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55B1 - 자동 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55B1
KR102327555B1 KR1020197034927A KR20197034927A KR102327555B1 KR 102327555 B1 KR102327555 B1 KR 102327555B1 KR 1020197034927 A KR1020197034927 A KR 1020197034927A KR 20197034927 A KR20197034927 A KR 20197034927A KR 102327555 B1 KR102327555 B1 KR 10232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rack
transport vehicle
automatic warehous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847A (ko
Inventor
츠요시 카키누키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Abstract

자동 창고 시스템은, 랙 및 스태커 크레인을 갖는 복수의 자동 창고와, 루트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차를 구비한다. 인접하는 한 쌍의 자동 창고 중 일방(一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랙인 제1 랙과 타방(他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랙인 제2 랙은,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루트는, 제1 랙을 해당 제 1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제2 랙에 반송차로 물품을 이재(移載) 가능한 제1 루트와, 제2 랙을 해당 제 2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제1 랙에 반송차로 물품을 이재 가능한 제2 루트와, 제1 랙 및 제2 랙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어느 타방으로 설치되어, 제1 루트와 제2 루트를 접속하는 접속 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창고 시스템
[0001]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부터, 랙(rack) 및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갖는 복수의 자동 창고와, 미리 정해진 루트를 따라 주행하며, 복수의 자동 창고에 대해 물품을 입출고하는 반송차를 구비한 자동 창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랙 내부를 반송차의 대기 장소로서 활용하여, 시스템 영역을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도모되고 있다.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116004호
[0004]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영역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는데,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해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0005]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6]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은, 랙 및 스태커 크레인을 갖는 복수의 자동 창고와, 미리 정해진 루트를 따라 주행하며, 복수의 자동 창고에 대해 물품을 입출고하는 반송차를 구비하며, 인접하는 한 쌍의 자동 창고 중 일방(一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랙인 제1 랙과 타방(他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랙인 제2 랙은,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고, 반송차가 주행하는 루트는, 제1 랙을 해당 제 1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제2 랙에 반송차로 물품을 이재(移載; 옮겨 싣기) 가능한 제1 루트와, 제2 랙을 해당 제 2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제1 랙에 반송차로 물품을 이재 가능한 제2 루트와, 제1 랙 및 제2 랙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어느 타방으로 설치되어, 제1 루트와 제2 루트를 접속하는 접속 루트를 포함한다.
[0007] 상기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랙을 이용하여, 반송차의 통과와 반송차에 의한 입출고를 실현할 수 있다.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8]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반송차가 주행하는 루트는, 랙 외부에 있어서 제1 루트 및 제2 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주회(周回) 루트를 더 포함하며, 제1 루트 및 제2 루트는, 반송차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의 루트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반송차를 원활히 루트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어, 다수의 물품의 입출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9]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반송차는, 반송할 물품을 승강시키는 리프터(lifter)를 가지며, 제1 랙에 있어서 제2 루트로부터 반송차에 의해 물품을 이재하는 하부, 및, 제2 랙에 있어서 제1 루트로부터 반송차에 의해 물품을 이재하는 하부에는, 물품을 재치(載置; 올려 둠)하는 재치대가 설치되고, 재치대는, 해당 재치대의 하부에 반송차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간극(間隙)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 창고로의 물품의 입출고 시에 입출고용 컨베이어 등이 불필요해지도록 할 수 있어,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0]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자동 창고는, 직렬로 배치된 적어도 2대의 스태커 크레인을 가지며, 반송차가 주행하는 루트는, 적어도 2개의 제1 루트와, 적어도 2개의 제2 루트와, 적어도 3개의 접속 루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2대의 스태커 크레인을 갖는 자동 창고에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 많은 물품의 입출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11]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제1 랙의 하부에는, 제2 루트로부터 반송차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제2 루트로 반송차가 퇴출 가능한 제1 반송차 퇴피(退避) 공간이 설치되고, 제2 랙의 하부에는, 제1 루트로부터 반송차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제1 루트로 반송차가 퇴출 가능한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랙의 하부의 제1 반송차 퇴피 공간 내지 제2 랙의 하부의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으로 반송차가 들어감으로써, 제2 루트 내지 제1 루트에 있어서 해당 반송차를 후속의 다른 반송차가 앞지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2]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0013]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자동 창고 시스템의 입고 포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자동 창고 시스템의 입고 포트를 나타낸 다른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자동 창고 시스템의 출고 포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의 자동 창고 시스템의 출고 포트를 나타낸 다른 정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0014]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0015] [제1 실시형태]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1)은, 랙(10) 및 스태커 크레인(20)을 갖는 복수의 자동 창고(30)와, 복수의 자동 창고(30)에 대해 물품(L)을 입출고하는 반송차(40)와, 자동 창고 시스템(1)을 관리하는 제어 장치인 컨트롤러(50)를 구비한다.
[0016] 이하에 있어서, 「상」, 「하」라는 말은, 연직 방향의 상방 및 하방에 대응한다. 「Z방향」은, 연직 방향이며, 랙(10)의 단(段) 방향이다. 「X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랙(10)의 길이 방향이다. 「Y방향」은, X방향 및 Z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이며, 자동 창고(30)가 나란히 설치(竝置)된 방향이다.
[0017] 자동 창고(30)는, 예컨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창고(30)는, 반송차(40)에 의해 반송되어 온 물품(L)을 스태커 크레인(20)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관하는 동시에, 보관하고 있는 물품(L)을 스태커 크레인(2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출한다. 자동 창고(30)는, Y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물품(L)의 크기, 형상 및 무게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물체를 물품(L)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0018] 각 자동 창고(30)에 있어서, 랙(10)은, X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랙(10)은, 물품(L)이 재치되어 수납되는 복수의 하물(荷物) 재치부를 X방향 및 Z방향으로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랙(10)은, 물품(L)을 X방향 및 Z방향으로 매트릭스상(狀)으로 보관한다. 인접하는 한 쌍의 자동 창고(30) 중 일방의 자동 창고(30)에 있어서의 랙(10)인 제1 랙(10A)과 타방의 자동 창고(30)에 있어서의 랙(10)인 제2 랙(10B)은, 인접(근접)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방의 자동 창고(30)의 제1 랙(10A)과 타방의 자동 창고(30)의 제2 랙(10B)은, 배면(背面)을 맞댄 상태로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0019] 스태커 크레인(20)은, 각 자동 창고(30)에 있어서 Y방향으로 대향하는 랙(10) 사이에 X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된 주행 레일(22)을 주행한다. 스태커 크레인(20)은, 주행 레일(22)을 따라 주행 가능한 주행대차와, 이 주행대차 상의 마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며 또한 이재 장치가 설치된 승강대를 포함한다. 스태커 크레인(20)은, 랙(10)의 하물 재치부와 후술하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와의 사이에서 물품(L)을 반송한다. 스태커 크레인(20)은, 랙(10)의 하물 재치부,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에 대해, 물품(L)의 이재(짐 싣기 및 짐 부리기)를 행한다. 스태커 크레인(20)은, 그 동작이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된다.
[0020] 스태커 크레인(2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태커 크레인(20)으로서는, 예컨대, 물품(L)의 후단(後端)에 후크를 걸어 거두어 들이는 리어 후크식, 물품(L)의 양측을 사이에 끼우고 유지하며 이재하는 클램프식, 슬라이드 포크로 물품(L)을 퍼 올려서 이재하는 포크식, 또는, 물품(L)의 전단(前端)에 후크를 걸어 거두어 들이는 프런트 후크식 등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0021] 반송차(40)는, 무인 주행하는 반송용 대차이다. 반송차(40)는, 미리 정해진 루트(R)를 따라 주행한다. 반송차(40)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와의 사이에서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반송차(40)로서는, AGV(Automatic Guided Vehicle)가 이용되고 있다. 반송차(40)는, 루트(R)로 유도되어 주행하는 차량 본체(41)와, 차량 본체(41) 상에 설치되어 물품(L)을 승강시키는 이재 장치로서의 리프터(42)를 가진다. 반송차(40)에서 채용되는 유도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자기 유도식, 레이저 유도식 또는 유궤도식(有軌道式)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루트(R)는, 예컨대, 자기 테이프(자기 마커), 레이저 반사판 또는 레일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반송차(40)는, 그 동작이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반송차(40)로서는, AGV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천정 주행차 또는 유궤도 대차 등이어도 된다.
[0022] 여기서,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제1 루트(R1)와, 제2 루트(R2)와, 접속 루트(R3)와, 주회 루트(R4)를 포함한다.
[0023] 제1 루트(R1)는, 제1 랙(10A)의 하부를 X방향으로 관통한다. 제1 랙(10A)의 하부는, 제1 랙(10A)의 최하단(最下段)에 대응한다. 제1 랙(10A)의 하부는, 제1 랙(10A)에 있어서의 바닥(F)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에 이르는 공간 부분이다. 제1 루트(R1)는, 반송차(40)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 루트이다. 복수의 자동 창고(30) 각각의 제1 루트(R1)에 있어서의 일방통행의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 제1 랙(10A)의 하부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의 위치에, 제1 루트(R1)가 설치되어 있다.
[0024] 제1 랙(10A)의 하부에 있어서의 제1 루트(R1) 상에는, 반송차(40)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제1 랙(10A)의 하부에는, 해당 하부에 있어서 반송차(40)를 제1 루트(R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통과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통과용 간극은,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어 반송하고 있는 반송차(40)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다. 해당 통과용 간극은, X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해당 통과용 간극에서는, 래티스(lattice) 등의 구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해당 통과용 간극에서는, 한 쌍의 지지 기둥(支柱)이, Y방향에 있어서의 반송차(40)의 가로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0025] 제1 루트(R1)는, 제2 랙(10B)에 반송차(40)에 의해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제2 랙(10B)에 있어서의 제1 루트(R1)로부터 반송차(40)에 의해 물품(L)을 이재하는 하부에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가 설치되어 있다. 입고 포트(I)는,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 X방향으로 인접하여 복수 개(여기서는 3개)가 병설되어 있다. 출고 포트(O)는,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 X방향으로 인접하여 복수 개(여기서는 3개)가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출고 포트(O)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一群)은, 복수의 입고 포트(I)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과 X방향으로 인접해 있다.
[0026] 제1 랙(10A)의 하부와 제2 랙(10B)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제1 루트(R1)로부터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로의 해당 이재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이재용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이재용 간극은, Y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이재용 간극에서는, 래티스 및 배면 브레이스(brace) 등의 구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0027]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고 포트(I)에서는, 반송차(40)에 의해 자동 창고(30)에 물품(L)의 입고가 행해진다. 입고 포트(I)에는, 물품(L)을 재치하는 재치대(61)가 설치되어 있다. 재치대(61)는, 해당 재치대(61)의 하부에 반송차(40)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잠입용 간극(간극)(62)을 가진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재치대(61)는, 랙(10)에 있어서의 X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지지 기둥(11)에 각각 설치된 물품 지지 부재(12)에 의해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 기둥(11)은, X방향에 있어서의 반송차(40)의 가로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물품 지지 부재(12)의 간격은, 리프터(42)의 X방향의 폭보다 크다. 한 쌍의 물품 지지 부재(12)의 간격은, 물품(L)의 X방향의 폭보다 작다. 잠입용 간극(62)은, 물품 지지 부재(12)와 바닥(F)과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구성된다.
[0028]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고 포트(I)에는,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어 반송하고 있는 반송차(40)가, 제1 루트(R1)로부터 진입한다(도 2의 (a) 참조). 반송차(40)는, 차량 본체(41)가 잠입용 간극(62)에 완전히 들어가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진행하여 정지한 후, 리프터(42)를 하강시킴으로써, 반송차(40)로부터 재치대(61) 상에 물품(L)을 이재한다(도 2의 (b) 참조). 이에 의해, 물품(L)의 입고가 완료된다. 그 후, 반송차(40)는, 예컨대 리프터(42)를 하강시킨 상태인 채로 제1 루트(R1)로 되돌아와, 제1 루트(R1)를 따라 이동한다.
[0029]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고 포트(O)에서는, 반송차(40)에 의해 자동 창고(30)로부터의 물품(L)의 출고가 행해진다. 출고 포트(O)에는, 입고 포트(I)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재치대(61)가 설치되어 있다.
[0030]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고 포트(O)에는, 사전에(반송차(40)가 진입하기 전에) 물품(L)이 놓여진다. 출고 포트(O)에는, 리프터(42)를 하강시킨 상태로 한 반송차(40)가, 제1 루트(R1)로부터 진입한다(도 3의 (a) 참조). 반송차(40)는, 차량 본체(41)가 잠입용 간극(62)에 완전히 들어가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진행하여 정지한 후, 리프터(42)를 상승시킴으로써, 재치대(61) 상으로부터 반송차(40)에 물품(L)을 이재한다(도 3의 (b) 참조). 해당 반송차(40)는 출고 포트(O)로부터 퇴출하여 제1 루트(R1)로 되돌아오며, 이에 의해, 물품(L)의 출고가 완료된다. 그 후, 반송차(40)는, 예컨대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은 채로, 제1 루트(R1)를 따라 이동한다.
[0031] 제2 루트(R2)는, 제2 랙(10B)의 하부를 X방향으로 관통한다. 제2 랙(10B)의 하부는, 제2 랙(10B)의 최하단에 대응한다. 제2 랙(10B)의 하부는, 제2 랙(10B)에 있어서의 바닥(F)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방에 이르는 공간 부분이다. 제2 루트(R2)는, 반송차(40)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의 루트이다. 복수의 자동 창고(30) 각각의 제2 루트(R2)에 있어서의 일방통행의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타단(제1 루트측과는 반대측의 끝단)으로부터 중앙의 위치에, 제2 루트(R2)가 설치되어 있다.
[0032]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제2 루트(R2) 상에는, 반송차(40)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제2 랙(10B)의 하부에는, 해당 하부에 있어서 반송차(40)를 제2 루트(R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통과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통과용 간극은,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어 반송하고 있는 반송차(40)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다. 해당 통과용 간극은, X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해당 통과용 간극에서는, 래티스 등의 구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해당 통과용 간극에서는, 한 쌍의 지지 기둥이, Y방향에 있어서의 반송차(40)의 가로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0033] 제2 루트(R2)는, 제1 랙(10A)에 반송차(40)에 의해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제1 랙(10A)에 있어서의 제2 루트(R2)로부터 반송차(40)에 의해 물품(L)을 이재하는 하부에는, 상술한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랙(10A)의 하부와 제2 랙(10B)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제2 루트(R2)로부터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로의 해당 이재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이재용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이재용 간극은, Y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이재용 간극에서는, 래티스 및 배면 브레이스 등의 구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0034] 접속 루트(R3)는, 제1 랙(10A) 및 제2 랙(10B) 중 어느 일방의 하부로부터 어느 타방의 하부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 루트(R3)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1 랙(10A) 및 제2 랙(10B)의 도중(여기서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 루트(R3)는, 제1 루트(R1)와 제2 루트(R2)를 접속한다. 접속 루트(R3)는, 반송차(40)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의 루트이다. 제1 랙(10A)의 하부 및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접속 루트(R3) 상에는, 반송차(40)가 통과하기 위한 접속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제1 랙(10A)의 하부 및 제2 랙(10B)의 하부에는, 해당 하부에 있어서 반송차(40)를 접속 루트(R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공간인 접속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용 간극은, Y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접속용 간극에서는, 래티스 및 배면 브레이스 등의 구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0035] 주회 루트(R4)는, 랙(10) 외부에 있어서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된다. 주회 루트(R4)는, 반송차(4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주행하는 쌍방향 통행의 루트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주회 루트(R4)는, 랙(10) 외부에 있어서 복수의 제1 루트(R1)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회 루트(R4)는, 랙(10) 외부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루트(R2)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주회 루트(R4)는, 제2 루트(R2)의 하류측으로부터 제1 루트(R1)의 상류측으로 연속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주회 루트(R4)에서는, 제2 루트(R2)를 통과한 반송차(40)를 제1 루트(R1)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회 루트(R4)는, 일방통행으로 해도 된다. 주회 루트(R4)는, 이차선 이상의 루트여도 된다.
[0036] 이상과 같이 구성된 루트(R)에서는, 반송차(40)는, 주회 루트(R4)로부터 제1 루트(R1)로 진입하여,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한다. 반송차(40)는, 제2 루트(R2)를 주행하다가, 주회 루트(R4)로 퇴출된다. 그 후, 반송차(40)는, 주회 루트(R4)를 주행하다가 제1 루트(R1)로 다시 진입한다.
[0037] 컨트롤러(50)는,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 ROM(Read Only Memory),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의 기억 매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통신 회로 등을 갖는 컴퓨터이다. 컨트롤러(50)는, CPU가 출력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RAM에 기억하고,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RAM에 로드하고, RAM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0038] 컨트롤러(50)는, 스태커 크레인(2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50)는, 스태커 크레인(20)의 주행 및 스태커 크레인(20)에 의한 물품(L)의 이재를 제어한다. 컨트롤러(50)는, 반송차(4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50)는, 반송차(40)의 주행 및 반송차(40)의 리프터(42)의 동작을 제어한다.
[0039] 이상과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1)에서는, 제1 랙(10A)의 하부 및 제2 랙(10B)의 하부에,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로서 제1 루트(R1)와 제2 루트(R2)와 접속 루트(R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차(40)는, 제1 랙(10A)의 하부로부터 제2 랙(10B)의 하부로 이동하는 크랭크 형상으로 주행 가능하다. 이때, 반송차(40)는, 제1 루트(R1) 상으로부터 제2 랙(10B)에 물품(L)을 이재할 수 있고, 제2 루트(R2)로부터 제1 랙(10A)에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0040] 따라서, 자동 창고 시스템(1)에 의하면, 랙(10)을 이용하여(특히, 랙(10)의 하부를 이용하여), 반송차(40)의 통과와 반송차(40)에 의한 입출고를 실현할 수 있다.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L)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동 창고 시스템(1)이 차지하는 공간(footprint)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수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태커 크레인(20)의 동작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1] 자동 창고 시스템(1)에서는,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주회 루트(R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는, 반송차(40)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의 루트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루트(R1) 상 및 제2 루트(R2) 상에 있어서, 다수의 반송차(40)가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서로의 주행이 서로 방해하는(다른 반송차(40)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다수의 반송차(40)가 순조롭게 주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루트(R1) 상 및 제2 루트(R2) 상에서 반송차(40)가 정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반송차(40)를 루트(R)를 따라 원활히 주행시킬 수 있어, 다수의 물품(L)의 입출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2] 자동 창고 시스템(1)에서는, 반송차(40)는 리프터(42)를 가진다. 제1 랙(10A) 및 제2 랙(10B)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에는, 재치대(61)가 설치되어 있다. 재치대(61)는, 해당 재치대(61)의 하부에 반송차(40)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잠입용 간극(62)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 창고(30)로의 물품(L)의 입출고를, 재치대(61)의 하부에 반송차(40)가 들어감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자동 창고(30)로의 물품(L)의 입출고 시에 입출고용 컨베이어 등이 불필요해지도록 할 수 있어,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3] 자동 창고 시스템(1)에서는, 컨트롤러(50)에 의한 반송차(40)의 동작 제어에 엄격한 관리가 불필요하며, 해당 동작 제어의 심플화가 가능해진다.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가 일방통행의 루트이기 때문에, 컨트롤러(50)에 의한 반송차(40)의 동작 제어에 데드락(deadlock)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4]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45]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101)에 있어서, 각 자동 창고(30)는, 직렬로 배치된 2대의 스태커 크레인(20)을 가진다.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2개의 제1 루트(R1)와, 2개의 제2 루트(R2)와, 3개의 접속 루트(R3)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 제1 랙(10A)의 하부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중앙의 타단 근처의 위치에, 제1 루트(R1)가 설치되어 있다. X방향에 있어서,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타단부와 중앙의 일단 근처의 위치에, 제2 루트(R2)가 설치되어 있다. X방향에 있어서, 제1 랙(10A) 및 제2 랙(10B)을 4등분하는 위치에 접속 루트(R3)가 설치되어 있다.
[0046] 반송차(40)는, 제1 랙(10A)의 하부 및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한 후,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1 루트(R1)로 이동하여, 다시,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한다. 반송차(40)는, 제1 랙(10A)의 하부와 제2 랙(10B)의 하부와의 사이에서 직사각형의 파형(波狀)으로 주행한다.
[0047] 이상과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101)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L)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동 창고 시스템(101)에서는, 2대의 스태커 크레인(20)을 갖는 자동 창고(30)에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다수의 물품(L)의 입출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주행 레일(22) 상에 복수의 스태커 크레인(20)을 투입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스태커 크레인(20)의 수에 대응하여,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의 크랭크(접속 루트(R3))의 수가 증가하도록 구성하여, 스태커 크레인(20)의 투입 수(數)만큼의 입출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0048] 또한, 각 자동 창고(30)는, 3대 이상의 스태커 크레인(20)을 갖고 있어도 되며, 이 경우,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3개 이상의 제1 루트(R1)와, 3개 이상의 제2 루트(R2)와, 4개 이상의 접속 루트(R3)를 포함한다(이하, 동일).
[0049]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5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201)에 있어서,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제3 루트(R6)를 더 포함한다. 제3 루트(R6)는, 자동 창고 시스템(201)의 Y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랙(10)의 하부를 Y방향으로 관통한다. 제3 루트(R6) 상에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루트(R6) 상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에는, 물품(L)을 재치하는 재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루트(R6) 상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의 해당 재치대에는,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어 반송하고 있는 반송차(40)가, X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0051] 본 실시형태에서는, 루트(R)는, 반송차(40)의 주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2 루트(R2)와, 그 하류측에 접속 루트(R3)를 통해 접속된 제1 루트(R1)로 이루어진 루트 구성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루트(R)는, 주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루트(R1)와, 그 하류측에 접속 루트(R3)를 통해 접속된 제2 루트(R2)로 이루어진 제1 실시형태의 제1 루트 구성에 더하여, 주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2 루트(R2)와, 그 하류측에 접속 루트(R3)를 통해 접속된 제1 루트(R1)로 이루어진 제2 루트 구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루트 구성은, 자동 창고 시스템(201)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Y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루트 구성에서는,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에 있어서의 일방통행의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제2 루트 구성의 제1 루트(R1)는, 도시하는 예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1 랙(10A)의 타단으로부터 중앙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루트 구성의 제2 루트(R2)는, 도시하는 예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2 랙(10B)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0052] 제1 루트 구성에 의하면, 반송차(40)는, 주회 루트(R4)로부터 제1 루트(R1)에 우선 진입하여, 제1 루트(R1)를 주행한 후,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하다가, 주회 루트(R4)로 퇴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루트 구성에 의하면, 반송차(40)는, 주회 루트(R4)로부터 제2 루트(R2)에 우선 진입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한 후,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1 루트(R1)로 이동하여,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주회 루트(R4)로 퇴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005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입고 포트(I)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포트(O)에 대해, 주행 레일(22)을 사이에 두고 Y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출고 포트(O) 중 적어도 일부는, 입고 포트(I)에 대해, 주행 레일(22)을 사이에 두고 Y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0054] 이상과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201)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L)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동 창고 시스템(201)에 의하면, 스태커 크레인(20)의 복합 동작(이하에서는, 간단히 「크레인 복합 동작」이라 함)이 가능해진다. 즉, 주행 레일(22)을 사이에 두고 Y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를 갖는 자동 창고(30)에서는, 해당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스태커 크레인(20)이 X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입고 포트(I)로의 물품(L)의 이재와 출고 포트(O)로부터의 물품(L)의 이재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높은 가동률(稼動率)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5]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56]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301)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자동 창고(30) 중, 일방의 자동 창고(30)와 타방의 자동 창고(30)에서는,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에 있어서의 일방통행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자동 창고(30)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 제1 랙(10A)의 하부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제1 루트(R1)가 설치되고,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타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제2 루트(R2)가 설치되며, 랙(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는 방향이 일방통행의 방향이다. 타방의 자동 창고(30)에서는, X방향에 있어서, 제1 랙(10A)의 하부에 있어서의 타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제1 루트(R1)가 설치되고,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제2 루트(R2)가 설치되며, 랙(1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향하는 방향이 일방통행의 방향이다.
[0057]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제3 루트(R6)를 더 포함한다. 제3 루트(R6)는, 자동 창고 시스템(301)의 Y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랙(10)의 하부를, Y방향으로 관통한다. 제3 루트(R6) 상에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루트(R6) 상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에는, 물품(L)을 재치하는 재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루트(R6) 상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의 해당 재치대에는, 상승시킨 상태의 리프터(42)에 물품(L)을 실어 반송하고 있는 반송차(40)가 X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0058]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입고 포트(I)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포트(O)에 대해, 주행 레일(22)을 사이에 두고 Y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출고 포트(O) 중 적어도 일부는, 입고 포트(I)에 대해, 주행 레일(22)을 사이에 두고 Y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0059]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301)에서는, 루트(R)는, 반송차(40)를 주회만 시키는 루트(랙(10)의 하부를 통과하지 않는 루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루트(R)에서는, 랙(10)의 하부를 통과하는 루트(상기 루트(R1∼R3, R6)를 이용하여, 반송차(40)를 주회시키는 것, 즉, 주회 루트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60] 이상과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301)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L)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동 창고 시스템(301)에서는, 크레인 복합 동작이 가능해진다. 자동 창고 시스템(301)에서는, 복수의 자동 창고(30)에 있어서, 제1 루트(R1) 및 제2 루트(R2)의 일방통행의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X방향에 있어서의 랙(1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쌍방으로부터 반송차(40)를 진입(물품(L)을 입고)시킬 수 있는 동시에, X방향에 있어서의 랙(1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쌍방으로부터 반송차(40)를 퇴출(물품(L)을 출고)시킬 수 있다.
[0061]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4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6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 시스템(401)에 있어서, 각 자동 창고(30)는, 직렬로 배치된 2대의 스태커 크레인(20)을 가진다. 반송차(40)가 주행하는 루트(R)는, 2개의 제1 루트(R1)와, 2개의 제2 루트(R2)와, 3개의 접속 루트(R3)를 포함하고 있다. 반송차(40)는, 제1 랙(10A)의 하부 및 제2 랙(10B)의 하부에 있어서,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한 후,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1 루트(R1)로 이동하여, 다시, 제1 루트(R1)를 주행하다가, 접속 루트(R3)를 통해 제2 루트(R2)로 이동하여, 제2 루트(R2)를 주행한다. 반송차(40)는, 제1 랙(10A)의 하부와 제2 랙(10B)의 하부와의 사이에서 직사각형의 파형으로 주행한다.
[0063] 이상과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401)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물품(L)을 입출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동 창고 시스템(401)에서는, 2대의 스태커 크레인(20)을 갖는 자동 창고(30)에 대한 입출고가 가능해지며, 더욱 다수의 물품(L)의 입출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64]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0065]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랙(10A)의 하부에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와는 별도로, 제2 루트(R2)로부터 반송차(40)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제2 루트(R2)로 반송차(40)가 퇴출 가능한 제1 반송차 퇴피 공간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랙(10B)의 하부에는,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와는 별도로, 제1 루트(R1)로부터 반송차(40)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제1 루트(R1)로 반송차(40)가 퇴출 가능한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반송차 퇴피 공간 및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은, 반송차(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예컨대, 랙(10)의 하부에 있어서 래티스 및 배면 브레이스 등의 구조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환언하자면, 입고 포트(I) 또는 출고 포트(O)로부터 재치대(61)를 제외한 공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랙(10A)의 하부의 제1 반송차 퇴피 공간 내지 제2 랙(10B)의 하부의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으로 반송차(40)가 들어감으로써, 제2 루트(R2) 내지 제1 루트(R1)에 있어서 해당 반송차(40)를 후속의 다른 반송차(40)가 앞지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루트(R2)에 직교하도록 제1 반송차 퇴피 공간이 접속되고, 제1 루트(R1)에 직교하도록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반송차(40)가 직각 이동 가능한 이른바 바닥면(床面) 주행차인 경우에만 가능한 구성이다.
[006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창고(30)는 싱글 리치(single-reach) 방식의 구성을 갖지만, 더블 리치(double-reach) 방식의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랙(10A)과 제2 랙(10B)은, 기능적으로 나뉘어 있지만 구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루트(R1) 내지 제2 루트(R2)로부터 반송차(40)를 하부로 들어오게 하여 물품(L)을 이재시키고 있지만, Y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랙(10)의 입고 포트(I) 및 출고 포트(O)에는, 해당 랙(10)에 근접하도록 설치된 주회 루트(R4)로부터 반송차(40)를 하부로 들어오게 하여 물품(L)을 이재시켜도 된다.
[006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40)가 이재 장치로서 리프터(42)를 구비하고 있지만, 반송차(40)가 구비하는 이재 장치의 종별 내지 사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송차(40)는, 리프터(42) 이외의 이재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반송차(40)는, 예컨대 리어 후크식, 클램프식, 포크식 또는 프런트 후크식 등의 대차여도 된다. 이 경우, 예컨대 반송차(40)는, 제1 루트(R1) 상에 정지하여, 그 아암을 제2 랙(10B)에 대해 신축시킴으로써, 제2 랙(10B)과의 사이에서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컨대 반송차(40)는, 제2 루트(R2) 상에 정지하여, 그 아암을 제1 랙(10A)에 대해 신축시킴으로써, 제1 랙(10A)과의 사이에서 물품(L)을 이재할 수 있다.
[006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루트(R)의 적어도 일부가 랙(10)의 하부를 통과하고 있지만, 루트(R)가 통과하는 랙(1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랙(10)의 상부여도 되고, 랙(10)의 연직 방향의 중부(中部)여도 된다. 예컨대 반송차(40)가 천정 주행차인 경우, 랙(10)의 상부에 레일 등의 루트(R)가 통과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입고 포트(I) 또는 출고 포트(O)를 이용하여 반송차(40)를 퇴피시켜도 된다.
[0069] 1, 101, 201, 301, 401 자동 창고 시스템
10 랙
10A 제1 랙
10B 제2 랙
20 스태커 크레인
30 자동 창고
40 반송차
42 리프터
61 재치대
62 잠입용 간극(간극)
L 물품
R 루트
R1 제1 루트
R2 제2 루트
R3 접속 루트
R4 주회 루트

Claims (5)

  1. 랙(rack) 및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갖는 복수의 자동 창고와,
    미리 정해진 루트를 따라 주행하며, 복수의 상기 자동 창고에 대해 물품을 입출고하는 반송차를 구비하며,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자동 창고 중 일방(一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상기 랙인 제1 랙과 타방(他方)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상기 랙인 제2 랙은, 서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상기 루트는,
    상기 제1 랙을 해당 제 1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랙에 상기 반송차로 상기 물품을 이재(移載) 가능한 제1 루트와,
    상기 제2 랙을 해당 제 2 랙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랙에 상기 반송차로 상기 물품을 이재 가능한 제2 루트와,
    상기 제1 랙 및 상기 제2 랙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어느 타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루트와 상기 제2 루트를 접속하는 접속 루트를 포함하는, 자동 창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상기 루트는, 상기 랙 외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트 및 상기 제2 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주회(周回) 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루트 및 제2 루트는, 상기 반송차가 일방향으로만 주행하는 일방통행의 루트인, 자동 창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는, 반송할 상기 물품을 승강시키는 리프터(lifter)를 가지며,
    상기 제1 랙에 있어서 상기 제2 루트로부터 상기 반송차에 의해 상기 물품을 이재하는 하부, 및, 상기 제2 랙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트로부터 상기 반송차에 의해 상기 물품을 이재하는 하부에는, 상기 물품을 재치(載置)하는 재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재치대는, 해당 재치대의 하부에 상기 반송차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간극(間隙)을 갖는, 자동 창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직렬로 배치된 적어도 2대의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가지며,
    상기 반송차가 주행하는 상기 루트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루트와,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루트와, 적어도 3개의 상기 접속 루트를 포함하는, 자동 창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의 하부에는, 상기 제2 루트로부터 상기 반송차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2 루트로 반송차가 퇴출 가능한 제1 반송차 퇴피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랙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루트로부터 상기 반송차가 진입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1 루트로 상기 반송차가 퇴출 가능한 제2 반송차 퇴피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자동 창고 시스템.
KR1020197034927A 2017-07-07 2018-06-05 자동 창고 시스템 KR102327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4044 2017-07-07
JP2017134044 2017-07-07
PCT/JP2018/021589 WO2019008999A1 (ja) 2017-07-07 2018-06-05 自動倉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847A KR20200003847A (ko) 2020-01-10
KR102327555B1 true KR102327555B1 (ko) 2021-11-16

Family

ID=6495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927A KR102327555B1 (ko) 2017-07-07 2018-06-05 자동 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4656B2 (ko)
JP (1) JP6777232B2 (ko)
KR (1) KR102327555B1 (ko)
CN (1) CN110603209B (ko)
WO (1) WO2019008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450B2 (ja) * 2018-03-19 2021-10-27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JP7115549B2 (ja) * 2018-09-07 2022-08-09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用ラック
GB2580701B (en) 2019-01-28 2021-08-25 Arrival Ltd Storage system and associated platform feeder
JP7088859B2 (ja) * 2019-02-07 2022-06-21 株式会社日立インダストリアルプロダクツ 物流管理装置、物流管理方法及び物流管理プログラム
ES2946082T3 (es) * 2019-10-25 2023-07-12 Jungheinrich Ag Disposición de almacenamiento por apilamiento
US20230089547A1 (en) * 2020-03-02 2023-03-23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warehous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ed warehouse system
AU2021240488A1 (en) * 2020-03-27 2022-11-24 Shanghai Quicktron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Temporary storage shelf board, goods shelf, control method and device, apparatus and system
CN111361908B (zh) * 2020-03-27 2021-10-15 上海快仓智能科技有限公司 仓储装置、系统、控制方法
CN112830137A (zh) * 2020-12-18 2021-05-25 上海快仓智能科技有限公司 货架、仓储装置、控制方法、控制设备、仓储系统
CN112793979A (zh) * 2021-02-06 2021-05-14 武昌理工学院 一种仓储物流机器人集群避障及协同路径规划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1178A (ja) 2006-06-19 2009-11-26 キヴァ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目録品を移送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5310A (en) * 1987-09-16 1989-03-22 Komatsu Forklift Method of controlling movable rack
JPH0373505U (ko) 1989-11-20 1991-07-24
WO1991017936A1 (fr) * 1990-05-17 1991-11-28 Daifuku Co., Ltd. Entrepot automatise et fichier de travail
DE69418999T2 (de) * 1994-02-07 1999-12-02 Daifuku Kk Ein- und Auslagerungsvorrichtung bei automatisierten Warenlagern
JPH11116004A (ja) 1997-10-17 1999-04-2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JPH11116005A (ja) 1997-10-17 1999-04-2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JPH11116006A (ja) * 1997-10-17 1999-04-2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CN1112311C (zh) * 1999-07-01 2003-06-25 王树生 密集型仓储设备
JP4586990B2 (ja) * 2005-05-27 2010-11-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4577568B2 (ja) * 2005-09-09 2010-11-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における物品搬送装置
DE102008019404B4 (de) * 2008-04-14 2011-04-21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Artikelvereinzelung direkt in Regalbediengerät
JP5282971B2 (ja) * 2009-07-14 2013-09-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DE102011117487B3 (de) * 2011-10-26 2012-12-20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Lagersystem mit mehreren Gassen und automatisiertes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während eine Gasse im Wartungsmodus ist
DE102012107176A1 (de) * 2012-08-06 2014-02-06 Dematic Accounting Services Gmbh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Transporteinheiten aus einem Lager
CN103738640B (zh) * 2014-01-22 2016-08-17 潘玉坤 自动货柜系统
US20150225187A1 (en) * 2014-02-11 2015-08-13 Sergey N. Razumov Multi-level storage system with transportation devices movable 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and method of transferring containers in desired sequence
WO2016023869A2 (de) * 2014-08-11 2016-02-18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Lager- und kommissioniersystem und verfahren zum sequenzierten bereitstellen von artikeln
DE102014111394A1 (de) * 2014-08-11 2016-02-11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Lager- und Kommissioniersystem und Verfahren zum optimierten Ein- und Auslagern von Artikeln
AT516410B1 (de) * 2015-04-22 2016-05-15 Tgw Mechanics Gmbh Verfahren zum Einlagern von Stückgütern in ein Lagerregal und Lagersystem
JP6937022B2 (ja) * 2015-06-09 2021-09-22 ゲット ファ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ロボット在庫処理
CN105438707B (zh) * 2015-12-23 2017-10-17 贵阳普天物流技术有限公司 一种密集型仓库自动存取货物的方法及装置
KR20180102120A (ko) * 2016-01-14 2018-09-14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다중레벨 랙킹, 이동식 저장 유닛, 저장 유닛 운송기 및 픽-플레이스 차량을 포함하는 물품-대-인간 창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1178A (ja) 2006-06-19 2009-11-26 キヴァ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目録品を移送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7232B2 (ja) 2020-10-28
WO2019008999A1 (ja) 2019-01-10
JPWO2019008999A1 (ja) 2019-12-12
CN110603209B (zh) 2021-04-27
US20200087070A1 (en) 2020-03-19
US11084656B2 (en) 2021-08-10
KR20200003847A (ko) 2020-01-10
CN110603209A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555B1 (ko) 자동 창고 시스템
KR101329120B1 (ko) 자동 창고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JP2004525838A (ja) オートメ化された倉庫設備
JP2019006517A (ja) 荷物受け渡しシステム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JP2000118630A (ja) 自動倉庫
JP7135243B2 (ja) 立体自動倉庫
JP6514404B1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7155501B2 (ja) 搬送車システム
JP4619497B2 (ja) タイヤ用自動倉庫
JP7115549B2 (ja) 自動倉庫用ラック
JP2007217116A (ja) 倉庫システム
JP2000264406A (ja) 横渡し機能付き自動倉庫
JP2003237908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6638253B2 (ja) 自動倉庫
WO2021215132A1 (ja) 自動倉庫システム
US11958690B2 (en) Rack for automated warehouses
JP7472538B2 (ja) コンベヤ
US20230415991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4521663B2 (ja) 物品収納設備
JP7167390B2 (ja) 立体自動倉庫
JP4310853B2 (ja) 立体自動倉庫用荷受台および荷物の受け渡し方法
JP2021134043A (ja) コンベヤ
JPH1191908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