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895B1 -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895B1
KR100267895B1 KR1019930018560A KR930018560A KR100267895B1 KR 100267895 B1 KR100267895 B1 KR 100267895B1 KR 1019930018560 A KR1019930018560 A KR 1019930018560A KR 930018560 A KR930018560 A KR 930018560A KR 100267895 B1 KR100267895 B1 KR 10026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olymer
propylene polymer
foamed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098A (ko
Inventor
쥐세프레스카
다니엘로마니니
안니발베졸리
Original Assignee
케빈 이. 왈쉬
히몬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3639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678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케빈 이. 왈쉬, 히몬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빈 이. 왈쉬
Publication of KR94000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2Forming foamed products by sinter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1/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1/919Sinte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5 ~ 40 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예비 발포 비드를 소결에 의한 열성형으로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이 제조된다.

Description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프로필렌 중합체의 발포 비드의 제조방법 뿐만 아니라 이와같이 수득한 발포 비드 및 이러한 비드를 사용한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프로필렌이 발포 폴리스티렌 보다 더 우수한 화학 관성, 내열성, 강도 및 내충격성을 갖는다는 특성이 있다는 것은 공지이다. 그러므로 발포 폴리스티렌이 사용될 수 없는 응용분야 또는 예를들어 절연제 및 포장제 등과 같은 발포 폴리스티렌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사용자의 성취 요구를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분야에서 발포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때때로 상당히 두껍고 복잡한 모양의 발포 폴리스티렌 제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한 방법은 소결에 의한 예비 발포 비드의 열성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기술은 잠정적으로 가장 다양한 모양의 물품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매력을 갖지만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사실상 이와같이 수득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은 단일 예비 발포 비드 사이에서 불량한 응집력을 나타낸다. 더우기, 상기 예비 발포 비드 사이의 기공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해결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들어, US 특허 제 4,840,973 호에 따르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특정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된 예비 발포 비드를 예비 처리하여 우수한 발포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예비 발포 비드는 압축 공기에서 미리 긴 가압처리를 해야 한다. US 특허 5,026,736 호에 따르면 발포 폴리올레핀 성형품 (폴리프로필렌은 그들 중 하나로서 인용된다.) 은 바람직하게는 가교 중합체로 구성되고 기포파괴 형태로 수득되는 예비 발포 비드를 소결로 열성형하여 수득된다. 상술한 US 특허 5,026,736 호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해결방법은 복잡하고 비용이 드는 가압 열성형 기술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었으며, 딴 방법으로는 상기 가압 열성형 기술은 예비 발포 비드 간의 양호한 응집력을 얻고 또한, 그들간의 공극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 가압 열성형 예비 발포 폴리올레핀 비드의 한 예는 열성형의 초기 단계 동안 공기 등의 압축 가스로 가압하에 유지시킨 금형을 사용한 후 가압하에 인젝션 스팀으로 수득될 수 있는 비드를 소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예비 발포 비드 간의 응집력이 금형을 대기압으로 돌아가게하므로서 수득될 수 있으므로 비드가 재팽창 및 서로 점착하여 공극을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비 발포 비드의 압축은 하나 이상의 가동벽으로 금형의 부피를 감소시켜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예비 발포된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를 압출로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비드를 소결로 열성형하여 발포 성형품의 생산 방법을 완전하게 하였으며, 이 방법은 가압하에서 열성형이 필요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US 특허 4,840,973 호에 기재된 예비 처리를 할 필요도 없다. 더우기 본 발명의 공정은 기포파괴되지 않은 비드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출원인은 5 ~ 40 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즉 용융상태에서 높은 신장 점도 (elongation viscosity) 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예비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비드를 사용하여 상기 장점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용융 강도는 하기 기술하는 특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용융 강도 값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는 적어도 일부의 고분자 사슬이 측쇄 즉 그들 단 중의 하나만이 고분자 사슬에 결합된 곁사슬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이다.
또한 상기 높은 용융 강도 값은 예비 발포 비드를 생산하는 동안 프로필렌 중합체를 더 가공성이 있게 한다. 그러므로 특별한 어려움 없이 작은 치수의 기포 (cell) 로 동축 기포 구조를 갖는 양호한 품질의 예비 발포 폴리프로필렌 비드를 수득할 수 있다.
반면, 낮은 용융 강도 값을 갖지 않는 통상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할때, 본 출원인은 압출에 의한 예비 발포 비드의 가공은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득한 예비 발포 비드의 질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은 소결 공정에서 열성형으로 생성되는 가공 폐기물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술로 수득되어 왔고 이미 사용되어온 성형품은 중합체가 가교되지 않기 때문에 하기 기술할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예비 발포비드로 재전환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포제의 존재 하에서 5 ~ 40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압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발포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발포제의 존재하 5 ~ 40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압출하여 수득 가능한 프로필렌 중합체의 발포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5 ~ 40 cN 의 용융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발포 비드를 소결하여 열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 및 사용된 발포 비드는 10 ~ 500 ㎏/㎥, 더 바람직하게는 15 ~ 200 ㎏/㎥의 성입 부피 밀도 (poured bulk density), 50 ~ 2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 ~ 800㎛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갖는다. 또한 발포 비드의 평균 직경은 1 ~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특히 양호한 가공성 및 가장 우수한 성질의 완성품을 수득하기 위해서, 0.5 ~10 g/10 분, 더 바람직하게는 1 ~ 6 g /10 분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의 MIL (용융 지수, 조건 L) 값 (ASTM D 1238)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측쇄 분자 구조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비 발포 비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성형품은 탄소수 4 ~ 10의 직쇄 또는 측쇄 α - 올레핀 및 / 또는 에틸렌 1 ~ 40 중량 %, 바람직하게는 3 ~ 30 중량 % 를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중에서 공중합체는 올레핀 중합체 엘라스토머 (예를들어, EPR 고무) 뿐만 아니라 에틸렌 및 / 또는 탄소수 4 ~ 10 의 α - 올레핀을 1 ~ 25 중량 %,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 % 함유하는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상술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그의 랜덤 공중합체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정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이상 혼합물 (heterophasic blends) 이다.
또한 이상 혼합물은 에틸렌의 호모 - 및 공중합체 소량을 (예를들어 5 ~ 20 %)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체 중에 존재할 수 있는 탄소수 4 ~ 10 의 α - 올레핀 예로는 ; 1 - 부텐 ; 이소부틸렌 ; 1 - 펜텐 ; 3 - 메틸 - 1- 부 - 1 - 부텐 ; 1 - 헥센 ; 3,4 - 디메틸 - 1 - 부텐 ; 1 - 헵텐 ; 및 3 - 메틸 - 1- 헥센이다. 높은 용융 강도 값으로 특징 지워지는 상술한 프로필렌 중합체는 적어도 일부가 측쇄 분자 구조를 갖는 중합체로 구성되거나 함유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배위 촉매, 특히 저 - 또는 고 - 수율의 찌글러 - 나타 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 방법으로 하여 제조된 통상의 직쇄 중합체로 부터 출발하여 각종 기술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특히, 과산화물 또는 복사선 등과 같은 유리 라디칼 발생제로 직쇄 중합체를 제어 변성 공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기술은 US 특허 4,916,198 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직쇄 중합체를 고 에너지 복사선 (예를들어 전자 및 감마 복사선) 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복사선의 양은 에틸렌 중합체가 존재할 때 0.25 ~ 20 MRad, 바람직하게는 3 ~ 12 MRad 인 소량의 복사선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복사의 세기는 1 분당 1 ~ 10,000, 바람직하게는 18 ~ 2,000 MRad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예를들어 US 특허 5,047,485 에 기술한 방법에 의해 유기 과산화물로 직쇄 중합체를 처리하여 측쇄 구조를 수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쇄 중합체를 과산화물과 혼합하고, 과산화물을 분해하기 위한 충분한 온도가 되게 하여 장쇄 라디칼을 형성하는 중합체 사슬과 반응하는 유리 라디칼을 수득하고 이어서 재결합하여 측쇄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측쇄 구조를 수득하기 위해서 90℃ ~ 120℃ 의 온도 범위에서 5 분 이하, 60℃ ~ 90℃ 의 온도 범위에서 40 분 이하, 25℃ - 60℃ 의 온도 범위에서 60 분 이하의 반감기 분해 시간을 갖는 적당한 과산화물을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특성을 갖는 과산화물의 예로는 ; 디 (sec-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 비스 (2 - 에톡시)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 디 - 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 디 - n - 프로필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 - 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 - n - 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 디 - sec - 부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 t - 부틸 퍼옥시데네오카노에이트 ; t - 아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 t - 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이다. 사용된 과산화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0.005 ~ 0.5 mmoles/g 의 직쇄 중합체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처리온도는 120℃ 이하이다. 상기 처리 형태 모두에서, 생성된 장쇄 유리 라디칼의 실질적인 재조합을 허용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후에 잔존하는 유리 라디칼을 불활성화한다.
상기 처리는 X - 선 회절로 측정하여 5 ~ 10 % 이상의 결정도를 갖는 직쇄 중합체 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낮은 결정도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체 엘라스토머) 의 중합체는 예비 발포 비드의 중합체 매스의 용융 강도가 상술한 범위내에 포함되는 한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건이 준수되는 한 다른 열가소성 또는 엘라스토머 중합체도 존재할 수 있다. 명백히, 예컨데 중합 반응에서 직접 합성 등과 같은 상술한 성질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가능한 다른 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 중의 분지 지수 (branching index) 는 0.1 ~ 0.9, 바람직하게는 0.25 ~ 0.7 범위이다.
상술한 US 특허 4,916,198 호에서 인용된 바와같이 상기 분지 지수 (g) 는 하기 비로 표시된다.
[식중 [η]Br및 [η]Lin 은 각기 분지 중합체 및 동일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대응하는 비분지 중합체의 고유 점도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린에서 측정) 이다.]
상기 중합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예비 발포된 비드는 발포제의 존재하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압출에서 발포제로서는 예컨데 펜탄, 헥산,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의 끓는점 25℃ 이상을 갖는, 경우에 따라서는 불소화 및 / 또는 염소화된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그의 기포 구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포파괴된 발포 비드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클로로 - 디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부탄, 프로판 및 이소부탄 등의 끓는점 25℃ 이하인 기체 또는 액체 발포제를 사용하여 장기간 보존한 후일지라도 주위 온도 및 압력에 기포파괴되지 않는 기포 구조의 발포 비드를 수득할 수 있다.
발포 비드를 제조하기 위해서, 일축 압출기를 포함하는 공지의 통상적인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중합체가 압출기로 공급되는 점의 하류로 부터 압출기 내부에서 용융 중합체 매스로 주입하여 벽사이의 거리는 중합체를 용융된 균일 매스의 형태가 되게 한다. 발포제가 도입되는 압출기의 부분에서, 온도는 125℃ ~ 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직경의 둥근 호울을 갖는 다이가 장치된 압출기 출구에서 유지되는 온도는 중합체의 발포를 수득하기 위해 가장 적당하며 125℃ ~ 18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중합체에 가할 발포제의 양은 중합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 %, 더 바람직하게는 2 ~ 15 중량 % 이다.
압출하는 동안 또는 그 전에 중합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5 ~ 3 중량 % 범위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성핵제 (기포 형성 성핵제) 를 중합체 매스에 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성핵제의 예로는 활석, 콜로이드 실리카, 중탄산 나트륨 또는 시트르산,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등의 아조- 유도체와의 혼합물이다.
경우에 따라서 필요할 수 있는 다른 첨가제, 염료 또는 필러는 압출하는 동안이나 전에 가할 수 있다. 압출기 다이로 부터 존재하는 발포 중합체의 스트랜드는 예를들어 회전 블레이드로 세그먼트 절단하여 발포 비드를 수득한다. 상기 세그먼트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기본 직경에 대응하는 높이 (일반적으로 말해서 높이는 기본 직경의 0.5 ~ 3 배이다.)를 갖는 실린더, 둥글거나 타원형의 비드 (발포 때문에) 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되는 발포 비드는 기포 내부와 외부 (경화) 의 압력 사이에 평형이 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대기 온도 및 압력에서 유지된다. 상기 기간은 일반적으로 10 ~ 30 시간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완성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성형품은 상술한 예비 발포 비드를 소결로 열성형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소망하는 차원의 금형을 예비 발포 비드로 충분히 채우고 적당한 온도로 상기 비드를 가열하여 비드 사이에 공극이 완전하게 없으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균일한 구조의 완성품을 수득하다. 본 발명의 예비 발포 비드를 사용하므로서 소결 단계 동안 압력하에서 금형을 유지할 필요나 또는 가동벽을 갖는 금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반면, 소결에 의한 열성형의 전체 단계는 실질적으로 대기압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대기압" 이라는 의미는 금형을 통해서 뜨거운 가압 가스의 통과로 유도되는 가능한 과압을 제외한 소결이 일어나는 금형 내부에 과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상기 기체는 중합체 매스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소결을 수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금형은 또한 대기압에서 충전할 수도 있다. 층전 상이 완결되면 소결은 금형에 함유된 예비 발포 비드의 매스를 가열하여 수행된다. 균일한 가열을 수득하기 위해서, 예를들어 과열 증기 (보통 160 ~ 180℃) 등과 같은 압력하에서 가열된 기체를 금형에 도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소결 온도는 일반적으로 120℃ ~ 180℃, 바람직하게는 130℃ ~ 160℃ 이다.
하기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기록된 용융 강도 값은 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된다.
사용된 장치는 독일 가트퍼트 (Gottfert) 제조의 레오텐스 용융 장력 기기 모델 2001 (Reotens melt tension instrument model 2001) 이며 ; 방법은 특정 연신 속도에서 작용하는 용융 중합체의 스트랜드에 대한 인장 강도를 cN (centi Newtons) 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시험할 중합체는 1mm 의 직경 및 22mm 길이의 모세관 호울로 다이를 통해 200℃ 에서 압출되고 ; 이어서 여기 (exiting) 스트랜드는 0.012 cm/sec2의 일정한 가속도에서 파단점 까지의 장력을 측정한 견인 활차 (traction pulleys)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신된다. 이 장치는 연신 작용으로서 스트랜드의 장력 값 (cN 에서의 저항) 을 나타낸다. 최대 장력 값은 용융 강도에 대응된다.
[실시예 1]
3 g/10 분의 용융 유량 조건 L (MFR/L), 25℃ 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4 중량 % 의 분획, 0.56 의 분지 지수, 및 23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측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99 중량부 및 베링거 (Boehringer) 에서 제조되는 히드로세롤 (Hydrocerol) 성핵제 1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230℃ 의 온도로 유지되는 베르스토르프 (Berstorff) 일측 스크루 압출기 (스크루 직경 : 90 mm ; L/D 비 = 40) 에서 75 ㎏/h 의 유속으로 도입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에서 측쇄 구조는 MFR/L = 0.4 g/10 분, 25℃ 에서 크실렌에 4 중량 % 의 분획이 가용성이고, 용융 강도 = 8 cN 을 갖는 직쇄 폴리 프로필렌을 12 MRrad 전자 빔 복사선 (2MeV Van De Graaf generator 에서 제조) 에서 3 초간, 이어서 질소 유동층에서 200 분간 80 ~ 140℃ 에서 열처리하여 수득된다.
동시에,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5 % 의 양으로 70/30 중량의 n - 부탄 / 이소부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발포체) 를 압출기에 도입하다. 혼합물이 압출기에 도입되는 부분은 공급 호퍼로 부터 16D (D = 스크루 직경), 즉, 16 x 90mm = 1440mm 의 거리에 위치한다. 압출기를 여기 시키기 전에 중합체, 성핵제, 및 발포제로 구성된 용융 매스는 160℃의 온도 및 100 기압의 압력을 갖는다.
압출 축에 대하여 90。 각에 위치한 압출 다이를, 여기한 스트랜드를 회전 블레이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절단한다. 수득한 발포 비드는 3 x 4mm 의 평균 치수를 가지며 부분적으로 타원형 실린더 형태 (발포 작용 때문에) 를 갖는다.
발포 생성물의 기포 구조는 각 기포의 평균 직경이 300 ~ 600 ㎛ (광학 현미경) 인 중 미세 (medium fine) 이다. 예비 발포 비드의 성입 부피 밀도는 30 ㎏/㎥ 이다 (ASTM D 3575 법).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경화한 후 예비 발포 비드는 소결로 열성형한다. 경화후 예비 발포 비드의 성입 부피 밀도는 26 ㎏/㎥ 까지 감소된다.
소결 시험을 위해 사용된 금형의 내부 형태는 70 x 70 x 70mm 입방체이며, 벽은 경로를 통과하는 스팀을 위하여 다수의 1 - mm 직경 호울을 갖는다.
10g 의 예비 발포 비드가 금형에 도입되고 5 atm 및 165℃ 에서 12 초간 스팀으로 열성형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같이 수득된 발포 성형품은 완전한 형태로 존재하고 그의 단면의 시각 분석은 비드의 완전한 결합 및 융해를 나타낸다. 발포 성형품의 밀도는 29 ㎏/㎥ (ASTM D 3575 A) 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기술한 압출기에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측쇄 폴리프로필렌 75 중량부, MFR/L = 4.0 g/10 분, 25℃ 크실렌에서 2 중량 %의 분획이 가용성이고 용융 강도 = 3 cN 인 10 중량부의 측쇄가 없는 직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21 중량 % 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MFR/L = 0.45 g/10 분이고 25℃ 크실렌에서 65 중량 % 의 분획이 가용성인 15 중량부의 측쇄가 없는 프로필렌 / 에틸렌 공중합체 및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1 중량부의 성핵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도입한다. 발포제, 그의 도입, 및 압출 조건은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압출기 출구전에 용융 매스의 압력은 130 atm 이고 온도는 155℃ 이다.
이와같이 수득된 예비 발포 비드는 30 ㎏/㎥ 의 성입 부피 밀도를 가지며, 이것은 경화 말기에 27 ㎏/㎥ 으로 감소된다.
상기 실시예 1 의 방법에 따라 수행된 예비 발포 비드의 소결에 의해 열성형은 서로 완전하게 융합되고 30 ㎏/㎥ 의 밀도를 갖는 비드로 성형품이 제공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 의 방법 및 성분을 반복하지만 이 경우 발포제로서 이소펜탄을 사용한다.
압출기를 여기하기 전에 용융물의 온도는 140℃ 이고 압력은 138 atm 이다. 이와같이 수득된 예비 발포 비드는 부분적으로 기포 파괴된 실린더 형태이다. 특히, 발포물의 기포 구조는 200 ~ 500㎛ 의 평균 기포 직경을 갖는 중 미세이다. 비드의 성입 부피 밀도는 44 ㎏/㎥ 이고, 실온에서 24 시간 경화한 후 42 ㎏/㎥ 으로 감소된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정방형 금형에서 수행되는 소결 시험에 의한 열성형은 40㎏/㎥ 의 밀도를 갖는 완전하게 융합된 비드로 성형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4 (비교)]
실시예 1 의 방법 및 성분을 반복하지만, 이 경우 측쇄가 없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MFR/L = 1.8 g/10 분, 25℃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이 4 중량 % 및 용융 강도 = 2.7 cN 인 것이 사용된다.
압출기를 여기하기 전에 측정된 압력은 125 atm 이고 온도는 154℃ 이다 ; 그러나, 압출 다이를 스트랜드 여기한후, 회전 블레이드를 수행할 때 절단되지는 않지만, 연신 및 가장자리가 풀린 스트랜드를 수득한다.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발포제 (부탄 / 이소부탄) 의 양이 8 중량 % 까지 증가할때에도 발포 비드를 수득할 수 없다.

Claims (7)

  1. 발포제의 존재 중 5 ~ 40 cN 의 용융 강도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가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발포 비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가 탄소수 4 ~ 10 의 직쇄 또는 측쇄 α - 올레핀 및 / 또는 에틸렌을 1 ~ 40 중량 %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수득 가능한 발포 비드.
  4. 제3항에 있어서, 500 ~ 2000㎛ 의 평균 기포 (cell) 직경을 가지며 10 ~ 500 ㎏/㎥ 의 성입 부피 밀도 (poured bulk density) 를 갖는 발포 비드.
  5. 제3항의 발포 비드를 소결함으로써 열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소결에 의한 열성형이 실질적인 대기압 및 120。 ~ 18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4항의 발포 비드를 소결함으로써 열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930018560A 1992-09-15 1993-09-15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0267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22123A IT1255364B (it) 1992-09-15 1992-09-15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manufatti in polipropilene espanso mediante produzione di granuli pre-espansi e termoformatura per sinterizzazione degli stessi
ITMI92A002123 1992-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098A KR940007098A (ko) 1994-04-26
KR100267895B1 true KR100267895B1 (ko) 2000-10-16

Family

ID=113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560A KR100267895B1 (ko) 1992-09-15 1993-09-15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324753A (ko)
EP (1) EP0588321B1 (ko)
JP (2) JP3962096B2 (ko)
KR (1) KR100267895B1 (ko)
CN (2) CN1059383C (ko)
AT (1) ATE148019T1 (ko)
CA (1) CA2106180C (ko)
DE (1) DE69307637T2 (ko)
DK (1) DK0588321T3 (ko)
ES (1) ES2097410T3 (ko)
IT (1) IT1255364B (ko)
TW (1) TW285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9073C (en) * 1993-09-10 2007-06-05 John P. Kalinoski Form-in-place emi gaskets
US6303180B1 (en) 1993-09-10 2001-10-16 Parker-Hannifin Corporation Form-in-place EMI gaskets
DE4429598A1 (de) 1994-08-20 1996-02-22 Basf Ag Expandierte Polypropylen-Partikel
DE4436980A1 (de) * 1994-10-15 1996-04-18 Basf Ag Durch Extrusion hergestellte, vorgeschäumte Polyolefinteilchen
ES2155929T3 (es) * 1995-01-20 2001-06-01 Parker Hannifin Corp Juntas emi formadas en posicion.
US6635354B2 (en) 1995-01-20 2003-10-21 Parker-Hannifin Corporation Form-in place EMI gaskets
US5641438A (en) * 1995-01-24 1997-06-24 Bunyan; Michael H. Method for forming an EMI shielding gasket
US6218023B1 (en) 1997-04-21 2001-04-17 Montell North America, Inc. Co-extruded laminate comprising at least one propylene graft copolymer layer
SG71878A1 (en) * 1997-12-11 2000-04-18 Sumitomo Chemical Co Prop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foamed article thereof
US6060533A (en) * 1998-01-09 2000-05-09 Montell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making foam articles having good low temperature toughness from high melt strength propyline polymer materials
KR20010043812A (ko) * 1998-05-27 2001-05-25 그래햄 이. 테일러 열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발포체 시트로 구성된 차량헤드라이너
CA2338464A1 (en) * 1998-07-24 2000-02-03 Huntsman Corporation Expandable thermoplastic polymer p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9934693C2 (de) * 1999-07-23 2002-03-07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merschäumen
US6624099B1 (en) 1999-12-17 2003-09-23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Glass-reinforced multi-layer sheets from olefin polymer materials
ATE323126T1 (de) 2000-01-25 2006-04-1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rtikelfoermigen, expandierbaren propylenpolymerisaten
JP4036601B2 (ja) * 2000-06-05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60108173T2 (de) * 2000-12-22 2005-06-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idland Propylencopolymerschäume
RU2003128313A (ru) * 2001-03-29 2005-03-27 Донг-Хи КИМ (KR) Способ произвдства вспененных термопласт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катыш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1479716A1 (en) 2003-05-22 2004-11-24 Nmc S.A. High temperature resistant, flexible, low density polypropylene foams
FR2856950B1 (fr) * 2003-07-04 2007-03-02 Rhodia Polyamide Intermediates Procede de preparation de perle a base de polymere expanse
DE102004002367A1 (de) * 2004-01-15 2005-08-11 Basf Ag Expandierte Polyolefinpartikel enthaltend spezielle Keimbildner
DE102004027073A1 (de) 2004-06-02 2005-12-29 Basf Ag Metallpartikel enthaltende Polyolefinschaumpartikel
WO2006082144A1 (en) 2005-02-03 2006-08-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for injection molding
PL1702945T5 (pl) 2005-03-18 2014-09-30 Basf Se Tworzywa piankowe z cząstek poliolefinowych zawierające wypełniacze
EP1874838B1 (en) * 2005-04-28 2010-05-1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for thermoforming
KR20080022101A (ko) * 2005-05-12 2008-03-10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A2613188A1 (en) * 2005-07-01 2007-01-1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 polymers hav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KR20080041647A (ko) * 2005-08-08 2008-05-13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핵형성 방법
TW200708541A (en) * 2005-08-31 2007-03-01 Chi Lin Technology Co Ltd Method of making polyester foam particles
CN101835829B (zh) * 2007-10-26 2013-10-23 株式会社钟化 聚丙烯类树脂发泡粒子及发泡成形体
JP6235466B2 (ja) 2011-06-17 2017-11-22 ベリー プラスチ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断熱容器
WO2012174567A2 (en) 2011-06-17 2012-12-20 Berry Plastics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n insulated container having artwork
KR20140044369A (ko) 2011-06-17 2014-04-14 베리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컵용 단열 슬리브
RU2605398C2 (ru) 2011-08-31 2016-12-20 Берри Пластикс Корпорейшн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CN102657489A (zh) * 2012-05-12 2012-09-12 仇胜波 一种epp保暖防滑沐浴垫
CN102813485A (zh) * 2012-05-12 2012-12-12 仇胜波 一种马桶保暖座便垫
CA2879564A1 (en) 2012-08-07 2014-02-13 Berry Plastics Corporation Cup-forming process and machine
EP2912142A4 (en) 2012-10-26 2016-03-16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AR093943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Reborde de un envase termico
AR093944A1 (es) 2012-12-14 2015-07-01 Berry Plastics Corp Troquelado para envase
US9840049B2 (en) 2012-12-14 2017-12-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DE102013002519B4 (de) 2013-02-13 2016-08-18 Adida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Dämpfungselemente für Sportbekleidung
US9957365B2 (en) 2013-03-13 2018-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CN105246676B (zh) 2013-03-14 2018-11-02 比瑞塑料公司 容器
EP2969445A4 (en) 2013-03-15 2016-11-23 Miller Herman Inc PARTICULATE FUEL ELEMENT WITH A STRUCTURED SURFACE
DE102013012515A1 (de) 2013-07-27 2014-03-27 Daim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teils aus Schaumpartikeln
EP3033208A4 (en) 2013-08-16 2017-07-05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JP6759106B2 (ja) 2014-04-30 2020-09-2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ビーズフォーム
CN110571294B (zh) * 2014-05-12 2023-01-10 博里利斯股份公司 用于制备光伏模块的层的聚丙烯组合物
US9758655B2 (en) 2014-09-18 2017-09-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ellular polymeric material
WO2016118838A1 (en) 2015-01-23 2016-07-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DE102015202014B4 (de) 2015-02-05 2020-02-06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chuhs und damit hergestellter Schuh
DE102015202013B4 (de) 2015-02-05 2019-05-09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Kunststoffformteil und Schuh
BR112017019513A2 (pt) 2015-03-13 2018-04-24 Basf Se método para produzir espumas particuladas à base de elastômeros termoplásticos por ligação térmica com o uso de micro-ondas.
KR20170129204A (ko) 2015-03-13 2017-11-24 바스프 에스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기초로 하는 전기 전도성 입자 폼
DE102016209045B4 (de) 2016-05-24 2022-05-25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herstellen von schuhsohlen, sohlen und schuhe
DE102016209044B4 (de) 2016-05-24 2019-08-29 Adidas Ag Sohlenform zum Herstellen einer Sohle und Anordnung einer Vielzahl von Sohlenformen
DE102016209046B4 (de) 2016-05-24 2019-08-08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schuhsohle, schuh und vorgefertigte tpu-gegenstände
DE102016223980B4 (de) 2016-12-01 2022-09-22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DE102016225623B4 (de) 2016-12-20 2023-02-16 Adidas Ag Verfahren zum Verbinden von Komponenten eines Sportschuhs und Sportschuh davon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WO2018122293A1 (en) * 2016-12-30 2018-07-05 Borealis Low emission polypropylene foam sheets
DE102017205830B4 (de) 2017-04-05 2020-09-24 Adidas Ag Verfahren für die Nachbehandlung einer Vielzahl einzelner expandierter Partikel für die Herstellung mindestens eines Teils eines gegossenen Sportartikels, Sportartikel und Sportschuh
WO2018231825A1 (en) * 2017-06-12 2018-12-20 Kci Licensing, Inc. Foamed and textured sintered polymer wound filler
CA3013585A1 (en) 2017-08-08 2019-02-08 Berry Global, Inc. Insulated container
EP4063441A4 (en) * 2019-11-21 2023-12-06 Kaneka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FOAM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OLDED ARTICLE MADE OF POLYPROPYLENE RESIN
JPWO2021131933A1 (ko) 2019-12-23 2021-07-01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4355A1 (de) * 1962-10-15 1969-09-25 Hercules Inc Formgegenstaende aus Polypropylenschaumstoffen mit Zellstruk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EP0123144B1 (en) * 1983-03-25 1987-10-07 Japan Styrene Paper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prefoamed particles
ZA86528B (en) * 1985-01-31 1986-09-24 Himont Inc Polypropylene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process for making it,and use thereof
JPH075784B2 (ja) * 1986-08-12 1995-01-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H0649795B2 (ja) * 1985-11-29 1994-06-29 日本スチレンペ−パ−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成型体の製造方法
JPH0657431B2 (ja) * 1985-12-03 1994-08-03 日本スチレンペ−パ−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型内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CA1280549C (en) * 1986-05-27 1991-02-19 Kyoichi Nakamura Pre-expanded particles of propylene resin
US5026736A (en) * 1987-02-24 1991-06-25 Astro-Valcour, Inc. Moldable shrunken thermoplastic polymer foam beads
US5047485A (en) * 1989-02-21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a propylene polymer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6180C (en) 1999-07-27
DE69307637T2 (de) 1997-06-05
EP0588321B1 (en) 1997-01-22
JPH06234878A (ja) 1994-08-23
TW285681B (ko) 1996-09-11
CN1227158A (zh) 1999-09-01
CA2106180A1 (en) 1994-03-16
JP3656961B2 (ja) 2005-06-08
ITMI922123A1 (it) 1994-03-15
CN1137019C (zh) 2004-02-04
CN1087573A (zh) 1994-06-08
US5338764A (en) 1994-08-16
JP2003176376A (ja) 2003-06-24
DE69307637D1 (de) 1997-03-06
US5324753A (en) 1994-06-28
CN1059383C (zh) 2000-12-13
ITMI922123A0 (it) 1992-09-15
ES2097410T3 (es) 1997-04-01
JP3962096B2 (ja) 2007-08-22
IT1255364B (it) 1995-10-31
EP0588321A1 (en) 1994-03-23
ATE148019T1 (de) 1997-02-15
DK0588321T3 (da) 1997-07-28
KR940007098A (ko)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895B1 (ko) 발포 프로필렌 중합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0686487B1 (ko) 단열 성능이 개선된 흡음성 중합체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8204B1 (ko)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용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528190A (ja) 音響的用途のための高い作業温度を有する高分子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
CN114341237B (zh) 聚丙烯系树脂发泡颗粒、其制造方法及聚丙烯系树脂发泡成型体
US6300386B1 (en) Expandable synthetic resin composition, synthetic resin foa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foams
EP4112678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ed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ypropylene-based resin foam molded body
EP1870434B1 (en) Blends of ethylenic polymers with improved modulus and melt strength and articles fabricated from these blends
KR20070088707A (ko) 프로필렌계 수지 압출 발포체
KR100580802B1 (ko) 고용융강도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로부터 우수한 저온 인성을 갖는 발포성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JP415739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
CA2242611A1 (en)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foam made from the resin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both
HU213639B (en) Process for making nondistorted polyolefin foam structure
CA2401943C (en) Foam comprising a blend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high melt tension polypropylene
WO2022175447A1 (en) Expanded beads comprising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JP2505543B2 (ja) 結晶性プロピレン系樹脂含有発泡体の製造方法
KR10057468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JP308861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US3640921A (en) Filamentary polyolefin foam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H0781028B2 (ja)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H0912483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18488A (ko)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발포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S60253527A (ja) 合成樹脂型内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