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036B1 -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036B1
KR100501036B1 KR10-2002-0052761A KR20020052761A KR100501036B1 KR 100501036 B1 KR100501036 B1 KR 100501036B1 KR 20020052761 A KR20020052761 A KR 20020052761A KR 100501036 B1 KR100501036 B1 KR 10050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wer rail
locking lever
rail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300A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0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11)의 하부에 차체플로어(1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중앙이 개방되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레일(22)과, 상기 하부레일(22)상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1)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일측 단부는 하부레일(22)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시트쿠션프레임(13)에 고정된 상부레일(21)과, 상기 하부레일(22)을 차체플로어(1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된 마운팅브라케트(30)와, 상기 하부레일(22)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하부레일(2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상부레일(2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부재(42)와, 상기 하부레일(2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쿠션프레임(13)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판(50)과, 상기 가이드판(5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락킹레버(41)와, 상기 락킹레버(41)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회전축(40)의 저면에 체결된 와이어(4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레일(2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41)를 시트쿠션(11)의 하부 중앙에 위치시키므로써, 시트(1)의 움직임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트쿠션(11)으로부터 락킹레버(41)가 필요이상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시트(1) 전체의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시트쿠션(11)에 착좌했던 승원의 승, 하차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슬라이드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를 시트의 하부 중앙에 위치시켜 시트의 움직임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쿠션 및 시트쿠션의 후면에 자유롭게 회전되고 조정되도록 세워진 시트백(seat back)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시트의 하부에는 차량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진 시트 슬라이드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시트 슬라이드장치는 시트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를 전, 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시트쿠션(11')의 하부에는 차체플로어(1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중앙이 개방되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레일(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22')의 상부에는 차체플로어(14')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1')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일측 단부는 하부레일(22')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시트쿠션프레임(13')에 고정된 상부레일(22')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레일(22')과 상부레일(21')로 구성된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은 저면에 부착된 마운팅브라케트(30')에 의해 차체플로어(14')에 고정되게 되며, 그 움직임은 상기 하부레일(22')의 일측부에 위치되며, 전방에 구비된 락킹레버(41')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하부레일(2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상부레일(2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부재(42')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이때, 마운팅브라케트(30')에 의해 차체플로어(14')에 고정되는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은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15')를 통하여 시트쿠션프레임(13')의 저면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쿠션(11') 및 시트백(12')에 착좌한 승원이 락킹레버(4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락킹레버(41')를 당기게 되면, 이 락킹레버(41')에 의해 회전축(4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락킹부재(42')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레일(22')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상기 락킹부재(42')에 의해 제어되어 있던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의 락킹상태가 해제되게 되어 승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1')를 전, 후로 슬라이드 시켜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는 락킹레버의 조작을 통하여 시트 슬라이드레일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시트쿠션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를 전, 후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시트 슬라이드레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시트쿠션보다 락킹레버의 위치가 전방으로 돌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트 슬라이드레일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락킹레버를 상부로 당겨야 하는 데, 이러한 조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트쿠션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락킹레버가 시트쿠션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킹레버의 의해 시트전체의 외관미가 저하되게 될 수 있으며, 승원의 승, 하차시에 돌출된 락킹레버에 승원의 발이 걸리게 될 경우에는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입을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슬라이드레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를 시트의 하부 중앙에 위치시켜 시트의 움직임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쿠션으로부터 락킹레버가 필요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 전체의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승원의 승, 하차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하부에 차체플로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중앙이 개방되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상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일측 단부는 하부레일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된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차체플로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된 마운팅브라케트와;
상기 하부레일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하부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상부레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부재와;
상기 하부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쿠션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락킹레버와;
상기 락킹레버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회전축의 저면에 체결된 와이어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레버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이 락킹레버와 연결된 와이어가 락킹레버의 회동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힌지축을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힌지축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락킹부재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어 있던 상부레일의 락킹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를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춰 전, 후로 슬라이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의 구성을 일부 확대도로 도시한 것으로, 시트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락킹레버가 시트 슬라이드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쿠션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락킹레버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도로 도시한 것으로, 가이드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레버 및 이 락킹레버의 회동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측부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판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시트 슬라이드장치(2)는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41)를 시트쿠션프레임(13)의 중앙 하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시트(1)를 전, 후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시트 슬라이드레일(20)과, 상기 슬라이드레일(20)을 차체플로어(14)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브라케트(30)와, 상기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회전축(40) 및 락킹부재(42)와, 상기 회전축(40)을 회전시키기 위한 락킹레버(41) 및 와이어(43)와 이 락킹레버(41)를 시트쿠션프레임(13)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은 시트쿠션(11)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1)를 전, 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트쿠션(11)의 하부에 차체플로어(1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중앙이 개방되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레일(22)과, 상기 하부레일(22)상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1)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일측 단부는 하부레일(22)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시트쿠션프레임(13)에 고정된 상부레일(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은 그 저면에 체결된 마운팅브라케트(30)를 통하여 차체플로어(14)에 고정되며, 상부는 볼트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15)를 통하여 시트쿠션프레임(13)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을 시트(1)에 착좌한 승원은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춰 시트(1)를 전, 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의 일측부에는 이러한 하부레일(22)에 체결된 상부레일(21)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축(40) 및 상기 회전축(4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하부레일(22)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락킹부재(42)가 설치된다.
즉,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은 이러한 구성의 회전축(40)과 락킹부재(42)를 통하여 그 움직임이 제어되게 되는 데, 하부레일(22)의 일측부에 후크구멍(21a)을 형성한 후 락킹부재(42)의 타측 단부를 상기 후크구멍(21a)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상부레일(21)의 움직임이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0)에는 이러한 락킹부재(4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락킹레버(41)가 연결 설치되는 데, 상기 락킹레버(41)는 시트 슬라이드레일(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쿠션프레임(13)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판(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락킹레버(41)와 회전축(40)의 연결은 와이어(43)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레버(41)의 회동에는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락킹레버(41)의 일측부에 힌지축(51)을 돌출되게 형성한 후 가이드판(50)과 시트쿠션프레임(13)에 순차적으로 체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락킹레버(41)와 가이드판(50)은 시트쿠션프레임(13)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50)과 락킹레버(41)에는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락킹레버(41)의 회동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52) 및 스토퍼(41a)가 각각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쿠션(11)에 착좌한 승원이 락킹레버(41)를 파지한 후 도 3 내지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와이어(43)를 통하여 상기 락킹레버(41)와 연결되어 있던 회전축(40)이 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하부레일(22)에 체결되어 있던 락킹부재(42)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레일(22)에 형성된 후크구멍(21a)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시트 슬라이드레일(20)이 전, 후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락킹레버(41)는 회동상태를 가이드판(50)에 형성된 가이드홀(52)과 락킹레버(41)에 형성된 스토퍼(41a)를 통하여 제어하여 필요이상으로 락킹레버(41)가 회동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시트쿠션(11)에 착좌한 승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1)를 전, 후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트 슬라이드레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레버를 시트의 하부 중앙에 위치시키므로써, 시트의 움직임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트쿠션으로부터 락킹레버가 필요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시트 전체의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승원의 승, 하차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를 통한 시트의 슬라이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락킹레버와 가이드판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 2 - 시트 슬라이드장치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3 - 시트쿠션프레임 14 - 차체플로어
20 - 시트 슬라이드레일 21 - 상부레일
22 - 하부레일 30 - 마운팅브라케트
40 - 회전축 41 - 락킹레버
41a - 스토퍼 42 - 락킹부재
43 - 와이어 50 - 가이드판
51 - 힌지축 52 - 가이드홀

Claims (2)

  1. 시트쿠션(11)의 하부에 차체플로어(1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중앙이 개방되도록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레일(22)과;
    상기 하부레일(22)상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1)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일측 단부는 하부레일(22)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시트쿠션프레임(13)에 고정된 상부레일(21)과;
    상기 하부레일(22)을 차체플로어(1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된 마운팅브라케트(30)와;
    상기 하부레일(22)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하부레일(2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상부레일(2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락킹부재(42)와;
    상기 하부레일(2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트쿠션프레임(13)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판(50)과;
    상기 가이드판(5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락킹레버(41)와;
    상기 락킹레버(41)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회전축(40)의 저면에 체결된 와이어(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50)에는 락킹레버(41)의 회동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가이드홀(52)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레버(41)에는 이 가이드홀(52)에 삽입되는 스토퍼(41a)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KR10-2002-0052761A 2002-09-03 2002-09-03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KR10050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61A KR100501036B1 (ko) 2002-09-03 2002-09-03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761A KR100501036B1 (ko) 2002-09-03 2002-09-03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00A KR20040022300A (ko) 2004-03-12
KR100501036B1 true KR100501036B1 (ko) 2005-07-18

Family

ID=3732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761A KR100501036B1 (ko) 2002-09-03 2002-09-03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6142B (zh) * 2021-11-09 2022-11-18 乐歌人体工学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前后位置调节结构的健身车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768A (ja) * 1992-09-18 1994-04-1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940003140Y1 (ko) * 1988-09-29 1994-05-12 고오요오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전자기기용 바구니
JPH0952544A (ja) * 1995-08-11 1997-02-25 Aichi Mach Ind Co Ltd スライドロック解除機構
KR19990029217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시트트랙 슬라이딩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140Y1 (ko) * 1988-09-29 1994-05-12 고오요오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전자기기용 바구니
JPH0699768A (ja) * 1992-09-18 1994-04-1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952544A (ja) * 1995-08-11 1997-02-25 Aichi Mach Ind Co Ltd スライドロック解除機構
KR19990029217U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시트트랙 슬라이딩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00A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6209B2 (ja) シート装置
JPH11342773A (ja) カムによって駆動される固定用装置を備えた座席の軌道
JPH1148870A (ja) 自動車の荷室装置
KR100501036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JP4590801B2 (ja) 車両の前席用シートベルト構造
JP2000052827A (ja) 自動車の回転シート
JPS62103245A (ja) 乗員自動拘束装置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100410730B1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레버 록킹장치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JPH0221303Y2 (ko)
JPH1118019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238838Y2 (ko)
JP2570471Y2 (ja) 回転シートにおけるスライドアジャスタのロック解除機構
JPH08913Y2 (ja) シートロック解除装置
JP200028079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S60193733A (ja) 自動車用シ−トのサイドサポ−ト
JPH051565U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127952Y2 (ko)
KR100398108B1 (ko) 자동차용 시트백 고정장치
KR0134200Y1 (ko) 하부용기 내장의 버스좌석 절첩구조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H0242512Y2 (ko)
KR20030003480A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장치
JPH0270542A (ja) メモリー付き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