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895B1 -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895B1
KR100251895B1 KR1019940701365A KR19940701365A KR100251895B1 KR 100251895 B1 KR100251895 B1 KR 100251895B1 KR 1019940701365 A KR1019940701365 A KR 1019940701365A KR 19940701365 A KR19940701365 A KR 19940701365A KR 100251895 B1 KR100251895 B1 KR 10025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formula
compound
conr
optionally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 에드가르드 프라이네 에디
헤르만 마르가레타 레이메이커스 알폰스
로베르트 가이 가브리엘 드 샤포이 디디에
Original Assignee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디르크 반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8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72Two oxygen atoms, e.g. hydantoin
    • C07D233/76Two oxygen atoms, e.g. hydantoin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third ring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9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II 및 IV 둘다에 대한 강력한 억제제이며 앨러지성 질환, 아토피성 질환 및 관련된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다음 일반식 (I)의 신규한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C5-6사이클로알킬옥시, C1-6알킬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또는 할로 또는 C1-6알킬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티에닐이며, > C=X는 다음 일반식 (a), (b) 또는 (c)의 래디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 활성성분으로서 상기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 린-2-온 유도체
[발명의 배경]
다수의 치환된 이미다조[4,5-b]퀴놀린-2-온이 BE-904, 671: DE-A-3,717,292; US-4,701, 459 및 US-4,943,573호에 변력성 강심제(inotropic cardiotonics) 및 항혈전제로서 유용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및 혈소판 응집 억제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EP-A-0,406,958호에 상응하는, 1991년 1월 9일자로 공고된 US-A-5,043,327호에는 양성변력성 및 루시트로프성(lusitropic)인 3,5-디하이드로-이미다조[2,1-b]퀴나졸-2(1H)-온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I)의 신규한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및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C5-6사이클로알킬옥시, C1-6알킬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또는 할로 또는 C1-6알킬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티에닐이며, > C=X는 다음 일반식 (a), (b) 또는 (c)의 래디칼이고,
R1은 수소, 트리(C1-6알킬)실릴, 또는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이며, R2는 COOH, COOC1-4알킬, CONR3R4, 또는 COOCH2CON5R6또는 COOH, COOC1-4알킬, CONR3R4, 또는 COOCH2CON5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이고, R3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카보닐 C1-4알킬이며, R4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페닐, 티에닐 또는 피리디닐이거나, R3및 R4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피페라지닐 환은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C1-4알킬, 페닐 C1-4알킬, 또는 1, 2, 3, 4 또는 5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에 의해 질소 원자상에서 임의로 치환되고, R5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카보닐 C1-4알킬이며, R6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페닐, 티에닐 또는 피리디닐이거나, R5및 R6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피페라지닐 환은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C1-4알킬, 페닐 C1-4알킬, 또는 1, 2, 3, 4 또는 5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에 의해 질소 원자상에서 임의로 치환된다.
상기의 정의에서, 용어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의미하며; C1-4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및 측쇄 포화 탄화수소 래디칼,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1-메틸에틸, 부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및 1,1-디메틸에틸을 의미하고; C1-6알킬은 C1-4알킬 및 펜틸, 헥실 등과 같은 그의 고급 동족체를 의미하며; C3-7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을 의미한다. 트리(C1-6알킬)실릴은 특히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3급 부틸디메틸실릴 등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에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무독성 부가염 형태가 포함된다. 이러한 염 형태는 염기 형태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산, 예를들면 할로겐화수소산(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노산, 하이드록시아세트산, 2-하이드록시프로파노산, 2-옥소프로파노산, 에탄디오산, 프로판디오산, 부탄디오산, (Z)-2-부텐디오산, (E)-2-부텐디오산, 2-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 2,3-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 2-하이드록시-1,2,3-프로판트리카복실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사이클로헥산설팜산, 2-하이드록시벤조산, 4-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산 등의 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처리함으로써 편리하게 수득할 수 있다. 반대로, 염은 알칼리로 처리하여 유리 염기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산성 양성자를 함유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적절한 유기 및 무기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그들의 무독성 또는 아민 부가염 형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적절한 염기염 형태에는 예를들어 암모늄염;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염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벤자틴, N-메틸-D-글루카민, 하이드라바민 염 등과 같은 유기염기와의 염; 및 알기닌,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용어 부가염에는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수화물 및 용매부가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형태의 예로는 예를들어 하이드레이트, 알콜레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내에 비대칭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키랄 중심(chiral center)은 각각 입체화학적 표시인 R 및 S로 표시될 수 있다. > C=X가 일반식 (b) 또는 (c)의 래디칼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E- 및 Z- 형태의 혼합물로 또는 순수한 E-형태 또는 순수한 Z-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순수한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체는 선택적 결정화 및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예를들면 역류 분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물리적 방법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으며; 에난티오머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분할 방법에 의해, 예를들면 그들의 부분입체이성체 염을 키랄산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화시킴으로써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에난티오머는 키랄 정지상을 사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할 수도 있다. 순수한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또한, 반응이 입체 특이적으로 일어난다면 적절한 출발물질의 상응하는 순수한 입체화학적 이성체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입성이성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이 화합물은 입체특이적 제조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유리하게는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출발물질을 사용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명백하게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R이 수소; 할로, C1-6알킬옥시, C5-6사이클로알킬옥시 및 C1-6알킬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 C=X가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R이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톡시, 사이클로펜틸옥시 및 메틸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 C=X가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이며, 여기에서 R1은 COOH, COOC1-4알킬 또는 CONR3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4알킬인 상기의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R이 수소이거나 플루오로, 메톡시 및 메틸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 C=X는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이며, 여기서 R1은 COOH, COOC2H5, CON(CH3)(c.C6H11) 또는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4알킬인 상기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E)-N-사이클로헥실-2-[[[(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7-벤조일-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E)-1-(사이클로헥실메틸)-4-[[[[(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피페라진; 또는
(E)-N-사이클로헥실-2-[[[(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하의 제조방법에서의 일부의 중간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잔기는 이하에서 기호 D로 나타낸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일반식 (II)의 중간체를 디메틸설폭사이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1,1-디옥사이드, 디페닐에테르 등과 같은 적합한 용매중에서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설폰산 (예를들면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4-메틸벤젠설폰산 또는 피리디늄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등)과 같은 산의 존재하에 폐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과량의 산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폐환반응을 13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일반식 (II)의 중간체를 폐환시키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III)의 중간체를 폐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식 (III)의 중간체를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반응에는 용매가 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방향족화 반응(aromatization process)이 수반된다. 완전한 방향족화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환반응중에 또한 바람직하게는 폐환반응이 완결된 후에 반응혼합물에 산화제로서 요오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일부의 경우에, 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 (III)의 중간체를 반응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갖는 포화 중간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포화 중간체는 계속해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산화될 수 있다.
일반식 (III)의 중간체를 일반식 (I)의 화합물로 폐환시키는 방법은 이전의 폐환방법에 비해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즉 일반식 (II)의 E-이성체만이 폐환 반응을 일으키는 반면에, 화합물 (III)은 이러한 이성체를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화합물 (I)을 매우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IV)의 중간체를 반응-불활성 용매중에서 일반식 (V)의 시약(여기에서 W는 반응성 이탈그룹, 예를들면 할로, 아미노, C1-4알킬옥시, 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등이다) 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에 적절한 용매는 예를들어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벤젠, 메틸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등이다.
하기 일반식 (I-b) 및 (I-c)의 화합물은 각각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 예를들면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트랜스에스테르화, 트랜스아미드화, 에스테르 가수분해 등과 같은 방법에 따라 이들 자체사이에서 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은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이며, R2는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이다.
예를들어, R1또는 R2가 COOH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OH인 화합물은 에스테르 및/또는 아미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적합한 시약의 존재하에서 카복실산을 일반식 C1-6알킬-OH의 알칸올 또는 일반식 HOCH2CONR5R6의 알콜 또는 일반식 HNR3R4의 아민으로 처리함으로써 R1또는 R2가 COO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OC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인 에스테르, 또는 R1또는 R2가 CONR3R4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NR3R4인 아미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시약의 대표적인 예로는 예를들어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 오산화인, 1,1´-카보닐비스[1H-이미다졸], 1,1´-설포닐비스[1H-이미다졸] 등의 시약이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의 카복실산은 알칸올 C1-4알킬-OH, 일반식 HOCH2CONR5R6의 알콜 또는 HNR3R4와 반응시키기 전에 적합한 그의 반응성 작용성 유도체, 예를들면 아실 할라이드, 대칭 또는 혼합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아실 아지드, 사이클릭 무수물, 락톤, 락탐 등의 유도체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반응성 작용성 유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들면 카복실산을 티오닐 클로라이드, 삼염화인, 폴리아인산,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할로겐화 시약과 반응시키거나, 상기의 카복실산을 아세틸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아실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복실산의 반응성 작용성 유도체는 동일 반응계내에서 생성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알칸올 C1-4알킬-OH, 일반식 HOCH2CONR5R6의 알콜 또는 HNR3R4와 반응시키기 전에 더 정제할 수 있다.
상기의 에스테르화 및 아미드화 반응은 반응물을 임의로 적합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벤젠, 메틸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피리딘 등과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중에서 교반함으로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응물중의 어느 하나를 과량으로 하여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의 진행과정에서 생성되는 물, 산, 알콜 또는 아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들면 공비증류, 착화합물 형성, 염 형성 등의 방법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히는 적절한 염기, 예를들면, N,N-디메틸에탄아민, 4-에틸모르폴린, 피리딘 또는 N,N-디메틸-4-피리딘아민과 같은 아민을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아실화 반응을 다소 상승된 온도, 특히는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R1또는 R2가 COO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O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인 화합물을 일반식 C1-4알킬-OH의 상이한 알칸올 또는 일반식 HOCH2CONR5R6의 상이한 알콜과 반응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의 평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들면 상기의 알콜을 과량으로 사용하거나, 유리된 알콜을 증류시켜 제거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트랜스아미노화 반응은 아민 HNR3R4과 반응시킴으로써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R1또는 R2가 COO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OC1-4알킬 또는 COOCH2CONR5R6인 화합물은 R1또는 R2가 COOH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이거나 R2가 COOH인 상응하는 화합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수분해 반응은 에스테르를 수성 및/또는 알콜성 매질, 예를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염기, 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등의 존재하에 교반 및 가열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를들어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의 경우에, 상기의 가수분해 반응은 또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산성 수성 및/또는 알콜성 매질중에서 교반하고 임의로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
> C=X가 일반식 (b)의 래디칼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일반식 (I-b)로 표시된다)은 > C=X가 일반식 (a)의 래디칼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일반식 (I-a)로 표시된다)을 일반식 (VI)의 적절한 하이드록실아민 유도체 또는 그의 산부가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은 시약들을 적절한 용매중, 승온에서, 특히는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교반 및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절한 용매에는 예를들어, 벤젠, 메틸벤젠, 디메틸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트리클로로메탄, 테트라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등과 같은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염산으로 포화된 2-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등과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 C=X가 일반식 (c)의 래디칼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일반식 (I-c)로 표시된다)은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일반식 (VII)의 포스포러스 일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위티히 반응), 포스포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일반식 (VIII)의 일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호너-에몬스 반응(Horner-Emmons reaction)]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VIII)에서 R7은 C1-6알킬을 나타낸다. 반응은 포스포늄 염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불활성 대기하에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 등과 같은 탄화수소;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과 같은 에테르;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 디메틸설폭사이드, 헥사메틸포스포르 트리아미드 등과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등과 같은 용매중에서 적절한 염기, 예를들면 나트륨, 부틸리튬, 메틸리튬, N,N-디에틸에탄아민, 아세토니트릴, 나트륨 아미드, 수소화 나트륨,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사이드, 설피닐비스(메탄) 나트륨 염 등과 같은 염기로 처리하고, 이렇게 하여 수득된 일라이드 (VII) 또는 (VIII)을 계속해서, 임의로 약간 상승된 온도에서 일반식 (I-a)의 화합물로 처리함으로서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일반식 (I-c)의 화합물은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일반식 (IX)의 유기금속 시약(여기에서 M은 리튬, 할로마그네슘, 구리 리튬 등과 같은 금속 그룹을 나타낸다)과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일반식 (X)의 알콜을, 예를들어 용매중에서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적절한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탈수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유기금속 시약은 편리하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들면 적절한 할라이드를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등과 같은 에테르; 벤젠, 메틸벤젠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용매중에서 리튬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과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R1이 수소가 아닌 (이 래디칼은 R1-a로 표시된다) 일반식 (I-b)의 화합물 (이 화합물은 일반식 (I-b-1)로 표시된다)은 또한 R1이 수소인 일반식 (I-b)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일반식 (I-b-2)로 표시된다)을 일반식 R1-aW1의 적절한 알킬화제 또는 실릴화제로 0-알킬화 또는 0-실릴화시킴으로써 수득될 수도 있다.
상기의 알킬화제 또는 실릴화제에서 W1은 이탈그룹, 예를들면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과 같은 할로, 또는 4-메틸벤젠설포닐옥시, 벤젠설포닐옥시, 2-나프탈렌설포닐옥시, 메탄설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등과 같은 설포닐옥시 등의 이탈그룹을 나타낸다. 상기의 0-알킬화 및 0-실릴화 반응은 편리하게는 반응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용매중에서 교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피리딘,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등의 용매이다. 적합한 염기는 N.N-디메틸에탄아민, 4-메틸모르폴린, 이미다졸, 피리딘, 테트라메틸구아니딘 등과 같은 아민, 또는 수소화 나트륨 등이다.
또한, E- 또는 Z-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는 일반식 (I-b-2)의 화합물은 산성 매질중에서 평형화시킴으로써 이성화될 수 있다.
R1-a가 트리(C1-6알킬)실린인 일반식 (I-b-1)의 화합물은 용매, 예를들면 1,1´-옥시비스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중, 또는 이들의 수성 혼합물중에서, 불화칼륨,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등과 같은 플루오라이드 염으로 처리하거나, 불화수소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탈실릴화시켜 일반식 (I-b-2)의 옥심을 수득할 수 있다. R1-a가 트리(C1-6알킬)실릴인 일반식 (I-b-1)의 화합물은 선택적 결정화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 방법에 따라 E- 및 Z-입체이성체로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탈실릴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상술한 이성화 방법에 의해서는 제조될 수 없는 일반식 (I-b)의 입체이성체를 제조하는 효율적인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식 (I-b-1)의 화합물은 일반식 (XI)의 중간체 (여기에서 W2는 적합한 반응성 이탈그룹, 예를들면 클로로와 같은 할로, 또는 아세테이트이다)를 일반식 (XII)의 시약과 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반응도식들에서의 대부분의 주요 중간체 및 다수의 그들의 전구체는 신규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것이다.
일반식 (II)의 중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환원공정에 따라 일반식 (XIII)의 상응하는 니트로 유도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식 (XIII)의 니트로 유도체는, 임의로 승온 및/또는 승압하에서 수소, 적절한 촉매, 예를들면 목탄상 백금, 목탄상 팔라듐, 라니 닉켈 등, 및 적절한 촉매독, 예를들면 티오펜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2-메톡시에탄올과 같은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아세트산과 같은 카복실산 등의 용매중에서 촉매적 수소화시킴으로써 환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니트로 유도체 (XIII)는 환원제, 예를들면 황화나트륨, 황화수소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삼염화티탄, 트리알킬암모늄 포르메이트-목탄상 팔라듐, 철-염화암모늄 등에 의해 환원시킬 수도 있다.
일반식 (III)의 중간체는 일반식 (XIII)의 중간체로부터, 촉매독은 사용하지 않는 상술한 촉매적 수소화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 (III)의 중간체는 명백히 일반식 (II)의 중간체를, 예를들어 상술한 촉매적 수소화방법에 의해 더 환원시킴으로써 수득될 수도 있다.
일반식 (XIII)의 중간체인 니트로 유도체는 일반식 (I-c)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IV)의 중간체를 일반식 (XV)의 포스포러스 일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 (위티히 반응), 포스포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일반식 (XVI)의 일라이드 (여기에서 R7은 C1-6알킬이다)와 반응시킴(호너-에몬스 반응)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 (XIII)의 중간체는 또한, 화합물 (XIV)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히단토인 (XVII)과 축합시킴으로써, 예를들어 반응물들을 무수 아세트산 중에서 나트륨 아세테이트로 처리하거나, 적절한 용매,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3급 부탄올 등과 같은 알콜중에서 염기, 예를들어 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에톡사이드, 칼륨 3급 부톡사이드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알콜사이드로 처리함으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의 축합반응은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온화하게 가열함으로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 C=X가 일반식 (a)의 래디칼인 일반식 (XIV)의 중간체 (이 중간체는 일반식 (XIV-a)로 나타낸다)는 일반식 (XVIII)의 중간체(여기에서 R8은 둘다 메틸, 에틸 등과 같은 알킬 그룹을 나타내거나, 두 개의 R8이 함께는 1,2-에탄디일, 1,3-프로판디일, 2,2-디메틸,1,3-프로판디일 등과 같은 알칸디일 래디칼을 형성한다)를 산성수성매질중에서 가수분해시킴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 (XVIII)의 중간체는 일반식 (XIX)의 시아나이드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산화방법에 따라, 예를들어 화합물 (XIX)를 염기성 매질중에서 통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XIX)의 시아나이드는 일반식 (XXI)의 니트로벤젠에 대한 일반식 (XX)의 시아나이드의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 (XXI)에서, W3는 반응성 이탈그룹, 예를들면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와 같은 할로, 니트로, 4-메틸벤젠설포닐옥시, 페닐옥시, 알킬옥시 및 당해 기술분야에서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에 있어서의 우수한 이탈그룹인 것으로 알려진 유사한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의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은 반응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포르포릭트리아미드, 피리딘, 1,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디논, 1,3-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1,1,3,3,-테트라메틸우레아, 1-메틸-2-피롤리디논, 니트로벤젠 등의 용매와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염기는 수소화 나트륨, 나트륨 아미드, 설피닐비스(메탄)나트륨 염,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의 염기이다. 반응 혼합물에서 1,4,7,10,13,16-헥사옥사사이클로옥타데칸 등과 같은 크라운 에테르 또는 트리스[2-(2-메톡시에톡시)]에탄아민 등과 같은 착화제(complexing agent)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다소 상승된 온도로 반응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의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은 상전이촉매 반응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공지의 반응조건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응조건에는 반응물을 적절한 상전이 촉매, 예를들면 트리알킬페닐메틸암모늄, 테트라알킬암모늄, 테트라알킬포스포늄, 테트라아릴포스포늄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로젠 설페이트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적절한 염기와 함께 교반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반식 (XIV-a)의 알데히드는 또한 일반식 (XXII)의 α-아미노시아나이드를 수성 매질중에서 가수분해시킴으로서 수득할 수도 있다.
일반식 (XXII) 및 이하에서 그룹 -NR9R9은 디알킬아미노 그룹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래디칼, 예를들면 모르폴리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 등의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식 (XXII)의 중간체는 일반식 (XIX)의 중간체의 제조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식 (XXI)의 니트로벤젠에 대한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XXIII)의 시약은 적절한 알데히드로부터 아민 HNR9N9및 아황산나트륨의 존재하에서 시안화나트륨, 시안화칼륨 등의 시아나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에는 예를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칸올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일반식 (XIV-a)의 중간체는 일반식 (XXIV)의 상응하는 알콜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산화방법에 따라 산화시킴으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의 산화반응은 반응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반응-불활성 용매중에서 산화제, 예를들면 산화망간(IV),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등의 존재하에 교반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산화반응은 또한 알콜을 저온에서, 바람직하게는 -60℃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와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옥살릴클로라이드, 과산화몰리브덴, 4-메틸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메탄설폰산 무수물 등과 같은 시약으로부터 제조된 반응성 복합체로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궁극적으로, 알데히드는 반응혼합물에 적절한 염기, 예를들면 N,N-디에틸에탄아민, 피리딘,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첨가함으로서 수득한다.
일반식 (XXIV)의 중간체는 또한 일반식 (XXV)의 중간체를 산화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산화반응은 반응물을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산화제 및 수산화칼륨 등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물중에서 반응물을 교반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 (XXV)의 중간체는 2-하이드록시메틸니트로벤젠에 일반식 (XX)의 중간체를 부가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상기의 부가반응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용매중에서 반응물을 교반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피리딘 등과 같은 이극성 비양자성 용매 또는 메탄올 등과 같은 알콜이다. 적절한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나트륨아미드, 설피닐비스(메탄) 나트륨염 등의 염기이다. 또한, 상기의 부가반응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상전이촉매 반응의 조건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에는 반응물들을 적합한 상전이 촉매, 예를들어 트리알킬페닐메틸암모늄, 테트라알킬암모늄, 테트라알킬포스포늄, 테트라아릴포스포늄 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로젠 설페이트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적절한 염기와 함께 교반하는 것이 포함된다.
> C=X가 일반식 (b) 또는 (c)의 래디칼인 일반식 (XIV)의 중간체 (이 중간체는 일반식 (XIV-b) 및 (XIV-c)로 나타낸다)는 일반식 (XXIV)의 상응하는 알콜로부터 일반식 (XIV-a)의 중간체를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IV-b) 또는 (XXVI-c)의 상응하는 알콜 중간체를 산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R이 수소인 일반식 (XXVI-b)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은 1991년 1월 9일자로 공고된 EP-A-0,406,95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식 (XXVI-b) 및 (XXVI-c)의 중간체인 벤질알콜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탈보호 공정에 의해 보호된 알콜 (XXVII-b) 또는 (XXVII-c)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일반식 (XXVII-b) 및 (XXVII-c)에서, P는 적합한 보호그룹, 예를들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2-메톡시에톡시메틸, 2-메톡시프로필, 2-아세톡시프로필, 1-에톡시에틸 등; 트리알킬실릴 그룹, 예를들면 트리메틸실릴, 3급 부틸디메틸실릴 등의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의 탈보호 반응은 아세탈 및 실릴 에테르를 가수분해시키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들면 수성 매질중에서 산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 C=X가 일반식 (b) 또는 (c)의 래디칼인 일반식 (XXVII-b) 및 (XXVII-c)의 중간체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일반식 (I-b) 및 (I-c)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X가 0인 일반식 (XXVII-a)의 중간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XXVII-a)의 보호된 중간체는 하이드록시 그룹을 보호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IV)의 알칸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보호반응에는 산 촉매 존재하의 불활성 용매중에서 디하이드로피란과 같은 비닐에테르에 의한 처리; 또는 적합한 알킬화제, 예를들면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3급 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트리알킬실릴 할라이드에 의한 0-알킬화 또는 0-실릴화 등의 보호반응이 포함될 수 있다.
R이 피리디닐이고 X가 NOR1이며, R1은 수소가 아닌 (여기에서 이 래디칼은 일반식 R1-a로 표시된다) 일반식 (XXVI-b-1´)의 중간체는 일반식 (I-b-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R이 피리디닐이고, X가 NOH인 일반식 (XXVI-b)의 중간체 (이 중간체는 일반식 (XXVI-b-2)로 나타낸다)로부터 0-알킬화 또는 0-실릴화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일반식 (XXVI-b-2)의 중간체는 R이 피리디닐이고 X가 NOH인 일반식 (XIV-b)의 상응하는 알데히드 (이 중간체는 일반식 (XIV-b-2)로 나타낸다)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환원방법에 따라 환원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환원반응은 반응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염을 메탄올 등과 같은 알칸올 중에서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등과 같은 환원제의 존재하에 교반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반응물의 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은 염기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식 (XIV-b-2)의 중간체는 또한 일반식 (XXVIII)의 중간체를 산성 수성매질 중에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 (XXVIII)의 중간체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일반식 (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X가 0이고 R이 피리디닐인 일반식 (XXIX)의 중간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XXIX)의 보호된 중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R이 피리디닐인 일반식 (XIV-a)의 알데히드 (이 중간체는 일반식 (XIV-a-1)로 나타낸다)로부터 선택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반응의 대표적인 것에는 4-메틸벤젠설폰산과 같은 산 촉매의 존재하에서 메탄올, 에탄올, 1,2-에탄디올 등과 같은 알콜에 의한 처리가 포함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일반식 (XIV-b-1)의 중간체는 일반식 (I-b-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VIII)의 중간체를 직접 0-알킬화시키고, 계속해서 산성 수성매질 중에서 아세탈 그룹을 알데히드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R이 피리디닐인 일반식 (XIV-c))의 중간체(이 중간체는 일반식 (XIV-c-1)로 나타낸다)는 일반식 (XIV-b-2)의 중간체를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X)의 중간체를 산성 수성매질 중에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 (XXX)의 중간체는 일반식 (I-a)의 화합물을 일반식 (I-c)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IX)의 중간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IV)의 중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XXI)의 중간체를 환원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에서 적합한 환원제는 예를들어, 염산과 같은 산 존재하의 염화주석(II), 또는 수소화 촉매 존재하의 수소이다.
일반식 (XXXI)의 중간체는 일반식 (XXXII)의 중간체를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중에서 니트로-아세토니트릴 (XXXIII)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별도의 방법으로서, 일반식 (XXXI)의 중간체는 일반식 (XXXIV)의 중간체를 바람직하게는 승온, 예를들면 환류온도에서 반응-불활성 용매, 예를들면 에탄올, 1-부탄올 등과 같은 알콜중에서 NH3와 반응시키거나; 일반식 (XXXIV)의 중간체를 아세트산 중에서 암모늄 아세테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별도의 방법으로서, 일반식 (XXXI)의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반응과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
일반식 (XXXII)의 중간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일반식 (XIV)의 상응하는 니트로-유도체를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에 적합한 환원제는 예를들어, 염산과 같은 산 존재하의 철 또는 아연과 같은 금속, 또는 수소화 촉매 존재하의 수소이다.
일반식 (XXXIV)의 중간체는 일반식 (XXXII)의 중간체를 염산, 메탄설폰산 등과 같은 산의 존재하에서 1,1-비스(메틸티오)-2-니트로-에텐 (XXXV)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 (PDE) III군 (cGMP-억제군) 및 IV군 (cAMP-특이군) 둘다에 대한 강력한 억제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PDE III 및 PDE IV는 문헌[J. A. Beavo and D. H. Reifsnyder, TIPS Reviews, April 1990, pp. 150-155]에 분류된 것이다.
III 및 IV군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동위효소(isoenzyme)의 억제는 심장근육, 호염기구 및 호산구와 같은 특징의 임파구, 및 비만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에서의 cAMP의 수준의 상승을 유도한다. cAMP는 중요한 제2의 메센져이며, 그의 농도는 키나제와 같은 효소의 활성화를 통해 특정 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다수의 앨러지성 질환 및 아토피성 질환은 정상치 보다 높은 PDE 농도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높은 농도는 낮은 cAMP 농도, 및 이렇게 하여 영향을 받은 세포의 흥분성 자극에 대한 과민성을 야기시킨다. (상기 언급된 과민성의 예는 예를들어, 호염기구 및 비만세포로부터의 과다한 히스타민 방출 또는 호산구에 의한 과다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래디칼의 형성이다.) 따라서, 강력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을 완화시키고/시키거나 치료하는데 유용한 약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PDE III 및 IV 억제제의 기능적 효과는 예를들어 기도 평활근 이완, 혈소판 응집억제 및 백혈구 매개물질 방출의 억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것은 PDE III군 및 IV군 둘다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이중 활성은 호염기구 및 비만세포와 같은 세포의 탁월한 억제성 조절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앨러지성 질환, 아토피성 질환 및 관련된 질병을 앓고 있는 온혈동물, 특히는 인간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치료학적 약제인 것으로 간주된다. 앨러지성 질환의 예로는 기관지천식, 구순염, 결막염, 접촉성 피부염 및 습진, 과민성 장 질환, 탈수성 습진, 담마진, 혈관염, 외음염 등이 있으며; 아토피성 질환의 예로는 피부염 및 습진, 윈터휘트(winterfeet), 천식, 앨러지성 비염 등이 있고; 관련된 질병으로는 예를들어 건선 및 그밖의 다른 과증식성 질환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들의 유용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활성 때문에 투여목적으로 다양한 약제학적 형태로 제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활성성분으로서 염기 또는 산부가염 형태의 특정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에 필요한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의 완전 혼합물로 배합시킨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직장, 경피 투여 또는 비경구적 주사에 의해 투여하기에 적합한 단위 용량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경구 투여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매질중의 어느 것이나를, 예를들어 현탁제, 시럽제, 엘릭서제 및 용액제와 같은 경구용 액체제제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 또는 산제, 환제, 캅셀제 및 정제의 경우에는 전분, 당,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고체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경구투여용 단위 제형은 고체 약제학적 담체가 명백하게 사용되는 정제 및 캅셀제이다. 비경구용 조성물의 경우에 담체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대부분은 멸균수로 이루어지지만 용해보조제와 같은 다른 성분들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주사용 용액은 예를들어 담체가 식염용액, 글루코즈 용액 또는 식염과 글루코즈 용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주사용 현탁액은 또한 적절한 액체 담체, 현탁화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피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에서 담체는 임의로 피부에 어떠한 심각한 유해효과도 미치지 않는 특정의 특성을 갖는 소량의 적합한 첨가제와 배합된 침투 증진제 및/또는 적합한 수화제를 임의로 함유한다. 상기의 첨가제는 피부에 대한 투여를 촉진시킬 수 있고/있거나, 목적하는 조성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들면 경피 패취제로서, 점적제로서 또는 연고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 화합물의 부가염이 증가된 수용해도 때문에 명백하게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적합한 담체, 예를들면 사이클로덱스트린(CD) 또는 특히 US-3,459,731, EP-A-149,197 또는 EP-A-197,571호에 기술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 같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중에서 제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도체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이 C1-6알킬, 특히 메틸, 에틸 또는 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 C1-6알킬, 특히 하이드록시에틸, 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하이드록시부틸; 카복시 C1-6알킬, 카복시메틸 또는 카복시에틸; C1-6알킬카보닐, 특히 아세틸; C1-6알킬옥시카보닐 C1-6알킬; 카복시 C1-6알킬옥시 C1-6알킬, 특히 카복시메톡시프로필, 카복시에톡시프로필; 또는 C1-6알킬카보닐옥시 C1-6알킬, 특히 2-아세틸옥시프로필에 의해 치환된 α-, β- 또는 γ-CD가 포함된다. 착화제 및/또는 가용화제로서 특히 유용한 것은 β-CD, 2,6-디메틸-β-CD, 2-하이드록시에틸-β-CD, 2-하이드록시에틸-γ-CD, 2-하이드록시프로필-γ-CD 및 (2-카복시메톡시)프로필-β-CD 및 특히 2-하이드록시프로필-β-CD이다. 상기 언급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에서 DS(치환도, 즉 글루코즈 단위당 치환된 하이드록시 작용기의 평균수)는 바람직하게는 0,125 내지 3, 특히는 0.2 내지 2, 또는 0.2 내지 1.5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DS는 약 0.2 내지 약 0.7, 특히는 약 0.35 내지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4이다. MS(몰치환도, 즉 글루코즈 단위당 치환제의 평균 몰수)는 0.125 내지 10, 특히는 0.3 내지 3, 또는 0.3 내지 1.5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MS는 약 0.3 내지 약 0.8, 특히는 약 0.35 내지 약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4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MS가 0.35 내지 0.50의 범위이고 1.5% 미만의 비치환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이다.
상기의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의 에테르 유도체를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목적 화합물 및 다른 보조제 및 성분들, 예를들면 염화나트륨, 질산칼륨, 글루코즈, 만니톨, 솔비톨, 크실리톨, 및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제와 같은 완충제를 가하고; 임의로 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거나 동결건조시켜 농축 또는 건조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최종 조성물중의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의 에테르 유도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 특히는 2.5% 내지 25%, 더욱 특히는 5% 내지 20% 범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들어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프레온과 같은 추진제를 사용하거나, 펌프 스프레이(pump spray)와 같이 추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에어로졸로서, 드롭제(drops)로서, 또는 스와브(swab)를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농조화 조성물과 같은 반고형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특정의 적용시에는 납고, 크림, 젤리, 연고 등과 같은 반고형 조성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및 용량의 균일성을 위해서는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단위용량형으로 제형화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단위용량형이란 단일 투여에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여기에서 각 단위체는 필요한 약제학적 담체와 함께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계산된 예정량의 활성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단위용량형의 예로는 정제(분할정제 또는 피복정제), 캅셀제, 환제, 분말패킷, 웨이퍼,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등 그의 분리된 복합체가 있다.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의 본 발명 화합물의 유용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 담체와의 혼합물로서 약제학적 유효량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을 전신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을 앓고 있는 온혈동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의 전문가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시험 결과들로부터 1일 유효용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일 유효용량은 체중 kg 당, 0.01mg 내지 4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중 kg 당, 0.04mg 내지 2mg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1일 유효용량은 치료 대상의 반응 및/ 또는 본 발명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평가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1일 유효용량 범위는 단지 지침으로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용도를 특정의 수준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부]
[A.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
a) 아황산수소나트륨 114.5g 및 물 500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빙욕상에서 5℃로 냉각시킨 후에 2-메톡시벤즈알데히드 100g을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후, 모르폴린 95.8g을 적가하였다. 그 다음에 물 100ml 중의 시안화나트륨 39.2g의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벤젠과 함께 공증발시켜 α-(3-메톡시페닐)-4-모르폴린아세토니트릴(중간체 1) 168.2g (99.2%)을 수득하였다.
b) 질소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0ml중의 수소화나트륨 35g의 교반 혼합물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0ml 중의 중간체 (1) 168.2g의 용액을 적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여기에 100℃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0ml 중의 3-클로로-2-(디메톡시메틸)-1-니트로벤젠 (J655 및 J69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 152.9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0℃에서 1시간 및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한 후에 물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세척(3x)하여 α-[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α-(3-메톡시페닐)-4-모르폴린아세토니트릴 (중간체 2) 294.6g (100%)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
α-[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α-(4-플루오로페닐)-4-모르폴린아세토니트릴 (중간체 3);
α-[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α-(3,4-디메톡시페닐)-4-모르폴린아세토니트릴 (중간체 4); 및
α-[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α-(4-메틸페닐)-4-모르폴린아세토니트릴 (중간체 5).
c) HCl로 포화된 2-프로판올 1200ml 및 물 500ml의 교반 혼합물에 1,4-디옥산 700ml 중의 중간체 (2) 294.6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환류온도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중에서 교반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NH4OH로 중화시키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CH2Cl2)에 의해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계속해서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서 교반한 후에 2-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 84.0℃의 5-(3-메톡시벤조일)-2-니트로벤즈아데히드 (중간체 6) 56.3g을 (28.6%)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
5-(4-플루오로벤조일)-2-니트로벤즈알데히드: 융점 105.2℃ (중간체 7);
5-(3,4-디메톡시벤조일)-2-니트로벤즈알데히드: 융점 169.4℃ (중간체 8); 및
5-(4-메톡시벤조일)-2-니트로벤즈알데히드: 융점 131.7℃ (중간체 9).
[실시예 2]
a) 중간체 (24) 91g, 트리메톡시메탄 41.6ml, 황산 9.9ml, 4-메틸벤젠설폰산 0.66g, 메탄올 1000ml 및 2,2-디메톡시프로판 50ml의 용액을 밤새 환류시켰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교반 및 냉각시키면서 메탄올중의 Na2CO353g의 혼합물에 부었다. 전체 혼합물을 여과하고 침전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과 디클로로메탄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켜 [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타논 (중간체 10) 106g (98.8%)을 수득하였다.
b) 중간체 (10) 106g, 피리딘 700ml 및 탄산수소나트륨 38.9g의 혼합물에 하이드록실아민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29.26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80 내지 90℃에서 가열한 다음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과 함께 공증발(3x)시킨 다음에 물과 디클로로메탄 사이에 분배시켰다. 침전을 형성시키고 생성물을 각각 32.1g 및 33.8g 씩인 두 개의 분획으로 여과하였다. 여액의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켜 생성물의 세 번째 분획 27g을 수득하였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생성물 분획을 합하여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여 진공중, 50 내지 60℃에서 건조시켜 (E/Z 85:15)-[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타논 옥심 (중간체 11) 44.7g (40.1%)을 수득하였다. 첫 번째 생성물 분획을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 (90:10)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융점 183.6℃의 (Z)-[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타논 옥심 (중간체 12) 10.6g (9.5%)을 수득하였다.
c) 중간체 (11) 177g, 2N 염산 400ml 및 2-프로판올 400ml의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침전물 (Z-이성체의 HCl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한 후, 건조시켜 융점 230.6℃의 (E)-5-[(하이드록시이미노)-(3-피리디닐)메틸]-2-니트로벤즈알데히드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13) 18.1g (10.5%)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에틸 (Z)-5-[[[(3-포르밀-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14).
d) 물 150ml 중의 중간체 (13) 13.5g의 혼합물에 1N 수산화나트륨 43.9ml를 적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진공중, 60℃에서 건조시켜 (E)-5-[(하이드록시이미노)(3-피리디닐)메틸]-2-니트로벤즈알데히드 (중간체 15) 11.15g (93.6%)을 수득하였다.
e) 메탄올 100ml 및 1N 수산화나트륨 35.3ml 중의 중간체 (15) 9.15g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0.45g을 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고, 그후 여기에 염화암모늄 2.67g을 가하였다. 15분후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진공중, 60℃에서 건조시켜 (E)[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타논 옥심 (중간체 16) 8.75g (90.7%)을 수득하였다.
f)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0ml 중의 중간체 (16) 8.75g의 교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1.93g을 조금씩 가하고, 10분 후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ml 중의 에틸 5-브로모펜타노에이트 5.4m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NaCl) 및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CH2Cl2/C2H5OH 97:3)에 의해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틸벤젠과 함께 공증발시켜 에틸 (E)-5-[[[[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17) 13.0g (100%)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
에틸 (E)-2-[[[[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테이트: 융점 112.8℃ (중간체 18);
에틸 (Z)-5-[[[[3-(디메톡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19);
(E)-1-(사이클로헥실메틸)-4-[[[[[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피페라진: 융점 185.0℃ (중간체 54); 및
(E)-N-사이클로헥실-2-[[[[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융점 169.5℃ (중간체 58).
[실시예 3]
(E+Z)-N-사이클로헥실-2-[[[[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미합중국특허원 제 529,826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 86.2g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Lichroprep Si60; CH2Cl2/CH3OH 98.5:1.5)에 의해 그의 E 및 Z 이성체로 분리시켰다. 첫 번째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2-프로판올 및 헥산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융점 153.8℃의 (Z)-이성체 (중간체 20) 30.5g (35.8%)을 수득하였다. 두 번째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켜 (E)-이성체 (중간체 21) 25.9g (30.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a) 메탄올 1400ml 중의 수산화칼륨 241.3g의 용액에 3-피리딘아세토니트릴 130g, 및 메탄올 300ml 중의 2-니트로벤젠메탄올 153g의 용액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약간의 빙수 및 아세트산 300g을 가하였다. 침전을 여과하여 디클로로메탄중에서 비등시킨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CHCl3/CH3OH 90:10)에 의해 더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및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메탄올을 증발시킨 후에 생성물을 여과하여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 199.7℃의 (E+Z)-α[4-(하이드록시이미노)-3-(하이드록시메틸)-2,5-사이클로헥사디에닐리덴]-3-피리딘아세토니트릴 헤미하이드레이트 (중간체 22) 67.9g (25.9%)을 수득하였다.
b) 물 5140ml 중의 수산화칼륨 982g의 용액에 중간체 (22) 164.8g을 가하고, 물 2400ml 중의 과산화수소 988.8m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침전을 여과하여 물, 2-프로판올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연속해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CHCl3/CH3OH 90:10)에 의해 정제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과 메탄올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융점 184.3℃의 [3-(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타논 (중간체 23) 53.4g (31.8%)을 수득하였다.
c) 디클로로메탄 1000ml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300ml 중의 중간체 (23) 18g의 용액에 산화망간(IV) 60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규조토상에서 여과하였다. 여액을 다시 새로운 산화망간(IV) 60g과 함께 밤새 교반한 다음에 2주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상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CH2Cl2/CH3OH 98:2)에 의해 2회 정제하였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켜 2-니트로-5-(3-피리디닐카보닐)-벤즈알데히드 (중간체 24) 13.4g (74.7%)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또한 제조하였다 :
(Z)-N-사이클로헥실-2-[[(3-포르밀-4-니트로페닐)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25);
(E)-N-사이클로헥실-2-[[[(3-포르밀-4-니트로페닐)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26);
에틸 (E)-2-[[[(3-포르밀-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테이트; 융점 105℃ (중간체 27); 및
에틸 (E)-5-[[[(3-포르밀-4-니트로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28).
d) 디클로로메탄 (20ml) 중의 에탄디오일 디클로라이드 (0.042 몰)의 용액을 N2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70℃ (2-프로파논/CO2-욕)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디클로로메탄 (7ml) 중의 디메틸설폭사이드 (0.066 몰)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80ml)으로 희석시켰다. 중간체 (54) (0.0215 몰)를 조금씩 가하고,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N,N-디에틸에탄아민 (0.128 몰)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켰다. 반응 혼합물로 물로 1회 및 NaOCl 수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톨루엔을 가하고 용매를 다시 증발시켜 (E)-1-(사이클로헥실메틸)-4-[[[[(3-포르밀-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피페라진 (중간체 55) 11.7g (100%)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E)-N-사이클로헥실-2-[[[(3-포르밀-4-니트로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59).
e) 에탄올 200ml 중의 나트륨 0.73g의 교반 용액에 디에틸 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포스페이트 7.49g을 가하고, 5분 후에 에탄올 60ml 및 디클로로메탄 90ml의 혼합물중의 중간체 (24) 7.4g의 용액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진공중, 6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융점 199.4℃의 (E+Z)-5-[[2-니트로-5-(3-피리디닐카보닐)페닐]메틸렌]-2,4-이미다졸리딘디온 헤미하이드레이트 (중간체 29) 6.65g (66.2%)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간체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f) 중간체 (29) 및 그의 유리염기의 혼합물 (42:58) 5.85g,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ml 및 물 80ml의 현탁액에 나트륨 디티오네이트 15g을 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틸벤젠의 혼합물 및 메탄올/메틸벤젠의 혼합물과 함께 연속해서 공증발시켜 (E+Z)-5-[[2-아미노-5-(3-피리디닐카보닐)페닐]메틸렌]-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41) 5.23g (98.6%)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
에틸 [5 [Z, 3(E+Z)]]-5-[[[[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42);
[2 [Z, 3(E)]]-2-[[[[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사이클로헥실-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43);
에틸 [2 [E, 3(E+Z)]]-2-[[[[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테이트 (중간체 44); 및
에틸 [5 [E, 3(E+Z)]]-5-[[[[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45).
[실시예 5]
중간체 (30)는 11.9g, 메탄올중의 티오펜 용액 (4%) 2ml 및 2-메톡시에탄올 250ml의 혼합물을 상압 및 실온에서 5% 목탄상 백금 촉매 3g의 존재하에 밤새 수소화시켰다. 계산량의 수소가 흡수된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벤젠과 함께 공증발시킨 다음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중, 80℃에서 건조시켜 5-[(2-아미노-5-벤조일페닐)메틸렌]-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46) 10.8g (99.6%)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E+Z)-5-[[2-아미노-5-(3-메톡시벤조일)페닐]메틸렌]-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47).
용매로서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2E, (E+Z)-1-[[[[[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4-(사이클로헥실메틸)피페라진 (중간체 57).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2E, (E+Z)-2-[[[[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사이클로헥실-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61).
[실시예 6]
중간체 (46) 9.8g 및 2-메톡시에탄올 300ml의 혼합물을 상압 및 실온에서 5% 목탄상 백금 촉매 4g의 존재하에 3일 동안 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벤젠과 함께 공증발시켜 5-[(2-아미노-5-벤조일페닐)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48) 9.4g (95.3%)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5-[[2-아미노-5-(3,4-디메톡시벤조일)페닐]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49).
[실시예 7]
중간체 (33) 8.5g, 철 분말 4.94g, 염화암모늄 4.73g, 에탄올 150ml, 물 75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의 혼합물을, 중간체가 더 이상 잔류하지 않을 때 까지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상에서 열시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 (10:90) 250ml에 용해시켰다. 침전을 여과하여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하여 규조토상에서 여과한 다음에 물(+NaCl)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고 증발시켜 에틸 [5 [(E+Z), 3(E+Z)]]-5-[[[[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에이트 (중간체 50) 7.9g (98.8%)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2 [E, 3(E+Z)]]-2-[[[[4-아미노-3-[(2,5-디옥소-4-이미다졸리디닐리덴)메틸]페닐]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사이클로헥실-N-메틸아세트아미드 (중간체 51).
[실시예 8]
중간체 (38) 5.3g 및 2-메톡시에탄올 250ml의 혼합물을 상압 및 실온에서 5% 목탄상 백금 촉매 2g의 존재하에 수소화시켰다. 잠시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촉매 2g으로 대체시켰다. 반응을 완결시킨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벤젠과 함께 공증발시켜 5-[[2-아미노-5-(4-플루오로벤조일)페닐]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52) 5g (100%)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5-[[2-아미노-5-(4-메틸벤조일)페닐]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중간체 53).
[B. 최종 목적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9]
중간체 (48) 9.4g, 4-메틸벤젠설폰산 7.6g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90ml의 용액을 150 내지 160℃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600ml에 부었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NaHCO3수용액 중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각각 6.25g 및 0.28g인 두 개의 분획으로 여과하였다. 분획을 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HPLC; γ-아미노프로필; CH2Cl2/CH3OH 95:5)에 의해 정제하였다. 세 번째 및 네 번째 분획의 용출제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과 물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교반하면서 1N NaOH를 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활성목탄과 함께 수분 동안 비등시켰다. 혼합물을 규조토상에서 열시 여과하였다. 여액에 교반하면서 1N HCl을 가하고, 침전을 여과하여 메탄올 및 물의 혼합물 (1:1), 물, 메탄올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진공중, 7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융점 > 300℃인 7-벤조일-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화합물 1) 1.06g (12.1%)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
7-(3,4-디메톡시벤조일)-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융점>300℃ (화합물 2);
7-(4-플루오로벤조일)-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융점>300℃ (화합물 3); 및
1,3-디하이드로-7-(4-메틸벤조일)-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융점>300℃ (화합물 4).
[실시예 10]
중간체 (41) 5.23g, 4-메틸벤젠설폰산 6.4g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100ml의 혼합물을 15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교반하면서 10% NaHCO3를 적가하여 pH5로 조정하였다. 침전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물 (1:1)로 3회 (각각 100ml, 75ml 및 50ml) 비등시켰다. 매회 생성물을 열시 여과하여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물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생성물을 메탄올 50ml 및 물 20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전체 혼합물을 활성 목탄 300mg과 함께 비등시켰다. 혼합물을 규조토상에서 열시 여과하고 냉각시킨 여액에 교반하면서 1N HCl 10ml를 가하였다. 침전을 여과하고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 (1:1), 물, 에탄올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진공중, 7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융점>300℃ 인 1,3-디하이드로-7-(3-피리디닐카보닐-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모노하이드레이트 (화합물 5) 0.63g (12.0%)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화합물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
1-[(4-메틸페닐)설포닐]피리디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다음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
(E)-1-(사이클로헥실메틸)-4-[[[[(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피페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 융점>260.0℃ (화합물 15); 및
(E)-N-사이클로헥실-2-[[[(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헤미하이드레이트: 융점 263.4℃ (화합물 16).
[실시예 11]
화합물 (6) 0.99G 및 1N 수산화나트륨 10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N HCl 10ml를 가하였다. 침전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메탄올 중에서 비등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메탄올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중, 80℃에서 건조시켜 융점>300℃ (분해)의 (Z)-5-[[[(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산 (화합물 13) 0.7g (75.1%)을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다음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
(E+Z)-5[[[(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3-피리디닐)메틸렌]아미노]옥시]펜타노산 모노하이드레이트: 융점 233.5℃ (화합물 14).
[C) 약물학적 실시예]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완화 및/또는 치료효과는 인간 및 개의 근육세포에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II에 대한 억제효과 및 인간의 단핵 임파구에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V에 대한 유사한 억제효과를 검출하는 시험관내 시험 시스템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II (PDE III)의 억제]
배양 혼합물(pH 7.1)(200μl)은 40mM 트리스(Tris), 3.75mM 2-머캅토에탄올, 6mM 염화마그네슘, 1.2μM3H-cAMP (310mCi/밀리몰)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II (그의 양은 효소 활성에 따라 결정된다)을 함유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37℃에서 10분 동안의 배양기간 중에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이 직선형 증가를 나타내도록 선택되었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에 대한 상이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cAMP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화합물(들) 또는 그의 담체(DMSO-최종 농도 1%)와 5분동안 배양하였다. 효소 반응은3H-cAMP를 첨가하여 개시시켰으며, 시험관을 100℃의 수욕에 40초 동안 옮긴 지 10분 후에 중지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알칼리성 포스파타제(0.25μg/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1ml DEAE-세파덱스(Sephadex) A-25 칼럼에 적용시키고 (파스퇴르 파이펫) pH 7.4의 20mM 트리스-HCl 3ml로 2회 세척하였다. 용출물중의3H 표지된 반응생성물을 액체 섬광계수 방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개 및 인간의 심장 포스포디에스테라제 PDE III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본 발명 화합물의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IC50값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억제값으로부터 그래프에 의해 계산하였다. 표 3에는 개 및 인간의 심장 PDE IIIDP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유용한 IC50값을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13]
[인간의 단핵 임파구(Mononuclear Lymphocytes:MNL)로 부터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V의 억제]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을 앓았던 적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공여자(donor)로부터 인간의 혈액을 수득하였다. 혈액 35ml를 정맥천자에 의해 제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pH 7.1의 100mM K2EDTA 5ml 중에 수집하였다. 식염수중의 0.6% 덱스트란 4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적혈구를 함유하지 않는 상등액을 취하여 림포프레프(Lymphoprep) 용액상에 서서히 적층시키고 750g, 18℃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계면을 취하여 137M NaCl, 50mM KCl 및 100mM HEPES를 함유하는 pH 7.4의 완충액으로 희석하고 900g, 10℃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생성된 펠렛을 동일한 완충액에 재현탁시켰다.
MNLs의 현탁액을 1% 트리톤(Triston) X100 및 0.3% 브리즈(Brij) 35로 조정하고 액체 N2중에서 동결시켰다. 3회의 동결-해빙과정을 거친 후에, 현탁액을 폴리트론(Polytron) PT3000 (Kinematica AG) 균질화기 (PT-DA 3020/2 TS)를 사용하여 4℃에서 8000rpm으로 하여 5x10초 동안 균질화시키고, 이어서 출력 주파수 20000Hz, 작동 출력 40W의 브란슨 초음파기(Branson sonifier)를 사용하여 4℃에서 10x3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수득된 균질물을 10000g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PDE IV 활성의 공급원으로 사용하였다. 배양 혼합물(pH 7.1)(200μl)은 40mM 트리스, 3.75mM 2-머캅토에탄올, 6mM 염화마그네슘, 1.2μM3H-cAMP(310mCi/밀리몰)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타입 IV(그의 양은 효소 활성에 따라 결정된다)를 함유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37℃에서 10분 동안의 배양기간 동안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이 직선형 증가를 나타내고 최초 기질의 10% 미만이 가수분해되는 농도로 선택되었다. PDE III 활성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PDE IV 활성은 10-4M cGMP의 존재하에서 측정하였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에 대한 상이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cAMP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화합물(들) 또는 그의 담체(DMSO-최종 농도 1%)와 5분 동안 배양하였다. 효소 반응은3H-cAMP를 첨가하여 개시시켰으며, 시험관을 100℃의 수욕에 40초 동안 옮긴 지 10분 후에 중지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알칼리성 포스파타제(0.25μg/ml)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1ml DEAE-세파덱스 A-25 칼럼에 적용시키고(파스퇴르 파이펫), pH 7.4의 20mM 트리스-HCl 3ml로 2회 세척하였다. 용출물중의3H 표지된 반응생성물을 액체 섬광계수 방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인간의 단핵 임파구 포스포디에스테라제 PDE IV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본 발명 화합물의 상이한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억제값으로부터 그래프에 의해 계산하였다. 표 4에는 인간의 단핵 임파구 PDE IV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유용한 IC50값을 나타내었다.
[표 4]
[D) 조성물 실시예]
다음의 제형은 본 발명에 따라 동물 및 인간에게 전신투여하기에 적합한 단위용량형의 대표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으로 “활성성분(A.I.)”은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4]
[경구용 드롭제]
A.I. 500g을 60 내지 80℃에서 2-하이드록시프로파노산 0.5ℓ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5ℓ에 용해시킨다. 30 내지 40℃로 냉각시킨 후에 폴리에틸렌글리콜 35ℓ를 가하고 혼합물을 잘 교반한다. 그후, 여기에 정제수 2.5ℓ중의 나트륨 사카린 1750g의 용액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코코아향 2.5ℓ 및 총 용적이 50ℓ가 되도록 하는 적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하여 ml당 A.I. 10mg을 함유하는 경구용 드롭제 용액을 수득하다. 생성된 용액은 적합한 용기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15]
[경구용 용액]
메톡시-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9g 및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g을 비등 정제수 4ℓ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 3ℓ에 우선 2,3-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 10g을 용해시킨 후에 이어서 A.I. 20g을 용해시킨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의 나머지와 합하고, 여기에 1,2,3-프로판트리올 12ℓ 및 70% 솔비톨 용액 3ℓ를 가한다. 나트륨 사카린 40g을 물 0.5ℓ에 용해시키고, 라즈베리(raspberry) 2ml 및 구즈베리(gooseberry) 에센스 2ml를 가한다. 전자의 용액을 후자의 용액과 합하고, 용적이 20ℓ가 되도록 하는 적량의 물을 가하여 티스푼양(5ml) 당, A.I. 5mg을 함유하는 경구용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용액은 적합한 용기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16]
[캅셀제]
A.I. 20g, 나트륨라우릴 설페이트 6g, 전분 56g, 락토즈 56g,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0.8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2g을 함께 격렬히 교반한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각각 A.I. 20mg씩을 함유하도록 적합한 경질 젤라틴 캅셀 1000개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17]
[필름-피복 정제]
[정제 핵의 제조]
A.I. 100g, 락토즈 570g 및 전분 200g의 혼합물을 잘 혼합시킨 후에 물 약 200ml 중의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 5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Kollidon-K 90) 10g의 용액으로 습윤시킨다. 습윤 분말 혼합물을 체로 치고 건조시킨 후에 다시 체로 친다. 그후에 미세결정성 셀룰루오즈(Avicel) 100g 및 경화 식물유 (Sterotes) 15g을 가한다. 전체를 잘 혼합하여 각 정제당 활성성분 100mg을 함유하도록 10000개의 정제로 타정한다.
[피복]
변성 에탄올 75ml중의 메틸셀룰로오즈 (Methocel 60 HG) 10g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150ml 중의 에틸셀룰로오즈 (Ethocel 22) 5g의 용액을 가한다.
그후에 디클로로메탄 75ml 및 1,2,3-프로판트리올 2.5ml를 가한다. 폴리에틸렌글리콜 10g을 용융시키고 디클로로메탄 75ml에 용해시킨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에 가한 다음에, 마그네슘 옥타데카노에이트 2.5g, 폴리비닐피롤리돈 5g 및 농축 색소 현탁액(Opaspray K-1-2109) 30ml를 가하고, 전체를 균질화시킨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혼합물로 피복장치내에서 정제 핵을 피복시킨다.
[실시예 18]
[주사용 용액]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8g 및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2g을 주사용 비등수 약 0.5ℓ에 용해시킨다. 약 50℃로 냉각시킨 후에, 교반하면서 락트산 4g, 프로필렌글리콜 0.05g 및 A.I. 4g을 가한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적이 1ℓ가 되도록 적량의 주사용수를 보충하여 ml당 A.I. 4mg을 함유하는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용액을 여과(U.S.P. XVII p. 811)하여 멸균시켜 멸균 용기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19]
[좌제]
A.I. 3g을 25ml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중의 2,3-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 3g의 용액에 용해시킨다. 계면활성제(SPAN) 12g 및 트리글리세라이드(Witepsol 555) 적량을 가해 300g으로 하여 함께 용융시킨다. 후자의 혼합물을 전자의 용액과 잘 혼합시킨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혼합물을 37 내지 38℃의 주형에 부어 각각 활성성분 30mg 씩을 함유하는 좌제 100개를 제조한다.
[실시예 20]
[2% 크림제]
스테아릴알콜 75mg, 세틸알콜 2mg,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0mg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0mg을 이중벽 쟈켓 용기(doublewall jacketed vessel)에 도입시키고, 혼합물이 완전히 용융할 때까지 가열한다. 이 혼합물을 액체용 균질화기를 사용하면서, 정제수, 프로필렌글리콜 200mg 및 폴리솔베이트 60 15mg로 이루어진 온도 70 내지 75℃의 별도로 제조된 혼합물에 가한다. 생성된 에멀젼을 계속해서 혼합시키면서 25℃ 이하로 냉각시킨다. 그 다음에 계속해서 혼합시키면서 A.I. 20mg, 폴리솔베이트 80 1mg 및 정제수의 용액 및 정제수 중의 무수 아황산나트륨 2mg의 용액을 에멀젼에 가한다. A.I. 1g을 함유하는 크림을 균질화하여 적합한 튜브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21]
[2% 국소용 겔제]
정제수 중의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 200mg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A.I. 20mg을 가한다.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염산을 가한 다음에 pH 6.0이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가한다. 이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 50mg중의 카라게난 PJ 10mg의 분산액에 혼합시키면서 가한다. 서서히 혼합시키면서,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약 35℃로 냉각시켜 95%(v/v) 에틸알콜 50mg을 가한다. 총량이 1g이 되도록 하는 적량의 정제수의 나머지 부분을 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하게 되도록 혼합시킨다.
[실시예 22]
[2% 국소용 크림제]
정제수중의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 200mg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A.I. 20mg을 가한다.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염산을 가한 다음에 pH 6.0이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가한다. 교반하면서 글리세롤 50mg 및 폴리솔베이트 60 35mg을 가하고 혼합물을 70℃로 가열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광유 100mg, 스테아릴알콜 20mg, 세틸알콜 20mg,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0mg 및 솔베이트 60 15mg으로 구성된 온도 70℃의 혼합물에 서서히 혼합시키면서 가한다. 25℃ 이하로 냉각시킨 후에 총량이 1g이 되도록 하는 적량의 정제수의 나머지 부분을 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하게 되도록 혼합시킨다.
[실시예 23]
[2% 리포좀 제제]
A.I. 미세분말 2g, 포스파티딜콜린 20g, 콜레스테롤 5g 및 에틸알콜 10g의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55 내지 60℃에서 교반 및 가열한 다음에, 정제수중의 메틸파라벤 0.2g, 프로필파라벤 0.02g, 디나트륨에데테이트 0.15g 및 염화나트륨 0.3g의 용액에 균질화시키면서 가한다. 정제수중의 하이드록시프로메틸셀룰로즈 0.15g을 가하여 100g을 만들고 팽윤이 완결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실시예 24]
[25 리포좀 제제]
에틸알콜 7.5g 중의 포스파티딜콜린 10g 및 콜레스테롤 1g의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40℃에서 교반 및 가열한다. A.I. 미세분말 2g을 40℃에서 가열하면서 혼합시킴으로써 정제수에 용해시킨다. 전자에 생성된 알콜성 용액을 10분 동안 균질화시키면서 수성 용액에 서서히 가한다. 정제수 중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1.5g을 가하여 100g을 팽윤이 완결될 때까지 혼합시키면서 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pH 5.0으로 조정하고 총량을 100g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잔여량의 정제수로 희석시킨다.
[실시예 25]
[에어로졸]
a) 증류수 0.7ml 중의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MS=0.43) 0.1g의 용액에 0.1N 염산 용액 730μg 및 A.I. 2.5mg을 가한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수득된 용액의 pH를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pH 5.5로 조정한다. 그후, 여기에 염화나트륨 4mg 및 페닐머큐리아세테이트 0.15mg을 연속적으로 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다. 용적이 1.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고 전체를, 투여시에 퍼프(puff) 당, 0.1ml 씩이 운반되도록 하는 기계적 펌프로 밀봉된 유리병에 충진시킨다.
b) 증류수 0.7ml 중의 디메틸 β-사이클로덱스트린 0.1g의 용액에 0.1N 염산 용액 600μg 및 A.I. 2mg을 가한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폴리비닐알콜 10mg을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용액의 pH를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pH 5.5로 조정한다. 그후, 여기에 염화나트륨 4mg 및 페닐에틸알콜 2mg을 연속적으로 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용적이 1.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고 전체를, 투여시에 퍼프(puff) 당, 0.1ml 씩이 운반되도록 하는 기계적 펌프로 밀봉된 유리병에 충진시킨다.

Claims (13)

  1.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상기식에서, R은 수소;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6알킬옥시, C5-6사이클로알킬옥시, C1-6알킬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피리디닐; 또는 할로 또는 C1-6알킬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티에닐이며, > C=X는 다음 일반식 (a), (b) 또는 (c)의 래디칼이고,
    R1은 수소, 트리(C1-6알킬)실릴, 또는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이며, R2는 COOH, COOC1-4알킬, CONR3R4, COOCH2CONR5R6또는 COOH, COOC1-4알킬, CONR3R4, 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이고, R3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카보닐 C1-4알킬이며, R4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페닐, 티에닐 또는 피리딜이거나, R3및 R4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피페라지닐 환은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C1-4알킬, 페닐 C1-4알킬, 또는 1, 2, 3, 4 또는 5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C1-6알킬에 의해 질소 원자상에서 임의로 치환되고, R5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1-4알킬옥시 C1-4알킬, 하이드록시카보닐 C1-4알킬 또는 C1-4알킬옥시카보닐 C1-4알킬이며, R6는 수소, C1-4알킬, 하이드록시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 페닐, 티에닐 또는 피리디닐이거나, R5및 R6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피페라지닐 환은 C1-4알킬, (C3-7사이클로알킬)C1-4알킬, 페닐 C1-4알킬, 또는 1, 2, 3, 4 또는 5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에 의해 질소 원자상에서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수소; 할로, C1-6알킬옥시, C5-6사이클로알킬옥시 및 C1-6알킬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C=X가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이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톡시, 사이클로펜틸옥시 및 메틸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C=X가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이며, 여기에서 R1이 COOH, COOC1-4알킬 또는 CONR3R4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4알킬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R이 수소; 또는 플루오로, 메톡시 및 메틸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C=X가 일반식 (a), 또는 (b)의 래디칼이며, 여기에서 R1은 COOH, COOC2H5, CON(CH3)(c.C6H11) 또는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4알칼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이 (E)-N-사이클로헥실-2-[[[(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 7-벤조일-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E)-1-(사이클로헥실)-4-[[[[(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아세틸]피페라진; 또는 (E)-N-사이클로헥실-2-[[[(2,3-디하이드로-2-옥소-1H-이미다조[4,5-b]퀴놀린-7-일)메틸렌]아미노]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인 화합물.
  6. 활성성분으로서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앨러지성 및 아토피성 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7.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한 화합물을 약제학적 담체와 완전히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6항에서 청구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일반식 (II)의 화합물, 그의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상기식에서 R 및 >C=X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일반식 (III)의 화합물, 그의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학적 이성체:
    상기식에서 R 및 >C=X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0. 일반식 (IV)의 화합물, 그의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학적 이성체:
    상기식에서 R 및 >C=X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1. 일반식 (II)의 중간체를 산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폐환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 및 >C=X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2. 일반식 (III)의 중간체를 산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폐환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 및 >C=X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3. 일반식 (I-b)의 화합물 및 일반식 (I-c)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아미드화, 트랜스에스테르화, 트랜스아미드화 및 에스테르 가수분해에 의해 서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식중, R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은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이며, R2는 COOH, COOC1-4알킬, CONR3R4또는 COOCH2CONR5R6(여기서, R3, R4, R5, R6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이고, D는 다음의 구조식의 그룹이다.
KR1019940701365A 1991-10-30 1992-10-27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KR100251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495591A 1991-10-30 1991-10-30
US784.955 1991-10-30
PCT/EP1992/002496 WO1993009118A1 (en) 1991-10-30 1992-10-27 1,3-dihydro-2h-imidazo(4,5-b)quinolin-2-one derivatives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895B1 true KR100251895B1 (ko) 2000-09-01

Family

ID=2513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365A KR100251895B1 (ko) 1991-10-30 1992-10-27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3) US5521187A (ko)
EP (2) EP0610372B1 (ko)
JP (1) JP3488922B2 (ko)
KR (1) KR100251895B1 (ko)
CN (1) CN1041726C (ko)
AT (1) ATE131479T1 (ko)
AU (1) AU660337B2 (ko)
CA (1) CA2121230C (ko)
DE (1) DE69206820T2 (ko)
DK (1) DK0610372T3 (ko)
ES (1) ES2083773T3 (ko)
FI (1) FI105548B (ko)
GR (1) GR3018909T3 (ko)
HU (1) HU220608B1 (ko)
IL (1) IL103570A (ko)
MX (1) MX9206258A (ko)
NO (1) NO300976B1 (ko)
NZ (1) NZ244779A (ko)
PH (1) PH31245A (ko)
PL (1) PL170749B1 (ko)
RU (1) RU2127273C1 (ko)
TW (1) TW249234B (ko)
WO (1) WO1993009118A1 (ko)
ZA (1) ZA928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31245A (en) * 1991-10-30 1998-06-18 Janssen Pharmaceutica Nv 1,3-Dihydro-2H-imidazoÄ4,5-BÜ-quinolin-2-one derivatives.
US5502177A (en) * 1993-09-17 1996-03-26 Gilead Sciences, Inc. Pyrimidine derivatives for labeled binding partners
US5703827A (en) * 1996-02-29 1997-12-30 Monolithic System Technology,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generating a boosted word line voltage and a back bias voltage for a memory array
US6007992A (en) * 1997-11-10 1999-12-28 Gilead Sciences, Inc. Pyrimidine derivatives for labeled binding partners
US6028183A (en) * 1997-11-07 2000-02-22 Gilead Sciences, Inc. Pyrimidine derivatives and oligonucleotides containing same
DE60134762D1 (de) * 2000-10-02 2008-08-21 Janssen Pharmaceutica Nv Metabotropische glutamatrezeptor-antagonisten
SE0100903D0 (sv) * 2001-03-15 2001-03-15 Astrazeneca Ab Compounds
SE0100902D0 (sv) * 2001-03-15 2001-03-15 Astrazeneca Ab Compounds
KR20040007583A (ko) 2001-05-23 2004-01-24 다나베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연골 질환의 재생치료용 조성물
MXPA03010679A (es) 2001-05-23 2004-03-02 Tanabe Seiyaku Co Una composicion para acelerar la cicatrizacion de fractura osea.
SE0103710D0 (sv) * 2001-11-07 2001-11-07 Astrazeneca Ab Compounds
US7517517B2 (en) * 2002-03-29 2009-04-14 Janssen Pharmaceutica N.V. Radiolabelled quinoline and quinolin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ligands
SE0202539D0 (sv) * 2002-08-27 2002-08-27 Astrazeneca Ab Compounds
GB0221246D0 (en) * 2002-09-13 2002-10-23 Astrazeneca Ab Compounds
BRPI0413558A (pt) 2003-08-12 2006-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tos contendo imidazo substituìdo por hidroxilamina
KR101106812B1 (ko) 2003-08-27 2012-01-1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아릴옥시 및 아릴알킬렌옥시 치환된 이미다조퀴놀린
WO2005023190A2 (en) 2003-09-05 2005-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eatment for cd5+ b cell lymphoma
CA2540541C (en) 2003-10-03 2012-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lkoxy substituted imidazoquinolines
US7544697B2 (en) 2003-10-03 2009-06-09 Coley Pharmaceutical Group, Inc. Pyrazolopyridines and analogs thereof
CN1906192A (zh) 2003-11-14 2007-01-31 3M创新有限公司 羟胺取代的咪唑环化合物
JP2007511527A (ja) 2003-11-14 2007-05-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オキシム置換イミダゾ環化合物
JP4891088B2 (ja) 2003-11-25 2012-03-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置換されたイミダゾ環系および方法
EP1701955A1 (en) 2003-12-29 2006-09-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ylalkenyl and arylalkynyl substituted imidazoquinolines
WO2005066169A2 (en) 2003-12-30 2005-07-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midazoquinolinyl, imidazopyridinyl, and imidazonaphthyridinyl sulfonamides
WO2005090316A1 (en) * 2004-03-12 2005-09-29 Wyeth HYDANTOINS HAVING RNase MODULATORY ACTIVITY
WO2005094531A2 (en) 2004-03-24 2005-10-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mide substituted imidazopyridines, imidazoquinolines, and imidazonaphthyridines
US8017779B2 (en) 2004-06-15 2011-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yl substituted imidazoquinolines and imidazonaphthyridines
US7915281B2 (en) 2004-06-18 2011-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soxazole, dihydroisoxazole, and oxadiazole substituted imidazo ring compounds and method
WO2006009826A1 (en) 2004-06-18 2006-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yloxy and arylalkyleneoxy substituted thiazoloquinolines and thiazolonaphthyridines
WO2006038923A2 (en) 2004-06-18 2006-04-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yl substituted imidazonaphthyridines
SE0401762D0 (sv) * 2004-07-05 2004-07-05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US7648992B2 (en) 2004-07-05 2010-01-19 Astrazeneca Ab Hydantoin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airway diseases
SE0403086D0 (sv) * 2004-12-17 2004-12-17 Astrazeneca Ab Compounds
SE0403085D0 (sv) 2004-12-17 2004-12-17 Astrazeneca Ab Novel componds
ES2392648T3 (es) 2004-12-30 2012-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uestos quirales sustituidos que contienen un núcleo 1,2-imidazo-4,5-c condensado
AU2005322898B2 (en) 2004-12-30 2011-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hiral fused (1,2)imidazo(4,5-c) ring compounds
EP1844201B1 (en) 2005-02-04 2016-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queous gel formulations containing immune response modifiers
JP2008530113A (ja) 2005-02-11 2008-08-07 コーリ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キシムおよびヒドロキシラミン置換イミダゾ[4,5−c]環化合物および方法
JP2008538550A (ja) 2005-04-01 2008-10-30 コーリ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イルス感染および腫瘍性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サイトカイン生合成の調節因子としての1−置換ピラゾロ(3,4−c)環状化合物
JP2008535832A (ja) 2005-04-01 2008-09-04 コーリー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ラゾロピリジン−1,4−ジアミン、およびそのアナログ
EP2258359A3 (en) 2005-08-26 2011-04-06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uscarinic receptor modulation with sabcomelin
AU2006304787A1 (en) 2005-10-21 2007-04-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DE inhibition
CA2625210A1 (en) 2005-10-31 2007-05-10 Braincells, Inc. Gaba receptor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20100216734A1 (en) 2006-03-08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EP2377531A2 (en) 2006-05-09 2011-10-19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odulating angiotensin
EP2026813A2 (en) 2006-05-09 2009-02-25 Braincells, Inc. 5 ht receptor mediated neurogenesis
US7906506B2 (en) 2006-07-12 2011-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ituted chiral fused [1,2] imidazo [4,5-c] ring compounds and methods
US20100184806A1 (en) 2006-09-19 2010-07-22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par agents
TW200831488A (en) * 2006-11-29 2008-08-01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EP1969929A1 (de) 2007-03-12 2008-09-17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Phenylamidine und deren Verwendung als Fungizide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EP2804603A1 (en) 2012-01-10 2014-11-2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Beta-cell replication promoting compounds and methods of their use
RU2651570C2 (ru) 2012-10-02 2018-04-23 Кэлифорниа Инститьют Оф Текнолоджи Силилирование аромат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без переходных металлов
RU2769516C2 (ru) 2012-10-02 2022-04-01 Кэлифорниа Инститьют Оф Текнолоджи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е расщепление ароматических связей c-s активированными силанами
CN107108662B9 (zh) 2014-08-06 2020-05-15 加州理工学院 芳族杂环通过地球丰富的无过渡金属的催化剂的甲硅烷基化
CN106661059B (zh) 2014-09-02 2019-08-06 加州理工学院 末端炔烃c-h键的碱催化的甲硅烷基化
US9556080B2 (en) 2014-12-19 2017-01-3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ilylation of aromatic heterocycles by disilanes using potassium alkoxide catalysts
CN110441434A (zh) * 2019-08-29 2019-11-12 重庆华邦胜凯制药有限公司 Gc-ms分离测定对氨基水杨酸中相关杂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2188A (en) * 1977-12-01 1981-11-11 Wellcome Found Hydantoin derivatives
JPS6021941B2 (ja) * 1981-01-28 1985-05-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性磁器組成物
US4668686A (en) * 1985-04-25 1987-05-26 Bristol-Myers Company Imidazoquinoline antithrombrogenic cardiotonic agents
US4775674A (en) * 1986-05-23 1988-10-04 Bristol-Myers Company Imidazoquinolinylether derivatives useful as phosphodiesterase and blood aggregation inhibitors
US4701459A (en) * 1986-07-08 1987-10-20 Bristol-Myers Company 7-amino-1,3-dihydro-2H-imidazo[4,5-b]quinolin 2-ones and method for inhibiting phosphodiesterase and blood platelet aggregation
US5306822A (en) * 1988-05-25 1994-04-26 Warner-Lambert Company Arylmethylenyl derivatives of oxazolidinone
NZ234186A (en) * 1989-07-07 1991-10-25 Janssen Pharmaceutica Nv Imidazo quinazolin-o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030196C (zh) * 1989-07-07 1995-11-01 詹森药业有限公司 增强收缩力和舒张力的-二氢咪唑并喹唑啉酮衍生物的制备方法
US5043327A (en) * 1989-07-18 1991-08-27 Janssen Pharmaceutica N.V. Positive inotropic and lusitropic 3,5-dihydroimidazo[2,1-b]quinazolin-2(1H)-o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use
US4943573A (en) * 1989-11-01 1990-07-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midazo[4,5-b]quinolinyloxyalkanoic acid amides with enhanced water solubility
WO1991007177A1 (en) * 1989-11-13 1991-05-30 Pfizer Inc. Pyrimidone derivatives and analogs in the treatment of asthma or certain skin disorders
PH31245A (en) * 1991-10-30 1998-06-18 Janssen Pharmaceutica Nv 1,3-Dihydro-2H-imidazoÄ4,5-BÜ-quinolin-2-o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0337B2 (en) 1995-06-22
HU220608B1 (hu) 2002-03-28
PH31245A (en) 1998-06-18
WO1993009118A1 (en) 1993-05-13
ATE131479T1 (de) 1995-12-15
US5541325A (en) 1996-07-30
US5521187A (en) 1996-05-28
CA2121230A1 (en) 1993-05-13
HU9401245D0 (en) 1994-08-29
ES2083773T3 (es) 1996-04-16
EP0541153A1 (en) 1993-05-12
IL103570A0 (en) 1993-03-15
NO941497L (no) 1994-04-25
JPH07500599A (ja) 1995-01-19
AU2908392A (en) 1993-06-07
PL170749B1 (pl) 1997-01-31
RU2127273C1 (ru) 1999-03-10
MX9206258A (es) 1993-04-01
DE69206820T2 (de) 1996-05-15
FI105548B (fi) 2000-09-15
CN1072681A (zh) 1993-06-02
DE69206820D1 (de) 1996-01-25
ZA928373B (en) 1994-04-29
TW249234B (ko) 1995-06-11
EP0610372B1 (en) 1995-12-13
HUT66453A (en) 1994-11-28
JP3488922B2 (ja) 2004-01-19
FI942010A (fi) 1994-04-29
DK0610372T3 (da) 1996-01-29
EP0610372A1 (en) 1994-08-17
CN1041726C (zh) 1999-01-20
NZ244779A (en) 1994-10-26
NO941497D0 (ko) 1994-04-25
IL103570A (en) 1996-03-31
US5516908A (en) 1996-05-14
FI942010A0 (fi) 1994-04-29
NO300976B1 (no) 1997-08-25
GR3018909T3 (en) 1996-05-31
CA2121230C (en)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895B1 (ko)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로서의 1,3-디하이드로-2h-이미다조(4,5-b)퀴놀린-2-온 유도체
EP0406958B1 (en) Positive inotropic and lusitropic 3,5-dihydroimidazo[2,1-b]quinazolin-2(1H)-one derivatives
CA1276633C (en) Imidazo-pyridine derivatives
EP1194144B1 (en) Antibacterial compounds
KR100435247B1 (ko) 나프탈렌유도체,그의제조방법,및그의중간체
US5120782A (en) Substituted pyrrolo-pyridines pharmaceuticals
JPH09507241A (ja) 新規な置換されていてもよいフェニルイミダゾリジン類、それらの製造法及び中間体、それらの薬剤としての用途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製薬組成物
WO2002100860A2 (fr) Composes heterocycliqu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bacteriens
JP2005508313A (ja) アルキン−アリール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4阻害薬
JP3110765B2 (ja) ピリド[2,3−d]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医薬組成物
US20020156064A1 (en) Compounds and their use as PDE inhibitors
US4939159A (en) Azaindole derivatives useful as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Ngochindo 2-Protecting groups for 5-lithiation in the syntheses of imidazoles
US5043327A (en) Positive inotropic and lusitropic 3,5-dihydroimidazo[2,1-b]quinazolin-2(1H)-o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use
US5075311A (en) Hmg-coa reductase inhibiting substituted pryido (2,3-d) pyrimidines
JPS60149576A (ja) 坑炎症剤として有用な置換ヒドロキシ−2,3−ジヒドロベンゾフランおよびその類似体
JPH07242666A (ja) 複素環化合物
IE870217L (en) Benzothiophene derivatives
JP3237109B2 (ja) 医薬組成物
US5145858A (en) Pyrrolo [1,2-a] imidazole and imidazo [1,2a] p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5-lipoxygenase pathway inhibitors
US20020156105A1 (en) Tri-aryl-substituted-ethane PDE4 inhibitors
US5220023A (en) Glycine derivatives
US5120845A (en) Positive inotropic and lusitropic 3,5-dihydroimidazo[2,1-b]quinazolin-2(1H)-one derivatives
EP0462986B1 (en) Imidazopyrimidine antiallergy agents
JP2001192386A (ja) 新規トリアゾ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真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