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500B1 -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500B1
KR100205500B1 KR1019970012467A KR19970012467A KR100205500B1 KR 100205500 B1 KR100205500 B1 KR 100205500B1 KR 1019970012467 A KR1019970012467 A KR 1019970012467A KR 19970012467 A KR19970012467 A KR 19970012467A KR 100205500 B1 KR100205500 B1 KR 10020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door
clutch
moto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114A (ko
Inventor
테츠로 미즈키
히로후미 와타나베
미츠히로 와타나베
유지 요다
히토시 요코우치
마나부 나카지마
다이사쿠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미야무라 신페이
미쓰이 긴소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857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57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896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31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905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002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야무라 신페이, 미쓰이 긴소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무라 신페이
Publication of KR97007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 슬라이드 도어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드럼축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와이어 드럼과: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가역 모터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두루 감겨지고,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전방 또한 후방으로 잡아 당기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모터와의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를 갖는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에 전달하는 연결 상태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는 비연결 상태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 드럼은, 실질적으로 폐쇄된 한쪽과 개방된 다른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드럼은 그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갖고, 또, 상기 와이어 드럼은 그 환상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걸어맞춤(fit)하는 와이어 홈을 갖는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다.

Description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를 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동력 슬라이드 장치는 공지이며, 슬라이드 도어에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 드럼과, 그 와이어 드럼을도어 개폐 회전시키는 모터와, 그 모터와 상기 와이어 드럼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와이어 드럼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지름은 15∼20 센티정도, 스러스트(thrust) 방향의 두께는 환상 외주면에 와이어 케이블이 걸어맞춤(fit)하는 여러 조의 와이어 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4∼7 센티정도이고, 부피는 약 1 OOO∼2000㎤이다.
이러한 크기의 와이어 드럼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는 설치하는데 큰 공간을 필요로 하며, 한정된 장소에 밖에 설치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는 원심 클러치가 아니라 전자 클러치가 사용될 때가 많다. 원심 클러치는 복귀 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하여 중심의 로터를 고속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상태가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와이어 드럼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때문에, 전자 클러치가 사용될 때가 많아 지지만, 전자 클러치는 부피가 크고, 또한 비싸다. 또한, 로터를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계식 클러치가 사용될 때도 있지만, 이들 기계식 클러치도, 사이즈가 크다는 과제를 가지며, 또한,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해제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얇은 소형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클러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별도의 모터나 복귀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가 고장나더라도, 수동에 의한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클러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차체의 후미 사이드부의 전개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동력 슬라이드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와이어 드럼의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인장 조절 기구의 확대도.
도 5는 슬라이드 도어의 상기 커넥터와 차체의 상기 커넥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래치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블록 회로도.
도 8은 연결 상태의 클러치 기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9는 클러치 기구의 수동 해제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동력 슬라이드 유닛의 측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동력 슬라이드 유닛의 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와이어 드럼의 단면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인장 조절 기구의 정면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인장 조절 기구의 단면도.
도 15는 시스(sheath) 유지체의 단면도.
도 16a 및 16b는 메인 루틴의 흐름도.
도 17a 및 17b는 개방 도어 서브 루틴의 흐름도.
도 18은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의 흐름도.
도 19a∼19c는 폐쇄 도어 서브 루틴의 흐름도.
도 20은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차체
4: 안내 레일
5: 슬라이드 도어
7: 동력 슬라이드 유닛
8: 가역 모터
9: 감속 기구
10: 와이어 드럼
11,12: 와이어 케이블
17: 풀리
19: 베이스 플레이트
23: 클러치 기구
25: 보강 플레이트
26: 회전 디스크
27: 핀
32: 안내 플레이트
46: 스프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차체(2)의 후미 사이드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후미 사이드부는 후미 외측 사이드 패널(1)과, 이것에 대응하는 후미 내측 사이드 패널(3)과, 사이드 패널(1)의 외면에 고정된 안내레일(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체(2)에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5)는 안내레일(4)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롤러 브래킷(6)을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 도어(5)는 안내레일(4)을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 도어 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개방 도어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상기 후미 사이드부에는 슬라이드 도어(5)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이 설치되어 있다.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은 도 1에 있어서는, 사이드 패널에 대하여 전개시킨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패널(1)과 패널(3)사이의 공간부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유닛(7)은 가역 모터(8)와, 모터(8)에 감속 기구(9)를 통해 연결되는 와이어 드럼(10)과, 한쌍의 와이어 케이블(11, 12)을 가지고 있다. 와이어 케이블(11, 12)의 각 일단(13, 14)(도 3 참조)은 와이어 드럼(10)에 걸리고, 각 타단(15, 16)은 외측 패널(1)의 전측 케이블 홀(hole)(97) 및 후측 케이블 홀(98)을 통해 차체(2)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브래킷(6)에 연결한다. 후미 사이드부의 소망 위치에는 케이블(11, 12)에 맞닿는 복수의 풀리(17)가 설치된다. 풀리(17)를 대신해서 안내 레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실선으로 표시된 개방 도어 위치의 슬라이드 도어(5)는 도로의 경사 등으로 부주의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전개 스토퍼 또는 전개 홀더(full-open stoppr or full-open holder)(110)에 의해 개방 도어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5)가 개방 도어 위치일 때에 와이어 드럼(10)을 모터(8)에 의해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측 케이블(11)은 와이어 드럼(10)에 의해 권취(卷取)됨과 동시에, 후측 케이블(12)은 전측 케이블(11)이 권취된 양과 동일한 양만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전개 스토퍼(110)의 유지력으로부터 해방되어 도어의 폐쇄 방향(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차체(2)의 승강구(entrance)(18)를 폐쇄한다. 동일한 원리로, 와이어 드럼(10)을 모터(8)에 의해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도어(5)는 도어의 개방 방향(후방)으로 슬라이드하며, 완전 개방 도어 위치(full-open position)에 이르면 전개 스토퍼(110)와 걸어맞춤한다.
상기 전개 스토퍼(110)의 구성에는 여러가지 것이 있고, 도 1에는 아주 간단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판스프링식의 전개 스토퍼(110)는 적합하게는 차체(2)의 하부가 보이지 않는 부분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까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 도어(5)의 돌기 또는 롤러(도시 생략)는 판스프링을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run over), 그 후에는 판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완전 개방 도어 위치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와이어 드럼(1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와이어 드럼(10)은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베이스 플레이트(19)와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된 커버 플레이트(20)의 사이에 드럼축(21)으로 지지되어 있다. 와이어 드럼(10)은 막혀있는 한쪽면과 트여있는 다른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블(11, 12)이 걸어맞춤(fit)하는 와이어 홈(88)이 형성된다. 와이어 드럼(10)의 내부에는 비교적 넓은 내부 공간(innerspace)(22)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22)내에는 모터(8)(감속 기구(9))의 출력을 와이어 드럼(10)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23)가 실질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드럼축(21)의 단부에는 상기 감속 기구(9)의 최종 톱니바퀴로서의 톱니바퀴(24)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톱니바퀴(24)에는 보강 플레이트(25)와 회전 디스크(rotary disk)(26)가 핀(2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톱니바퀴(24)와 보강 플레이트(25)와 회전 디스크(26)는,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3에서는 회전 디스크(26)만이 도시되어 있다. 톱니바퀴(24)는 드럼축(2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톱니바퀴(24)를 드럼축(21)에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때에는 드럼축(21)과 플레이트(19, 20)와의 사이에 비싼 베어링을 장착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베어링을 사용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9)와 커버 플레이트(20)의 간격이 길어 지고, 슬라이드 유닛(7)이 대형화된다.
상기 드럼축(21)의 외주에는 내측 슬리브(43)를 고정하고, 내측 슬리브(43)와 와이어 드럼(10)의 사이에는 외측 슬리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슬리브(44)와 와이어 드럼(10)과의 사이의 마찰 저항은 아주 작게 한다. 외측 슬리브(44)의 외단(外端)에는 조작링(51)이 고정된다. 내측 슬리브(43)에는 안내 플레이트(32)가 지지되어 있다. 안내 플레이트(32)와 외측 슬리브(44)의 플랜지(45) 사이에는 스프링(46)이 설치되고, 조작링(51)을 플라이어(pliers) 등의 도구로 회전시키면, 스프링(46)을 통해 안내 플레이트(32)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링(51)(외측 슬리브(44))은 클러치 기구(23)의 연결 상태를 수동에 의해 해방할 필요가 있을 때에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연결 상태의 수동 해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스프링(46)은 외측 슬리브(44)와 안내 플레이트(32)를 연결하는 기능 외에, 안내 플레이트(32)와 드럼축(21)(내측 슬리브(43))과의 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기능도 발휘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스프링(46a)은 안내 플레이트(32a)와 드럼축(21a)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스프링(46a)을 내측 슬리브(43a)에 형성시킨 플랜지(45a)와 안내 플레이트(32a)와의 사이에 배치한다.
상기 회전 디스크(26)에는 한쌍의 요동 아암(swinging arm)(28, 29)이 핀(30, 31)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안내 플레이트(32)는 상기 요동 아암(28, 29)의 각 선단에 고정된 슬라이드 핀(33, 34)이 각각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한쌍의 안내 슬롯(35, 36)을 가지고 있다. 안내 슬롯(35, 36)은 도 3과 같이 드럼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슬롯(37, 38)과, 원호 슬롯(37, 38)의 단부에서 상기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연장 슬롯(39, 40)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0)의 내부 공간(22)의 내면에는 적합하게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드럼 내측(41)이 장착된다. 드럼 내측(41)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드럼축(21)을 향해 불룩해진 복수의 볼록부(42)가 형성된다. 도 3에는 2개의 볼록부(42)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12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볼록부(42a)를 형성하는 일도 있다. 다수의 볼록부는 클러치 기구(23)의 후술하는 수동 해방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원의 클러치 기구(23)는 회전 디스크(26)와, 안내 플레이트(32)와, 한쌍의 요동 아암(28, 29)과, 볼록부(42)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26) 및 안내 플레이트(32)는 모터(8)가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도 3의 상태에서는 회전 디스크(26)에 축받이된 요동 아암(28, 29)의 슬라이드 핀(33, 34)은 각각 원호 슬롯(37, 38)과 연장 슬롯(39, 40)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요동 아암(28, 29)의 선단부에는 와이어 드럼(10)의 볼록부(42)와 걸어맞춤할 수 있는 클러치 래칫(47, 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클러치 네일(47, 48)의 한쪽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하면, 클러치 기구(23)는 연결 상태가 되고, 도 3과 같이, 클러치 네일(47, 48)의 양쪽 모두 볼록부(42)와 걸어맞춤하지 않을 때에는 클러치 기구(23)는 비연결 상태가 된다.
상기 클러치 기구(23)의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전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의 상태에서, 모터(8)의 힘에 의해 회전 디스크(26)를 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회전 디스크(26)에 핀(30, 31)으로 연결된 요동 아암(28, 29)도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요동 아암(28)의 슬라이드 핀(33)은 안내 플레이트(32)의 원호 슬롯(37)으로부터 연장 슬롯(39)으로 이동한다. 또, 안내 플레이트(32)에는 스프링(46)의 탄력으로 마찰 저항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안내 플레이트(32)는 핀(33)과 슬롯(39)의 마찰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핀(33)이 연장 슬롯(39)내를 이동하면, 요동 아암(28)은 핀(30)을 중심으로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요동 아암(28)의 클러치 네일(47)은 와이어 드럼(10)의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한다.(도 8 참조). 한편, 요동 아암(29)의 슬라이드 핀(34)은 원호 슬롯(38)내를 이동하지만, 원호 슬롯(38)은 드럼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이기 때문에, 요동 아암(29)의 클러치 네일(48)과 드럼축(21)과의 거리에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클러치 네일(47)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한 후에도 모터(8)가 다시 회전하면, 모터(8)의 힘은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와의 걸어맞춤을 통해 와이어 드럼(10)으로 전해지고, 후측 케이블(12)은 와이어 드럼(10)에 의해 권취되며, 동시에 전측 케이블(11)은 후측 케이블(12)이 권취된 양과 동일한 양만큼 인출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개방 도어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또, 클러치 네일(47)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한 후에는, 안내 플레이트(32)는 핀(33)과 슬롯(39)의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 디스크(26)와 함께 회전한다.
반대로, 도 3의 상태에서, 모터(8)의 힘으로 회전 디스크(26)를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요동 아암(29)의 클러치 네일(48)이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하고, 이 결과, 슬라이드 도어(5)는 폐쇄 도어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회전 디스크(26)를 모터(8)에 의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 네일(47, 48)의 어느 한쪽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하고, 이것에 의해, 클러치 기구(23)는 연결 상태가 되며, 회전 디스크(26)의 회전이 와이어 드럼(10)에 기계적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클러치 기구(23)는 모터(8)의 회전을 정지시킨 것 만으로는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다. 예컨대, 모터(8)의 힘으로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 도어 위치를 향해 한창 이동시키고 있을 때에 모터(8)의 회전이 정지하면, 도 8과 같이,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와의 걸어맞춤은 유지된 상태가 된다. 도 8의 상태에서는 와이어 드럼(10)을 시계 방향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이것은 슬라이드 도어(5)를 수동에 의해 폐쇄 도어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터(8)를 정지시키기 전에, 일단 모터(8)를 역방향으로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모터(8)를 개방 도어 회전시켜 도 8의 상태가 될 때에는 모터(8)를 소정량만큼 폐쇄 도어 회전시키고나서 모터(8)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8)의 역회전에 의해 회전 디스크(26)는 도 8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하고, 요동 아암(28)의 클러치 네일(47)은 볼록부(42)로부터 멀어진다. 모터(8)의 소정량의 역회전이 종료하면, 클러치 기구(23)는 도 3의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고, 와이어 드럼(10)과 모터(8)와의 연결은 끊어진다. 클러치 기구(23)가 비연결 상태가 되면, 와이어 드럼(10)은 어느쪽의 방향에도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며, 수동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를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슬라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도어(5)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8)의 동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를 비연결 상태로 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나 복귀 스프링이 불필요해진다. 또, 본 발명의 클러치 기구(23)는 와이어 드럼(10)의 내부 공간(22)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얇고, 소형이 되며,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설치 장소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클러치 기구(23)의 연결 상태의 수동 해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터(8)를 소정량만큼 역회전시킴으로써 클러치 기구(23)를 해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23)가 연결 상태일 때에 모터(8)가 고장나면, 클러치 기구(23)를 자동적으로 해방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모터(8)가 고장났을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5)를 수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즉,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5)를 개방 도어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시키고, 클러치 네일(48)과 볼록부(42)이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5)를 폐쇄 도어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시킨다.
예컨대,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 슬라이드 도어(5)를 개방 도어 위치를 향해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 드럼(10)은 도 8에 있어서 시계 방향 회전한다. 이 때, 와이어 드럼(10)과 외측 슬리브(44)사이의 마찰 저항은 아주 작게 하고 있으며, 또한, 안내 플레이트(32)에는 스프링(46)에 의해 소정의 마찰 저항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안내 플레이트(32)는 회전하지 않고, 와이어 드럼(10)만이 단독으로 시계 방향 회전한다. 와이어 드럼(10)이 도 8에 있어서 시계 방향 회전방향으로 약 120도 회전하면, 도 9와 같이 별도의 볼록부(42)가 요동 아암(28)의 캔슬 캠면(49)에 접촉한다. 또 와이어 드럼(10)이 시계 방향 회전하면, 회전 디스크(26)는 모터(8)에 연결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볼록부(42)와 캔슬 캠면(49)과의 접촉에 의해 요동 아암(28)은 핀(30)을 중심으로 드럼축(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슬라이드 핀(33)은 안내 슬롯(35)의 원호 슬롯(37)내로 복귀하며, 클러치 기구(23)는 비연결 상태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의 폐쇄 도어 위치를 향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클러치 네일(48)과 볼록부(42)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 모터(8)가 고장났을 경우는 슬라이드 도어(5)를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요동 아암(29)의 캔슬 캠면(50)에 볼록부(42)를 걸어맞춤시킨다. 또, 도 12와 같이 와이어 드럼(10a)에 다수의 볼록부(42a)를 형성하면, 와이어 드럼(10a)이 적은 회전량으로 클러치 기구(23a)의 연결 상태를 해방할 수 있으며, 해방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클러치 기구(23)의 연결 상태의 수동 해방은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ful1-open position) 또는 완전 폐쇄 도어 위치(fu11-c1ose position)에 있을 때에는 적용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즉,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슬라이드 도어(5)의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있으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클러치 네일(48)과 볼록부(4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슬라이드 도어(5)의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은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폐쇄 도어 위치에 있으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상수단으로서, 외측 슬리브(44)의 외부단에 고정한 조작링(51)을 플라이어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해, 외측 슬리브(44)와 스프링(46)을 통해 안내 플레이트(32)를 회전시킨다. 클러치 네일(47)과 볼록부(42)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도 8에 있어서, 안내 플레이트(32)가 시계 방향 회전하면, 요동 아암(28)의 슬라이드 핀(33)은 연장 슬롯(39)으로 안내되어 서서히 드럼축(21)에 근접하며, 클러치 네일(47)은 볼록부(42)로부터 이간하여, 클러치 기구(23)의 연결 상태는 해방된다. 반대로, 클러치 네일(48)과 볼록부(42)가 걸어맞춤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링(51)에 의해 안내 플레이트(32)를 반시계 방향 회전시킨다.
다음에, 와이어 케이블의 인장 조절 기구(111)에 대해서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9)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에는 상기 드럼축(21)의 방사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54, 55)을 각각 형성하고, 긴 구멍(54, 55)에는 인장축(53)의 양단을 와셔(wsher)(56)에 의해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시킨다. 인장축(53)에는 전측 케이블(11) 또는 후측 케이블(12)중 어느 한쪽이 걸쳐진 와이어 인장 롤러(52)를 회전자유롭게 장착한다. (57)은 2개의 링크(58)로 형성된 연결 부재이고, 연결 부재(57)의 선단에는 상기 인장축(53)의 양단부를 회전만 자유롭게 축받이시킨다. 연결 부재(57)의 기단측은 이동 부재(59)에 축(60)으로 축받이한다. 이동 부재(59)는 상기 인장축(53)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이동 부재(59)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되도록 그 양단이 플레이트(19, 20)에 핀(61)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9, 20)의 사이에는 이동 부재(59)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피니언 톱니바퀴(62)가 축(63)에 의해 축받이되어 있다. 피니언 톱니바퀴(62)는 이동 부재(59)에 형성한 랙(64)에 맞물림시킨다. 축(63)의 헤드부에는 스크류드라이버등의 도구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7)가 형성되며, 축(63)을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 이동 부재(59)는 슬라이드한다. 피니언 톱니바퀴(62)에는 래칫휠(ratchet whe11)(65)이 장착되고, 래칫휠(65)에는 스프링(109)의 탄력에 의해 폴 레버(paw1 1ever)(66)를 걸어맞춤시킨다. 래칫휠(65)과 폴 레버(66)는 피니언 톱니바퀴(62)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축(60)은 드럼축(21)과 긴 구멍(56)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고, 축(60)은 긴 구멍(55)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장 롤러(52)와 와이어 드럼(10)의 거리는 가장 근접해지고, 케이블(11, 12)은 느슨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피니언 톱니바퀴(62)에 의해 이동 부재(59)를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축(60)은 긴 구멍(55)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고, 인장축(53)(와이어 인장 롤러(52))은 긴 구멍(54, 55)내를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11, 12)의 느슨함이 조절된다. 이 때, 이동 부재(59)의 이동 거리에 대하여, 인장 롤러(52)의 이동 거리는 매우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59)를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인장 롤러(52)에 접촉한 케이블(11, 12)의 양쪽은 와이어 드럼(10)으로 되돌려지고 있기 때문에, 인장 롤러(52)가 적은 이동량으로, 인장압의 조절이 행해진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5)의 후단부에는 도 1, 도 5와 같이, 래치 유닛(67)이 장착된다. 래치 유닛(67)은 도 6과 같이, 차체에 고정한 스트라이커(71)와 걸어맞춤하는 래치(72)와, 그 래치(72)와 걸어맞춤하여 래치(72)와 스트라이커(71)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래칫(73)을 갖는다. 래치(72)는 스트라이커(71)와 걸어맞춤하면 도 6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회전하고, 래치(72)의 하프 래치 단부(74)에 래칫(73)이 걸어맞춤하면, 슬라이드 도어(5)는 하프 래치 상태가 되어 래치(72)의 풀 래치 단부(75)에 래칫(73)이 걸어맞춤하면, 슬라이드 도어(5)는 풀 래치 상태(완전 폐쇄 도어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동력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5)의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될 때까지 행해지고, 슬라이드 도어(5)의 하프 래치 상태로부터 풀 래치 상태로의 이동은 동력 폐쇄 유닛(69)의 동력을 사용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동력 슬라이드 유닛(7)에 슬라이드 도어(5)를 풀 래치 상태로 하는 기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력 슬라이드 유닛(7)만으로, 슬라이드 도어(5)를 풀 래치 상태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나 감속 기구가 대형화한다.
상기 동력 폐쇄 유닛(69)은 슬라이드 도어(5)의 내부에 장착되어, 래치 유닛(67)의 축(76)에 관련적으로 연결된다. 축(76)에는 레버(77)가 고정된다. 레버(77)의 선단에는 지지 링크(78)를 통해 롤러(79)가 축받이된다. 롤러(79)는 축(76)이 시계 방향 회전하면, 래치 유닛(67)의 안내홈(8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래치(72)에는 래치(72)의 회전 위치를 감시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5)의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112)가 관련적으로 장착된다. 슬라이드 도어(5)가 슬라이드 유닛(7)의 동력에 의해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래치(72)가 스트라이커(7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하프 래치 위치가 되면, 센서(112)는 하프 래치 상태를 검출한다. 폐쇄 유닛(69)은 센서(112)가 하프 래치 상태를 검출하면, 축(76)을 시계 방향 회전시킨다. 축(76)이 회전하면, 롤러(79)는 안내홈(80)을 따라 이동하며, 하프 래치 위치에 있는 래치(72)의 다리부(81)에 접촉하여, 래치(72)를 하프 래치 위치로부터 풀 래치 위치로 회전시킨다. 래치(72)가 풀 래치 위치가 되면, 래칫(73)이 래치(72)의 풀 래치 단부(75)에 걸어맞춤하여, 슬라이드 도어(5)는 풀 래치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래칫(73)에는 동력 해제 유닛(powered release unit)(68) 및 슬라이드 도어(5)의 개방 핸들(113)을 관련적으로 접속하고, 해제 유닛(68)의 동력 또는 개방 핸들(113)의 수동 조작에 의해, 래칫(73)을 래치(72)로부터 해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5)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드 도어(5)가 소정 위치까지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차체(2)의 배터리(83)에 접속된 전기 커넥터(82)와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70)가 장착된다. 상기 해제 유닛(68)과 폐쇄 유닛(69)은 커넥터(70)와 커넥터(82)와의 접촉을 통해 배터리(8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70)와 커넥터(82)는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되기 조금 전에 서로 접촉하도록 설정하며,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될 때에는 커넥터(70)와 커넥터(82)는 확실히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와이어 드럼(10)에는 다공 플랜지(perforated f1ange)(85)가 장착되고, 플랜지(85)의 부근에는 광 센서 유닛(84)이 장착된다. 광 센서 유닛(84)은 다공 플랜지(85)가 회전하면, 펄스 신호를 제어(87)(도 7)에 출력한다. 제어(87)는 펄스 신호의 펄스수를 적산함으로써 다공 플랜지(85)(드럼(10))의 회전량을 구하고, 펄스 신호의 출력간격으로부터 다공 플랜지(85)(드럼(10))의 회전 속도를 구하며, 펄스 신호의 타이밍차로부터 플랜지(85)(드럼(10))의 회전 방향을 구한다. 드럼(10)의 회전량은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량과 같고, 드럼(10)의 회전 속도는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속도와 같고, 또한, 드럼(10)의 회전 방향은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방향과 같다.
상기 광 센서(84)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는 대기 상태에서도 상당한 암전류(暗電流)(65mA정도)를 소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 혹은 풀 래치 상태에 있을 때는 광 센서(84)로의 전력 공급은 스위치 또는 릴레이(86)에 의해 정지시켜 둔다. 동력 슬라이드 유닛(7)(모터(8))에는 전류계(89)가 접속된다. 상기 차체(2)의 소망 위치에는 제어(87)의 메인 스위치(114)와,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opening operation switch)(115)와, 폐쇄 도어 조작 스위치(c1osing operation switch)(116)가 설치된다.
도 10∼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력 슬라이드 유닛(7a)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기구의 연결 상태의 비상 해방 수단 및 케이블 인장압을 조절하는 기구가 변경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완전 폐쇄 도어 혹은 완전 개방 도어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23)를 해방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조작링(51)에 의해 외측 슬리브(44)를 통해 안내 플레이트(32)를 회전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안내 플레이트(32)가 와이어 드럼(10)의 내부 공간(22)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힘의 전동 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해방 조작에 다소의 곤란이 예상된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에서는 안내 플레이트(32)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와이어 드럼(10a)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클러치 기구(23a)의 연결 상태를 해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완전 개방 도어 상태(완전 폐쇄 도어 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도어(5)를 도어의 개방 방향(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완전 개방 도어 상태(완전 폐쇄 도어 상태)에 있어서, 와이어 드럼(10a)을 케이블(11, 12)의 인장압에 저항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와이어 드럼(10a)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슬라이드 도어(5)를 이동시킬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클러치 기구(23a)의 연결 상태를 해방할 수 있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와이어 드럼(10a)에는 도 11, 도 12와 같이, 일체적으로 환상의 톱니부(90)를 형성하여, 그 톱니부(90)에 캔슬 톱니바퀴(92)를 맞물림시킨다. 톱니바퀴(92)는 플레이트(19a, 20a)에 캔슬축(91)에 의해 장착된다. 캔슬축(91)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9a)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단에는 드라이버등의 도구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8)를 형성한다. 도구를 이용하여 톱니바퀴(92)를 회전시키면, 와이어 드럼(10a)이 수동으로 회전한다. 와이어 드럼(10a)이 회전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록부(42a)와 캔슬 캠면(49a, 50a)와의 접촉에 의해 클러치 기구(23a)의 연결 상태는 해방된다. 또, 와이어 드럼(10a)을 톱니바퀴(92)로 회전시킬 때는 케이블의 인장압을 느슨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드럼(10a)에 다수의 볼록부(42a)를 형성하면, 와이어 드럼(10a)이 적은 회전량으로 클러치 기구(23a)를 해방할 수 있으며, 해방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톱니바퀴(92)에 의해 드럼(10a)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외측 슬리브(44)에 상당하는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외측 슬리브(44)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플랜지(45a)는 내측 슬리브(43a)에 형성할 수 있고, 안내 플레이트(32a)에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스프링(46a)을 직접, 내측 슬리브(43a)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인장 조절 기구(111a)는 도 10과 같이, 각 와이어 케이블(11, 12)마다 설치되어 있다. 인장 조절 기구(111a)는 도 13, 도 14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9a)와 커버 플레이트(20a)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93)를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93)의 원통 부분의 내부에는 인장 롤러(52a)가 인장축(53a)에 의해 축받이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93)에는 4개의 걸어맞춤 핀(94)이 설치되고, 그 걸어맞춤 핀(94)은 양 플레이트(19a, 20a)에 형성한 긴 구멍(54a, 55a)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고 있다. 슬라이드 부재(93)와 양 플레이트(19a, 20a)의 사이에 고정된 부동 부재(95)와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9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와이어 케이블(11, 12)은 인장 롤러(52a)의 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한다. 인장 롤러(52a)는 직각으로 굴곡한 와이어 케이블(11, 12)의 한쪽과 평행하게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7a)과 상기 후미 사이드 패널(1)의 전측 케이블 홀(97)과의 사이의 전측 케이블(11), 및, 상기 슬라이드 유닛(7a)과 상기 패널(1)의 후측 케이블 홀(98)과의 사이의 후측 케이블(12)의 외주에는 와이어 시스(sheath)(99)가 피복되어 있다. 와이어 시스(99)는 플렉시블이기는 하지만 길이방향에 대한 신축은 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시스(99)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풀리(17)는 불필요해진다. 와이어 시스(99)의 일단은 도 13, 도 15와 같이 인장 조절 기구(111a)의 시스 유지체(100)에 연결시킨다. 와이어 시스(99)의 타단은 케이블 홀(97, 98)의 부근에 설치한 시스 유지체(도시 생략)에 연결시킨다. 시스 유지체(100)는 슬라이드 부재(93)와는 별체로, 서로 걸어맞춤하지 않는다 시스 유지체(100)에는 양 플레이트(19a, 20a)에 형성한 긴 구멍(101, 102)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돌기(103)가 설치되어 있다. 시스 유지체(100)에는 랙(104)이 형성되며, 그 랙(104)에는 피니언 톱니바퀴(105)를 맞물림시킨다. 피니언 톱니바퀴(105)는 축(106)에 의해 플레이트(19a, 20a)사이에 축받이되어 있고, 축(106)의 헤드부에는 드라이버등의 도구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9)를 형성한다. 축(106)을 도구로 회전시키면, 피니언 톱니바퀴(105)가 회전하여 시스 유지체(100)는 상기 인장 롤러(52a)와 평행하게 슬라이드한다. 피니언 톱니바퀴(105)에는 일체적으로 형성한 래칫휠(107)이 형성되며, 래칫휠(107)에는 피니언 톱니바퀴(105)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폴 레버(108)를 스프링(109a)의 탄력에 의해 맞물림시킨다.
상기 와이어 시스(99)의 길이는 와이어 시스(99)가 길이방향으로 신축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고, 따라서, 전측 시스 유지체(100)와 전측 케이블 홀(9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측 케이블(11)의 길이, 및 후측 시스 유지체(100)와 후측 케이블 홀(98)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측 케이블(12)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시스 유지체(100)를 와이어 드럼(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3에 있어서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스 유지체(100)와 와이어 드럼(10a)과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 만큼만 와이어 케이블(11, 12)의 인장압은 증대한다. 반대로 시스 유지체(100)를 와이어 드럼(10a)에 가까이 하면, 와이어 케이블(11, 12)은 느슨해지게 된다. 시스 유지체(100)는 동력 슬라이드 유닛(7a)을 조립할 때에는 조립이 간편히 행해지도록 와이어 드럼(10a)에 가장 근접시켜 케이블을 충분히 느슨하게 해 두고, 그 후, 긴장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와이어 인장압의 초기 조절을 행한다. 시스 유지체(100)에 의한 초기 인장 조절 종료후에는 인장 스프링(96)의 탄력에 의해 이동하는 인장 롤러(52a)에 의해 와이어의 느슨함이 흡수된다. 또한, 캔슬 톱니바퀴(92)에 의해 와이어 드럼(10a)을 회전시킬 때에는 폴 레버(108)를 스프링(109a)의 탄력에 저항하여 래칫휠(107)로부터 이탈시키고, 와이어 인장 압력을 최소로 한다.
[작동]
다음에, 제어(87)의 제어 동작의 상세를,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흐름도에 있어서는 이하에 리스트된 명칭이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표시 의미
O/D 개방 방향
C/D 폐쇄 방향
R/D 역방향
S/R 서브 루틴
P/A 소정량(수)
F/O 완전 개방
도 16A 및 16B는 차체(2)의 소망 위치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114)가 ON으로 되어 있으면, 제어(87)에 의해 수행되는 메인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 루틴에서는 최초에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가 ON인지의 여부가 체크되고(S003), 두번째로 슬라이드 도어(5)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며(S005), 세번째로 폐쇄 도어 조작 스위치(116)가 ON인지의 여부가 체크되고(S007), 네번째로 슬라이드 도어(5)가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S009).
[개방 도어 서브 루틴(door opening subroutine)]
메인 루틴의 단계 S003에 있어서,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의 ON이 검출되면, 래치(72)의 상태가 체크된다(S011). 래치(72)가 하프 래치 상태 또는 풀 래치 상태일 때는 제어(87)의 제어는 도 17A, 도 17B의 「개방 도어 서브 루틴」으로 흐른다(pass).
개방 도어 서브 루틴에서는, 우선 차임을 울리고(S201), 도어(5)의 커넥터(70)와 차체(2)의 커넥터(82)를 통해 배터리(83)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고 있는 동력 해제 유닛(68)에 의해, 래칫(73)을 래치(72)로부터 해방한다. 또한, 스위치(86)를 통해 광 센서(84)에 배터리(83)의 전력을 공급하고, 타이머 T4를 개시시킨다(S203). 계속해서,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개방 도어 회전시키며, 타이머 T5를 개시시킨다(S205).
모터(8)가 개방 도어 회전하면, 회전 디스크(26)는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 회전하여, 회전 디스크(26)에 핀(30, 31)으로 연결된 요동 아암(28, 29)도 시계 방향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요동 아암(28)은, 슬라이드 핀(33)과 연장 슬롯(39)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핀(30)을 중심으로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요동 아암(28)의 클러치 네일(47)은 와이어 드럼(10)의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한다. 한편, 요동 아암(29)의 슬라이드 핀(34)은 드럼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슬롯(38)내를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요동 아암(29)의 클러치 네일(48)은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다.
클러치 네일(47)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하면, 클러치 기구(23)는 연결 상태가 되며, 모터(8)의 회전은 와이어 드럼(10)으로 전달되고, 와이어 드럼(10)은 도 8에 있어서 시계 방향 회전하며,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케이블(11, 12)을 통해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도어(5)가 정상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거의 순식간에 도어(5)의 커넥터(70)는 차체(2)의 커넥터(82)로부터 이간한다 (S207). 그러나, 타이머 T4가 업할 때까지(S213), 커넥터(70)와 커넥터(82)와의 이간이 검출될 때에는 이상 발생이라 간주할 수 있다. 이상의 원인으로는 동력 해제 유닛(68) 또는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고장이나, 도어(5)과 차체(2)와의 동결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이 발생할 때에는 래치(72)의 상태를 체크한다(S215). 래치(72)가 하프 래치 상태 또는 풀 래치 상태일 때는 광 센서(84)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고나서(S217), 동력 해제 유닛(68)으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킨다(S219). 이어서, 모터(8)를 역방향(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회전시키고나서 (S221),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
단계 S215에 있어서, 래치(72)가 이미 스트라이커(71)로부터 해방되고 있을 때에는 광 센서(84)로의 전원공급은 정지시키지 않는다. 광 센서(84)로의 전원 공급은 래치(72)가 하프 래치 상태 또는 풀 래치 상태일 때만 정지하고, 슬라이드 도어(5)가 열려 있을 때에는 광 센서(84)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며, 슬라이드 도어(5)의 위치 및 이동을 광 센서(84)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5)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차체(2)의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비율이 많기 때문에, 도어(5)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광 센서(84)로 전원 공급하면 배터리(83)는 현저히 소모한다.
단계 S221에서 모터(8)를 역방향으로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회전시키는 것은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즉, 모터(8)를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반대로 회전시키면, 도 8에 있어서 회전 디스크(26)는 반시계 방향 회전하기 때문에, 요동 아암(28)은 슬라이드 핀(33)과 연장 슬롯(39)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핀(30)을 중심으로 드럼축(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며, 요동 아암(28)의 클러치 네일(47)은 볼록부(42)로부터 멀어지고, 클러치 기구(23)는 비연결 상태로 복귀한다. 클러치 기구(23)가 비연결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 도어(5)는 수동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단계 S207로 되돌아가서, 슬라이드 도어(5)가 정상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커넥터(70)가 커넥터(82)로부터 멀어지면, 동력 해제 유닛(68)을 정지시키고(S209), 이어서, 광 센서(84)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펄스수의 적산을 개시한다(S211). 펄스수의 합계(total)로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량, 즉,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량(위치)을 구할 수 있다. 펄스수의 적산은 커넥터(70)가 커넥터(82)로부터 이간했을 때에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광 센서(84)로의 전원 공급 개시 직후의 불안정한 펄스 신호를 제외할 수 있으며, 도어(5)의 위치를 정확히 감시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도어(5)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한창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 제어(87)는 펄스 신호의 펄스의 간격을 펄스 속도(pu1se speed)로서 감시하고, 아울러, 모터(8)의 전류값을 감시한다(S223). 펄스 속도로부터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고, 전류값으로부터는 모터(8)의 부하를 구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속도가 설정 속도보다 지연되었을 때,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속도의 변동폭이 설정폭보다 커질 때, 혹은 모터(8)의 전류값이 설정치보다 커졌을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5)에 예기치 않은 저항이 미치게 되기 때문에, 모터(8)를 소정 시간만큼 역회전시키고(S233),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켜,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 펄스 신호를 슬라이드 도어(5)의 이상 슬라이드의 검출에 이용하면, 슬라이드 도어(5)의 이상 슬라이드를 빠르게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신호를 이용한 이상 감시에서는 배터리 전압의 저하나, 경년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5)의 슬라이드 저항의 증가 등에 의해 지연된 슬라이드 속도를 잘못 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도어(5)의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정상으로 계속되면, 타이머 T5가 업하기 전에(S235), 펄스수의 합계는 소정수에 도달한다(S225).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슬라이드 도어(5)를 완전 개방 도어 위치(full-open position)로 유지하는 전개 스토퍼(110)의 직전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펄스 속도를 이용한 이상 감시는 중지하고, 모터(8)의 전류값를 이용한 이상 감시만 행한다(S227). 슬라이드 도어(5)가 다시 모터(8)의 동력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 도어(5)는 전개 스토퍼(110)를 타고 넘어 차체의 기계적 종료 부분에 접촉하며, 완전 개방 도어 위치로 유지된다. 슬라이드 도어(5)의 완전 개방 도어 위치는 펄스수의 합계 또는 모터(8)의 전류값의 변화로 검출할 수 있다(S229).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가 되면, 모터(8)를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역회전시키고(S233),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고나서,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
펄스수의 합계는 도어의 개방 도어가 종료하여도, 리셋하지 않는다. 합계의 리셋은 폐쇄 도어에 의해 도어의 커넥터(70)가 차체의 커넥터(82)에 접촉했을 때에 행한다(폐쇄 도어 서브 루틴의 단계 S415 참조). 펄스 속도를 이용한 슬라이드 도어의 이동 속도의 감시는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저항이 일정해지는 구간에 슬라이드 도어가 위치할 때만 행해진다. 즉, 커넥터(70)와 커넥터(82)가 서로 접촉하고 있을 때, 및 슬라이드 도어가 전개 스토퍼(110)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펄스 속도를 이용한 이상 감시는 행하지 않는다.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의 ON에 의한 개방 도어 작용은 이상과 같다.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를 대신해서, 도어(5)의 개방 핸들(11)3을 조작할 때도, 도 17A, 도 17B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를 동력에 의해 개방 도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래칫(73)은 수동으로 래치(72)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동력 해제 유닛(68)을 작동시키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메인 루틴의 단계 S011로 되돌아가서, 래치(72)가 스트라이커(71)로부터 해방되고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5)가 도중 위치에 있을 때에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가 조작되게 된다. 이 때에는 제어(87)의 제어를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manua1 opening operation fol1ow-up subroutine)」으로 흐르게 한다.
[폐쇄 도어 서브 루틴(door c1osing subroutine)]
메인 루틴의 단계 S007에 있어서, 폐쇄 도어 조작 스위치(116)의 ON이 검출되면,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S019). 문이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어는 도 19A, 도 19B, 도 19C의 「폐쇄 도어 서브 루틴」으로 흐른다. 이 때, 광 센서(84)에는 래치(72)가 스트라이커(71)로부터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83)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개방 도어에 의해 적산된 펄스수의 합계는 제어(87)내에 보존되어 있다.
폐쇄 도어 서브 루틴에서는 우선, 차임을 울리고나서(S401),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이머 T1, T2를 개시시킨다(S403). 그렇게 하면, 회전 디스크(26)가 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회전하며, 요동 아암(29)은 슬라이드 핀(34)과 연장 슬롯(40)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핀(31)을 중심으로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요동 아암(29)의 클러치 네일(48)은 와이어 드럼(10)의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한다. 한편, 요동 아암(28)의 슬라이드 핀(33)은 드럼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슬롯(37)내를 이동할 뿐이기 때문에, 요동 아암(28)의 클러치 네일(47)은 드럼축(21)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다.
클러치 네일(48)이 볼록부(42)에 걸어맞춤하면, 클러치 기구(23)는 연결 상태가 되고, 모터(8)의 회전은 와이어 드럼(10)으로 전달되며, 와이어 드럼(10)은 폐쇄 도어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케이블(11, 12)을 통해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도어가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광 센서(84)는 펄스 신호를 제어(87)에 출력한다. 이 때, 제어(87)는 슬라이드 도어가 폐쇄 도어 슬라이드하고 있기 때문에, 펄스수의 합계에서 감산한다.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가 정상으로 폐쇄 도어 슬라이드하면, 타이머 T1이 업하기 전에(S407), 슬라이드 도어(5)는 전개 스토퍼(110)를 타고 넘어간다(S405). 스토퍼(110)의 이월(移越)은 펄스수의 합계로 구한 슬라이드 도어(5)의 위치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시간내에 스토퍼의 이월을 확인할 수 없을 때에는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모터(8)를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반대로 회전시켜(S431),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
스토퍼(110)를 정상으로 타고 넘으면(S405), 펄스 속도로부터 구한 슬라이드 도어(5)의 이동 속도 및 모터(8)의 전류값를 감시하고(S409), 이들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끼임등의 이상으로 간주하여 도어를 긴급 개방 도어시킨다. 즉,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타이머 T3을 개시시키고나서(S433), 타이머 T3가 업할 때까지(S439) 혹은 개방 도어 조작 스위치(115)가 ON될 때까지(S437), 경보를 송출한다. 다음에,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이머 T5를 개시시키며(S443), 이어서 제어를 「개방 도어 서브 루틴」의 단계 S223으로 이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는 동력에 의해 개방 도어된다. 따라서, 도어와 차체사이에 탑승자의 몸이 끼었을 때에도, 탑승자의 데미지는 최소로 할 수 있다.
단계 S409에 있어서 이상이 검출될 때에는 타이머 T2가 업하기 전에(S413), 도어(5)의 커넥터(70)는 차체(2)의 커넥터(82)에 접촉한다(S411). 이 접촉에 의해, 펄스수의 합계는 리셋되고(S415), 펄스 신호를 이용한 도어(5)의 위치의 감시는 종료한다. 또한, 펄스 속도를 이용한 이상 감시도, 도어의 슬라이드 저항의 변화에 의해 종료한다. 동시에, 동력 폐쇄 유닛(69)은 커넥터(70)와 커넥터(82)를 통해 배터리(8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끼리의 접촉후에도, 슬라이드 도어(5)는 슬라이드 유닛(7)의 동력에 의해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도어(5)의 이상 슬라이드는 모터(8)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감시한다(S417). 도어가 정상으로 슬라이드하면, 타이머 T2가 업하기 전에(S421), 래치 유닛(67)의 래치(72)는 스트라이커(7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하프 래치 상태가 된다(S419).
래치(72)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되면, 광 센서(84)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고(S423),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모터(8)를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반대로 회전시킨다(S425). 이와 같이, 모터(8)에 의한 도어(5)의 폐쇄 도어 슬라이드는 래치(72)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되면 종료한다. 그러나, 모터(8)를 정지시켜도, 도어(5)의 관성 이동에 의해, 래치(72)가 드물게 풀 래치 상태가 될 때가 있다. 래치(72)가 예기치 않게 풀 래치 상태가 될 때에는(S427), 이후의 제어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복귀시킨다.
단계 S427에 있어서, 풀 래치 상태가 검출될 때에는 동력 폐쇄 유닛(69)을 작동시키고(S429), 래치 유닛(67)의 축(76)을 도 6에 있어서 시계 방향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롤러(79)는 안내홈(80)을 따라 이동하고, 하프 래치 위치의 래치(72)의 다리부(81)에 접촉하며, 이것에 의해 래치(72)를 풀 래치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래치(72)가 풀 래치 위치가 되면 동력 폐쇄 유닛(69)을 정지시키고,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복귀시킨다.
단계 S417에 있어서 전류값에 이상이 있을 때에는 제어를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manua1 opening operation fo1low-up subroutine)」의 단계 S307로 흐르고, 동력에 의해 도어(5)을 개방 도어시킨다. 단계 S019에 있어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없을 때에는 제어(87)의 제어를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manua1 c1osing operation fo11ow-up subroutine)」으로 흐르게 한다.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manua1 opening operation fo11ow-up subroutine)]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이외일 때에는 광 센서(84)에는 배터리(83)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이외일 때, 수동에 의해 도어(5)를 개방 도어 슬라이드시키면, 광 센서(84)로부터의 펄스 신호가 제어(87)에 송출되며, 이것에 의해, 제어(87)는 도어(5)의 개방 도어 슬라이드를 검출할 수 있다.
메인 루틴의 단계 S005에 있어서, 도어(5)의 개방 도어 슬라이드가 검출되면 제어는 도 18의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으로 흐른다. 또한, 메인 루틴의 단계 S011에 있어서, 래치(72)가 스트라이커(71)로부터 해방되고 있을 때에도, 동일하게 제어는,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으로 흐른다.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에서는 우선, 차임을 울리고나서 (S301), 커넥터(70)와 커넥터(82)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S303). 비접촉일 때에는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이머 T5를 개시시킨다(S305).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어서, 제어(87)의 제어를 「개방 도어 서브 루틴」의 단계 S223으로 이행시키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5)는 동력에 의해 개방 도어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커넥터(70)와 커넥터(82)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이머 T4, T5를 개시시킨다(S307). 슬라이드 도어(5)가 도어의 개방 방향에 정상으로 슬라이드하면, 타이머 T4가 업할 때까지(S311), 커넥터(70)는 커넥터(82)로부터 이간한다(S309). 단계 S303에 있어서, 커넥터끼리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광 센서(84)의 펄스수의 합계는 리셋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끼리가 이간하면, 펄스 신호의 펄스수의 적산을 개시하고(S310), 이어서, 제어는 「개방 도어 서브 루틴」의 단계 S223으로 이행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5)는 동력에 의해 개방 도어된다.
단계 S311에 있어서 타이머 T4가 업했을 때에는 이상이 발생한 것이 되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23)를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모터(8)를 소정 시간(소정량)만큼 반대로 회전시키고(S313), 제어를 메인 루틴으로 되돌린다.
하프 래치 상태 또는 풀 래치 상태의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서는 래칫(73)을 래치(72)로부터 해제하는 액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수동 개방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에 있어서는,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가 제외되고 있다.
[수동 폐쇄 도어 조작의 추종 제어(manua1 closing operation fol1ow -up subroutine)]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이외일 때에는 광 센서(84)에는 배터리(83)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5)가 하프 래치 상태 및 풀 래치 상태이외일 때, 수동에 의해 도어(5)를 폐쇄 도어 슬라이드시키면, 광 센서(84)로부터의 펄스 신호가 제어(87)에 송출되고, 이것에 의해, 제어(87)는 도어(5)의 폐쇄 도어 슬라이드를 검출할 수 있다.
메인 루틴의 단계 S009에 있어서, 도어(5)의 폐쇄 도어 슬라이드가 검출되면, 슬라이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S025). 도어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가 아닐 때에는 제어를 도 20의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으로 이행시킨다. 그러나, 도어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있을 때에는 타이머 T6을 개시시키고(S027), 시간내에 전개 스토퍼(110)를 타고 넘어 이동했을 때만(S029), 제어를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으로 이행시킨다. 또한, 메인 루틴의 단계 S019에 있어서, 도어(5)가 완전 개방 도어 위치에 없을 때에도 동일하게 제어는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으로 흐른다.
수동 폐쇄 도어 조작 추종 서브 루틴에서는, 차임을 울리고나서 (S501), 동력 슬라이드 유닛(7)의 모터(8)를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이머 T2를 개시시킨다(S503).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는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어서, 제어의 제어를 「폐쇄 도어 서브 루틴」의 단계 S409로 이행시키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5)는 동력에 의해 폐쇄 도어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광 센서(84)로부터 송출되는 펄스 신호의 펄스수를 적산(감산)함으로써, 와이어 드럼(10a)의 회전량을 구하고 있지만, 펄스 신호로부터 회전량을 구하는 방법은 그 이외에도 있으며, 예시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두께가 얇은 소형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되고,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클러치 기구가 제공되며,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별도의 모터나 복귀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가 제공되며,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가 제공되며,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가 고장나더라도, 수동에 의한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클러치 기구가 제공된다.

Claims (17)

  1. 차체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드럼축에 의해, 상기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와이어 드럼과: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가역 모터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두루 감겨져,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잡아 당기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모터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에 전달하는 연결 상태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는 비연결 상태를 가지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은 실질적으로 폐쇄된 한쪽과 개방된 다른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며, 그리고 와이어 드럼의 환상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걸어맞춤(fit)하는 와이어 홈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기구는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버 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축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상기 드럼축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을 수용하는 톱니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톱니바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폐쇄 단부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스럿트 방향의 길이와 상기 톱니 바퀴의 두께의 합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축의 양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4. 차체에 고정된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드럼축에 의해, 상기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와이어 드럼과: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가역 모터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두루 감겨져,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전방 또한 후방으로 잡아 당기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모터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을 개방 도어 회전시키는 제 1 연결 상태가 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을 폐쇄 도어 회전시키는 제 2 연결 상태가 되며: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 1 연결 상태 및 상기 제 2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전원 공급의 중단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상기 제 1 연결 상태 및 상기 제 2 연결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 1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방향과 반대로 소정량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는 비연결 상태가 되며, 상기 제 2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는 비연결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량만큼 회전시켜 상기 클러치 수단을 비연결 상태로 복귀시키는 클러치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수단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도어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클러치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수단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클러치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과.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하며,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클러치 래칫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은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클러치 네일 수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되기 전에,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2 클러치 네일 수단은 상기 모터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되기 전에,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또,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시키고,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안내 슬롯 수단과,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클러치 네일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에 걸어맞춤시키며,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클러치 네일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2 안내 슬롯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및 제 2 안내 슬롯 수단은 상기 드럼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슬롯과, 상기 드럼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연장 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2. 제 10 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 슬롯 수단은 상기 드럼축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 저항을 가지고 장착된 안내 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안내 플레이트를 개방 도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안내 플레이트를 폐쇄 도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은 실질적으로 폐쇄된 한쪽과 개방된 다른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갖고, 그리고 와이어 드럼의 환상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 케이블이 걸어맞춤(fit)되는 와이어 홈을 가지며, 상기 클러치 수단은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을 폐쇄 도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을 개방 도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비연결 상태로 복귀하 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은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이 폐쇄 도어 회전하면 상기 볼록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 1 클러치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1 캔슬 수단과, 상기 와이어 드럼이 개방 도어 회전하면 상기 볼록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 2 클러치 수단을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2 캔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 상기 드럼축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회전 디스크에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제 1 요동 아암과 제 2 요동 아암을 가지며: 상기 제 1 클러치 네일 수단과 상기 제 1 캔슬 수단은 상기 제 1 요동 아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러치 네일 수단과 상기 제 2 캔슬 수단은 상기 제 2 요동 아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KR1019970012467A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KR100205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57896A JP3195737B2 (ja) 1996-04-04 1996-04-04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96-108578 1996-04-04
JP96-128967 1996-04-25
JP12896796A JP3203182B2 (ja) 1996-04-25 1996-04-25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クラッチ機構
JP96-159051 1996-05-30
JP15905196A JP3340026B2 (ja) 1996-05-30 1996-05-30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14A KR970074114A (ko) 1997-12-10
KR100205500B1 true KR100205500B1 (ko) 1999-07-01

Family

ID=273112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468A KR100205502B1 (ko)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인장 조절 기구
KR1019970012469A KR100203560B1 (ko)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KR1019970012467A KR100205500B1 (ko)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468A KR100205502B1 (ko)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인장 조절 기구
KR1019970012469A KR100203560B1 (ko) 1996-04-04 1997-04-04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5867940A (ko)
KR (3) KR100205502B1 (ko)
GB (3) GB2311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4121B2 (ja) * 1996-10-25 2002-06-24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6198242B1 (en) 1997-12-02 2001-03-06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e door
DE19813670C1 (de) * 1998-03-27 1999-07-08 Daimler 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einer den Rücksitzbereich vom Vordersitzbereich abtrennenden Trennwand
DE19819421C2 (de) * 1998-04-30 2001-11-08 Kiekert Ag Schiebetürantrieb für die Schiebetür eines Kraftfahrzeuges
KR100303814B1 (ko) * 1998-10-31 2001-09-24 윤종용 슬라이드식컨트롤도어개폐장치
JP3380181B2 (ja) * 1998-11-09 2003-02-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の安全制御方法
JP3675202B2 (ja) * 1998-11-30 2005-07-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JP3843626B2 (ja) * 1998-11-30 2006-11-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3675204B2 (ja) * 1998-12-14 2005-07-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6256930B1 (en) 1999-06-29 2001-07-1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gear drive
US6079767A (en) * 1999-06-29 2000-06-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US6276743B1 (en) * 1999-06-29 2001-08-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door
DE19952107A1 (de) * 1999-10-29 2000-11-30 Bosch Gmbh Robert Spanneinrichtung für eine zwischen der Karosserie und einer Schiebetür eines Kraftfahrzeugs verlaufenden Versorgungsleitung
US6435600B1 (en) 1999-12-21 2002-08-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power sliding door
GB0009792D0 (en) * 2000-04-25 2000-06-0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Vehicle door drive system
US7032349B2 (en) * 2000-04-27 2006-04-25 Atoma International Corp.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for motor vehicles
US6802154B1 (en) * 2000-06-23 2004-10-12 Multimatic, Inc. Automatic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with a releasing mechanism for fixably and releasably attaching a vehicle door to a belt drive system
US6390535B1 (en) * 2000-09-11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Sliding door closure apparatus
AUPR082800A0 (en) * 2000-10-17 2000-11-09 Cardinal, Mike Anti bandit shutter
US6464287B2 (en) * 2001-03-12 2002-10-15 Delphi Technologies, Inc. Drive mechanism for power operated slideable side door
WO2002102615A2 (en) 2001-06-19 2002-12-27 Delphi Technologies, Inc. Cable drive assembly
FR2826685B1 (fr) * 2001-06-27 2004-02-27 Wagon Automotive Snc Dispositif d'entrainement d'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portiere, chariot et vehicule correspondants
DE20113012U1 (de) * 2001-08-04 2001-10-04 Stihl Maschf Andreas Start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3530839B2 (ja) * 2001-09-21 2004-05-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WO2003033287A1 (fr) * 2001-10-11 2003-04-24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de de regulation d'un dispositif coulissant mecanique pour une portiere coulissante
US6863336B2 (en) * 2001-10-29 2005-03-08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3759709B2 (ja) * 2001-10-31 2006-03-2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制御方法
JP3837081B2 (ja) * 2002-03-29 2006-10-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US7325361B2 (en) * 2003-03-19 2008-02-0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dular sliding door mechanism
WO2004085781A2 (en) * 2003-03-19 2004-10-07 Delp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dular sliding door mechanism
US7243461B2 (en) * 2003-03-19 2007-07-17 Rogers Jr Lloyd W Hinge mechanism for a sliding door
US7287804B2 (en) * 2003-03-31 2007-10-30 Ohi Seisakusho Co., Ltd. Tension controller and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same
FR2856423B1 (fr) * 2003-06-20 2005-10-0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Tendeur de cable
US9523231B2 (en) 2003-11-10 2016-12-20 Strattec Power Access Llc Attachment assembly and drive unit having same
US7422094B2 (en) * 2003-11-28 2008-09-09 Mitsu Mining & Smelting Co. Ltd. Clutch mechanism for power device
JP4215714B2 (ja) * 2004-12-28 2009-01-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WO2006086892A1 (en) * 2005-02-18 2006-08-24 Magna Closures Inc. Compact cable drive power sliding door mechanism
EP1713160B1 (en) * 2005-04-11 2020-06-17 Delphi Technologies, Inc. Drive device for motor operated vehicle door with movement sensor
JP2006348668A (ja) * 2005-06-17 2006-12-28 Mitsuba Corp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US7576502B2 (en) * 2005-07-28 2009-08-18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 F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a powered closure of a vehicle
US8322074B2 (en) * 2005-08-29 2012-12-04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Power unit for power slide apparatus
DE202005014501U1 (de) * 2005-09-13 2007-02-0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iebetü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958433B2 (ja) * 2005-12-14 2012-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US7402971B2 (en) 2006-02-02 2008-07-22 Robert Bosch Gmbh Movable partitio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7770961B2 (en) * 2006-02-20 2010-08-10 Magna Closures Inc. Compact cable drive power sliding door mechanism
DE102007045882A1 (de) * 2006-09-25 2008-04-03 Magna Closures Inc., Newmarket Riemengetriebene fremdkraftbetätigte Schiebetür mit Zahnstangengetriebe
JP4795195B2 (ja) * 2006-10-17 2011-10-1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ラッチ装置
US7479748B2 (en) * 2006-10-25 2009-01-20 Robert Bosch Gmbh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partition system performance
US7815242B2 (en) * 2007-01-31 2010-10-19 Mitsuba Corporation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JP4972420B2 (ja) * 2007-01-31 2012-07-11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2114835A2 (en) * 2007-02-28 2009-11-11 Corning Incorporated Photonic crystal fib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07678B2 (ja) * 2007-07-20 2013-06-12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イドドア駆動装置
CN101139904B (zh) * 2007-08-22 2011-05-04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汽车中滑门电动传动系统
AU2008304175B2 (en) * 2007-09-28 2012-09-13 Wabtec Holding Corp. Electric swing plug door operator with auxiliary door locking mechanism
US7575270B2 (en) * 2007-10-26 2009-08-18 Mitsuba Corporation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JP4447634B2 (ja) * 2007-11-08 2010-04-0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009127290A (ja) * 2007-11-22 2009-06-1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1132771A (ja) * 2009-12-25 2011-07-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0020203A1 (de) * 2010-05-12 2011-11-17 Volkswagen Ag Verfahren zum Einparken oder Ausparken und zur Vermeidung einer Kollision eines Fahrzeugs sowie entsprechende Assistenzsysteme und Fahrzeug
DE102011081618A1 (de) * 2011-08-26 2013-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iebetürfeststeller
EP2682560B1 (en) * 2012-07-03 2018-03-28 Hossein Rastegar Electronic curtain moving device
DE102013009673A1 (de) * 2013-06-08 2014-12-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ollisionsschutzverfahren und Kollisionsschutzvorrichtung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DE112014003306T5 (de) * 2013-07-17 2016-05-12 Magna Closures Inc. Doppelmotorgerät mit Anwendung in Kraftanzieh- und Schlossmechanismus
KR20150074806A (ko) * 2013-12-24 2015-07-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US10337216B2 (en) 2014-01-02 2019-07-02 Strattec Power Access Llc Vehicle door
US9476245B2 (en) * 2014-08-29 2016-10-25 Strattec Power Access Llc Door cable pulley system
US9856688B2 (en) 2014-11-06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directional element drive system
US9984513B2 (en) 2014-12-23 2018-05-29 Palo Alto Res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component conditions
DE102016216686A1 (de) * 2015-09-29 2017-03-30 Magna Closures S.P.A. Fahrzeugverriegelung mit Umlenkrolle für flexible Kabelführung
CN106595797B (zh) * 2016-12-05 2019-10-11 河南长润仪表有限公司 油量传感器单孔安装法兰
CN108725328B (zh) * 2017-04-25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护板地图袋
WO2019152887A1 (en) 2018-02-01 2019-08-08 Oldcastle Building Envelope, Inc. Demountable wall system and method
FR3078357B1 (fr) * 2018-02-27 2022-05-06 Somfy Activites Sa Procede de commande en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d'entrainement motorise d'une fenetre pour un batiment, fenetre et installation domotique associes
CN109083534B (zh) * 2018-09-04 2020-07-10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开窗器双拉绳防脱器
WO2020210900A1 (en) * 2019-04-16 2020-10-22 Magna Closures Inc. Actuator and cable-operated drive mechanism for closure panel
US20220243515A1 (en) * 2019-07-26 2022-08-04 Magna Closures Inc. Dual drum drive unit for sliding doors
US20220243517A1 (en) * 2021-02-04 2022-08-04 Magna Closures Inc. Inductive sensor for power sliding doo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3007A (en) * 1942-03-11 1943-10-26 Jack & Heintz Inc Centrifugal clutch
DE2123749A1 (de) * 1971-05-13 1972-11-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upplungseinrichtung zur Kraftübertragung zwischen einem Antrieb und einer Pumpe
IT1027094B (it) * 1974-12-17 1978-11-20 Lames Societa Per Azioni Alzacristalli elettrico per autoveicoli provvisto di mezzi che ne consentano l azionamento manuale di emergenza
JPS5255117A (en) * 1975-10-29 1977-05-06 Toyota Motor Corp System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utomotive sliding door
SU575442A1 (ru) * 1975-12-02 1977-10-05 Gorkov Petr Центробежна муфта
DE2810113A1 (de) * 1978-03-09 1979-09-13 Bosch Gmbh Robert Kupplungsaggregat
JPS5853911Y2 (ja) * 1979-02-09 1983-12-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ユレ−タ
JPS59195982A (ja) * 1983-04-18 1984-11-07 日本ケ−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ユレ−タ用ワイヤ駆動装置
GB2164090B (en) * 1984-07-26 1987-10-14 Ohi Seisakusho Co Ltd Automatic sliding door system for vehicles
US5140316A (en) * 1990-03-22 1992-08-18 Masco Industries, Inc. Control apparatus for powered vehicle door systems
US5138795A (en) * 1990-04-25 1992-08-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 closer
JPH0749746B2 (ja) * 1990-06-29 1995-05-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5316365A (en) * 1993-01-25 1994-05-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door closed loop cable closure system with balanced cable tension and varying diameter pulleys
US5323570A (en) * 1993-01-25 1994-06-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opening cable system with cable slack take-up
US5319881A (en) * 1993-01-25 1994-06-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door closed loop cable closure system with balanced cable length and varying diameter pulleys
US5503261A (en) * 1994-07-15 1996-04-02 Automotive Concepts Technology Bi-directional centrifugal clutch
US5536061A (en) * 1994-12-05 1996-07-16 Chrysler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body with powered sliding side door
US5746025A (en) * 1995-02-28 1998-05-05 Ohi Seisakusho Co., Ltd.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otive slide door
JP3122353B2 (ja) * 1995-09-20 2001-01-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ワイヤーケーブル緊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33301A (en) 1998-11-10
KR970074116A (ko) 1997-12-10
GB2311810B (en) 1998-05-13
KR100203560B1 (ko) 1999-06-15
GB2311812B (en) 1999-07-21
GB2311812A (en) 1997-10-08
GB9706812D0 (en) 1997-05-21
GB2311810A (en) 1997-10-08
US5913563A (en) 1999-06-22
GB2311811A (en) 1997-10-08
KR970074114A (ko) 1997-12-10
KR100205502B1 (ko) 1999-07-01
KR970074115A (ko) 1997-12-10
GB9706811D0 (en) 1997-05-21
GB2311811B (en) 1998-07-08
US5867940A (en) 1999-02-09
GB9706785D0 (en)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500B1 (ko)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
US20040195419A1 (en) Tension controller and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same
GB2322670A (en)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3245352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3340026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3245350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KR102340322B1 (ko) 자동차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JP4709787B2 (ja) 電動機のクラッチ機構
JP3195737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2000002046A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JPH09317326A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3671613B2 (ja) 電動式開閉戸の開閉装置
JP3195739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3272944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ワイヤー緊張装置
JP3393207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の制御方法
JPH09291754A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クラッチ機構
JP3955013B2 (ja) 動力装置のクラッチ機構
JP3195738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3380182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の安全制御方法
JP3955014B2 (ja) 動力装置のクラッチ機構
KR200147773Y1 (ko) 카세트테이프삽입및취출장치
KR9300074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KR920000448Y1 (ko) 카세트 테이프 이중삽입 방지장치
JP3647371B2 (ja) パワーテイクオフバルブ操作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3822874B2 (ja) 車両スライド扉用パワー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