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102B1 -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102B1
KR100324102B1 KR1019990002387A KR19990002387A KR100324102B1 KR 100324102 B1 KR100324102 B1 KR 100324102B1 KR 1019990002387 A KR1019990002387 A KR 1019990002387A KR 19990002387 A KR19990002387 A KR 19990002387A KR 100324102 B1 KR100324102 B1 KR 10032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toner container
container
opening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134A (ko
Inventor
기타지마유지
가토순지
야하타마사수미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774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41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67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494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360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41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273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2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000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4165B2/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6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를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으로 부터 토너용기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부를 포함한다. 토너용기 홀더는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된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고,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된 토너는 토너배출통로로 배출된다. 토너이송장치는 상기 토너배출통로로 부터 배출된 토너를 공기와 혼합하는 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이송시킨다.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커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커버장치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토너삽입부내의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토너가 배출되는 때에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이동을 조절하고,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토너가 배출되어지지 않는 때에 상기 커버장치의 이동조절을 해제시킨다.

Description

개선된 토너공급장치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IMPROVED TON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TONER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토너공급장치와 이러한 토너공급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및 프린터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의 잠상이 드럼 혹은 밸트형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바, 이는 먼저 상기 화상담지부재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그 다음 상기 대전된 표면을 화상정보에 따라서 변조된(modulated) 광으로 노출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잠상은 토너에 의해서 현상되며, 그리고 현상된 토너화상은 종이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상에 직접 혹은 중간 전사부재를 통하여 전사되어 화상이 상기 종이용지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에 의해서 상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화상을 현상함으로서 현상장치가 토너를 소비하게 되면, 상기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용기는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다. 일단, 상기 토너공급장치에 부착된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가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되어 소비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토너용기내에 토너가 모두 소모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토너가 소비된 토너용기가 일단 토너가 담긴 새로운 토너용기로서 대체되고, 토너가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되면 상기 장치는 작동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2-277083 호는 현상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개의 토너용기를 갖는 토너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선택된 토너 용기는 토너공급장치를 회전시킴으로서 변경된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7-219329호는 현상장치로 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토너를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를 통하여 현상장치에 연결되는 토너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4-80779호및 제 8-137227호는 다수개의 토너용기들이 장착되어질수 있는 토너용기 수용장치를 갖는 토너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다수개의 토너 용기들 각각으로 부터 배출된 토너는 서로 혼합되고 상기 현상장치로 이송된다. 다수개의 토너용기들 각각은 상기 토너공급장치에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한 것이고, 토너용기의 크기는 상기 토너용기가 취급되기 쉽도록, 그리고 상기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킴없이 상기 토너용기가 새로운 토너용기로서 교체되어질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다수개의 토너용기를 포함하는 토너공급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장치는 현상장치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토너는 토너공급장치로 부터 상기 현상장치와 토너공급장치를 연결하는 토너이송장치를 경유하여 현상장치로 이송된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8-137227호는 토너용기 수용장치가 2개의 토너용기를 수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센서가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이송 파이프내에 토너의 없음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2개의 토너용기중의 어느 하나의 교반기가 정지된 상태로 부터 작동을 개시하여 회전됨으로서 그로 부터 토너를 공급한다.
상기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4-80799호는 상기 토너공급장치내에 장착된 토너용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상기 토너용기내에 토너의 없음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장치및, 토너의 없음가 검지된 토너용기내에 아무런 토너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4-80779호는 토너공급장치에 먼저 장착되었던 토너용기가 상기 현상장치에 토너공급을 먼저 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8-137227호는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토너용기의 외주표면에 제공된 토너배출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는 토너용기의 일측에 제공된 외부구동장치에 의해서 상기 토너용기의 내측에 제공된 교반기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토너배출 개구부로 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7-5759호는 일측에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추고, 상기 개구부가 캡을 탈착시킴으로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토너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캡을 장착하거나 이탈시키는 작동은 토너용기를 교체하는 작업자의 동작에 연계되어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캡으로서 개폐시키는 조작성이 쉽게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토너용기가 구비된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를 탈착하는 조작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노출된 상태의 토너공급장치의 회전부들은 작업자가 토너용기를 토너공급장치에 탈착하는 때에 작업자를 부상시키는 위험을 갖는 것이다. 또한, 토너용기가 삽입구를 통하여 토너공급장치내로 삽입되는 경우, 토너가 흩어진다고 하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토너용기가 제공된 토너공급장치는, 만일 작업자가 빈 토너용기( 즉, 그 내부에 아무런 토너도 들어 있지 않는 토너용기 )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장착된 빈 토너용기는 현재 작동중인 토너용기가 비게 되고, 장착된 빈 토너용기가 작동을 개시하기 전까지는 비워진 상태를 검지할수 없는 것이다. 이는 현상장치에 토너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고, 따라서 현상장치내의 토너의 밀도를 낮추게 되며, 결과적으로 화상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화상형성작동의 중단도 역시 초래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토너용기가 제공된 토너공급장치는, 작업자가 토너공급장치내에서 각각의 토너용기내의 토너 없음(non-existence)과 어느 하나의 토너용기 그 자체의 토너없음들을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토너용기내의 잔량을 인식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는 잘못 장착된 빈 토너용기 혹은 토너가 다 소비된 토너용기등을 교체하는데에 지연을 초래하며, 따라서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의 지연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만일 작업자가 토너용기의 내부에 어느 정도의 토너가 남아 있는지를 알지 못하고 토너가 완전하게 소비되지 않은 토너용기를 교체한다면, 상기 토너용기가 교체되는 때에 토너가 흩어질수 있고, 그에 따라서 토너가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토너용기가 제공된 토너공급장치에서는,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토너배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작동이 토너용기를 교체시키고 토너용기를 토너가 공급되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상기 토너용기가 교체되어지는 위치와 상기 토너용기가 토너를 공급개시하는 위치사이의 중간위치에 토너용기가 위치되는 경우에, 토너용기가 교체되어진다면 상기 캡은 불충분하게 닫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캡은 토너용기 수용유니트내로 추락할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토너용기를 교체하는 작동을 방해하거나, 혹은 토너가 흩어져서 토너공급장치의 내측을 오염시킬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토너용기가 제공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조립라인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에 토너공급장치를 부착시킨다거나, 상기 장치가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 혹은 상기 장치가 분해검사되는 경우등이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징및 특성에 대한 제한된 설명을 하고, 보다 상세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및 상세한 설명란에서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토너공급장치인 것이며, 토너공급장치에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조작성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향상되어지며, 작업자가 토너공급장치에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경우 토너의 흩어짐및 작업자의 부상위험등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중단을 방지하여 현상장치에서의 토너밀도의 감소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토너용기중의 어느 하나가 교체되는 경우 상기 토너공급장치에 빈 토너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결과적인 화상품질의 오염을 방지할수 있는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는 빈 토너용기가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의 중단에 기인한 화상형성작동의 중단을 더욱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토너공급장치의 내측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잔량이 적절한 표시를 통하여 쉽게 인식되어질수 있으며, 교체를 위하여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조작성이 개선되고, 상기 토너용기가 교체되는 경우 토너의 흩어짐,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의 중단및 화상형성작동의 결과적인 중단등이 방지되는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토너배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조작성이 개선되어 상기 개방작동이 캡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개폐되어지고 그에 따라서 캡의 추락이 방지되며, 토너의 흩어짐및 토너공급장치내의 결과적인 오염및 불필요한 토너의 소모등이 방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너공급장치가 조립라인에서 조립되는 경우 혹은 상기 장치가 사용자의 장소에서 분해조립되어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장치의 주몸체에 안전하게 탈착되어질수 있는 신규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뿐만아니라 그밖의 다른 특성및 특질이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다수개의 토너용기중의 각각에 담긴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토너공급장치에 의해서 제공되어진다.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가 토너공급장치의 전방측으로 부터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부를 포함한다. 토너용기 홀더는 토너용기 삽입부로 삽입되어지는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되어진 토너용기로 부터 나온 토너는 토너배출통로로 배출된다. 토너이송장치는 상기 토너배출통로로 배출된 토너를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개폐장치가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토너삽입부내의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토너가 배출되어지는 때에 토너용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고,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토너가 배출되어지지 않은 때에 상기 커버장치의 조절작동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는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개구부로 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존재를 검출하는 제 1검지장치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상기 제 1검지장치와 상호 협력하여 검지하는 제 2검지장치들이 제공된다. 상기 제 2검지장치는 제 2검지장치의 검지결과를 나타내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검지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가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제거되고 다른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것을 먼저 검지하고, 그리고 상기 다른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된 토너의 존재를 상기 제 1검지센서로서 검지함으로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출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부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삽입부내에 삽입되고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유지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와, 상기 토너삽입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내의 토너존재를 검지하는 토너검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에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와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와, 토너검지장치로서 각각의 삽입 유입구에 대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고,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에는 토너가 존재한다는 것과,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에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토너가 모두 소비된 상태라는 것과, 그리고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에 의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근거하여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할것인지 혹은 토너공급을 중단할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토너용기 삽입부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토너용기의 없음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에 대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에서의 연결(communication)을 개폐시키는 셔터를 포함할수 있으며, 상기 셔터는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의 존재를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검지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상태를 개폐한다. 상기 셔터는 아무런 토너용기도 삽입되지 않은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상태를 폐쇄하고, 토너용기가 삽입되어진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상태를 개방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토너용기의 없음을 검지하는 경우,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을 중단시킬수 있다. 그리고, 토너공급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토너공급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부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가 토너용기 삽입부를 포함하며, 이는 토너공급장치의 후방단부측에 위치되고 그를 관통하여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용기와,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킴으로서 토너용기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탈착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페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캡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구동장치는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에 힘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로 인가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가 이동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할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테핑 모터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로 주어진 힘에 의하여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캡으로서 개폐시키도록 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는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할수 있다.
본발명의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이동부재가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와 상호 협력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토너용기가 제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너용기 제거방지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다수개의 각각의 토너용기들 내부에 담긴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는 상기 토너공급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를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추며, 이는화상형성장치의 외주표면을 통하여 연장한다. 상기 개구부는 토너공급장치가 상기 장치의 전방측으로 부터 혹은 복사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위치된 상기 장치의 측방으로 부터 상기 장치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어지도록 제공될수있다.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의 측방에 제공된 제 1안내부재를 포함하여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에 삽입하고 분리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원주표면상에 제공된 제 2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에 장착하고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안내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여 토너공급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야할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손잡이와, 상기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및 작용효과는 참조도면에 관련하여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란에서 보다 명확하게 될것이다. 그리고, 참조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특정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 모든 가능한 동등의 구조와 기술들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능, 개념및 특성들을 충분히 상세하게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및 4는 도 1및 도 2의 화상형성장치내에 수용된 토너공급장치의 주요부의 단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1및 도 2의 토너공급장치의 토너용기 삽입부를 덮는 커버의 동작을 조절하고 해제시키는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작동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6은 도 1및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및 도 2의 화상형성장치내에서 토너저장소(toner bank)로 부터 현상장치로 토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토너이송장치로서의 분말펌프 유니트의 구성을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토너저장소로 부터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공급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화상형성장치에 갖춰진 현상장치의 토너공급부에 장착되는 토너회수장치(toner salvaging device)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현상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및 11(b)는 상기 용기의 단부에 제공된 개구부 근방의 토너용기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토너용기로 부터 토너가 배출되어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도 1및 도 2의 토너공급장치내에서 캡으로 토너용기의 일단부에서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예시적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캡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개폐 메카니즘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캡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메카니즘의 척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토너용기가 토너공급장치로 부터 제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토너공급장치에서 사용된 토너배출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토너공급장치내에 사용된 토너이송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토너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의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4(a), 24(b)및 24(c)는 도 23의 토너공급장치에 갖춰진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평면내에 출력되는 표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빈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와 각각의 토너용기내의 토너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일례를 도시한 다이아그램;
도 25는 상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평면내에 표시를 나타내는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26은 도 23의 토너공급장치에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삽입부로 삽입되어지지 않은 경우, 토너공급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토너용기 삽입부의 삽입 유입구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셔터가 토너공급장치내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는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29는 도 23에 도시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외관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1(a),31(b),31(c)및 31(d)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평면과 토너공급 디스플레이장치의 토너공급 디스플레이 평면의 표시를 나타내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와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내의 토너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32는 도 23에 도시된 토너공급장치내에서 사용된 토너이송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토너공급장치로 부터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공급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0의 화상형성장치에 갖춰진 현상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4는 빈 토너용기의 존재와 각각의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하고 그리고` 검지결과를 디스플레이 평면내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8은 도 37의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9및 도 40은 도 35및 37의 토너공급장치내에 사용되는 토너삽입부와 개폐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1은 도 35및 37의 토너공급장치내에 사용된 개폐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2(a) 및 42(b)는 개폐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3은 개폐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4는 개폐장치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5는 도 35및 37의 토너공급장치내에 사용된 조작레버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상기 조작레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7은 조작레버를 위한 잠금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토너용기 2..... 토너 삽입부
3..... 토너용기 홀더 4..... 토너 배출통로
5..... 토너이송장치 6..... 커버
7..... 조절장치 9..... 현상장치
10.... 화상담체 17.... 용지배출롤러
19.... 용지배출 트레이 20, 30.... 토너저장소
31.... 스토퍼 40..... 토너공급장치
43.... 토너배출장치 44.... 제 1검지장치
45.... 제 2검지장치 47.... 동력공급장치
49.... 토너개폐센서 54.... 토너용기 검지장치
57.... 토너 검지장치 58.... 디스플레이 장치
59.... 셔터(shutter) 60.... 토너공급장치
63.... 개폐장치 69.... 회전구동장치
77.... 복사용지 배출프레이 78.... 안내부재
100... 화상형성장치 111.... 콘택트 글라스
121... 광원 130.... 화상형성부
510... 토너퇴적부 614.... 토너이송통로
711... 손잡이 712.... 고정나사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명료한 기재를 위한 특정한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렇게 선택된 특정 기술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특정요소는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하는 모든 기술적인 균등체(equivalents)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을 참고하는데 있어, 동일한 참조부호는 여러 개의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가르키며, 특히 도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수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체구성도를 나타낸다.
도1에서, 화상형성장치 100은 화상담체(image carrier) 10과, 도면상에서 장치 100의 상부 우측에 설치된 현상장치(developing device) 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조(toner bank) 20이 상기 현상장치 9와 떨어져서 장치 100의 저부좌측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토너저장조 20은, 각각 내부에 토너를 담고 있으면서 2부품으로 된 토너용기 1이 상기 토너저장조 20의 전방측 20a에서 토너저장조 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토너용기 1을 수납하는 2개의 토너용기 삽입부(insertion part) 2가 수직하게 배치되고, 토너삽입구(toner insertion inlet) 2a가 각각의 토너삽입부 2에 대한 토너저장조 20의 전방측 20a에서 열려 있다. 상기 토너용기 1은 토너삽입구 2a를 통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토너삽입부 2의 내부로 삽입되고, 토너용기홀더 3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토너용기 1이 토너용기홀더 3에 의해 유지될 때, 용기 1에 담겨있는 토너 (T)는, 용기 1이 토너용기삽입부 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방향에 대한 용기 1의 축방향 단부에 갖추어진 개구부 1a을 통해, 토너용기삽입부 2의 후방측 단부에 갖추어진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된다. 계속하여, 상기 배출된 토너는 토너이송장치(toner delivery device) 5에 의해 공기와 혼합되고,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을 경유하여 현상장치 9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저장조 20은 토너용기삽입부 2를 포함한, 토너저장조 20의 전방측 20a 전체표면을 덮기 위한 덮개장치인 커버 6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6은 상기 토너저장조 20의 전방측 20a 표면을 덮고 열기 위한 개방 및 폐쇄위치로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 6은 상기 장치의 화상담체 10과 현상장치 9를 포함하는 부분을 덮는, 화상형성장치 100의 전방커버 100b의 거동과는 무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 100b가 열려지면, 장치 100은 화상형성작동을 멈춘다. 상기 커버 6은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일측에서 유지된다. 나아가, 조절장치(regulating device) 7이 상기 커버 6의 이동을 개방 및 폐쇄위치로 조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장치 7은 상기 커버 6의 이동을 개방 및 폐쇄위치로 조정하고 상기 커버 6의 이동에 대한 개방 및 폐쇄위치조정을 해제하기 위한 자석 7a를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화상형성장치 100은 화상담체 10과, 도면상에서 장치 100의 상부우측에 설치된 현상장치 9를 포함한다.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조 30이 상기 현상장치 9와 떨어져서 장치 100의 저부좌측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토너저장조 30은, 각각 내부에 토너를 담고 있으면서 3부품으로 된 토너용기 1이 상기 토너저장조 30의 전방측 30a에서 토너저장조 3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토너용기 1을 수납하는 3개의 토너용기삽입부 2-1, 2-2 및 2-3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토너삽입구 2a가 각각의 토너삽입부 2-1, 2-2 및 2-3에 대한 토너저장조 30의 전방측 30a에서 열려 있다. 상기 토너용기 1은 토너삽입구 2a를 통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토너삽입부 2-1, 2-2 및 2-3의 내부로 삽입되고, 토너용기홀더 3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토너용기 1이 토너용기홀더 3에 의해 유지될 때, 용기 1에 담겨있는 토너 (T)는, 용기 1이 토너용기삽입부 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방향에 대한 용기 1의 축방향 단부에 갖추어진 개구부 1a을 통해, 토너용기삽입부 2-1, 2-2 및 2-3의 후방측 단부에 갖추어진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된다. 계속하여, 상기 배출토너는 토너이송장치 5에 의해 공기와 혼합되고,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을 경유하여 현상장치 9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저장조 30은 토너용기삽입부 2-1, 2-2 및 2-3을 포함한, 토너저장조 30의 전방측 30a 전체표면을 덮기 위한 덮개장치인 커버들 6a, 6b 및 6c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들 6a, 6b 및 6c는 각각 상기 토너저장조 30의 전방측 30a 표면을 덮고 열기 위한 개방 및 폐쇄위치로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 6a, 6b 및 6c는 상기 장치 100의 화상담체 10과 현상장치 9를 포함하는 부분을 덮는, 화상형성장치 100의 전방커버 100b의 거동과는 무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 100b가 열려지면, 화상형성장치 100은 화상형성작동을 멈춘다. 상기 커버들 6a, 6b 및 6c는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각각 일측에서 유지된다. 나아가, 조절장치 7이 상기 커버들 6a, 6b 및 6c의 이동을 각각 개방 및 폐쇄위치로 조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장치 7은 상기 커버들 6a, 6b 및 6c의 이동을 각각 개방 및 폐쇄위치로 조정하고 상기 커버들 6a, 6b 및 6c의 이동에 대한 개방및 폐쇄위치조정을 각각 해제하기 위한 자석 7a를 포함한다.
도3 및 도4는 토너저장조 20 및 30 각각의 요부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토너저장조 20의 커버 6에 대한 조절장치 7과 토너저장조 30의 커버들 6a, 6b 및 6c 각각에 대한 조절장치 7은, 토너저장조 20의 커버 6과 토너저장조 30의 커버들 6a, 6b 및 6c에 대한 이동을 조정하고 해제하기 위한 잠금장치 7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 7b는, 토너저장조 20의 커버 6과 토너저장조 30의 커버들 6a, 6b 및 6c 각각에 갖추어진 크랭크부재(crank-like shaped member) 7b1과, 상기 토너저장조 20과 30의 일측에 각각 갖추어진, 모터 7b2의 회전이동에 의해 크랭크부재 7b1과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속부재(engaging member) 7b3를 포함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토너용기 1이 토너 (T)를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하고 있을 때, 제어기 12는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을 모터 7b2의 회전이동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제어하여, 토너저장조 20의 커버 6과 토너저장조 30의 커버들 6a, 6b 및 6c가 개방되지 않게 한다. 상기 토너용기 1이 토너를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하지 않고 있을 때, 제어기 12는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을 모터 7b2의 회전이동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커버 6과 커버들 6a, 6b 및 6c의 각각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도5는 제어장치 12를 갖춘 조절장치 7을 제어하는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S1은 토너용기 1이 토너저장조 20에 대한 토너용기삽입부 2의 각각과 토너저장조 30에 대한 토너용기삽입부들 2-1, 2-2 및 2-3의 각각에 삽입 및 정착되었는가를 결정한다. 상기 단계 S1에서의 답이 아니오이면, 토너저장조 20에서는, 토너용기삽입부 2의 커버 6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의 결합을 해제하여 커버 6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토너저장조 30에서는, 토너용기 1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토너용기삽입부들 2-1, 2-2 및 2-3의 커버들 6a, 6b 및 6c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의 결합이 해제되어 이에 부합하는 커버들 6a, 6b 및 6c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계 S1의 답이 예이면, 단계 S3은 토너 (T)가 토너용기들 1의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되어지고 있는가를 결정한다. 토너저장조 20에서, 토너가 토너용기들 1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있을때, 토너용기삽입부 2의 커버 6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의 결합을 해제하여 커버 6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토너저장조 30에서, 토너가 토너용기들 1중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배출되지 않고 있을 때, 토너용기삽입부 2-1, 2-2 또는 2-3의 커버 6a, 6b 또는 6c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의 결합이 해제되어 그에 부합하는 커버 6a, 6b 또는 6c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토너저장조 20에서 토너저장조들 1의 하나로부터 토너가 배출되고 있을 때, 토너용기삽입부 2의 커버 6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은 단계 S4에서 서로 결합되어지도록 제어되어 커버 6이 개방될 수 없게 한다. 토너저장조 30에서, 토너저장조들 1의 어느 하나로부터 토너가 배출되고 있을 때, 부합하는 토너용기삽입부 2-1, 2-2 또는 2-3의 커버 6a, 6b 또는 6c에 대한 크랭크부재 7b1과 결속부재 7b3은 서로 결합되어지도록 제어되어 커버 6a, 6b 또는 6c가 개방될 수 없게 한다.
도6은 도2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개략도이다. 화상형성장치 100은 복사기이며, 자동서류이송기(ADF) 110, 통상적으로 알려진 전자사진시스템(electrophotographic system)에서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출부(exposing section) 120, 화상형성부 130, 및 용지급송부 140을 포함한다. 상기 노출부 120은, 상기 ADF 110 또는 수동삽입에 의해 콘텍트 글라스(contact glass) 111 상에 배치된 원고 (D)에 광을 투사하기 위한 광원 121과, 상기 원고로부터 반사 광화상을 이용하여 화상형성부 130의 잠상담체인 감광성 드럼(photosensitive drum) 10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된 일련의 거울들 122과 렌즈들 123을 포함하는 노광시스템(exposure optical system)을 갖는다.
상기 화상형성부 130은 화상담체인 감광성 드럼 10과 대전장치 13, 현상장치 9, 등록롤러 14, 감광성 드럼 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장치 11과 감광성 몸체 소제장치 15, 정착장치 16, 용지배출롤러 17, 복수매의 복사를 위한 전사용지뒤집음/이송부 18, 및 용지배출트레이 19를 가진다. 용지급송부 140에는, 다수개의 용지급송카세트가 다양한 크기의 전사용지 (P)를 담은 상태로 놓여있다. 비록 상기한 노출부 120이 아날로그형 노광시스템의 일례이지만, 레이저 광원과 디플렉터(deflector)가 노출부로써 사용되어지는 레이저스캔 광학시스템을 사용함에 의한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이 감광성 드럼 10상에 광학적으로 기록되어지는 시스템으로 변경되어진다면 이는 레이저프린터일 수 있고, 원고판독기가 상기 ADF110과 노출부 120 사이에 배치되어진다면 디지털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일 수 있다.
도6에서, 화상형성운전이 개시되면, 감광성 드럼 10이 대전장치 13에 의해 대전되고, 계속하여 정전잠상이 표면상에 형성되도록 노출부 120으로부터 원고화상에 대하여 노출된다. 상기 정전잠상은 현상장치 9에서 (2성분계 현상제 또는 1성분계 현상제인)현상제의 의해 현상되며, 토너화상이 감광성 드럼 10에 형성된다. 상기 감광성 드럼 10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급송부 140으로부터 등록롤러 14를 통해 전사부(감광성 드럼 10과 전사장치 11의 전사벨브 11a 사이에 배치된 닙부(nip portion)인)로 급송된 전사용지 (P)에 전사되어지고,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되어진 전사용지 (P)는 전사장치 11의 전사벨브 11a에 의해 정착장치 16로 이송되며, 상기 토너화상은 정착장치 16에 의해 전사용지 (P)에 정착된다. 정착후 상기 전사용지 (P)는 용지배출롤러 17을 경유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9로 배출된다.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한 후에, 상기 감광성 드럼 10은 감광성 몸체 소제장치 15에 의해 소제되어 잔류토너와 용지린트(paper lint)등과 같은 오염물을 회수 또는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전사용지이송후에 상기 전사벨트 11a는 전사장치 11에 있는 소제장치 11b에 의해 소제되어 잔류토너 및 용지린트를 회수 또는 제거하도록 한다.
도6에는, 현상장치 9로써, 토너 (T)와 담체를 포함하는 2성분계 현상제를 이용하는 자기 브러쉬 현상방법이 적용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현상장치 9의 현상위치와는 별개로,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조 30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토너용기삽입부들 2-1, 2-2 및 2-3을 포함하는 토너저장조 30이 화상형성장치 100의 저부좌측부분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토너저장조는 화상형성장치 100의 저부우측부분 또는 다른 적정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토너가 이송되고 공기와 혼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토너저장조 30은 토너/공기 혼합물 통로 8인 가요성 토너이송파이프를 통해 현상장치 9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토너저장조 30에 설치된 토너용기들의 각각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이송장치 5인 분말펌프유니트를 경유하여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9을 통해 현상장치 9에 공급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이송장치 5인 분말펌프유니트가 토너저장조 30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토너용기 1은 토너저장조 30에 부착되어지도록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유도부(leading edge)로써의 개구부 1a을 가지는 전방표면 30a측으로부터 토너삽입부 2-1, 2-2 및 2-3의 각각으로 삽입되어진다. 조절장치 7은 상기 토너저장조 30의 표면을 덮기위한 덮개장치인 커버 6의 개방 및 폐쇄동작을 조정 및 해제한다.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인 토너/공기 이송파이프에 대하여, 가요성이 있으며, 나일론, 테플론등과 같이 토너에 대하여 저항성이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장치 9와 토너저장조 30 사이의 연결은 각 배치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 가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배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토너용기들 1의 각각이 유도부로써의 개구부 1a을 가진, 장치 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토너삽입부 2-1, 2-2 및 2-3의 각각으로 삽입되어지기 때문에, 토너용기 1을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조 30에 장착하고그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토너의 낭비를 최소화한다.
도7은 토너를 토너저장조 30으로부터 현상장치 9로 이송시키기 위한 토너이송장치 5인 분말펌프유니트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배출통로 4로 배출된 토너는 호퍼 5k에 퇴적되고, 이 퇴적된 토너는 분말펌프유니트 5에 의해 현상장치 9로 이송된다. 이러한 분말펌프유니트 5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통상 모이네아우-펌프(moineau-pump)로 불리는 스크류펌프가 사용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분말펌프유니트 5는 회전자 5a, 고정자 5b 및 홀더(holder) 5c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 5a는 구동축 5d(또는 구동축 자체의 외주면에 스크류를 부착한 수평이송나사)를 매개로 (미도시된)구동모터등과 같은 구동원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 5a는 구동원의 회전에 의해 회전구동되어진다. 상기 고정자 5b는 고무재료와 같은 탄성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자 5a를 에워싼다. 상기 홀더 5c는 고정자 5b를 지지한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구동축 5d의 일측을 통해 토너저장조 30의 저부에서 토너를 취하여 회전자 5a의 회전으로 그 토너를 토너통로(배출부) 5f로 이송시킨다. 게다가, 상기 고정자 5b의 일측과 홀더 5c의 내측과의 사이에는 토너통로 5f와의 연결을 위한 1-mm 갭 5e이 있다. 공기를 상기 갭 5e로부터 토너통로 5f로 불어넣기 위한 공기공급포트 5g가 갖추어진다. 상기 공기공급포트 5g는 토너통로 5f와 연결되고, 또한 공기공급튜브 5j를 통해 공기공급장치 5h인 공기펌프의 공기배출구 5i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펌프 5h가 동작하면, 공기는 약 0.5 내지 1리터/분의 송풍량으로 공기공급튜브 5j와 공기공급포트 5i를 통해 토너통로 5f의 토너 (T)에 불어넣어지고, 이에따라 토너에 대한 유동화가 가속되어 분말펌프유니트 5의 토너통로 5f로부터 배출되고 그 토너는 공기와 혼합되어지는 동안 토너이송파이프 8로 배출된다. 따라서, 분말펌프 5를 이용한 토너이송이 보다 확실하게 수행된다.
도8은 토너저장조 30에서 현상장치 9로의 토너공급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토너현상장치 9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저장조 30에서 현상장치 9로의 토너공급이 현상장치 9와 (미도시된)제어기에 갖추어진 토너감지장치 9a인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센서 9a가 토너를 감지하지 않으면, 즉 현상장치 9내의 토너공급부 9b에 축적된 토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분말펌프유니트 5가 구동되어 토너를 토너저장조 30으로부터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로 공급한다. 상기 토너공급부 9b 내에 축적된 토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레벨에 도달하면, 그 토너는 상기 센서 9a에 의해 감지되고 토너저장조 30에서 토너공급부 9b로의 토너 공급은 정지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여, 상기 토너공급부 9b는 항상 일정한 토너량을 함유하며, 안정적인 현상처리가 보장된다. 추가로, 상기 센서 9a가 미리 결정된 횟수(즉,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결정된 간격)에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동안 토너를 감지하지 못하면, 토너용기 1에 담겨져 있는 토너가 거의 소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때, 다른 토너용기 1에 담겨져 있는 토너가 배출되어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로 이송되어지기 시작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에는, 토너보충구멍 9d가 토너공급부 9b 내에 설치된 교반부재 9c의 축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토너공급구멍 9d에는 후술하는 토너회수장치 9e가 분해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9는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에 부착된 토너회수장치 9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 토너회수장치 9e는 상기 현상장치 9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된 단위구조를 가진다. 토너회수장치 9e는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내에서의 보충토너 감소를 대비하기 위해 토너를 공급할 수 있도록, 토너저장조 30으로부터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을 통해 공기와 혼합되어지는 동안에 이송된 토너를 공기로부터 분리함에 의해 토너를 회수하도록 사용되어진다.
도9에서, 토너회수장치 9e는 길이방향이 수직하게 된 깔때기형 토너분리부 9e1을 가진다. 상기 토너분리부 9e1은 공기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토너저장조 30으로부터 전달된 토너에서 공기를 분리하고 그 토너만을 중력에 의해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한다. 따라서, 토너분리부 9e1의 상측부분에는, 토너가 토너저장조 30으로부터 전달되어지는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에 연결될 수 있는 구멍 9e2가 저부측 부분에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로부터 전달된 공기와 토너의 혼합물은, 토너분리부 9e1의 내부벽을 때리면서 선회하면서 낙하하고, 이때 토너분리부 9e1의 형상과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의 위치에 의하여, 그리고 공기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가져 상승하는 반면 토너는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가져 하강하기 때문에, 공기는 토너와 분리된다. 상기 토너분리부 9e1의 상부면에는, 공기만을 배출시키도록 필터 9e3을설치하고, 저부면에는 구멍 9e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 현상장치 9를 설명한다. 도10은 현상장치 9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에서, 현상장치는 현상용기 9f와 토너공급부 9b를 가진다. 상기 현상용기 9f는, 도면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잠상담체인 감광성 드럼 10에 인접배치되고, 상기 토너공급부 9b는 상기 현상용기 9f에 장착된다. 상기 현상용기 9f 내에는, 교반롤러 9g와 패들휘일(paddle wheel) 9h가 현상을 위하여 배치되어,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인 2성분계 현상제와, 패들휘일 9h를 사용함으로써 교반롤러 9g에 의해 혼합되어지도록 교반되어짐에 의해 반대극성으로 마찰대전된 자성 담체를 퍼올린다. 게다가, 토너공급부 9b는 토너공급롤러 9b의 회전에 의해 토너 (T)를 교반시키고 감광성드럼 10에 공급된 토너의 밀도가 낮아지면 교반롤러 9g측으로 그것을 전송시킨다.
현상제가 패들휘일 9h에 의해 퍼올려지는 위치에서는, 감광성 드럼 10의 근처에 다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현상롤러 9i 및 9j가 배치된다. 이들 두 개의 현상롤러들 9i와 9h는 감광성 드럼 10의 이동방향에 대한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류측 롤러는 1차 현상롤러 9i로 설정되고 하류측 롤러는 2차 현상롤러 9j로 설정된다. 이들 1차 및 2차 현상롤러들 9i와 9j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현상슬리브와 그 현상슬리브에 고정된 자석롤러를 주요부로써 포함한다. 이 현상슬리브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등과 같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석롤러는 복수개의 자석극성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배열되도록, 페라이트자석 또는 고무자석을 혼합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자석, 및 나아가 나일론분말 및 페라이트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용기 9f에서, 현상제는 패들휘일 9h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의해 퍼올려지고 1차 현상롤러 9i측으로 방출된다. 상기 방출된 현상제중 일부는 1차 현상롤러 9i에 직접 공급되어지고 그 1차 현상롤러 9i의 표면에 도달한다. 잔여 현상제의 또다른 부분은 2차 현상롤러 9j로부터 되튕겨져 방출되고 1차 현상롤러 9i의 일측에서 자력에 의해 1차 현상롤러의 표면에 도달한다. 또한 상기 2차 현상롤러 9j로부터 1차 현상롤러 9i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원심력을 더 증가시킴에 의해 2차 현상롤러 9j로부터 튕겨지는 현상제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패들휘일 9h의 상대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차 현상롤러 9i의 표면에 도달된 현상제는 현상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롤러표면상에서 이동하고, 층두께가 독터블레이드(doctor blade) 9k에 제한되어진후, 1차 현상롤러 9i가 감광성 드럼 10에 대한 반대측에 있어 감광성 드럼 10상에 잠상이 토너에 의해 가시화되어질 수 있는 1차 현상영역 D1에 도달한다. 그후, 상기 1차 현상영역 D1을 통과한 현상제가 1차 현상롤러 9i의 일측에서의 자력이 작은 영향을 미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이것은 제2 현상롤러 9j의 일측에서의 회전과 자석롤러로부터의 자력에 의해 도면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제2 현상롤러 9j와 감광성 드럼 10 사이에 있는 2차 현상영역 D2로 이송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현상제는 2차 현상롤러 9j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현상용기 9f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패들휘일 9h에 의해 다시 교반된다.
한편, 상기 조절블레이드 9k에 의한 층두께제한에 기인하여 1차 현상롤러 9i로부터 떨어진 현상제는 분리기(seperator) 9l에 의해 안내되어져 그 분리기 9l의 연장선 일측단부에 위치된 이송스크류 9m으로 가고 계속하여 이송스크류 9m에 의해 교반롤러 9g상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기 9l의 연장선상의 타측 단부에서는, 상기 교반롤러 9g에 대한 반대측 위치에 형성되어져, 상기 현상제를 떨어뜨리기 위한 슬릿(slit)이 위치한다.
상기 1차 및 2차 현상롤러들 9i와 9j에 배치된 자석롤러들은 동일자극의 사용에 의해 생성되는 척력자장(a repulsion magnetic field)을 형성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자극을 제1 현상롤러 9i와 제2 현상롤러 9j의 가장 근접한 부분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현상제의 이송방향은 그 현상제가 제2 현상롤러 9j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강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상기 현상제는 2차 현상롤러 9j의 일측에 있는 자극에 의해 2차 현상롤러 9j로 이송된다.
상기 현상용기 9f내에 설치된 교반롤러 9g 근처에, 토너와 담체의 혼합비를 감지하기 위한 토너밀도검지장치 9n으로써의 토너밀도센서가 배치된다. 이 토너밀도센서 9n은 현상제내에 배치된 코일상의 인덕턴스변화를 사용함에 의해 측정된 현상제내의 토너함량에 기초하여 토너밀도를 감지하는 방법을 일례로 제공한다.
도11(a)와 11(b)는 개구부 1a 근처의 토너용기에 대한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숄더부(shoulder part) 101이 개구부 1a을 지지하는 일단부측 102에 형성되고, 게다가 나선형 홈 또는 돌기가 상기 개구부 1a을 향하여 상기 용기 1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용기 1의 구성에 의해, 용기 1이 방향 D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용기 1 내에 담겨진 토너는 상기 나선형 홈 또는 돌기에 의해 숄더부 101을 통해 개구부 1a으로 이동하고 용기 1로부터 배출된다.
도12는 상기 토너용기 1에서 토너가 어떻게 배출되는가를 보여준다. 부분도인 (a1), (b1), (c1) 및 (d1)은 상기 토너용기 1의 정면도이고 부분도인 (a2), (b2), (c2) 및 (d2)는 상기에 부합하는 토너용기 1의 우측단면도이다. 부분도 (b1)(b2)는 부분도면 (a1)(a2)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이며, 부분도 (c1)(c2)는 부분도 (b1)(b2)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이고, 부분도 (d1)(d2)는 부분도 (c1)(c2)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같이, 토너용기 1은 토너배출용 개구부 1a를 원통형 용기몸체 1b의 일측 단부에 형성하고, 이러한 개구부는 원통형 몸체 1b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나아가,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형성된 단부 102의 숄더부(shoulder part) 101의 내표면 일측에서 그 숄더부 101의 내표면으로부터 개구부 1a의 가장자리까지 소용돌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being pushed out), 토너를 상승시키기 위한 돌기부 1c가 형성된다.
특히, 부분도 (a2), (b2), (c2) 및 (d2)는 토너가 토너용기 1의 돌기부(projected portion) 1c와 개방돌기부(opening projection portion) 1d에 의해 어떻게 안내되어지는지를 보인다. 각각의 부분도에서의 화살표 B는 상기 토너용기 1이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부분도 (a1)과 (a2)에서, 숄더부 101에서의 최대직경에 대한 각 부분은 수직방향에 대한 하부측에 위치하고 토너는 안내홈 1e에 의해 토너용기 1의 헤드부분에 대한 최대직경부에 있는 원주벽(circumferential wall)의 저부측으로 안내된다. 상기한 상태로부터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90°회전한 후인 부분도 (b1)과 (b2)에 도시된 상태에서, 숄더부 101의 최대직경부와 상기 돌기부 1c 사이의 경계선 영역이 수직방향에 대한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홈 1e에 의해 안내된 토너의 일부가 돌기부 1c에 놓여진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부분도 (c1)과 (c2)에 도시된 상태로 90° 더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돌기부 1c는 마치 스푼(spoon)과 같이 토너를 개구부 1a의 가장자리로 상승시킨다.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90°더 회전한 후에 부분도 (d1)과 (d2)로 도시된 상태전 또는 후에, 돌기부 1c상의 토너가 부분적으로 개방돌기부 1d로 이동되고, 계속하여 상기 개방돌기부 1d의 경사에 의해 상기 개구부 1a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돌기부 1c는 부분도 (c2)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지는 것처럼 스푼의 주걱부처럼 오목하게 형성된다. 개구부 1a 근처에서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토너용기를 사용함에 의해, 한 무더기(lump)의 토너가 배출되어 떨어지는 것과 토너저장조 30의 저부에 있는 토너퇴적부에서 토너분말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토너는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저장조 1로부터 서서히 배출된다. 게다가, 토너용기 1 내에 담겨있는 토너를 남김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여분의 토너가 토너용기 1의 회전에 의해 제거되고 단지 한 숟가락 분의 토너만이 개구부 1a에서 떠 올려지고, 따라서 토너는 개구부 1a로부터 안정적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캡(cap)을 가지고 토너용기 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1a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전형적인 메커니즘을 기술한다.
도13은 토너용기 1이 토너저장조 30의 토너용기홀더 3에 형성된 홀더부 3a내에 끼워져 있고, 개구부 1a가 캡 3g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홀더부 3a에는, 홀더 3b 내에 위치하고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내부홀더 3c가 갖추어진다. 상기 내부홀더 3c는 구동기어 3c1을 통해 기어구동으로 회전된다(미도시). 상기 토너용기 1은 이러한 내부홀더 3c에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홈 및 돌기부들(미도시)을 가진다. 상기 내부홀더 3c에는, 토너용기 1과 상기 내부홀더 3c의 지지부 사이의 갭(gap)을 통해 토너가 비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seal) 3d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 3b에는, 슬라이더(slider) 3e와 척(chuck) 3f가 각각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3e는 캡 3g을 토너용기 1측으로 압박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3h에 의해 힘을 받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척 3f가 도13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캡 3g의 그래브부(grab portion) 3i는 척 3f의 클릭(click) 3f1에 의해 집혀져, 그 캡 3g이 토너용기 1의 외부로 끌려나오게 되며, 이에의해 개구부 1a가 개방된다.
도14는 상기 토너용기의 캡 3b가 개구부 1a를 개방시키도록 빼내질 때의 개방/폐쇄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14에서는, 이 상태에서 구동기어 3c1이 회전구동장치 3j의 기어에 의해 회전될 때, 내부홀더 3c가 회전하고 토너용기 1이 이 회전에 동조하여 회전함으로써, 토너용기 1 내부의 토너 (T)가 개구부 1a로부터 배출된다. 토너용기 1의 잔류토너를 사용하기에 충분히 긴 시간인 미리 결정된 기간후에, 만약 상기 토너용기 1에 잔류하는 토너 (T)가, 토너감지장치 9a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설정된 양보다 작게 되면,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는캡 3g에 의해 폐쇄되고, 이는 척 3f가 이동장치 3k에 의해 도14에 화살표 G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15는 상기 이동장치 3k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장치 3k는 구동모터 3k1, 워엄기어 3k2, 헬리컬기어 3k3, 피니언 3k4, 및 랙 3k5를 포함한다. 상기 척 3f는 구동모터 3k1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도면에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캡 3g가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에 끼워지거나 그로부터 빠질 수 있다. 상기 캡 3g가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에 끼워질 때, 토너용기 1이 이동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면에 나타난)스토퍼가 사용된다.
도16에, 스토퍼 31이 홀더 3b에 고정되어지도록 축받이스크류(stepped screw) 3m과 스프링 3n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클릭부는 토너용기 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31은 스프링 3n에 의해 힘을 받음으로써 캡 3g을 폐쇄하는 힘에 의해 도16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캡 3g이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에 확실하게 끼워질 수 있다. 게다가, 토너용기 교환시, 토너용기가 스토퍼 31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바, 이는 토너용기 1을 보다 강하게 끌어냄에 의해, 또는 상기 스토퍼 31을 수동 또는 별도의 레버(lever)를 사용하여 도16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해체함에 의해, 쉽게 교환가능하다.
도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화상형성장치 100은 토너공급장치 40, 자동서류이송기(ADF) 110, 노출유니트 120, 화상형성유니트 130, 용지급송유니트 140 및 공지된 전자사진기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공급장치 40은 현상장치 9와 화상담체 10이 마주하고 있는 장소인 현상위치로부터 떨어져서, 도면상에서 장치 100의 저부좌측부분에 배치된다. 다수개의 토너용기들 1을 수용하도록 토너용기삽입부 2가 설치된다.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는 다수개의 삽입구를 가지도록 제공됨으로써, 토너용기 1이 토너공급장치 40의 전방측으로부터 삽입구들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어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정착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구들이 갖추어진, 토너공급장치 40의 전방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 6이 상기 토너공급장치 40의 일측에 설치된다. 토너배출장치 43은, 토너용기삽입부 2에 위치된 토너용기 1이 그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로부터, 각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와 연결되는 토너이송통로 410으로 토너를 배출하게 한다.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토너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장치 44가, 토너용기 각각에 대응하는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와 연결되는 토너이송통로 410의 각각에 설치된다. 특히, 상부 제1 감지센서 44a가 토너용기 1용으로 토너삽입부 2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중앙부 제1 감지센서 44b가 토너용기 1용으로 중앙부에 배치되며, 하부 제1 감지센서 44c가 토너용기 1용으로 토너삽입부 2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2 감지장치 45가 각 토너용기 1용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감지장치 44와 함께,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된 텅빈토너용기의 존재를 감지한다. 상기 제2 감지장치 45는 상부 제2 감지센서 45b1, 중앙부 제2 감지센서 45b2, 및 하부 제2 감지센서 45b3를 포함하며, 이들은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된토너용기 1용으로 각각 배치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 40은 전형적인 가요성 파이프로 이루어진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을 통해 현상장치 9에 연결된다. 토너이송장치 5는, 토너이송통로 410으로 배출되고 혼합이송통로 411로 전송된, 토너 (T)를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를 통해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로 이송시키도록 토너공급장치 40의 저부측에 설치된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일반적으로 모이네아우펌프로 불려지는 분말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담체 10의 잠상이 현상장치 9에 의해 토너화상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토너로 현상됨으로써, 현상장치 9의 토너가 소모되고 현상장치 9의 토너량이 감소된다. 상기 현상장치 9의 토너량이 감소함으로써, 토너공급부 9b의 토너가 현상장치 9에 공급된다. 만약 상기 토너공급부 9b의 토너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낮게 감소되면, 토너공급부 9b에 설치된 토너감지센서 9a가 토너공급부 9b의 토너량의 감소를 감지한다. 이때 제어기(미도시)는 운전중인 토너용기 1에 대한 토너배출장치 43을 제어하여 토너이송장치 5를 구동하는 동안 운전중인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가 배출되도록 회전시키며, 이는 토너가 토너/공기 혼합물 이송통로 8을 통해 토너공급부 9b로 이송되어지도록 한다.
예를들어, 토너용기삽입부 2의 상부에 위치한 운전중인 토너용기 1이 토너를 배출하고 있는 동안에, 상부측 제1 감지센서 44a는 상부에서 토너용기 1로부터 배출되어지고 있는 토너의 존재를 감지한다. 만약 상기 상부측 제1 감지센서 44a가 상부에서 토너용기 1로부터 배출되어지고 있는 토너가 없음을 감지하면, 제어기(미도시)는 토너용기의 상부측에 토너가 고갈되었다고 결정하고, 토너삽입부 2의 중앙부에 있는 토너용기 1이 토너를 방출하도록 하며, 동시에 토너공급장치 40의 일측 또는 화상형성장치 100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45a는 상부측에 있는 토너용기 1의 토너가 고갈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작업자가 상부측에 있는 사용된 토너용기 1을 교체하도록 상기시킨다.
따라서, 다수개로 된 토너용기들중 하나의 토너가 고갈될지라도, 토너는 다른 토너용기에서 공급되어지고, 이에 의해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은 중단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메시지 또는 경고음에 의해 사용된 토너용기를 교체함에 의하여, 화상형성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사용된 토너용기 1을 교체할 때, 운전자는 텅빈 토너용기 1을 잘못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토너용기 1이 토너용기삽입부 2에 끼워질 때, 제2 감지장치 45용 제어기 45c는 제2 감지장치 45가 감지운전을 반복하도록 한다. 특히, 새로운 토너용기 1이 토너용기삽입부 2에 끼워질 때, 새로이 끼워진 토너용기 1을 회전시켜 토너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1 감지장치 44가 다시 토너가 없음을 감지하면(즉, 새로이 끼워진 토너용기 1이 텅빈 것이면), 디스플레이장치 45a가 다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소리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텅빈토너용기 1을 교체하도록 상기시킨다. 만약 제1 감지장치 44가 토너가 존재함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장치 45a의 메시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45a에 의해 생성된 소리가 꺼진다.
나아가, 만약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45a가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동안에 제2 감지장치 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47의 전원이 차단되면, 전원공급장치 47에 전원이 다시 공급될 때 상기 제어기 45c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토너용기 1의 교체를 알리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45a가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거나 소리를 발생하고 있는 동안과 운전자가 토너용기를 교체하고 있는 동안에 전원공급장치 47에 대한 전원이 차단될지라도,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꺼지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 47에 대한 전원이 공급된 후에, 장착된 토너용기 1이 비어있지 않다면, 새로이 장착된 토너용기 1이 다른 운전자에 의해 잘못 교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 45a가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거나 소리를 발생하고 있는 동안과 그러한 메시지와 경고음이 꺼져 있는 동안에 전원공급장치 47에 대한 전원이 차단될지라도, 새로 장착된 토너용기 1이 비어있다면, 전원공급장치 47에 대한 전원이 다시 공급될 때, 디스플레이장치 45a에 의해 메시지가 다시 표시되거나 소리가 다시 발생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텅빈 토너용기 1의 교체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18은 토너배출장치 43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캡 41b가 (미도시된)이동장치에 의해 도면에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는 척 43a에 의해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로부터 빼내진다. 홀더 43e에 의해 지지되어지고 있는 상태인 내부홀더 43d는 서로 맞물려 있으면서 토너용기 1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43b와, 회전구동장치 43c의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회전되며, 이에 의해 상기 토너용기 1이 내부홀더 43d에 동조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용기 1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토너용기 1에 담겨있는 토너가 개구부 1a를 통해 배출된다. 토너용기 1의 토너가 고갈되면, 상기 척 43a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캡 41b로 개구부 1a를 폐쇄시킨다.
도19는 토너이송장치 5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전술했듯이 통상 모이네아우펌프로 불리우는 분말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이송통로 410으로 배출되어지고 상기 통합토너이송통로 411내에 퇴적되어진,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켜, 토너와 공기의 혼합물을 토너/공기 혼합물이송통로 8을 통해 현상장치 9로 이송한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공급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개폐센서 49가 토너공급장치 40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6이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고, 동일한 커버개폐센서 49가 제2 감지장치 45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감지장치 45에 드는 비용은 3개의 센서들이 제2 감지장치 45로써 사용되어지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저렴하다.
도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장치 44의 제1 감지센서 44d가 혼합토너이송통로 411에 배치되어, 토너가 통합토너이송통로 411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만약 제1 감지센서 44d가 토너를 감지하지 않으면, 운전중인 토너용기 1이 텅비어있다고 판단한다. 나아가, 상기 제1 감지센서 44d는 혼합토너이송통로 411 내에 퇴적된 토너가 미리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설치됨으로써, 그 센서 44d가 토너없음을 감지하고 다른 토너용기 1측 토너배출장치 43이 그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를 배출하도록 한 후에, 만약 상기 센서 44d가 다시 토너없음을 감지하면, 운전중인 다른 토너용기 1이 텅비어있음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감지장치 44를 구성함에 의하여, 제1 감지장치 44에 대한 단가를 감소시킨다.
도22는 토너용기삽입부 2에 텅빈 토너용기 1이 위치함을 감지하는 전형적인 동작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러한 운전은 제어기 45c에 의해 수행된다.
만약, 단계 S11에서 운전중인 토너용기 1에 대한 제1 감지장치 44가 토너를 감지하지 않으면, 단계 S12에서는, 다른 토너용기 1이 토너배출장치 43에 의해 운전됨으로써 그로부터 토너가 배출된다. 다음에, 단계 S13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 45a가, 상기 제1 감지장치 44에 의해 토너없음이 감지된 토너용기 1을 교체할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음에, 단계 S14에서는, 사용된 토너용기 1에 대한 제2 감지센서 45b가 용기 1의 존재를 감지하거나, 커버개폐센서 49가 커버 6이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한다. 만약 단계 S14에서 상기 제2 감지센서 45b가 토너용기 1의 존재를 감지하거나 커버개폐센서 49가 커버 6이 개방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45a는 단계 S13에서의 경고메시지를 계속 표시한다.
만일 상기 제 2 검지센서 45b가 토너용기 1의 없음을 검지하거나 상기 커버개폐센서 49가 단계 S41에서 상기 커버 6가 개방되었는지를 검지하면, 단계S15에서, 상기 제 2 검지센서 45b는 또다시 상기 토너용기 1 의 존재여부를 검지하거나 상기 커버개폐센서 49는 상기 커버 6가 개방되었는지를 또다시 검지한다. 만일 상기 제 2 검지센서 45b는 토너용기 1의 없음을 검지하거나, 상기 커버개폐센서 49가 상기 커버 6가 개방되었는지를 검지한다면, 상기 사용된 토너용기 1가 아직 교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디스플레이장치 45a 는 단계 S13에서 상기 메세지를 계속 표시하게 된다. 만일 제 2검지센서 45b가 토너용기 1의 존재를 검지하거나, 혹은 상기 커버개폐센서 49가 상기 커버 6 가 닫혀져 있는지를 단계 S15에서 검지하면, 이어서 단계 S16에서 상기 사용된 토너용기 1가 교체된 것으로 결정되며, 새롭게 장착된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하여 토너배출장치 43 는 그로 부터 상기 토너를 배출하도록 작동되고, 새롭게 장착된 토너용기 1 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제 1 검지장치 44 가 검지하기에 충분히 긴 사전에 설정된 시간후에 작동이 정지된다. 만일 단계 S17 에서 제 1 검지장치 44 가 토너없음을 검지하면, 새롭게 장착된 토너용기 1 가 빈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45a 는 새롭게 장착된 토너용기 1 를 교체하도록 작업자를 상기시키는 메시지를 다시 표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토너공급장치로서 토너저장소(a toner bank) 50 는 각각 토너를 수용하는 복수의 토너용기 1 들이 상기 토너저장소 50 의 전방측 50a 으로부터 토너저장소 50 의 토너용기 삽입부 2 내로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너용기 1 는 각각 삽입유입구 2a1,2a2 및 2a3를 통해 토너용기 삽입부 2 내로 각각 도면에서 화살표 A로서 도시한 방향으로 삽입되고, 토너용기 홀더 53 로서 각각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토너용기홀더 53로서 고정된 상기 토너용기 1가 회전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용기 1에 담겨진 토너(T)는 상기 용기 1를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로 삽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용기 1의 축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용기 1 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배출된 토너는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의 후방단부측에 제공되는 토너배출통로(a toner exhausting path) 55 로 배출된다. 각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배출통로 55로 배출되는 상기 토너는 상기 토너배출통로 55 의 하부의 토너퇴적부(a toner deposit part) 510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 쌓여진 토너는 토너이송장치 5에 의해서 공기와 혼합되고, 토너공급장치 50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미도시)의 현상장치로 토너/공기 혼합이송통로 8를 경유하여 이송된다.
토너용기 검지장치 54는 각 토너용기삽입부 2내로 삽입되는 토너용기 1의 존재여부를 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대하여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토너용기홀더 53에 의해서 고정된다.
토너검지장치 57은 상기 토너퇴적부 510내에서 토너의 존재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토너퇴적부 510내에 배치된다. 상기 토너검지장치 57는 예를들면, 상기 토너퇴적부 510내에 쌓여진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검지하는 센서 57a를 포함한다. 제어장치 511는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 쌓여진 토너가 낮은 상태인지를 토너검지장치 57의 검지결과를 근거로 하여 결정한다.
커버 6는 삽입 유입구 2a1,2a2 및 2a3가 제공되는 상기 토너저장소 50의 전방표면 50a 부분을 덮고, 개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 58인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각각의 토너용기검지장치 54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빈 토너용기 1의 존재와 상기 토너검지장치 57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된 각 토너용기 1내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각 커버 6의 전방표면 일부에 배열된다.
도 24(a), 24(b) 및 24(c)는 각각의 토너용기검지장치 54 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빈 토너용기 1가 존재하는 지와 상기 토너검지장치 57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된 각 토너용기 1내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58의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나타나는 표시의 일례를 각각 도시한 다이아그램이다. 도 24(a)는 상기 토너용기 1가 상응하는 상기 용기삽입부 2내에 있고, 상기 토너가 상기 토너용기 1내에 있음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평면 58에서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은 켜지지 않는다. 도 24(b)는 토너용기 1가 상응하는 상기 용기삽입부 2 내에 있고, 상응하는 상기 토너삽입부 2내에 삽입된 토너용기 1내의 토너가 적은상태 혹은 모두 소모된 것을 표시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표시의 디스플레이는 토너가 적은 상태일때 천천히 깜빡여지고, 토너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빠르게 깜빡여진다. 도 24(c)는 상응하는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토너용기 1가 없음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평면 58a은 이러한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때 밝게 켜진다.
도 25 는 각각의 토너용기검지장치 54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빈 토너용기 1의 존재와 상기 토너검지장치 57로서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삽입된 각각의 토너용기 1내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58의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단계 S21에서, 각 토너용기검지장치 54는 상기 토너용기 1가 상응하는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되었는지를 검지한다. 그 다음 단계 S22는 모든 상기 용기삽입부 2가상기 토너용기 1를 내부에 장착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어느 토너용기삽입부 2가 상기 토너용기 1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장치 511a는 단계 S23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것을 중지하고, 이어서 단계 S24에서,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한다. 새로운 토너용기 1가 상응하는 토너용기삽입부 2 내로 삽입되어 단계 S21에서 검출되면, 그리고 상기 단계 S22가 모든 용기삽입부 2의 내부에 토너용기 1를 장착하고 있음을 결정하면, 상기 제어장치 511a는 단계 S25에서 상기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것을 계속한다.
도 26 은 상기 토너공급장치 50의 주요부분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토너용기 1가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로 삽입되어 상기 토너용기홀더 53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의 필러(a filler) 54a는 센서 54b 와 접촉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토너용기 1의 존재가 검지되어진다. 상기 센서 54b는 광단속기(a photo-interrupter), 리미트스위치(a limiting switch)등을 포함한다.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가 토너용기 1를 검지하면, 상기 토너용기 1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되고, 셔터(a shutter) 59의 셔터판 59a 은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로부터 상기 토너이송통로 55로 상기 토너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와 상기 토너이송통로 55와의 사이에서의 연결을 개방하기 위하여 화살표 B로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모터 59b 로서 구동되어진다.
도 27 은 토너용기 1가 상기 토너삽입부 2 내로 삽입되지않을 때 상기 토너공급장치 50의 주요부분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토너용기 1가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의 필러 54a는 상기 센서 54b와 간섭되지 않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서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 않음이 검지된다.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가 토너용기 1 없음을 검지하면,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되고, 상기 셔터 59의 셔터판 59 a은 상기 개구부 2a를 통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 와 상기 토너이송통로 55와의 사이에서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서 화살표 C 로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터 59b에 의해서 구동되어진다.
도 28은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와 상기 토너이송통로 55와의 사이에서의 연결을 차단하는 셔터 9가 제공될 때 토너용기 1가 그에 상응하는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표시를 나타내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단계 S31에서, 각 토너용기검지장치 54 는 상응하는 토너용기삽입부 2 내로 삽입된 토너용기 1를 검지한다. 이어서, 단계 S32는 어느 하나의 용기삽입부 2라도 그 내부에 토너용기 1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어느 토너용기삽입부 2가 그 내부에 토너용기 1를 포함하면, 상기 현상장치 9에 토너를 공급하는 것이 단계 S35에서 계속된다.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토너용기 1 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 511a는 단계 S33에서 상기 현상장치 9로 토너를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고, 단계 S34에서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태내는 표시를 각 디스플레이장치 58 의 디스플레이평면58a 에 표시한다. 만일 새로운 토너용기 1가 어느 토너용기삽입부 2 내로 삽입되고, 상응하는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가 단계 S31에서 새롭게 삽입된 토너용기 1를 검지하면, 그리고 만일 단계 S32가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토너용기 1가 포함됨을 결정하면, 상기 제어장치 511a는 단계 S35에서 상기 현상장치 9로 토너를 공급하는 것을 시작한다. 따라서, 또다른 토너용기 1는 상기 토너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또다른 토너용기 삽입부 2 내로 삽입될수 있거나 혹은 사용된 토너용기 1가 본 실시예에서 토너가 상기 현상장치 9로 공급되어지는 동안에 교체될수 있다.
도 29 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로서 토너저장소 5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0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 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공급장치로서 화상형성장치 100의 우측하부에 위치된 토너저장소 50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저장소 50는 토너용기홀더 53로서 고정되는 각 토너용기 1 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디스플레이평면 58a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은 상응하는 용기삽입부 2 내에 빈 토너용기 1의 존재를 상기 토너용기검지센서 54로서 검지한 결과와 상기 토너용기 1내에서 토너의 존재를 상기 토너검지센서 57로서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기위한 표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에는 토너공급 디스플레이평면 105a을 갖는 토너공급디스플레이장치 105가 제공되고,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평면 105a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조작패널 100c상에 설치된다.
도 30에서, 주모터(미도시)의 전원이 켜지고, 상기 토너용기홀더 53a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 1가 회전구동장치 53a에 의해서 회전되기 시작되면, 상기 토너용기 1내에 채워진 토너(T)는 상기 용기 1의 축단부에 제공되는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배출통로(a toner exhausting path)55로 배출된다. 각 토너용기 1로부터 상기 토너배출통로 55로 배출되는 토너는 상기 토너배출통로 55의 하부에서 토너퇴적부 510 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토너퇴적부 510 내에 쌓여진 토너는 토너이송장치 5에 의해서 공기와 혼합되어진 다음,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현상장치 9로 이송되어진다.
상기 토너퇴적부 510의 저부에 제공되는 토너검지장치 57의 센서 57a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 토너가 설정된 높이이하임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작동하는 토너용기 1는 제어장치 511a의 제어하에서 센서 57a에서의 검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구부 1a를 통해 토너를 배출하기 위하여 회전되어진다. 상기 센서 57a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서 토너가 설정된 높이이상임을 검지하면, 상기 토너용기 1는 토너를 방출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것이 정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과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장치 105(도 29 참조)의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평면 105a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토너용기 1내에 토너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시를 표시한다.
상기 센서 57a 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 내의 토너가 설정된 횟수동안 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높이이하임을 검지하면, 상기 제어장치 511a는 작동하는 토너용기 1 내의 토너가 적어진 상태임을 결정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장치 511a는 또다른 토너용기 1에 대하여 회전구동장치 53a를 제어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과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평면 105a은 토너용기 1 가 존재하고, 구동되어지는 용기 1 내에 토너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를 표시하여, 또다른 토너용기 1가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 에 의해 회전되기 시작하고 상기 토너이송통로 55 로 토너를 배출하도록 하여 상기 토너퇴적부 510 내에 퇴적되도록 한다.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작동하는 토너용기 1내에 있는 토너가 낮아지는 것을 검지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작동하는 토너용기 1의 캡 53g은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를 닫는다.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53g에 의해서 닫혀진 후,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과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장치 105의 토너공급디스플레이평면 105a은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 1내에 토너가 적어진 상태이거나 비워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깜박임으로 표시한다. 다르게는 이러한 표시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토너가 적어질 때 천천히 깜빡여질수 있고, 상기 토너가 바닥이 될 때 빠르게 깜빡여진다. 따라서, 상기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소 50 내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이 작업자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같은 표시를 통하여 용이하게 알려질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작업자는 사용된 토너용기 1를 교체하라는 것을 확실하게 알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현상장치 9로 향한 토너공급의 중단이 예방된다. 덧붙여서, 사용된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캡 53g 으로서 닫혀져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된 토너용기 1를 상기 토너공급장치 50 로부터 분리할 때 토너의 비산이 방지된다.
도 31(a),31(b),31(c) 및 31(d)는 상응하는 토너용기검지장치 54 로서 각 토너용기삽입부 2내의 빈 토너용기 1의 존재와 상기 토너검지장치 57 로서 각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삽입된 각 토너용기 1에서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58의 디스플레이평면 58a과 상기 토너공급디스플레이장치 105의 토너공급디스플레이평면 105a들의 표시의 또다른 일례들을 각각 도시한 다이아그램이다. 도 31(a)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 1내에 토너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도 31(b)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토너가 적은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 31(c)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토너가 소모되어 있는 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 31(d)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서, 상기 토너저장소 50내에 잔류하는 토너양의 인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32는 상기 토너공급장치 50에서 사용되는 상기 토너이송장치 5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전술한 바와같은 모이뉴펌프(Moineau pump)라고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분말펌프(a powder pump)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이송장치 5는 상기 토너/공기 혼합이송통로 8를 통하여 상기 현상장치 9로 토너와 공기의 혼합물을 보급하기 위해서 상기 토너용기 1로부터 토너이송통로 55 로 배출되어 상기 토너퇴적부 510 에 퇴적되는 토너를 공기를 혼합한다.
도 33은 상기 제어장치 511와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에 제공되는 센서 57b로서 토너저장소 50로부터 상기 현상장치 9로 토너를 공급하는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0의 화상형성장치 100에 갖춰진 상기 현상장치 9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3에서 상기 센서 57b가 토너를 검지하지 못하면, 즉, 상기 현상장치 9 의 토너공급부 9b 내에 축적된 토너의 높이가 설정된 레벨보다 낮을 때, 상기 분말펌프 유니트 5는 상기 토너저장소 50로부터 상기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서 구동된다. 상기 토너공급부 9b내에 축적된 토너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토너는 상기 센서 57b에 의해서 검지되고, 상기 토너저장소 50로부터 상기 토너공급부 9b로의 토너공급은 중단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서, 상기 토너공급부 9b는 항상 일정량의 토너를 담을 수 있어 안정된 현상공정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센서 57b가 설정된 횟수(즉, 주기적이거나 설정된 간격)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토너를 검지하지 못하면, 상기 토너용기 1내에 담겨진 상기 토너는 대부분 배출되어진 것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또다른 토너용기 1내에 담겨진 토너는,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토너가 상기 용기 1 내에 존재하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 이 표시하는 동안, 상기 토너이송통로 55로 토너를 배출하여 상기 토너퇴적부 510내에 퇴적되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구동장치(도 33에 미도시)에 의한 동작이 시작된다.
도 34는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 54로서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 내의 빈 토너용기 1의 존재와 상기 토너검지장치 54로서 각각의 토너용기삽입부 2내에 삽입된 토너용기 1내 토너의 존재를 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검지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단계S41에서, 상기 제어기 511의 제어기 511a 또는 511b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 의 주모터가 상기 토너검지장치 57의 센서 57a 또는 57b로서 토너용기 1 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하기 위해서 온(ON)상태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주모터가 온(ON)이면, 단계S42는 토너용기 1가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되었는지를 상기 토너용기검지장치 54로서 결정한다. 만일, 상기 토너용기 1가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S43 은 토너용기 1가 존재하지않음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58의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한다. 상기 토너용기 1가 어느 토너용기삽입부 2에 삽입되면, 단계S44는 토너검지장치 57로서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다.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 쌓여진 토너를 검지하면(즉, 쌓여진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음), 단계S45는 작동하는 토너용기 1 로부터 토너를 방출하는 것이 정지되도록 시간 T1 동안 상기 작동하는 토너용기 1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정지시키고, 단계S46은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토너용기 1내에 토너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응하는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한다.
만일,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단계S44에서 토너없음을 검지하면(즉, 쌓여진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지않음), 단계 S47은 시간 T2 동안 작동중인 토너용기 1를 위하여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작동시키고, 단계S48은 토너검지장치 57로서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다. 만일,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에 쌓여진 토너를 검지하면 (즉, 쌓여진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음), 단계S49는 작동하는 상기 토너용기 1 로부터 토너를 방출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하여 시간 T3 동안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정지시키고, 단계S46는 상기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작동하는 토너용기 1 내에 토너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한다.
만일, 상기 토너검지센서 57가 단계S48에서 토너없음을 검지하면(즉, 쌓여진 상기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지않음), 단계S50은 시간 T4 동안 작동하는 상기 토너용기1에 대한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작동시키고, 단계S51는 상기 토너검지장치 57로서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다. 만일,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상기 토너퇴적부 510내에 쌓여진 토너를 검지하면(즉, 상기 쌓여진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음), 단계S52는 상기 토너용기 1 로부터 토너를 방출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하여 시간 T5 동안 작동하는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한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정지시키고, 단계S53는 상기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작동하는 상기 토너용기 1내에 토너가 소모됨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58a에 표시한다.
만일, 상기 토너검지장치 57가 단계 S51에서 토너없음을 검지하면(즉, 쌓여진 상기 토너가 설정된 높이를 넘지않음), 단계S54는 작동하는 상기 토너용기 1가 비어있다고 결정하고, 또다른 토너용기 1의 캡 53g을 분리함으로서 또다른 토너용기삽입부 2 에 삽입된 또다른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 를 개방하며, 또다른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한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의 구동정지를 해제한다. 이어서 단계S55는 시간 T6 동안 또다른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를 작동시킨다. 단계 S56은 상기 갭 53g으로서 사용된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를 닫고, 사용된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장치 53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단계 S57은 상기 토너용기 1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 1가 비어있음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사용된 상기 토너용기 1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평면 85a에 표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6은 동일한 토너공급장치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토너공급장치 60는 작동레버 68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토너용기 1 가 상기 토너공급장치 60의 전면 60a에 위치된 삽입구 2a를 통하여 삽입될수 있어서 토너용기삽입부 2 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화살표 A1은 상기 토너공급장치 60에 장착되어지도록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내로 토너용기 1를 삽입하는 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 A2는 상기 토너공급장치 60로부터 상기 토너용기 1를 떼어내는 방향을 지시한다.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 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 63는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가 닫혀진 상태로, 상기 용기 1의 캡 61b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개폐장치 63는 도 35에서 화살표 A1과 A2로서 지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장치 63 의 이동부재 63a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개구부 1a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에 상기 캡 61b을 끼우고 분리시킨다.
상기 토너용기 1 에 담겨진 토너(T)는 상기 개폐장치 63에 의해서 상기 캡 61b을 상기 개구부 1a 로부터 분리시킨 다음에, 상기 토너용기 1가 방출장치 69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용기 1로부터 토너배출통로 55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배출된 토너는 상기 토너이송통로 610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도 36 참조)에 갖춰진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b로 이송된다.
상기 개폐장치 63의 구동장치 64는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를 열고 닫기 위한 방향, 즉 도 35에서 화살표 A1과 A2 방향으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 63a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상기 개폐장치 63의 이동부재 63a에 가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 64는 화살표 A1과 A2 로서 지시된 방향으로 상기 용기 1의 캡 61b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 63a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재 63a 에 가하지 않을 때, 이동부재 63a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도 3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8은 동일한 토너공급장치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토너공급장치 61는 각 삽입입구 2a에 제공되는 작동레버 68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토너삽입부 2에 장착하기 위해서 2개의 토너용기 1가 상기 토너공급장치 61의 전면 61a에 위치되는 한쌍의 삽입구 2a를 통해 삽입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화살표 A1 은 상기 토너공급장치 61에 장착되도록 토너용기 1를 삽입하기 위한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A2 는 상기 토너공급장치 61 로부터 상기 토너용기 1를 분리시키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 1 로부터 방출되는 토너(T)는 상기 토너배출통로 610에서 서로 섞이고, 구동장치 611의 토너이송스크류 612의 회전작동에 의해서 상기 토너배출통로 610로부터 토너이송통로 614로 배출된다. 이어서, 도 38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토너는 분말 다이아프램 펌프(a powder diaphragm pump)을 포함하는 토너이송장치 613에 의해서 상기 토너이송통로 614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 에 갖춰진 현상장치 9의 토너공급부 98b로 이송된다. 상기 토너보급부 9b는 토너와 혼합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9b1을 포함한다.
도 39 와 40은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와 개폐장치 63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토너용기삽입부 2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rotatably-supported) 내부홀더 62c가 홀더 62b 내에 제공되고 있다. 상기내부홀더 62c는 구동기어 62d를 통한 기어구동(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어진다. 상기 토너용기 1는 내부홀더 62c와 더불어 동시에 회전할수 있도록 요철부(recess and projecting portions)를 갖는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내부홀더 62c 에서, 실(a seal) 62e이 상기 토너용기 1와 상기 내부홀더 62c의 지지부사이의 갭(gap)으로부터 토너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홀더 62b에서, 슬라이더(a slider) 63d와 척(a chuck) 63e은 각각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 63d가 상기 토너용기 1측으로 상기 캡 61b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스프링 63f에 의해서 가압된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척 63e이 화살표 B 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캡 61b의 손잡이부( a grab portion) 61b1는 상기 척 63e의 클릭(a click) 63e1 에 의해서 고정되어 상기 캡 61b이 상기 토너용기 1로부터 인출됨으로서 상기 개구부 1a는 개방되는 것이다.
도 40은 상기 캡 61b이 상기 개구부 1a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용기 1 의 개구부 1a 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개폐장치 63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에서, 상기 구동기어 62d는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장치 69의 기어 69a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내부홀더 62c는 회전하고, 상기 토너용기 1 도 이러한 회전과 더불어 회전함으로서 상기 토너용기 1내에 토너(T)는 상기 개구부 1a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토너용기 1내에 잔류하는 토너(T)가 상기 토너용기 1의 잔류하는 토너를 전량소모하기에 충분히 길게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다음, 토너검지장치(미도시)에 의해서 결정될 때 설정된 양보다 적게 되면, 구동장치 64로서 도 40 의 화살표 C 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척 63e을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토너용기 1 의 개구부 1a 는 상기 캡 61b 에 의해서 닫혀진다.
도 41 은 상기 구동장치 64 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구동장치 64는 워엄휠(a worm wheel) 64a, 워엄 64b, 회전구동유니트 65c , 피니언 64d 및 상기 이동부재 63a에 제공되는 랙 64e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 64는 상기 회전구동장치 64c 로서 각각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되는 상기 피니언 64d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화살표 B와 C 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 63a 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 64 가 화살표 B 와 C 로 지시된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 63a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이동부재 63a 에 가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장치 64 가 상기 이동부재 63a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캡 61a 이 개구부 1a 로부터의 분리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개구부 1a를 닫기위하여 삽입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때에도, 상기 회전구동장치 64c는 운전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이것에 의해서 소비전력이 절약된다.
도 42(a)와 도 42(b)는 상기 개폐장치 63 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개폐장치 63 는 상기 이동부재 63a 가 도 42(a)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 C 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때,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 으로서 닫혀지는 상기 이동부재 63a 의 빛투과부(a light transmitting part) 63a1 의 위치 63c 를 검지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부재 63a 가 도 42(b)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 B 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캡 61b이 개구부 1a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 1a 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이동부재 63a의 또다른 빛투과부63a2 의 위치 63b를 검지하는 검지장치 65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재 63a 는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각 위치가 상기 검지장치 65에 의해서 검지되면, 상기 구동장치 64는 상기 이동부재 63a 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구동장치 64c 로서 회전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워엄휠 64a 과 워엄 64b 은 맞물린 부분에서 서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구동장치 64c 의 모터출력이 작아지고, 상기 워엄 64b 의 이동방향에 관련된 워엄 64b 의 각도가 예를들면 대략 3。 로 작아지면, 상기 워엄휠 64a 과 워엄 64b 은 서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3 은 상기 개폐장치 63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개폐장치 63는 상기 이동부재 63a 가 화살표 C 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토너용기 1 의 개구부 1a를 상기 캡 61b 으로서 닫는 위치 63a 로, 또는 상기 이동부재 63a 가 화살표 B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개구부 1a를 상기 캡 61b 으로서 닫는 위치 63c 로 상기 이동부재 63a 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구동장치 64c 의 스테핑모터 64c1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단계수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장치 63g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워엄휠 64a과 워엄 64b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서 서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모터 64c1의 출력이 작고, 상기 워엄 64b 의 이동방향에 관련된 워엄 64b 의 각도, 예를들면 대략 3。 로 작아지더라도 상기 워엄휠 64a 과 워엄 64b은 맞물리는 부분에서 서로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 1a는 상기 캡 61b에 의해서 안전하게 닫혀지고, 개방되는 것이다.
도 44 는 상기 개폐장치 63 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개폐장치63 는 상기 위치 63b,63c 에서 각각 스프링과 같은 충격흡수부재(a shock absorbing member) 66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 63a 가 상기 위치 63b,63c 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구동장치 64c 용 모터가 꺼지더라도, 상기 워엄휠 64a과 워엄 64b이 맞물리는 부분에서 서로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 1a 는 상기 캡 61b 에 의해서 안전하게 닫혀지고 개방된다.
도 45 는 상기 작동레버 68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5에서, 상기 작동레버 68는 스토퍼 62f와 상기 토너용기 1의 결합부 (an engaging protrusion ) 61g 의 결합을 해제한다. 연장홀 68b 은 상기 레버 68에서 개방되고, 상기 레버 68 는 상기 홀 68b을 통해 고정벽부재(a fixing wall member) 68b 에 나사 68c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벽부재 68d에 관련하여 미끄러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에 의해서 닫혀질 때,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 68 가 화살표 E 로 지시된 방향으로 밀려지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상기 스토퍼 62f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되어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는 롤러 68e 가 상기 스토퍼 68f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 68f가 도 45 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62f와 상기 결합부 61g의 맞물림은 상기 홀더 62b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토너용기 1를 상기 홀더 62b 로부터 제거할수 있도록 해제된다.
상기 캡 61b 이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개구부 1a가 개방될 때, 상기 작동레버 68가 화살표 E 로 지시된 방향으로 밀려지더라도, 상기 스토퍼 62f 와 돌출부 61g 의 맞물림은 상기 이동부재 63a 와 상기 연결로드 67a 의팁단부에 제공되는 롤러 67a1를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로드(a connecting rod) 67a 를 포함하는 토너용기제거방지장치 67에 의해서 해제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 에 의해서 닫혀지지 않을 때, 상기 토너용기 1가 상기 홀더 62b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6 은 상기 작동레버 68 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6에서, 상기 작동레버 68는 상기 스토퍼 62f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방향으로 스프링 68a에 의해서 당기어진다. 상기 스프링 68a은 일단에서 상기 작동레버 68 에 고정되고, 타단에 고정부재(미도시)가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롤러 68e와 상기 스토퍼 62f의 경사면은 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분리된 위치에 유지된다.
도 47은 상기 작동레버 68 용 잠금부재(a locking member)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7에서,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 에 의해서 닫혀지지 않으면, 지지축 67b에 의해서 지지되는 잠금부재인 레버 스토퍼 67c의 일단부 67c1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작동레버 68의 측면에 제공되는 돌출부 68f와 결합되어진다. 스프링 67d은 상기 레버스토퍼 67c의 일단부 67c3 에 고정부재(미도시)와 결합된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단부 67c1는 지레받침(fulcrum)과 같은 지지축 67b으로서 상기 돌출부 68f에 근접하도록 화살표 F로 지시된 방향으로 가압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토너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미도시)에 의해서 닫혀질 때, 상기 토너용기제거방지장치 67의 연결로드 67a의 롤러 67a1가 상기 이동부재 63a(미도시)와 협력하여 화살표 G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상기 레버 스토퍼 67c 의 일단부 67c1가 상기 작동레버 68 의 돌출부 68f 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레버스토퍼 67c 의 경사면 67c2 이 상기 롤러 67a1 에 의해서 가압되어지고, 상기 인장스프링 67d의 가압력을 저항하면서 상기 레버스토퍼 67c는 상기 화살표 F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가 상기 캡 61b에 의해서 닫혀질 때를 제외하고 상기 작동레버 68를 작동할수 없기 때문에, 상기 토너용기 1는 상기 캡 61b 에 의해서 상기 용기 1의 개구부 1a가 닫혀지지 않으면 제거될수 없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캡 61의 제거 또는 상기 캡 61b으로서 닫혀지지 않은 개구부 1a를 갖는 상기 토너용기 1의 제거에 기인하는 토너의 비산이 방지된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8에서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소 70는 화상형성장치 100의 하부좌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에는 토너공급장치인 토너저장소 70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토너공급장치홀더 72가 제공된다. 상기 토너공급장치홀더 72는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내부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 100의 본체(a main body) 0에 제공되는 개구부 0a1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 0a1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본체 0의 외주표면을 통해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0a1는 도 48에서 화살표 A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토너저장소 70가 상기 장치 10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장치 100에 삽입및 제거될수 있도록 상기 장치 100의 전면에 마주하여 제공된다.상기 토너저장소 70가 상기 장치 100내로 삽입되면, 상기 토너저장소 70는 위치설정부재(a positioning member)(미도시)로서 상기 장치 100의 본체 0에 장착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고정부재인 고정나사 712로서 상기 장치 100의 본체 0에 고정되어진다. 상기 고정나사 712는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상기 장치 100의 본체 0로부터 분리시킬때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토너저장소 70가 상기 장치 100의 본체 0로부터 분리될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 0의 조립이 편리해질수 있도록 상기 장치 100의 본체 0에서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분리하여 조립할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저장소 70는 상기 본체 0 에 장착될 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토너저장소 70는 상기 본체 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장치 100로부터 상기 토너저장소 70의 불필요한 분리에 기인하는 화상형성작동의 불필요한 정지가 방지된다.
상기 개구부 01a는 상기 토너저장소(점선으로 도시됨)를 도 48에서 화살표 B로 지시된 방향으로 상기 본체 0로부터 제거하거나 삽입할수 있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일측면과 마주하여 예를들면,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복사용지 배출트레이( a copysheet exit tray) 77 가 위치되는 상기 장치 100의 측면과 마주하여 제공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 01a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사용지배출트레이 77 하부의 개방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상기 본체 0 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장착할수 있도록 상기 토너저장소 70 를 본체 0로 부터 분리되거나,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저장소 70의 측면에 안내부재(a guidemember) 78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a handhold) 711는 예를들면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상기 본체 0로 삽입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저장소 70의 전면에 제공된다.
도 49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9에서 토너공급장치홀더 72의 안내부재 79는 복사용지 배출트레이 77하부에 위치되는 외주면에서 제공되는 한쌍의 안내레일 79a과 상기 토너저장소 70 의 상부표면에 제공되는 한쌍의 안내레일 79b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100의 본체 0로부터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장착하고 분리할 때, 상기 본체 0내로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해서 화살표 K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상기 토너저장소 70가 안내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79a,79b은 서로 결합한다. 상기 본체 0에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장착할 때, 상기 토너저장소 70는 상기 복사용지배출트레이 77하부의 외주표면에 제공되는 4개 위치설정부재 710에 의해서 상기 본체 0에 장착되어야할 위치에 위치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토너저장소 70는 상기 본체 0에 고정나사 712로서 고정된다. 상기 본체 0로부터 토너저장소 70를 분리할 때, 상기 나사 712는 제거된다. 상기 토너저장소 70를 상기 본체 0에 삽입하고, 제거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저장소 70의 전면의 양측면에 손잡이 711가 제공된다.
분명히 본 발명의 다양한 부가적인 구조개선과 변형이 상술한 기술의 내용에 의거하여 가능하다. 특히,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기술되는 특징은 여기에 기술된 다른 실시예에도 논리적으로 채용될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본발명은 여기에 상세히 기술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내용은 1998년 1월 26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10-027745호와, 1998년 3월 3일자로 제출된 제 10-067913호, 1998년 3월 6일자로 제출된 제 10-073605호, 1998년 3월 20일자로 제출된 제 10-092736호, 1998년 4월 14일자로 제출된 제 10-120001호등에 기초한 것이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토너공급장치인 것이며, 토너공급장치에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조작성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향상되어지며, 작업자가 토너공급장치에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경우 토너의 흩어짐및 작업자의 부상위험등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중단을 방지하여 현상장치에서의 토너밀도의 감소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토너용기중의 어느 하나가 교체되는 경우 상기 토너공급장치에 빈 토너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결과적인 화상품질의 오염을 방지할수 있는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는 빈 토너용기가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의 중단에 기인한 화상형성작동의 중단을 더욱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토너공급장치의 내측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잔량이 적절한 표시를 통하여 쉽게 인식되어질수 있으며, 교체를 위하여 토너용기를 탈착시키는 조작성이 개선되고, 상기 토너용기가 교체되는 경우 토너의 흩어짐, 현상장치로의 토너공급의 중단및 화상형성작동의 결과적인 중단등이 방지되는 새로운 토너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토너배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조작성이 개선되어 상기 개방작동이 캡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개폐되어지고 그에 따라서 캡의 추락이 방지되며, 토너의 흩어짐및 토너공급장치내의 결과적인 오염및 불필요한 토너의 소모등이 방지되어지는 것이다.

Claims (74)

  1.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 있어서,
    토너용기가 전면으로 부터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되어진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토너용기 홀더;
    상기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나온 토너가 배출되어지는 토너배출통로;및
    상기 토너배출통로로 배출되어진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토너삽입부들은 다수개의 토너용기들이 상기 장치의 전면으로 부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는 커버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토너용기 삽입부의 각각을 덮고 개방시키는 커버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장치는 토너가 토너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는 때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장치는 토너가 그에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는 때,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절장치는 토너가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지 않는 때,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 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조절작동을 해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8. 현상장치;및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측으로 부터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되어진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토너용기 홀더;
    상기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나온 토너가 배출되어지는 토너배출통로;및
    상기 토너배출통로로 배출되어진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상기 현상장치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들은 다수개의 토너용기들이 상기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측으로 부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는 커버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들을 덮고 개방시키는 커버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장치는 토너가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는 때, 상기 토너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장치는 토너가 그에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는 때,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절장치는 토너가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어지지 않는 때, 상기와 일치하는 토너 삽입부를 덮고 개방시키기 위한 커버장치의 조절작동을 해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전면커버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가 개방되어지는 때 화상형성작동이 중단되어지며;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전면커버의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으로 부터 자유롭도록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내부에 토너용기가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토너용기내에 담긴 토너를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토너배출장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개구부로 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존재를 검지하는 제 1검지장치;
    상기 제 1검지장치와 상호협력하여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는 제 2검지장치;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각각의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된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제 2검지장치의 검지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장치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제 2검지장치는 상기 동력공급장치에 동력이 점등(turn on)되면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들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작동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장치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검지장치는 제 2검지장치로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제거되고, 다른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먼저 검지하고, 상기 제 1검지장치로서 상기 다른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존재를 검지함으로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검지장치는 다수개의 토너용기 각각으로 부터 배출된 토너가 서로 합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23. 현상장치;및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각각의 내부에 토너용기가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토너용기내에 담긴 토너를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토너배출장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각각의 내부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개구부로 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존재를 검지하는 제 1검지장치;
    상기 제 1검지장치와 상호협력하여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는 제 2검지장치;및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각각의 다수개의 토너용기들로 부터 배출된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제 2검지장치의 검지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제 2검지장치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장치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제 2검지장치는 상기 동력공급장치에 동력이 점등(turn on)되면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들을 덮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작동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장치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검지장치는 제 2검지장치로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검지장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제거되고, 다른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먼저 검지하고, 상기 제 1검지장치로서 상기 다른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존재를 검지함으로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된 빈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검지장치는 다수개의 토너용기 각각으로 부터 배출된 토너가 서로 합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로 각각 토너용기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토너용기가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 유입구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삽입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토너용기 홀더;
    상기 토너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유지되는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서 토너용기 홀더에 의하여 고정된 각각의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된 토너를 받고 이를 이송하는 토너이송통로;
    상기 토너이송통로에 의해서 받은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
    상기 토너삽입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유지되는 토너용기내의 토너존재상태를 검지하는 토너검지장치;및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각각의 삽입 유입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토너가 상기 용기내에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디스플레이 평면상에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에 토너가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나타내는 표시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할것인가 혹은 토너공급을 중단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토너용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지할때, 상기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공급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에 대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상태를 개폐시키는 셔터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그에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에 따라서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아무런 토너용기도 삽입되지 않은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토너용기가 삽입된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의 없음을 검지한 때에 현상장치측으로 토너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40. 현상장치;및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그 내부로 각각 토너용기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토너용기가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 유입구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삽입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각각의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토너용기 홀더;
    상기 토너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토너용기 홀더에 의해서 고정유지되는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
    상기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내에서 토너용기 홀더에 의하여 고정된 토너용기로 부터 배출된 토너를 받고 이를 이송하는 토너이송통로;
    상기 토너이송통로에 의해서 받은 토너를 공기와 혼합시키는 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토너용기홀더에 의해서 고정유지되는 토너용기내의 토너존재를 검지하는 토너검지장치;및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각각의 삽입 유입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토너가 상기 용기내에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디스플레이 평면상에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에 토너가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 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나타내는 표시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할것인가 혹은 토너공급을 중단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상기 다수개의 토너용기 삽입부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토너용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지할때, 상기 현상장치로 향한 토너공급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6.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각각의 토너용기 삽입부에 대하여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상태를 개폐시키는 셔터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그에 일치하는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에 따라서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아무런 토너용기도 삽입되지 않은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토너용기가 삽입된 토너용기 삽입부와 토너이송통로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가 각각의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내의 토너용기의 없음을 검지한 때에 현상장치측으로 토너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0.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는 하는 토너공급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 디스플레이장치는 토너용기 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의 존재를 검지하고 각각의 삽입 유입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토너검지장치로서 토너용기내의 토너의 존재를 검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를 출력하며, 그리고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토너가 상기 용기내에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들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2.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평면상에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에 토너가 존재한다는 것, 상기 토너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용기내의 토너가 적은 상태이거나 혹은 모두 소비되어 없다는 것, 및 아무런 토너용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등을 나타내는 표시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3.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용기내에 담겨진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에 있어서,
    후방단부측에 위치되고 개구부를 관통하여 토너를 배출시키기 위한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킴으로서 토너용기 삽입부내로 삽입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캡을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및,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각각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로 인가하고, 그리고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토너용기 삽입부내에 삽입된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힘을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로 인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는 토너용기의 캡이 상기 개폐장치에 마주한 상태로 토너용기가 전면으로 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 유입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5.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워엄휠, 워엄및, 상기 워엄에 회전구동력을 가해주는 회전구동장치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6.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하여 이동부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7.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테핑 모터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캡으로서 개폐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8.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이동부재의 위치에 충격흡수부재를 갖추어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59.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와 상호협력하여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제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토너용기 제거방지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공급장치.
  60. 현상장치;및 상기 현상장치로 향하여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토너용기내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후방단부측에 위치되고 개구부를 관통하여 토너를 배출시키기 위한 토너용기를 탈착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토너용기 삽입부;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킴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캡을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및,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각각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로 인가하고, 그리고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토너용기의 캡을 이동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힘을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로 인가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 이동을 방지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는 토너용기의 캡이 상기 개폐장치에 마주한 상태로 토너용기가 토너공급장치의 전면으로 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 토너용기 삽입 유입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워엄휠, 워엄및, 상기 워엄에 회전구동력을 가해주는 회전구동장치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3.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기 위하여 이동부재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4.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테핑 모터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캡으로서 개폐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5.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이동부재의 위치에 충격흡수부재를 갖추어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상기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6.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상기 이동부재가 토너용기의 캡으로서 토너용기의 개구부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장치의 이동부재와 상호협력하여 토너용기가 상기 토너용기 삽입부로 부터 제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토너용기 제거방지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7. 잠상을 위에 형성하는 화상담체;
    토너로서 화상담체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
    상기 토너공급장치에 장착된 다수개의 토너용기 각각의 내부에 담긴 토너를 현상장치로 공급하는 토너공급장치; 및
    상기 토너공급장치를 탈착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내부에 토너공급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장치의 외주표면을 관통하여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가 상기 장치의 전면으로 부터 상기 장치내부로 삽입되거나 혹은 인출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가 복사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위치된 상기 장치의 측면으로 부터 상기 장치내부로 삽입되거나 혹은 인출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0.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의 내부로 삽입하고 배출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공급장치의 측면에 제공된 제 1안내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1.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의 내부로 삽입하고 배출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의 원주면에 제공된 제 2안내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2.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 홀더는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에 장착되어야 할 위치로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3.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는 손잡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4.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장치홀더는 토너공급장치를 상기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02387A 1998-01-26 1999-01-26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324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7745 1998-01-26
JP02774598A JP3534159B2 (ja) 1998-01-26 1998-01-26 トナーバンク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10-67913 1998-03-03
JP10067913A JPH11249405A (ja) 1998-03-03 1998-03-03 画像形成装置
JP07360598A JP3534161B2 (ja) 1998-03-06 1998-03-06 トナー供給装置
JP10-73605 1998-03-06
JP09273698A JP3562955B2 (ja) 1998-03-20 1998-03-20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10-92736 1998-03-20
JP12000198A JP3534165B2 (ja) 1998-04-14 1998-04-14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10-120001 199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34A KR19990068134A (ko) 1999-08-25
KR100324102B1 true KR100324102B1 (ko) 2002-02-20

Family

ID=2752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387A KR100324102B1 (ko) 1998-01-26 1999-01-26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91912A (ko)
KR (1) KR100324102B1 (ko)
CN (1) CN112380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702B1 (en) 1999-11-17 2003-03-18 Ricoh Company, Ltd. Precedent job status comfirmable user interfa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959254B2 (ja) 2000-11-29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JP4067302B2 (ja) 2001-01-11 2008-03-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990301B2 (en) *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S2433741T3 (es) * 2001-02-19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óner y sistema de suministro de tóner
JP2003058014A (ja) 2001-06-04 2003-02-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79790B2 (en) * 2001-08-07 2005-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ssette loading of printing consumables
KR100382657B1 (ko) * 2001-09-2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커버를 구비한 복합기
US6859634B2 (en) 2002-01-31 2005-02-22 Ricoh Company, Ltd. Toner refilling device and developing device using the sam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23043A (ja) * 2002-01-31 2003-08-08 Konica Corp トナー補給方法、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49736B1 (ko) * 2002-08-24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전원차단장치
JP4422956B2 (ja) * 2002-10-16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機構
US6768877B2 (en) * 2002-11-27 2004-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access to imaging device consumable components
KR100523346B1 (ko) * 2003-02-17 2005-10-2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 형성 장치
KR100547129B1 (ko) *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05037438A (ja) * 2003-07-15 2005-02-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50151762A1 (en) * 2004-01-14 2005-07-14 Griesemer Frederick C.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slidably opening scanner bed
CN100456160C (zh) * 2004-03-19 2009-01-28 株式会社理光 容器保持装置、输送装置、成像设备及固定容器的方法
JP2006110946A (ja) * 2004-10-18 2006-04-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317886B2 (en) * 2005-03-10 2008-01-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replenishing features
WO2007040151A1 (ja) * 2005-10-04 2007-04-12 Ricoh Company, Ltd. 粉体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4392844B2 (ja) * 2006-02-14 2010-01-06 株式会社リコー 粉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22427B2 (ja) * 2006-03-10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08905B2 (ja) * 2006-07-11 2009-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524065B1 (ko) * 2008-04-30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655113B2 (ja) * 2008-06-16 2011-03-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該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48582B2 (ja) * 2009-09-09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849163B2 (en) 2011-01-06 2014-09-30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der container
JP2012177766A (ja) * 2011-02-25 2012-09-13 Ricoh Co Ltd 粉体収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引出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304437A1 (en) * 2011-05-31 2012-12-06 Murray Richard A Method of pivotable cleanout member
JP5307200B2 (ja) * 2011-07-28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と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JP5959921B2 (ja) * 2012-04-25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2799091A (zh) * 2012-08-27 2012-11-2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加粉装置
KR101862283B1 (ko) 2013-03-15 2018-06-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6800605B2 (ja) * 2016-04-28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097104A (ja) * 2016-12-12 2018-06-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81134B2 (ja) * 2017-09-21 2021-12-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9988B2 (ja) * 2017-12-18 2022-03-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62289B2 (ja) 2019-04-10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9277A (en) * 1979-10-19 1981-05-22 Ricoh Co Ltd Destaticization device
JPH02277083A (ja) * 1989-04-19 1990-11-13 Ricoh Co Ltd トナー補給機構
US5053820A (en) * 1990-03-12 1991-10-01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Developing module drive system for an electrographic printer
JP2981260B2 (ja) * 1990-07-23 1999-11-2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の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073080B2 (ja) * 1991-11-29 2000-08-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110329A (ja) * 1992-04-11 1994-04-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45266B2 (ja) * 1993-06-30 2002-01-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H07114255A (ja) * 1993-08-23 1995-05-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補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734092B2 (ja) * 1994-02-08 2006-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8137227A (ja) * 1994-11-07 1996-05-31 Fuji Xerox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3483087B2 (ja) * 1995-04-14 2004-01-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
JPH09292773A (ja) * 1996-04-25 1997-11-11 Ricoh Co Ltd トナー移送装置
DE69733974T2 (de) * 1996-06-18 2006-06-01 Ricoh Company, Ltd. Bilderzeugungsgerät mit Tonerzufuhrvorrichtung
US5678121A (en) * 1996-07-01 1997-10-14 Xerox Corporation Document production machine having an orientation-independent cartridge discriminating syste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91912A (en) 2000-07-18
CN1123802C (zh) 2003-10-08
KR19990068134A (ko) 1999-08-25
CN1235287A (zh) 1999-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4102B1 (ko) 개선된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EP120212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oner supplying device
US6097903A (en) Toner supplying device, toner container theref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toner supplying device and toner container
KR930007496B1 (ko) 화상형성장치
US6151471A (en) Toner supplying device,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oner supplying device or method
EP0616268A1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JPH0520424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36920A (ja) 画像形成装置
JP4342742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該トナー補給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3041045A (ja) 画像形成装置
JP3534159B2 (ja) トナーバンク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CN112526854B (zh) 图像形成装置
JP3526382B2 (ja) 画像形成装置
JP3534165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060998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1165252A (ja)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バンク及びそれら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527098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7197263B2 (en) Developer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3859B2 (ja) トナー供給手段及び画像形成装置
JP3534169B2 (ja)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544850B2 (ja) トナー供給装置
JP2022018489A (ja) 画像形成装置
KR930007497B1 (ko) 화상형성장치용 토너카트리지
JP2679022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570991Y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