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693A -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693A
KR20210043693A KR1020217008695A KR20217008695A KR20210043693A KR 20210043693 A KR20210043693 A KR 20210043693A KR 1020217008695 A KR1020217008695 A KR 1020217008695A KR 20217008695 A KR20217008695 A KR 20217008695A KR 20210043693 A KR20210043693 A KR 2021004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ir
fitting
cabl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368B1 (ko
Inventor
츠요시 미야타
히로유키 미즈사키
야스요시 사와다
요시키 다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needles or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01R4/245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forming a slotted b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bent configuration, e.g. slotted b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한다. 센서(1)는, 회로 기판(2)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회로 기판(2)에 고정된 커넥터(10)와, 커넥터(1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2)에 접속된 케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는, 회로 기판(2)에 접속된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3)은,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 사이의 공간(S)에 끼움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센서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센서의 회로 기판에는, 회로 기판에 실장된 센서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의 신호를 전송하는 소선(素線)이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8-152266호 공보
센서가 소형화되는 반면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수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소선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실장 공간에서 인접하는 소선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그러나, 소선은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실장되기 때문에, 소선의 간격을 너무 좁게 하면, 인접한 소선에 땜납이 흘러 단락(短絡)되거나, 인접한 소선에 고온의 납땜인두가 접촉하여 손상을 주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납땜의 품질이나 작업 시간은 작업자에 따라 좌우되기 쉽고, 외관이나 접속 신뢰성 등의 상태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소선의 실장 공간이 고밀도화됨에 따라, 회로 기판에 케이블을 납땜하는 작업이 곤란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센서는, 회로 기판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된 커넥터와, 커넥터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에 접속된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접속된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은, 한 쌍의 끼움지지편 사이의 공간에 끼움지지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납땜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소선을 고밀도로 실장하여 센서를 소형화할 수 있다. 작업자에 따라 상태가 불균일하기 쉬운 납땜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균일화시킬 수 있다. 숙련공이 아니어도 조립 가능해지고, 게다가 작업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끼움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끼움지지부는,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복수 개소에서 끼움지지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끼움지지부에서 케이블이 벗어나도 다른 끼움지지부에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케이블이 잡아당겨졌을 때의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확실히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끼움지지편은, 그들의 중간 위치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대칭성을 가진 간소한 형상이기 때문에, 미소한 커넥터라도 과도하게 복잡한 프레스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커넥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절곡한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박은, 제1면과, 이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과, 제1면 및 제2면을 연결하는 단면(端面)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끼움지지편은, 단면에서 케이블을 끼움지지하고 있어도 된다.
만약 절곡한 금속박의 제1면이나 제2면에서 케이블을 끼움지지하면,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금속박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케이블을 확실히 고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변형되기 어려운 금속박의 단면에서 끼움지지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모든 접은 자국이 케이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도록 복수회 절곡된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접은 자국이 모두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미소한 커넥터라도 과도하게 복잡한 프레스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커넥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바닥부는, 제2면이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끼움지지편은, 케이블을 끼움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과, 제1 끼움지지편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끼움지지편의 제2면과 제2 끼움지지편의 제2면이 대향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제1 끼움지지편과 제2 끼움지지편과 복수 개소에서 끼움지지하기 때문에, 케이블이 잡아당겨졌을 때의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확실히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끼움지지편 및 제2 끼움지지편이 케이블의 다른 부재를 각각 끼움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지지편이 케이블의 심선을 끼움지지하고, 제2 끼움지지편이 케이블의 내피를 끼움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은, 심선을 끼움지지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바닥부를 향하여 밀어넣는 것만으로,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심선은 내피로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내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제1 끼움지지편은, 이 제1 끼움지지편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는 삽입안내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입안내부에 의해 안내시켜 케이블을 간단히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삽입안내부에서의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단면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입안내부의 단면에 형성된 압접날(壓接刃)에 의해 내피를 절단하여, 커넥터와 심선을 도통(導通;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 및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은, 모두 내피를 끼움지지해도 된다. 바닥부, 제1 끼움지지편 및 제2 끼움지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내피를 관통하여 심선에 도통하는 압접날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내피를 절단하여 심선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압접날이 케이블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끼움지지편은, 바닥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는 턱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턱부는,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가장 좁은 부위에 있어서 내피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턱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제1 끼움지지편 및 제2 끼움지지편이 압접날을 각각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커넥터가 조여진 상태로 복수의 압접날이 내피를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내피를 절단하여 심선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복수 개소에서 압접날이 심선에 도통하기 때문에, 완성품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커넥터가 조여져 불가역적으로 변형되어 있고, 나아가 압접날이 케이블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블이 고정되지 않고,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커넥터가 조여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끼움지지편에 케이블이 끼움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조여질 때까지 케이블을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케이블을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사이에 놓아두기 쉬워진다. 커넥터가 조여지면, 커넥터가 불가역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센서의 제조 방법은,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을 가진 커넥터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제2 공정과, 케이블을 바닥부를 향하여 밀어넣어 한 쌍의 끼움지지편 사이의 공간에 케이블을 끼움지지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납땜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납땜, 용접 및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착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방법으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미리 제조해 둔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다.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커넥터는, 바닥부에 마련된 압접날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공정에 있어서, 압접날이 내피를 관통하여 심선에 도통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내피를 절단하여 심선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압접날이 케이블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끼움지지편에 마련된 압접날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공정 후,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커넥터를 조이는 제4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4 공정에 있어서, 압접날이 내피를 관통하여 심선에 도통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내피를 절단하여 심선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서의 제조성이 우수하다. 커넥터가 조여져 불가역적으로 변형되어 있고, 나아가 압접날이 케이블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심선을 땜납층으로 피복하는 제5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3 공정 후, 한 쌍의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커넥터를 조이는 제4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4 공정에 있어서, 끼움지지편이 땜납층을 관통하여 심선에 도통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끼움지지편이 직접 심선에 도통하기 때문에, 완성품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커넥터가 조여져 불가역적으로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센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이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넥터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을 선단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커넥터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이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b에 도시된 커넥터 및 소선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이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이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커넥터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소선을 실장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의 대비를 위해 나타내는 종래예의 센서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종래예에서의 소선을 실장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센서(1)는, 금속박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10)를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커넥터(10)는,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을 가지고 있다(도 2, 도 9, 도 13 및 도 16 참조).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 사이의 공간(S)에 소선(4)을 밀어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도 6a 참조), 케이블(3)을 회로 기판(2)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다(도 7 참조). 소선(4)의 심선(6)은, 내피(7)로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도 6b 참조), 내피(7)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도 8 참조). 소선(4)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10)를 조여도 된다(도 15b 및 도 18 참조). 이하, 도 1부터 도 21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각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센서(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는, 센서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2)과, 회로 기판(2)에 실장된 복수의 커넥터(10)와, 커넥터(1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2)에 접속되어 센서 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3)은, 각각의 커넥터(10)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소선(4)과, 복수의 소선(4)을 묶는 외피(5)를 가지고 있다. 소선(4)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6)과, 이 심선(6)을 피복하는 내피(7)를 가지고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2)에 고정되는 바닥부(11)와, 소선(4)을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부(12)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2)을 수평면에 놓아두었을 때, 커넥터(10)의 끼움지지부(12)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끼움지지부(12)는,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 사이의 공간(S)에 케이블(3)의 소선(4)을 끼움지지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넥터(10)는, 바닥부(11)를 사이에 두고 소선(4)의 연장 방향(X)으로 나열된 2세트의 끼움지지부(12)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소선(4)의 연장 방향(X) 및 회로 기판(2)의 두께 방향(Z)에 직교하는 방향(Y)에서 본 커넥터(10)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예를 들어, 1장의 금속박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11)와 끼움지지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를 구성하는 금속박은, 제1면(10A)과, 제1면(10A)과는 반대측의 제2면(10B)과, 제1 및 제2면(10A, 10B)을 연결하는 단면(10C)을 가지고 있다. 또, 커넥터(10)는, 절곡한 금속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로부터 돌출된 끼움지지부(12)를 가진 블록에 도전성 재료를 도금하여 형성해도 된다.
끼움지지부(12)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과,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은, 바닥부(11)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판(13)에 연속되어 있다. 바닥판(13)에 있어서, 금속박의 제2면(10B)은, 예를 들어, 납땜, 용접 및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착 등의 고정 방법에 의해, 회로 기판(2)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은,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 연속되어 있다.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바닥부(11)의 잔여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부(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2)에 고정되어 있지만, 반드시 회로 기판(2)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2 끼움지지편(15L(15R))의 단부가 회로 기판(2)에 고정되어 있으면, 끼움지지부(12L(12R))가 아치 형상이 되어, 케이블(3)을 커넥터(10)에 밀어넣는 힘이 작용해도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서의 금속박의 제2면(10B)과, 제2 끼움지지편(15L, 15R)에서의 금속박의 제2면(10B)은, 서로 대향되어 있다.
도 4는, 회로 기판(2)의 두께 방향(Z)에서 본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3)과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접은 자국(F1, F4)이나, 제1 끼움지지편(14L, 14R)과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접은 자국(F2, F3)은, 모두 전술한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커넥터(10)의 금속박을 전개하면 대략 직사각형이 되고, 네 변이 소선(4)의 연장 방향(X), 금속박의 접은 자국 방향(Y)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도 5는, 연장 방향(X)에 있어서 소선(4)의 선단측에서 본 커넥터(10)의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이 그 중간 위치(예를 들어, 끼움지지된 소선(4)의 중심)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이 그 중간 위치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은, 간격(D1)을 두고 서로 대향되어 있다.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는, 바닥부(11)와는 반대측의 단부 즉 제2 끼움지지편(15L, 15R) 측의 단부에 있어서, 바닥부(11)에 가까워짐에 따라 간격(D1)이 좁아지는 삽입안내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안내부(16)에 있어서, 금속박의 단면(10C)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내피(7)를 절단하는 압접날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은, 간격(D2)을 두고 서로 대향되어 있다. 제2 끼움지지편(15L, 15R)에는, 바닥부(11)와는 반대측의 단부 즉 제1 끼움지지편(14L, 14R) 측의 단부에 있어서, 바닥부(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D2)이 좁아지는 턱부(17)가 마련되어 있다. 턱부(17)는, 간격(D2)이 가장 좁은 부위에서 심선(6)을 피복하는 내피(7)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바닥부(11) 측의 단부(이하, 하단부라고 부름)가 연속되지 않고 각각 독립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제3 실시형태나 제4 실시형태와 같이,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하단부가 연속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하단부가 연속되어 있는 경우,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이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커넥터(10)의 강도가 향상된다. 커넥터(10)와 회로 기판(2)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양자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하단부가 연속되지 않는 경우,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을 스프링처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내피(7)의 두께가 큰 소선(4)이라도 그들 사이의 공간(S2)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하단부의 사이에 회로 기판(2)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소선(4)을 회로 기판(2)에 가까이하여 케이블(3)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하단부는, 바닥부(11) 측을 향함에 따라 간격(D2)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로 기판(2)에 고정되었을 때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회로 기판(2)에 가까워짐에 따라 아래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상방으로부터 바닥부(11)를 향하여 소선(4)을 밀어넣으면, 소선(4)이 삽입안내부(16)에 의해 안내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선(4)을 더욱 밀어넣으면, 삽입안내부(16)의 단면(10C)에서 내피(7)가 절단되어, 끼움지지부(1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 사이의 공간(S1)에 심선(6)이 끼움지지된다. 공간(S1)은, 전술한 끼움지지부(12) 내의 공간(S)의 일례이다. 커넥터(10)는, 금속박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바닥부(11)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바닥판(13))가 회로 기판(2)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끼움지지부(12)에 끼움지지된 상태의 소선(4)은, 커넥터(1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2)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소선(4)이 회로 기판(2)에 실장되어 있다.
도 7은, 커넥터(10)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4)을 그 선단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은, 삽입안내부(16)보다 바닥부(11) 측의 부위에 있어서, 심선(6)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이 심선(6)에 파고들어가, 심선(6)과 도통하고 또한 심선(6)을 회로 기판(2)에 고정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간격(D1)이 심선(6)의 직경의 70%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움지지편(14L, 14R) 및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간격(D1, D2) 중 적어도 한쪽은, 삽입안내부(16)보다 바닥부(11) 측의 부위에 있어서, 심선(6)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는, 내피(7)의 유무에 관계없이 끼움지지부(12)에서 소선(4)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선(4)은, 내피(7)가 절제되어 심선(6)이 노출된 상태여도 되고, 내피(7)로부터 노출된 심선(6)이 땜납층으로 피복된 상태여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은 심선(6)과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다. 또, 소선(4)을 연장 방향(X)으로 이동시키고,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 사이의 공간(S2)에 내피(7)를 끼움지지시켜도 된다(도 8 중에 가상선으로 나타냄).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센서(1)는, 케이블(3)의 소선(4)을 회로 기판(2)에 실장하는 공정에 있어서 납땜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3)을 회로 기판(2)에 간단히 실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과의 대비를 위해 나타내는 종래예의 센서의 도면이다. 종래예의 센서에서는, 회로 기판(2)에 소선(4)을 직접 납땜하였다. 소선(4)의 간격을 너무 좁게 하면, 인접한 소선(4)에 땜납이 흘러 단락되거나, 인접한 소선(4)에 납땜인두가 접촉하여 손상을 주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납땜의 품질이나 작업 시간은 작업자에 따라 좌우되기 쉽고, 외관이나 접속 신뢰성 등의 상태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센서(1)에서는, 작업자에 따라 상태가 불균일하기 쉬운 납땜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균일화시킬 수 있다. 숙련공이 아니어도 조립 가능해지고, 게다가 작업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납땜만큼 넓은 실장 공간을 회로 기판(2) 상에 구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선(4)을 고밀도로 실장하여 센서(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절곡한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은, 단면(10C)으로 심선(6)을 끼움지지하고 있다. 만약 절곡한 금속박의 제1면(10A)이나 제2면(10B)에서 소선(4)을 끼움지지하면,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금속박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소선(4)을 확실히 고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변형되기 어려운 금속박의 단면(10C)으로 끼움지지하기 때문에, 소선(4)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끼움지지부(12)가 소선(4)의 연장 방향(X)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다. 소선(4)을 복수 개소에서 끼움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히 소선(4)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이 그 중간 위치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이 그 중간 위치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는, 대칭성을 가진 간소한 형상이기 때문에, 미소해도 과도하게 복잡한 프레스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커넥터(10)는, 모든 접은 자국(F1, F2, F3, F4)이 소선(4)의 연장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복수회 절곡된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은 자국(F1, F2, F3, F4)이 모두 평행하기 때문에, 미소해도 과도하게 복잡한 프레스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제1 끼움지지편(14L, 14R) 각각은, 이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바닥부(11)를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이 좁아지는 삽입안내부(1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선(4)을 간단히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삽입안내부(16)에 있어서, 금속박의 단면(10C)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선(4)을 커넥터(10)에 밀어넣을 때에, 삽입안내부(16)의 단면(10C)에서 내피(7)가 절단되기 때문에, 심선(6)과 끼움지지부(12)를 도통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내피(7)에 피복된 상태의 소선(4)을 커넥터(10)에 밀어넣을 수 있다.
제2 끼움지지편(15L, 15R) 각각은, 바닥부(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간격(D2)이 좁아지는 턱부(17)를 가지고 있다. 턱부(17)는, 간격(D2)이 가장 좁은 부위에 있어서 내피(7)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 사이의 공간(S2)에 소선(4)의 내피(7)를 끼움지지하도록 배치하였을 때, 커넥터(10)로부터 소선(4)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대응하는 제1 실시형태의 기재를 참작하기로 하고,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것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압접날(21)을 가지고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시한 예에서는, 압접날(21)이 바닥판(13)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도 10은, 커넥터(10)를 소선(4)의 연장 방향(X)에 있어서 선단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을 수평면에 놓아두었을 때, 압접날(21)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 삽입안내부(16) 대신에 턱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커넥터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소선(4)이 밀어넣어지면, 내피(7)가 압접날(21)로 절단된다. 소선(4)이 커넥터(10)에 실장된 상태에 있어서, 압접날(21)은, 내피(7)를 관통하여 심선(6)에 도통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센서(1)에 의하면, 내피(7)를 관통하여 심선(6)에 도통하는 압접날(2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피(7)로 피복된 상태의 소선(4)을 커넥터(10)에 밀어넣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커넥터(10)가 조여지지 않은 도 14a 내지 도 15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소선(4)이 고정되지 않고, 커넥터(10)가 조여진 도 15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에 소선(4)이 끼움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0)에 삽입안내부(16) 및 턱부(17) 모두 마련되지 않았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은, 바닥부(11) 측의 단부로부터 바닥부(1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걸쳐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간격(D2)은, 바닥부(11) 측의 단부의 근방으로부터 바닥부(1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걸쳐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에서의 바닥부(11) 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움지지편(14L, 14R, 15L, 15R)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소선(4)을 끼움지지하는 단면(10C)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접날로서 기능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서의 금속박의 단면(10C)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b에 도시된 커넥터(10) 및 소선(4)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커넥터(10)를 조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은, 심선(6)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좁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소선(4)을 커넥터(10)에 고정하는 경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이 좁아지도록 커넥터(10)를 조여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에 심선(6)을 끼움지지시킨다. 또,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단면(10C)을 쐐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에 심선(6)을 끼움지지시킬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센서(1)에 의하면, 커넥터(10)가 조여지지 않은 도 14a 내지 15a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소선(4)을 자유롭게 움직여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끼움지지부(12)의 마찰 저항이나 복원력에 저항하여 커넥터(10)에 소선(4)을 밀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커넥터(10)가 조여진 도 15b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불가역적으로 변형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이 심선(6)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소선(4)이 커넥터(10)에 확실히 끼움지지된다. 단면(10C)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이 내피(7)를 관통하여 심선(6)에 도통하고 있다. 또, 선단부에서의 내피(7)를 미리 절제한 소선(4)을 사용하는 경우(도 8 참조), 단면(10C)에 형성된 압접날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는, 끼움지지편(12L, 12R)에 마련된 압접날(41, 42)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10)가 조여지지 않은 도 17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소선(4)이 고정되지 않고, 커넥터(10)가 조여진 도 17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소선(4)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끼움지지편(14L)에 압접날(41)이 마련되고, 제2 끼움지지편(15R)에 압접날(42)이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제1 끼움지지편(14L)에 마련된 압접날(41)은, 다른 쪽의 제1 끼움지지편(14R)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제2 끼움지지편(15R)에 마련된 압접날(42)은, 한쪽의 제2 끼움지지편(15L)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 끼움지지부(12)에 마련된 압접날은, 압접날(41, 42) 중 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압접날(41)은, 다른 쪽의 제1 끼움지지편(14R)에 마련되어도 되고, 제1 끼움지지편(14L, 14R) 양쪽에 마련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압접날(42)은, 한쪽의 제2 끼움지지편(15L)에 마련되어도 되고, 제2 끼움지지편(15L, 15R) 양쪽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0)에 삽입안내부(16) 및 턱부(17) 모두 마련되지 않았다.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14L, 14R)의 간격(D1)은, 회로 기판(2)의 두께 방향(Z)에 있어서, 대체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15L, 15R)의 간격(D2)은, 회로 기판(2)의 두께 방향(Z)에 있어서, 대체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의 간격(D1, D2)은, 내피(7)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소선(4)을 커넥터(10)에 고정하는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의 간격(D1, D2)이 좁아지도록 커넥터(10)를 조여 끼움지지부(12)에 소선(4)을 끼움지지시킨다.
도 18은, 커넥터(10)에 실장된 상태의 소선(4)을 일부 투과하여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조여진 상태에 있어서, 압접날(41, 42)은, 내피(7)를 관통하여 심선(6)에 도통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센서(1)에 의하면, 불가역적으로 변형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의 압접날(41, 42)이 소선(4)에 파고들어가 있기 때문에, 소선(4)이 커넥터(10)에 확실히 끼움지지된다. 내피(7)를 관통하여 심선(6)에 도통하는 압접날(2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선(4)의 선단부에 있어서, 내피(7)를 절제하여 심선(6)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고, 심선(6)을 땜납층으로 피복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본 발명의 센서(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3)을 실장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센서(1)의 제조 방법은, 참조 부호 101로 나타내는 제1 공정에 있어서, 금속박 등의 도전성 재료로 커넥터(10)를 형성한다. 참조 부호 201로 나타내는 제2 공정에 있어서, 땜납 인쇄기, 부품 탑재기, 리플로우 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센서 소자 등의 전자 부품과, 커넥터(10)를, 회로 기판(2)에 실장한다.
참조 부호 202로 나타내는 제3 공정에 있어서, 소선(4)을 커넥터(10)에 밀어넣어 끼움지지부(12)에 소선(4)을 끼움지지시킨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센서(1)의 경우, 이 시점에서 소선(4)이 커넥터(1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2)에 실장된다. 제3 및 제4 실시형태의 센서(1)의 경우, 참조 부호 203으로 나타내는 제4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10)를 조여 소선(4)을 완전히 고정하면, 소선(4)이 커넥터(1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2)에 실장된다.
도 21은, 종래예에 있어서, 케이블(3)을 실장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센서의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참조 부호 204로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로 기판(2)에 소선(4)을 납땜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초소형 센서(1)에 있어서, 회로 기판(2)의 협소한 실장 공간에 소선(4)을 납땜하는 것은 작업자의 부담이 크다. 본 발명의 센서(1)의 제조 방법이면, 부담이 무거운 공정 204를 부담이 가벼운 공정 202, 203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참조 부호 301로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스트리퍼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소선(4)의 선단부의 내피(7)를 절제하였다. 참조 부호 302로 나타내는 제5 공정에 있어서, 도선이 퍼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수동으로 심선(6)을 땜납층으로 피복하였다. 본 발명의 센서(1)의 제조 방법이면, 이러한 수작업 공정도 생략할 수 있다. 또, 내피(7)를 관통하는 압접날은, 커넥터(10)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생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예를 들어, 공정 301, 302에 의해 소선(4)의 선단부의 내피(7)를 절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크기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들을 부분적으로 치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1]
회로 기판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로 기판(2)에 고정된 커넥터(10)와,
상기 커넥터(10)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 기판(2)에 접속된 케이블(3)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회로 기판(2)에 접속된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을 가지며,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 사이의 공간(S)에 케이블(3)이 끼움지지되어 있는, 센서(1).
[부기 2]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12L, 12R)을 가진 커넥터(10)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제1 공정(101)과,
회로 기판(2)에 상기 커넥터(10)를 접속하는 제2 공정(201)과,
케이블(3)을 상기 바닥부(11)를 향하여 밀어넣어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12L, 12R) 사이의 공간(S)에 상기 케이블(3)을 끼움지지시키는 제3 공정(202)을 포함하는, 센서(1)의 제조 방법.
1…전자 기기, 2…회로 기판, 3…케이블, 4…소선, 5…외피, 6…심선, 7…내피, 10…커넥터, 10A…제1면, 10B…제2면, 10C…단면, 11…바닥부, 12…끼움지지부, 12L, 12R…끼움지지편, 13…바닥판, 14L, 14R…제1 끼움지지편, 15L, 15R…제2 끼움지지편, 16…삽입안내부, 17…턱부, 21, 41, 42…압접날, 101…제1 공정, 201…제2 공정, 202…제3 공정, 203…제4 공정, 301, 302…그 밖의 공정, D1, D2…간격, F1, F2, F3, F4…접은 자국, S, S1, S2…공간, X…소선의 연장 방향, Y…접은 자국에 평행한 방향, Z…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

Claims (16)

  1. 회로 기판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된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된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 사이의 공간에 상기 케이블이 끼움지지되어 있는,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끼움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는, 센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은,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의 중간 위치에서 보아 경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절곡한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박은, 제1면과, 이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과,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단면(端面)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은, 상기 단면에서 상기 케이블을 끼움지지하고 있는, 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모든 접은 자국이 상기 케이블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도록 복수회 절곡된 상기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2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은, 상기 케이블을 끼움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끼움지지편과, 이 제1 끼움지지편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제2 끼움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의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 끼움지지편의 상기 제2면이 대향되어 있는, 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素線)과, 복수의 상기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은, 상기 심선을 끼움지지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끼움지지편은, 상기 내피를 끼움지지하는, 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은, 이 제1 끼움지지편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는 삽입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센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에서의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의 상기 단면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상기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제1 끼움지지편 및 한 쌍의 상기 제2 끼움지지편은, 모두 상기 내피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바닥부, 상기 제1 끼움지지편 및 상기 제2 끼움지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심선에 도통하는 압접날(壓接刃)을 가지고 있는, 센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편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는 턱부를 더 가지며,
    상기 턱부는,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가장 좁은 부위에서 상기 내피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센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지지편 및 상기 제2 끼움지지편이 상기 압접날을 각각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제1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커넥터가 조여진 상태로 복수의 상기 압접날이 상기 내피를 관통하고 있는, 센서.
  13.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끼움지지편을 가진 커넥터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제1 공정과,
    회로 기판에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제2 공정과,
    케이블을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밀어넣어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 사이의 공간에 상기 케이블을 끼움지지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납땜, 용접 및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착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방법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상기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닥부에 마련된 압접날을 더 가지며,
    상기 제3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접날이 상기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심선에 도통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소선과, 복수의 상기 소선을 묶는 외피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소선은, 복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 심선과, 이 심선을 피복하는 내피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움지지편에 마련된 압접날을 더 가지며,
    상기 제3 공정 후, 한 쌍의 상기 끼움지지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커넥터를 조이는 제4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접날이 상기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심선에 도통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217008695A 2018-11-30 2019-10-24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573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5792A JP7044043B2 (ja) 2018-11-30 2018-11-30 センサ
JPJP-P-2018-225792 2018-11-30
PCT/JP2019/041592 WO2020110526A1 (ja) 2018-11-30 2019-10-24 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693A true KR20210043693A (ko) 2021-04-21
KR102573368B1 KR102573368B1 (ko) 2023-09-01

Family

ID=708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695A KR102573368B1 (ko) 2018-11-30 2019-10-24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1119B2 (ko)
EP (1) EP3890117A4 (ko)
JP (1) JP7044043B2 (ko)
KR (1) KR102573368B1 (ko)
CN (1) CN112655116B (ko)
WO (1) WO2020110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38A (ko) * 2021-06-04 2022-12-14 주식회사 남전사 비접촉 전류 계측 ic 및 고정 지지대를 이용한 스마트 미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8592B2 (ja) 2021-03-23 2024-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085U (ko) * 1976-08-05 1978-02-24
FR2852744A1 (fr) * 2003-03-21 2004-09-24 Cotterlaz Jean Sas Connecteur autodenudant pour circuit a composants montes en surface.
US20160072200A1 (en) * 2013-04-18 2016-03-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JP2018152266A (ja) 2017-03-14 2018-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近接センサ
KR101905678B1 (ko) * 2018-05-03 2018-10-11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DTHi(디티하이)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ICT기반 화재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4114A (en) * 1972-08-10 1974-12-10 J Kloth Notched plate clasp apparatus
US3937549A (en) * 1974-06-18 1976-02-10 Amp Incorporated Strimp
US4363529A (en) * 1980-07-25 1982-12-14 Amp Incorporated Terminal having improved mounting means
US4370009A (en) * 1980-07-25 1983-01-25 Amp Incorporated Slotted plate terminal renewable as spade terminal
US4350404A (en) * 1980-09-24 1982-09-2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JPH08329995A (ja) 1995-05-31 1996-12-13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端子
US6722007B2 (en) 2002-01-24 2004-04-20 Chia Hsien Lin Electric cord connector kit
JP2011029125A (ja) * 2009-07-29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TWI684307B (zh) * 2013-07-30 2020-02-01 新加坡商安姆芬諾爾富加宜(亞洲)私人有限公司 絕緣位移連接器
EP3266069B1 (en) * 2015-03-03 2021-12-29 Amphenol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085U (ko) * 1976-08-05 1978-02-24
FR2852744A1 (fr) * 2003-03-21 2004-09-24 Cotterlaz Jean Sas Connecteur autodenudant pour circuit a composants montes en surface.
US20160072200A1 (en) * 2013-04-18 2016-03-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JP2018152266A (ja) 2017-03-14 2018-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近接センサ
KR101905678B1 (ko) * 2018-05-03 2018-10-11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DTHi(디티하이)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ICT기반 화재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38A (ko) * 2021-06-04 2022-12-14 주식회사 남전사 비접촉 전류 계측 ic 및 고정 지지대를 이용한 스마트 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4043B2 (ja) 2022-03-30
CN112655116B (zh) 2022-12-27
KR102573368B1 (ko) 2023-09-01
JP2020087885A (ja) 2020-06-04
WO2020110526A1 (ja) 2020-06-04
EP3890117A1 (en) 2021-10-06
EP3890117A4 (en) 2022-08-03
CN112655116A (zh) 2021-04-13
US11831119B2 (en) 2023-11-28
US20210359430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318B1 (ko) 전기 도전체를 접촉시키기 위한 터미널
EP0527472B2 (en) Structure for welding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to each other using laser light beam
JP5292582B2 (ja) スプリング端子、構造体、及び、スプリング端子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4918424B2 (ja) シールドボックス
US10418728B2 (en) Connector
JP2008098034A (ja) 極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方法
KR20210043693A (ko) 센서 및 센서의 제조 방법
WO2009081508A1 (ja) 押付け部材を使用した端子板回路
JP2014022111A (ja) ワイヤ接続器
JP2013149426A (ja) フラット回路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13516028A (ja) 接触状態においてケーブル導体を受け入れる装置
CN109075459B (zh) 带端子的电线及端子
TW201448380A (zh) 纜線連接方法
JP2018010747A (ja) 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7351100B2 (en) Electric connector
CN110690607A (zh) 连接器
JP2009076224A (ja) 電線とプリント基板との接続構造
WO2014200069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7321449B2 (ja) 万力型アース具
JP2008084799A (ja) コネクタ
JP6282818B2 (ja) 圧接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圧接コネクタ
WO2020090385A1 (ja) 実装部品の取付け構造
JP2005294241A (ja) バスバーと導電部材との接続方法及びバスバー
JP6097633B2 (ja) コネクタ
JP2015103410A (ja) 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