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190B1 -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190B1
KR100264190B1 KR1019970701874A KR19970701874A KR100264190B1 KR 100264190 B1 KR100264190 B1 KR 100264190B1 KR 1019970701874 A KR1019970701874 A KR 1019970701874A KR 19970701874 A KR19970701874 A KR 19970701874A KR 100264190 B1 KR100264190 B1 KR 10026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camera module
camera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522A (ko
Inventor
마사키 오자와
타가시 사에구사
히로히사 나가노
신수케 이토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7070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03B17/425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motor driv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03B2206/002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using detachable memory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Abstract

카메라 본체(2)에 장착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장치(1)는 기록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가 탑재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2)측은 기록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 작성한 데이터를 카메라 모듈장치(1)의 측으로 전송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단지, 기록지령용 펄스신호 X1을 출력할 뿐으로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서 데이터가 생성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장치(1)는 자기체크기능을 구비하여, 사진필름 장전시에는 카메라 본체(2)측에서의 신호 RD1에 의해서 이 기능이 동작하는 모드로 들어간다. 이 모드로서는 제어회로(161)는 실제로 기록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록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비교회로(162)의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행한다. 따라서, 항상 적정한 기록동작이 보증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어, 내장된 사진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 기록부에 대하여 촬영일시 등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기록과 판독의 쌍방을 행하는 자기헤드를 구비한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촬영일시 등의 데이터를 촬영시 등에 사진필름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카메라본체에 대하여 장착가능하고 카메라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대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최근, 사진필름의 일부에 자기기록용 트랙이 형성된 것이 알려지고 있고, 이 사진필름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6-138540호에는 이러한 종류의 모듈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측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회로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기능과 받아들인 기록용 데이터를 일시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자기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시에는, 카메라 본체측에 있어서 기록데이터가 생성된다. 데이터의 기록시에는, 카메라 본체측으로부터 기록데이터가 출력됨과 동시에, 사진필름의 감아올림 동작 등에 연결된 동기신호가 출력된다. 모듈장치측에서는 이들의 신호를 받아서, 사진필름의 되감기 동작에 연이어서, 공급된 촬영일시, 화각 정보 등의 데이터를 자기헤드를 사용하여 사진필름의 해당하는 1코머의 자기기록용 트랙에 기록한다.
이러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1에,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데이터 및 자기헤드 구동용 동기신호 등은 카메라 본체측의 제어회로에서 생성된 것을 수신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에,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를 미리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그 만큼 카메라 본체측의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카메라 본체에 미리 내장되어 있는 이러한 회로부분은 쓸모 없게 된다.
제2에, 종래의 카메라 모듈장치 혹은 카메라 본체에는 해당 카메라 모듈장치의 데이터 기록기능의 동작 확인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록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 졌는지의 여부는 실제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여 사진필름을 현상한 후가 아니면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제3에, 자기헤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그 자기헤드의 설치 위치는 고정된 위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본체측에 촬영직후에 사진필름을 일시적으로 역이송 가능한 기능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사진필름의 로딩 방식 및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상이한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카메라 모듈장치에서는 합계 4종류의 모듈구조의 것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제4에, 카메라에 기록되는 기록데이터는 카메라 모듈장치에 탑재된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에 의해서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광학식의 카메라 모듈인 경우에는 기록한 데이터량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액정패널에는 항상 기록한 데이터가 일괄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자기기록용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정패널에 기록 데이터를 일괄 표시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의 표시 자릿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이 점에 관하여는 아무런 고려도 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카메라 본체측에 데이터 작성용 회로부분을 탑재하지 않고,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대하여 촬영일시 등의 데이터를 기록가능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자기헤드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이 적절히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데이터기록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카메라 본체측의 필름 로딩 방식 및 카트리지 장전방향의 차이에 대하여, 겸용의 모듈구조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표시 자릿수가 적은 액정표시패널을 사용하여, 대량의 기록데이터를 보기 쉬운 표시형태로 표시가능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에 장착 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형성된 자기기록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수단과, 데이터를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기록하는 자기기록수단과, 상기 자기기록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기록해야되는 데이터의 생성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에는 이러한 기능을 별도로 탑재해둘 필요가 없고, 단지, 카메라 모듈장치의 접수수단을 향하여 기록지령신호를 출력하는 것만으로 카메라 모듈장치측에서 데이터의 생성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을 데이터 기록를 위해 사양을 특히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데이터의 기록은 카메라 본체측으로부터 기록지령 신호를 접수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측간의 통신기능도 간소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자기기록수단은 필름의 자기기록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기록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회로와, 상기 기록데이터가 기록된 후의 상기 자기기록부로부터 판독된 판독데이터를 상기 기억회로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기록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회로와,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기록동작의 가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동작의 가부의 자기(自己)체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필름의 현상을 기다리지 않고, 촬영시에 데이터의 기록의 가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적절한 기록동작이 보증되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사진필름의 급송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검출수단은 반송되는 사진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퍼포레이션(perforation)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서는 사진필름의 실제의 이동에 근거하여,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급승되는 필름의 자기기록부에 대하여 항상 적정한 데이터 기록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지 않은 카메라에도,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의 상기 자기기록 수단은 자기헤드와, 상기 자기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단자판과, 자기헤드 구동회로 패턴 등이 형성된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판은 사진필름의 감아 올림 방향으로 나열되고, 그들의 일단(一端) 측이 탄성력을 따라 상기 회로기판측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다른쪽 측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자기기록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탄성력을 따라 자기헤드의 단자판이 회로기판측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간의 도통(導通)을 확실하게 가질 수 있다. 또한, 자기헤드는 탄성특성을 구비한 한쌍의 단자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단자위치의 탄성특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자기헤드를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대하여 적절한 가압력에 따른 상태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기록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자기기록수단의 구성요소인 자기헤드는 장치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그들의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자기헤드 부분을 통해 사진필름측에 외광(外光)이 침입하지 않는다. 또한, 자기헤드의 자계가 액정표시 패널에 악영향을 주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상기 자기헤드를 장착하기 위한 제1및 제2헤드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이들의 헤드장착부는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자기헤드의 장착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카메라 본체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의 차이에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헤드가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듈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상기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의 표시형태를 바꾸는 복수의 전환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제1및 제2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1표시루틴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전환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2표시루틴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전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서는 복수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표시형태를 바꾸고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데이터 표시형태를 간단히, 더욱이 신속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는 상기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하고, 데이터의 종별, 내용, 및 줄 순서가 전환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표시자릿수가 적은 액정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대량의 기록데이터를 전환 표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를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c)도는 사진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압판 일체형의 카메라 모듈장치를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각 구성부품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카메라 본체측의 표면, 측면 및 카메라 뒤 덮개측의 표면을 도시한 도이다.
제6도는 자기헤드의 부분만을 도시한 도이고,
제6(a)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6(b)도는 그 측면도.
제6(c)도는 그 c-c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자기헤드를 회로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제7(a)도는 그 부분평면도.
제7(b)도는 그 부분측면도.
제8도는 자기헤드를 필름이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제8(a)도는 필름이 정확히 진입했을 때에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8(b)도는 통과하는 필름에 대하여 자기헤드가 기록 혹은 판독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자기헤드와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
제10도는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과 스위치군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11도는 카메라 모듈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계 개략 블럭도.
제12도는 자기헤드의 헤드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13도는 헤드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14도는 카메라 본체측의 필름장착시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 플로우차트이다.
제15도는 카메라 본체측의 촬영동작을 도시한 개략 플로우차트.
제16도는 필름장전시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자기체크 모드시의 필름반송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제17도는 카메라 모듈장치의 자기체크 모드시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 판독동작을 도시한 타임 차트.
제18도는 카메라 모듈장치의 자기헤드의 구동신호를 도시한 신호도.
제19도는 카메라 모듈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비교회로의 개략 블럭도.
제20도는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도이고,
제20(a)도는 기록데이터의 전환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제2O(b)도는 각 동작시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1도는 표시 자릿수가 2자릿수인 경우에 있어서의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에 의한 기록데이터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2도는 표시 자릿수가 2자릿수인 경우에 있어서의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에 의한 데이터의 수정모드에 있어서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3도는 데이터의 줄 순서를 도시한 전용세그먼트를 구비한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4도는 데이터의 줄 순서를 도시한 전용 세그먼트를 구비한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수정모드에 있어서의 표시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5도는 데이터의 줄 순서의 전환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제26도는 6자릿수표시에 의한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표시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7도는 6자릿수표시에 의한 데이터의 순서의 표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제28도는 실시예 2에 따른 카메라 모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29도는 카트리지 장전방향 및 로딩 방식의 차이를 도시한 설명도.
제30도는 실시예 2에 따른 카메라 모듈장치의 촬영 및 데이터 기록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
제31도는 실시예 2의 변형 예로서의 카메라 모듈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제32도는 제31도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제32(a)도는 사진필름과 카메라 모듈장치의 각부분과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32(b)도는 촬영 및 데이터 기록동작의 타이밍차트.
제33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의 또 다른 예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설명.
[실시예]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장치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장치의 개략구성 및 그것이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측의 개략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제1도는 카메라 모듈장치이고, 제2도는 이것이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이다. 카메라 모듈장치(1)는 카메라 본체(2)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압판(3)과, 카메라 뒤덮개(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카메라 본체(2)의 이면측에 장착된다.
카메라 모듈장치(1)는 전체로서 편평한 장방형을 이루고 있고, 그 전면측(필름에 면한 측)에는 자기헤드(11)가 장착되어 있고, 후면측(카메라 뒤덮개에 면한측)에는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12)과, 기록되는 데이터의 전환 등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2개의 전환스위치단자(13, 14)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뒤덮개(4)의 측에는 액정표시 패널(12)에 대치 되는 부분에 표시창(4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환스위치 단자(13, 14)에 대치되는 위치에는 각각 스위치버턴(42, 43)이 배치되고, 이들을 조작함으로써 전환스위치단자(13, 14)가 동작하여 전환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1(c)도에는 카메라 본체(2)측에 장착되는 사진필름 F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F는 그 선두측으로부터 각 코머 F (n)(n=1, 2, 3···)가 나열되어 있다. 각 코머 F(n)의 하측에는 미세한 폭의 기록트랙(자기 기록부) f(n)( n=1, 2, 3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코머 F(n)의 상측의 전후 각에는 퍼포레이션 P1(n), P2(n)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퍼포레이션 P1(n), P2(n)을 검출하여, 필름의 감아 올림 동작,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의 제어가 행하여 진다.
또한, 카메라 모듈장치(1)의 구성으로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측의 압판(3A)이 카메라 모듈장치(1A)의 이면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제3도에는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의 각 구성부분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장치(1)는 테두리판(15)과, 이 내측표면에 형성된 헤드장착부(15a)와, 이 헤드장착부(15a)에 대하여 내측으로부터 장착된 자기헤드(11)와 테두리판(15)에 형성된 패널장착부(15b)와, 이 패널장착부(15b)에 대하여 내측으로부터 장착된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12)과, IC칩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가 탑재된 회로기판(16)과, 이 회로기판(16)상의 회로와 액정표시패널(12)간의 전기적 접속을 갖기 위한 가늘고 긴 장방형의 커넥터판(17)을 구비하고 있다.
제4도에는 이들의 구성부품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판(15)을 준비한다. 테두리판(15)에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면측으로부터, 장착부(15a, 15b)에, 각각, 자기헤드(11) 및 액정표시패널(12)을 장착한다. 다음에,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에 회로기판(16)을 포갠다. 회로기판(16)은 자기헤드(11)의 장착부분이 직사각형으로 절취되어 있고, 회로기판(16)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이 절취된 부분으로부터 자기헤드(11)가 노출된다.
자기헤드(11)를 제외하고, 테두리판(15)에 장착된 각부품에는 테두리판(15)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코킹핀(15c)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부품을 테두리판(15)에 장착한 후에는 각 코킹핀(15c)의 머리를 코킹함으로써, 각 부품이 테두리판(15)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헤드(11)에는 위치결정핀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자기헤드(11)는 모듈조립 후에 관통구멍(111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위치맞춤을 행하고, 다음에, 접착제 등에 의해 테두리판(15)에 고정한다. 자기헤드(11)에 형성된 돌출부(117)는 이것을 회로기판(16)과 테두리판(15)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자기헤드(11)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때까지 자기헤드(11)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후는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의 이면에 차광시일(18)이 부착되어지고 외부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판 일체형의 카메라 모듈장치(1A)의 경우에는 제4(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상에, 또한 압판(3A)이 중합되어 코킹핀에 의해서 압판(3A)도 일체로 되도록 고정되어진다.
제5도에는 이렇게 하여 조립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의 카메라 본체측에 면하는 전(前)측표면, 측면 및 카메라 뒤덮개의 측에 면하는 후(後)측 표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장치(1)의 후측표면에 있어서, 전환용 단자(13, 14)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이들의 단자에 인접한 회로기판(1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단자(16a)가 노출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16a)는 카메라 본체와의 접속용 단자이고, 카메라 모듈장치(1)의 조립후도, 외측으로 노출시켜 두면, 이들의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입력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자기헤드(11)에 의한 재생신호를 외부로 꺼내는 단자도 설치해 두면, 장치(1)의 검사 등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편리하다.
[자기 헤드의 구성]
제6도에는 자기헤드(11)만을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다. 자기헤드(11)는 중앙의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된 뒷받침판(111)과, 이 중앙의 개구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자기헤드본체(112)와 이 자기헤드본체(11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이 헤드본체를 지지하고 있는 2장의 단자판(113, 114)을 구비하고 있다.
뒷받침판(111)에는 테두리판(15)측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핀이 통과하는 통과구멍(111a), 위치결정용 통과구멍(111b)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본 예의 자기헤드(11)에 있어서는 그 2장의 단자판(113 114)은 회로기판(16)측으로 약간 구부러진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선단(113a, 114a)이 회로기판(16)측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예로서는 2장의 단자판(113, 114)의 탄성력에 의해서, 화실하게 회로기판(16)측으로의 접촉이 확보되어 있다.
본 예의 자기헤드(11)는 2장의 판스프링 형상의 단자판(113, 114)의 부분(113a, 114a)을 통해, 뒷받침판(111)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의 단자판(113a, 114a)의 탄성특성을 조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2)측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는, 그 자기헤드(11)가 카메라 본체(2)측에 배치되어 있는 패드(21)에 대치된 배치상태가 되고, 또한, 패드 표면에 대하여, 2장의 단자판 부분(113a, 114a)의 탄성력에 의해서 접촉된 상태로 된다. 카메라 본체(2)에 장착된 필름 F는 카메라 본체측에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감아 올려지고, 자기 헤드(11)와 패드(21)간을 경유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F의 감아 올림 방향(전진방향)이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이고, 그 역방향(후퇴방향)이 필름을 감아 빼는 방향으로 하면, 필름 F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헤드(11)와 패드(21)간에 들어가서, 이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필름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기록부(트랙) 부분에, 헤드(11)에 의해서 자기적으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하여 진다. 혹은 그곳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행하여 진다.
필름 F가 이들 사이로 들어간 상태에서는 자기헤드(11)의 필름 진입측이 패드(21)로부터 후퇴하여, 필름 통과용 틈이 형성된다. 이 때, 자기헤드(11)는 그 필름 진입측의 단자판, 예를 들면 단자판(113)측의 부분(113a)이 휘어지고, 그런후에 단자판(114)측의 부분(114a)에 휘어짐이 생긴다. 따라서, 필름 F의 진입을 원활히 행하기 위해서는 필름 진입측의 단자판 부분(113a)의 탄성계수를 작게 해두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자기헤드(11)를 뒷받침판(111)에 대하여 2장의 판스프링 형상의 단자판 부분(113a, 114a)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단자판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필름 F의 진입동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 F가 자기헤드(11)와 패드(21)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에서는 제8(b)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고, 2장의 단자판 부분(113a, 114a)의 탄성력에 의해서, 자기헤드(11)의 필름 F에 대한 접촉 압력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구성을 나타낸 본 예의 자기헤드(11)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2장의 단자판 부분(113a, 114a)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 패드(21)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자기헤드(11)의 원호 형상의 헤드 표면(11a)의 전체, 혹은 그 중의 진입하는 필름 F의 선단이 접촉되는 표면 부분에 경질소재를 코팅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11)의 모서리면(11a)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질소재로서는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는 장치두께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관계로 하고 있다. 환언하면, 카메라 모듈장치(1)의 평면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관계를 채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게 된다.
즉, 제9(a)도에는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 채용하고 있는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의 배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9(b)도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장치에서의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의 배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테두리판(15)의 양측에서 각각 동일위치, 혹은 서로 겹치는 배치관계가 되도록, 자기헤드(11)와 액정 표시패널(12)이 해당 테두리판(15)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서로 겹친 상태로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패널(12) 측으로부터 빛이 자기헤드(11)의 부착부분을 경유하여 반대측의 필름에 도달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자기헤드(11)로부터의 누설자계가 원인이 되어, 액정패널(12)측의 표시가 안정하지 않게 되는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을 평면방향에서 분리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패널(12)측으로부터 필름측으로의 빛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자기헤드(11)의 누설자계에 의해서 액정표시패널(12)및 IC 칩(160)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액정표시 장치(12)에 대한 배선도 자기헤드(11)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되기 때문에 배선으로부터 자기헤드로 들어가는 외부의 노이즈도 감소한다.
이들의 이점에 덧붙여, 두께방향으로 자기헤드(11)와 액정표시패널(12)을 포개어 배치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장치(1)의 두께가 두텁게 되지만, 평면방향으로 떼어냄으로써,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2)의 하측의 위치에, 전환스위치단자(13, 14)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널(12)의 하측에 스위치단자(13, 14)를 배치하면, 패널의 표시를 보면서 도 스위치단자의 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어계]
제11도에는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의 회로기판(16)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계를 구성하는 회로군의 개략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회로기판(16)상에는 IC칩(160)이 탑재되어 있는 동시에 이 주위에는 각종의 회로패턴 및 회로소자가 포함되어 있다. IC 칩내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부분은 대략적으로 나누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의 중심을 이루는 제어회로(161)와, 자기체크를 위한 비교회로(162)와, 동작 클럭, 표시데이터·기록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계 회로(16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자기헤드 구동용 헤드드라이버(164), 헤드판독 신호용 증폭회로(167) 및 액정표시 패널 구동용 LCD 드라이버(165)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회로(161)에는 회로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단자(13, 14)로부터 데이터 전환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2)측의 제어회로(22)측에서는 입력포트(166)와 신호단자 X1, RD1, PN1, PN2 등에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구동전원단자Vdd, Vss를 통해 구동전력의 공급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12도에는 상기의 헤드 드라이버(164)부분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3도에는 헤드판독 신호용 증폭회로(167)의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이들의 회로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다.
또한, 본 예의 헤드드라이버(164)에 있어서는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용 P채널 MOS 트랜지스터(1), P채널 MOS 트랜지스터(2)에 대하여 구동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부정 회로 NOT1, NOT2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Vdd로부터 (-)측에 발생하는 일정 전압 Vr을 인가함으로써, 정전류 구동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과잉전류가 헤드코일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원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억제하여 IC의 오류 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제12(b)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각 단자 a, b, c, d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논리 레벨을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도면의 화살표 A 및 화살표 B 방향을 향해 헤드코일을 통하여 전류가 흘러서 데이터 기록용 자계방향이 반전한다. 한편, 제13도에 도시된 증폭회로에서는 자기데이터의 판독시에는 아날로그 스위치 SW가 온 상태으로 전환되어, 접지상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의 판독, 기록동작]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는 IC 칩내에 구성되어 있는 CPU로 이루어진 제어회로(161)의 제어하에서, 필름 F의 자기기록부에의 기록데이터가 생성되고, 이것이 자기헤드(11)를 통해 필름 F에 기록되며, 필름 F에 기록된 자기데이터가 헤드(11)를 통해 판독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카메라 본체측에 있어서 이와 같은 데이터의 생성기능(작성, 편집기능)이 구비되어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본체측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장치(1)측으로 보내기 위한 통신기능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이 정상으로 행해지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기체크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 필름 장착시에는 자기체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록동작이 항상 적절히 행하여지는 것이 보증된다. 이 자기체크는 물론, 각 필름마다 실시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실시에 대응한 기능이 없는 카메라 본체측에 있어서도, 카메라 조립공정중의 검사에 응용할 수 있는 점에서 그 효과는 높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는 본 예의 장치(1)가 장착된 카메라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 판독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동작은 미리 카메라 모듈장치(1)의 IC 칩에 포함되어 있는 ROM 등의 기억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마찬가지로, 카메라 본체측의 동작도, 그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ROM 내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을 기동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이다.
이하에, 카메라 본체(2)측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자기체크모드, 촬영모드를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 본체(2)의 구동전원을 투입한 후에, 필름 F가 장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제14도의 스텝 ST1), 장전종료일 경우에는 제15도에 도시된 촬영모드로 이행한다. 필름의 장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름 F가 장전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ST2). 필름 장전후는 신호 RD1을 저논리 레벨로 내린다(스텝 ST3).
이 신호 RD1은 카메라 모듈장치(1)를 자기체크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하강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장치(1)측은 자기체크 모드로 이행한다.
이 자기체크 모드에 있어서는 우선, 장전된 필름 F의 감아 올림 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필름의 감아 올림 동작, 되감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ST4).
여기에서, 필름 F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두측의 1코머째 FO의 하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자기기록부 fO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기기록부 fO의 선두위치 fOa까지 필름 F를 감아 올리는 시간을 타이머 카운트에 의해 관리하고 있다. 카운트치 tO은 필름 F의 자기기록부의 선두위치가 카메라 모듈장치(1)의 자기헤드(11)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이다. 필름 F의 자기기록부 fO의 선두위치 fOa가 자기헤드(11)의 위치에 이르면(스텝 ST5), 카메라 본체(2)측으로부터 기록개시를 지시하는 펄스신호 X1을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 출력한다(스텝 ST6).
카메라 모듈장치(1) 측에서는 이 펄스신호 X1을 받아들이면, 제어회로(161)의 제어하에, 그 시점에 있어서의 날짜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기헤드(11)에 의해서, 자기기록부 fO로 기록한다.
자기헤드(11)에 의해 기록되면서 필름 F는 감아 올림 방향(전진방향)으로 반송되고, 자기기록부 f0의 종단 fob에 이른 것을 나타내는 카운트치 t1까지 타이머 카운트가 행하여지면, 이 종단 fOb가 자기헤드(11)의 위치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고(스텝 ST7), 필름 F의 되감기 동작(후퇴방향으로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 ST8). 다음에, 타이머 카운트치가 t2가 되면, 필름 F가 그 기록부 fO의 선두 fOa를 초과하는 소정의 위치까지 되감겨진 것으로 판단하여(스텝 ST9), 필름 F의 감아 올림동작(전진방향으로의 반송)을 재개한다(스텝 ST10). 타이머 카운트치가 t3으로됨으로써, 자기기록부 f0의 선두 fOa를 검출하면, 판독개시를 지시하는 펄스신호 X1을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 출력한다(스텝 ST12).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서는 이 펄스입력을 받아들이면, 데이터 판독동작을 개시하고, 상기의 필름 감아 올림 동작중에 자기헤드(11)를 통해 기록한 자기데이터를 자기기록부 fO로부터 판독한다.
필름 F의 자기기록부 f0의 종단 fOb가 자기헤드(11)의 위치에 이른 것을 나타내는 카운트치 t4까지 타이머 카운트가 진행하면(스텝 ST13). 신호 RD1을 고논리 레벨로 상승한다(스텝 ST14).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서는 이 신호 레벨의 상승을 검출하면, 자기체크 모드가 해제되어 통상의 데이터 기록모드로 이행한다.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불량이 검출되면, 데이터 기록모드에는 이행하지 않는다.
카메라 본체(2)측은, 이후는 필름 F의 감아 올림 동작을 계속하여, 그 1코머째 F1의 선두를 검출하면(스텝 ST15), 그 감아 올림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T16). 이후는 타이머 카운트를 리세트한다(스텝 ST17).
그후에, 제15도에 도시된 통상의 촬영모드로 이행한다. 이 촬영모드에서는 촬영이 행해질 때마다(스텝 ST21), 필름 F의 1코마분의 감아 올림 동작을 행하고 (스텝 ST22로부터 스텝 ST26의 흐름), 모든 필름의 촬영이 종료하면(스텝 ST26), 필름 F의 되감기를 행한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장치(1)의 측에서는 이 촬영모드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데이터 기록모드로 이행하고 있고, 1회마다 촬영 후에 행하여지는 필름 F의 1코마분의 감아 올림 동작에 연결하여, 자기헤드(11)에 의해서, 촬영종료시의 필름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기록부 F1, F2···(제16도 참조)에, 촬영일시 등의 데이터의 자기기록 동작을 행한다. 이 기록동작은 카메라 본체(2)측으로부터의 기록개시를 지시하는 펄스신호 X1의 입력에 의해서 기동된다(스텝 ST23).
또한, 본 예에서는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은 카메라 본체(2)측으로부터 필름의 감아 올림 동작에 연동(連動)하는 동기신호를 받아들이지 않고서, 비동기로 행하여 진다.
제17도에는 각 신호 RD1, X1 및 카메라 모듈장치(1)의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 판독동작 등의 타임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타이머 카운트에 의해서, 필름장전시의 필름 반송 동작을 제어하고 있지만, 물론, 카메라 본체측에 있어서 필름 F의 각 필름의 선두 및 종단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 카운트에 의지할 필요는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장치(1)측에 있어서는 카메라 본체(2)측으로부터의 신호 RD1에 의해서 필름 장전시에 자기체크 모드로 이행하여, 필름 F의 최초의 필름 FO의 자기기록부 fO에 체크용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고, 다음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차 판독한다. 기록데이터와 판독데이터는 비교회로(162)에서 비교되어 그것이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판별이 행하여 진다.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통상의 데이터 기록모드로 이행한다. 그런데, 일치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동작이 이상(異常)이라고 판단하여, 그 취지의 표시를 행하여 처리를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데이터기록모드에는 이행하지 않고, 따라서, 이후의 촬영에서는 데이터의 기록동작은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 회로(163)를 구비하고 있고, 그 내장된 발진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예를 들면, 32kHz의 발진주파수를 (N-1)회 분주하여, 32/N(kHz)의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에 근거하여,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동작제어, 비교회로(163)에서의 비교동작등을 행하고 있다.
제18도에는 본 예에 있어서의 NRZ(NON RETURN TO ZERO)방식에 의한 자기헤드(11)의 기록신호(헤드 구동전류)를 도시하고 있다. 신호 50은 데이터 「O」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 경우에는 헤드전류의 반전(+에서 -)후에 일정한 단위시간 t의 경과 후에, 헤드구동 전류를 재차 반전(-에서 +)하여, 단위시간 t의 3배만 그 상태를 유지하는 파형으로 된다. 헤드전류의 + 방향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도시된 헤드 드라이버에 있어서의 화살표 A로 도시한 방향이고, -의 방향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이것에 대하여, 신호 S1은 데이터 「1」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단위시간 t의 3배의 하강상태 후에, +로 상승하여, 단위시간 t 동안만 그 상태가 유지된 파형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기록신호, 따라서, 자기기록부 fO으로부터의 판독신호는 하나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기간 T중, 최초의 1/4의 기간이 저논리 레벨이고, 나머지의 3/4의 기간이 고논리 레벨인 경우에는 데이터 「O」 이 표시되어, 최초의 3/4의 기간이 저논리 레벨이고, 나머지 1/4의 기간이 고논리 레벨인 경우에는 데이터 「1」이 나타내진다.
다음에, 제19도에는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의 비교회로(162)의 개략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검출회로(171)는 클럭신호 TO이 공급되는 동시에, 헤드증폭기(167)를 통해 증폭된 자기헤드(11)에 의한 판독신호 R이 공급된다. 여기에 공급된 판독신호 R은 헤더 데이터 검출회로(172) 및 래치회로(173)에 공급된다. 헤더 데이터 검출회로(172)는 판독신호 R로부터 헤더 데이터(시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회로(173)에 공급된 판독신호 R은 여기에 래치된다.
또한, 판독신호 R은 판정회로(174)에도 공급된다. 이 판정회로(174)에는 기록데이터 래치회로(175)의 출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기록데이터 래치회로(175)에는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데이터 신호 W 중, 정해진 양의 데이터가 미리 래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장전시에는 카메라 모듈장치(1)가 자기체크 모드로 이행하여, 체크용 데이터의 기록동작이 행하여 지면, 그 기록신호 W가 기록데이터 래치회로(175)에 래치된다. 그 후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이 행하여지면, 이 판독시에, 헤더 데이터(시작 신호)를 판독하여, 이것을 헤더 데이터 검출회로(172)에서 검출하면, 상기의 정해진 양에 대응한 양의 판독데이터 신호 R이 래치회로(173)에 래치된다. 판독데이터가 래치된 후는 쌍방의 래치회로(173, 175)에 래치되어 있는 신호를 판정회로(174)에 있어서 비교한다. 기록데이터와 판독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출력을 제어회로(161)에 출력한다. 제어회로(161)에서는 일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접수하면, 동작모드를 통상의 데이터 기록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일치하고 있지 않은 취지의 신호를 접수하면, 동작모드를 그대로 유지하여, 통상의 데이터 기록모드로의 이행을 저지하여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장치(1)는 동작하지 않는다.
[기록데이터의 전환]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장치(1)에 있어서는 그 카메라 뒤 덮개측에 한쌍의 스위치단자(13, 14)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을 카메라 뒤덮개에 배치한 스위치(42, 43)를 조작함으로써, 기록데이터의 전환신호가 발생하여, 제어회로(161)측으로 공급된다. 제어회로(161)측에서는 이 전환신호에 근거하여, 기록데이터의 전환동작을 행한다. 기록데이터는 카메라 모듈장치(1)의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12)에 표시되고, 조작자는 카메라 뒤덮개(4)의 표시창(41)을 통해 이것을 볼 수 있다.
본 예의 장치(1)에서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년 월, 일의 표시 형태(4가지)와, 시, 분의 표시형태(3가지)의 조합에 의한 12 가지로,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이들의 12가지의 기록표시 형태의 전환은 2개의 스위치단자(13, 14)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제20도에는 스위치단자(13, 14)의 조작에 의해서 전환하는 모니터용 표시패널(12)의 표시형태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형태는 기록데이터를 나타내고 있고, 따라서, 기록데이터의 전환순서를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단자(13)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전환신호 SW1의 입력에 의해 표시형태는 제1표시 루틴(100)과 제2표시 루틴(200) 사이에서 전환된다. 또한, 스위치단자(14)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전환신호 SW2의 입력에 의해, 각 표시 루틴(100, 200)에 있어서, 표시형태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표시 루틴(100)은 상기의 표 1에 있어서의 3가지의 시, 분의 표시형태의 변화에 대응하여, 표시 루틴(200)은 표 1에 있어서의 4가지의 년, 월, 일의 표시형태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장치(1)에 있어서는 2개의 스위치단자(13, 14)를 이용하여, 12가지로 있는 표시형태 중에서, 원하는 표시형태의 선택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서는 단일의 전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을 순차로 누름으로써 표시형태를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표시형태에 이르기까지 11회쯤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 불편하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그와 같은 전환조작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각 표시 루틴(100, 200)에 있어서 직전의 표시형태가 유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표시루틴(200)에 있어서 표시형태(211)의 상태로 전환신호 SW1에 의해서 표시루틴(200)측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표시루틴(200)측에서 다시 표시루틴(100)측으로 전환되면, 도면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전의 표시형태인(2-1)의 곳으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표시루틴(100)측으로부터 표시루틴(200)측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직전의 표시형태로 되돌아 가게 되어 있다.
또한, 제20(b)도에는 카메라 모듈장치(1)의 동작중에 있어서의 모니터용 액정표시패널(12)의 표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형태(121)는 자기체크 모드로 이행한 경우의 표시형태이다. 이 자기체크에 의해서, 기록동작이 정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의 표시형태는 번호 122로 나타내는 표시형태이고, 반대로 기록동작이 이상인 경우의 표시형태는 번호 123으로 나타내는 표시형태가 된다. 또한, 기록동작모드에 있어서, 기록중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표시 세그먼트의 일부의 것이 점멸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를 번호 124로 나타내고 있다. 물론, 각 표시 형태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는 다른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1)로 공급되는 각 신호중 PN1, PN2는 화각(畵角) 지정용 신호이고, 그 전위(電位)의 상태에 의해서, 희망하는 프린트 화각을 자기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화각 지정과 신호 전위의 조합의 예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2
[액정표시 패널에 의한 표시형태의 다른 예]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기록부 f(k)에 기록되는 기록데이터는 촬영의 년월일등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전부를 기록순서에 따라서 모두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12)에 표시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모든 데이터를 일괄표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표시 자릿수를 구비한 액정표시 패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기기록부 f(k)의 기록정보가 많은 경우에는 일괄표시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수 표시 자릿수를 구비한 큰 액정표시 패널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고, 또한 표시문자를 작게 하고 표시 내용량을 많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방법으로서는 표시내용을 보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그리하여, 액정표시패널로서, 표시 자릿수가 2자릿수 등과 같이 적은 것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확인할 필요성이 높은 데이터에 관하여는 항시 표시해두고, 항시 표시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에 관하여는 일정시간마다 표시하거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표시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기록데이터의 일부밖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록데이터의 순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전용 세그먼트를 설치하거나. 유니온젝을 사용하거나, 혹은 스크롤 표시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도에는 액정표시패널(12)이 2자릿수 표시패널인 경우의 기록데이터 표시 형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통상표시 130-1은 촬영필름의 표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기록데이터의 순서, 종별 및 내용을 전환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스위치단자(13, 14)의 조작에 의해, 전원투입시의 일정시간동안, 혹은 일정하게 계속되는 시간마다, 통상표시 130-1의 상태를, 확인표시 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확인표시 모드에서는 데이터의 순서대로 「년」「월」「일」「시」「분」「초」의 데이터를 전환 표시하면 된다.
또한, 표시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들의 데이터표시는「년」을 나타내는 「Y」, 「달」을 나타내는 「MO」, 「날」을 나타내는 「d」, 「시」를 나타내는「H」, 「분」을 나타내는 「MI」 및 「초」를 나타내는 「SE」가 표시된 후에 표시하면 된다.
제21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의 기록데이터의 순서 및 내용은 「1997 년 12월 31일 21시 15분 10초」이다. 확인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점등 시간의 경과마다, 표시상태가, 표시 130-2로부터 130-13을 향하여 순차로 교체되어, 표시 13-13으로 바뀐 후는 다시 통상의 표시상태 130-1로 되돌아간다.
제22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2자릿수 표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록데이터의 수정동작을 하는 경우의 표시제어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표시 130-1에 있는 표시패널(12)을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수정모드 130-20으로 전환된다. 이 수정모드 130-20에서는 우선, 기록데이터의 순서의 수정모드인 「Md」라고 표시된 표시로 바뀐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조작을 하여, 기록데이터의 순서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기록데이터의 순서로서는 후술하는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가지가 있다. 따라서, 기록데이터의 순서의 수정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희망하는 순서에 대응하는 번호를 스위치조작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행하면 무방하다.
이후는 스위치조작을 행함으로써, 기록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의 수정이 행하여 진다. 도면의 예에서는 년월일시분초의 순으로 수정을 행하게된다. 또한, 수정중에 있어서는 데이터내용을 나타내는 표시와,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표시가 교대로 전환된다.
제23도에 도시한 표시형태는 제22도에 있어서의 표시형태에,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전용 세그먼트(140)를 추가한 것이다. 이 경우의 수정모드를 제24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전용 세그먼트(140)의 표시형태는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가지로 전환된다. 또한, 「Y」「M」「D」는 「년」「월」「일」을 「24H」는 「24시간제에서의 시분」을, 「AM/PM」은 「AM/PM제에서의 시분」을 나타낸다. 이들이 모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모드는 데이터의 기록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다음에, 제26도에는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12)가 6자릿수 표시인 경우의 기록데이터의 표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통상표시에서는 필름수와, 시분이 표시되어 있다. 확인 모드로 이행하면, 그 밖의 데이터표시, 데이터의 순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표시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수정모드로 이행하면, 각 표시상태를 바꾸어 표시하여, 수정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순서는 기본적으로는 12가지의 것이 있고, 이들을 주기적으로 바꾸어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데이터를 일괄 표시하는 대신에, 그 일부만을 모니터용 백정표시패널(12)에 의해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기록데이터의 순서 종별, 내용을 주기적으로 바꾸어 표시하는 표시형태, 표시제어 형태를 채용하면, 표시자릿수가 적은 액정표시패널을 사용하더라도 기록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28(a)도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장치와 실시예 2를 도시 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장치(200A)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모듈장치(1)와 동일하다. 다른 점은 카메라 모듈장치(200A)에, 사진필름 F의 급송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포토 센서 PI1, PI2가 탑재되어 있는 점이다.
이 카메라 모듈장치(200)를 사용 가능한 카메라 본체측의 구성은 사진필름 F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카메라 본체의 우측이고, 로딩 방식이 노멀 로딩이다. 즉, 제2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필름 F가 1코머씩 급송되어 촬영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제30도에는 카메라 모듈장치(200A)가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의 장전방향이 우측인 노멀 와인드 카메라에 있어서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카메라 본체측에서 릴리스 스위치가 조작되면(시점 t11), 이것에 동기하여 셔터의 구동지령이 나오고, 필름 1코머의 촬영이 행하여 진다. 예를 들면, 제29(a)도에 있어서의 화살표가 있는 필름 F(k)에 화상이 찍힌다. 다음에, 일정한 타이밍을 두고, 카메라 본체측의 필름 급송 모터에 구동지령이 출력되어(시점 t12), 필름 감아 올림 동작이 개시된다.
필름 감아 올림 개시시점에서의 필름 F에 대한 카메라 모듈장치(200A)의 자기헤드(11)와, 2개의 포토 센서 PI1, PI2의 위치관계는 제29(a)도에 상하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사진필름 F가 감아 올려지면, 우선, 포토 센서 PI2의 검출위치를, 촬영종료의 필름 F(k-1)측의 퍼포레이션 P2(k-1)가 통과하여, 그 후에, 촬영 필름 F(k)의 퍼포레이션 P1(k)이 통과한다.
카메라 모듈장치(200A)의 제어회로에서는 이들 2개의 퍼포레이션의 통과시간, 즉, 제30도에 있어서의 시점 t13과 시점 t14간의 시간을 계측하여, 이 값에 근거하여, 필름 급송 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퍼포레이션 P1(k)의 검출시점 t14에 동기시켜, 자기헤드(11)에 의한 필름 자기기록부 f(k)로의 기록동작을 지령한다. 기록주파수(속도)는 산출한 필름 급송 속도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사진필름의 감아 올림이 계속되면, 포토 센서 PI1의 검출위치를, 필름 F(k)측의 퍼포레이션 P2(k)가 통과하여, 그 후에, 다음 촬영필름 F(k+1)의 퍼포레이션 P1(k+1)이 통과한다. 이 퍼포레이션 P1(k+1)이 통과종료시점 t15에 동기시켜, 필름 F의 감아 올림 동작의 중지지령을 출력한다. 이 결과, 다음 필름 F(k+1)가 촬영필름으로 된다. 즉, 제29(a)도에 있어서의 필름 F(k)의 위치로 이동하여, 그리하여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촬영 및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동작이 계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200A)는 필름 F의 퍼포레이션 P1, P2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센서 PI1, PI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헤드(11)의 기록타이밍을, 카메라 본체측으로부터 받을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 종래에 있어서는 카메라 본체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릴리스 스위치에 연결된 신호, 혹은 필름 급송 모터에 연결된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것에 근거하여 기록타이밍을 결정하여 자기헤드를 구동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출력용 단자를 구비하지 않은 카메라에 대하여는 카메라 모듈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200A)를 사용하면, 그와 같은 신호출력용 단자를 구비하지 않은 카메라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200A)는 사진필름 F의 급송 상태(급송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급송 속도)를 직접으로 검출하여 이것에 근거하여 자기헤드(11)의 기록타이밍, 기록속도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사진필름이 급송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기헤드가 오류 동작하여 기록이 개시되어 버리는 불편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자기헤드(11)의 기록속도와, 사진필름 F의 급송 속도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자기기록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폐해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20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 급송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포토 센서 PI1, PI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측에 탑재되어 있는 필름급송 모터의 구동제어도, 카메라 모듈장치(200A)의 제어회로 측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모듈장치(200A)는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우측인 노멀 로딩 방식의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 카메라 모듈장치(200A)를 카트리지 장전방향, 로딩 방식이 다른 카메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기헤드(11) 및 2개의 포토 센서 PI1, PI2가 설치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즉, 제28(b)도, 제30(b)도에는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우측인 로딩 방식의 카메라에 사용 가능한 카메라 모듈장치(200B)를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39(c)도 및 제30(c)도에는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좌측인 노멀 로딩 방식의 카메라에 사용 가능한 카메라 모듈장치(200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29(d)도 및 제30(d)도에는 카트리지 장전 방향이 좌측인 프리 로딩 방식의 카메라에 사용 가능한 카메라 모듈장치(200D)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자기헤드(11) 및 2개의 포토 센서 PI1 PI2의 설치위치를 변경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
제31도에는 상기의 카메라 모듈장치(200A)의 변형예와 관계 있는 카메라모듈장치(300A)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300A)에는 단일의 포토 센서 PI이 갖춰져 있을 뿐이다. 이것 이외의 구성은 카메라 모듈장치(200A)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메라 모듈장치(300A)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작하여, 사진필름 F의 급송 상태(급송 속도 등)를 검출하여,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 타이밍제어, 필름 급송 모터의 구동제어를 행한다.
우선, 이 카메라 모듈장치(300A)를 사용 가능한 카메라 본체측의 구성은 사진필름 F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카메라 본체의 우측이고, 로딩 형태가 노멀 로딩 방식인 것이다. 즉,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으로 사진필름 F가 1코머씩 급송되어 촬영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제32(b)도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카메라 본체측에서 릴리스 스위치가 조작되어(시점 t21), 이것에 동기하여 셔터의 구동지령이 출력되어 필름 1코머의 촬영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제32(a)도에 있어서의 화살표가 있는 필름 F(k)에 화상이 찍힌다.
다음에, 일정한 시간을 두고, 카메라 본체측의 필름 급송 모터를 구동하여 필름을 감아내기 위한 지령이 출력된다(시점 t22). 필름감기 동작에 의해서, 포토센서 PI의 검출위치를, 촬영필름 F(k)의 퍼포레이션 P1(k) 및 촬영종료의 필름 F(k-1)의 퍼포레이션 P2(k-1)가 통과한다. 이 퍼포레이션 P2(k-1)가 통과 종료 후에, 소정의 타이밍을 두고, 필름 F의 감기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지령이 출력되고 (시점 t23), 필름 감기가 정지한다.
그 후에, 일정한 타이밍을 두고, 필름 F의 감아 올림 지령이 출력되며(시점 t24), 필름 감아 올림 동작이 개시한다. 이 감아 올림 동작에 의해서, 포토 센서 PI의 검출위치를, 퍼포레이션 P2(k-1) 및 P1(k)이 이 순서로 통과하며 그것이 검출된다 (시점 t25, t26). 이들의 검출시점 간의 시간에 근거하여, 카메라 모듈장치(300A)의 제어회로에서는 필름 급송 속도를 산출하여, 필름 급송 속도에 알맞은 자기헤드(11)에 의한 기록속도(주파수)를 결정한다.
다음에, 시점 t26으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을 둔 후에, 자기헤드(11)에 대하여 구동지령을 출력하여(시점 t27), 자기헤드(11)에 의해서 자기기록부 f(k)로의 기록을 행한다.
이후는 다음의 촬영필름 F(k+1)의 퍼포레이션 P1(k+1)이 검출된 시점 t28에 동기시켜, 필름 감기동작을 정지하는 지령을 출력한다 이 결과, 다음 필름 F(k+1)이 촬영필름으로 된다. 이후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촬영 및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동작이 계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300A)는 상기한 카메라 모듈장치(200A)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우선, 단일의 포토 센서 PI를 사용하여 자기헤드(11)의 기록타이밍, 사진필름의 급송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장치구성을 간단하면서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포토 센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 및 로딩 방식이 다르더라도, 2종류의 모듈구조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제31(a)도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장치(300A)와, 제31(b)도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장치(300B)를 준비해 두면 좋다. 카메라 본체측이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우측인 경우에는 로딩 방식에 관계없이, 카메라 모듈장치(300A)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카메라 본체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좌측인 경우에는 로딩 방식에 관계없이, 카메라 모듈장치(300B)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장치(300A)의 변형예]
여기에서 상기 구성의 카메라 모듈장치(300A)의 구성을 고안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전방향 및 로딩 방식의 다른 카메라에 공용 카메라 모듈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33도에는 이를 위한 구성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장치(400)를 도시하고 있다. 제3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장치(400)의 테두리판(15a)에는 거의 중앙에, 액정표시 패널장착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 양측에는 점대칭의 상태로, 각각, 자기헤드 장착부(15a)(1), 포토 센서 장착부(15e)(1) 및 자기헤드 장착부(15a)(2), 포토 센서 장착부(15e)(2)가 형성되어 있다.
어느 한쪽의 자기헤드 장착부 및 포토 센서 장착부에, 각각 자기헤드(11) 및 포토 센서 P1를 장착한다. 카메라 본체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이 우측인 경우에는 자기헤드 장착부(15a)(1) 및 포토 센서 장착부(15e)(1)측에 각각 자기헤드(11) 및 포토 센서 PI를 장착한다. 카트리지 장착방향이 좌측인 경우에는 반대측에 각각 자기헤드(11), 포토 센서 PI을 장착한다.
이후는, 제3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점대칭의 형상을 한 회로기판 (16A)을 설치한다. 다음에, 제3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A)에 대하여 신호선,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를 접속한다. 이 신호선이 부착된 위치도,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후에는 제33(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A)의 이면에 차광시일(18A)이 점착되어진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 모듈장치(400A)를 얻게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압판 일체형인 경우에는 제33(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A)의 이면에 압판(3A′)도 일체로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예의 카메라 모듈장치(400)에 있어서는 공통부품을 사용하여, 자기헤드(11)와 포토 센서 PI의 부착위치만을 변경하면, 카메라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2종류의 모듈구조를 준비해 둘 필요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측에 이러한 기능을 부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메라본체측에 특별한 회로를 부설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카메라 본체측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측에서 작성 편집한 기록 총 데이터를 카메라 모듈장치측으로 보내는 통신기능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카메라 본체측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서는 필름장전시에, 실제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록하려고 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동작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자기체크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항상 적정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서는 사진필름의 급송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자기헤드에 의한 기록타이밍 등을 항상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 측의 필름 급송 모터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자기헤드를 판스프링로 이루어진 한쌍의 단자판을 통해 회로기판측에 지지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판과 회로기판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사진필름의 급송 방향이 어느 것이라도, 항상 자기헤드를 사진필름에 대하여 적절한 상태로 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기록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과 자기헤드가 장치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장치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빛의 누설에 의한 폐해, 누설 자계에 의한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자기헤드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헤드 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이들의 헤드장착부를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자기헤드의 장착위치를 바꾸기만 해도, 카메라 본체측의 카트리지 장전방향, 로딩 방식에 대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의 표시형태를 복수의 전환스위치에 의해서 바꾸어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회망하는 데이터를 신속히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의 수정 등의 조작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는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의 표시형태를,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그것과는 다른 내용을 표시하는 통상 표시 모드와, 데이터의 순서, 및 종별 및 내용을 순차로 전환 표시 가능한 화인 표시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일괄표시가 가능하지 않은 표시 자릿수의 액정표시패널을 모니터용 액정표시 패널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카메라 본체에 장착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형성된 자기기록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기록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수단과, 데이터를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 기록하는 자기기록수단과, 상기 자기기록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기기록수단은, 사진필름의 자기기록부에서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기록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회로와, 당해 기록데이터가 기록된 후의 상기 자기기록부에서 판독한 판독데이터를 상기 기억회로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기록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회로와,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기록동작의 양부(良否)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2. 카메라 본체에 장착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형성된 자기기록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용 액정패널과, 당해 모니터용 액정패널의 표시형태를 전환하는 복수의 전환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환스위치는 제1 및 제2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1표시 루틴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전환되고, 상기 제2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2표시 루틴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3. 카메라 본체에 장착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형성된 자기기록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수단은 자기헤드와, 상기 자기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단자판과, 자기헤드 구동회로 패턴 등이 형성된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판은 사진필름의 감아 올림 방향으로 배열되고, 그들의 일단측이 탄성력을 수반하여 상기 회로기판측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다른측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4. 카메라 본체에 장착가능하고,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필름에 형성된 자기기록부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자기기록수단을 구비한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헤드장착부를 구비하고, 이들의 헤드장착부는 장치본체의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내에서 급송되는 사진필름의 급송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급송되는 사진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퍼포레이션(perforation)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photosensor)를 구비하며, 장치본체의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포토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KR1019970701874A 1995-07-18 1996-07-17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KR100264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1968 1995-07-18
JP18196895 1995-07-18
PCT/JP1996/001982 WO1997004351A1 (fr) 1995-07-18 1996-07-17 Appareil module d'appareil photographique pour enregistrement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522A KR970706522A (ko) 1997-11-03
KR100264190B1 true KR100264190B1 (ko) 2000-08-16

Family

ID=1611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874A KR100264190B1 (ko) 1995-07-18 1996-07-17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2961A (ko)
KR (1) KR100264190B1 (ko)
CN (1) CN1165569A (ko)
TW (1) TW351777B (ko)
WO (1) WO1997004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489B1 (en) * 1998-01-29 2001-07-24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film support device and magnetic head securing method for the same
CN111209906B (zh) * 2019-12-31 2023-05-30 山东学献教学用品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技术的书写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540A (ja) * 1992-10-26 1994-05-2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データ記録用モジュ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036A (en) * 1987-08-21 1989-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Vertical shaft rotary motor
JPH0714981Y2 (ja) * 1988-04-11 1995-04-10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制御装置
US4947196A (en) * 1988-10-07 1990-08-0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130728A (en) * 1989-10-27 1992-07-14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able camera
JP2536819Y2 (ja) * 1990-09-17 1997-05-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用磁気ヘッド装置
US5479228A (en) * 1991-01-31 1995-12-2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using a film with a magnetic memory portion and having a control unit for causing recording of predetermined data together with the ID for voluntarily set data
JPH0695234A (ja) * 1992-09-14 1994-04-0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3017884B2 (ja) * 1992-06-26 2000-03-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磁気記録装置
US5335029A (en) * 1992-06-26 1994-08-02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ic recording system for camera using film with magnetic recording portion
JPH06138536A (ja) * 1992-10-28 1994-05-20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情報記録装置
US5469313A (en) * 1993-02-09 1995-11-21 Konica Corporation Supporting device for a magnetic head which records/reproduces information from a magnetic layer of a photographic film
JP3294377B2 (ja) * 1993-05-11 2002-06-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H06332058A (ja) * 1993-05-18 1994-12-02 Minolta Camera Co Ltd 磁気記録可能なカメラ
JPH07175120A (ja) * 1993-12-20 1995-07-14 Nikon Corp カメラの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2938745B2 (ja) * 1993-12-27 1999-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US5862424A (en) * 1994-03-28 1999-01-19 Noritsu Koki Co., Ltd. Photography processing equipment, and device which keeps a film in place in the photography processing equipment and a method for reading/writing information magnetically recorded in film
JPH07333720A (ja) * 1994-06-08 1995-12-22 Minolta Co Ltd 磁気記録機能を備えたカメラ
US5666186A (en) * 1994-07-20 1997-09-09 Eastman Kodak Company Text interface for still photographic camera with data recording cap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540A (ja) * 1992-10-26 1994-05-20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データ記録用モジュ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2961A (en) 2000-06-06
WO1997004351A1 (fr) 1997-02-06
TW351777B (en) 1999-02-01
KR970706522A (ko) 1997-11-03
CN1165569A (zh) 199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38536A (ja) カメラの情報記録装置
KR100264190B1 (ko) 데이터기록용 카메라 모듈장치
KR100199045B1 (ko) 자기기록헤드를 가진 카메라 및 자기기록장치
US5502527A (en) Camera capable of magnetic recording
US5600385A (en) Camera with magnetic recording/reading device
JP2002040536A (ja) カメラの電源制御方法
US5598236A (en) Camera using a film having a magnetic recording portion
US5555252A (en) Magnetic record/reproduce module for camera
JP3286013B2 (ja) カメラの磁気記録装置
JPH08122906A (ja) カメラの圧板部取付構造
KR100249457B1 (ko) 카메라의 장치 및 필름의 위치벗어남대책장치
JPH10301187A (ja) 磁気記録装置
JP2728964B2 (ja) カメラのデータ記録装置及びカメラ
US6347194B2 (en)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head, reading head, and winding portion with internal motor
JP2571925B2 (ja) デ−タバツクアツプ装置をもつカメラの動作モ−ド切換装置
JPH118948A (ja) バッテリー交換可能な装置
JP3050726B2 (ja) カメラ
JPH1145402A (ja) 磁気記録装置
JPH07287293A (ja) 情報写し込みカメラ
JP2000258835A (ja) カメラ
JPH055942A (ja) カメラ
JPH049021A (ja) データ写し込み機能付カメラ
JPH07168262A (ja) 記録媒体給送装置
JPH08152670A (ja) 磁気記録部付フィルムを用いるカメラ
JP2001013575A (ja) フィルム給送装置を備え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