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746B1 -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746B1
KR100201746B1 KR1019920001376A KR920001376A KR100201746B1 KR 100201746 B1 KR100201746 B1 KR 100201746B1 KR 1019920001376 A KR1019920001376 A KR 1019920001376A KR 920001376 A KR920001376 A KR 920001376A KR 100201746 B1 KR100201746 B1 KR 10020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eight
resin
cleaning composition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867A (ko
Inventor
켄지로 오바마
부카즈 아츠미노
히로유키 후지
Original Assignee
노기 사다오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기 사다오,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기 사다오
Publication of KR92001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2Constructions or methods for cleaning the mixing or kne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29C33/722Compositions for clean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지수가 0.01 내지 0.5인 폴레올레핀 수지 50 내지 95중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0.1 내지 15중량%, 유기 설폰산의 중성염 2 내지 30중량% 및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칼륨, 탄산 아연 또는 이들중 둘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기기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형 온도인 약 400℃에서 이 플라스틱의 종류 변화시에 성형기기를 세정하기 위해 적합하다.

Description

세정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성형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의 가공/성형 분야에 있어서,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을 각 종류마다 소량으로 제조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종 플라스틱 제조를 한 종류로부터 다른 종류로 변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품질관리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종류의 변화시 성형 기기의 내부를 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의 가공/성형 단계에 있어서, 플라스틱 제조 변화시 선사용 수지의 영향을 제거시키기 위해 몇몇의 조치를 취한다. 실제로, 선사용 수지가 착색된 수지인 경우, 예를 들면, 청색 또는 검은색과 같은 짙은 색상을 갖는 선사용 품종을 백색과 같은 밝은 색상을 갖는 또다른 품종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세정 수지를 사용한 성형 기기 내부의 세정, 가공/성형 기기의 분해 및 세정과 같은 다루기 힘든 조작의 수행 및 제조의 중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압출 입상화 단계에 있어서 착색된 생성물을 변화시키는 경우, 압출기를 중단시킨 후 압출기로부터 스크류를 떼어내고, 실린더 내부 및 스크류를 브러싱등과 같은 방법으로 세정한 후 스크류를 다시 압출기에 끼워넣는다. 선사용 종류의 수지를, 스크류를 떼어내지 않고 치환 수지로 대체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다량의 수지가 세정을 위해 필요하며 압출기내의 복잡한 구조의 부품상에 존재하는 오물은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후속의 수지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착색되는 문제가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정 화합물을 사용한다. 세정 화합물은 압출기내에 남아 있는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또한 이로 인해 소량의 치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품종 변화를 완결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세정 화합물은 스테아르산과 같은 윤활제를 함유하는 세정 화합물 및 경성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세정 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화합물은 세정 효과면에서 열등하다. 후자의 화합물은 강한 냄새를 방출하고, 이것은 또한 반-용융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중이 증가되며, 따라서 다이(die), 절단판(breaker plate), 와이어 네트(wire net)등을 분해한 후에야 세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복잡한 조작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로 남아 있게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62-195045호에는 열가소성 수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및 발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63-66245호에는 열가소성 수지, 설폰산 중성 염 및 입자 직경이 0.05 내지 10㎛인 무기 화합물 분말을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이 조합된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제4,838,945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838,948호에는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및 설폰산 염 활성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지 가공 장치를 세정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성형 온도가 약 300℃이하인 소위 일반용의 플라스틱에 적합하다. 최근 몇년동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 stic) 및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engineering plastic)이 생산되어져 왔는데, 이들 대부분의 경우에 성형 온도가 300℃이상이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400℃를 초과한다. 이러한 온도 범위는 일반용의 플라스틱의 온도범위와는 현저하게 다르다.
이처럼 높은 온도에서는, 통상의 세정 화합물은 용융시에 점탄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점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통상의 세정 화합물은 고온에서 사용 불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성형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이의 색상 변화 및 물질 변화를 위한 세정 조성물이 제안된 바 없다. 따라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성형시, 약 300℃(이 온도는 성형온도 400℃로부터 점차적으로 강하시킨 온도이다)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유리 섬유 함유)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을 제거한다. 따라서, 수지의 일부가 손실되며 성형기기의 스크류가 유리 섬유에 의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후속 성형 단계에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온도를 성형 온도로 다시 상승시켜야 하며, 이는 온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복잡한 조작 및 오랜시간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세정 효과 또한 열등하다.
따라서 용융시에 400℃와 같은 고온, 즉, 엠플라(Empla) 또는 슈퍼-엠플라의 성형 온도에서 조차도 점탄성을 충분히 유지시키고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세정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의 성형 온도는 400 ℃이다)의 색상 변화 및 물질 변화 단계에서 고온에서 현저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성형기기용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및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고온에서 탁월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세정조성물은 용융 지수가 0.01 내지 0.5인 폴리올레핀 수지 50 내지 95중량%,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 0.1 내지 15중량%, 유기 설폰산의 중성염 2 내지 30중량% 및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 칼륨, 탄산 아연 또는 이들중 2개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중량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융 지수(JIS K-6760)가 0.01 내지 0.5인 폴리올레판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5중량%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이 50중량%미만인 경우, 세정 조성물이 점도가 너무 낮아서 세정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이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타 성분의 양이 감소함으로써 세정 조성물의 세정 효과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과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부터 고압 라디칼 중합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Sumitomo Chem ical Co., Ltd) 제품인 상표명 아크리프트(Acryft)를 시판품으로서 구입할 수 있고,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 닛뽄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Unicar Co., Ltd.) 제품인 상표명 NUC 공중합체를 시판품으로서 구입할 수 있다. 사용되는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양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5중량%이다.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양이 0.1중량%미만인 경우, 성형기기내에 부착된 오물인 선사용된 수지를 제거하기가 어렵고, 상기 공중합체의 양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바람직하지 않게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설폰산의 중성 염은 탄소수 10 내지 18의 알킬벤젠설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10 내지 18의 알킬메틸타우르산의 나트륨염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설폰산의 중성 염의 양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30중량%이다.
설폰산의 중성 염의 양이 2중량%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작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세정 조성물의 용융시의 유동능이 너무 커서, 성형기기내에 부착된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기 어렵고 세정능이 바람직하지 않게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아연 또는 이들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은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물질의 양이 0.1중량%미만인 경우, 제조된 세정 조성물의 세정 효과가 열등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세정 조성물로 성형기기를 세정한 후에 수지를 성형하면 성형된 제품이 세정 조성물의 영향하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혼탁해진다.
본 발명의 세정조성물에 몇몇 첨가제를 가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예를 들면, 금속성 비누, 예를 들면, 염기성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 열 안정화제,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또는 디부틸틴 말레에이트; 및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알킬 에테르 나트륨 설페이트, α-올레핀 나트륨 설포네이트 및 에탄올아민 알킬벤젠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발수성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와 같은 왁스, 실리콘 또는 고급 지방산의 왁스 또는 금속염(예: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성형 온도가 약 400℃로서 매우 높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색상 변화 및 물질 변화는, 세정 조성물을 소량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성형 온도에서 현저히 우수한 세정 효과로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의 색상 변화를 수행할 경우, 세정 및 제거에 필요한 시간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유리 섬유 함유)가 사용되는 경우에 소모되는 시간의 약 1/8로 단축될 수 있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려함은 아니다.
[실시예 1]
20ℓ 헨쉘 혼합기(Henschel mixer)(상표명)에 용융 유동지수(JIS K67 60)가 0.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5㎏,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닛뽄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Unicar Co., Ltd.)가 NUC 공중합체 DPDJ-6182라는 상표명하에 시판) 1.0㎏, 나트륨 도데실 벤젠설포네이트 0.70㎏,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0.7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05㎏ 및 폴리에틸렌 왁스(수평균 분자량=1500) 0.05㎏을 도입시킨 후, 이를 500rpm의 회전 속도로 3분동안 교반하여 혼합시킨다.
이어서,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니딩(Kneading)시킨 후, 200℃의 실린더 온도 및 210℃의 다이 온도에서 압출시킨 후 이를 수탱크에서 냉각시킨다. 이어서, 냉각시킨 혼합물을 펠릿화기(Pelletizer)로 절단하여 제정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세정 조성물에 대해 하기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400℃이 실린더 온도, 410℃이 다이온도 및 100중량톤의 체부력(Cla mping force)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약자로 PEI)(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수지 600g을 사용하여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여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10분이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58)가 0.3인 폴리프로필렌 7.70㎏,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쓰미토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WD-301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 0.80㎏,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70㎏, 수산화마그네슘 0.60㎏, 염기성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400℃의 실린더 온도, 410℃의 다이온도 및 1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액정 중합체(약자로 LCP)(흑색)(상표명: 닛세키 자이더(Nisseki Zaider RCZ10 G430)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 조성물 1000g을 사용해서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여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12분이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60)가 0.0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50㎏,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쓰미토모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아크리프트(Acrift) WD-201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 1.00㎏,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80㎏,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0.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410℃의 실린더 온도, 420℃의 다이온도 및 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 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수지(약자로 PEEK)(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수지 400g을 사용해서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여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10분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58)가 0.05인 폴리프로필렌 7.50㎏, 에틸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닛뽄 유니카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NUC 공중합체, NUC-6220란 상표명으로 시판) 0.08㎏,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60㎏,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1.00㎏, 염기성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05㎏ 및 폴리에틸렌 왁스 0.05㎏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350℃의 실린더 온도, 360℃의 다이온도 및 10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트르 설폰 수지(약자로 PES)(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수지 500g을 사용해서 선사용 수지를 제거해서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9분이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60)가 0.1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8.50㎏,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쓰미토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아크리프트(Acrift) WD-302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 0.50㎏, 마그네슘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30㎏, 수산화마그네슘 0.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330℃의 실린더 온도, 350℃의 다이(die)온도 및 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계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 설폰 수지(약자로 PPS)(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수지 510g을 사용하여 선사용 수지를 제거해서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8분이다.
[실시예 6]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60)가 0.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7.50㎏,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쓰미토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아크리프트(Acrift) WD-303이라는 상표면으로 시판) 1.00㎏, 마그네슘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80㎏,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0.50㎏, 염기성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350℃의 실린더 온도, 370℃의 다이온도 및 10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설폰 수지(약자로 PSF)(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수지 450g을 사용하여 선사용 수지를 제거해서 사출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제거/세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9분이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60)가 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8.5㎏,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87㎏,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0.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410℃의 실린더 온도, 420℃의 다이온도 및 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수지(약자로 PEEK)(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조성물 400g을 사용한다.
세정 조성물은 상기-언급한 조건의 높은 온도 때문에 용융 점탄성을 유지할 수 없어, 점도가 저하되고 성형 기기의 내부를 세정할 수 없게 된다.
[비교실시예 2]
410℃의 실린더 온도, 420℃의 다이온도 및 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수지(약자로 PEEK)(흑색)로 오염시킨다. 그 후에, 온도를 약 300℃까지 낮추고, 온도를 더 낮추면서,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충분히 건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고 성형 기기를 세정한다. 상기-언급한 강하된 온도에서 선사용 수지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양은 10㎏이다. 또한, 이러한 조작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80분이다.
[비교실시예 3]
주성분으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시판용으로 구입가능한 세정제(스위스킹罐캄파니, 리미티드(Swiss Romatine Co., Ltd.)에서 상표명 로틸라이트(Rotilite)로 시판)에 대하여 비교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시험을 수행한다. 결과에 따르면, 이 세정제가 상기 언급한 조건의 높은 온도 때문에 용융 점탄성을 유지할 수 없어, 점도가 저하되고 성형기기의 내부를 세정할 수 없게 된다.
[비교실시예 4]
실시예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서, 용융유동 지수(JIS K6760)가 0.0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50㎏,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0㎏,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80㎏,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0.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0㎏ 및 폴리에틸렌 왁스 0.10㎏으로부터 세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세정 시험을 수행한다.
400℃의 실린더 온도, 410℃의 다이온도 및 50중량톤의 체부력을 갖는 사출성형 기기의 내부를 선사용 수지인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약자로 PEI)(흑색)로 오염시키고, 상기-언급한 세정조성물 500g을 사용한다. 결과에 따르면, 이 세정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조건의 높은 온도 때문에 용융 점탄성을 유지할 수 없어, 점도가 저하되고 성형기기의 내부를 세정할 수 없게 된다.
실시예1 내지 6 및 비교실시예1 내지 4에서 사용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사용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

Claims (3)

  1. 용융지수가 0.01 내지 0.5인 폴레올레핀 수지 50 내지 95중량%, 에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 0.1 내지 15중량%, 유기설폰산의 중성염 2 내지 30중량% 및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칼륨, 탄산 아연 또는 이들중 둘 이상의 혼합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기기용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레올레핀 수지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러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인 세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설폰산의 중성염이 탄소수 10 내지 18의 알킬 그룹을 지니는 알킬벤젠설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인 세정 조성물.
KR1019920001376A 1991-01-31 1992-01-30 세정 조성물 KR10020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9010A JPH04246443A (ja) 1991-01-31 1991-01-31 洗浄用組成物
JP91-029010 199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67A KR920014867A (ko) 1992-08-25
KR100201746B1 true KR100201746B1 (ko) 1999-06-15

Family

ID=1226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376A KR100201746B1 (ko) 1991-01-31 1992-01-30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38608A (ko)
JP (1) JPH04246443A (ko)
KR (1) KR100201746B1 (ko)
DE (1) DE420261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4780U1 (ko) * 1991-11-27 1992-02-13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ilmington, Del., Us
US5443768A (en) * 1993-12-21 1995-08-22 The Ferro Corporation Abrasive and purge compositions
EP0709424A1 (en) * 1994-10-31 1996-05-01 Ferro Corporation Color concentrates
US5772790A (en) * 1996-06-26 1998-06-30 Reichhold Chem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moving HMPUR residues
US6277809B1 (en) * 1998-03-24 2001-08-21 Kenjiro Obama Resin granule for wash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washing resin molder using the same
DE19829785A1 (de) 1998-07-03 2000-01-05 Henkel Kgaa Verwendung
US20030221707A1 (en) * 2002-05-28 2003-12-04 Eastman Kodak Company Layered inorganic particles as extruder purge materials
DE10334293A1 (de) * 2003-07-25 2005-03-03 Lieberum, Evelyne Reinigungszusammensetzung für kunstoffverarbeitende Maschinen, Verfahren und Anwendung
DE102007015214B4 (de) * 2007-03-27 2016-08-04 Evelyne Lieberum Reinigungszusammensetzung für kunststoffverarbeitende Maschinen und Verwendung derselben
JP5530076B2 (ja) * 2008-03-05 2014-06-25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洗浄用樹脂組成物
PL2105277T3 (pl) 2008-03-25 2013-05-31 Granula Polymer Gmbh Środek czyszczący do urządzeń do wytwarzania tworzyw sztucznych lub przetwórstwa tworzyw sztucznych, jego zastosowanie, sposób wytwarzania jak i sposób czyszczenia
DE102008061171A1 (de) 2008-12-09 2010-06-10 Münch Chemie International GmbH Reinigungsmittel
US8080506B2 (en) * 2009-07-14 2011-12-20 MSI Technology LLC. Reactive purge compound for polymer purging
JP5667754B2 (ja) * 2009-08-26 2015-02-12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110094540A1 (en) * 2009-10-26 2011-04-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rch purging material
US8309223B2 (en) 2009-12-22 2012-11-13 David Herbert Roach Polyimide based purge media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EP2591903B1 (en) * 2010-07-08 2016-11-02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Purging agent and purging method using same
EP2704890A1 (de) 2011-05-06 2014-03-12 Münch Chemie International GmbH Reinigungsmittel
DE102011120744A1 (de) 2011-05-06 2012-11-08 Münch Chemie International GmbH Reinigungsmittel
JP5792647B2 (ja) * 2012-01-27 2015-10-14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成形加工機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ES2638388T3 (es) 2012-02-28 2017-10-2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os y composiciones para limpiar dispositivos de mezcla a fin de mejorar la producción de policarbonato
DE102013220893B4 (de) 2013-10-15 2024-01-04 Ika Innovative Kunststoffaufbereitung Gmbh & Co. Kg Thermoplastische Reinigungsmasse für die Thermoplastverarbeitung, Verfahren zum Entfern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Verwendung der Reinigungsmasse
CA3044099A1 (en) 2018-05-23 2019-11-23 2569924 Ontari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plastics processing equipment
JP6476336B1 (ja) * 2018-07-19 2019-02-27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洗浄用樹脂組成物
CN112322404A (zh) * 2020-10-19 2021-02-05 视悦光学有限公司 一种镜片清洗剂
JP7467785B1 (ja) * 2022-08-19 2024-04-15 旭化成株式会社 成形機洗浄用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998A (ja) * 1982-03-02 1983-09-0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洗浄用組成物
US4430468A (en) * 1982-07-21 1984-02-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rfactant-containing filled and plasticiz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based on ethylene interpolymers
JPS60139411A (ja) * 1983-12-27 1985-07-24 Wako Kasei Kogyo Kk 熱可塑性合成樹脂成形機のシリンダ用洗浄剤
DE3531140C1 (de) * 1985-08-30 1986-07-31 Traub GmbH Maschinenfabrik, 7313 Reichenbach Abdeckung fuer parallele Fuehrungen,insbesondere an Werkzeugmaschinen
JPH0788520B2 (ja) * 1986-09-08 1995-09-27 チッソ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24724B2 (ja) * 1986-02-20 1994-04-06 チッソ株式会社 溶融混練装置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40009003B1 (ko) * 1986-02-20 1994-09-28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세척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A1303272C (en) * 1986-04-24 1992-06-09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Aqueous dispers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4838948A (en) * 1987-07-27 1989-06-13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for cleaning polymer processing equipment
JP2501218B2 (ja) * 1987-12-24 1996-05-2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成形機用洗浄剤
US4976788A (en) * 1988-06-03 1990-12-11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cleaning melt-processing equipment with a thermoplastic polyolefin and a bifunctional siloxane
CA2016368A1 (en) * 1989-05-22 1990-11-23 Hiroshi Takasu A cleaning resin composition
JPH0768552B2 (ja) * 1989-12-12 1995-07-26 チッソ株式会社 洗浄用樹脂組成物
JPH03207734A (ja) * 1990-01-09 1991-09-11 Chisso Corp 洗浄用樹脂組成物
US5139694A (en) * 1991-05-08 1992-08-1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Cleaning composition for resin process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02618C2 (de) 1998-07-23
US5238608A (en) 1993-08-24
DE4202618A1 (de) 1992-08-06
JPH04246443A (ja) 1992-09-02
KR920014867A (ko) 199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746B1 (ko) 세정 조성물
EP0399445B1 (en) A cleaning resin composition
US20100175720A1 (en) Cleaning agent and process for cleaning resin-molding machine using the same
CA2031155C (en) Detergent resin composition
EP0346956B1 (en) A cleaning resin composition
JPH0624724B2 (ja) 溶融混練装置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199215B2 (ja) 樹脂洗浄剤組成物、および熱可塑性樹脂加工装置の洗浄方法
JP2774922B2 (ja) プラスチック加工機用洗浄組成物
JPH0655865B2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3167779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機用洗浄剤
JPH0812998A (ja) 洗浄剤組成物
JP7425881B2 (ja) 樹脂加工機械用洗浄剤
JPH0560768B2 (ko)
JPH09183133A (ja) 洗浄剤組成物
JP2000159928A (ja) 洗浄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106667A (ja) 洗浄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076167B2 (ja) 洗浄剤組成物及び熱可塑性樹脂加工装置の洗浄方法
JP2811380B2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H0598072A (ja) 洗浄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41658B2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H0859905A (ja) 洗浄用添加剤
JPH0321653A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H10120917A (ja) 洗浄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207734A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2000167852A (ja) 洗浄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