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504B1 - 자립대제조용제대충전포장기 - Google Patents

자립대제조용제대충전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504B1
KR100304504B1 KR1019980049720A KR19980049720A KR100304504B1 KR 100304504 B1 KR100304504 B1 KR 100304504B1 KR 1019980049720 A KR1019980049720 A KR 1019980049720A KR 19980049720 A KR19980049720 A KR 19980049720A KR 100304504 B1 KR100304504 B1 KR 10030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ic
heat
coo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408A (ko
Inventor
오리히로 쯔루다
Original Assignee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985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521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59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9631B1/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34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1866B1/ja
Application filed by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42Means for altering the cross-section of the tube filling opening prior to transversal sealing, e.g. tube sprea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2Forming shoulders; Tube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B29C65/305Electrical means involving the use of cartridge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a single unit having both a severing tool and a weld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1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dis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04Preventing sticking together, e.g. of some area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6Making joints having variable thicknesses in the joint area, e.g. by using jaws having an adapted configuration
    • B29C66/3464Making joints having variable thicknesses in the joint area, e.g. by using jaws having an adapted configuration by pre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29C66/4312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for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e.g. transversal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29C66/81419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and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cavity, e.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said pressing elements being supported or backed-up by springs or by resili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8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B29C66/81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2Transmission mechanisms
    • B29C66/8221Scissor or lever mechanisms, i.e. involving a pivot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29C66/8242Pneumatic 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4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5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 B29C66/8354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flying jaws, e.g. jaws mounted on crank mechanisms or following a hand over hand movement
    • B29C66/83543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flying jaws, e.g. jaws mounted on crank mechanisms or following a hand over hand movement cooperating fly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9Packaging machines
    • B29C66/8491Packaging machines welding through a filled container, e.g. tube or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2Closing bottle neck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30Devices, e.g. jaws,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e.g. for subdividing filled tubes
    • B65B51/303Devices, e.g. jaws, for applying pressure and heat, e.g. for subdividing filled tubes reciprocating along only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32Cooling, or cooling and pressing, package closures after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2Subdividing filled tubes to form two or more packages by sealing or securing involving displacement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14Tube advancing means
    • B65B9/2028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35Tube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the web having intermittent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non-straight, e.g. forming non-closed cont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29C66/8141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being V-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omprising a block or layer of deformable material, e.g. sponge, foam,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4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 B29C66/83241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cooperating pivo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2Creating additional longitudinal welds on horizontal or vertical form fill seal [FFS] machines for stiffening packages or for creating packag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07Means for stripping or squeezing filled tubes prior to sealing to remove air or products from seal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56Machines for package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제대 충전포장기는, 필름을 히트실하는 3개의 실기구와,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접어 넣는 접어넣기 기구와,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파이프를 갖는다. 제1의 실기구는, 양측단부가 서로 겹쳐 맞추어져 하방으로 보내어지는 긴 시이트상의 필름의, 겹쳐 맞추어진 양측단부를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것이다. 제2의 실기구는, 접어넣기 기구로 필름에 형성된 2개의 산부의 적어도 선단부를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것이다. 제3의 실기구는, 투입파이프의 하방에 배치되고,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함과 동시에, 이 히트실된 부분을 절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립대 제조용 제대 충전포장기
본 발명은, 시이트상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자립대의 제대와 충전물의 충전을 동시에 행하는 제대 충전포장기에 관한다.
종래, 시이트상 필름으로 자루를 성형하면서, 액상 혹은 페이스트상의 제품을 자루 안에 충전하는 포장기로서는, 시이트상 필름을 통상(筒狀)으로 포밍하는 제대가이드와, 통상으로 포밍된 필름의 단연부를 히트실하여 통상 필름을 형성하는종실기구와, 통상 필름 내에 투입된 제품을 분할하여 통상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는 스퀴징롤러와, 스퀴징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통상 필름에 형성된 공충전부(空充愼部)를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함과 동시에 절단하는 횡실기구를 갖는 종형 충전포장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히트실을 고속으로 행하고, 또한 실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특개평 7-172403호 공보에는, 필름의 보냄을 정지한 상태로, 공충전부를 히트실하는 히터 바와, 히트실된 부위를 냉각하는 냉각 바가, 같은 부위에 순차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횡실기구를 갖춘 종형 충전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펀, 포장형태의 하나로서, 자립대가 있다. 자립대 형태의 포장제품은, 그 자체로 세운 상태에서 가게 앞에 진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이나 병·깡통을 대신하는 포장형태로서 근년 널리 쓰이고 있다.
자립대의 제대와 제품의 충전은, 각각 별도의 공정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미리, W형으로 접어 넣은 저부와 양측부를 히트실하고 상단만을 개구시킨 자루를 준비해 두고, 충전공정에 있어서, 준비한 자루를 1장씩 꺼내어, 자루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그 자루의 개구로부터 제품을 투입한 후, 상단을 히트실하여 자루를 밀봉하고 있다.
그런데, 제대와 충전이 별도의 공정에서는 생산성이 나쁘다. 그래서, 시이트상의 필름을 반으로 접어 맞추고, 접어 맞춘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저부와 양측부를 히트실하고, 1자루마다 절단한 후, 자루의 상단의 개구로부터 제품을 투입하고, 자루의 상단을 히트실하는 것에 의해, 제대와 충전을 연속해서 행하는 제대 충전포장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렇지만, 자립대의 생산에 있어서, 상술한 제대와 충전을 연속해서 행하는 제대 충전포장기는, 생산성은 향상하지만,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면적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대와 충전이 별도의 공정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상단이 개구한 자루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제품을 투입하기 때문에, 자루의 안에 먼지 등이 침입할 위험이 있다. 더구나, 제품이 투입된 자루의 상단을 히트실하기 때문에, 자루 안에 공기를 혼입시키지 않고 히트실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산화나 부패하기 쉬운 식품 등을 충전할 경우에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거품이 일어나는 제품, 예컨대, 세제 등에 있어서는, 충전 시에 자루의 개구로부터 거품이 흘러나와, 포장대의 외면이 더러워지거나, 또는 히트실해야 할 부위에 부착하여 실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들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형 충전포장기가 유효하다. 그러나, 자립대는 저부에 두께를 가진 자루이므로, 종형 충전포장기로 자립대를 생산하려면, 이 저부를 어떻게 만들지가 문제가 된다.
또한, 상술한 특개평 7-172403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종형 충전포장기는, 필로타입의 포장대를 생산하는 것에 관해서는, 히트실속도, 실강도 모두 우수하지만, 자립대를 생산함에 있어서는,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 즉, 자립대의 저부로는 최대로 4장 포개어진 필름을 히트실할 필요가 있고, 이들 4장 포개어진 부분을 확실하게 히트실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실시간을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생산효율이 떨어져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대충전을 행하는 종형 충전포장기의 이점을 살리고, 자립대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제대 충전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의 히트실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면서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포장대를 고속으로 제조가능한 제대 충전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대제대(袋製袋) 충전포장기의 개략정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나타낸 대제대 충전포장기의 개략측면도이고,
도3은, 도1에 나타낸 접어넣기 기구의 B-B선단면도이고,
도4a는 도1에 나타낸 밑실장치의 상면도, 도4b는 도1에 나타낸 밑실장치의 측면도이고,
도5는, 도4b에 나타낸 밑실장치의 C-C선단면도이다.
도6은, 밑실장치에 의해서 히트실된 통상(筒狀) 필름의 주요단면도이고,
도7은, 도2에 나타낸 횡실부의 확대도이고,
도8a∼8c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제대(製袋) 충전포장기의 충전포장동작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9a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제대 충전포장기로 제조된 자립대(自立袋)의 정면도, 도9b는 동 자립대의 측면도이고,
도10은, 도4에 나타낸 밑실장치의 변형예의 요부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에 나타낸 밑실장치에서 저부가 히트실된 자립대의 측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의 정면도이고,
도13은, 도12에 나타낸 제대 충전포장기의 측면도이고,
도14는, 도12에 나타낸 제대가이드 및 가이드암을 통과한 필름의 횡단면도이고,
도15는, 도12에 나타낸 접어넣기 기구를 통과한 필름의 횡단면도이고,
도16은, 도12에 나타낸 측실장치의 정면도이고,
도17은, 도16에 나타낸 측실장치의 제1의 실기구의 평면도이고,
도18은, 도16에 나타낸 측실장치의 제1의 냉각기구의 평면도이고,
도19는, 도18에 나타낸 제1의 냉각기구의 냉각 바 및 냉각 바 받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20a∼20k는, 도16에 나타낸 측실장치에 의한 실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며,
도21은, 냉각기구에 의한 절단을 하지 않고 연속해서 제대충전을 행한 경우에 필름에 생기는 활 모양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22는, 도16에 나타낸 냉각기구에 쓰이는 커터의 형상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고,
도23은, 도22에 나타낸 커터를 써서 얻어지는 5연팩의 도이고,
도2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의 정면도이고,
도25는, 도24에 나타낸 제대 충전포장기의 측면도이고,
도26은, 도24 및 도25에 나타낸 제대 접어넣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27a는 도24에 나타낸 밑실기구의 상면도, 도27b는 동 밑실기구의 정면도이고,
도28은, 도27a, 27b에 나타낸 밑실 바의 가압면의 도이고,
도29a는 도24 및 도25에 나타낸 꼭대기실기구의 상면도, 도29b는 동 꼭대기 실기구의 정면도이고,
도30은, 도29a, 29b에 나타낸 꼭대기실 바의 가압면의 도이고,
도31a는 도24 및 도25에 나타낸 보강 실기구의 상면도, 도31b는 동 보강 실기구의 정면도이고,
도32는, 도31a, 31b에 나타낸 보강 실 바와 필름위치규제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33은, 본 발명의 제대 충전포장기에 적용 가능한 가압(假押)기구의 측면도이고,
도34는, 도24 및 도25에 나타낸 제대 충전포장기로 제조되는 자립대의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제대 충전포장기는, 양측단부가 서로 포개어져서 하방으로 보내어지는 긴 시이트상의 필름의 양측단부를 히트실하는 제1의 실기구와, 하방으로 보내어지는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내측으로 접어 넣어 필름에 2개의 산부(山部)를 형성하는 접어넣기 기구와, 이 제대 접어넣기 기구에서 필름에 형성된 산부의 적어도 선단부를 히트실하는 제2의 실기구를 갖는다.
제1의 실기구로 필름이 히트실되는 것에 의해, 필름은 통상이 된다. 이 제1의 실기구로 히트실된 부위와 반대측에서는,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 2개의 산부가 형성되고, 이들 산부의 적어도 선단부가 제2의 실기구에 의해 히트실된다. 그리고, 제1의 실기구 및 제2의 실기구로 히트실된 필름 내에 투입파이프로부터 충전물이 투입되고, 제3의 실기구에 의해서, 필름은 수평방향으로 히트실되어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제2의 실기구로 히트실된 부위를 저부로 하는 자립대가 생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3의 실기구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서로 대향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필름을 히트실하기 위한 히터 바와,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를 보지하는 커터 보지부재를 갖는다. 커터 보지부재에는, 커터 보지부재가 필름에 대하여 후퇴하는 것으로 히터 바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히터 바 받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 바에는, 히터 바에 의해 가열된 부위를 냉각하기 위해서, 히터 바가 전기 필름에 대하여 후퇴하는 것으로 전기 커터 보지부제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냉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제2의 실기구에,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 필름에 형성되는 2개의 산부의, 제3의 실기구로 히트실되는 부분의 근방을 각각 스폿상으로 열용착하기 위한 돌기를 만들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자립대의 밑모퉁이부에 스폿용착부가 형성되어, 자립대의 측부의 실부가 벗겨지기 쉬운 부분이 스폿용착부에 의해 보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대 충전포장기는, 양측단부가 일치하도록 접혀 맞추어진 시이트상의 필름의 양측단부를 히트실하는 꼭대기실기구와,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내측으로 접어 넣어 필름에 2개의 산부를 형성하는 접어넣기 기구와, 이 제대 접어넣기 기구로 필름에 형성된 산부의 적어도 선단부를 히트실하는 밑실기구를 갖는다. 꼭대기실기구로 히트실된 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필름을 끼면서 회전하여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는 1쌍의 스퀴징롤러가 설치되고, 이 스퀴징롤러에 의해, 투입파이프로부터 투입된 충전물이 분할된다.
투입파이프의 하방에는,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고, 이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하기 위하여, 각각 연직방향으로 독립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실기구, 및 이들 실기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2개의 냉각기구를 갖춘 횡실장치가 배치된다. 실기구는, 어느 것인가 한쪽이 필름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필름을 히트실하고 있는 사이에, 전회의 동작으로 필름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필름을 히트실한 다른 쪽이 다음 회의 히트실을 위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냉각기구는, 어느 것인가 한쪽이 필름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전회의 동작으로 다른 쪽의 실기구에 의해서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쪽이, 한쪽의 실기구에 의해서 히트실되고 있는 부분의 냉각를 위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요컨대,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각 실기구에서 교대로 필름이 히트실됨과 동시에, 히트실기구로 히트실된 부위가 각 냉각기구에서 서로 번갈아 냉각된다.
따라서, 다른 쪽의 실기구에 의한 히트실은, 한쪽의 실기구에 의한 히트실이 종료한 직후 혹은 종료하기 전에 개시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다른 쪽의 냉각기구에 의한 냉각은, 한쪽의 실기구에 의한 히트실이 종료한 직후에 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필름의 확실한 실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히트실시간 및 냉각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생산성은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에서 분명해 질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메인파이프(12)의 내측에 설치된 투입파이프(11)로부터 투입되는 액상 혹은 페이스트상의 충전물(5)을 자루에 채우고, 도9a, 9b에 나타내는 자립대(1000)를 제조하는 종형 충전포장기이다.
메인파이프(12)의 외주부에는, 텐션롤러(16)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시이트상의 필름(1)의 양측단부를 서로 포개어 맞추어 통상으로 포밍하기 위한 제대가이드(13)가 달려 있다. 제대가이드(13)에 의해서 통상으로 포밍된 필름(1)은, 제대가이드(13)의 하방에 설치된 꼭대기실장치(20)에 의해서, 그 합친 면이 측연부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히트실되어, 통상이 된다. 꼭대기실장치(20)는, 일반적인 종형 충전포장기에 쓰이는 종실장치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메인파이프(12)를 사이에 두고 꼭대기실장치(20)와 반대측에도, 필름(1)을 종방향으로 히트실하는 밑실장치(40)가 배치되어 있다. 밑실장치(40)는, 이 제대 충전포장기로 제조되는 자립대(1000)의 저부(1000a)(도9 참조)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밑실장치(40)에서의 히트실에 앞서, 필름(1)에 그 긴 쪽 방향에 따라 접어 넣기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밑실장치(40)의 상방에는, 필름(1)에 접어 넣기를 형성하기 위한 접어넣기 기구(3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이들 접어넣기 기구(30) 및 밑실장치(40)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접어넣기 기구(30)에 관해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 기구(30)는, 1장의 밀어넣기판(31)과 2장의 누름판(32)으로 구성된다. 각 누름판(32)은, 필름(1)의 내측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어 대향배치된다. 밀어넣기판(31)은, 필름(1)의 외측에 두고 각 누름판(32)의 사이에 측단부를 진입시켜 배치된다.
제대가이드(13)(도1 참조)에서 통상으로 포밍된 필름(1)은, 꼭대기실장치(20)(도1 참조)에서 히트실되는 부분과 반대측의 부분이 밀어넣기판(31)에서 접어넣어짐과 동시에, 그 양측이 2장의 누름판(32)으로 보지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1)은 횡단면이 W형상으로 접어 넣어져, 2개의 산부(1c)가 형성된다.
다음에, 밑실장치에 관해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 나타내듯이, 이 제대 충전포장기의 프레임(10)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히터 바 지지부재(43)가 고정되어 있다. 각 히터 바 지지부재(43)사이에는 2개의 히터 바 축(46)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각 히터 바 축(46)에 각각, 전열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한 히터 바(44)가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히터 바(44)는, 용수철 등의 부세(付勢)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의 선단부가 접근하는 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각 히터 바 지지부재(43) 사이에는, 히터 바 받이(45)가 고정되어 있다. 히터 바 받이(45)는, 각 히터 바(44)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히터 바(44)의 선단부에는, 각각 히터 바 받이(45)로 향하여 돌출한 가압면을 갖고, 이들 가압면이,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히터 바 받이(45)의 양측면으로 가압된다.
한편, 프레임(10)에는, 실린더고정부재(42)에 의해 실린더(41)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41)는, 그 로드를 히터 바(44)에 향하여 고정된다. 실린더(41)의 로드에는, 압압봉(47)이 프레임(10)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압압봉(47)은, 도5에 나타내듯이 각 히터 바 축(46)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린더(41)의 로드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각 히터 바(44)의 서로의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된 철부(44a)에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각 히터 바(44)는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서로 열린 방향으로 회동되고, 각 히터 바(44)의 가압면과 히터 바 받이(45)와의 사이에 극간이 헝성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넣기 기구(30)에 의해서 필름(1)에 형성된 2개의 산부(1c)는, 각각 히터 바(44)의 가압면과 히터 바 받이(45)와의 사이를 지난다. 여기서, 필름(1)의 보냄을 정지한 상태로 실린더(41)의 로드를 끌어넣으면, 압압봉(47)에 의한 각 히터 바(44)의 철부(44a)의 압압이 해제되고, 각 히터 바(44)는 각각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서 히터 바 축(4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 히티 바(44)의 가압면이 히터 바 받이(45)에 가압된다. 그리고, 각 히터 바(44)의 가열수단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도6에 나타내듯이, 필름(1)의 각 산부(1c)의 선단부가, 필름(1)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된다.
다시 도1 및 도2로 되돌아가서, 메인파이프(12)의 하방에는, 꼭대기실장치(20) 및 밑실장치(40)에서 히트실된 필름(1)의 양측부를 끼워 넣는 2쌍의 보내기롤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1)을 끼우면서 보내기롤러(1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필름(1)이 하방으로 보내어진다.
보내기롤러(14)의 하방에는, 보내기롤러(14)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되는 1쌍의 스퀴징롤러(15)가 설치되어 있다. 스퀴징롤러(15)는 필름(1)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충전물(5)을 분할하는 것이며, 도2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 대향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퀴징롤러(15)의 하방에는, 필름(1)을 횡방향으로 히트실하기 위한 횡실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횡실장치(50)에 관해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에 있어서, 필름(1)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실린더(51, 56)가 서로의 로드를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51, 56)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대향이동하는 슬라이더(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실린더(51)의 로드에는, 커터(53)를 진퇴가능하게 보지한 커터보지판(5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실린더(51)에는, 후술하는 히터 바(57)를 받는 부재인 히터 바 받이(54)가, 지지축(51a)을 중심으로 도시한 화살표 D 방향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히터 바 받이(54)는, 용수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시한 반시계회전으로 부세되고 있지만, 히터 바 받이(54)의 선단부의 위치는, 후술하는 히티 바(57)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 이상으로는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커터보지판(52)의 선단면 및 히터 바 받이(54)의 선단면에는, 실리콘고무가 붙여져 있다.
게다가, 이 실린더(51)의 로드에는 캠(52a)가 설치되고, 히터 바 받이(54)에는, 실린더(51)의 로드를 전진시켰을 때에 캠(52a)의 상면과 당접하는 캠받이 롤러(54a)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51)의 로드가 전진하여 캠받이 롤러(54a)가 캠(52a)에 얹히면, 히터 바 받이(54)는 상기 용수철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시계회전으로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쪽의 실린더(56)의 로드에는, 전열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한 히터 바(57)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실린더(56)에는, 커터보지판(52)을 받는 부재인 냉각 바(58)가, 지지축(56a)를 중심으로 도시한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냉각 바(58)는, 용수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시한 시계회전으로 부세되고 있지만, 냉각 바(58)의 선단부의 위치는, 커터보지판(52)의 위치와 거의 동등한 높이 이상으로는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냉각 바(58)의 선단부에는, 커터보지판(52)에 보지된 커터(53)를 전진시켰을 때에, 커터(53)가 진입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실린더(56)의 로드에는 캠(57a)이 설치되고, 냉각 바(58)에는, 실린더(56)의 로드를 전진시켰을 때에 캠(57a)의 상면과 당접하는 캠받이 롤러(58a)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56)의 로드가 전진하여 캠받이 롤러(58a)가 캠(57a)에 얹히면, 냉각 바(58)는 상기 용수철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반시계회전으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실장치(50)는, 히터 바에만 전열 히터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횡실장치(50)는 부분적으로이기는 하지만 필름이 4중이 된 부분을 히트실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큰 열량을 발생시켜, 이부분에서의 히트실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히터 바 받이(54)에도 전열 히터를 설치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 의한 충전포장동작에 관해서, 도2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2에 있어서, 스퀴징롤러(15) 및 횡실장치(50)를 연 상태로, 투입파이프(11)로부터 필름(1) 내에 충전물(5)을 투입하면서, 보내기롤러(14)를 회전시켜 필름(1)을 하방으로 보낸다. 꼭대기실장치(20) 및 밑실장치(40)는, 투입파이프(11)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1)의 충전물(5)이 투입되는 부분은, 이미 이들 꼭대기실장치(20) 및 밑실장치(40)에 의한 히트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필름(1)이 소정량만 보내어지면, 스퀴징롤러(15)를 닫고, 도2에 나타내듯이 충전물(5)을 분할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보내기롤러(14) 및 스퀴징롤러(15)에 의해 필름(1)을 하방으로 보내면, 도8a에 나타내듯이, 필름(1)에는 충전물(5)이 존재하지 않는 공충전부(1b)가 형성된다.
공충전부(1b)가 횡실장치(50)의 사이까지 보내어지면, 필름(1)의 보냄을 정지하고, 슬라이더의 구동에 의해 각 실린더(51, 56)를 접근시켜 간다. 이 때, 히터 바(57)는 전진되어 있으며, 히터 바(57)와 히터 바 받이(54)가 대향하고 있다. 각 실린더(51, 56)를 접근시켜 가면, 도8b에 나타내듯이, 히터 바(57)와 히터 바 받이(54)가 닫혀지고, 공충전부(1b)가 가압된다. 히터 바(57)와 히터 바 받이(54)가 닫혀지면, 히터 바(57)에 내장되어 있는 가열수단를 구동하여 공충전부(1b)를 히트실한다. 이 히트실이 종료하면, 도8c에 나타내듯이, 히터 바(57)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커터보지판(52)을 전진시킨다. 이것에 의해, 냉각 바(58) 및 히터 바받이(54)는 각각 시계회전으로 회동하고, 냉각 바(58)는 커터보지판(52)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한편, 히터 바 받이(54)는 상방으로 퇴피된다. 그 결과, 이번은 냉각 바(58)와 커터보지판(52)에서 공충전부(1b)가 가압된다. 이 상태로,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하고, 더욱이 커터(53)를 전진시켜, 히트실된 부분을 절단한다.
히트실된 부분이 절단되면 각 실린더(51, 56)를 후퇴시켜, 포장체를 낙하시킨다. 이 때, 커터보지판(52)를 후퇴시키고, 히터 바 받이(5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는다. 그리고, 스퀴징롤러(15)를 열어, 다음 회분의 충전물을 낙하시킨다.
상술과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는, 밑실장치(40)(도1 참조)에서 히트실된 부분을 밑으로 하여 도9에 나타내듯이 세울 수 있는 자립대(1000)가 된다. 이 자립대(1000)는, 밑실장치(40)에서 히트실된 부분이 립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저부(1000a)가 찌그러지는 일없이 안정하여 세울 수가 있다. 또한, 이 포장기는, 제대와 충전을 동시에 행하고 있으므로, 자립대(1000)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립대(1000)의 저부(1000a)가 되는 부분을 횡으로 한상태로 제대를 행하므로, 필름(1)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대 및 충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상단이 개구한 자루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충전물의 투입 및 자루의 밀봉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대 충전포장기의 설치면적이 작아짐과 동시에, 자루의 안에 먼지가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더구나, 자립대(1000)의 저부(1000a)가 되는 부분을 횡으로 한 상태로 충전물(5)의 투입을 행하는 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투입파이프(11)의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다. 그결과, 충전물(5)의 단위시간당의 투입량을 많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충전물(5)의 투입시간이 단축되고, 나아가서는 자립대의 생산효율이 보다 향상한다.
한편, 자립대(1000)의 양측부의 히트실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횡실장치(50)에서 행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횡실장치(50)는, 필름(1)의 보냄을 정지한 상태로, 히트실과, 히트실된 부분의 냉각 및 절단을 각각 다른 수단으로 행하고 있다. 따라서, 필름(1)은, 가열 후 즉시 냉각되므로, 필름(1)의 가열, 냉각, 절단의 각 공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어, 히트실로부터 절단까지의 동작의 고속화가 달성됨과 동시에, 히트실강도가 향상하고, 또한, 실폭을 작게 할 수가 있다.
특히, 횡실장치(50)에 의해서 히트실되는 부분은, 도3에 나타낸 산부(1c)에 있어서 필름(1)이 4중으로 되어 있으며, 더구나, 자립대(1000)가 상품으로서 진열될 때에는 양측단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횡실장치(50)는, 4장의 필름을 확실하게 용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또한, 상품을 빈틈이 없도록 효율적으로 진열하기 위해서도 양측부의 실폭이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강도가 강하고, 또한, 실폭을 작게 할 수 있는 본 실시형태의 횡실장치(50)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트실장치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횡실장치(50)에서의 히트실은, 스퀴징롤러(15)에 의해서 형성된 공충전부(1b)에 대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자립대(1000) 내에의 공기의 혼입이 방지된다. 그 결과, 식품의 포장에 있어서도 충전물이 산화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자립대(1000)의 양측단의 히트실부에서는, 도3에나타낸 산부(1c)에 대응하는 부분은 필름(1)이 4중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에 비해서 히트실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필름(1)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의 선단부(도9a의 F부)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자립대(1000)의 저면에 내압이 작용한 경우에 응력이 집중하기 쉽고, 더구나, 필름(1)이 4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2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의 경계로 되어있는 것도 있어, 히트실이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10에 나타내는 것 같은 밑실장치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에 나타낸 밑실장치는, 각 히터 바(84)의 선단에 각각 복수의 스폿용착용돌기(84b)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스폿용착용 돌기(84b)는, 생산되는 자립대(1000)(도9 참조)의, 저부와 양측부의 모퉁이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1개의 히터 바(84)에 설치되는 스폿용착용돌기(84b)의 수는, 예컨대, 히터 바(84)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자립대(1000)의 1대분에 대응하는 길이의 경우에는 2개이며, 2대분에 대응하는 길이의 경우에는 4개이다.
또한, 히티 바 받이(85)에는, 각각 스폿용착용돌기(84b)를 받는 복수의 돌출부(85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히터 바(84)를 닫는 것에 의해, 스폿용착용 돌기(84b)의 선단면이 돌출부(85a)의 측면에 가압되어, 도3에 나타낸 2개의 산부(1c)의 일부위가 각각 스폿용착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밑실장치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에 나타낸 밑실장치를 쓰는 것에 의해,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립대(1000')의 측저부의 4개소에 스폿용착부(1002)(도11에서는 2개소만 도시)가 형성된다. 이들 스폿용착부(1002)에 의해, 자립대(1000')의 측부근방에 있어서의 산부의 퍼짐이 방지된다. 그 결과, F부에 큰 내압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그 부분의 히트실이 벗겨지기 어렵게 된다.
(제2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12∼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서는,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듯이, 투입파이프(114)의 상방에는, 필름공급롤러(113)로부터 텐션롤러(도시하지 않음)나 가이드롤러(115)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시이트상의 필름(101)의 양측단부가 일치하도록 접어 맞추기 위한 제대가이드(111)가 달려 있다. 제대가이드(111)는, 필름(101)이 상면을 통과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또한, 하변의 길이가 상변의 길이보다도 짧은 태형판(台形板)과, 그 하변의 근방에 배치되어 태형판의 상면을 통과한 필름(101)의 퍼짐을 규제하기 위한 2개의 필름가이드암(112)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필름(101)에는, 도14에 나타내듯이, 2개의 능부(101a)가 형성되고, 이들 능부(101a)의 사이의 영역이, 도9에 나타낸 자립대(1000)의 저부(1000a)가 된다.
제대가이드(111)의 하방에는, 제대가이드(111)에서 필름(101)에 형성된 2개의 능부(101a)의 사이의 영역의 중간을 다시 내측으로 접어 넣기 위한 접어넣기 기구(130)가 배치된다. 접어넣기 기구(130)는, 제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것이며, 접어넣기 기구(130)를 통과한 필름(101)은, 도15에 나타내듯이, 횡단면이 W형상으로 접어 넣어져, 2개의 산부(101b)가 형성된다.
접어넣기 기구(130)의 하방에는, 접어넣기 기구(130)에 의해서 형성된 2개의 산부(101b)를 필름(101)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기 위한 밑실장치(140)가 배치된다. 게다가, 투입파이프(14)를 사이에 두고 밑실장치(14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필름(101)의 개방단인 합친 면을 측연부에 따라 히트실하기 위한 꼭대기실장치(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꼭대기실장치(120)로 필름(101)의 합친 면의 측연부를 히트실하는 것으로, 필름(101)은 통상이 된다.
꼭대기실장치(120)는, 종래의 종형 충전포장기에 쓰이는 종실장치와 마찬가지이고, 또한, 밑실장치(140)도 제1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들 꼭대기실장치(120) 및 밑실장치(140)에 관해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밑실장치(140) 및 꼭대기실장치(120)의 하방에는, 이들에 의해서 히트실된 필름(101)의 양측부를 끼워 넣는 2쌍의 보내기롤러(116)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101)을 끼워 넣으면서 보내기롤러(11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필름(101)이 하방으로 보내어진다.
보내기롤러(116)의 하방에는, 필름(101)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고, 보내기롤러(116)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되는 1쌍의 스퀴징롤러(117)가 설치되어 있다. 스퀴징롤러(117)는 필름(101)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필름(101) 내에 투입된 충전물(사선으로 나타낸다)을 분할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퀴징롤러(117)는, 필름(101)을 끼운 상태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보내기롤러(116)와 함께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낸다.
또, 투입파이프(114)의 하단은, 스퀴징롤러(117)보다도 상방으로, 또한, 밑실장치(14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물은 밑실장치(140)보다도 하방으로 투입되므로, 밑실장치(140)에 의해서 충전물을 끼워 넣는 것이 없어지고, 밑실장치(140)에 의한 히트실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스퀴징롤러(117)의 하방에는, 충전물이 투입된 필름(101)을 횡방향(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기 위한 측실장치(150)가 배치되어 있다.
측실장치(150)에 관해서, 도16∼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에 나타내듯이, 측실장치(150)는 2개의 유닛(1501, 1551)으로 구성된다. 각 유닛(1501, 1551)은, 필름(101)의 통과경로를 끼고 서로 대향배치되어 서로 독립하여 구동되며, 각각 필름(101)을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여 절단하는 것이다.
도16, 도18에 나타내듯이, 제1의 유닛(1501)은, 연직방향으로 늘어지는 2개의 가이드샤프트(1501)에 상하방향으로 활동(滑動)가능하게 지지된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를 갖는다.
제1의 실기구(1510)은, 도17에 나타내듯이, 가이드샤프트(1501)에 지지된 지지프레임(1511)과, 이 지지프레임(1511)에 각각 지축(1512, 1513)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의 히터 바(1514) 및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를 갖는다. 제1의 히터 바(1514)는, 전열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다. 제1의 히터 바(1514)는, 지지프레임(1511)에 설치된 구동실린더(1516)에 연결부재(1518)를 거쳐 연결되고, 구동실린더(1516)의 로드를돌출시키는 것으로, 도17에 나타낸 화살표 G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도 마찬가지로, 지지프레임(1511)에 설치된 구동실린더(1517)에 연결부재(1519)를 거쳐 연결되고, 구동실린더(1517)의 로드를 돌출시키는 것으로, 도17에 나타낸 화살표 H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양 구동실린더(1516, 1517)의 로드를 동시에 돌출시키면, 히터 바(1514)와 히터 바 받이(1515)가 닫혀져 필름(101)이 가압된다. 그 반대로, 양 구동실린더(1516, 1517)의 로드를 끌어넣게 하면, 히터 바(1514)와 히터 바 받이(1515)가 열리고, 필름(101)에의 가압이 해제된다. 또, 히터 바 받이(1515)의, 히터 바(1514)와의 가압면에는, 실리콘고무(1515a)가 붙여져 있다.
제1의 냉각기구(1520)는, 제1의 실기구(1510)의 하방에 배치되고, 도18에 나타내듯이, 가이드샤프트(1502)에 지지된 지지프레임(1521)과, 이 지지프레임(1521)에 각각 지축(1522, 1523)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의 냉각 바(1524) 및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를 갖는다. 제1의 냉각 바(1524)는, 지지프레임(1521)에 설치된 구동실런더(1526)에 연결부재(1528)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구동실린더(1526)의 로드를 돌출시키는 것으로, 제1의 냉각 바(1524)는, 제1의 히터 바(1514)와 마찬가지로 도18에 나타낸 화살표 G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도, 지지프레임(1521)에 설치된 구동실린더(1527)에 연결부재(1529)를 거쳐 연결되고, 구동실린더(1527)의 로드를 돌출시키는 것으로,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와 마찬가지로 도18에 나타낸 화살표 H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양 구동실린더(1526, 1527)의 로드를 동시에 돌출시키면, 냉각 바(1524)와 냉각 바 받이(1525)가 닫혀져 필름(101)이 가압된다. 이 반대로, 양 구동실린더(1526, 1527)의 로드를 끌어넣게 하면, 냉각 바(1524)와 냉각 바 받이(1525)가 열려, 필름(101)에의 가압이 해제된다.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의 상하방향으로의 구동은, 각각 실기구 구동모터(1503) 및 냉각기구 구동모터(1504)로 행하여진다. 실기구 구동모터(1503)의 회전축에는, 연직방향으로 뻗는 볼나사(1505)가 연결되어 있다. 이 볼나사(1505)는, 제1의 실기구(1510)에 대해서는, 지지프레임(1511)에 달린 볼너트(1506)에 나합하고 있다. 또한, 제1의 냉각기구(1520)에 대해서는, 볼나사(1505)는, 지지프레임(1521)에 형성된 관통구멍(1521a)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실기구 구동모터(1503)의 구동에 의해 볼나사(150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그 회전운동은 볼너트(1506)를 거쳐 제1의 실기구(151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한편, 냉각기구 구동모터(1504)의 회전축에도, 연직방향으로 뻗는 볼나사(1507)가 연결되어 있다. 이 볼나사(1507)는, 제1의 냉각기구(1520)에 대해서는, 지지프레임(1521)에 달린 볼너트(1508)에 나합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실기구(1510)에 대해서는, 지지프레임(1511)에 형성된 관통구멍(1511a)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기구 구동모터(1504)의 구동에 의해 볼나사(1507)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그 회전운동은 볼너트(1508)를 거쳐 제1의 냉각기구(152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요컨대,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는, 서로 독립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제1의 냉각기구(1520)의 냉각 바(1524) 및 냉각 바 받이(1525)의 구조에 대해서,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9에 나타내듯이, 냉각 바 받이(1525)에는, 필름(101)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1530)가, 냉각 바(1524)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에 의해서 진퇴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한편, 냉각 바(1524)에는, 커터(1530)를 전진시켰을 때에 커터(1530)가 침입가능한 홈(1524a)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바 받이(1525)의, 냉각 바(1524)와의 대향면에는, 실리콘 고무(1525a)가 붙여져 있다.
커터(1530)는, 통상은 냉각 바 받이(1525) 내에 끌어넣어지고 있지만, 냉각 바(1524)와 냉각 바 받이(1525)를 닫은 후, 후술하는 것 같은 소정시간 경과 후에 냉각 바 받이(1525)로부터 돌출되고, 선단부가 냉각 바(1524)의 홈(1524a)에 침입하는 것으로, 필름(101)이 절단된다.
제1의 냉각기구(1520)는, 냉각 바(1514)와 냉각 바 받이(1525)와의 가압에 의해, 제1의 히트실기구(1510)로 히트실된 필름(101)의 부분을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것이며,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냉각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냉각 바(1524)의 내부에, 냉각용의 액체나 기체 등의 냉각매체를 흘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측실장치(150)의 제1의 유닛(1501)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2의 유닛(1551)에 관해서도, 제1의 유닛(1501)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도16에 나타내듯이, 제2의 유닛(1551)은, 2개의 가이드샤프트(1552)(1개만 도시)에 상하방향으로활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의 실기구(156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를 갖춘다. 제2의 실기구(1560)는, 각각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서로 회동하여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제2의 히터 바(1564)(도20a 참조) 및 제2의 히터 바 받이(1565)를 갖는다. 제2의 냉각기구(1570)는, 각각 구동실린더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 서로 회동하여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제2의 냉각 바(1574)(도20a 참조) 및 제2의 냉각 바 받이(1575)를 갖는다. 이들, 제2의 히터 바(1564), 제2의 히터 바 받이(1565), 제2의 냉각 바(1574) 및 제2의 냉각 바 받이(1575)의 구성은, 각각 제1의 히터 바(1514),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 제1의 냉각 바(1524) 및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의 실기구(156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의 상하구동에 관해서도, 제1의 유닛(150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볼나사기구에 의해 서로 독립하여 행하여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유닛(1501) 및 제2의 유닛(1551)은 대향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의 히터 바(1514)와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2의 히터 바(1564)와 제2의 히터 바 받이(1565)를 연 상태로, 제2의 실기구(1560)를 제1의 실기구(151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반대로, 제2의 히터 바(1564)와 제2의 히터 바 받이(1565)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의 히터 바(1514)와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를 연 상태로, 제1의 실기구(1510)를 제2의 실기구(156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 및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제1의 냉각기구(152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1의 냉각 바(1524)와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를 닫고 있을 때에는 제2의 냉각 바(1574)와 제2의 냉각 바 받이(1575)를 열고, 제1의 냉각 바(1524)와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를 열고 있을 때에는 제2의 냉각 바(1574)와 제2의 냉각 바 받이(1475)를 닫는 것으로, 상하방향의 위치관계를 임의로 바꿀 수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 의한 충전포장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스퀴징롤러(117)를 연 상태로, 투입파이프(114)로부터 필름(101) 내에 충전물를 투입하면서, 보내기롤러(116)를 회전시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낸다. 이 때, 필름(101)에는 접어넣기 기구(130)에 의해 2개의 산부(101c)(도15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필름(101)의 충전물이 투입되는 부분은, 이미 꼭대기실기구(120) 및 밑실기구(140)에 의한 히트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필름(101)이 소정량만 보내어지면, 스퀴징롤러(117)를 닫고, 충전물을 분할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보내기롤러(116) 및 스퀴징롤러(117)를 회전시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내면, 필름(101)에는, 충전물이 존재하지 않는 공충전부(101d)가 형성된다. 이 공충전부(101d)를 측실장치(150)로 히트실하여 절단하는 것에 의해, 충전물이 밀폐된 자립대(1000)(도9 참조)를 제조해 가는 것이지만, 그 때의 측실장치(150)의 동작에 관하여, 도20a∼20k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20a∼20k에 있어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2의 유닛(1551)에 관한 기구에 관해서는 그물모양을 입혀둔다. 또한, 도20a∼20k에 나타낸 각 단계는, 0.1초마다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29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2의 실기구(1560)는 최상위치에 있고, 제1의 실기구(1510)는 제2의 실기구(1560)의 하방에, 제조해야 할 자립대의 폭과 동등한 피치 P만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의 냉각기구(1520)는, 제1의 실기구(1510)의 하방에, 마찬가지로 피치 P만 떨어져 위치하고 있으며, 제2의 냉각기구(1570)는, 제1의 실기구(1510)와 제1의 냉각기구(152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제1의 히터 바(1514)와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는 닫혀 있으며, 필름(101)을 히트실하고 있다. 또한, 제1의 냉각 바(1524)와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도 닫혀 있으며, 제1의 실기구(1510)의 하방에서 필름(1)을 보지하고 있다.
또, 제1의 냉각 바(1524) 및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로 보지하고 있는 필름(101)의 부분은, 도20a∼20k에 나타내는 일련의 사이클의 1사이클 전의 동작에 있어서, 제2의 실기구(1560)로 히트실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제1의 실기구(1510)에 의해 필름(101)을 히트실함과 동시에, 제1의 냉각기구(1520)에 의해 필름(101)을 보지하면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내고, 그 보내는 속도와 동기하여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2의 실기구(1560)와 제1의 실기구(1510)와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P가 되면, 도20a에 나타내듯이, 필름(101)의 보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의 하방으로의 이동도 정지시킨다.
이어서, 도20b에 나타내듯이, 제2의 히터 바(1564)와 제2의 히터 바받이(1565)를 닫고, 필름(101)의 공충전부(101a)의 히트실을 개시한다. 제2의 히터 바(1564)와 제2의 히터 바 받이(1565)를 닫으면, 도20c에 나타내듯이, 제1의 히터 바(1514)와 제1의 히터 바 받이(1515)를 열어, 즉시, 도20d에 나타내듯이,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를 상승시킨다. 또한, 이 시점에서 스퀴징롤러(117)를 열어, 스퀴징롤러(117)에 의해서 보지하고 있던 충전물을 제2의 실기구(1520)의 상방으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제2의 냉각기구(1570)의 위치가, 제1의 실기구(1510)에 의해 필름(101)이 히트실된 부위인 측실부(105)의 위치와 같은 높이가 되면, 도20e에 나타내듯이, 제2의 냉각기구(1570)의 제2의 냉각 바(1574)와 제2의 냉각 바 받이(1575)를 닫고, 제1의 실기구(1510)에 의해서 히트실된 측실부(105)의 냉각을 개시한다. 한편, 제2의 냉각기구(1570)의 하방에서는, 제1의 냉각기구(1520)의 커터(530)(도19 참조)를 돌출시켜, 이 동작의 1사이클 전에 히트실된 부위를 절단한다.
이상, 도20a∼20e를 써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트실된 부위을 냉각하기 위해서 제1의 실기구(1510)와 제2의 냉각기구(1570)를 바꿔 넣을 때에는, 필름(101)의 보냄이 정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101)으로의 제2의 냉각기구(1570)에 의한 가압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가 있고, 제2의 냉각기구(1570)를 제1의 실기구(1510)에 의해 가압되어 있었던 부위에 정확히 가압시켜, 확실한 냉각을 행할 수가 있다.
제1의 냉각기구(1520)에 의해 필름(101)이 절단되면, 도20f에 나타내듯이,제1의 냉각기구(1520)의 제1의 냉각 바(1524)와 제1의 냉각 바 받이(1525)를 열고, 얻어진 자립대(100)를 낙하시킨다. 또한, 이 때에, 스퀴징롤러(117)를 닫고 충전물을 분할함과 동시에, 제1의 실기구(1510)를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이어서, 도20g∼20k에 나타내듯이, 스퀴징롤러(117)를 닫은 채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냄과 동시에, 그 보내는 속도와 동기하여 제2의 실기구(156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를 하강시킨다. 이 사이, 제2의 실기구(1560)에 의한 히트실 및 제2의 냉각기구(1570)에 의한 냉각은 계속해서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그와 함께, 제1의 실기구(151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20h에 나타내는 상태, 즉 도20a와 비교해서 제1의 실기구(1510)와 제2의 실기구(1560)와의 위치, 제1의 냉각기구(1520)와 제2의 냉각기구(1570)와의 위치가 바꿔 넣은 상태가 되면, 필름(101)의 보냄을 정지한다.
그 이후는, 제1의 실기구(1510)과 제2의 실기구(1560)의 동작, 및 제1의 냉각기구(1520)와 제2의 냉각기구(1570)의 동작을 바꿔 넣고, 상술한 각 공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자립대(1000)가 연속해서 생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20a∼20k에 나타낸 각 공정은 0.1초마다의 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1초를 1사이클로 하여 자립대(1000)가 생산되게 된다.
한편, 자립대의 양측부의 히트실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히트실기구(1510, 1560) 및 2개의 냉각기구(1520, 1570)를 갖춘 측실기구(150)에 의해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각 히트실기구(1510, 1560)에 의한 히트실을 서로 번갈아 행함과 동시에, 각 냉각기구(1520, 1570)에 의한 냉각을 서로 번갈아행하고 있다. 더구나, 필름(101)을 보내고 있는 동안은, 필름(101)의 히트실과, 전회의 동작으로 히트실된 부위의 냉각이 동시에 행하여지고, 게다가, 히트실을 행하고 있지 않은 히트실기구 및 냉각을 하고 있지 않은 냉각기구는, 각각 다음 회의 동작을 위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재의 히트실이 종료한 직후 또는 종료하기 전에 다음 회의히트실을 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재의 히트실이 종료한 직후에, 이 부분의 다음 회의 냉각을 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름(101)을 확실하게 히트실 및 냉각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자립대(1000)를 고속으로 제대충전할 수가 있다. 또한, 필름(101)은, 히트실 후 즉시 냉각되므로, 필름(101)의 히트실, 냉각, 절단의 각 공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고, 히트실로부터 절단까지의 동작자체도 고속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히트실 강도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술과 같이, 히트실기구(1510, 1560)에 의한 히트실은, 히트실기구(1510, 1560)를 필름(101)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행하고 있으므로, 통상은, 이 이동시간이 히트실시간으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할 때에, 히트실된 부분을 확실히 냉각하기 위해서, 필름 보냄을 정지하여 히트실기구(1510, 1560)와 냉각기구(1520, 1570)를 바꿔 넣고 있으며, 더구나, 히트실기구(1510, 1560)와 냉각기구(1520, 1570)와의 바꿔 넣음에 앞서, 다른 쪽의 실기구에서의 히트실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필름(101)을 보내고 있는 시간에 가하여, 필름 보냄의 정지시간도 히트실시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냉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측실장치(150)에서는 2조의 냉각기구(1520, 1570)를 갖추고 있으며, 냉각기구(1520, 1570)에 의한 냉각시간도, 필름(101)을 보내고 있는 시간 이외에 필름의 보냄의 정지시간도 냉각시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와 같이 1초당 1개의 자립대(1000)를 생산하는 경우, 실제로는 1사이클의 시간(1초)보다도 긴 시간, 구체적으로는 1.2초 정도, 히트실시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실기구(1510, 1560)에 의한 히트실시간 및 냉각기구(1520, 1570)에 의한 냉각시간을 충분히 얻을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히트실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자립대(1000)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최대로 4장의 필름(1)이 겹쳐친 부분을 히트실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술과 같은 측실기구(150)는, 자립대(1000)를 생산하기 위한 제대 충전포장기에 쓰이는 측실기구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20b∼2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실한 부위를 냉각하기 위해서, 예컨대 제1의 실기구(1510)와 제2의 냉각기구(1570)를 바꿔 넣을 때에는, 필름(1)은, 제1의 실기구(1510)로 히트실된 측실부(5)의 상방 및 하방에서, 각각 제2의 실기구(1560) 및 제1의 냉각기구(1520)에 의해 보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의 냉각기구(1570)는, 제1의 실기구(1510)로 히트실된 측실부(105)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없이 정확하게 가압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서 제조된 자립대(1000)에 있어서는, 스퀴징롤러(117)의 하방에는 도20a∼20k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자루 또는 3자루 분의 충전물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21에 나타내듯이, 절단되기 전의 필름(101)은, 밑실기구(140)(도12 참조)에 의해서 히트실된 부위인 밑실부(104)측이, 꼭대기실기구(120)(도12 참조)에 의해서 히트실된 부위인 꼭대기실부(103)에 비해서 부풀어올라 있으며,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활 모양이 된다.
그 때문에, 측실부(105)끼리도 평행으로는 되지 않고, 가령 제1의 실기구(1510)에 의해서 히트실된 부위의 상하를 보지하고 있지 않으면, 제1의 실기구(1510)가 필름(101)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측실부(105)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때가 있다. 요컨대, 필름(101)자체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의해, 제2의 냉각기구(1570)는 정확하게 측실부(105)를 가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의 냉각기구(1570)는, 이 상태대로 측실부(105)를 절단하므로, 제2의 냉각기구(1570)의 보지위치가 어긋난 채로 절단을 행하면, 최악의 경우에는 측실부(105)이외의 부분이 절단되어, 제품이 유출하여 버리는 때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실기구(1510, 1560)와 냉각기구(1520, 1570)와의 바꿔 넣을 때에, 그 상하를 보지해 두는 것은, 절단위치의 어긋남의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위위치에 있는 히트실기구(1510, 1560)을 닫은 상태로 스퀴징롤러(117)를 열고, 그 히트실기구(1510, 1560)의 상방에 충전물을 낙하시켜, 그 상태대로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내고, 스퀴징롤러(117)를 닫고 필름(101)에 공충전부(101d)를 형성한 후, 이 공충전부(101d)를 다른 쪽의 히트실기구(1560, 1510)로 히트실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물을 분할하여 필름(101)의 공충전부(101d)를 히트실하기 까지의 동안은, 필름(101)에는 항상 1자루 분의 충전물의 중량만이 가해지는 것이 된다. 그 결과, 필름(101)에는 여분인 중량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얻어지는 자립대(1000)의 팽팽함도 양호한 것으로 된다.
그런데, 생산된 자립대(1000)는, 수 다즌 또는 수십 개를 하나의 단위로서 상자에 곤포하여 출하된다. 그러나,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립대(1000)는, 저부(1000a)에 부풀어오름을 갖게 하여, 이것에 의해 자립할 수 있도록 한 자루이기 때문에, 이들을 상자 내에 병렬로 정렬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자립대(1000)를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냉각기구(1520, 1570)에 도22에 나타내는 것 같은 커터(1531)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에 나타낸 커터(1531)는, 일단에, 폭이 2∼3mm정도의 복수의 요부(1532)가 형성된 것이며, 그 칼(1531a)는, 요부(1532)가 설치된 측에, 요부(1532) 내도 포함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을 절단할 때에, 요부(1532)의 칼(1531a)의 부분은 필름에 당접하지 않은 양인 C1만 커터(1531)를 돌출시키면, 필름은 요부(1532)이외의 부분만으로 절단되고, 요부(1532)의 칼(1531a)의 부분도 작용하는 양인 C2만 커터(1531)를 돌출시키면, 필름은 완전히 절단된다.
이와 같은 커터(1531)를 상술한 제1의 냉각기구(1520) 및 제2의 냉각기구(1570)에 장착하고, 통상은 돌출량을 C1으로 하여 필름(101)을 절단하고,필름이 5회 보내어질 때마다, 그 때에 동작되는 커터(1531)의 돌출량을 C2로 하는 것으로, 도23에 나타내듯이, 5개의 자립대(1100)가, 서로 연결부(1110)에 의해 병렬로 늘어선 5연팩(12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립대(1100)를 5연팩(1200)으로 하는 것으로, 상자를 채울 때에 자립대(1100)를 하나씩 정렬시키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상자를 채우는 작업이 간소화된다.
한편, 이와 같은 형태의 자립대(1100)를 가게 앞에 진열할 때에는, 각 자립대(1100)를 연결부(1110)에서 잘라내어 진열하면 좋다. 연결부(1110)의 폭은 커터(1531)의 요부(1532)의 폭에 대응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요부(1532)의 폭은 2∼3mm 정도이므로, 연결부(1110)에서의 잘라냄은 용이이다. 여기서는, 각 자립대(1100)가 2개의 연결부(1110)로 늘어선 5연팩(1200)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연결부(1110)의 수, 및 자립대(1100)의 수는, 사용되는 필름의 재질, 자립대(1100)의 크기, 곤포용의 상자의 크기 등에 응해서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제3의 실시형태)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종형 충전포장기의 포장동작을 기본으로 하여, 이물이 혼입하는 일없이, 또한 효율적으로 자립대를 제조하는 포장기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시형태로부터도 명백하듯이, 자립대는 저부의 두께가 크고, 부위에 따라서 자루의 부풀기상태가 다르다. 그 때문에, 필름을 히트실할 때에, 필로타이프의 포장대를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주름」이 발생하면, 포장대의 볼품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양호한 히트실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그 부분으로부터 충전물이 새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에 「주름」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에 의해, 종형 충전포장기의 이점를 살리면서, 보다 양호한 히트실을 행할 수가 있는 충전포장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는, 도34에 나타내듯이 꼭대기실부(2001), 측실부(2002) 및 밑실부(2003)를 갖는 자립대(2000)를 제대하는 것이다. 우선, 이 제대 충전포장기의 개략의 구성에 관해서, 도24 및 도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투입파이프(211)의 상부에는, 필름공급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가이드롤러(21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시이트상의 필름(101)을, 그 양측단부가 일치하고, 또한, 자립대(2000)의 저면이 되는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넣기 위한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의 하방에는,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접어 넣어진 필름(101)을 그 긴 쪽 방향으로 히트실하기 위한 밑실기구(230) 및 꼭대기실기구(240)가 배치된다. 밑실기구(230)와 꼭대기실기구(240)는, 투입파이프(2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밑실기구(230)는, 자립대(2000)의 밑실부(2003)(도34 참조)를 형성하는 한편, 꼭대기실기구(240)는, 자립대(2000)의 꼭대기실부(2001)(도34 참조)를 형성한다.
밑실기구(230)의 하방에는, 밑실기구(230)로 히트실된 부위의 일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실기구(250)가 설치되고, 또한 그 하방에는, 필름(101)을 하방으로 보내는 2쌍의 보내기롤러(213)가 설치되어 있다. 보내기롤러(213)의 하방에는, 보내기롤러(213)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되는 1쌍의 스퀴징롤러(214)가 설치되어 있다. 보내기롤러(213) 및 스퀴징롤러(214)는, 제1의 실시형태 및 제2의 실시형태와 같은 것이 쓰인다.
또, 투입파이프(211)의 하단은, 스퀴징롤러(214)보다도 상방에서, 또한, 보강 실기구(250)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투입파이프(211)에 의해 투입된 충전물은 보강 실기구(250)보다도 하방에 투입되므로, 보강 실기구(250)에 의해서 충전물을 끼워 넣는 일이 없어지고, 보강 실기구(250)에 의한 히트실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스퀴징롤러(214)의 하방에는, 충전물이 투입된 필름(201)을 횡방향(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고 자립대(2000)의 측실부(2002)(도34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측실기구(26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 밑실기구(230), 꼭대기실기구(240), 및 보강 실기구(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측실기구(260)는, 제1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횡실장치(50)(도7 참조)와 마찬가지의 기구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에 대해서,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6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롤러(212)의 하방에는, 상변의 길이가 하변의 길이보다도 길지만 필름(101)의 폭보다도 작고, 또, 2개의 사변의 각도가 서로 동등한 태형판(221)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태형판(221)의 하변의 근방에는, 태형판(221)의 하변의 길이와 동등한 폭을 갖는 장방형상의 폭규정판(223)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폭규정판(223)의 양측방에는, 수평방향, 또한, 폭규정판(223)의 폭방향과는 직각인 방향으로 뻗는 2개의 가이드암(22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롤러(212)를 경유한 필름(101)은, 보내기롤러(213)(도24 및 도25 참조)의 구동에 의해 태형판(221)의 상면 및 폭규정판(223)의 외측면에 밀착하면서 하방으로 보내어지고, 게다가, 각 가이드암(222)에 의해, 필름(101)의 단부의 퍼짐이 필름(101)의 외측에서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필름(101)에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능부(101a)가 형성되고, 필름(101)은 통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능부(101a)의 사이의 영역이, 자립대의 저면이 된다.
폭규정판(223)의 하방에는, 필름(101)에 형성된 2개의 능부(101a)의 사이의 영역을 다시 내측으로 접어 넣기 위한, 1장의 밀어넣기판(225) 및 2장의 누름판(224)이 배치되어 있다. 밀어넣기판(225)은 역삼각형상의 부재이며, 도14에 나타낸 필름(101)의 2개의 능부(101a)의 사이의 영역을 필름(101)의 외측에서 밀어 넣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각 누름판(224)은, 필름(101)의 내측에서 2개의 능부(101a)를 지지하고, 필름(101)이 밀어넣기판(225)으로 밀어 넣어진 때에 각 능부(101a)가 밀어 넣어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이며, 필름(101)의 내측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넣기판(225) 및 각 누름판(224)을 통과한 필름(101)은,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단과는 반대측의 측부가 W 자형상으로 접어 넣어져, 2개의 산부(101b)와 그 사이의 곡부(谷部)가 형성된다.
또한, 각 누름판(224)은, 상단에서는 폭규제판(223)의 폭과 동등한 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밀어넣기판(225)의 사변의 경사에 맞추어 서로의 간격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기울여서 배치되어 있다. 밀어넣기판(225) 및 각 누름판(224)을 통과한 필름(101)은, 그 양측부가 각각 누르기롤러(226)로 끼워져 하방으로 보내어진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태형판(221)의 상면을 통과하는 필름(101)은, 태형판(221)의 2개의 사변 및 그 사이의 하변에서 접어 구부려져, 하방으로 보내어진다. 이 때, 2개의 사변은 태형판(221)의 중심선에 대하여 등각도이므로, 각 사변에 있어서의 부하가 함께 동등해 지도록 필름(101)의 위치가 자기조정되어 보내어지고, 필름(101)의 폭방향에서의 위치어긋남이 방지된다. 게다가, 밑실부(2003)(도34 참조)로 되는 산부를 형성할 때에, 태형판(221) 및 폭규제판(223)에 의해, 산부(101b)의 선단이 되는 능부(101a)를 형성하므로, 산부(101a)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요컨대, 2개의 산부(101a)의 위치, 및, 각 산부(101a)로부터 필름(101)의 폭방향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일치한다.
이와 같이, 필름(101)이 사행(蛇行)하지 않고 안정하여 보내어짐과 동시에, 2개의 산부(101a)의 형성위치도 안정하는 것에 의해, 꼭대기실기구(240) 및 밑실기구(230)에 의한 히트실위치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필름(101)의 폭방향에서의 위치어긋남이 방지되는 것으로부터, 스퀴징롤러(214)에 의한 훑기동작을 행하더라도 필름(101)에는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측실기구(250)에 의한 히트실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폭규정판(223)에 의해 필름(101)에 2개의 능부(101a)를 형성한 후, 각 능부(101a)의 중간을 안쪽으로 접어 넣고 있으므로, 시이트상의 필름(101)을 도15에 나타낸 형상으로 접어 넣을 때까지에 필요한 필름(101)의 보내는 양을 짧게 할 수가 있어, 그 만큼, 이 제대 충전포장기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밑실기구(230)에 대해서, 도27 및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7에 나타내듯이, 밑실기구(230)는, 제대 충전포장기의 프레임(210a)에 달려 있으며, 서로 로드(233a)를 대향시켜서 프레임(210a)에 고정된 2개의 실린더(233)와, 각 실린더(233)의 로드(233a)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232)에 서로의 가압면을 대향시켜 지지된 2개의 밑실 바(231)와, 프레임(210a)에 지지된 선단부를 각 밑실 바의 사이에 침입시켜 배치된 받이판(234)을 갖는다. 각 밑실 바(231)와 받이판(234)과의 거리는, 실린더(233)의 로드(233a)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밑실바(231)가 받이판(234)에 가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술의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도26 참조)에 의해서 접어 넣어진 필름(101)은, 2개의 산부(101b)의 사이에 받이판(234)을 침입시킨 상태로 보내어진다. 각 밑실 바(231)에는, 각각 전열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이들 가열수단으로 각 밑실 바(231)를 가열하면서, 각 실린더(233)를 동시에 구동하여 각 밑실 바(231)를 전진시키는 것으로, 필름(101)의, 받이판(234)과 밑실바(231)로 끼워진 부위, 즉 2개의 산부(101b)가 동시에 히트실된다.
여기서, 각 밑실 바(231)의 가압면은, 도28에 나타내듯이, 사선을 입힌 영역에, 주위보다도 높아진 철부(231a)를 갖고, 밑실 바(231)의 가압면이 필름(101)에가압할 때는, 실제로는 이 철부(231a)가 필름(101)에 가압된다. 이 철부(231a)의 형상에 의해서, 자립대(2000)의 밑실부(2003)(도34 참조), 즉 자립대(2000)를 안정하여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립의 형상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밑실부(2003)는 히트실되는 영역과 충전물이 충전되는 영역과의 경계가 요곡선을 형성하고, 또한, 측실기구(260)로 히트실되는 부위와의 경계가 곡선으로 연결되는 듯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철부(231a)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L은, 필름(101)의 보내기피치 P보다도 커져 있으며, 철부(231a)의 상하단부에서는, 밑실부(2003)가 자립대(2000)의 측실부(2002)(도34 참조)의 양단부에서 오버랩하도록, 철부(231a)는 수평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어 있다.
또한, 철부(231a)에는, 필름(101)의 히트실 때에 필름을 가압하지 않는, 철부(231a)에 둘러싸인 요부(231b)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철부(231a)는, 필름(101)에 형성된 산부(101b)를 형성하는 필름(101)의 내측면의 되접어꺾음부의 선단영역(101c)(도15 참조)에는 가압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밑실기구(230)로 필름(101)을 히트실할 때, 필름(101)은, 밑실 바(231)의 요부(231b)에 대응하는 영역, 및 산부(101b)(도15 참조)의 선단의 영역에서는 히트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의 영역이, 히트실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기포의 새어나감(공기 굄)이 되어, 히트실된 영역에 기포가 잔류하지 않게 되므로, 겉보기에도 깨끗한 양호한 히트실을 할 수 있다.
꼭대기실기구(240)에 대해서, 도29및 도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9에 나타내듯이, 꼭대기실기구(240)는, 서로 로드(243a)를 대향시켜 프레임(210b)에 고정된 2개의 실린더(243)와, 각 실린더(243)의 로드(243a)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242)에 서로의 가압면을 가압가능하게 대향시켜 지지된 2개의 꼭대기실 바(241)를 갖고, 각 꼭대기실 바(241)의 사이를,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도26 참조)로 접어 넣어진 필름(101)의 개방단부가 통과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꼭대기실 바(241)에는, 각각 전열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이들 가열수단으로 꼭대기실 바(241)를 가열하면서, 각 실린더(243)를 동시에 구동하여 각 꼭대기실 바(241)를 전진시키는 것으로, 필름(101)의 개방단부가 필름(101)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되어, 필름(101)은 통상이 된다.
여기서, 각 꼭대기실 바(241)의 가압면은, 도30에 나타내듯이, 사선을 입힌 영역에, 주위보다도 높아진 철부(241a)를 갖고, 꼭대기실 바(241a)의 가압면이 필름(101)에 가압할 때는, 실제로는 이 철부(241a)가 필름(101)에 가압된다. 이 철부(241a)의 형상에 의해서, 자립대(2000)의 꼭대기실부(2001)(도34 참조)의 형상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실기구(260)로 히트실된 부위와의 경계가 곡선에 의해서 연결되는 듯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밑실기구(230)의 밑실 바(231)의 철부(231a)와 마찬가지로, 꼭대기실 바(241)의 철부(241a)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필름(101)의 보내기피치 P보다도 커져 있으며, 철부(241a)의 상하단부에서는, 꼭대기실부(2001)가 자립대(2000)의 측실부(2002)(도34 참조)의 양단부에서 오버랩하도록, 철부(241a)는수평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어 있다.
밑실기구(230) 및 꼭대기실기구(240)로 히트실된 필름(101)은, 후술하는 측실기구(260)로 수평방향으로 히트실되어, 1자루씩 절단된다. 이 때, 측실기구(260)로 히트실된 측실부 중,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에 의해서 필름(101)이 접어 넣어진 부위는, 필름(101)이 4중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쓰고 있는 측실기구(2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히트실이 가능한 것이지만, 그렇다해도 과도한 잡아 떼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히트실한 부분이 박리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101)이 4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의 히트실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서, 필름(101)이 4중으로 되는 부분을 측실기구(260)애 앞서 히트실하는 보강 실기구(2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실기구(250)에 대해서, 도31 및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1에 나타내듯이, 보강 실기구(250)는, 서로 로드(253a)를 대향시켜 프레임(210c)에 고정된 2개의 실린더(253)와, 각 실린더(253)의 로드(253a)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252)에 서로의 가압면을 가압가능하게 대향시켜 지지된 2개의 보강 실 바(251)를 갖는다. 각 보강 실 바(251)에는, 각각 전열 히터 등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보강 실 바(251)는, 도32에 나타내듯이, 접어 넣어진 필름(101)을 폭방향 전체에 걸쳐 가압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제대 접어넣기 기구(220)에 의해서 접어 넣어져 필름(101)이 4중으로 된 부분을 가압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수단으로 보강 실 바(251)를 가열하면서,각 실린더(253)를 동시에 구동하여 각 보강 실 바(251)를 전진시키는 것으로, 자립대의 측실부가 되는 부위 중 필름(101)이 4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도32 중, 그물모양을 입힌 부분)이 히트실된다.
또한, 보강 실 바(251)의 상방에는, 밑실기구(230)에 의해서 히트실된 필름(101)의 2개의 산부(101b)의 사이에 침입하는 위치에 고정된 필름위치규제판(254)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101)의 위치가 안정하고, 보강 실기구(250)에 의한 히트실시의 실위치 어긋남이 방지되어, 실 직후에서 고온상태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밑실(요형으로 접어 넣어진 필름면)끼리의 용착도 동시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 의한 충전포장동작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특유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밑실기구(230)로 히트실된 부분 및 꼭대기실기구(240)로 히트실된 부분은, 측실기구(260)로 히트실되는 부분과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밑실기구(230) 및 꼭대기실기구(240)에 의한 수평방향에서의 실영역은, 측실기구(260)로 히트실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되어 있다. 요컨대, 측실기구(260)로 히트실하는 부분은, 미리 히트실되어 있는 영역(필름끼리가 이미 용착되어 있는 영역)이 커져있다. 이것에 의해, 측실기구(260)로 필름(101)을 히트실할 때에 히터 바(267)와 히터 바 받이(264)로 필름(101)을 끼웠을 때, 필름(101)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필름(101)의 주름에 의한 실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제대 충전포장기에 의한 자립대(200)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밑실기구(230)로 히트실된 부분의 근방은, 필름(101)이 4장 겹침으로 되어있는 것도 있으며,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스퀴징롤러(114)에 의해서 필름(101)을 끼워 넣으면, 필름(101)에 주름이 생겨 측실기구(260)에 의한 히트실이 양호하게 행하여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스퀴징롤러(214)로 필름(101)을 끼울 때에 필름(101)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33에 나타내는 것 같은 가압기구(270)를 부가해도 좋다.
가압기구(270)는 스퀴징롤러(214)의 직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필름(101)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스퀴징롤러(214)의 축방향과 평행한 지축(271a)을 중심으로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지된 2개의 가압판(271)과, 각 가압판(271)을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대향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272)를 갖는다. 가압판(271)은, 충전물이 투입된 필름(101)을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은 것으로 그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스퀴징롤러(214)가 닫혀지기 전에, 필름(101)이 완전하게는 눌러 찌부러뜨려지지 않은 정도로 닫혀진다. 이것에 의해, 충전물이 투입되어 있는 필름(101)의 두께가 얇고, 또한 필름(101)의 폭방향(수평방향)애서 거의 균일하게 되고, 스퀴징롤러(214)로 필름(101)을 끼더라도 필름(101)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가압판(271)으로 필름(101)의 두께를 규제하면서, 스퀴징롤러(214)를 회전시켜 필름(101)에 공충전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필름(101)을 보내고 있는 도중에서의 주름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써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이하의 클레임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1∼제3의 실기구를 갖는 제1의 발명에서는, 3개의 히트실공정을 행하기 위한 제1∼제3의 실기구를 가지므로, 자립대의 생산에 있어서 제대와 충전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자립대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자립대를 세로로 한 상태에서 제대 및 충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대 및 충전을 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자립대 내에 먼지가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대 및 충전을 행할 수 있으므로, 포장기의 설치스페이스가 작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제3의 실기구를, 냉각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히터 바와, 히터 바 받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커터보지부재로 구성하고, 히터 바와 히터 바 받이에 의한 필름의 가압가열과, 냉각부재와 커터보지부재에 의한 필름의 냉각·절단을 행하는 것으로, 자립대의 측부에서의 히트실 강도를 향상하고, 또한, 실 폭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덧붙여, 제2의 실기구에, 스폿용착용의 돌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자립대의 측부의 히트실이 벗겨지기 쉬운 부분을 보호할 수가 있다.
특히, 접어넣기 기구가 태형판, 폭규제판 및 2개의 가이드암을 갖는 것에 의해, 필름의 보냄이 안정함과 동시에 접어 넣기의 형성위치도 안정하므로, 그 후에 행하여지는 제1의 실기구 및 제2의 실기구에 의한 히트실도, 필름에 주름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2의 실기구가 2개의 실 바와 그 사이에 배치된 받이판을 갖고, 실바와 받이판과의 사이에서 필름의 산부를 히트실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실 바의 받이판과의 가압면에, 주위가 철부로 둘러싸인 요부를 설치하거나, 실 바와 받이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의 산부의 선단의 영역을 가압하지 않도록 실 바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들 요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산부의 선단의 영역이 히트실의 때에 발생하는 기포의 새어나감이 되기 때문에, 양호한 히트실이 가능해진다.
또한, 필름 내에 투입된 충전물을 분할하기 위한 스퀴징롤러를 갖는 것으로, 자립대 내에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가 있고, 충전물이 산화나 부패하기 쉬운 것이어도 포장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스퀴징롤러의 상방에, 필름의 두께를 규제하는 가압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스퀴징롤러로 필름을 끼운 때에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측실기구에 의한 히트실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꼭대기실기구, 밑실기구 및 횡실장치를 갖는 제2의 발명에서는,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품이 투입된 필름을 2개의 히트실기구에 의해 서로 번갈아 히트실하고, 이 히트실기구로 히트실된 부위를 2개의 냉각기구로 서로 번갈아 냉각하도록 구성된 횡실장치를 가지므로, 한쪽의 히트실기구에 의한 히트실과, 한쪽의 냉각기구에 의한 냉각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고, 게다가, 한쪽의 히트실기구에 의한 히트실이 종료한 직후에는 다른 쪽의 히트실기구에 의한 히트실 및 다른쪽의 냉각기구에 의한 냉각을 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필름의 확실한 실에 필요한히트실시간 및 냉각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자립대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대 충전포장기는,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면서 제대 및 제품의 충전을 행하므로, 설치면적이 작아도 되고, 게다가, 자립대 내로의 먼지나 공기의 침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가 있다. 게다가, 횡실장치는 상기와 같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필름의 확실한 실에 필요한 히트실시간 및 냉각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름이 4장 겹침이 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자립대를 히트실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20)

  1. 양측단부가 서로 겹쳐 맞추어져 하방으로 보내어지는 긴 시이트상의 필름의, 전기 겹쳐 맞추어진 양측단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제1의 실기구와,
    전기 긴 시이트상의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접어 넣고, 전기 필름에 2개의 산부(山部)를 형성하는 접어넣기 기구와,
    전기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받이판과, 전기 2개의 산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전기 받이판에 가압가능하게 전기 받이판의 양측방에 대향배치된 2개의 실바를 가지며, 전기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 전기 필름에 형성된 2개의 산부의 선단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제2의 실기구와,
    전기 제1의 실기구 및 제2의 실기구에 의해 히트실된 필름 내에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해서, 전기 필름에 외주를 포위되어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투입파이프와,
    전기 투입파이프의 아래쪽으로 배치되고, 전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여, 이 히트실된 부분을 절단하는 제3의 실기구를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제3의 실기구는, 전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서로 대향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전기 필름을 히트실하기 위한 히터 바와, 전기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를 보지하는 커터보지부재를 갖고,
    전기 커터보지부재에는, 전기 커터보지부재가 전기 필름에 대하여 후퇴하는 것으로 전기 히터 바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되는 히터 바 받이부재가 설치되고,
    전기 히터 바에는, 전기 히터 바에 의해 가열된 부위를 냉각하기 위해서, 전기 히터 바가 전기 필름에 대하여 후퇴하는 것으로 전기 커터보지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되는 냉각 바가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제2의 실기구에는, 전기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 전기 필름에 형성되는 2개의 산부의, 전기 제3의 실기구로 히트실되는 부분의 근방을 각각 스폿상으로 열용착하기 위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접어넣기 기구는, 전기 투입파이프를 포위하고 있는 필름을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는 밀어넣기판과, 전기 필름의 내측에서 전기 필름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서 전기 밀어넣기판의 양측방에 배치된 2장의 누름판을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전기 누름판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누름판의 상방에는, 전기 필름에 전기 2개의 산부의 선단부가 되는 접은 자국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 투입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치되어전기 누름판의 상단에서의 전기 누름판의 간격과 동등한 폭을 갖는 폭규제판이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 폭규제판의 상방에는, 전기 필름이 상면을 하방으로 향하여 통과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하변이 전기 폭규제판의 폭과 동등한 폭을 가짐과 동시에 상변이 전기 필름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갖고, 또한, 상방에 향하여 등각도로 넓어지는 2개의 사변을 갖는 태형판이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 2개의 실바의 전기 받이판과의 가압면에는 주위가 철부로 둘러싸인 요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 밑실 바의 철부는, 전기 밑실 바와 전기 받이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의 전기 산부의 되접어꺾음부의 선단영역을 가압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배치되고, 전기 제1 및 제2의 실기구에 의해 히트실된 필름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스퀴징롤러를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스퀴징롤러의 상방에, 전기 제1 및 제2의 실기구로 히트실되고, 또한, 전기 투입파이프로부터 충전물이 투입된 필름의 두께를 규제하는 가압판을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12. 양측단부가 일치하도록 접어 맞추어진 시이트상의 필름의 전기 양측단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것에 의해 전기 필름을 통상으로 하는 꼭대기실기구와,
    전기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접어 넣어, 전기 필름에 2개의 산부를 형성하는 접어넣기 기구와,
    전기 접어넣기 기구에 의해서 전기 필름에 형성된 2개의 산부의 선단부를 전기 필름의 긴 쪽 방향에 따라 히트실하는 밑실기구와,
    전기 꼭대기실기구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된 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 필름을 끼우면서 회전하여 전기 필름을 하방으로 보내는 1쌍의 스퀴징롤러와,
    전기 스퀴징롤러의 상방에서 전기 필름 내에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파이프와,
    전기 투입파이프의 하방에 배치되고, 전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히트실하고, 이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하기 위해서, 각각 연직방향으로 독립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실기구, 및 전기 실기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2개의 냉각기구를 갖춘 횡실장치를 갖고,
    전기 2개의 실기구는, 어느 것인가 한쪽이 전기 필름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필름을 히트실하고 있는 사이에, 전회의 동작으로 전기 필름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필름을 히트실한 다른 쪽이 다음 회의 히트실을 위해서 상방으로 이동되고, 전기 2개의 냉각기구는, 어느 것인가 한쪽이, 전기 필름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전회의 동작으로 전기 다른 쪽의 히트실기구에 의해서 히트실된 부분을 냉각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쪽이, 전기 한쪽의 실기구에 의해서 히트실되어 있는 부위의 냉각를 위해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제대 충전포장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한쪽의 실기구에 의한 필름의 히트실이 종료하고 나서, 전기 다른 쪽의 냉각기구가 전기 한쪽의 실기구로 히트실된 부위의 냉각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는, 전기 필름 보냄이 정지되는 제대 충전포장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접어넣기 기구는, 전기 필름을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는 밀어넣기판과, 전기 필름의 내측에서 전기 필름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서 전기 밀어넣기판의 양측방에 배치된 2장의 누름판을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접어넣기 기구의 상방에는, 전기 필름이 상면을 통과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하변의 길이가 상변의 길이보다도 짧은 태형판과, 전기 태형판을 통과한 필름의 퍼짐을 규제하는 2개의 가이드암이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횡실장치는, 전기 필름의 통과경로를 끼고 대향배치된 2개의 유닛을 갖고, 한쪽의 유닛에 전기 한쪽의 실기구 및 전기 한쪽의 냉각기구가 각각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유닛에 전기 다른 쪽의 냉각기구 및 전기 다른 쪽의 냉각기구가 각각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대 충전포장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횡실장치의 2개의 히트실기구는 각각, 전기 필름을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가열수단을 내장하는 히터 바 및 그 히터 바를 받는 히터 바 받이를 갖고, 전기 횡실장치의 2개의 냉각기구는 각각, 전기 필름을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냉각 바 및 그냉각 바 받이를 갖는 제대 충전포장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한쪽의 실기구가 히트실을 종료하여 전기 히터 바와 히터 바에 의한 필름의 가압을 해제하고, 전기 다른 쪽의 냉각기구의 냉각 바와 냉각 바 받이가 전기 한쪽의 실기구에 의해 히트실한 부위를 가압하기까지의 사이는, 전기 한쪽의 실기구보다도 상방에서는 전기 다른 쪽의 실기구의 히터 바와 히터 바 받이에 의해 필름이 가압되고, 전기 한쪽의 실기구보다도 하방에서는 전기 한쪽의 냉각기구의 냉각 바와 냉각 바 받이에 의해 필름이 가압되는 제대 충전포장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냉각 바 받이에는, 전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전기 냉각 바의 가압면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대 충전포장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전기 커터는, 칼날의 일부에 복수의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 필름을 절단할 때의 전기 커터의 전진량이 가변인 제대 충전포장기.
KR1019980049720A 1997-11-20 1998-11-19 자립대제조용제대충전포장기 KR100304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19856 1997-11-20
JP31985697A JPH11152104A (ja) 1997-11-20 1997-11-20 自立袋の製袋充填包装方法および自立袋製袋充填包装機
JP10159430A JP2959631B1 (ja) 1998-06-08 1998-06-08 製袋充填包装機
JP1998-159430 1998-06-08
JP10234205A JP2971866B1 (ja) 1998-08-20 1998-08-20 製袋充填包装機
JP1998-234205 199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408A KR19990045408A (ko) 1999-06-25
KR100304504B1 true KR100304504B1 (ko) 2002-10-09

Family

ID=2732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20A KR100304504B1 (ko) 1997-11-20 1998-11-19 자립대제조용제대충전포장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145282A (ko)
EP (2) EP1184155B1 (ko)
KR (1) KR100304504B1 (ko)
AU (1) AU716763B2 (ko)
CA (1) CA2254063C (ko)
DE (2) DE69814310T2 (ko)
HK (1) HK1044738B (ko)
TW (1) TW386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5240B1 (it) * 1998-06-04 2001-04-19 Burgopack Stampa Trasformazione Imballaggi Spa Un procedimento per realizzare confezioni a tubo in materialeflessibile, una apparecchiatura per effettuare il procedimento ed una
US6244747B1 (en) * 1999-09-30 2001-06-12 Cryovac, Inc. Contoured pouch with pourable spout,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DE10017479A1 (de) * 2000-04-07 2001-10-11 Rovema Gmbh Vertikale Schlauchbeutelmaschine und damit erzeugter Beutel
JP3560919B2 (ja) 2001-02-06 2004-09-02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および縦型製袋充填機
SE0200294L (sv) * 2002-02-01 2003-08-0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behållare
US7299608B2 (en) * 2002-03-18 2007-11-27 Frito-Lay North America, Inc. Quick change module with adjustable former attachments
US7552574B2 (en) * 2002-03-18 2009-06-30 Frito-Lay North America, Inc. Variable tension gusseting system
US7516596B2 (en) * 2002-03-18 2009-04-14 Frito-Lay North America, Inc. Bandolier format packaging
US6860084B2 (en) * 2002-03-18 2005-03-01 Frito-Lay North America, Inc. Vertical stand-up pouch with zipper seal quick change module
US6679034B2 (en) * 2002-03-18 2004-01-20 Recot, Inc. Vertical stand-up pouch quick change module
US6722106B2 (en) * 2002-03-18 2004-04-20 Recot, Inc. Vertical stand-up pouch
US7254930B2 (en) * 2002-03-18 2007-08-14 Frito-Lay North America, Inc. Stationary tucker bar mechanism
US20030217531A1 (en) * 2002-05-24 2003-11-27 Keen Bruce W. Vertical form, fill, and seal apparatus for making several types of packages
DE10227502B4 (de) * 2002-06-19 2005-10-13 Mars Incorporate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Behältern aus Folienbahnen und Fertigungs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860958B2 (en) 2002-06-27 2005-03-01 Cryovac, Inc. Wrinkle reduction assembly
DE10251069A1 (de) * 2002-11-02 2004-05-13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Kombination aus einem Füllrohr und einem Seitenfaltenerzeuger
US20040115597A1 (en) * 2002-12-11 2004-06-17 Butt Thomas Giles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ve learning using adaptive notes
CA2519196A1 (en) * 2003-03-27 2004-10-14 Swf Companies, Inc. High-speed continuous action form-fill-seal apparatus
US7018099B2 (en) * 2003-05-21 2006-03-28 Cryovac, Inc. Contoured pouch having a zigzag shape
DE10330294A1 (de) * 2003-07-04 2005-01-20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Vertikale Schlauchbeutelmaschine
DE102004007826A1 (de) * 2004-02-18 2005-09-08 Rovema Verpackungs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Verschweissen eines Folienschlauches
KR100865512B1 (ko) * 2004-04-30 2008-10-27 오리히로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종형(縱型) 충전 포장기
US20050244084A1 (en) * 2004-05-03 2005-11-03 Tilman Paul A Reclosable stand-up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06012387A1 (en) * 2004-07-22 2006-02-02 Pdc Facilities, Inc. Tube sealing device
US7908826B2 (en) * 2004-11-12 2011-03-22 Frito-Lay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d seals on vertical stand-up packages
DE102005003769A1 (de) * 2005-01-27 2006-08-10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Vertikale Schlauchbeutelmaschine
ES2284307B1 (es) * 2005-03-14 2008-09-16 Giro Gh, S.A. Dispositivo para variar la capacidad de almacenaje de una bolsa de malla tubular.
US7305805B2 (en) * 2005-09-22 2007-12-11 Frito-Lay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reclosable package
EP1792838A1 (en) * 2005-11-30 2007-06-06 CFS Weert B.V. Envelope-shaped packaging bag
US7913477B2 (en) * 2006-01-27 2011-03-29 William Anthony Harper Insert registration in packets
DE102006008587A1 (de) * 2006-02-24 2007-08-30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Schlauchbeutelmaschine mit einem Seitenfaltenerzeuger
DE102006010139A1 (de) * 2006-03-06 2007-09-13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Schlauchbeutelmaschine mit Kantenschweißeinrichtungen
DE102006022192B4 (de) * 2006-05-12 2009-08-27 Rovema - Verpackungs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Verschweißen einer Folienbahn
EP1894845A1 (en) * 2006-09-04 2008-03-05 CFS Weert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oypack-style bag
WO2008050865A1 (fr) * 2006-10-27 2008-05-02 Chokoku Plast Corporation Sac de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cylindre maître pour un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US8132394B2 (en) * 2006-10-31 2012-03-13 Ishida Co., Ltd. Bag manufacturing and packaging apparatus and bag manufacturing and packaging method
EP2103526B1 (en) * 2007-01-16 2013-10-02 Orihiro Engineering Co., Ltd. Filling packaging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package
EP2042433B1 (en) * 2007-09-28 2010-12-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mber for forming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from a tube of packaging material
US20090094944A1 (en) * 2007-10-12 2009-04-16 Friedrich Steven G Product Package
CN101891020B (zh) * 2009-05-19 2014-10-08 利乐拉瓦尔集团及财务有限公司 填充机中防止不正确粘贴的装置和方法
WO2010145713A1 (en) * 2009-06-19 2010-12-23 Amcor Flexibles Transpac Nv Improved method for the sealing of plastic bags in a form fill and seal process
WO2011001528A1 (ja) * 2009-07-02 2011-01-06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内容物入り包装袋の製造方法
DE102009041411A1 (de) * 2009-09-16 2011-03-24 Lemo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ängsschweißen von Kunststofffolien
JP5476107B2 (ja) * 2009-12-07 2014-04-23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DE102010039089B4 (de) * 2010-08-09 2013-06-27 Widmann Maschinen GmbH & Co. KG Schweißvorrichtung
US20130192168A1 (en) * 2010-09-20 2013-08-01 Paul E. Bracegirdl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Dosing Bags that Are Filled with Dry Additives for Use in Cementitious Mixtures
WO2012048837A1 (de) * 2010-10-11 2012-04-19 Haver & Boecker Ohg Packmaschin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säcken
ITVR20110098A1 (it) * 2011-05-11 2012-11-12 P F M Spa Macchina confezionatrice verticale di prodotti alimentari
CN103738514A (zh) * 2013-12-04 2014-04-23 无锡佳泰科技有限公司 标签纸自动打卷输送线的收缩膜包覆装置
CN104385571A (zh) * 2014-09-18 2015-03-04 品诚塑胶科技(上海)有限公司 聚碳酸酯瓦楞阳光板的封口加工方法
EP3345748B1 (en) * 2015-08-31 2020-08-05 Seidensha Electronics Co., Ltd Heat caulking apparatus
US10351283B2 (en) * 2015-12-17 2019-07-16 Khs Usa, Inc. Magnetically operated sealing bar assembly for packaging machines
ES2688539T3 (es) * 2016-01-28 2018-11-05 Girnet Internacional, S.L.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auxiliar en la operación de llenado y cierre de un envase y estación de llenado y cierre de un envase en una máquina de envasado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JP2018095301A (ja) *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IT201800002795A1 (it) * 2018-02-19 2019-08-19 Zanon Forming Solution S R L Gruppo formatore verticale per buste di tipo doy-bag, o doy-pack, e simili, e busta realizzata con tale gruppo formatore
CN108545263A (zh) * 2018-05-14 2018-09-18 温州海航机械有限公司 全自动多列四边封餐具包装机的包装袋封切设备
JP2020045133A (ja) * 2018-09-18 2020-03-26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TWI719397B (zh) * 2019-01-29 2021-02-21 林子銘 三面封(背封)包裝機
DE102019111657A1 (de) * 2019-05-06 2020-11-12 C-Pack Verpackungs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von Verpackungen
CN110667183B (zh) * 2019-10-18 2021-11-30 温州国强机械有限公司 一种阀口袋全自动生产线的折叠装置
CN112744415A (zh) * 2019-10-29 2021-05-04 广东粤东机械实业有限公司 高速全自动自立袋包装机
JP7091567B1 (ja) * 2020-08-08 2022-06-27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縦型製袋充填包装機、内容物入り包装袋の製造方法、内容物入り包装袋
CN112224528B (zh) * 2020-09-15 2022-04-1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外带物品打包机及其打包袋制作模块
CN114228157B (zh) * 2021-12-16 2023-09-01 南通天维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医疗一次性塑料用品热压模具及其加工方法
CN114671056B (zh) * 2022-04-06 2022-12-06 长沙弘晨包装有限公司 基于底膜容器折叠成型的真空包装设备及新型包装盒
EP4303135A1 (en) * 2022-07-06 2024-01-10 Universal Pack S.R.L. Machine and method for packaging in a sterile environment a product into flexible packages
CN115180243A (zh) * 2022-07-06 2022-10-14 合肥三冠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膜横封机构以及立式包装机
CN117246559A (zh) * 2023-11-20 2023-12-19 德阳昊华清平磷矿有限公司 一种充填用磷石膏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8105A (en) * 1948-12-31 1955-09-20 Jl Ferguson Co Bag-like containers of flexible strip material, process of making same, process of filling same, and apparatus for accomplishing these purposes
CH348039A (de) * 1956-12-21 1960-07-31 Sig Schweiz Industrieges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euteln aus einer Bahn, welche mindestens teilweise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besteht
US3055154A (en) * 1957-11-04 1962-09-25 Lynch Corp Draw type wrapping machine
US2978853A (en) * 1959-01-23 1961-04-11 Lipton Inc Thomas J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ocket packages
US3552081A (en) * 1968-06-24 1971-01-05 Mira Pa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with a movable mandrel and movable sealing jaws
FR2102442A5 (ko) * 1970-08-04 1972-04-07 Prepac Sarl
US3785112A (en) * 1971-09-21 1974-01-15 Mira Pa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package
FR2215359B1 (ko) * 1973-01-26 1980-03-21 Doyen Leon
US4009551A (en) * 1974-04-15 1977-03-01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of web material in forming filling and sealing industrial bags
US4073121A (en) * 1975-04-28 1978-02-14 The Dow Chemical Company Form, fill and seal industrial bag machine
US4656818A (en) * 1983-04-18 1987-04-14 Orihiro Kabushiki Kaisha Packaging machine
IT1173194B (it) * 1984-02-02 1987-06-18 Padeco S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imballare articoli di qualsiasi forma in una pellicola estensibile di materiale plastico
KR890001585B1 (ko) * 1984-10-12 1989-05-09 시고꾸 가꼬오끼 가부시끼가이샤 포장용기용 튜-브 가공장치
FR2600304B1 (fr) * 1986-06-19 1990-06-22 Rovel Sarl Machine de remplissage et de fermeture des emballages pour tous liquides, en cycles et mouvements continus, a fond plat, en version aseptique
US4743337A (en) * 1986-10-03 1988-05-10 Usm Corporation Jaws for a bag former
JPH02500019A (ja) * 1987-07-31 1990-01-11 ロヴェル・エス・アー・エール・エル 特に熱シール可能な材料の連続ストリップから造られた容器を製造、充填および閉鎖するための装置
US4905452A (en) * 1987-10-16 1990-03-06 W. R. Grace & Co. Easy-open flexible pouch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A2067651C (en) * 1991-06-11 1998-04-14 Orihiro Tsuruta Vertical type forming, filling and closing machine for flexible package
FR2679168A1 (fr) * 1991-07-15 1993-01-22 Durand Jacques Machine a fabriquer des coussins d'air a partir de gaine thermoplastique.
JP2598879B2 (ja) * 1993-12-20 1997-04-09 オリヒロ株式会社 竪型充填包装機
GB2298850A (en) * 1995-03-14 1996-09-18 Gainsborough Craftsmen Limited A stand-up pack
DE19547860C2 (de) * 1995-12-21 1998-07-23 Manfred Hauers Vertikale Schlauchbeutelmaschine
JP3881059B2 (ja) * 1996-01-30 2007-02-14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シール装置
FR2745263B1 (fr) * 1996-02-27 1998-05-07 Flexico France Sarl Machine et procede de formation, remplissage et fermeture en automatique de sachets d'emballage
DE19725526A1 (de) * 1997-06-17 1998-12-24 Pack Verpackungs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Produk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4063C (en) 2001-06-05
US6145282A (en) 2000-11-14
TW386062B (en) 2000-04-01
EP0917946A3 (en) 2000-09-27
CA2254063A1 (en) 1999-05-20
US6212861B1 (en) 2001-04-10
EP0917946A2 (en) 1999-05-26
KR19990045408A (ko) 1999-06-25
DE69817886D1 (de) 2003-10-09
DE69817886T2 (de) 2004-07-15
DE69814310D1 (de) 2003-06-12
AU9234298A (en) 1999-06-17
EP1184155B1 (en) 2003-09-03
DE69814310T2 (de) 2004-02-19
AU716763B2 (en) 2000-03-09
HK1044738B (zh) 2004-04-08
EP1184155A1 (en) 2002-03-06
HK1044738A1 (en) 2002-11-01
EP0917946B1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504B1 (ko) 자립대제조용제대충전포장기
KR100421070B1 (ko) 포장대의 제조방법 및 종형제대충전기
KR0155963B1 (ko) 세로형 충전포장기
US7018099B2 (en) Contoured pouch having a zigzag shape
CA2668401C (en) Vertical filling and packing machine
KR20070006925A (ko) 종형(縱型) 충전 포장기 및 포장대(包裝袋)의 제조 방법
WO2018066029A1 (ja) 縦型製袋充填機、内容物入りフィルム包装袋の製造方法
JP2006509691A (ja) 垂れ蓋及び突出部を有し、簡単に開く袋を製造する装置
JP3224526B2 (ja) 縦型充填包装機
JPS6396003A (ja) 中空袋の製造装置
JPH11152104A (ja) 自立袋の製袋充填包装方法および自立袋製袋充填包装機
JP5760404B2 (ja) 包装袋および充填体、充填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無菌充填体の製造方法
JP6723183B2 (ja) 異厚部を有する包装用フィルムの横シール方法および該方法を利用した充填包装機
JPH11348910A (ja) 製袋充填包装機
JP3025266B1 (ja) 縦型充填包装機の横シ―ル装置
JP2001018908A (ja) 収縮包装袋、その製造方法、前記収縮包装袋製造用の充填包装機
CN117615967A (zh) 立式制袋填充包装机、装有内容物的薄膜包装袋的制造方法、装有内容物的薄膜包装袋
SU9431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аковки продуктов в полимерную пленку
JP2010111419A (ja) 包装袋、該包装袋の製造方法および製袋充填包装機
JPS5834324B2 (ja) フィルム製袋充填包装機
KR20170021035A (ko) 제대 충전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