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631B1 -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631B1
KR0164631B1 KR1019940021988A KR19940021988A KR0164631B1 KR 0164631 B1 KR0164631 B1 KR 0164631B1 KR 1019940021988 A KR1019940021988 A KR 1019940021988A KR 19940021988 A KR19940021988 A KR 19940021988A KR 0164631 B1 KR0164631 B1 KR 0164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guide wheel
drive unit
automatic warehouse
warehous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951A (ko
Inventor
유키히로 고토
유소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이후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013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24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6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2370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이후꾸 filed Critical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Publication of KR95002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05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입출고 장치(10)의 가감속시나 정지시에 있어서의 충격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이 전후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은, 통형상부(30)로부터 전후방향(X)으로 돌출한 구석 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 프레임(11) 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다. 캐리지(15) 상의 입출고구에 의하여 입출고 작업을 할 때에, 지지기둥(12)이 좌우방향(Y)에서 경사하는 힘은, 지지기둥(12)의 통형상부(30)로부터 좌우방향(Y)으로 돌출한 구석 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 프레임(11) 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다. 지지기둥(12)이 전후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이나 좌우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을 하부 프레임 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고,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에서 기울어지는 등이 발생하지 않고,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2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
제3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하부 프레임 부분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상부 프레임 부분의 평면도.
제5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기둥 부분의 횡절단 평면도.
제6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 구동 유니트부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7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 구동 유니트부의 정면도.
제8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하부 안내 바퀴체를 설치한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10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기둥 부분의 횡절단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기둥 부분의 횡절단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기둥 부분의 횡절단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기둥 부분의 횡절단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상부 프레임의 측면도.
제15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기초부측 안내 차바퀴 부분의 종단 정면도.
제16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부 가이드 로울러 부분의 정면도.
제17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상부 프레임에 있어서의 작동부측 안내 차바퀴 부분의 종단 정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19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하부 프레임 부분의 평면도.
제20도는 동 자동창고의 마루측 레일 부분의 일부 절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형상의 선반 2 : 수납부
3 : 가로목 4 : 통로
5 : 일정 경로 6 : 마루측 레일
7 : 천정측 레일 7A : 천정측 레일의 센터
8 : 하물 9 : 들보재
9a : 하면 10,80 : 입출고 장치
11 : 하부 프레임 12 : 지지기둥
13 : 상부 프레임 13a : 상면
14 : 주행본체 14A : 주행본체의 센터
15,81 : 캐리지 16 : 입출고구
17 : 구동 차바퀴(주행 차바퀴) 18 : 종동 차바퀴(주행 차바퀴)
19 : 가이드 로울러 20 :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
21,82 :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 22,62 : 브라케트
23 : 하부 가이드 로울러 25 : 부착부재
26 : 제어용 레일 30 : 통형상부
31 : 긴 변부 32 : 짧은 변부
33 : 구석돌조부 34 : 연결용 개미홈부
35 : 중앙 돌조부 36 : 전후부 오목홈
37 : 좌우방향 가이드면 38 : 외측 제1전후방향 가이드면
39 :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 40 : 좌우부 오목홈
41 :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 42 : 내측좌우방향가이드면
50 : 승강 구동 유니트 51 : 지지체
52 : 감속장치 53 : 승강구동부
54 : 출력축 55 : 드럼
56 : 좌우방향 축심 57A,57B : 와이어
58A,58B :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 59 : 작은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
60A,60B : 하부 안내 바퀴체 61 : 고정구 (보울트 및 너트)
63 ; 지지축 64A,64B : 축받이 장치
66A,66B : 스트로크 볼 베어링 67 : 판 형상의 커버
70 : 주행 구동 유니트 71 : 감속장치
72 : 주행구동부 75 : 상자형상의 커버
78 : 제어 유니트 79 : 사다리
83 :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 84 : 내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
85 : 외측 좌우진동 방지용 로울러 90 : 기초부측 바퀴체축
91 : 끼워 넣기가 자유로운 간격 92 : 바퀴체 축
93 : 쓰러짐 방지 부재 94 : 오목부
95 : 종축 100 : 마루측 레일
101 : 상위 플랜지부 101a : 돌출 플랜지부
101b : 아래로 형성된 조부 101c :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 받이면
102 : 웨브부 103 : 하위 플랜지부
104,105 : 개미홈 형상의 부착부 106 : 결합부
108,109 : 판너트 110 : 마추측 레일 지지장치
111 : 앵커 버울트 112 : 앵커 베이스
113 : 연결구 114 : 브라케트
115 : 통체 116 : 외나사
117 : 내나사 118 : 너트체
119,120,122,126 : 보울트 121 : 주행제어용의 피검출체
121a : 피검출면 125 : 전력공급 유니트
130 : 주행제어용의 검출장치 132 : 집전장치
140 :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 X : 전후방향(주행방향)
Y : 좌우방향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장 내에 설치되고 선반 전방의 일정 경로 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반과 입출고 장치로 이루어지는 자동창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18406호 공보에 나타나는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즉 입출고 장치인 크레인은, 하부 프레임 또는 대차로부터 한 쌍 또는 일체의 지지기둥을 세우고, 지지기둥에 안내되는 승강 캐리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지지기둥은 횡단면이 사각 통형상으로서, 전후 양측(또는 좌우양측)의 중앙부에 오목홈형의 안내레일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각 구석으로부터 L자형상 판부에 부품부착용 레일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은, 횡단면으로 전후좌우를 대칭으로 하여 일체 압출 성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기둥을 2개 형식으로 채택한 때, 그 안내레일부를 전후방향(주행방향)을 향하여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전후 한 쌍으로 세운 것이고, 그리고 안내레일부를 형성하는 면 중, 승강 캐리지측(전후방향)을 향하는 면에, 승강 캐리지측으로부터의 전후 진동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맞닿게 함과 동시에,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면에, 승강 캐리지측으로부터의 좌우 진동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맞닿게 하고 있다.
또, 지지기둥을 1개 형식으로 채택한 때, 그 안내레일부를 좌우방향을 향하여 대차로부터 세운 것이며, 그리고 안내레일부를 형성하는 면 중, 전후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면에, 승강 캐리지측으로부터의 전후 진동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맞닿게 함과 동시에, 승강 캐리지측으로부터의 좌우 진동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맞닿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2개 형식의 것으로 채택한 지지기둥은, 그 L자형상 판부가 좌우방향으로만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기둥의 전후방향에서의 보강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따라서 크레인의 가감속시나 정지시 등에, 지지기둥으로 전후방향의 경사를 초래하는 것으로 된다. 또, 1개 형식의 것으로 채택된 지지기둥은, 그 L자 형상판부가 전후방향으로만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기둥의 좌우방향에서의 보강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따라서 하물 이송적재용 동작포크를 돌출작동시킨 입출고 작업시 등에, 지지기둥에 좌우방향의 경사를 초래하는 것으로 된다.
또, 지지기둥은, 1개 형식의 것으로 채택하는 때와 2개 형식의 것으로 채택하는 때와는, 방향을 90도 위치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부 프레임이나 대차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때에 오차를 일으키기 쉽고, 그 수직 세우기 작업에 노력이 드는 것으로 된다.
또 다른 종래예에서, 에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3-3529호 공보에 보여지는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즉 입출고 장치인 선반 적재 리프트는, 종프레임의 외면에 돌출하여 고정된 다수 몸통형 권상기를 가지며, 이 다수 몸통형 권상기의 다수 몸통의 회전으로 감거나 푸는 로프는, 상부 프레임에 설치한 상부 활차에 의하여 전후로 나누어진 후, 하물대의 가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 몸통형 권상기는, 각 감기몸통을 좌우방향의 축심의 주위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상부 활차로부터 감기 몸통에 이르는 로프는, 종프레임의 외면방향으로 노출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외관이 나쁠뿐만이 아니라, 보수 점검 등을 하는 작업자가 접촉하기 쉬워서 위험하다.
이것에 대해서는, 종프레임을 통체로하여 그 안에 로프를 통과하고 그리고 감기 몸통형 권상기 부분에서 로프를 통체 내로부터 꺼내는 형식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꺼내는 부분에 절단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공이 까다롭게 됨과 동시에, 강도가 저하하고, 또는 통체 내에 로프를 통과하기에 노력이 드는 것으로 된다.
또, 각 감기 몸통은 좌우방향으로 길고, 또 상부 활차로부터의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감거나 푸는 로프는 좌우방향에서 크게 분배되는 것으로 되며,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 로프는 통상 와이어이며, 와이어는 기름을 스며들게 하고 있고(부착시킴), 따라서 와이어가 나누어진 때에 기름이 흩날려서 주변을 더럽히게 된다.
또, 종래 크레인 상부를 안내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2-290609호 공보에 보여지는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 즉 창고용 크레인은, 마루면 상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내거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 상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는 좌우 한 쌍의 진동 방지용 수직축 로울러가, 상부 프레임의 상면보다도 윗 쪽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태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또 상부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춘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에 의하면, 상부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천정면 또는 들보재에 상부 프레임의 상면을 가능한 한 접근시킬 수 있고,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하방향의 공간을 작게 하여 창고의 격납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진동방지용 로울러가 탈락한 때 등에, 가이드 플레이트 오목부와 상부 가이드 레일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크레인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크레인 센터와 상부 가이드 레일센터가 일치하지 않는 구성, 즉 양 센터가 좌우방향에서 크게 어긋난 구성이기 때문에, 특히 하물 이송적재 수단을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입출고 작업시의 편하중에 의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에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가 강하게 맞닿은 스토퍼 작용시에, 힘이 분산하여 크레인 본체가 휘어질 염려가 있다. 또, 스토퍼 작용시에, 걸림부의 연결부(부착 뿌리부분)에 큰 구부림 모멘트가 작용하여 그 연결을 파손할 염려가 있으며, 이와 같은 파손이 생긴 때,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한 쓰러짐 방지는 전혀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또 종래, 크레인의 하부를 안내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5-246509호 공보에 보여지는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즉 입출고 장치는, 구동차륜이나 종동차륜을 통하여 마루 레일에 지지 안내됨과 동시에 가이드 바퀴를 통하여 마루 레일에 안내된다. 그리고 마루 레일에는, 피검출면을 측방을 향한 피검출체가 부착되고, 또 입출고 장치의 하부에는, 피검출면에 측방으로부터 대향이 자유로운 주행 제어용의 검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의 선반의 전면을 따르는 일정 경로상에서의 주행운동과, 승강체의 승강운동과, 입출고구의 횡방향 진출 및 후퇴운동과의 조합동작에 의하여 선반과 입출고 장치 사이에서 하물의 받아 건네기를 한다. 그리고 입출고 장치의 주행제어는, 피검출체를 검출장치가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구성에 의하면, 마루 레일에 있어서의 상위판부의 측면에 대하여 피검출체의 피검출면이 외측방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차륜의 마모로 인한 먼지 등이 부착하기 쉽고, 이것에 의하여 피검출면이 오염되어 검출정도가 저하하고, 이것에 의하여 주행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의 제어가 부정확하고 불안정하게 검출된다. 또 입출고 장치의 가감속시나 고속주행시, 및 비상정지시 등에, 전후로 위치한 차륜의 한 쪽을 지지점으로 하여, 다른 쪽의 차륜이 마루 레일에 대하여 떠오르는 것으로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입출고 장치의 탈륜이나 전도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지지기둥은, 어느 형식으로 채택한 경우라도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양방향을 충분하게 보강할 수 있으며, 더구나, 어느 형식의 것으로 채택한 경우에도, 수직 설치는 같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창고용의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지지기둥을 따른 와이어의 배치 및 설치는 용이하여, 외관이 좋고 안정하게 함과 동시에, 와이어는 좌우방향의 진동을 작게 하여 감기 및 풀기를 하며, 그리고 와이어로부터의 기름이 외부로 흩날리는 일도 없이, 또 지지기둥은 1개 형식이나 2개 형식에 관계없이 용이하고 강고하게 하여 배치 및 설치할 수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하방향의 빈 공간을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형식이면서 스토퍼의 작용시에 힘을 분산시키는 일 없이 천정측 레일에 의한 주행본체 상부의 안내를 하며, 더구나 가이드 로울러의 파손시에도 쓰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점, 및 설치 환경에 관계없이 피검출면을 오염시키는 것이 어렵고, 더구나 차륜의 떠오름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지지기둥에 의하여 주행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에의 주행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전후면의 일면을 따라서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은, 횡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각 구석부로부터 전후좌우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석 돌조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있어서의 전후외면에서 좌우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중앙돌조부를 가져서 일체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는, 주행본체를 주행운동시키는 것이나, 캐리지를 승강운동시키는 것으로, 선반에 대하여 하물의 입출고를 한다. 그리고 입출고 장치의 가감속시나 정지시 등에 있어서의 충격 등에 의하여 지지기둥이 전후방향에서 경사지고자 하는 힘은, 이 지지기둥의 통형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한 구석돌조부에 의한 보강구조도 부가하여, 하부 프레임측에서 강고하게 받아서 정지할 수 있다. 또 캐리지 상의 입출고구를 좌우방향으로 진출 및 후퇴작동시켜서 입출고 작업을 할 때에, 지지기둥이 좌우방향에서 경사지고자 하는 힘은, 이 지지기둥의 통형상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구석돌조부에 의한 보강구조도 부가하여, 하부 프레임측에서 강고하게 받아서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기둥은, 좌우방향이나 전후방향에서 경사 등을 발생하는 일 없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는, 서로 마주 본 한 쌍의 긴 변부와, 서로 마주 본 한 쌍은 짧은 변부에 의하여 횡단면으로 사각형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기둥을, 한 쌍의 짧은 변부를 전후외면으로 하여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의 가감속시나 정지시에 있어서의 충격 등에 의하여 지지기둥이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려고 하는 힘은, 통형상부의 긴 변부가 전후방향이기 때문에, 그 충분한 길이에 의하여 보다 강고하게 받아서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기둥은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한 개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캐리지 측의 진동방지용 로울러를, 구석 돌조부의 캐리지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과, 지지기둥의 캐리지측을 향하는 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맞닿게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캐리지의 승강운동은, 구석 돌조부의 캐리지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과, 지지기둥의 캐리지측을 향하는 면에 진동방지용 로울러를 맞닿게 함으로써, 한 개의 지지기둥으로 안내하는 것이면서, 전후방향으로 예고없이 진동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그리고 구석 돌조부를 진동방지용 로울러의 가이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기둥은, 횡단면으로 전후 대칭 및 좌우 대칭으로서 일체성형하고 있다.
이,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립시공시에 하부 프레임에 대한 지지기둥의 수직설치는, 그 긴 변부를 전후방향을 따를 뿐으로, 1개 형식이나 2개 형식에 관계없이, 90도 방향이나 180도 방향을 일부러 생각하는 일도 없이, 같은 방향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기둥으로 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면측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를 행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적어도 타측면에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승강 구동 유니트의 상방으로 하부 안내 바퀴체를 설치하여, 양 안내 바퀴체 사이에 걸린 와이어를 전후부 오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공시에서 와이어의 배치는,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와이어를, 하부 안내 바퀴체에 지지기둥 측으로부터 전 후 오목홈 내에 외측으로부터 배치하며, 이어서 상부 안내 바퀴체에 윗 쪽으로부터 건후, 아래로 늘어 뜨려서 캐리지에 연결함으로써 행한다.
캐리지의 승강운동은, 승강 구동 유니트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와이어에 이동력을 부여하고, 이 와이어의 이동이, 상부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승강작동시에 와이어는, 상부 안내 바퀴체로부터 하부 안내 바퀴체까지의 사이에서는 전후부 오목홈 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구동 유니트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교형상의 좌우방향 축심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드럼을 가지며, 이 드럼으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하부 안내 바퀴체를, 상기 좌우방향 축중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다.
이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캐리지의 승강운동은, 좌우방향 축심의 주위에서 드럼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며, 그리고 정역회전하는 드럼으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와이어에 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때에, 하부 안내 바퀴체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 상하부의 안내 바퀴체 사이에서 와이어를 크게 진동하는 일 없이 또 드럼에 대한 와이어의 나선형상의 감기 및 풀기를 무리없이 원활하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안내 바퀴체와 그 지지축 사이에, 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시에 발생하는 와이어의 횡방향에 의하여, 이 하부 안내 바퀴체를 좌우방향 축심을 따라서 왕복이동시키는 축받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하부 안내 바퀴체의 왕복 이동은, 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시에 생기는 와이어의 횡방향 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기둥 측에, 하부 안내 바퀴체로부터 승강 구동 유니트에 이르는 와이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측면이나 전후면에서 보아서 외관이 양호한 것으로 됨과 동시에, 작업자나 기타 물건의 접촉이 없고, 또 와이어로부터 흩날리는 기름을 커버로 받을 수 있다.
또 지지기둥 측에, 오목홈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승강 작용시에 와이어는, 상부 안내 바퀴체로부터 하부 안내 바퀴체까지의 사이에서는 오목홈 내에서 이동하며, 또 오목홈의 외측이 커버로 덮혀져 있기 때문에, 측면이나 전후면에서 보아 전혀 보이지 않아 외관이 양호한 것으로 됨과 동시에, 작업자나 기타 물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또 와이어가 흔들거림에 따라 흩날리는 기름을 커버와 지지기둥에 의하여 받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프레임은, 마루측 레일에 지지안내되는 주행 차바퀴를 가지며, 승강 구동 유니트는, 지지기둥에 대향하는 드럼과, 이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방에 배치한 승강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타측방에, 주행 차바퀴에 연이어 작동하는 주행 구동 유니트를 배치하고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와이어의 걸림력에 의하여, 주행본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고자 하는 때, 타측에 설치한 주행 구동 유니트측의 하중에 의하여, 그 경사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주행본체의 주행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기둥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타측면에 좌우방향으로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의 양측면에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며,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의 좌우면에 의하여 좌우진동 방지용 좌우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양 좌우부 오목홈의 전후방향면에 의하여 전후 진동방지용의 전후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이들 좌우방향 가이드면과 전후방향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캐리지의 승강운동은, 좌우 진동방지용의 좌우방향 가이드면이나 전후 진동방지용의 전후방향 가이드면에 안내되어 갑자기 흔들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캐리지가 이들 좌우방향 가이드면이나 전후방향 가이드면에 강하게 맞닿아도 작사각형 돌조부의 보강구조에 의하여 구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지지기둥에 의하여 주행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 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견인체의 감기 및 풀기를 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여러 개의 견인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좌우 여러 개의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상기 안내 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누어서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의 안내 바퀴체 사이에, 천정측 레일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간격을 형성하며, 주행본체의 상부에, 천정측 레일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와, 천정측 레일의 끼워 넣기를 허용하는 쓰러짐 방지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는, 주행본체의 센터가 천정측 레일의 센터에 일치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치작업 등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주행본체의 주행운동은, 상부의 가이드 로울러가 천정측 레일의 양측면에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쓰러짐 등을 초래하는 일이 없이 항상 안정하게 이루어진다. 그 때에, 주행본체의 센터에, 그 센터가 일치하는 형상의 천정측 레일에 대하여 가이드 로울러가 양측으로부터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입출고 작업시의 편하중에 의하여 천정측 레일에 가이드 로울러가 강하게 맞닿는 스토퍼 작용시일지라도 힘은 양 센터부분에 집중하여 분산하지 않고, 주행본체는 휘어지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스토퍼 작용시에, 쓰러짐 방지부재의 연결부(부착 뿌리 부분)에는 큰 구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고, 그 연결을 파손할 우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부 가이드 로울러가 파손한다고 하여도 천정측 레일의 측면에 쓰러짐 방지부재가 맞닿아서, 주행본체가 좌우로 쓰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좌우의 안내 바퀴체 사이에 천정측 레일이 위치되는 것으로, 이들 안내 바퀴체가 천정측 레일에 충돌, 접축하는 일 없이 주행한다. 그리고 견인체의 이동은, 천정측 레일의 양측 외방에서, 이 천정측 레일에 충돌, 접촉하는 일 없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기둥은 전후방향으로 한쌍으로서, 양 지지기둥의 상단 사이를 상부 프레임에 의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양 지지기둥 사이에 캐리지를 설치하며, 좌우 한 쌍의 견인체를, 승강 구동 유니트측에서 상부 프레임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기초단부측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좌우방향에서 일측의 견인체는 캐리지에 연결하며, 또 좌우방향에서 타측의 견인체는 승강 구동 유니트와는 떨어진 측에서 상부 프레임에 설치한 작동부측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캐리지에 연결하며, 상기 기초부측 안내 바퀴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측 안내 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에 대하여 타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 기초부측 안내 바퀴체 사이, 및 작동부측 안내 바퀴체의 일측방으로 천정측 레일이 위치됨으로써, 이들 안내 바퀴체가 천정측 레일에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일 없이 입출고 장치의 주행을 수행한다.
그리고 캐리지의 승강운동은, 견인체의 이동이, 각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안내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그 때에 견인체의 이동은, 천정측 레일의 양측 외방에서, 이 천정측 레일에 충돌, 접촉하는 일 없이 행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쓰러짐 방지부재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를 부착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하면 쓰러짐 방지부재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고정함으로써, 가이드 로울러의 설치를 동시에 정도 좋게 하며, 또 스토퍼 작용시에, 가이드 로울러를 설치한 쓰러짐 방지부재의 연결부에는 큰 구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으며, 그 연결을 파손할 우려가 없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수납부를 형성한 선반과, 마루측 레일에 주행 차바퀴를 통하여 지지안내되어 선반 전방의 일정 경로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입출고 장치로 구성되는 자동창고로서, 상기 마루측 레일은, 단면이 I자 형상이며, 웨브부의 일측면에, 피검출면을 측방을 향한 피검출체를 부착하며, 상위 플랜지부의 일측은, 피검출체의 부착 범위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플랜지부에 형성하며, 상기 입출고 장치의 하부에, 상기 피검출면에 측방으로부터 마주보는 것이 자유로운 주행제어용의 검출장치와,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부터 맞닿는 것이 자유로운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는, 주행운동과 입출고 운동과 승강운동과의 조합동작에 의하여 선반의 목적으로 하는 수납부에 대하여 하물의 입출고를 한다. 그리고 주행운동은, 상위 플랜지부의 상면에 주행 차바퀴가 안내됨으로써, 안정하게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입출고 장치의 주행제어, 즉 고속커트나 정위치·중속 커트등은, 피검출체의 피검출면을 검출장치가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에, 피검출면의 윗 쪽 또는 일측 외방에 돌출 플랜지부가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주행 차바퀴가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발생한 마모먼지, 및 자동창고의 상부측으로부터의 낙하먼지 등이 피검출면에 부착하기 어렵게 되고(오염곤란), 이로써 피검출면은, 장기간에 걸쳐서 깨끗한 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검출면에 대한 검출장치의 검출을 항상 정도 좋게 하고, 이로써 주행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의 제어는 정확하고 안정하게 한다. 그리고 입출고 장치의 가감속시나 고속주행시, 및 비상정지시 등에 있어서의 충격에 의하여 마루측 레일에 대하여 주행 차바퀴의 한 쪽이 떠오르고자한 때, 이 주행 차바퀴의 근방에 위치하는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가, 돌출 플랜지부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신속하게 맞닿아서, 이 떠오름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입출고 장치의 바퀴의 탈선이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조부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로부터 피검출면측으로의 직접적인 먼지의 흐름을,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에 형성한 조부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먼지가 피검출면에 대하여 접근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보다 측외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가 하위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의 측방을 통과한 하위 플랜지부 상에 낙하하여 퇴적하기 어렵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하위 플랜지부 상의 먼지가 떠올라서 피검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 조립형상의 선반(1)에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여러 개의 수납부(2)가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납부(2)는, 가로목(3)을 통하여 하물(8)을, 직접 또는 팔레트를 통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반(1)은 통로(4)를 두고 병렬 설치되며, 그리고 통로(4) 내에는, 일정 경로(5)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입출고 장치(10)가 설치된다.
이 입출고 장치(10)는, 하부 프레임(11)과, 이 하부 프레임(11)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전후방향(주행방향)(X)에 한 쌍의 지지기둥(12)과, 이들 지지기둥(12)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3) 등에 의하여, 그 주행본체(1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지지기둥(12) 사이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15)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캐리지(15)상에 수납부(2) 등과의 사이에서 하물(8)의 받아 건네기를 하는 입출고구(포크나 걸림구가 달린 콘베이너 등)(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1)에는, 마루측 레일(6)에 지지안내되는 구동 차바퀴(주행 차바퀴)(17)와 종동 차바퀴(주행 차바퀴)(18)가 전후방향(X)으로 나누어서 배치되며, 또 상부 프레임(13)에는, 천정측 레일(7)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19)가 전후방향(X)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루측 레일(6)은, 단면이 I자 형상으로서, 하위 플랜지부에 작용하는 부착부재(25) 등을 통하여 마루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웨브부에는, 그 양측면을 이용하여 전력공급이나 신호의 주고 받음을 위한 제어용 레일(2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기둥(1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으로 전후 대칭 및 좌우 대칭으로서, 전후 한 쌍의 지지기둥(12)을, 그 방향을 선택하는 일 없이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기둥(12)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상인 통형상부(30)와, 이 통형상부(30)의 각 구석부(4개의 코너부)로부터 전후좌우의 양쪽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석돌조부(33)와, 상기 통형상부(30)에 있어서의 전후바깥면에서 좌우방향(Y)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X)의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중앙 돌조부(35)를 가지게 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형상부(30)는 좌우방향(Y)에서 서로 대향한 한 쌍의 긴 변부(31)와, 전후방향(X)에서 서로 대향한 한 쌍의 짧은 변부(32)에 의하여 횡단면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2)은, 하부 프레임(11)에 대하여 한 쌍의 짧은 변부(32)를 전후 외면으로 하여 전후방향(X)에서 한 쌍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석 돌조부(33)는 사각형 봉형상으로서, 그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의 최외면에는, 각각 다른 물체와의 연결용 개미홈부(3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중앙돌조부(35)는 횡단면이 사각형으로서, 양 짧은 변부(32)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로부터 구부러진 형상으로 전후방향(X)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을 통형상부(30)의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통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기둥(12)에는, 그 전후방향(X)의 양면(일면측 및 타측면)에 좌우 한쌍의 구석 돌조부(33)와 중앙 돌조부(35)에 의하여, 좌우방향(Y)에서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3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전후부 오목홈(36)을 형성하는 좌우양면은 좌우 진동방지용의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부 오목홈(36)을 형성하는 통형상부(30)의 전후방향면(캐리지(25)측을 향한 면)은 전후 진동방지용의 외측 제1전후방향 가이드면(38)에 형성되며, 그리고 중앙 돌조부(35)의 전후방향면(캐리지(15)측을 향하는 면)은 전후 진동방지용의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기둥(12)의 좌우방향(Y)의 양측면에는, 전후 한 쌍의 구석 돌조부(33)에 의하여, 좌우부 오목홈(4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들의 좌우부 오목홈(40)의 전후방향(X)의 양내면(캐리지(15) 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하는 면)은 전후 진동방지용의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형성되고, 그리고 좌우부 오목홈(40)의 좌우방향(Y)의 양외면은 좌우 진동방지용의 내측 좌우방향 가이드면(42)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기둥(12)은, 통형상부(30)에 의하여 외측 제1전후방향 가이드면(37)과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이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돌조부(35)에 의하여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과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이 형성된다.
상기 캐리지(15) 측에는,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20)와,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안내되는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21)가, 각각 브라케트(22)를 통하여 상하의 여러군데에 설치된다. 따라서 양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20)는, 중앙 돌조부(35)를 좌우방향(Y)으로부터 끼워서 지지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각 진동방지용 로울러(20).(21)는, 예를 들면 우레탄 등과 같은 가요성 수지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1)의 한쪽 끝단, 즉 한 쪽의 지지기둥(12)의 타측면 하부에는,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를 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50)가 설치된다. 이 승강 구동 유니트(50)는, 상기 지지기둥(12)의 타측면의 하부에 고정한 지지체(51)와, 이 지지체(51)에 부착한 감속장치(52)와, 이 감속장치(52)에 연달아 작동하여 그 윗쪽에 설치한 종방향의 승강구동부(플랜지형 브레이크 부착 모터 등)(53)와, 상기 감속장치(52)로부터의 출력축(54)에 고정한 한쪽 지지형상의 드럼(55)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드럼(55)은, 상기 지지기둥(12)에 대향하고 또 전후방향(X)에 대하여 직교형상의 좌우방향 축심(출력축 축심)(56)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고, 또 감속장치(52)나 승강구동부(53)는, 이 드럼(55)에 대하여 좌우방향(Y)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드럼(55)의 감기부는 좌우방향(Y)에서 2분할되고, 각각(합계 2개의) 와이어, 즉 제1와이어(57A)와 제2와이어(57B)의 감기 및 풀기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감기부에는, 각각 나선형상의 와이어 안내홈이 소정 피치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양 제1와이어(57A)와 제2와이어(57B)는, 윗 쪽으로 늘어나고, 제1도, 제2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3)의 한 쪽 끝단에 설치한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에 감겨져 있다. 제1와이어(57A)는, 아래로 늘어뜨려진 후, 캐리지(15)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2와이어(57B)는, 상부 프레임(13)의 다른 쪽 끝단에 설치한 작은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9)에 감기고, 아래로 늘어뜨려진 후, 캐리지(15)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양 와이어(57A),(57B)는, 전후방향(Y)으로 나뉘어 캐리지(15)에 연결된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 유니트(50)의 근처에서 그 윗 쪽에는 한 쌍의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기둥(12)에는 개미홈부(34)에 작용하는 고정구(보울트 및 너트)(61)를 통하여 좌우 한 쌍의 브라케트(62)가 부착되며, 이들 브라케트(62) 사이에 상기 좌우방향 축심(56)을 따른 지지축(63)이 설치된다.
이 지지축(63)에는 좌우방향(Y)에서 한 쌍의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가, 축받이 장치(64A),(64B)를 통하여 끼워지며, 여기에서 축받이 장치(64A),(64B)는,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를 회전(작동회전)시킴과 동시에, 드럼(55)에 의한 와이어(57A),(57B)의 감기 및 풀기시에 발생하는 와이어(57A),(57B)의 횡방향력에 의하여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를, 좌우방향 축심(56)을 따른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축받이 장치(64A),(64B)는,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에 고정되는 심체(65A),(65B)와 지지축(63)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로크 볼 베어링(66A),(66B)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는, 그 지지기둥(12) 측의 테두리부가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36)에 각각 별도로 돌입하도록 배치되고, 또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의 한쪽 끝단의 테두리부가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36)에 윗 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 와이어(57A),(57B)의,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로부터 안내 바퀴체(60A),(60B)에 걸치는 부분은, 제1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부 오목홈(36)에 완전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된다.
제5도의 가상선,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12) 측에는, 양 와이어(57A),(57B)를 넣은 전후부 오목홈(36)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판형상의 커버(67)가 설치되며, 이 판 형상의 커버(67)는, 개미홈부(34)에 작용하는 고정구를 통하여 지지기둥(12)에 고정된다.
제1도 내지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1)의 한쪽끝단, 즉 한 쪽의 지지기둥(12)의 타면측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차바퀴(17)에 연이어 작동하는 주행 구동 유니트(70)이 설치된다. 이 주행 구동 유니트(70)는, 상기 지지체(51)를 겸용하여, 이 지지체(51)에 부착한 감속장치(71)와, 이 감속장치(71)에 연이어 작동하여 그 윗 쪽에 설치한 종방향의 주행구동부(플랜지형 브레이크가 달린 모터)(7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감속장치(71)로 부터의 차바퀴축(73)에 구동차바퀴(17)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주행 구동 유니트(70)는, 상기 드럼(55)에 대하여 좌우방향(Y)의 다른 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기둥(12)에는,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로부터 승강 구동 유니트(50)에 이르는 와이어(57A),(57B)를 외측으로부터 덮음과 동시에, 이 승강 구동 유니트(50)나 주행 구동 유니트(70)도 동시에 외측으로부터 덮는 상자형상의 커버(75)가 설치된다.
이 상자형상의 커버(75)는, 개미홈부(34)에 작용하는 고정구를 통하여 지지기둥(12)에 고정된다. 또, 부호 78은 제어 유니트를, 79는 사다리를 나타낸다.
이어서 상기한 제1실시예(제1도∼제8도)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립 시공시에서, 하부 프레임(11)에 대한 지지기둥(12)의 수직 설치는, 그 긴 변부(31)를 전후방향(X)으로 따르도록 하는 것만으로, 90도 방향이나 180도 방향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캐리지(15)는, 전후부 오목홈(36)에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20)를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21)를 맞닿게 하여, 양 지지기둥(12) 사이에 배치된다.
또 양 와이어(57A),(57B)의 설치는, 양 커버(67),(75)를 벗긴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드럼(55)에의 양 와이어(57A),(57B)의 감아 붙임은, 드럼(55)이 한 쪽을 지지하는 상태이므로, 한 쪽을 지지하지 않은 측의 개방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또 보수 점검도 개방부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 와이어(57A),(57B)를,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에 지지기둥(12) 측으로부터 건 후, 전후 오목홈(36) 내에 외측으로부터 설치하며, 이어서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59)에 위로부터 건 후, 늘어뜨려서 캐리지(15)에 연결함으로써 행한다.
그 후에 양 커버(67),(75)가 원래의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구성의 입출고 장치는, 승강 구동 유니트(50)의 드럼(55)을 중심으로하여 한 쪽에 승강 구동 유니트(50)가, 다른 쪽에 주행 구동 유니트(70)가, 좌우방향(Y)으로 나뉘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입출고 장치(10)는 횡폭과 전후 길이를 짧게 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출고 장치(10)는, 주행용 동력 유니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한 조작 지령에 의하여, 주행 구동 유니트(70)를 통하여 주행본체(14)를 일정경로(5) 상에서 주행운동시키는 점, 입출고구(16)를 좌우방향(Y)으로 후퇴작동시키고, 승강용 동력 유니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한 조작 지령에 의하여, 승강 구동 유니트(50)를 통하여 캐리지(15)를 승강구동하는 것, 등의 조합동작을 함으로써, 선반(1)의 목적으로 하는 수납부(2)에 대하여 하물(8)의 입출고를 행한다.
그 때에 주행본체(14)의 주행운동은, 차바퀴(17),(18)가 마루측 레일(6)에 지지안내되는 것과, 가이드 로울러(19)가 천정측 레일(7)에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쓰러짐 등을 초래하는 일이 없이 항상 안정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출고 장치(10)의 가감속시나 정지시에 있어서의 충격 등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이 전후방향(X)에서 경사하고자 하는 힘은, 이 지지기둥(12)의 통형상부(30)로부터 전후방향(X)으로 돌출한 구석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 프레임(11) 측에서 강고하게 받을 수 있다.
또 경사력은 통형상부(30)의 긴 변부(31)가 전후방향(X)이기 때문에, 그 충분한 길이에 의하여 보다 강고하게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X)에서 경사지지 않고 하부 프레임(11)으로부터 세울 수 있다.
또 캐리지(15)의 승강운동은, 승강 구동부(53)의 정역회전을, 감속장치(52)로부터 출력축(54)으로 전달하여 드럼(55)을 정역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드럼(55)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이 드럼(55)으로 와이어(57A),(57B)를 감거나, 또는 풀어서 와이어(57A),(57B)에 이동력을 부여하고, 이 와이어(57A),(57B)의 이동이,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59)를 통하여 캐리지(15)에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때에 캐리지(15)는, 양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좌우 한 쌍의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20)가 안내되고,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21)가 안내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기둥(12)에 안내되어 예측없이 진동하는 일이 없고,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20)가 강하게 맞닿아도, 구석돌조부(33)의 사각형 봉형상의 보강구조에 의하여 구부림 등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입출고구(16)를 좌우방향(Y)으로 출퇴작동시킨 때에 지지기둥(12)이 좌우방향(Y)에서 경사하고자 하는 힘은, 이 지지기둥(12)의 통형상부(30)로부터 좌우방향(Y)으로 돌출한 구석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 프레임(11) 측에서 강고하게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드럼(55)에 의한 와이어(57A),(57B)의 감기 및 풀기는 드럼(55)에 나선형상의 와이어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가장 안쪽 층은 나선형상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2층째 이상에 있어서는 내층 측의 와이어 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나선형상면의 안내에 의하여 나선형상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드럼(55)에 의한 와이어(57A),(57B)의 감기 및 풀기시에는, 와이어(57A),(57B)의 드럼(55)에 가까운 횡방향력이 생긴다.
그러면, 축받이 장치(64A),(64B)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던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가, 이 축받이 장치(64A),(64B)의 스트로크 볼 베어링(66A),(66B)을 통하여 횡방향력 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된다. 즉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룰, 좌우방향 축심(56)에 따른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드럼(55)에 대한 와이어(57A),(57B)의 나선형상의 감기 및 풀기는, 무리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의 왕복이동은 전후부 오목홈(36)의 폭 내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와이어(57A),(57B)의,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보다도 윗 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전후부 오목홈(36) 내에서 좌우방향(Y)으로 흔들리는 것으로 된다.
승강작용시에 와이어(57A),(57B)은,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로부터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전후부 오목홈(36)내에서 이동하며, 또 전후부 오목홈(36)의 외측이 판형상의 커버(67)로 덮혀져 있기 때문에, 측면이나 전후면에서 볼 때에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이 좋게 됨과 동시에, 작업자나 기타 물체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되며, 또 와이어(57A),(57B)가 흔들거림에 따라 흩날린 기름은, 판형상의 커버(67)와 지지기둥(12)에 의하여 받아진다.
또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로부터 드럼(55)까지의 와이어(57A),(57B)나, 승강 구동 유니트(50)나 주행 구동 유니트(70)가 상자 형상의 커버(75)로 덮혀져 있기 때문에, 측면이나 전후면에서 볼 때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작업자나 기타 물체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고, 또 와이어(57A),(57B)로부터 흩날린 기름은, 상자 형상의 커버(75)나 지지기둥(12) 등으로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57A),(57B)의 늘어뜨림력에 의하여, 주행본체(14)가 일측(승강 구동 유니트(50)의 승강구동부(53측)으로 경사지려고 하지만, 이것은 타측에 설치한 주행 구동 유니트(70) 측의 하중에 의하여, 그 경사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드럼(55)을 중심으로 하여 한 쪽에 승강 구동 유니트(50)를, 다른 쪽에 주행 구동 유니트(70)를, 좌우방향으로 나누어서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은, 각 유니트(50),(70)의 배치를 임의로 한 실시예이라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판형상의 커버(67)나 상자 형상의 커버(75)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커버(67),(75)의 한 쪽 또는 양쪽 모두를 설치하지 않은 실시예이어도 좋다.
그리고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를 좌우방향에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축(63)에 대하여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를 회전만 자유롭게 하여, 좌우방향에서 이동될 수 없는 실시예이어도 좋다.
또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를 좌우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였으나, 이것은, 좌우방향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하는 실시예라도 좋다.
제9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제2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지지기둥(12)을 사용한 입출고 장치(80)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지지기둥(12)은, 통형상부(30)를 사각형 칫수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캐리지(81) 측에는,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안내되는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와, 양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와, 양 내측 좌우방향 가이드면(42)에 안내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4)가, 각각 상하 여러 군데에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83)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을 전후방향(X)으로부터 끼움과 동시에, 양 내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4)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을 좌우방향(Y)으로부터 끼운 상태로 된다.
이 제2실시예(제9도, 제10도)에 의하면, 캐리지(81)의 승강운동은,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가 안내되며, 양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안내되고, 양 내측 좌우방향 가이드면(42)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4)가 안내됨으로써, 한 개의 지지기둥(12)에 안내되어 예고없이 진동하는 일은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강하게 맞닿아도, 구석 돌조부(33)의 직사각형 봉형상의 보강구조에 의하여 구부러지지 않는다.
상기한 제1,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기둥(12)이 2개인 형식의 입출고 장치(10)에, 긴 변부(31)를 가지는 사각형의 지지기둥(12)이 채택되며, 지지기둥(12)의 1개 형식의 입출고 장치(70)에, 사각형의 지지기둥(12)이 체택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개인 형식의 입출고 장치(10)에 사각형의 지지기둥(12)을 채택하여도 좋고, 또 1개인 형식의 입출고 장치(70)에, 긴 변부(31)를 가지는 사각형의 지지기둥(12)을 채택하여도 좋다.
또 와이어(57A),(57B)를 사용한 승강 구동 유니트(50)에 의하여 캐리지(15)를 승강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체인을 사용한 승강 구동 유니트(50)에 의하여 캐리지(15)를 승강시켜도 좋다.
제11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제9도, 제10도)의 변형예인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지(81)의 승강운동은, 외측 제1전후방향 가이드면(38)에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가 안내되고,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외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5)가 안내되고, 양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한 개의 지지기둥(12)에 안내되어 예고없이 흔들거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후방향(X)의 외측에 위치한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외측 진동방지용 로울러(85)가 강하게 맞닿거나. 좌우방향(Y)의 외측에 위치한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강하게 맞닿아도, 구석돌조부(33)의 사각형 봉형상의 보강구조에 의하여 구부림 등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제12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제9도, 제10도의) 변형예인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이 제4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지(81)의 승강운동은, 외측 제2전후방향 가이드면(39)에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가 안내되고, 외측 좌우방향 가이드면(37)에 외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5)가 안내되고, 양 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한 개의 지지기둥(12)에 안내되어 예고없이 흔들거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13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제9도, 제10도)의 변형예인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이 제5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지(81)의 승강운동은, 외측 제1전후방향 가이드면(38)에 외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2)가 안내되고, 양내측 전후방향 가이드면(41)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전후 진동방지용 로울러(83)가 안내되고, 양 내측 좌우방향 가이드면(42)에 좌우 한 쌍의 내측 좌우 진동방지용 로울러(84)가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한 개의 지지기둥(12)에 안내되어 예고없이 흔들거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제5실시예에서는, 전후 좌우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구석돌조부(33)로서 직사각형 봉체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후좌우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판형상의 구석돌조부(33)이어도 좋다. 또 지지기둥(12)으로서 횡단면으로 전후 대칭 및 좌우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대칭일 필요는 없고, 일부가 변형하거나 일부에 다른 부분이 부가된 지지기둥(12)이어도 좋다.
제14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다.
양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로부터의 와이어(57A),(57B)는 윗 쪽으로 뻗고, 그리고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좌우 한 쌍(좌우 여러 개)의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기초부측 안내 바퀴체)(58A),(58B)에 감겨져 있다.
여기에서, 양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는,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공통의 기초부측 바퀴체축(90)에 작동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며, 그 때에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는, 주행본체(14A)의 센터(14A)를 사이에 끼워서 좌우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양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의 서로 대향한 내측면 사이에, 천정측 레일(7)이 끼워 넣기가 자유로운 간격(91)이 형성된다.
또 양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는, 상부 프레임(13)의 상면(13a)에 대하여, 그 상부가 약간 돌출하는 상태에서 설치되고, 따라서 천정측 레일(7)을 부착한 들보재(9)의 하면(9a)(또는 천정면)과 상부 프레임(13)의 상면(13a)과는 충분하게 접근시킬 수 있다.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에 감긴 제1와이어(57A)에 감긴 제1와이어(57A)는, 아래로 늘어 뜨려진 후 캐리지(15)에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B)에 감긴 제2와이어(57B)는, 승강 구동 유니트(50)와는 떨어진 측에서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작은 직경의 상부안내 바퀴체(작동부측 안내 바퀴체)(59)에 감겨지고, 아래로 늘어 뜨려진 후, 캐리지(15)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작은 직경 안내 바퀴체(59)는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작동부측 바퀴체 축(92)에 작동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그 때에 주행본체(14)의 센터(14A)에 대하여 타측으로 위치 변화하여, 즉, 천정측 레일(7)의 타측면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작은 직경 안내 바퀴체(59)도 상부 프레임(13)의 상면(13a)에 대하여, 그 상부가 약간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본체(14)의 상부로 되는 상부 프레임(13)의 전후 양단면에는 쓰러짐 방지 부재(93)가 고정되고, 이들 쓰러짐 방지 부재(93)에는 상기 천정측 레일(7)의 끼워 넣기를 허용하는 오목부(94)가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쓰러짐 방지 부재(93)의 오목부(94)에 대한 전후 외방이 위치에는 상기 천정측 레일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19)가, 종축(95)을 통하여 작동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제6실시예(제14도 내지 17도)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10)는 주행본체(14)의 센터(14A)가 천정측 레일(7)의 센터(7A)에 일치된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치작업등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행본체(14)의 주행시에 상부측 가이드는 주행본체(14)의 센터(14A)에 그 센터(7A)가 일치된 형상의 천정측 레일(7)에 대하여 가이드 로울러(19)가 양측으로부터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입출고구(16)를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입출고 작업시의 편하중에 의하여 천정측 레일(7)에 가이드 로울러(19)가 강하게 맞닿은 스토퍼 작용시일지라도 힘은 양 센터(14A),(7A)의 부분에 집중하여 분산하지 않고 주행본체(14)는 구부러지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스토퍼 작용시에 가이드 로울러(19)를 설치한 쓰러짐 방지 부재(93)의 연결부(부착 뿌리 부분)에는 큰 구부림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고, 그 연결을 파손할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이드 로울러(19)가 파손했다고 하여도 천정측 레일(7)의 측면에 쓰러짐 방지 부재(93)가 맞닿아서 주행본체(14)가 좌우로 쓰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양 큰 직경 상부 안내 바퀴체(58A),(58B) 사이, 및 작은 상부 안내 바퀴체(59)의 한쪽에 천정측 레일(7)이 위치되는 것에 의하여 이들 안내 바퀴체(58A),(58B),(59)가 천정측 레일(7)에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일 없이 입출고 장치(10)의 주행을 행한다.
상기한 제6실시예에서는 쓰러짐 방지 부재(93)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19)를 부착한 형식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서는 쓰러짐 방지 부재(93)와 가이드 로울러(19)를 주행본체(14)의 상부에 대하여 따로 따로 부착한 실시예여도 좋다.
제18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다.
하부 프레임(11)에는 마루측 레일(100)에 지지안내되는 구동차바퀴(17)와, 종동차바퀴(18)가 전후로 나누어 배치됨과 동시에, 마루측 레일(100)에 안내되는 하부 가이드 로울러(23)가 전후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루측 레일(100)은 차바퀴(17),(18)가 위로부터 맞닿음과 동시에, 하부 가이드 로울러(23)가 양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상위 플랜지부(101)와, 종방향의 웨브부(102)와, 하위 플랜지부(103)에 의하여 단면에 I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웨브부(102)의 양측면에는, 측방에서 개방하는 개미홈 형상의 부착부(104),(105)가 각각 상하 여러 단으로 돌설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또 하위 플랜지부(103)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개방하는 개미홈 형상의 결합부(106)가 좌우 한 쌍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루측 레일(10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성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부착부(104),(105)나 결합부(106)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 마루측 레일(100)은, 그 상위 플랜지부(101)의 일측이, 피검출체(후술함)의 부착 범위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플랜지부(101a)에 형성되고, 그리고 돌출 플랜지부(101a)의 테두리부에 아래로 형성된 조부(10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는, 하위 플랜지부(103)의 측테두리부에 대하여 소정의 칫수(L)만큼 측외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플랜지부(101a)의 하면에서 또 아래로 형성된 조부(101b)의 내측이,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 받이면(101c)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마루측 레일(10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마루측 레일 지지장치(110)를 통하여 마루 상에 부설된다. 즉 마루측 레일 지지장치(110)는, 앵커보울트(111)를 통하여 마루 상에 고정부착되는 앵커 베이스(112)와, 나사맞춤 조작에 의하여 상하 조정이 자유로운 연결구(113)를 통하여 상기 앵커 베이스(112)의 윗 쪽에 설치되는 브라케트(114)등으로 구성되며, 이 브라케트(114) 상에 마루측 레일(100)이 고정된다.
여기에서 연결구(113)는, 앵커 베이스(112)상에 수직으로 세운 좌우 한 쌍의 통체(115)를 가지며, 이들 통체(115)에는 외나사(116)와 내나사(1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나사(116)에 나사맞춤하는 너트체(118)에 대하여 상기 브라케트(114)가 위로부터 재치가 자유롭게 구성됨과 동시에, 이 브라케트(114)의 단부에 형성한 보울트 구멍에 위로부터 통과한 보울트(119)가, 상기 내나사(117)에 나사맞춤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체(118)에 대하여 브라케트(114)를 위로부터 재치시키고, 그리고 보울트 구멍에 위로부터 통과한 보울트(119)를 내나사(117)에 소정량 나사맞춤시킨 후, 외나사(116)에 나사맞춤하고 있는 너트체(118)를 상운동시켜서 보울트(119)의 머리부와 너트체(118)에서 브라케트(114)를 끼움으로써, 브라케트(114)는 연결구(113)에 의하여 마루면에 대하여 소정의 레벨로 고정된다.
또 마루측 레일(100)의 결합부(106)에는 판 너트(107)가 삽입되어 있으며, 따라서 브라케트(114)의 중간부에 형성한 보울트 구멍에 아래 쪽으로부터 통과한 보울트(120)를 상기 판너트(107)에 나사맞춤시킴으로써, 이 브라케트(114)상에 마루측 레일(100)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웨브부(102)의 양측면에 형성한 상기 부착부(104),(105)에도 각각 판너트(108),(109)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웨브부(102)의 일측면에 대향시킨 주행제어용의 피검출체(121)는, 그 외측방으로부터 통과한 보울트(122)를 판너트(108)에 나사맞춤시킴으로써, 웨브부(102) 일측면에 고정된다. 또 상기 웨브부(102)의 타측면에 대향시킨 전력공급 유니트(125)는, 그 외측방으로부터 통과한 보울트(126)를 판너트(109)에 나사맞춤시키는 것에 의하여, 웨브부(102)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피검출체(121)는, 단면에 L자형상으로서, 그 일변에 형성한 보울트 구멍에 상기 보울트(122)를 외측방으로부터 통과한 후, 판너트(108)에 나사맞춤시키는 것으로, 마루측 레일(10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검출체(121)에 있어서의 수평형상의 다른 변의 작동단에 상하방향의 넓은 폭부를 형성하여,, 이 넓은 폭부의 외면을, 측방을 향한 피검출면(121a)에 형성하고 있다. 또 피검출체(121)는, 고속커트용이나 정위치·중속 커트용 등에 이용되며, 마루측 레일(100)의 길이방향의 소정 개소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1)에서 또 하부 가이드 로울러(23)의 하방위치에는, 상기 피검출면(121a)에 횡측방으로부터 대향이 자유로운 주행제어용의 검출장치(130)가 설치된다. 이 검출장치(130)는, 예를 들면 한정반사형의 광전관 장치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11)에 부착한 브라케트(131)의 내면측에, 횡방향으로 위치조정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 입출고 장치(10)의 하부에는 집전장치(132)가 설치되며, 이 집전장치(132)에는, 상기 전력공급 유니트(124)의 레일부에 미끄럽게 접하는 것이 자유로운 여러 집전자(集電子)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입출고 장치(100)의 하부에서 양 차바퀴(17),(18)의 근방에는, 각각 상기 돌출 플랜지부(101a)에 대하여 아래 쪽으로부터 맞닿는 것이 자유로운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140)가 작동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하부 프레임(11)의 전후양부에서, 이 하부 프레임(11) 측에 좌우방향이 로울러축(141)이 설치되고, 이들 로울러축(141)에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140)가 부착된다. 그 때에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140)는 상기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 받이면(140c)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것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제7실시예(제18도 내지 제20도)에 의하면, 입출고 장치(10)의 주행운동은, 상위 플랜지부(101)의 상면에 양 차바퀴(17),(18)가 지지안내되고, 또 상위 플랜지부(101)의 좌우측면에 하부 가이드 로울러(23)가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안정하여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입출고 장치(10)에의 전력공급이나 제어신호의 주고 받음은, 전력공급 유니트(125)의 레일부에 대하여 집전장치(132)의 집전자가 미끄럽게 접하는 것에 의하여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입출고 장치(10)의 주행제어, 즉 고속커트나 정위치 및 중소커트 등은, 피검출체(121)의 피검출면(121a)을 검출장치(130)가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때에, 피검출면(121a)의 윗 쪽 또 일측 외방으로 돌출 플랜지부(101a)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 차바퀴(17),(18)나 하부 가이드 로울러(23)가 구름운동됨으로써 생긴 마모먼지, 및 자동창고의 상부측으로부터 낙하하여 온 먼지 등이 피검출면(121a)에 부착하기 어렵게 되고(오염 어려움), 이로써 피검출면(121a)은, 장기간에 걸쳐서 깨끗한 면이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피검출면(121a)에 대한 검출장치(130)는 항상 정도 좋게 행하며, 이로써 주행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의 제어는 정확, 안전하게 행한다.
또,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로부터 피검출면(121a) 측으로의 직접적인 먼지의 오염이,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에 형성한 아래로 형성된 조부(101b)에 의하여 방지되는 것이고, 이로써 먼지가 피검출면(121a)에 대하여 접근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103)의 측테두리부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시켜서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의 측방을 통과한 먼지가 하위 플랜지부(103)상에 낙하하여 퇴적하기 어렵게 되고, 이로써 하위 플랜지부(103) 상의 먼지가 흩날려서 피검출면(121a)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입출고 장치(10)의 가감속시나 고속주행시, 및 비상 정지시 등에 있어서의 충격에 의하여 마루측 레일(100)에 대하여 차바퀴(17),(18)의 한 쪽이 떠오르고자 한 때, 이들 차바퀴(17),(18)의 근방에 위치한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140)가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 받이면(101c)에 아래쪽으로부터 신속하게 맞닿아서, 차바퀴(17),(18)의 떠오름을 저지하는 것으로 되고, 이로써 입출고 장치(10)의 바퀴 탈선이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7실시예(제18도∼제20도)에서는,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에 아래로 형성한 조부(101b)를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래로 형성한 조부(101b)를 가지지 않는 마루측 레일(100)이라도 좋다. 또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103)의 측테두리부보다 측외방으로 돌츨시키고 있으나, 이것은 돌출 플랜지부(101a)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103)의 측테두리부보다 내측에 위치시킨 마루측 레일(100)이어도 좋다.
또 검출장치(130)로서 한정 반사형의 광전관장치를 채택하였으나, 이것은 통상의 반사형의 광전관 장치이어도 좋다.

Claims (16)

  1.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기둥으로 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면측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를 행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적어도 타측면에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승강 구동 유니트의 상방으로 하부 안내 바퀴체를 설치하여, 양 안내 바퀴체 사이에 걸린 와이어를 전후부 오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 구동 유니트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교형상의 좌우방향 축심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드럼을 가지며, 이 드럼으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바퀴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하부 안내 바퀴체를, 상기 좌우방향 축중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안내 바퀴체와 그 지지축 사이에, 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시에 발생하는 와이어의 횡방향에 의하여, 이 하부 안내 바퀴체를 좌우방향 축심을 따라서 왕복이동시키는 축받이 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 측에, 하부 안내 바퀴체(60A),(60B)로부터 승강 구동 유니트에 이르는 와이어(57A),(57B)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측에, 전후부 오목홈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11)은, 마루측 레일에 지지안내되는 주행 차바퀴를 가지며, 승강 구동 유니트는, 지지기둥에 대향하는 드럼과, 이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방에 배치한 승강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타측방에, 주행 차바퀴에 연이어 작동하는 주행 구동 유니트를 배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으로 한 쌍으로서, 양 지지기둥(12) 사이에 캐리지를 설치하고, 와이어(57A),(57B)는 여러 개이며, 캐리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나누어져 연결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1개이며 적어도 1개의 와이어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타측면에 좌우방향으로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의 양측면에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며,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의 좌우면에 의하여 좌우 진동방지용 좌우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양 좌우부 오목홈의 전후방향면에 의하여 전후 진동방지용의 전후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이들 좌우방향 가이드면과 전후방향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0.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지지기둥에 의하여 주행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 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견인체의 감기 및 풀기를 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여러 개의 견인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좌우 여러 개의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상기 안내 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누어서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의 안내 바퀴체 사이에, 천정측 레일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간격을 형성하며, 주행본체의 상부에, 천정측 레일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와, 천정측 레일의 끼워 넣기를 허용하는 쓰러짐 방지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으로 한쌍으로서, 양 지지기둥(12) 사이를 상부 프레임(13)에 의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양 지지기둥(12) 사이에 캐리지를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견인체를, 승강 구동 유니트(50)측에서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기초부측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좌우방향에서 일측의 견인체는 캐리지에 연결하고 또 좌우방향에서 다른 쪽의 견인체는, 승강 구동 유니트(50)와는 떨어진 쪽에서,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작동부측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캐리지에 연결하고, 상기 기초부측 안내 바퀴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측 안내 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에 대하여 다른 측에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1개이며 적어도 여러 개의 안내 바퀴체로부터의 견인체를 캐리지에 연결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쓰러짐 방지부재에 좌우 한쌍의 가이드 로울러를 부착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4. 마루측 레일(100)에 주행 차바퀴를 통하여 지지안내되어 일정경로 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마루측 레일(100)은 단면이 I자 형상이며, 웨브부의 일측면에, 피검출면을 측방을 향한 피검출체를 부착하며, 상위 플랜지부의 일측은, 피검출체의 부착 범위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플랜지부에 형성하며, 상기 입출고 장치의 하부에, 상기 피검출면에 측방으로부터 마주보는 것이 자유로운 주행제어용의 검출장치와,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부터 맞닿는 것이 자유로운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에 아래를 향하는 조부를 형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1019940021988A 1994-02-07 1994-09-01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016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3043 1994-02-07
JP06013043A JP3092430B2 (ja) 1994-02-07 1994-02-07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6015605A JPH07223708A (ja) 1994-02-10 1994-02-10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94-15605 1994-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51A KR950024951A (ko) 1995-09-15
KR0164631B1 true KR0164631B1 (ko) 1998-12-01

Family

ID=2634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988A KR0164631B1 (ko) 1994-02-07 1994-09-01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64528A (ko)
EP (1) EP0666236B1 (ko)
KR (1) KR0164631B1 (ko)
DE (1) DE69418999T2 (ko)
ES (1) ES2132290T3 (ko)
SG (1) SG97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115B1 (ko) * 2010-01-29 2012-06-28 (주)금강오토텍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612B2 (en) * 2002-03-29 2005-08-02 TGW Transportgeräte GmbH & Co. KG Load-handling system and telescopic arm therefor
US20050269155A1 (en) * 2004-05-21 2005-12-08 Tzu-I Chen Tall building escape apparatus
AT507335B1 (de) * 2008-09-08 2012-04-15 Swisslog Evomatic Gmbh Regalbediengerät
ES2351333B1 (es) * 2010-09-06 2011-09-15 Mecalux S.A. Transelevador para el transporte de cargas.
JP5459557B2 (ja) * 2010-12-16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459558B2 (ja) * 2010-12-24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04587838U (zh) * 2012-09-05 2015-08-26 村田机械株式会社 堆装起重机
US9802801B2 (en) * 2012-09-05 2017-10-31 Murata Machinery, Ltd. Stacker crane
CN103081972A (zh) * 2013-01-28 2013-05-08 梁祥 多层传送式食品冷却机器
NL2011132C2 (en) * 2013-07-10 2015-01-13 Stertil Bv Lifting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fting system.
US20150220896A1 (en) * 2014-01-31 2015-08-06 Wal-Mart Stores, Inc. Kiosk transactions
EP3519341B1 (en) 2016-09-29 2021-05-26 Inventio AG Car safety supervising unit and entity safety supervising unit for an elevator
WO2018229905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KR102327555B1 (ko) * 2017-07-07 2021-11-1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시스템
JP6954450B2 (ja) * 2018-03-19 2021-10-27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DE102019115025A1 (de) * 2019-06-04 2020-12-10 Dematic Gmbh Hubvorrichtung für einen Hubwagen
CN111255216A (zh) * 2020-03-09 2020-06-09 上海雅跃智能科技有限公司 移动底盘
CN113104700A (zh) * 2021-04-30 2021-07-13 中汽昌兴(洛阳)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挂式楼房仓库升降机
CN113264434B (zh) * 2021-05-31 2022-05-20 张世恩 一种用于房建施工的物料转移装置
CN117023456B (zh) * 2023-04-18 2024-03-19 深圳市旭日东自动化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立体仓库用货物搬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114C (ko) *
US3184083A (en) * 1963-01-25 1965-05-18 Triax Co Load checking and positioning devices f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DE1802410C3 (de) * 1968-03-20 1975-06-19 Standard Alliance Industries Inc., Chicago, Ill. (V.St.A.) Fahrbares Regalförderzeug
US3542161A (en) * 1968-08-23 1970-11-24 Eaton Yale & Towne Load height indicator for industrial trucks
CH516474A (de) * 1970-06-06 1971-12-15 Bachmann Marcel Seillenkvorrichtung an einer Seiltrommel
US3830379A (en) * 1972-02-24 1974-08-20 Harnischfeger Corp Automatic warehouse crane
US3887038A (en) * 1973-01-19 1975-06-03 Veda Inc Lift apparatus
US4015686A (en) * 1973-01-29 1977-04-05 Bushnell Jr Sherman W Portable multi-stage mechanical list
JPS533529A (en) * 1976-06-24 1978-01-13 Labaz Medicine for central nerve system containing acetoxim as effective ingredient
DE3020732C2 (de) * 1980-05-31 1985-01-10 Larf M. Frisch KG Förder- und Lagertechnik, 7401 Pliezhausen Hochregalbediengerät
US4331418A (en) * 1980-08-28 1982-05-25 Harnischfeger Corporation Double masted warehouse crane
SU1055696A1 (ru) * 1982-02-17 1983-11-23 Всесоюз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Кран-штабелер
JPH0659924B2 (ja) * 1986-06-06 1994-08-10 株式会社ダイフク 倉庫用クレ−ンの上部案内装置
US5380139A (en) * 1986-06-30 1995-01-10 Kone Oy Load handling method and system
JP2585575B2 (ja) * 1987-03-06 1997-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レ−ンの組み立て方法
US4750592A (en) * 1987-03-20 1988-06-14 United States Elevator Corp. Elevator position reading sensor system
DE3837732A1 (de) * 1988-11-07 1990-05-10 Acr Braendli & Voegeli Ag Scheinwerfer fuer mehrfarbiges licht
DE3837731C1 (ko) * 1988-11-07 1990-05-10 Helmut Dipl.-Ing. 4670 Luenen De Neuhaeuser
CH678310A5 (en) * 1989-06-07 1991-08-30 Manitec Ag Storage shelving unit with single spaces - has at least two shelving sets with gangway between rows, and vehicular track and lift
US5056625A (en) * 1989-09-22 1991-10-15 Harnischfeger Engineers, Inc. Low profile base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DE4005997C1 (ko) * 1990-02-26 1991-04-18 Man Gutehoffnungshuette Ag, 4200 Oberhausen, De
US5226782A (en) * 1990-05-07 1993-07-13 Stanley-Vidmar, Inc.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9105077U1 (de) * 1991-04-25 1991-07-11 Keuro Maschinenbau Gmbh & Co Kg, 7590 Achern Regalbediengerät in Form eines Portalkranes für ein Materiallager für stangenförmiges Material
JPH04338099A (ja) * 1991-05-13 1992-11-25 Daifuku Co Ltd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DE4117857A1 (de) * 1991-05-31 1992-12-03 Weiner Rudolf Krankenhebe- und -transportvorrichtung
US5284226A (en) * 1991-12-11 1994-02-08 Daifuku Co., Ltd. Carriage guiding post in a transfer lifter
JPH05246509A (ja) * 1992-03-10 1993-09-24 Daifuku Co Ltd 自動倉庫
US5355976A (en) * 1992-07-31 1994-10-18 Daifuku Co., Ltd.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KR0156946B1 (ko) * 1993-01-26 1999-02-18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출고 장치
JPH06246509A (ja) * 1993-02-19 1994-09-06 Hitachi Seiko Ltd 被加工物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115B1 (ko) * 2010-01-29 2012-06-28 (주)금강오토텍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8999T2 (de) 1999-12-02
DE69418999D1 (de) 1999-07-15
SG97731A1 (en) 2003-08-20
EP0666236B1 (en) 1999-06-09
EP0666236A1 (en) 1995-08-09
KR950024951A (ko) 1995-09-15
US5564528A (en) 1996-10-15
ES2132290T3 (es)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631B1 (ko)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950032954A (ko) 전자동 파렛트-창고장비
JP6143630B2 (ja) 索状体の異常検出装置
JP3092430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WO2009064040A1 (en) Car lift for construction work
KR970007018B1 (ko) 입출고용 주행 크레인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3064788B2 (ja) 自動倉庫
KR100257112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CN218403249U (zh) 钢带曳引机和电梯装置
JP2561491B2 (ja) 立体駐車場装置
JP3018370U (ja) 立体式駐車装置のパレット保持機構
JP2560594B2 (ja)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743722B2 (ja) 2本支柱型昇降搬送装置
JP3368656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4465125B2 (ja) 立体駐車装置
JP6170424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H08170437A (ja) 立体駐車装置
KR19990038656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JPH07251904A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2004076511A (ja) 駐車装置
JP2019035211A (ja) 作業用防護装置
JPH06247509A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H0572816U (ja) スタッカ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