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97B1 - 전자기기및이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및이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97B1
KR100328197B1 KR1019940020363A KR19940020363A KR100328197B1 KR 100328197 B1 KR100328197 B1 KR 100328197B1 KR 1019940020363 A KR1019940020363 A KR 1019940020363A KR 19940020363 A KR19940020363 A KR 19940020363A KR 100328197 B1 KR100328197 B1 KR 10032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utton
mode
button
operat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842A (ko
Inventor
미즈노도모꼬
다까하시도시유끼
야마구찌히로시
히사마쯔노부아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예를 들어, 디스크 플레이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튜너 또는 증폭기 등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기기는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다수의 조작 버튼은: 기록 매체의 재생부의 재생, 음악 선곡 및 튜너 선곡을 개시하거나 중단시키고 증폭기의 음량 조절 동작을 스위치하는 것과 같은 전자 기기의 기본 동작을 위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 재생 매체의 재생부의 무작위 재생, 등화 특성의 조절, 및 음질 또는 음장의 조절 동작을 스위칭 등과 같은 기본 동작과 관련된 추가 기능 버튼으로 구성된다. 제어 회로가 전자 기기에 제공되고, 정상 동작 모드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 모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치 한다. 단순 조작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 회로는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치하여 기본 동작 조작 버튼에 응답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치하고 추가 기능 버튼의 조작은 수용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쉽게 조작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플레이어부, 튜너부 및 테이프 레코더부가 일체로 되어 있는 종래의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다.
즉, 디스크 플레이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연주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프로그램 재생, 원하는 연주를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반복 재생, 및 무작위 재생과 같은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테이프 레코더부는 튜너부와 협동으로 더빙 또는 타이머 레코딩을 선택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증폭기부 스위치는 디스크 플레이어부, 테이프 레코더부 및 튜너부로부터 나온 프로세싱 오디오 신호를 재생음으로 출력할 때 내장 디지탈 신호프로세서의 동작을 스위칭함으로써, 다양한 음장(sound field)이 발생될 수 있고 음질이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위 오디오광으로 불리는 사용자들은 이러한 종류의 오디오 기기에 의해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기능들이 오디오 기기에 추가되면, 스위치와 같은 조작 버튼의 증가를 피할 수 없으므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기기를 조작하기 어렵다.
심한 경우에는, 미숙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기기를 전혀 조작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의 한가지 해결책은 미숙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버튼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기능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몇 가지의 기능이 제거된다면 오디오광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데, 이러한 오디오 기기는 그들이 원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 상반되는 문제들이 해결되면, 미숙한 사용자와 오디오 광들이 이러한 오디오 기기를 공유할 수 있어서, 기기의 유용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조작 버튼,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다수의 조작 버튼은 전자 기기의 기본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 기본 동작과 관련된 추가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추가 기능 조작버튼, 및 단순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가 전자 기기 내에 설치되어, 정상 동작 모드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 및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칭한다. 단순 조작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 회로는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고,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칭하며, 동시에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기기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와, 입력부의 다수의 조작 버튼 가운데 조작된 조작 버튼이나 단순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고 있다.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 방법에 의해, 재생부의 재생 동작은 재생부가 정상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입력부의 다수의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단순 재생 모드에서는 재생부의 재생 동작은 다수의 조작 버튼중에서 단순 재생 모드에서 사용되는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이 조작될 때,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단순 재생 모드로 전환되고, 기본 동작을 위한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만을 허용하므로, 미숙한 사용자라도 전자 기기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나아가, 숙련된 사용자도 역시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원하는 데로 전자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 및 이점을 포함하여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동일 소자에 동일 참조 부호가 병기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의해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분명하게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 및 제어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오디오 장치의 한 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서, 1은 디스크 플레이어부(2), 테이프 기록부(3), 및 튜너 및 증폭부(4)로 구성된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전면의 조작 패널 상에 배치된 트레이(tray) 개폐 조작 버튼(5)이 눌러지면, 조작 버튼(5)의 뒷면에 배치된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트레이(6)는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본체로부터 불쑥 나오거나 본체에 수납된다. 조작 버튼(5)이 디스크 플레이어부(2)로부터 트레이(6)를 불쑥 나오도록 조작되면,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를 트레이(6) 상에 배치할 수 있고, 조작 버튼(5)이 트레이(6)를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본체에 수납되도록 조작되면, 이 디스크는 디스크가 재생부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위치로 운반된다. 또한, 재생 동작이 종료될 때, 조작 버튼(5)은 디스크 플레이어부(2)로부터 트레이(6)를 불쑥 나오도록 다시 조작되므로, 디스크는 디스크가 교환될 수 있는 위치로 운반된다.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재생 조작 버튼(7)을 갖추고 있다. 재생 조작 버튼(7)이 눌러지면, 디스크의 재생 동작이 개시된다. 조작 버튼(7)을 누름으로써 동작하는 스위치는 조작 버튼(7)의 뒷면에 배치된다. 스위칭 조작은 조작 버튼(7)을 조작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될 조작 버튼은 동일한 방식으로 뒷면에 스위치를 갖는다. 조작 버튼(7)이 눌러지면, 이로 인해 재생부의 디스크는 일시 정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재생을 정지하기 위한 조작 버튼(8)은 조작 버튼(7)의 하부에 배치된다.
더우기,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탐색 조작 버튼(9 및 10)은 버튼(7 및 8) 옆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9 또는 10)이 계속해서 눌러지면, 원하는 음악이 버튼(9 또는 10)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탐색된다. 또한, 조작 버튼(9 또는 10)이 간헐적으로 눌러지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은 건너뛸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헤드폰 잭(11) 및 마이크로폰 잭(12)은 조작 버튼(9 및 10) 하부에 배치된다. 헤드폰은 헤드폰 잭(11)에 접속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기록된 음악을 혼자 들을 수 있다. 마이크로폰이 마이크로폰 잭(12)에 접속될 때, 사용자는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 노래를 즐길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부(2)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 이외에, 추가 기능을 스위칭하기 위한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이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트레이 하부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13 내지 20)을 조작하여 오디오 광 같은 사용자는 이 기능을 만족스럽게 다룰 수 있다.
즉, 정상 동작 모드에서, 재생 버튼(13)이 연속적으로 눌러질 때,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기록된 음악을 디스크의 내측 영역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재생시킨다. 이와 반대로, 무작위 재생 버튼(14)이 눌러질 때,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디스크 상에 기록된 음악을 무작위로 재생한다. 유사하게, 프로그램 재생 버튼(15)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눌러질 때, 다수의 기록된 음악들이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실행 순서대로 재생 되는 반면에, 재생 버튼(16)이 반복해서 눌려질 때, 재생 동작은디스크 상에 기록된 한 음악 또는 모든 음악에 대해 계속해서 반복된다.
더우기, 연주 시간 조작 버튼(17)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눌러질 때,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재생중인 연주의 경과 시간 및 나머지 시간, 즉 디스크 상에 기록된 음악의 헤드로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재생중인 위치로부터 마지막 음악의 마지막 기록 위치까지의 나머지 시간을 표시부(45) 상에 표시한다. 검사 조작 버튼(18)이 눌러질 때,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 버튼(19)이 조작될 때, 이 동작 모드는 취소될 수 있다. 표시부(45)는 액정 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편집 조작 버튼(20)이 눌러질 때, 디스크가 테이프 기록부(3)의 기록 동작에 응답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전체 동작이 스위칭된다.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은 작고 트레이(6) 하부에 정렬되는 반면에,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은 크고 그 기능에 관한 심볼을 갖고 있으며 전면 패널의 우측 상의 트레이(6) 옆에 모두 배치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경험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디스크가 재생되는 동안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을 조작하여야 하고, 또한 이 조작 버튼은 매우 자주 조작된다.
그러므로, 각각 심볼을 갖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을 대형화하여 배치하면, 버튼이 부정확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경험 없는 사용자들은 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의 각 기능은 각 조작 버튼(13 내지 20)의 상부 패널 상에 인쇄된 문자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각 조작 버튼(13 내지 20)은 용이하게 식별된다.
즉, 조작 버튼(13 내지 17)에는 "계속", "셔플(SHUFFLE)", "프로그램", "반복", 및 "시간"이라는 문자가 각각 지정되고, 조작 버튼(18 내지 20)에는 "검사", "클리어", 및 "편집"이라는 문자가 각각 지정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기록부(3)는 재생 전용 테이프 기록부(22)와 기록 가능 및 재생 가능 기록부(23)으로 구성된다. 기록 가능 및 재생 가능 기록부(23)에서, 기록부(23)는 재생 전용 테이프 기록부(22) 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조작 버튼은 대형화된다.
더 상세하게는, 기록 가능 및 재생 가능 기록부(23)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29)은 전면 패널(24)의 우측 상에 배치된다. 방출 조작 버튼(30)이 조작될 때, 전체 전면 패널(24)은 개방 또는 폐쇄되고, 테이프 카세트가 교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 기록부(23)에서, 큰 조작 버튼(25 내지 29)은 전면 패널(24)의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배치된다. 부수적으로, 전면 패널(24)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버튼(30)은 패널(24) 외부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조작 버튼(25 내지 30)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재생 버튼(25 또는 26)이 눌러지면, 테이프 기록부(3)는 재생 버튼(25 또는 26)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자기 테이프의 재생을 개시한다. 다음에, 정지 조작 버튼(27)이 눌러지면, 테이프 기록부(3)는 재생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전방-고속 또는 되감기 조작 버튼(28 또는 29)이 눌러지면, 전방으로 고속으로 감기거나 되감기고, 다음에, 재생하는 동안 전방-고속 또는 되감기 조작 버튼(28 또는 29)이 눌러지면, 큐(que) 동작 또는 리뷰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테이프 기록부(23)는 방출 버튼(30) 옆에 일시 정지 및 기록 조작 버튼(31 및 32)을 갖는다.
더우기, 테이프 기록부(23)에서, 추가 기능 조작 버튼(33 및 34)은 작은 조작 버튼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 버튼으로 인해, 오디오 광 같은 사용자라도 만족스러운 유용성을 얻을 수 있다.
즉, 테이프 기록부(23)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조작 버튼(33 및 34)의 조작을 허용한다. 조작 버튼(33)이 눌러지면, 테이프 기록부(22)에서 재생된 신호는 테이프 기록부(23)에서 고속 더빙이 실행될 수 있다. 조작 버튼(34)이 눌러지면,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재생된 오디오 신호는 테이프 기록부(23)에서 더빙된다.
조작 버튼(35)은 등화 특성을 전환하고, 조작 버튼(36)은 재생 방향을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테이프 기록부(23)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30)은 심볼을 갖고 대형화되어 있으며, 조작 버튼(30)을 제외한 조작 버튼(25 내지 29)은 전면 패널(24)의 우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작 버튼의 부정확한 조작이 감소될 수 있다.더우기, 경험 없는 사용자들도 이 조작 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결국, 오디오 장치(1)의 테이프 기록부(3)의 유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테이프 기록부(22)에서, 조작 버튼(25 내지 30)에 대응하여 작은 조작 버튼(38 내지 42)은 전면 패널(43)의 하부에 정렬된다. 이로 인해, 테이프 기록부(22)의 조작 버튼(38 내지 42)은 테이프 기록부(23)의 조작 버튼(25 내지 30)과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의 테이프 기록부(3)에서, 조작 버튼(25 내지 29)은 사용 빈도가 높은 테이프 기록부(23)가 우선 조작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2개의 테이프 기록부(22 및 23)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모두 조작 가능하게 설정되는 반면에,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될 때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테이프 기록부(23)만이 조작 가능하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기록부(3)에서, 2개의 테이프 기록부(22 및 23)의 한 시스템인 테이프 기록부(23)만을 단순 동작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우선적으로 조작되는 테이프 기록부(23)의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30)은 대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경험 없는 사용자라도 테이프 기록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추가 기능 조작 버튼(33 내지 36)과 관련하여, 각 조작 버튼(33 내지 36)의 기능을 나타내는 "고속 더빙", "CD 동기화" 같은 문자가 디스크 플레이어부(2)와 유사한 각 조작 버튼(33 내지 36)의 상부 패널 상에 인쇄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및 증폭부(4)는 전면 상에 액정 소자로 구성된 대형 표시부(45)를 갖는다. 표시부(45)는 동작 모드 등을 표시 한다.
튜너 및 증폭부(4)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 음량 제어 조작 버튼(46), 소스 스위치 조작 버튼(47), 및 튜너 및 밴드 선택 조작 버튼(48)은 대형으로 표시부(45) 옆에 배치된다.
튜너 및 증폭부(4)는 소스 스위치 조작 버튼(47)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튜너부, 디스크 플레이어부, 테이프 기록부 순서로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소스를 전환한다.
오디오 장치(1)에서, 소스 스위치 조작 버튼(47)의 이러한 기능 이외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조작 버튼(7), 테이프 기록부(3)의 조작 버튼(25), 또는 튜너 및 밴드 선택 조작 버튼(48)이 눌러지면, 누름-조작된 각 조작 버튼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소스는 전환된다. 그러므로,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튜너 및 밴드 선택 조작 버튼(48)이 눌러지는 경우에, 튜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소스가 튜너로 스위칭 되도록 동작 상태에서 턴 온 된다. 이와 반대로, 튜너가 사전에 소스로서 선택되면, 수신 밴드는 조작 버튼(48)에 의해 스위칭 된다.
그러므로, 경험 없는 사용자라도 튜너 및 증폭부(4)의 기본 동작 조작 버튼에 관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튜너 및 증폭부(4)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46 및 47)은 전면 패널의 우측에 모두 배치된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에서,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기본 동작 조작 버튼, 테이프 기록부(3), 및 튜너 및 증폭부(4)는 대형화되어 콘솔(console) 패널의 우측에 모두 배치된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은 함께 배치되기 때문에, 조작 버튼의 부정확한 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더우기, 경험 없는 사용자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튜너 및 증폭부(4)에서, 채널 선택 조작 버튼(49 및 50)은 튜너 선택 버튼(48) 옆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49 및 50)이 눌러지면, 프리세트(preset) 수신 채널은 무선 방송을 선택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선택된다. 프리세트/튜닝 조작 버튼(51)이 조작된 후에 조작 버튼(49 또는 50)이 조작되면, 수신 주파수는 가변적이 된다. 또한, 수신 주파수가 필요한 주파수로 설정되어 메모리 조작 버튼(60)이 눌러지면, 이로 인해 수신 채널이 프리세트될 수 있다.
튜너 및 증폭부(4)에서, 베이스 부스트(bass boost) 조작 버튼(52)은 버튼(49 및 50) 옆에 배치된다.
튜너 및 증폭부(4)에서, 증폭부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 기능 조작-버튼은 전면 패널의 중앙에 수평으로 정렬된다. 이 조작 버튼은 기본 동작 조작 버튼보다는 작다.
더 상세하게는, 튜너 및 증폭부(4)에서, 타이머 조작 버튼(53 내지 55)은 전면 패널의 좌측에 배치된다. 타이머 기록은 이 조작 버튼(53 내지 55)을 조작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현재 시간 등은 조작 버튼(53 내지 55) 옆의 클럭 설정 조작 버튼(56)을 조작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튜너 및 증폭부(4)에서, 음질, 음장 등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57 내지 59)이 배치된다. 이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는 양호한 음질 또는다른 효과음으로 들릴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튜너 및 증폭부(4)에서,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은 대형화되고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은 소형화되므로, 오디오 장치(1)에서, 조작 버튼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우기, 튜너 및 증폭부(4)에서, 대형 전원 스위치(61)는 튜너 및 증폭부(4)의 전면 패널 좌측에 배치된다. 이 전원 스위치(61)를 조작함으로써, 모든 시스템 전원이 턴 온 된다.
또한, 튜너 및 증폭부(4)에서, 스위치(61) 만큼 큰 단순 조작 버튼(62)은 전원 스위치(61)의 하부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조작 버튼(62)을 조작함으로써, 모든 동작 모드는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에서, 가장 기본적인 전원 및 단순 조작 버튼(61 및 62)이 대형 조작 버튼으로 형성되고, 다른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이 배치된 쪽에서 반대되는 콘솔 패널의 좌측의 가장 눈에 띄는 지점인 표시부(45)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경험 없는 사용자도 전원 및 단순 조작 버튼(61 및 62)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오디오 장치(1)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 기능 조작 버튼(52 내지 60) 상에는 "DEFB", "타이머 세트", "매일", "REC 타이머", "클럭 세트", "가라오께", "EFFECT", 및 "EQ 프리세트" 등과 같은 문자가 인쇄된다. 그러므로, 튜너 및 증폭부(4)에서, 각 조작 버튼(52 내지 60)은 쉽게 식별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에서, 디스크 플레이어부(2), 테이프 기록부(3), 및 튜너 및 증폭부(4)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회로(65, 66 및 67)를 각각 갖는다. 제어 회로(65, 66 및 67)는 각 부분(2, 3 및 4)을 제어한다. 제어 회로(67)는 모든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65 및 66)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65, 66 및 67)에서, 제어 데이타는 선정된 버스 "BUS"를 경유해서 서로 송수신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제어 회로(65)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 및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에 응답하여 또한 제어 회로(67)로부터 출력된 제어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조작을 제어한다.
더 상세하게는, 트레이 개방 및 폐쇄 조작 버튼(5)이 눌러지면, 제어 회로(65)는 로딩(loading) 모터(69)를 구동하기 위해 로딩 구동 회로(68)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트레이(6)는 디스크 플레이어부 본체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트레이(6)는 트레이(6)에 놓인 디스크를 디스크가 재생될 수 있는 위치로 운반하도록 수납되거나 디스크가 교환될 수 있는 위치로 디스크를 운반하기 위해 불쑥 나온다.
다음에, 트레이(6)가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본체에 수납되면, 제어 회로(65)는 디스크로부터 TOC 데이타를 독출하여 메모리 등에 메모리하기 위해 제어 데이타를 재생 블럭(70)에 출력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5)는 재생 블럭(70)을 구성하는 스핀들(spindle) 모터를 회전식으로 구동하고, 이로 인해 선형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디스크를 회전식으로 구동한다.
다음에, 제어 회로(65)는 광학 픽업(pickup)을 디스크의 내측 원주부에 형성된 도입부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재생 블럭(70)을 구성하는 쓰레드(thread) 모터를 구동하여 초점 탐색을 개시한다.
광학 픽업은 대물 렌즈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 빔을 조사하고, 특정 광 수신 소자에 의해 이 대물 렌즈를 통해 반사된 광의 광 빔인 되돌아온 빔을 동시에 수신한다. 그러므로, 재생 블럭(70)은 광 수신 소자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재생 신호, 초점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재생 블럭(70)은 재생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얻고, 초점 제어 및 트래킹 제어를 위해 초점 에러 신호 및 추적 에러 신호를 기초로 하여 초점 및 트래킹 방향으로 대물 렌즈를 이동시킨다.
초점 탐색 과정 중에, 제어 회로(65)는 광학 픽업의 대물 렌즈를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점차적으로 디스크로 접근시킬 때 초점 에러 신호를 모니터 한다. 이로 인해, 초점 에러 신호의 레벨이 상승 또는 하강한 후, 초점 서보 루프(focus servo loop)는 "0" 레벨을 지나는 타이밍에서 초점 서보를 개시하기 위해 폐쇄된다.
다음에, 제어 신호(65)는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디스크의 신호 기록 표면 상에서 초점이 맞춰질 수 있는 대물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를 초점 제어의 중심부로 설정한다.
이 방식으로 초점 탐색이 일단 종료된 다음, 제어 회로(65)는 도입부 영역의 독출을 개시하기 위해 트래킹 제어를 개시한다.
제어 회로(65)는 특정 메모리의 도입부 영역 내에 기록된 TOC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해 재생 클럭(7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재생 데이타를 취한다. 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의 연주 시간, 음악의 수, 기록 위치 등은 이 TOC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얻을 수 있다.
버튼(5, 7 내지 10)의 연속적인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65)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기 위하여 제어 데이타를 재생 블럭(70)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회로(65)는 메모리 내에 기억된 TOC 데이타에 의해 프로그램 재생, 무작위 재생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연주를 자유로이 재생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5)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 이외에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 및 셔플 재생과 같은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단순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5)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5, 7 내지 10)만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경험 없는 사용자도 단순 동작 모드에서, 디스크 플레이어부(2)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오디오 광 같은 경험 있는 사용자를 위한 이러한 추가 기능으로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지만, 조작 버튼이 증가하기 때문에 경험 없는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67)에 의해 제어되어 전체 동작 모드가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면, 제어 회로(65)는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이 조작되지 않게한다.
TOC 데이타가 메모리에 기억된 후 재생 조작 버튼(7)이 눌러지면, 디스크의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제어 회로(65)는 재생 블럭(70)을 구동한다. 조작 버튼(7 및 8)이 이 상태 다음에 조작되면, 회로(65)는 재생 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재생을 정지한다.
조작 버튼(7)이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눌러지면, 제어 회로(65)는 디스크가 초점 탐색의 결과에 의해 놓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크가 놓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 회로(65)는 트레이 개방 및 폐쇄 버튼(5)이 눌러지는 경우에서와 같이 재생 동작을 개시하지 않고 디스크 플레이어부(2)로부터 불쑥 나오도록 트레이(6)를 이동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컴팩트 디스크가 놓여지지 않으면, 광학 픽업은 반사광을 수신하지 않으므로, 초점 에러 신호가 검출될 수 없다. 제어 회로(65)는 디스크가 트레이(6)에 놓여 있는지 즉, 디스크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초점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재생 개시 버튼(7)을 조작하는 경우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사용자가 컴팩트 디스크를 넣을 수 있도록 디스크 플레이어부 본체로부터 트레이(6)를 불쑥 나오게 한다. 이로 인해,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순 동작 모드에서 조작 버튼(7)의 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재생이 개시되면, 조작 버튼(7)의 표시는 제어 회로(65)에 의해 오렌지색에서 녹색으로 전환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7)은 이 버튼의 상부 좌측 모서리에 발광 다이오드 L1을 갖는다. 이 발광 다이오드는 케이스(case) 내에 저장된 오렌지색 및 녹색 발광성의 색상을 갖는 다이오드 칩(71 및 72)으로 구성된다.
단순 동작 모드에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조작 버튼(7)이 준비되면, 제어 회로(65)는 조작 버튼(7)을 오렌지색으로 나타내기 위해 오렌지색 다이오드 칩(71)을 광으로 구동한다. 이와 반대로, 조작 버튼(7)이 조작되어 컴팩트 디스크가 재생되는 경우, 즉, 조작 버튼(7)이 재생을 일시 정지하기 위해 준비되면, 제어 회로(65)는 조작 버튼(7)을 녹색으로 나타내기 위해 오렌지색 다이오드 칩(71) 대신에 녹색 다이오드 칩(72)을 광으로 구동한다.
이로 인해, 경험 없는 사용자도 단순 동작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조작 버튼(7)을 쉽게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 버튼(7)을 점등 표시할 때, 제어 회로(65)는 단순 동작 모드가 구동된 후 선정된 시간 동안 오렌지색 광(71)이 깜박이도록 다이오드 칩(71)을 구동한다.
결국, 사용자는 동작 모드가 구동된 후 단순 동작 모드에서 조작될 수 있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7)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유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제어 회로(65)는 단순 동작 모드에서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험 없는 사용자도 시스템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5)는 사용자가 설정한 추가 기능 조작버튼(13 내지 20)의 동작 상태를 특정 메모리 내에 보유한다. 그러므로, 다음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가 정상 동작 모드에서 동작 상태로 구동되면, 이 동작 상태는 재생될 수 있다.
재생중인 연주의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 버튼(16)을 조작하는 경우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이 상태를 메모리 내에 보유한다. 다음에, 전원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턴 온 되면, 이 나머지 연주 시간은 플레이어부(45)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동작 상태가 메모리 내에 보유되기 때문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전원이 턴 온될 때마다 조작 버튼(13 내지 20)을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 상태를 재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용성이 더 향상된다.
한편,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경우, 제어 회로(65)는 상기 메모리 내에 기억된 데이타를 제1 메모리(73)에 기록한 다음, 선택 회로(75)의 접촉부를 메모리(74)로 스위칭하기 때문에,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메모리(74) 내에 메모리된 제어 데이타에 의해 프리세트된 동작 상태로 설정된다.
메모리(74)는 추가 기능 조작 버튼(13 내지 20)에 대한 데이타를 기억한다. 그러므로,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조작 버튼(7)이 눌러지면, 디스크에 기록된 다수의 음악이 디스크에 기록된 연주 순서대로 재생된다. 이와 동시에, 재생중인 연주의 경과 시간은 표시어부(45)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경험 없는 사용자가 조작하더라도 단순 동작 모드 동안 실행하는데 요구된 최소 시간 데이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케이스 내에 저장된 색인 카드 상에 표시된 실행 순서대로 디스크를 재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디스크 플레이어부(2)를 조작할 수 있다.
전체 동작 모드가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된 다음, 다시 정상 동작 모드로 스위칭될 때, 제어 회로(65)는 선택 회로(75)의 접촉부를 제1 메모리(73)로 스위칭한다. 정상 동작 모드 내에 설정된 동작 상태를 재생하기 위하여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메모리(73) 내에 메모리된 제어 데이타에 의해 구동된다.
결국,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2)에서, 예를 들면, 조작에 경험 없는 어머니와 오디오 광인 자녀가 오디오 장치(1)를 소유하면, 어머니는 자녀가 설정한 동작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오디오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의 유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머니는 어떤 복잡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프리세트된 동작 상태로 디스크를 들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단순 조작으로 디스크 청취를 즐길 수 있다.
오디오 장치(1)는 원격 명령기로부터 출력된 원격 제어 신호가 튜너 및 증폭부(4)의 수신부(86)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신 결과는 제어 회로(67)를 경유해서 디스크 플레이어부(2)에서 얻어지며, 동작은 이 수신 결과에 의해 스위칭된다.
디스크 플레이어부(2)의 것과 유사한 조작 버튼이 원격 명령기에 배치된다. 또한, 조작 버튼(7)에 대응하는 원격 명령기의 조작 버튼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어회로(67)로부터의 표시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플레이어(2)의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원격 명령기의 조작에 의해 정상 및 단순 동작 모드 사이의 전체 동작 모드를 스위칭한다. 더우기, 디스크 플레이어부(2)는 제어 회로(67)를 경유해서 발광 다이오드(L1)에 대응하는 원격 명령기의 조작 버튼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원격 제어가 원격 명령기를 통해 수행되더라도, 경험 있거나 경험 없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유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테이프 기록부(3)의 제어 회로(66)는 제어 회로(67),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30, 35), 및 추가 기능 조작 버튼(31 내지 34, 36 내지 42)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데이타에 의해 테이프 기록부(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방출 조작 버튼(30 또는 42)이 눌러지면, 제어 회로(66)는 로딩 모터(77)를 구동하기 위해 로딩 구동 회로(76)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조작 버튼(30 또는 42)의 조작에 대응하는 전면 패널(24 또는 43)을 각각 이동한다. 그러므로, 전면 패널(24 또는 43)은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 준비를 위해 폐쇄되거나 전면 패널(24 또는 43)은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하기 위해 개방된다.
전면 패널(24 또는 43)이 폐쇄되는 경우에, 제어 회로(66)는 테이프 카세트가 놓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테이프 검출 메카니즘(78)에 제어 데이타를 후속적으로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프 검출 메카니즘(78)은 전면 패널(24 또는 43) 내에 놓인 카세트 홀더에 배치되고 카세트 홀더 내에 놓인 테이프 카세트를 조작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 스위치는 접촉부가 기계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는 스위치뿐만 아니라 검출이 광학적으로 수행되는 스위치에도 제한된다. 전면 패널(24 또는 43)이 테이프 카세트를 집어넣기 위해 폐쇄될 때, 이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회로(66)에 공급된다.
테이프 기록부(3)에서, 이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가 넣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테이프 카세트의 검출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제어 회로(66)는 기록 및 재생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조작 버튼(25 내지 42)의 후속 동작에 의해 데크 블럭(deck block; 79 또는 80)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6)는 추가 기능 조작 버튼(31 내지 34)의 조작 및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30, 35) 이외에 테이프 기록부(22)에 관해 조작 버튼(36 내지 42)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고속 더빙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단순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6)는 테이프 기록부(23)의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 내지 30, 35)의 동작만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그러므로, 테이프 기록부(23)만이 동작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테이프 기록부(23)는 기록 모드에 대한 스위칭을 할 수 없다.
더 상세하게는, 고속 더빙과 같은 추가 기능이 테이프 기록부(3)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버튼의 증가로 인해 경험 없는 사용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조작상의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
2개의 테이프 기록부(22 및 23)를 사용하여 경험 없는 사용자에게 조작을 복잡하게 하고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경험 없는 사용자는 2개의 테이프 기록부 중 하나 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동작 모드가 일단 제어 회로(67)에 의해 제어되어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면, 제어 회로(66)는 테이프 기록부(22)의 추가 기능 조작 버튼(31 내지 34) 및 조작 버튼(36 내지 42)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경험 없는 사용자도 테이프 기록부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재생 조작 버튼(25, 26, 37 또는 38)이 눌러지면, 제어 회로(66)는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및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대응하는 데크 블럭(79 또는 80)을 구동한다. 버튼(27 또는 39)이 이 상태 다음에 조작되면, 재생이 정지된다.
조작 버튼(25, 26, 37 또는 38)이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눌러지면, 제어 회로(66)는 테이프 검출 메카니즘(78)의 검출 결과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가 넣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 버튼(25, 26, 37 또는 38)이 눌러지는 경우에, 테이프 카세트가 들어 있지 않은 테이프 기록부(22 또는 23) 중 하나는 대응하는 방출 조작 버튼(30 또는 42)이 눌러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면 패널(24 또는 43)을 개방하기 위해 로딩 구동 회로(76)를 구동한다.
그러므로, 테이프 기록부(3)에서,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조작 버튼(25 또는 26)을 조작하면, 사용자에게 테이프 카세트를 넣도록 알려주기 위해 전면 패널(24 또는 43)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단순 동작 모드에서, 재생 동작이 테이프 기록부(23)에서 조작 버튼(25)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개시될 때, 제어 회로(66)는 조작 버튼(25)의 광 표시를 오렌지색에서 녹색으로 전환한다.
더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25)은 조작 버튼(25)의 상부 좌측 모서리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L2)를 갖는다. 발광 다이오드(L2)는 오렌지색 및 녹색 발광성의 색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칩(81 및 82)이 케이스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단순 동작 모드에서, 조작 버튼(25)이 테이프 기록부(23)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재생하기 위해 준비될 때, 제어 회로(66)는 조작 버튼(25)을 오렌지색으로 켜기 위해 오렌지색 발광 다이오드 칩(81)을 구동한다. 이와 반대로, 동일 모드에서, 테이프 카세트가 조작 버튼(25)의 조작을 통해 재생될 때, 제어 회로(66)는 조작 버튼(25)의 광 표시를 녹색으로 하기 위해 오렌지색 발광 다이오드 칩(81) 대신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 칩(82)을 구동한다.
경험 없는 사용자는 단순 동작 모드만을 선택함으로써 조작 버튼(25)을 쉽게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기록부(3)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우기, 테이프 기록부(3)에서, 2개의 재생 조작 버튼(25 및 26)의 한 조작 버튼에만 제공된 발광 다이오드(L2)는 오렌지색으로 켜지므로, 경험 없는 사용자가 혼란에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테이프 기록부(23)는 단순 동작 모드가 선택되더라도 조작 버튼(25 및 26)의 임의의 조작을 허용하고, 이로 인해 누름 조작된 조작 버튼(25 또는 26)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자기 테이프를 재생시킨다.
그러므로, 오디오 기기에 익숙한 사용자는 단순 동작 모드에서도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해 조작 버튼(25 또는 26)을 선택할 수 있다. 경험 없는 사용자가 원하는 연주를 재생하기 위한 조작 버튼(25)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는 재생 동작을 정지할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의 방향을 반대로 한 다음 조작 버튼(25)을 다시 눌러서 원하는 연주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혼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원하는 연주를 확실히 재생할 수 있다.
조작 버튼(25)이 켜질 때, 제어 회로(66)는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직후 특정 시간 주기 동안 깜박거리는 오렌지색 표시를 유지하도록 발광 다이오드 칩(81)을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후,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25)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제어 회로(66)는 단순 동작 모드에서는 추가 기능 조작 버튼(31 내지 34) 및 테이프 기록부(22)에 관한 조작 버튼(36 내지 42)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험 없는 사용자도 테이프 기록부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유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어 회로(66)는 재생중에 조작 버튼(28 또는 29)이 눌러지면 전방-고속 또는 되감기 재생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단순 동작 모드에서는, 제어 회로(66)는 재생을 중지하고 자기 테이프의 전방-고속 또는 되감기를 정지하도록 데크 블럭(79)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경험 없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덜 중요한 기능 보다 우선하도록 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유용성이 향상된다.
더우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추가 기능 조작 버튼(35, 36)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는 제어 회로(66)에 의해 특정 메모리 내에 메모리된다. 테이프 기록부(3)가 정상 동작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조작을 개시할 때 이 상태는 메모리된 데이타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값으로 등화 특성을 설정하도록 조작 버튼(35)을 조작하거나 테이프 카세트의 한 쪽 만으로 재생 방향을 설정하도록 조작 버튼(36)을 조작하면, 이 상태는 메모리 내에 메모리된다. 후속적으로 전원이 턴 온될 때, 조작 상태는 버튼(35 또는 36)의 조작 없이 메모리 내에 메모리된 데이타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와 반대로,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경우, 제어 회로(66)는 제1 메모리(83)내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를 기록한 다음 선택 회로(85)의 접촉부를 메모리(84) 측에 스위칭하기 때문에, 테이프 기록부(3)는 이 제어 데이타에 의해 미리 메모리된 제어 데이타에 대응하는 조작 상태로 설정한다.
여기서, 추가 기능 조작 버튼(35, 36)에 대한 초기 값 데이타는 메모리(84) 내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조작 버튼(25)이 눌러질 때, 제어 회로(66)는 프리세트 등화 특성으로 테이프 카세트를 재생하고, 이와 동시에 테이프 카세트의 양쪽을 계속해서 재생하도록 데크 블럭(80)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경험 없는 사용자는 단순 동작 모드에서 테이프 기록부(3)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전체 동작 모드가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된 다음 다시 정상 동작 모드로 스위칭될 때, 메모리(83) 내에 기억된 데이타에 의해 테이프 기록부(3)의 조작을 턴 온시키기 위하여 제어 회로(66)는 선택 회로(85)의 접촉부를 메모리(83)에 스위칭 한다. 그러므로, 정상 동작 모드에서 설정된 테이프 기록부(3)의 동작 상태가 재생될 수 있다.
결국, 테이프 기록부(3)에서, 예를 들면, 조작에 경험이 없는 어머니와 오디오 광인 자녀가 오디오 장치(1)를 공유하면, 어머니는 자녀가 설정한 조작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오디오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디오 장치(1)의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머니는 복잡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프리세트 조작 상태로 테이프 카세트를 재생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디스크 플레이어(2)와 유사하게 테이프 기록부(3)는 제어 회로(67)를 통해 원격 명령기로부터 출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은 수신 결과에 응답하여 동작이 스위칭될 수 있다.
테이프 기록부(3)와 유사한 조작 버튼은 원격 명령기 상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25)에 대응하는 원격 명령기의 조작 버튼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어 회로(67)로부터 출력된 표시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테이프 기록부(3)는 조작되는 기록부(3)의 조작 버튼과 유사한 원격 명령기의 조작에 의해 정상 동작 모드와 단순 동작 모드 사이의 전체 조작을 스위칭한다.다음에, 테이프 기록부(3)는 제어 회로(67)를 통해 조작 버튼(25)에 대응하는 원격 명령기의 조작 버튼의 표시를 스위칭한다. 결과적으로, 원격 제어가 원격 명령기를 통해 수행되면, 경험 있는 사용자나 경험 없는 사용자 모두에 대한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튜너 및 증폭부(4)에 대한 제어 회로(67)는 조작 버튼(46 내지 62)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장치의 전체적인 조작을 제어하고 수신부(86)를 통해 수신된 원격 명령기의 조작을 제어하며, 이와 동시에 튜너 및 증폭부(4)의 조작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단계 SP3에서, 전원 스위치(61) 또는 원격 명령기의 전원 스위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눌러질 때 제어 회로(67)는 제6도에 도시한 처리를 실행하여 전체 전원을 턴 온시킨다.
즉, 제어 회로(67)는 조작된 조작 버튼이 단순 조작 버튼(62) 또는 원격 명령기의 단순 조작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단계 SP1에서 SP2로 진행한다. 결과가 부정이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3으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67)는 조작된 조작 버튼이 전원 스위치(61) 또는 원격 명령기의 전원 스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2로 복귀하고, 이로 인해 단계 SP2-SP3-SP2의 순차적인 처리가 반복된다. 긍정적인 결과가 단계 SP3에서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4로 진행한다.
단계 SP4에서, 제어 회로(67)는 전체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단계 SP5로 진행하여 전원을 턴 온 시킨 다음, 단계 SP6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전원을 턴 온시킬 수 있고, 필요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오디오 광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유용성이 얻어진다.
조작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개시될 때, 제어 회로(65 및 66)와 유사하게 제어 회로(67)는 특정 메모리 내에 기억된 조작 상태 데이타에 의해 튜너 블럭(89)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디지탈 신호 처리기); 90]의 조작 상태를 설정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상태는 디스크 플레이어부(2) 및 테이프 기록부(3)와 유사하게 정상 동작 모드에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후 전원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턴 온되면, 제어 회로(67)는 상기 메모리 내에 기억된 데이타 및 메모리(93 및 96) 내에 기억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튜너 블럭(89) 및 디지탈 신호 처리기(90)의 조작 상태를 설정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67)는 디스크 플레이어부(2) 및 테이프 기록부(3)와 유사하게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상태를 재생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7)에서, 단순 동작 모드가 개시될 때 정상 동작 모드에서 설정된 동작 상태 데이타의 특정 데이타는 메모리(93) 내에 기억된다.
메모리(93)에는, 사용자가 버튼(48)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수신 밴드에 대한 데이타, 조작 버튼(49 또는 50)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수신 채널의 데이타, 수신 채널이 조작 버튼(51)을 조작함으로써 프리세트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데이타, 수신이 모노럴(monaural) 모드에서 수행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데이타가 기억된다. 결과적으로, 튜너 블럭(89)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는 메모리(93)에 기억된다.
이에 대해, 메모리(97)에는, 사용자가 버튼(52, 57 내지 59)을 조작함으로써 설정된 음장, 음질, 베이스 부스트 레벨에 대한 데이타, 음량 제어 조작 버튼(46)의 조작량, 및 조작 버튼(47)의 조작량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결과적으로, 디지탈 신호 처리기(90) 및 음량 제어 조작 버튼(46)에 대한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는 메모리(97) 내에 기억된다.
단순 동작 모드로 들어간 후 전원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턴 온될 때, 제어 회로(67)는 메모리(93 및 96)로부터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해 선택 회로(95 및 98)의 접촉부를 튜너 블럭(89) 및 디지탈 신호 처리기(90)에 스위칭하고, 이로 인해 조작 상태가 재생된다. 제어 회로(67)는 모터(88)를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해 음량 구동 회로(87)에 이 데이타를 더 출력하고, 이로 인해 최종 음량을 설정하도록 음량 제어 조작 버튼(46)을 회전시킨다.
결국, 오디오 장치(1)에서,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최종 동작 상태는 전체 오디오 장치(1)의 전원이 턴 온될 때마다 여러 가지 조작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재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잡한 조작은 간략화되고 전체적인 유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순 조작 버튼(62) 또는 원격 명령기의 단순 조작 버튼이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눌러지면, 제어 회로(67)는 전원 스위치(61) 또는 원격 명령기의 전원 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와 유사하게 전원을 턴 온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7)는 원격 명령기의 전원 스위치가 눌러지는 유사하게 단계 SP1에서 SP2로 진행한다.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제어 회로(67)는 단계 SP7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67)는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다음, 단계 SP5로 진행하여 전원을 턴온시킨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는 전원 스위치(61) 대신 스위치(61) 옆에 배치된 단순 조작 버튼(62)을 간단히 누름으로써 전원을 턴 온시킬 수 있다. 오디오 기기의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전원을 쉽게 턴온할 수 있다.
전원이 단순 동작 모드에서 턴온되면, 제어 회로(67)는 메모리 내에 보유된 동작 상태를 메모리(93 및 96)에 기입한다. 제어 회로(67)는 메모리 (93 및 98)에 정상 동작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기입한 다음, 선택 회로(95 및 98)의 접촉부를 메모리(94 및 97)로 스위칭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 회로(67)는 메모리(94 및 97)에 기억된 단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타를 참조하여, 단순 동작 모드로 설정된 동작 상태를 재생한다.
각 메모리(93 및 95)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타는 메모리(94 및 96)에 기억된다. 제어 회로(67)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들 중에서 조작 버튼(46)의 조작량의 데이타만을 기억하도록 메모리(94)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음장 및 음질과 같은 나머지 데이타에 관하여는 프리세트된 초기 값 데이터로 동작 상태가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단순 또는 정상 동작 모드가 개시되면, 각각 단순 또는 정상 모드에 설정된 동작 상태가 제어 회로(67)에 의해 재생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어머니와 자녀가 오디오 장치(1)를 공유하면, 튜너 및 증폭기부(4)에 관해서도 역시, 어머니와 자녀는 설정된 동작 상태를 전혀 변경하지 않고 원래의 동작 상태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순 동작 모드에서, 동작 상태가 음장 및 음질과 같은 효과에 있어서는 프리세트된 초기 값 데이타로 설정되므로, 조작 버튼의 복잡한 조작이 간략화되고 표준 음장 및 음질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단순 동작 모드에서 전원이 턴 온될 때, 제어 회로(67)는 사용자가 타이머 개시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 그 모드를 소거한다.
타이머 개시 동작 모드에서, 오디오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되면 개시한다. 그래서, 전원이 단순 조작 버튼(62)의 조작에 의해 턴 온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오디오 장치(1)를 개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오디오 장치(1)에 있어서, 수신 채널이 프리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동작 모드가 단순 동작 모드로부터 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될 때 최종 수신 채널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기 어렵다.
즉, 조작 버튼(48)이 조작될 때, 제어 회로(67)는 튜너 블럭(89)을 개시시키거나 튜너 블럭(89)이 동작 상태로 이미 개시되었으면 수신 밴드를 스위칭한다.
제어 회로(67)는 또한 조작 버튼(49 또는 50)의 조작에 기초하여 프리세트된 수신 채널의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그리고 순환적으로 튜너 블럭(89)의 수신 채널을 스위칭한다. 반면, 튜너 블럭(89)의 수신 주파수는 조작 버튼(51)이 조작된 다음 조작 버튼(49 또는 50)이 조작될 때 순차적으로 변이된다.
그 다음 메모리 조작 버튼(60)이 이 상태에서 눌려지면, 제어 회로(67)는 소정의 메모리 내에 튜너 블럭(89)의 수신 주파수를 기록함으로써 수신 채널이 프리세트될 수 있다.
그래서, 수신 채널이 프리세트된 상태에서 제어 회로(67)가 단순 동작 모드를 개시하면, 메모리(94)에 저장된 데이타에 따라 직전의 단순 동작 모드에서 수신되었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편, 단순 동작 모드가 프리세트된 수신 채널이 없는 상태로 개시되면, 제어 회로(67)는 조작 버튼(49 또는 50)을 조작하여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채널을 프리세트하는 작업은 조작 버튼(49, 50, 51, 60)을 특정 순서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복잡하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프리세트할 수 있지만, 미숙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조작이 어렵다.
더우기, 미숙한 사용자들은 단순 동작 모드가 프리세트된 채널 없이 개시될 때 튜너 블럭(89)이 전혀 동작하지 않는다면 당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리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 버튼(49 또는 50)이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키도록 동작된다면, 미숙한 사용자들조차도 조작 버튼(49 및 50) 상의 기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조작 버튼(49 및 5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표시부(45)에 표시되는 수신 주파수는변화되어, 미숙한 사용자들은 조작 버튼(49 또는 50)을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수신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오디오 장치(1)에서는, 미숙한 사용자들은 쉽게 라디오 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전원이 단순 동작 모드에서 턴 온되면, 제어 회로(67)는 튜너 선택 및 수신 밴드 조작 버튼(48) 및 단순 조작 버튼(62)을 오랜지 색으로 점등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7 및 25)과 유사하게, 조작 버튼(48)은 상부 좌측 코너에 발광 다이오드 L3을 갖는다. 발광 다이오드 L3은 오랜지 및 녹색 형광 색이 케이스내에 들어있는 발광 다이오드 칩(91 및 92)으로 구성된다.
단순 조작 버튼(62)은 오렌지색의 발광 다이오드 L2가 배치되어 있는 길고 좁은 윈도우를 갖는다.
조작 버튼(48)이 튜너를 개시시킬 준비가 되면, 제어 회로(67)는 오랜지색의 발광 다이오드 칩(91)을 구동하여 조작 버튼(48)을 오랜지색으로 점등 표시한다. 반면, 튜너 블럭(89)이 조작 버튼(48)의 조작에 의해 동작을 개시했으면, 제어 회로(67)는 오랜지색의 발광 다이오드 칩(91) 대신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 칩(92)을 구동하여 조작 버튼(48)을 녹색으로 점등 표시한다.
튜너 및 증폭부(4)에 관해서, 미숙한 사용자들은 조작 버튼(48)을 쉽게 선택하고 조작할 수 있어서, 유용성이 개선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1)예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L3의 표시는 조작 버튼(7 및 25)에서와 같이 스위칭되어, 단순 조작 버튼(62)이 전원을 턴 온하도록 조작되면,즉시 조작가능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7, 25, 48)이 일정하게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이들 종류의 조작 버튼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숙한 사용자들은 쉽게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오디오 장치(1)의 전체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단순 조작 버튼(62)은 전원 스위치(61) 다음에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 L4가 광을 조사하는 길고 좁은 윈도우를 갖고 있어서 사용자는 조작 버튼(7, 25, 48)과의 차를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설명서를 참고하지 않고서도 쉽게 단순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어 회로(67)는 단순 동작 모드에서 전원이 턴 온 된 직후 소정 기간 동안 발광 다이오드 칩(91)을 구동하여 오랜지색으로 깜빡거리게 한다. 이렇게 전체 오디오 장치(1)의 전원을 턴 온 시키자마자, 즉시 조작가능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7, 25, 48)은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일정하게 깜박거려서 미숙한 사용자들에게도 전체 유용성이 쉽게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개시 조작에 있어서, 타이머 기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버튼(61, 62)을 조작하면, 제어 회로(67)는 표시부(45)에 타이머 기록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메시지를 표시한 다음, 전원을 턴 온시키지 않고서 프로세싱을 종결한다.
즉, 타이머 기록이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이 턴 온되면, 사용자가 현재의 기록 타임을 중첩하도록 타이머 기록을 설정하는 경우이거나, 현재의 기록 조건을 변경시키거나,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하는 경우이다.
제어 회로(67)는 타이머 기록을 설정하는 동안만 전원 스위치(61) 및 조작 버튼(62)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기록에 대한 중요한 기회가 상실되지 않는다.
전원이 이러한 방식으로 턴 온되면, 제어 회로(67)는 제7도에 도시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칭한다.
더 상세하게,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0으로부터 SP11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어떤 조작 버튼이 눌려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1을 반복한다.
반면, 어떤 조작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단계 SP11의 결과는 긍정이어서,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2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조작된 조작 버튼이 단순 조작 버튼(62) 또는 원격 조정기의 단순 조작 버튼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P12에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시스템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3으로 진행하여 단순 동작 모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디오 장치(1)가 정상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SP13의 결과는 부정이어서,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4로 진행하여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제어 회로(67)에서, 단순 조작 버튼(62)이 눌려져 전원을 턴 온시키는 것과 유사하게 메모리(93, 96)에 동작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고, 또한, 제어 회로(65 및 66)에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메모리(73 및 83)에 기입된다. 그러므로, 메모리(74, 84, 94 및 97)에 기록된 단순 동작 모드가 재생된다.
제어 회로(67)는 또한 발광 다이오드 L1 내지 L3을 스위칭하여 오랜지색으로 깜박이도록 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깜박이는 표시를 연속적인 표시로 스위칭하여, 조작 버튼(62)의 발광 다이오드 L4를 점등시킨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는 전원 스위치(61)가 조작되어 전원이 턴 온된 후에도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즉, 오디오 기기의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도 쉽게 전원 스위치(61)를 식별할 수 있다. 단순 조작 버튼(62)이 전원 스위치(61) 다음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 버튼(62), 전원 스위치(61)를 조작한 다음에 다시 버튼(62)을 조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62)을 조작함으로써 어떤 상태에서도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어서, 미숙한 사용자가 자신이 적합하게 생각하는 바대로 조작 버튼(62)을 조작하면, 조작 버튼(62)은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한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의 유용성은 개선된다.
동작 모드가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 슬립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으면 제어 회로(67)는 슬립 모드를 무효화시킨다.
슬립 모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잠자리에 들기 전에 설정되고, 전원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꺼진다. 따라서, 슬립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 단순 조작 버튼(62)이 조작되면, 슬립 모드를 설정해 놓았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조작 버튼(62)을 조작하려는 것이다.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를 유지한 체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면, 전원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턴 오프되므로 단순 동작 모드를 선택했었던 사용자를혼란스럽게 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67)는 슬립 모드의 선택을 무효화시킴으로써 미숙한 사용자가 자신감있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동작 모드가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1로 복귀하여 후속하는 조작 버튼의 조작을 대기한다
한편, 단순 조작 버튼(62)이 눌러져서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계 SP13에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6으로 진행하여 전원 스위치(61)가 눌려지는 경우에 유사하게 전원을 턴 오프시킨 다음 단계 SP17로 진행하여 프로세스를 종결한다.
단순 조작 버튼(62)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턴 온되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62)을 조작하여 전원을 턴 오프시킨다.
따라서,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순 조작 버튼(62)이 다시 조작되면 오디오 장치(1)는 전원을 턴 오프시킨다. 그러므로,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는 쉽게 전원을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 회로(67)가 동작 모드가 정상 동작 모드로 스위칭된 조건 하에서 전원을 턴 오프시킨 다음 전원 스위치(61)가 조작되어 전원이 턴온되면, 전원은 정상 동작 모드로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조작 버튼(62) 이외의 조작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2로 진행한 다음, 단계 SP12의 결과가 부정이기 때문에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5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5에서 조작 버튼이 전원 스위치(6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단계 SP16으로 진행하여 전원을 턴 온시킨다.
전원 스위치(61)를 조작하여 전원을 턴 온시킨 후에 조작 버튼(62)이 조작되어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나, 단순 동작 모드에서 조작 버튼(62)이 곧바로 조작되어 전원을 턴온시키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는 조작 버튼(61)을 조작하여 전원을 오프시킨다.
전원을 턴 온시키는 것과 대조적으로, 오디오 장치(1)는 동작 모드와 무관하게 전원 스위치(61)의 조작에 기초하여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러므로, 전원은 쉽게 오프될 수 있고, 오디오 장치(1)의 유용성은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순 동작 모드가 유지되면, 조작 버튼(62)이 조작되어 전원을 턴 오프시키는 것과 유사하게, 제어 회로(67)는 전체 동작 모드가 정상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는 조건에서 전원을 턴 오프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 버튼이 전원 스위치(61)이나 조작 버튼(62) 이외의 것이라면, 단계 SP15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고,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8로 진행한다.
그 다음, 단계 SP18에서 제어 회로(67)는 조작된 조작 버튼이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9로 진행하여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여 오디오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스위칭한다.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조작 버튼(7, 25 또는 48)이 조작되면, 제어 회로(67)는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 L1 내지 L3을 녹색으로 발광시키고 나머지 다이오드 L1 내지 L3은 오랜지색으로 발광하도록 스위칭한다.
오디오 장치(1)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은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추가 기능 조작 버튼과의 차이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더우기, 조작 가능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들 중에, 조작된 버튼은 다른 버튼들과 쉽게 구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숙한 사용자들은 오디오 장치(1)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제어 회로(67)는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동작을 스위칭한 다음 단계 SP11로 복귀하여 조작 버튼의 후속 조작에 대기한다.
반면, 사용자가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단계 SP18의 결과는 부정이므로, 제어 회로(67)는 단계 SP20으로 진행하여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단순 동작 모드를 선택했었으면, 단계 SP20의 결과는 긍정이어서, 제어 회로(67)는 조작 버튼의 어떠한 조작에도 응답하지 않고서 단계 SP11로 복귀하여 조작 버튼의 후속하는 조작에 대기한다.
일단 단순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오디오 장치(1)는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의 조작만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미숙한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추가 기능의 조작은 허용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정상 동작 모드 중에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단계SP20에서 부정의 결과가 얻어져서, 제어 회로(67)는 단계 SP19로 진행하여 조작된 버튼에 기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오디오 장치(1)는 오디오 광과 같은 숙련된 사용자가 다양한 추가 기능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러한 사용자를 만족시킬 만큼 유용성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장치(1)는 숙련된 사용자 및 미숙한 사용자 모두에 대해 유용하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어머니와 자녀들이 1대의 오디오 장치를 만족스럽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단순 조작 버튼(62)의 조작에 응답하여 단순 동작 모드가 개시되고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의 조작만이 허용되므로, 미숙한 사용자는 단순 동작 모드를 사용하여 쉽게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광은 정상 동작 모드를 사용하여 충분한 유용성을 얻을 수도 있다.
부수적으로, 동작 상태 데이타가 단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메모리에 기록되고, 동작 상태는 단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각각 재생되므로, 숙련된 사용자와 미숙한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1)를 공유하는 경우, 이들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상태를 교란시키지 않으면서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용성이 개선된다.
더우기, 단순 동작 모드에서, 음향 효과와 같은 조절 항목이 프리세트된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 가능한 버튼들은 점등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미숙한 사용자는 쉽게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장치(1)의 것과 유사한 조작 버튼이 원격 조정기상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 버튼(7, 25, 48, 62)에 대응하는 원격 조정기의 버튼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점등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격 조정기의 발광 다이오드는 생략될 수 있다.
또, 원격 조정기에 의한 조작은 단순 동작 모드 동안에는 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조작 버튼(7, 25, 48, 62)은 점등 표시를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조작 버튼 이외의 버튼도 발광 다이오드를 갖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버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컴팩트 디스크의 존재는 초점 탐색의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크의 존재는 관리 데이타로 구성된 TOC 데이타가 재생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다른 검출 수단이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 상에 배치된 스위치가 테이프 카세트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릴(reel) 모터의 구동 결과에 기초한 방법과 같은, 다양한 테이프 카세트 검출 수단이 응용될 수 있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크부, 테이프 레코더부 및 튜너/증폭기부로 구성된 오디오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광학 자기 디스크 장치가 일체로 되어 있는 오디오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및 카세트 데크와 같은 단일 기능 오디오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에 제한되지 않고, 비디오 데이타 레코더와 같은 영상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시킬 수도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디스크 플레이어부의 조작 버튼의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테이프 레코더의 조작 버튼의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튜너 및 증폭기의 조작 버튼의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오디오 기기의 전체 제어를 설명하는 블럭도.
제6도는 온 파워를 튜닝하는 것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7도는 동작 모드의 스위칭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디오 장치
2 : 디스크 플레이어부
3 : 테이프 기록부
4 : 튜너 및 증폭부
5 : 트레이 개방 및 폐쇄 조작 버튼
6 : 트레이
7, 25, 26, 37, 38 : 재생 조작 버튼
9, 10 : 탐색 조작 버튼
22 : 재생 전용 테이프 기록부
25, 26 : 기본 동작 조작 버튼
27 : 정지 조작 버튼
30 : 방출 조작 버튼
33, 34 : 추가 기능 조작 버튼
45 : 표시부
46 : 음량 제어 조작 버튼

Claims (18)

  1. 전자 기기의 기본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기본 동작 조작 버튼과, 상기 기본 동작과 관련된 추가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추가 기능 조작 버튼과, 단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다수의 조작 버튼; 및
    상기 전자 기기 내에 배치되어,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 및 상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체 동작을 스위칭하고, 상기 단순 조작 버튼이 조작되면, 전체 동작 모드가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는 동시에 상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의 조작을 허용하지 않도록 동작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순 동작 모드에서는, 조작 가능한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과, 조작된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과, 조작이 허용되지 않는 상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을 식별 및 구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조작된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순 조작 버튼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 회로는 전원을 턴 온하고 전체 동작 모드를 상기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및 제2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에 응답하여 설정된 동작을 상기 제1메모리에 기억시키며, 전원이 턴 온될 때에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에 따라 전체 동작을 설정하고, 전체 동작 모드가 상기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 대신에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전체 동작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을 프리세트된 초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스피커 장치에 공급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이 상기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음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음량 제어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음의 음량을 설정하고,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메모리에 상기 음량 제어 조작 버튼의 조작량을 기억시키며, 연속적인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전원이 턴 온될 때에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조작량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음의 음량을 설정하고, 연속적인 단순 동작 모드에서 전원이 턴 온될 때에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조작량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음의 음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개시하고 재생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재생 동작 조작 버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재생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조작 버튼, 및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방출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방출 버튼이 조작될 때에 트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에 놓인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재생 위치에서 교환 가능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디스크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재생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재생을 시작하고, 상기 디스크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재생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출 조작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대물 렌즈를 통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광 빔을 조사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대물 렌즈를 통하여 상기 광 빔의 반사 광 빔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 픽업,
    상기 광학 픽업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 및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반사 광 빔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대물 렌즈를 점차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 빔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데이타 기록면 상에 정확히 집속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대물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초점 탐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검출 수단은, 상기 초점 탐색 회로가 상기 광 빔이 상기 기록 매체의 데이타 기록면 상에 정확히 집속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대물 렌즈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기록 영역이 내측 및 외측 원주 영역으로 분할되어, 상기 외측 원주 영역 상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내측 원주 영역 상에는 상기 외측 원주 영역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재생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전에 미리 상기 관리 정보를 재생한 다음, 상기 관리 정보의 재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디스크 검출 수단은 상기 재생부가 상기 관리 정보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에 저장된 자기 테이프 상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기록/재생부가 제공되고,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은 상기 자기 테이프의 재생을 개시하거나 재생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재생 조작 버튼, 최소한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방출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 및 상기 자기 테이프를 고속 감기 또는 되감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카세트 검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방출 조작 버튼이 조작되면 재생 위치에 있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재생 조작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을 개시하며, 상기 카세트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재생 조작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출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라티오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이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조작 버튼은 제1 및 제2 조작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조작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이 조작에 응답하여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기 위해 프리세트된 수신 채널을 순차 순환적으로 스위칭하며, 추가 기능 조작 버튼중의 하나인 모드 스위칭 조작 버튼이 조작된 후에 상기 제1 또는 제2 조작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이 조작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수신 주파수를 가변시키고, 상기 단순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조작 버튼이 조작될 때 이 조작에 응답하여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기 위해 프리세트된 수신 채널을 순차 순환적으로 스위칭하며, 상기 수신 채널이 프리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또는 제2 조작 버튼이 조작될 때 이 조작에 응답하여 수신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와, 입력부의 다수의 조작 버튼 및 단순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들 중에서 조작된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정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의 다수의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단순 조작 버튼이 조작되어 단순 재생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조작 버튼들 중 상기 단순 재생 모드에서 사용되는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에만 기초하여 상기 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작 버튼들 중에서 상기 단순 재생 모드에서 사용되는 조작 버튼을 사용자가 식별 및 구별할 수 있고, 상기 제어 회로는 조작된 기본 동작 조작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명하며,
    상기 단순 조작 버튼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조작되는 경우, 전원을 턴 온하고 전체 동작 모드를 단순 동작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의 제1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단계, 및
    단순 재생 모드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2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재생 모드가 취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제어 데이타를 판독하고 판독된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가 상기 전자 기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순 재생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전원 제어 모드의 설정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지정 시간에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순 재생 모드가 설정될 때 상기 단순 재생 모드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턴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재생 모드로 일단 스위칭한 다음 전원을 턴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1019940020363A 1993-08-18 1994-08-18 전자기기및이의제어방법 KR100328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6373 1993-08-18
JP5226373A JPH0757442A (ja) 1993-08-18 1993-08-18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842A KR950006842A (ko) 1995-03-21
KR100328197B1 true KR100328197B1 (ko) 2002-10-04

Family

ID=1684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363A KR100328197B1 (ko) 1993-08-18 1994-08-18 전자기기및이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4130A (ko)
EP (1) EP0639895B1 (ko)
JP (1) JPH0757442A (ko)
KR (1) KR100328197B1 (ko)
DE (1) DE69430158T2 (ko)
MY (1) MY1151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698B2 (ja) * 1994-10-24 2004-11-2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0973461A (ja) * 1995-09-06 1997-03-18 Shinano Kenshi Co Ltd 音声による文章情報再生装置
US5758267A (en) * 1996-07-08 1998-05-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tion controlled parameter selection
US6035217A (en) * 1997-10-29 2000-03-07 Sony Corporation Of Japan One button cellular phone, system, and method for use
KR100287366B1 (ko)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JP2000357035A (ja) * 1999-06-15 2000-12-26 Yamaha Corp オーディオシステム
GB2363556B (en) * 2000-05-12 2004-12-22 Global Silicon Ltd Digital audio processing
JP2002246881A (ja) * 2001-02-16 2002-08-30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機のチャンネル選択装置及び同装置を有した放送受信機
KR100425679B1 (ko) * 2001-06-16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JP3087351U (ja) * 2002-01-18 2002-08-02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4342930B2 (ja) *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7299446A (ja) * 2006-04-28 2007-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7869890B2 (en) * 2006-09-06 2011-01-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Keyboards having multiple groups of keys in the management of a process control plant
KR100835793B1 (ko) * 2006-10-30 2008-06-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엠피3 재생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4512A (en) * 1984-09-15 1986-03-19 Motorola Israel Ltd Radio with program lo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7182A (ja) * 1984-03-07 1985-09-24 Marantz Japan Inc システムコンポ−ネントの音響装置等に用いられる遠隔コントロ−ル装置
JPS6184989A (ja) * 1984-10-02 1986-04-30 Sony Corp タイマ−装置
US5005084A (en) * 1989-12-19 1991-04-0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Remote control television system using supplementary unit for simplified personalized control
JPH07105129B2 (ja) * 1990-03-30 1995-1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
JPH07122980B2 (ja) * 1990-03-30 1995-12-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の機能設定方法
DE4115051A1 (de) * 1991-05-08 1992-11-12 Grundig Emv Verfahren zur auswahl einer betriebsweise bei einem geraet der unterhaltungselektronik
JPH05198036A (ja) * 1992-01-22 1993-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音響機器におけるミュート装置
US5349575A (en) * 1992-05-19 1994-09-20 Goldstar Co., Ltd. Portable audio device
JP3298679B2 (ja) * 1992-12-14 2002-07-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並びにその操作切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4512A (en) * 1984-09-15 1986-03-19 Motorola Israel Ltd Radio with program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5156A (en) 2003-04-30
JPH0757442A (ja) 1995-03-03
US5544130A (en) 1996-08-06
EP0639895A2 (en) 1995-02-22
EP0639895A3 (en) 1999-06-23
DE69430158T2 (de) 2002-11-28
DE69430158D1 (de) 2002-04-25
KR950006842A (ko) 1995-03-21
EP0639895B1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023A (en) Portable digital radio and compact disk player
KR100328197B1 (ko) 전자기기및이의제어방법
JP2000123463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H035961A (ja) 記録媒体演奏装置
JPS5940379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H08329662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330929B2 (ko)
KR96000215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예약/반복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4491B1 (ko)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 체인저의 미디어 정보 화면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2625816B2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JP2624874B2 (ja) 記録媒体演奏装置
JPH0697503B2 (ja) ディスクレコード再生装置
JPH0312858A (ja) 記録媒体再生方式
JP2000132909A (ja) 録音システム
JPH0438078B2 (ko)
JPH07296511A (ja) 音量・音質の自動設定装置
JPS5940359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H083107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328382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134150A (ja) 表示装置
JP2003030928A (ja) 記録装置および予約記録方法
JPH063652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の選曲回路
JP200016385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7296565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再生回路
KR20030061216A (ko) 오디오 동시 기록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