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634B1 -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634B1
KR100199634B1 KR1019960076633A KR19960076633A KR100199634B1 KR 100199634 B1 KR100199634 B1 KR 100199634B1 KR 1019960076633 A KR1019960076633 A KR 1019960076633A KR 19960076633 A KR19960076633 A KR 19960076633A KR 100199634 B1 KR100199634 B1 KR 10019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and brake
lever body
rotar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59A (ko
Inventor
박병철
이경로
Original Assignee
이충곤
삼립산업주식회사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곤, 삼립산업주식회사,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곤
Priority to KR101996007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634B1/ko
Priority to JP36862497A priority patent/JP3208664B2/ja
Priority to US09/001,014 priority patent/US6016718A/en
Priority to DE19758207A priority patent/DE19758207C2/de
Publication of KR1998005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60T7/105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the lock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push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48Interrelated lever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72Lever engaging rack
    • Y10T74/20684Lever carried paw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72Lever engaging rack
    • Y10T74/20696Finger lever release
    • Y10T74/20702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레버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로부터 회전폴을 분리구성하고, 이 회전폴이 레버몸체의 회전중심축에 힌지고정되어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작동체에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힌지고정하여서, 레버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폴이 래치의 윗쪽에 걸려진 상태에서 걸림제한레버의 작동으로 레버몸체만 아래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킨 후에도 레버몸체가 콘솔 박스의 윗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본 발명은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드로부터 회전폴을 분리하고, 이 회전폴이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레버몸체에 설치된 회전작동브라켓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레버를 잡아 당김에 따라 회전폴이 지지브라켓의 래치에 걸린 상태에서 별도로 레버를 아래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 2가지가 구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핸드 브레이크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차체에 길이방향으로 체결고정된 지지브라켓(100)과, 이 지지브라켓(100)에 힌지고정되어 회전가능한 레버몸체(20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앞쪽에는 래치(110)가 일정한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는 그 앞쪽에 설치된 푸쉬 로드(12)에 의하여 작동되는 로드(13)의 끝단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폴(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폴(21)은 상기 래치(110)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핸드 브레이크의 사용방법은, 상기 회전폴(21)이 래치(110)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몸체(200)를 위로 회전시켜서 이 레버몸체(200)에 설치된 케이블(300)이 당겨지게 하여서 제동력을 얻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치합된 핸드 브레이크는 상기 레버몸체(200)의 푸쉬 버튼(12)을 눌러 로드(13)가 회전폴(21)을 회전시켜서 래치(1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몸체(200)를 회전시켜 제동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핸드 브레이크는 로드와 회전폴이 하나로 연결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몸체를 회전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 레버몸체가 콘솔 박스의 윗쪽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운전석에서 조수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물건이나 탑승자가 쉽게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가 낮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버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로부터 회전폴을 분리구성하고, 이 회전폴이 레버몸체의 회전중심축에 힌지고정되어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작동체에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힌지고정하여서, 레버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폴이 래치의 윗쪽에 걸려진 상태에서 걸림제한레버의 작동으로 레버몸체만 아래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킨 후에도 레버몸체가 콘솔 박스의 윗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종래의 핸드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몸체의 접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작동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부11 : 슬라이드부
12 : 푸쉬 버튼13 : 로드
14 : 슬롯15 : 체결구멍
16 : 걸림부20 : 회전작동체
21 : 회전폴22 : 자리면
23 : 회전제한부24, 34 : 탄성스프링
25 : 설치자리면30 : 걸림제한레버
31 : 힌지구멍32 : 스프링설치구멍
33 : 절개면100 : 지지브라켓
110 : 래치200 : 레버몸체
210 : 설치구멍300 : 케이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부 구간에 걸쳐 래치(11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차체에 체결고정된 지지브라켓(100)과, 이 지지브라켓(100)에 힌지고정되어서 위아래로 회전가능한 레버몸체(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는 푸쉬 버튼(12)과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선택적으로 회전폴(21)을 강제로 회전시켜 주는 슬라이드부(11)를 포함하는 작동부(10)와, 상기 레버몸체(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점을 가지면서 그 내부에는 상기 래치(110)에 선택적으로 걸림/해제가능하도록 회전폴(21)이 힌지고정된 회전작동체(20)와, 일부 구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작동체와 일부 구간에 걸쳐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걸림제한레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동부(10)는 상기 레버몸체(200)의 앞쪽으로 일부가 돌출된 푸쉬 버튼(12)과, 이 푸쉬 버튼(12)과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드(13) 및 그 끝단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레버몸체(200)에 설치된 슬라이드부(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일측면에는 중심선을 따라 슬롯(14)과 체결구멍(15)이 각각 형성되고, 그 윗면에는 윗쪽으로 걸림부(16)가 돌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단면이 철자 형상의 얇은 판체로 되어 있으며, 그 앞쪽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자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폴(21)은 탄성스프링(24)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상기 래치(110)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작동체(20)에 힌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면에는 힌지구멍(31)과 수직으로 스프링설치구멍(32)이 관통성형되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작동체(20)의 자리면(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설치구멍(32)과 나란하게 절개면(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상기 래치(110)가 형성된 아랫쪽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제한부(23)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몸체(200)의 윗면에는 상기 걸림제한레버(30)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구멍(210)이 절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지지브라켓을, 200은 레버몸체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부재로 되어 있으면서 그 일부 구간에는 래치(110)가 형성된 지지브라켓(100)과, 이 지지브라켓(100)에 힌지고정되어서 회전가능한 레버몸체(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는 회전폴(21)을 강제로 회전가능하도록 푸쉬 버튼(12)과 연결설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11)를 포함하는 작동부(10)와, 상기 레버몸체(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점을 가지면서 그 내부에는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폴(21)이 슬라이드부(11)와 선택적으로 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작동체(20)와, 일부 구간이 상기 레버몸체(200)의 윗면보다 다소 윗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한 상태로 힌지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작동체(20)의 회전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제한레버(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작동부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부(10)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레버몸체(200)의 앞쪽으로 일부 구간이 돌출된 푸쉬 버튼(12)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일단이 푸쉬 버튼(12)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로드(13) 및 이 로드(13)의 다른 일단에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몸체(200)에 설치된 슬라이드부(11)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푸쉬 버튼(12)은 로드(13)의 일단에 억지로 끼워져서 연동가능하게 되고, 그 일부 구간은 상기 레버몸체(200)의 앞면보다 다소 앞쪽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제한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드(13)는 끝단 부위가 푸쉬 버튼(12)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일부 구간이 휘어져 있으며, 이렇게 휘어진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11)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1은 슬라이드부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드부(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슬롯(14)과 체결구멍(15)이 중심선상을 따라 나란하게 관통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1)의 윗면에는 전체 길이보다 다소 작은 길이를 갖는 걸림부(16)가 윗쪽으로 돌출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슬라이드부(11)는 슬롯(14)에 힌지핀이 끼워지도록 레버몸체(200)에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체결구멍(15)에는 로드(13)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부(11)가 설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걸림제한레버(30)가 자리면(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 슬라이드부(11)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폴(21)의 측면 상부를 강제로 밀어 회전가능한 동시에, 상기 걸림부(16)가 걸림제한레버(30)의 회전궤적과 일부 구간에 걸쳐 간섭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1)의 폭은 회전작동체(20)의 양측면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1)는 푸쉬 버튼(12)을 누름에 따라 이 회전작동체(2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상기 회전폴(2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20은 회전작동체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단면이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 상부에는 양측면이 일정한 두께만큼 안쪽으로 함몰된 자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리면(22)이 형성된 회전작동체(20)의 아랫쪽에는 그 양측면을 가로지르는 회전제한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제한부(23)는 상기 회전작동체(20)가 지지브라켓(100)을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회전함에 있어 최저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자리면(22)에는 후술하는 절개면(33)이 끼워지게 되며, 이때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상기 회전작동체(20)를 레버몸체(200)에 고정시켜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서 그 일측에는 래치(110)가 형성되어 차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체결고정되고, 이 래치(110)가 형성된 아랫쪽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제한부(2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0)은 회전작동체(20)가 회전하면서 형성하는 회전제한부(23)의 회전궤적 내에 그 회전중심점보다 다소 아랫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턱(120)에는 레버몸체(200)에 형성된 상기 회전제한부(23)가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작동체(20)가 더 이상 아랫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회전작동체(20)의 내부에는 자리면(22)과 회전제한부(23)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폴(21)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폴(21)은 항상 탄성스프링(24)의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래치(110)에 치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폴(21)은 항상 래치(110)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어느 한 지점에서 그 상부가 슬라이드부(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상에 있게 하여, 상기 푸쉬 로드(12)를 누름에 따라 슬라이드부(11)가 탄성지지를 받는 이 회전폴(21)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110)는 회전폴(21)의 걸림턱이 걸려진 상태에서 이 회전폴(21)을 아래로 누르는 경우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반대로 위로 올리는 경우에는 걸림과 해제가 반복하면서 회전작동체(2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회전작동체(20)는 레버몸체(200)의 안쪽에 같은 힌지고정점을 가지도록 힌지고정되며, 상기 걸림제한레버(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동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상기 회전제한부(23)와 대응되는 뒤쪽의 저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판체로 된 설치자리면(25)이 융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설치자리면(25)에는 브레이크 케이블(300)이나 브레이크 작동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30은 걸림제한레버를 나타낸다.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막대부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에는 힌지구멍(31)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다른 측면에 상기 힌지구멍(31)과 수직으로 스프링설치구멍(3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설치구멍(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끼워지게 된다.
특히, 상기 걸림제한레버(30)의 바닥면에는 자리면(22)이 형성된 회전작동체(20)의 상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절개면(33)이 전체 폭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절개면(33)에는 상기 자리면(22)이 끼워져서 회전작동체(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걸림제한레버(30)는 그 상부가 레버몸체(2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그 내부에 힌지구멍(31)을 통하여 힌지핀으로 힌지고정되며, 이때 이 힌지핀에는 상기 스프링설치구멍(32)에 놓여지는 탄성스프링(34)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몸체(200)의 윗면에는 내부와 연통가능하도록 설치구멍(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210)으로 끼워진 상기 걸림제한레버(30)가 그 아랫쪽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탄성지지를 받아 그 저부가 항상 자리면(22)의 안쪽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에서는 항상 절개면(33)이 자리면(22)에 끼워져서 회전작동체(20)를 레버몸체(200)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게 되며, 이 걸림제한레버(30)가 강제로 회전하여 자리면(22)으로부터 절개면(33)이 빠지게 되면 회전작동체(20)와 레버몸체(200)는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도면부호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핸드 브레이크는 항상 상기 작동부(10)의 푸쉬 버튼(12)이 탄성지지를 받아 레버몸체(200)의 앞쪽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슬라드부(11)가 회전폴(21)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이 회전폴(21)의 걸림턱이 래치(110)에 걸려진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그 절개면(33)이 자리면(22)에 끼워져서 회전작동체(20)가 레버몸체(200)와 일체로 연동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차량이 주행중일 경우 회전폴(21)이 래치(110)의 가장 아랫쪽에 걸려진 상태로 있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1)는 그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 회전폴(21)의 상부가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핸드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레버몸체(200)의 앞쪽인 손잡이를 잡아 위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폴(21)은 래치(110)와 치합된 상태에서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면서 그 걸림턱이 래치(110)를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되며, 이때 상기 회전작동체(20)는 걸림제한레버(30)외 회전제한부(23)를 매개로 걸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레버몸체(200)와 연동하여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제동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걸림제한레버(30)를 탄성지지를 받는 반대방향으로 밀어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제한레버(30)의 절개면(33)이 자리면(22)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회전작동체(20)와 레버몸체(200)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이와 같은 상태는 첨부도면 3b에 잘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작동체(20)는 회전폴(21)이 래치(110)에 걸려 제동력이 발생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레버몸체(20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어 아랫쪽으로 내려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브레이크의 작동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3c를 참조하여 제동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브라켓(100)을 중심으로 아랫쪽으로 내려간 레버몸체(200)를 잡아 위로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탄성지지를 받아 원래의 위치에서 연동하면서 회전작동체(20)의 자리면(22)에 끼워져서 이 회전작동체(20)와 연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폴(21)은 그 상부가 슬라이드부(11)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몸체(200)는 회전작동체(20)와 같이 연동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푸쉬 버튼(12)을 눌러 슬라이드부(11)가 길이방향을 따라 레버몸체(200)의 뒤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11)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끝단이 회전폴(21)을 밀어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며, 동시에 상기 회전폴(21)은 그 걸림턱이 래치(110)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작동체(20)는 지지브라켓(100)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버몸체(200)는 회전작동체(20)와 연동가능한 상태에서 이 회전작동체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상기 회전작동체(20)와 레버몸체(20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길이방향으로 래치가 형성된 지지브라켓을 체결고정하고, 이 지지브라켓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래치와 치합가능하도록 회전포이 구비된 회전작동체를 갖는 레버몸체를 설치하여, 이 회전폴이 푸쉬 버튼과 연동가능한 슬라이드부에 의하여 잠금/해제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작동체가 걸림제한레버에 의하여 레버몸체와 별개로 또는 같이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후 레버몸체를 아래로 내릴 수 있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일부 구간에 걸쳐 래치(11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차체에 체결고정된 지지브라켓(100)과, 이 지지브라켓(100)에 힌지고정되어서 위아래로 회전가능한 레버몸체(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는 푸쉬 버튼(12)과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선택적으로 회전폴(21)을 강제로 회전시켜 주는 슬라이드부(11)를 포함하는 작동부(10)와, 상기 레버몸체(200)와 동일한 회전중심점을 가지면서 그 내부에는 상기 래치(110)에 선택적으로 걸림/해제가능하도록 회전폴(21)이 힌지고정된 회전작동체(20)와, 일부 구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레버몸체(200)의 내부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작동체와 일부 구간에 걸쳐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걸림제한레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0)는 상기 레버몸체(200)의 앞쪽으로 일부가 돌출된 푸쉬 버튼(12)과, 이 푸쉬 버튼(12)과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드(13) 및 그 끝단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레버몸체(200)에 설치된 슬라이드부(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일측면에는 중심선을 따라 슬롯(14)과 체결구멍(15)이 각각 형성되고, 그 윗면에는 윗쪽으로 걸림부(16)가 돌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체(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단면이 철자 형상의 얇은 판체로 되어 있으며, 그 앞쪽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자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폴(21)은 탄성스프링(24)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상기 래치(110)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작동체(20)의 내부에 힌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제한레버(3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면에는 힌지구멍(31)과 수직으로 스프링설치구멍(32)이 관통성형되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작동체(20)의 자리면(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설치구멍(32)과 나란하게 절개면(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상기 래치(110)가 형성된 아랫쪽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제한부(23)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몸체(200)의 윗면에는 상기 걸림제한레버(30)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구멍(210)이 절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KR1019960076633A 1996-12-30 1996-12-30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KR10019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33A KR100199634B1 (ko) 1996-12-30 1996-12-30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JP36862497A JP3208664B2 (ja) 1996-12-30 1997-12-29 作動レバーを折られるハンドブレーキ
US09/001,014 US6016718A (en) 1996-12-30 1997-12-30 Hand brake with the foldable operating lever
DE19758207A DE19758207C2 (de) 1996-12-30 1997-12-30 Handbremse mit einem schwenkbaren Bremsheb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33A KR100199634B1 (ko) 1996-12-30 1996-12-30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59A KR19980057359A (ko) 1998-09-25
KR100199634B1 true KR100199634B1 (ko) 1999-06-15

Family

ID=1949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633A KR100199634B1 (ko) 1996-12-30 1996-12-30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16718A (ko)
JP (1) JP3208664B2 (ko)
KR (1) KR100199634B1 (ko)
DE (1) DE1975820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0511B1 (es) * 1999-09-06 2002-06-01 Batz S Coop Tensor de cable.
DE10141426C1 (de) * 2001-08-23 2003-04-17 Daimler Chrysler Ag Handbrem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50139A1 (de) * 2002-10-28 2004-05-06 Still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e
DE10324040A1 (de) * 2003-05-27 2005-01-05 Adam Opel Ag Handbremshebel
DE102004049270A1 (de) * 2004-10-09 2006-04-13 Daimlerchrysler Ag Mechanismus einer Feststellbremse sowie fußbetätigbare Feststell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13116A1 (de) 2009-03-13 2010-09-16 Still Gmbh Bremsbetätigungsein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Bremse einer fahrbaren Arbeitsmaschine
DE102009022461B4 (de) 2009-05-22 2012-12-06 Dietz-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DE102009022460B4 (de) * 2009-05-23 2012-12-06 Dietz-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DE102009022656B4 (de) * 2009-05-26 2012-12-13 Dietz-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DE202009008792U1 (de) * 2009-06-26 2009-08-27 Dietz-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DE102013110493A1 (de) 2013-09-23 2015-03-26 Still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e
DE102017122975A1 (de) * 2017-10-04 2019-04-04 Aguti Produktentwicklung & Design Gmbh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tätigungshebels einer Handbremse eines Automob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5911A1 (de) * 1968-07-09 1971-10-28 Porsche Kg Klappbarer Bedienungshebel fuer Fahrzeuge,insbesondere Handbremshebel fuer Kraftfahrzeuge
GB9011136D0 (en) * 1990-05-15 1990-07-04 Metallifacture Ltd Vehicle hand-brake assembly
EP0476208B1 (fr) * 1990-06-19 1995-01-18 ETABLISSEMENTS LANGLOIS et PETER Société Anonyme Levier de commande rabattable pour frein à main de véhicule
JP2886307B2 (ja) * 1990-09-19 1999-04-26 大塚工機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3053640B2 (ja) * 1990-09-19 2000-06-19 大塚工機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AU637146B2 (en) * 1990-10-10 1993-05-20 Jonan Seisakusho Co. Ltd. Parking-brake operating device
FR2684945B1 (fr) * 1991-12-12 1996-08-30 Peugeot Dispositif de commande a main d'un frein de stationnement d'un vehicule.
JP3241811B2 (ja) * 1992-08-11 2001-12-25 大塚工機株式会社 収納式レバ−型パ−キングブレ−キ
JP3267358B2 (ja) * 1992-12-07 2002-03-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収納式レバ−型パ−キングブレ−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59A (ko) 1998-09-25
US6016718A (en) 2000-01-25
DE19758207C2 (de) 2001-01-11
JPH1111270A (ja) 1999-01-19
DE19758207A1 (de) 1998-07-02
JP3208664B2 (ja)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634B1 (ko) 작동레버를 접을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JP3876226B2 (ja) 容器保持組立体
EP1393968B1 (en) Vehicle seat
JP3501431B2 (ja) ロングスライドレール
JP4790727B2 (ja) 調整可能シート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JP2001246976A (ja) 乗物用テーブル
JP3742834B2 (ja) 操作レバー
EP1205368B1 (en) Parking brake control lever
JP4131107B2 (ja) 車室内設定ユニット
KR19980037453A (ko) 자동차용 뒷좌석의 발판구조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KR20010048503A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10045791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콘솔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KR100483279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034974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리어 시트 구조
JP3478982B2 (ja) リアシートバックのトランクスルーロック解除機構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JPS6313066Y2 (ko)
KR100501036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KR100363497B1 (ko)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100199631B1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