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665B1 - 정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665B1
KR0162665B1 KR1019920003357A KR920003357A KR0162665B1 KR 0162665 B1 KR0162665 B1 KR 0162665B1 KR 1019920003357 A KR1019920003357 A KR 1019920003357A KR 920003357 A KR920003357 A KR 920003357A KR 0162665 B1 KR0162665 B1 KR 016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agneto
floating
magnetic hea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698A (ko
Inventor
가쯔오 와다
미유끼 오니시
준이찌로 나까야마
도모유끼 미야께
다까시 이와끼
다께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33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89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38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54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48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857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18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459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9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25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741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9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9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2909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2001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in view of th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8Fly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2Maintaining desired spacing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e.g. by fluid-dynamic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11B21/21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with provision for maintaining desired spacing of head from record carrier, e.g. fluid-dynamic spacing, sli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60Fluid-dynamic spacing of heads from record-carriers
    • G11B5/6005Specially adapted for spacing from a rotating disc using a fluid cush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2Flying-type heads, e.g. analogous to Winchester type in magnetic recor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상의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된 디스크상의 기록 매체상에 부상하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부상형 헤드 및 부상형 헤드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형 헤드가 회전한 디스크상의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발생하는 공기류에서 부력을 받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슬라이더가 디스크상의 기록매체의 외주 부근의 융기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도록 슬라이더의 디스크 상의 기록 매체의 외주측에는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정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더가 디스크상의 기록 매체의 외주부근의 융기에 접촉하기 어려워지므로 디스크상의 기록 매체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 개시시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3도는 제1도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자기 디스크의 회전 구동 정치시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4도는 제1도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가 자기 디스크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을 때 오동작 등으로 자기 디스크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제5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승강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6도는 제5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상태를 광자기 디스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 설명도.
제7도는 제5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상태를 광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따라 본 설명도.
제8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개략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개략 측면도,
제11도 내지 제23도와, 제56도 내지 제5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1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승강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12도는 제11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조립 조정 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13도는 제11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승강 부재의 구체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14도는 제13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상에서 반복 승강시킬 때의 접촉 유무를 광자기 디스크에 대한 서스펜션의 기울기와 서스펜션의 누름 하중과의 관계로 도시한 설명도.
제15도는 제13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상에서 반복승강시킬 때의 접촉유무를 광자기 디스크에 대한 고정부의 높이와 고정부의 기울기와의 관계로 도시한 설명도.
제16도는 제15도의 P11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17도는 제15도의 P11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38㎜/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18도는 제15도의 P12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19도는 제15도의 P12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4.8㎜/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20도는 제15도의 P13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21도는 제15도의 P13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4.8㎜/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22도는 제15도의 P13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9.2㎜/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23도는 제15도의 P14의 조건에서 조립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할 때의 AE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제56도 및 제57도는 제13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상에서 반복 승강시킬 때의 접촉 유무를 광자기 디스크에 대한 서스펜션의 기울기와 고정부의 기울기와의 관계로 도시한 설명도.
제58도 및 제59도는 제13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상에서 반복 승강시킬 때의 접촉 유무를 광자기 디스크에 대한 고정부의 높이와 기울기와의 관계로 도시한 설명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5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5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 및 광자기 디스크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갖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제28도는 제25도의 슬라이더의 경사 각도와 슬라이더의 해방시의 광자기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변화시켰을 때, 슬라이더와 광자기 디스크의 접촉 유무를 도시한 그래프.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제31도 내지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1도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33도는 제31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의 융기부 근방에서 승강시킬 때의 AE신호 및 타이밍 신호의 파형도.
제34도는 슬라이더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상형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의 융기부 근방에서 승강시킬 때의 AE신호 및 타이밍 신호의 파형도.
제35도 및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5도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36도는 제35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슬라이더를 확대한 평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38도 내지 제47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8도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제39도는 광자기 디스크에 있어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언로딩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제40도는 제38도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착 공정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1도는 제38도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 가속 공정 및 부상형 자기 헤드의 진입 공정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2도는 제3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하강 공정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3도는 제3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부상 공정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4도는 제3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기록 위치로의 억세스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5도는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46도는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제47도는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한 카트리지 홀더의 사시도.
제48도 내지 제55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48도는 부상형 자기 헤드를 구비한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49도는 제4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50도는 제4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의 광자기 디스크의 외주의 융기부 부근에 있을 때의 개략 측면도.
제51도는 제48도의 부상형 자기 헤드가 광자기 디스크 외주의 융기부 근방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52도는 광자기 디스크 외주의 융기부 근방의 디스크 높이의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제53도는 다른 광자기 디스크 외주의 융기부 근방의 디스크 높이의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제54도는 또 다른 광자기 디스크 외주의 융기부 근방의 디스크 높이의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제55도는 또 다른 광자기 디스크 외주의 융기부 근방의 디스크 높이의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상형 자기 헤드 3 : 광자기 디스크
2 : 스핀들 모터 4 : 광학 헤드
5 : 고정부 6 : 서스펜션
7 : 슬라이더 8 : 자기 헤드
11 : 제어부 33, 34 : 승강부재
40 : 레버 41 : 구동 장치
45 : 아암
본 발명은 부상형 헤드 또는 부상형 광학 헤드 등의 부상형 헤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상형 헤드의 슬라이더 형상 및 부상형 헤드의 승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의 기록 소거 및 재생 가능한 광 메모리 소자로서의 광자기 디스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광자기 디스크는 기판 상에 수직 자화막과 보호막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레이저 광을 조사해서 승온시켜 보자력을 저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 자화막에 외부 자장을 인가함으로써 자화의 방향을 외부 자장의 방향과 일치시켜서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광자기 디스크에서의 기록 방식은 일정 방향의 외부 자장을 연속적으로 인가하면서 기록할 정보에 따라 레이저 광의 강도를 변조하는 광 변조 방식과, 일정 강도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서 기록할 정보에 따라 외부 자장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자계 변조 방식으로 대별된다.
그런데, 기록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구 정보의 소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중복하여 신 정보의 기록을 직접 행하는 이른바 오버라이트를 실현할 수 있는 방식의 자계 변조 방식이 양호하다. 그 때, 외부 자장의 방향의 스위칭 속도를 높혀서 전송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 헤드의 저 인덕턴스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나, 그에 따라 자계 강도가 저하되므로 자기 헤드는 광자기 디스크에 가능한 근접시켜야 한다.
그런데 광자기 디스크의 기판으로서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표면에 상당한 면 진동, 즉 원주 방향에 요철이 있어서 자기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에 과도하게 접근시키면 상기 면진동의 영향으로 자기 헤드가 광자기 디스크에 접촉하여 자기 헤드 또는 광자기 디스크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기 헤드와 광자기 디스크와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어야 하므로 자계 강도가 부족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면진동에 따라 자기 헤드와 수직 자화막과의 거리가 변동함에 따라 자계 강도의 변동도 생기기 쉬웠다.
그래서, 제48도 및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을 채용한 광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은 자기 헤드(8 : 편의상 제49도에 해칭으로 표시)과, 자기 헤드(8)을 탑재하여 광자기 디스크(3) 위를 활주하는 슬라이더(7)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은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6)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고, 서스펜션(6)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3)에 눌려있다. 서스펜션(6)의 기부는 고정부(5)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7)은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광자기 디스크(3)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 자기 헤드(8)이 광자기 디스크(3)의 하면측의 광학 헤드(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7)은 상방에서 보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자기 헤드(8)이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더(7)의 크기는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3)의 반경 방향 길이가 5㎜이고, 원주 방향 길이가 7㎜이다.
광자기 디스크(3)이 회전하면 광자기 디스크(3)의 표면과 부상형 자기 헤드(1) 사이에 공기류가 생긴다. 이 때문에 부상형 자기 헤드(1)은 서스펜션(6)에 의한 압력과 공기류에 의한 부상력이 균형을 이루는 높이까지 부상한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과 광자기 디스크(3)의 간격이 거의 일정해지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에서 인가되는 자계 강도는 광자기 디스크(3)의 면 진동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3)에 안정하게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부상형 자기 헤드(1)의 부상시 및 랜딩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의 광자기 디스크(3)에 접촉하도록 한 이른바 CSS(contact start and stop) 방식을 채용한 경우, CSS의 반복으로 광자기 디스크(3) 및 부상형 헤드(1)이 마모·손상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형 자기 헤드(1)이 광자기 디스크(3)에 흡착하여 스핀들 모터(2)가 광자기 디스크(3)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부상형 자기 헤드(1)의 사용을 예상하지 않고 결정된 ISO 규격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 부상형 자기 헤드(1)을 사용한 경우에는 한층 심각해진다.
또, 제50도 및 제5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3)의 외주 가장자리부 부근에 융기부(3a)가 있는 경우, 부상형 자기 헤드(1)을 광자기 디스크(3)의 외주의 한정된 범위까지 밖에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광자기 디스크(3)의 기억용량이 실질적으로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융기부(3a)는 보호막을 스핀 코트법으로 형성할 때에 생긴다. 한 예로서 직경 3.5×2.54㎝(3.5인치)의 폴리카보네이트제의 기판을 사용하여 스핀 코트법으로 보호막을 형성한 복수의 광자기 디스크(3·3...)의 외주 가장자리부 근방의 표면 현상을 실측한 결과를 제52도∼제55도에 도시한다.
제52도의 광자기 디스크(3)에서는 중심에서 반경 41.5㎜의 위치부터 융기가 시작되고, 융기부(3a)의 높이는 최대 16㎛이다.
제53도의 광자기 디스크(3)에서는 중심에서 반경 41.6㎜의 위치부터 융기가 시작되고, 융기부(3a)의 높이는 최대 14㎛이다.
제54도의 광자기 디스크(3)에서는 중심에서 반경 41.6㎜의 위치부터 융기가 시작되고, 융기부(3a)의 높이는 최대 12㎛이다.
제55도의 광자기 디스크(3)에서는 중심에서 반경 41.7㎜의 위치부터 융기가 시작되고, 융기부(3a)의 높이는 최대 12㎛이다.
부상형 자기 헤드(1)은 광자기 디스크(3)의 표면과의 사이에 근소한 간격을 두고 부상해 있어서 상기 광자기 디스크(3)의 경우 부상형 자기 헤드(1)이 반경 41㎜ 정도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융기부(3a)에 접촉하게 된다(제50도 및 제51도 참조).
또한, 상기 흡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자기 디스크(3)의 표면에 특수한 텍스쳐 처리를 하거나,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책도 강구되고 있다.
또한, 전자 정보 통신 학회 춘계 전국 대회(1989년)의 예고집 C-27 [랜딩 온 오프 부동 헤드 슬라이더에 관한 한 실험] 및 전자 정보 통신학회 춘계 전국 대회(1990년)의 예고집 C-474 [구면 가공 부동 헤드 슬라이더의 랜딩 온·오프 특성]에는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에 대해 비접촉으로 랜딩 온·오프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저면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구면 가공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위에 부상하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부상형 헤드 및 부상형 헤드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형 헤드는 회전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발생하는 공기류에서 부력을 받는 슬라이더를 갖고 있고, 슬라이더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부근의 융기된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주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를 설치했으므로 슬라이더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부근의 융기된 부분에 접촉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외주 부근까지 부상형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의 기재로 충분히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4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3 :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면에 배치된 부상형 자기 헤드(15), 자기 디스크(13)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16) 및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가 어떤가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위치 검출 수단)를 구비한다. 위치 센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자기 헤드(도시 않음) 및 자기 헤드를 부착한 슬라이더(도시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서스펜션(도시 않음)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서스펜션에 의해 자기 디스크(13)의 한 쪽의 표면측에 가세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될 대 슬라이더의 저면과 자기 디스크(13)의 표면과의 사이의 공기류에 의해 생기는 부상력과 상기 서스펜션에 의한 가세력이 균형을 이루고, 슬라이더와 함께 자기 헤드가 자기 디스크(13)에서 거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기 디스크(13) 상에 안정되게 부상하도록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설계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또 리니어 모터 등의 이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기 디스크(13)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는 또 자기 디스크(13)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12 : 회전 구동 수단).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 즉 단위 시간당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1) 및 위치 센서 및 회전수 검출 수단(14)에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 수단(1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및 스핀들 모터(1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1 :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회전수 검출 수단(14)에는 예를 들면 스핀들 모터(12)의 회전축에 부착한 자석과 고정 자기 헤드로 이루어지는 펄스 발생기 또는 주파수 발전기가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자기 디스크(13) 상에 부상한 상태에서 자기 디스크(13)에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자기 디스크(13)에서의 누출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정보를 재생한다.
또 자기 디스크(13) 대신 광자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광자기 디스크를 끼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에 대향하도록 광학 헤드가 배치된다.
상기의 자기 디스크 장치의 기록·재생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동작을 제2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자기 디스크(13)에 대한 정보의 기록·재생시 먼저 스텝1(이하 스텝을 S로 표시)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한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위치(높이)에 있는지 어떤지, 즉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부상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11)에 판독되어 들어간다.
제어부(11)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 판단된다(S2).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을 때 승강 동작은 종료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회전수 검출 수단(14)에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 정보가 제어부(11)로 입력된다(S3).
제어부(11)에서는 회전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 디스크(13)이 소정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고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S4).
자기 디스크(13)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제어부(11)에서는 자기 디스크(13)이 정지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S5). 자기 디스크(13)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1)은 스핀들 모터(12)를 회전시킨다(S6). 그리고, 처리가 S3으로 복귀한다. 자기 디스크(13)이 정지 상태가 아닐 때 처리를 S3으로 복귀시키고, 자기 디스크(13)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S3-S5가 반복된다.
자기 디스크(13)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제어부(11)은 승강 수단(16)에 의해 부상형 자기 헤드(5)의 하강을 개시시키고,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자기 디스크(13)에 서서히 근접시킨다(S7). 그후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11)로 입력된다(S8).
제어부(11)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S9).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1)은 승강 수단(1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을 정지시키고(S10), 승강 동작이 종료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를 S8로 복귀시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로 될 때까지 S8-S9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자기 디스크(13)이 소정 회전 속도 이상으로 된 후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자기 디스크(13)에 근접시키는 구성이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드시 소정의 부상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부상 개시시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자기 디스크(3)의 접촉을 거의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 또는 자기 디스크(13)의 손상이나 자기 디스크(13)에 대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가 어떤가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했으므로, 폐쇄 루프 제어에 의해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정도(精度)가 좋게 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구동 정지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동작을 제3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구동을 정지할 때, 먼저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어떤지, 즉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11)로 입력된다(S11).
제어부(11)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S12).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가 아닐 때 제어부(11)은 스핀들 모터(12)를 정지시킴으로써 자기 디스크(1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17), 처리를 종료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을 때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자기 디스크(13)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제어부(11)은 승강 수단(1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을 개시시킨다(S13). 그 후, 다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11)로 입력된다(S14).
제어부(11)에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가 판단된다(S15).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을 때 처리를 S14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접근 상태가 아닐 때까지, 다시 말하면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서 소정 간격 이상 떨어질 때까지 S14-S15는 반복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13)에서 소정 간격 이상 분리되면 제어부(11)은 승강 수단(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을 정지시킨다(S16). 제어부(11)은 스핀들 모터(12)를 정지시키므로써 자기 디스크(1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17),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서 분리된 후 스핀들 모터(12)를 세워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구동 정지시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자기 디스크(13)의 접촉을 거의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접근 상태에 있을 대에 오동작 등에 의해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의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동작을 제4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은 보통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인터럽트 처리 등에 의해 회전수 검출 수단(14)에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 정보를 입력 받고 있다(S21). 따라서 자기 디스크(13)이 소정 회전 속도 이상에서 회전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S22).
그래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제어부(11)은 즉시 승강 수단(16)에 의해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을 개시시키고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자기 디스크(13)에서 이격시킨다(S23).
그리고,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하기 위해 위치 센서에 의해 검출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11)로 입력된다(S24).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S25).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 있을 때 처리를 S24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에서 떨어질 때까지 S24-S25를 반복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근접 상태가 아니게 되면 제어부(11)은 승강 수단(1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을 정지시키고(S26),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을 때 항상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어떤 이유로 자기 디스크(13)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 즉시 부상형 자기 헤드(13)에서 분리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오동작 등에 기인하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자기 디스크(13)의 접촉을 거의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 또는 자기 디스크(13)의 손상이나 자기 디스크(13)에 대한 부상형 자기 헤드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 대해 근접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했으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자기 디스크(13)에서 분리되는 것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구비한 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해 설명했으나, 광자기 디스크 장치 등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 뿐만 아니라 부상형 광학 헤드 등의 각종 부상형 헤드에 대해서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5도 내지 제10도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구를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 : 디스크형 기록 매체)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12)와 광자기 디스크(21)의 한쪽 표면(도면의 하면)에 대향시켜 배치되고, 대물 렌즈(23)을 통해 광자기 디스크(21)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또 광자기 디스크(21)에서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정보 재생들을 행하는 광학 헤드(24) 및 광자기 디스크(21)의 다른 쪽의 표면(도면의 상면)측에 있어서 대물 렌즈(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광자기 디스크(21)에 자계를 인가하는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구비한다.
광학 헤드(24)는 리니어 모터 등의 이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26)의 일단부는 고정부(27)의 상측 수평부에 고정되어 있고,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서스펜션(26)의 타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고정부(27)은 광학 헤드(24)용의 이동 수단과는 별도의 이동 수단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광 디스크 장치에 사용하는 서스펜션(26)에 대해 제9도 및 제10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서스펜션(26)은 두께 70㎛ 정도의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지고, 서스펜션(26)의 폭은 부상형 자기 헤드(15)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아진다. 서스펜션(26)의 길이 l1[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슬라이더(30)의 중심과 금속판(28)의 중심간의 거리]은 26.41㎜이다.
서스펜션(26)의 일단부에는 고정부(27)에 대한 연결부로서 금속판(28)의 용착되어 있다. 금속판(28)의 크기는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에 따른 폭이 6㎜, 광자기 디스크(21)의 원주 방향에 따른 길이가 10.2㎜, 두께가 0.5㎜ 정도이다.
슬라이더(30)의 광자기 디스크(2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각에는 자기 헤드(31)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0)의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에 따른 길이 W1은 5㎜, 원주 방향에 따른 길이 W2는 7㎜, 전체의 두께 t1은 2㎜,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향하는 면에서 서스펜션(26)과 접착되는 면까지의 두께 t2는 0.82㎜로 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저면, 즉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광자기 디스크(21)과 대향하는 면에서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으로 공기가 유입하는 측의 단부에는 광자기 디스크(21)의 원주 방향의 폭 1㎜ 정도의 경사부(경사각은 예를 들면 0.5°)가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26)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한으로 굴곡된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2)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6a)에서는 서스펜션(26)은 휘기 어렵고, 플랜지(3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26b)에서 서스펜션(26)은 휘기 쉽다.
영역(26b)의 길이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1∼10gf 로 광자기 디스크(21) 측으로 눌리도록 설정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3∼5㎜로 설정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저면이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과 평행할 때 저면과 서스펜션(26)이 이루는 각도 θ4는 종래 2.2°로 설정되어 있고, 저면과 금속판(28) 상면 사이의 거리 d1'는 2.54㎜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승강 부재(33)이 서스펜션(26)의 영역(26a)에 하방부터 접촉함으로써 서스펜션(26)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제2승강 부재(34)가 고정부(27)에 하방에서 접촉함으로써 고정부(27)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 부재(33 및 34)는 동시에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이 정지하고 있을 때,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 상에 표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승강 부재(33 및 34)는 광자기 디스크(21)의 상방으로 위치 A에 세트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이 시작되면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광자기 디스크(21)상으로 하강하기 위해서 승강 부재(33 및 34)가 하강한다. 이때 부상형 자기 헤드(15), 서스펜션(26) 및 고정부(27)의 높이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 및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 θ1이 거의 0°로 됨과 동시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 및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의 원주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 θ2가 거의 0°로 되도록 자기 헤드(15)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저면과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의 간격이 소정값으로 된 시점, 즉 승강 부재(33 및 34)가 위치 B까지 하강한 시점에서 고정부(27)의 하강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 고정부(27)이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 부재(33 및 34)는 위치 B에서 C까지 다시 하강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부재(33)에 의한 서스펜션(26)의 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상한다.
한편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부상을 종료시킬 때 상기 프로세스와는 역으로 승강 부재(33 및 34)는 위치 C에서 상승하여 위치 B에서 서스펜션(26) 및 고정부(27)에 접하고, 또 위치 A까지 상승함으로써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후,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그 저면이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과 거의 평행으로 되는 자세로 하강하므로 승강 부재(33)이 서스펜션(26)에서 분리되고,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공기압에 의해 부상을 개시할 때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21)에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이 접촉할 기회가 없으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에 흡착하지 않게 된다.
또 고정부(27)을 승강 부재(34)에 의해 승강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고정부(27)을 광학 헤드(24)용의 이동 수단과는 별도의 이동 수단으로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했으나 고정부(27)을 분리 가능한 연결 수단으로 광학 헤드(24)용의 이동 수단에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제11도 내지 제23도 및 제56도 내지 제59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7)의 높이는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는 다르다.
승강 부재(35)를 서스펜션(26)의 영역(26a)(제10도 참조)에 하방부터 접촉시키고 또 승강 부재(35)를 위치 A에서 C의 사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서스펜션(26)의 영역(26b)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해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 위치 B에서 승강 부재(35)가 서스펜션(26)에서 분리될 때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저면이 광자기 디스크(21) 표면과 거의 평행으로 되는 자세로 되도록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7)을 승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하나의 승강 부재(35)만 설치하면 된다. 또 고정부(27)과 광학 헤드(24)를 일체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학 헤드(24)용의 이동 수단에 의해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 부재(35)를 반복하여 상하 운동 시킴으로써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을 반복시키는 실험으로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과의 접촉 유무 및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자세와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한 누름 하중의 관계를 조사했다.
실험에서는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에 따른 길이가 5㎜, 원주 방향에 따른 길이가 7㎜, 두께가 2㎜인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사용됐다. 서스펜션(26)에는 형상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고(제9도 및 제10도 참조) d1[고정부(27)의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한 높이]=2.54㎜일 때 누름 하중이 약 9gf로 되는 사양의 것이 이용되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자세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d1및 고정부(27)의 반경 방향의 기울기 θ3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었다. 또 원주 방향의 각도 θ2(제7도 참조)에 관해서는 고정부(27)의 원주 방향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고정하여 거의 0°로 설정하였다.
광자기 디스크(21)로서는 글루브 가공이나 코팅 등을 일절 행하지 않은 직경 86㎜의 글래스 기판을 사용했다. 광자기 디스크(21)은 3000rpm으로 회전시켰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21)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33㎜의 위치에서 반복하여 승강되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는 11.5㎜/s로 세트되었다. 승강은 2초마다 실시되었다.
승강 부재(35)로서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7)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된 레버(40)이 사용되었다. 레버(40)의 일단부는 서스펜션(26)에 하측에서 접하도록 되어 있고, 레버(40)의 타단부가 구동 장치(41)에 의해 상하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장치(41)에 의해 레버(40)이 축 둘레로 회전되면 서스펜션(26)이 레버(40)의 일단부에 의해 상하로 움직인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26)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승강시킬 수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의 접촉 유무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에 접착한 후지덴끼사제의 AE(Acoustic Emission) 센서를 이용해서 검출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동작시 이외에는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21)과 접촉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AE센서에 의해 검출된 AE신호(접촉 신호)는 승강시의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과의 접촉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실험 결과를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다.
○ 표시는 AE신호가 완전히 검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 표시는 때때로 AE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 □ 표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 동작 또는 하강 동작시마다 반드시 AE 신호가 검출되나 그 신호 레벨이 비교적 낮은 것을 나타내고, ● 표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 동작, 하강 동작의 양방에서 매회 AE 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실험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고정부(27)의 높이 d1과 기울기 θ3을 변화시키고(제12도 참조), 이 때의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한 누름 하중을 실측한 후 반복하여 승강하여 접촉 유무를 조사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부상 상태에서의 서스펜션(15)의 부상 상태에서의 서스펜션(26)과 광자기 디스크(21)이 이루는 각도를 θ4로 하여 측정했다.
θ4의 측정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이 사용된다. 즉, 서스펜션(26)의 영역(26a)에 반사부(36)을 형성해 두고(예를 들면 반사 테이프를 접착함), 반사부(36)에 레이저 광을 수직 하방에서 조사한다.
레이저 광원(37)은 스크린(38)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레이저 광은 스크린(38)에 설치된 미소한 구멍(39)를 통과하여 반사부(36)에서 반사되어 스크린(38)상에 광스폿트 Sp를 형성한다. 이 때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구멍(39)의 중심과, 반사광에 의한 스폿트 Sp와의 사이의 거리를 Δx, 스크린(38)에서 반사부(36)까지의 거리를 L로 하면,
Δx = L·tan2θ4,
즉,
θ4= (1/2)·tan-1(Δx/L)
이다. 따라서, L을 미리 정해두고 Δx를 측정하면, 상기식에서 θ4가 구해진다.
제14도는 상기의 실험 결과는 종축에 θ4, 횡축에 압력 하중을 취해서 도시한 것이다.
압력 하중이 1∼14gf인 경우, θ4를 0°15'∼ 2°50'의 범위에 설정하면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광자기 디스크(21)에 비접속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자세 조정을 행할 때 θ4의 설정 목표를 1°35'∼ 1°40'으로 하면 허용치는 ±1°10'으로 된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에서 분리되는 상태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저면과 서스펜션(26)의 영역(26a) 사이의 각도는 1°40'이었다. 따라서 종축의 θ4를 θ1(제6도 참조)로 변환하면, 제14도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은 -0.05°∼ 0°를 중심으로 하여 -1°25'∼ 1°10'의 범위에서는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았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는 실제로는 제12도의 θ3및 d1의 목표값을 설정하여 이들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실험 결과를 d1및 θ3에 대해 도시하면 제15도가 얻어진다.
제15도에서 d1의 폭이 1㎜이고, 오른쪽으로 하향의 띠상의 영역이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비접촉 영역)인 것을 알았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d1및 θ3의 최적값(목표값) 및 허용값을 설정하는 구체예를 기술한다. 서스펜션(26)에 의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압력 하중으로서 5gf를 설정하는 경우, 미리 측정된 압력 하중의 데이터에서 θ3은 약 6°인 것을 알았다. θ3=6°로 하여 이때의 비접촉 영역 d1의 중심 P0에서는 d1=2.02㎜로 된다. 따라서 최적값은 θ=6°로 되고, d1=2.02㎜로 된다.
다음에 조정시에 θ3은 최대 ±1°의 허용 오차를 예측한 경우 θ3=5° 및 θ3=7°의 수선을 긋고, 비접촉 영역의 상한 및 하한과의 교점을 도시한 바와 같이 P1-P4로 한다. 이 때 P2, P3에서 수평으로 선을 긋고 그것이 P0을 둘러싸는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 허용 범위로 된다. 즉 θ3은 5°±1°, d1은 2.02㎜±0.45㎜로 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동작을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을 이루어지는 광자기 디스크(21)상에서 10,000회 반복해서 행했다. 실험 조건은 상기 글래스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광자기 디스크(21)의 경우와 동일하고, θ3및 d1을 변화시킨 결과 제15도의 비접촉 영역보다도 d1이 다시 0.2㎜ 정도 외측으로 벗어나 있어도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기껏해야 0.2㎛로 기록 정보가 손상되는 일은 없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과의 접촉을 다시 허용하면 d1의 허용값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 d1=2.94㎜일 때 입력 하중이 약 5gf로 되는 서스펜션(26)이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행했다. 실험 결과는 제56도 내지 제59도에 도시한다, 또, 제56도 및 제58도는 광자기 디스크(21)을 3000rpm으로 회전시켰을 때 얻어지는 데이터이고, 제57도 및 제59도는 광자기 디스크(21)을 3600rpm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얻어진 데이터이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21)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40㎜의 위치에서 반복해서 승강된다.
본 실험에 있어서도 상기 실험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즉, 비접촉 영역은 θ4=1°40'을 중심으로 약 ±1°의 범위로 되는 것을 알았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조립 조성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부(36)에서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서 서스펜션(26)과 광자기 디스크(21)과의 각도 θ4를 검출하면서 d1및 θ3를 조정함으로써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자세 조정을 정도가 좋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중의 L을 길게 하면 d1및 θ3의 변화가 조금 있어 Δx의 변화가 커지므로 θ4의 변화를 정도가 좋게 검출할 수 있다. Δx가 목표값에 충분히 가까운 점에서 고정부(27)을 고정하면 조정이 완료된다.
다음에, 제15도의 접촉 영역과 비접촉 영역과의 경계 부근의 조건에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조립한 경우에 있어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했다.
즉, 제15도에 도시한 상기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측정 결과가 □인 점 P11∼P13에 대해, 또 상기 비접촉 영역 내이기는 하나 측정 결과가 △인 점 P14에 대해 승강 속도를 변화시켜 AE센서를 사용하여 접촉 유무를 조사했다.
실험 결과를 제16도∼제23도에 도시한다.
도면 중 상측의 파형은 AE신호이고, 하측의 파형은 타이밍 신호이다. 횡축은 시간이다. 타이밍 신호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상승한 때에 발생되는 펄스이다. 따라서 펄스의 앞에서 관측된 AE신호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시에 접촉이 있었던 것을, 펄스의 다음에 관측된 AE신호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접촉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제16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1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도면에서 AE신호는 타이밍 신호의 펄스의 후에 발견되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접촉을 일으키고 있다. 또 근소하지만 상승시에도 각각 접촉하고 있다.
제17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1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38㎜/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시의 AE신호의 레벨이 커지고, 하강시의 AE신호의 레벨은 대폭 올라가 있어서 접촉시의 충격이 매우 커져 있는 것을 알았다.
이 때, 제12도에 도시한 셋팅으로 레이저 광을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슬라이더(30)의 활주면에 접촉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움직임을 관찰한 바, 하강시 및 상승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급격히 요동하고 있는 것이 스크린(38) 상의 광 스폿트의 움직임에서 확인되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4.8㎜/sec로 설정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 신호 레벨은 작았다.
제18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2(d1=2.75㎜, θ=1.75°)의 조건으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만 레벨이 낮은 AE신호가 발생한다.
제19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2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4.8㎜/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시에 레벨이 높은 AE신호가 매회 발생했다. 상승시 슬라이더(30)이 상당히 요동하고, 이 요동이 하강시에도 남아서 하강시의 AE신호도 커졌다. 한편,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상승한 상태에서 단발적으로 하강시킨 경우에 있어서는 AE신호는 발생하지 않던가 발생해도 레벨이 남았다.
제20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3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11.5㎜/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또 타이밍 신호는 기록 누락 때문에 펄스의 위치를 도면 중에 X표시를 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는 매회 AE신호가 발생했다. 그러나, 상승시에는 때때로 발생할 뿐이었다.
제21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3의 조건에서 조립하여,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4.8㎜/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5)의 하강시의 AE신호는 없어지고, 상승시의 AE신호는 낮은 레벨의 것이 매회 발생하도록 되었다.
제22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3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9.2㎜/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AE신호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제23도의 파형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P14의 조건에서 조립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는 11.5㎜/sec로 설정한 경우에 얻어졌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때때로 저레벨의 AE신호가 발생했다. 이때, 승강 속도를 9㎜/sec이하로 감속하면 AE신호가 없어지는 것을 알았다.
이하 마찬가지로, □ 또는 △의 각 점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를 변화시킨바 상기와 동일한 경향이 있었다. 즉,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시에 발생하는 AE신호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 감속으로 레벨이 낮아지던가, 소멸되든가, 접촉하지 않던가, 접촉한 경우에 있어서도 충격이 작은 경향이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 속도는 상기 테스트 결과 및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에 요하는 실제 시간을 고려하여 15∼5㎜/sec정도가 좋다.
한편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시에 발생하는 AE신호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 속도가 너무 낮아지면 발생하기 쉬워지고, AE신호의 레벨도 커지므로 디스크와의 접촉이 일어나기 쉽고, 충격도 커지는 경향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 속도는 12㎜/sec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 제18도 및 제19도에서 상승시에 발생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요동은 상승 직후 하강시킨 경우에 하강시까지 남아 있으므로,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에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요동이 없어질 때까지는 다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을 금지하는 것도 효과적임을 알았다.
이상의 효과에서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회전 구동되고 있는 광자기 디스크(21)에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부상 위치로 근접시킬 때 10㎜/sec 이하의 하강 속도로 되도록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광자기 디스크(21)에서 분리할 때 12㎜/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15㎜/sec 이상의 상승 속도로 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41)에 의해 승강 레버(40)을 구동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θ3와 d1의 허용 범위가 넓어지므로 광자기 디스크(21)과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접촉하지 않는 허용폭을 넓게할 수 있다. 즉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조립시의 자세 조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제24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 장치(43)과, 레버(40)의 하강 속도를 상승 속도보다도 늦게하기 위한 스프링(42)가 개별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3실시예와는 다르다,
구동 장치(43)은 부상형 자기 헤드(15)에 동일한 승강 속도를 공급하도록 구동력을 승강 레버(40)에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동 장치(43)에서의 구동력에 따라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하강할 때에는 그 도중에서 레버(40)이 스프링(42)에 접한다. 접한 후는 스프링(42)의 탄성력을 구동 장치(43)의 구동력에서 뺀 힘이 레버(40)에 작용한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 속도는 늦어진다. 한편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시에는 스프링(42)의 탄성력을 더해서 상승 속도는 빨라진다.
또, 상기와 같은 속도 제어를 캠을 이용해서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제25도 내지 제28도를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경사부(30b : 공기의 유입단)가 근소하게 높아지는 자세에서, 구체적으로는 θ2가 1°정도로 되는 자세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부상시킨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헤드(24), 하단부가 광학 헤드(24)에 고정된 대략자형 서스펜션 지지용의 아암(45) 및 이 아암(45)의 상단의 고정부(27)에 금속판(28)과 함께 고정된 서스펜션(26)을 구비하고 있다.
서스펜션(26)의 선단부(26a)는 슬라이더(30)의 상부에 설치된 홈부(30a)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더(30)의 저면에는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 방향에서 본 전방의 경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0b)의 후방은 플랫부(30c)로 되어 있다. 또,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 방향에서 보다 슬라이더(30)의 후단부에는 자기 헤드(31)이 부착되어 있다.
아암(45)에는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뻗은 지지부(40a)를 구비하는 대략 L자형의 레버(40)이 고정부(27)에 나사(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40a)의 선단의 돌기부(40b)는 서스펜션(26)의 하면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단 돌기부(40b)가 서스펜션(26)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나사(46)을 회전 지점으로 하여 레버(40)을 하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서스펜션(26)을 상향으로 회전시키고 슬라이더(30)을 끌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을 광자기 디스크(21)에 비접촉으로 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40b)는 서스펜션(26)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 L-L에서 슬라이더(30)의 경사부(30b)로 치우친 위치에서 서스펜션(26)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서 레버(40)이 서스펜션(26)을 통해 슬라이더(30)을 끌어올릴 때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30b), 즉 공기의 유입측 단부가 높아지는 자세에서 슬라이더(30)을 끌어올리게 된다.
경사부(30b) 측이 높아지는 자세에서 슬라이더(30)을 끌어 올리는 경우 플랫부(30c)의 경사 각도 θ2는 1°정도인 것이 좋다.
광자기 디스크(21)은 예를 들면 글래스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판(21a), 희토류 천이 금속 합금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자기 기록 매체(21b) 및 보호막(21c)를 구비한다. 보호막(21c)에는 예를들면 다이닛뽄 잉크사 제조 SD301 등의 수지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서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 정지시에는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은 서스펜션(26)을 통해 레버(40)에 의해 끌어 올려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은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광자기 디스크(21)에 기록을 행하는 경우 광자기 디스크(21)을 스핀들 모터(12 : 제13도 참조)에 의해 회전시켜서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레버(4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은 광자기 디스크(21)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 위치에서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돌기부(40b)가 서스펜션(26)의 중심선 L-L에서 경사부(30b)로 치우친 위치에서 서스펜션(26)의 하면에 접촉하고, 슬라이더(30)은 경사부(30b)측이 높아지는 자세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해방된 슬라이더(30)은 플랫부(30c) 전체에서 큰 부상 압력을 받아서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광자기 디스크(21)에서 부상한다.
그 후, 광학 헤드(24)에서 광자기 디스크(21)에 광 비임이 조사됨과 동시에 자기 헤드(31)에서 기록해야 할 정보에 따라 반전하는 자계가 인가됨으로써 광자기 기록 매체(21b)에 자기 광학적으로 정보가 기록된다. 또, 기록이 종료한 때에는 레버(40)을 다시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서스펜션(26)을 통해 슬라이더(30)을 끌어 올려 광자기 디스크(21)에 비접촉으로 되는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이 해서 슬라이더(30)을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일이 없이 정보기록이 행해진다.
한편, 재생시에는 광학 헤드(24)에서 광자기 디스크(21)로 광 비임이 조사되고, 반사광에 있어서 편광면의 회전이 검출됨으로써 광학적으로 정보가 재생된다. 또, 재생시에는 예를 들면 레버(40)에 의해, 서스펜션(26)을 통해 슬라이더(30)을 항상 들어 올린 상태에서 유지해 둘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대한 플랫부(30c)의 기울기 θ2를 변화시킬 때 슬라이더(30)을 비접촉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d1(슬라이더(30)의 하면에서 고정부(27)까지의 높이)-2.54㎜]의 범위를 제28도에 도시한다. 또, 비접촉 영역의 중심이 d1=2.54㎜로 되는 서스펜션(26)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횡축의 +측은 경사부(30b)가 높은 자세로 경사진 것을 나타내고, -측은 경사부(30b)측의 낮은 자세로 경사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 중 ○ 표시는 슬라이더(30)을 해방한 때에 슬라이더(30)이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부상가능한 것을, ●표시는 슬라이더(30)을 해방한 때에 슬라이더(30)이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서 부상하여 안정 상태로 되기 이전에 슬라이더(30)과 광자기 디스크(21)과의 접촉이 생기는 것을 나타낸다.
θ2=0°인 경우 [슬라이더(30)의 플랫부(30c)가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과 평행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해방한 경우], 광자기 디스크(21)과 접촉하지 않고 부상 가능한 d1의 범위가 0.9㎜ 정도인데 비해 θ2=1°인 경우 [경사부(30b)측이 1° 높아지는 자세로 유지해 두고 해방한 경우], 광자기 디스크(21)과 접촉하지 않고 부상가능한 d1의 범위가 1.2㎜ 정도로 증가했다.
이에 비해, θ2=1°인 경우 [경사부(30b)측이 1°낮아지는 자세로 유지해 두고 해방한 경우] 광자기 디스크(21)과 접촉을 일으키지 않고 부상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0)을 비접촉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조건이 종래보다 간단해지기 때문에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기계 설계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 제29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의 지지부(40a)가 슬라이더(30)의 경사부(30b)측이 높아지도록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 대해 1°정도 경사져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상기 구성에서 서스펜션(26)이 레버(4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될 때, 슬라이더(30)은 경사부(30b) 측이 높아지는 자세는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는 레버(40)의 형상을 연구해서 슬라이더(30)을 경사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한 예이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을 경사부(30b)가 높아지는 경사 자제로 유지할 수 있는 한 레버(40)의 형상은 제29도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 제30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먼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경사부(30b)측이 높아지도록 아암(45)의 고정부(27)이 경사져 있는 점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구성에서 슬라이더(30)이 서스펜션(26)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레버(40)에서 예를 들면 수평자세로 유지된 때 슬라이더(30)은 경사부(30b)측이 높아지는 자세로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는 서스펜션(26)의 기단부 자체를 경사시킴으로써 슬라이더(30)을 경사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한 예이다. 따라서 고정부(27)상에 경사진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서스펜션(26)의 기단부를 경사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 제31도 내지 제34도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3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슬라이더(51)의 저면 외주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51a)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1)과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 방향에서 보아 슬라이더(51)의 후단부에 부착된 자기 헤드(31)(편의상 해칭으로 나타낸다)을 구비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서스펜션(26)에 의해 수g정도의 가세력으로 광자기 디스크(21)측으로 가세되면서 지지되어 있고,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회전 속도는 예를 들면 1800∼4000rpm정도)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21)의 표면에서 수㎛정도 부상하도록 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21)은 기판(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상에 수직 자화막을 형성하고, 이 수직 자화막을 수지제의 보호막으로 피복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외주 가장자리부 부근에 융기부(21d)를 구비한다.
슬라이더(51)의 저면과 융기부(21d)에 대향하는 측면과의 사이에 에지는 라운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사진 절개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융기부(21d)의 근방까지 이동한 때에 절개부(51a)가 융기부(21d)에 대향함으로써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종래보다 더욱 외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21)이 실질적인 기억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3600rpm으로 회전하는 3.5×2.54㎝(3.5인치)의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41㎜의 위치에서 약 2초의 주기로 승강시켰을 때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융기부(21d)에 접촉하는지 아닌지를 후지덴끼사 제조 AE센서를 사용해서 조사했다.
제33도에 측정 결과는 나타낸다. 도면 중 상측의 파형은 AE신호이고, 하측 파형이 타이밍 신호이다.
또, 비교를 위해 슬라이더(51)에 절개부(51a)를 설치하지 않은 부상형 자기 헤드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시험을 했다. 제34도에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제34도에서 시간 영역 T1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가 광자기 디스크(21) 상에 근접해 있고, 시간 영역 T2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가 광자기 디스크(21)에서 떨어져 있다. 시간 영역 T1에서는 AE센서에 의한 접촉 신호가 현저히 커서 부상형 자기 헤드가 융기부(21d)에 계속 접촉해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예의 부상형 자기 헤드(15)에서는 제33도의 파형에서 알 수 있듯이, 광자기 디스크(21)에 근접해 있을 때에도 절개부(51a)의 존재에 의해 융기부(21d)로의 접촉이 생기지 않는다.
또, 슬라이더(51)에 절개부(51a)를 형성하면 슬라이더(51)의 저부 면적이 약간 감소하나 계산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충분한 부상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51)의 저면의 크기를 5㎜×7㎜로 하고, 압력 하중을 5gf로 하면, 절개부(5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의 부상량은 5㎛이고, 절개부(51a)가 형성되어 있을 때의 부상량은 4.8㎛였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 제35도 및 제36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슬라이더(52)의 전방측의 광자기 디스크(21)의 외주측에 직선상의 절개부(52a)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슬라이(52) 및 광자기 디스크(51)의 회전 방향으로 보아 슬라이더(52)의 후단부에 부착된 자기 헤드(31)(편의상 해칭으로 도시)을 구비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와 광자기 디스크(21)의 융기부(21d)와의 접촉은 슬라이더(5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광자기 디스크(21)의 외주에 치우친 코너 부분에서 생기기 쉬우므로, 이 부분에 절개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융기부(21d)에 접촉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지덴끼사 제조 AE센서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에 근접해도 절개부(52a)의 존재에 의해 융기부(21d)로의 접촉이 생기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대해 제37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슬라이더(53)의 전방측의 광자기 디스크(21)의 외주측에 원호상의 절개부(53a)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지기 디스크(21)에 접근해도 절개부(21a)가 있어서 융기부(21d)에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대해 제38도 내지 제47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상과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는 3.5×2.54㎝(3.5인치)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에서는 제45도 및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은 케이스(61)에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61)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개구부(61a·61a)가 형성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A방향(제45도 참조)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 장치 내로 삽입된 경우 개구부(61a·61a)는 케이스(61)의 진입 단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부(61c)는 케이스(61)의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개구부(61a·61a)에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61)의 개구부(61a,61a) 근방에 있어서 진입 단면에는 홈(6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61d)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73)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73)과 일체로 된 셔터(72)가 개방된다.
슬라이드 부재(73)은 홈(61d)의 내실을 슬라이드하는 끼워 맞춤부(73c), 홈(61d)의 벽부를 끼워 맞춤부(73c)와 맞물려 슬라이드하는 걸어 맞춤부(73a) 및 걸어 맞춤부(73a)와 끼워 맞춤부(73c)를 셔터(72)에 연결하는 연결부(7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부(61c)의 두께 h1및 연결부(73b)의 두께 h2는 예를 들면 약 2㎜로 설정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카트리지 홀더(74)는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을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핀(77)이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 프레임(75)에는 A방향으로 삽입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개구부(61a·61a)에 맞추어 개구부(75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5b)의 근방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73)을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75c)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76)은 홀더 프레임(75)의 상면에서 중심 부근에 측지되어 있고, 아암(76)의 회전 운동단에는 핀(76a)가 가이드 슬릿(75c) 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A방향에 따라 카트리지 홀더(74)에 삽입되면, 상기 핀(76a)가 진입해 온 슬라이드 부재(73)의 걸어 맞춤부(73a)에 의해 핀(76a)가 가이드 슬릿(75c)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아암(76)이 회전한다.
아암(76)이 회전하면 걸어 맞춤부(73a)가 핀(76a)에 의해 A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눌린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73)이 홈(61d)에 따라 슬라이드하고, 그 결과 셔터(72)가 개방된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침입이 가이드 핀(77)에 의해 저지될 때 셔터(72)가 완전히 개방된다.
셔터(72)가 완전히 개방된 후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은 카트리지 홀더(74)와 함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안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스핀들 모터(12 : 제41도)에 광자기 디스크(21)이 피지되도록 카트리지 홀더(74)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로딩 전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헤드(24) 및 광학 헤드(24)에 연결된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삽입될 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대피해 있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온로딩되면, 상기와 같이 셔터(72)가 완전히 개방된다. 따라서 개구부(61a·61a)에서 광자기 디스크(21)이 노출된다. 이어서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74)가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 스핀들 모터(12)에 광자기 디스크(21)이 파지된다.
그 후 광자기 디스크(21)이 스핀들 모터(1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자기 디스크(21)이 정상 회전으로 되면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가 광자기 디스크(21)의 소정의 반경 위치(이하 이것을 강하 위치라 한다)까지 이동된다. 그래서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을 회전시킴으로써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개구부(61a·61a)에서 광자기 디스크(21) 위로 강하되고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광자기 디스크(21)에 접촉하지 않고 부상한다.
상기 강하 위치는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공기류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받도록 광자기 디스크(21)의 최외주 트랙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부상 상태는 가장 안정된다.
이 후,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21) 상의 원하는 억세스 위치에 리니어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이동된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를 대피 위치에서 강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은 상기 리니어 모터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로딩 방법에 대해 제38도 및 제40도 내지 제44도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40도 내지 제44도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74)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은 실제로 카트리지 홀더(74)에 수용되어 있다.
로딩 개시부터 기록(또는 재생) 개시까지의 기간을 크게 5기간으로 나눈다. 즉 시간 t0∼t4의 기간을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장착 기간으로 한다. 시간 t4∼t7의 기간을 스핀들 모터(12)에 의한 회전 가속 기간으로 한다. 시간 t7∼t8의 기간을 대기 위치에서 강하 위치로의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이동 기간으로 한다. 시간 t8∼t10의 기간을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하강 기간을 한다. 최후로 시간 t10이후를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부상 기간으로 한다.
시간 t0의 초기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셔터(72)는 폐쇄되어 있고, 스핀들 모터(12)는 정지하고 있다.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제4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 렌즈(23)의 중심축과 스핀들 모터(12)의 중심축이 예를 들면 55㎜의 거리를 두고 대피 위치에서 구속되어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레버(40)에 의해 끌어 올려져 있다[이하 스핀들 모터(12)의 중심에서 대물 렌즈(23)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55㎜일 때 대물렌즈(23)의 중심 위치를 R55로 나타낸다].
시간 t0에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광자기 디스크 장치 내에 설치된 카트리지 홀더(74)에 삽입된다.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 (63)이 시간 t1까지 삽입된 때 상기와 같이 케이스(61)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73)의 걸어 맞춤부(73a)가 홀더 프레임(75)에 설치된 아암(76)의 핀(76a)에 접한다(제47도 참조). 또,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시간 t2까지 삽입됨과 동시에 셔터(72)가 개방되어 개구부(61a·61a)가 완전히 개방된다.
시간 t2에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을 수용한 카트리지 홀더(74)가 장치내로 들어간다.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3에서 스핀들 모터(12)로의 장착위치에 도달한 카트리지 홀더(74)는 천천히 하강한다. 따라서 시간 t4에서 스핀들 모터(12)에 대한 광자기 디스크(21)의 파지가 완료해서 광자기 디스크(21)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예를 들면 센서에서 출력된다. 이 신호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2)는 시간 t4와 거의 같은 시각의 시간 t5에서 회전을 시작하여 시간 t7까지 가속한다. 또 광자기 디스크(21)은 시간 t4이후 스핀들 모터(12)에 장착된 상태이다.
한편,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스핀들 모터(12)가 시간 t7에서 정상 회전(예를 들면 3600rpm)으로 되기 조금 전의 시간 t6에서 동작 범위의 최외주 위치인 강하 위치(예를 들면 R40)로 향해 진입을 개시한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스핀들 모터(12)가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 t5에서 진입을 개시해도 좋다. 또 이때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들어 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시간 t8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대물 렌즈(23)이 강하 위치에 도달하면,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정지해서 구속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강하 위치에 도달한 것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후,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8과 거의 같은 시각의 시간 t9에서 레버(40)이 서스펜션(26)의 지지를 천천히 해제한다. 서스펜션(26)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고,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슬라이드의 저면이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면에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자세를 유지하면서 회전 중의 광자기 디스크(21)에 천천히 접근한다. 그리고,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비접촉인 채 광자기 디스크(21)의 회전에 의한 공기류의 압력을 받는다.
이 결과, 제4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10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부상 상태로 된다. 또, 레버(40)은 서스펜션(26)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와 동시에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의 구속이 해제되고, 리니어 모터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간 t11에서 기록(또는 재생)이 개시된다. 예를 들면 3.5×2.54㎝(3.5인치)의 광자기 디스크(21)에 대한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의 동작 범위는 R21-R40에서 설정된다. R40 보다 외측의 영역은 광자기 디스크(21)의 최외주에서 발생할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제외되어 있다.
다음에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언로딩 방법에 대해 제39도 및 제40도 내지 제44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기록(또는 재생)의 동작 상태에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배출까지의 기간을 5기간으로 나눈다. 즉 시간 t0'∼t2'의 기간을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부상 기간으로 한다. 시간 t2'∼t3'의 기간을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상승 기간으로 한다. 시간 t3'∼t4'의 기간을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후퇴 기간으로 한다. 시간 t4'∼t6'의 기간을 스핀들 모터(12)의 정지 기간으로 한다. 최후로 기간 t6'이후를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이젝팅 기간으로 한다.
시간 t0'의 시점에서 광자기 디스크(21)은 스핀들 모터(12)에 장착되어 있고, 셔터(72)도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12)는 상기 정상 회전 상태(예를 들면 3600rpm)이고,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가동 범위 R21-R40내에서 동작 상태에 있다. 또,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광자기 디스크(21) 상에서 부상해 있다.
시간 t1'에서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의 이젝트가 지시되면, 부상형 자기 헤드(15)는 강하 위치 R40으로 복귀된다.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강하 위치로 복귀된 시간 t2'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는 정지해서 구속되고 이와 동시에 레버(40)이 천천히 부상형 자기 헤드(15)를 끌어 올린다.
시간 t3'에서 부상형 자기 헤드(15)가 소정의 리프트 업 상태로 되어 유지되면 동시에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가 후퇴를 개시하고, 시간 t4'에서 처음의 대피 위치 R55로 복귀되어 구속된다. 이때 부상형 자기 헤드(15) 및 광학 헤드(24)가 대피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t4'와 거의 같은 시각의 시간 t5'에서 그 때까지 정상 회전해 온 스핀들 모터(12)가 감속을 시작하여 시간 t6'에서 정지한다.
시간 t6'와 거의 동일 시각의 시간 t7'에서 스핀들 모터(12)가 정지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카트리지 홀더(74)가 천천히 상승하여 광자기 디스크(21)은 스핀들 모터(12)에서 이탈한다. 그리고 시간 t8'∼t9'의 시간에서 카트리지 홀더(74)가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되고, 또 시간 t9'에서 수용되어 있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이 카트리지 홀더(74)에서 이젝트되기 시작하여 셔터(72)가 폐쇄된다. 시간 t10'에서 셔터(72)가 완전히 폐쇄된 후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63)은 장치 밖으로 이젝트된다.
이상의 제1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에서는 부상형 자기 헤드(15)의 승강에 대해 설명했으나 대물렌즈를 탑재한 부상형 광학 헤드 등의 부상형 헤드의 승강에도 넓게 응용할 수 있다.
또,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록 재생 가능한 자기 디스크 장치 및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예를 들었으나, 재생 전용 컴팩트 디스크 장치 등의 레이저 디스크 장치에도 응용 가능하다. 또, 상변화형(相變化型)의 기록 매체, 포토크로믹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록 매체, 관통형(pierce die)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도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원리와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Claims (24)

  1.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상기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 위에 부상하면서 적어도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거나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부상형 헤드, 상기 부상형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형 헤드는 회전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공기류로부터 부력을 받는 슬라이더를 갖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부근의 융기된 부분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주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향하는 저면과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측 측면이 이루는 에지를 라운딩해서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슬라이더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회전 방향에서 보아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측의 전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측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코너부를 직선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슬라이더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회전 방향에서 보아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측 전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측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코너부를 원호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정지하고 있을 대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매체에서 분리시키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하고 있을 때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 위의 부상 높이까지 근접시키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위의 부상 높이까지 근접시키는 속도를,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하는 속도 보다도 늦도록 승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으로서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이 서스펜션에 접하면서 승강하는 레버를 가지고,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부상형 헤드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서스펜션에 한 점으로 접하고, 또 접하는 위치가 상기 슬라이드의 공기류의 유입측 단부와 기록 매체간의 거리가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출측 단부와 기록 매체간의 거리보다 커지는 자세에서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서스펜션의 중심선 보다도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입측으로 틀어진 위치에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입측 단부와 기록 매체 간의 거리가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출측 단부와 기록 매체간의 거리보다 커지는 자세에서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직선상으로 경사진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의 상기 슬라이더 측단이 아닌 일단이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입측 단부와 기록 매체간의 거리가 슬라이더의 공기류의 유출측 단부와 기록 매체간의 거리보다도 커지는 자세에서 슬라이더를 승강시키도록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헤드가 슬라이더에 자기 헤드를 구비한 부상형 자기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헤드는 슬라이더에 광 비임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수렴하기 위한 대물 렌즈를 구비한 부상형 광학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에는 슬라이더의 자세 조정시에 서스펜션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빛의 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서스펜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헤드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된 후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하도록 승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승강 수단에 의한 부상형 헤드의 승강이 공기류에서 큰 부력을 얻을 수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부근에서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상기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발생하는 공기류에서 부력을 받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기록 매체 상에 부상하면서 적어도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거나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부상형 헤드, 상기 부상형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회전 정지하고 있을 때, 상기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하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하고 있을 때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상의 부상 높이까지 근접시키는 승강 수단 및 상기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의 부상 높이까지 근접시키는 속도를,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하는 속도 보다도 늦어지도록 승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으로서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이 서스펜션에 접하면서 승강하는 레버를 가지고,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부상형 헤드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정보 처리 장치에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대피 위치에서 부상형 헤드를 구속하는 제1스텝,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삽입하고 정지 상태의 회전 구동 수단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는 제2스텝, 상기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정상 회전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상의 소정의 반경 위치에 상기 부상형 헤드를 구동시켜서 구속하는 제3스텝, 상기 소정의 반경 위치에서 상기 부상형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접촉하지 않게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에 부상시키는 제4스텝 및 상기 부상형 헤드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가동 반경 범위 내에서 부상형 헤드를 동작시키는 제5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스텝을 차례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반경 위치를 상기 가동 반경 범위의 최외주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로딩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텝에서, 상기 부상형 헤드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 표면과 대향하는 면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으로 하고, 그 평행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부상형 헤드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상에 부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자기 재생 장치, 자기 기록·재생 장치, 광자기 기록 장치 또는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자기 재생 장치, 자기 기록·재생 장치, 광자기 기록 장치 또는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자기 재생 장치, 자기 기록·재생 장치, 광자기 기록 장치 또는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19920003357A 1991-03-01 1992-02-29 정보 재생 장치 KR016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6336 1991-03-01
JP3633691A JP2608994B2 (ja) 1991-03-01 1991-03-01 情報記録装置用浮上スライダ
JP91-38714 1991-03-05
JP3038714A JP2975439B2 (ja) 1991-03-05 1991-03-05 情報記録再生装置
JP3048386A JPH04285777A (ja) 1991-03-13 1991-03-13 ディスク装置
JP91-48386 1991-03-13
JP91-118855 1991-05-23
JP3118855A JPH04345977A (ja) 1991-05-23 1991-05-23 光ディスクのローディング方法
JP91-129727 1991-05-31
JP91-129741 1991-05-31
JP91-129731 1991-05-31
JP3129731A JP2642533B2 (ja) 1991-05-31 1991-05-31 情報記録再生装置
JP12974191A JP2609012B2 (ja) 1991-05-31 1991-05-31 情報記録再生装置
JP3129727A JP2682909B2 (ja) 1991-05-31 1991-05-31 情報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698A KR920018698A (ko) 1992-10-22
KR0162665B1 true KR0162665B1 (ko) 1999-01-15

Family

ID=2756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57A KR0162665B1 (ko) 1991-03-01 1992-02-29 정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313445A (ko)
EP (1) EP0501477B1 (ko)
KR (1) KR0162665B1 (ko)
CA (1) CA2062041C (ko)
DE (1) DE692141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8279T2 (de) * 1991-08-30 1999-07-08 Canon Kk Gerät für magnetooptische Platte mit schwebendem Magnetkopf
DE4447765C2 (de) * 1993-02-17 2002-02-28 Hitachi Ltd Schwimmender optischer Abtastkopf, der integral mit einer Lichtquelle und einem Photodetektor ausgebildet ist, und optisches Plattengerät mit einem solchen
DE4404635C2 (de) 1993-02-17 1998-06-18 Hitachi Ltd Schwimmender optischer Abtastkopf, der integral mit einer Lichtquelle und einem Photodetektor ausgebildet ist, und optisches Plattengerät mit einem solchen
JP2663848B2 (ja) * 1993-11-10 1997-10-1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磁気ヘッドロード・アンロード駆動装置
KR960016899B1 (ko) * 1993-12-31 1996-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축방향 제어에 의한 외부충격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0135111B1 (ko) * 1994-09-01 1998-04-22 김광호 헤드 서스팬션의 기록매체 비접촉에 의한 기동-정지 제어방법 및 장치
EP0920009B1 (en) * 1995-01-25 2005-10-05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disk cartridge
US6034938A (en) * 1996-07-30 2000-03-07 Seagate Technology, Inc. Data storage system having an optical processing flying head
US6178150B1 (en) * 1996-07-30 2001-01-23 Seagate Technology Inc. Offset optics for use with optical heads
US6226233B1 (en) * 1996-07-30 2001-05-01 Seagate Technology, Inc. Magneto-optical system utilizing MSR media
US6058094A (en) * 1996-07-30 2000-05-02 Seagate Technology Inc. Flying magneto-optical head with a steerable mirror
US5894374A (en) * 1996-12-17 1999-04-13 Phase Metr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ock assembly
US5991114A (en) * 1997-01-28 1999-11-23 Seagate Technology, Inc. Disc drive having gram load reducer and method of operating gram load reducer
US6072666A (en) * 1997-05-30 2000-06-06 Iomega Corporation Head retraction system for retracting the heads of a disk drive
US6064529A (en) * 1998-07-02 2000-05-16 Optiteck, Inc.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using flying lens and method
US6163415A (en) * 1999-04-02 2000-12-19 Siros Technologies, Inc. Loading and unloading a flying lens
US6212045B1 (en) * 1999-05-14 2001-04-03 Guzik Technical Enterprises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 magnetic head onto a magnetic disk
US6476996B1 (en) * 2000-02-15 2002-11-0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an actuator driver circuit for retracting a head independent of a servo microprocessor when a spindle speed fault mode is detected
DE10260905A1 (de) * 2002-12-20 2004-07-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Flexibler Slider-Lademechanismus
US6941642B1 (en) * 2002-12-24 2005-09-1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ead stack load comb for controlled head loading
JP2005063527A (ja) * 2003-08-08 2005-03-10 Toshiba Corp 接触記録型磁気ヘッドの接触カによるヘッド選別方法および接触記録型磁気ヘッドの接触力測定方法
US20060018052A1 (en) * 2004-07-23 2006-01-26 Konica Minolta Opto, Inc.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glass substrat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glass substrate
JP5749434B2 (ja) * 2009-12-10 2015-07-15 エイチジーエスティーネザーランドビーブイ ディスク・ドライブ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482A (en) * 1970-08-26 1972-07-18 Burroughs Corp Multiple surface fluid film bearing
US4150833A (en) * 1975-07-18 1979-04-2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Video/audio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S6032908B2 (ja) * 1979-11-06 1985-07-31 富士通株式会社 磁気ヘツドのスライダ傾き制御方法
US4420780A (en) * 1981-08-17 1983-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Self-loading magnetic head air bearing slider
US4663682A (en) * 1983-11-29 1987-05-05 Dma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agnetic head assembly on a magnetic recording surface
FR2573903B1 (fr) * 1984-11-29 1987-01-02 Bull Sa Procede pour deplacer un systeme mobile mu par un moteur electrique suivant une trajectoire donne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61192083A (ja) * 1985-02-21 1986-08-26 Fujitsu Ltd 磁気ヘツドスライダ
JPS61260484A (ja) * 1985-05-13 1986-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における磁気ヘツド浮動装置
JPS6231077A (ja) * 1985-08-02 1987-02-10 Nec Corp 固定磁気デイスク装置
JPS6246475A (ja) * 1985-08-23 1987-02-28 Hitachi Ltd 浮動ヘツドスライダ
JPS62110679A (ja) * 1985-11-08 1987-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浮上式スライダのロ−ド・アンロ−ド装置
JPS63166079A (ja) * 1986-12-27 1988-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JPS63263677A (ja) * 1987-04-21 1988-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JPH0223580A (ja) * 1988-07-11 1990-01-25 Seiko Epson Corp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H02240886A (ja) * 1989-03-15 1990-09-25 Nec Corp 磁気ヘッド装置
JPH0310372A (ja) * 1989-06-07 1991-01-17 Fujitsu Ltd 専門用語の原語訳語対応表示処理方式
JP2695922B2 (ja) * 1989-06-22 1998-01-14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3104069A (ja) * 1989-09-18 1991-05-01 Nec Corp 磁界変調用磁気ヘッドロードアンロード装置
JP2574903B2 (ja) * 1989-10-11 1997-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H0778918B2 (ja) * 1989-12-13 1995-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US5124961A (en) * 1989-12-28 1992-06-23 Fuji Xerox Co., Ltd. Floating head for use with a recording apparatus of magneto-optical memory device
JPH0417173A (ja) * 1990-05-10 1992-01-21 Fujitsu Ltd 磁気ヘッド支持機構
JPH0442479A (ja) * 1990-06-08 1992-02-13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4167276A (ja) * 1990-10-30 1992-06-15 Teac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2658585B2 (ja) * 1991-01-16 1997-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1477A3 (en) 1992-11-04
KR920018698A (ko) 1992-10-22
CA2062041A1 (en) 1992-09-02
US5828512A (en) 1998-10-27
EP0501477B1 (en) 1996-10-02
EP0501477A2 (en) 1992-09-02
CA2062041C (en) 1997-07-08
DE69214177T2 (de) 1997-04-24
DE69214177D1 (de) 1996-11-07
US5313445A (en)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665B1 (ko) 정보 재생 장치
JPH0935353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US5329504A (en) Disc cartridge loading apparatus
KR100465565B1 (ko) 자기헤드장치와디스크형기록매체의기록및/또는재생장치
US5077713A (en) Magneto-optical disk writing/reading apparatus including a floating magnetic head
KR19990014055A (ko) 디스크 구동 장치
US7196975B1 (en) Magneto-optical disk with protective layer, and optical disk device
JPH11242834A (ja) ディスク装置
JP268290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6646833B1 (en) Head assembly capable of reading floppy discs of varying densities and floppy-disc drive incorporating the same
JP26425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90023671A (ko) 자기 디스크 장치
JPH05274740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382244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83671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4276332A (ja) 情報記録装置用浮上スライダ
JPH0613172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光磁気ディスク及び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130666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制御方法
JPH07141811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311845A (ja) 光記録再生装置
JPH11260007A (ja) サーボライト方法およびサーボトラックライター
JPH0512741A (ja) 光磁気デイスク装置
JP2000123451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5303822A (ja) 磁界変調形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012344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