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497B1 -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 Google Patents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497B1
KR100363497B1 KR1020000008257A KR20000008257A KR100363497B1 KR 100363497 B1 KR100363497 B1 KR 100363497B1 KR 1020000008257 A KR1020000008257 A KR 1020000008257A KR 20000008257 A KR20000008257 A KR 20000008257A KR 100363497 B1 KR100363497 B1 KR 10036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ture body
fixture
cup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129A (ko
Inventor
이치오카히로아키
야마다사토시
이토기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261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356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0005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컵 고정구는 차량의 측상에 고정된 하우징(1), 하우징내에서 앞뒤로 움직이도록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11) 및, 컵을 고정하도록 두개의 고정용 구멍(22)이 제공되고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11)에 의해서 좌우로 움직이도록 지지된 고정구 본체(21)를 구비한다. 고정구 본체(21)는 후방 부분을 가지는데, 그 후방 부분의 폭이 고정구 본체(21)의 전방 부분의 폭보다 작도록 후방 부분의 측 부분은 경사지게 절단된다. 컵 고정구는 스프링(31)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1)의 일 측방향으로 고정구 본체(21)를 강제하도록 슬라이드 부재(11)와 고정구 본체(21)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31)을 더 구비한다. 스프링(31)이 제공되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21)의 취급은 약간의 저항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조작의 느낌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Cup holder installed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계기반 중심 클러스터(cluster)에 배치된 수축 가능한 컵 고정구의 향상점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보 제 6-211079 호는 컵 고정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컵 고정구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중심 클러스터의 측상에 고정된 하우징,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내에 운반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 본체를 구비한다. 고정구 본체는 음료용 컵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억류용 구멍을 가진다.
하우징의 저면 벽에는 고정구 본체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 홈이 제공된다. 안내 홈은 하우징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안내 홈은 고정구 본체를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끄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홈 부분을 구비한다. 반면에, 고정구 본체에는 그것의 후방측에 맞물림 돌출부가 제공되어서, 상기 맞물림 돌출부가 안내 홈 안에서 미끌어진다. 이러한 고정구 본체는 운동 방향에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구성된다. 고정구 본체의 후방 부분은 경사지게 절단되도록 형성된 일측 부분을 가진다. 경사진 측부의 제공에 기인하여, 후방 부분의 폭은 고정구 본체의 전방 부분의 폭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 본체가 종래의 컵 고정구에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지면, 슬라이드 부재는 홀더 본체와 연관되어 전방으로도 움직인다. 이러한 움직임 동안에, 고정구 본체의 맞물림 돌출부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하우징의 안내 홈내에서 미끌어진다. 안내 홈 중간의 상기 경사진 부분에 기인하여, 고정구 본체는 끌어당겨져서 경사진 부분의 경사 각도에 대응되게 하우징에 대해 측면으로 미끌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미끄럼 부재는 단순히 전방으로 움직인다. 이후에, 단지 컵을 억류 구멍안에 배치하기만 하면, 사용자는 고정 본체를 컵 고정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미끄럼 운동과 결합되어 하우징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졌던 고정구 본체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어넣는 경우에, 미끄럼 부재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직선으로 강제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의 맞물림 돌출부는 경사진 부분을 통해서 안내 홈의 후방측을 향해 미끄러지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는 반대의 궤적 순서를 따라가는 동안에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비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종래의 컵 고정구에 따르면, 고정구 본체는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졌을때 옆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구 본체가 직선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와는 달리, 중심 클러스터에 설치된 기구, 예를 들면 오디오 기구 또는 기어 변속 레버의 조작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진 홀더의 존재에 의해서 간섭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컵 고정구에서는 고정구 본체를 끌어당기면 맞물림 돌출부가 경사진 안내 홈 부분안에 강제적으로 미끌어져 들어가야만 한다. 결국, 하우징으로부터 고정구 본체를 추출하거나 또는 본체를 하우징 안으로 삽입할때, 사용자는 강제적인 미끄럼에 기인한 저항을 받게되어, 기구 조작의의 느낌이 불편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구 본체를 조작할때 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조작의 느낌이 저하되지 아니하는 컵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컵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컵 고정구가 그것의 외측으로부터 분해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컵 고정구를 그 외측으로부터 분해하여, 시일드 와이어(shield wire)가 컵 고정구의 터미널 본체에 연결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컵 홀더의 단면도이며,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의 컵 고정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의 컵 고정구의 평면도이며,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 의 컵 고정구에 대한 평면도이며,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 의 컵 고정구의 배면도이며,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컵 고정구의 정지 메카니즘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하우징 2. 개구부
3. 제 1 안내 홈 4. 제 2 안내 홈
5. 록킹 구멍 6. 록킹 벽
11. 슬라이드 부재 21. 고정구 본체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 하우징; 하우징내에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 적어도 하나의 컵 고정용 고정 구멍이 제공되고,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며, 후방 부분의 폭이 고정구 본체의 전방 부분의 폭보다 작도록 그것의 일 측부가 경사지게 절단된 후방 부분을 가지는 고정구 본체; 및, 그것의 강제력에 의해서 고정구 본체를 슬라이드 부재의 일 측 방향으로 강제하도록 슬라이드 부재와 고정구 본체 사이에 배치된 탄성의 강제 요소;를 구비하며, 고정구 본체가 슬라이드 부재를 통해서 하우징으로 측방향으로 미끌어지는 동안에 하우징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언급된 발명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는 탄성의 강제 요소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의 일 측 방향으로 강제되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를 취급하는데 있어서 더이상 큰 저항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다라서, 조작의 느낌을 저하시킬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컵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지면 탄성 강제 요소의 강제력에 반대인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측 방향으로 고정구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메카니즘을 더 구비한다.
정지 메카니즘의 제공에 기인하여, 예상하지 못했던 외력이 고정구 본체에 가해질지라도 안정적인 사용 가능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정지 메카니즘은 고정구 본체의 후방 부분상에 있는 클로우(claw) 돌출부와 클로우에 맞물리도록 하우징상에 형성된 정지 아암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졌을때, 고정구 본체의 후방 부분상에 있는 클로우 돌출부는 하우징상에 형성된 정지 아암과 맞물려서, 상기의 안정적인 사용 가능 상태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고정구 본체는 클로우에 근접하게 형성된 돌출편을 가지며, 반면에 하우징에는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편과 맞물릴 수 있는 다른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편이 하우징의 돌출편과 맞물리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내에서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르면, 고정구 본체는 수용부의 일 단부로 컵의 저부를 수용하도록 그에 추축 연결된 수용부를 가지며 정지 메커니즘은 수용부의 다른 단부상에 형성된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에 맞물리도록 하우징내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히 끌어당겨질때, 수용부의 연장편은 하우징의 맞물림 구멍안에 맞물려서, 상기의 안정적인 사용 가능 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강제 요소는 고정구 본체에 걸려있는 일 단부 및, 슬라이드 부재에 걸려있는 타 단부를 가진 인장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컵 고정구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보다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예의 컵 고정구는 자동차 계기반의 중심 클러스터의 측에 고정된 하우징(1),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내에 유지되는 슬라이드 부재(11) 및, 슬라이드 부재(11)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 부재(11)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 본체(21)를 구비한다. 고정구 본체(21)에는 억류 구멍(22)이 제공되며, 상기 억류 구멍은 컵 고정구로 음료용 컵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은 박스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상기 박스는 전방벽, 마주하는 측벽, 상부벽, 배면벽 및, 저면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벽에 있어서, 상부벽과 배면벽은 연속하여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전방벽에는 개구부(2)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고정구 본체(21)는 안과 밖으로 끌어당겨진다. 저부벽의 양측상에, 작은 폭을 가지는 한쌍의 제 1 안내 홈(3)이 배면벽으로부터 개구부(2)의 모서리로 연장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큰 폭을 가지는 제 2 안내 홈(4)은 하우징(1)의 저부 벽의 중간 부분상에 형성된다. 제 2 안내 홈(4)은 하우징(1)의 개구부(2)까지 연장되지 아니하고 중간에서 정지된다. 대신에, 록킹 구멍(5)이 개구부(2)의 측상에서 제 2 안내 홈(4)의 전방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홈(4)의 후방 단부에 근접한 곳에서, 록킹 벽(6)이 홈(4)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하우징(1)은 상부 벽에 형성된 개구부 가장자리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형성된 맞닿는 부분(7)을 가지며, 상기 부분(7)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로서 고정구 본체(21)의 기능 클로우(26)와 맞닿기 위한 것이다. 맞닿는 부분(7)의 곁에는 단일의 정지 아암(8)이 제공되어 기능 클로우(26)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의 배면 벽의 일측상에는 제한 돌출부(9)가 형성되어 기능 클로우(26)의 하면상에 형성된 돌출편과 맞물린다.
슬라이드 부재(11)는 하우징(1)내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길이가 긴 박스의 형태이다. 슬라이드 부재(11)에는 그것의 전방 벽상에 입구(12)가 제공되는데, 상기 입구(12)내로 이후에 설명될 고정구 본체(21)의 좁은 후방 부분이 삽입되도록 한다. 고정구 본체(21)의 배면 벽내에는 다른 입구(13)가 형성되어 기능클로우(26)의 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부재(11)는, 상부 벽에 형성되어 고정구 본체(21)의 안내 핀(25)을 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길이가 긴 안내 구멍(14)과, 저부 벽 하면의 양측상에 형성되어 제 1 안내홈(3)내에서 각각 움직이는 한쌍의 돌출 림(15)과, 저부 벽의 하면의 중심에 형성되어 제 2 안내 홈(4)내에서 각각 움직이는 탄성편(16)과, 길이가 긴 안내 구멍(14)에 근접하게 측벽내에 형성되어 이후에 언급될 인장 코일 스프링의 일 단부에 걸리는 갈고리 부분(17)을 가진다.
고정구 본체(21)에서, 억류 구멍을 가지지 않는 후방 부분은 부분적으로 경사지도록 일측상에서 절단된다. 경사면(23)이 제공되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21)의 후방 부분은 전방 부분의 폭에 비하여 좁은 폭을 가진다. 길이가 긴 안내 구멍(14)과 자유로이 맞물리는 상기의 안내 핀(25)은 경사면(23)에 근접한 곳에서 후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연장 벽(24)상에 형성된다. 안내 핀(25)의 대향측상에서, 삼각 형상의 기능 클로우(26)에는 하면상에 돌출편(27)이 제공된다. 고정구 본체(21)의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일 측벽상에는 기능 클로우(26)와 근접하게 갈고리 부분(28)이 형성되어 인장 스프링(31)의 다른 단부에 걸린다. 참조 번호 29 는 수용부를 표시하며, 이것은 컵의 각 저부를 수용하도록 고정구 본체(21)의 하면에 추축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강제 요소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31)이 슬라이드 부재(11)의 갈고리 부분(17)과 고정구 본체(21)의 연장 벽(24)상의 갈고리 부분(28)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21)는 인장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1)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강제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컵 고정구를 완성하기 위하여, 고정구 본체(21)의 후방 연장 벽(24)상의 안내 핀(25)은 우선 약간의 유동(遊動)과 함께 길이가 긴 안내 구멍(14)내에 설치되며, 반면에 인장 스프링(31)의 양 단부는 갈고리 부분(17,28)에 각각 걸리게 된다. 결국, 고정구 본체(21)는 슬라이드 부재(11)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합화된다. 이후에, 고정구 본체(21)를 운반하는 슬라이드 부재(11)는 개구부(2)를 통해서 하우징(1) 내로 밀려들어가며, 반면에 슬라이드 부재(11)의 돌출 림(15)은 하우징(1)의 제 1 안내 홈(3)내에 설치된다. 결국, 고정구 본체(21)와 함께, 슬라이드 부재(11)는 하우징(1)내에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운반된다. 슬라이드 부재(11)의 배치와 함께, 하우징(1)을 계기반의 중심 클러스터내에만 고정시킨다면, 컵 고정구 자체는 도면에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이하게 중심 클러스터내에 자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21)가 하우징(1)의 내측으로부터 끌어당겨졌을때, 슬라이드 부재(11)는 고정구 본체(21)와 협동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후에, 고정구 본체(21)를 더 끌어당기면 고정구 본체(21)의 후방 부분의 경사면(23)이 개구부(2)의 모서리와 접촉하게 되므로, 고정구 본체(21)는 밖으로 끌어당겨지는 반면에 슬리이드 부재(11)의 측방으로 미끌어져서, 도 3 에 도시된 사용 가능 상태에 도달한다.
다욱이, 고정구 본체(21)를 완전하게 밖으로 끌어당기면 저부 수용부(29)는 그것의 자체 중량에 기인하여 그 위에 컵을 장착하는 것을 예비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에, 도시되지 아니한 컵을 억류 구멍(22)내에 유지하는 경우에만, 도시되지 아니한 컵이 구멍(22)내에 고정되는 안정 상태의 실현이 가능하다. 고정구 본체(21)의 밖으로 끌어당기는 것에 관해서는, 우선 슬라이드 부재(11)와 함께 하우징(1)의 밖으로 고정구 본체(21)를 직선으로 끌어당기고, 다음에 인장 스프링(31)의 스프링 압력에 기인하여 자동적으로 하우징(1)의 측방향으로 고정구 본체(21)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구 본체(21)가 완전히 밖으로 끌어당겨진 상태하에서, 고정구 본체(21)의 기능 클로우(26)가 하우징의 측상에서 맞닿는 부분(7)과 접촉하자마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아암(8)은 클로우(26)의 측면과 맞물린다. 따라서, 외력이 고정구 본체(21)에 가해질지라도, 본체(21)가 인장 스프링(31)의 스프링 힘에 반대로 다른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항상 컵 고정구의 안정된 사용 가능 상태가 보장된다. 통상적인 경우와 유사하게, 고정구 본체(21)는 하우징(1)의 일 측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끌어당겨진 고정구 본체(21)는 중심 클러스터에 설치된 기구(예를 들면 오디오 장치) 또는 변속 기어를 승객이 조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역으로, 끌어당겨져서 측방향으로 미끌어져 있던 고정구 본체(21)를 하우징(1)내로 밀어넣을때는, 슬라이드 부재(11)가 하우징(1)의 안으로 선형으로 동시에 강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구 본체(21)의 후방 부분의 경사면(23)이 개구부(2)의 가장자리와 접촉할때, 고정구 본체(21)는 인장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 힘에 반하여 슬라이드 부재(11)의 다른 측으로 강제되어 미끄러진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 부재(11)의 탄성편(16)은 제 2 안내 홈(4)의 록킹 벽(6)과 맞물려 있으므로, 슬라이드 부재(11)와 고정구 본체(21)는 하우징(1)내에 수용되며, 그에 의해서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가능 상태를 달성한다.
다음에, 저부 수용부(29)가 고정구 본체(21)의 배면 측 안에 수축되어 하우징(1)내에 수용된다는 것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동시에,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클로우(26)의 돌출편(27)은 제한 돌출부(9)의 측과 맞물리며, 따라서 하우징(1)내에 수용된 고정구 본체(21)가 경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의 설명이 개시된 컵 고정구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정지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기능 클로우(26)와 정지 아암(8)은 도 8 의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장편(29a)이 저부 수용부(29)의 단부에 형성되는 반면에, 맞물림 구멍(30)이 고정구 본체(21)의 후방측 상부 벽, 슬라이드 부재(11)의 전방측 상부 벽 및, 하우징(1)의 전방측 상부 벽을 통해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작동에 있어서, 저부 수용부(29)의 연장편(29a)은 맞물림 구멍(30)내에 맞물리는 반면에, 고정구 본체(21)는 하우징(1)의 외측으로 완전한게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고정구 본체(21)는 사용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 고정구는 사용자의 조작 감각이 향상되고, 조작에 있어서 차량의 다른 기구와 간섭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 하우징;
    하우징내에서 전후로 운동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
    컵을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구멍이 제공되고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서 좌우로 움직이도록 지지되며, 후방 부분의 폭이 전방 부분의 폭보다 작도록 일 측부가 경사지게 절단된 후방 부분을 가지는 고정구 본체; 및,
    탄성 강제 요소의 강제력에 의해서 고정구 본체를 슬라이드 부재의 일 측방향으로 강제하도록 슬라이드 부재와 고정구 본체 사이에 배치된 탄성 강제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 본체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끌어당겨지는 반면에, 슬라이드 부재를 통해서 측방향으로 하우징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완전히 끌어당겨진 상태에서 탄성 강제 요소의 강제력에 반하여 고정구 본체가 슬라이드 부재의 다른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메카니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메카니즘은 고정구 본체의 후방 부분상의 클로우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하우징상에 형성된 정지 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는 클로우에 근접하게 형성된 돌출편을 가지며, 반면에 하우징에는 고정구 본체가 하우징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편과 맞물릴 수 있는 다른 돌출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5.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구 본체는 수용부의 일 단부에 의해서 컵의 저면을 수용하도록 그에 추축 연결된 수용부를 가지며, 정지 메카니즘은 수용부의 다른 단부상에 형성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에 맞물리도록 하우징내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강제 요소는 고정구 본체에 걸린 일 단부와 슬라이드 부재에 걸린 타 단부를 가지는 인장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고정구.
KR1020000008257A 1999-02-22 2000-02-21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KR100363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261199A JP3533564B2 (ja) 1999-02-22 1999-02-22 カップホルダー
JP11-042611 199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29A KR20000058129A (ko) 2000-09-25
KR100363497B1 true KR100363497B1 (ko) 2002-11-30

Family

ID=1264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257A KR100363497B1 (ko) 1999-02-22 2000-02-21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63497B1 (ko)
DE (1) DE60020897T2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29A (ko) 2000-09-25
DE60020897T2 (de) 2006-09-28
DE60020897D1 (de)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20020029437A1 (en) Handl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US6253975B1 (en) Cup holder installed in vehicle
US4642857A (en) Belt buckle assembly
US6923517B2 (en) Drawer device
US6159019A (en)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for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6899364B2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US6376786B1 (en) Switch device with broader operable range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KR100363497B1 (ko) 차량에 설치된 컵 고정구
JP4634816B2 (ja) コネクタ及び車両
US4984269A (en) Telephone bracket, in particular for vehicles
JPH07315069A (ja) シフトレバー用ハウジングの組付け構造
US20060065802A1 (en) Cup holder
KR100494621B1 (ko)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JP3971596B2 (ja) 車両用内装装置
KR1005247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 장치
JP2003165356A (ja) 車載用カードホルダ装置
JP4059866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JPH10329610A (ja) トノカバー装置の取付装置
KR101629132B1 (ko)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