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679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679B1
KR100425679B1 KR10-2001-0034161A KR20010034161A KR100425679B1 KR 100425679 B1 KR100425679 B1 KR 100425679B1 KR 20010034161 A KR20010034161 A KR 20010034161A KR 100425679 B1 KR100425679 B1 KR 10042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udio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114A (ko
Inventor
이규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6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독립된 키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채널의 다중언어나 아날로그 오디오 항목을 손쉽게 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키신호가 입력될 때,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요구된 채널로 변경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정보 키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방향키신호에 따라 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하나의 오디오 정보를 서비스할 오디오 정보로 설정하는 제4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AUDIO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 수신기에서 오디오 및 다중언어를 선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파, 위성 혹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티브이 또는 디지털방송 셋톱박스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채널의 다중언어(alternative language)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티브이의 채널(이하, "아날로그 채널"이라 칭함)의 경우에는 모노, 스테레오, 음성다중의 오디오 정보가 있으며,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채널(이하, "디지털 채널"이라 칭함)의 경우에는 돌비(ATSC의 AC-3), MPEG 등의 오디오 정보가 있다.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채널의 경우 상기와 같은 오디오 정보와 더불어 다중언어 정보가 제공되는데, 다중언어란 아날로그의 음성다중과 유사한 개념으로 보통 영어, 불어, 스페인어, 독어, 이탈리어, 중국어, 일어, 한국어 등의 동시에 전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다중언어 제공이 가능한 이유는 디지털 채널의 경우 한 채널에 대해 여러 오디오 스트림(stream)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전송하는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는 오디오 프로그램 아이디(PID) 등의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전송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오디오 정보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 내에 포함되며, 채널 튜닝 시 화면에 표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디오 정보들은 모든 항목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임의의 채널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의 오디오 정보가 없는 경우, "어떤 정보를 보여줄 것이가?","사용자에게 어떤 오디오를 실제로 들려주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들려주지 말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인 경우, 임의의 채널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오디오 항목이 유효하면 즉, 서비스 가능하면 그 항목을 표시하게 되지만,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정의된 기본값으로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표시하게 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은 변경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하게 된다. 왜냐하면, 채널을 변경하거나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이 유효한 경우 그 항목을 우선적으로 표시하거나 재생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메뉴에서 항목을 변경할 때 유효하지 않은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사용자 메뉴의 오디오 설정 항목은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원하는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유효한 항목들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콘 상에 별도의 키(key)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립된 키를 제공하게 되므로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실제로 지원되는 오디오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항목을 설정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독립된 키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채널의 다중언어나 아날로그 오디오 항목을 설정하는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장치의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채널 배너 디스플레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멀티플렉서 2 : 오디오 디코더
3 : 비디오 디코더 4 : 데이터베이스 엔진
5 : 데이터베이스 6 : 채널매니저
7 : 애플리케이션부
본 발명의 제1특징은 디지털방송 수신기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오디오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화면(또는 프로그램 가이드 배너, 이하 "채널 배너"라 칭함) 내에 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채널 배너 내에 해당 채널에서 제공되는 유효한 아날로그 오디오 정보 및 디지털 다중언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신호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 표시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티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석하여 스트림 내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키신호가 입력될 때, 데이터베이스 엔진에 의해 구축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요구된 채널로 변경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정보 키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입력되는 방향키신호에 따라 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을 그 채널 배너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중에서 하나의 오디오 정보를 서비스할 오디오 정보로 설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피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 검출하는 디멀티플렉서(1)와; 상기 분리 검출된 오디오 스트림을 신장처리하는 오디오 디코더(2)와; 상기 분리 검출된 비디오 스트림을 신장처리하는 비디오 디코더(3)와; 상기 분리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석하여 스트림 내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5)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엔진(4)과; 채널맵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채널 변경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채널 매니저(6)와; 상기 데이터베이스(5)로부터 현재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방향키신호에 따라 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을 그 채널 배너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오디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부(7)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피 스트림(TP stream)이 디멀티플렉서(1)에 공급되어 이로부터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 및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이 각기 분리 검출된다.
오디오 디코더(2)는 상기 압축된 형태의 오디오 스트림(Audio stream)을 신장처리한 후 원래 형태의 오디오신호를 복원해 내고, 비디오 디코더(3)는 상기 압축된 형태의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을 신장처리한 후 원래 형태의 비디오신호를 복원해 낸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엔진(4)에서는 상기 분리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해석하여 스트림 내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DB)(5)를 구축한다. 참고로, 상기 오디오 정보는 상기의 경로 이외에 모뎀이나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채널 매니저(6)는 채널맵(channel map)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채널 변경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엔진(4)에 의해 구축된 채널정보를 이용한다.
애플리케이션부(7)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도 2a와 같은 한국형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2b와 같은 북미향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의 처리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리모콘 상에 설치된 채널 변경키를 누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부(7)가 상기 채널 매니저(6)에게 채널 변경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그 채널 매니저(7)는 상기 채널맵을 참조하여 요구된 채널로 변경되도록 튜너측에 튜닝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변경된 채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로부터 읽어와 애플리케이션부(7)에 전달한다.(S1-S4)
한편, 사용자가 채널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채널정보키를 누르면, 이때는 채널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부(7)가 직접 상기 데이터베이스(5)로부터 혹은 상기 채널 메니저(6)를 통해 현재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S5)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부(7)는 상기 전달받은 채널 정보(오디오 정보 포함)를 근거로 하여 도 2a 또는 도 2b와 같이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6)
참고로, 도 2b에서 "Auto Racing"은 프로그램의 명칭(자동차 경주)을 나타낸 것이고, "Sports"는 프로그램의 장르를 나타낸 것이며, "TV-14"는 레이팅 정보(프로그램의 등급)를 나타낸 것이고, "HD"는 고선명 티브이임을 나타낸 것이고, "CC"는 클로즈 캡션을 타나낸 것이고, "ENGLISH"는 다중언어로서 영어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받는 오디오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방향키(상,하 또는 좌,우)를 조작하여 그에 따른 방향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채널 배너 상에 서비스 가능한(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예: ENG,SPA,FRE 등)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특정 키신호(예: 엔터 키신호)를 입력하면 서비스할 오디오 정보를 현재 표시된 오디오 정보로 변경하게 된다.(S7-S1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디오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1)에 오디오 패킷 ID를 설정함으로써 변경된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S11)
한편, 아날로그 채널에 대한 오디오 정보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수신기에 아날로그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오디오 칩(도면에 미표시)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오디오 칩에서 오디오 정보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약간의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할 때 오디오 정보가 다른 것들보다 그만큼 늦게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독립된 키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채널의 다중언어나 아날로그 오디오 항목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키신호가 입력될 때,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요구된 채널로 변경하는 제2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채널정보 키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채널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채널 배너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채널 배너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방향키신호에 따라 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하나의 오디오 정보를 서비스할 오디오 정보로 설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정보는 티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 내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정보는 모뎀이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정보는 아날로그 채널에 대한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4과정은 서비스할 오디오 정보가 설정된 후 디멀티플렉서에 오디오 패킷 ID를 설정하여 변경된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6. 외부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채널의 오디오 정보를 입력하는 오디오정보 입력장치와; 상기 오디오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채널맵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채널 변경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채널 매니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채널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채널 배너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방향키신호에 따라 유효한 오디오 정보들을 그 채널 배너 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오디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장치.
KR10-2001-0034161A 2001-06-16 2001-06-16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42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61A KR100425679B1 (ko) 2001-06-16 2001-06-16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61A KR100425679B1 (ko) 2001-06-16 2001-06-16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14A KR20020096114A (ko) 2002-12-31
KR100425679B1 true KR100425679B1 (ko) 2004-04-03

Family

ID=2770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61A KR100425679B1 (ko) 2001-06-16 2001-06-16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67B1 (ko) * 2002-11-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오디오 언어 선택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574A (ja) * 1990-06-29 1992-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40017849A (ko) * 1992-12-31 1994-07-27 배순훈 텔레비젼방송의 언어선택 방법
JPH0757442A (ja) * 1993-08-18 1995-03-03 Sony Corp 電子機器
KR19980025729A (ko) * 1996-10-04 1998-07-15 김광호 문자다중방송을 위한 원격제어장치의 코드신호 송신방법 및 티브이의 코드신호 수신방법
KR20020007625A (ko) * 2000-07-18 2002-01-2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95862A (ko) * 2001-06-16 2002-12-28 주식회사 베이시스텍 위성방송수신기의 메뉴맵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574A (ja) * 1990-06-29 1992-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40017849A (ko) * 1992-12-31 1994-07-27 배순훈 텔레비젼방송의 언어선택 방법
JPH0757442A (ja) * 1993-08-18 1995-03-03 Sony Corp 電子機器
KR19980025729A (ko) * 1996-10-04 1998-07-15 김광호 문자다중방송을 위한 원격제어장치의 코드신호 송신방법 및 티브이의 코드신호 수신방법
KR20020007625A (ko) * 2000-07-18 2002-01-2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95862A (ko) * 2001-06-16 2002-12-28 주식회사 베이시스텍 위성방송수신기의 메뉴맵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14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78B1 (ko)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771624B1 (ko) 텔레비전 수신기의 언어 설정 장치 및 방법
US6879349B2 (en) Broadcasting receiver with automatic audio selection function
JP4410929B2 (ja) 情報出力制御装置及び情報出力制御方法
US20040250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e program services
KR101281813B1 (ko) 전 채널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의 자동탐색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재생장치
KR20070028652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200405622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50058571A (ko)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61000A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2567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오디오 정보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57728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표시 방법
KR20030057108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323685B1 (ko)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80057925A (ko)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3694582B2 (ja) 受信装置
US20090232478A1 (en) Audio service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4775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장르별 채널 탐색 방법
KR100266253B1 (ko) 디지탈 방송수신기에 있어서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설정방법
KR100467633B1 (ko) 한 개의 디지털 튜너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20060106057A (ko) 영상표시기기 및 채널검색방법
JP200829471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50122416A (ko) 디지털 tv 수신기에서 선호채널 그룹핑 설정 및 그룹별선호채널 네비게이션 방법
KR20050014273A (ko) 디지털 tv에서의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0092404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