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72B1 -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안테나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72B1
KR100360072B1 KR1020000046588A KR20000046588A KR100360072B1 KR 100360072 B1 KR100360072 B1 KR 100360072B1 KR 1020000046588 A KR1020000046588 A KR 1020000046588A KR 20000046588 A KR20000046588 A KR 20000046588A KR 100360072 B1 KR100360072 B1 KR 10036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impedance
network
conductor
diver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082A (ko
Inventor
하인즈린덴마이어
라이너크론베르거
조첸홉프
레오폴드라이터
Original Assignee
푸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푸바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3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01Q1/1278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in association with heating wires o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실제로 직사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표면과 상기 표면에 인가된 전기적으로 컨턱터를 갖는 후면 윈도우 패인과 같은 차량의 전기 전도성 매스에 의해 둘러쌓인 윈도우 유리 패인 지역내에서 이를테면 자동차 차량과 같은 차량내에 있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그의 에지 컨덕터(12)에 대해 고 주파수이며 밀착됨에 의해 적당한 전도성으로 있는 표면(1)은 후면 윈도우 유리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지 컨덕터(12)는 약 λ/10의 연속적인 최소 길이를 갖는 12a내에서 실현된다. 전도성 표면(1)의 외부에 형성된 안테나를 가진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안테나 연결 점(5)과 적어도 /10에 이르는 상기 안테나 연결 점에 가장 밀접하게 배치된 임피던스 연결 점(8)을 갖는 한쌍의 터미널을 가지며, 그 결과 다이버시티한 것에 의해 서로 다른 안테나 신호(21)는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임피던스 값을 가변 조정에 의해 연결 망(4)의 출력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 안테나{DIVERSITY ANTENNA FOR A DIVERSITY ANTENNA SYSTEM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예를들어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 수신을 위해 미터 및 데시미터 파 영역의 자동차 차량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 다이버시티 시스템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형태의 다중-안테나 시스템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한 다중-안테나 시스템은 예로서 EP 제 0 269 723 호, DE 제 36 18 452 호, DE 제 39 14 424(도14), DE 37 19 692호 및 P 36 19 704호에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로드 공중선, 바람막이 창 안테나 등과 같이 안테나의 서로 다른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고 주파수에 의한 안테나의 적절한 디커플링(decoupling)의해, 수신 간섭은 자동차 차량이 수신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통해 이동할 때 일어난다. 그러한 수신 간섭은 전자기 파의 여러진로의 전달 때문에 수신 레벨의 순간 페이딩(fading)과의 결합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효과는 도3및 도4 그리고 EP 제 0 269 723호의 도움으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다. 안테나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기능은 수신 간섭이 동작 안테나의 신호에 의해 일어날때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다른 안테나로 스위치하며, 또한 수신의 한정된 영역내에서 수신 간섭을 이끄는 수신기입력에서 신호 손실(또는 레벨 페이딩)을 최소로 유지시킨다.
구동거리에 걸쳐 작성된 신호 손실(또는 레벨 페이딩)과 그에 따른 초과 시간이 부적합하게 발생한다(도1c참조). 유용한 안테나들사이에서 교란되지 않은 신호를 찾을 가능성이 유용한 안테나의 수와, 다이버시티에 의해서 상기 안테나의 신호들간의 디커플링에 의해 증대된다.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다이버시티에 의한 상기 안테나의 디커플링은, 수신신호가 예컨데 HF-레벨의 페이딩과 같은 수신 간섭을 고려해서 특히 다를 경우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EP 제 0 269 723호에 기초하고 있다. 적어도 2개의 안테나의 이용은 상기 특허에 따라 다이버시티에 의해 디커플된 안테나 신호를 얻기위해 요청된다. 상기 안테나들은 자동차 차량의 히팅 영역으로부터 창출되어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해 좋은 신호/잡음 비를 얻는다는 이유로 안테나 증폭기를 갖는 연결 망에 개개의 안테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연결 망은 요청된 고-주파수 연결 라인과 관련하여 특히 많은 지출비용을 대다수의 경우에 요구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4개의 안테나 증폭기는 예컨데, VHF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여러경우에 이용된다. 상기 안테나 증폭기는 후면 윈도우 유리 패인의 에지에 설치된다. 그러한 안테나 증폭기의 배선은 사실상 지출비용을 요구하며, 더욱이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 복잡한 것으로 빈번히 관측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차량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으로 개선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단지 하나의 안테나 연결을 갖는 별개의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여, 평균 수신 양이 가능한한 양호해지도록 하고 또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여러 안테나 신호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수신 간섭이 분리된 안테나에 의한 것처럼 유사하게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1a는 다이버시티시 안테나가 후면 윈도우 유리 패인상의 전도 표면(1)에서 연결망(4)과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에 연결된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망(6)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차량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으로 본 발명에서 한정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1b는 임피던스 연결 점(8)과 안테나 연결 점(5)간에 λ/10의 연속적인 최소 길이 및 최소 간격 λ/10을 갖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해 한정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1c는 임퍼던스 연결 점(8)에서 임퍼던스 망(6)의 서로 다른 조정과 함께, 구동 거리에 의존하는 안테나 연결 점(5)에서 수용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도처에 연장되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 코너에 위치된 4개의 임피던스 연결 점(8), 및 컨덕터 표면의 상부 수평 면에 위치된 안테나 연결 점(5)을 가진 본 발명의 의해 한정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
도3a 및 도3b는 컨덕터 표면(1)으로서 상기 패인에 적용된 전도성 코팅(13)을 갖는 유리 패인, 및 끼워진 전도성 표면(1)을 갖는 적층 유리 패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전도성 표면(1)에 고-주파수 저-저항 접속과 함께 스트립-형 전극(43)의 형태로 실현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탑승자 자동차 차량에서 후면-윈도우 히팅 시스템의 컨덕터 장치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의 컨덕터 표면(1)의 도면으로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정면에 배치된 히팅 전류 공급용 버스-바(14)로 부터 이곳에서 일어나며, 히팅 영역의상부 및 하부 히팅 컨덕터(15)는 유도적으로 고-저항 에지 컨덕터(12b)에 의해 이러한 연결로서 각각 동작하며, 임피던스 연결 망(6)은 불연속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제어 입력(22)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전도성 표면의 저 에지 컨덕터로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갈바니 직류 간격(42)이 후면 윈도우 히팅 시스템의 버스-바들간의 누전을 피하기 위해 요구되는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HF-전류를 저지하는 버스-바(14)상에서 공급 망을 갖는 히팅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안테나 연결 접(5)을 갖는 저-저항 연결 컨덕터(12a)가 히팅 전류(17)의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낮은 두개의 히팅 컨덕터(15)에 갈바닉하게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쇼트 컨덕터(16)의 형태로서 이 경우에 실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도7과 같은 도면으로서, 그러나 히팅 전류 공급 라인이 버스-바(14b)상에서 차량 접지(3)에 직접 갈바닉하게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상부와 하부에서 부분적인 히팅 영역을 갖는 히팅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능한 한 매우 밀착되며 유효한 전도성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버스-바(14)의 분리 위치에서 상기 히팅 영역이 서로 갈바닉하게 분리되며 또한 (예를들어, 적절하게 고 용량을 갖는)고-주파수 전도 2-극(19)을 통해 내부 연결되는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고-주파수 전도성 2-극(19)의 이용 대신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스위칭 제어 입력(22)을 가진 다른 임피던스 망(6)이 상부 및 하부 버스-바(14)들간에서 이곳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1a는 HF 연결부(9 및 10)를 갖는 임피던스 망(6)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두 연결부간의 유효 임피던스(z)가 제어 게이트(22)에 인가된 제어 신호(23)의 도움으로 전자 스위칭 요소(24)에 의해 이곳에 연결되며, 2개의 연결망(4)에 유용한 안테나 신호(21)는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4)에 의해 수신기(30)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1b는 3개의 다른 임피던스 값이 세트될수 있는 전자 스위칭 요소(24)로서 2개의 제어 게이트(23)와 HF 스위칭 다이오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을 나타내는 도면.
도12a는 제어 라인(3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제어 게이트(22)를 제어하는 다이버시티 처리기(31)과 스위칭 디바이스(29)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12b는 제어라인(3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제어 게이트(22)를 제어하고, 또한 스위칭 신호(33)를 통해 연결 망(4)에서 디지털적으로 스위치 가능한 어뎁터 망(26)을 부가적으로 제어하는 다이버시티 처리기(31)와스위칭 디바이스(29)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전도성 표면(1) 또는 히팅 영역(20)위에 위치되는 AM 라디오 신호 수신용 부가 AM 안테나 컨덕터(35)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컨덕터용으로 요청된 AM-증폭기(36)가 연결 망(4)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도13과 동일하며, 그러나 우선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으로 부터 적당히 큰 간격을 갖는 전도성 표면(1)의 세로 확장으로 이루어진 낮은 3개의 중심 부분에서 부가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갖는 도면.
도15는 유리 표면에 적용된 스트립-형 컨덕터(38)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차 본체의 인접 에지에 관련한 그의 크기 및 위치 때문에, 상기 컨덕터가 적당하게 고 용량을 형성하며, 그 결과 안테나 망(4)에 대한 차량 접지 연결 점(2) 또는 임피던스 망(6)에 대한 차량 접지 점(11)이 차량 매스(3)에 대해 용량성 접지 협력으로 제공되며, 제어라인(34)이 더군다나 인쇄된 컨덕터 형태로서 실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코드 발생기가 캐리어에 기초한 디지털 어드레스 신호의 형태로서 제어 신호(23)를 발생하는 연결 망(4)에서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포함된 디코딩 회로(40)에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전자 스위칭 요소(24)를 조정하기 위해 요청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연결 망(4)에 포함된 인버터(54)에 의해 공급 ac 전압(47)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ac 전압은 정류기(46)에 의해 정류된 전류 공급 라인(4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공급되며, 또한 공급 dc 전압(48)으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유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윈도우 패인(39)에 인쇄된 하나의 단일 컨덕터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대해 제어 라인(34)과 전류 공급 라인(44)으로 모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컨덕터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4)에 연결 망(4)으로 위치된 코드 발생기(41)의 제어 신호(23)를 공급하며, 또한 상기 제어 신호가 이곳에서 필터(49)를 통해 디코딩 회로(40)에 전송되며, 전기적으로 임피던스 망(6)이 도17에 도시한 전류로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임피던스 연결 점(8)과 인접한 차량 접지 점(11)을 통해서 전도성 표면(1)에 연결되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기본적인 표시도로서, 상기 임피던스 망(6)은 제어 라인(34)을 통해서 제어 신호(23)를 수신하며,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공급 전압(47)의 형태로서 전류 공급 라인(44)을 통해 전류로 공급되는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20은 임피던스 연결 점(8)으로 통하는 고-주파수 라인(5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공간적인 분리도로서, 후자는 실제 수평적으로 연장된 히팅 컨덕터 성분(15)을 교차하는 수직 컨덕터(53)에 연결되며, 수평적으로 연장된 저-저항 연결 컨덕터(12a)는 버스-바(14)의 형태로서 실현된 저-저항 연결컨덕터(12a)와 함께 dc 인터럽션부(42)를 통해 연결망(4)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도20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인쇄된 컨덕터(52)로서 고-주파수 라인(51)은 비대칭적인 동일 평면 HF-라인의 형태로서 차량 접지(3)에 가까이에서 실현되며, 또한 dc 인터럽션부(42)는 전기적을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하우징내에서 실행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도19에 도시한 전류로서 제어되고 공급된다.
상술한 문제는 청구항 1항에서 특정된 특징부에 의하여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는 특정된 도면에서 볼 수 있으며 또한 더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한 기본적인 방법은 단순화한 모델의 도움으로 후술하겠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1a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된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단순 배치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균일한 전도 표면(1)에 연결되며, 그의 표면 저항은 가급적 용량성 효과 때문에 약 50 ohms 양에 이른다. 다음에 게이트(1)로서 참조되는 차량 접지 연결 점(2)을 갖는 안테나 연결 점(5)은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한 단부에서 형성된다. 다음에 게이트(2)로서 참조되는 인접 차량 접지 점(11)을 갖는 임피던스 연결 점(8)은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타 단부에 형성된다. λ/10의 최소 길이를 갖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와 전도성 표면(1)의 크기 때문에, 상기 크기는 일련의 전자기파가 도달할 경우 파장과 비교해서 효과적이며, 다른 신호 레벨은 게이트가 파장에 비해 적당하게 큰 간격으로 실현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임피던스 로드를 가진 2개의 게이트에서 통계적인 파 영역에서 전개된다. 이것은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파 계수가 안테나를 기술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 그리고 한가지가 게이트(1 및 2)상에서S 11S 12입력 반사 인자와 상기 게이트상에서S 12결합에 의해 기술되는 경우, 또한 다른 한 가지가 인위적인 게이트(3)로부터 시작하는 복소 진폭(Wν)을 갖는 방위각 방향(ν)으로 부터 마주하는 ν번째 파에 대한, 그리고 게이트(2;Uν*S 23(ν))상에서 그의 전압 기여도에 대한 복소 전압 기여도(Uν*S 13ν))를 게이트(1)상에서 기술하는 경우, 하나의 위치에서 게이트 상에 수신 전압을 지정하는 것은 게이트(1 및 2)의 미리 설정된 임피던스 단자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한 파들중 "N"개의 파가 통계적으로 분포된 방위각(φν)에서 마주하는 통계적으로 분포된 복소 진폭에 의해 중첩된다고 하면,r 1=0 을 갖는 게이트(1)의 반사-프리 단자와 반사 인자r 2(Z 2)를 갖는 게이트(2)의 단자를 단순화한 가정하에서, 구동거리를 통해 게이트(1)상에 전개되는 수신 전압(U 1(1))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입력 저항이 파 계수 시스템의 기준 저항에 해당하는 연결 망(4)에 의한 단자를 통해, 게이트(1)상에서 반사-프리 단자(r 1=0)의 예비 중접을 단순화함에 따라, 다음 (1)식과 같은 구동 거리를 통해 연결 망(4)에서 수신 전압U 1(1)을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합 표시U (1) 와U (1)은 게이트(1)상에서 동작하는 복소 전압 기여도를 나타낸다. 이 전압 기여도는 구동 거리를 따라 강하게 변화하며 또한 통계적인 규칙성 때문에 각각은S 13(φv)와S 23(φv)간의 간격이 알맞은 경우에만 동일 위치에서 나타나지 않은 공지의 레벨 페이딩을 갖는다. 상기 간격은 적어도 λ/10의 충분히 큰 간격이 2개의 게이트사이에서 요구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연결해서 성취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하나는 입력 반사 요소(S 22=0)를 미리 추정하는데, 이 반사요소는 본 발명의 성질에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관계는 다음식(2)과 같이 게이트(1)상에서 전압 레벨에 대한 더 간단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이 설명은,U (1) 와U (1)가 구동 거리의 동일 위치에서 0이 아니거나 또는 레벨 페이딩을 갖는 경우에만 수신전압(U 1(1,r))이 0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이것은S 13νν )와S 23( φν)간의 적당한 간격에 대한 요구를 조건으로 한다. 결합 계수(S)는 게이트(1 및 2)의 선택에 의해 확정되며 또한 결합 컨덕터(12a)에 의해 확정된다. 그러나, 반사 요소(r 2(Z 2))는 단위 서클내의 서로 다른 임피던스(Z 2)상에 놓음으로서 복소 평면의 모든 값 번위내에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r 2│=1을 갖는 반응 값(Z 2=jX2)은 높은 수신 출력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정된 값(X2)을 갖는 게이트(2)의 단자에 따라, 레벨 페이딩이 도1c에 나타낸것처럼U 1(1)에 대해 계속 일어나는 경우, 이러한 결점은 결합 계수(S 12)의 양이 적당히 크면 다른 적합한 값(X'2)으로 임피던스(Z 2)를 스위칭해서 제거할 수 있다. 충분한 결합이 결합 컨덕터(12a)에 의해 본 발명과 결합해서 성취된다. 결합이 너무 작을 경우, 이 의미는 표시U (1 )로 부터 발생하는 수신 전압에 대한 기여도가 너무 작고, 또한 X2에서 X'2로의 스위칭이 상기 리액턴스의 최적 선택에 의해 균등해질때 레벨 페이딩이 단지 빈약하게 제거되는 것을 뜻하며, 그 결과 다이버시티에 의해 2개의 안테나 신호의 원하는 디커플링을 성취할 수 없다.
도1c의 표현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된 안테나를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기본 방법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1 <1a의 경우, 신호 레벨(U 1(1,r(x2))이 우선 수신기에서 유효하고, 또한 수신 레벨이 구동 거리 위치(a)에서 간섭 임계치에 미달할 경우, 다이버시티 처리기는 상응해서 변화된 반사 인자(r 2'(X'2))와 함께 변화된 임피던스(Z 2=jX'2)를 게이트(2)상에서 스위치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할 때까지 전환이 차량 위치(b)에서 신호 레벨(U1( ,r 2(X2))등을 갖는 원래의 임피던스 값(Z 2=jX2)으로 다시 일어난 후에 신호(U1( ,r 2'(X2'))는 수신기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전도성 표면은 균일한 전도 층에 의해 또는 와이어형태의 불연속 컨덕터로 이루어진 네트 또는 격자 구조에 의해 실제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렇게 형성된 표면중 다수의 부분 영역에 의해서 실제로 형성되는바, 하지만 상기 표면은 전체 전도성 표면(1)둘레로 연장되는 에지 컨덕터(12)에 의해 적어도 고주파에 의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고주파수에 의해 밀착된 적합한 전도성 표면(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표면은 윈도우의 보통 모양에 따라 실제로 직사각형이거나 사다리꼴 모양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의 측면중 어느 것도 수신 주파수에서 λ/10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표면(1)에 대해 한정된 최소 사이즈가 요구된다. 주로 전도성 표면(1)의 용량성 효과 때문에, 보통의 고-주파수 컨덕터에 의해 저 저항은 이러한 연결에서 불필요하다. 이것은 균일한 전도 층의 표면 저항이 값 10을 실제로 초과하지 않을 경우 충분하다. 전도성 표면(1)의 경우에는 예를들어 열선의 형태로 적층된 유리 패인에 메몰되거나, 또는 후면 윈도우 유리 패인상에 히팅 컨덕터로 인쇄되는것과 같이 불연속 와이어 형태의 컨덕터에 의해 형성되며, 본발명의 의미내에서 요구된 전도성이 더불어 성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에지 컨덕터(12)는 컨덕터 표면(1)의 외부 프래밍을 형성하는바, 이 프래밍은 유도적으로 고-저항 에지 컨덕터(12b)의 형태로 얇은 와이어형태의 컨덕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균일한 전도성 투명 층에 의해 형성된 전도성 표면(1)으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컨덕터는 독특하게 형성됨이 없이 그의 에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의 전도성 표면(1)으로 제조하기 위해 결합이 게이트(1 및 2)사이에서 요구되며, 몇몇 에지 컨덕터(12)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된다. 얇은 와이어-형태의 컨덕터에 대하여 유도적으로 높은 저항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에지 컨덕터는 적어도 약 5mm의 폭을 갖는 평평하며 스트립 모양의의 컨덕터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는바, 상기 컨덕터는 윈도우 유리 패인에 적용된다. 둥근 단면을 갖는 유도적으로 고-저항의 에지 컨덕터(12b)의 경우에 상기 컨덕터는 적어도 약 4mm의 직경을 가져야 한다. 전도성 표면(1)의 에지에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실현할 경우 후자는 직진성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게되며,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연속적인 길이는 최소 측정치 λ/10에 미달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전도성 표면(1)의 코너 둘레로 연장된 결합 컨덕터(12a)와 관련하여 도1b에서 예로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전도성 표면(1)은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에 의해 완전히 둘려 쌓여 있으며, 후자와 상기 표면은 서로 연결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까지 상기 표면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임피던스 망은 전도성 표면(1)의 코너 점(7)중 하나에 바로 근접하여 바람직하게 부착되는데, 이들은 한측에서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상의 임피던스 연결 점(8)에 연결되며 또한 다른 한측에서는 차량 접지 점(2)에 연결된다. 도시한바와 같은 형태의 전도성 표면(1)에 따라, 특정한 다수의 안테나 신호(21)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부착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효율로서 다음에 설명된다.
특히 유리한 점은 히팅 영역(20)에 본 발명의 적용인데, 상기 히팅 영역은 도1a에서 예로 나타낸바와 같이 자동차 차량의 바람막이 유리 또는 후면 윈도우 유리 패인에 부착된다. 히팅 영역의 버스-바(14)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와 같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자동차 차량의 보통의 크기에 따라, 수직 방향의 버스-바(14) 길이는 30cm와 80cm사이가 된다. VHF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영역에서 이것은 상대 파장 1/10 내지 1/4과 일치한다. 따라서, 버스-바(14)는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도1의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가 전도성 표면(1)의 보다 낮은 에지상에서 윈도우 패인(39)의 횡단크기의 수평중심까지 연장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도14에 나타낸바와 같이 이곳에 설치된다는 점에 있다. 이 경우에, 히팅 영역의 수평 중심에 연결된 연결 망(4)과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간의 간격이 VHF-영역에서 파장의 1/4 내지 1/2 양이 된다.
특히 적외선 투과를 방지하는 전도성 코팅물(13)로 이루어진 정면 윈도우 패인(또는 바람막이 유리)에 대해, 상기 바람막이 창은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전도성 표면(1)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코팅물은 도3a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유리 패인의 표면에 적용되거나 또는 도3b에 나타낸바와 같이 중간 층으로 적층된 유리에메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층 그 자체는 웰-전도 층의 한계 영역에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로서 작용한다. 도4에서 전도성 코팅물의 전도성은 요청된 투명성에 의해 제한되며, 표면 저항은 3 Ω내지 10Ω의 양이 된다. 그러한 전도성 표면(1)에 대해,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전도성 표면(1)에 고 주파수 저-저항 접촉에 의해 스트립-형 전극(43)의 형태로 실현된다. 결합은 전도성 코팅물(13)과 접촉을 통해 갈바닉하게 또는 전도성 코팅물(13)에 용량적으로 연결되는 스트립-형 전극(43)의 형태로서 성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표면(1)은 2개의 버스-바(14)사이에 있는 히팅 컨덕터 성분(15)과 함께 히팅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히팅 영역의 좌측 저 단부에 연결되며, 유사하게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전도성 표면(1)의 상부 우측 단부에 연결된다. 히팅 컨덕터 성분(15)의 유도성 효과와 유도적으로 고-저항 에지 컨덕터(12b)때문에,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이런 시스템의 와이어를 통해 다이버시티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안테나 신호(21)의 변화의 폭이 좁아진다.
따라서, 도6에서 나타낸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개선에 따르면,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컨덕터 표면(1)의 더 낮은 에지상에 연속되며 또한 고주파수에 의해 버스-바(14)에 연결되는바, 후자는 연결망(4)에 마주한다. 직류 단락 회로는 고주파수 저 저항의 직류 인터럽션(42)에 의해 방해된다. 이것은 연결망(4)으로 부터 탭된 수신 전압상의 우측면에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서로 다른 임피던스의 영향을 증가시키며, 또한 증가된 다이버시티의 효율을 초래한다.
히팅 영역에서의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유도적으로 고-저항 에지 컨덕터(12b)로 실현하기 위하여, 도7에서 나타낸 유리한 실시예에서 실현되는 바와 같이 수직 와이어형태의 컨덕터(16)가 2개 또는 그 상의 수평 히팅 컨덕터 성분(15)사이에서 고-주파수 연결용 히팅 dc(17)의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동일 히팅 전압을 각각 갖는 점들사이에 설치될 경우, 수직 와이어-형태의 컨덕터(16)는 보상 전류로 이끌리지 않으며, 또한 연결된 히팅 컨덕터 성분(15)의 히팅 효과를 변화시킬 수 없다. 고주파에 의해 연결된 히팅 컨덕터 성분(15)은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로 작동한다. 가열되어질 와이어-형태의 컨덕터 성분(15)은 갈바닉하게 또는 용량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7에서 히팅 전류는 HF-전류를 차단하는 공급 망(18)에 의해 버스-바(14)에 공급된다. 도8에서, 한편으로 히팅 전류공급 라인은 버스-바(14b)상에서 차량 접지(3)에 직접 갈바닉하게 연결된다.
분리된 히팅 영역은 자동차 공학의 분야에서 자주 요구된다. 고주파수이고 가능한한 큰 크기를 갖는 것에 의해 유효한 전도성 표면(1)을 실현하기 위해서, 도9및 도10에 의해 도시된 고-주파수를 전도하는 2개의 극(19)에 의해 상호(즉 상기 버스바는 개개의 경우에 다른 가운데 상부에 하나가 서로 인접위치되어 있음)히팅 영역(20)의 버스-바(14)를 연결할 수 있다. 도9는 분리된 히팅 영역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결합을 나타낸다. 2개의 극(19)을 전도하는 고주파수의 도움으로, 관통-연장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양측에서 전도성 표면(1)의 수직 프래밍에서 실현된다.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하부 단부에 설치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도움으로, 안테나 신호(21)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상부 단부에 설치된 연결 망(4)에 대해 특히 다이버시티에 의해 차이가 있는 개개의 경우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연결 망(4)에 유용한 안테나 신호(21)는 다양한 전환 스위치(54)를 통해 수신기(30)로 공급된 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다이버시티 효과는 전도성 표면(1)의 더 낮은 단부상의 좌측 및 우측 코너 부(7)에서 뿐만아니라 유효 임피던스(50)의 서로 다른 스위칭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내에서 다른 임피던스 와이어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도9에서 2개의 극(19)을 전도하는 고-주파수 대신에 도10에서 설치된다. 다이버시티의 효율은 버스-바(14)를 연결하는 2개의 히팅 영역(20)에서 다른 임피던스를 통해, 안테나 신호(21)에 대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의하여 이러한 방법으로 실제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제1의 HF-연결(9)및 제2의 HF-연결(10)간에 유효 임피던스 값(Z)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22)를 갖는다. 서로 다른 제어 신호(21)를 인가함에 의해, 서로 다른 임피던스(Z)가 유효해지며 또한 다이버시티에 의해 차이가 있는 안테나 신호(21)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결합 효과에 의해 연결 망(14)의 출력에 의해 발생한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기본 기능은 전기 스위칭 요소(24)와 임피던스(Z;25)에 의해 도11a에 나타내었다. 도11b는 불연속한 스위칭 상태와 리액턴스(25)를 각각 갖는 2개의 디지털적으로 조정가능한 전자 스위칭 요소(24)로서 예시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2개의 제어 게이트(22)의 도움으로, 도11b에 나타낸 하나의 임피던스 망(6)을 가진 3개의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적정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부가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이용되는 경우, 도5에서 처럼 우측 상부에서 예를들어 다이버시티에 의해 차이가 있는 단지 2개의 서로 다른 스위칭 조건(고-저항 및 저-저항Z)과, 4개의 안테나 신호(21)가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의 효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이버시티 효율은 도6에 나타낸바와 같이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가 제2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까지 연장되는 경우 상기 레벨을 훨씬 더지나 강화될 수 있다. 예컨데, 조정된 임피던스 값의 결합이 다음과 같은 제1 및 제2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대해 설정된다.
결합 번호 제1의 망 제2의 망
1 약 50 높은 저항
유도적으로
2 높은 저항 높은 저항
3 높은 저항 낮은 저항
4 낮은 저항 낮은 저항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된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도12a에서 예로 나타낸바와 같이 안테나 신호(21)에서, 또는 그로 부터 유도된 수신 신호(37)에서 수신 간섭을 검출하고 표시하는 다이버시티 처리기(31)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표시 신호(32)를 공급하고 또한 그의 출력에서 제어신호(23)를 형성하는 스위칭 디바이스(29)가 제어 라인(3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수신 간섭이 안테나 신호(21)에서 일어날 경우 다른(다이버시티에 의해서)안테나 신호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중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값을 전환(또는 역전)하여 연결 망(4)의 출력에 형성되어지는 그러한 방법으로 스위칭 디바이스(29)가 이러한 연결로서 실현된다. 다이버시티 처리기(31)와 결합하여, 안테나 신호(21)의 변화는 다이버시티 처리기(31)에 의해 간섭이 표시되지 않을 때 까지 계속된다.
안테나 연결 점(5)과 임피던스 연결 점(8)간의 강한 결합에 의해, 연결 망(4)을 공급하는 소스 임피던스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연결되는 경우 변화한다. 도12b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디지털적으로 스위칭가능한 어댑터 망(26)이 연결망(4)에 부가된다. 상기 어댑터 망(26)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서로 다른 스위칭 상태를 각각 갖는 임피던스 적응의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측정값은 다이버시티 처리기에 의해 선택된 안테나의 방향 효과에 무관하다. 상기 디지털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어댑터 망(26)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과 디지털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어댑터 망(26)에서 모두 서로 다른 스위칭 조건을 생성하는 스위칭 디바이스(29)의 도움으로 바람직하게 제어된다. 덧붙여서, 스위칭 디바이스(29)는 해당하는 제어 신호(23)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제어하는 제어라인(34)이나, 디지털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어댑터 망(26)을 조정하는 스위칭 신호(33)의 전송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다이버시티 처리기(29)에 의해 바람직하게 탭된다.
특히 낮은 비용을 요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효율을 제공하는 AM/FM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A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AM 안테나 컨덕터(35)가 전도성 표면(1)위해 결합되며, 또한 AM 안테나 컨덕터(35)에 단락 연결을 갖는 AM-증폭기(36)가 연결망(4)에서 존재한다는 점에서 도13에 따라 실현된다. AM 및 FM 증폭기는 하나의 연결 망(4)에 유리하게 결합해서 편의를 도모한다. 단지 하나의 연결 망(4)이 전도성 표면(1)의 좌측 더 낮은 단부에 존재하는 경우, 유효한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버시티의 관점에서)3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 신호(2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부가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이용함으로서,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에 인접 위치한 차량 접지 점(11)을 갖는 부가의 임피던스 연결 점(8)이 전도성 표면(1)의 세로 확장의 더 낮은 중심의 세번째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에 연결되는 것은 도14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부가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인데, 이것은 첫번째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으로 부터 적당히 분리된다.
도15에서, 차량 접지 점(11) 또는 차량 접지 연결 점(2)을 실현하는 목적을 위해 스트립-형 컨덕터(38)가 상기 연결점의 영역내에서 적어도 윈도우 패인(39)의 에지를 따라 부착된다. 상기 컨덕터의 길이와 폭은 상기 컨덕터가 차량 본체의 전도성 윈도우 에지와 함께 충분히 큰 용량을 형성하도록 적당히 크게 선택되며, 그 결과 차량 접지(3)에 적당히 낮은 저항의 용량성 연결이 얻어진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6)은 임피던스 연결 점(8)을 통해 상기 컨덕터에 연결되며,또한 안테나 연결 점(5)을 통해 연결 점(4)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더 얇은 컨덕터(34 및 44)는 도15에서 윈도우 패인(39)에 넣어진다. 상기 컨덕터는 제어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할 경우 전류 공급 라인(44)으로 작용할 수 있는바. 상기 라인들은 좀더 후술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15에서 제어라인(34)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16)에서 임피던스 상태를 제어하는 데 요구되는 신호에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라인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라인은 유리에 인쇄된 컨덕터 또는 다중 컨덕터의 형태로서 실현된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16)에서의 스위칭 기능은 전자스위칭 요소(24)에 의해 바람직하게 영향을 미치는데, 상기 스위칭 요소는 2 스위칭 상태를 갖는 전자 스위칭 요소의 형태로서 실현된다. 스위칭 디바이스(29)는 연결망(4)에 바람직하게 포함되며 또한 제어신호(23)가 스위칭 다이오드(예; 도11b에서)를 개방 및 폐쇄하는데 바로 적합하다고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도16에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목적하는 제어를 위해서, 코드 발생기(41)가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에 기초한 디지털 어드레스 신호의 형태로서 제어신호(23)를 발생하기 위해 존재한다.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모두에 조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전도성 표면(1)을 통해 임피던스 망에 공동으로 공급된다. 개개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서 디코딩 회로(40)의 도움으로, 전자 스위칭 요소(24)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신호는 상기 회로에 의해 발생되며 또한 전자 스위칭 요소(24)에 공급된다.
상술한바와 같이, 제어라인(34)에 부가하여 전류 공급 라인(44)은 인쇄도니 컨덕터의 형태로서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전자스위칭 요소(24)에서 2 상태를 만들기 위해, 공급 dc 전압은 통과 또는 차단 상태를 조정하는데 필요하다. 차유리에 서로 인접하여 인쇄되는 인쇄 컨덕터에 인가된 직류 전압은 이동의 위험을 받는다. 그러한 dc 전압은 흐릿하게 덮히거나 또는 깨끗하지 못한 윈도우 패인에서의 전해질 처리때문에 인쇄된 컨덕터의 에지를 변화시키며, 그 결과 전도성 연결이 작은 간격을 갖는 본래의 분리된 컨덕터들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서 스위칭 상태를 만드는 에너지가 전류 공급 라인(44)상의 ac 공급 전압의 도움으로 도17에서 같이 공급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인버터(45)는 연결망(4)에서 상기 목적을 바람직하게 하기 위해 포함되며, 상기 인버터는 전압 공급 원에 연결되며 또한 그의 출력에서 ac 공급 전압(47)을 공급한다. 정류기(46)는 전자 스위칭 요소(24)의 스위칭 상태를 만드는 요청된 dc 공급 전압(48)을 얻기 위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존재한다. 덧붙여서, 안테나 시스템에서 간섭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히 순수한 sc 공급 전압(47)을 유지하는것이 필요하다.
도18에서, 제어라인(34) 및 전류 공급 라인(44)으로 이용된 컨덕터의 수는 ac 공급 전압(47)과 제어 신호(23)모두가 그러한 컨덕터를 통해 연결망(4)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으로 전달된다고 하는 점에서 두배의 이용에 의해 감소된다. 필터(49)는 신호를 분리하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망(6)에 이용된다.
도19는 임피던스 연결 점(8)과 인접한 차량 접지 점(11)을 통해 전도성 표면(1)에 연결된 전기적을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대한 기본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제어 신호(23)는 제어라인(34)을 통해 상기 임피던스 망에 전달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ac 공급 전압(47)의 형태로서 전류 공급 라인(44)을 통해 전류로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임피던스의 효과는 고 주파수 라인(51)을 통해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피던스 회로의 도움으로 에지 컨덕터(12)상에 한정된 위치에서 실현된다. 이것은 도20에서 예를들어 컨덕터 표면(1)의 좌측의 더 낮은 코너 위치(7)에서 존재하는 임피던스(Z)로 나타내었는바, 상기 임피던스는 더 낮은 윈도우 에지와 평행 연장된 고-주파수 라인(51)을 통해 유효 임피던스(5)를 갖는 연결 점(8)에 로드되며, 상기 연결 점(8)은 그의 우측에 위치된다. 임피던스(Z)는 덧붙여서 다이버시티에 의해 서로 차이가 있는 원하는 안테나 신호(21)를 연결 망(4)에서 조정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원격 효과의 실현 가능성은, 윈도우 패인(39)의 수평 중심에서의 임피던스 연결 점(8), 및 컨덕터 표면(1)의 좌측 더 낮은 코너(7)에서의 임피던스 연결 점(8')에 적용된 다른 임피던스 로드를 모두 달성하는 것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형태로서 도21에서 처럼 단지 하나의 신호 구조 유닛의 도움으로 가능하다고 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게 이용된다. 연결 망(4)이 버스-바(14)의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버스-바(14)의 더 낮은 단부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 로드는 수신된 파의 수평 편극과 관련하여 특히 좋은 다이버시티의 효율로 된다. 전도성 표면(1)의 중심 영역에서 수직 컨덕터(53)는 수직 편극에 대해 특히 유리함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변화하는 유효 임피던스(50)의 적용은 수직 편극 성분에 대해 다이버시티의 효율 증가를 낳게 한다.
동축 케이블의 형태로서 도20에서 실현되는 고-주파수 라인(51)은 비 대칭적인 동 평면 라인의 형태로서 전도성 윈도우 에지(차량접지(3))와 평행한 인쇄 컨덕터(52)에 의해 유리하게 실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고주파 라인(51), 제어라인(34) 및 전류 공급 라인(44)은 인쇄된 라인(도21 참조)의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다. 더 낮은 중심에서 안테나 연결 점(5)과 임피던스 연결 점(8)사이에 연결된 전기적인 결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도성 표면(11)의 좌측의 더 낮은 코너로부터 시작하여 차량 윈도우 유리 패인의 수직 중심까지 연장되고 또한 수직 컨덕터(53)에 갈바닉하게 연결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가 설치된다. 원하는 dc 인터럽션(42)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위치된 용량의 도움으로 바람직하게 실현된다. 상기 측정의 도움으로 인쇄된 컨덕터, 연결 망(4) 및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수용되는 하나의 단일 구조 유닛(6)을 갖는 유리패인으로 단독적으로 이루어진 매우 유효한 안테나 다이버시티 시스템을 제조할수 있다, 연결 망(4)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갖는 상기 구조 유닛의 간단한 설계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다이버시티에 의해 서로 차이가 있는 안테나 신호(21)의 크기에 대해 매우 높은 효율과 저 비용을 실현할 수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차량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으로 개선된 다이버시티 안테나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단지 하나의 안테나 연결을 갖는 별개의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평균 수신 양이 양호하게 되며 또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여러 안테나 신호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수신 간섭이 분리된 안테나에 의한 것 처럼 유사하게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벗어남이 없이 변경과 수정이 행해질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30)

  1.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에지와 여기에 부착된 전기 컨덕터를 갖는 표면을 구비한, 이를테면, 후면 윈도우 패인과 같은 차량의 전기적 전도성 매스로 둘러쌓인 윈도우 패인의 영역범위내에서 예컨대, 자동차 차량과 같은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있어서,
    전도성 표면(1)이 고 주파수에 관하여 형성되며, 상기 표면은 그의 에지 컨덕터(12)에 대해 밀착되며; 상기 에지 컨덕터(12)는 차량 매스(3)에 대해 고주파수에 관하여 절연되며; 상기 전도성 표면(1) 측면의 개개의 에지 컨덕터(12)는 약 λ /10의 최소길이를 가지며 또한 약 λ/10 연속적인 최소길이를 갖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벗어난 형태로서 상기 에지 컨덕터(12)의 영역내에서 최소한으로 실현되며; 상기 전도성 표면(1)으로 부터 형성된 안테나를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약 λ/10의 최소 길이를 갖는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중 한 컨덕터에서 차량 접지 연결 점(2)과 안테나 연결 점(5)을 갖는 한쌍의 단자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단자는 연결 망(4)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존재하며 또한 임피던스 연결 점(8)이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은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에 연결되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제1 HF 연결부(9)를 가지며 또한 고주파수에 관하여 인접한 차량 접지 점(11)에 연결되는 제2 HF 연결부(10)를 갖는 안테나 연결 점(5)과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 연결 점(5)과 상기 안테나 연결점에 가장 밀접하게 위치된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8)간의 간격이 적어도 λ/10 이며, 그 결과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임피던스 값의 가변 조정의 도움으로, 다이버시티에 관해서 서로 다른 안테나 신호(21)가 연결 망(도1a, 도1b)의 출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표면은 서로 연결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며; 4개의 임피던스 망(6)까지 존재하며: 또한 임피던스 연결 점(8)은 개개의 코너 점(7)부근에 있는 결합 컨덕터(12a)에 직접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제1의 연결부(9)는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에 연결되고, 상기 임피던스 망의 제2의 연결부(10)는 인접한 차량 접지 연결 점(2;도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VHF 수신용이며,
    전도성 표면(1)의 가장 긴 에지 컨덕터(12)의 크기가 1/4 내지 1/2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VHF 수신용이며,
    상기 전도성 표면(1)의 가장 짧은 에지 컨덕터(12)의 크기가 1/10 내지 1/4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표면(1)은 투명한 전도성 코팅물의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전도층의 형태로서 유리 합성물 내에 매몰되며,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전도성 코팅물(13)의 높은 전도율을 통해 사용가능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팅물(13)은 요구되는 투명도로 인해 3 내지 10 오옴의 표면 저항을 갖는 제한된 전도도를 갖도록 실현되며; 또한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도성 표면(1)에 고 주파수 저-저항 접촉을 갖는 스트립-형 전극(43)이 상기 전도성 표면(1)의 에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표면(1)은 승용차의 윈도우 유리 패인에 배치된 히팅 영역(2)으로 부터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유리 패인은 히팅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면 상에 배치된 버스-바(14)를 가지며, 또한 가열되는 컨덕터 성분(15)은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되며, 그 결과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는 상기 버스-바(14;도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가열되는 상기 컨덕터 성분(15)은 유리 합성물에 매몰된 와이어 형태로서 또는 유리에 인쇄된 컨덕터의 형태로서 실현되며; 유도적으로 고도의 저항성 에지 컨덕터(12b)는 가열되는 컨덕터 성분(15)을 통해 유효하며, 상기 컨덕터 성분은 전도성 표면(1;도5)의 에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두개의 버스-바(14)들 사이에서 고-주파수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를 실현하기 위해, 직렬로 용량성 직류-전류 분리(4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0. 제8항에 있어서, 히팅 dc(17)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와이어 형태로서 가열되어지는 컨덕터 성분(15)으로 부터 고-주파수 저-저항 결합 성분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컨덕터가 가열(도7)되는 적어도 2개의 와이어-형 컨덕터 성분(15)에 갈바닉하게 또는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수개의 와이어-형 컨덕터(16)가 상기 히팅 dc의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1. 제7항에 있어서, HF-전류를 차단하는 공급 망(18)이 상기 버스-바(14; 도17)상의 히팅-전류 공급 라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2. 제7항에 있어서, HF-전류를 차단하는 공급 망(18)이 제1 버스-바(14a)의 히팅 전류 공급 라인에 존재하며 또한 제2 히팅 전류 공급 라인이 버스-바(14a)상에서 차량 접지(3)에 갈바닉하게 연결되며;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코너 점(7)들중 적어도 한 점에 가까운 제1 버스-바(14a)에 존재하며; 또한 상기 연결 망(4)을 연결하는 안테나 연결 점(5)이 2개의 더 긴 에지 컨덕터(12; 도8) 중 하나의 컨덕터의 세로 방향으로 3번째 중심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승용차의 후면 윈도우 패인 내에 설치되며,
    히팅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이유로 히팅 dc(17)의 흐름의 수평 방향을 가진 히팅 영역들(20)이 존재하며, 상기 히팅 영역들은 서로 상하로 배치되며 또한 서로 갈바닉하게 분리되며; 또한 고주파수에 관하여 유효하며 또한 가장 큰 표면 영역을 갖는 전도 표면(1)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서로 상하로 배치된 히팅 영역들(20)의 인접한 버스-바들(14)이 고-주파수를 전도하는 2-극(19;도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4. 제13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은 적어도 하나의 고-주파수를 전도하는 2-극(19;도10)대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HF-연결부(9)와 제2 HF-연결부(10)간의 유효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22)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존재하며, 그 결과 서로 다른 제어 신호(23)를 인가함에 의해 다이버시티에 관하여 서로 다른 안테나 신호(21)가 상기 연결 망(4; 도5 및 도11a,b)의 출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6.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리액턴스(25)와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에, 불연속 스위칭 상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적으로 조정가능한 전자 스위칭 요소(24)가, 불연속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 내에 존재하며; 또한 상기 불연속 임피던스 값의 조정은 상기 제어 게이트(22; 도11a,b)에 대해 수개의 디지털 제어 신호가 필요할 경우 하나를 적용하여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디스플레이 신호(32)의 도움으로 안테나 신호(21) 또는 이로 부터 유도된 수신신호(37)내에서 수신 간섭을 검출하고 지시하는 다이버시티 처리기(31)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 시스템과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32)가 전달되며 또한 그의 출력에서 상기 제어 신호(23)가 상기 제어 라인(34)을 통해 상기 임피던스 망(6)에 형성 및 전달되는 스위칭 디바이스(29)가 존재하며;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29)는 상기 안테나 신호(21)에서 수신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이버시티에 관하여 상이한 안테나 신호(21)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중 적어도 하나의 망의 임피던스 값에 의해 상기 연결 망(4)의 입력에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실현되며; 또한 상기 안테나 신호(21)의 변화가, 다이버시티 처리기(31;도12a)에 의해 간섭이 지시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8. 제17항에 있어서, 손실-없이 디지털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적응 망(26)이, 안테나 연결 점(5)에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서로 다른 스위칭 상태 하에 존재하는 임피던스를, 수신기(30)로 이어지는 안테나 라인(27)에 또는 필요할 경우 상기 연결 망(4)에 존재하는 상기 안테나 증폭기(28)에 적응시키도록 상기 연결 망(4) 내에 존재하며;
    디지털적으로 스위칭가능한 적응 망(26)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33)가 스위칭 디바이스(29)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어라인(34; 도12b)을 통해 상기 적응 망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망(4)을 연결하는 상기 안테나 연결 점(5)이 2개의 버스-바(14)중 하나의 상부 단부에 형성되며; 제1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연결하는 제1의 임피던스 연결 점(8)이 상기 버스-바의 저 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제2의 임피던스 연결 점(8)이 제2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연결하는 다른 버스-바의 상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3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값을 디지털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설계되며 또한 상기 제2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이 2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값(도5; 11a, b)을 디지털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0. 제19항에 있어서, 다이버시티에 관하여 4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 신호(21)전체가 임피던스 망(6)을 디지털적으로 조정함으로서 형성되며, 조정된 임피던스 값의 결합이 다음과 같이(도5, 11a,b), 즉
    결합 번호 제1 망 제2 망
    1 약 50오옴 유도성 높은 저항
    2 높은 저항 높은 저항
    3 높은 저항 낮은 저항
    4 낮은 저항 낮은 저항
    으로 제1 및 제2의 임피던스 망(6)에 대해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1.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표면(1)의 상부에서 AM/FM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실현하기 위해, AM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AM 안테나 컨덕터가 존재하며; 상기 AM 안테나 컨덕터(35)에 단락 연결로 AM 증폭기(36)가 상기 연결 망(4; 도13)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표면(1)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3번째 중심에서, 상기 임피던스 연결 점에 인접 위치된 차량 접지 점(11)을 갖는 부가의 임피던스 연결 점(8)이 그에 연결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갖는 2개의 더 긴 에지 컨덕터(12)중 적어도 한 컨덕터에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것(도14)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유리 패인의 에지를 따라 차량 접지점(11)과 차량 접지 연결 점(2)을 실현하기 위해, 적당한 길이와 폭의 스트립형 컨덕터(38)가 상기 연결 점의 영역 내에 적어도 부착되며,
    차량 본체의 윈도우 에지 및 상기 컨덕터가 공동으로 적합하게 큰 용량을 형성함으로써, 그 결과 차량의 매스(3)로의 용량성 연결이 실현(도15)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4.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상기 제어 신호(23)를 전달하는 제어 라인(34)이 상기 유리(도15)에 인쇄된 컨덕터 또는 다중 컨덕터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스위칭 요소(24)가 2개의 스위칭 단을 갖는 스위칭 다이오드의 형태로 실현되며; 또한 상기 스위칭 디바이스(29)는 연결 망(4)에 포함되며 또한 상기 제어 신호(23)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도11b)를 직접 개방 및 폐쇄시키는데 적합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6.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디지털 어드레스 신호의 형태로서 상기 제어 신호(23)를 발생하는 코드 발생기(41)가 존재하며;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을 모두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전도성 표면(1)을 통해 상기 신호에 공동으로 공급되며; 또한 상기 전자 스위칭 요소(24)를 조정하는데 요구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딩 회로(40)가 상기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 도16)의 각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7. 제1항에 있어서, 전류 공급 라인(44)이 윈도우 패인(39)에 인쇄되며 상기 전자 스위칭 요소(24)의 상태를 차단하고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전류 공급이 전류 공급 라인(44, 도18)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8. 제27항에 있어서, 이동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류 공급 라인(44)은 그러한 효과의 전개에 대해 무시할 수 있는 평균 시간 값을 갖는 ac 공급 전압(47)을 전도하며; 상기 ac 공급 전압(47)이 인버터(45)에 의해 발생되며; 또한 상기 전자 스위칭 요소(24)의 차단 및 통과 상태에 필요한 dc 공급 전압(48)을 발생하기 위해 정류기(46)가 제어 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존재하며 또한 상기 인버터(45)가 상기 연결 망(4, 도19)에 바람직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29. 제1항에 있어서, 유효 임피던스(50)를 갖는 임피던스 연결 점(8)과 차량 접지 점(11)사이에 임피던스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유효 임피던스는 고-주파수 라인(51)의 도움으로 발생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의 임피던스(Z)가 상기 HF-라인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고주파 라인(51)은 상기 윈도우 패인(39, 도20)의 단부를 따라 바람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라인(51)은 상기 윈도우 패인(39)상에 인쇄된 컨덕터(52)의 형태로 실현되며, 상기 컨덕터는 상기 차량 접지(3)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버스-바(14)와 상기 저-저항 결합 컨덕터(12a)사이에서 요구하는 dc 인터럽션(42)이 상기 임피던스(Z)를 실현하는 성분과 함께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망(6)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KR1020000046588A 1999-08-11 2000-08-11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안테나 KR100360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8020.1 1999-08-11
DE19938020 1999-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82A KR20010030082A (ko) 2001-04-16
KR100360072B1 true KR100360072B1 (ko) 2002-11-07

Family

ID=791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88A KR100360072B1 (ko) 1999-08-11 2000-08-11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안테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00334B1 (ko)
EP (1) EP1076375B1 (ko)
JP (1) JP3803536B2 (ko)
KR (1) KR100360072B1 (ko)
CN (1) CN1160830C (ko)
AT (1) ATE255281T1 (ko)
DE (2) DE10033336A1 (ko)
ES (1) ES220972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6439C1 (de) 2001-09-20 2002-11-28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Fahrzeugantennenscheibe
DE10211341A1 (de) * 2002-03-14 2003-10-02 Kathrein Werke Kg Diversity-Antennensystem für bewegte Fahrzeuge
DE10245813A1 (de) * 2002-10-01 2004-04-15 Lindenmeier, Heinz, Prof. Dr.-Ing. Aktive Breitbandempfangsantenne mit Empfangspegelregelung
JP2004193680A (ja) * 2002-12-06 2004-07-08 Fujitsu Ten Ltd 車載用アンテナおよび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
DE10325476B3 (de) * 2003-06-05 2004-12-23 Saint-Gobain Glass Deutschland Gmbh Plattenelement mit einer Schichtheizung
DE10360209A1 (de) * 2003-12-20 2005-07-28 Robert Bosch Gmbh Diagnose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Steckverbindung
KR20070024474A (ko) * 2004-02-23 2007-03-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기, 및 무선 인터페이스의 배치방법
US7546146B2 (en) * 2005-02-01 2009-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versity antenna system
DE102005033088A1 (de) * 2005-07-15 2007-01-25 Robert Bosch Gmbh Antennenanordnung
DE102006039357B4 (de) * 2005-09-12 2018-06-28 Heinz Lindenmeier Antennendiversityanlage zum Funkempfang für Fahrzeuge
CN101093908B (zh) * 2006-06-23 2012-09-05 一汽海马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玻璃天线
KR100794000B1 (ko) 2006-08-01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래스 안테나의 최적화 패턴 설계 방법
DE102007011636A1 (de) 2007-03-09 2008-09-11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Antenne für den Rundfunk-Empfang mit Diversity-Funktion in einem Fahrzeug
US7989250B2 (en) * 2007-04-06 2011-08-02 Rosemount Aerospace Inc. Membrane grating for beam steer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DE102007017478A1 (de) * 2007-04-13 2008-10-16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Empfangsanlage mit einer Schaltungsanordnung zur Unterdrückung von Umschaltstörungen bei Antennendiversity
DE102008031068A1 (de) * 2007-07-10 2009-01-15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Antennendiversityanlage für den relativ breitbandigen Funkempfang in Fahrzeugen
DE102007039914A1 (de) * 2007-08-01 2009-02-05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Antennendiversityanlage mit zwei Antennen für den Funkempfang in Fahrzeugen
DE102008003532A1 (de) * 2007-09-06 2009-03-12 Lindenmeier, Heinz, Prof. Dr. Ing. Antenne für den Satellitenempfang
DE102007056911A1 (de) 2007-11-26 2009-05-28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nantenne zur Beeinflussung der Richtwirkung
DE102007057714A1 (de) 2007-11-30 2009-06-04 Robert Bosch Gmbh Antennenanordnung sowie Verfahren
DE102008017052B4 (de) * 2008-04-03 2010-07-08 Kathrein-Werke Kg Antennenfeld für eine Kraftfahrzeug-Scheibe
GB0819638D0 (en) 2008-10-27 2008-12-03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Heated vehicle window
EP2209221B8 (de) * 2009-01-19 2019-01-16 Fuba Automotive Electronics GmbH Empfangsanlage zur Summation gephaster Antennensignale
DE102009011542A1 (de) * 2009-03-03 2010-09-09 Heinz Prof. Dr.-Ing. Lindenmeier Antenne für den Empfang zirkular in einer Drehrichtung der Polarisation ausgestrahlter Satellitenfunksignale
DE102009023514A1 (de) * 2009-05-30 2010-12-02 Heinz Prof. Dr.-Ing. Lindenmeier Antenne für zirkulare Polarisation mit einer leitenden Grundfläche
KR20110051666A (ko) * 2009-11-11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글라스 안테나
EP2649670B1 (en) 2010-12-09 2020-08-19 AGC Automotive Americas R & D, Inc. Window assembly having a transparent layer and an outer region for an antenna element
JP2012144217A (ja) * 2011-01-14 2012-08-02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窓ガラス
DE102011012963B3 (de) 2011-03-04 2012-05-10 Audi Ag Antennen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JP5659886B2 (ja) * 2011-03-10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装置
CN103930268B (zh) 2011-10-28 2016-08-31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红外反射性的玻璃制品及其制造方法
EP2690793B1 (en) * 2012-07-27 2015-07-0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ultiple-antenna system
US9234381B2 (en) 2013-01-07 2016-01-12 WexEnergy LLC Supplemental window for fenestration
US10883303B2 (en) 2013-01-07 2021-01-05 WexEnergy LLC Frameless supplemental window for fenestration
US9663983B2 (en) 2013-01-07 2017-05-30 WexEnergy LLC Frameless supplemental window for fenestration incorporating infiltration blockers
US9845636B2 (en) 2013-01-07 2017-12-19 WexEnergy LLC Frameless supplemental window for fenestration
US10196850B2 (en) 2013-01-07 2019-02-05 WexEnergy LLC Frameless supplemental window for fenestration
US9691163B2 (en) 2013-01-07 2017-06-27 Wexenergy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distances related to an object utilizing ancillary objects
JP6372467B2 (ja) * 2014-10-15 2018-08-15 株式会社環境システムヤマノ 融雪装置
CN107531562B (zh) 2015-04-30 2021-05-28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离散的金属银层的导电制品及其制造方法
AT517932B1 (de) * 2015-10-16 2018-03-15 Siemens Ag Oesterreich Leitfähig beschichtete Fensterscheibe, insbesondere für Schienenfahrzeuge
CN108463921B (zh) * 2015-11-27 2021-01-12 旭硝子欧洲玻璃公司 双二维多频带天线以及其上印刷有天线的嵌装玻璃面板
EP3174158A1 (en) * 2015-11-27 2017-05-31 AGC Glass Europe High-frequency and wideband antenna comprising connection controlling means
US10707553B2 (en) * 2016-05-06 2020-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PW-fed modified sleeve monopole for GPS, GLONASS, and SDARS bands
US10389966B2 (en) * 2016-09-02 2019-08-20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US10914777B2 (en) 2017-03-24 2021-02-09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US10895592B2 (en) 2017-03-24 2021-01-19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US11060992B2 (en) 2017-03-24 2021-07-13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IL271006B1 (en) 2017-05-30 2024-05-01 WexEnergy LLC Complementary window without a frame for window design
CN109986936A (zh) * 2017-12-29 2019-07-09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及其风挡玻璃
DE102019101826A1 (de) * 2018-02-09 2019-08-14 AGC Inc. Glasscheibe für ein Fahrzeug und Antenne
US11061080B2 (en) 2018-12-14 2021-07-13 Rosemount Aerospace Inc. Real time operational leakage current measurement for probe heater PHM and prediction of remaining useful life
US10962580B2 (en) 2018-12-14 2021-03-30 Rosemount Aerospace Inc. Electric arc detection for probe heater PHM and prediction of remaining useful life
US11639954B2 (en) 2019-05-29 2023-05-02 Rosemount Aerospace Inc. Differential leakage current measurement for heater health monitoring
US11472562B2 (en) 2019-06-14 2022-10-18 Rosemount Aerospace Inc. Health monitoring of an electrical heater of an air data probe
US11930563B2 (en) 2019-09-16 2024-03-12 Rosemount Aerospace Inc. Monitoring and extending heater life through power supply polarity switching
US11293995B2 (en) 2020-03-23 2022-04-05 Rosemount Aerospace Inc. Differential leakage current measurement for heater health monitoring
US11630140B2 (en) 2020-04-22 2023-04-18 Rosemount Aerospace Inc. Prognostic health monitoring for hea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2002C3 (de) * 1975-11-20 1979-07-19 Gerhard Prof. Dr.-Ing. 8012 Ottobrunn Flachenecker Funkentstörte Empfangsantenne in der Nähe der Heizleiter auf d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DE3618452C2 (de) * 1986-06-02 1997-04-10 Lindenmeier Heinz Diversity-Antennenanordnung für den Empfang frequenzmodulierter Signale in der Heckscheib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darin befindlichen Heizfeld
DE3619704A1 (de) 1986-06-12 1987-12-17 Lindenmeier Heinz Antennenanordnung fuer diversityempfang in d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3719692A1 (de) 1987-06-12 1988-12-22 Flachenecker Gerhard Mehrantennenanordnung fuer antennendiversity in einer fensterscheibe
KR890001219A (ko) * 1987-06-27 1989-03-18 노브오 사수가 자동차용 수신장치
JPH0262131A (ja) * 1988-08-29 1990-03-02 Nissan Motor Co Ltd ダイバーシティ用アンテナ
DE3914424A1 (de) 1989-05-01 1990-12-13 Lindenmeier Heinz Antenne mit vertikaler struktur zur ausbildung einer ausgedehnten flaechenhaften kapazitaet
US5801663A (en) 1989-05-01 1998-09-01 Fuba Automotive Gmbh Pane antenna having at least one wire-like antenna conductor combined with a set of heating wires
JPH08107306A (ja) * 1994-10-05 1996-04-23 Mazda Motor Corp ダイバシティアンテナ
US5610618A (en) * 1994-12-20 1997-03-11 Ford Motor Company Motor vehicle antenna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03536B2 (ja) 2006-08-02
KR20010030082A (ko) 2001-04-16
DE50004542D1 (de) 2004-01-08
DE10033336A1 (de) 2001-04-12
ATE255281T1 (de) 2003-12-15
CN1160830C (zh) 2004-08-04
ES2209726T3 (es) 2004-07-01
CN1289156A (zh) 2001-03-28
JP2001111323A (ja) 2001-04-20
EP1076375A2 (de) 2001-02-14
EP1076375B1 (de) 2003-11-26
EP1076375A3 (de) 2002-11-06
US6400334B1 (en)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072B1 (ko) 자동차 차량내의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용 다이버시티안테나
JPH0147922B2 (ko)
JP6980935B2 (ja) 加熱機能及びアンテナ機能を有する窓アセンブリ
KR100349260B1 (ko) 안테나
US20090015492A1 (en) Multiband antenna system
EP1030538A2 (en) Window glass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s
AU2006271813A1 (en) Antenna array
EP0471449B1 (en) Window glass antenna for a motor vehicle
JPH0437601B2 (ko)
GB2309829A (en) Vehicle on-screen antenna
JPH0220004B2 (ko)
JPH0132410Y2 (ko)
JPH0134411Y2 (ko)
JPH0141216Y2 (ko)
JPH11340721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2000101323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2003152415A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システム
JPH0983230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2000013121A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3684844B2 (ja)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H1141020A (ja) 自動車用ダイバーシティ受信ガラスアンテナ
CN101897078A (zh) 尤其是用于机动车玻璃天线的用于影响方向性的装置和方法
JPH08321712A (ja) 自動車高周波用ガラスアンテナ及び自動車用ダイバーシティ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H0247609Y2 (ko)
JPH10242730A (ja) 自動車用のガラス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