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20B1 -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20B1
KR0137120B1 KR1019930017096A KR930017096A KR0137120B1 KR 0137120 B1 KR0137120 B1 KR 0137120B1 KR 1019930017096 A KR1019930017096 A KR 1019930017096A KR 930017096 A KR930017096 A KR 930017096A KR 0137120 B1 KR0137120 B1 KR 013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sealing memb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394A (ko
Inventor
마사아끼 이시가와
미찌히사 이구찌
히로시 하시쓰메
데쓰야 나까무라
고오이찌로 사또
오까노요시아끼
히로다까 후꾸야마
사도시 가따가다
다까시 이시가와
세이지 아라이
지노부 사까이
따까히또 가바이
Original Assignee
사포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구보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테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57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32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57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63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31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56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678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63823B2/ja
Application filed by 사포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구보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테쿠 filed Critical 사포 후미오
Publication of KR94000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상장치(13)는 현상롤러(31)의 양단과 장치케이싱(21)의 내벽의 현상롤러(31)의 양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시일부재(60)를 고정 배치한다. 시일부재(60)는 현상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극성으로 대전하는 재질로 된다.
이 현상장치(13)에 의하면 토너는 시일부재(60)에 의해서 저지되어 현상롤러(31)의 단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현상 장치 및 클리닝 장치를 사용하여 되는 전자 사진 장치를 탑재한 팩시밀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 중의 프로세스 유니트의 상세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도면.
제3a, 3b도는 제1도 중의 감광 드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7도는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의 제1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2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9도는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3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0도는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4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지지봉 구성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2도는 지지봉 구성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3도는 현상 롤러, 공급 롤러 및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4A도 및 제24B도는 클리닝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5도는 제24A도 및 제24B도 중 하측 드럼 시일 부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전자 사진 장치 및 이 전자 사진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장치는 감광체의 표면(감광면)을 대전 장치에 의해서 소정 전위(예를 들어 -600v)로 대전한 후에 감광체의 감광면을 노광 장치에 의해서 기록될 화상에 따라서 노광함으로써 감광체의 감광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현상 장치에 의해서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 감광체의 감광면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현상을 행한다. 이어서 이 현상에 의해서 감광체의 감광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 장치에 의해서 기록지에 전사하고 최후로 정착 장치에 의해서 토너상을 기록지에 정착한다. 또 전사 후에 감광체에 잔류된 토너를 클리닝 장치에 의해서 제거한다.
이와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 장치로써 비자성 1성분 현상 방식을 채용한 것이 있다. 이 방식은 비자성 토너를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시키면서 그 대전의 경상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에 부착시켜 현상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를 감광체로 반송하는 것이다.
이 방식의 현상 장치는 토너를 담아두는 장치 케이스와 이 장치 케이스의 감광체에 대면하여 개방된 부분에 회전 자재하게 설비된 현상 롤러와 이 현상 롤러의 둘레면에 토너 박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토너를 대전시키는 토너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축의 양단은 장치 케이스의 측벽에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현상 롤러의 둘레면의 원주 방향 1/2 부분은 장치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고, 남은1/2은 외부를 향하고 있다.
토너 규제 부재는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고, 현상 롤러의 상측에 있어서 현상 롤러와 평행으로 설비되어 현상 롤러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케이스 내에 담긴 비자성 토너는 현상 롤러의 내측에 설비된 공급 롤러에 의해 현상 롤러로 공급되어 현상 롤러에 담지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에 담지된 토너는 현상 롤러가 회전됨으로써 반송되어 감광체에 접촉된다. 토너는 현상 롤러에 의해서 반송될 때에 현상 롤러와 토너 규제 부재와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서 현상 롤러에 부착된 토너가 박층화되는 동시에 대전된다. 또, 토너는 전하의 경상력에 의해서 현상 롤러에 부착 구속된다.
이 현상 장치에 있어서 토너는 현상 롤러의 둘레면과 토너 사이에 작용하는 경상력만으로 현상 롤러의 둘레면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현상 롤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토너 규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는 대전량이 낮기 때문에 경상력이 작다.
따라서 토너 규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현상 롤러의 양단 부분에 위치하는 토너는 현상 롤러의 단면에서 바깥쪽으로 새어나와 현상 롤러의 단면과 장치 케이스의 측벽 사이에서 현상 장치의 장치 케이스의 외부로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토너가 현상 장치에서 새어나가 버리면 토너는 당해 전자 사진 장치가 기록부로서 장비되어 있는 팩시밀리 등의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와 이 기체 내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현상의 대책으로서 일본국 특공평 2-26228호 공보에 나타낸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현상 롤러의 양측단에 각각 윤활성 실링재 및 비회전 부재를 하나씩 설비한 것이다. 2개의 윤활성 실링재 및 2개의 비회전부재는 모두 현상 롤러와 같은 직경의 원주체를 이룬다. 윤활성 실링재 및 비회전 부재는 각각 현상 롤러의 축에 느슨하게 끼워져 전체로써 일련의 원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또 비회전 부재는 장치 케이스의 측벽에 각각 밀착되어 설비되고, 현상 롤러가 회전하여도 비회전 부재는 회전되지 않는다. 윤활성 실링재는 탄성체에 윤활성 필름을 접착 부착시킨 것이고, 탄성 및 윤활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윤활성 실링재는 현상 롤러의 단부 및 비회전 부재에 양호하게 맞닿는 동시에 현상 롤러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현상 롤러의 단면과 장치 케이스의 측벽 사이로부터 토너의 누출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비회전 부재와 토너 규제 부재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현상 롤러의 양단에 존재하는 토너가 현상 롤러의 단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는 없다.
한편 클리닝 장치는 폐토너 수용 탱크와 이 폐토너 수용 탱크에 감광체에 맞닿도록 부착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 클리닝 장치는 전사를 행한 후에 감광체에 잔류된 토너를 블레이드에 의해서 긁어내려 폐토너 탱크에 수용한다.
이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폐토너 수용 탱크와 감광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수용 탱크와 감광체의 간극으로부터 폐토너 수용 탱크에 수용된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 탱크의 외측으로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토너가 폐토너 수용 탱크로부터 누출되면 토너는 당해 전자 사진 장치를 기록부로서 장비하고 있는 팩시밀리 등의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와 이 기체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현상 롤러에 부착된 토너가 현상 롤러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유니트 및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폐토너 수용 탱크에 수용된 토너가 폐토너 수용 탱크와 감광체의 간극으로부터 외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 프로세서 유니트 및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현상 장치에 의해서 실현된다.
마찰에 의해서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기 쉬운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는,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 상기 롤러와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소정 극성으로 대전하는 재질로 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 사이의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 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쌍방에 접촉하도록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현상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는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방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하는 토너 규제 부재,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 표면에 다수의 모상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 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쌍방에 접촉하고, 또 상기 토너 규제 부재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반대측까지 돌출된 상태로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현상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는,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서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는 토너 규제 부재, 상기 토너 규제 부재를 상기 현상 롤러에 대해서 접근 또는 이간시키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현상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는,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 보다도 짧게, 상기 케이스의 수용된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현상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는,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에 대등한 길이를 갖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한 후에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된 채로 상기 케이스로 되돌아 온 토너를 받는 토너 받이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마찰에 의해서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기 쉬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여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근방에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현상 롤러와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 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쌍방에 접촉되도록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을 포함한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여,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서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동시에 마찰 대전하는 토너 규제 부재와,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 근방에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와, 표면에 다수의 모상체를 형성하여 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 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쌍방에 접촉되고, 또 상기 토너 규제 부재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반대측까지 돌출된 상태로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포함한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서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동시에 마찰 대전하는 토너 규제 부재와, 상기 토너 규제 부재를 상기 현상 롤러에 대해서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한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와,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 보다도 짧게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하는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와,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영역의 폭에 대등한 길이를 갖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한 후에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된 채로 상기 케이스로 되돌아온 토너를 받는 토너 받이 부재를 포함한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릿지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마찰에 의해서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기 쉬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따른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 근방에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현상 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 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상방에 접촉하도록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포함한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릿지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저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아서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 반송되는 토너량을 규제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하는 토너 규제 부재와 상기 토너를 수용하고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 근방에서 내벽의 일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케이스와 표면에 다수의 모상체를 형성하여 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양단부 각각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사이 각각에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케이스측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의 쌍방에 접촉하고, 또한 토너 규제 부재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반대측까지 돌출된 상태로 고정 배치된 실링 부재를 포함한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릿지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맞닿아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되어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하는 토너 규제 부재와, 상기 토너 규제 부재를 상기 현상 롤러에 대해서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한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릿지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와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보다도 짧게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한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릿지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감광체,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한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와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에 대등한 길이를 갖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에, 상기 현상 롤러에 담지된 채로 상기 케이스로 되돌아온 토너를 받는 토너 받이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목적은 다음과 같은 클리닝 장치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맞닿은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서 긁어내려진 토너를 받아, 상기 토너 수용 용기로 인도하는 토너 받이 부재,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받이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2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2목적은 다음과 같은 전자 사진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 기록될 화상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노광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 토너를 사용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상기 노광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고, 상기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상을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현상 수단,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형성된 토너상을 소정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서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되지 않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서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맞닿은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서 긁어내린 토너를 받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로 인도하는 토너 받이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1실링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받이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클리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2목적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유니트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서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맞닿은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고정되고,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서 긁어내린 토너를 받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로 인도하는 토너 받이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를 긁어내는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1실링 부재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와 상기 토너 받이 부재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클리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전자 사진 장치를 적용시켜 된 팩시밀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팩시밀리 장치는 프로세스 유니트(100), 노광 장치(101), 전사 장치(102), 정착 장치(103), 급지 기구부(104) 및 송신 기구부(105)를 갖고 있다.
프로세스 유니트(100)는 감광 드럼(11), 대전 장치(12), 현상 장치(13) 및 클리닝 장치(14)를 일체적으로 합쳐서 구성한 것이며, 노광 장치(101)와 함께 소위 카손 프로세스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 토너상을 형상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유니트(100)는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노광 장치(101)는 LED헤드를 포함하여 되고, 감광 드럼(11)의 노광을 행하여 감광 드럼(11)의 감광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사 장치(102)는 급지 기구부(104)에 의해서 공급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감광 드럼(11)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하는 것이다. 기록지(P)는 기록지 트레이(106)에 다수 저장되어 있다.
정착 장치(103)는 기록지(P)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것이다.
송신 기구부(105)는 송신 원고를 광학적으로 독취하고, 광전 변환을 행하여 화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이다.
제2도는 프로세스 유니트(100)의 상세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 제1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프로세스 유니트(100)는 감광 드럼(11)의 주위에 연하여 대전 장치(12), 현상 장치(13), 클리닝 장치(14)가 배치 설비되어서 된다.
이들 감광 드럼(11), 대전 장치(12), 현상 장치(13) 및 클리닝 장치(14)는 프로세스 유니트(100)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유니트 플레이트(15)에 의해서 지지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감광 드럼(1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도전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감광 도전 재료로 된 감광층을 형성한 것이다.
감광 드럼(11)은 화상을 기록할 기록 용지의 최대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원통체이고, 내부에 삽입 통관된 드럼축(1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 드럼(11)은 드럼축(16)이 유니트 플레이트(15)에 부착되어 있다.
대전 장치(12)는 주지된 구성인 스코로트론 대전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대전 장치(12)는 길고 가는 스코로트론 실드 케이스의 내부에 방전 와이어를 설비하여 된 것이며, 감광 드럼(11)에 대해서 평행으로 설비되어 있다. 대전 장치(12)는 감광 드럼(11)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 장치(13)는 장치 케이스(21), 토너 팩(28), 공급 롤러(30), 현상 롤러(31), 현상 블레이드(32), 받이 블레이드(33), 지지봉(36), 스프링 부재(37) 및 보조 부재(38)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 케이스(21)는 감광 드럼(11)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이며, 감광 드럼(11)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치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토너 홉퍼부(22)와, 이 토너 홉퍼부(22)와 감광 드럼(11)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 배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 홉퍼부(22)와 롤러 배치부(23)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 장치 케이스(21)는 상면부가 감광 드럼(11)의 축 방향에 연하여 개방되어 되는 장방형인 토너 투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케이스(21)의 토너 투입구(24)를 둘러싼 부위에는 플랜지(25)가 설비되어 있고, 이 플랜지(25) 상면에는 스펀지 등으로 된 실링 부재(27)가 토너 투입구(24)를 둘러쌓아 설비되어 있다. 또 플랜지(25) 중의 토너 투입구(24)의 길이 방향에 연하는 양 측부에는 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 팩(28)은 합성 수지를 토너 주입구(24)와 거의 같은 크기의 평면을 이룬 직방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하면에는 길이 방향에 연한 토너 투하구(29)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 팩(28)의 내부에는 토너(도시하지 않음)가 충전되고, 토너 투하구(29)가 수지 필름으로 된 실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실링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토너 팩(28)은 장치 케이스(21)의 토너 투입구(24)의 상측에 올려놓고, 장치 케이스(2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토너 팩(28)을 장치 케이스(2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어 토너 팩(28)에 조를 형성하고, 장치 케이스(21)에 이 조가 걸리고, 벗겨질 수 있도록 계합하는 계합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장치 케이스(21)의 롤러 배치부(23)에는 공급 롤러(30), 현상 롤러(31), 현상 블레이드(32) 및 받이 블레이드(33)가 설비되어 있다.
공급 롤러(30)는 합성 수지로 된 것이며, 롤러 축(34)에 고정되어 있다.
현상 롤러(31)는 합성 수지로 된 것이며, 롤러 축(35)에 고정되어 있다. 롤러 축(34,35)은 각각 장치 케이스(21)의 측벽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현상 롤러(31)는 공급 롤러(30) 및 감광 드럼(11)에 접촉되어 있다.
공급 롤러(30) 및 현상 롤러(31)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공급 롤러(30)는 장치 케이스(21)의 토너 홉퍼부(22)에 모아진 토너를 담지하여 현상 롤러(31)로 반송한다. 현상 롤러(31)는 공급 롤러(30)에서 공급된 토너를 담지하여 감광 드럼(11)으로 반송한다.
현상 블레이드(32)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것이며, 지지봉(36)에 고착되어 있다.
지지봉(36)은 현상 블레이드(32)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현상 롤러(31)의 상측에서 이것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지지봉(36)은 장치 케이스(21)의 측벽에 상하 방향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봉(36)은 스프링 부재(37)에 의해서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현상 블레이드(32)는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접촉되고, 현상 롤러(31)에 담지되어 반송되는 토너를 박층화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시킨다.
받이 블레이드(33)는 예를 들어 수지로 되며, 탄성을 갖는 판상을 이루고 있다. 받이 블레이드(33)는 현상 롤러(31)의 아래쪽에서 감광 드럼(11)에 가까운 위치에서 현상 롤러(31)와 평행하게 설비되어 있다. 받이 블레이드(33)는 일단이 장치 케이스(21)의 저벽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 받이 블레이드(33)는 롤러 배치부(23)에 위치하는 토너가 현상 롤러(31)의 아래쪽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및 현상 롤러(31)의 아래쪽으로 떨어진 토너를 현상 롤러(31)의 회전에 의해서 장치 케이스(21)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보조 부재(38)는 노광 장치(101)와 현상 롤러(31) 사이에 롤러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배치되어 장치 케이스(21)에 부착되어 있다.
즉 보조 부재(38)는 노광 장치(101)와 현상 롤러(31) 사이를 서로 구획하고 있다.
클리닝 장치(14)는 클리닝 블레이드(39), 폐토너 수용 탱크(40), 반송 롤러(41), 역류 방지변(42), 받이 블레이드(43) 및 리브(44)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39)는 전사 장치(102)에 의한 전사 행정 후에 있어서도 감광 드럼(11)에 잔류되는 토너를 긁어 내린다. 폐토너 수용 탱크(40)는 클리닝 블레이드(39)에 의해서 긁어내린 폐토너를 수용한다.
이 폐토너 수용 탱크(40)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덮개(40a)로 덮여 있다. 반송 롤러(41)는 클리닝 블레이드(39)가 긁어내린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 탱크(40)로 반송한다. 역류 방지변(42)은 폐토너 수용 탱크(40) 내부의 토너가 감광 드럼(11)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받이 블레이드(43)는 클리닝 블레이드(39)가 긁어내린 폐토너를 받아서, 이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내부로 안내한다. 리브(44)는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저부 및 덮개(40a)가 클리닝 블레이드(39) 및 받이 블레이드(43)를 거쳐서 감광 드럼(11)의 회전력을 받음으로써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저부 및 덮개(40a)에 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전사 장치(102)는 감광 드럼(1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감광 드럼(11)의 맞닿은 전사 롤러(45)를 갖는다. 이 전사 롤러(45)는 도전성 수지로 구성되며, 롤러 축(46)에 부착되어 있다.
감광 드럼(11)은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감광 드럼(11)의 양 단부에는 도전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기어(47,48)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기어(47)에는 원통부(47a)가 동일 중심 축 선 위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통부(47a)의 외경은 감광 드럼(11)의 단부의 직경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갖고 있다. 또 기어(47)의 중심에는 원형인 구멍부(47b)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47)의 원통부(47a)는 감광 드럼(11)의 한쪽의 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맞추어지고,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48)는 기어(47)와 똑같은 구성을 하고, 감광 드럼(11)의 다른 쪽의 단부에 삽입하여 끼워 맞추어지고,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축(16)은 감광 드럼(11) 보다도 큰 길이를 갖고 있다. 드럼축(16)은 감광 드럼(11)의 내부에 감광 드럼(11)의 중심 축 선상에 위치하여 설비되어 있다. 또 드러축(16)은 감광 드럼(11)의 양 단부에 기어(47)의 구멍부(47a) 및 기어(48)의 구멍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환봉으로 되는 드럼축(16)과 기어(47)의 구멍부(47a) 및 기어(48)의 구멍부가 조합하여 기어(47,48)가 드럼축(16)에 의해서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다. 감광 드럼(11)은 기어(47,48)와 일체로 조합되어 있으므로, 기어(47,48)를 거쳐서 드럼축(16)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또 드럼축(16)에 있어서 감광 드럼(11)의 외부에 돌출된 양 단부에는 제3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축심에 수직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 되도록 절결되어 된 반원형 절결부(16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니트 플레이트(15)의 양쪽 측부(감광 드럼(11)의 양쪽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드럼축(16)의 반원형 절결부(16a)의 단면과 같은 형상의 구멍부(15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15a)에 드럼축(16)의 반원형 절결부(16a)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각 반원형 절결부(16a)의 반원형 단면이 각 구멍부(15a)의 반원형 단면에 계합된다. 이로 인해 드럼축(16)은 회전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지지된다. 또 제3B도는 제3A도에 있어서 화살표 B 방향에서 구멍부(15a) 및 반원형 절결부(16a)를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드럼축(16)의 양 단부는 각각 지지 부재(49)의 양 측벽(49a,49b)에 각각 설비된 U자형 홈(50a,50b)에 계합되어 있다. 지지 부재(49)는 본체의 베이스 부재(2a)에서 세워진 상태로 설비된 측판 부재(2b,2c)에 고정되어 있다.
또 드럼축(16)의 한쪽 단부의 단면에는 접지용 접촉자(51)가 접촉되어 있다. 이 접촉자(51)는 도전성 금속의 판재에 의해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51)는 드럼축(16)의 일 단부 근방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설비된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부착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자(51)의 선단이 탄성력을 갖는 드럼축(16)의 단면에 접촉된다.
기어(47)는 전사 롤러(45)의 롤러 축(46)의 일단에 부착된 기어(52)에 맞물린다.
또 기어(48)는 회전 구동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동 기어(53)에 맞물린다. 구동 기어(53)는 구동계의 지지 부재(53a)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계의 지지 부재(53a)는 베이스 부재(2a)에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계의 지지 부재(53a)의 상단은 유니트 플레이트(15)의 하단에 형성된 맞닿는 부(15a)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 드럼(11)은 회전 구동 장치에 포함된 도시하지 않는 모터의 회전이 구동 기어(53)를 거쳐서 구동 기어(48)에 전달됨으로써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드럼축(16)은 각 반원형 절결부(16a)가 각 구멍부(15a)에 계합되어 회전할 수 없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 드럼(11)은 드럼축(16)과는 독립하여 회전하고, 드럼축(16)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드럼축(16)이 회전하지 않음으로서 접지용 접촉자(51)가 드럼축(16)의 회전에 의해서 진동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드럼축(16)과 접지용 접촉자(51)와의 접촉이 불량 상태로 되는 사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어서, 드럼축(16)과 접지용 접촉자(51)가 상시 안정되게 접촉된다.
감광 드럼(11과 접지용 접촉자(51) 사이의 전기적 도통은 감광 드럼(11)-기어(47,48)-드럼축(16)-접지용 접촉자(51)의 경로로 행해진다. 여기서 기어(47,48)를 도통 재료로 형성하여 감광 드럼(11)에 직접 접지하고 있음으로써 양쪽 부재간에 특별한 전기적 접속 부재를 설비할 필요가 없어서, 양자간의 전기적 도통을 취하는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있다.
또 드럼축(16)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광 드럼(11)이 회전되면 그 회전은 기어(47) 및 기어(52)를 거쳐서 롤러 축(46)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하여 전사 롤러(45)가 회전된다.
그런데 롤러 축(46)에는 전사 롤러(45)의 양단 외측에 경질 수지로 된 굴림대(54,55)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굴림대(54,55)는 감광 드럼(11)에 대한 전사 롤러(45)의 닢의 폭을 규정하는 것이며, 감광 드럼(11)에 있어서의 감광층 형성 영역(L)의 외측 부분에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굴림대(54,55)를 감광층 형성 영역(L)의 외측 부분에 접촉시키고 있는 것은 감광 드럼(11)의 감광층이 굴림대(54,55)에 의해서 더럽혀지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현상 장치(13)에 있어서 감광 드럼(11)과 현상 롤러(31)와의 닢의 폭을 규정하기 위해서 굴림대를 설비하는 경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화상의 기록이 행해진다.
즉 먼저 감광 드럼(11)의 표면(감광면)은 대전 장치(12)에 의해서 소정 전위(예를 들어 -600V)로 대전된다.
이어서 대전된 후의 감광 드럼(11)의 감광면을 기록할 화상에 따라 노광 장치(101)에 의해서 노광하여 감광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감광 드럼(11)의 감광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현상 장치(13)에서 행한다.
현상 장치(13)는 토너 홉퍼부(22)에서 주로 공급 롤러(30)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너를 현상 롤러(31)에 담지하고 반송하여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현상 롤러(31)에 담지된 토너는 반송될 때에 현상 블레이드(32)에 의해서 박층화됨과 동시에 감광 드럼(11)의 대전 전위와 동일 극성(여기서는 부극성)으로 마찰 대전된다.
현상 롤러(31)에는 도시하지 않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에서 감광 드럼(11)의 대전 전위와 동일 극성이며 또한 저 전압의 현상 바이어스(예를 들어 -200V)를 인가하고 있고, 정전 잠상, 현상 바이어스 및 토너의 전하사이의 전계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 선택적으로 토너를 부착시킨다. 즉 감광 드럼(11) 상의 미노광 부분에는 감광 드럼(11) 측이 고 전위이기 때문에 토너가 부착하지 않고 또 노광되어 제전된 부분에는 감광 드럼(11) 측이 저 전위이기 때문에 토너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토너상은 전사 장치(102)에 의해서 기록지(P)에 전사된다.
전사 장치(102)는 화상의 기록 시에 있어서, 전사 롤러(45)에 정 극성의 전사 전압(예를 들어 +1350V)이 인가되고 있다. 감광 드럼(11)과 전사 롤러(45) 사이에는 급지 기구부(104)에 의해서 반송되어 온 기록지(P)가 삽통되어 있고, 전사 롤러(45)로부터는 기록지( P)의 이면에 전하의 주입이 행해진다. 여기서 기록지(P)의 이면에 주입되는 전하는 정극성이므로, 부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는 토너는 기록지(P)측으로 끌어당겨지고, 이에 의해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이 기록지(P)에 전사된다.
그 후에 감광 드럼(11)의 감광면은 기록지(P)가 박리된 후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되어 있는 토너가 클리닝 장치(14)에서 제거된다.
이상이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의 개략이다. 이하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주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 케이스(21)에 있어서,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따른 원호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21a)는 현상 블레이드(32)에 근접하고 또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토너 홉퍼부(22)측에 가까운 위치를 상단으로 하고, 현상 롤러(31)의 아래쪽까지 연속되어 있다. 또 원호부(21a)의 상단에서 토너 홉퍼부(22)측으로 연속되는 수평 단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부(21a) 및 수평 단부(21b)에는 실링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0)는 실링 필름(60a)과, 이 실린 필름(60a)이 덧붙여진 스펀지 시트(60b)를 갖고 있다. 실링 부재(60)는 현상 롤러(31)의 원주길이의 절반보다 큰 길이와, 현상 롤러(31)의 단부를 덮기에 적절한 폭을 갖고, 현상 롤러(31)의 토너 홉퍼부(22)측에 위치하는 둘레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스펀지 시트(60b)의 외면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원호부(21a) 및 수평 단부(21b)에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링 부재(60)는 장치 케이스(21)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실링 필름(60a)은 스펀지 시트(60b)에 지지되어서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된다.
여기서 실링 필름(60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토너가 폴리에스테로계로 부대전성일 경우에 실링 필름(60a)은 현상 롤러(31)에 접동 접촉되어 부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대전렬 중에서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등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 제4도 및 제5도에서는 현상 롤러(31)의 한쪽 단부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쪽 단부 근방에도 제4도 및 제5도에 대칭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0)의 실링 필름(60a)은 현상 롤러(31)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가 회전됨으로써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된다. 실링 필름(60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부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됨으로써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한편 토너는 폴리에스테르계의 부 대전성의 것이므로 장치 케이스(21)의 내부에서의 여러 가지 마찰에 의해서 주로 부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토너와 실링 필름(60a)과는 서로 반발하고, 토너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실링 부재(60)는 장치 케이스(21)에 대해서 접착됨과 동시에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0a) 표면 조도와의 합계이며, 극히 미소한 것이다. 따라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 사이에는 물리적으로도 토너가 침입하기 어렵다. 특히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0a)의 표면 조도와의 합계가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 이하가 되도록 현상 롤러(31)의 표면 및 실링 필름(60a)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 대부분의 토너 입자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로의 토너 침입이 저지되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내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현상 롤러(31)를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경우에는 실링 필름(60a)을 불소게 수지 필름으로 바꾸어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실링 부재(60)로서 실링 필름(60a)과 스펀지 시트(60b)를 조합한 것을 사용했으나 실링 필름(60a)만을 실링 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제2실시예]
제6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제2도, 제4도 및 제5도와 동일 부근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같지만, 실링 부재(60) 대신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는 천의 한쪽 면에 기모 처리를 하고, 다수의 작은 털(61a)을 배열하여 세워 형성한 것이며, 불소계 섬유나 아크릴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의 털(6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로 원호부(21a) 및 단부(21b)에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는 장치 케이스(21)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털(61a)은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접촉된다.
또 제6도 및 제7도에서는 현상 롤러(31)의 한쪽 단부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쪽 단부 근방도 제6도 및 제7도에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가 배치되어 있고,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의 털(61a)이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이 털(61a)에 의해서 방해되어 장치 케이스(21)와 현상 롤러(31) 사이에 토너가 침입되기 어렵다. 또 털(61a)끼리의 사이에 토너가 침입하여도 이 토너는 털(61a)에 의해서 붙잡힌다.
따라서 토너는 현상 롤러(31)의 단부로 이동되지 않고,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털(61a)에 의해서 토너가 붙잡힌 상태에 있어서는 이 털(61a)에 붙잡힌 토너의 전하에 의해서 다른 토너가 반발되어 털(61a)끼리의 사이에는 토너가 더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를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를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하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1)의 대전 전하에 의해서도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8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9도는 제8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또 제2도, 제4도 및 제5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 케이스(21)에 있어서의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따른 원호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21a)는 현상 블레이드(32)에 근접하고, 또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토너 홉퍼부(22)측에 가까운 위치를 상단으로 하고, 현상 롤러(31)의 아래쪽까지 연속되어 있다. 또 원호부(21a)의 상단에서 토너 홉퍼부(22)측으로 연속되는 수평 단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블레이드(32)는 지지봉(36)보다도 짧게 원호부(21a) 및 단부(21b)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부(21a)에 따르는 동시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 보다도 감광 드럼(11)측으로 돌출되고,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에 따른 상태로 실링 부재(62)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2)는 실링 필름(62a)과, 이 실링 필름(62a)을 덧붙이는 스펀지 시트(62b)를 갖고 있다. 실링 부재(62)는 현상 롤러(31)의 원주 방향의 절반을 덮은 위에서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에 따를 수 있는 길이와, 현상 롤러(31)의 단부를 덮기에 적절한 폭을 갖는다.
스펀지 시트(62b)의 외면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원호부(21a) 및 지지봉(36)의 둘레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링 부재(62)는 장치 케이스(21) 및 지지봉(36)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실링 필름(62a)은 스펀지 시트(62b)에 지지되어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된다.
여기서 실링 필름(62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토너가 폴리에스테르계로 부 대전성일 경우에 실링 필름(62a)은 현상 롤러(31)에 접동 접촉되어 부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대전렬 중에서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등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 제8도 및 제9도에서는 현상 롤러(31)의 한 쪽 단부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쪽 단부 근방도 제8도 및 제9도에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62)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2)는 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으로 돌출하고,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즉 실링 부재(62), 지지봉(36)의 양 단부와 현상 롤러(31)의 양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통해서 감광 드럼(11)측, 즉 현상 블레이드(32)와 현상 롤러(31)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토너 반송 방향 하류측(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까지 연장되며, 지지봉(36)에 연하여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2)의 실링 필름(62a)은 현상 롤러(31)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가 회전됨으로써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한다. 실링 필름(62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부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함으로써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한편 토너는 폴리에스테르계의 부 대전성의 것이므로, 장치 케이스(21) 내부에서 여러 가지 마찰에 의해 주로 부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토너와 실링 필름(62a)은 서로 반발하여 토너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실링 부재(62)는 장치 케이스(21)에 대해서 접착되는 동시에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2a)의 표면 조도의 합계이고, 극히 미소한 것이다.
따라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 사이에는 물리적으로도 토너가 침입하기 어렵다. 특히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2a)의 표면 조도의 합계가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 이하가 되도록 현상 롤러(31)의 표면 및 실링 필름(62a)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 대부분의 토너 입자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지 않게 된다.
또 실링 부재(62)의 일부가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토너가 지면에 수직 방향에 있고, 또 현상 블레이드(32)를 따라 흘러, 현상 롤러(31)의 양단으로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로의 토너의 침입이 저지되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현상 롤러(31)를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경우에는 실링 필름(62a)을 불소계 수지 필름으로 바꾸어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실링 부재(62)로서 실링 필름(62a)과 스펀지 시트(62b)를 조합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링 필름(62a)만을 실링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제4실시예]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B-B선 단면도이다. 또 제2도, 제4도 및 제5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 케이스(21)에 있어서,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따른 원호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21a)는 현상 블레이드(32)에 근접하고, 또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토너 홉퍼부(22)측에 가까운 위치를 상단으로 하고, 현상 롤러(31)의 아래쪽까지 연속되어 있다. 또 원호부(21a)의 상단에서 토너 홉퍼부(22)측으로 연속되는 수평 단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블레이드(32)는 지지봉(36)보다도 짧게 원호부(21a)가 및 단부(21b)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부(21a)를 따라 실링 부재(63)가 배치되어 있다. 또 단부(21b)에 연하는 동시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에 돌출하고,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을 따른 상태로 실링 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3)의 일 단부는 원호부(21a)의 상단 근방에서 실링 부재(64)와 맞닿아 있다.
실링 부재(63)는 실링 필름(63a)과 이 실링 필름(63a)을 덧붙임하는 스펀지 시트(63b)를 갖고 있다. 실링 부재(63)는 현상 롤러(31)의 원주 길이의 절반에 대응한 정도의 길이와, 현상 롤러(31)의 단부를 덮기에 적절한 폭을 갖는다.
스펀지 시트(63b)의 외면은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원호부(21a)의 둘레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링 부재(63)는 장치 케이스(21)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실링 필름(63a)은 스펀지 시트(63b)로 지지되어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된다.
또 실링 부재(64)는 실링 필름(64a)과, 이 실링 필름(64a)을 덧붙임하는 스펀지 시트(64b)를 갖고 있다. 실링 부재(64)는 단부(19)위에서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으로 돌출되는데 충분한 길이와, 실링 부재(63)의 폭과 동등한 폭을 갖는다.
실링 필름(64a)의 외면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단부(19)에 접착되어 있다. 또 스펀지 시트(64b)의 외면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링 부재(64)는 장치 케이스(21)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실링 필름(64a)은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에서는 스펀지 시트(64b)에 지지되어서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된다.
여기서, 실링 필름(63a,64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토너가 폴리에스테르계이며, 부 대전성일 경우에 실링 필름(63a,64a)은 현상 롤러(31)에 접동 접촉하여 부극성으로 대전하는 재질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대전렬 중에서 예를 들어 폴리테프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 수지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제10도 및 제11도에서는 현상 롤러(31)의 한 쪽 단부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쪽 단부 근방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대칭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63,64)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4)는 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에 돌출하고,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실링 부재(64)는 지지봉(36)의 양 단부와 현상 롤러(31)의 양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통해 감광 드럼(11)측, 즉 현상 블레이드(32)와 현상 롤러(31)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토너 반송 방향 하류측(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까지 연장되고, 지지봉(36)에 연하여 세워서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63,64)의 실링 필름(63a,64a)은 현상 롤러(31)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가 회전됨으로써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된다. 실링 필름(63a,64a)은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부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31)와 접동 접촉함으로써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한편, 토너는 폴리에스테르계의 부 대전성의 것이므로, 장치 케이스(21)의 내부에서 여러 가지 마찰에 의해 주로 부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너와 실링 필름(63a,64a)은 서로 반발하고, 토너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 실링 부재(63,64)는 장치 케이스(21)에 대해서 접착되는 동시에,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3a)의 표면 조도의 합계, 또는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4a)의 표면 조도의 합계이며, 극히 미소한 것이다. 따라서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 사이에는 물리적으로도 토너가 침입하기 어렵다. 특히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3a)의 표면 조도의 합계, 또는 현상 롤러(31)의 표면 조도와 실링 필름(64a)의 표면 조도의 합계가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 이하가 되도록 현상 롤러(31)의 표면 및 실링 필름(63a,64a)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 대부분의 토너 입자가 현상 롤러(31)의 단부와 장치 케이스(21)와의 간극에 침입하지 않게 된다.
또 실링 부재(64)의 일부가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토너가 지면에 수직 방향이고, 또 현상 블레이드(32)에 연하여 흘러, 현상 롤러(31)의 양단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로의 토너의 침입이 저지되므로,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실링 부재(63,64)를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실링 부재(62)를 복잡하게 만곡시켜 배치하는 것에 비해서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제조성이 향상된다.
또 현상 롤러(31)를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경우에는 실링 필름(63a,64a)을 불소계 수지 필름으로 바꾸어,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실링 부재(63,64)로서 실링 필름(63a,64a)과 스펀지 시트(63b,64b)를 조합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링 필름(63a,64a)만을 실링 부재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제5실시예]
제12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3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같지만,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실링 부재(62) 대신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를 배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는 천의 한쪽 면에 기모 처리를 하여 다수의 작은 털(65a)을 배열해서 세워 형성한 것이며, 불소 섬유나 아크릴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원호부(21a) 및 지지봉(36)의 둘레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는 장치 케이스(21)에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털(65a)은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접촉된다.
또 제12도 및 제13도에서는 현상 롤러(31)의 한 쪽 단부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쪽 단부 근방도 제12도 및 제13도에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가 배치되어 있다.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는 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으로 돌출되고,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에 연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는 지지봉(36)의 양 단부와 현상 롤러(31)의 양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통해서 감광 드럼(11)측, 즉 현상 블레이드(32)와 현상 롤러(31)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토너 반송 방향 하류측(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까지 연장되며, 지지봉(36)에 연하여 세워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의 털(65a)이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이 털(65a)에 의해서 방해받아 장치 케이스(21)와 현상 롤러(31) 사이에 토너가 침입하기 어렵다. 또 털(65a)끼리의 사이에 토너가 침입하여도, 이 토너는 털(65a)에 의해서 붙잡힌다. 따라서 토너는 현상 롤러(31)의 단부로 이동하지 않고,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의 이루가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토너가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며, 또 현상 블레이드(32)에 연해서 흘러 현상 롤러(31)의 양단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털(65a)에 의해서 토너가 붙잡힌 상태에 있어서는 이 털(65a)에 붙잡힌 토너의 전하에 의해서 다른 토너가 반발되어 털(65a)끼리의 사이에는 토너가 더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를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와 같은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하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의 대전된 전하에 의해서도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
제14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5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 장치(13)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제2도, 제4도 및 제5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제4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같지만 상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실링 부재(63) 대신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를, 또 실링 부재(64) 대신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를 각각 배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는 천의 한쪽 면에 기모 처리를 행하여 다수의 작은 털(66a,67a)을 배열하여 세워 형성한 것이며, 불소계 섬유나 아크릴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21)와의 사이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가 배치되어 있다.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는 또 현상 롤러(31)와 지지봉(36) 사이의 공극을 통해서 현상 블레이드(32)보다도 감광 드럼(11)측으로 돌출되며, 또 감광 드럼(11)측에 있어서 지지봉(36)의 둘레면에 연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실링 부재(67)는 지지봉(36)의 양 단부와 현상 롤러(31)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통해서 감광 드럼(11)측, 즉 현상 블레이드(32)와 현상 롤러(31)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토너 반송 방향 하류측(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까지 연장되며, 지지봉(36)에 연하여 세워져 배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는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의 털(66a,67a)이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털(66a,67a)에 의해서 방해받아 장치 케이스(21)와 현상 롤러(31) 사이에 토너가 침입하기 어렵다.
또 털(66a)끼리의 사이 또는털(67a)끼리의 사이에 토너가 침입하여도 이 토너는 털(66a,67a)에 의해서 붙잡히게 된다. 따라서 토너는 현상 롤러(31)의 단부로 이동하지 않고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장치 케이스(21)의 외부로 토너가 흘러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토너가 팩시밀리 장치의 기체 내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의 일부가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가 접촉되는 위치에 대해서 현상 롤러(31)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토너가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며, 또 현상 블레이드(32)에 연하여 흘러 현상 롤러(31)의 양단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털(66a,67a)에 의해서 토너가 붙잡힌 상태에 있어서는 이 털(66a,67a)에 붙잡힌 토너의 전하에 의해서 다른 토너가 반발되어 털(66a)끼리의 사이 또는 털(67a)끼리의 사이에는 토너가 더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를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5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를 복잡하게 만곡시켜 배치하는데 비해서 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제조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를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서 토너와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재질로 형성하면 기모 부재 실링 부재(66,67)의 대전 전하에 의해서도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토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제3 내지 제6실시예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32)를 지지봉(36)보다도 짧게 하여 현상 롤러(31)의 양 단부와 지지봉(36)의 양 단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극에 실링 부재(62), 실링 부재(64),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 또는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를 배치하는 경우에 현상 블레이드(32)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면 실링 부재(62), 실링 부재(64),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 또는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와 현상 블레이드(32)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현상 블레이드(32)를 확실하게 유지해 둘 필요가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에 의해서 현상 블레이드(32)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6도는 현상 블레이드(32)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지봉(36)의 양단에는 각각 단면이 D자형을 이루는 D자형부(36a)가 길이 방향에 연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D자형부(36a)에는 홀더(70)가 각각 부착된다.
각 홀더(70)에는 지지봉(36)의 D자형부(36a)가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D자형 구멍(7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홀더(70)에는 D자형 구멍(70a)이 열린 단면과는 반대측 단면에 돌기(7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홀더(70)는 D자형 구멍(70a)에는 지지봉(36)의 D자형부(36a)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지지봉(36)에 부착된다. 또 각 홀더(70)의 돌기(70b)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하여 위치된다.
또 장치 케이스(21)의 각 측벽(21c)의 내면에는 현상 롤러(31)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연하는 직선의 홈(71)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홈(71)의 상하 양단은 개방되어 있고, 지지봉(36)의 양단에 끼워 맞추어진 각 홀더(70)의 돌기(70b)가 상측에서 삽입되며, 끼고 빼기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에 의해서 지지봉(36)의 양단은 상하 방향, 즉 현상 롤러(31)에 대해서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각 홀더(70)를 거쳐서 장치 케이스(21)에 지지된다. 또 장치 케이스(21)의 각 홈(71)은 장치 케이스(21)를 합성 수지로 성형할 때에 일체로 정밀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봉(36)은 상기와 같이 하여 장치 케이스(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37)(제2도 참조)에 의해서 하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에 의해서 지지봉(36)은 현상 롤러(31)를 향해서 힘이 가해지고, 현상 블레이드(32)의 선단이 현상 롤러(31)의 둘레면에 압압 접촉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봉(36)의 양단이 현상 롤러(31)에 대해서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만 직선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봉(36)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정밀하게 규제된다. 이 때문에, 현상 블레이드(32)가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지지봉(36)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정밀하게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봉(36)은 길이 방향의 흔들림이 잘 나타나지 않아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 사이의 양호한 평행도를 확보하기 쉽다. 그 결과,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현상 블레이드(32)를 양호하게 기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제3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이 아닌 현상 장치에 적용시켜도 유효하다.
또 조립을 위한 작업은 장치 케이스(21)의 각 홈(71)에 각 홀더(70)의 돌기(70b)를 삽입하는 것뿐이므로 매우 간단하다.
또 지지봉(36)의 각 D자형부(36a)와 각 홀더(70)의 각 D자형 구멍(70a)을 끼워 맞춤으로써 환봉으로 되는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간단한 구조로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또 현상 롤러(31)와 현상 블레이드(32)의 위치의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지지봉(36)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는 현상 롤러(31)를 지지하고 있는 부재와 같은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케이스(21)에 현상 롤러(3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봉(36)도 장치 케이스(21)로 지지하고 있다.
그런데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낸 변형 구성 예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17도는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구성의 제1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지지봉(36)의 양단의 둘레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72)이 설비되어 있다. 홀더(73)의 한 쪽 단면에는 지지봉(36)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둥근 구멍(73a)과 핀(72)이 계합되는 슬리트(7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홀더(73)의 둥근 구멍(73a)에 지지봉(36)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면 핀(72)이 슬리트(73b)에 계합되어 지지봉(36)은 홀더(73)에 의해서 돌아가는 것이 멈추게 된다.
또 홀더(73)의 다른 쪽 단면에는 장치 케이스(21)의 홈(71)에 계합되는 돌기(73c)가 형성되어 있다.
제18도는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구성의 제2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홀더(74)의 한 쪽 단면에는 지지봉(36)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둥근 구멍(74a)과, 현상 블레이드(32)의 단부가 계합되는 슬리트(7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봉(36)의 단부가 홀더(74)의 둥근 구멍(74a)에 끼워 맞추어지면 지지봉(36)은 홀3더(74)에 의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된다. 또 홀더(74)의 다른 쪽 단면에는 장치 케이스(21)의 홈(71)에 계합되는 돌기(7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이면 지지봉(36)에는 특별한 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고, 제조 원가가 싸다. 또 현상 블레이드(32)와 지지봉(36)의 접동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9도는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구성의 제3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장치 케이스(21)의 측벽(21c)의 내면에 요부(凹部)(75a)와 홈(7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봉(36)의 단부를 요부(凹剖)(75a)에 계합시킴으로써 현상 블레이드(32)가 홈(75b)에 결합되고,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한다.
제20도는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을 멈추게 하는 구성의 제4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는 지지봉(36)의 단부에 편평부(36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장치 케이스(21)의 측벽(21c)의 내면에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봉(36)의 단부의 편평부(36b)를 홈(76)에 계합시킴으로서 지지봉(36)이 돌아가는 것이 멈추게 된다.
한편 이상에 있어서는 지지봉의 환봉으로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제21도 및 제2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봉으로 되는 지지봉(77)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2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쪽 단면에 지지봉(77)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각으로 된 구멍(78a)이 형성된 홀더(78)를 지지봉(77)의 단부에 장착하고, 홀더(78)의 다른 쪽 단면에 형성된 돌기(78b)를 장치 케이스(21)의 홈(71)에 계합시킨다. 또는 제2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치 케이스(21)의 측벽(21c)의 내면에 지지봉(77)이 계합되는 홈(79)을 형성하고, 이 홈(79)에 지지봉(77)을 직접 계합시킨다.
그런데 현상 블레이드(32)를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유지함으로써 실링 부재(62), 실링 부재(64),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 또는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와 현상 블레이드(32)와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실제로는 미소한 간극이 열리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제2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급 롤러(30)의 길이(L2)는 현상 롤러(31)의 양단에 배치된(실링 부재(62), 실링 부재(64), 기모 부재 실링 부재(65) 또는 기모 부재 실링 부재(67)끼리의 간격(L1)보다도짧게 하고, 또 실링 부재가 배치된 위치에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링 부재와 현상 블레이드 사이는 토너의 공급이 적극적으로 행해지지 않아 실링 부재와 현상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 감광 드럼(11)측으로 반송되는 토너의 양은 저감된다.
또 제2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이 블레이드(33)의 길이(L3)는 실링 부재끼리의 간격(L1)에 대등하도록 하고, 또 실링 부재끼리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링 부재와 현상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감광 드럼(11)측으로 반송되고 또 장치 케이스(21)내로 되돌아온 토너를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클리닝 장치(14)에 있어서의 폐토너 수용 탱크(40)에서 토너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24도는 클리닝 장치(14)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제24도에서는 클리닝 장치(14)의 한 쪽 근방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쪽 단부 근방도 제24도에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단부에 있어서 감광 드럼(11)에 대면하는 외면 부분에는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 및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가 설비되어 있다.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 및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예를 들어 펠트 등의 실링 재료로 되는 것이며, 각각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서 폐토너 수용 탱크(40)에 접착되어 있다.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는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위쪽에 접착됨과 동시에 또 클리닝 블레이드(39)의 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는 감광 드럼(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는 감광 드럼(11)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를 폐쇄하여 여기에서 외부로 토너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음과 동시에 클리닝 블레이드(39)의 단면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를 덮고, 클리닝 블레이드(39)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서 긁어내린 폐토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에 연속된 상태로 배치되고,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아래쪽에 접착됨과 동시에 또 받이 블레이드(43)의 단부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감광 드럼(11)의 외주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감광 드럼(11)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를 폐쇄하고, 여기에서 외부로 토너가 누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받이 블레이드(43)의 단면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를 덮고, 클리닝 블레이드(39)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서 긁어 내린 폐토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전면(감광 드럼(11)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하면으로 연장하여 배치되고, 전면 및 하면에 접착되어 있지만 전면에 있어서의 접착 길이(감광 드럼(11)과 접촉되는 부분의 접착 길이)(S2)에 대해서 하면에 있어서의 접착 길이(감광 드럼(11)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접착 길이)(S1)를 길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감광 드럼(11)의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은 부분이 보다 강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11)과의 접동 접촉에 의해서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가 벗겨지거나 엇갈리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와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재질, 형상, 크기 또는 두께 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즉 클리닝 블레이드(39)의 단면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받이 블레이드(43)의 단면과 폐토너 수용 탱크(40)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다르다. 그래서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와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각각 폐쇄해야 할 간극을 덮기에 적합한 형상 및 크기로 각각 설정된다. 그 결과 간단한 수고로 각 간극을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 감광 드럼(11)과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간극은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위쪽과 아래쪽이 각각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와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는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11)과 폐토너 수용 탱크(40)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두께나 재질(예를 들어 펠트의 캐어지의 길이 등)이 각각 설정된다.
한편, 상측 드럼 실링 부재(80) 및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의 재질, 형상, 크기 및 두께 등은 상기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 점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모드 드럼 실링 부재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에 가하는 부하가 2.5kg·cm 이상이 되도록 설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광 드럼(11)에 가하는 부하를 조정하는데 적합한 것은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이고, 이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감광 드럼(11)에 가하는 부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감광 드럼(11)에 가하는 부하를 조정함으로써 감광 드럼(11)에 충분한 부하를 가할 수 있다. 감광 드럼(11)에 대한 부하가 적을 경우에는 감광 드럼(11)을 구동하는 기어의 고르지 못한 구동이나 클리닝 블레이드(39) 등의 접촉 부재와의 마찰에 의해서 감광 드럼(11)의 회전이 고르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르지 못한 회전이 생기면 화상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11)에 충분한 부하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감광 드럼(11)의 회전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감광 드럼(11)에는 감광 드럼(11)에 대해서 현상 롤러(31), 전사 롤러(45) 및 클리닝 블레이드(39)가 접촉됨으로서 부하가 가해지고 있지만, 이들 접촉압은 현상, 전사 및 클리닝의 각 처리를 행하는데 있어서 제 조건에 의해서 제한을 받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드럼 실링 부재(81)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에 충분한 부하를 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11)로 마찰에 의해 소정 극성으로 대전하기 쉬운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회전에 의해 상기 토너를 상기 감광체(11)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31)와;
    상기 토너가 통과하도록 상기 현상 롤러(31)와 소정 간극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너가 상기 간극을 통과할 때 마찰에 의해 제1극성으로 대전하도록 하는 토너 규제 부재(32)와;
    상기 현상 장치를 수납하는 것으로, 상기 감광체(11)에 반대되는 측에서 상기 현상 롤러(31)의 양측 단부를 수납하는 부분이, 상기 현상 롤러(31)의 외주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추종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원호부(21a)를 갖는 케이스(21); 및
    상기 현상 롤러(31)의 단부에서 상기 현상 롤러(31)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21)의 원호부(21a) 사이에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호부(21a)에 고정되고 타면이 상기 현상 롤러(31)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31)의 회전시 마찰에 의해서 상기 토너와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실링 부재(60,61,62,63,65,66,6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61,65,66,67)는 표면에 모상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60,61,62,63,64,65,66,67)가 상기 케이스(21)에 접촉되어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현상 롤러(31)와 토너 규제 부재(32)로 토너를 소정 극성으로 대전하고, 감광 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소정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3)에 있어서,
    상기 토너 규제 부재(32)에 대해서 상기 현상 롤러(31)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상기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벽(21a)을 갖는 케이스(21)와;
    상기 현상 롤러(31)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면과 상기 케이스(21)의 내벽(21a) 사이에 각각 상기 현상 롤러(31)에 접촉하여 설비되며 상기 현상 롤러(31)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소정 극성으로 대전되고, 상기 토너와 동일 극성으로 대전되는 제1실링 부재(60,61,62,63,65,66)와;
    상기 현상 롤러(31)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토너 규제 부재(3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6); 및
    상기 지지 부재(36)와 상기 현상 롤러(31) 사이에 설비되는 제2실링 부재(64,6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 부재(64,67)가 상기 토너 규제 부재(3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현상 롤러(31)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 부재(64,67)가 상기 지지 부재(36)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제2실링 부재(64,67)가 상기 제1실링 부재(60,61,62,63,65,66)와 별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 부재(64,67)가 상기 제1실링 부재(60,61,62,63,65,66)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3)에 있어서,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31)와;
    상기 현상 롤러(31)에 맞닿아 배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31)에 담지되어 반송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함과 동시에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는 토너 규제 부재(32)와;
    상기 토너 규제 부재(32)를 상기 현상 롤러(31)에 대해서 접근, 이간시키는 방향으로만 직선 이동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70,7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3)에 있어서,
    상기 토너를 수용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토너를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31); 및
    상기 현상 롤러(31)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보다 짧고 상기 케이스(21)의 수용된 상기 토너를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현상 롤러(31)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행하는 현상 장치(13)에 있어서,
    상기 토너를 수용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토너를 소정 토너 담지 가능 영역에 담지하고 반송하여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31)와;
    상기 현상 롤러(31)의 상기 토너 담지 가능 영역의 폭에 대등한 길이를 갖고,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접촉된 후에 상기 현상 롤러(31)에 담지된 채로 상기 케이스(21)로 되돌아온 토너를 받아들이는 토너 받이 부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감광체(11)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14)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서 제거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용기(40)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에 고정되고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맞닿아 설비된 토너 긁어내리기 부재(39)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에 고정되고 상기 토너 긁어내리기 부재(39)에 의해서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서 긁어내린 토너를 받아 이 토너를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로 인도하는 토너 받이 부재(43)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에 부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와 상기 토너 긁어내리기 부재(39)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1실링 부재(80)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에 접착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와 상기 토너 받이 부재(43) 사이의 간극을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 부재(81)는 상기 감광체(11)의 표면에 접촉되는 제1부위와 상기 토너 수용 용기에 부착되는 제2부위를 갖고, 상기 제2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로의 부착 길이가 상기 제1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토너 수용 용기(40)로의 접착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KR1019930017096A 1992-08-31 1993-08-31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KR013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57322A JPH0683251A (ja) 1992-08-31 1992-08-31 電子写真装置
JP4257321A JP2916332B2 (ja) 1992-08-31 1992-08-31 現像装置
JP4231675A JP3015601B2 (ja) 1992-08-31 1992-08-31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92-231675 1992-08-31
JP92-257321 1992-08-31
JP92-257322 1992-08-31
JP92-256780 1992-09-25
JP25678092A JP2963823B2 (ja) 1992-09-25 1992-09-25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94A KR940004394A (ko) 1994-03-15
KR0137120B1 true KR0137120B1 (ko) 1998-06-01

Family

ID=2747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096A KR0137120B1 (ko) 1992-08-31 1993-08-31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488462A (ko)
EP (1) EP0585882B1 (ko)
KR (1) KR0137120B1 (ko)
CA (1) CA2105259C (ko)
DE (1) DE69314889T2 (ko)
MY (1) MY1090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236A (en) * 1992-07-10 1996-10-22 Minolta Co., Ltd. One-component developing device with system for removing surplus toner
US5852762A (en) * 1993-01-12 1998-12-22 Ricoh Company, Ltd. Toner magazine and clean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5622427A (en) * 1993-09-03 1997-04-22 Simplex Time Recorder Company Emergency strobe light
GB2286062B (en) * 1994-01-19 1998-04-01 Xerox Corp Cartridge sealing strip cleaning
US5592268A (en) * 1994-07-22 1997-01-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chanism to prevent toner leakage from an image forming unit
JP3313901B2 (ja) * 1994-08-29 2002-08-1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H0882998A (ja) * 1994-09-09 1996-03-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237481B2 (ja) * 1995-08-04 2001-12-10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現像剤供給容器のシール構造及びシール部材
JP3605203B2 (ja) * 1995-11-10 2004-12-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749026A (en) * 1996-02-13 1998-05-05 Rti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vable shipping seal for a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252090B2 (ja) * 1996-07-10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5880244A (en) * 1997-05-13 1999-03-09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ant materials for toner cartridges
DE69816523T2 (de) * 1997-05-27 2004-06-03 Sharp K.K. Entwicklungsgerät
JP4268697B2 (ja) * 1997-08-20 2009-05-27 槌屋ティスコ株式会社 粉粒体の漏れ防止用のシール材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及びシール材
JPH11143226A (ja) *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3618984B2 (ja) * 1997-11-11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56561A (ja) * 1998-08-04 2000-02-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75650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現像剤シール部材、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03094B2 (ja) * 1998-10-28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347346B1 (en) * 1999-08-23 2014-04-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558276B2 (ja) * 2000-01-26 2004-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4474002B2 (ja) * 2000-02-04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55741A (ja) * 2000-03-09 2001-09-21 Canon Inc 仕切り部材及びシール部品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45511B2 (ja) * 2001-02-09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87488A (ja) * 2001-03-27 2002-10-03 Brother Ind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6901228B2 (en) * 2001-03-27 2005-05-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gent container including a sealing element for preventing developing agent from leaking out
US6487383B2 (en) 2001-04-12 2002-11-26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JP3611811B2 (ja) * 2001-08-22 2005-01-19 ティー・アンド・エム株式会社 高速回転体用シール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ならびに現像装置
US6553195B2 (en) 2001-09-27 2003-04-22 Kurt Matthew Korfhage Dynamic end seal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6658223B2 (en) * 2001-11-29 2003-12-02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seal for a cleaning device
US6760555B2 (en) * 2002-03-21 2004-07-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and method of toner flow control
KR100690102B1 (ko) * 2004-03-31 2007-03-0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현상 장치, 이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화상 형성 장치
JP4314529B2 (ja) * 2005-05-30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36675B2 (ja) 2005-09-28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ケース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US7623807B2 (en) * 2005-12-15 2009-1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seal for component surfaces
JP2008058417A (ja) * 2006-08-29 2008-03-1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8099012B2 (en) * 2007-12-18 2012-01-17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eloper roll lip seal
US8116657B2 (en) * 2007-12-18 2012-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Upper seal for inhibiting doctor blade toner leakage
JP4663801B2 (ja) * 2008-09-0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3304B2 (ja) * 2009-03-27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Ledプリントヘッド接地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741045B1 (ko) * 2010-09-10 2017-05-2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8644725B2 (en) 2011-05-18 2014-0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iffness seal for imaging component surfaces
JP5909931B2 (ja) * 2011-08-31 2016-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6015104B2 (ja) * 2012-04-27 2016-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6015105B2 (ja) 2012-04-27 2016-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WO2013164871A1 (ja) * 2012-04-30 2013-11-07 三和テクノ株式会社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端部シール材
JP6066639B2 (ja) * 2012-09-13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4115617A (ja) * 2012-11-16 2014-06-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6226661B2 (ja) * 2013-09-18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835978B2 (en) * 2015-09-22 2017-1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Notched end seal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775715B2 (en) 2017-01-31 2020-09-15 Hp Indigo B.V. Roller seal for a developer unit in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10365586B1 (en) 2018-03-13 2019-07-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nd seal assembly for an undercut developer roll
JP7087559B2 (ja) * 2018-03-29 2022-06-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
US10831131B1 (en) 2019-10-01 2020-11-10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eloper unit assembly for restricting movement of a developer roll end seal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962905B1 (en) 2019-10-21 2021-03-30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 for an electrophotograhic image forming device
JP2022168974A (ja) * 2021-04-27 2022-1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3032812A (ja) * 2021-08-27 2023-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940A (en) * 1985-10-23 1989-10-17 Ricoh Company, Ltd. Image developing device
KR920003245B1 (ko) * 1987-03-24 1992-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장치
EP0314436B1 (en) * 1987-10-28 1993-12-29 Canon Kabushiki Kaisha A developing apparatus
US4893151A (en) * 1987-11-26 1990-01-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eveloping apparatus
JPH0226228A (ja) * 1988-07-14 1990-01-29 Oki Electric Ind Co Ltd バッテリ逆接続検出装置
US5057868A (en) * 1989-02-10 1991-10-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 toner leakage
JP2646393B2 (ja) * 1989-05-31 1997-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344688A (ja) * 1989-07-12 1991-02-26 Konica Corp トナーシール方法及び装置
JP2948238B2 (ja) * 1989-08-29 1999-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485571A (ja) * 1990-07-30 1992-03-1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トナーシール材
JP3064436B2 (ja) * 1991-02-06 2000-07-1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126532B2 (ja) *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281841A (ja) * 1992-03-30 1993-10-29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792887A (ja) * 1993-07-20 1995-04-07 Canon Inc 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88462A (en) 1996-01-30
CA2105259A1 (en) 1994-03-01
KR940004394A (ko) 1994-03-15
MY109011A (en) 1996-11-30
US5655178A (en) 1997-08-05
EP0585882A2 (en) 1994-03-09
CA2105259C (en) 2000-01-04
EP0585882B1 (en) 1997-10-29
DE69314889D1 (de) 1997-12-04
DE69314889T2 (de) 1998-04-02
EP0585882A3 (en) 1994-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120B1 (ko) 전자 사진 장치 및 전자 사진 장치용 프로세스 유니트, 현상 장치, 클리닝 장치
US5790923A (en) Developing apparatus
US518260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handling units which are alternatively usable as a developing device or a cleaning device
EP1430365B1 (en)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US7418225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nd portion regulating member
US6336015B1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regulating member seal member and magnetic seal member
US6256467B1 (en) Side cover of developing cartridge, mounting method thereof and developing cartridge
EP1494091B1 (en) Magnetic seal for a developing apparatus
US20080112723A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magnetic sealing member
US6181898B1 (en) Developing apparatus
JP308637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US20140334854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40402A (ja) 現像装置
JP2013015706A (ja) 現像剤扱い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7243B2 (ja) 現像装置
JP3256936B2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269657A (ja) 現像装置
JP2963823B2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200023533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H0980908A (ja) 現像装置
JPH04343367A (ja) 画像形成装置本体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8134404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075592A (ja) 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1252980A (ja) 現像装置
JPH11194597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容器用検知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0100216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