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230B1 -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230B1
KR100255230B1 KR1019970031871A KR19970031871A KR100255230B1 KR 100255230 B1 KR100255230 B1 KR 100255230B1 KR 1019970031871 A KR1019970031871 A KR 1019970031871A KR 19970031871 A KR19970031871 A KR 19970031871A KR 100255230 B1 KR100255230 B1 KR 10025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redetermined range
data
spe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086A (ko
Inventor
미쯔마사 구보
유이찌 사까모또
다다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9800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eccentricity of the disc or disc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저품질 CD-ROM의 재생 시간이 길어질 때가 있다.
12배 속도(제 2 속도)로 데이터를 재생하기에 앞서, 8배 도(제 1 속도)로 디스크(4)를 회전하고, 트래킹 서보 루프 및 포커스 서보 루프의 이득을 낮추어서 등가적으로 12배 속도시의 서보 상태를 조작하고, 서보가 성립하지 않을 때에는 12배 속도에서의 재생은 무리라고 판단하여, 8배 속도로 재생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CD-ROM 드라이브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데이터 재생장치 및 이를 사용한 데이터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CD-ROM은 CD (콤팩트 디스크)를 ROM (리드·온리·메모리)으로 사용한 것으로서, 반도체 ROM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고속처리가 요구되므로, CD-ROM의 주사속도(선속도)를 오디오용 CD의 표준주사속도(1.2~1.4m/s)의 수 배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CD-ROM 드라이브 장치로 사용하는 CD-ROM은 오디오용 CD와 동일규격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고속주사를 위하여 제작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CD-ROM을 드라이브장치에 의해 예컨대 표준주사속도의 12배와 같은 고속으로 주사하면, 디스크의 편심을 보정하기 위한 트래킹 제어에 무리가 가해지고, 트래킹 제어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대물렌즈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형의 코일을 포함하는 트래킹 액츄에이터의 온도가 상승되고, 트래킹 제어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고, 최악의 경우는 코일이 소실·훼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속으로 주사하면, 디스크면의 진동 즉 디스크의 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디스크가 진동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포커스 제어에 무리가 가해져, 포커스 제어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대물렌즈를 디스크의 주면에 수직방향(광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형의 코일을 포함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온도가 상승되고, 포커스 제어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코일이 소실·훼손될 우려가 있다.
트래킹 제어성능 및 포커스 제어성능이 저하하면 디스크상에서 데이터의 판독 에러가 발생하고, 재판독(리츄라이)이 필요하게 되어 고속재생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편심이나 중량의 언밸런스가 큰 품질이 나쁜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뿐만 아니라 CD-ROM 드라이브 장치 전체가 진동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동일 케이스에 CD-ROM장치(HDD)에도 진동이 파급되고, HDD의 판독/기록에 에러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HDD의 판독/기입에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하더라도 CD-ROM 드라이브장치의 진동은 사용자에게 나쁜 인상을 준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CD-ROM의 편심이나 중량의 언발란스를 저감시키면 해결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CD-ROM의 품질의 불균일성이 크고, 고속주사에 적합하지 않는 것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기록매체 디스크와 저품질의 기록매체디스크 어느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여 최대한 고속으로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CD-ROM 드라이브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광픽업, 트래킹 서보회로, 포커스서보회로, 및 판독 출력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모터서보 회로를 상세히 보여주는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 제어기에서의 트래킹 서보로크 해제검출수단 및 포커스서보로크 해제검출수단 및 디스크속도 설정수단 등을 등가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디스크 5 : 모터
6 : 광픽업 8 : 회전 서보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형태로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디스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상기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광빔이 상기 디스크에서 반사됨으로써 얻어진 반사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지수단과, 대물렌즈와 디스크와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 검출수단과, 상기 간격검출수단으로 검출한 간격이 소망값이 되도록 상기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간격제어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간격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간격이 소정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디스크와의 간격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해독할 수 있는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의 단계와, 상기 제 2의 단계에서 상기 간격이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제어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2 값으로 내리고, 다시 상기 간격이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간격이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도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3 값으로 올리고, 상기 제 2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을 통해 판독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간격이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 값으로부터 제 1 값 또는 이와 가까운 값으로 올리고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 5항에서와 같이, 트래킹 제어수단의 이득을 낮추어 트래킹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기인하여 제 2 속도로 데이터를 판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9항에서와 같이, 간격제어수단(포커스 제어수단)과 트래킹 제어수단 양쪽의 이득을 낮추어 포커스 상태 및 트래킹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기인하여 제 2 속도로 데이터를 판독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 2항, 제 6항, 제 10항에서와 같이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 즉 포커스상태가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광검지수단의 출력에 기인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제 7항, 제 11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빔의 트랙으로부터의 이탈 즉 트래킹상태가 소정범위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광검지 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 제 5 항, 제 9 항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 13 항, 제 14항, 제 15 항에서와 같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 1 ~ 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CD-ROM 드라이브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호스트 컴퓨터(1)와, CD-ROM 드라이브장치(2)를 보여준다. CD-ROM 드라이브장치(2)는 호스트컴퓨터(1)에 대한 데이터의 공급원으로서 가능하고, 양자는 버스(3)로 접속되어 있다.
CD-ROM 드라이브장치(2)는, CD로 이루어진 광기록매체디스크(CD-ROM;4), 디스크회전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디스크 회전모터(5), 신호변환기로서 기능하는 광픽업(6)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모터(5)와 함께 주사구동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광픽업 이송수단(7), 디스크(4)의 회전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모터서보회로(8), 파형정형회로(9), 동기 검출 및 복조회로(10), PLL 회로(11), 에어검출 및 정정회로(12), 인터페이스회로(13), 마이크로프로세서(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진 시스템 제어기(14), 프로그램 ROM(15), 가변로크 발생기(16), 트래킹서보회로(17), 및 포커스 서보회로(18)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상기 CD-ROM 드라이브장치(2)는 표준주사속도(1.2~1.4m/s)의 12배가 되는 속도 또는 이보다 낮은 속도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CD-ROM)(4)는 모터(5)에 결합된 스핀들(19)을 분리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중심공(20)을 가지며,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공(20)을 중심으로 디스크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나선 형상의 트랙(21)을 가진다. 트랙(21)에는, 8비트를 1바이트로해서, 2352바이트를 1단위(1데이터블럭)로 한 다수의 데이터 블럭 형식으로 데이터가 광학비트로 기록되어 있다. 1 데이터 블럭은 오디오의 CD 주사속도(1.2~1.4m/s)와 동일한 표준속도로 재생할 경우 1/75초로 재생된다. 더욱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CD 및 CD-ROM에서 데이터는 일정 선형 속도 즉 CLV(Constant Linear Velocity)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는 CLV로 재생된다. 디스크(4)와 광픽업(6)의 상대적인 주사운동을 CLV로 설정하기 위하여, 디스크(4)의 안쪽 즉 트랙의 최내주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주사가 진행됨에 따라 디스크(4)의 회전수를 낮춘다.
광픽업(6)은 주지된 것으로서, 도 2에 설명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레이저광원(22)과, 빔분할기(23)와, 평행광선을 얻기 위한 콜리메이터 렌즈(24)와, 1/4 파장판(25)과, 대물렌즈(26)와, 반사광빔의 광노에 배치된 실린드리칼렌즈(원통의 일부와 같은 렌즈)(27)와, 4분할형광검출기(28)와, 트래킹 제어용 액츄에이터(29)와, 포커스제어(간격제어)용 액츄에이터(30)로 이루어진다.
광픽업(6)은 광원(22)으로부터 방사한 광빔을 대물렌즈(26)로 집속시켜 디스크(4)의 주변에 투사하고, 디스크(4)에 광학피트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해독한다. 광학피트는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트랙(21)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무변조광빔을 재생빔으로서 디스크(4)에 투사하면, 재생빔이 피트로 변조되고, 광검출기(28)로 입사하는 반사광빔(31)은 변조빔이 된다. 광검출기(28)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검지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검출기(28)를 트래킹 제어와 포커스 제어에 겸용하기 위하여 A,B,C,D로 표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더욱이, 화살표(32)로 표시된 제 1 및 제 2 부분 A, B의 분할선방향 및 제 3 및 제 4 부분 C, D의 분할선방향은 트랙(21)의 접선방향과 일치되어 있다. 더욱이, 주지하는 3빔방식 또는 3 스포트법이라고 호칭되고 있는 형식의 광픽업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3빔 방식의 경우에는 1개의 빔이 데이터 재생과 포커싱에 사용되고, 도 2의 제 1 및 제 4 부분 A~D에서 검출되고, 나머지 2개의 빔은 도시가 생략된 별도의 2개의 트래킹용 광검출기에서 검출된다.
트래킹 액츄에이터(29)는 주지의 보이스코일형 액츄에이터로서, 도 2에서 원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26)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코일(33)과 이에 자속을 부여하기 위한 영구자석(34)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를 가지며, 코일(33)에 흐르는 전류에 대하여 대물렌즈(26)를 화살표(35)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의 주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물렌즈(26)를 화살표(35)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크(4)상의 광스포트(36)는 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더욱이, 대물렌즈(26)를 이동시키는 대신, 광빔의 통로에 미러를 배치하고, 상기 미러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디스크(4)상의 광포트(36)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코일(33)은, 트래킹의 기능외에, 탐색시에 광빔을 목표트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도 갖는다. 이동코일(33)로 광빔을 목표트랙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일반적으로 점핑신호로 호칭되는 탐색신호를 도 1의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 2의 구동증폭기(45)로 공급한다.
포커스 액츄에이터(30)는, 주지한 보이스 코일형 액츄에이터이며, 도 2에 원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26)가 연결되어 있다. 코일(37)과 이에 자속을 부여하기 위한 영구자석(38)을 포함한 자기회로를 가지며, 코일(37)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도록 대물렌즈(26)를 화살표(39)로 표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의 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물렌즈(26)가 화살표(39) 방향으로 이동하면, 디스크(4)와 대물렌즈(26)의 간격이 변화하고, 디스크(4)상의 광스포트(36)의 포커스 상태가 변화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트래킹 서보회로(17)는, 2개의 가산기(40),(41)와, 1개의 감산기(42)와, 스위치(43)와, 위상보상회로(44)와, 구동증폭기(45)와, 이득변환수단(46)을 가진다. 제 1 가산기(40)는 광검출기(28)의 제 1 및 제 4 부분 A,D의 출력을 가산한다. 제 2 가산기(41)는 광검출기(28)의 제 2 및 제 3 부분 B,C의 출력을 가산한다. 감산기(42)는 제 1 가산기(40)의 출력으로부터 제 2가산기(41)의 출력을 감산한다. 상기 감산기(42)의 출력은 트래킹 제어신호이며, 스위치(43)와 위상보상회로(44)와 구동증폭기(45)를 통해 트래킹용코일(33)로 공급된다. 광검출기(28)의 제 1 ~ 제 4 부분 A ~ D 로부터 트래킹 제어신호를 얻는 방법은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법으로 주지되어 있다. 더욱이, 트래킹 제어신호를 온·오프하기 위해 스위치(43)는 도 1의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48)의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온·오프한다.
위상보상회로(44)는, 로우패스필터(LPF)와 하이패스필터(HPF)를 조합한 주지의 필터회로이며,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49)의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필터의 정수를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LV 주사의 경우에는 디스크(4)의 회전속도가 주사위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므로, 위상보상회로(44)의 정수를 단계적으로 변환하는 것은 주지된 기술이다. 더욱이, 도 2에서는 위상보상회로(44)가 스위치(43)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으나, 감산기(42)와 스위치(43) 사이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감산기(42)와 위상보상회로(44) 사이에, 일반적으로는 AGC(자동이득조정)회로 및 고주파노이즈 제거용 로우패스 필터를 설치하지만, 도 2 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생락되어 있다. 위상보상회로(44)와 코일(33) 사이에 접속된 구동증폭기(45)는 가변저항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득변환수단(46)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이득 변환수단을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50)의 제어신호로 제어하면, 구동증폭기(45)의 이득 즉 서보루프의 이득이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주사속도의 2배, 4배, 8배 및 12배의 속도에 대응해서 서보게인이 변환되는 외에, 디스크 품질의 체크시에도 변환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포커스 서보회로(18)는 2개의 가산기(51),(52)와, 1개의 감산기(53)와, 스위치(54)와, 위상 보상회로(55)와, 구동증폭기(56)와 이득변환수단(57)을 갖는다. 한쪽 가산기(51)는 광검출기(28)의 제 1 및 제 3 부분 A,C의 출력을 가산한다. 다른쪽 가산기(52)는 광검출기(28)의 제 2 및 제 4 부분 B,D의 출력을 가산한다. 감산기(53)는 한쪽 가산기(51)의 출력으로부터 다른쪽 가산기(52)의 출력을 감산한다. 감산기(53)의 출력은 포커스 제어신호 즉 간격검출 신호로서 스위치(54)와 위상보상회로(55), 위상증폭회로(56)를 통해 포커스용 코일(37)로 공급된다. 광검출기(28)의 제 1 ~ 제 4 부분 A ~ D로부터 포커스 제어신호를 얻는 방법은, 비점 수차법(astigmatic method)으로서 주지되고 있다. 더욱이, 포커스 제어신호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54)는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59)으로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온·오프한다.
위상보상회로(55)는 트래킹 서보회로(17)의 위상보상회로(44)와 동일한 것으로서, 로우패스필터(LPF)와 하이패스필터(HPF)를 조합한 주지의 필터이며,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60)의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필터의 정수를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2에서는 위상보상회로(55)가 스위치(54) 사이에 접속될 수 있고 감산기(53)와 스위치(54)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감산기(53)와 위상보상회로(55) 사이에, 일반적으로 AGC(자동이득조정)회로 고주파 노이즈 제거용 로우패스 필터를 설치하지만, 도 2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생략되어 있다. 위상보상회로(55)와 코일(37) 사이에 접속된 구동증폭기(56)는 가변저항으로 표시되어 있는 이득변환수단(57)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이득변환수단(57)을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61)의 제어신호로 제어하면, 구동증폭기(56)의 이득 즉 서보루프의 이득이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배, 4배, 8배 및 12배 속도에 따라 서보게인이 변환되는 외에, 디스크 품질 체크시에도 서보게인이 변환된다.
데이터의 판독출력은 광검출기(28)의 제 1 ~ 제 4 부분 A ~ D의 출력을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2에서는 트래킹 서보회로(17)의 2개의 가산기(40),(41)의 출력을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62)가 설치되고, 상기 가산기(62)의 출력라인(63)을 통해 데이터의 판독출력이 얻어진다. 도 2에서는 트래킹 서보용 가산기(40),(41)의 출력을 가산기(62)에 입력시키고 있으나, 그 대신 포커스용 가산기(51),(52)의 출력을 가산기(62)에 입력시킬 수 있고, 또한 데이터 검출용으로 독립적인 가산기를 설치해서 제 1 광검출기(28)의 부분 A ~ D 의 출력을 가산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의 광픽업(6)과 파형정형회로(9), 트래킹 서보회로(17) 및 포커스 서보회로(18)의 접속관계는 완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가산기(40,41,51,52,62), 감산기(42 및 53)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광픽업(6)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의 이송수단(7)은,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의 회전운동을 광픽업(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예컨대 피니온과 랙 또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한다. 이송수단(7)은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라인(64)을 통해 공급되는 탐색지령에 응답하여 광픽업(6)을 목표트랙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외에, 소용돌이형 주사기능을 갖는다. 이송수단(7)은 소용돌이형 제어 신호를 얻기 위한 로우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우패스 필터로 트래킹 서보회로(17)로부터 라인(65)을 통해 공급된 트래킹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용돌이형 트랙(21)에 기인한 광스포트(36)의 디스크 반경방향의 변위를 표시하는 성분을 검출하고, 이 변위성분에 상당하는 이송을 광픽업(6)에 부여한다.
광픽업에 접속된 파형정형회로(9)는 광픽업(6)으로부터 얻어진 광학피트의 배열에 대응된 고주파(RF)신호를 증폭한 후에 파형정형해서 2치화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크(4)에는 주지된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방식의 변조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정상적으로 판독되었을 때의 파형정형회로(9)의 출력은 EFM 신호이다.
파형정형회로(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상태 판정수단의 일부로서도 기능하며, 라인(66)에 의해 트래킹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14)로 보낸다. 즉, 트래킹 서보의 로크가 이탈되었을 때에는 트래킹 서보회로(17)에 의해 광스포트(36)를 트랙(21)상에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광스포트(36)가 디스크(4)의 반경방향으로 대폭 변위되어, 트랙(21)을 횡단한다. 이때 반사광 빔을 광검출기(28)로 검출하고, 이 출력을 파형정형회로(9)로 파형정형하면, 광스포트(36)가 트랙(21)을 횡단할때마다 광학피트에 의해 광빔의 변조를 표시하는 펄스가 파형정형회로(9)로부터 얻어진다.
픽업(6)의 출력라인(63)에 접속된 파형정형회로(9)는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와 PLL(Phase Locked Loop)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PLL 회로(11)는 파형정형회로(9)에서 얻어진 EFM 신호의 각 비트에 동기한 재생클럭신호(동기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더욱이, PLL 회로(11)에서 VCO 의 중심주파수의 변환제어를 위해 PLL 회로(11)는 라인(67)에 의해 시스템 제어기(14)에도 접속되어 있다.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는, PLL 회로(11)가 블럭상태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 즉 PLL 회로(11)가 EFM 신호에 동기해서 작동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 동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PLL 회로(11)로부터 얻어진 재생클럭신호(동기신호)를 라인(68)을 통해 모터서보회로(8)로 이송한다. 또한,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는 PLL 회로(11)가 EFM 신호에 동기하고 있는 경우 즉 로크 상태인 경우에, 재생클럭신호 즉 동기신호를 사용해서 EFM 신호를 예컨대 NRZ(Non Return to Zero)의 디지틀신호를 복조하고, 라인(69)으로 출력한다.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는 디스크(4)에 CD 포멧에 따라 데이터 블럭과 함께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의 복조신호를 라인(70)에 의해 시스템 제어기(14)로 보낸다. 라인(70)의 어드레스는, 목표어드레스에 광픽업(6)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탐색에 통지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에 접속된 주지의 에러검출 및 정정회로(12)는, 복조된 데이터(재생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 정정가능하면 정정한다. 에러검출 및 정정회로(12)는 인터페이스회로(13) 및 시스템 제어기(14)에 접속되어 있다.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재생에러가 발생했을 때는 주지의 방법으로 데이터의 재판독(리츄라이)이 실행된다. 더욱이, 파형정형회로(9)와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와 에러검출 및 정정회로를 합해서 재생신호처리수단이라고 부른다.
인터페이스회로(13)는 에러검출 및 정정회로(12)와 호스트컴퓨터(1)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호스트컴퓨터(1)와 시스템 제어기(1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클럭발생기(16)는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속도지령 데이터버스(71)에 접속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기(14)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표준주파수 f1 의 기준 클럭신호 및 표준주파수 f1의 2배, 4배, 8배, 12배의 주파수 f2,f4,f8,f12 의 기준클럭신호 중 어느 하나를 라인(72),(109)을 통해 모터 서보회로(8)와 에러검출 및 정정회로(12)로 공급한다.
모터서보회로(8)는 동기신호라인(68), 속도지령 데이터버스(71), 클럭라인(72)에 의해 동기신호검출 및 복조회로(10)와, 제어기(14)와 로크펄스발생기(16)에 접속되어 있는 외에, 라인(74)에 의해 FG(주파수 신호 발생기)(73)에 접속되고, 다시 라인(75)에 의해 제어기(14)에 접속되며, 또한 이 출력 라인(76)이 모터(5)에 접속된다.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서보회로(8)는 CLV 서보회로(8a)와 CAV(Confant Anqular Velocity : 일정각 속도)서보회로를 갖는다. CLV 서보회로(8a)는 f-v(주파수-전압)변환기(81)와 기준전압발생기(82)와 오차 증폭기(83)와 위상비교기(84)와 가산기(85)로 이루어진다. CAV 서보회로(8b)는 f-v 변환기(86)와 기준전압발생기(87)와 오차증폭기(88)로 이루어진다. CLV 서보회로(8a)에서 f-v 변환기(81)는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의 재생클럭신호라인 즉 동기신호력 라인(68)에 접속되어 있으며, 재생클럭신호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신호 즉 f-v 변환출력신호를 형성한다. 기준전압발생기(82)는 시스템 제어기(14)에 접속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버스(71)를 통해서 공급되는 기준주파수 지정데이터 즉 속도지령 데이터에 기인해서 예컨대 표준, 2배, 4배, 8배, 12배의 속도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의 속도데이터로 이루어진 5단계(제로를 포함하면 6단계)의 기준전압을 선택적으로 발생한다. f-v 변환기(81)와 기준전압발생기(82)에 접속된 오차증폭기(83)는 f-v 변환기로부터 얻어진 주파수 대응전압과 기준전압(속도지령 전압)과의 차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 오차신호를 발생한다. 위상 비교기(84)는 동기검출 및 복조회로(10)의 재생크로크신호 출력라인(68)과 클럭발생기(16)의 출력라인(72)에 접속되고, 재생클럭신호와 기준 클럭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 즉 위상오차신호를 발생한다. 가산기(85)는 오차증폭기(83)와 위상비교기(84)에 접속되고, 주파수 오차신호와 위상오차신호를 가산한 신호 즉 합성오차신호를 형성한다.
CAV 서보회로(8b)의 f-v 변환기(86)는 FG 펄스라인(74)에 접속되고, FG 펄스의 주파수 즉 모터(5)의 회전수에 대응한 전압을 출력한다. 기준전압발생기(87)는 속도지령버스(71)에 접속되고, 제어기(14)에서 지령된 속도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을 발생한다. 오차증폭기(88)는 f-v 변환기(86)의 출력과 기준전압발생기(87)의 출력 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CLV 제어신호와 CAV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스위치(89)의 한쪽 단자(90)에 CLV 서보회로(8a)의 가산기(85)가 접속되고, 다른쪽 단자(91)에 CAV 서보회로(8b)의 오차증폭기(88)가 접속되고, 스위치(89)와 출력단자(92)는 구동증폭기(93)를 통해 모터(5)의 구동라인(76)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89)는 시스템 제어기(14)로부터 도출된 라인(75)의 신호로 제어된다. 더욱이 도 3에서는 모터서보회로(8)가 아날로그 회로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틀 신호처리회로(DSP)로 구성할 수 있다.
FG(주파수신호발생기)(73)는 모터(5)에 결합되어, 모터(5)의 회전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펄스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5)가 1회전하면 FG(73)는 6개의 펄스를 발생한다. FG(73)는 라인(74)에 의해 모터 서보회로(8)에 접속되어 있을 뿐아니라, 제어기(14)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14)에서 FG 펄스는, 회전속도정보로 사용되는 동시에, 디스크(4)의 1회전기간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도 1에서, 포커스상태 검출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광픽업(6)의 출력라인(63)에 시스템 제어기(14)가 라인(94)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라인(94)은 도 2에 도시된 광검출기(28)의 출력신호레벨에 따라 포커스 상태를 알기 위해 이 출력신호를 시스템 제어기(14)로 보낸다.
재생제어수단인 시스템 제어기(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고, CPU 와 각종 작업을 행하기 위한 RAM을 포함하며, 이에 접속된 프로그램 ROM(15) 즉 동작제어용 ROM 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제어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더욱이, ROM(15)을 시스템 제어기(14)내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 제어기(14)의 일부를 등가적 즉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기(14)는, 모드변환신호발생수단(95)과, 트래킹 서보 해제 검출수단(96), 포커스 서보 클럭 해제검출수단(97), 분주기(98), 모터(5)의 회전속도 즉 광주파수의 선속도를 지시하기 위한 속도지령 데이터 발생수단(99), 및 트래킹 및 포커스 서보의 위상제어수단(100)을 갖는다.
모드변환신호 발생수단(95)은, 디스크 체크 모드신호와, 정상재생모드신호와, CAV 와 CLV 의 변환신호를 발생한다. 디스크 체크 모드신호는, 라인(108)에 공급하기 위한 회전속도 지령신호와, 라인(48)에 공급되어 트래킹 서보스위치(43)를 온하기 위한 신호와, 라인(59)에 공급되어 포커스 서보스위치(54)를 온하기 위한 신호와, 라인(50 및 61)으로 공급되어 이득변환수단(46 및 57)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한다. 정상재생모드신호는 포커스 서보스위치(54)를 온하는 신호와, 트래킹 서보스위치(43)를 온 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CAV 와 CLV 의 변환신호는 CAV 시에 도 3에 도시된 스위치(89)의 접점(91)을 온으로 하고, CLV 시에 접점(95)을 온으로 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CAV 와 CLV 의 변환신호는 FG 펄스라인(74)의 FG 의 펄스에 의한 디스크(4)의 회전속도의 검출에 기인해서 작성된다.
트래킹 서보 로크 탈락 검출수단(96)은 카운터(101)와 소정수발생수단(102)과 제 1 비교수단(103)으로 이루어진다. 카운터(101)는 디스크 체크 모드시에 단자 R에 입력하는 분주기(98)의 출력펄스로 리세트되고, 도 1의 파형정형회로(9)의 출력이 라인(66)을 통해 단자(IN)로 입력될 때 이를 계수한다. 분주기(98)는 FG(73)의 출력펄스를 1/6로 분주하고, 디스크(4)의 1회전당 1개의 비율로 출력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카운터(101)는 디스크(4)가 1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소정시간에 있어서 파형정형회로(9)로부터 발생한 펄스의 수를 측정한다. 디스크 체크 모드시에 있어서는, 트래킹 서보 스위치(43) 및 포커스 서보 스위치(54)가 온이므로 양 서보가 로크 상태인 경우에는 광스포트(36)가 트랙(21)상의 피트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디스크(41)가 1회전하는 시간(소정시간)이내에 다수의 펄스가 얻어진다. 이에 반해, 트래킹 서보의 로크가 해제된 경우 즉 광스포트(36)의 디스크 반경 방향위치의 트랙(21) 중심으로부터의 이탈이 소정 범위(제 2소정범위)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트랙(21)상을 광스포트(36)가 주사하지 않게 되고, 광학비트의 연속적 판독을 표시하는 펄스를 얻을 수 없게 되며, 광스포트(36)의 디스크 반경방향의 불규칙한 변위에 의해 트랙횡단시에만 광학 피트의 판독펄스가 얻어진다. 따라서, 광픽업(6)로부터 얻어지는 판독펄스의 발생상태를 체크함으로써 트래킹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는 소정수발생수단(102)으로부터 서보로크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수 Nr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비교수단(103)에서 카운터(101)의 출력 Nt와 소정수 Nr을 비교한다. 소정수발생수단(102)의 소정수 Nr은 디스크(4)의 1회전기간동안 정상재생시에 얻어진다고 생각되는 최저 광학피트의 판독 펄스 수보다도 적으며, 트래킹 서보의 로크가 해제되어 있을 때 얻어진다고 예상되는 광학비트 판독 펄스의 최대치보다도 큰 값이 선정된다. 따라서, 비교수단(103)은 카운터에서 소정시간동안 출력된 펄스의 계수치가 소정수 보다도 적어졌을때 트래킹 서보의 로크가 해제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비교수단(103)의 출력은 속도지령 데이터 발생수단(99) 및 모드변환신호발생수단(95)으로 공급되어, 디스크(4)의 회전속도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포커스 서보 로크 해제 검출수단(97)은 A/D 변환기(104)와 최대치 검출수단(105)과 기준치 발생수단(106)과 제 2비교수단(107)으로 이루어진다. A/D 변환기(ADC)(104)는 광픽업(6)에 접속되어 있는 라인(94)의 아날로그 판독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104)와 분주기(98)에 접속된 최대치 검출수단(105)은 디스크(4)가 1회전하는 기간동안 A/D 변환기(104) 출력의 최대치를 검출한다. 기준치 발생수단(106)은 포커스 서보가 로크상태일 때 광픽업(6)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의 전압레벨중 최소치에 상당하는 기준치 Vr를 발생한다. 제 2 비교수단(107)은 최대치검출수단(105)으로부터 얻어진 디스크 1회전기간의 광픽업 출력의 최대치 Vf와 기준치 Vr를 비교하고, 최대치 Vf가 기준치 Vr 보다도 낮을 때 포커스 서보로크의 불성립 즉 로크 해제를 표시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더욱이, 포커스 서보로크의 불성립이라 함은 디스크(4)와 대물렌즈(26)의 간격이 소망범위(제 1 소망범위)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수단(107)의 출력은 속도지령데이터발생수단(99) 및 모드변환신호발생수단(95)으로 보내지는 정상재생시의 디스크(4) 회전속도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위상제어수단(100)은, 라인(94)의 FG 펄스에 기인해서 디스크(4)의 회전속도를 검지하고, 도 2에 도시된 2개의 위상보상회로(44),(55)의 필터 정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작하여, 라인(49),(60)으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제어기(14)에 기인한 디스크 체크 동작 및 상기 회전속도의 설정동작을 설명한다.
모터(5)에 디스크(4)가 장착되면, 단계 S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개시되고, 다음에 단계 S2에서와 같이 디스크(4)가 표준주사속도(1.2∼1.4m/s)를 얻기 위한 표준회전속도로 구동되며, 광스포트(36)가 트랙(21)의 최내주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트래킹서보스위치(43) 및 포커스 서보스위치(54)가 온으로 제어되고, 디스크(4)의 트랙(21)으로부터 TOC(목차테이블)가 판독되고,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목차정보로부터 CD-ROM 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와 같은 제어는 제어기(14)로부터 모터서보회로(8), 이송수단(7), 트래킹서보회로(17), 및 포커스서보회로(18)에 각각의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써 실행된다. 단계 S2에서 CD-ROM 인 것이 판정되면, 단계 S3에서 트래킹서보용 스위치(43) 및 포커스 서보용 스위치(54)를 오프로 한다.
다음으로, 단계 S3 에서와 같이 제어기(14)로부터 모터서보회로(8)에 표준주사속도의 8배가 되는 주사속도를 얻기 위해 8배 속도(제 1 속도)의 지령을 송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의 모드변환신호발생수단(95)으로부터 디스크 체크모드를 표시하는 각종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라인(75)으로부터 CAV 서보를 온으로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치(89)의 단자(접점)(91)를 온으로 한다. 또한, 속도지령데이터 발생수단(9)으로부터 8배속도 지령데이터를 버스(71)에서 CAV 서보회로(8b)의 기준전압발생기(87)로 공급한다. 이로써, 디스크(4)는 8배 속도의 회전상태로 된다. 더욱이, 광스포트(36)는 트랙(21)의 최내주부분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득변환수단(46),(57)은 라인(50),(61)의 신호에 의해 8배속도에 적합한 이득으로 설정된다.
디스크(4)의 회전속도가 8배속이 되면, 단계 S4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래킹 서보스위치(43) 및 포커스 서보 스위치(54)를 온으로 한다.
다음으로, 단계 S5 에서 트래킹 및 포커스의 양 서보가 로크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도 4의 비교수단(103),(107)으로 판정한다.
단계 S5에서 양 서보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예(yes) 의 출력이 얻어졌을때에는, 단계 S6에서 양 서보게인을 8배 속도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값으로부터 소정량(6㏈)만큼 낮은 제 3 및 제 4 값으로 낮춘다. 즉, 도 4의 모드변환신호발생수단(95)으로부터 라인(50),(61)으로 이득변환수단(46),(57)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구동증폭기(45),(46)의 이득을 소정량(6㏈)만큼 낮춘다. 이와 같이 서보게인을 낮추는 것은, 트래킹 서보 및 포커스 서보의 로크가 해제되기 힘든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등가적으로 12배 속도(제 2 속도)의 트래킹 서보 동작 상태 및 포커스 서보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디스크(4)의 회전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트래킹 서보 및 포커스 서보에 무리가 따르고, 코일(33),(37)의 온도가 상승하고, 제어성능이 저하되며, 서보 로크가 성립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보게인을 낮추어 로크가 성립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는 것은 회전속도를 올리는 것과 동일한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에, 단계 S7에 있어서 재차 트래킹 서보 및 포커스 서보가 로크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 S7에서 양 서보의 로크가 성립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예"의 출력이 얻어진 경우에는, 저품질 디스크는 아니라고 판정하고, 12배 속도(제 2속도)로 재생하기 전에, 트래킹 및 포커스 서보 스위치(43),(54)를 일단 오프로 한 후, 단계 S9에서 표시한 12배 속도로 재생한다. 또한, 이득변환수단(46),(57)을 12배 속도에 적합한 제 5 및 제 6 값의 서보게인이 얻어지도록 제어한다. 단계 S9 에 있어서는 속도지령 데이터 발생수단(99)으로부터 12배 속도(제 2속도) 지령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먼저 CAV 서보회로(8b)에서 트랙(21)의 최내주에서 12배 속도의 회전상태를 얻고, 그후 스위치(89)의 한쪽 입력단자(90)를 출력단자(92)로 접속함으로써 CLV 서보회로(8a)를 모터(5)로 접속한다. 또한, 12배 속도 또는 그와 가까운 속도가 되면 트래킹 서보스위치(43) 및 포커스 서보스위치(54)를 온하여 양 서보를 개시한다. 더욱이 단계 S9의 12배 속도 재생과 같은 정보는 디스크(4)가 모터(5)로부터 이탈되기까지, 홀드수단(예컨대 RAM)에 의해 유지된다.
단계 S5에 있어서, 트래킹 서보와 포커스 서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로크가 성립하지 않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아니오(no)"의 출력이 얻어진 때에는, 단계 S10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감속재생(4배 속도 또는 2배 속도 재생)으로 이행한다.
더욱이, 단계 S5 의 "아니오"의 출력 또는 단계 S10 의 감속재생의 속도는 홀드수단(예컨대 RAM)에 의해 유지하고, 이러한 유지는 디스크(4)가 모터(5)로부터 이탈되었을때 해제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단속적으로 재생되어도, 디스크(4)가 이탈될때까지는 항상 감속재생하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가 재생될 때마다 소망회전속도(주사 속도)를 결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재생소요시간이 단축한다.
또한, 단계 S7에서 트래킹 서보 및 포커스 서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로크가 성립하지 않음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8배 속도로 재생하게 된다. 더욱이, 단계 S7의 "아니오"의 출력 또는 단계 S11의 8배 속도의 정보는 단계 S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스크(4)가 이탈될때까지 홀드수단(예컨대 RAM)에 의해 유지된다.
이상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CD-ROM 드라이브 장치가 12배 속도(제 2속도)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5)에 장착된 디스크가 저품질의 경우에는 12배 속도재생을 실행하지 않고 8배 속도 재생을 실행한다. 그 결과, 데이터의 재생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즉, 12배 속도로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에러가 많이 발생하고, 리추라이(재판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보다도, 에러가 적은 8배 속도로 재생하는 편이 재생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12배 속도로 재생가능한가의 여부를 8배 속도로 서보게인을 낮추어 판정하고 있으므로, 합리적인 판정이 가능하다. 즉, 8배 속도는 12배 속도로 하기 위한 통과이전의 속도이고, 8배 속도 상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디스크 체크를 위한 소요시간이 그리 길어지지 않는다. 또한, 8배 속도의 디스크 체크에 있어서 1단상의 12배 속도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8배 속도로부터 12배 속도까지 속도를 상승시키므로, 12배 상태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픽업(6)의 출력에 기인해서 트래킹 서보 로크 상태 및 포커스 서보 로크 상태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이들 검출을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단계 S5, S7 의 판정결과는 디스크(4)가 이탈될때까지 유지되므로, 데이터의 매재생시마다 판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재생소요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CD-ROM 드라이브 장치(2)와 동일케이스로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치)가 수용된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에는, CD-ROM 드라이브 장치(2)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HDD 의 진동도 적어지게 되고, HDD 에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에 대한 방해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진동이 억제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적어지게 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1) 도 3에 도시한 CAV 서보회로(8b)를 생략한 구성이 가능하다.
(2) 광검출기(28)를 2분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3) CAV에서 기록된 디스크를 CAV 서보로 판독하는 재생장치, CLV 로 기록된 디스크를 CAV 로 판독하는 재생장치, 또는 CLV 로 기록된 디스크를 CAV 와 CLV 의 조합으로 판독하는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4) 트래킹 서보 루프와 포커스 서보 루프 중 어느 한쪽의 서보게인만을 낮춰 트래킹 서보 로크 해제와 포커스 서보 로크 해제 중 어느 한쪽을 검출함으로써 제 2 속도(12배 속도)에서의 재생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5) 트래킹 서보 로크 해제 검출 및 포커스 서보 로크 해제 검출을 디스크의 데이터 판독에러의 검출에 기인해서 실행할 수 있다.
(6) 도 4에 원리적으로 도시한 트래킹 서보 로크 해제 검출수단(96)과 포커스 서보 로크 해제수단(87)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기(14)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7) 구동증폭기(45),(56) 이외의 장소에 이득을 변환하는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각 청구항에 기초한 발명에 의하면 제 2 속도로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기 전에 제 2 속도보다도 낮은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하고, 서보게인을 낮춰서 간격제어상태(포커스 상태)와 트래킹 상태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조사하고, 제 2속도로 재생가능한 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제 2 로 데이터 재생이 부적합한 저품질 디스크를 제 2속도로 재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품질 디스크를 재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요컨대, 저품질 디스크를 제 2속도로 재생하면 데이터의 판독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될 확률이 많아지게 되고, 재판독을 실행시키면, 제 1 속도보다도 높은 제 2 속도로 판독하여도, 제 1 속도로 에러가 없는 상태에서 판독하는 경우보다도 재생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고속재생이 방해된다. 또한, 디스크의 품질이 극단적으로 나쁜 경우에는 제 2속도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게 된다. 디스크 기동시의 회전속도는 낮은 쪽에서 높은 쪽을 향해 상승하므로, 제 2속도로 되기 전인 제 1 속도에서 서보게인을 바꾸어 제 2속도에서재생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소요시간은 그리 길어지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저품질의 재생소요시간이 종합적으로 보아 단축된다.
또한, 재생시의 회전속도를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재생장치의 진동이 적어지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장치와 동일한 케이스에 별도의 장치(예컨대 HDD)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예컨대 HDD)에 대한 진동의 파급이 적어지게 되며, 별도 장치의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 등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진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적어지게 된다.

Claims (13)

  1.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로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디스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상기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써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지 수단과,
    상기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 검출 수단과,
    상기 간격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간격이 소망값이 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간격 제어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간격 제어 수단에 의해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는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단계와,
    제 2 단계에서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2값으로 낮추어서 재차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도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3 값으로 올리고, 제 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상기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제 3 단계에서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값 또는 그와 가까운 값으로 올리고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의 판정을 광 검지 수단으로부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출력이 얻어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데이터가 선속도가 일정하도록 기록된 것으로서, 제1속도는 제1일정 선속도를 얻기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이며, 제2속도는 제2일정 선속도를 얻기 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4.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에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디스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써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입사광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지 수단과,
    광빔의 디스크상 트랙으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기 위한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이탈의 양을 저감하도록 대물렌즈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킹 제어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장치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제1속도로 회전시키고, 서보게인이 제1값으로 설정된 트래킹 제어수단에 의해 이탈이 소정 범위안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탈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는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2단계에서 이탈이 소정 범위안에 포함되어 있음이 판정되었을때에는 트래킹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1값보다도 적은 제2값으로 낮추고, 재차 이탈이 소정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2값으로부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에 적합한 제3값으로 올리고, 제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제3단계에서 이탈이 소정범위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2값으로부터 제1값 또는 그와 가까운 값으로 높이고 제1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는 제4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이 소정 범위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의 판정을 광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인해서 디스크의 1회전 중에 소정수 이상의 데이터 판독 출력 펄스가 얻어졌는가의 여부에 기인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데이터가 선속도가 일정하도록 기록된 것으로서, 제1속도는 제1일정 선속도를 얻기 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이며, 제2속도는 제2일정 선속도를 얻기 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7.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기록돼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를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디스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 인해서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지 수단과,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 검출 수단과,
    간격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간격이 소망값이 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간격 제어 수단과,
    광빔의 디스크상 트랙으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기 위한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이탈의 양을 저감하도록 대물렌즈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킹 제어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간격 제어 수단에 의해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동시에,서보게인이 제 2값으로 설정된 트래킹 제어 수단에 의해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제 1 단계와,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는 제 1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이탈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는 제 2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단계와,
    제 2단계에서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제 1 값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3 값으로 낮추는 동시에, 트래킹 제어 수단의 제 2 값의 서보게인을 제 2값보다도 적은 제 4 값으로 낮추고, 재차,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이탈이 제 2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이탈이 제 2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 및 트래킹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3 및 제 4 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도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5 및 제 6의 값으로 높혀서, 제 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제 3 단계에서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결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검출 수단 및 트래킹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3 및 제 4 값으로부터 제 1 및 제 2값 또는 그와 가까운 값으로 높혀서 상기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해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의 판정을 광 검지 수단으로부터 소정 전압 레벨 이상의 출력이 얻어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의 판정을 광 검지 수단의 출력에 기인해서 디스크의 1회전 중에 소정수 이상의 데이터 판독 출력 펄스가 얻어졌는가의 여부에 기인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데이터가 선속도가 일정하도록 기록된 것으로서,
    제 1 속도는 제 1 일정 선속도를 얻기 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이며, 제 2속도는 제 2일정 선속도를 얻기 위한 트랙 최내주에서의 회전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1.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로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를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디스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 인하여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지 수단과,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 검출 수단과,
    간격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간격이 소망값이 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간격 제어 수단과,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간격 제어 수단에 의해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고,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 가능한 소정 범위로 들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간격이 소정 범위로 들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2값으로 낮추고, 재차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들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3 값으로 높혀서, 제 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간격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값 또는 그와 가까운 값으로 높혀서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해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도록 디스크 회전 수단 및 간격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2.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기록되고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디스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수속시켜 데이터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 인하여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는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지 수단과,
    광빔의 디스크상 트랙으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기 위한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이탈의 량을 저감하도록 대물렌즈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킹 제어 수단과,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트래킹 제어 수단에 의해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고, 이탈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는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트래킹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2값으로 낮추고, 재차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3 값으로 높이고, 제 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해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2값으로부터 제 1 값 또는 그와 가까운 값으로 높이고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도록 디스크 회전 수단 및 트래킹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3. 데이터가 나선 또는 동심원형 트랙 형태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디스크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를 바꿀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디스크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회전 수단과,
    광원과,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빔을 집속시켜 디스크에 투사하기 위한 대물렌즈와,
    광빔이 디스크에서 반사함으로써 얻어진 반사 광빔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지 수단과,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을 검지하기 위한 간격 검출 수단과,
    간격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간격이 소망값이 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는 간격 제어 수단과,
    광빔의 디스크상 트랙으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기 위한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과,
    트래킹 상태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이탈 량을 저감하도록 대물렌즈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킹 제어 수단과,
    디스크를 제 1 속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서보게인이 제 1 값으로 설정된 간격 제어 수단에 의해 간격이 소정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고, 서보게인이 제 2값으로 설정된 트래킹 제어 수단에 의해 이탈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대물렌즈를 제어하고, 대물렌즈와 디스크의 간격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가능한 제 1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함과 동시에, 이탈이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가능한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로 들어 있는 동시에,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의 제 1 값의 서보게인을 제 1 값보다도 적은 제 3 값으로 낮추는 동시에, 트래킹 제어 수단의 제 2값의 서보게인을 제 2값보다도 적은 제 4 값으로 낮추고, 재차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시에,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에 들어 있는 동시에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간격 제어 수단 및 트래킹 제어 수단의 서보게인을 제 3 및 제 4 값으로부터 제 1 속도보다도 빠른 제 2속도에 적합한 제 5 및 제 6의 값으로 올리고, 제 2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하고, 간격이 제 1 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이탈이 제 2소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결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서보게인을 제 3 및 제 4 값으로부터 제 1 및 제 2값 또는 이 근방의 값으로 올리고 제 1 속도로 디스크를 회전시켜 디스크의 데이터를 광빔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디스크 회전 수단과, 간격 제어 수단 및 트래킹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19970031871A 1996-07-10 1997-07-10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25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199717 1996-07-10
JP1996-199717 1996-07-10
JP08327746A JP3092657B2 (ja) 1996-07-10 1996-11-22 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JP1996-327746 199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86A KR980011086A (ko) 1998-04-30
KR100255230B1 true KR100255230B1 (ko) 2000-05-01

Family

ID=2651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871A KR100255230B1 (ko) 1996-07-10 1997-07-10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44872A (ko)
JP (1) JP3092657B2 (ko)
KR (1) KR100255230B1 (ko)
SG (1) SG50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243B2 (ja) * 1996-07-12 2003-09-0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TW337580B (en) * 1996-07-24 1998-08-01 Hitachi Ltd Disc reproducing method and disc reproducing apparatus
US5896280A (en) 1997-11-25 1999-04-20 Exide Electronics Corporation Frequency converter and improved UPS employing the same
US6195322B1 (en) * 1996-07-25 2001-02-27 Sony Corporation Disk driv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otational speed thereof
JPH1079164A (ja) * 1996-09-03 1998-03-24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読取装置
US6246650B1 (en) 1996-12-18 2001-06-1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data reproduction
JP3635514B2 (ja) * 1997-02-24 2005-04-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JPH10261262A (ja) * 1997-03-18 1998-09-29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978833B2 (ja) 1997-05-07 1999-11-15 群馬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回転数設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0173153A (ja) * 1998-12-07 2000-06-23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3708362B2 (ja) * 1999-04-27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ピックアップ制御装置
US6351441B1 (en) 1999-05-24 2002-02-26 Junichi Andoh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AU762898B2 (en) * 1999-05-24 2003-07-10 Mitsumi Electric Co., Ltd.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WO2002045088A1 (fr) 2000-11-28 2002-06-06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e position,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isque optique et dispositif et procede de reproduction de disque optique
KR20030072706A (ko) * 2002-03-06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구동기에 있어서 디스크 편향에 의한 진동 제거방법 및 장치
JP2004095079A (ja) * 2002-08-30 2004-03-25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ディスクドライブ制御方法、ディスクドライブ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571A (ja) * 1993-08-31 1995-03-17 Sony Corp 記録デイスク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7831A (ja) * 1989-03-20 1990-10-03 Pioneer Electron Corp トラッキングサーボループのループゲイン設定方法
JPH02247830A (ja) * 1989-03-20 1990-10-03 Pioneer Electron Corp サーボループのループゲイン設定方法
JPH02265025A (ja) * 1989-04-05 1990-10-29 Pioneer Electron Corp サーボループのループゲイン設定方法
JP2807118B2 (ja) * 1992-02-27 1998-10-08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761904B2 (ja) * 1993-08-30 2006-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ボル−プの自動利得制御回路
JP3871358B2 (ja) * 1994-12-22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571A (ja) * 1993-08-31 1995-03-17 Sony Corp 記録デイスク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79132A (ja) 1998-03-24
SG50025A1 (en) 1998-06-15
KR980011086A (ko) 1998-04-30
US5844872A (en) 1998-12-01
JP3092657B2 (ja)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230B1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JPH1069709A (ja) 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KR100284364B1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
JPH1083615A (ja) 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GB2342490A (en) Determination of optical disc type and playback of disc
KR100303232B1 (ko) 데이타의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467377B1 (ko) 디스크장치 및 디스크구동방법
KR100271569B1 (ko) 편심억압서보방법및이를이용한서보장치
KR100268982B1 (ko) 데이타의 재생방법 및 장치
JP3882383B2 (ja) 円盤状記憶媒体の再生方法
US6894957B1 (en) Optical disk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tracking error
KR19990063206A (ko) 광디스크장치
JPH11120687A (ja) 光ディスク装置
US6351441B1 (en)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gulatable optical disc drive
EP1482487A1 (en) Light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optical disk unit
JP3615350B2 (ja) 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JPH1027418A (ja) デ−タの再生方法及び装置
JP2844786B2 (ja) ディスク装置のデータ再生方法
JPH1166724A (ja) デ−タの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3178478A (ja) データ再生装置
JP3789730B2 (ja) ミラー信号検出方法
JPH1114436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109732A (ja) ディスク品質判定方法及びデ−タ再生方法及び装置
JPH08167237A (ja) ディスクサイズ判別方法
JPH02173980A (ja) 情報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