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31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31B1
KR101751231B1 KR1020100131332A KR20100131332A KR101751231B1 KR 101751231 B1 KR101751231 B1 KR 101751231B1 KR 1020100131332 A KR1020100131332 A KR 1020100131332A KR 20100131332 A KR20100131332 A KR 20100131332A KR 101751231 B1 KR101751231 B1 KR 10175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forming
image
rib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975A (ko
Inventor
정승복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31B1/ko
Priority to EP11177374.3A priority patent/EP2472339B1/en
Priority to CN201110251537.1A priority patent/CN102540846B/zh
Priority to US13/242,595 priority patent/US9002231B2/en
Publication of KR2012006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과;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본체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본체프레임 타측에 형성된 배기부로 배출되게 화상형성유닛 및 정착유닛 사이를 따라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내에 설치되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이동 경로를 따라서 화상형성유닛으로 이동하게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시키는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 또는 잉크 등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장치가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유닛이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형성하면, 정착유닛은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킨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 작업 시 필연적으로 장치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특히 정착유닛이 생성하는 정착열로 인해 정착유닛 주변은 상당한 고온이 된다. 그런데, 현상제는 그 화학적 특성 상 온도의 영향을 받기가 쉬운 바, 이와 같이 장치 내부가 고온이 되면,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가 고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의 고화 현상은 화상형성유닛의 작동 또는 현상제의 전사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고장 또는 화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외부의 찬 공기를 장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구와, 장치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 하에서 흡기구 및 배기구가 정착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된 경우, 정착유닛에서 흡기구에 근접한 영역 및 배기구에 근접한 영역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정착온도의 불균형으로 인한 정착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장치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치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정착유닛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상기 인쇄매체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본체프레임 타측에 형성된 배기부로 배출되게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를 따라서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이동하게 상기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복수 영역으로 분배되게 안내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이동 경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제1직선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각도를 가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리브는, 상기 흡기부 측에 배치된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향해 절곡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직선에 대한 각각의 상기 리브의 상기 제2가이드부의 연장 각도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리브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이동 경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리브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직선과의 각도가 각각 상이하게 연장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리브의 상기 제2가이드부의 연장 각도는, 상기 어느 하나의 리브의 상기 제1가이드부의 연장 각도에 비해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제1직선에 직교하며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제2직선을 따라서 각각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직선에 대한 각각의 상기 리브의 연장 각도는 상기 리브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근접할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향해 라운드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각각의 상기 리브의 접선과 상기 제1직선 사이의 각도는 상기 리브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근접할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를 가지고, 상기 정착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담지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 상에 화상데이터에 기초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광주사유닛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현상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실질적인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경로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매체이송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매체이송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흡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이송프레임 하측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이동 경로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전달 가능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이동 경로 및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며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경로를 통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현상유닛으로 분배시켜 안내하는 간단한 구조의 부재를 적용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부재는 별도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에너지 소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부에 유입되는 외부의 상대적으로 찬 공기를 현상유닛으로 유도함으로써, 현상유닛의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가 정착유닛으로부터의 정착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의 고화로 인한 화상 불량, 현상유닛 또는 폐현상제 수집유닛의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에 유입되는 외부의 상대적으로 찬 공기가 정착유닛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착유닛의 좌우 양측의 정착온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정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화상형성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흑백의 모노(mono) 화상을 생성하는 프린터(printer)로 구현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복수의 컬러 별 현상제에 의해 컬러 화상을 생성 가능한 프린터나, 복사기(copier) 또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장치 내의 제반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인쇄매체(M)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200)과, 매체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M)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300,400,450)과, 인쇄매체(M) 상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0)과,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를 반대면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화상형성유닛(300,400,450)으로 이송시키는 듀플렉스유닛(600)과,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700)과,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구성요소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800)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각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X 방향은 인쇄매체(M)가 화상형성유닛(300,400,450)으로부터 정착유닛(500)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며, Z 방향은 X 방향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Y 방향은 X 방향 및 Z 방향에 함께 직교하는 방향이며, 화상형성유닛(300,400,450) 또는 정착유닛(500)의 길이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X-Z 평면 상의 화상형성장치(1)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을 포함한 각 도면 및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향 정의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X, Y, Z 방향의 반대방향은 각각 -X, -Y, -Z 방향으로 나타내고, X-Z 평면은 X 방향의 축 및 Z 방향의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의미한다.
본체프레임(100)은 화상형성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미도시) 내에 설치되며, 금속제의 판면 상에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구성이 결합 및 지지되도록 다양한 홀과 형상이 적용됨으로써 구현된다. 예를 들면, 본체프레임(100)은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이러한 두 프레임 사이에 화상형성유닛(300,400,450), 정착유닛(500) 등의 구성의 좌우 양단이 지지된다.
매체공급유닛(200)은 종이 등으로 구현되는 인쇄매체(M)를 적재하며,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적재된 인쇄매체(M)를 1매씩 화상형성장치(1)에 공급한다. 매체공급유닛(200)은 화상형성장치(1) 하측의 본체프레임(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그 내부에 인쇄매체(M)를 수용하는 적재카세트(210)와, 적재카세트(210) 내에 설치되며 인쇄매체(M)를 백업하는 녹업플레이트(220)와, 본체프레임(100)에 지지되며 적재카세트(210)가 본체프레임(100)에 결합된 경우에 녹업플레이트(220)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픽업하는 제1픽업롤러(230)를 포함한다.
또한, 매체공급유닛(200)은 본체프레임(100)에 대해 회동하며 그 상측에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트레이(240)와, 적재트레이(240)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픽업하는 제2픽업롤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적재카세트(210) 또는 적재트레이(240)에 적재된 인쇄매체(M) 중 최상위의 1매가 제1픽업롤러(230) 또는 제2픽업롤러(250)에 의해 픽업되어 화상형성유닛(300,400,450)으로 이송된다.
화상형성유닛(300,400,450)은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매체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M) 상에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유닛(300,400,450)은 블랙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모노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화상형성유닛(300,400,450)은 프린팅 작업을 위한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300)과, 광주사유닛(30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에 기초한 정전잠상 및 이 정전잠상에 기초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400)과, 현상유닛(400)에 의해 형성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450)을 포함한다.
광주사유닛(300)은 광원, 렌즈, 폴리곤미러 등을 구비하고,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할 상담지체(420) 표면에 광빔을 주사함으로써 상담지체(420)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광주사유닛(300)은 현상유닛(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현상유닛(400)은 본체프레임(100)에 지지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유닛하우징(410)과, 정전잠상 및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420)와, 상담지체(42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30)와, 상담지체(420) 상의 정전잠상에 대해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4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상유닛(400)는 상담지체(420) 상의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블레이드(460)와, 클리닝 블레이드(460)에 의해 수집된 폐현상제를 현상유닛(400) 일단에 설치된 폐현상제 컨테이너(미도시)로 이송시키는 폐현상제이송부(470)를 더 포함한다.
상담지체(420)는 인쇄매체(M)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인쇄매체(M)의 폭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 원주형의 드럼(drum) 또는 롤러 형상을 가진다. 상담지체(420)는 감광체(photosensitive body)/OPC(organic photo conductor) 드럼으로 구현되며, 대전롤러(430) 및 광주사유닛(300)에 의한 정전잠상과, 현상롤러(440)에 의한 가시 화상이 표면 상에 형성된다.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대전롤러(430)는 회전하는 상담지체(420)의 외주면을 일정한 극성의 전위로 대전시킨다. 광주사유닛(300)은 이와 같이 대전된 상담지체(420)의 외주면에 광빔을 주사함으로써,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440)는 현상유닛하우징(410) 내의 현상제를 상담지체(420)의 정전잠상에 공급하며, 공급된 현상제가 전위차로 인해 정전잠상에 흡착되게 함으로써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시킨다.
삭제
클리닝 블레이드(460)는 전사유닛(450)에 의해 인쇄매체(M)에 전사되지 못하고 상담지체(420) 상에 잔류한 폐현상제를, 상담지체(420)로부터 제거하여 현상유닛하우징(410)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폐현상제이송부(470)는 오거(auger)로 구현되며, 이와 같이 현상유닛하우징(410) 일측에 이동된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컨테이너(미도시)로 이송시켜 수집되도록 한다.
전사유닛(450)은 상담지체(420)에 대응하게 연장 배치된 전사롤러(450)를 포함한다. 전사롤러(450)는 매체공급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M)를 이송시키며,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상담지체(420) 상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로 전사시킨다.
정착유닛(500)은 열을 생성하는 히팅롤러(510)와, 히팅롤러(5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히팅롤러(510)와의 사이에 닙(nip)을 형성하는 가압롤러(520)를 포함한다. 가압롤러(520)는 히팅롤러(510)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히팅롤러(510) 및 가압롤러(520) 사이에 형성된 닙에 열과 압력이 작용하며, 현상유닛(40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가 이 닙을 통과함으로써 정착이 수행된다.
듀플렉스유닛(600)은 프린팅 작업이 인쇄매체(M)의 일면이 아닌 양면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1차적으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되어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다시 현상유닛(400)으로 이송시킨다. 듀플렉스유닛(600)은 복수의 롤러 또는 가이드프레임 등으로 구현되며, 인쇄매체(M)가 상담지체(420)로 이송될 때 상담지체(420)를 향하는 면이 앞서 화상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이 되도록 인쇄매체(M)를 이송한다.
배출유닛(700)은 화상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M)를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본체프레임(100)에 지지되며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 사이로 연장된 매체이송프레임(130)가 설치되며, 이로써 인쇄매체(M)가 현상유닛(400)에서 정착유닛(500)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착유닛(500)은 현상유닛(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는 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매체이송프레임(130)은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다만, 매체이송프레임(130)은 인쇄매체(M)가 현상유닛(40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현상유닛(400)으로부터 소정 각도 하향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전원공급유닛(800)는 매체이송프레임(13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한 화상형성장치(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유닛(80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다양한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구성요소들에게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에 의하여 프린팅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제반 구성들의 작동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며,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특히, 정착유닛(500)은 히팅롤러(510)가 정착을 위한 열을 생성하므로,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에서 정착유닛(500)의 인접 영역이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이러한 정착유닛(500)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화상형성유닛(300,400,450) 및 정착유닛(500) 사이, 보다 자세하게는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 사이에 연장 형성된 채널(930)을 가진다.
이하, 채널(93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채널(930)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본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일부 구성이 생략되었음을 밝힌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0)은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의 좌우 양단 중에서 일단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에 마주하게 배치되며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의 좌우 양단 중에서 타단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은 외부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마련된 흡기부(910) 및 배기부(920)를 각각 가진다. 그리고, 채널(930)은 흡기부(910) 및 배기부(920)에 연장되며, 흡기부(9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채널(930)을 따라서 이동하며 배기부(9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채널(930)은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바, 실질적인 직선을 형성한다.
흡기부(910) 및 배기부(92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부(920)의 설치 높이는 흡기부(910)의 설치 높이에 비해 소정 거리 높게 형성된다. 이는 매체이송프레임(130)의 상측에 채널(930)이 위치하고 매체이송프레임(130)의 하측에 전원공급유닛(800)가 위치하는 바에 따른 것이다.
흡기부(910)는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채널(930) 및 전원공급유닛(800)로 이동하여 채널(930) 및 채널(930) 하측의 전원공급유닛(80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배기부(920)는 채널(930) 및 채널(930) 상측의 광주사유닛(300) 주변의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배기부(920)의 설치 높이가 흡기부(9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된다.
또한, 배기부(9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흡기부(9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이러한 배치 관계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채널(930)을 통해 다시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널(930)은 별도의 부재 또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채널(930) 하측에는 매체이송프레임(130)이 위치하며, 채널(930) 상측에는 광주사유닛(300)이 배치된다. 다만, 채널(930)을 구현하는 구성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정착유닛(500)을 따라서 설치된 에어덕트(air-duct)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본체프레임(100)에 결합된 별도의 프레임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흡기부(910) 및 배기부(920)는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된 통기구로 구현되며, 흡기부(910) 및 배기부(9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채널(930)을 통해 공기가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송풍팬(9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기부(91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찬 공기가 채널(930)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채널(930)을 따라서 이동하며 광주사유닛(300), 현상유닛(400), 정착유닛(500), 전원공급유닛(800)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고온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온의 공기는 배기부(9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온도가 저감된다.
그런데, 이러한 채널(930)에 의한 냉각 구조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가 프린팅 작업을 고속으로 수행할수록, 정착을 위한 열과 압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게 된다. 즉, 정착유닛(500)으로부터 생성되는 열량이 많아지게 되는 바, 냉각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채널(930)을 이동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송풍팬(940)의 풍량을 높이거나 채널(930)의 폭을 넓여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고성능의 송풍팬(940) 사용으로 인한 비용 및 에너지 소모량의 상승, 소음 증가, 화상형성장치(1)의 크기 증가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흡기부(910)에 흡입되는 공기는 배기부(9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다. 이에 따라서, 채널(930) 내의 공기는 흡기부(910)로부터 배기부(920)로 갈수록 상승하는 온도 편차를 나타낸다. 이러한 온도 편차 때문에 흡기부(910)에 인접한 정착유닛(50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영역의 정착 능력이 저하되어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팬(940)의 풍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러한 정착 불량은 보다 심화된다.
또한, 채널(930)은 정착유닛(500) 및 현상유닛(400) 사이에 형성되므로, 정착유닛(500)에서 생성되는 열이 채널(930)을 통해 현상유닛(400)으로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현상유닛(400) 내의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가 열에 의해 고화되어, 이로 인한 화상 불량 또는 현상유닛(400)의 작동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채널(930) 상에 설치되며 흡기부(9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채널(930)을 따라서 화상형성유닛(300, 400)으로 이동하게 공기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00)를 포함한다.
이하, 가이드부재(1000)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가이드부재(1000)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0)는 흡기부(910)에 인접하도록 채널(930) 상에 설치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채널(930) 하측에 위치한 매체이송프레임(130) 상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0)는 매체이송프레임(130)과 별도의 구성으로서, 매체이송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구성이나, 이는 한 예시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부재(1000)는 매체이송프레임(1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매체이송프레임(130)이 아닌 흡기부(910)에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가이드부재(1000)는 흡기부(9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는 위치라면 그 설치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1000)는 흡기부(910)를 통해 흡입되어 채널(930)을 따라서 이동하는 외부 공기를, 정착유닛(500)이 아닌 현상유닛(400)으로 안내한다. 가이드부재(1000)는 매체이송프레임(130)에 결합되는 베이스(1100)와, 베이스(1100) 상에 직립되며 흡기부(9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현상유닛(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현상유닛(400)의 복수 영역으로 분배되게 안내하는 복수의 리브(rib)(1200)를 포함한다.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복수의 리브(1200)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서 복수 개의 공기 흐름으로 구분되어 이동한다. 여기서, 복수의 리브(1200)는 채널(930)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축선을 따라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각 리브(1200)는 채널(93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현상유닛(400)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게 연장된다. 그러므로, 리브(1200)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는 정착유닛(500)이 아닌, 현상유닛(400)을 포함한 화상형성유닛(300,400,450) 쪽으로 흐른다.
여기서, 리브(1200)의 연장 각도는 복수의 리브(1200) 각각이 상이하다. 보다 자세하게는 현상유닛(400)에 인접한 리브(1200)일수록 해당 리브(1200)는 채널(930)의 연장 방향 축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리브(1200) 사이를 이동하는 각 공기의 흐름은 현상유닛(400)의 길이방향을 따른 현상유닛(400)의 복수의 영역으로 각각 안내된다. 이로써, 가이드부재(1000)는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현상유닛(4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고르게 분배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리브(1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가이드부재(1000)에 관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930), 현상유닛(400) 및 정착유닛(500)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다.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채널(930)을 따라서 이동한다.
가이드부재(1000)는 베이스(1100) 상에 복수의 리브(1210, 1220, 1230, 1240)가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채널(930)의 연장방향 축선을 제1직선(L1), 제1직선(L1)에 직교하는 인쇄매체(M)의 이송방향 축선을 제2직선(L2)이라고 하면, 제1직선(L1)은 Y 방향 축선에 평행하며 제2직선(L2)은 X 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복수의 리브(1210, 1220, 1230, 1240)는 제2직선(L2)을 따라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정착유닛(500)에 근접한 순서대로 제1리브(1210), 제2리브(1220), 제3리브(1230) 및 제4리브(1240)를 포함한다. 제4리브(1240)는 복수의 리브(1210, 1220, 1230, 1240) 중에서 현상유닛(40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1000)가 4개의 리브(1210, 1220, 1230, 1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으로서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개수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각각의 리브(1210, 1220, 1230, 1240)는 흡기부(910) 방향에 위치한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와,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로부터 채널(930) 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는 채널(930)의 연장 방향 축선, 즉 제1직선(L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는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1직선(L1)에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한다.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는 모두 동일하게 제1직선(L1)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흡기부(910)에 흡입되는 공기는 각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서 제1직선(L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분배된다.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는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로부터 현상유닛(400)을 향한 방향으로, 제1직선(L1)에 대해 소정 각도(D1, D2, D3, D4)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이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가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로부터 절곡됨으로써,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 사이의 유로를 통해 분배되는 공기는 현상유닛(400)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이와 같이,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는 제1직선(L1)에 평행한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를 가짐으로써,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에 의해 공기의 이동 방향이 변화할 때에 리브(1210, 1220, 1230, 1240)에 대한 공기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만일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의 연장 각도(D1, D2, D3, D4)가 모두 동일하다면, 가이드부재(1000)를 통과하는 공기는 현상유닛(400)의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한정되어 안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의 연장 각도(D1, D2, D3, D4)는 모두 상이한 바, 이로써 가이드부재(1000)에 의해 분배되는 공기가 현상유닛(400)의 길이방향을 따른 현상유닛(400)의 복수 영역(P1, P2, P3)에 도달하도록 안내된다. 즉, 공기를 현상유닛(400)의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안내함으로써 현상유닛(400)을 비교적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의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의 연장 각도(D1, D2, D3, D4)는, 해당 리브(1210, 1220, 1230, 1240)가 정착유닛(500)으로부터 현상유닛(400)에 근접할수록 커진다. 즉, 제1직선(L1)에 대하여, 제1리브(1210)의 제2가이드부(1212)의 각도를 D1, 제2리브(1220)의 제2가이드부(1222)의 각도를 D2, 제3리브(1230)의 제2가이드부(1232)의 각도를 D3, 제4리브(1240)의 제2가이드부(1242)의 각도를 D4라고 하면, 0<D1<D2<D3<D4의 관계를 만족한다.
이로써,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에 의해 분배되어 현상유닛(400)의 복수 영역(P1, P2, P3)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송풍팬(940)의 풍량을 높이거나 채널(930)의 폭을 넓히지 않더라도, 화상형성장치(1) 내측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정착유닛(500)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현상유닛(400) 내의 현상제 또는 폐현상제가 열에 의해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기부(9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정착유닛(500)으로 직접 안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정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에서는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가 제1직선(L1)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와, 제1직선(L1)에 대해 소정 각도(D1, D2, D3, D4)를 가지고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로부터 절곡된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부재(1000)는 흡기부(9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화상형성유닛(300,400,450)으로 이동하게 공기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1)는 베이스(1101) 상에 설치된 복수의 리브(1310, 1320, 1330, 1340)를 포함하며, 각 리브(1310, 1320, 1330, 1340)는 제1가이드부(1311, 1321, 1331, 1341) 및 이로부터 절곡 연장된 제2가이드부(1312, 1322, 1332, 13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게, 각 리브(1310, 1320, 1330, 1340)의 제1가이드부(1311, 1321, 1331, 1341)는 상호 상이한 각도를 가진다. 정착유닛(500)에 가장 근접한 순서에 따라서, 제1직선(L1)에 대한 제1리브(1310)의 제1가이드부(1331)의 각도를 D5, 제2리브(1320)의 제1가이드부(1321)의 각도를 D7, 제3리브(1330)의 제1가이드부(1331)의 각도를 D9, 제4리브(1340)의 제1가이드부(1341)의 각도를 D11이라고 하면, 0≤D5<D7<D9<D11의 관계를 만족한다. 이에 의하여, 앞선 실시예에 비해 리브(1310, 1320, 1330, 1340)에 충돌하는 공기의 저항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직선(L1)에 대하여 제1리브(1310)의 제2가이드부(1312)의 각도를 D6, 제2리브(1320)의 제2가이드부(1322)의 각도를 D8, 제3리브(1330)의 제2가이드부(1332)의 각도를 D10, 제4리브(1340)의 제2가이드부(1342)의 각도를 D12라고 하면, 0<D6<D8<D10<D12를 만족한다. 이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다.
여기서, 공기의 흐름은 제1가이드부(1311, 1321, 1331, 1341)를 따라서 이동한 후에 제2가이드부(1312, 1322, 1332, 1342)를 따라서 현상유닛(400)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D5<D6, D7<D8, D9<D10, D11<D12의 관계를 만족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2)의 베이스(1102) 상에 직립한 각 리브(1410, 1420, 1430, 1440)는 앞선 실시예들의 경우처럼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이 아닌, 곡선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정착유닛(500)에 근접한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리브(1410, 1420, 1430, 1440)가 제1리브(1410), 제2리브(1420), 제3리브(1430), 제4리브(1440)를 포함할 때, 각 리브(1410, 1420, 1430, 1440)는 제1직선(L1)에 대해 소정 곡률을 가지고 현상유닛(400) 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된다.
이 때, 제1리브(1410)의 접선과 제1직선(L1) 사이의 각도를 D13, 제2리브(1420)의 접선과 제1직선(L1) 사이의 각도를 D14, 제3리브(1430)의 접선과 제1직선(L1) 사이의 각도를 D15, 제4리브(1440)의 접선과 제1직선(L1) 사이의 각도를 D16이라고 하면, 0<D13<D14<D15<D16의 관계를 만족한다. 즉, 각 리브(1410, 1420, 1430, 1440)의 곡률은 정착유닛(500)에서 현상유닛(400)에 근접할수록 커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을 반영한 가이드부재(1000)의 구성은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부(910)에 설치된 송풍팬(940)에 의한 풍량을 증가시키는 설계를 적용하지 않고도, 현상유닛(400)의 상담지체(420), 폐현상제이송부(470) 등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의 사용환경 온도가 섭씨 30도, 습도가 85%인 상태에서 인쇄매체(M)의 양면 프린팅 작업 시, 가이드부재(1000)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상담지체(42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포화 온도가 약 55.8도 및 약 56도 정도이며, 폐현상제이송부(47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포화 온도가 약 55도 및 약 55.5도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0)를 적용하면, 상담지체(42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포화 온도는 약 47.5도 및 약 47.8도로 하강하며, 폐현상제이송부(47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의 포화 온도는 약 50도 및 약 52도 정도로 하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상담지체(420) 및 폐현상제이송부(470)의 온도를 대략 3.5도 내지 8.3도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등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각 리브(1210, 1220, 1230, 1240)가 제1가이드부(1211, 1221, 1231, 1241)로부터 제2가이드부(1212, 1222, 1232, 1242)로, 1회만 절곡된 것으로 표현하나, 2회 이상 절곡되어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프레임
110 : 제1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30 : 매체이송프레임
200 : 매체공급유닛
300 : 광주사유닛
400 : 현상유닛
410 : 현상유닛하우징
420 : 상담지체
430 : 대전롤러
440 : 현상롤러
450 : 전사롤러
460 : 클리닝 블레이드
470 : 폐현상제이송부
500 : 정착유닛
510 : 히팅롤러
520 : 가압롤러
600 : 듀플렉스유닛
700 : 배출유닛
800 : 전원공급유닛
910 : 흡기부
920 : 배기부
930 : 채널
1000 : 가이드부재
1100 : 베이스
1200, 1210, 1220, 1230, 1240 : 리브
1211, 1221, 1231, 1241 : 제1가이드부
1212, 1222, 1232, 1242 : 제2가이드부

Claims (1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상기 인쇄매체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본체프레임 타측에 형성된 배기부로 배출되게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를 따라서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이동하게 상기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리브는, 상기 이동 경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향해 절곡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리브의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이동 경로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복수 영역으로 분배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흡기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경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제1직선에 대한 각각의 상기 리브의 상기 제2가이드부의 연장 각도는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에 대한 각각의 상기 리브의 연장 각도는 상기 리브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향해 라운드 형상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각각의 상기 리브의 접선과 상기 제1직선 사이의 각도는 상기 리브가 상기 화상형성유닛에 근접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를 가지고, 상기 정착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담지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 상에 화상데이터에 기초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광주사유닛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현상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실질적인 직선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착유닛으로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매체이송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매체이송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흡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이송프레임 하측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이동 경로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전달 가능한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이동 경로 및 상기 광주사유닛으로부터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마주하며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정착유닛의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경로를 통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131332A 2010-12-21 2010-12-21 화상형성장치 KR10175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32A KR101751231B1 (ko) 2010-12-21 2010-12-21 화상형성장치
EP11177374.3A EP2472339B1 (en) 2010-12-21 2011-08-12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 to Guide Air
CN201110251537.1A CN102540846B (zh) 2010-12-21 2011-08-25 具有引导空气的导向构件的成像设备
US13/242,595 US9002231B2 (en) 2010-12-21 2011-09-23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 to guide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32A KR101751231B1 (ko) 2010-12-21 2010-12-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75A KR20120069975A (ko) 2012-06-29
KR101751231B1 true KR101751231B1 (ko) 2017-06-27

Family

ID=4540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332A KR101751231B1 (ko) 2010-12-21 2010-12-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02231B2 (ko)
EP (1) EP2472339B1 (ko)
KR (1) KR101751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9813B2 (ja) * 2011-12-27 2016-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送風管、送風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26211B2 (ja) * 2013-05-23 2015-12-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94971B2 (ja) * 2013-08-28 2016-03-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47682B2 (ja) * 2014-07-02 2018-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71281A (ja) * 2014-10-01 2016-05-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206397A (ja) * 2015-04-22 2016-12-08 株式会社リコー ダクト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7685A (ja) * 2002-07-02 2004-02-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065170A1 (en) 2005-09-19 2007-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727A (en) * 1985-03-04 1988-01-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308024B1 (en) * 1999-08-30 2001-10-23 Fuji Xerox Co., Ltd. Dust protector for image exposur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6493528B2 (en) * 2000-03-03 2002-12-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46787B2 (en) * 2005-06-15 2008-11-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fan is used to affect air flow
KR100776410B1 (ko) * 2006-02-06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2008096944A (ja) * 2006-09-12 2008-04-24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394654B2 (en) * 2006-10-19 2008-07-0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rmal manag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US8446725B2 (en) * 2010-08-05 2013-05-21 Alcatel Lucent Airflow control in an electronic chas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7685A (ja) * 2002-07-02 2004-02-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065170A1 (en) 2005-09-19 2007-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5913A1 (en) 2012-06-21
CN102540846A (zh) 2012-07-04
US9002231B2 (en) 2015-04-07
EP2472339B1 (en) 2019-06-05
KR20120069975A (ko) 2012-06-29
EP2472339A1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31B1 (ko) 화상형성장치
US105031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ir cooling system
EP260021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920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natural ventilator
US201601243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llecting case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59359A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5392022B2 (ja) 画像形成装置
US10775719B2 (en) Duc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547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uct
US10877435B2 (en) Exhaus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por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1269529A (ja) 静電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697424B2 (ja) 画像形成装置
JP392370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309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914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06384A (ja) 画像形成装置
JP4397734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377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167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490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607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4267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