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301B1 - 전자부품용 단자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단자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301B1
KR100280301B1 KR1019950010035A KR19950010035A KR100280301B1 KR 100280301 B1 KR100280301 B1 KR 100280301B1 KR 1019950010035 A KR1019950010035 A KR 1019950010035A KR 19950010035 A KR19950010035 A KR 19950010035A KR 100280301 B1 KR100280301 B1 KR 10028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erminal
metal plate
electrode holder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417A (ko
Inventor
야스시 이나가키
다이사쿠 구고우
구니카즈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95003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4Welding of a small piece to a great or broad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비용 및 가공비용이나 조립시간의 감소를 도모함과 더불어 기계적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부품 자동삽입기에 의한 삽입의 실패를 일으킬 우려가 없는 구성으로 된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및 그 제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은 띠형상의 금속판(1)과, 이 금속판(1)의 측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봉형상의 금속단자(2)를 구비한 것으로, 금속단자(2)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갖추고, 또 그 기단부가 금속판(1)에 대해 저항용접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의 제조장치는 금속판(1)과 금속단자(2)를 저항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으로, 금속단자(2)의 기단부 근처에 존재하는 소정 길이 부위(2a)를 그 측면방향으로부터 끼워유지하는 전극홀더(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제1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프레임의 구성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단자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단자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단자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극홀더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전극홀더의 협지면을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전극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종래예에 따른 후프 단자 프레임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종래예에 따른 테이핑 단자 프레임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이너(금속판) 2 : 금속단자
2a : 소정 길이 부위 5 : 전극홀더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리드단자 부착의 전자부품을 구성할 때에 필요로 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압전공진자 등과 같은 전자부품중에는 리드단자 부착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 있고, 이들 리드단자 부착의 전자부품은 부품 자동삽입기를 이용하여 배선기판에 대해 삽입된 리드단자가 납땜 부착됨으로써 배선기판 상에 실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단자 부착의 전자부품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리드단자로 되는 다수개의 금속단자가 병렬형상으로 설치된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이하, 단자 프레임(端子frame)으로 칭함)을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고, 이와 같은 단자 프레임으로서는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된 후프(hoop)단자 프레임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나, 제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된 테이핑(taping) 단자 프레임이라고 일컬어지는 것 등이 일반적이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후프 단자 프레임은 판 두께가 얇은 1장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함으로써 제조된 것으로, 소정 폭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인 라이너(11:후프)와, 이 라이너(11)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면서 연장되고 라이너(11)의 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다수개의 금속단자(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핑 단자 프레임은 금속판이나 두꺼운 종이 등을 이용해서 제작된 라이너(14)의 표면 상에 금속단자(15)를 병렬배치한 것으로, 단면 형상이 원형등으로 된 금속단자(15)는 점착 테이프(16) 등을 이용해서 라이너(14) 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제8도에 나타낸 후프 단자 프레임에서는 라이너(11) 및 금속단자(12)를 타발한 후에 금속판의 잔여 부분이 폐재(廢材)로 되기 때문에 재료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이 후프 단자 프레임을 이용해서 구성된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금속단자(12)의 판 두께가 얇기 때문에, 부품 자동삽입기에 의해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인 금속단자(12)를 배선기판에 삽입할 경우 삽입을 실패하거나, 배선기판의 이면측에까지 돌출한 금속단자(12)의 불필요한 선단부를 잘라내거나 구부리는 일이 실패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미리 금속단자(12)를 구부려 원통형으로 해 두는 등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추가 가공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가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제9도에 나타낸 구성으로 된 테이핑 단자 프레임에서는 부품점수 및 조립시간이 증대되고, 인장이나 이탈 등에 대한 기계적강도가 저하되어 불안정한 것으로 되거나, 점착 테이프(16) 등의 폭 치수에 대응한 길이만큼 금속단자(15)의 전체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재료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또한, 제품의 조립시에 테이핑 단자 프레임에 대해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라이너(14)나 점착 테이프(16)가 내열성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재료비용도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료비용 및 가공비용이나 조립시간의 감소를 도모함과 더불어 기계적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부품 자동삽입기에 의한 삽입의 실패를 일으킬 우려가 없는 단자 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저항용접에 의해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금속판이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면서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추며, 상기 각 연장된 금속단자가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단자 프레임 제조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금속판에 저항용접되도록 제1단부 근처의 금속단자의 부위를 끼워유지하는 전극홀더와; 이 전극홀더와 금속판에 직렬로 접속된 전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저항용접에 의해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에 있어서, 제1단부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단자의 부분에 결합되도록 채택된 전극 홀더와; 상기 금속판의 측면에 대해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기 위해 상기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금속판과 전극홀더에 직렬로 접속하도록 채택된 전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각각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대해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끼워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상기 각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자 프레임이 금속판 및 금속단자의 저항 용접에 의해 일체화 되기 때문에, 그 제조에 있어서 폐재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부품점수가 적어서 조립시간도 짧아질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금속단자의 소정 길이 부위를 끼워유지(狹持)하는 전극홀더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극홀더와 금속단자는 면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양자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프레임의 구성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의 각각은 단자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극홀더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며, 제7도는 전극홀더의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프레임은 압전공진자 등과 같은 리드단자 부착의 전자부품을 구성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으로, 종래예에 있어서 라이너와 마찬가지의 띠 형상으로 된 금속판(1:이하, 라이너로 칭함)과, 이 라이너(1)의 한쪽측의 측면(1a) 상에 나란히 병렬 배치된 리드단자로 되는 다수개의 금속단자(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도에 나타낸 단자 프레임은 판 두께가 얇은 띠형상의 라이너(1)와, 이 라이너(1)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봉형상의 금속단자(2)로 구성되어 있고, 금속단자(2)는 라이너(1)의 판 두께보다도 직경 치수 가 큰 원형단면 형상을 갖추면서 그 기단부의 단면이 금속판(1)의 측면(1a)에 대해 직접 바로 부착되어 저항용접되어 있다. 또한, 제1도중 참조부호 3은 라이너(1)를 반송하기 위한 개공(開孔)을 나타내고 있고, 이들 개공(3)은 라이너(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금속단자(2)의 각각은, 라이너(1)와는 별개인 긴 자형상의 봉재(棒材)를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제작되어 있고, 그 기단부의 단면이 라이너(1)의 측면(1a)에 대해 일체로 접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금속단자(2)로 되는 봉재의 바깥둘레면에는 땜납 등의 도금층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금속단자(2)의 기단부 단면을 라이너(1)의 측면(1a)에 대해 저항용접하는 경우에 도금층의 존재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금속단자(2)의 단면형상이 원형이 아니고 각형(角形) 등과 같은 임의의 단면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단자(2)가 굴곡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제1도에 나타낸 단자 프레임에 있어서는 금속단자(2)의 기단부의 단면을 라이너(1)의 측면(1a)에 대해 저항용접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도 내지 제4도 각각의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즉, 제2도에 나타낸 구성으로 된 단자 프레임은 기단부의 단면이 라이너(1)의 표면(1b)에 대해 저항용접 되면서 라이너(1)의 표면(1b)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굴곡된 금속단자(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단자 프레임에 있어서 라이너(1)의 측면(la)에는 이 측면(1a)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라이너(1)의 표면(1b)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굴곡된 용접용 조각(4)이 형성되어 있고, 금속단자(2)는 기단부의 단면이 용접용 조각(4)의 표면에 대해 저항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금속단자(2)에 있어서 기단부의 단면이 라이너(1)에 대해 전면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용접의 효율 향상이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단자(2)의 기단부의 측면을 라이너(1)의 표면(1b)에 저항용접함으로써 단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라이너(1)의 표면(1b)에 바로 부착되는 금속단자(2)의 길이 정도는 제9도의 경우와 비교해서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4도에 있어서는 라이너(1) 상에 놓여진 금속단자(2)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금속단자(2)의 단면형상을 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단자 프레임에 있어서 금속단자(2)의 단면형상이 원형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프레임의 제조장치를 제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제조장치는 띠형상의 라이너(1)와 봉형상의 금속단자(2)를 저항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나타낸 각종의 단자 프레임을 제조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금속단자(2)의 기단부 근처에 존재하는 소정 길이 부위(2a)를 그 측면방향으로부터 끼워유지하는 금속단자(2)용의 전극홀더(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극홀더(5)는 분리 가능한 상측전극(5a)과 하측전극(5b)에 의해 금속단자(2)의 소정 길이 부위(2a)를 끼워유지한 다음 금속단자(2)의 기단부 단면을 라이너(1)를 향해 단단히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홀더(5)를 구성하는 상측전극(5a) 및 하측전극(5b) 각각의 협지면(俠持面; 5c)에는 금속단자(2)의 소정 길이 부위(2a)가 끼워넣어지는 형상의 凹홈(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凹홈(6)의 형상은 금속 단자(2)의 굴곡부와 대응시킨 것으로 되어 있지만, 금속단자(2)가 직선형상인 경우에 있어서의 凹홈(6)은 마찬가지의 직선형상으로 된다.
한편, 이 전극홀더(5)와 라이너(1)의 사이에는 용접용 전원(7)이 직렬접속되어 있고, 이 용접용 전원(7)으로부터 전극홀더(5) 및 라이너(1)의 각각에 대해 전류가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제5도에서는 용접용 전원(7)을 라이너(1)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전극홀더(5)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 라이너(1)용의 전극홀더(도시되지 않았음)를 준비하고, 이 전극홀더에 용접용 전원(7)을 접속해 두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전극홀더(5)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일 필연성은 없고, 예컨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극홀더(8), 즉 금속단자(2)가 끼워져 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9)이 형성된 하측전극(8a)과, 이 하측전극(8a) 내에 넣어져 금속단자(2)를 끼워유지하는 상측전극(8b)으로 이루어진 전극홀더(8)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이 전극홀더(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단자프레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극홀더(5)에 의해 금속단자(2)의 소정 길이 부위(2a)를 끼워유지하고, 또 이 금속단자(2)에 대해 전류를 흘리면서 금속단자(2)의 기단부 단면을 라이너(1)의 측면(1a)이나 표면(1b) 등에 대해 압력을 가하면서 단단히 누르는 일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용접용 전원(7)으로부터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라이너(1)와 금속단자(2)의 기단부 단면의 사이에 저항열이 발생하고, 저항열에 의해 라이너(1)와 금속단자(2)가 접합됨으로써, 라이너(1)와 금속단자(2)가 저항용접으로 일체화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레임은, 임의의 단면형상을 갖는 금속단자의 기단부를 띠형상의 라이너에 저항용접하여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제조시에 폐재가 발생하거나 금속단자가 여분으로 길어지게 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고, 또한 부품점수도 적어지므로 재료비용 및 가공비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의 감소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프레임 전체의 기계적강도와 더불어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단자 그 자체의 기계적 강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부품 자동삽입기에 의한 삽입의 실패를 일으킬 우려가 없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레임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금속단자의 소정 길이 부위를 끼워유지하는 전극홀더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극홀더와 금속단자의 접촉면적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너에 대한 금속단자의 저항용접을 용이하면서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9)

  1.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용 단자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4.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저항용접에 의해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금속판이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면서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추며, 상기 각 연장된 금속단자가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단자 프레임 제조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단자에 전류를 공급하고, 금속판에 저항용접되도록 제1단부 근처의 금속단자의 부위를 끼워유지하는 전극홀더와; 이 전극홀더와 금속판에 직렬로 접속된 전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그 사이에 각 금속단자를 끼워유지하는 각 협지면을 포함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의 협지면은 끼워유지하도록 상기 금속단자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이 전극홀더에 의해 끼워유지되는 상기 금속단자의 소정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부분과, 상기 금속단자를 통하게 하는 개구 및,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기 금속단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가능한 보조부분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은 실질적으로 병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굴곡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1.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추며, 상기 각 제1면과 제2면 및 측면이 제1면 영역, 제2면 영역, 측면 영역을 갖추고, 상기 측면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면 영역보다 더 작은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은 실질적으로 병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굴곡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16.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그 제1단부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연장된 금속 단자를 저항용접에 의해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에 있어서, 제1단부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단자의 부분에 결합되도록 채택된 전극 홀더와; 상기 금속판의 측면에 대해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기 위해 상기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금속판과 전극홀더에 직렬로 접속하도록 채택된 전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2개의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 사이에 금속단자를 끼워유지하기 위한 협지면을 갖추며, 이동가능 부분의 협지면은 상기 금속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금속단자의 굴곡부와 실질적으로 매치되기 위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가 상기 제1부분을 벗어나 연장되도록 상기 금속단자를 미끄러지게 수용하기 위해 제1축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는 개구를 갖추며, 상기 제2부분은, 협지면을 갖춘 일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단이 상기 금속 단자와 맞물리도록 개구내에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주면과, 각 엣지에서 제1 및 제2주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춘 금속판과,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면서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각각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연장된 금속 단자를 금속판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끼워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상기 각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각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는 단계가, 제1단부 근처의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전극홀더를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홀더와 금속판을 직렬로 전원에 연결하고, 상기 금속판의 측면에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를 저항용접하기 위해 상기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2개의 이동가능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 사이에 금속단자를 끼워유지하기 위한 협지면을 갖추며, 이동가능 부분의 협지면은 상기 금속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금속단자의 굴곡부와 실질적으로 매치되기 위한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는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금속단자의 제1단부가 상기 제1부분을 벗어나 연장되도록 상기 금속단자를 미끄러지게 수용하기 위해 제1축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는 개구를 갖추며, 상기 제2부분은, 협지면을 갖춘 일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단이 상기 금속단자와 맞물리도록 개구내에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단자와 금속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방법.
  25.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평면부를 갖추고, 이 평면부가 공간지워져 떨어진 제1 및 제2면과, 각 엣지에서 상기 제1 및 제2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갖추며, 측면이 제1 및 제2면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거리를 정의하는 금속판과;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갖추고, 각 금속단자의 제1단부가 제1단부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2거리를 갖추며, 제1단부가 금속판의 평면부의 측면에 저항용접되고, 그 단면이 절단되어 있는 다수의 연장된 금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단자의 제2거리가 상기 금속판의 제1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실질적으로 병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중 적어도 하나는 탄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단자 프레임.
KR1019950010035A 1994-04-27 1995-04-27 전자부품용 단자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KR100280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089730A JP3132287B2 (ja) 1994-04-27 1994-04-27 電子部品用端子連及びその製造装置
JP94-89730 199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417A KR950030417A (ko) 1995-11-24
KR100280301B1 true KR100280301B1 (ko) 2001-02-01

Family

ID=1397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035A KR100280301B1 (ko) 1994-04-27 1995-04-27 전자부품용 단자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9400A (ko)
JP (1) JP3132287B2 (ko)
KR (1) KR100280301B1 (ko)
CN (1) CN1055606C (ko)
MY (1) MY114270A (ko)
TW (1) TW2741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260B2 (ja) 1999-11-12 2005-07-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ード付き電子部品
JP4187066B2 (ja) 2003-01-27 2008-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抵抗溶接方法、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01471525B (zh) * 2007-12-29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端子料带及其制造方法
US9908197B2 (en) 2013-03-15 2018-03-06 Automated Industrial Machinery, Inc. Wire butt welder with adjustable alignment
TWI501710B (zh) * 2013-03-19 2015-09-21 Usun Technology Co Ltd Terminal bend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7864C (ko) * 1912-06-04
FR1492275A (fr) * 1966-07-07 1967-08-18 Radiotechnique Coprim Rtc Procédé permettant de relier un microcircuit à des dispositifs électriques extérieurs
US3751624A (en) * 1972-06-29 1973-08-07 Ibm Butt brazing apparatus and method
US3912900A (en) * 1972-08-29 1975-10-14 California Inst Of Techn Method for feeding wire for welding
JPS57121886A (en) * 1981-01-23 1982-07-29 Toshiba Corp Method and device for welding of very thin wire
US4465913A (en) * 1981-10-06 1984-08-14 Augat Inc. Parallel gap welder
JPS6316632A (ja) * 1986-07-09 1988-01-23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836110B2 (ja) * 1989-08-16 1998-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抵抗器のリード線溶接方法
JP3074808B2 (ja) * 1991-06-29 2000-08-07 スズキ株式会社 エバポシステム
JPH05326341A (ja) * 1992-05-20 1993-12-10 Nec Toyama Ltd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645409A (ja) * 1992-07-22 1994-02-18 Rohm Co Ltd ワイヤーボン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2287B2 (ja) 2001-02-05
CN1120800A (zh) 1996-04-17
TW274172B (ko) 1996-04-11
US5859400A (en) 1999-01-12
CN1055606C (zh) 2000-08-16
MY114270A (en) 2002-09-30
KR950030417A (ko) 1995-11-24
JPH07291344A (ja) 1995-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850B1 (ko) 플랫케이블과단자의접속구조
KR100280301B1 (ko) 전자부품용 단자프레임과 그 제조장치, 접합장치와 그 접합방법
US11742279B2 (en) Semiconductor device
JPH0151064B2 (ko)
JPH10199580A (ja) 超音波接続用端子及び超音波接続構造
JP2002015953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43693A (ko)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JPS60257119A (ja) ヒユ−ズ入り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57790A (ja) ターミナルと電線の接続構造
JP3549654B2 (ja) チップ型電子部品
JP3549653B2 (ja) チップ型電子部品
US8054647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busbar
CN213207363U (zh) 一种led灯带
JP4729211B2 (ja) 表面実装用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5642B2 (ja) レーザ装置
JP2001148440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11260431A (ja) 接続端子
JP4229222B2 (ja) テーピング接続端子
US20040201325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530273Y2 (ja) リードフレーム
KR100286694B1 (ko) 수정진동자
JP3565990B2 (ja) 電子部品
JPH0613793A (ja) 電子部品連とその製造方法
JP3563197B2 (ja) 電子部品
JP3004728U (ja) チェーンリード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901

Effective date: 200007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