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031B1 - 자동도퍼(auto doffing device) - Google Patents

자동도퍼(auto doff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031B1
KR100240031B1 KR1019950006455A KR19950006455A KR100240031B1 KR 100240031 B1 KR100240031 B1 KR 100240031B1 KR 1019950006455 A KR1019950006455 A KR 1019950006455A KR 19950006455 A KR19950006455 A KR 19950006455A KR 100240031 B1 KR100240031 B1 KR 100240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oping
shaft
branch pip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05A (ko
Inventor
카주야수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Publication of KR96000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추독립형의 자동도핑의 원가 절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복수 병설된 권취추(2)의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3)와, 도핑장치(3)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권취추(2)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4),(5),(6)과 구동축과 도핑장치(3)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는 전자클러치(7),(8),(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도퍼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도퍼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A-A선 측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권취추 3 : 도핑장치
4,5,6 : 구동축 7,8,9 : 전자클러치(클러치기구)
14 : 제어반(제어수단) 19,31 : 크래들작동기구
21,32 : 지관공급기구 22,33 : 실걸개기구
24 : 조작스위치(수동조작수단) 34 : 제1의 로터리샤프트(구동축)
35 : 슬라이드샤프트(구동축) 36 : 제2의 로터리샤프트(구동축)
37 : 전자액츄에이터(클러치기구) 39 : 실절단기구
본 발명은, 지관교환 또는 실걸개 등을 포함하는 도퍼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단추독립형의 자동도퍼에 관한 것이다.
권취추를 보유하는 섬유기계에 있어서 만관의 권취팩키지를 꺼내 공지관과 교환하는 장치로서는, 기대에 설치된 도핑아암에 의해 전부 만팩키지를 도핑하는 일체형 도퍼나, 기대에 따라 주행하는 대차에 의해 차례로 도핑하는 주행형 도퍼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주행형 도퍼보다도 설치가 용이하고 범용성에 포함되고, 또한 각 추마다 도핑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단추독립형의 자동도퍼(특개평 5-85669호 공보)가 제안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한 자동도퍼는, 각 추에 다수의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나 센서가 필요하고, 부품수가 많아 고가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원가 절감이 도모되는 단추독립형의 자동도퍼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병설된 권취추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와, 도핑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권취추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과, 구동축과 도핑장치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병설된 권취추의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와, 도핑장치의 각 기구에 각각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권취추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축과, 구동축과 각 기구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는 클러치기구와, 각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이것들을 개별로 혹은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연속된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한 클러치기구는, 만관정보에 따라 동작지령을 보내는 제어수단에 의해 권취추마다에 차례로 접속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그 제어수단은 만관 이외에 권취추의 클러치기구를 적절히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수단을 갖추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클러치기구가 만관이 뇐 권취추의 도핑장치와 구동축을 접속시키면, 구동력이 전달된 도핑장치가 해당 추에 대해서만 만팩키지의 배출 등의 작동을 행하고, 다른 권취추에 있어서는 권취가 접속된다. 연속된 기구는, 보통 도핑작업에 있어서 각 기구를 소정의 동작절차에 따라 동작시킴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각 구동축을 개별로 동작시키고, 예를 들면, 실 걸개 동작만을 해당추에 있어서 작동시킨다. 제어수단은, 복수의 귄취추가 동시에 만관이 된 경우에 시간을 달리하여 클러치기구를 작동시킨다. 수동조작수단은, 만관이 되기 전에 실절단등으로 권취를 재개시킬 때에, 클러치기구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귄취팩키지 배출등을 행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도퍼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동도퍼는, 가연기(1)의 본체측을 구성하는 다수의 권취추(2)의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3)와, 권취추(2)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4),(5),(6)과, 구동축(4)··(6)과 도핑장치(3)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기 위한 클러치기구인 전자클러치 (7),(8),(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권취추(2)는 상중하의 3단(도면중 상단의 권취추만을 나타낸다)에 병설되고, 각각 권취팩키지(10)를 유지하는 크래들(11)과, 지관(권취팩키지)(10)에 마찰접촉해서 이것을 회전시키기 위한 마찰롤러(12)와, 권취된 실을 트래버스하기 위한 트래버스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의 끝에 제어수단인 제어반(14)를 포함하는 콘트롤부(15)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끝에 각 끝의 구동축(4)…(6)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6)를 포함하는 작동부(17)가 설치되어 있다. 각권취추(2)에는 권취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도핑타이머(18)가 설치되어 있고, 권취팩키지(10)를 권취의 경과시간으로 일정길이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즉, 만권이되면, 도핑타이머(18)의 기호로 에어반(14)이 구동부(16) 및 그 추의 전자클러치(7)…(9)에 작동지령을 보내도록 되어 있다. 가연기(1)에 있어서, 만관이 된 시간은 상당한 긴시간(예를 들면 10시간)이 되기 때문에 동시에 복수의 권취추(2)가 만관이 된 경우는 거의 없지만, 하나의 권취추(2)가 도핑을 행하고 있을 때는 다른 권취추(2)가 만관이 되어도 그 전자클러치(7)…(9)를 통전시키는 일은 없고, 선행도핑이 완료된 후에, 이어서 다른 권취추(2)의 도핑을 행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즉, 다른 만관의 권취추(2)에 있어서 잘못된 작동을 막고, 중복된 도핑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핑장치(2)는, 크래들(11)을 개폐 및 전개시키는 크래들작동기구(19)와, 공지관(20)을 크래들(11)에 공급하는 지관공급기구(21)와, 크래들(11)에서 잡아 쥔 지관(20)에 실을 거는 실걸개기구(22)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4)…(6)은, 이들의 기구(19),(21),(22)에 각각 배치되고, 구동부(16)의 연속된 기구인 캠 및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의 타이밍에서 소정의 각도 및 방향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클러치(7)…(9)는, 각 구동축(4)…(6)과 각 기구(19),(21),(22)의 사이에 설치되고 통전된 것에 의해, 이것들을 접속해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추(2)의 하나가 만관이 되면, 그 도핑타이머(18)의 정보에 의해 제어반(14)이 구동부(16) 및 전자클러치(7)…(9)에 작동지령을 보낸다. 이 지령에 의해, 우선 크래들작동기구(19)가 크래들(11)을 후방으로 전개시키고, 그 위치에서 열리는 것에 의해 만관팩키지(10)를 배출한 후, 지관공급기구(19)에 의해 크래들(11)에 공지관(20)을 잡아 쥔다. 그래서, 크래들작동기구(19)에 의해 크래들(11)이 전방에 전개되고, 지관(20)을 마찰롤러(12)에 마찰접촉시키면, 실걸개기구(22)가 실걸개아암(23)의 선회에 의해 실을 지관단부에 건다. 그 후는, 마찰롤러(12)의 회전 및 트래버스장치(13)의 트래버스에 의해 권취를 재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써, 만관이 된 권취추(2)에서 권취팩키지(10)를 즉시 도핑해서 다음 권취를 개시할 수 있고, 생산능률의 향상이 달성됨과 함께 모터 등의 구동원 및 연속된 기구는 기대 1개소에 설치하면 좋고, 더욱이 그 구동력은 한 추분의 비교적 소규모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 및 원가 절감이 달성된다. 또, 보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권취추(2)에는, 만관 이외의 권취추에 있어서 실걸개를 행하기 위한 수동조작수단인 조작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반(14)에 결선되어 있다. 다시 말해, 가연기(1)에는 실절단기가 있고 그 시점에서는 권취팩키지(10)와 공지관(20)을 교환해서 새로운 권취를 개시시키게 되는데, 오퍼레이터가 단사(端絲)를 공기흡입기(도시하지 않음)에 홀드시키고 나서 조작스위치(24)를 넣으면 구동부(16) 및 그것에 해당하는 전자클러치(7)…(9)가 구동하도록 구성해 놓은 것이고, 자동적으로 실걸개까지의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구동부(4),(5),(6)를 개별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고, 예를 들면, 실걸개기구(22)만을 그 구동축(6)의 회전에 의해 작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실걸개만을 자동적으로 작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것에 의하면, 이 자동도퍼는, 도핑장치로서 크래들작동기구(31), 지관공급기구(32) 및 실걸개기구(33)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구동축으로서 크래들작동기구(31)를 위한 제1의 로터리샤프트(34) 및 슬라이드샤프트(35)와, 지판공급기구(32)에 의해 제2의 로터리샤프트(36)가 설치되어 있고, 실걸개기구(33)를 위한 구동수단은 별개로 구비되어 있다. 또 클러치기구로서는,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 크래들작동기구(31)를 위한 전자액츄에이터(37)가 설치되어있는 것 외에, 크래들(38)이 전개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샤프트(34)…(36)이 회전 혹은 슬라이드하고 있어도 그 기구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더욱이 트래버스장치(13)의 근방에는,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 의해 구동되는 실절단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샤프트(34),(36)는, 작동부(17)의 측판(40)에 부착된 감속기부의 모터(41),(42)의 출력축(43),(44)에, 커플링(45),(46)에 의해서 각각 연속되어 있다.
커플링(45),(46)에는 작은 판(47),(48)이 부착되어 있고, 제어반(도시하지 않음)에 결속된 한쌍의 센서(49),(50)가 이것에 마주 향하도록 적절히배치되어, 그 감지에 의해 로터리샤프트(34),(36)의 회전위치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샤프트(35)는 제1의 로더리샤프트(34)와 거의 같은 높이에 근접해서 설치되고 (제3도에서는 2점쇄선으로 나타냄), 측판(40)에 부착된 리니어모터(51)에 연결되어, 소정의 스토로크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크래들작동기구(31)는, 크래들(38)에 각각 걸어맞추는 전개용 롤러(52)와 개폐용 롤러(53)가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다. 크래들(38)은, 샤프트(34)…(36)과 거의 병행으로 뻗은 축로드(54)를 내장한 축부(55)와, 축부(55)의 양끝에서 이것과 직각으로 뻗고, 지관(20)을 잡아 쥐기 위한 지관홀더(56)를 보유한 고정아암(57)및 가동아암(58)으로 이루어 졌다. 축로드(54)는, 제4도에도 나타내는 것처럼, 추의 병설방향으로 향한 지지레일(59)에서 연장된 한쌍에 지지브래킷판(60)에 지지되고 있다. 지지브래킷판(60)에는, 제1의 로터리샤프트(34) 및 슬라이드샤프트(35)를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한쪽의 지지브래킷판(60)의 관통구에는 샤프트(34),(35)를 지지하는 축받이(61),(6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축로드(54)에는, 크래들(38)을 마찰롤러(12)측에 적절히 힘을 더하여 소정의 압력접촉을 얻기위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55)에는, 그 직사각형방향 중앙에 부착된 부채꼴의 걸어맞춤판(63)이 설치되어 있고, 전개용 롤러(52)에 의해 눌리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전개용 롤러(52)는, 전자액츄에이터(37)의 진퇴 로드(64)에 브래킷판(65)을 끼우고, 미끄럼통체(66)와 함께 지지되고 있다. 전자액츄에이터(37)는, 지지판(69)에 의해서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 병설되어 있다. 미끄럼통체(66)는,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자재하게 끼위 맞춤되어 있다. 미끄럼통체(66)의 타단측에는 압축스프링(67)을 끼워서 고정통체(68)가 접속되고, 이 고정통체(68)가 샤프트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고, 미끄럼통체(66)도 샤프트축 주위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액츄에이터(37)가 「OFF」일 때에는, 전개용 롤러(52)는 압축스프링(67)의 힘을 더함에 의해 걸어맞춤판(63)에서 격리된 위치에지 지지되고(제3도 우측의 권취추(2a)의 상태), 전자액츄에이터(37)가 「ON」이 될 때에는 걸어맞춤판(63)과 샤프트직경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된다(제3도 우측의 권취추(2b)의 상태). 이 상태에서 제1의 로터리샤프트(34)가 회전구동하면, 전개용 롤러(52)가 걸어맞춤판(63)을 누르어 움직이도록하고, 크래들(38)을 후방에 전개되도록 한다. 크래들(38)의 후부에는 권취팩키지(10)를 일시 보관하기 위한 받이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이부(70)는, 추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후부 지지레일(71)위에는 프레임판(72)이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그 상단에서 후방으로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통상의 가이드레일(73)이 장치되어 있다. 즉, 크래들(38)에서 떨어진 귄취팩키지(10)가, 그 지관 양끝을 가이드레일(73)에 구속지지된 상태이고, 소정의 임시장소(74)까지 자중으로 전동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판(72)의 앞쪽 끝부에는 크래들(38)의 고정아암(57)에 해당하는 스토퍼(7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레일(73) 혹은 임시장소(74)의 해당하는 위치에는, 권취팩키지(10)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크래들(38)의 가동아암(58)에는, 그 도중에 아암의 직사각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회동핀(76)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보다 선단측이 핀주위에 경사져 움직이는 레버부(77)로 되어 있다. 회동핀(76)에는 닫힌 방향에 레버부(77)을 힘을 더하는 레버(도시하지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부(77)의 기단에는 축부(55)측으로 연장된 결합판(78)이 부착되어 있고, 개폐용 롤러(53)에 의해서 눌려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개폐용 롤러(53)는, 슬라이드샤프트(53)에 브래킷(79)을 끼워서 비스듬히 윗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위치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크래들(38)이 스토퍼(75)에 맞닿음하는 소정위치(P)까지 후방전개한 때에만, 결합판(78)과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조절되어 있다.
지관공급기구(32)는, 공지관(20)을 여러개 나열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지관저장부(80)와, 크래들(38)에 결합하는 하강제어용 롤러(81)를 구비하고 있다. 지관저장부(80)는, 제2의 로터리샤프트(36)에 부착된 지지부재(82)에 의해서 기단부가 지지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거의 수평한 대기상태에서 지관양도 위치까지 회전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관양도 위치는, 선단개구부 (83)가 소정위치(P)에 있는 크래들(38)의 지관홀더(56)의 레벨에 일치하는 위치이다. 선단개구부(83)에는 지판(20)을 밑에서 부터 받쳐주는 지지핀(8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핀(85)은, 지관저장부(80)의 저판(84)에 작은 스프링 (85a)을 끼위서 부착되어 있고, 가장 끝의 지관(20)이 밑쪽으로 끌어당겨진 때에 굴곡해서, 그 지관(20)만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하강제어용 롤러(81)는, 지관저장부(80)의 저판(84)에 부착된 측면에서 볼때 L자모양의 브래킷(86)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있다. 브래킷(86)의 상부기단은 제2의 로터리샤프트(36)에 축받이(87)를 개입해서 지지되고, 지관저장부(80)와 함께 되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크래들(38)의 고정아암(57)에서, 하강제어용 롤러(81)에 결합하는 결합판(88) 부착되어 있다. 이 결합판(88)은, 위쪽 모서리가 크래들(38)의 전개궤도에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크래들(38)의 후방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즉, 크래들(38)이 소정위치(P) 이외에 있을 때에는, 하강제어용 롤러(81)에 맞닿음하고, 브래킷(96)을 개입시켜서 지관저장부(80)을 지지하고, 제2의 로터리샤프트(36)이 회전해서 지지부재(82)만이 회전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지관저장부(80)는 하강되지 않도록 되어있다(제4도 4참조). 이외에 지관저장부(80)의 위치사이에는, 제2의 로터리샤프트(36)를 축받이(89)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지지브래킷(90)이 상부 지지레일(91)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내듯이, 실절단기구(39)는, 날(92)을 갖춘 실도입구(93)를 지니는 커터(94)와,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 설치된 캠(95)과, 캠(95)에 의해 구동되는 커터(94)를 작동시키기위한 링크기구(96)로 구성되어 있다. 커터(94)는, 권취중의 실의 길(Y1)을 횡단하도록 지지판(97)에 장치되어 있다. 지지판(97)은, 트래버스장치(13)의 전단에 있어서 추의 병설방향으로 설치된 회동축(118)에 지지되고있다. 캠(95)은, 약 ½의 원주에 걸쳐서 대경부를 보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개용 롤러(52)는 소정의 위상으로서 미끄럼통체(66)의 다른 끝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전자액츄에이터(37)의 구동에 의해, 전개용 롤러(52)와 같이 링크기구(96)에서 격리하는 위치(제3도 좌측의 권취추(2a)의 상태)와, 링크기구(96)에 샤프트직경방향으로 겹친 위치(제3도 우측의 권취추 (2b)의 상태)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링크기구(96)는, 샤프트(34),(35)와 교환하는 방향에서 전후로 연장된 링크로드(98)와, 링크로드(98)의 전단에 부착되어 회동축(118)에 연결된 링크브래킷(99)과, 링크로드(98)의 후단에 설치된 태핏(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핏(100)은, 선단에 결합롤러(101),(102)를 보유한 가지형상의 판이 부착된 통부재(103)로 구성되고,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와 병행으로 설치된 지지축(104)에서 회동자재로 끼워맞춤하고 있다. 지지축(104)은, 한쌍의 지지브래킷판(60)의 하부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결합롤러(102)가 캠(94)의 대경부(大經部)에서 떨어진 때에 생기는 다른 쪽의 결합롤러(101)의 단붙임에 의해서, 통부재(103)가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로드(98)를 후방(화살표 s)로 슬라이드시키고, 커터(94)가 들어올린 방향으로 지지판(97)을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커터(94)를 트래버스중의 실의 길(Y1)이 레벨에 위치시키는 것이고, 실이 실도입구(93)에 포착되고,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판(97)의 회전축(118)의 위치에서는, 절단된 실을 흡입유지하는 공기흡입기(105)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구(120)가 지지판(97)위에 돌출하고 있다. 공기흡입기(105)의 기단측은 흡입공기원(도시하지 않음)및 절단실 수납부(106)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흡입기(105)과 절단실 수납부(106)의 사이에는, 흡입공기원의 공급을 필요한 시간에만 하기 위한 개폐밸브(107)가 구비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걸개기구(33)는, 트래버스장치(13)의 한쪽에 설치된 실걸개레버(108)와, 실걸개레버(108)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리솔레노이드(회전수단)(109)로 구성되어 있다. 실걸개레버(108)는, 트래버스장치(13)의 윗면에 병행한 장치판(110)에 세의 설치된 지축(111)에 기단이 지지되고, 선단에는 실을 포착하는 후크부재(112)가 부착되어 있다. 로터리솔레노이드(109)는 지축(111)의 근방에 설치되고, 그 출력축(113)에 부착된 기어(114)가, 지축(111)의 기어(115)에 이맞물림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리솔레노이드(109)의 구동으로, 실걸개레버(108)는 전방의 대기위치(도면중 2점쇄선)에서 후방으로 약 180도 선회하고, 그 도중에, 공기흡입기(105)에 유지되고 있는 실(Y2)을 포착해서, 지관(20)의 일단의 위치까지 끌어내도록 되어 있다. 지관(20)의 일단측에는 크래들(38)의 지관홀더(56)가 있고, 그 지관홀더(56)에는 절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원판(11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실걸개레버(108)가 실( Y2)을 끌어낸 상태이고, 지관(20)이 마찰롤러(12)와의 마찰접촉으로 회전하면, 이 실(Y1)이 원판(116)에 걸리고, 지관(20)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 외에 부착판(110)에는, 실걸개레버(108)가 지관측으로 선회한 때에 그 측부에 맞닿음하는 스토퍼(1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반에는, 각 기구(31),(32),(33),(39)를 제6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타이밍으로 연속시켜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제어회로)이 넣어져 있다. 즉/이 제어반은 연속된 기구를 겸하고 있다. 이 동작들은 모터(41),(42)에 구빈된 센서(49),(50) 및 그외의 센서에 따라 기동된다. 또, 각 샤프트(34),(35),(36)및 로터리솔레노이드(109)를 개별로 구동시키는 개별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고, 키입력 또는 각 귄취추에 설치된 수동용 조작스위치에 의해서, 예를 들면, 로터리솔레노이드(109)의 구동에 의해 실걸개레버(108)만을 작동시키거나,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의 구동에 의해 실이 절단될 때에 크래들(38)만을 올리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권취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다른 추에 있어서 도핑중인 것을 나타내는 램프를 설치하거나, 도핑중은 스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하거나 해서 중복 및 잘못된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도면 6잠조).
권취추 하나(2b)가 만관이 되면, 그 도핑타이머의 정보에 의해 제어반이 전자액츄에이터(37)에 통전됨과 동시에,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의 모터(41)를 구동시킨다. 전자액츄에이터(37)의 여자에 의해, 전개용 롤러(52) 및 캠(95)은 각각 결합판(63) 및 결합롤러(101),(102)와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의 회전에 의해서, 우선 캠(95)이 링크기구(96)를 구동시키고 커터(94)가 들어올려 진다. 이것으로, 트래버스되어 있던 실이 실도입구(93)에 포착되어 절단되고, 단사(端絲)가 공기흡입기(105)에 흡입지지된다. 실이 절단된 타이밍에서, 전개용 롤러(52)는 결합판(63)에 맞닿음하고, 또 회전이동하는 것으로 눌려움직이고, 크래들(38)을 소정위치(P)까지 후방전개시킨다. 계속해서 슬라이드샤프트(35)의 리니어모터(51)가 구동되고, 슬라이드샤프트(35)가 제3도중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에 의해, 개폐용 롤러(53)이 결합판(78)을 눌러움직여 가동아암(58)의 레버부(77)를 경사지게 움직이고, 그 지관홀더(56)를 권취팩키지(10)에서 이탈시킨다. 이로써 권취팩키지(10)는, 크래들(38)에서 떨어져 받이부(70)으로 보내진다.
받이부(70)의 센서가 권취팩키지(10)의 배출을 검출하면, 제2의 로터리샤프트(36)가 회전하고, 지관저장부(80)가 하강해서 선단 공지판(20)을 지관홀더(56)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슬라이드샤프트(35)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개폐용 롤러(53)와 결합판(78)의 결합을 해소하고, 레버부(77)을 닫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새로운 지관(20)을 잡아쥐게 한다. 지관(20)이 잡아쥔 타이밍에서, 제2의 로터리샤프트(36)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지관저장부(80)가 잡아쥔 지관(20)을 넘겨서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지관저장부(80)가 대기위치로 되돌아가면, 제1의 로터리샤프트(34)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크래들(38)은 레버의 스프링의 힘을 더해서 전방전개되고, 지관(20)을 마찰롤러(12)에 접촉시켜 마찰회전시킨다. 여기서, 전자액츄에이터(37)의 통전이 해소되어 전개용 롤러(52) 및 캠(95)이 원위치로 돌아감과 동시에, 로터리솔레노이드(109)가 구동되어 실걸개아암(108)이 선회한다. 이 선회에 의해, 공기흡입기(105)에 지지되고 있던 실(Y2)이 지관홀더(116)로 넘겨서 지관(20)에 감기고, 계속해서 트래버스장치(13)에 의해 트래버스되어 권취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실절단에서 실걸개까지 극히 원활한 일련의 동작을 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지판저장부(80)에는 하강제어용 롤러(61)를 설치하고 슬라이드(35)에는 적절히 배치한 개폐용롤러(53)를 설치하며, 후방전개한 상태의 크래들(37)에 대해서만 동작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제2의 로터리샤프트(36) 및 슬라이드샤프트(35)가 구동되고 있어도, 도핑중의 권취추(2b) 이외의 권취추(2a)에서는, 지관공급동작 혹은 크래들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즉, 이들의 구성은 신뢰성이 높은 클러치기구로 되어 있고, 전자액츄에이터(37)는 제1의 로터리샤프트(34)에만 설치되어도 좋고, 제어가 간단하고 센서의 수도 적어도 된다. 따라서, 각 모터(41),(42),(52)가 한대로 가능함과 더불어, 보다 한층 부품수의 삭감, 원가 절감이 달성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가연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같은 형태의 권취추를 구비한 섬유기계등에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1) 청구항 1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생산능률의 향상이 달성됨과 함께 부품수의 삭감 및 원가 절감이 달성된다.
(2) 청구항 2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각 권취추의 기구의 하나만을 필요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다.
(3) 청구항 3기재에 구성에 의하면, 중복된 도핑의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다.
(4) 청구항 4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도핑 이외의 시간을 이용해서 실걸개 등의 작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병설된 권취추의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와, 그 도핑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한 권취추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과, 그 구동축과 상기한 도핑장치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퍼.
  2. 복수병설된 권취추의 각각에 설치된 도핑장치와, 그 도핑장치의 각 기구에 각각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한 권취추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축과, 그 구동축과 상기한 각 기구를 적절히 접속·이간시키는 클러치기구와, 상기한 각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이것들을 개별로 혹은 적절히 동기시켜서 구동시키기 위한 연속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러치기구가 만관정보에 따라 동작지령을 보내 제어수단에 의해 권취추 마다에 차례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이 만관 이외의 권취추의 클러치기구를 적절히 동작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퍼
KR1019950006455A 1994-08-05 1995-03-25 자동도퍼(auto doffing device) KR100240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84771A JP2638493B2 (ja) 1994-08-05 1994-08-05 オートドッファ
JP94-184771 199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05A KR960007405A (ko) 1996-03-22
KR100240031B1 true KR100240031B1 (ko) 2000-01-15

Family

ID=1615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455A KR100240031B1 (ko) 1994-08-05 1995-03-25 자동도퍼(auto doffing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638493B2 (ko)
KR (1) KR100240031B1 (ko)
CN (1) CN1047213C (ko)
DE (1) DE19528983C2 (ko)
IT (1) IT1277416B1 (ko)
TW (1) TW2816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426B1 (ko) * 2013-08-23 2018-01-30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섬유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0693A1 (de) 2000-10-13 2002-04-18 Schlafhorst & Co W Hülsenzubringer für eine Arbeitsstelle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JP4305056B2 (ja) * 2003-05-22 2009-07-29 村田機械株式会社 巻取ボビン用ストッカー装置
JP2012057273A (ja) * 2010-09-10 2012-03-22 Murata Mach Ltd 紡績機
CN103510208B (zh) * 2012-06-28 2015-09-30 千田机电有限公司 自动落纱机结构
CN106144774B (zh) * 2016-08-22 2022-04-12 海宁市睿创机械科技有限公司 锭子自动装卸系统
JP7128575B2 (ja) * 2018-03-16 2022-08-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仮撚加工機
CN110950179B (zh) * 2019-12-24 2021-08-06 山东恒泰纺织有限公司 一种膨体纱松络机
CN112919249B (zh) * 2021-02-26 2023-05-02 杭州众策针织服饰有限公司 可避免针线纺织无法固定的针线纺织加工用切割机构
CN115142159B (zh) * 2021-03-30 2024-05-24 合肥松宝科技有限公司 一种满丝筒自动收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6738A0 (en) * 1970-05-01 1971-06-23 Logan J Apparatus and method for doffing wound packages and donning empty cores
JPS5125852B2 (ko) * 1972-09-06 1976-08-03
JPS531852B2 (ko) * 1973-06-26 1978-01-23
US3940077A (en) * 1973-08-06 1976-02-24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yarn doffing
JPS5429626B2 (ko) * 1974-03-22 1979-09-25
JPS5172630A (en) * 1974-12-18 1976-06-23 Unitika Ltd Bokino kudohoho oyobi sochi
JPS6245728A (ja) * 1985-08-22 1987-02-27 Kachi Tekkosho:Kk 二重撚り撚糸機に於ける糸切れ時の単錘停止装置
JPH0345724A (ja) * 1989-07-13 1991-02-27 Murata Mach Ltd 紡績機
JPH0585669A (ja) * 1990-08-31 1993-04-06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の自動切替装置
DE4205215C2 (de) * 1992-02-20 2002-04-11 Rieter 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echselweisen Speisung des Doffermotors einer Ringspinn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426B1 (ko) * 2013-08-23 2018-01-30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섬유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51703A0 (it) 1995-08-02
CN1047213C (zh) 1999-12-08
DE19528983A1 (de) 1996-03-21
TW281698B (ko) 1996-07-21
JPH0849124A (ja) 1996-02-20
KR960007405A (ko) 1996-03-22
IT1277416B1 (it) 1997-11-10
JP2638493B2 (ja) 1997-08-06
ITMI951703A1 (it) 1997-02-02
DE19528983C2 (de) 2003-05-08
CN1128306A (zh) 199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031B1 (ko) 자동도퍼(auto doffing device)
JP3383678B2 (ja) 巻糸残部除去装置
US4535945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nd holding a thread end
JP2792879B2 (ja) 紡績運転再開のための方法
CN102275774B (zh) 卷取单元及具备该卷取单元的纱线卷取机
US4619416A (en) Yarn end finding apparatus
JPH026639A (ja) オープンエンド紡績装置において糸継ぎを行う方法及び装置
EP1721854B1 (en) Doffing device for an automatic winder
US5950957A (en) Bobbin winding unit of a textile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EP3725720B1 (en) Spun yarn take-up system
US3815347A (en) Apparatus for splicing a yarn with newly spun yarn in open end spinning
US3351032A (en) Work holding and transferring device
JPS5855242B2 (ja) 自動糸故障整理装置を備えた自動繰糸機
US64394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cross-wound bobbins driven in a rotary manner
JP2022113149A (ja) 換気空気流入口における電動エアフィルタ及び使用済みフィルタ回収
JP3276270B2 (ja) テープ類の折畳収納機
EP04463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ming lap sheets
US51490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doubled yarn
JPH09164283A (ja)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JP3536474B2 (ja) 紡績機の玉揚装置
JPH0986799A (ja) 仮撚機のオートドッファ
JPH023469Y2 (ko)
JPH1096125A (ja) 紡機における糸継ぎ時の糸受渡方法及び糸受渡装置
JPH0873130A (ja) 仮撚機のパッケージ搬出装置
JPH09108473A (ja) ボビン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