 공기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기류(A)는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LOS(14)의 윈도우(21)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흡기 팬(54)에 의한 흡기만으로도, LOS(14)의 윈도우(21)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LOS(14)의 윈도우(21)를 오손할 우려가 없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A)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75)를 설치했으므로, 기류(A)를 정지한 상태에서도 셔터 부재(75)를 닫는 것에 의해서,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침입하는 분진이 LOS(14)의 윈도우(21)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이 상기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58)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A)를 기류 형성 수단(53)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 경우에서도,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예를 들면 부압 제로가 되어 주위로부터 분진을 빨아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은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팬(54) 및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팬(65)의 쌍방과, 상기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으로부터 흡·배기되는 기류(A)의 방향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A)를 형성하는 정류판(64, 74)을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을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 또는 배기하도록 구성한 경우에서도, 정류판(64, 74)에 의해서,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A)를 형성할 수 있고, 일부라도 약한 기류 등이 발생되어 방진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류(A)에 의한 방진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정류판(64, 74)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 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통상은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 측의 흡기 또는 배기가 약해지기 마련이지만, 각 정류판(64, 74)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 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흡기 팬(54) 및 배기 팬(65) 측에도 충분한 흡기 및 배기를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감광체 드럼(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제2 배플(52)의 선단을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 배플(52)과 감광체 드럼(15)표면 간에 미소한 갭(G)을 형성하고, 상기 미소 갭(G)을 통과하는 기류(A)를 형성했으므로, 기류(A)가 미소 갭을 통과할 때에 유속이 0. 42m/s정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흡기 팬(54)을 사용해도, 상기 유속이 빠른 기류(A)에 의해서, 제1 및 제2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이 흡기 팬(54) 측과 배기 팬(65) 측의 덕트(56, 67)를 연통시키고, 또한 감광체 드럼(15)의 근방은 복수의 부재로 덕트(59, 69)를 구성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53)의 기류(A)를 통과시키는 덕트의 모두를 덕트 자체로 구성할 필요가 없이, 감광체 드럼(15)의 근방에 있는 대전부재(16)나 현상기(17) 등의 복수의 부재로 덕트를 구성함으로써, 기류 형성 수단(53)의 덕트의 구성이 복잡해지거나,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류(A)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75)를 구비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75)를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75)로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에 의해 기류(A)를 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셔터 부재(75)에서 LOS(14)의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기류 형성 수단(53)에 의해 LOS(14)의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53)이 셔터 부재(75)를 LOS(14)의 윈도우(21)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시 동안 기류(A)를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셔터 부재(75)에서 LOS(14)의 윈도우(21)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셔터 부재(75)를 이동시킨 후에도 잠시 동안 기류(A)를 형성함으로써, 셔터 부재(75)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53)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팬(54)과 흡기 팬(65)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팬(54)과 흡기 팬(65)을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13Y, 13M, 13C, 13K) 간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통의 흡기 팬(54)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되는 기류(A)를 형성하는 흡기용 통로(59)와, 상기 공통의 배기 팬(65)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되는 기류(A)를 배기하는 배기용 통로(69)를 설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 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면, 이 제2실시예에서는 화상 노광 장치로서, LOS가 아니라 LED 어레이를 이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5)의 하방에, 화상 노광 장치로서의 LED 어레이(80)가 배치되어 있고, 이 LED 어레이(80)로부터는 상기 LED 어레이(80)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셀포크 렌즈(81)(등록 상표)를 통해서,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화상이 노광되고 있다. 상기 LED 어레이(80)의 선단부에 설치된 셀포크 렌즈(81)(등록 상표)와, 감광체 드럼(15) 간에는 셀포크 렌즈(81)(등록 상표)의 출사측의 단부를 피복하고, 상기 셀포크 렌즈(81)(등록 상표)의 출사측의 단면에, 토너 등의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 부재(8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82)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상의 개구부(8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셔터 부재(8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84)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용의 로드(85)를 통해서 개폐되고 있다.
또 상기 LED 어레이(80)의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전용 롤(16)의 지지 부재(16a)와 현상기(1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대전용 롤(16)의 지지 부재(16a)와 현상기(17)의 내측에 형성된 덕트를 통해서, 셔터 부재(82)와 감광체 드럼(15)의 표면 간에 기류(A)를 기류 형성 수단(53)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면, 이 제3실시예에서는 방진 부재의 형상 및 배치 및 셔터 부재의 형상 및 배치를 상기 제1실시예와 각각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또 이 제3실시예에서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배면측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흡기구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전면에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3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플(50, 52)이 현상기(17)의 하방에 짧게 설치되거나, 셔터 부재(75)가 제1 배플(5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제3실시예에서는 현상기(17) 측으로부터 대전롤(16) 측을 향해 기류(A)가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 같이, 대전롤(16)을 포함하는 드럼 부재와 현상기(17) 간의 스페이스에 방진 부재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는 좌측의 제1 배플(50)을 제2 배플(52)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짧게 설정된 제1 배플(50)의 상부에 셔터 부재(75)를 설치하고, 상기 셔터 부재(75)와 현상기(17) 하측면의 갭(G)을 작게(2∼5mm정도) 설정하고, 기류(A)의 풍속을 올려, 도면중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에로의 기류(A)에서 현상기(17)로부터 낙하하는 토너를 날리도록 구성하여, 윈도우(21)에 토너 등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3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53)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배기 수단으로서의 배기 팬(85)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배기 팬(85)을 상기 복수의 상 형성 유니트(13)의 배면측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흡기구(86)를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13)의 전면에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의 선단 위치, 우측 배플의 각도, 우측 배플의 R형상, 정류판의 R형상, 정류판의 수, 좌측 배플의 각도, 배플 내의 구획판의 유무, 정류판이 높이,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 정류판의 위치 입구부의 개구 패턴의 10종류의 요인을 변화시키고,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앞측과 내측의 기류의 균일성 및 배플 내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정류판의 선단 위치에 대해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64, 74)의 기단부, 또는 정류판(74)의 선단부의 위치를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입구에 설치하거나,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입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시뮬레이션 실험을 행하였다.
또 우측 배플의 각도 및 R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고,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기(17) 측으로부터 흡기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우측 배플의 각도를 132°와 104°로 바꾼 경우와, 우측 배플의 기단부에 R형상을 붙인 경우와 R형상을 붙이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앞측과 내측의 기류의 균일성 및 배플 내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정류판의 R형상, 정류판의 수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64, 74)의 만곡부에 R형상을 붙인 경우와, 정류판의 수를 3개 또는 2개로 변화시킨 경우로서, 기류의 균일성 및 배플 내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또한 좌측 배플의 각도, 배플 내의 구획판의 유무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고,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기(17) 측으로부터 흡기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좌측 배플의 각도를 82°와 107°으로 바꾼 경우와, 배플의 내부에 구획판을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서, 기류의 균일성 및 배플 내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또 정류판의 높이,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 정류판의 위치 입구부의 개구 패턴에 대해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의 상단부를 천정까지 설치한 경우와 상단에 6mm의 갭을 설치한 경우와,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를 높게 설정한 경우와 낮게 설정한 경우로, 정류판의 위치 입구부의 개구 패턴에 대해서는 정류판의 위치 입구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킨 경우와 일정으로 설정한 경우에서, 기류의 균일성 및 배플 내에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도 23 및 도 24는 기류의 균일성과 배플 내에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실험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3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앞측과 내측의 기류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정류판의 선단 위치, 정류판의 R 형상, 좌측 배플의 각도 및 정류판의 위치 입구부의 개구 패턴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고, 이들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앞측과 내측의 기류를 균일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배플 내에로의 기류의 침입 방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우측 배플의 각도, 우측 배플의 R 형상, 정류판의 R 형상, 좌측 배플의 각도,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고, 이들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각 화상 형성 유니트의 앞측과 내측의 기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25~ 도 3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면, 이 제4실시예에서는 화상 노광 장치로서 LED 어레이 등에 적용 가능하고,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과 배기 수단으로부터는 각각 독자의 덕트를 통해서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 또는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4실시예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일단 측에 흡기 수단으로서의 흡기 팬(54) 및 배기 수단으로서의 배기 팬(6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 팬(54)으로부터는 도 25~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마다 독자적으로 구성된 흡기용의 덕트(90Y)를 통해서 흡기되고 있다. 또 상기 배기 팬(65)으로부터는 도 25~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상 형성 유니트마다 독자적으로 구성된 배기용의 덕트(91Y)를 통해서 배기되고 있다.
또 이 제5실시예에서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류 형성 수단(53)이 상기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58)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배플(50, 52)로 덮인 영역(B)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A)를 기류 형성 수단(53)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 경우에서도, 제1 및 제2 배플(50, 5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58)의 상부가, 예를 들면 부압 제로가 되어 주위로부터 분진을 빨아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직접 바깥 공기가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의 근방에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셔터 부재가 더러워질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에 송풍 수단에 의해 송풍함으로써, 윈도우 등의 주위의 오염을 비산시키고, 윈도우 등을 오손할 우려가 없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노광 장치의 윈도우 등의 상부에 방진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서도, 상기 방진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분진이 침입하고, 윈도우 등의 부재가 오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상방에 위치하는 피노광 부재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화상 노광을 행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장치의 상방을 덮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장치의 광로 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가 대략 정압 제로가 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류측이 정압이고, 또한 하류측이 부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과, 상기 흡기 수단으로부터 흡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복수 설치하고, 상기 각 정류판이 구분하는 공간의 흡기 수단 또는 배기 수단 측 단부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를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의 표면에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방진 부재와 근방의 화상 형성 부재 표면 간에 미소한 갭을 형성하고, 상기 미소 갭을 통과하는 기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흡기 수단 측과 배기 수단 측의 덕트를 연통시키고, 또한 피노광 부재의 근방은 복수의 부재로 덕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9. 상담지체의 하방에 화상 노광 수단을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로 덮인 영역의 내부에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과,
    상기 기류의 유로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비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시에는 상기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부터 퇴피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류 형성 수단에 의해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셔터 부재를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직접 덮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시 동안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기하는 흡기 수단과, 상기 흡기 수단으로부터 흡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길다란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을 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으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니트로 흡기하는 덕트의 개구 면적을 상기 흡기 수단 측을 크게, 또한 흡기 수단과 반대측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각각 색이 다른 토너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담지체를 구비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를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상담지체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는 화상 노광 수단을 상기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의 하방에 배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는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를 차단하는 일이 없이 상기 화상 노광 수단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적어도 화상 노광 수단의 광로상의 상단에 위치하는 부재에 분진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상부를 횡단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화상 형성 유니트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 수단은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니트에 공통의 흡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의 흡기 수단의 흡기용 통로를 양단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유니트의 대각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상기 흡기 수단의 흡기 측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상기 흡기 수단의 흡기 측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배기하는 배기 수단과, 상기 배기 수단으로부터 배기되는 기류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피노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기류를 형성하는 정류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KR10-2000-0033550A 1999-08-30 2000-06-19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KR100370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4077 1999-08-30
JP24407799 199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05A KR20010021005A (ko) 2001-03-15
KR100370810B1 true KR100370810B1 (ko) 2003-02-05

Family

ID=1711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550A KR100370810B1 (ko) 1999-08-30 2000-06-19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8024B1 (ko)
KR (1) KR100370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3995A (zh) * 2015-07-14 2017-01-25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041A (ja) * 2000-11-13 2002-05-2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22208A (ja) * 2001-10-12 2003-04-25 Ricoh Co Ltd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3710429B2 (ja) * 2002-03-28 2005-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452546B1 (ko) * 2002-06-25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결로 제거장치
JP4037189B2 (ja) * 2002-07-04 2008-01-23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方式のクリーナレス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16911B2 (ja) * 2003-03-28 2009-08-19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538001B1 (en) * 2003-09-18 2006-08-23 Ricoh Company, Ltd. Preventing scattered toner and powder dust from entering the optical writing device
JP4414933B2 (ja) * 2004-06-30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光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87927B2 (ja) * 2004-11-12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63296B2 (ja) * 2004-11-12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02005004236T2 (de) * 2004-11-15 2009-01-08 Ricoh Co., Ltd. Wärmeentzugseinheit in einer Bilderzeugungsvorrichtung
US7317471B2 (en) * 2005-03-29 2008-01-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7526223B2 (en) * 2005-05-10 2009-04-28 Ricoh Company, Ltd. Heat exhausting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06975B2 (en) * 2005-06-28 2009-03-24 Xerox Corporation Sticky baffle
EP1772279B1 (en) * 2005-09-26 2018-04-04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770451A3 (en) * 2005-09-29 2009-05-13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46060B2 (en) * 2005-10-20 2009-06-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ttaching method of charger unit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26764A (ja) * 2006-07-25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81724A (ja) * 2007-05-10 2008-11-2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57260B2 (ja) * 2007-06-20 2010-04-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047887A (ja) * 2007-08-20 2009-03-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20100014885A1 (en) * 2008-07-21 2010-01-21 Joseph Edwin Domhoff System for Creating a Condition of Substantial Thermal Consistency Between Multiple Printer Cartridges
JP4353541B1 (ja) * 2008-10-17 2009-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8599B2 (ja) * 2009-07-08 2014-0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2010013100A1 (de) * 2009-11-06 2011-05-12 Christian Maass Feinstaubabsaugeeinrichtung
JP5129835B2 (ja) * 2010-03-31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751231B1 (ko) * 2010-12-21 2017-06-2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545245B2 (ja) * 2011-03-16 2014-07-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19813B2 (ja) * 2011-12-27 2016-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送風管、送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615961A (zh) * 2012-04-26 2012-08-01 深圳市神拓机电设备有限公司 激光打标机的镜头防尘装置
JP5678017B2 (ja) * 2012-08-31 2015-0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031448B2 (en) * 2012-06-28 2015-05-12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artition that forms part of a cooling air path when a cover is closed but permits access to an image forming unit when the cover is open
JP6079271B2 (ja) * 2013-01-30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5649B2 (ja) * 2013-05-02 2018-10-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WO2015185148A1 (en) * 2014-06-05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ir flow through an interior space of a printer
JP6388377B2 (ja) * 2014-06-12 2018-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22478B2 (ja) * 2014-12-25 2017-11-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12864B2 (ja) 2015-02-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87912B2 (ja) * 2015-03-17 2018-03-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19171B2 (ja) * 2016-10-12 2021-08-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露光窓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9117274A (ja) * 2017-12-27 2019-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21056441A (ja) * 2019-10-01 2021-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217A (en) * 1975-05-21 1978-02-14 Ricoh Company, Ltd. Cleaning unit for an optical system in a copying machine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US4720727A (en) * 1985-03-04 1988-01-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S61179567U (ko) 1985-04-24 1986-11-08
JPS62175783A (ja) 1986-01-30 1987-08-01 Ricoh Co Ltd 光走査型電子写真記録装置
US4693588A (en) * 1986-04-09 1987-09-15 Xerox Corporation Thermal air curtain for a copying/printing machine
US4970552A (en) * 1987-05-29 1990-11-13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mination preventive means
EP0362204B1 (de) * 1987-08-27 1991-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deck- und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optischen zeichengenerator in einer elektrofotografischen druckeinrichtung
JPH02115870A (ja) 1988-10-26 1990-04-27 Ricoh Co Ltd 光書込装置の防麈装置
JPH02112441U (ko) 1989-02-28 1990-09-07
JPH02121748U (ko) 1989-03-17 1990-10-03
US5038170A (en) * 1989-03-30 1991-08-06 Kabushiki Kaisha Toshiba Cooling syste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392651U (ko) 1990-01-09 1991-09-20
JPH03221473A (ja) 1990-01-26 1991-09-30 Hitachi Koki Co Ltd Ledプリンタ
JPH0561307A (ja) 1991-08-30 1993-03-12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5177864A (ja) 1991-12-27 1993-07-20 Hitachi Koki Co Ltd 光プリンタヘツド
JPH07140747A (ja) 1993-11-18 199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250913B2 (ja) 1994-09-29 2002-01-28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729793A (en) * 1995-07-10 1998-03-17 Fuji Photo Film Co. Ltd. Dust adhesion prevention system for image scanning system
JPH0980343A (ja) 1995-07-10 1997-03-2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走査装置のゴミ付着防止装置
JPH0926551A (ja) 1995-07-10 1997-01-2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走査装置のゴミ侵入防止装置
US5717505A (en) * 1996-12-19 1998-02-10 Avision Inc. Dust-free scanner
JPH10230640A (ja) 1997-02-20 1998-09-02 Ricoh Co Ltd 光書込ユニット
JPH10307439A (ja) 1997-05-02 1998-11-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14925A (ja) 1997-06-20 1999-01-22 Ricoh Co Ltd レーザ書き込み装置
JP3563970B2 (ja) * 1998-07-27 2004-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3995A (zh) * 2015-07-14 2017-01-25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8024B1 (en) 2001-10-23
KR20010021005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810B1 (ko) 화상 노광 장치의 방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JP3888022B2 (ja) 画像露光装置の防塵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07530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1433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513617B2 (ja) 画像読取装置
US200601046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578190A2 (en) Developing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137425A (ja) 送風装置及びこの送風装置に用いられる送風用ダクト部材、並びにこの送風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962074B2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loating developer collecting method for developing unit
KR20060037957A (ko)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3345199A (ja) 画像形成装置
JP4390011B2 (ja) 画像形成装置
JP4359523B2 (ja) 画像形成装置
JP4565942B2 (ja) 画像形成装置
JP409994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4891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54713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5134635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59550A (ja) 画像形成装置
JP4193907B2 (ja) 画像形成装置
JP43840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75058A (ja) 放電装置、分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536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39610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196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