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115B1 -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115B1
KR101161115B1 KR1020100008525A KR20100008525A KR101161115B1 KR 101161115 B1 KR101161115 B1 KR 101161115B1 KR 1020100008525 A KR1020100008525 A KR 1020100008525A KR 20100008525 A KR20100008525 A KR 20100008525A KR 101161115 B1 KR101161115 B1 KR 10116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lifting
lowe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826A (ko
Inventor
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금강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오토텍 filed Critical (주)금강오토텍
Priority to KR102010000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1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11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반부를 승강시키는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부하를 경감하고 벨트의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모노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연결되며 벨트(21)의 권취부를 통해 후술하는 운반부(3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벨트(21)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주름막형 커버막(40), 신축형 커버관(50), 커버판(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AUTOMATED MONORAIL TRANSPORT APPARATUS FOR PROTECTING BELT}
본 발명은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모노레일을 이용하여 물품을 운반 및 승강시킬 때 물품을 승강시키는 벨트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대부분이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는데 따른 생산라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운송차량에 물품이 매달려진 상태로 운송차량의 차륜이 모노레일의 하부 플랜지상으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안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생산능률의 향상을 기하고 있다.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로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받은 제0500728호가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모노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연결되며 벨트(21)의 권취부를 통해 후술하는 운반부(3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주행구동부(10), 승하강이송부(20), 운반부(30) 및 상기 제어부는 공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승하강이송부(20)에 대해서만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승하강이송부(20)는 권취모터, 상기 권취모터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며 상기 권취드럼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에서 풀리거나 감겨 운반부(3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다수의 벨트(21)로 구성된다.
도 1은 운반부(30)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따르면, 운반부(3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벨트(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벨트(21)에 묻게 되어 벨트(21)가 감기거나 풀릴 때 부드럽지 못하여 구동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운반물 등에 의해 벨트(21)가 손상될 수도 있으며, 벨트(21)가 외부로 보이게 되어 벨트(21)에 의존하는 운반부(30)가 추락할 위험을 느낄 수 있는 등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반부를 승강시키는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부하를 경감하고 벨트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와; 주행구동부의 저부에 연결되며 벨트의 권취부를 통해 후술하는 운반부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와; 승하강이송부의 벨트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와; 주행구동부와 승하강이송부 그리고 운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벨트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주름막형 커버막, 신축형 커버관, 다수의 커버판으로 이루어진 커버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의하면, 커버(주름막형 커버막, 텔레스코픽 타입의 커버관, 제1,2커버판)에 의해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공장이나 산업현장 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벨트에 묻지 않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부하가 커지지 않으므로 동작이 부드럽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운반부의 추락 위험 및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에 적용된 커버관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측면도로 커버막이 접힌 상태의 측면도.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모노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연결되며 벨트(21)의 권취부를 통해 후술하는 운반부(3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벨트(21)를 보호하는 주름막형 커버막(4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벨트(21)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주행구동부(10), 승하강이송부(20), 운반부(30) 및 상기 제어부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것이 적용 가능한 것이다.
커버막(40)은 주름막이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운반부(3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접혀 있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운반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펼쳐진다.
커버막(40)은 도면에서처럼 각각의 벨트(21) 둘레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주행구동부(10)와 운반부(30)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벨트(21)를 보호할 수도 있다.
커버막(40)은 상하부가 각각 승하강이송부(20)(예를 들어,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와 운반부(30)에 고정된다.
커버막(40)의 고정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수의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과 운반부(30)에 각각 레일(23,31)을 형성하며 커버막(40)의 상하부에 각각 레일(23,31)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고정구(41,42)를 볼트 등으로 결합하여 고정구(41,42)와 레일(23,31)을 통해 커버막(4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커버막(40)은 운반부(30)가 하강할 때에는 잘 펼쳐지고 운반부(30)가 상승할 때에는 잘 접힐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질(합성수지, 고무 등)로 이루어지고, 불투명 또는 벨트(2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내지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운반부(30)가 승하강이송부(20)측으로 상승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커버막(40)은 승하강이송부(20)와 운반부(30) 사이에 접혀 있다.
운반부(30)는 주행구동부(10)의 구동력을 통해 레일(1)을 따라 이동하며 운반물의 탑재 위치에서 운반물을 탑재한다. 이때, 운반물의 탑재를 위하여 운반부(30)가 하강하여야 할 경우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의해 운반부(30)가 하강하며, 즉, 벨트(21)가 풀리게 되어 운반부(30)가 하강하게 된다.
운반부(30)가 하강함에 따라 운반부(30)에 하단부가 고정된 커버막(40)이 서서히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운반부(30)가 하강하여도 커버막(40)에 의해 벨트(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단 커버막(4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경우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은 가능하다).
운반부(30)의 하강이 완료되면 커버막(40)은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 상태로 벨트(21)를 보호하여 공장이나 산업현장 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벨트(21) 주변에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운반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 운반물을 운반하며, 예를 들어 운반물의 하역 위치에서 운반부(30)의 위치를 높여야 할 경우 벨트(21)에 의해 운반부(30)가 상승하고, 운반부(30)가 상승하면서 커버막(40)을 접게 되어 벨트(21)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벨트(21)가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관(50)으로 구성되며,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커버관(50)은 운반부(30)의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의 다수(도면에는 2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단위 관(51,52)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벨트(21)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제1단위 관(51)은 상단부가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에 고정되고 제2단위 관(52)은 하단부가 운반부(30)에 고정된다.
제1,2단위 관(51,52)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 가능하다.
제1,2단위 관(51,52)은 볼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캐비넷(22)과 운반부(30)에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에서처럼 제1,2단위 관(51,52)은 각각 2개의 반원형 편이 일측은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반원형 편을 벌려 벨트(21)를 감싼 후 상기 체결구를 통해 제1,2단위 관(51,52)을 완성한다.
커버관(50)은 불투명, 투명 내지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단위 관(51,52)이 분리되지 않도록 제1,2단위 관(51,52)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부(30)가 승하강이송부(20) 저부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도 7에서처럼, 제2단위 관(52)이 제1단위 관(51)에 삽입되어 있으며, 운반부(30)가 하강하면 제2단위 관(52)이 제1단위 관(51)에서 빠져나와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도 6과 같이 운반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쪽으로 상승하면 제2단위 관(52)이 제1단위 관(51)에 삽입되어 길이가 짧아진다.
<실시예 3>
도 9 내지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는, 상부가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에 고정되는 제1커버판(61), 하부가 운반부(30)에 고정되면서 제1커버판(61)에 레일(63)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부(30)의 승강시 제1커버판(61)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벨트(21)를 덮는 제2커버(62)판으로 이루어진 커버판(60)이 포함된다.
커버판(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2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1커버판(61)의 상부와 제2커버판(62)의 하부는 각각 캐비넷(22)과 운반부(30)에 볼트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불투명, 투명 내지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2커버판(61,62)이 분리되지 않도록 제1,2커버판(61,62)의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레일(63)은 제1,2커버판(61,62)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제1,2커버판(61,62)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한 모든 것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더브테일(dovetail) 형태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반부(30)가 승하강이송부(20) 저부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도 11에서처럼, 제2커버판(62)이 제1커버판(61)에 겹쳐 있으며, 운반부(30)가 하강하면 제2커버판(62)이 레일(63)을 통해 제1커버판(61)에서 빠져나와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도 10과 같이 운반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하강이송부(20)의 캐비넷(22)쪽으로 상승하면 제2커버판(62)이 레일(63)을 따라 상승하여 제1커버판(61)에 겹쳐지게 된다.
1 : 레일, 10 : 주행구동부
20 : 승하강이송부, 21 : 벨트
22 : 캐비넷, 30 : 운반부
40 : 커버막, 50 : 커버관
51,52 : 단위 관, 60 : 커버판
61,62 : 제1,2커버판

Claims (6)

  1. 삭제
  2.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벨트(21)를 통해 연결되며 권취부를 통해 상기 벨트(21)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승하강이송부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상기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승하강이송부의 벨트(21)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하 양측이 상기 승하강이송부와 상기 운반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운반부의 승강에 따라 절첩되면서 상기 벨트(21)를 외부와 밀폐하는 주름막 형태의 커버막(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3.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벨트(21)를 통해 연결되며 권취부를 통해 상기 벨트(21)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승하강이송부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상기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승하강이송부의 벨트(21)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서로 다른 직경의 단위 관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벨트(21)가 삽입되며 상하 양측이 각각 상기 승하강이송부와 상기 운반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운반부의 승강시 절첩되면서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관(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4. 삭제
  5.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신호선과 동력선이 구비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구동부(10)와; 주행구동부(10)의 저부에 벨트(21)를 통해 연결되며 권취부를 통해 상기 벨트(21)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이송부(20)와; 승하강이송부(20)의 벨트(21)에 연결되며 운반물이 수용되고 상기 승하강이송부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운반물을 운반하는 운반부(30)와; 상기 주행구동부(10)와 승하강이송부(20) 그리고 운반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승하강이송부의 벨트(21)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승하강이송부에 고정되는 제1커버판(61), 상기 운반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커버판에 레일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운반부의 승강시 상기 제1커버판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벨트를 덮는 제2커버판(62)으로 이루어진 커버판(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6. 삭제
KR1020100008525A 2010-01-29 2010-01-29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116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25A KR101161115B1 (ko) 2010-01-29 2010-01-29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525A KR101161115B1 (ko) 2010-01-29 2010-01-29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26A KR20110088826A (ko) 2011-08-04
KR101161115B1 true KR101161115B1 (ko) 2012-06-28

Family

ID=4492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525A KR101161115B1 (ko) 2010-01-29 2010-01-29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1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631B1 (ko) * 1994-02-07 1998-12-01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100500728B1 (ko) * 2005-03-02 2005-07-12 (주)금강오토텍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631B1 (ko) * 1994-02-07 1998-12-01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100500728B1 (ko) * 2005-03-02 2005-07-12 (주)금강오토텍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826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44451B (zh) 用于月台门罩或月台门封的头帘
CA2866172C (en) Conveyor belt roller replacement
KR101755004B1 (ko) 자율 주행형 랩핑장치
US20130306442A1 (en) Conveyor having bottom opening for accommodating a conveyor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9476455B (zh) 具有特殊构造的保护顶盖的电梯设备
EP1741662B1 (en) Trench duct for a crane cable
CN102211700B (zh) 一种带有盖体的运输容器
KR101161115B1 (ko)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JP2007196246A (ja) コイルカーとフロアプレートの連結装置
CN206826487U (zh) 汽车跨运设备
CN208009499U (zh) 一种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升降平台
CN114212612B (zh) 一种电力线缆自动收放线设备
JP2012241381A (ja) 二多段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4260729B2 (ja) 機械式駐輪場
JP2006036411A (ja) 金属帯コイル搬送用台車、金属帯コイルの搬送方法、及び金属帯コイルの貯留、搬送設備列
CN206218733U (zh) 皮带撕裂报警停机装置
TWI410364B (zh) 設有昇降機構之軌道行走台車
CN201614655U (zh) 排水厢涵清淤设备
KR101536911B1 (ko) 연속식 하역기
CN210312597U (zh) 装卸系统
CN207844911U (zh) 安装两用检修平台的防爆起重机
JP668122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190121005A (ko)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CN221093279U (zh) 一种不易脱落的钢丝绳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