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24951A - 자동창고용 입축고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입축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24951A
KR950024951A KR1019940021988A KR19940021988A KR950024951A KR 950024951 A KR950024951 A KR 950024951A KR 1019940021988 A KR1019940021988 A KR 1019940021988A KR 19940021988 A KR19940021988 A KR 19940021988A KR 950024951 A KR950024951 A KR 95002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warehouse
warehouse entry
carriage
support pillar
exi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4631B1 (ko
Inventor
유키히로 고토
유소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013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24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6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2370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filed Critical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Publication of KR95002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05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입출고 장치(10)의 가감속시나 정지시에 있어서의 충격에 의하여 지지기둥(12)이 전후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은, 통형상부(30)로부터 전후방향(X)으로 돌출한 구석 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프레임(11) 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다. 캐리지(15)상의 입출고구에 의하여 입출고 작업을 할 때에, 지지기둥(12)이 좌우방향(Y)에서 경사하는 힘은, 지지기둥(12)의 통형상부(30)로부터 좌우방향(Y)으로 돌출한 구석 돌조부(33)에 의한 보강구조도 겸하여, 하부 프레임(11)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다. 지지기둥(12)이 전후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이나 좌우방향에서 기울고자 하는 힘을 하부 프레임 측에서 강고하게 흡수할 수 있고,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에서 기울어지는 등의 발생하지 않고,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입축고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2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
제3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하부 프레임 부분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에 있어서의 상부 프레임 부분의 평면도.

Claims (20)

  1. 하부 프레임고,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지지기둥에 의하여 주행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 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전후면의 일면을 따라서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은, 횡단면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각 구석부로부터 전후좌우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석 돌조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있어서 전후외면에서 좌우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중앙돌조부를 가져서 일체성형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형상부는, 서로 마주 본 한 쌍의 긴 변부와, 서로 마주 본 한 쌍의 짧은 변부에 의하여 횡단면으로 사각형으로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기둥을, 한 쌍의 짧은 변부를 전후 외면으로 하여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하부 프레임(11)에 대하여 한 개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캐리지측의 진동방지용 로울러를, 구석 돌조부의 캐리지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면과, 지지기둥의 캐리지측을 향하는 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맞닿게 배치되어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횡단면으로 전후 대칭 및 좌우대칭으로서 일체성형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5.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기둥으로 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 본체의 주행방행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면측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를 행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차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고, 상기 지지기둥은, 적어도 타측면에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승강 구동 유니트의 상방으로 하부 안내 바퀴체를 설치하여, 양 안내 바퀴체 사이에 걸린 와이어를 전후부 오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승강 구동 유니트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교형상의 좌우방향 축심의 주위에 회전 이 자유로운 드럼을 가지며, 이 드럼으로부터의 와이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상부 안내 차바퀴체를 통하여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하부 안내 차바퀴체를, 상기 좌우방향 축 중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안내 차바퀴체와 그 지지축 사이에, 드럼에 의한 와이어의 감기 및 풀기시에 발생하는 와이어의 횡방향에 의하여, 이 하부 안내 차바퀴체를 축심을 따라서 왕복이동시키는 축받이 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 측에, 하부 안내 바퀴체(60A), (60B)로부터 승강 구동 유니트에 이르는 와이어(57A), (57B)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 창고용 입출고 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 측에, 전후부 오목홈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13)은, 마루측 레일에 지지안내되는 주행 차바퀴를 가지며, 승강 구동 유니트는, 지지기둥에 대향하는 드럼과, 이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일측방에 배치한 승강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타측방향에, 주행 차바퀴에 연이어 작동하는 주행 구동 유니트를 배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1.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으로 한 쌍으로써, 양 지지기둥(12) 사이에 캐리지를 설치하고, 와이어(57A), (57B)는 여러 개이며, 캐리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나누어져 연결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2.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1개이며 적어도 1개의 와이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3.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타측면에 좌우방향으로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의 양측면에 오목홈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며, 한 쌍의 전후부 오목홈의 좌우면에 의하여 좌우진동 방지용 좌우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양 좌우부 오목홈의 전후방향면에 의하여 전후 진동방지용의 전후방향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이들 좌우방향 가이드면과 전후방향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자동 창고용 입출고 장치.
  14. 하부 프레임과, 이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운 지지기둥에 의하여 주행본체를 구성하며, 이 주행본체의 주행 방향인 전후방향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면에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를 설치한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지지기둥의 타측면의 하부에, 견인체의 감기 및 풀기를 하는 승강 구동 유니트를 설치하며, 이 승강 구동 유니트로부터의 여러개의 견인체를, 주행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좌우 여러 개의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상기 캐리지에 연결하며, 상기 안내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누어서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의 안내 바퀴체 사이에, 천정측 레일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간격을 형성하며, 주행본체의 상부에, 천정측 레일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와, 천정측 레일의 끼워 넣기를 허용하는 쓰러짐 방지부재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전후방향으로 한 쌍으로써, 양 지지기둥(12) 사이를 상부 프레임(13)에 의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양 지지기둥(12) 사에 캐리지를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견인체를, 승가 구동 유니트(50) 측에서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기초부측 안내 바퀴체에 감은 후, 좌우방향에서 일측의 견인체는 캐리지에 연결하고 또 좌우방향에서 다른 쪽의 견인체는, 승강 구동 유니트(50)와는 떨어진 쪽에서, 상부 프레임(13)에 설치한 작동부측 안내바퀴체에 감은 후, 캐리지에 연결하고, 상기 기초부측 안내바퀴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측 안내바퀴체는 주행본체의 센터에 대하여 다른 측에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지지기둥(12)은, 1개이며 적어도 여러 개의 안내 바퀴체로부터 견인체를 캐리지에 연결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쓰러짐 방지부재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를 부착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8. 마루측 레일(100)에 주행차바퀴를 통하여 지지안내되어 일정경로 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로서, 상기 마루측 레일(100)은 단면이 I 자 형상이며, 웨브부의 일측면에, 피검출면을 측방을 향한 피검출체를 부착하며, 상위 플랜지부의 일측은, 피검출체의 부착범위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플랜지부에 형성하며, 상기 입출고 장치의 하부에, 상기 피검출면에 측방으로부터 마주 보는 것이 자유로는 주행제어용의 검출장치와, 상기 돌출 플랜지부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부터 맞닿는 것이 자유로운 쓰러짐 방지용 로울러를 설치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에 아래를 향하는 조부를 형성하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돌출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를, 하위 플랜지부의 측테두리부보다도 측외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1988A 1994-02-07 1994-09-01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KR016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013043A JP3092430B2 (ja) 1994-02-07 1994-02-07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94-13043 1994-02-07
JP6015605A JPH07223708A (ja) 1994-02-10 1994-02-10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94-15605 1994-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51A true KR950024951A (ko) 1995-09-15
KR0164631B1 KR0164631B1 (ko) 1998-12-01

Family

ID=2634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988A KR0164631B1 (ko) 1994-02-07 1994-09-01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64528A (ko)
EP (1) EP0666236B1 (ko)
KR (1) KR0164631B1 (ko)
DE (1) DE69418999T2 (ko)
ES (1) ES2132290T3 (ko)
SG (1) SG97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612B2 (en) * 2002-03-29 2005-08-02 TGW Transportgeräte GmbH & Co. KG Load-handling system and telescopic arm therefor
US20050269155A1 (en) * 2004-05-21 2005-12-08 Tzu-I Chen Tall building escape apparatus
AT507335B1 (de) * 2008-09-08 2012-04-15 Swisslog Evomatic Gmbh Regalbediengerät
KR101161115B1 (ko) * 2010-01-29 2012-06-28 (주)금강오토텍 벨트를 보호하는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ES2351333B1 (es) * 2010-09-06 2011-09-15 Mecalux S.A. Transelevador para el transporte de cargas.
JP5459557B2 (ja) * 2010-12-16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459558B2 (ja) * 2010-12-24 2014-04-0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04587838U (zh) * 2012-09-05 2015-08-26 村田机械株式会社 堆装起重机
KR101699449B1 (ko) * 2012-09-05 2017-01-24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CN103081972A (zh) * 2013-01-28 2013-05-08 梁祥 多层传送式食品冷却机器
NL2011132C2 (en) * 2013-07-10 2015-01-13 Stertil Bv Lifting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fting system.
US20150220896A1 (en) * 2014-01-31 2015-08-06 Wal-Mart Stores, Inc. Kiosk transactions
WO2018059944A1 (en) 2016-09-29 2018-04-05 Inventio Ag Car and entity safety supervising unit for an elevator
WO2018229905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CN110603209B (zh) * 2017-07-07 2021-04-27 村田机械株式会社 自动仓库系统
KR102343008B1 (ko) * 2018-03-19 2021-12-24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시스템
DE102019115025A1 (de) * 2019-06-04 2020-12-10 Dematic Gmbh Hubvorrichtung für einen Hubwagen
CN111255216A (zh) * 2020-03-09 2020-06-09 上海雅跃智能科技有限公司 移动底盘
CN113104700A (zh) * 2021-04-30 2021-07-13 中汽昌兴(洛阳)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挂式楼房仓库升降机
CN113264434B (zh) * 2021-05-31 2022-05-20 张世恩 一种用于房建施工的物料转移装置
CN117023456B (zh) * 2023-04-18 2024-03-19 深圳市旭日东自动化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立体仓库用货物搬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114C (ko) *
US3184083A (en) * 1963-01-25 1965-05-18 Triax Co Load checking and positioning devices for automatic warehouse system
DE1802410C3 (de) * 1968-03-20 1975-06-19 Standard Alliance Industries Inc., Chicago, Ill. (V.St.A.) Fahrbares Regalförderzeug
US3542161A (en) * 1968-08-23 1970-11-24 Eaton Yale & Towne Load height indicator for industrial trucks
CH516474A (de) * 1970-06-06 1971-12-15 Bachmann Marcel Seillenkvorrichtung an einer Seiltrommel
US3830379A (en) * 1972-02-24 1974-08-20 Harnischfeger Corp Automatic warehouse crane
US3887038A (en) * 1973-01-19 1975-06-03 Veda Inc Lift apparatus
US4015686A (en) * 1973-01-29 1977-04-05 Bushnell Jr Sherman W Portable multi-stage mechanical list
JPS533529A (en) * 1976-06-24 1978-01-13 Labaz Medicine for central nerve system containing acetoxim as effective ingredient
DE3020732C2 (de) * 1980-05-31 1985-01-10 Larf M. Frisch KG Förder- und Lagertechnik, 7401 Pliezhausen Hochregalbediengerät
US4331418A (en) * 1980-08-28 1982-05-25 Harnischfeger Corporation Double masted warehouse crane
SU1055696A1 (ru) * 1982-02-17 1983-11-23 Всесоюз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Кран-штабелер
JPH0659924B2 (ja) * 1986-06-06 1994-08-10 株式会社ダイフク 倉庫用クレ−ンの上部案内装置
US5380139A (en) * 1986-06-30 1995-01-10 Kone Oy Load handling method and system
JP2585575B2 (ja) * 1987-03-06 1997-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レ−ンの組み立て方法
US4750592A (en) * 1987-03-20 1988-06-14 United States Elevator Corp. Elevator position reading sensor system
DE3837732A1 (de) * 1988-11-07 1990-05-10 Acr Braendli & Voegeli Ag Scheinwerfer fuer mehrfarbiges licht
DE3837731C1 (ko) * 1988-11-07 1990-05-10 Helmut Dipl.-Ing. 4670 Luenen De Neuhaeuser
CH678310A5 (en) * 1989-06-07 1991-08-30 Manitec Ag Storage shelving unit with single spaces - has at least two shelving sets with gangway between rows, and vehicular track and lift
US5056625A (en) * 1989-09-22 1991-10-15 Harnischfeger Engineers, Inc. Low profile base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DE4005997C1 (ko) * 1990-02-26 1991-04-18 Man Gutehoffnungshuette Ag, 4200 Oberhausen, De
US5226782A (en) * 1990-05-07 1993-07-13 Stanley-Vidmar, Inc.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9105077U1 (ko) * 1991-04-25 1991-07-11 Keuro Maschinenbau Gmbh & Co Kg, 7590 Achern, De
JPH04338099A (ja) * 1991-05-13 1992-11-25 Daifuku Co Ltd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DE4117857A1 (de) * 1991-05-31 1992-12-03 Weiner Rudolf Krankenhebe- und -transportvorrichtung
US5284226A (en) * 1991-12-11 1994-02-08 Daifuku Co., Ltd. Carriage guiding post in a transfer lifter
JPH05246509A (ja) * 1992-03-10 1993-09-24 Daifuku Co Ltd 自動倉庫
US5355976A (en) * 1992-07-31 1994-10-18 Daifuku Co., Ltd.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KR0156946B1 (ko) * 1993-01-26 1999-02-18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출고 장치
JPH06246509A (ja) * 1993-02-19 1994-09-06 Hitachi Seiko Ltd 被加工物の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8999T2 (de) 1999-12-02
SG97731A1 (en) 2003-08-20
US5564528A (en) 1996-10-15
ES2132290T3 (es) 1999-08-16
DE69418999D1 (de) 1999-07-15
EP0666236A1 (en) 1995-08-09
KR0164631B1 (ko) 1998-12-01
EP0666236B1 (en) 199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4951A (ko) 자동창고용 입축고 장치
JP4022566B2 (ja) 非パレット方式の駐車システムの入出庫用積載台
JP4255523B2 (ja) エレベーター
EP0385313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ir gap in toroidal type linear motor
JP477777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TWI286531B (en) Elevator
CN102933484A (zh) 电梯的轿厢
JP447430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659582B2 (ja) 円筒型リニアモータのエアギャップ調整装置
US4630543A (en) Bogie for cable-drawn vehicle
EP1779959B1 (en) Seal device of light path system in laser beam machine
JP5142099B2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知装置
JP482547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シーブカバー支持構造
EP0581234B1 (en)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JP2572274B2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JP3833203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2236289B1 (ko) 주차설비 입구 평활장치
JP3378312B2 (ja) 水平エレベーターの車両止め装置およびメンテナンス区域
KR19990038666A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횡행안내장치
WO2020100306A1 (ja) エレベーター
JP2571013B2 (ja) 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案内装置
KR1008489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3188399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のフォーク台車
JP6170424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2517080B2 (ja) エレベ−タ装置における昇降篭の振動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