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524B1 -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524B1
KR100359524B1 KR1019940025530A KR19940025530A KR100359524B1 KR 100359524 B1 KR100359524 B1 KR 100359524B1 KR 1019940025530 A KR1019940025530 A KR 1019940025530A KR 19940025530 A KR19940025530 A KR 19940025530A KR 100359524 B1 KR100359524 B1 KR 10035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receptacle
coaxial connector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테베유
산노헤슈이쯔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93)과,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07) 및 동축 케이블(99)의 외부도체(155)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11)를 가지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95)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추 커넥터 플러그의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연결부(11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부는 동축 케이블의 외피(153)를 돌파하여 이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압착편(123),9(127)을 가진다. 이들 압착편은 동축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동축 커넥터 플러그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159)에 가압용접하는 가압 용접부(145)를 가지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와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본 발명은, 각종 기기내에서의 회로기판과 동축 케이블과의 전기적인 접속에이용되는 동축 커넥터에 관련되며, 특히, 동축 커넥터 플러그와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은, 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대략 동심원 형상으로 내부 도체, 절연체, 외부 도체, 및 외피(外被)를 구비하고 있다.
동축 커넥터 플러그는, 외부 콘택트, 케이블 고정링, 내부콘택트 및 절연체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속된다. 케이블 고정 링은 겹쳐지는데, 그로 인해 외부 콘택트와 동축 케이블을 서로 고정시킨다. 내부 콘택트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납땜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절연체는, 내부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와의 절연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는, 외부 콘택트와 케이블 고정 링이 별개의 부품으로써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가 많아져, 생산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였다.
또,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는, 내부 콘택트가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므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할뿐 아니라, 납땜 작업주엥 열에 의해 내부 콘택트의 주변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탈위험성이 있었다.
더욱이, 각각을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내부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가 내측에 위치한 것부터 순서대로 길에 돌출되어 계단형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 단부의 가공처리가 번잡하였다.
다음은,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은,외부 콘택트와 절연체 및 중심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외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끼워져 접속된다. 절연체는, 외부 콘택트내에 수용된다. 중심 콘택트는 절연체 중심부에 압입관통되어 고정된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은 절연체에 중심 콘택트를 압입고정시키는데, 이 경우, 압입을 위한 설비나 추가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증대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목적은, 비교적 조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적게드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의 부품으로도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술한 바와 같이 내부 콘택트에 동축 케이블을 납땜하는 작업을 폐지하여, 열에 의한 주변부품의 손상을 방지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중심 콘택트의 압입을 피하여 염가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의하면,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외부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속하는 제 2 접촉부를 가지는 외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뚫고 나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압착편을 가진다. 이들 압착편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압접하는 압접편을 가지는 내부 콘택트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와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 및 이들을 유지시키는 리셉터클 절연체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본 특징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는 일단에 제 1 도체부를 가진다. 상기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는 일부가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에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의 일면측에 노출되는 도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는 상기 제 1 도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및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가지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특징에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뚫고 나와 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압착편을 가진다. 이들 압착편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 플러그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압접되는 접촉편을 가지는 내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종래의 커넥터에 대하여 제 1도 내지 제 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축 커넥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끼워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31)와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33)(제 9a도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제 1a도 및 제 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플러그(31)는, 동축 케이블(35)의 외부 도체(37)에 접속되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와, 이 플러그 외부 콘택트(39)를 동축 케이블(35)에 접합시키는 케이블 고정링(41)과,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45)와, 플러그 내부 콘택트(45)와 플러그 외부 콘택트(39)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a도, 제 2b도 및 제 2c도를 참조하면, 플러그 외부 콘택트(39)는, 대략 원통형상의 외각부(外殼剖)(49)와, 이 외각부(49)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콘택트 케이블 가이드(51)와 외각부(49)의 일부로부터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외각부(49)의 외주면을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33)과의 제 1 접촉부(55)를 구성하고, 케이블 가이드부(51)는 동축 케이블(35)의 외부 도체(37)와의 제 2 접촉부를 구성한다.
제 3a도 및 제 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링(41)은, 외부에 동축 케이블(35)을 삽입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a도, 제 4b도 및 제 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절연체(47)는, 상기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의 외각부(49)내에 수용가능한 원통형상 몸체(57)를 가진다. 이 몸체(57)에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45)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콘택트 삽입구(59)가 형성된다. 몸체(57)로 부터는 직각방향으로 절연체 케이블 가이드부(61)가 연장되어 있고, 몸체(57)의 상부 개구부를 막기 위해 덮개(63)가 구비되어 있디.
제 5a도, 제 5b도 및 제 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내부 콘택트(45)는, 내부 콘택트 삽입구(59)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플러그 내부 콘택트(45) 상부에는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제 1도 및 제 6도 참조)와 접촉하기 위한 내부 도체 접촉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에는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33)의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지름이 작은 내부 접촉부(67)가 형성된다. 또, 내부 도체 접촉부(65)는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설치된 홈 형상의 요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35)은 외피(69), 외부 도체(37), 절연체(71) 및 내부 도체(43)를 가지고 있다. 동축 케이블(35)의 말단 접속부는, 이들이 계단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처리되어 있다.
제 1a도 및 제 6b도를 다시 참조하여, 동축 커넥터 플러그(31)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의 외각부(49)에 플러그 절연체(47)가 수용된다. 그리고, 이 플러그 절연체(47)내에 플러그 내부 콘택트(45)가 수용된다. 동축 케이블(35)은, 내부 도체(43)가 플러그 내부 콘택트(45)상에 위치하고, 절연체(71)가 플러그 절연체(47)의 케이블 가이드부(61)상에 위치하고, 외부 도체(37)가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의 케이블 가이드부(51)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내부 도체(43)상에 덮개(63)가 덮여진다. 또, 외부 콘택트(39)의 덮개부(53)가 절곡되어 덮개(63)상에 설치되고, 케이블 고정링(41)이 축방형으로 이동접합되어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제 7a도, 제 7b도 및 제 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가 내부 콘택트(45)의 내부 도체 접촉부(65)상에 설치된 후, 납땜(73)에 의해 이들의 전기적 및 기계적인 접속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내부 덮개(63)가 덮여져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와의 전기적 절연이 행해진다. 그위에 외부 덮개부(53)가 덮여진다.
제 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링(41)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접촉부를 구성하는 케이블 가이드부(51)의 외측에 위치된 후, 제 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된다. 그 결과, 케이블 가이드부(51)와 외부 도체(3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33)에 대하여 제 9도 내지 제 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33)은,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39)가 전기적으로 끼워 접속되기 위한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75)와, 이 리셉터클의 외부 콘택트(75)내에 수용되는 리셉터클 절연체(77)와, 이 리셉터클 절연체(77)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 콘택트(79)를 구비하고 있다.
제 10a도, 제 10b도, 제 10c도 및 제 10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외부 콘택트(75)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31)의 외부 콘택트(39)와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제 1 접촉부(81)와, 제 3 접촉부(81)에 이어지는 원통형상의 절연체 유지부(83)와, 이 절연체 유지부(8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형상 단자 고정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접초굽(81)의 위쪽에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31)의 외각부(49)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87)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고정부(85)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될 때에, 바깥쪽에 직각으로 절곡된다.
제 11a도 및 제 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절연체(77)는 원기둥 형상의 중심부에 중심 콘택트 삽입구멍(89)이 형성된다.
제 12a도 및 제 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콘택트(79)는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동축 커넥터 플러그(31) 플러그 내부 콘택트(45)(제 5a도, 제 5b 및 제 5c도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 4 접촉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부 접촉부(79a)와, 기판측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 고정부(79b)와, 중심 콘택트(79) 자신을 리셉터클 절연체(77)(제 10도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79c)을 구비하고 있다.
다시 제 9도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75)의 절연체 유지부(83)에 리셉터클 절연체(77)가 수용된다. 이 절연체(77)의 중심 콘택트 삽입구벙(89)에 중심 콘택트(79)가 삽입된다. 중심 콘택트(79)의 고정핀(79c)은 중심 콘택트 삽입구멍(89)내에 위치하여, 중심 콘택트(79)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31)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와, 이 플러그 외부 콘택트(39) 동축 케이블(35)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링(41)이 별도의 부품으로서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생산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였다. 또,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는,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와 내부 콘택트(45)를 납땜에 의해 접속하였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하며, 열에 의해 주변부품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동축 케이블(35)의 내부 도체(43) 및 외부 도체(37)를 노출시키고, 각각을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내부 콘택트(45)와 플러그 외부 콘택트(39)에 접속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35) 단부의 가공처리가 번잡해진다.
또,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절연체(77)에 중심 콘택트(79)를 압입고정시키기 때문에, 압입을 위한 설비나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비용을 증대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제 13도 내지 제 3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3a도 내지 제 1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91)는 서로 전기적으로 끼워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이하에서는 '리셉터클'이라 한다)(93)과 동축 커넥터 플러그(이하에서는 '플러그'라 한다)(95)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리셉터클(93)은 기판(97)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95)에는 동축 케이블(99)이 접속되며, 이 플러그(95)는, 제 13a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셉터클(93)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5a도 내지 제 16c도를 참조하면, 플러그(95)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와, 이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내에 수용되는 플러그 절연체(103)와,이 플러그 절연체(103)내에 수용되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를 구비하고 있다. 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부호(107)는 외각부 부호(109)는 밴드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 17a도, 제 17b도 및 제 17c도를 참조하면,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는, 리셉터클(93)(제 13도 및 제 14도 참조, 이하 동일)에 끼워져 접속되는 외각부(107)와, 동축 케이블(99)(제 13도 내지 16도 참조, 이하 동일)에 압착 접속되는 간이압착부(111)와, 외각부(107)의 개구부를 막는 외측 덮개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외각부(107)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접촉부를 이룬다. 또, 외각부(167)가 리셉터클993)과 끼워지는 부분의 외주에는, 리셉터클(93)과의 전기적 접촉을 확실히 하기 위해, 복수(예를 들면, 3∼4곳)의 자리맞춤핀(115)이 형성되어 있다. 외각부(107)의 외주벽에는, 도구를 뽑아내기 위한 창(117)이 개구되어 있다. 또, 외각부(107)의 외주벽의 일단으로부터 동축 케이블(99)을 가이드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부(119)가 외각부(107)의 중심축을 따라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덮개부(113)는 외각부(107)와 간이압착부(111)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겸하고 있다. 이 외측부는, 외각부(107) 및 간이압착부(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13)와 간이압착부(111) 사이에는, 동축 케이블(99)을 유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밴드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간이압착부(111)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제 17c도로부터 잘 알수 있듯이, 간이 압착부(111)는, 베이스(121)로부터 U자 혹은 V자 형상으로 세워 설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제 1 압착편(123)과, 이 제 1 압착편(123) 보다 길게 세워 설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제 2 압착편(125)을 가진다. 각 압착편(123),(125)의 선단부는, 동축 케이블(99)의 외피를 돌파할 수 있도록 예리하게 형성된다. 제 2 압착편(125)에는 동축 케이블(99)를 중앙부에 안내하기 위해 가드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8a도, 제 18b도 및 제 18c도를 참조하면, 절연체(103)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의 외각부(107)에 수용가능한 대략 원통형상의 몸체(129)와, 이 몸체(129)에 힌지(131)를 통해 접속되는 절연덮개(133)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129)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 (제 15도 및 제 16도 참조, 이하 동일)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콘택트 수용부(135)와, 내부 콘택트(105)의 접점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137)과, 동축 케이블(99)(제 13도 내지 제 16도 참조, 이하 동일)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39) 및 내측 케이블 가이드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내측 케이블 가이드부(141)는 몸체(129)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또, 몸체(129)의 일단에는, 개구부(143)를 가지며, 이 개구부(143)를 절연덮개(133)가 막도록 되어 있다.
제 19a도, 제 19b도, 및 제 19c도를 참조하면,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압접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압접부(145)의 중앙부에, 동축 케이블(99)(제 13도 내지 제 16도 참조, 이하 동일)의 내부 도체와 접촉하기 위한 U자 형상홈(14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U자 형상홈(147a)의 양측에는, 확대 개구형상으로 넓어지는 한 쌍의 압접 칼날(14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접 칼날(147b)은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절연체를 뚫고 압접부(145)가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탄성부(149)를 가진다. 각 탄성부(149)의 하단부에 리셉터클(93)의 내부 콘택트와 접촉하기 위한 내부 콘택트 접점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제 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아, 동축 케이블(99)은, 외피(153), 외부 도체(155), 내부 절연체(157) 및 내부 도체(159)로 구성된다. 종래 예와 상이한 점은, 동축 케이블(99)의 일단부의 외피(153) 및 외부 도체(155)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내부 절연체(157) 및 내부 도체(159)와 대략 같은 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점이다.
다음은, 동축 커넥터 플러그(95)에 동축 케이블(99)을 접속하는 조작에 대하여, 제 21도 내지 제 2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콘택트(101)의 외각부(107)내에 절연체(103)가 수용되고, 이 절연체(103)의 내부 콘택트 수용부(135)(제 18도 참조)에 내부 콘택트(105)가 수납된다. 다음으로, 단부처리된 동축 케이블(99)이 플러그(95)상에 설치된다. 동축 케이블(99)은 내부 절연체(157) 및 내부 도체(159)가 절연체(103)의 가이드 홈(139)에 들어가도록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제 22a도, 제 22b도, 제 22c도 및 제 2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99)(제 20도 참조, 이하 동일)의 내부 절연체(157) 및 내부 도체(159)가 플러그(95)의 내부 콘택트(105)의 압접 칼날(147b)상에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압접 도구(161)가 조작된다. 이 조작에 의해,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절연체(157)가 내부 콘택트(105)의 압접 칼날(147)에 의해 절단된다. 이와 동시에,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도체(159)가 내부 콘택트(105)의 U가 형상홈(147a)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절연체(103)의 절연덮개(133)(제 21도 참조, 이하 동일)가 힌지(131)로부터 절곡되어, 개구부(143)(제 18도 참조, 이하 동일)가 폐쇄된다. 이와 동시에, 내부 콘택트(105)와 외부 콘택트(101)(제 15도 및 제 16도 참조)와의 절연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 23도 및 제 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콘택트(101)(제 15도 및 제 16도 참조)의 덮개부(113)가 외각부(107)와의 접속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다. 다음으로, 간이 압착부(111)가 동축 케이블(99)에 압착된다. 그리고, 밴드부(109)가 동축 케이블(90)(제 15c도 참조)의 외주에 감겨진다.
제 25a도, 제 25b도 제 25c도 및 제 25d도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27)에 의해 동축 케이블(99)이 간이 압착부(111)의 중심부로 안내되어 위치결정된 후, 압착도구(163)에 의해 압착이 행해진다. 한 쌍의 제 1 압착편(123)은, 외피(153)를 돌파하고 진행을 계속하여, 외부 도체(155)와 내부 절연체(157) 사이에 침투한다. 한편, 제 2 압착편(125)은 선단부가 압착도구(163)에 의해 크림프(crimp)된다. 이로 인해, 선단부가 외피(153)를 뚫고 나와 진행을 계속하여, 외피(153)와 외부 도체(155) 사이에 침투한다.
제 26도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압착편(123),(125)은, 각각 화살표(165),(167) 방향의 탄력성을 가진다. 이 탄력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99)의 외부 도체(155)를 끼워 넣고,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확보한다.
제 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99), 케이블 가이드부(141),(119)의 주위에 감겨져, 외측 덮개부(113)(제 21도 참조)가 동축 케이블(99)로부터 부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은, 제 28도, 제 29a도, 제 29b도, 제 30a도 및 제 30b도를 참조하여, 리셉터클(93)에 대해 설명한다. 제 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아, 리셉터클(93)은,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 리셉터클 절연체(171) 및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173)를 가진다. 제 29a도 및 제 2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는 플러그(95)(제 21도 참조)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가 전기적으로 끼워져 접속되는 원통형상의 제 3 접촉부(175)를 가지며, 이 제 3 접촉부(175)로 부터 아래쪽으로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다리형상 단자부(177)가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175)는 플러그(95)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를 삽입하기 위한 개공(179)을 가진다.
또, 제 30a도 및 제 3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93)의 리셉터클 절연체(171)는,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의 단자부(177)(제 29b도 참조)를 삽입하여 수용하는 수용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삽입공(181)을 가진다. 리셉터클 절연체(171)는 또한,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의 제 3 접촉부(175)를 수용하는 오목한 가이드부(183)를 가진다. 리셉터클 절연체(171)의 중앙부에는 프레스 성형된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173)가 매몰성형되어 있다.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173)는 플러그(95)(제 21도 참조)의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의 접점부(15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4 접촉부(185)와, 제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판(9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187)를 가지고 있다.
제 28도로 돌아와,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는, 단자부(177)가 리셉터클 절연체(171)의 삽입구멍(181)에 삽입된 후,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 절곡된 단자부(177)가 제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판(97)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상기의 실시예의 의하면, 플러그(95)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로서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의 외각부(107)와, 제 2 접촉부로서 동축 케이블(99)을 감싸도록 배치된 압착편을 가지는 간이압착부(111) 및 밴드부(109)가 연결부로서의 덮개부(11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케이블 고정링을 별도의 부품으로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품수 및 부품비용을 감소시킬 수가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블 고정링이 불필요하므로, 동축 케이블(99)을 접속한 후의 동축 커넥터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가 있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도체(159)를 플러그(95)의 플러그 내부콘택트(163)에 압접함과 동시에, 동축 케이블(99)의 외부 도체(155)에 플러그(95)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를 제 1 및 제 2 압착편(123),(125)을 구비한 간이압착부(111)에 의해 압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플러그(95)와 동축 케이블(99)과의 전기적 접속을 압착도구 및 압접 도구를 이용하여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이로써, 동축 케이블(99)과의 접속작업이 용이해져,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간이 압착부(111)의 압착 공정을 덮개부(113)을 닫음과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가공 공정이 단축됨과 동시에, 동축 케이블(99) 단부의 가공처리도 용이해진다. 또, 리셉터클은 절연체(171)에 내부 콘택트(173)가 매몰성형됨으로 하여, 종래와 같은 압입할 필요가 없고, 조립시간을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셉터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동축 커넥터 플러그(95)의 플러그 내부 콘택트(163)는 동축 케이블(99)의 내부 도체(159)에 압접하는 압접편을 가진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은 납땜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열에 의해 주변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아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제 1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1b도는 제 1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분해, 조립 및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2b도는 제 2a도에 도시한 플러그 외부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제 2c도는 제 2a도에 도시한 플러그 외부 콘택트의 우측면도이다.
제 3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되는 코오킹 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3b도는 제 3a도에 도시한 코오킹링의 우측면도이다.
제 4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절연체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제 4b도는 제 4a도에 도시한 플러그 절연체의 정단면도이다.
제 4c도는 제 4a도에 도시한 플러그 절연체의 우측면도이다.
제 5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되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5b도는 제 5a도에 도시한 플러그 내부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제 5c도는 제 5a도에 도시한 플러그 내부 콘택터의 저면도이다.
제 6도는 종래의 동축 케이벌의 일단부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7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내부 콘택트의 접속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7b도는 내부 도체를 내부 콘택트에 납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7c도는 제 7a도의 상태로부터 덮개를 덮은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8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코오킹링에 의해 코오킹 작업을 행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8b도는 제 8a도의 코오킹 작업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9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제 9b도는 제 9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
제 10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래셉터클의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0b도는 제 10a도에 도시한 리셉터클의 외부 콘택트의 정단면도이다.
제 10c도는 단자 고정부를 가공한 후의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의 평면도이다.
제 10d도는 단자고정부를 가공한 후의 리셉터클 외부의 정단면도이다.
제 11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리셉터클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1b도는 제 11a도에 도시한 리셉터클 절연체의 정단면도이다.
제 12a도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중심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2b도는 제 12a도에 도시한 중심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제 13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3b도는 제 13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제 13c도는 제 13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제 14a도는 제 13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의 평면도에 대한 반단면도이다.
제 14b도는 제 13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제 14c도는 제 13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의 측면도에 대한 반단면도이다.
제 15a도는 본 발명의 실시하에 따른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5b도는 제 15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측면도이다.
제 15c도는 제 15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제 16a도는 제 15c도에 있어서의 16A-16A선을 따라 취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제 16b도는 제 15a도에 있어서의 16B-16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6c도는 제 15a도에 있어서의 16C-16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7a도는 제 15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7b도는 제 17a도에 도시한 플러그 외부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제 17c도는 제 17a도에 도시한 플러그 외부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제 18a도는 제 15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8b도는 제 18a도에 도시한 플러그 절연체의 정단면도이다.
제 18c도는 제 18a도에 도시한 플러그 절연체의 측면도이다.
제 19a도는 제 15a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내부 콘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9b도는 제 19a도에 도시한 플러그 내부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제 19c도는 제 19a도에 도시한 플러그 내부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제 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 21도는 제 15a도 내지 제 15c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를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해 열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2a도 내지 제 22d도는 제 21도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내부 콘택트와의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 22a도는 압착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2b도는 제 22a도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케이블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2c도는 제 22a도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압접도구에 의해 압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2d도는 제 22a도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접공정을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3도는 제 15a도 내지 제 15c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플러그 외부 콘택트와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4도는 제 23도에 있어서의 24-2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25도는 A 내지 제 25d도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의 외부 콘택트의 압착부와 동축 케이블과의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5d도는 케이블의 위치결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5b도는 제 25a도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의 위치 결정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5c도는 제 25a도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착 도구에 의한 압착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5d도는 제 25a도와 동일한 압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착 도구에 의한 압착 종료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6도는 제 25a도 내지 25d도의 압착종료후에 있어서의 케이블간이 압착부의 탄력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7도는 제 23도에 있어서의 27-2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9a도는 제 28도에 도시한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 29b도는 제 29a도에 도시한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를 나타낸 정반단면도이다.
제 30a도는 제 28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의 리셉터클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30b도는 제 30a도에 도시한 리셉터클 절연체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3 :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 95 : 동축 커넥터 플러그
99 : 동축 케이블 101 : 플러그외부 콘텍트
105 : 플러그 내부 콘택트 107 : 제 1 접촉부
111 : 제 2 접촉부 113 : 연결부
123,125 : 압착편 147 : 압접(壓接)부
169 :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

Claims (11)

  1. 플러그 냅 콘택트(105)와,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93)의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107)와 동축 케이블(99)의 외부 도체(155)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111)를 가지는 플러그 외부 콘택트(101)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9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연결부(11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153)를 뚫고 나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에 접촉하는 복수의 압착편(123, 125)을 가지며, 상기 압착편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압접하는 압접부(145)를 가지는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압착편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외부 콘택트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플러그 절연체(103)와, 상기 제 1 접촉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절연체를 유지하는 절연체 수용부(10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145)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주위에 설치된 절연체(157)를 뚫고 나와 상기 내부 도체에 접촉하도록, 절삭홈(147a)과 상기 절삭홈의 개구부 양측에 형성된 압접 칼날(147b)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내부 콘택트(105)는 상기 절연체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착편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도체(155)의 내부에 침입하는 제 1 압착편(123)과 상기 외부 도체(155)의 외측에 침입하는 제 2 압착편(125)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도체(155)의 일부가 상기 제 1 압착편과 상기 제 2 압착편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접속측의 일단부는 상기 외부 도체(155)가 외피(153)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외피(153)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상기 내부 도체(159)가 상기 절연체(157)로 덮여져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
  8. 제 1항, 제 2항, 제 5항 또는 제 7항에 따른 동축 커넥터 플러그(95)와, 제 1 접촉부(107)와 접촉하는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91)에 설치되는 상기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93)은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169)와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173)와 이들을 유지하는 리셉터클 절연체(171)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는 일단에 제 1 도체부(177)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내부 콘택트는 일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외부 콘택트에 둘러싸여짐과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의 일면측에 노출되는 제 2 도체부(187)를 구비하며,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는 상기 제 1 도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8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의 일면은 상기 기판(91)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 플러그(95)는 상기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93)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99)은 그 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19940025530A 1993-10-06 1994-10-06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KR10035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250572 1993-10-06
JP5250572A JP2665717B2 (ja) 1993-10-06 1993-10-06 同軸コネクタ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524B1 true KR100359524B1 (ko) 2003-01-24

Family

ID=1720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530A KR100359524B1 (ko) 1993-10-06 1994-10-06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69049A (ko)
EP (1) EP0647985B1 (ko)
JP (1) JP2665717B2 (ko)
KR (1) KR100359524B1 (ko)
CA (1) CA2133774C (ko)
DE (1) DE69427891T2 (ko)
SG (1) SG45190A1 (ko)
TW (1) TW2479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66A (ko) * 2014-06-16 2015-12-2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1A (ja) * 1994-07-07 1996-01-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同軸プラグコネクタ
JP3120692B2 (ja) * 1995-04-18 2000-1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5775934A (en) * 1996-05-15 1998-07-07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US6123567A (en) * 1996-05-15 2000-09-26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US5772470A (en) * 1996-06-03 1998-06-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GB9706155D0 (en) * 1997-03-25 1997-05-14 Decolletage Sa Saint Maurice Coaxi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3421555B2 (ja) * 1997-11-07 2003-06-30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H11251001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同軸コネクタ組立体
IT1298960B1 (it) * 1998-03-27 2000-02-07 Luigi Ramari Connettore elettrico a piu' componenti e relativo procedimento di assemblaggio
US6149460A (en) * 1998-09-25 2000-11-21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RF plu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RF plug connection system
DE29822588U1 (de) * 1998-12-18 2000-04-27 Bosch Gmbh Robert Kontaktelement zur axialen Kontaktierung
US6305980B2 (en) * 1999-03-18 2001-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US6705884B1 (en) 1999-08-16 2004-03-16 Centerpin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547593B1 (en) 2000-08-07 2003-04-15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b-miniature, high speed coaxial pin interconnection system
US6371806B1 (en) * 2000-11-08 2002-04-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US6416357B1 (en) * 2001-03-12 2002-07-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with low profile after assembly
US6447335B1 (en) * 2001-07-16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US20030216500A1 (en) * 2002-04-29 2003-11-20 Mckenna James Michael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elastomer compositions and related articles and methods
DE10346367B4 (de) * 2002-10-07 2016-02-18 Volkswagen Ag Freidrehbarer HF-Winkelsteckverbinder
JP3808850B2 (ja) * 2003-07-22 2006-08-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結線装置
JP4083103B2 (ja) * 2003-10-06 2008-04-30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02295B2 (ja) * 2003-11-21 2008-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US6916201B1 (en) * 2004-03-03 2005-07-12 Speed Tech Corp. Micro coaxial cable connecting device
TWM307242U (en) * 2006-07-14 2007-03-01 Insert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US7351067B2 (en) * 2006-08-09 2008-04-01 Speed Tech Corp. Coaxi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JP2008098125A (ja) * 2006-10-12 2008-04-24 Shintake Sangyo Kk L型プラグとその製造方法
JP4097681B1 (ja) * 2007-02-01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01632B2 (ja) * 2007-07-30 2012-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線用コネクタ及び同軸線接続ユニット
TWI401851B (zh) * 2008-01-30 2013-07-11 Harumoto Prec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method
DE202008014409U1 (de) * 2008-10-29 2009-01-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Winkelsteckverbinder
JP5523154B2 (ja) * 2010-03-18 2014-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608678B (zh) * 2016-07-01 2017-12-11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Rf線端連接器與同軸線纜的連接方法及其使用的內部端子
US11489288B2 (en) * 2020-08-28 2022-11-01 Raytheon Company Connector retention cl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2412A1 (en) * 1989-08-11 1991-02-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EP0519812A1 (fr) * 1991-06-17 1992-12-23 RADIALL Société anonyme dite: Connecteur coaxial pour le raccordement d'un câble coaxial à une carte imprimée de circuit é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0827A (en) * 1967-11-14 1970-05-05 Etc Inc T-tap connectors
US4326769A (en) * 1980-04-21 1982-04-27 Litton Systems, Inc. Rotary coaxial assembly
US4701137A (en) * 1983-04-04 1987-10-2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JP2584265Y2 (ja) * 1985-10-30 1998-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4708414A (en) * 1987-01-30 1987-11-24 Albert Lam Electric wi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H02291679A (ja) * 1989-02-10 1990-12-03 C R T:Kk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
JPH0734373B2 (ja) * 1989-11-15 1995-04-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04704B2 (ja) * 1991-03-12 1996-06-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ブル用コネクタと結線方法
JP2540805Y2 (ja) * 1991-06-27 1997-07-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面実装形高周波同軸コネクタ構造
JPH05152037A (ja) * 1991-11-30 1993-06-18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
JPH05234628A (ja) * 1992-02-19 1993-09-1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のケーブル接続構造
JPH05242931A (ja) * 1992-02-26 1993-09-21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US5322453A (en) * 1992-11-25 1994-06-21 M/A-Com Omni Spectra, Inc. RF connector jack and plug assembly
JP3116678U (ja) * 2005-09-12 2005-12-15 輝家 小泉 ビール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2412A1 (en) * 1989-08-11 1991-02-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EP0519812A1 (fr) * 1991-06-17 1992-12-23 RADIALL Société anonyme dite: Connecteur coaxial pour le raccordement d'un câble coaxial à une carte imprimée de circuit électroniqu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66A (ko) * 2014-06-16 2015-12-2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9509067B2 (en) 2014-06-16 2016-11-29 Dai-Ichi Seiko Co., Lt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101703419B1 (ko) 2014-06-16 2017-02-0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형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06002A (ja) 1995-04-21
CA2133774C (en) 1999-08-24
CA2133774A1 (en) 1995-04-07
DE69427891D1 (de) 2001-09-13
EP0647985A3 (en) 1996-08-07
DE69427891T2 (de) 2002-04-11
US5569049A (en) 1996-10-29
TW247973B (ko) 1995-05-21
EP0647985A2 (en) 1995-04-12
SG45190A1 (en) 1998-01-16
EP0647985B1 (en) 2001-08-08
JP2665717B2 (ja) 199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524B1 (ko)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JP4241488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3978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5824B2 (ko)
KR20000034964A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US20060246776A1 (en) 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axial cable
US6254430B1 (en) Coaxial connector
JPH07106003A (ja) モジュラー式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ー及びそのアッセンブリ方法
KR100282632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JPH07192819A (ja) 同軸コネクタ
US635014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H0379834B2 (ko)
JP2017004703A (ja) 同軸コネクタ
US4569566A (en)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JP3354866B2 (ja) ドッキングコネクタ
JP6792286B2 (ja) 同軸コネクタ
JP2002260761A (ja) 中継コネクタ
US20020155757A1 (en) Shield connector
KR200144186Y1 (ko) 동축 케이블 연결기
JP20030775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316079B1 (ko) Hf-플러그 타입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3824269B2 (ja) 電線用コネクタ
US5997351A (en) Waterproof press-connecting connector and press-connecting method
JPH11345640A (ja) 圧接電気コネクタ
JP4204750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