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266A - 동축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266A
KR20150144266A KR1020150054689A KR20150054689A KR20150144266A KR 20150144266 A KR20150144266 A KR 20150144266A KR 1020150054689 A KR1020150054689 A KR 1020150054689A KR 20150054689 A KR20150054689 A KR 20150054689A KR 20150144266 A KR20150144266 A KR 2015014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axial cable
coaxial
conne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419B1 (ko
Inventor
타카오 야마우치
쇼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동축 케이블 SC의 접속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저감시키면서 전기적 접속성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 SC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케이블 파단부(13d,13e)를, 동축 케이블 SC을 향해 직경 방향 내방측으로 눌러,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파단하여 외부 도체 SCb와 커넥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 SC의 외부 도체 SCb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데 즈음하여, 중심 도체 SCa나 외부 도체 SCb를 둘러싸고 있는 유전체나 절연체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 등의 단말 처리 가공을 행하는 일 없이 접속 작업이 행해지고, 동축 케이블 SC의 외부 도체 SCb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부에 동축 케이블을 재치(載置)하여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혹은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각종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신호 전송 매체로서 동축 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그 동축 케이블을 인쇄 배선 기판에 효율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동축형 전기 커넥터가 자주 채용되고 있다. 동축형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면, 절연 하우징의 외주측에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쉘(shell) 본체부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쉘 본체부의 원통 개구부에 대해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동축 케이블의 단말 처리 가공에 의해 노출 상태로 된 중심 도체를 신호 콘택트의 재치면 상에 세팅(setting)한 후에, 납땜 또는 도체의 협지력(挾持力)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고, 또한 개방 상태에 있던 쉘 덮개부를 밀어 넘어뜨리도록 하여 폐색(閉塞)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동축 케이블의 단말 처리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즉, 동축 케이블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전에, 그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나 외부 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전체나 절연체를 벗겨내는 스트립(strip) 공정을 복수 회(예를 들면 3회) 행함으로써, 중심 도체나 외부 도체를 노출 상태로 해 둘 필요가 있고, 그러한 복수 회의 스트립 공정을 행한 후에, 납땜 등에 의한 접속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접속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공정수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지장이 되고 있다.
한편, 하기의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된 동축형 커넥터에서는, 동축 케이블의 절연체에 대해서, 끊는 날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절단용 편(片)을 축 직교 방향으로 누르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절단용 편이 절연체를 절단(파괴)하도록 하여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나 중심 도체에 접촉하고, 그들 한 쌍의 절단용 편 사이의 간극에 외부 도체나 중심 도체가 끼워진 상태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동축형 커넥터에 의하면, 절연체를 벗겨내는 공정을 약간 줄이고, 예를 들면 2회의 스트립 공정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렇지만, 아직 생산성 향상의 여지가 있음과 아울러, 절단용 편을 축 직교 방향으로 누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도체나 중심 도체를 절단해 버릴 우려가 있고, 접속 공정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3-98121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동축 케이블의 접속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저감시키면서, 전기적 접속성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도록 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중심 도체에 대해 동축상에 배치된 외부 도체를 외주 피복재에 의해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된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하여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파단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직경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한 쌍 배치되고, 그들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동축 케이블을 향해 직경 방향 내방측으로 눌려짐으로써 당해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외주 피복재를 파단하여 상기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데 즈음하여,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케이블 파단부가 동축 케이블의 외주 피복재를 파단하면서 직경 방향의 내방으로 진입함으로써, 외부 도체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단말 처리 가공, 즉 중심 도체나 외부 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전체나 절연체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을 행하는 일 없이 접속 작업이 행해지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절연 하우징을 수용하는 쉘 본체부와, 그 쉘 본체부를 덮도록 당해 쉘 본체부에 장착되는 쉘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쉘 본체부에 상기 동축 케이블이 재치되는 케이블 받이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일방이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타방이 상기 쉘 덮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쉘 본체부에 대해 쉘 덮개부를 장착할 때에, 그 쉘 덮개부에 설치된 케이블 파단부가 동축 케이블에 물고 들어간 상태로 쉘 덮개부의 폐색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당해 쉘 덮개부의 폐색 동작에 수반하여 동축 케이블이 커넥터 중심측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성이 안정화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일방과 타방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축형 상기 커넥터에 의하면, 위치 어긋나게 배치된 쌍방의 케이블 파단부에 의한 동축 케이블로의 물고 들어가는 힘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본래의 뻗어 있는 방향인 직선 방향에 대해 당해 동축 케이블의 일부가 변형된 상태로 되고, 그 동축 케이블의 변형 부분이 가지는 보유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안정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쉘 본체부에 당해 쉘 본체부로부터 상기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가 설치되고, 그들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의 사이에 상기 동축 케이블이 재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의 각각에 상기 케이블 파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쉘 덮개부에는,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을 협지하는 고정 보유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보유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코킹(caulking)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에 각각 접속되는 신호 콘택트 부재 및 접지(ground) 콘택트 부재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신호 콘택트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와, 감합(嵌合)의 상대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부재에 접속되는 콘택트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콘택트 부재의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으로부터 당해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인 케이블 축의 방향을 따라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편을 가지고, 상기 케이블 삽입편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케이블 파단부가 동축 케이블의 외주 피복재를 파단하면서 외부 도체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것에 더하여, 신호 콘택트 부재의 케이블 접속부를 구성하는 케이블 삽입편이 동축 케이블의 케이블 축방향을 따라 내부로 삽입되는 공정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대한 신호 콘택트 부재의 케이블 접속부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대한 접속 공정의 간소화에 더하여, 중심 도체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고, 생산성의 향상이 더 도모됨과 아울러,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절단할 우려가 저감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에 대해서, 당해 동축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케이블 파단부를, 동축 케이블을 향해 직경 방향 내방측으로 누르고, 동축 케이블의 외주 피복재를 파단하여 외부 도체와 커넥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데 즈음하여, 동축 케이블의 단말 처리 가공, 즉 중심 도체나 외부 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유전체나 절연체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을 행하는 일 없이 접속 작업이 행해지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동축 케이블의 접속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저감시키면서 전기적 접속성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도 5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도 7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도 12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신호 콘택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고, (b)는 상하를 반전한 상태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신호 콘택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측면 설명도이고, (b)는 저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도 12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신호 콘택트의 케이블 접속부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신호 콘택트의 케이블 접속부가 삽입된 동축 케이블의 저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신호 콘택트의 케이블 접속부가 삽입된 동축 케이블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되는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세팅(setting)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축 케이블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신호 콘택트의 케이블 접속부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신호 콘택트의 케이블 접속부가 삽입된 동축 케이블을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신호 전송 매체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행한다.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
우선, 도 1~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소정의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도 19~도 23 참조)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여 감합(嵌合) 또는 발거(拔去)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감합의 상대 커넥터의 일례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발거 작업은 인쇄 배선 기판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커넥터 본체부는 개략 형상에 있어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에 대해서, 직경 방향 외방측의 일방향으로부터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연결되고, 그 동축 케이블 SC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상방 위치에 대면하도록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된다. 그리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인쇄 배선 기판의 외표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강되어 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단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상방측 부분에 대해 감합 상태로 된다(도 21~도 23 참조).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된 감합 상태로 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를 통해 인쇄 배선 기판상의 배선 패턴 도전로에 접속된다.
여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20)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10)를 삽입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로 빠져 나오는 발거 방향을 「상방향」으로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0) 자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접속되는 부분을 「정면측 부분」으로 함과 아울러, 그것과는 반대측의 부분을 「배면측 부분」으로 하고, 또한 그 「배면측 부분」으로부터 「정면측 부분」을 향한 방향을 「커넥터 전(前)방향」, 그 반대 방향을 「커넥터 후(後)방향」으로 한다. 또, 이들 「커넥터 상하 방향」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동축 케이블에 대해]
상술한 동축 케이블 SC은, 특히 도 15에 나타나 있듯이, 복수개의 세선(細線) 도선으로 형성된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외주측에 케이블 유전체 SCc를 개재하여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심상으로 적층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는 외주 피복재 SCd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동심상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의 단말 처리가 되지 않은 상태, 즉 외주 피복재 SCd 및 케이블 유전체 SCc,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의 벗겨냄(박피)이 행해지지 않은 원래 상태의 그대로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한 접속이 행해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 축을 따라 뻗어 있는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절연 하우징(11)에 부착된 신호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후술하는 것처럼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케이블 축방향을 따라 접속됨으로써, 신호 전송 회로가 구성된다. 또,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에는, 접지(ground) 콘택트 부재를 겸용하는 쉴드 쉘(shield shell)(13)이 후술하는 것처럼 하여 접속되고, 당해 쉴드 쉘(13)이 접지용의 접지 콘택트 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접지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한 동축 케이블 SC의 접속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부로서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
여기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은 특히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는 절연 본체부(11a)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절연 본체부(11a)의 대략 중심 부분에는, 감합 상대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내방측으로 삽입되는 절연 삽입부(11b)가 대략 원통형을 이루어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절연 본체부(11a)에는 후술하는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고정 부분의 일부가 매설되어 있다.
그 신호 콘택트 부재(12)가 매설된 절연 본체부(11a)의 상측 표면에는, 당해 절연 본체부(11a)의 상측 표면을 움푹 패이도록 하여 임피던스(impedance) 정합부(11c)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부(11c)는 평면 다각 형상의 오목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쉘 덮개부(13b)의 내측 표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정합이 행해진다. 이 때의 임피던스 정합은 상술한 임피던스 정합부(11c)를 형성하고 있는 오목부의 크기 및 깊이를 신호 전송의 조건에 맞추어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신호 콘택트 부재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신호 콘택트 부재(12)는, 특히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전체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예를 들면 인서트(insert) 성형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절연 본체부(11a)의 중심 부분에는 당해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본체 부분인 콘택트 본체판(12a)이 매설되어 있다. 이 콘택트 본체판(12a)은 절연 본체부(11a)보다 한층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콘택트 본체판(12a)에 있어서의 커넥터 전방측 부분에는, 상술한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블 접속부(12b)가 일체적으로 연접(連接)되어 있다. 이 케이블 접속부(12b)는 콘택트 본체판(12a)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오는 가는 판 형상의 돌기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케이블 접속부(12b)에 있어서의 뻗어 나오는 방향의 선단 부분(도 14의 좌방측 부분)이 좁은 폭을 이루도록 형성된 케이블 삽입편(12b1)을 구성하고 있다. 이 케이블 삽입편(12b1)은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의 커넥터 전단면으로부터 전방(도 7의 우방)을 향해 바늘 형상을 이루어 돌출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미세선을 다발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내부를 향해 용이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나 있듯이, 벗겨내는 등의 단말 가공이 되지 않은 미가공 상태의 동축 케이블(SC) 단면에 대해서, 상술한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이 동축 케이블(SC)의 뻗어 있는 방향인 케이블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면, 도 16~도 18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은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미세선 사이로 들어가도록 진행하고, 양자는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SCb)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블 유전체(SCc)나 외주 피복재(SCd)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을 행하지 않은 미가공 상태의 동축 케이블(SC)의 단말 부분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은 지장 없이 삽입됨과 아울러 양호한 접촉 상태로 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원반 형상을 이루는 콘택트 본체판(12a)의 중심 부분에는, 중공 원통형을 이루는 콘택트 접속부(12c)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콘택트 접속부(12c)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삽입부(11b)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중공의 핀(pin)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노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커넥터(10)측에 설치된 콘택트 접속부(12c)는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20)에 플러그 커넥터(10)가 감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0)측의 콘택트 접속부(22a)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쉴드 쉘에 대해]
또,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 및 절연 삽입부(11b)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11)의 외측 표면은 박판 금속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접지 콘택트 부재로서의 쉴드 쉘(13)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쉘 본체부(13a)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쉘 본체부(13a)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를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환형으로 덮도록 형성된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쉘 본체부(13a)의 하방측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20)에 외방측으로부터 감합되는 쉘 삽입부(13a1)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쉘 본체부(13a)의 상단측의 원통 개구 부분에는,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의 상면측을 덮는 쉘 덮개부(접지 덮개부)(13b)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에,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접속하여 고정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쉴드 쉘(13)은, 특히 도 8~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쉘 본체부(13a)에 대해 쉘 덮개부(13b)가 상방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당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쉘 덮개부(13b)는 쉘 본체부(13a)의 후방측 단연(端緣) 부분에 좁은 폭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 부재(13b1)를 개재하여 대략 연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이음 부재(13b1)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는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쉴드 쉘(13)의 개방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것처럼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을 삽입하여 접속 상태로 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0)에 세팅(setting)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쉴드 쉘(13)의 이음 부재(13b1)가 하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당해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지면, 이에 의해 쉘 본체부(13a) 및 절연 본체부(11a)가 쉘 덮개부(13b)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여지고, 쉴드 쉘(13)이 폐색 상태로 된다(도 1~도 7 참조).
이 때의 쉘 덮개부(13b)는 상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져 폐색되었을 때에, 쉘 본체부(13a)의 상단측의 원통 개구 부분을 덮도록 씌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쉘 덮개부(13b)의 정면측 부분에는, 동축 케이블 SC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전방 커버부(13b2)가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 전방 커버부(13b2)는 전술한 쉘 본체부(13a)의 커넥터 전방측 부분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그 쉘 본체부(13a)의 커넥터 전방측 부분에는, 당해 쉘 본체부(13a)로부터 돌출하는 케이블 받이부(13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케이블 받이부(13c)는 상방이 개방된 홈통 구조를 이루도록 뻗어 있고, 당해 홈통 구조를 이루는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방(內方) 공간에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재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홈통 구조를 이루는 케이블 받이부(13c)의 상방 개구 부분이 상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의 전방 커버부(13b2)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여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홈통 구조를 이루는 케이블 받이부(13c)는 쉘 본체부(13a)의 정면측 부분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정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어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케이블 받이부(13c)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의 내부 공간이 커넥터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그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부 공간에 전술한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돌출하는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케이블 삽입편(12b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마찬가지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당해 케이블 받이부(13c)는 케이블 삽입편(12b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의 하반(下半)측의 외표면을 따르도록 뻗어 있고, 이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벽면이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좌우 방향의 양측 및 하방측의 삼방(三方)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파단부의 구성에 대해]
또, 상술한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벽면에는, 당해 케이블 받이부(13c)의 뻗어 나오는 방향 선단부에 한 쌍의 돌기 형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케이블 파단부(13d,13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케이블 파단부(13d,13d)를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돌기 형상 부분은 상술한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저(底)면 부분으로부터, 동축 케이블 SC을 향해 정면 대략 산 형상을 이루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 중심에 대해 커넥터 좌우 방향으로 대략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각 제1 케이블 파단부(13d)의 돌기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산 형상의 정부(頂部)가 끊는 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1 케이블 파단부(13d)의 끊는 날 형상 부분이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서, 직경 방향의 하방측으로부터 근접하여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쉘 덮개부(13b)가 케이블 받이부(13c)를 상방으로부터 덮을 때에, 쉘 덮개부(13b)의 내측 표면에 의해 동축 케이블 SC이 하방으로 밀어 넣어져 있고, 그 동축 케이블 SC의 하방측에 근접 배치되어 있던 한 쌍의 제1 케이블 파단부(13d,13d)가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표면, 즉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 직경 방향의 외방측(하방측)으로부터 맞닿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쉘 덮개부(13b)에 연설된 전방 커버부(13b2)에는 한 쌍의 제2 케이블 파단부(13e,13e)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 케이블 파단부(13e,13e)는 전방 커버부(13b2)의 대략 중앙 영역에, 당해 전방 커버부(13b2)의 일부를 커넥터 내방측, 즉 쉘 덮개부(13b)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의 하방측을 향해, 후크(hook) 형상을 이루도록 잘라 세우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제2 케이블 파단부(13e)도, 상술한 제1 케이블 파단부(13d)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중심에 대해 커넥터 좌우 방향으로 대략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병설된 돌기 형상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 SC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정면 대략 산 형상의 정부에 끊는 날 형상을 이루는 제2 케이블 파단부(13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2 케이블 파단부(13e,13e)도, 당해 각 제2 케이블 파단부(13e)를 구성하고 있는 끊는 날 형상 부분이 케이블 받이부(13c)의 내부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서, 직경 방향의 상방측으로부터 근접하여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쉘 덮개부(13b)가 케이블 받이부(13c)를 상방측으로부터 덮을 때에, 당해 쉘 덮개부(13b)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케이블 파단부(13e,13e)가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표면, 즉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 직경 방향의 외방측(상방측)으로부터 맞닿으면서 하방으로 눌려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축 케이블 SC은 쉘 덮개부(13b)를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 하방측의 제1 케이블 파단부(13d)와 상방측의 제2 케이블 파단부(13e)에 의해, 상하로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되지만, 그들 제1 및 제2의 케이블 파단부(13d,13e)끼리는,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약간 위치 어긋난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케이블 파단부(13d)가, 제2 케이블 파단부(13e)보다 약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쌍방의 케이블 파단부(13d,13e)가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로 동축 케이블 SC에 물고 들어감으로써, 동축 케이블 SC은 본래의 뻗어 있는 방향인 직선 방향에 대해 변형된 상태로 되고, 그 동축 케이블 SC의 변형 부분이 가지는 보유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보유판에 대해]
한편,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에 연설된 전방 커버부(13b2)의 양측 연부(緣部)에는, 한 쌍의 설편(舌片)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보유판(13b3) 및 제2 고정 보유판(13b4)이 플랜지 판(flange plate)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중 제1 고정 보유판(13b3)은 동축 케이블 SC을 덮고 있는 케이블 받이부(13c)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됨으로써, 코킹 고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굽힘 변형은 당해 제 1 고정 보유판(13b3,13b3)이 케이블 받이부(13c)에 코킹 고정된 시점에서 규제된다.
즉,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 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케이블 받이부(13c)의 양측 외방 위치에 배치되고, 그러한 배치 상태로부터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코킹 고정이 행해진다(도 1~도 7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은 케이블 받이부(13c)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고, 그러한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굽힘 변형이 행해지면, 제1 케이블 파단부(13d) 및 제2 케이블 파단부(13e)의 정부에 설치된 끊는 날 형상 부분이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서, 직경 방향의 하방측 및 상방측의 쌍방으로부터 강하게 눌려짐으로써, 제1 케이블 파단부(13d) 및 제2 케이블 파단부(13e)의 끊는 날 형상 부분은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파단하도록 하여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로 들어간 제1 케이블 파단부(13d) 및 제2 케이블 파단부(13e)의 끊는 날 형상 부분은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파단하면서 더 내방으로 진입해 가고, 특히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도달하여 접촉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그러한 제1 케이블 파단부(13d) 및 제2 케이블 파단부(13e)를 개재하여 쉴드 쉘(13)이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굽힘 변형을 완료하여 코킹 고정이 행해진 때에 있어서는, 쉘 본체부(13a)에 대한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행해짐과 아울러, 동축 케이블 SC이 쉘 덮개부(13b)에 고정되고, 또한 그것과 동시에,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제1 케이블 파단부(13d) 및 제2 케이블 파단부(13e)를 통해 쉴드 쉘(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접지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고정 보유판(13b4)은 상술한 제1 고정 보유판(13b3)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비교적 소형의 플랜지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고정 보유판(13b4)은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외주 피복재 SCd의 단체(單體)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된다. 즉, 당해 제2 고정 보유판(13b4)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 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외주 피복재 SCd가 단체로 뻗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코킹을 행하도록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됨으로써,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한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행해진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쉴드 쉘(13)에 있어서의 쉘 본체부(13a)의 하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쉘 삽입부(13a1)는 감합 상대인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직경 방향 외방측 부분에 외감(外嵌)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1~도 23 참조). 이 쉘 삽입부(13a1)의 삽입측 부분에는, 직경 방향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형 오목 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계합(係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후에, 당해 쉘 삽입부(13a1)의 연결 계합부가 감합 상대인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설치된 연결 계지(係止)부에 대해 탄성적인 감합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에 대해]
한편, 감합의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도 19~도 23에 나타나 있듯이,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재치되는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베이스 형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절연 하우징(21)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절연 하우징(21)의 중심 부분에 신호 전송용의 신호 콘택트 부재(22)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신호 콘택트 부재(22)에 대해 반경 방향의 외방측을 환형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접지용의 접지 콘택트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 부재의 구성에 대해]
신호 콘택트 부재(22)는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 부재로 형성된 것이지만, 상술한 절연 하우징(21)의 대략 중심에 상당하는 위치에 중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콘택트 접속부(22a)가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콘택트 접속부(22a)의 하단부로부터 외방측을 향해 기판 접속 다리부(22b)가 뻗어 나와 있다. 절연 하우징(21)의 대략 중심 부분에 배치된 콘택트 접속부(22a)의 내부측에는,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 부재(12)에 핀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콘택트 접속부(12c)가 끼워 넣어지고, 양자가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신호 콘택트 부재(22)의 콘택트 접속부(22a)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기판 접속 다리부(22b)는 절연 하우징(21)의 저면을 따라 뻗어 있는 띠판 모양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21)의 일단연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해 돌출하여 있다. 이 기판 접속 다리부(22b)의 외방측 돌출 부분 또는 당해 기판 접속 다리부(22b)의 전체는 도시하지 않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 전송용의 신호 도전로에 대해 땜납 접합된다.
[접지 콘택트 부재의 구성에 대해]
한편, 접지 콘택트 부재(23)도, 예를 들면 소정의 얇은 두께의 금속판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원통 형상의 중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접지 본체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당해 링(ring) 모양을 이루는 접지 본체부의 외주 부분에 있어서의 하단연에는, 반경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뻗어 나오는 접지 접속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지 접속부(23a)는 도시하지 않는 인쇄 배선 기판상에 형성된 접지 접속용의 접지 도전로에 대해 각각 땜납 접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를 쉴드 쉘(1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 즈음하여, 커넥터 본체부를 구성하는 쉘 본체부(13a)에 설치된 제1 및 제2의 케이블 파단부(13d,13e)가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 SCb를 파단하면서 직경 방향의 내방으로 진입함으로써, 케이블 외부 도체 SCb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처리, 즉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블 유전체 SCc나 외주 피복재 SCd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을 행하는 일 없이 접속 작업이 행해지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 SCb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쉘 본체부(13a)에 대해 쉘 덮개부(접지 덮개부)(13b)를 장착할 때에, 그 쉘 덮개부(13b)에 설치된 제2 케이블 파단부(13e)가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 물고 들어가기 때문에, 쉘 덮개부(13b)의 회동에 의한 끌어 들여지는 이동이 행해지는 것에 수반하여, 동축 케이블 SC이 커넥터 중심측(커넥터 후방측)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성이 안정화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쌍방의 케이블 파단부(13d,13e)를 커넥터 전후 방향에 위치 어긋나게 하여 동축 케이블 SC에 변형 부분이 생기게 함으로써, 그 동축 케이블 SC의 변형 부분이 가지는 보유력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대해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접속부(12b)를 접속하는 데 즈음하여,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접속부(12b)를 구성하는 케이블 삽입편(12b1)이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축방향을 따라 내부로 삽입되는 공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한 접속 공정의 간소화에 더하여,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대한 접속 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됨과 아울러,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접속부(12b)가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절단하는 케이블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가는 선 형상을 이루는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절단시킬 우려가 없게 된다.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24~도 26에 나타난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한 쌍의 수평 케이블 파단부(13f,13f)가 동축 케이블 SC을 수평면 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쉘 본체부(13a)의 전방측 부분에는, 커넥터 전방측에 돌출하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가 쉘 덮개부(13b)의 전방 커버부(13b2)에 의해 외방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 g,13g)는 쉘 본체부(13a)의 정면측 부분에 설치된 개구부의 양측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 형상의 들보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쉘 본체부(13a)의 정면측 개구부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의 간격이 서서히 확대하도록 뻗어 있다. 그들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전술한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돌출하는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케이블 삽입편(12b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도 26 참조).
이와 같이,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는 케이블 삽입편(12b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의 외표면을 따라 뻗어 있고,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각 케이블 접속 암부(13g)의 뻗어 나오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에는, 후크 형상을 이루는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양쪽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13f)은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의 선단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내측의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각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13f)에 돌출하여 설치된 발톱(claw)부가 동축 케이블 SC의 외표면에 대해 근접 대향하는 것 같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양쪽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의 하단측의 연부에는,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케이블 받이부(13h,13h)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케이블 받이부(13h)는 상술한 것처럼 하여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의 하방측으로 뻗어 나와 있고, 당해 양쪽 케이블 받이부(13h,13h)에 대해서, 동축 케이블 SC이 상방측으로부터 맞닿아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에 연설된 전방 커버부(13b2)의 양쪽 측연(側緣)부에 설치된 한 쌍의 설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보유판(13b3) 및 제2 고정 보유판(13b4) 중, 제1 고정 보유판(13b3)은 동축 케이블 SC 및 케이블 접속 암부(13g)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됨으로써 코킹 고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 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케이블 접속 암부(13g)의 양측 외방 위치에 배치되고, 그러한 배치 상태로부터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코킹 고정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은 케이블 접속 암부(13g), 케이블 받이부(13h) 및 동축 케이블 SC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고, 그 제1 고정 보유판(13b3)의 굽힘 변형에 의해, 케이블 접속 암부(13g) 및 케이블 받이부(13h)가 동축 케이블 S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굽힘 변형되어 간다. 그리고, 케이블 접속 암부(13c)의 선단부에 설치된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의 발톱부가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에 맞닿아진 후에,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끼리가 더 근접함으로써,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의 발톱부는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파단하도록 하여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동축 케이블 SC의 내부로 들어간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의 발톱부는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통과한 후,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도달하여 접촉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 및 케이블 접속 암부(13g)를 통해 쉴드 쉘(13)이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접지 접속된다.
또,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이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되어 코킹 고정이 행해졌을 때에 있어서는, 그들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과 함께 케이블 받이부(13h,13h)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굽힘 변형되고, 동축 케이블 SC의 외주 피복재 SCd를 외방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쪽 케이블 받이부(13h,13h)끼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 이름으로써, 상술한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굽힘 변형이 규제되고,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과대한 변형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해 쉴드 쉘(접지 콘택트 부재)(13)을 접속하는 데 즈음하여, 한 쌍의 케이블 접속암부(13g,13g)의 사이에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들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13g,13g)끼리를 서로 가까이 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수평 케이블 파단편(13f)이 동축 케이블 SC의 외방측으로부터 눌려지는 것으로 되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한 쉴드 쉘(접지 콘택트 부재)(13)의 접속 공정이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를 둘러싸고 있는 외주 피복재 SCd를 벗겨내는 스트립 공정을 행하는 일 없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의 케이블 접속암부(13g,13g)의 굽힘 변형은 쉘 덮개부(13b)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을 굽힘 변형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되지만, 그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의 굽힘 변형력에 의해 케이블 접속암부(13g,13g)가 외방측으로부터 강고하게 단단히 조여지게 된다. 그 결과, 접지 콘택트 부재로서의 쉴드 쉘(13)과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의 접속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이 때의 제1 고정 보유판(13b3,13b3)에 의한 조임력은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접속 상태에 있는 케이블 삽입편(12b1)의 주위 부분도 압박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케이블 삽입편(12b1)과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접속도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케이블 받이부(13h)에 접촉하여 보유되면서 쉴드 쉘(접지 콘택트 부재)(13)의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대한 쉴드 쉘(접지 콘택트 부재)(13)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한편, 상술한 제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플러그 커넥터(10)에 연결하는 데 즈음하여, 동축 케이블 SC에 대한 단말 처리를 부분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 피복재 SCd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의 단말 부분에 대한 벗겨냄(박피)을 행함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외주측에 적층된 케이블 유전체 SCc를 외방에 노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케이블 삽입편(12b1)을 동축 케이블 SC에 삽입하는 데 즈음하여,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 케이블 SC로부터 벗겨내어져 있기 때문에, 그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에 케이블 삽입편(12b1)이 접촉할 우려가 없게 되고, 전기적 접속 공정에 있어서의 단락 등이 확실하게 회피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단심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극상으로 배치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을 복수 혼합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플러그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절연 본체부 11b 절연 삽입부
12 신호 콘택트 부재
12a 콘택트 본체판
12b 케이블 접속부
12b1 케이블 삽입편
12c 콘택트 접속부
13 쉴드 쉘(접지 콘택트 부재)
13a 쉘 본체부 13a1 쉘 삽입부
13b 쉘 덮개부(접지 덮개부)
13b1 이음 부재 13b2 전방 커버부
13b3 제1 고정 보유판
13b4 제2 고정 보유판
13c 케이블 받이부
13d 제1 케이블 파단부
13e 제2 케이블 파단부
13f 수평 케이블 파단부
13g 케이블 접속 암(arm)부
13h 케이블 받이부
20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상대 커넥터)
21 절연 하우징 22 신호 콘택트 부재
22a 콘택트 접속부
22b 기판 접속 다리부
23 접지(ground) 콘택트 부재
23a 접지 접속부 SC 동축 케이블
SCa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c 케이블 유전체 SCd 외주 피복재

Claims (6)

  1. 중심 도체에 대해 동축상에 배치된 외부 도체를 외주 피복재에 의해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된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하여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재치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파단부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직경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한 쌍 배치되고, 그들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동축 케이블을 향해 직경 방향 내방측으로 눌려짐으로써 당해 케이블 파단부가 상기 외주 피복재를 파단하여 상기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절연 하우징을 수용하는 쉘 본체부와, 그 쉘 본체부를 덮도록 당해 쉘 본체부에 장착되는 쉘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쉘 본체부에 상기 동축 케이블이 재치되는 케이블 받이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일방이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타방이 상기 쉘 덮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파단부의 일방과 타방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 본체부에 당해 쉘 본체부로부터 상기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가 설치되고, 그들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의 사이에 상기 동축 케이블이 재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암부의 각각에 상기 케이블 파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 덮개부에는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재치된 동축 케이블을 협지하는 고정 보유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보유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블 받이부에 코킹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에 각각 접속되는 신호 콘택트 부재 및 접지 콘택트 부재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신호 콘택트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와, 감합의 상대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부재에 접속되는 콘택트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콘택트 부재의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단말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으로부터 당해 동축 케이블의 뻗어 있는 방향인 케이블 축의 방향을 따라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편을 가지고,
    상기 케이블 삽입편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20150054689A 2014-06-16 2015-04-17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70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3608 2014-06-16
JP2014123608A JP5949838B2 (ja) 2014-06-16 2014-06-16 同軸型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66A true KR20150144266A (ko) 2015-12-24
KR101703419B1 KR101703419B1 (ko) 2017-02-06

Family

ID=5483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689A KR101703419B1 (ko) 2014-06-16 2015-04-17 동축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9067B2 (ko)
JP (1) JP5949838B2 (ko)
KR (1) KR101703419B1 (ko)
CN (1) CN105305140B (ko)
TW (1) TWI589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8678B (zh) * 2016-07-01 2017-12-11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Rf線端連接器與同軸線纜的連接方法及其使用的內部端子
JP6451729B2 (ja) * 2016-12-28 2019-01-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JP6792286B2 (ja) * 2017-01-13 2020-11-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135834B1 (ja) * 2017-01-20 2017-05-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部材
CN110679043B (zh) 2017-05-29 2021-03-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L型同轴连接器和带同轴线缆的l型同轴连接器
JP6677351B2 (ja) * 2017-06-12 2020-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基板実装型同軸コネクタ
JP6905416B2 (ja) * 2017-08-10 2021-07-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を利用した同軸コネクタ装置
CN111066211B (zh) * 2017-09-01 2021-05-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和带有同轴电缆的同轴连接器
JP7185441B2 (ja) * 2018-08-13 2022-12-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15418638U (zh) * 2019-05-10 2022-01-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组的接地连接构造及同轴连接器组
JP7248140B2 (ja) * 2019-10-04 2023-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DE102020105994A1 (de) * 2020-03-05 2021-09-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Robustes, hochfrequenz-geeignetes elektrisches Terminal
US11688959B2 (en) * 2021-08-11 2023-06-2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sitive lock sealed terminal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278U (ja) * 1984-05-16 1985-12-06 日立電線株式会社 中空同軸ケ−ブル用コネクタ
US4708414A (en) * 1987-01-30 1987-11-24 Albert Lam Electric wi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KR20020079347A (ko) * 2000-11-17 2002-10-19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의 커플링 구조체
KR100359524B1 (ko) * 1993-10-06 2003-01-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JP2013098121A (ja) 2011-11-04 2013-05-2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054A (en) * 1977-08-22 1979-12-11 Amp Incorporated Plug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JPS603565U (ja) * 1983-06-20 1985-01-11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接続器
JPH031460A (ja) * 1989-05-30 1991-01-08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2906469B2 (ja) * 1989-08-20 1999-06-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JPH052534U (ja) * 1991-06-26 1993-01-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ース端子付中間接続用分岐金具
DE19823957A1 (de) 1998-05-28 1999-12-09 Siemens Ag HF-Steckverbinder mit versetzten Schneiden
JP2004349127A (ja) * 2003-05-22 2004-12-09 Jst Mfg Co Ltd 多極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4136925B2 (ja) 2003-12-19 2008-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2006294514A (ja) * 2005-04-13 2006-10-26 Yazaki Corp シールド金具及び該シールド金具を備えたシールド構造
JP4097681B1 (ja) 2007-02-01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080262A (ja) * 2008-09-26 2010-04-08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25921B (zh) * 2010-03-30 2015-08-19 株式会社藤仓 同轴连接器
JP5772511B2 (ja) 2011-10-28 2015-09-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CN203277712U (zh) * 2013-05-06 2013-11-06 郦秋红 一种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278U (ja) * 1984-05-16 1985-12-06 日立電線株式会社 中空同軸ケ−ブル用コネクタ
US4708414A (en) * 1987-01-30 1987-11-24 Albert Lam Electric wir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KR100359524B1 (ko) * 1993-10-06 2003-01-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동축케이블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플러그와회로기판에접속되는동축커넥터리셉터클을구비한동축커넥터
KR20020079347A (ko) * 2000-11-17 2002-10-19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의 커플링 구조체
JP2013098121A (ja) 2011-11-04 2013-05-20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04662A (ja) 2016-01-12
TW201603417A (zh) 2016-01-16
US9509067B2 (en) 2016-11-29
KR101703419B1 (ko) 2017-02-06
US20150364843A1 (en) 2015-12-17
TWI589076B (zh) 2017-06-21
CN105305140B (zh) 2017-10-24
CN105305140A (zh) 2016-02-03
JP5949838B2 (ja)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US9768534B2 (en) Electric connectors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TWI459653B (zh) 同軸型電連接器
JP622594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TWI525946B (zh) 同軸型電連接器及同軸型電連接器組裝體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65836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800618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80038365A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JP202109696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06596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TWI543477B (zh) 同軸型電連接器
JP2017076592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06333573A (ja) ケーブルクランプ及び携帯用電子機器
JP2018045938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233574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6025019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818605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4143069A (ja) 同軸コネクタ
JP2004311217A (ja) 圧接コネクタ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