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35B1 - 액체 용기용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6035B1 KR100346035B1 KR1019997005895A KR19997005895A KR100346035B1 KR 100346035 B1 KR100346035 B1 KR 100346035B1 KR 1019997005895 A KR1019997005895 A KR 1019997005895A KR 19997005895 A KR19997005895 A KR 19997005895A KR 100346035 B1 KR100346035 B1 KR 1003460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nthetic resin
- layers
- curved portion
- thin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in that the layers are not bonded on the totality of their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2—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액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다같이 곡면부분(11,21)과, 상기 곡면부분(11,21)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영역을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된 돌출부분(12,22)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박육 합성수지층(10,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층(10,20)은 각각의 곡면부분(11,21)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적층되고, 또한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을 따른 가장자리부(13,23)에서 서로 일체로 됨과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부(13,23) 이외의 영역에서는 서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체 충전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층(10,20)중 어느 한쪽 층(20)의 곡면부분(21)을 다른쪽 층(10)의 곡면부분(11)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반전시켜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에 따라 액체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을 양 곡면부분(11,21) 사이에 형성한다. 이 적층체는 용기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높고, 용도에 따라 소망하는 입체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적인 생산 설비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화장품이나 액체 세제 등을 담는 용기는 대개의 경우에는 보형성(保形性)을 갖는 두꺼운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형성되며,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 폐기되고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최근 쓰레기 처리 사정의 악화에 따라 폐기물은 가능한 한 감량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최근에는 내용물을 간단한 봉지상의 용기에 담아서 폐기물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봉지상 용기는 예를 들어 2 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주변부 내면에서 상호 접착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내부에 액체를 담아서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예를 들면 봉지상 용기의 코너를 부분적으로 절단 제거하여 수납부를 개구시키고, 다음에 수납부를 압착하여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종류의 봉지상 용기는 그 자체로는 정형성이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충전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내용물의 주출량 및 주출 방향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없고, 또 그 형상도 기본적으로는 비교적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용도에 따라 소망하는 입체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액체 용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박육(薄肉)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난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술한다. 도면 중,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적층체를 개념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1의 3-3 선을 따른 적층체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4-4 선을 따른 돌출부분의 횡단면도.
도5a ~ 도5f는 도1 실시예에 의한 적층체를 용기로서 사용하는 태양을 나타낸 설명도.
도6은 도1의 실시예에 의한 적층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공정도.
도7은 적층체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8은 적층체 제조 공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를 나타낸 도3과 마찬가지의 종단면도.
도10은 도9의 10~10 선을 따른 돌출부분의 횡단면도.
도11a~도11c는 적층체의 곡면부분의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2a,도12b는 적층체의 돌출부분의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3a,도13b 및 도14a,도14b는 적층체의 돌출부분이 형성하는 용기 개구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5a~도15c는 용기 개구부의 더욱 발전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6a~도16c는 적층체로 형성되는 용기의 자립 안정성을 향상하는 구성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17a,도17b는 도16b의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18은 도16b에 관한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19a,도19b는 적층체로 형성되는 용기의 자립 안정성을 향상하는 다른 구성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20a는 도19a,도19b의 용기를 형성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사시도.
도20b,도20c는 각각 도20a의 L-L 선 및 C-C 선을 따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21a,도21b는 적층체로 형성되는 용기의 자립 안정성을 향상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21c는 도21a,도21b의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 및 트리밍 공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22a~도22c는 외층 및 내층이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구성된 적층체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23a~도23c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24a,도24b는 도23a,도23b의 실시예에 관한 적층체의 용기로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술한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영역을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돌출부분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박육 합성수지층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층은 각각의 곡면부분이 동일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적층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층이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일체로 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서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액체 충전시에 제 1 및 제 2 층중 어느 한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을 다른 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반전시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에 따라 액체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을 양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제 1 및 제 2층이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되접은 형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되접은 가장자리부가 액체 충전시의 용기 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모두 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영역을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돌출부분을 갖는 박육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층을 각각의 곡면부분이 동일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적층하고, 또한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일체로 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서로 박리 가능하게 하여, 액체 충전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층중 어느 한쪽 층에서의 곡면 부분을 다른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반전시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에 따라 액체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이 양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적층체를 얻고, 또한 제 1 및 제 2층을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돌출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되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제의 박육 적층체가 곡면부분에 의한 정형성을 갖기 때문에, 내용물이 충전된 액체 용기로서의 사용시에 안정하게 유지하기 쉽고, 내용물의 주출량이나 주출방향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그 곡면부분의 형상도 종래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평면적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용도에 따라 소망하는 입체 형상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이한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일반적인 생산설비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은 모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랜지에 서로 융착되어 있다. 그 대신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 상호간에 접착제층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 중 어느 한쪽 층의 적층면측에, 그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이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며, 이들 합성수지 시트는 소정 온도차 하에서 적층되어 박리성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층이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될 경우에는,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양 층 사이에 이종 재질의 박리 시트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이 적층 상태에서 박리성을 발현하는 상이한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이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되접은 형태로 서로 접속하고 있으며, 상기 되접은 가장자리부가 액체 충전시의 용기 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한 쪽이 적어도 액체 충전시에 용기가 그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소위 "보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의 돌출부분에 의해 중공 원통상의 주출구가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층의 돌출부분에는 주출구를 개구시키기 위한 파단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층의 돌출부분이 캡 및/또는 노즐유닛의 장착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1~도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박육의 액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적층체는 서로 거의 동일 형상으로 한 상기 제1 및 제2 박육 합성수지 시트(10,20)를 적층하여 된 것이다. 이들 합성수지 시트(10,20)는 각각 예를 들면 접시상의 곡면부분(11,21)과, 그 곡면부분(11,21)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된 반원통상의 돌출부분(12,22)을 갖고,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을 따라 연재하는 가장자리부(13,23)가 외부 방향의 플랜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도4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합성수지 시트(10,20)는 곡면부분(11,21)이 동일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후술하는 태양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특히 도3 및 도4에서는 합성수지 시트(10,20)의 두께를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편의를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합성수지 시트(10)를 외층으로, 또 제2 합성수지 시트(20)를 내층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합성수지 시트(10,20)의 곡면부분(11,21)은 내층(20)의 곡면부분(21)이 후술하는 태양으로 반전할 수 있는 형상이면 임의의 입체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평면투영 도형을 직사각형, 타원형 등의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분(11,21)은 거의 평탄한 저면 영역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합성수지 시트(10,20)의 반원통상 돌출부분(12,22)을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상의 가장자리부(13,23)가 곡면부분(11,21)의 인접 영역에서 폭이 감소한 취약한 파단부(14,24)를 갖는다. 이 파단부(14,24)는 액체 용기로 사용시에 돌출부분(12,22)을 파단시키고, 이에 따라 내용물을 위한 주출구를 개구시키는 것이다.
외층 및 내층으로서의 합성수지 시트(10,20)는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을 따른 가장자리부(13,23)에서 용착 등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고,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에서는 서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시트(10,20)의 적층체로서의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액체 충전시에 내층(20)의 곡면부분(21)을 반전시켜서 외층(10)의 곡면부분(11)과 역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외층(10)의 두께는 사용하는 합성수지 또는 용기의 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적어도 액체 충전시에 소정의 용기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이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층(10)을 폴리에틸렌(PE)수지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 두께는 약 0.3mm 전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내층(20)의 두께도 사용하는 합성수지 또는 용기의 용적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으나, 외층(10)이 단독으로 충분한 강성을 발현하는 경우에는 외층(10)보다도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층(10) 및 내층(20)은 필요에 따라 동종 재료 또는 이종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층(10) 및 내층(20)을 서로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여러가지 형태가 채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 및 내층(10,20)의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 사이에 박리층(30)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박리층(30)은 외층(10) 또는 내층(20)에 대해서 박리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며, 그와 같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박리층(30)도 소망하는 박리성을 발현하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외층(10)의 두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즉 아직 용기로서 사용하지 않은 운반시 및 보관시에는 복수개의 적층체를 각각의 곡면부분(11,21)을 서로 맞대어 포개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반시 및 보관시의 적층체 전체로서의 소요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를 액체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층(20)의 반원통상 돌출부분(22)의 표면에 흡인관(40)으로 부압을 작용시켜서 상기 돌출부분(22)을 외층(10)의 돌출부분(12)으로부터 박리시킨 후, 양 돌출부분(12,22)의 내면 상호간에 형성되는 원통상의 선단 개구로부터 에어노즐(41)을 삽입하고, 에어노즐(41)로부터 적층체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내층(20)의 곡면부분(21)을 바깥 방향으로, 즉 외층(10)의 곡면부분(1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반전·팽창시켜서 양 곡면부분(11,21)의 내면 상호간에 액체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말할 것도 없이, 이 상태에서는 내층(20)의 곡면부분(21)이 외층(10)의 곡면부분(11)과는 역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액체 용기내에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노즐(42)로부터 액체를 충전한다. 이어서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한 한쌍의 금형(43a,43b)에 의해 양 돌출부분(12,22)의 외면을 클램핑하여 융착시켜 봉지하는 동시에, 도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좁아서 비교적 취약한 파단부(14,24)를 성형한다.
또한 액체가 충전된 용기로부터 액체를 주출할 때는 도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단부(14,24)에서의 돌출부분(12,22)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비틀음으로써 파단시켜 액체 주출구를 개구시킨다. 용기내의 액체 전량을 소비한 후, 다 사용한 용기는 내층(20)의 곡면부분(21)이 외층(10)의 곡면부분(11)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시킨다. 그리고 다 사용한 용기는 도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를 겹쳐 쌓아 폐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폐기물의 용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성의 박육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1)에서는 압출기(50)로부터 박육 합성수지 시트(51)를 압출한다. 이 합성수지 시트(51)는 적층체의 외층(10) 및 내층(20) 중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것이다. 합성수지 시트(51)는 코로나 방전(52)에 의한 코로나 처리를 행한 후, 릴(53)에 감는다. 코로나 처리는 후술하는 인쇄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합성수지 시트(51)의 표면 조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스텝(2)에서, 릴(53)로부터 합성수지 시트(51)를 풀어 내어, 코로나 처리로 표면 조도를 높인 표면에 예를 들어 그래픽 인쇄에 의해 소망하는 장식 패턴(54)을 인쇄하고, 이면에는 소정의 영역 즉 적층체의 곡면부 및 돌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박리재(55)로서 박리 잉크를 인쇄 또는 도포한 후, 다른 릴(56)에 감는다.
스텝(3)에서는 다른 압출기(57)로부터 박육 합성수지 시트(58)을 압출한다. 이 합성수지 시트(58)는 적층체의 외층(10) 및 내층(20) 중 다른 쪽을 구성하는 것이다. 압출기(57)로부터 압출된 합성수지 시트(58)를 릴(56)로부터 풀어 낸 합성수지 시트(51)와 포개고, 그 상태에서 1쌍의 히트롤(59a,59b) 및 1쌍의 히트롤 (59b,59c)에 통과시켜 소위 라미네이트 열압착을 행한다. 이 경우, 1쌍의 히트롤에 통과하기 전의 합성수지 시트(51)는 비교적 저온이고, 합성수지 시트(58)는 압출기(57)로부터 압출된 직후이므로 비교적 고온이다. 즉 합성수지 시트(51,58)는 온도차를 갖고 압착되는 것이다. 이 때 합성수지 시트(51,58)는 동종 재료로 구성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시트(51,58) 사이에 충분한 박리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래 동종 재료로 된 합성수지 시트(51,58)를 거의 동일한 온도하에서 압착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시트(51,58)가 서로 밀착 경향을 띠기 때문에 충분한 박리성을 얻기 어렵다. 또한 라미네이트 열압착에 의해 얻어진 적층 시트(60)를 릴(61)에 감는다.
스텝(4)에서는 적층 시트(60)를 릴(61)로부터 풀어 내어, 역시 인쇄공정의 전처리로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적층 시트(60)를 릴(62)로 감는다.
스텝(5)에서, 적층 시트(60)를 릴(62)로부터 풀어 내어, 이면에 소망패턴의 인쇄를 실시한 후, 적층 시트(60)를 릴(63)에 감는다.
최후의 스텝(6)에서는, 적층 시트(60)를 릴(63)로부터 풀어 내어, 히터(64)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65)에 세팅하여 금형(65)의 오목부 형상에 적합도록 성형한다. 이 성형공정에서는 기지의 성형방법, 예를 들어 표면측에 정압을 작용시키는 압공 성형법, 이면측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진공 성형법, 또는 이들을 조합한 진공-압공 성형법 등의 각종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금형(65)내에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적층 시트(60)에 공구(66)로 트리밍을 실시하여, 박육 합성수지 적층체의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을 따른 플랜지상 가장자리부가 남도록 적층 시트(60)의 주변 영역을 절단한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 적층체(67)는 박리재가 인쇄 또는 도포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2장의 박육 합성수지 시트(51,58)가 성형시의 가열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5a~도5f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불어 넣음으로써 내층을 반전시켜 액체 용기(68)를 형성한 후에 액체를 충전하고, 돌출부분의 개구부를 봉지하여 최종 제품(69), 즉 액체가 충전된 상태의 박육 용기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박육 적층체의 제조 공정에 대해 다른 구체예를 도7에 따라 설명한다. 본 예는 기본적으로는 도6에 대해 설명한 공정과 마찬가지이나, 약간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스텝(1)에서, 박육 합성수지 적층체의 외층(10) 및 내층(20) 중 어느 한쪽을 구성하는 박육 합성수지 시트(51)를 압출기(50)로부터 압출하고, 코로나 처리를 행한 후에 릴(53)에 감는다. 또한 박육 합성수지 적층체의 외층(10) 및 내층(20) 중 다른 쪽을 구성하는 박육 합성수지 시트(58)를 압출기(57)로부터 압출하고, 코로나 처리를 행한 후에 릴(80)에 감는다.
스텝(2)에서는 릴(53)로부터 합성수지 시트(51)를 풀어 내어, 코로나 처리가 행해진 표면에 그래픽 인쇄 등으로 소망하는 장식 패턴(54)을 인쇄하고, 이면에는 적층체의 곡면부 및 돌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박리재(55)로서 박리 잉크를 인쇄또는 도포한 후, 릴(56)에 감는다. 또한 도6의 스텝(5)에 대응하는 공정으로서, 릴(80)로부터 합성수지 시트(58)를 풀어 내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표면에 그래픽 인쇄 등으로 소망하는 장식 패턴(81)을 인쇄한 후 릴(82)에 감는다.
스텝(3)에서는 릴(56)로부터 풀어 낸 합성수지 시트(51)와, 릴(82)로부터 풀어 낸 합성수지 시트(58)를 포개고, 그 상태에서 1쌍의 히트롤(59a,59b)에 통과시켜서 소위 라미네이트 형식의 열압착을 행한다. 이 경우 1쌍의 히트롤에 통과시키기 전의 합성수지 시트(51,58)는 거의 동일 온도하에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 시트(51,58) 사이에 충분한 박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합성수지 시트(51,58)는 이종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열압착에 의해 얻어진 적층 시트(60)는 릴(63)에 감는다.
스텝(4)은 릴(63)로부터 풀어 낸 적층 시트(60)를 히터(64)로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65)에 세팅하여 금형(65)의 오목부 형상에 적합하도록 성형하는 동시에, 성형된 적층 시트(60)에 공구(66)로 트리밍을 실시하여 박육 합성수지 적층체의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을 따른 플랜지상 가장자리부가 남도록 적층 시트(60)의 주변 영역을 절단한다. 이것은 도6의 스텝(6)의 스텝에 대응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박육 적층체의 제조 공정에 대해, 또 다른 구체예를 도8에 따라 설명한다. 본 예는 기본적으로는 도7에 대해 설명한 공정과 마찬가지이나, 약간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본 예의 스텝(1)은 도7의 스텝(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스텝(2)에서, 릴(53)로부터 합성수지 시트(51)를 풀어 내어, 코로나 처리가 행해진 표면에 그래픽 인쇄 등으로 소망하는 장식 패턴(54)을 인쇄하여 릴(56)에 감지만, 이면의 박리 잉크의 인쇄 또는 도포는 행하지 않는다. 또한 릴(80)로부터 합성수지 시트(58)를 풀어 내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표면에 그래픽 인쇄 등으로 소망하는 장식 패턴(81)을 인쇄하여 릴(82)에 감는다.
스텝(3)에서는 릴(56)로부터 풀어 낸 합성수지 시트(51)와, 릴(82)로부터 풀어 낸 합성수지 시트(58)를 제품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박리 시트(83)를 삽입한 상태에서 포개고, 그 상태에서 1쌍의 히트롤(59a,59b)에 통과시켜서 소위 라미네이트 형식의 열압착을 행한다. 또한 열압착에 의해 얻어진 적층 시트(60)는 릴(63)에 감는다.
박리 시트(83)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종이 또는 가수지(加水紙)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박리 시트(83)가 합성수지 시트(51,58) 사이의 충분한 박리성을 발현시키기 때문에, 합성수지 시트(51,58)는 동종 재료이어도 좋고, 이종 재료이어도 좋다. 즉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외층 및 내층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시트의 재료를 선택할 때 선택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하 스텝 4는 도6의 스텝 6 또는 도7의 스텝 4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8의 공정으로 제조된 박육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 내층을 반전시켜 용기를 형성한 후에 그 용기내로 액체를 충전하는 단계에서, 박리 시트(83)는 필요에 따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 의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외층 및 내층으로서의 합성수지 시트(10,20)의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을 따라 가장자리부(13,23)의 상호간에 접착제층(90)을 삽입하여 양 시트(10,20)를 일체로 하고, 곡면부분(11,21) 및 돌출부분(12,22)에서는 서로 박리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합성수지 시트(10,20)의 적층체로서의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액체 충전시에 내층(20)의 곡면부분(21)을 반전시켜 외층(10)의 곡면부분(11)과 역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 이외의 점에서는 본 예에 의한 적층체는 도1~도4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제의 박육 적층체가 곡면부분에 의한 정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충전된 액체 용기로서 사용시에 안정하게 유지하기 쉽고, 내용물의 주출량이나 주출 방향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곡면부분의 형상도 종래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평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용도에 따라 소망하는 입체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이한 구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일반적인 생산 설비를 사용하는 상기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본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가지 발전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두말 할 필요도 없다. 그와 같은 형태의 몇 가지 대해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액체를 충전한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 내층의 곡면부분을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11a~도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의 적어도 내층(120)의 곡면부분(121) 단면 형상을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123) 사이에서 단일의 곡률 반경(R)을 갖는 원호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120)의 곡면부분(121)이 양측 가장자리부(123)와의 접합 영역이나 곡면부분(121)의 중간 영역에 각부를 갖는 경우에는, 곡면부분(121)의 반전시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반전이 곤란해지고, 또 응력이 발생한 부위는 내충격성이 저하한다. 또한 곡면부분(121)과 양측 가장자리부(123)와의 접합 영역이나 곡면부분(121)의 중간 영역에서 곡률 반경이 변화할 경우에는 응력 집중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지만, 특히 양측 가장자리부(123)와의 접합 영역에 곡률 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반전시에 곡면부분(121)이 초기 형상으로 복원 변형하는 경향을 나타내서, 반전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해진다. 이같은 문제점은 곡면부분(121)의 단면 형상을 단일의 곡률 반경(R)을 갖는 원호상으로 함으로써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적층체의 적어도 내층(120)의 돌출부분(122) 단면 형상도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123) 사이에 단일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 하면, 돌출부분(122)의 반전 특성도 향상할 것으로 생각될 지도 모르지만, 검증한 결과 반전 영역이 작기 때문에 각별한 개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는, 주출량 여하에 따라 개구부가 열린 채로 되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내층(120)의 돌출부분(122)은 도12a,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면부분(121)의 반전시에도 외층(110)과 거의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기 전도시의 액누출이나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12a,도12b의 화살표는 돌출부분(122)의 절단 부위를, 상상선은 용기 길이 방향의 돌출부분(122)의 능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13a,도13b 및 도14a,도14b는 이같은 착상에 의거한 용기 개구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층(110) 및 내층(120)의 돌출부분에 용기 개구부(130a)와 액체 충전구(130b)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도13a,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110) 및 내층(120)은 돌출부분에 항시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개구부(130a)는 닫혀있다. 따라서 용기 전도시의 액누출이나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곡면부분을 압착하여 용기의 내압을 높이면, 도14a,도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130a)가 내압으로 개구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더욱 발전시켜, 용기 전도시의 액누출이나 내용물의 산화를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15a~도15c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용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돌출부(112,122)에 외층(110) 및 내층(120)에 호상 단면을 갖는 돌기부(115,125)를 설치한다. 이들 돌기부(115,125)는 용기 개구부의 내용물의 유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성을 갖게하여 연재시키고, 평상시는 도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용기 전도시의 액누출이나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곡면부분을 압착하여 용기의 내압을 높이면 도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떨어져서 용기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는 액체를 충전한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 높은 자립안정성을 발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적층체의 외층 및 내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의 반전성을 중시하여 내층의 합성수지 시트를 너무 얇게 하면, 액체 충전시에 용기가 내층측으로 넘어지는 경향이 조장된다. 외층 및 내층의 합성수지 시트를 다같이 극히 얇게(예를 들어 0.3mm 미만)하면, 플랜지상의 가장자리부(133)가 내층측으로부터 당겨져서 용기가 외층측으로 넘어지는 경향이 생기는 결과, 상술한 내층측으로 넘어지는 경향이 없어지고, 내용물의 중량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가 저면 전체로 지지된다. 그러나 용기 전체의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도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110) 및 내층(12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예를 들어 0.5mm 전후)하면 용기 전체의 충분한 강성이 얻어지고, 외층(110) 및 내층(120)의 최하점(a,b)과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의 선단(c)으로 용기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11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0.3mm 정도로 하고, 내층(12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만을 약간 두껍게(예를 들면 0.5mm 전후)할 경우에는,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가 외층(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용기의 자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16b의 구성을 전제로 하여, 도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저부 형상을 더욱 평탄화한 경우에는, 용기가 저면의 거의 전체로 지지되기 때문에 용기의 자립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16b의 구성을 전제로 하여, 도17a,도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층(120)의 반전시에 용기 저부에서 외층(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를 연장하여, 용기가 주로 외층(110)의 최하점과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의 선단으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여 용기의 자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상술한 구성과는 반대로,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11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예를 들어 0.5mm 전후)하고, 내층(12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0.3mm 정도로 할 경우에는, 내층(120)을 반전시킬 때에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가 내층(1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용기의 자립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9a,도19b는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외층(11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예를 들어 0.5mm 전후)하고, 또한 내층(12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0.3mm 정도로 한 구성에서, 외층(110)의 최하점과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의 선단과의 간격(L1)을 내층(120)의 최하점과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의 선단과의 간격(L2)보다 크게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층(110)측으로 지지하는 내용물의 중량부분과, 내층(120)측으로 지지하는 내용물의 중량부분을 각각의 강성에 따라 보다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고, 약간 두꺼운 합성수지 시트로 된 외층(110)이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20a~도20c는 상술한 플랜지상 가장자리부(133)를 갖는 적층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165)을 나타낸 것이다.
도21a,도21b는 도19a,도19b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외층(11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예를 들어 0.5mm 전후)하고, 또한 내층(120)의 합성수지 시트의 두께를 0.3mm 정도로 한 구성에서, 외층(110) 및 내층(120)의 접합부위의 근방영역(134)에 박리재를 적용하고 있지 않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박리재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는 외층(110) 및 내층(120)이 용기로서의 사용시에도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 예에 있어서도 외층(110)측으로 지지하는 내용물의 중량부분과, 내층(120)으로 지지하는 중량부분을 각각의 강성에 따라 보다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고, 약간 두꺼운 합성수지 시트로 된 외층(110)이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도 도21c는 본 예의 적층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165) 및 트리밍 공구(166)를 나타낸 것이다.
도22a~도22c는 외층(110) 및 내층(120)이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용기저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분(111,121)의 가장자리부에서 되접은 형태로 서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외층(110) 및 내층(120)의 접은 가장자리부가 액체 충전시의 용기 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기저부는 플랜지가 없는 평탄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3a~도23c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적층체의 돌출부분에 나사부(135)를 열용착 또는 초음파 접착으로 고정한다. 나사부(135)에는 적층체를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 캡(136)을 끼울 수 있다. 도24a,도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부(135)로부터 캡(136)을 떼어내고, 각종 형상의 디스펜서·노즐유닛(137,138)를 나사부(135)에 장착하여 용기의 편이성을 높인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예의 적층체에 있어서, 나사부(135)를 설치한 돌출부분 양측의 플랜지상 가장자리부를 확대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예를 들어 상품 진열대의 현수 금구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이외의 다종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Claims (20)
- 액체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로서,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영역을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돌출부분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박육 합성수지층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층은 각각의 곡면부분이 동일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적층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층이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일체로 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서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액체 충전시에 제 1 및 제 2 층중 어느 한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을 다른 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반전시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에 따라 액체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을 양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하고, 또한 제 1 및 제 2층이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되접은 형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되접은 가장자리부가 액체 충전시의 용기 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은 모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를 갖고, 또한 상기 플랜지에서 서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은 모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를 갖고, 또한 이들 플랜지 상호간에 접착제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 중 어느 한쪽 층의 적층면측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이들 합성수지 시트는 소정의 온도차 하에서 적층되어 박리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사이에 다른 재질의 박리 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이 적층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박리성을 발현하는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한쪽은 적어도 액체 충전시에 용기가 그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의 상기 돌출부분에 의해 중공 원통상의 주출구가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의 상기 돌출부분에 주출구를 개구하기 위한 파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의 상기 돌출부분이 캡, 노즐 유닛 및 캡 또는 노즐유닛의 장착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 액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모두 곡면부분과, 상기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소정 영역을 외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돌출부분을 갖는 박육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층을 각각의 곡면부분이 동일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적층하고, 또한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일체로 하는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서로 박리 가능하게 하여, 액체 충전시에 제 1 및 제 2 층중 어느 한쪽 층에서의 곡면 부분을 다른쪽 층에서의 곡면부분으로부터 박리시키면서 반전시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에 따라 액체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이 양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적층체를 얻고, 또한 제 1 및 제 2층을 단일의 합성수지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돌출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분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되접은 것을 특징으로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을 각각의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에서 서로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을 각각의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재하는 플랜지에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3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 중 어느 한쪽 층의 적층면측에,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박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분 및 돌출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층 사이에 다른 재질의 박리 시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을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형성되고, 이들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온도차 하에서 적층하여 박리성을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층의 상기 돌출부분에 중공 원통상의 주출구를 개구 가능하게 하는 파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316443 | 1997-10-30 | ||
JP31644397 | 1997-10-30 | ||
JP31641897 | 1997-10-31 | ||
JP97-316418 | 1997-10-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9759A KR20000069759A (ko) | 2000-11-25 |
KR100346035B1 true KR100346035B1 (ko) | 2002-07-24 |
Family
ID=2656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5895A KR100346035B1 (ko) | 1997-10-30 | 1998-10-30 | 액체 용기용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6586060B2 (ko) |
EP (1) | EP1036739B1 (ko) |
JP (1) | JP3993249B2 (ko) |
KR (1) | KR100346035B1 (ko) |
CN (1) | CN1088676C (ko) |
AU (1) | AU719458B2 (ko) |
CA (1) | CA2276440C (ko) |
DE (1) | DE69827842T2 (ko) |
TW (1) | TW446630B (ko) |
WO (1) | WO199902299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5122A (ko) * | 2017-11-17 | 2020-05-20 | 주식회사 쿠라레 | 시트 성형체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55698A1 (en) * | 2002-09-24 | 2004-03-25 | Tran Hai Q. | Method of improving lamination quality by treating media with plasma |
US20070215586A1 (en) * | 2006-03-16 | 2007-09-20 | Clifford Graillat | Nickel alloy welding wire |
AU2007272714A1 (en) * | 2006-07-14 | 2008-01-17 | The Glad Products Company | Bag with improved features |
DE102007028009A1 (de) * | 2007-06-14 | 2008-12-18 | Va-Q-Tec Ag | Behälter mit konkaven Flächen |
AU2009313261A1 (en) * | 2008-11-10 | 2012-11-01 | Eco.Logic Brands Inc. | Thermoformed liquid-holding vessels |
US8628243B2 (en) * | 2008-12-15 | 2014-01-14 | The Glad Products Company | Bag with improved features |
BRPI0923104A2 (pt) * | 2008-12-19 | 2016-04-26 | Jim F Warner | recipiente ambientalmente amigável para líquidos |
USRE48027E1 (en) * | 2008-12-19 | 2020-06-02 | Double Double D, Llc | Environmentally friendly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8672544B2 (en) | 2009-04-01 | 2014-03-18 | Scott E. Andochick |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storage and transport |
USD787949S1 (en) | 2009-04-01 | 2017-05-30 | Scott E. Andochick | Water bag |
US9463914B2 (en) * | 2009-04-01 | 2016-10-11 | Scott E. Andochick | Method and apparatus for material storage and transport |
US9809369B2 (en) | 2009-04-01 | 2017-11-07 | Scott E. Andochick | Method and apparatus for material storage, transport and dispensation |
US8857663B2 (en) * | 2009-11-12 | 2014-10-14 | Mds Global Holding Ltd. | Container for dispensing a substance |
WO2011083055A1 (en) * | 2010-01-05 | 2011-07-14 | Novo Nordisk A/S | Method for forming collapsible reservoir |
ITMO20130197A1 (it) * | 2013-07-09 | 2015-01-10 | Lameplast Spa |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fiale per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medicali, farmaceutici, cosmetici, alimentari o simili. |
JP6307812B2 (ja) * | 2013-08-23 | 2018-04-11 | 凸版印刷株式会社 | 液体用包装袋の製造方法 |
CN103935576B (zh) * | 2014-04-09 | 2016-03-09 | 卓高泰(广州)包装有限公司 | 一种可再密封吸塑容器 |
US20170313045A1 (en) | 2014-11-04 | 2017-11-02 | B4H Sa | Manufacturing process for glue-less multi-layer decorated film and thermoformed product obtained therewith |
US10035621B2 (en) | 2015-04-08 | 2018-07-31 | Double Double D, Llc | Multi-barrier bottles having tabbed preform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USD843226S1 (en) * | 2016-03-23 | 2019-03-19 | Societe Bic | Shaver packaging |
US11286096B2 (en) * | 2016-03-30 | 2022-03-29 | Pouch Pac Innovations, Llc | Opening mechanism for plastic vial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278641A (ko) | 1961-05-24 | |||
US3354924A (en) * | 1966-05-23 | 1967-11-28 | Owens Illinois Inc | Collapsible container |
US3643650A (en) * | 1970-05-25 | 1972-02-22 | Harvey A Elder |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bacteriological information |
US3862684A (en) * | 1971-04-26 | 1975-01-28 | Karlsruhe Augsburg Iweka | Aseptic pack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filling it |
US4467588A (en) * | 1982-04-06 | 1984-08-28 |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 Separated packaging and sterile processing for liquid-powder mixing |
JP2895156B2 (ja) * | 1990-04-05 | 1999-05-24 |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 ピール型液状物充填用プラスチック容器 |
EP0854092A3 (en) * | 1992-10-08 | 1998-07-29 | Unifill International A/G | Container of thermofarmable and heat sealable material |
EP0673213A1 (en) * | 1992-12-18 | 1995-09-27 | R.P. Scherer Corporation | Fragrance sample container |
JPH07132941A (ja) * | 1993-11-02 | 1995-05-23 | Kureha Chem Ind Co Ltd | ラップフィルム包装体 |
JPH0848364A (ja) * | 1994-08-02 | 1996-02-20 | Fujimori Kogyo Kk | プラスチック容器 |
ES2154300T3 (es) * | 1994-10-11 | 2001-04-01 | Masayosi Mazda | Recipiente en forma de acordeon. |
US5609899A (en) * | 1995-07-05 | 1997-03-11 | Spector; Donald | Collapsible canteen for soft drink |
JP3282483B2 (ja) * | 1996-01-31 | 2002-05-13 | 凸版印刷株式会社 | 液体用容器 |
-
1998
- 1998-10-30 AU AU96515/98A patent/AU719458B2/en not_active Ceased
- 1998-10-30 EP EP98950481A patent/EP103673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30 US US09/331,957 patent/US658606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30 CN CN98801637A patent/CN108867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30 DE DE69827842T patent/DE69827842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30 JP JP52593099A patent/JP399324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30 WO PCT/JP1998/004942 patent/WO1999022996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8-10-30 CA CA002276440A patent/CA227644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30 KR KR1019997005895A patent/KR1003460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
- 1999-04-27 TW TW088106738A patent/TW44663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5122A (ko) * | 2017-11-17 | 2020-05-20 | 주식회사 쿠라레 | 시트 성형체의 제조 방법 |
KR102359402B1 (ko) | 2017-11-17 | 2022-02-08 | 주식회사 쿠라레 | 시트 성형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20132069A1 (en) | 2002-09-19 |
TW446630B (en) | 2001-07-21 |
DE69827842D1 (de) | 2004-12-30 |
CN1242750A (zh) | 2000-01-26 |
KR20000069759A (ko) | 2000-11-25 |
AU719458B2 (en) | 2000-05-11 |
CA2276440C (en) | 2004-05-18 |
AU9651598A (en) | 1999-05-24 |
CN1088676C (zh) | 2002-08-07 |
US6586060B2 (en) | 2003-07-01 |
DE69827842T2 (de) | 2005-12-08 |
WO1999022996A1 (fr) | 1999-05-14 |
EP1036739B1 (en) | 2004-11-24 |
JP3993249B2 (ja) | 2007-10-17 |
CA2276440A1 (en) | 1999-05-14 |
EP1036739A4 (en) | 2003-01-02 |
EP1036739A1 (en) | 2000-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6035B1 (ko) | 액체 용기용의 박육 합성수지제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
JP3691108B2 (ja) |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EP0781709B1 (en) | Non-round easy-grip composite container | |
KR20080041689A (ko) | 주출구부를 구비한 백 | |
JPH10218193A (ja) | 液用可撓容器 | |
US4004727A (en) | Laminate for the manufacture of liquid-tight packing containers and a blank for packing containers manufactured from the laminate | |
JP5983917B2 (ja) | 注出口付き包装袋 | |
JP2000007031A (ja) | 詰め替え用ポンプ付き容器 | |
JP2009057071A (ja) | 自立型袋 | |
JP4074001B2 (ja) | 自立性パウチ | |
JP5899618B2 (ja) | 注出口付包装袋及び注出口付包装袋の製造方法 | |
JP2000142720A (ja) | リブ付き軟包装容器 | |
JP6953782B2 (ja) | 液体用紙容器 | |
JP2003237788A (ja) | カートリッジ式トレー容器 | |
JP2009227282A (ja) | 注出口部付き自立袋 | |
JP2001163322A (ja) | 発泡樹脂層を有する容器 | |
JP4184477B2 (ja) | チューブ状容器 | |
JP5186844B2 (ja) | 自立型袋 | |
JP7135273B2 (ja) | 液体用紙容器 | |
JP2007112452A (ja) | 注出補助部材およびその注出補助部材を袋の注出口部に貼着した注出口部付き袋 | |
JP2584564Y2 (ja) | 注出管付き袋体 | |
JP4210102B2 (ja) | 自立袋 | |
JP2022166769A (ja) | 複合容器 | |
JP4416066B2 (ja) | カートリッジ式トレー容器 | |
JPH11310253A (ja) | 口部開口維持シート部材付パウ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